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9921B1 - 파일럿 밸브, 파일럿 밸브 장착 어셈블리 및 리버싱 밸브 그룹 - Google Patents

파일럿 밸브, 파일럿 밸브 장착 어셈블리 및 리버싱 밸브 그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9921B1
KR102409921B1 KR1020217036355A KR20217036355A KR102409921B1 KR 102409921 B1 KR102409921 B1 KR 102409921B1 KR 1020217036355 A KR1020217036355 A KR 1020217036355A KR 20217036355 A KR20217036355 A KR 20217036355A KR 102409921 B1 KR102409921 B1 KR 102409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ot valve
assembly
core iron
valve seat
co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6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1756A (ko
Inventor
지엔쥔 천
쥔지에 쉰
하이보 리우
Original Assignee
제지앙 둔안 아트피셜 인바이런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920580853.5U external-priority patent/CN209925678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920621137.7U external-priority patent/CN210318631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920621120.1U external-priority patent/CN210218863U/zh
Application filed by 제지앙 둔안 아트피셜 인바이런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제지앙 둔안 아트피셜 인바이런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41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1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파일럿 밸브, 파일럿 밸브 장착 어셈블리 및 리버싱 밸브 그룹을 개시한다. 파일럿 밸브(100)는 도관(10); 도관(10) 내에 수용되는 파일럿 밸브 시트(20, 20a); 도관(10) 내에 수용되며 파일럿 밸브 시트(20, 20a)의 일측에 위치하는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30); 및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30)에 고정 연결되며 파일럿 밸브 시트(20, 20a)에 슬라이딩되도록 연결되는 브래킷 어셈블리(50)를 포함한다. 브래킷 어셈블리(50)는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30)를 따라 도관(10) 내에서 왕복 슬라이딩할 수 있다. 파일럿 밸브(100)는 칼라(40, 40a)를 더 포함한다. 칼라(40, 40a)는 파일럿 밸브 시트(20, 20a)와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30) 사이에 위치한 도관(10) 내에 수용된다. 파일럿 밸브 시트(20, 20a)는 칼라(40, 40a)에 맞닿아 칼라(40, 40a)에 의해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30)의 위치를 결정한다. 상기 파일럿 밸브는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30)와 파일럿 밸브 시트(20, 20a) 사이에 칼라(40, 40a)를 증설함으로써,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30)와 파일럿 밸브 시트(20, 20a) 사이가 직접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 수명을 연장시킨다.

Description

파일럿 밸브, 파일럿 밸브 장착 어셈블리 및 리버싱 밸브 그룹
본출원은 2019년 4월 25일 출원된 출원번호 201920621120.1의 "파일럿 밸브 코어 아이언 위치결정 구조 및 전자 밸브 사방 리버싱 밸브" 발명, 2019년 4월 30일 출원된 출원번호 201920621137.7의 "파일럿 밸브와 메인 밸브 고정 구조 및 전자 밸브 사방 리버싱 밸브" 발명, 2019년 4월 25일 출원된 출원번호 201920580853.5의 "사방 밸브의 가이드 밸브" 발명의 중국 특허출원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는 참고하기 위해 본원에 전체로 인용되었다.
본 출원은 유체 제어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일럿 밸브, 파일럿 밸브 장착 어셈블리 및 리버싱 밸브 그룹에 관한 것이다.
리버싱 밸브 그룹은 냉동 시스템에서 중요한 부품이다. 리버싱 밸브 그룹에서 리버싱 밸브는 통상적으로 파일럿 밸브의 제어 보조 작용 하에서 매질 유로에 대한 자체적인 리버싱 작용을 통해 냉동 시스템 가열 및 냉각 기능의 스위칭을 구현한다. 그러나 종래의 리버싱 밸브 그룹은 많은 성능 측면에서 냉동 시스템의 모든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한다. 예를 들어 리버싱 밸브 그룹에서 파일럿 밸브의 생산원가가 여전히 상대적으로 높고 수명도 비교적 짧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개선된 파일럿 밸브, 파일럿 밸브 장착 어셈블리 및 리버싱 밸브 그룹을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파일럿 밸브는 생산원가가 낮고 수명이 연장되어 광범위한 활용 전망을 갖는다.
본 출원은 파일럿 밸브를 제공한다.
여기에는 도관;
상기 도관 내에 수용되는 파일럿 밸브 시트;
상기 도관 내에 수용되며 상기 파일럿 밸브 시트의 일측에 위치하는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 및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에 고정 연결되며 파일럿 밸브 시트에 슬라이딩되도록 연결되는 브래킷 어셈블리가 포함된다. 브래킷 어셈블리는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를 따라 도관 내에서 왕복 슬라이딩할 수 있다.
상기 파일럿 밸브는 칼라를 더 포함한다. 상기 칼라는 상기 파일럿 밸브 시트와 상기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 사이에 위치한 상기 도관에 수용된다. 상기 파일럿 밸브 시트는 상기 칼라에 맞닿아 상기 칼라에 의해 상기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의 위치를 결정한다.
또한 상기 파일럿 밸브 시트는 상기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를 향한 단면이 위에서 아래로 상반 영역과 하반 영역으로 나뉜다. 상기 상반 영역은 상기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하반 영역과 어긋난다. 어긋난 상기 상반 영역과 상기 하반 영역 사이는 위치결정 단차를 형성한다. 상기 파일럿 밸브 시트는 상기 위치결정 단차에 의해 상기 칼라에 클램핑된다.
또한 상기 칼라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에 연결된 제2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연결부 상에는 환형 개구가 개설된다. 상기 위치결정 단차는 상기 환형 개구의 내벽에 맞닿는다.
또한 상기 파일럿 밸브 시트는 상기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를 향한 단면이 평면이다. 상기 파일럿 밸브 시트는 상기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를 향한 단면에 의해 상기 칼라에 맞닿는다.
또한 칼라는 제1 연결부, 제2 연결부 및 제3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3 연결부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제1 연결부, 제2 연결부 및 제3 연결부는 상기 파일럿 밸브 시트와 매칭되는 수용 영역을 형성한다. 상기 파일럿 밸브 시트의 일단은 상기 제1 연결부에 맞닿고, 타단은 상기 제3 연결부에 맞닿는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3 연결부는 상기 제2 연결부에 대해 대칭으로 분포한다.
또한 상기 브래킷 어셈블리는 브래킷, 슬라이더 및 스프링편을 포함한다. 상기 브래킷은 상기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에 연결된다.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브래킷 상에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편은 장착부와 맞댐부를 포함한다. 상기 장착부는 상기 브래킷에 연결되고, 상기 맞댐부는 상기 슬라이더에 맞닿는다. 상기 맞댐부는 상기 슬라이더에 대한 타측면에 차단편이 설치되고, 상기 차단편은 상기 맞댐부 에지를 따라 만곡 또는 절곡되어 연장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편 상에는 상기 장착부와 상기 맞댐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가 더 설치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맞댐부와 상기 장착부 사이에 비스듬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차단편은 상기 맞댐부가 소재한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차단편과 상기 맞댐부는 일체 성형 구조이다.
또는 상기 차단편과 상기 맞댐부는 분리 설치된다.
또한 상기 맞댐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슬라이더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슬라이더를 누르는 데 사용되는 누름부가 설치된다.
본 출원은 파일럿 밸브 장착 어셈블리를 더 제공하며, 여기에는 제1 지지대, 제2 지지대 및 전술한 어느 하나의 파일럿 밸브가 포함된다.
상기 제1 지지대의 일측에는 상기 파일럿 밸브에 용접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부가 설치된다. 상기 제1 지지대에서 상기 제1 고정부에 대한 타측에는 제1 용접면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용접면 상에는 위치결정 보스가 설치된다.
