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9766B1 - 금속 복합 탄소 재료, 연료 전지용 촉매, 연료 전지, 수소 흡장 재료, 수소 탱크 및 금속 복합 탄소 재료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금속 복합 탄소 재료, 연료 전지용 촉매, 연료 전지, 수소 흡장 재료, 수소 탱크 및 금속 복합 탄소 재료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9766B1
KR102409766B1 KR1020177008859A KR20177008859A KR102409766B1 KR 102409766 B1 KR102409766 B1 KR 102409766B1 KR 1020177008859 A KR1020177008859 A KR 1020177008859A KR 20177008859 A KR20177008859 A KR 20177008859A KR 102409766 B1 KR102409766 B1 KR 102409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material
metal
carbon
resin
porous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8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6579A (ko
Inventor
다카아키 미하라
겐타로 다나카
고사쿠 다케우치
도모유키 호리구치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56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6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2Metals of platinum group
    • H01M4/925Metals of platinum group supported on carriers, e.g. powder carriers
    • H01M4/926Metals of platinum group supported on carriers, e.g. powder carriers on carbon or graphi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605Porous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1/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xides, or hydroxides of magnesium, boron, aluminium, carbon, 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B01J21/18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38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 B01J23/4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of the platinum group metals
    • B01J23/42Platinum
    • B01J35/1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6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urface properties or poros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005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an appropriate medium, i.e. based on physical or chemical sorption phenomena or on reversible chemical reactions, e.g. for hydrogen storage purposes ; Reversible gettering of hydrogen; 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electrodes
    • C01B3/001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an appropriate medium, i.e. based on physical or chemical sorption phenomena or on reversible chemical reactions, e.g. for hydrogen storage purposes ; Reversible gettering of hydrogen; 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uptaking medium; Treatment thereof
    • C01B3/0078Composite solid storage mediums, i.e. coherent or loose mixtures of different solid constituents, chemically or structurally heterogeneous solid masses, coated solids or solids having a chemically modified surface reg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005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an appropriate medium, i.e. based on physical or chemical sorption phenomena or on reversible chemical reactions, e.g. for hydrogen storage purposes ; Reversible gettering of hydrogen; 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electrodes
    • C01B3/001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an appropriate medium, i.e. based on physical or chemical sorption phenomena or on reversible chemical reactions, e.g. for hydrogen storage purposes ; Reversible gettering of hydrogen; Reversible uptake of hydrogen by 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uptaking medium; Treatment thereof
    • C01B3/0084Solid storage medium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e.g. pellets, sintered shaped bodies, sheets, porous compacts, spongy metals, hollow particles, solids with cavities, layered sol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05Preparation or purification of carbon not covered by groups C01B32/15, C01B32/20, C01B32/25, C01B32/30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30Active carbon
    • C01B32/312Preparation
    • C01B32/342Preparation characterised by non-gaseous activating agents
    • C01B32/348Metall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30Active carbon
    • C01B32/354After-treatment
    • C01B32/36Reactivation or regeneration
    • C01B32/366Reactivation or regeneration by physical processes, e.g. by irradiation, by using electric current passing through carbonaceous feedstock or by using recyclable inert heating bodi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0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9/08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other substances; Manufacture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of inorganic material
    • D01F9/12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 D01F9/14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by decomposition of organic filaments
    • D01F9/20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by decomposition of organic filaments from polyaddition, polycondensation or polymerisation products
    • D01F9/21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by decomposition of organic filaments from polyaddition, polycondensation or polymerisation products from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1F9/22Carbon filamen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by decomposition of organic filaments from polyaddition, polycondensation or polymerisation products from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polyacrylonitr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1/00Use of gas-solvents or gas-sorbents in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1/00Use of gas-solvents or gas-sorbents in vessels
    • F17C11/005Use of gas-solvents or gas-sorbents in vessels for hydroge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647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consisting of more than one material, e.g. consisting of composites
    • H01M4/8652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consisting of more than one material, e.g. consisting of composites as mix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8817Treatment of supports before application of the catalytic active com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075Catalytic material supported on carriers, e.g. powder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0Selection of catalytic material
    • H01M4/92Metals of platinum grou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6Carbon-bas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6Pore diame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1Pure fluids
    • F17C2221/012Hydroge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2Hydrogen stor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 Inert Electrodes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와 금속 미립자의 접촉 계면이 크고, 촉매로서 사용한 경우에 높은 촉매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금속 복합 탄소 재료를 제공하는 것이며, 탄소 골격과 공극이 각각 연속 구조를 이루고, 구조 주기가 2㎚보다 크고 10㎛ 이하인 연속 다공 구조 내에, 금속 미립자가 담지되어 이루어지는 금속 복합 탄소 재료이다.

Description

금속 복합 탄소 재료, 연료 전지용 촉매, 연료 전지, 수소 흡장 재료, 수소 탱크 및 금속 복합 탄소 재료의 제조 방법{METAL COMPOSITE CARBON MATERIAL, FUEL CELL CATALYST, FUEL CELL, HYDROGEN-OCCLUDING MATERIAL, HYDROGEN TANK, AND PRODUCTION METHOD FOR METAL COMPOSITE CARBON MATERIAL}
본 발명은, 다양한 용도로 전개 가능한 금속 복합 탄소 재료 및 금속 복합 탄소 재료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금속 복합 탄소 재료로서는, 입상 활성탄, 활성탄 섬유를 비롯한 비교적 큰 매크로 구멍과 마이크로 구멍의 양쪽을 갖는 활성탄, 또는 카본 나노 튜브나 메소포러스 실리카나 제올라이트 주형으로 제조되는 메소포러스 카본 등을 대표로 하는 파인 카본류에 대하여, 금속 미립자, 금속 산화물 미립자 등을 복합화한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메소 구멍의 외곽을 구성하는 탄소질 벽이 3차원 그물눈 구조를 이루고, 상기 탄소질 벽에 있어서의 상기 메소 구멍에 면하는 위치에 마이크로 구멍이 형성된 다공질 탄소이며, 상기 탄소질 벽 내에는 금속 입자가 분산되고, 또한, 상기 금속 입자 중 적어도 일부의 금속 입자는, 입자 표면의 일부가 상기 마이크로 구멍에 노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탄소 재료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0.7㎚ 이상 2㎚ 이하의 범위 내의 3차원의 장주기 규칙 구조와, 마이크로 세공을 갖는 마이크로포러스 탄소계 재료로서, 상기 마이크로 세공 표면에 전이 금속이 담지되어 있는 탄소 재료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제2011-1224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2010-115636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주형 입자의 말단에 존재하는 탄소질 벽에서는, 사실상 연속한 구멍이 존재하지 않고, 담지된 금속 미립자, 금속 산화물 미립자와 유체와의 접촉이 한정되어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탄소 재료의 3차원 장주기 규칙 구조에서는, 상기 구조 내부로 유체가 투과, 확산하기에는 너무나 세공이 지나치게 작아, 유체와 탄소 재료와 금속 미립자 또는 금속 산화물 미립자의 계면이 적었다.
본 발명은, 유체와 금속 미립자의 접촉 계면이 크고, 촉매로서 사용한 경우에 높은 촉매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금속 복합 탄소 재료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탄소 골격과 공극이 각각 연속 구조를 이루고, 구조 주기가 2㎚보다 크고 10㎛ 이하인 연속 다공 구조 내에, 금속 미립자가 담지되어 이루어지는 금속 복합 탄소 재료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금속 복합 탄소 재료는, 연속 다공 구조를 가짐으로써, 연속 다공 구조를 구성하는 구멍부로 유체를 투과, 확산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한 탄소로 구성된 가지부가 연속함으로써 전기 전도성이나 열전도성이 높아지고, 게다가 가지부가 각각 구조체를 서로 지지하는 효과에 의해, 인장, 압축 등의 변형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 내성을 갖는 재료가 된다. 또한, 상기 연속 다공 구조의 구조 주기가 2㎚보다 크고 10㎛ 이하임으로써 유체의 유동 저항이 충분히 저감되어, 투과, 확산의 효율이 높아지고, 그 결과 반응, 흡착·탈착 등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게다가 상기 연속 다공 구조 내에 금속 미립자가 담지되어 있음으로써, 높은 반응, 흡착·탈착 등의 효율을 나타낸다.
도 1은, 실시예 1의 금속 복합 탄소 재료의 주사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금속 복합 탄소 재료의 투과형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금속 복합 탄소 재료>
〔연속 다공 구조〕
본 발명의 금속 복합 탄소 재료는, 탄소 골격과 공극이 각각 연속 구조를 이루는 연속 다공 구조에, 금속 미립자가 담지되어 이루어진다.
연속 다공 구조란, 탄소 골격과 공극이 각각 연속 구조를 이루는 구조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연속 다공 구조를 가진다라 함은, 예를 들어 액체 질소 중에서 충분히 냉각한 시료를 핀셋 등에 의해 할단한 단면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 등에 의해 표면 관찰했을 때,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탄소 골격(가지부)과 공극부(구멍부)가 각각 연속하면서 서로 얽힌 구조가 관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금속 복합 탄소 재료는, 연속 다공 구조를 구성하는 구멍부로 유체를 충전 및/또는 흘림으로써, 물질의 분리, 흡착, 탈리 등의 분획 특성을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가지부가 연속함으로써 전기 전도성이 높기 때문에, 전지 재료로서, 저항이 낮고, 손실이 적은 재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열전도성이 높음으로써, 연속 다공 구조 내부에서 발생한 열을 신속하게 계 외로 수수하는 것이 가능하며, 높은 온도 균일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화학 반응이나 흡착, 탈착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음과 함께, 내열성이 높은 재료로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덧붙여, 가지부가 각각 구조체를 서로 지지하는 효과에 의해, 인장, 압축 등의 변형에 대해서도 큰 내성을 갖는 재료가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연속 다공 구조는, 소위 결정성을 갖는 구조가 아니라, 완만한 규칙성을 갖는 구조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결정성을 갖는 구조란, 단분산의 블록 공중합체 등이 나타내는 소위 마이크로 상분리 구조를 가리키고, 완만한 규칙성을 갖는 구조란, 스피노달 분해형 상분리 등의 변조된 구조를 가리킨다. 결정성을 갖는 구조에서는, 예를 들어 유체가 드나들 구조체의 규칙성이 너무 높기 때문에, 확산이나 혼합과 같은 효과가 얻어지기 어렵고, 또한 유체가 드나들 때의 완화 시간도 단일한 것이 되기 때문에, 매우 치우친 특성을 갖는 재료밖에 얻을 수 없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완만한 규칙성을 갖는 구조이면, 유체가 드나들 때 적당한 구조의 흐트러짐에 의해, 확산이나 혼합과 같은 효과가 얻어지기 쉬워서, 유체 중에 포함되는 물질 농도를 균일하게 하여, 효율적인 반응에 기여할 수 있다. 덧붙여 적당한 구조의 흐트러짐에 의해 완화 시간도 분산되는 점에서, 유속이 변화하는 환경에서도 안정된 특성을 발휘시키기 쉽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연속 다공 구조의 구조 주기는 2㎚보다 크고 10㎛ 이하이다. 구조 주기는, 시료에 대하여, X선을 입사하고, 산란 강도가 피크값을 갖는 위치의 산란 각도 2θ로부터, 하기의 식에 의해 산출되는 것이다.
