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9767B1 - 서브pcb, 이를 포함하는 pcb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서브pcb, 이를 포함하는 pcb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9767B1
KR102399767B1 KR1020200104752A KR20200104752A KR102399767B1 KR 102399767 B1 KR102399767 B1 KR 102399767B1 KR 1020200104752 A KR1020200104752 A KR 1020200104752A KR 20200104752 A KR20200104752 A KR 20200104752A KR 102399767 B1 KR102399767 B1 KR 102399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cb
sub
main
wing portion
mount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4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3184A (ko
Inventor
권혁운
김석영
Original Assignee
한솔테크닉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솔테크닉스(주) filed Critical 한솔테크닉스(주)
Priority to KR1020200104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9767B1/ko
Publication of KR20220023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3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9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9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1One or more single auxiliary printed circuits mounted on a main printed circuit, e.g. modules, adap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05K3/36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substantially perpendicularly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01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 H05K7/1402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면으로 장착홀이 관통 형성된 메인PCB와; 메인PCB에 체결되어 메인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서브PCB;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서브PCB는, 장착홀에 삽입되고, 삽입방향에 대하여 후방 두께면으로 날개부가 형성되어 메인PCB에 걸림 체결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PCB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별도의 커넥터(소켓)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소요부품에 따른 제조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서브PCB, 이를 포함하는 PCB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SUB-PCB, PCB ASSEMBLY INCLUDING THE SAME, AND ELECTRONIC DEVICE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서브PCB, 이를 포함하는 PCB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커넥터(소켓) 없이 메인PCB와 서브PCB를 서로 체결할 수 있는 서브PCB, 이를 포함하는 PCB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로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제품은 주요기능을 수행하는 메인회로와 선택적으로 채용되는 보조회로가 있는데 메인회로는 전기전자제품의 주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품 내에 설치되어 진다. 그리고 보조회로는 메인기능에 부가적인 기능을 추가시키는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보조회로는 수시로 기능이 개량되어 하루가 다르게 새기능 혹은 새모델이 개발되면서 메인회로까지 바꾸어주어야 하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상기한 메인회로와 보조회로를 메인PCB와 서브PCB에 각각 실장 시키고, 메인PCB와 서브PCB를 서로 체결함으로써 메인회로와 보조회로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메인PCB와 서브PCB의 체결구조에 대한 기술의 예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9-0032180호는, 표면에 실장된 회로와 접속된 접속핀이 배치된 숫커넥터가 결합된 서브PCB와, 수납부에 수납되어 일측면에는 상기 접속핀과 전기적으로 대응되는 접점들이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연결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접점을 형성하되 접점과 연결접점들이 선택적으로 연결되어진 인터페이스PCB가 결합된 암커넥터를 갖는 메인PCB로 구성된 메인인쇄회로기판과 서브인쇄회로기판을 연결하는 커넥터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메인PCB와 서브PCB가 서로 체결되는 PCB 조립체는, 규격에 맞는 별도의 커넥터를 필요로 하는 만큼 소요되는 부품으로 인한 제조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커넥터에 메인PCB와 서브PCB 각각 체결시켜야하기 때문에 공정추가는 물론 작업이 용이하지 못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9-0032180호
본 발명은, 메인PCB와 서브PCB를 체결시키기 위한 별도의 커넥터(소켓)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메인PCB와 서브PCB가 서로 체결되도록 체결구조를 단순화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서브PCB, 이를 포함하는 PCB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메인PCB의 메인접속단자와 접속되기 위한 서브접속단자가 형성된 서브PCB본체; 및 서브PCB본체의 후방 두께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날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브PCB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날개부는, 서브PCB본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일면으로 장착홀이 관통 형성된 메인PCB와; 메인PCB에 체결되어 메인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서브PCB;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서브PCB는, 