상기 제2 지지대의 일측에는 상기 리버싱 밸브에 용접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고정부가 설치된다. 상기 제2 지지대에서 상기 제2 고정부에 대한 타측에는 제2 용접면이 설치된다. 상기 제2 용접면 상에는 위치결정 보스가 통과하도록 제공되는 위치결정홀이 개설된다.
상기 위치결정 보스는 상기 위치결정홀으로 삽입되며, 상기 제1 용접면은 상기 제2 용접면 상에 용접 고정된다.
또한 상기 위치결정 보스는 허리 모양이고, 상기 위치결정홀은 상기 위치결정 보스에 대응하는 허리 모양 홀이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파일럿 밸브를 용접 고정하는 일측 표면이 제1 연결면이고, 상기 제1 연결면은 호형으로 파일럿 밸브의 관벽 외표면과 서로 접합된다.
그리고/또는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리버싱 밸브를 용접 고정하는 일측 표면이 제2 연결면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2 연결면은 호형으로 상기 리버싱 밸브의 관벽 외표면과 서로 접합된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부의 수량은 2개 이상이고, 2개 이상의 상기 제1 고정부는 두 그룹으로 나뉘어 각각 상기 위치결정 보스의 대향하는 양측에 위치한다.
또는 상기 제2 고정부의 수량은 2개 이상이고, 2개 이상의 상기 제2 고정부는 두 그룹으로 나뉘어 각각 상기 위치결정홀의 대향하는 양측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제1 지지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바닥판 및 적어도 2개의 제1 연결판을 포함한다. 상기 위치결정 보스는 상기 제1 바닥판의 일측 상에 고정된다. 상기 제1 바닥판의 상기 위치결정 보스에 대한 타측은 2개의 상기 제1 연결판에 고정 연결된다. 2개의 상기 제1 연결판은 각각 2개의 제1 고정부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2 지지대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바닥판 및 적어도 2개의 제2 연결판을 포함한다. 상기 위치결정홀은 상기 제2 바닥판 상에 개설된다. 상기 제2 바닥판 상에는 2개의 상기 제2 연결판이 고정된다. 2개의 상기 제2 연결판은 각각 2개의 상기 제2 고정부에 고정 연결된다.
본 출원은 리버싱 밸브 그룹을 더 제공한다. 여기에는 리버싱 밸브 및 상기 리버싱 밸브에 연결되는 파일럿 밸브 장착 어셈블리가 포함된다. 상기 파일럿 밸브 장착 어셈블리는 전술한 어느 하나의 파일럿 밸브 장착 어셈블리이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파일럿 밸브는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와 파일럿 밸브 시트 사이에 칼라를 증설함으로써, 칼라 중의 환형 개구의 내벽을 이용해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의 위치결정에 대한 안내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 조립 시 위치결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장기적인 작업 과정에서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와 파일럿 밸브 시트 사이가 직접 부딪히지 않도록 방지하여 일정한 완충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 위치결정의 안정성을 보장하며 사용 수명을 연장시킨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상기 내용 및 기타 유익한 효과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일럿 밸브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파일럿 밸브 시트의 입체 구조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파일럿 밸브 중 칼라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일럿 밸브의 구조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파일럿 밸브 중 칼라의 입체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파일럿 밸브의 구조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파일럿 밸브 중 스프링편의 입체 구조도이다.
도 8은 도 6에서 스프링편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입체 구조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파일럿 밸브에 채택된 스프링편의 입체 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리버싱 밸브 그룹의 구조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리버싱 밸브 그룹 중 제1 지지대의 구조도이다.
도 12는 도 10에서 리버싱 밸브 그룹 중 제2 지지대의 구조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리버싱 밸브 그룹의 구조도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리버싱 밸브 그룹의 구조도이다.
도면에서 100은 파일럿 밸브, 10은 도관, 20은 파일럿 밸브 시트, 20a는 파일럿 밸브 시트, 21은 파일럿 밸브 포트, 22는 위치결정 단차, 23은 상반 영역, 24는 하반 영역, 30은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 31은 코어 아이언, 32는 흡인자, 33은 탄성 요소, 40은 칼라, 40a는 칼라, 41은 제1 연결부, 42는 제2 연결부, 41a는 제1 연결부, 42a는 제2 연결부, 411은 환형 개구, 43은 제3 연결부, 44는 수용 영역, 50은 브래킷 어셈블리, 51은 브래킷, 52는 스프링편, 53은 슬라이더, 54는 고정 시트, 521은 장착부, 522는 맞댐부, 523은 차단편, 524는 연결부, 525는 누름부, 52a는 스프링편, 523a는 차단편, 522a는 맞댐부, 60은 모세관 어셈블리, 61은 E 모세관, 62는 S 모세관, 63은 C 모세관, 64는 D 모세관, 200은 리버싱 밸브 그룹, 201은 리버싱 밸브, 202는 파일럿 밸브 장착 어셈블리, 300은 제1 지지대, 301은 제1 고정부, 304는 제1 용접면, 303은 위치결정 보스, 305는 제1 바닥판, 306은 제1 연결판, 302는 제1 연결면, 400은 제2 지지대, 401은 제2 고정부, 404는 제2 용접면, 403은 위치결정홀, 405는 제2 바닥판, 406은 제2 연결판, 402는 제2 연결면, 301a는 제1 고정부, 401a는 제2 고정부, 301b는 제1 고정부, 401b는 제2 고정부이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 실시예의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출원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책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설명된 실시예는 본 출원의 전부가 아닌 일부 실시예일 뿐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창의적인 작업 없이 당업자에 의해 획득된 다른 모든 실시예는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장착된다"고 설명된 경우, 이는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장착되거나 중간에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설치된다"고 설명된 경우, 이는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설치되거나 중간에 구성 요소가 동시에 존재할 수도 있다.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된다"고 설명된 경우, 이는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고정되거나 중간에 구성 요소가 동시에 존재할 수도 있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에 사용된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는 본 출원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하다. 본원에서 본 출원의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출원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또는/및"은 하나 이상의 관련하여 나열된 항목의 임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출원은 파일럿 밸브(100)를 제공한다. 파일럿 밸브(100)는 외부 제어 밸브의 개폐를 구동하는 데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파일럿 밸브(100)는 냉동 시스템에 적용된다. 이때의 외부 제어 밸브는 냉동 시스템 중의 리버싱 밸브이다. 파일럿 밸브(100)는 냉동 시스템 중 리버싱 밸브에 대한 파일럿식 제어를 통해, 리버싱 밸브가 자체적인 운행 상태를 바꾸고 냉동 시스템 중 냉매의 흐름 방향을 스위칭하도록 구동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관로 시스템에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파일럿 밸브(100)를 적용할 수만 있다면, 파일럿 밸브(100)는 냉동 시스템 이외의 관로 시스템에 적용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일럿 밸브(100)는 도관(10), 파일럿 밸브 시트(20),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30), 칼라(40), 브래킷 어셈블리(50) 및 모세관 어셈블리(60)를 포함한다. 파일럿 밸브 시트(20),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30), 칼라(40) 및 브래킷 어셈블리(50)는 모두 도관(10)의 내부에 설치된다. 파일럿 밸브 시트(20)와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30)는 대향 설치되어 도관(10) 및 모세관 어셈블리(60)에 고정 연결된다. 칼라(40)는 파일럿 밸브 시트(20)와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30) 사이에 설치된다. 브래킷 어셈블리(50)는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30)에 고정 연결된다. 모세관 어셈블리(60)는 도관(10)에 고정 연결되며 외부 리버싱 밸브를 연통시킨다.
