KR102410697B1 - 서브pcb, 이를 포함하는 pcb 조립기판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서브pcb, 이를 포함하는 pcb 조립기판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0697B1
KR102410697B1 KR1020200112568A KR20200112568A KR102410697B1 KR 102410697 B1 KR102410697 B1 KR 102410697B1 KR 1020200112568 A KR1020200112568 A KR 1020200112568A KR 20200112568 A KR20200112568 A KR 20200112568A KR 102410697 B1 KR102410697 B1 KR 102410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cb
sub
main
locking pin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2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0791A (ko
Inventor
권혁운
김석영
Original Assignee
한솔테크닉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솔테크닉스(주) filed Critical 한솔테크닉스(주)
Priority to KR1020200112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0697B1/ko
Publication of KR20220030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0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0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0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1One or more single auxiliary printed circuits mounted on a main printed circuit, e.g. modules, adap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05K3/361Assembling flexible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05K3/363Assembling flexible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05K3/36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substantially perpendicularly to each other

Abstract

본 발명은 일면으로 장착홀이 관통 형성된 메인PCB와; 메인PCB에 체결되어 메인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서브PCB;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서브PCB는, 장착홀에 삽입되고, 메인PCB의 메인접속단자와 접속되기 위한 서브접속단자가 형성된 서브PCB본체; 및 삽입방향에 대하여 후방에 위치하고, 서브PCB본체의 전면과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서브PCB본체에 결합되어 서브PCB본체가 장착홀에 삽입될 시 메인PCB에 걸림 접촉되는 걸림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PCB 조립기판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Description

서브PCB, 이를 포함하는 PCB 조립기판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SUB PCB, PCB ASSEMBLY BOARD INCLUDING THE SAME, AND ELECTRONIC DEVICE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서브PCB, 이를 포함하는 PCB 조립기판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전자기기에 적용되는 PCB 조립기판으로 커넥터와 소켓과 같은 부품 없이도 서브PCB와 메인PCB를 용이하게 서로 조립 결합되게 하는 서브PCB, 이를 포함하는 PCB 조립기판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로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제품은 주요기능을 수행하는 메인회로와 선택적으로 채용되는 보조회로가 있는데, 메인회로는 전기전자제품의 주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품 내에 설치되고, 보조회로는 메인기능에 부가적인 기능을 추가시키는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된다.
한편, 최근에는 하루가 다르게 새 기능 혹은 새 모델이 개발되면서 보조회로의 기능이 수시로 개량되어 메인회로까지 바꾸어주어야 하는데, 이에 이러한 메인회로와 보조회로를 각각 메인인쇄회로기판과 서브인쇄회로기판에 구현시켜 커넥터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기능 등이 업버전될 때 서브인쇄회로기판을 교체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메인인쇄회로기판과 서브인쇄회로기판에 대한 기술의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08574호는 인쇄회로기판과, 인쇄회로기판의 일단에 구비되는 패드부와, 패드부에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멀티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PCB 어셈블리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메인인쇄회로기판과 서브인쇄회로기판은, 규격에 맞는 별도의 커넥터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제조비용이 소요됨은 물론이며, 커넥터 조립에 따른 작업공정이 늘어나게 되어 작업성 및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08574호