Figure 112017031656014-pct00001
구조 주기: L, λ: 입사 X선의 파장
또한 구조 주기가 1㎛를 초과하고, X선의 산란 피크를 관측할 수 없는 경우에는, X선 CT법에 의해 복합 탄소 재료의 공연속(共連續) 구조 부분을 3차원 촬영하고, 푸리에 변환을 행하여 스펙트럼을 얻어, 마찬가지로 구조 주기를 산출한다. 즉 본 발명에서 말하는 스펙트럼이란, X선 산란법 또는 X선 CT법으로부터의 푸리에 변환에 의해 얻어지는 1차원의 산란 각도와 산란 강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연속 다공 구조가 2㎚보다 큰 구조 주기를 갖고 있으면, 용이하게 유체를 연속 다공 구조의 공극 내에 투과, 확산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촉매로 하는 경우에 우수한 특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연속 다공 구조가 10㎛ 이하의 구조 주기를 갖고 있으면, 구조체로서 결함이 매우 적어, 역학적으로 우수한 재료로 할 수 있다. 구조 주기의 값은, 상기 범위 내에서 용도에 맞춰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특히 사용하는 유체의 점도가 100cP보다 높은 경우에는, 구조 주기의 값을 10㎚ 이상으로 함으로써 압력 손실을 저감시켜 응답 속도가 높은 재료가 얻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압력 손실을 저감시킬 목적에서, 구조 주기의 값은 2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구조 주기의 값은, 연속 다공 구조가 배향한 재료인 경우에는, X선의 입사 방향에 의해 구조 주기의 값이 변화하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에는, 어느 방향으로부터 X선을 입사해서 측정했을 때, 구조 주기가 상기 범위에 들어가면 된다. 연속 다공 구조는, 어느 방향으로부터 관측되었을 때 균일한 다공 구조를 형성하고 있음으로써, 연속 다공 구조 내에 유체를 충전 및/또는 흘릴 수 있어, 가지부를 통해서 전기 전도성, 열전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금속 미립자를 담지한 금속 복합 탄소 재료의 구조 주기를 측정할 때에는, 사전에 금속 미립자를 용출 등의 처리에 의해 제거해서 측정하기로 한다. 즉, 종래 공지의 습식 에칭 방법 등을 이용하여, 산화 부식, 용해시켜서 금속 미립자를 제거하고 나서 측정한 구조 주기가 본 발명에 규정되는 소정의 수치 범위이면, 당해 소정의 수치 범위를 갖는 재료라고 판단한다. 또한, 예를 들어 X선 CT법 등의 측정 방법에 따라서는, 사전에 금속 미립자를 제거하지 않아도 금속 미립자를 제외한 탄소 재료 부분의 구조 주기의 측정이 가능한 경우가 있다. 그 경우에는, 금속 미립자를 포함한 상태에서 분석한 데이터를 기초로 컴퓨터상에서 금속 미립자의 영향을 제외한 다음에 구조 주기를 구해도 된다.
연속 다공 구조의 평균 공극률은 10 내지 8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평균 공극률이란, 포매한 시료를 크로스 섹션 폴리셔법(CP법)에 의해 정밀하게 형성시킨 단면을, 1±0.1(㎚/화소)이 되도록 조정된 확대율로, 70만 화소 이상의 해상도로 관찰한 화상으로부터, 계산에 필요한 주목 영역을 512화소 사방으로 설정하고, 주목 영역 전체의 면적을 A, 구멍 부분의 면적을 B로 하여, 하기의 식에 의해 산출된 것을 의미한다.
평균 공극률(%)=B/A×100
평균 공극률이 높을수록 타 소재와의 복합 시에 충전 효율이 높아지고, 유체의 유로로서 압력 손실이 작아, 투과, 확산의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에 수반하여, 평균 공극률이 높을수록 화학 반응이나 흡착, 탈착에 대한 응답 속도가 좋은 재료가 얻어진다. 한편, 평균 공극률이 낮을수록 압축이나 굽힘과 같은 단면 방향에 가해지는 힘이 강해지기 때문에, 취급성이나 가압 조건에서의 사용 시에 내구성이 높아지게 되어 유리해진다. 이들의 점을 고려하여, 연속 다공 구조의 평균 공극률은 15 내지 75%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18 내지 70%의 범위가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연속 다공 구조는, 세공 직경 분포 곡선에 있어서, 5 내지 400㎚의 범위에 적어도 1개의 피크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공 직경 분포는, 수은 압입법 또는 가스 흡착법에 의해 측정된다. 수은 압입법에서는, 5㎚ 내지 500㎛까지의 광범위한 세공 직경 분포 곡선을 취득 가능한 점에서, 구조 주기가 큰 재료에 있어서의 세공 직경 분포의 취득에 적합하다. 이에 반하여 가스 흡착법은 100㎚ 정도까지의 수은 압입법과 비교하여, 구조 주기가 작은 영역의 세공 직경 분포의 취득에 적합하다. 세공 직경 분포는, 구조 주기의 크기에 따라서, 수은 압입법 또는 가스 흡착법 중 어느 것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세공 직경 분포 곡선에 있어서의 피크 직경의 값은 작을수록 탄소 재료와 복합한 타 소재와의 거리가 가깝고, 특히 수10㎚ 이하의 영역에서는 양자 터널 효과에 의해 타 소재와 본 발명의 탄소 재료의 사이에 있어서 전류가 흐르기 쉬운 상태를 형성하기 쉬워진다. 한편, 세공 직경 분포 곡선에 있어서의 피크 직경의 값이 클수록 직경이 큰 입자 등과의 복합이 용이해진다. 이들의 점을 고려하여, 세공 직경 분포 곡선의 피크 직경은 5 내지 35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 내지 30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속 다공 구조를 실질적으로 갖지 않는 부분을 갖는 경우라도, 연속 다공 구조의 세공 직경 분포는 재료 전체의 세공 직경 분포를 측정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고, 연속 다공 구조의 세공 직경 분포 곡선은 재료 전체의 세공 직경 분포 곡선에 근사할 수 있다.
〔미세 구멍〕
또한, 본 발명의 금속 복합 탄소 재료는, 표면에 평균 직경 0.01 내지 10㎚의 미세 구멍을 갖는 것도 바람직하다. 여기서 표면이란, 탄소 재료의 공연속 구조 부분에 있어서의 탄소 골격의 표면도 포함하고, 탄소 부분의 모든 외부와의 접촉면을 가리킨다. 미세 구멍은, 공연속 구조 부분에 있어서의 탄소 골격의 표면 및/또는 후술하는 공연속 구조를 실질적으로 갖지 않는 부분에 형성할 수 있다. 미세 구멍은, 적어도 공연속 구조를 갖는 부분에 있어서의 탄소 골격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세 구멍의 평균 직경이 0.01㎚ 이상임으로써, 흡착 물질이나 작용 물질 등에 대하여 기능할 수 있다. 또한, 10㎚ 이하임으로써, 효율적으로 흡착 등의 기능을 발현할 수 있다. 미세 구멍 직경은, 효율적인 흡착 등의 관점에서, 목적으로 하는 흡착 물질 등의 직경에 대하여 1.1 내지 2.0배 정도로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미세 구멍의 평균 직경은 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미세 구멍의 평균 직경이란, BJH법 또는 MP법 중 어느 방법에 의한 측정값을 의미한다. 즉, BJH법 또는 MP법에 의한 측정값 중 어느 한쪽이라도 0.01 내지 10㎚의 범위에 들어 있으면, 표면에 평균 직경 0.01 내지 10㎚의 미세 구멍을 갖는 것이라고 판단한다. 미세 구멍 직경의 바람직한 범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BJH법이나 MP법은, 세공 직경 분포 해석법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며, 시료에 질소를 흡탈착시킴으로써 구한 탈착 등온선에 기초해서 구할 수 있다. BJH법은 바렛-조이너-할렌다(Barrett-Joyner-Halenda)의 표준 모델에 따라서 원통 형상이라 가정한 미세 구멍의 직경에 대한 미세 구멍 용적의 분포를 해석하는 방법이며, 주로 2 내지 200㎚의 직경을 갖는 미세 구멍에 적용할 수 있다(상세는 J. Amer. Chem. Soc., 73, 373, 1951 등을 참조). 또한, MP법은 흡착 등온선의 각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의 변화로부터 구해지는 각 구간의 외부 표면적과 흡착층 두께(미세 구멍 형상을 원통형으로 하기 때문에 미세 구멍 반경에 상당)를 기초로 미세 구멍 용적을 구하고, 흡착층 두께에 대하여 플롯함으로써, 세공 직경 분포를 얻는 방법이며(상세는 Jounal of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26, 45, 1968 등을 참조), 주로 0.4 내지 2㎚의 직경을 갖는 세공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모두 소수점 아래 둘째 자리를 반올림하여, 소수점 아래 첫째 자리까지 구한 값을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금속 복합 탄소 재료는, BJH법 또는 MP법 중 어느 방법에 의해 측정되는 미세 구멍 용적이 0.05㎤/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0.5㎤/g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g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미세 구멍 용적이 0.05㎤/g 이상임으로써, 흡착 물질이나 작용 물질의 흡착 성능 등이 보다 향상되고, 또한 유체의 투과, 확산에 대한 저항을 상기 연속 다공 구조에 의해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반응성이 우수한 재료로 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g를 초과하면, 금속 복합 탄소 재료의 강도가 저하되어, 취급성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금속 복합 탄소 재료에 있어서는, 공연속 구조 부분의 공극이나 금속 미립자가 BJH법 혹은 MP법에 의해 측정되는 미세 구멍 직경 분포나 미세 구멍 용적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즉, 순수하게 미세 구멍뿐만 아니라, 공극이나 금속 미립자의 존재도 반영한 값으로서 이들 측정값이 얻어질 가능성이 있다. 그 경우라도 이들 방법에 의해 구한 측정값을 본 발명에 있어서의 미세 구멍의 평균 직경 및 미세 구멍 용적이라 판단하기로 한다. 또한, BJH법 혹은 MP법에 의해 측정되는 미세 구멍 용적이, 모두 0.05㎤/g 미만이면 재료 표면에 미세 구멍은 형성되지 않은 것이라 판단된다.
또한, 본 발명의 금속 복합 탄소 재료는, BET 비표면적이 10㎡/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BET 비표면적은 200㎡/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0㎡/g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500㎡/g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10㎡/g 이상임으로써, 흡착 물질이나 작용 물질에 대한 면적이 커지게 되어, 화학 반응이나 흡착, 탈착에 대한 성능이 향상된다.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4500㎡/g를 초과하면, 금속 복합 탄소 재료의 강도가 저하되어, 취급성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BET 비표면적은, JIS R 1626(1996)에 준하여, 금속 복합 탄소 재료에 질소를 흡탈착시킴으로써 흡착 등온선을 측정하고, 측정한 데이터를 BET식에 기초하여 산출할 수 있다.
〔금속 미립자〕
본 발명의 금속 복합 탄소 재료는, 전술한 연속 다공 구조 내에 금속 미립자가 담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금속 복합 탄소 재료는, 연속 다공 구조 내를 투과, 확산하는 유체의 유동 저항이 낮고, 또한 거의 모든 공극이 연속하고 있기 때문에, 화학 반응, 흡착, 탈착에 이용할 수 있는 유체와 탄소의 유효 계면의 면적이 매우 커서, 담지된 금속 미립자가 갖는 기능을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 있다.
금속 미립자로서 전이 금속을 포함하는 금속 복합 탄소 재료는, 수소 등의 물질을 흡장·저장하는 재료, 화학 반응을 촉진 또는 억제하는 촉매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바람직한 형태이다. 여기서, 전이 금속이란, 주기율표에서 제3족 원소로부터 제11족 원소의 사이에 존재하는 원소의 총칭이며, 그 정의 중에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으로 하는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된다.