도관(10)은 파일럿 밸브 시트(20),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30), 칼라(40) 및 브래킷 어셈블리(50)를 수용하는 데 사용된다. 파일럿 밸브 시트(20)는 모세관 어셈블리(60)를 고정하고 일부 브래킷 어셈블리(50)를 지지하는 데 사용된다.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30)는 브래킷 어셈블리(50)가 왕복 슬라이딩되도록 구동하는 데 사용된다. 칼라(40)는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30)의 위치를 결정하고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30)와 파일럿 밸브 시트(20) 사이가 직접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는 데 사용된다. 브래킷 어셈블리(50)는 모세관 어셈블리(60) 내의 유체 매질의 운행 상태를 제어 및 조절하는 데 사용된다.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30)가 전력 차단 상태와 전력 손실 상태에서 스위칭될 때, 도관(10) 내에서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30)의 왕복 슬라이딩은 브래킷 어셈블리(50)도 마찬가지로 도관(10) 내에서 왕복 슬라이딩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파일럿 밸브 시트(20) 상에서 브래킷 어셈블리(50)의 위치 변화는 모세관 어셈블리(60) 내에서 상이한 모세관의 유통 관계를 바꾼다. 따라서 유체 매질 유통 방향에 대한 변경과 외부 리버싱 밸브 상태 조절에 대한 구동을 구현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관(10)은 횡단면이 둥근 환형인 관체이며, 도관(10)의 내부는 중공이고 원통형이다. 도관(10)은 스테인리스강 재료로 제작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관(10)의 횡단면은 정사각형 등과 같이 둥근 환형 이외의 다른 형상을 채택할 수도 있다. 도관(10)의 재질은 황동 등과 같이 스테인리스강 이외의 다른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도관(10)의 형상과 재질이 파일럿 밸브(100)의 기본적인 기능 구현에 영향을 미치지만 않는다면 가능하다.
도 2를 함께 참고하며, 도 2는 도 1에서 파일럿 밸브 시트(20)의 입체 구조도이다. 파일럿 밸브 시트(20)는 도관(10)의 내벽에 접하며 모세관 어셈블리(60)에 고정 연결된다. 파일럿 밸브 시트(20) 상에는 복수개의 파일럿 밸브 포트(21)가 개설된다. 파일럿 밸브 포트(21)는 모세관 어셈블리(60) 중의 모세관을 연통시킨다. 브래킷 어셈블리(50)가 파일럿 밸브 시트(20)의 표면 상에서 끊임없이 슬라이딩될 때, 브래킷 어셈블리(50)는 상이한 파일럿 밸브 포트(21)가 연통되도록 만들 수 있다. 따라서 모세관 어셈블리(60) 중의 상이한 모세관을 연통시키고, 모세관 어셈블리(60) 내의 유체 매질에 대한 제어 기능을 구현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파일럿 밸브 포트(21)의 수량은 3개이다. 3개의 파일럿 밸브 포트(21) 사이는 서로 이격 설치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파일럿 밸브 포트(21)의 수량은 작업 조건에 따라 3개를 초과하도록 조정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파일럿 밸브 시트(20)의 횡단면은 대체적으로 반원형이며, 종단면은 대체적으로 직사각형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관(10)과의 매칭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파일럿 밸브 시트(20)도 스테인리스강 재료로 제작한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파일럿 밸브 시트(20)는 황동 등과 같이 스테인리스강 이외의 다른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파일럿 밸브 시트(20)는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30)를 향한 단면이 위에서 아래로 상반 영역(23)과 하반 영역(24)으로 나뉜다. 상반 영역(23)은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30)를 따라 연장되어 하반 영역(24)과 어긋난다. 어긋난 상반 영역(23)과 하반 영역(24) 사이는 위치결정 단차(22)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파일럿 밸브 시트(20) 상의 위치결정 단차(22)는 파일럿 밸브 시트(20)의 상반 영역(23)과 하반 영역(24)이 어긋나 형성되는 것이다. 위치결정 단차(22)를 도관(10)의 내벽 상이나 밸브체(종래의 구조에서는 도관(10)과 분리 설치하며, 모세관 어셈블리(60)의 부재를 지지하는 데 사용됨)의 내벽 상에 직접 돌출되도록 설치하는 방법에 비해, 밸브체 자체의 가공 난이도를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다. 또한 위치결정 단차(22)의 가공은 파일럿 밸브 시트(20)의 가공에 직접 의존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스탬핑 성형 등 공정을 채택할 수 있으며, 이는 간편할 뿐만 아니라 가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30)는 코어 아이언(31), 흡인자(32) 및 탄성 요소(33)를 포함한다. 코어 아이언(31)은 도관(10)의 내벽에 접하며 브래킷 어셈블리(50)에 연결된다. 탄성 요소(33)의 일단은 흡인자(32)에 맞닿고, 타단은 코어 아이언(31)에 맞닿는다.
흡인자(32)가 통전 상태에 있는 경우, 흡인자(32)는 자체적인 자기력을 통해 코어 아이언(31)이 탄성 요소(33)의 저항을 극복하고 흡인자(32)를 향해 운동하도록 흡인할 수 있다. 이때 코어 아이언(31)은 동시에 브래킷 어셈블리(50)가 흡인자(32)를 향해 운동하도록 구동하며, 브래킷 어셈블리(50)가 흡인자(32)에 근접한 방향으로 파일럿 밸브 시트(20) 상에서 슬라이딩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흡인자(32)가 전력 손실 상태에 있는 경우, 압력을 받은 후 탄성 요소(33)의 스프링백(springback)은 코어 아이언(31)이 흡인자(32)로부터 먼 방향으로 운동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이때 코어 아이언(31)은 동시에 브래킷 어셈블리(50)가 흡인자(32)로부터 먼 방향으로 운동하도록 구동하며, 브래킷 어셈블리(50)가 흡인자(32)로부터 먼 방향으로 파일럿 밸브 시트(20) 상에서 슬라이딩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 요소(33)는 스프링이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 요소(33)는 탄성구 등과 같이 스프링 이외의 다른 요소일 수도 있다.
도 3을 함께 참고하며, 도 3은 도 1에서 파일럿 밸브(100) 중 칼라(40)의 구조도이다. 칼라(40)는 도관(10)에서 파일럿 밸브 시트(20)와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30) 사이의 부분 내에 수용된다. 칼라(40)는 서로 연결된 제1 연결부(41)와 제2 연결부(42)를 포함한다.
제1 연결부(41)는 본체가 횡단면이 둥근 환형인 환형체이다. 제1 연결부(41)와 도관(10)의 내벽 사이는 용접 등 방식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제1 연결부(41)의 중간에는 중공이 있는 환형 개구(411)가 개설되며, 제1 연결부(41)는 수평 방향을 따라 상부 환형 영역과 하부 환형 영역으로 균등하게 나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연결부(41)의 하부 환형 영역은 위치결정 단차(22)의 외부 에지와 클램핑 고정되며, 파일럿 밸브 시트(20)가 어긋난 상반 영역(23)을 환형체의 환형 개구(411) 내에 관통시킨다. 이는 스냅링 및 환형 스냅블록의 구조와 유사하다.
제1 연결부(41)는 본 실시예에서 둥근 환형이다. 제1 연결부(41)와 파일럿 밸브 시트(20) 및 위치결정 단차(22) 사이의 조립에 영향을 미치지만 않는다면, 제1 연결부(41)는 사각 환형 등 다른 형상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연결부(42)는 본체가 반원통형인 실린더이다. 제2 연결부(42)는 파일럿 밸브 시트(20)의 꼭대기부에 바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용접 등 방식에 의해 도관(10)의 관벽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전체적인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연결부(42)는 제1 연결부(41)의 상부 환형 영역에 고정되며,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30)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일측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연결부(41)와 제2 연결부(42) 사이의 연결 방식은 일체형 스탬핑 성형일 수 있으며, 분리형 용접 고정일 수도 있다. 칼라(40)와 위치결정 단차(22) 사이의 조립에 영향을 미치지만 않는다면, 다른 연결 방식일 수도 있다.