본 발명은, 메인PCB와 서브PCB를 체결시키기 위한 별도의 커넥터를 구비할 필요 없이 메인PCB와 서브PCB가 서로 용이하게 체결되도록 하여 제조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조립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어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서브PCB, 이를 포함하는 PCB 조립기판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메인PCB의 메인접속단자와 접속되기 위한 서브접속단자가 형성된 서브PCB본체; 및 서브PCB본체의 전면과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서브PCB본체에 결합되는 걸림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PCB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걸림핀은, 서브PCB본체의 후방 두께면을 관통하여 양단부가 서브PCB본체의 전면과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일면으로 장착홀이 관통 형성된 메인PCB와; 메인PCB에 체결되어 메인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서브PCB;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서브PCB는, 장착홀에 삽입되고, 메인PCB의 메인접속단자와 접속되기 위한 서브접속단자가 형성된 서브PCB본체; 및 삽입방향에 대하여 후방에 위치하고, 서브PCB본체의 전면과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서브PCB본체에 결합되어 서브PCB본체가 장착홀에 삽입될 시 메인PCB에 걸림 접촉되는 걸림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PCB 조립기판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솔더링에 의하여 메인접속단자와 서브접속단자를 상호 접합시키고, 서브PCB를 메인PCB에 결합 고정되게 하는 솔더링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서브PCB본체는, 일면과 타면에 각각 서브접속단자가 형성되고, 메인PCB는, 장착홀과 인접하여 장착홀에 삽입되는 서브PCB본체의 서브접속단자와 대응되는 위치에 메인접속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걸림핀은, 서브PCB본체의 후방 두께면을 관통하여 양단부가 서브PCB본체의 전면과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핀은, 서브PCB본체의 전면과 후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걸림핀은, 서브PCB본체의 전면과 후면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걸림핀은, 한 쌍으로 서브PCB본체의 후방 양측 단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한편, 걸림핀은, 단부가 메인PCB의 타면과 접촉되는 상면으로 절곡 형성되어, 서브PCB본체가 장착홀에 삽입될 시 메인PCB의 타면에 형성된 끼움홈에 끼워지는 절곡끼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걸림핀은, 서브PCB본체에 관통 설치되고 양단부가 서브PCB본체의 전방과 후방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걸림핀과, 제1걸림핀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수직한 방향 또는 경사진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걸림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메인PCB는, 장착홀과 연통되고, 서브PCB본체가 장착홀에 삽입될 시 걸림핀이 삽입 안착되는 단차홈이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메인PCB 및 서브PCB는, 각각 단면 PCB, 양면 PCB, 다층 PCB, 플렉서블(flexible) PCB, MCCL(Metal Copper Clad Laminate) 및 MLB(Multi Layer Board)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PCB 조립기판을 이용한 전자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브PCB, 이를 포함하는 PCB 조립기판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는 커넥터와 소켓과 같은 별도의 부품 없이도 메인PCB와 서브PCB를 서로 용이하게 조립 체결되기 때문에 소요되는 부품을 줄여 제조비용을 저감시킴은 물론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조립작업을 단순화시킬 수 있어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CB 조립기판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CB조립기판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CB조립기판에서 서브PCB를 평면상으로 보았을 때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CB조립기판에서 결합핀이 경사지게 결합된 경우를 나타내는 서브PCB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CB조립기판에서 결합핀에 절곡끼움부가 형성된 서브PCB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CB조립기판에서 단차홈이 형성된 메인PCB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CB조립기판에서 십자형의 걸림핀을 갖는 서브PCB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CB조립기판에서 십자형의 걸림핀을 갖는 다른 실시예와 이에 따른 메인PCB에 단차홈이 형성된 메인PCB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수단"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으며,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CB 조립기판(400)은, 별도의 커넥터나 소켓을 통하여 메인PCB(100)와 서브PCB(200)를 서로 체결하던 종래와는 달리 메인PCB(100)와 서브PCB(200)가 서로 조립 체결되도록 구성되어 부품 소요비용을 저감시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조립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어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CB 조립기판(400)은, 메인PCB(100)와 서브PCB(200)를 서로 조립 체결시킨 후 솔더링을 통하여 서로 접속 결합되기 때문에 별도의 부품 없이도 보다 안정적 전기적 접속 및 결합 고정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CB 조립기판(400)은, 메인PCB(100)와, 서브PCB(200)와, 솔더링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서브PCB(200)가 