전이 금속은, 단체(單體)를 그대로 사용해도 되고, 전이 금속 중에서 복수를 선택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합금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전이 금속 이외의 원소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전이 금속 이외의 원소로서는, 전형 원소,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등을 들 수 있다. 전이 금속의 함유량에 대해서는, 전이 금속 특유의 촉매 활성 등을 살릴 수 있으면 특별히 그 범위에 제한은 없지만, 0.1 내지 100중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0.1중량% 이상이 전이 금속이면, 상기 담지된 금속 미립자가 갖는 기능을 살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연속 다공 구조 내에 금속 미립자가 담지되어 있다라 함은, 상기 금속 미립자가, 탄소 재료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 또는 일부 탄소 재료에 매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금속 미립자가 탄소 재료에 일부 매몰되어 있으면, 금속 미립자의 표면에서 일어난 화학 반응이나 흡착·탈착에 수반되는 전자, 열의 수수를 금속 미립자와 탄소 재료의 사이에서 고효율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촉매 반응 등을 높은 효율로 행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금속 미립자의 매몰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금속 미립자의 체적을 100%로 하는 경우에, 0 내지 50체적%가 매몰되어 있는 것이 상기 효과를 얻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매몰량의 상한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금속 미립자의 표면을 충분히 유체와 접촉시키는 관점에서, 90체적%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매몰량은, 전자선 토모그래피법, 집속 이온빔에 의한 연속 절편법 또는 X선 CT법에 의해 관찰된 3차원 상으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금속 미립자의 직경이 100㎚ 미만이면 전자선 토모그래피법에 의해, 100㎚ 내지 1㎛의 사이이면 집속 이온빔에 의한 연속 절편법에 의해, 또한 1㎛보다 큰 경우에는 X선 CT법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금속 미립자의 담지량에 대해서는, 그 기능이 충분히 발휘되는 양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많을수록 금속 미립자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한 절대적인 표면적이 증가하고, 반대로 적을수록 유체의 투과, 확산 저항을 저감시켜 응답성이 좋은 재료로 할 수 있는 것에 더해, 경량의 재료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점에서 탄소 재료를 100중량부로 하는 경우의 금속 미립자의 담지량은, 0.01 내지 30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금속 미립자는, 바늘 형상, 판 형상, 구 형상, 튜브 형상 등 어떠한 형태의 입자여도 상관없다. 또한, 금속 미립자의 사이즈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본 발명의 금속 복합 탄소 재료를 구성하는 연속 다공 구조의 구조 주기에 대하여, 0.8배 이하의 평균 직경을 갖는 것이면, 연속 다공 구조 내로의 복합이 용이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금속 미립자의 평균 입경은 종래 공지의 방법으로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평균 직경은 작을수록 미립자의 비표면적이 증대되고, 유체와의 접촉 확률이 높아져서, 미립자가 갖는 기능이 최대한으로 발휘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러한 점에서 금속 미립자의 평균 직경은 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1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금속 미립자에 내산화성을 갖게 하는 경우에는, 백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금은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또한 높은 촉매능을 갖는 금속이어서, 내산화성이 우수한 촉매가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금속 미립자로서는, 백금 외에 철, 코발트, 티타늄, 구리, 지르코늄, 바나듐, 크롬, 망간, 니켈, 몰리브덴, 루테늄, 로듐, 팔라듐 및 란탄, 세륨 등의 란타노이드 등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금속 복합 탄소 재료를 수소 저장 재료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금속 미립자에 사용하는 금속을, 금속 결합형 또는 침입형 수소화물(M-H 결합)을 형성하는 전이 금속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 결정립〕
본 발명의 금속 복합 탄소 재료는, 탄소 재료 부분에 탄소 결정립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 결정립이 포함됨으로써, 탄소 결정립 부분을 통해서 열전도성, 전기 전도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탄소 결정립은, 탄소 결정립 이외의 실질적으로 비정질인 부분과 비교해서 탄성률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인지, 금속 복합 탄소 재료 전체의 탄성률, 압축 강도의 대폭적인 향상이 인정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충반전 시에 체적 변화가 큰 전극 재료 등에 사용한 경우, 금속 복합 탄소 재료가 체적 변화에 수반되어 파괴되지 않기 때문에, 반복 충방전을 행하여도 특성이 변화하는 경우가 적다. 또한, 섬유 형상 또는 필름 형상의 형태인 금속 복합 탄소 재료에 있어서는, 탄소 결정립을 포함함으로써, 취급 시나 모듈화, 조립 공정 등에 있어서 용이하게는 파괴되지 않아, 품질이 우수한 최종 제품을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것에도 기여할 수 있다.
탄소 결정립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작을수록 탄소 결정립끼리의 절대적인 거리가 가까워지는 경향이 있으며, 역학 특성을 크게 바꾸지 않고 도전성, 열전도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클수록 탄소 결정립 내에 이온 등을 도입하는 능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리튬 등의 금속을 탄소 결정립에 인터칼레이션시킬 때, 그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탄소 결정립의 크기는, 1 내지 1000㎚의 범위이면 바람직하다. 특히 탄소 결정립의 크기가 1 내지 100㎚의 범위이면, 역학 특성과 도전성, 열전도성의 밸런스가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탄소 결정립의 크기가 50 내지 1000㎚의 범위이면, 인터칼레이션의 효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특히 전극 재료로서 바람직한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탄소 결정립의 유무는, 수렴 이온빔 등을 사용해서 본 발명의 금속 복합 탄소 재료를 얇게 잘라내어, 이것을 투과형 전자 현미경 등으로 관찰했을 때, 흑색 콘트라스트를 갖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개개의 탄소 결정립의 크기는, 이 흑색 콘트라스트 부분의 면적을 구하고, 동등한 면적을 갖는 원의 직경을 탄소 결정립의 크기로서 환산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간단히 「탄소 결정립의 크기」라고 하는 경우에는 수 평균값을 의미하고,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탄소 결정립은, 그 이외의 장소와 비교해서 휘도가 낮은 영역이다. 탄소 결정립은, 우선 촬영된 화상에 대하여 반경 2 픽셀의 메디안 필터를 적용하고, 계속해서 휘도의 히스토그램을 얻어, 휘도의 최댓값과 최솟값과의 중앙값 근방의 최대 빈도의 값으로 나누어 백분율의 빈도로 한다. 휘도의 값이 낮은, 어두운 측으로부터의 빈도가 20%를 초과한 점의 값과, 50%를 초과한 점의 값을 이용해서 직선의 식을 산출하고, 얻어진 직선의 식으로부터 빈도를 0%로 했을 때의 휘도의 값을 산출한다(휘도를 x, 빈도를 y로 했을 때의, x 절편을 구함). 이 휘도의 값보다도 낮은 휘도를 갖는, 흑색 콘트라스트인 픽셀의 집합을 탄소 결정립으로 하였다. 여기서 픽셀의 집합 중, 노이즈로서 인식되는 30픽셀 미만의 픽셀이 집합한 것은, 탄소 결정립으로부터 제외하였다.
또한, 흑색 콘트라스트 부분의 면적이, 해석에 사용한 면적 전체에 차지하는 비율을, 탄소 결정립의 존재 비율이라 칭하기로 하면, 탄소 결정립의 존재 비율은 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 결정립의 존재 비율이 0.1% 이상이면, 충분히 도전성이나 열전도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존재 비율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70% 미만이면 역학 특성과 도전성, 열전도성의 밸런스가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탄소 결정립을 구성하는 탄소 결정이란, 단위 격자를 갖는 결정 구조 혹은 당해 결정 구조가 조금 흐트러진 구조를 갖는 탄소 부분을 의미하며, 소위 결정으로서 완전한 것으로서는, 흑연 결정이어도 다이아몬드 결정이어도 상관없다. 흑연 결정, 혹은 흑연 결정의 구조가 조금 흐트러진 구조이면, 탄소 재료의 도전성, 열전도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지는 점에서, 특히 이들 특성이 요구되는 전극 용도에 대하여 적합하다. 또한 다이아몬드 결정, 혹은 다이아몬드 결정 구조가 조금 흐트러진 구조이면, 인장이나 압축 등의 역학 특성을 비약적으로 높이는 것이 가능해짐과 함께, 탄성률과 강도를 쉽게 균형을 취할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하다.
흑연 결정, 혹은 흑연 결정의 구조가 조금 흐트러진 구조인지는, 분말법으로 측정된 X선 회절 프로파일의 회절각 24.5 내지 26.6° 부근에 피크를 가짐으로써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특히 흑연 결정의 구조가 조금 흐트러진 구조인 경우에는, 도전성, 열전도성과 역학 특성을 쉽게 균형을 취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한 형태이다. 흑연 결정의 구조가 조금 흐트러진 구조를 갖는 경우는, 분말법으로 측정된 X선 회절 프로파일에 있어서, 회절각 25 내지 26°의 사이에 피크를 가짐으로써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다이아몬드 결정, 혹은 다이아몬드 결정 구조가 조금 흐트러진 구조인지는, 분말법으로 측정된 X선 회절 프로파일의 회절각 42 내지 45° 부근에 피크를 가짐으로써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X선 회절 프로파일을 측정할 때에는, 사전에 금속 미립자를 용출 등의 처리에 의해 제거해 둔다. 금속 미립자가 잔존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범위에 마찬가지의 회절 피크가 나타나, 노이즈가 되어버릴 가능성이 있다. 금속 미립자는, 종래 공지의 습식 에칭 방법을 이용하여, 산화 부식, 용해시켜서 제거하고 나서 측정한 값을 가지고, 이들 수치 범위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로 한다. 즉, 습식 에칭 후에 측정한 X선 회절 프로파일이 본 발명에 규정되는 소정의 수치 범위이면, 당해 소정의 수치 범위를 갖는 복합 탄소 재료인 것으로 판단한다.
탄소 결정립은, 연속 다공 구조를 구성하는 가지부에 포함되어 있어도, 그 이외의 부분에 포함되어 있어도 되지만, 적어도 연속 다공 구조를 구성하는 가지부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 결정립이 연속 다공 구조를 구성하는 가지부에 존재함으로써, 도전성, 열전도성을 중개하는 기능을 현저하게 발휘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금속 복합 탄소 재료 전체의 역학 특성을 개선하는 것도 용이해진다. 또한, 특히 연속 다공 구조를 구성하는 가지부에 탄소 결정립을 포함함으로써, 탄소 결정립이 연속 다공 구조를 구성하는 구멍부와 물리적인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예를 들어 전해액이나 에멀션, 용액 등과의 접촉에 의해 기능을 발현할 때 흡착, 탈착이나 반응 등이 효율적으로 진행된다.
또한, 탄소 결정립은, 전술한 투과형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된 탄소 결정립 부분에 대한 에너지 분산형 X선 분광 측정에 있어서, 탄소 원자에 상당하는 X선 강도로부터 산출되는 탄소 원자의 존재 비율이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 원자의 존재 비율이 50% 이상이면, 탄소 결정립이 갖는 도전성, 열전도성을 충분히 높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연속 다공 구조를 실질적으로 갖지 않는 부분〕
본 발명의 금속 복합 탄소 재료는, 탄소 부분에 연속 다공 구조를 실질적으로 갖지 않는 부분을 갖고 있어도 된다. 연속 다공 구조를 실질적으로 갖지 않는 부분이란, 크로스 섹션 폴리셔법(CP법)에 의해 형성시킨 단면을, 1±0.1(㎚/화소)의 확대율로 관찰했을 때, 구멍 직경이 해상도 이하임으로써 명확한 구멍이 관찰되지 않는 부분이, 한 변이 전술한 구조 주기 L의 3배에 대응하는 정사각형의 영역 이상의 면적으로 존재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연속 다공 구조를 실질적으로 갖지 않는 부분은 탄소가 치밀하게 충전되어 있음으로써 전자 전도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전기 전도성, 열 전도성을 일정 레벨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연속 다공 구조를 실질적으로 갖지 않는 부분을 갖는 금속 복합 탄소 재료는, 예를 들어 전지 재료로서 사용한 경우에, 반응열을 계 외로 신속하게 배출하는 것이나, 전자의 수수 시의 저항을 낮게 하는 것이 가능하며, 고효율 전지의 제조에 기여한다. 또한, 연속 다공 구조를 갖지 않는 부분이 존재함으로써, 특히 압축 파괴에 대한 내성을 비약적으로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연속 다공 구조를 실질적으로 갖지 않는 부분에 전술한 탄소 결정립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탄소 결정립이 존재함으로써, 전기 전도성이나 열전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특히 연속 다공 구조를 실질적으로 갖지 않는 부분에 탄소 결정립이 존재함으로써, 탄소 결정립 이외의 부분을 통한 탄소 결정립끼리의 의사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때문에, 압축이나 인장과 같은 물리적인 힘에 대한 내성을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연속 다공 구조를 갖지 않는 부분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각 용도에 따라 임의로 제어 가능하지만, 모두 5체적% 이상이 연속 다공 구조를 갖지 않는 부분이면, 압축·인장이나 전단과 같은 역학적인 내성을 갖고, 또한 전기 전도성, 열전도성을 높은 레벨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금속 복합 탄소 재료의 탄소 부분이, 연속 다공 구조를 갖지 않는 부분이 연속 다공 구조를 갖는 부분을 덮도록 주위에 형성된 형태인 경우에는, 보다 효율적으로 연속 다공 구조를 구성하는 구멍부로 유체를 투과, 확산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점이나, 강도가 우수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하,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이 형태의 금속 복합 탄소 재료를 설명하지만, 그 때, 연속 다공 구조를 갖는 부분을 「코어층」, 당해 코어층을 덮는 연속 다공 구조를 갖지 않는 부분을 「스킨층」이라 부르기로 한다.
〔코어층〕
코어층은, 상기의 연속 다공 구조를 갖는 층이며,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짐으로써, 예를 들어 섬유나 필름과 같은 형태의 재료의 단면으로부터 연속 다공 구조의 내부로 타 소재를 함침시키는 것이 용이한 것 외에, 유체를 투과, 확산시키기 위한 패스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해지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금속 미립자와 유체를 접촉시킬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반응 칼럼의 유로로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연속 다공 구조는, 균일한 구조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압축이나 굽힘, 인장 등의 역학적 특성이 우수하며, 탄화 재료 특유의 취성의 개선에도 기여한다.