조립 시 먼저 위치결정 단차(22)가 있는 파일럿 밸브 시트(20)를 도관(10) 내에 장착한 후, 칼라(40)와 위치결정 단차(22)를 조립한다. 그 다음 제1 연결부(41)의 하부 환형 영역을 위치결정 단차(22)의 외부 에지에 접하도록 만든 후, 파일럿 밸브 시트(20)의 상반 영역(23)을 제1 연결부(41)의 환형 개구(411) 내에 관통시켜 넣는다. 이를 통해 제1 연결부(41)와 위치결정 단차(22)의 클램핑 고정을 완료한다. 그 후 칼라(40)와 도관(10) 사이를 용접 등 방식으로 함께 고정한 다음, 후속적인 기타 각 부재 간의 조립을 수행한다.
브래킷 어셈블리(50)는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30) 상에 고정되며, 대체적으로 도관(10)의 축방향을 따라 파일럿 밸브 시트(20) 지점까지 연장된다. 브래킷 어셈블리(50)는 브래킷(51), 스프링편(52), 슬라이더(53) 및 고정 시트(54)를 포함한다. 브래킷(51)의 일단은 코어 아이언(31)에 고정 연결되고, 슬라이더(53)와 고정 시트(54)는 모두 브래킷(51)을 씌우도록 설치되어 고정 연결된다. 스프링편(52)의 일단은 브래킷(51)과 고정 시트(54) 사이에 끼워 설치되며, 타단은 고정 시트(54)의 압박 작용 하에서 슬라이더(53)의 표면 상에 접한다. 이를 통해 슬라이더(53)를 파일럿 밸브 시트(20)의 표면 상에 가압한다.
도관(10) 내에서 코어 아이언(31)의 왕복 슬라이딩은 브래킷(51)을 통해 슬라이더(53)가 파일럿 밸브 시트(20) 상에서 슬라이딩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슬라이더(53)가 파일럿 밸브 시트(20) 상에서 슬라이딩할 때, 슬라이더(53) 상에 개설된 통공은 모세관 어셈블리(60) 중의 상이한 모세관을 연통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슬라이더(53)는 개구가 아래를 향하는 슬라이딩 보울(sliding bowl)이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슬라이더(53)가 상이한 모세관 간의 연통을 구현할 수만 있다면, 슬라이더(53)는 도시된 것 이외의 다른 구조를 사용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모세관 어셈블리(60)는 4개의 모세관을 포함하며, 이는 각각 E 모세관(61), S 모세관(62), C 모세관(63) 및 D 모세관(64)이다. 이에 대응하여 파일럿 밸브 시트(20) 상에는 각각 E 모세관(61), S 모세관(62) 및 C 모세관(63)이 개설되어 각각 매칭되는 E 모세관 인터페이스, S 모세관 인터페이스 및 C 모세관 인터페이스에 대응한다. D 모세관(64)은 도관(10)에서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30)로부터 먼 일단에 삽입 연결되며 도관(10) 내와 연통되어 D 모세관(64)을 도관(10)의 관형에 더욱 잘 매칭시킨다.
본 출원은 모세관의 구체적인 수량을 한정하지 않으며, 모세관의 구체적인 수량은 실제 생산 수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파일럿 밸브(100)는 흡인자(32)가 전력이 차단되면, 탄성 요소(33)가 코어 아이언(31)이 위치결정 단차(22)를 향해 슬라이딩하고 칼라(40)와 부딪히도록 민다. 이때 칼라(40) 내의 제1 연결부(41)가 코어 아이언(31)에 대해 일정한 완충 작용을 일으키며, 코어 아이언(31)과 위치결정 단차(22)가 직접 접촉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동시에 코어 아이언(31)은 브래킷(51) 및 슬라이더(53)가 위치결정 단차(22)를 향해 슬라이딩하도록 밀어, E 모세관(61)과 S 모세관(62)을 연통시키고, C 모세관(63)과 D 모세관(64)을 연통시킨다.
파일럿 밸브(100)는 흡인자(32)가 통전되면, 흡인자(32)가 코어 아이언(31)이 위치결정 단차(22)로부터 먼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흡인하여, 칼라(40)의 제1 연결부(41)와 코어 아이언(31)을 분리시킨다. 코어 아이언(31)은 브래킷(51) 및 슬라이더(53)가 위치결정 단차(22)로부터 먼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구동하여, S 모세관(62)과 C 모세관(63)을 연통시키고, E 모세관(61)과 D 모세관(64)을 연통시킨다.
본 출원의 제1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파일럿 밸브(100)는 파일럿 밸브 시트(20),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30)를 모두 동일한 도관(10) 내에 수용함으로써, 전체 설비의 부피를 축소시키고 가공 난이도와 생산원가를 낮추었다. 동시에 종래의 파일럿 밸브에서 밸브체와 도관 사이 용접 밀봉성이 비교적 떨어지는 문제도 방지하였다.
또한 위치결정 단차(22)를 파일럿 밸브 시트(20) 상에 설치하여 가공 난이도를 효과적으로 낮추었다. 또한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30)와 파일럿 밸브 시트(20) 사이에 칼라(40)를 증설함으로써, 칼라(40) 중의 환형 개구(411)의 내벽을 이용해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30)의 위치결정에 대한 안내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30) 조립 시 위치결정의 정확도를 향상시켰다. 또한 장기적인 작업 과정에서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30)와 파일럿 밸브 시트(20) 사이가 직접 부딪히지 않도록 방지하여 일정한 완충 역할을 수행하였다. 따라서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30) 위치결정의 안정성을 보장하고 사용 수명을 연장시켰다.
도 4 및 도 5를 함께 참고하며, 도 4는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일럿 밸브(100)의 구조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 파일럿 밸브(100) 중 칼라(40a)의 입체 구조도이다.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와 본 출원 제1 실시예의 차이점은, 본 출원 제2 실시예의 파일럿 밸브 시트(20a) 및 칼라(40a)가 본 출원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일럿 밸브 시트(20) 및 칼라(40)와 다르다는 것이다.
본 출원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일럿 밸브 시트(20a)는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30) 단면을 향한 상반 영역(23)과 하반 영역(24)에서 동기적으로 연장된다. 또한 파일럿 밸브 시트(20a)의 상반 영역(23)과 하반 영역(24)의 연장 길이는 동일하다. 즉, 파일럿 밸브 시트(20a)에 위치결정 단차(22)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으며, 파일럿 밸브 시트(20a)에서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30)를 향한 단면은 평면이다. 이때 파일럿 밸브 시트(20a)는 상반 영역(23)과 하반 영역(24)을 통해(즉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30)를 향한 단면) 동시에 칼라(40a)에 맞닿는다.
또한 칼라(40a) 내에 하나의 제3 연결부(43)를 더 증설하였다. 제3 연결부(43)는 횡단면이 둥근 환형이며 제1 연결부(41a)와 대체적으로 매칭되는 환형체이다. 제3 연결부(43)는 제2 연결부(42a)에서 제1 연결부(41a)로부터 먼 일측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3 연결부(43)는 둥근 환형이며, 사각 환형일 수도 있다. 제3 연결부(43)가 그 자체와 파일럿 밸브(20a) 사이의 조립에 영향을 미치지만 않는다면 다른 형상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3 연결부(43)와 제1 연결부(41a)의 형상과 치수는 일치하도록 유지한다.