장착홀에 삽입되고, 삽입방향에 대하여 후방 두께면으로 날개부가 형성되어 메인PCB에 걸림 체결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PCB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서브PCB는, 장착홀에 삽입되고 메인PCB의 메인접속단자와 접속되기 위한 서브접속단자가 형성되며, 삽입방향에 대하여 후방 두께면으로 날개부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서브PCB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PCB 조립체는, 솔더링에 의하여 메인접속단자와 서브접속단자를 상호 접합시키고, 서브PCB를 메인PCB에 결합 고정되게 하는 솔더링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서브PCB본체는, 일면과 타면에 각각 서브접속단자가 형성되고, 메인PCB는, 장착홀과 인접하여 장착홀에 삽입되는 서브PCB본체의 서브접속단자와 대응되는 위치에 메인접속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메인PCB 및 서브PCB는, 각각 단면 PCB, 양면 PCB, 다층 PCB, 플렉서블(flexible) PCB, MCCL(Metal Copper Clad Laminate) 및 MLB(Multi Layer Board)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날개부는, 서브PCB본체의 삽입방향의 후방 두께면으로부터 돌출되게 구비되어, 서브PCB본체가 장착홀에 삽입될 시 메인PCB와 대면하는 측면이 메인PCB의 타면에 걸림 체결되는 제1날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날개부는, 후방 두께면이 서브PCB본체의 후방 두께면과 동일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날개부는, 서브PCB본체의 두께면 너비와 동일한 두께면 너비를 갖도록 형성되어, 일면과 타면이 서브PCB본체의 일면 및 타면과 동일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날개부는, 서브PCB본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날개부는, 제1날개부의 일면과 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서브PCB본체가 장착홀에 삽입될 시 메인PCB와 대면하는 일측면이 메인PCB에 걸림 접촉되는 제2날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날개부는, 제1날개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날개부는,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 중 어느 하나에 메인PCB의 타면에 형성된 끼움홈에 끼움 결합하는 끼움부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날개부는,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의 최외측 두께면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전술한 PCB 조립체를 이용한 전자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브PCB, 이를 포함하는 PCB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는 메인PCB와 서브PCB를 체결시키기 위한 별도의 커넥터(소켓)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소요부품에 따른 제조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메인PCB와 서브PCB가 서로 체결되도록 하여 체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CB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CB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CB 조립체에서 서브PCB를 평면상으로 보았을 때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CB 조립체에서 날개부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서브PCB를 평면상으로 보았을 때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CB 조립체에서 날개부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CB 조립체에서 날개부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수단"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으며,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CB 조립체(400,401,402)는, 메인PCB(100,100a)와, 서브PCB(200,200a,200b,200c)가 서로 조립 체결되도록 구성되어, 별도의 커넥터나 소켓을 통하여 메인PCB와 서브PCB를 서로 체결하던 종래와는 달리 별도의 커넥터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부품 소요비용을 저감시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체결공정을 단순화함으로써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CB 조립체(400,401,402)는, 메인PCB(100,100a)와 서브PCB(200,200a,200b,200c)를 서로 체결한 후 메인PCB(100,100a)와 서브PCB(200,200a,200b,200c)를 납땜하여 서로 접속 결합시킴으로써 별도의 부품 없이도 보다 안정적 전기적 접속 및 결합 고정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CB 조립체(400)는, 메인PCB(100)와, 서브PCB(200)와, 솔더링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PCB 조립체(400)는 서브PCB(200)가 메인PCB(100)에 조립 체결되고, 솔더링부(300)에 의하여 메인PC와 서브PCB(200)를 서로 결합 고정 및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메인PCB(100)와 서브PCB(200)의 각 면에 대한 명칭정의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메인PCB(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얇은 플레이트 구조로 형성되어, 편의상 일면(도면에서 상면), 타면(저면) 및 4개의 두께면(측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서브PCB(200)는, 메인PCB(100)와 마찬가지로 얇은 플레이트 구조로 형성되어, 장착홀(110)의 삽입방향에 대하여 전방 두께면(도면에서 상면), 후방 두께면(저면), 일측 두께면(우측면), 타측 두께면(좌측면), 일면(전면) 및 타면(후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 메인PCB(100)는, 메인회로와 접속되기 위한 메인접속단자(130)가 일면에 형성되며, 일면과 타면에 대하여 서브PCB(200)가 삽입되는 장착홀(110)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메인접속단자(130)는, 장착홀(110)에 서브PCB(200)가 삽입될 시 