코어층의 연속 다공 구조는, 중심부에 있어서의 구조 주기가 2㎚보다 크고 10㎛ 이하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중심부란, 금속 복합 탄소 재료 중에 있어서, 재료의 단면에 있어서의 질량 분포가 균일하다고 가정했을 때의 무게 중심을 가리키고, 예를 들어 분체의 경우에는, 그대로 무게 중심이며, 재료의 형태가 환단면을 갖는 섬유인 경우에는, 섬유축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섬유 표면으로부터의 거리가 동일해지는 점을 가리킨다. 단 명확하게 무게 중심을 정의하는 것이 곤란한 필름 형상의 경우에는, TD 또는 MD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필름 표면으로부터 수선을 긋고, 그 수선 상에 있어서의 필름 두께의 1/2 치수인 점의 집합을 중심부로 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무게 중심이 재료의 단면 중에 존재하지 않는 중공 섬유의 경우에는, 중공 섬유 외표면의 접선으로부터 수선을 긋고, 수선 상에 있어서 재료 두께의 1/2의 치수에 있는 점의 집합을 중심부로 한다.
〔스킨층〕
스킨층은, 코어층의 주위에 형성된, 연속 다공 구조를 실질적으로 갖지 않는 층을 나타낸다.
스킨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재료의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지나치게 두꺼우면 복합 탄소 재료로서 공극률이 저하되는 경향이 보이기 때문에,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0㎛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서 하한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재료의 형태를 유지하고, 코어층과 구별된 기능을 발휘시키는 관점에서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금속 복합 탄소 재료는, 코어층과 스킨층을 포함하는 비대칭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비대칭 구조를 가짐으로써, 금속 미립자와 복합화시켜서 금속 복합 탄소 재료로 하는 경우에, 스킨층 부분에는 금속 미립자가 충전되어 있지 않고, 코어층의 연속 다공 구조에만 금속 미립자가 충전되어 있는 금속 복합 탄소 재료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금속 복합 탄소 재료는, 스킨층 부분에서 탄소 재료 그 자체가 갖는 화학적 안정성, 열·전기 전도성 등의 특성을 발휘하면서, 코어층에 다양한 기능성을 갖는 금속 미립자를 담지할 수 있어, 전지 재료나 촉매 담체 등 폭넓은 용도로의 응용이 생각된다. 또한, 스킨층과 코어층을 포함하는 비대칭 구조를 가짐으로써, 예를 들어 반응형 칼럼으로서 사용한 경우에는, 연속 다공 구조 내에 담지된 금속 미립자에 의한 기능을 고효율로 이용 가능하며, 반응률이 향상되는 점, 또한 스킨층에 의한 유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 유로 설계의 자유도가 높아져서, 바람직한 형태이다.
〔금속 복합 탄소 재료의 형상〕
본 발명의 금속 복합 탄소 재료를 구성하는 탄소 재료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벌크 형상, 막대 형상, 평판 형상, 원반 형상, 구 형상 등을 들 수 있지만, 그 중에서 섬유 형상, 필름 형상 혹은 분말 형상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 형상의 형태란, 평균 직경에 대하여 평균 길이가 100배 이상의 것을 가리키며, 필라멘트, 장섬유여도, 스테이플, 단섬유, ?h드 파이버(chopped fiber)여도 된다. 또한 단면의 형상은, 전혀 제한되지 않으며, 환 단면, 삼각 단면 등의 다엽 단면, 편평 단면이나 중공 단면 등 임의의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섬유 형상의 형태에 있어서의 평균 직경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용도에 따라서 임의로 결정할 수 있다. 평균 직경은 취급성이나 다공질을 유지하는 관점에서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굴곡 강성을 확보하여, 취급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평균 직경은 5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연속 다공 구조를 갖는 코어층과, 그 주위를 덮도록 형성된 연속 다공 구조를 실질적으로 갖지 않는 스킨층을 포함하는 섬유는, 본 발명의 금속 복합 탄소 재료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이다. 이와 같은 섬유는, 코어층에 유체를 충전하거나 흘리거나 할 수 있기 때문에, 반응형 칼럼 재료로서 적합하다. 섬유 그 자체를 모듈화함으로써, 코어층의 공극에 유체를 통과시켜서, 금속 미립자와 유체의 접촉에 의한 흡착, 탈착이나 화학 반응을 행하면서, 유체의 유로를 확보하고, 또한 연속 다공 구조를 구성하는 가지부에 의한 교반 효과와의 상승 효과에 의해, 고효율 반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연속 다공 구조를 갖는 부분을 구성하는 가지부가 서로 지지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고압으로 유체를 충전하거나 흘리거나 할 때에도 높은 압축 내성을 나타낸다. 그로 인해, 압력에 의한 파괴를 방지하여, 안정된 운전이 가능해진다.
또한, 스킨층의 존재에 의해 전기 전도성 및 열전도성을 겸비하는 재료가 되기 때문에, 화학 반응에 수반하는 반응열을 제거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스킨층의 존재는 유체의 압력 손실에 의한 가압에 수반되는 변형, 파괴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어, 성능이 안정된 반응형 칼럼 재료가 된다. 또한, 스킨층의 존재에 의해 단면 방향에 가해지는 힘에 대한 내성이 높아지는 점에서, 고압에서의 운전도 가능하게 되어, 고압하에서밖에 진행되지 않는 반응 등을, 안정적으로 진행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필름 형상의 형태를 갖는 본 발명의 금속 복합 탄소 재료는, 전지 재료나 반응 칼럼 충전 재료 등의 용도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용도에 따라서 임의로 결정할 수 있다. 취급성을 고려한 경우, 필름의 두께는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굽힘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5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연속 다공 구조를 갖는 코어층과, 그의 편면 또는 양면에 연속 다공 구조를 실질적으로 갖지 않는 스킨층을 갖는 필름은, 스킨층에 의해 탄소 재료로서의 특성인 전기 전도성이나 열전도성이 높은 레벨로 유지되는 점, 또한, 스킨층이 타 소재와의 접착 등에 적합한 계면으로서 기능하는 점에서 바람직한 형태이다. 또한, 스킨층이 필름의 일면에만 형성된 형태이면, 연속 다공 구조를 갖는 부분으로서의 코어층으로의 유체의 침입이 용이하게 되기 때문에, 금속 미립자의 복합이 용이하며, 사용 시에는 유체가 투과, 확산하기 쉽다. 그로 인해, 전지 재료나 반응 칼럼 충전 재료에 사용한 경우의 반응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금속 복합 탄소 재료가 분말 형상의 형태를 갖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전지 재료, 촉매 재료 등으로의 응용이 가능하다. 분말 형상의 형태에 있어서의 입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10㎚ 내지 10㎜의 범위이면, 분체로서 취급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특히 10㎛ 이하의 입도를 갖는 분말은, 예를 들어 페이스트를 형성하는 고형분으로서 매우 매끄러운 것이 얻어지기 때문에, 도포 등의 공정에서의 페이스트 박리나 균열 등의 결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10㎚ 이상의 입도를 갖는 분말은, 유체의 투과, 확산을 충분히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한 형태이다.
분말 형상의 금속 복합 탄소 재료는, 연속 다공 구조를 갖지 않는 부분을 갖고 있으면, 유체가 분체 중을 흐를 때 연속 다공 구조를 갖지 않는 부분을 통과함으로써 유로가 복잡하게 뒤섞여서, 유체를 효율적으로 혼합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연속 다공 구조를 갖지 않는 부분이 분체를 구성하는 개개의 입자, 즉 입자 1개 일부를 차지함으로써, 입자 내에 있어서의 전기 전도성, 열전도성을 비약적으로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입자 자체의 압축 강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고압이나 압축, 인장 등의 변형하에서의 파괴에 의한 성능 열화가 적어진다. 또한, 연속 다공 구조를 갖지 않는 부분을 통해 입자끼리가 접촉함으로써, 전기 전도성, 열전도성이 더 높아진다. 또한, 유체가 분체 중을 흐를 때, 연속 다공 구조를 갖지 않는 부분을 통과함으로써, 유로가 복잡하게 뒤섞여서, 유체를 효율적으로 혼합할 수 있다. 따라서, 연속 다공 구조를 갖지 않는 부분을 갖고 있는 것은, 특히 반응용 칼럼 충전 재료나 촉매 재료로서 적합한 특성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한 형태이다. 분말 형상의 금속 복합 탄소 재료에 있어서, 연속 다공 구조를 갖지 않는 부분이 차지하는 비율은, 상기 특성을 발휘하는 데 있어서 5체적%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속 다공 구조를 갖지 않는 부분이 차지하는 비율은 종래 공지의 분석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선 토모그래피법이나 X선 마이크로 CT법 등에 의해 3차원 형상을 측정하고, 연속 다공 구조를 갖는 부분과 갖지 않는 부분의 체적으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분체를 구성하는 입자가, 연속 다공 구조를 갖는 코어층과, 그 주위를 덮도록 형성된, 연속 다공 구조를 실질적으로 갖지 않는 스킨층을 포함하는 입자인 경우에는, 중공 형상의 입자로서 경량의 필러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금속 복합 탄소 재료는, 연료 전지용 촉매로서 적합하게 사용된다. 즉, 본 발명의 연료 전지용 촉매는 본 발명의 금속 복합 탄소 재료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금속 복합 탄소 재료가 연료 전지용 촉매로서 사용되는 경우, 백금, 루테늄, 로듐, 팔라듐, 오스뮴 및 이리듐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전이 금속을 함유하는 금속 미립자가 담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금속 복합 탄소 재료가 특히 백금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내산화성이 높고, 본 발명의 연료 전지용 촉매는 장기간에 걸쳐 촉매 활성을 유지 가능하며, 연료 전지의 발전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본 발명의 연료 전지는 본 발명의 연료 전지용 촉매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금속 복합 탄소 재료는, 수소 흡장 재료로서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수소 흡장 재료는, 본 발명의 금속 복합 탄소 재료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금속 복합 탄소 재료는, 수소 흡장 재료로서 사용하는 경우, AB2형, AB5형, Ti-Fe계, V계, Mg 합금계, Pd계, Ca계 합금 등의 전이 금속을 적어도 일부에 포함하는 금속 미립자가 담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금속 복합 탄소 재료는, 연속 다공 구조에 연속한 공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소가 금속 미립자에 도달할 때까지의 확산, 투과에 대한 저항이 낮아, 효율적으로 수소를 금속 미립자에 대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수소를 저장한 금속 미립자는, 그 체적이 일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그 때에도 연속한 탄소 재료 부분이 서로 지지하는 효과에 의해, 큰 체적 변화를 수반해도 금속 복합 탄소 재료 자체가 파괴되기 어려워, 안정된 수소 저장, 방출 사이클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수소의 흡장, 방출에 수반되는 반응열의 수수 시에도, 연속한 탄소 재료 부분이 높은 열전도성을 갖기 때문에, 신속하게 온도 변화를 완료시키는 효과로부터, 고효율로 수소를 흡장, 방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일반적으로 수소 흡장 재료는, 흡장과 방출을 반복하면, 취화가 진행되어 미분화해서 계 외로 나와버리거나 입자 간의 공극이 좁아지게 되어 버려서, 수소 흡장 효율이 저하되지만, 본 발명의 금속 복합 탄소 재료이면, 미분화한 금속 미립자를, 연속 다공 구조 내에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흡장, 방출을 반복해도 성능 열화가 적은 재료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금속 복합 탄소 재료를 수소 흡장 재료로서 사용한 수소 탱크는, 수소 흡장 재료 내에 신속하게 수소를 확산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흡장, 방출의 효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수소 탱크는 본 발명의 수소 흡장 재료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수소 탱크 내의 금속 복합 탄소 재료의 비율은, 충전물의 총량에 대하여 1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95중량% 이하이면 충분히 상기 효과를 발휘하며, 또한 수소 가스의 유로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수소 가스의 유로는 다양한 방법을 들 수 있다. 다공질 재료에 의한 파이프 등을 사용하면, 파이프 내에서의 신속한 가스의 유출, 유입과, 다공질 재료를 통과한 복합 탄소 재료에 대한 가스 확산을 양립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다공질 재료로서는, 금속 파이프에 천공한 것이나, 섬유 형상 금속을 소결한 것, 금속 산화물의 소결체, 통 형상의 네트 등의 형태를 예시할 수 있지만, 이외의 재료, 형태여도 상관없다.