제1 연결부(41a), 제2 연결부(42a) 및 제3 연결부(43)는 서로 연결되며 파일럿 밸브 시트(20a)와 매칭되는 수용 영역(44)을 형성한다. 이때 칼라(40a)는 전체적으로 양면 대칭 구조이며, 안정성이 더욱 높다. 제1 연결부(41a), 제2 연결부(42a) 및 제3 연결부(43)가 연결되어 구성되는 수용 영역(44)은 본 출원 제2 실시예의 파일럿 밸브 시트(20a)와 더욱 잘 매칭되어, 파일럿 밸브 시트(20a)와 칼라(40a) 사이에 상대적인 슬라이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연결부(41a)와 제2 연결부(42a) 및 제3 연결부(43) 사이의 연결 방식은 일체형 스탬핑 성형일 수 있으며, 분리형 용접 고정일 수도 있다. 칼라(40a)와 파일럿 밸브 시트(20a) 사이의 조립에 영향을 미치지만 않는다면, 다른 연결 방식일 수도 있다.
본 출원의 제2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파일럿 밸브(100)는 칼라(40a) 상에서 파일럿 밸브 시트(20a)의 맞댐 및 칼라(40a)의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30)에 대한 맞댐을 통해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30)의 위치를 결정한다. 칼라(40a)의 위치결정 기능을 이용해 마찬가지로 밸브체 또는 도관(10)의 내벽 상에 보스를 돌출되도록 설치할 필요가 없도록 하여 파일럿 밸브(100)의 가공 난이도를 효과적으로 낮추었다.
또한 칼라(40a)의 대칭 구조는 칼라(40a) 내에서 파일럿 밸브 시트(20a)의 연결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키고 사용 수명을 연장시킨다.
도 6 내지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도 6은 본 출원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파일럿 밸브(100)의 구조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파일럿 밸브(100) 중 스프링편(52)의 입체 구조도이며, 도 8은 도 6에서 스프링편(52)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된 입체 구조도이다.
본 출원의 제3 실시예에 사용된 스프링편(52)은 본 출원의 도 6에 도시된 파일럿 밸브(100)에만 적용되었으나, 본 출원의 제3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스프링편(52)은 본 출원의 제1 실시예(도 1) 및 제2 실시예(도 4)에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스프링편(52)은 장착부(521)와 맞댐부(522)를 포함한다. 장착부(521)는 브래킷(51)과 연결되고, 맞댐부(522)의 일측면은 슬라이더(53) 꼭대기부와 접촉되며 슬라이더(53)를 압박한다. 스프링편(52)은 일정한 탄성을 가지며, 슬라이더(53)가 장착 홀의 축선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장착 홀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파일럿 밸브(100)의 정상적인 작동을 보장할 수 있다.
스프링편(52)의 작용과 경제적 효용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스프링편(52)의 재질은 일반적으로 탄성 성능이 비교적 우수한 금속을 선택한다. 간단한 스탬핑 절곡을 통해 박벽형의 스프링편(52)을 형성하여, 스프링편(52)의 슬라이더 압박 요건을 충족시켜 슬라이더가 브래킷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용을 절감하고 경제적 효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맞댐부(522)는 슬라이더(53)를 등진 측면 상에 차단편(523)이 더 설치된다. 관로에서 유동하는 매질 압력이 과도하게 크면, 매질이 슬라이더(53)에 부딪힐 수 있다. 매질이 슬라이더(53)에 부딪히는 힘이 스프링편(52)이 슬라이더(53)를 압박하는 힘보다 클 경우, 슬라이더(53)는 스프링편(52)이 도관(10)의 내벽 방향을 향해 이동하도록 구동한다. 매질이 슬라이더(53)에 작용하는 힘이 커짐에 따라, 스프링편(52) 상의 차단편(523)은 도관(10)의 내벽과 접촉될 수 있고, 스프링편(52)의 추가적인 이동을 제한하여 슬라이더(53)가 더 이동하여 브래킷(5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프링편(52)과 도관(10)의 내벽이 맞닿거나 충돌하는 힘이 비교적 큰 경우, 차단편(523)에 변형이 일어나 스프링편(52)이 슬라이더(53)가 브래킷(51)에서 이탈하는 것을 제한하는 목적을 상실할 수 있다. 따라서 차단편(523)이 맞댐부(522) 에지를 따라 만곡 또는 절곡 연장된다. 차단편(523)이 만곡 또는 절곡 연장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그 구조적 강성이 평평한 박벽 구조보다 높아진다. 차단편(523)과 도관(10)의 내벽이 충돌할 경우 차단편(523)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맞댐부(522) 에지부에 호형 구간이 있으며, 차단편(523)은 맞댐부(522) 에지를 따라 만곡 연장된다. 따라서 맞댐부(522)에 대해 반포위 구조를 형성하고, 나아가 차단편(523)의 강도를 강화시킨다. 또한 스프링편(52)이 비교적 큰 충격력을 받을 때, 차단편(523)과 도관(10) 내벽 충돌로 인해 차단편(523)이 절곡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이는 스프링편(52)이 더욱 잘 슬라이더(53)를 압박하는 데 도움이 되며 파일럿 밸브(100)의 정상적인 작동을 보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단편(523)이 맞댐부(522)와 인접한 3개 에지를 따라 만곡 연장되어 반포위 구조의 차단편(523)을 형성하였다. 다른 실시예에서도 차단편(523)은 맞댐부(522)와 인접한 2개 에지를 따라 만곡 연장되어 형성되는 반포위 구조 또는 맞댐부(522)에 대해 형성되는 완전 포위 구조일 수 있다. 만곡 연장되는 차단편(523)을 설치함으로써, 차단편(523)의 내충격 변형의 강성을 강화하여 차단편(523)과 도관(10) 내벽 충돌 시 절곡이 일어나지 않도록 보장할 수만 있다면 이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스프링편(52)은 연결부(524)를 더 포함한다. 연결부(524)는 장착부(521)와 맞댐부(522) 사이에 설치된다. 연결부(524)의 일단은 장착부(521)와 연결되며, 연결부(524)의 타단은 맞댐부(522)와 연결된다. 연결부(524)는 장착부(521)와 맞댐부(522) 사이에 비스듬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맞댐부(522)의 수평 위치가 장착부(521)의 수평 위치보다 높다.
이러한 설치는 맞댐부(522)가 매칭되어 슬라이더(53)를 압박하는 데에 유리하다. 스프링편(52)이 일정한 탄성을 갖기 때문에, 매질이 슬라이더(53) 상에 작용하는 힘이 맞댐부(522)가 슬라이더(53) 상에 작용하는 힘보다 클 경우, 스프링편(52)은 탄성 변형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비스듬하게 설치된 연결부(524)가 변형 부위로 사용되어 힘의 작용 하에서 비스듬한 정도가 증가할 수 있다. 매질이 슬라이더(53) 상에 작용하는 힘이 점차 작아져 맞댐부(522)가 슬라이더(53) 상에 작용하는 힘보다 작아지면, 변형된 연결부(524)가 원래의 형상을 회복한다. 따라서 맞댐부(522)가 항상 슬라이더(53)를 압박하도록 구현하여 슬라이더(53)가 브래킷(51)에서 이탈하는 것을 신뢰할 수 있을 정도로 방지한다.