서브접속단자(211)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장착홀(110)과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메인접속단자(130)는, 메인PCB(100)가 단면일 경우, 양면일 경우 등에 따라 일면과 양면에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 예로 도면에서 메인PCB(100)는, 단면PCB를 적용한 경우를 실시예로 나타내고 있으며, 이러한 경우 메인접속단자(130)는 플레이트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장착홀(110)은, 메인PCB(100)의 일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장착홀(110)이 일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면, 서브PCB(200)가 장착홀(110)에 삽입되었을 때 메인PCB(100)의 일면과 서브PCB(200)의 일면이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장착홀(110)은, 서브PCB(200)가 삽입되는 곳으로서 조립 체결되는 서브PCB(200)와 메인PCB(100)의 조립각도를 한정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 장착홀(110)은 메인PCB(100)의 일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PCB 조립체(400)의 설계 등에 따라 메인PCB(100)의 일면에 대하여 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서브PCB(200)의 조립각도를 달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장착홀(110)은, 서브PCB본체(210)의 전방 두께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장착홀(110)에 서브PCB(200)가 맞게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 장착홀(110)은, 서브PCB(200)의 타면방향으로 관통홀(111)이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관통홀(111)은 조립되는 전자부품의 삽입공간으로 활용되거나, PCB 조립체(400)로부터 발생되는 열의 발산공간으로 활용되는 등 다양하게 활용 가능하며, 도면에서는 평면상으로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그 형상 또한 다양하게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서브PCB(20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서브PCB(200)는, 서브PCB본체(210)와, 날개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서브PCB본체는, 메인PCB(100)의 메인접속단자(130)와 접속되기 위한 서브접속단자(211)가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서브PCB본체(210)는, 전방 두께면으로 전술한 장착홀(110)에 삽입되어 메인PCB(100)에 끼워지고, 메인PCB(100)의 메인접속단자(130)와 접속되기 위한 서브접속단자(211)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때 서브PCB본체(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과 타면에 각각 서브접속단자(211)가 형성되고, 메인PCB(100)는, 장착홀(110)과 인접하여 장착홀(110)에 삽입되는 서브PCB본체(210)의 서브접속단자(211)와 대응되는 위치에 메인접속단자(130)가 형성될 수 있다.
날개부(220)는, 서브PCB본체(21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세부적으로, 날개부(220)는, 서브PCB본체(210)의 후방 두께면으로 돌출 형성되어, 메인PCB(100)의 타면에 걸림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날개부(220)는, 서브PCB본체(2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서브PCB본체(210)와 함께 제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날개부(220)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제1실시예로 날개부(220)는, 제1날개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날개부(230)는, 서브PCB본체(210)의 삽입방향의 후방 두께면으로부터 돌출되게 구비되어, 서브PCB본체(210)가 장착홀(110)에 삽입될 시 메인PCB(100)와 대면하는 측면이 메인PCB(100)의 타면에 걸림 체결되고, 서브PCB본체(210)의 삽입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날개부(230)는, 서브PCB본체(2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날개부(230)는, 서브PCB본체(210)의 일측 두께면과 타측 두께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제1날개부(230)는, 후방 두께면이 서브PCB본체(210)의 후방 두께면과 동일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서브PCB(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두께면이 평편한 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날개부(230)는, 서브PCB본체(210)의 두께면 너비와 동일한 두께면 너비를 갖도록 형성되어, 일면과 타면이 서브PCB본체(210)의 일면 및 타면과 동일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브PCB(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과 타면이 평편한 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날개부(230)가 서브PCB본체(210)의 일면, 타면 및 후방 두께면과 동일한 면상으로 평편하게 형성되는 것은, 제조 시 평편한 플레이트 기판 상에 서브PCB본체(210)를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실시예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제1날개부(230)의 형태를 다양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메인PCB(100) 및 서브PCB(200)는, 각각 단면 PCB, 양면 PCB, 다층 PCB, 플렉서블(flexible) PCB, MCCL(Metal Copper Clad Laminate) 및 MLB(Multi Layer Board)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솔더링부(300)는, 솔더링에 의하여 메인접속단자(130)와 서브접속단자(211)를 상호 접합시키고, 서브PCB(200)를 메인PCB(100)에 결합 고정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서, 솔더링부(300)는, 메인PCB(100)의 일면에 형성되고, 납땜에 의하여 메인접속단자(130)와 장착홀(110)에 삽입된 서브PCB(200)의 서브접속단자(211)를 상호 접합시켜 메인PCB(100)와 서브PCB(200)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하고, 서브PCB(200)와 메인PCB(100)가 서로 결합 고정되게 한다.