<금속 복합 탄소 재료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금속 복합 탄소 재료는, 일례로서, 탄화 가능 수지와 소실 수지를 상용시켜서 수지 혼합물로 하는 공정(공정 1)과, 상용한 상태의 수지 혼합물을 상분리시켜서, 고정화하는 공정(공정 2)과, 가열 소성에 의해 탄화하는 공정(공정 3)과, 금속 미립자를 담지하는 공정(공정 4)을 갖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공정 1〕
공정 1은, 탄화 가능 수지 10 내지 90중량%와, 소실 수지 90 내지 10중량%를 상용시켜서, 수지 혼합물로 하는 공정이다.
여기서 탄화 가능 수지란, 소성에 의해 탄화하여, 탄소 재료로서 잔존하는 수지이며, 탄화 수율이 10% 이상이다. 탄화 가능 수지로서 열가소성 수지 및 열경화성 수지의 양쪽을 사용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의 경우, 가열이나 고에너지선 조사 등의 간편한 프로세스로 불융화 처리를 실시 가능한 수지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경화성 수지의 경우, 불융화 처리가 불필요한 경우가 많아,이쪽도 적합한 재료로서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의 예로서는, 폴리페닐렌옥시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페놀 수지, 전방향족 폴리에스테르를 들 수 있으며, 열경화성 수지의 예로서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알키드수지, 멜라민 수지, 우레아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디알릴프탈레이트 수지, 리그닌 수지, 우레탄 수지 등을 열거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혼합된 상태에서 사용해도 상관없지만, 열가소성 수지 혹은 열경화성 수지 각각의 중에서 혼합하는 것도 성형 가공의 용이성에서 바람직한 형태이다.
이 중에서도 탄화 수율과 성형성, 경제성의 관점에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형태이다. 이 중에서도 폴리페닐렌옥시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전방향족 폴리에스테르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한 소실 수지란, 후술하는 공정 2에 계속해서, 불융화 처리와 동시 혹은 불융화 처리 후, 또는 소성과 동시 중 어느 단계에서 제거할 수 있는 수지이다. 소실 수지는 소성 후의 탄화 수율이 10% 미만이다. 소실 수지를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약품을 사용해서 해중합하거나 하여 화학적으로 제거하는 방법, 소실 수지를 용해하는 용매를 첨가해서 용해 제거하는 방법, 가열해서 열분해에 의해 소실 수지를 저분자량화해서 제거하는 방법 등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 방법은 단독으로, 혹은 조합하여 사용해서 할 수 있다. 조합해서 실시하는 경우에는 각각을 동시에 실시해도 따로따로 실시해도 된다.
화학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으로서는, 산 또는 알칼리를 사용해서 가수분해하는 방법이 경제성이나 취급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산 또는 알칼리에 의한 가수분해를 받기 쉬운 수지로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소실 수지를 용해하는 용매를 첨가해서 제거하는 방법으로서는, 혼합된 탄화 가능 수지와 소실 수지에 대하여, 연속해서 용매를 공급해서 소실 수지를 용해, 제거하는 방법이나, 뱃치식으로 혼합해서 소실 수지를 용해, 제거하는 방법 등을 적합한 예로서 들 수 있다.
용매를 첨가해서 제거하는 방법에 적합한 소실 수지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등의 폴리올레핀, 아크릴 수지, 메타크릴 수지, 폴리비닐피롤리돈,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용매에 대한 용해성으로부터 비정질성의 수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그 예로서는 폴리스티렌, 메타크릴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를 들 수 있다.
열분해에 의해 소실 수지를 저분자량화해서 제거하는 방법으로서는, 혼합된 탄화 가능 수지와 소실 수지를 뱃치식으로 가열해서 열분해하는 방법이나, 연속해서 혼합된 탄화 가능 수지와 소실 수지를 가열원 중에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가열해서 열분해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소실 수지는, 이들 중에서도 후술하는 공정 3에 있어서, 탄화 가능 수지를 소성에 의해 탄화할 때 열분해에 의해 소실하는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고, 후술하는 탄화 가능 수지의 불융화 처리 시에 큰 화학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 열가소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소실 수지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등의 폴리올레핀, 아크릴 수지, 메타크릴 수지, 폴리아세탈, 폴리비닐피롤리돈,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지방족 폴리아미드, 폴리카르보네이트 등을 열거할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혼합된 상태에서 사용해도 상관없다.
공정 1에 있어서는, 탄화 가능 수지와 소실 수지를 상용시켜서, 수지 혼합물(폴리머 알로이(polymer alloy))이라 한다. 여기서 말하는 「상용시켜서」라 함은, 온도 및/또는 용매의 조건을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광학 현미경으로 탄화 가능 수지와 소실 수지의 상분리 구조가 관찰되지 않는 상태를 만들어 내는 것을 의미한다.
탄화 가능 수지와 소실 수지는, 수지끼리만의 혼합에 의해 상용시켜도 되고, 용매를 더 첨가함으로써 상용시켜도 된다.
복수의 수지가 상용하는 계로서는, 저온에서는 상분리 상태에 있지만 고온에서는 1상이 되는 상한 임계 공용 온도(UCST)형의 상도를 나타내는 계나, 반대로, 고온에서는 상분리 상태에 있지만 저온에서는 1상이 되는 하한 임계 공용 온도(LCST)형의 상도를 나타내는 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특히 탄화 가능 수지와 소실 수지 중 적어도 한쪽이 용매에 용해한 계인 경우에는, 비용매의 침투에 의해 후술하는 상분리가 유발되는 것도 적합한 예로서 들 수 있다.
첨가되는 용매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용해성의 지표가 되는 탄화 가능 수지와 소실 수지의 용해도 파라미터(SP값)의 평균값으로부터의 차의 절댓값이, 5.0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SP값의 평균값으로부터의 차의 절댓값은, 작을수록 용해성이 높은 것이 알려져 있기 때문에, 차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SP값의 평균값으로부터의 차의 절댓값은, 클수록 용해성이 낮아지게 되어, 탄화 가능 수지와 소실 수지의 상용 상태를 취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이러한 점에서 SP값의 평균값으로부터의 차의 절댓값은,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이하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용하는 계의 구체적인 탄화 가능 수지와 소실 수지의 조합예로서는, 용매를 포함하지 않는 계이면, 폴리페닐렌옥시드/폴리스티렌, 폴리페닐렌옥시드/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전방향족 폴리에스테르/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전방향족 폴리에스테르/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전방향족 폴리에스테르/폴리카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용매를 포함하는 계의 구체적인 조합예로서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로니트릴/폴리비닐페놀, 폴리아크릴로니트릴/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아크릴로니트릴/폴리락트산, 폴리비닐알코올/아세트산 비닐-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코올/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비닐알코올/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비닐알코올/전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가능 수지와 소실 수지를 혼합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균일하게 혼합 가능한 한 공지의 다양한 혼합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교반 날개를 갖는 로터리식의 믹서나, 스크루에 의한 혼련 압출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탄화 가능 수지와 소실 수지를 혼합할 때의 온도(혼합 온도)를, 탄화 가능 수지와 소실 수지가 모두 연화되는 온도 이상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한 형태이다. 여기에서 연화되는 온도는, 탄화 가능 수지 또는 소실 수지가 결정성 고분자이면 융점, 비정질성 수지이면 유리 전이점 온도를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혼합 온도를 탄화 가능 수지와 소실 수지가 모두 연화되는 온도 이상으로 함으로써 양자의 점성을 내릴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효율이 좋은 교반, 혼합이 가능해진다. 혼합 온도의 상한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열분해에 의한 수지의 열화를 방지하여, 품질이 우수한 탄소 재료의 전구체를 얻는 관점에서, 4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정 1에 있어서는, 탄화 가능 수지 10 내지 90중량%에 대하여 소실 수지 90 내지 10중량%를 혼합한다. 탄화 가능 수지와 소실 수지가 상기 범위 내이면, 최적의 구멍 사이즈나 공극률을 임의로 설계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탄화 가능 수지가 10중량% 이상이면, 탄화 후의 재료에 있어서의 역학적인 강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수율이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탄화 가능 수지가 90중량% 이하이면 소실 수지가 효율적으로 공극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탄화 가능 수지와 소실 수지의 혼합비에 대해서는, 각각의 재료의 상용성을 고려하여, 상기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일반적으로 수지끼리의 상용성은 그 조성비가 일대일에 근접해짐에 따라서 악화되기 때문에, 상용성이 그다지 높지 않은 계를 원료로 선택한 경우에는, 탄화 가능 수지의 양을 증가시키거나, 저감시키거나 하여, 소위 편 조성에 근접함으로써 상용성을 개선하는 것도 바람직한 형태로서 들 수 있다.
또한 탄화 가능 수지와 소실 수지를 혼합할 때 용매를 첨가하는 것도 바람직한 형태이다. 용매를 첨가함으로써 탄화 가능 수지와 소실 수지의 점성을 내려, 성형을 용이하게 하고, 탄화 가능 수지와 소실 수지를 상용화시키기 쉬워진다. 여기서 말하는 용매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탄화 가능 수지, 소실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용해, 팽윤시키는 것이 가능한 상온에서 액체인 것이면 된다. 용매가 탄화 가능 수지 및 소실 수지를 모두 용해하는 것이면, 양자의 상용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한 형태이다.
용매의 첨가량은, 탄화 가능 수지와 소실 수지의 상용성을 향상시켜서, 점성을 내려 유동성을 개선하는 관점에서 탄화 가능 수지와 소실 수지의 합계 중량에 대하여 20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편 용매의 회수, 재이용에 수반되는 비용의 관점에서, 탄화 가능 수지와 소실 수지의 합계 중량에 대하여 90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공정 2〕
공정 2는, 공정 1에 있어서 상용시킨 상태의 수지 혼합물을 상분리시켜서 미세 구조를 형성하고, 당해 미세 구조를 고정화하는 공정이다. 미세 구조로서 공연속 상분리 구조를 형성하면, 후술하는 소실 수지의 제거에 의해 연속 다공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혼합된 탄화 가능 수지와 소실 수지를 상분리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온도 변화에 의해 상분리를 유발하는 열 유기 상분리법, 비용매를 첨가함으로써 상분리를 유발하는 비용매 유기 상분리법, 화학 반응을 사용해서 상분리를 유발하는 반응 유기 상분리법이나, 광, 압력, 전단, 전기장, 자장의 변화를 이용해서 상분리를 일으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열 유기 상분리법과 비용매 유기 상분리법이, 상분리를 유발하는 조건을 제어하기 쉽고, 이로 인해 상분리 구조나 사이즈를 제어하는 것이 비교적 용이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들 상분리법은, 단독으로, 혹은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조합해서 사용하는 경우의 구체적인 방법은, 예를 들어 응고욕을 통해서 비용매 유기 상분리를 일으킨 후, 가열해서 열 유기 상분리를 일으키는 방법이나, 응고욕의 온도를 제어해서 비용매 유기 상분리와 열 유기 상분리를 동시에 일으키는 방법, 구금으로부터 토출된 재료를 냉각해서 열 유기 상분리를 일으킨 후에 비용매와 접촉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분리 시에, 화학 반응을 수반하지 않는 것도 바람직한 형태이다. 여기서 화학 반응을 수반하지 않는다라 함은, 혼합된 탄화 가능 수지 혹은 소실 수지가, 혼합 전후에 있어서 그의 1차 구조를 변화시키지 않음을 의미한다. 1차 구조란, 탄화 가능 수지 혹은 소실 수지를 구성하는 화학 구조를 가리킨다. 상분리 시에 화학 반응을 수반하지 않음으로써, 탄화 가능 수지 및/또는 소실 수지의 역학적, 화학적 특성이 손상되지 않기 때문에, 섬유 형상이나 필름 형상 등 임의의 구조체를 크게 성형 조건을 변경하지 않고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바람직한 형태이다. 특히 가교 반응 등을 일으키지 않고 상분리시켜서 미세 구조를 형성하고, 고정화시킨 경우에는, 가교 반응에 수반하는 대폭적인 탄성률 향상이 인정되지 않고, 성형 시에 유연한 구조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실 끊어짐이나 필름 파단에 이르지 않아, 섬유나 필름의 제조 공정 통과성이 우수하다.