맞댐부(522) 상에 설치된 차단편(523)은 맞댐부(522)가 소재한 평면에 대해 기본적으로 수직으로 설치된다. 매질 압력이 과도하게 크고 슬라이더(53)에 충돌할 경우, 슬라이더(53)의 충격력 영향으로 인해 맞댐부(522)가 위로 밀린다. 맞댐부(522)가 어느 정도 밀리면, 차단편(523)과 도관(10)의 내벽이 맞닿고, 차단편(523)과 맞댐부(522)가 소재한 평면이 기본적으로 수직을 이룬다. 따라서 도관(10)의 내벽이 차단편(523)에 힘을 인가하면, 차단편(523)이 다른 각도로 쉽게 절곡되지 않아 파일럿 밸브(100) 정상 작동에 유리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차단편(523)은 맞댐부(522)가 플랜징되어 형성되는 일체 성형 구조이므로 차단편(523)의 가공이 용이하고 양산하기에 유리하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차단편(523)과 맞댐부(522)는 분리 구조일 수도 있다. 차단편(523)은 상기 맞댐부(522)에 접착제로 연결되거나 용접 고정될 수 있으며, 이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스프링편(52)은 맞댐부(522)에서 슬라이더(53)를 압박하는 일측에 누름부(525)가 더 설치되며, 맞댐부(522)는 누름부(525)를 통해 슬라이더(53)를 압박한다. 이는 맞댐부(522)가 슬라이더(53)에 힘을 더욱 잘 인가하도록 만드는 데 유리하며, 슬라이더(53)가 브래킷(51)에서 이탈하는 것을 더욱 방지한다.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도 9는 본 출원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파일럿 밸브(100)에 사용되는 스프링편(52a)의 입체 구조도이다.
본 출원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편(52a)의 구조와 본 출원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편(52)의 차이점은 맞댐부(522a)의 에지부가 모두 직선 구간이라는 것이다. 차단편(523a)이 맞댐부(522a) 에지부를 따라 절곡 연장되어, 마찬가지로 차단편(523a)의 강도를 강화시키고 차단편(523a) 절곡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차단편(523a)에서 맞댐부(522a)와 인접한 3개 에지는 절곡 연장되나 마찬가지로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차단편(523a)은 맞댐부(522a)와 인접한 2개 에지가 만곡 연장되고, 맞댐부(522a)에 대해 형성되는 반포위 구조이거나, 맞댐부(522a) 에지부를 따라 연장되는 완전 포위 구조일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를 함께 참조하면, 도 10은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리버싱 밸브 그룹(200)의 구조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리버싱 밸브 그룹(200) 중 제1 지지대(300)의 구조도이며, 도 12는 도 10에서 리버싱 밸브 그룹(200) 중 제2 지지대(400)의 구조도이다.
리버싱 밸브 그룹(200)은 리버싱 밸브(201) 및 리버싱 밸브(201) 상에 장착되는 파일럿 밸브 장착 어셈블리(202)를 포함한다. 파일럿 밸브 장착 어셈블리(202)는 상기 파일럿 밸브(100), 제1 지지대(300) 및 제2 지지대(400)를 포함한다. 파일럿 밸브(100)는 제1 지지대(300) 및 제2 지지대(400)를 통해 리버싱 밸브(201) 상에 장착된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리버싱 밸브 그룹(200)에 있어서, 리버싱 밸브(201)와 파일럿 밸브(100) 사이는 종래의 기계적 리벳팅 구조가 아니다. 리버싱 밸브(201)는 제1 지지대(300)와 제2 지지대(400) 사이의 삽입 매칭을 통해 파일럿 밸브(100)와의 고정 연결을 구현한다. 따라서 종래의 리버싱 밸브 그룹(200)에서 조립이 어렵고 치우쳐 리벳팅되기 쉬우며 공진 주파수가 낮은 기술적 결함을 극복할 수 있다.
제1 지지대(300)의 일측에는 파일럿 밸브(100)를 용접하는 데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부(301)가 설치된다. 제1 지지대(300)의 제1 고정부(301)에 대한 타측에는 제1 용접면(304)이 설치되고, 제1 용접면(304) 상에는 위치결정 보스(303)가 설치된다.
제2 지지대(400)의 일측에는 리버싱 밸브(201)를 용접하는 데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고정부(401)가 설치된다. 제2 지지대(400)의 제2 고정부(401)에 대한 타측에는 제2 용접면(404)이 설치되고, 제2 용접면(404) 상에는 위치결정 보스(303)가 통과하도록 제공되는 위치결정홀(403)이 개설된다.
여기에서 위치결정 보스(303)는 위치결정홀(403)에 삽입되며 제1 용접면(304)은 제2 용접면(404) 상에 용접 고정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용접면(304)과 제2 용접면(404)은 레이저 용접에 의해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위치결정 보스(303)는 허리 모양일 수 있으며, 위치결정홀(403)도 대응하도록 허리 모양홀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파일럿 밸브 장착 어셈블리(202)는 파일럿 밸브(100) 및 리버싱 밸브(201)에 대해 각각 지지대를 설계하고, 다시 대응하는 지지대와 용접 고정함으로써 파일럿 밸브(100)와 리버싱 밸브(201) 사이의 기계적 리벳팅 없는 구조의 간접적 고정을 구현한다. 따라서 종래 구조에서 조립이 어렵고 치우쳐 리벳팅되기 쉬우며 공진 주파수가 낮은 기술적 결함을 극복할 수 있다.
제1 고정부(301)가 파일럿 밸브(100)의 관벽 외표면과 더욱 잘 접합될 수 있도록, 제1 고정부(301)는 파일럿 밸브(100)를 용접 고정하는 일측 표면이 제1 연결면(302)으로 정의된다. 제1 연결면(302)은 호형이고 파일럿 밸브(100)의 관벽 외표면과 접합된다.
제2 고정부(401)가 리버싱 밸브(201)의 관벽 외표면과 더욱 잘 접합될 수 있도록, 제2 고정부(401)는 리버싱 밸브(201)를 용접 고정하는 일측 표면이 제2 연결면(402)으로 정의된다. 제2 연결면(402)은 호형이고 리버싱 밸브(201)의 관벽 외표면과 접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고정부(301)의 수량은 2개이며, 2개의 제1 고정부(301)는 각각 위치결정 보스(303)의 대향하는 양측에 위치한다. 제2 고정부(401)의 수량도 2개이며, 2개의 제2 고정부(401)는 각각 위치결정홀(403)의 대향하는 양측에 위치한다. 물론 제1 고정부(301)의 수량은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제2 고정부(401)의 수량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지지대(300)는 제1 바닥판(305), 2개의 제1 연결판(306), 2개의 상기 제1 고정부(301) 및 상기 위치결정 보스(303)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결정 보스(303)는 제1 바닥판(305)의 일측 상에 고정되고, 제1 바닥판(305)의 대향하는 타측 상에는 2개의 제1 연결판(306)이 고정된다. 2개의 제1 연결판(306)은 제1 바닥판(305) 상에 대향 설치될 수 있으며 각각 2개의 제1 고정부(301)를 고정할 수 있다.
제2 지지대(400)는 제2 바닥판(405), 2개의 제2 연결판(406), 2개의 상기 제2 고정부(401) 및 상기 위치결정홀(403)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결정홀(403)은 제2 바닥판(405) 상에 개설되고, 제2 바닥판(405) 상에는 2개의 제2 연결판(406)이 고정된다. 2개의 제2 연결판(406)은 제2 바닥판(405) 상에 대향 설치될 수 있으며 각각 2개의 제2 고정부(401)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파일럿 밸브와 리버싱 밸브 고정 구조의 구조적 강도를 강화하기 위해, 2개의 지지대는 모두 일체 성형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
파일럿 밸브(100)와 리버싱 밸브(201)를 고정할 때 하기 실시 단계를 채택할 수 있다.