메인PCB(100)에 조립 체결되고, 솔더링부(300)에 의하여 메인PC와 서브PCB(200)를 서로 결합 고정 및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살펴보기에 앞서,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메인PCB(100)와 서브PCB(200)의 각 면에 대한 명칭정의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메인PCB(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얇은 플레이트 구조로 형성되어, 편의상 일면(도면에서 상면), 타면(저면) 및 4개의 두께면(측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서브PCB(200)는, 메인PCB(100)와 마찬가지로 얇은 플레이트 구조로 형성되어 전면, 후면 및 전면과 후면을 서로 연결하는 4개의 두께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먼저 메인PCB(10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메인PCB(100)는, 메인회로와 접속되기 위한 메인접속단자(120)가 일면에 형성되며, 일면과 타면에 대하여 서브PCB(200)가 삽입되는 장착홀(110)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메인접속단자(120)는, 장착홀(110)에 서브PCB(200)가 삽입될 시 서브접속단자(211)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장착홀(110)과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메인접속단자(120)는, 메인PCB(100)가 단면일 경우, 양면일 경우 등에 따라 일면과 양면에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 예로 도면에서 메인PCB(100)는, 단면PCB를 적용한 경우를 실시예로 나타내고 있으며, 이러한 경우 메인접속단자(120)는 메인PCB(10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장착홀(110)은, 메인PCB(100)의 일면과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서브PCB(200)가 삽입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PCB(100)의 일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서브PCB(200)는, 장착홀(110)에 삽입되었을 때 전면과 후면이 메인PCB(100)의 일면과 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장착홀(110)은, 메인PCB(100)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이 아닌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하여 관통되는 각도를 달리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서브PCB(200)와 메인PCB(100)의 조립각도를 달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PCB 기판(400)은, 설계 등에 따라 장착홀(100)을 메인PCB(100)의 일면에 대하여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메인PCB(100)에 대한 서브PCB(200)의 조립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전자기기에 결합될 시 전자부품 레이아웃 설계에 유리한 측면을 제공할 수 있다.
장착홀(110)은, 서브PCB본체(210)의 상측 두께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장착홀(110)의 내측면으로 서브PCB(200)의 전면 및 후면이 인접 또는 밀착되게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장착홀(110)에 삽입된 서브PCB본체(210)의 전후방향으로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 장착홀(110)은, 서브PCB(200)의 타면방향으로 관통홀(111)이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관통홀(111)은 조립되는 전자부품의 삽입공간으로 활용되거나, PCB 조립체(400)로부터 발생되는 열의 발산공간으로 활용되는 등 다양하게 활용 가능하며, 도면에서는 평면상으로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그 형상 또한 다양하게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서브PCB(20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서브PCB(200)는, 메인PCB(100)에 조립 결합되어 메인PCB(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으로, 서브PCB본체(210)와, 걸림핀(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서브PCB본체(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얇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 두께면으로 장착홀(110)에 삽입되어 메인PCB(100)에 끼워진다.
서브PCB본체(210)는, 메인PCB(100)의 메인접속단자(120)와 접속되기 위한 서브접속단자(211)가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서브접속단자(211)는 서브PCB본체(21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에 메인PCB(100)는, 장착홀(110)에 인접하고 장착홀(110)에 삽입되는 서브PCB본체(210)의 서브접속단자(211)와 대응되는 위치에 메인접속단자(120)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핀(220)은, 서브PCB본체(210)의 전면과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서브PCB본체(210)에 결합되고, 서브PCB본체(210)가 장착홀(110)에 삽입될 시 메인PCB(100)에 걸림 접촉되어 서브PCB본체(210)의 삽입깊이를 제한하고 서브PCB본체(210)의 설정된 조립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걸림핀(220)은, 서브PCB본체(210)의 삽입방향의 후방 두께면을 관통하여 양단부가 서브PCB본체(210)의 전면과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걸림핀(220)은, 금속재질이나 서브PCB본체(210)와 