〔소실 수지의 제거〕
공정 2에 있어서 상분리 후의 미세 구조가 고정화된 수지 혼합물은, 탄화 공정(공정 3) 혹은 탄화 공정 (3) 전의 어느 단계에서 소실 수지의 제거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실 수지의 제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실 수지를 분해,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산, 알칼리나 효소를 사용해서 소실 수지를 화학적으로 분해, 저분자량화해서 제거하는 방법이나, 소실 수지를 용해하는 용매를 첨가해서 용해 제거하는 방법, 전자선, 감마선이나 자외선, 적외선 등의 방사선을 사용해서 해중합함으로써 소실 수지를 제거하는 방법 등이 적합하다.
또한 특히 소실 수지가 열분해될 수 있는 경우에는, 미리 소실 수지의 80중량% 이상이 소실되는 온도로 열처리를 행할 수도 있고, 탄화 공정(공정 3) 혹은 후술의 불융화 처리에 있어서 열처리와 동시에 소실 수지를 열분해, 가스화해서 제거할 수도 있다. 공정수를 줄여서 생산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탄화 공정(공정 3) 혹은 후술의 불융화 처리에 있어서 열처리와 동시에 소실 수지를 열분해, 가스화해서 제거하는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보다 적합한 형태이다. 그 중에서도 특히, 탄화 공정(공정 3)에 있어서 탄화와 동시에 소실 수지의 제거를 행하는 것은, 공정수 감소에 의한 저비용화와 함께 수율 향상도 예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한 형태이다.
〔불융화 처리〕
공정 2에 있어서 상분리 후의 미세 구조가 고정화된 수지 혼합물, 혹은 당해 수지 혼합물에 필요에 따라서 추가로 상기의 소실 수지의 제거를 행한 것은, 탄화 공정(공정 3)에 제공되기 전에 불융화 처리가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융화 처리의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방법으로서는, 산소 존재하에서 가열함으로써 산화 가교를 일으키는 방법, 전자선, 감마선 등의 고에너지선을 조사해서 가교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반응성기를 갖는 물질을 함침, 혼합해서 가교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 산소 존재하에서 가열함으로써 산화 가교를 일으키는 방법이, 프로세스가 간편하며 제조 비용을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들 방법은 단독 혹은 조합하여 사용해도, 각각을 동시에 사용해도 따로따로 사용해도 된다.
산소 존재하에서 가열함으로써 산화 가교를 일으키는 방법에 있어서의 가열 온도는, 가교 반응을 효율적으로 진행시키는 관점에서 150℃ 이상의 온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화 가능 수지의 열분해, 연소 등에 의한 중량 손실로부터의 수율 악화를 방지하는 관점에서, 350℃ 이하의 온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처리 중의 산소 농도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8% 이상의 산소 농도를 갖는 기체를, 특히 공기를 그대로 공급하는 것이 제조 비용을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한 형태이다. 기체의 공급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기를 그대로 가열 장치 내에 공급하는 방법이나, 봄베 등을 사용해서 순산소를 가열 장치 내에 공급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전자선, 감마선 등의 고에너지선을 조사해서 가교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시판 중인 전자선 발생 장치나 감마선 발생 장치 등을 사용하여, 탄화 가능 수지에 전자선이나 감마선 등을 조사함으로써, 가교를 유발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조사에 의한 가교 구조의 효율적인 도입으로부터 조사 강도의 하한은 1kGy 이상이면 바람직하고, 주쇄의 절단에 의한 분자량 저하로부터 재료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1000kGy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탄소끼리의 이중 결합을 구조 내에 갖는 가교성 화합물을 병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가교성 화합물에 대해서도 공지의 임의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가교성 화합물로서, 에틸렌, 프로펜, 이소프렌, 부타디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디비닐벤젠,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모노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 디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분자 내에 탄소끼리의 이중 결합을 2 이상 갖는 가교성 화합물이면, 가교 반응을 효율적으로 진행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반응성기를 갖는 물질을 함침, 혼합해서 가교 구조를 형성하는 방법은, 반응성기를 갖는 저분자량 화합물을 수지 혼합물에 함침하여, 가열 또는 고에너지선을 조사해서 가교 반응을 진행시키는 방법, 미리 반응성기를 갖는 저분자량 화합물을 혼합해 두고, 가열 또는 고에너지선을 조사해서 가교 반응을 진행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불융화 처리 시에, 분해 처리를 동시에 행하는 것도 공정수 감소에 의한 저비용화의 혜택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하다.
또한, 공정 2에 있어서 상분리 후의 미세 구조가 고정화된 수지 혼합물 그 자체, 혹은 필요에 따라서 추가로 상기의 분해 처리 및/또는 불융화 처리에 제공된 전구체 재료로서, 소성함으로써 탄소 재료로 변환 가능한 상태에 있는 전구체 재료를, 이후 탄소 재료 전구체라 칭한다.
〔공정 3〕
공정 3은, 탄소 재료 전구체를 소성하고, 탄화해서 금속 입자 복합화 전의 다공질 탄소 재료(이하, 단순히 「탄소 재료」라고 함)를 얻는 공정이다.
탄소 재료 전구체를 충분히 탄화시키기 위해서, 소성은 불활성 가스 분위기에 있어서 600℃ 이상으로 가열함으로써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불활성 가스란, 가열 시에 화학적으로 불활성인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헬륨, 네온, 질소, 아르곤, 크립톤, 크세논, 이산화탄소 등이다. 그 중에서도 질소, 아르곤을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인 관점에서 바람직한 형태이다. 특히 탄화 온도를 1500℃ 이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질화물 형성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아르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화 온도가 600℃ 이상이면 충분히 탄화를 진행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탄화 온도가 800℃ 이상이면 연속 다공 구조를 구성하는 가지부에, 효율적으로 전술한 탄소 결정립이 형성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탄화 온도는 낮을수록 탄소 결정립의 크기가 작아지게 되고, 또한 높을수록 커지기 때문에, 목적으로 하는 탄소 결정립의 크기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불활성 가스의 유량은, 가열 장치 내의 산소 농도를 충분히 저하시킬 수 있는 양이면 되고, 가열 장치의 크기, 원료의 공급량, 가열 온도 등에 의해 적절히 최적의 값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량의 상한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제성이나 가열 장치 내의 온도 변화를 적게 하는 관점에서, 온도 분포나 가열 장치의 설계에 맞춰서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화 시에 발생하는 가스를 계 외로 충분히 배출할 수 있으면, 품질이 우수한 탄소 재료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한 형태이다. 이러한 점에서 계 내의 발생 가스 농도가 3,000ppm 이하가 되도록 불활성 가스의 유량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하는 온도의 상한은 한정되지 않고, 3000℃ 이하이면 충분히 탄화가 진행되고, 또한 설비에 특수한 가공이 필요 없기 때문에 경제적인 관점에서는 바람직하다.
연속적으로 탄화 처리를 행하는 경우의 가열 방법에 대해서는, 일정 온도로 유지된 가열 장치 내에, 재료를 롤러나 컨베이어 등을 사용해서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취출하는 방법인 것이, 생산성을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한편 가열 장치 내에서 뱃치식 처리를 행하는 경우의 승온 속도, 강온 속도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승온, 강온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1℃/분 이상의 속도이면 바람직하다. 또한 승온 속도, 강온 속도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가열 장치를 구성하는 재료의 내열 충격 특성보다도 늦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화 온도에서 유지하는 시간에 대해서는,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지하는 시간이 길수록 탄소 결정립을 크게 성장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짧을수록 작은 탄소 결정립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목적으로 하는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분 이상의 유지 시간으로 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탄소 결정립을 성장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또한 유지 시간은 길더라도 1200분 이내로 하는 것이 에너지 소비를 억제해서 효율적으로 탄소 재료가 얻어지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탄소 재료 전구체를 분쇄 처리한 것을 상기 공정 3에 제공하거나, 혹은 공정 3을 거쳐서 얻어진 탄소 재료를 더 분쇄 처리함으로써, 분말 형상의 탄소 재료를 제조할 수 있다. 분쇄 처리는, 종래 공지의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며, 분쇄 처리를 실시한 후의 입도, 처리량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쇄 처리 방법의 예로서는, 볼 밀, 비즈 밀, 제트 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분쇄 처리는, 연속식이어도 뱃치식이어도 되지만, 생산 효율의 관점에서 연속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볼 밀에 충전하는 충전재는 적절히 선택되고, 금속 재료의 혼입이 바람직하지 않은 용도에 대해서는,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티타니아 등의 금속 산화물에 의한 것, 혹은 스테인리스, 철 등을 코어로 하고 나일론, 폴리올레핀, 불화폴리올레핀 등을 코팅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외의 용도이면 스테인리스, 니켈, 철 등의 금속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한 분쇄 시에, 분쇄 효율을 높이는 점에서, 분쇄 보조제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한 형태이다. 분쇄 보조제는, 물, 알코올 또는 글리콜, 케톤 등으로부터 임의로 선택된다. 알코올은, 에탄올, 메탄올이 입수의 용이성이나 비용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글리콜인 경우에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이 바람직하다. 케톤인 경우에는, 아세톤, 에틸메틸 케톤, 디에틸케톤 등이 바람직하다. 분쇄 보조제는, 분쇄 후에 세정이나 건조를 행함으로써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쇄 처리가 실시된 탄소 재료는, 분급되어 입도가 고른 재료가 된다. 입도가 고른 탄소 재료는, 예를 들어 공정 4에 있어서의 금속 미립자와의 복합에 있어서, 기상 혹은 액상에 의한 담지 처리를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입도에 대해서는, 분쇄 처리 후의 탄소 재료의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활 처리〕
부활 처리는, 공정 3에 있어서 얻은 탄화물, 또는 공정 4에 있어서 얻은 금속 미립자를 복합화한 탄화물을, 부활해서 다공질 탄소 재료를 얻는 공정이다. 부활의 방법으로서는, 가스 부활법, 약품 부활법 등,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스 부활법이란, 부활제로서 산소나 수증기, 탄산 가스, 공기 등을 사용하고, 400 내지 1500℃,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900℃에서, 수 분에서 수 시간 가열함으로써 세공을 형성시키는 방법이다. 또한, 약품 부활법이란, 부활제로서 염화아연, 염화철, 인산칼슘, 수산화칼슘, 수산화칼륨, 탄산마그네슘,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황산, 황산나트륨, 황산칼륨 등을 1종 또는 2종 이상 사용해서 수 분에서 수 시간 가열 처리하는 방법이며, 필요에 따라서 물이나 염산 등에 의한 세정을 행한 후, pH를 조정해서 건조한다.
부활을 보다 진행시키거나, 부활제의 혼합량을 증가시키거나 함으로써, 일반적으로 BET 비표면적이 증가하고, 세공 직경은 확대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부활제의 혼합량은, 대상으로 하는 탄소 원료 1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5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중량부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4중량부 이상으로 한다.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10 중량부 이하가 일반적이다. 또한, 가스 부활법보다 약품 부활법의 쪽이, 세공 직경은 확대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세공 직경을 크게 하거나, BET 비표면적을 증가시키거나 할 수 있기 때문에, 약품 부활법이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그 중에서도, 수산화칼슘, 수산화칼륨, 탄산칼륨 등의 알칼리성 약제로 부활하는 방법이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알칼리성 약제로 부활한 경우, 산성 관능기량이 증대되는 경향이 있어, 용도에 따라서는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때에는, 질소나 아르곤, 수소와 같은 환원성 분위기하에서의 가열 처리를 행함으로써, 저감시킬 수도 있다.
〔공정 4〕
공정 4는, 공정 3에 의해 얻어진 탄소 재료에 금속 미립자를 담지해서 금속 복합 탄소 재료를 얻는 공정이다.
탄소 재료에 금속 미립자를 담지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금속 미립자의 액체 슬러리를 함침해서 건조하는 방법, 금속 미립자의 전구체를 용액으로서 함침한 후 건조하는 방법, 금속 미립자의 에어로졸을 탄소 재료에 투과시키는 방법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금속 미립자의 액체 슬러리를 함침해서 건조, 금속 복합 탄소 재료로 하는 방법인 경우에는, 금속 미립자의 크기를 연속 다공 구조의 구조 주기에 대하여, 0.8배 이하의 평균 직경이 되도록 조정하면, 연속 다공 구조 내에 효율적으로 금속 미립자를 담지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액체 슬러리 중의 금속 미립자의 농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농도가 낮을수록 금속 미립자의 확산, 투과를 방해하지 않고 균일한 담지가 가능해지고, 또한 농도가 높을수록 다량의 금속 미립자를 담지할 수 있다.