제1 지지대(300)와 파일럿 밸브(100)는 레이저 용접, 노내납땜(furnace brazing) 등 방식을 통해 서로 용접 고정한다.
제2 지지대(400)와 리버싱 밸브(201)는 레이저 용접, 노내납땜 등 방식을 통해 서로 용접 고정한다.
제1 지지대(300)의 위치결정 보스(303)를 제2 지지대(400)의 위치결정홀(403)에 장착하여 넣는다.
다시 제1 지지대(300)의 제1 용접면(304)과 제2 지지대(400)의 제2 용접면(404)을 레이저 용접 등을 통해 연결한다.
도 13을 함께 참조하면, 도 13은 본 출원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리버싱 밸브 그룹(200)의 구조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리버싱 밸브 그룹(200)에서 제1 지지대(300)의 제1 고정부(301a)의 수량은 1개이다. 상기 제1 고정부(301a)는 도 11에서 2개의 제1 고정부(301)가 대향하여 연장되며 일체를 형성하는 것에 해당한다. 이때 제1 고정부(301a)는 비교적 큰 면적으로 파일럿 밸브(100)에 용접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지지대(400)에서 제2 고정부(401a)의 수량은 1개이다. 상기 제2 고정부(401a)는 도 12에서 2개의 제2 고정부(401)가 대향하여 연장되며 일체를 형성하는 것에 해당한다. 이때 제2 고정부(401a)는 비교적 큰 면적으로 파일럿 밸브(100)에 용접될 수 있다.
도 14를 함께 참조하면, 도 14는 본 출원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리버싱 밸브 그룹(200)의 구조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리버싱 밸브 그룹(200)에서 제1 지지대(300)의 제1 고정부(301b)의 수량은 3개이다. 3개의 제1 고정부(301b)는 두 그룹으로 나뉘어 각각 위치결정 보스(303)의 대향하는 양측에 위치한다.
제2 고정부(401b)의 수량도 복수개이며, 복수개의 제2 고정부(401b)는 두 그룹으로 나뉘어 각각 위치결정홀(403)의 대향하는 양측에 위치한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파일럿 밸브 장착 어셈블리(202) 및 상기 파일럿 밸브 장착 어셈블리(202)를 구비한 리버싱 밸브 그룹(200)은 리버싱 밸브(201)와 파일럿 밸브(100) 사이의 안정적인 연결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종래 구조에서 조립이 어렵고 치우쳐 리벳팅되기 쉬우며 공진 주파수가 낮은 기술적 결함을 극복할 수 있어, 광범위한 활용 전망을 갖는다.
전술한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은 임의로 조합될 수 있다. 간결한 설명을 위해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특징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설명하지 않았으나, 기술적 특징의 조합에 모순이 없는 한 이는 모두 본 발명에 기술된 범위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상기 실시예가 본 출원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출원을 한정하지 않음을 이해한다. 본 출원의 사상 범위 내에서 상기 실시예를 적절하게 변경 및 수정한 것은 모두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Claims (18)

  1. 파일럿 밸브(100)에 있어서,
    도관(10);
    상기 도관(10) 내에 수용되는 파일럿 밸브 시트(20, 20a);
    상기 도관(10) 내에 수용되며 상기 파일럿 밸브 시트(20, 20a)의 일측에 위치하는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30); 및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30)에 고정 연결되며 파일럿 밸브 시트(20, 20a)에 슬라이딩되도록 연결되는 브래킷 어셈블리(50)를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 어셈블리(50)는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30)를 따라 도관(10) 내에서 왕복 슬라이딩할 수 있으며,
    상기 파일럿 밸브(100)는 칼라(40, 40a)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칼라(40, 40a)는 상기 파일럿 밸브 시트(20, 20a)와 상기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30) 사이에 위치한 상기 도관(10)에 수용되고, 상기 파일럿 밸브 시트(20, 20a)는 상기 칼라(40, 40a)에 맞닿아 상기 칼라(40, 40a)에 의해 상기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30)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럿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 밸브 시트(20)는 상기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30)를 향한 단면이 위에서 아래로 상반 영역(23)과 하반 영역(24)으로 나뉘고, 상기 상반 영역(23)은 상기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30)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하반 영역(24)과 어긋나며, 어긋난 상기 상반 영역(23)과 상기 하반 영역(24) 사이는 위치결정 단차(22)를 형성하고, 상기 파일럿 밸브 시트(20)는 상기 위치결정 단차(22)에 의해 상기 칼라(40)에 클램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럿 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40)는 제1 연결부(41) 및 상기 제1 연결부(41)에 연결된 제2 연결부(4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41) 상에는 환형 개구(411)가 개설되고, 상기 위치결정 단차(22)는 상기 환형 개구(411)의 내벽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럿 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 밸브 시트(20a)는 상기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30)를 향한 단면이 평면이고, 상기 파일럿 밸브 시트(20a)는 상기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30)를 향한 단면에 의해 상기 칼라(40a)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럿 밸브.
  5. 제4항에 있어서,
    칼라(40a)는 제1 연결부(41a), 제2 연결부(42a) 및 제3 연결부(43)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부(42a)는 상기 제1 연결부(41a)와 상기 제3 연결부(43)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연결부(41a), 제2 연결부(42a) 및 제3 연결부(43)는 상기 파일럿 밸브 시트(20a)와 매칭되는 수용 영역(44)을 형성하고, 상기 파일럿 밸브 시트(20a)의 일단은 상기 제1 연결부(41a)에 맞닿고, 타단은 상기 제3 연결부(43)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럿 밸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41a)와 상기 제3 연결부(43)는 상기 제2 연결부(42a)에 대해 대칭으로 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럿 밸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어셈블리(50)는 브래킷(51), 슬라이더(53) 및 스프링편(52, 52a)을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51)은 상기 코어 아이언 어셈블리(30)에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더(53)는 상기 브래킷(51) 상에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편(52, 52a)은 장착부(521)와 맞댐부(522)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521)는 상기 브래킷(51)에 연결되고, 상기 맞댐부(522)는 상기 슬라이더(53)에 맞닿고, 상기 맞댐부(522)는 상기 슬라이더(53)에 대한 타측면에 차단편(523)이 설치되고, 상기 차단편(523)은 상기 맞댐부(522) 에지를 따라 만곡 또는 절곡되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럿 밸브.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편(52) 상에는 상기 장착부(521)와 상기 맞댐부(522)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524)가 더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524)는 상기 맞댐부(522)와 상기 장착부(521) 사이에 비스듬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럿 밸브.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편(523)은 상기 맞댐부(522)가 소재한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럿 밸브.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편(523)과 상기 맞댐부(522)는 일체 성형 구조이거나; 또는
    상기 차단편(523)과 상기 맞댐부(522)는 분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럿 밸브.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맞댐부(522)의 일측면에는 상기 슬라이더(53)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슬라이더(53)를 누르는 데 사용되는 누름부(525)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럿 밸브.