동일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3을 참조하면, 걸림핀(220)은, 서브PCB본체(210)의 전면과 후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걸림핀(220)은, 서브PCB본체(210)의 두께면과 평행하도록 수평하게 배치되어, 장착홀(110)에 삽입된 서브PCB본체(210)의 기울어짐 및 메인PCB(100)와의 들뜸 발생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걸림핀(2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서브PCB본체(210)의 후방 양측 단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 걸림핀(220)은, 하나로 구성되어 서브PCB본체(210)의 중앙부 또는 대칭되게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걸림핀(220)은, 서브PCB본체(210)의 관통홀(211,도4참조)에 관통 삽입된 후 서브PCB본체(210)와 고정 결합되기 위하여, 관통홀(211)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이와는 다른 실시예로, 걸림핀(220)은 서브PCB본체(210)의 두께를 고려하여 관통홀(211)에 삽입 후 관통홀(211)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서브PCB본체(210)와 고정 결합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한편, 메인PCB(100) 및 서브PCB(200)는, 각각 단면 PCB, 양면 PCB, 다층 PCB, 플렉서블(flexible) PCB, MCCL(Metal Copper Clad Laminate) 및 MLB(Multi Layer Board)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솔더링부(300)는, 솔더링에 의하여 메인접속단자(120)와 서브접속단자(211)를 상호 접합시키고, 서브PCB(200)를 메인PCB(100)에 결합 고정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솔더링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PCB(100)의 일면에 형성되고, 납땜에 의하여 메인접속단자(120)와 장착홀(110)에 삽입된 서브PCB(200)의 서브접속단자(211)를 상호 접합시켜 메인PCB(100)와 서브PCB(200)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하고, 서브PCB(200)와 메인PCB(100)가 서로 결합 고정되게 한다.
이때, 솔더링부(300)는, 메인접속단자(120)와 서브접속단자(211)의 형성위치에 따라 서브PCB(200)의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메인PCB(100)와 서브PCB(200)의 전기적인 접속 및 서로 결합 고정되게 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걸림핀(220)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도 4를 참조하면, 걸림핀(220)은, 서브PCB본체(210)의 전면과 후면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관통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서브PCB(200a)는, 걸림핀(220)이 메인PCB(100)에 대하여 경사지게 접촉되는 만큼 서브PCB본체(210)의 전후방향 다양한 각도의 흔들림에 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서브PCB본체(210)를 지지할 수 있으며, 서브PCB본체(210)의 관통홀(211)과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어 서브PCB본체(210)와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걸림핀(220)은, 한 쌍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PCB본체(210)의 양측 단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걸림핀(220)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걸림핀(220)은, 서브PCB본체(210)에 대하여 설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의 설정 각도는 걸림핀(220)의 길이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걸림핀(220a)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걸림핀(220a)은, 단부에 메인PCB(100a)의 타면과 접촉되는 상면으로 절곡 형성되어, 서브PCB본체(210)가 장착홀(110)에 삽입될 시 메인PCB(100a)의 타면에 형성된 끼움홈(130)에 끼워지는 절곡끼움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절곡끼움부(221)는 서브PCB(200b)와 메인PCB(100a)가 서로 조립 체결될 시 메인PCB(100a)에 대한 걸림핀(220a)의 슬립을 방지하고, 서브PCB(200b)와 메인PCB(100a)의 결속력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절곡끼움부(221)는,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핀(220a)과 일체로 형성되어 걸림핀(220a)의 최외측단부로부터 절곡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끼움홈(1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끼움부(221)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CB조립기판에서 메인PCB(100b)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메인PCB(100b)는, 장착홀(110)과 연통되고 걸림핀(220)이 삽입 안착되는 단차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단차홈(111)은, 서브PCB(210)본체가 장착홀(110)에 삽입될 시 걸림핀(220)이 삽입 안착되어 걸림핀(220)을 포함하는 서브PCB(200)의 하면이 메인PCB(100b)의 타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메인PCB(100b)의 타면에 대하여 서브PCB(200)의 걸림을 방지함은 물론 장착홀(110)에 삽입된 서브PCB본체(210)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메인PCB(100b)와 서브PCB(200)가 서로 안정적으로 결합되게 하고, 나아가 걸림핀(220)의 직경을 줄일 수 있는 역할을 한다.