금속 미립자의 액체 슬러리 중에는, 금속 미립자의 분산성을 개선할 목적으로, 분산제, 점도 조정제 등을 함유해도 된다. 분산제는 금속 미립자가 전하를 갖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면 좋다. 또한 점도 조정제를 첨가하여, 금속 미립자가 응집 구조를 취하지 않고, 고분산을 유지할 수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점도 조정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액체의 종류에 따라서, 이것에 용해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액체가 물인 경우에는, 폴리알킬렌글리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전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계면 장력을 조정하는 의미에서, 알코올, 에테르 등을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점도 조정제나 알코올, 에테르의 첨가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50중량% 이내이면 충분히 점도나 계면 장력의 조정을 행할 수 있어, 금속 미립자를 고도로 분산시킨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금속 미립자의 전구체를 용액으로서 함침, 건조해서 금속 복합 탄소 재료로 하는 방법으로서는, 금속 미립자의 전구체로서 금속염의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금속염이란, 금속을 적어도 일부에 포함하는 화합물을 의미하고, 수산화물, 할로겐화물 등을 포함한다. 금속염을 수용액으로 했을 때의 pH는 산성, 중성, 염기성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금속염의 용액은, 점도가 낮고, 연속 다공 구조 내로의 확산, 투과가 신속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고효율로 금속염을 담지할 수 있다. 탄소 재료에 금속염의 용액을 함침할 때에는, 양자를 가열, 교반하면서 pH를 조정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pH가 조정된 금속염의 용액은, 금속 미립자가 탄소 재료의 표면에 석출되기 쉽고, 담지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pH의 값은, 금속 미립자를 탄소 재료의 표면에 석출시킨다면 특별히 제한은 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금속염의 용액이 산성 또는 염기성인 경우에는, 이것을 중화하는 방향으로 염기 또는 산을 첨가해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금속 미립자의 전구체의 농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01 내지 10wt%의 범위이면 담지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고, 또한 탄소 재료의 표면적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용액을 함침, 건조된 복합 탄소 재료는, 그 후에 환원 공정을 거치는 것도 바람직하다. 환원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액상에서 환원을 행하는 방법과, 기상에서 환원을 행하는 방법이, 조작이 간편하며, 효율적으로 저렴하게 환원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액상에서 환원을 행하는 경우에는, 건조된 금속 복합 탄소 재료에 대하여 환원제 용액을 혼합해서 환원시킨 후, 순수 등을 사용해서 세정 후에 건조하는 공정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예를 기재하지만, 이들 기재는 본 발명을 전혀 제한하지 않는다.
평가 방법
〔연속 다공 구조〕
시료를 분쇄해서 전자 현미경용 시료대에 놓고 관찰을 행하였다. 이때, 관찰 시료에 있어서, 깊이 방향으로 구멍부와 가지부가 연속하면서 서로 얽힌 모습이 관찰된 경우, 연속 다공 구조를 갖고 있다고 판단하였다.
〔연속 다공 구조의 구조 주기〕
시료를 시료 플레이트에 끼워 넣고, CuKα선 광원으로부터 얻어진 X선원으로부터 산란 각도 10도 미만의 정보가 얻어지도록, 광원, 시료 및 2차원 검출기의 위치를 조정하였다. 2차원 검출기로부터 얻어진 화상 데이터(휘도 정보)로부터, 빔 스토퍼의 영향을 받고 있는 중심 부분을 제외하고, 중심으로부터 동경(動徑)을 두고, 각도 1°마다 360°의 휘도값을 합산해서 산란 강도 분포 곡선을 얻었다. 얻어진 곡선에 있어서 피크를 갖는 위치의 산란 각도 2θ로부터, 연속 다공 구조의 구조 주기를 하기의 식에 의해 얻었다.
Figure 112017031656014-pct00002
구조 주기: L, λ: 입사 X선의 파장
〔X선 회절 피크〕
시료를 시료 플레이트에 세트한 후에, 분말법에 의해, 리가쿠덴키사 제조 X선 회절 장치 RINT2500을 사용해서 X선 회절 프로파일을 얻었다.
〔탄소 결정립의 유무 및 크기, 탄소 결정립의 존재 비율〕
시료 중의 연속 다공 구조를 갖는 부분에 대하여, 수렴 이온빔으로 투과형 전자 현미경 관찰용의 초박 절편을 제작하고, 이것을 투과형 전자 현미경에 의해 관찰하였다. 도 2에 예시한 연속 다공 구조의 가지부에 흑색 콘트라스트 부분이 존재하는 것을, 탄소 결정립을 갖는다고 판정하였다. 또한 얻어진 흑색 콘트라스트 부분을 무작위로 10군데 추출하고, 흑색 콘트라스트 부분의 면적을, 투과형 전자 현미경 사진을 촬영한 화상의 픽셀 사이즈를 기준으로 하여 구하고, 동등한 면적을 갖는 원으로서 그 원의 직경을 환산하고, 추출한 10군데의 평균값을 구하여, 탄소 결정립의 크기로 하였다. 또한 얻어진 흑색 콘트라스트 부분의 면적이, 해석에 사용한 면적 전체에 차지하는 비율을, 탄소 결정립의 존재 비율로 하였다.
〔탄소 원자의 존재 비율〕
상기 탄소 결정립의 크기를 측정한 초박 절편 중, 무작위로 선택한 흑색 콘트라스트부 10군데에 대하여, 각각 에너지 분산형 X선 분광 분석에 의해 탄소 원자의 중량당 존재 비율을 구하고, 10군데의 평균값을 탄소 원자의 존재 비율로 하였다.
〔평균 공극률〕
시료를 수지 중에 포매하고, 그 후 면도기 등으로 단면을 노출시켜서, 니혼덴시사 제조 SM-09010을 사용해서 가속 전압 5.5㎸로 시료 표면에 아르곤 이온빔을 조사, 에칭을 실시하였다. 얻어진 복합 탄소 재료의 단면을 주사형 2차 전자 현미경으로 재료 중심부를 1±0.1(㎚/화소)가 되도록 조정된 확대율로, 70만 화소 이상의 해상도로 관찰한 화상으로부터, 계산에 필요한 주목 영역을 512화소 사방으로 설정하고, 주목 영역의 면적 A, 구멍의 면적을 B로 하여, 하기의 식으로 산출된 것을 의미한다.
평균 공극률(%)=B/A×100
〔세공 직경 분포 곡선의 취득〕
시료를 300℃, 5시간의 조건하에 진공 건조를 행함으로써 흡착한 가스 성분을 제거하였다. 그 후, 시마즈세이사쿠쇼사 제조 오토포어 IV9500을 사용해서 세공 직경 분포 곡선을 취득하였다.
〔금속 미립자의 평균 직경〕
금속 복합 탄소 재료를 투과형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얻어진 화상으로부터 독립적으로 관찰되는 금속 미립자를 10군데 추출하고, 각각 직경을 구해서 평균값을 얻음으로써 금속 미립자의 평균 직경으로 하였다.
〔금속 미립자의 원소 조성〕
상기 직경을 측정한 금속 미립자가 존재하는 부분에 대하여, 에너지 분해형 X선 분석에 의해, 금속 미립자 부분의 원소 조성을 분석하였다.
[실시예 1]
탄화 가능 수지로서 70g의 폴리사이언스사 제조 폴리아크릴로니트릴(MW 15만)과, 소실 수지로서 70g의 시그마·알드리치사 제조 폴리비닐피롤리돈(MW 4만), 및 용매로서 400g의 와켄야쿠사 제조 디메틸술폭시드(DMSO)를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3시간 교반 및 환류를 행하여, 150℃에서 균일하고 투명한 용액인 수지 혼합물을 조정하였다. 이때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의 농도, 폴리비닐피롤리돈의 농도는 각각 13중량%였다.
얻어진 수지 혼합물을 25℃까지 냉각한 후, 0.6㎜φ의 1혈 구금으로부터 3㎖/분으로 용액을 토출하여, 25℃로 유지된 순수의 응고욕으로 유도하고, 그 후 6m/분의 속도로 인취하여, 배트 위에 퇴적시킴으로써, 미세 구조가 형성된 원사를 얻었다. 이때 에어 갭은 5㎜로 하고, 또한 응고욕 중의 침지 길이는 15㎝로 하였다. 얻어진 원사는 반투명하며, 상분리(미세 구조를 형성)를 일으키고 있었다.
얻어진 원사를 25℃로 유지한 순환식 건조기에서 1시간 건조해서 원사 표면의 수분을 건조시킨 후, 25℃에서 5시간의 진공 건조를 행하여, 건조 후의 전구체 재료인 원사를 얻었다.
그 후 240℃로 유지한 전기로 중에 전구체 재료인 원사를 투입하고, 산소 분위기하에서 1시간 가열함으로써 불융화 처리를 행하였다. 불융화 처리를 행한 원사는, 흑색으로 변화하였다.
얻어진 불융화 처리를 행한 원사를 질소 유량 1리터/분, 승온 속도 10℃/분, 도달 온도 1500℃, 유지 시간 10분의 조건하에 탄화 처리를 행함으로써, 탄소 섬유(탄소 재료)로 하였다.
얻어진 탄소 섬유(탄소 재료)의 중심부에는 연속 다공 구조를 갖는 코어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의 구조 주기는 88㎚, 평균 공극률은 55%였다. 또한 세공 직경 분포 곡선으로부터, 50㎚에 세공 직경 분포의 피크를 갖는 것이며, 또한 그의 단면을 해석하면, 섬유 직경은 160㎛이며, 코어층의 주위에 형성된 연속 다공 구조를 갖지 않는 부분인 스킨층의 두께는 5㎛였다. 또한 섬유 중심부에는 균일한 연속 다공 구조가 형성되어 있었다.
또한, X선 회절 프로파일을 측정한바, 25.5°를 피크 톱으로 하는 피크가 관측되었다. 또한 수렴 이온빔을 사용해서 절편 두께 80㎚로 연속 다공 구조를 구성하는 부분을 잘라내어, 투과형 전자 현미경을 사용해서 구조를 관찰한 결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색 콘트라스트의 연속 다공 구조를 구성하는 구멍부와, 회색 콘트라스트의 연속 다공 구조를 구성하는 가지부와, 회색 콘트라스트의 연속 다공 구조를 구성하는 가지부 중 일부에 흑색 콘트라스트를 갖는 탄소 결정립이 관측되었다. 탄소 결정립의 크기는 30㎚이며, 탄소 결정립의 존재 비율은 1.0%였다. 또한 탄소 원자의 존재 비율을 측정한바 91%였다.
얻어진 연속 다공 구조를 갖는 탄소 섬유를, 유발을 사용해서 조분쇄한 후, 직경 90㎜의 볼 밀 내에 10g 투입하고, 동시에 직경 10㎜의 볼 10개를 투입, 100rpm에서 12hr 분쇄해서 탄소 분말을 얻었다. 얻어진 탄소 분말에는 연속 다공 구조가 관찰되고(도 1), 상기 연속 다공 구조의 구조 주기는 86㎚, 평균 공극률은 55%였다.
얻어진 연속 다공 구조를 갖는 탄소 분말 100㎎을, 염화백금산 150㎎과 순수 20㎖를 미리 혼합한 수용액 중에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해서 분산액으로 하였다. 얻어진 분산액을, 70℃로 유지된 워터 배스 중에서 교반하고, 10분에 한 번의 비율로 pH를 측정하고, pH가 7 이상이 되도록 1M-NaOH를 적절히 첨가하는 조작을, 가열을 시작하고 나서부터 합계 60분 실시하였다. 그 후 여과를 행하고, 순수 100㎖를 사용해서 세정을 행한 후, 풍건하여 금속 복합 탄소 재료의 전구체를 얻었다. 상기 전구체를 알루미나제 도가니에 50㎎ 투입하고, 0.1L/분의 유량으로 유지한 질소 95%, 수소 5%의 환원성 분위기에서, 250℃, 4시간의 환원 처리를 실시하여, 탄소 분말에 금속 미립자를 담지시키고, 금속 복합 탄소 재료를 얻었다.
얻어진 금속 복합 탄소 재료에는, 백금 미립자가 담지되어 있는 모습이 흑색 입자로서 확인되었다(도 2). 또한, 흑색 입자의 평균 직경은 3㎚였다. 또한 흑색 입자의 원소 조성은, 80%가 전이 금속인 백금이었다.