  12. 파일럿 밸브 장착 어셈블리(202)에 있어서,
    제1 지지대(300), 제2 지지대(400) 및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파일럿 밸브(1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대(300)의 일측에는 상기 파일럿 밸브(100)에 용접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부(301)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지지대(300)에서 상기 제1 고정부(301)에 대한 타측에는 제1 용접면(304)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용접면(304) 상에는 위치결정 보스(303)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지지대(400)의 일측에는 리버싱 밸브(201)에 용접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고정부(401)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지지대(400)에서 상기 제2 고정부(401)에 대한 타측에는 제2 용접면(404)이 설치되고, 상기 제2 용접면(404) 상에는 위치결정 보스(303)가 통과하도록 제공되는 위치결정홀(403)이 개설되고,
    상기 위치결정 보스(303)는 상기 위치결정홀(403)로 삽입되며, 상기 제1 용접면(304)은 상기 제2 용접면(404) 상에 용접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럿 밸브 장착 어셈블리(202).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 보스(303)는 허리 모양이고, 상기 위치결정홀(403)은 상기 위치결정 보스(303)에 대응하는 허리 모양 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럿 밸브 장착 어셈블리(202).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301)는 상기 파일럿 밸브(100)를 용접 고정하는 일측 표면이 제1 연결면(302)이고, 상기 제1 연결면(302)은 호형으로 파일럿 밸브(100)의 관벽 외표면과 서로 접합되고; 및
    상기 제2 고정부(401)는 상기 리버싱 밸브(201)를 용접 고정하는 일측 표면이 제2 연결면(402)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2 연결면(402)은 호형으로 상기 리버싱 밸브(201)의 관벽 외표면과 서로 접합되는 것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럿 밸브 장착 어셈블리(202).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301)의 수량은 2개 이상이고, 2개 이상의 상기 제1 고정부(301)는 두 그룹으로 나뉘어 각각 상기 위치결정 보스(303)의 대향하는 양측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제2 고정부(401)의 수량은 2개 이상이고, 2개 이상의 상기 제2 고정부(401)는 두 그룹으로 나뉘어 각각 상기 위치결정홀(403)의 대향하는 양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럿 밸브 장착 어셈블리(202).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대(300)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바닥판(305) 및 적어도 2개의 제1 연결판(306)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결정 보스(303)는 상기 제1 바닥판(305)의 일측 상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바닥판(305)의 상기 위치결정 보스(303)에 대한 타측은 2개의 상기 제1 연결판(306)에 고정 연결되며, 2개의 상기 제1 연결판(306)은 각각 2개의 제1 고정부(301)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럿 밸브 장착 어셈블리(202).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대(400)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바닥판(405) 및 적어도 2개의 제2 연결판(406)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결정홀(403)은 상기 제2 바닥판(405) 상에 개설되고, 상기 제2 바닥판(405) 상에는 2개의 상기 제2 연결판(406)이 고정되며, 2개의 상기 제2 연결판(406)은 각각 2개의 상기 제2 고정부(401)를 고정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럿 밸브 장착 어셈블리(202).
  18. 리버싱 밸브 그룹(200)에 있어서,
    리버싱 밸브(201) 및 상기 리버싱 밸브(201)에 연결되는 파일럿 밸브 장착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파일럿 밸브 장착 어셈블리는 제12항에 따른 파일럿 밸브 장착 어셈블리(20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버싱 밸브 그룹(200).
KR1020217036355A 2019-04-25 2019-11-16 파일럿 밸브, 파일럿 밸브 장착 어셈블리 및 리버싱 밸브 그룹 KR1024099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20580853.5 2019-04-25
CN201920580853.5U CN209925678U (zh) 2019-04-25 2019-04-25 四通阀的导阀
CN201920621137.7U CN210318631U (zh) 2019-04-30 2019-04-30 一种先导阀和主阀固定结构及电磁四通换向阀
CN201920621120.1U CN210218863U (zh) 2019-04-30 2019-04-30 一种先导阀芯铁定位结构及电磁四通换向阀
CN201920621120.1 2019-04-30
CN201920621137.7 2019-04-30
PCT/CN2019/119007 WO2020215705A1 (zh) 2019-04-25 2019-11-16 先导阀、先导阀安装组件及换向阀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1756A KR20210141756A (ko) 2021-11-23
KR102409921B1 true KR102409921B1 (ko) 2022-06-16

Family

ID=72941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6355A KR102409921B1 (ko) 2019-04-25 2019-11-16 파일럿 밸브, 파일럿 밸브 장착 어셈블리 및 리버싱 밸브 그룹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332710B2 (ko)
KR (1) KR102409921B1 (ko)
WO (1) WO202021570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51589A (zh) 2015-03-23 2016-11-23 浙江盾安禾田金属有限公司 一种电磁四通换向阀的先导阀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5451A (ja) * 2001-08-23 2003-03-05 Komatsu Ltd パイロットオペレート形リリーフ弁及びそれを用いた油圧装置
US20060242987A1 (en) 2005-04-27 2006-11-02 Boluo Yaofeng Electronics Co., Ltd. Four-way valve and ice maker using such a four-way valve
JP4639254B2 (ja) 2008-11-05 2011-02-23 株式会社鷺宮製作所 流路切換弁
JP2012189103A (ja) * 2011-03-09 2012-10-04 Honda Motor Co Ltd パイロット式電磁弁
CN202381803U (zh) * 2011-11-30 2012-08-15 浙江盾安禾田金属有限公司 芯铁和设有该芯铁的先导阀及设有该先导阀的电磁四通阀
CN202746723U (zh) * 2012-07-23 2013-02-20 浙江盾安禾田金属有限公司 一种电磁四通换向阀的不锈钢先导阀
JP2014037872A (ja) * 2012-08-17 2014-02-27 Nikki Co Ltd 電磁式遮断弁
CN202812459U (zh) * 2012-09-14 2013-03-20 珠海华宇金属有限公司 一种电磁四通换向阀的先导阀托架
CN104075013B (zh) * 2013-03-29 2017-09-22 浙江盾安禾田金属有限公司 先导阀及四通阀
JP6530991B2 (ja) 2015-07-21 2019-06-12 株式会社不二工機 直動式電磁弁及びそれをパイロット弁として備えた四方切換弁
JP6556000B2 (ja) 2015-09-18 2019-08-07 株式会社不二工機 直動式電磁弁及びそれをパイロット弁として備えた四方切換弁
JP6101845B2 (ja) 2016-04-13 2017-03-22 株式会社鷺宮製作所 切換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51589A (zh) 2015-03-23 2016-11-23 浙江盾安禾田金属有限公司 一种电磁四通换向阀的先导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32710B2 (ja) 2023-08-23
KR20210141756A (ko) 2021-11-23
JP2022529767A (ja) 2022-06-24
WO2020215705A1 (zh) 2020-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45138B (zh) 膨胀阀
WO2016180111A1 (zh) 换向阀以及具有其的制冷系统
US7108008B2 (en) Reversing valve assembly with improved pilot valve mounting structure
CN1920354B (zh) 阀装置及其制造方法
KR102409921B1 (ko) 파일럿 밸브, 파일럿 밸브 장착 어셈블리 및 리버싱 밸브 그룹
JP2010038320A (ja) 四方切換弁用弁体
CN109973682B (zh) 电磁换向阀及具有其的制冷系统
CN114838182B (zh) 电磁切换阀
CN211501810U (zh) 先导阀
CN216407808U (zh) 一种电磁换向阀
CN218582328U (zh) 先导阀及切换阀
CN117537123A (zh) 电磁切换阀
CN218031566U (zh) 一种四通换向阀的主阀及四通换向阀
CN117537122A (zh) 电磁切换阀
CN114838183B (zh) 一种电磁换向阀
CN114838181A (zh) 电磁切换阀
US20230228334A1 (en) Guide frame for four-way reversing valve
CN218582330U (zh) 切换阀
CN109990113B (zh) 电磁切换阀及活塞
CN210218863U (zh) 一种先导阀芯铁定位结构及电磁四通换向阀
CN210372131U (zh) 一种电磁四通换向阀
CN109990115B (zh) 电磁切换阀
CN211852891U (zh) 四通阀阀体及其四通阀
CN214305552U (zh) 一种四通换向阀的导向架
CN219345538U (zh) 一种先导式电磁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