단차홈(111)은,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핀(220)의 직경과 대응되는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 메인PCB(100b)의 타면으로부터 걸림핀(220)을 포함하는 서브PCB(200)가 돌출되지 않도록 걸림핀(220)의 직경보다 더 큰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걸림핀(220)의 직경보다 작은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서브PCB(200)가 장착홀(110)에 삽입 장착될 시 서브PCB(200)가 흔들리지 않고 보다 안정적으로 그 위치를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는 등 그 깊이에 대하여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CB조립기판에서 십자형의 걸림핀(220b)을 갖는 서브PCB(200c)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걸림핀(200b)은, 서브PCB본체(210)에 관통 설치되고 양단부가 서브PCB본체(210)의 전방과 후방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걸림핀(231)과, 제1걸림핀(231)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2걸림핀(2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걸림핀(232)은, 제1걸림핀(231)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 또는 경사진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서, 제2걸림핀(232)은, 제1걸림핀(231)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어 대략 십자형태를 갖도록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 제2걸림핀(232)은 제1걸림핀(231)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여기서, 제1걸림핀(231)과 제2걸림핀(232)는, 그 소재에 따라 결합방법을 다양하게 할 수 있다. 가령, 제1걸림핀(231)과 제2걸림핀(232)이 동일한 소재인 경우 일체로 제조될 수 있다. 또는 제1걸림핀(231)과 제2걸림핀(232)이 수지계열의 재질인 경우 서로 접합될 수 있으며, 금속재질인 경우에는 용접결합될 수 있는 등 다양한 결합이 가능하다.
나아가, 제2걸림핀(23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걸림핀(231)의 일측 단부에만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서브PCB본체(210)에 관통 결합하는 것을 고려한 것으로, 걸림핀(220b)은 서브PCB본체(210)에 관통 삽입되는 삽입단부에는 삽입을 위하여 제2걸림핀(232)을 결합시키지 않고, 삽입단부와 대향되는 단부에 제2걸림핀(232)을 결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경우 서브PCB(200c)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PCB본체(210)의 양측 단부에 서로 대칭되게 위치하여 상호 균형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을 참조하면, 메인PCB(100c)는, 이와 같이 십자형태의 걸림핀(220b)이 형성된 경우, 걸림핀(220b)의 형상과 대응되는 십자형태의 단차홈(112)이 형성되어 걸림핀(220b)이 삽입 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CB 조립기판(400)은, 다양한 전자지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TV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이나, 통신장비를 포함하는 통신제품 등 다양한 전자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100a,100b,100c : 메인PCB
110 : 장착홀
111,112 : 단차홈
120 : 메인접속단자
130 : 끼움홈
200,200a,200b,200c : 서브PCB
210 : 서브PCB본체
211 : 관통홀
220,220a,220b : 걸림핀
221 : 절곡끼움부
231 : 제1걸림핀
232 : 제2걸림핀
300 : 솔더링부
400 : PCB 조립기판

Claims (14)

  1. 메인PCB의 메인접속단자와 접속되기 위한 서브접속단자가 형성된 서브PCB본체; 및
    상기 서브PCB본체의 전면과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서브PCB본체에 결합되는 걸림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솔더링에 의하여 상기 메인접속단자와 상기 서브접속단자를 상호 접합시키고, 상기 서브PCB를 상기 메인PCB에 결합 고정되게 하는 솔더링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걸림핀은,
    상기 서브PCB본체에 관통 설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서브PCB본체의 전방과 후방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걸림핀과,
    상기 제1걸림핀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수직한 방향 또는 경사진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걸림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PCB 조립기판.