여기서, 솔더링부(300)는, 서브PCB(200)를 기준으로 서브PCB(200)의 일면 및 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에 접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면에서 솔더링부(300)는 서브PCB(200)의 양면에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서브PCB(200)의 일면 또는 타면에 선택적으로 접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날개부(220a)의 제2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날개부(220a)는, 제1날개부(230)와, 제2날개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날개부(230)는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의 제1날개부(2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와 대별되는 제2날개부(240)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제2날개부(240)는, 제1날개부(230)의 일면과 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서브PCB본체(210)가 장착홀(110)에 삽입될 시 메인PCB(100)와 대면하는 일측면이 메인PCB(100)에 걸림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날개부(240)는, 제1날개부(230)의 일면과 타면 모두 각각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 제2날개부(240)는, 제1날개부(230)의 일면과 타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양측의 제1날개부(230)에 대하여 서로 대칭되게 하나의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2날개부(240)는, 전방 두께면과 제1날개부(230)의 전방 두께면과 동일 면상으로 형성되어, 서브PCB(200a)가 장착홀(110)에 삽입될 시 제2날개부(240)의 전방 두께면과 제1날개부(230)의 전방 두께면이 메인PCB(100)의 타면에 대하여 들뜸 없이 동시에 접촉되도로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제2날개부(2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두께면이 제1날개부(230)의 일측 두께면과 동일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 또한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한편, 제2날개부(240)는, 제1날개부(2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폭과 너비가 얇은 편이기 때문에 제조가 보다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로, 경우에 따라 제1날개부(230)에 본딩 접합 등을 통하여 결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CB 조립체(401)에서 날개부(220)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날개부(220)는, 메인PCB(100a)의 끼움 결합하여 날개부(220)의 슬립 등을 방지하고 메인PCB(100a)와의 결속력을 높일 수 있는 끼움부(250)가 형성될 수 있다.
끼움부(250)는, 서브PCB(200b)의 제1날개부(230)와 제2날개부(240)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되며, 메인PCB(100a)의 타면을 향하여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메인PCB(100a)의 타면에 형성된 끼움홈(120)에 끼움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끼움부(2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날개부(230)와 제2날개부(240)의 최외측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서브PCB본체(210)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는 등 그 형성위치, 개수 등을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CB 조립체(402)에서 날개부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날개부는, 제1날개부(230a)와 제2날개부(240)의 최외측 두께면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260)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면(260)은, 메인PCB(100)의 타면에 대하여 걸림 등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날개부(220)의 단부가 메인PCB(100)의 타면에 대하여 돌출되어 공정 시 걸림 등으로 인하여 서브PCB(200c)의 위치가 변동되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경사면(260)은, 서브PCB(200c)의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경사각도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CB 조립체(400,401,402)는, 다양한 전자지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TV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이나, 통신장비를 포함하는 통신제품 등 다양한 전자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100a : 메인PCB
110 : 장착홀
120 : 끼움홈
130 : 메인접속단자
200,200a,200b,200c : 서브PCB
210 : 서브PCB본체
211 : 서브접속단자
220,220a : 날개부
230,230a : 제1날개부
240 : 제2날개부
250 : 끼움부
260 : 경사면
300 : 솔더링부
400,401,402 : PCB 조립체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일면으로 장착홀이 관통 형성된 메인PCB와;
    상기 메인PCB에 체결되어 상기 메인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서브PCB;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서브PCB는,
    상기 장착홀에 삽입되고, 삽입방향에 대하여 후방 두께면으로 날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메인PCB에 걸림 체결되고,
    상기 서브PCB는,
    상기 장착홀에 삽입되고 상기 메인PCB의 메인접속단자와 접속되기 위한 서브접속단자가 형성되며, 삽입방향에 대하여 후방 두께면으로 상기 날개부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서브PCB본체를 포함하고,
    솔더링에 의하여 상기 메인접속단자와 상기 서브접속단자를 상호 접합시키고, 상기 서브PCB를 상기 메인PCB에 결합 고정되게 하는 솔더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서브PCB본체의 삽입방향의 후방 두께면으로부터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서브PCB본체가 상기 장착홀에 삽입될 시 상기 메인PCB와 대면하는 측면이 상기 메인PCB의 타면에 걸림 체결되는 제1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날개부는,
    상기 서브PCB본체의 두께면 너비와 동일한 두께면 너비를 갖도록 형성되어, 일면과 타면이 상기 서브PCB본체의 일면 및 타면과 동일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제1날개부의 일면과 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서브PCB본체가 상기 장착홀에 삽입될 시 상기 메인PCB와 대면하는 일측면이 상기 메인PCB에 걸림 접촉되는 제2날개부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날개부는,
    상기 서브PCB본체가 상기 장착홀에 삽입될 시 상기 제2날개부의 전방 두께면과 상기 제1날개부의 전방 두께면이 상기 메인PCB의 타면에 대하여 들뜸없이 동시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1날개부의 전방 두께면과 동일 면상으로 전방 두께면을 형성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제1날개부와 상기 제2날개부의 최외측 두께면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메인PCB의 타면에 대하여 상기 날개부가 돌출되어 발생하는 걸림, 위치 변동 및 흔들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B 조립체.