또한, 얻어진 금속 복합 탄소 재료에는 연속 다공 구조가 관찰되고, 탄소 결정립의 크기 및 존재 비율은 금속 복합화 전의 값과 동등하였다.
또한, 금속 복합 탄소 재료로부터 금속 미립자를 제거한 후에 마찬가지의 측정 방법으로 측정한바, 연속 다공 구조가 관찰되고, 구조 주기, 평균 공극률, 세공 직경 분포 곡선, X선 회절 프로파일은 금속 복합화 전의 값과 동등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탄소 분말에 대하여, 수산화칼륨을 탄화물 대비 4배량 혼합하고, 회전 가마 내에 투입해서 질소 유통하에서 820℃까지 승온하였다. 1시간 45분 부활 처리한 후, 강온하고 나서 물과 희염산을 사용하여, 세정액이 pH 7 부근이 될 때까지 세정하였다. 얻어진 처리 후의 탄소 분말은, 공연속 구조 부분의 평균 공극률은 63%이며, 구조 주기는 76㎚였다. 또한 공연속 구조를 갖지 않는 부분을 입자의 일부에 포함하는 구조를 하고 있었다. BET 비표면적은 2590㎡/g, MP법에 의한 세공의 평균 직경은 0.8㎚, 세공 용적은 2.2㎤/g이었다.
그 후, 얻어진 탄소 분말을 사용해서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탄소 분말에 금속 미립자를 담지시키고, 금속 복합 탄소 재료를 얻었다.
얻어진 금속 복합 탄소 재료에는, 백금 미립자가 담지되어 있는 모습이 흑색 입자로서 확인되었다. 또한, 흑색 입자의 평균 직경은 3㎚였다. 또한 흑색 입자의 원소 조성은, 80%가 전이 금속인 백금이었다.
또한, 얻어진 금속 복합 탄소 재료에는 연속 다공 구조가 관찰되고, 탄소 결정립의 크기 및 존재 비율은 금속 복합화 전의 값과 동등하였다.
또한, 금속 복합 탄소 재료로부터 금속 미립자를 제거한 후에 마찬가지의 측정 방법으로 측정한바, 연속 다공 구조가 관찰되고, 구조 주기, 평균 공극률, 세공 직경 분포 곡선, X선 회절 프로파일은 금속 복합화 전의 값과 동등하였다.

Claims (10)

  1. 탄소 골격과 공극이 각각 연속 구조를 이루고, 구조 주기가 10㎚ 이상 10㎛ 이하인 연속 다공 구조 내에, 금속 미립자가 담지되어 이루어지는, 금속 복합 탄소 재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다공 구조의 평균 공극률이 10 내지 80%인, 금속 복합 탄소 재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표면에 평균 직경 0.01 내지 10㎚의 미세 구멍을 갖는, 금속 복합 탄소 재료.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미립자가 전이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금속 복합 탄소 재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금속 원소가, 루테늄, 로듐, 팔라듐, 오스뮴, 이리듐, 백금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의 전이 금속 원소인, 금속 복합 탄소 재료.
  6. 제5항에 기재된 금속 복합 탄소 재료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연료 전지용 촉매.
  7. 제6항에 기재된 연료 전지용 촉매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연료 전지.
  8. 제4항에 기재된 금속 복합 탄소 재료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수소 흡장 재료.
  9. 제8항에 기재된 수소 흡장 재료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수소 탱크.
  10. 제1항에 기재된 금속 복합 탄소 재료의 제조 방법으로서,
    공정 1: 탄화 가능 수지 10 내지 90중량%와, 소실 수지 90 내지 10중량%를 상용시켜서, 수지 혼합물로 하는 공정;
    공정 2: 수지 혼합물을 상분리시켜서 미세 구조를 형성하고, 당해 미세 구조를 고정화하는 공정;
    공정 3: 탄화해서 탄소 재료를 얻는 공정;
    공정 4: 탄소 재료에 금속 미립자를 담지하는 공정
    을 이 순서로 갖는 금속 복합 탄소 재료의 제조 방법.
KR1020177008859A 2014-09-16 2015-09-14 금속 복합 탄소 재료, 연료 전지용 촉매, 연료 전지, 수소 흡장 재료, 수소 탱크 및 금속 복합 탄소 재료의 제조 방법 KR1024097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87481 2014-09-16
JP2014187481 2014-09-16
PCT/JP2015/075995 WO2016043153A1 (ja) 2014-09-16 2015-09-14 金属複合炭素材料、燃料電池用触媒、燃料電池、水素吸蔵材料、水素タンクおよび金属複合炭素材料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6579A KR20170056579A (ko) 2017-05-23
KR102409766B1 true KR102409766B1 (ko) 2022-06-17

Family

ID=55533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8859A KR102409766B1 (ko) 2014-09-16 2015-09-14 금속 복합 탄소 재료, 연료 전지용 촉매, 연료 전지, 수소 흡장 재료, 수소 탱크 및 금속 복합 탄소 재료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70309923A1 (ko)
EP (1) EP3213815B1 (ko)
JP (1) JP6931971B2 (ko)
KR (1) KR102409766B1 (ko)
CN (1) CN107073446B (ko)
TW (1) TWI689463B (ko)
WO (1) WO20160431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59943B2 (en) * 2014-07-24 2018-12-25 Toray Industries, Inc. Carbon membrane for fluid separation, fluid separation membrane module, and method for producing carbon membrane for fluid separation
JP6703911B2 (ja) * 2016-07-14 2020-06-03 日本製鉄株式会社 燃料電池用触媒層、触媒担体用炭素材料、及び触媒担体用炭素材料の製造方法
WO2019065910A1 (ja) * 2017-09-28 2019-04-04 日本ゼオン株式会社 炭素シート
US20220158187A1 (en) * 2019-03-20 2022-05-19 Sekisui Chemical Co., Ltd. Composite material, electrode material for electricity storage devices, and electricity storage device
CN112850685B (zh) * 2019-11-27 2022-10-18 厦门稀土材料研究所 一种二维碳材料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2337247B1 (ko) * 2019-12-05 2021-12-09 울산과학기술원 금속 나노입자-탄소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JPWO2022138195A1 (ko) * 2020-12-23 2022-06-30
KR102664139B1 (ko) 2021-05-27 2024-05-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핫스탬핑 강재의 수소흡장저감을 위한 Al계 산화층 도금방법
CN114678544B (zh) * 2022-04-01 2023-04-07 昆明理工大学 3D多级孔氮掺杂碳负载单原子Fe催化剂的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15636A (ja) * 2008-02-26 2010-05-27 Nissan Motor Co Ltd ミクロポーラス炭素系材料、ミクロポーラス炭素系材料の製造方法及びミクロポーラス系炭素材料を用いた水素吸蔵方法
WO2012018117A1 (ja) 2010-08-05 2012-02-09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Cnt集合体及び積層体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40546B2 (ja) * 1999-06-07 2007-07-04 株式会社東芝 パターン形成方法およびパターン形成材料
WO2002081372A2 (en) * 2001-04-06 2002-10-17 Carnegie Mellon University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nanostructured materials
JP2003172499A (ja) * 2001-09-28 2003-06-20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水素貯蔵装置
US7094276B2 (en) * 2001-09-28 2006-08-22 Kabushiki Kaisha Toyota Chuo Kenkyusho Hydrogen storage material and hydrogen storage apparatus
JP3779700B2 (ja) * 2002-06-03 2006-05-31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ミセル含有有機ポリマー、有機ポリマー多孔体及び多孔炭素材料
JP4204272B2 (ja) * 2002-08-02 2009-01-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用電極触媒及び燃料電池
JP4824816B2 (ja) * 2007-06-13 2011-11-30 株式会社アルバック 基板支持機構
CN102007071B (zh) * 2008-04-16 2013-09-18 日东电工株式会社 纤维状柱状结构体集合体和使用该集合体的粘合部件
JP5636171B2 (ja) 2009-06-19 2014-12-03 東洋炭素株式会社 多孔質炭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67935B1 (ko) * 2010-09-29 2019-04-10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다공체와 그의 제조 방법
CN103459312A (zh) * 2011-03-31 2013-12-18 巴斯夫欧洲公司 颗粒状多孔碳材料及其在锂电池中的应用
US10011487B2 (en) * 2013-03-22 2018-07-03 Toray Industries, Inc. Porous carbon material, precursor for porous carbon material, process for producing precursor for porous carbon material, and process for producing porous carbon material
EP3171437A4 (en) * 2014-07-15 2018-03-28 Toray Industries, Inc. Electrode material for metal-air batter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15636A (ja) * 2008-02-26 2010-05-27 Nissan Motor Co Ltd ミクロポーラス炭素系材料、ミクロポーラス炭素系材料の製造方法及びミクロポーラス系炭素材料を用いた水素吸蔵方法
WO2012018117A1 (ja) 2010-08-05 2012-02-09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Cnt集合体及び積層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09923A1 (en) 2017-10-26
EP3213815A1 (en) 2017-09-06
TW201619049A (zh) 2016-06-01
JPWO2016043153A1 (ja) 2017-06-29
CN107073446A (zh) 2017-08-18
EP3213815B1 (en) 2021-08-11
CN107073446B (zh) 2022-07-01
JP6931971B2 (ja) 2021-09-08
KR20170056579A (ko) 2017-05-23
EP3213815A4 (en) 2018-03-28
TWI689463B (zh) 2020-04-01
WO2016043153A1 (ja) 2016-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9766B1 (ko) 금속 복합 탄소 재료, 연료 전지용 촉매, 연료 전지, 수소 흡장 재료, 수소 탱크 및 금속 복합 탄소 재료의 제조 방법
Liu et al. Progress of fabrication and applications of electrospun hierarchically porous nanofibers
KR102383873B1 (ko) 다공질 탄소 재료 및 다공질 탄소 재료의 제조 방법
Trogadas et al. Hierarchically structured nanomaterials for electrochemical energy conversion
Inonu et al. An emerging family of hybrid nanomaterials: metal–organic framework/aerogel composites
Xia et al. Mesostructured hollow spheres of graphitic N-doped carbon nanocast from spherical mesoporous silica
Choi et al. Binary and ternary doping of nitrogen, boron, and phosphorus into carbon for enhancing electrochemical oxygen reduction activity
Baumann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copper-doped carbon aerogels
Chen et al. Nitrogen doping effects on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mesoporous carbons
KR102380372B1 (ko) 금속 공기 전지용 전극 재료
Moreno-Castilla et al. Physicochemical surface properties of Fe, Co, Ni, and Cu-doped monolithic organic aerogels
JP5696813B2 (ja) 多孔質炭素材料、多孔質炭素材料プリカーサー、多孔質炭素材料プリカーサーの製造方法及び多孔質炭素材料の製造方法
Daniel et al. Upcycling of polyurethane into iron-nitrogen-carbon electrocatalysts active for oxygen reduction reaction
Huang et al. Monodisperse mesoporous carbon nanoparticles from polymer/silica self-aggregates and their electrocatalytic activities
KR102380433B1 (ko) 전극 재료, 리튬 황 전지 전극, 리튬 황 전지 및 전극 재료의 제조 방법
JP2017162754A (ja) 鉛蓄電池用電極およびこれを用いた鉛蓄電池
Zhao et al. Yolk-porous shell nanospheres from siliver-decorated titanium dioxide and silicon dioxide as an enhanced visible-light photocatalyst with guaranteed shielding for organic carrier
Yu et al. Large-scale synthesis of flexible TiO2/N-doped carbon nanofibres: A highly efficient all-day-active photocatalyst with electron storage capacity
JP6610255B2 (ja) 多孔質炭素材料
JP2006056750A (ja) 多孔質炭素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6056053A (ja) 多孔質炭素材料および多孔質炭素材料の製造方法
Li et al. Bayberry-kernel-derived wormlike micro/mesoporous carbon decorated with human blood vessel-like structures and active nitrogen sites as highly sensitive electrochemical sensors for efficient lead-ion detection
JP6515470B2 (ja) 吸着材料
Carrillo Rodríguez Development of heteroatoms-doped ordered mesoporous carbon hollow spheres: evaluation as electrocatalysts for the oxygen reduction reaction= Desarrollo de esferas huecas de carbón mesoporoso ordenado dopadas con heteroátomos: evaluación como electrocatalizadores para la reacción de reducción de oxígen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