  2. 삭제
  3. 일면으로 장착홀이 관통 형성된 메인PCB와;
    상기 메인PCB에 체결되어 상기 메인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서브PCB;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서브PCB는,
    상기 장착홀에 삽입되고, 메인PCB의 메인접속단자와 접속되기 위한 서브접속단자가 형성된 서브PCB본체; 및
    삽입방향에 대하여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서브PCB본체의 전면과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서브PCB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서브PCB본체가 상기 장착홀에 삽입될 시 상기 메인PCB에 걸림 접촉되는 걸림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솔더링에 의하여 상기 메인접속단자와 상기 서브접속단자를 상호 접합시키고, 상기 서브PCB를 상기 메인PCB에 결합 고정되게 하는 솔더링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걸림핀은,
    상기 서브PCB본체에 관통 설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서브PCB본체의 전방과 후방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걸림핀과,
    상기 제1걸림핀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수직한 방향 또는 경사진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걸림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PCB 조립기판.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PCB본체는, 일면과 타면에 각각 상기 서브접속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PCB는, 상기 장착홀과 인접하여 상기 장착홀에 삽입되는 상기 서브PCB본체의 상기 서브접속단자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메인접속단자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PCB 조립기판.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PCB는,
    상기 장착홀과 연통되고, 상기 서브PCB본체가 상기 장착홀에 삽입될 시 상기 걸림핀이 삽입 안착되는 단차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PCB 조립기판.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PCB 및 상기 서브PCB는,
    각각 단면 PCB, 양면 PCB, 다층 PCB, 플렉서블(flexible) PCB, MCCL(Metal Copper Clad Laminate) 및 MLB(Multi Layer Board)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PCB 조립기판.
  14. 청구항 제 3 항, 제 5 항 및 제 12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PCB 조립기판을 이용한 전자기기.
KR1020200112568A 2020-09-03 2020-09-03 서브pcb, 이를 포함하는 pcb 조립기판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KR102410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568A KR102410697B1 (ko) 2020-09-03 2020-09-03 서브pcb, 이를 포함하는 pcb 조립기판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568A KR102410697B1 (ko) 2020-09-03 2020-09-03 서브pcb, 이를 포함하는 pcb 조립기판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791A KR20220030791A (ko) 2022-03-11
KR102410697B1 true KR102410697B1 (ko) 2022-06-20

Family

ID=80814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2568A KR102410697B1 (ko) 2020-09-03 2020-09-03 서브pcb, 이를 포함하는 pcb 조립기판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069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0935A (ja) * 2006-11-22 2008-06-05 Funai Electric Co Ltd デジタル基板の固定構造、および、立基板の固定構造
JP2008171849A (ja) * 2007-01-09 2008-07-24 Funai Electric Co Ltd プリント基板実装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8574A (ko) 2008-07-16 2010-01-26 이정석 Pcb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0935A (ja) * 2006-11-22 2008-06-05 Funai Electric Co Ltd デジタル基板の固定構造、および、立基板の固定構造
JP2008171849A (ja) * 2007-01-09 2008-07-24 Funai Electric Co Ltd プリント基板実装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791A (ko) 2022-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0952B2 (ja) コネクタ付き基板
US20060089018A1 (en) Mounting structure of connector
JP3013756B2 (ja) 基板用コネクタ
US7473109B2 (en) Mount structure and electronic apparatus
US6246016B1 (en) Edge-mountable integrated circuit package and method of attaching the same to a printed wiring board
US7710740B2 (en) Assembly structure of flexible board and rigid board
JP5327037B2 (ja) 電子装置
JP4735285B2 (ja) コネクタ
KR102410697B1 (ko) 서브pcb, 이를 포함하는 pcb 조립기판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KR20230028356A (ko) Pcb 복층 연결 구조
US6884112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securing member
KR102410695B1 (ko) 서브pcb, 이를 포함하는 pcb 기판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KR102399767B1 (ko) 서브pcb, 이를 포함하는 pcb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JP5067678B2 (ja) ソケット型コネクタ
JP5006168B2 (ja) 基板間接続構造及び回路基板
JP6597810B2 (ja) 実装構造、構造部品、実装構造の製造方法
JP3322342B2 (ja) サーフェスマウント型電子部品のマウント構造
JP2010258465A (ja) 保持部材
JP4572140B2 (ja) フレキシブル基板の接続構造
US7476109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ed with a bondable element
JP4249667B2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部品とケーブルの接続構造
CN203219602U (zh) 刚性基板与柔性基板的连接构造
WO2022113827A1 (ja) コネクタ
JP3178575B2 (ja) フレキシブル回路板ハーネス装置
JP2002208773A (ja) 硬質プリント基板とフレキシブル配線板との接続方法及び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