  4. 삭제
  5. 삭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PCB본체는, 일면과 타면에 각각 상기 서브접속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메인PCB는, 상기 장착홀과 인접하여 상기 장착홀에 삽입되는 상기 서브PCB본체의 상기 서브접속단자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메인접속단자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PCB 조립체.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PCB 및 상기 서브PCB는,
    각각 단면 PCB, 양면 PCB, 다층 PCB, 플렉서블(flexible) PCB, MCCL(Metal Copper Clad Laminate) 및 MLB(Multi Layer Board)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PCB 조립체.
  8. 삭제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날개부는,
    후방 두께면이 상기 서브PCB본체의 후방 두께면과 동일면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PCB 조립체.
  10. 삭제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날개부는,
    상기 서브PCB본체에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PCB 조립체.
  12. 삭제
  1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날개부는,
    상기 제1날개부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PCB 조립체.
  14. 삭제
  15. 삭제
  16. 청구항 제 3 항, 제 6 항, 제 7 항, 제 9 항, 제 11 항 및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PCB 조립체를 이용한 전자기기.
KR1020200104752A 2020-08-20 2020-08-20 서브pcb, 이를 포함하는 pcb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KR102399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752A KR102399767B1 (ko) 2020-08-20 2020-08-20 서브pcb, 이를 포함하는 pcb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752A KR102399767B1 (ko) 2020-08-20 2020-08-20 서브pcb, 이를 포함하는 pcb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3184A KR20220023184A (ko) 2022-03-02
KR102399767B1 true KR102399767B1 (ko) 2022-05-19

Family

ID=80815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4752A KR102399767B1 (ko) 2020-08-20 2020-08-20 서브pcb, 이를 포함하는 pcb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976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1849A (ja) 2007-01-09 2008-07-24 Funai Electric Co Ltd プリント基板実装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9879A (ja) * 1981-12-09 1983-06-14 Fujitsu Ltd デ−タ処理方式
KR100261267B1 (ko) 1997-10-16 2000-07-01 정선종 데이터 베이스의 내용과 캐쉬 메모리에 저장된 내용의 일치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1849A (ja) 2007-01-09 2008-07-24 Funai Electric Co Ltd プリント基板実装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3184A (ko) 2022-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0952B2 (ja) コネクタ付き基板
US6315620B1 (en)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a pre-loaded straddle mounted connector assembly
EP2600469B1 (en) Circuit-terminal connecting device
US7485004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electrical element
JP3013756B2 (ja) 基板用コネクタ
US7473109B2 (en) Mount structure and electronic apparatus
TWI530027B (zh) Slide connector
US7710740B2 (en) Assembly structure of flexible board and rigid board
CN102201624A (zh) 电连接器和电连接器组件
CN110661130B (zh) 电连接器
US20160043510A1 (en) Plug connector, receptacle connector, and electric connector assembly thereof
US7841860B1 (en) Compensating circuit board connector
JP4735285B2 (ja) コネクタ
JP5515849B2 (ja) プリント基板の結合構造
CN101911392A (zh) 连接器
KR102399767B1 (ko) 서브pcb, 이를 포함하는 pcb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US6884112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securing member
KR20230028356A (ko) Pcb 복층 연결 구조
KR102410697B1 (ko) 서브pcb, 이를 포함하는 pcb 조립기판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JP5067678B2 (ja) ソケット型コネクタ
KR102410695B1 (ko) 서브pcb, 이를 포함하는 pcb 기판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JP5697434B2 (ja) 少なくとも2個以上の嵌合口を有するシェルの連結構造及び該連結構造により形成されたシェル、該シェルを備えるコネクタ
JP5006168B2 (ja) 基板間接続構造及び回路基板
JP2021086828A (ja) コネクタ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6723567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