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9695B1 - 명태 껍질 튀각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명태 껍질 튀각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9695B1
KR102409695B1 KR1020200064540A KR20200064540A KR102409695B1 KR 102409695 B1 KR102409695 B1 KR 102409695B1 KR 1020200064540 A KR1020200064540 A KR 1020200064540A KR 20200064540 A KR20200064540 A KR 20200064540A KR 102409695 B1 KR102409695 B1 KR 102409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ollack
pollock
f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4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7388A (ko
Inventor
박명식
Original Assignee
박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명식 filed Critical 박명식
Priority to KR1020200064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695B1/ko
Publication of KR20210147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7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3/10Soup concentrates, e.g. powders or c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4Dried sp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1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oi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명태 껍질 튀각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자세하게는 명태 껍질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활용함으로써 영양 성분과 기호성을 충족시킨 명태 껍질을 이용한 튀각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명태 껍질을 이용한 튀각 및 그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명태 껍질을 주원료로 하여 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여 활용함으로써 명태 처리 부산물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어서 친환경적이고, 맛과 영양 성분을 극대화하고 기호성을 높여서 연령대를 불문하고 영양 간식이나 술안주로 손쉽게 섭취할 수 있어서 기호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조 생산 후에도 오랜 기간에 걸쳐 제품이 유지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품질을 높이고, 유통기한에 따른 제품의 보관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명태 껍질 튀각 및 그의 제조 방법{Fried pollack skin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명태 껍질 튀각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자세하게는 명태 껍질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활용함으로써 영양 성분과 기호성을 충족시킨 명태 껍질을 이용한 튀각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 기술의 발전과 다양한 음식 소재의 개발로 인하여 식생활이 날로 개선되고 있는데, 이에 따라 정서에 부합되는 고유한 다양한 소재를 포함하면서도 기능성이 가미되는 조리 기술들이 속속 개발되고 있다.
그 중, 명태는 한편, 명태는 대구목 대구과(Family Gradidate)에 속하는 냉수성 어종으로, 단일어종 중 가장 수확량이 많은 수산물이며, 지속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어종이다. 또한, 명태 근육은 대표적인 오메가-3 지방산인 EPA 및 DHA의 함량이 많고, 기름기가 적어 맛이 담백하며, 비타민, 무기질이 풍부하고, 열량이 낮아 우리나라 소비자들이 아주 선호하는 대표적인 수산물 중 하나이다. 그리고 명태 뼈는 칼슘과 인과 같은 무기질과 콜라겐이 주성분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명태는 우리나라에서의 경우 전 등의 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단순가공품, 마른노가리, 코다리, 북어, 건어포, 황태, 식해 등과 같이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고, 해외에서는 주로 연육의 소재나 스테이크 등의 소재로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명태 뼈는 칼슘 및 콜라겐의 추출 소재로도 적절히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명태의 이용에 관한 연구로는 식혜의 제조, 연육 및 어묵의 제조, 껍질로부터 젤라틴 및 이의 가수분해물 제조, 머리로부터 조미소재의 개발, 명태 초무침, 젓갈의 제조 등과 같이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으나
최근 식품 제조회사들은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저지방, 무지방, 저콜레스테롤 및 저칼로리 스낵 등의 건강지향적인 식품뿐만 아니라 새로운 소재를 이용한 제품을 계획, 출시하고 있으며, 다양한 영양분이 포함되어 있는 명태 껍질을 활용하여 영양성과 기호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식품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2041089호(2019년10월31일)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2046387호(2019년11월13일)
본 발명자는 명태 껍질을 활용하여 맛과 영양이 뛰어나고 기능성이 겸비된 제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후술하는 바와 같이 명태 껍질을 주 재료로 하여 효율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제조되는 튀각의 맛과 영양이 풍부하고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명태 껍질을 재료로 하여 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여 제조함으로써 맛과 영양이 풍부하고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명태 껍질 튀각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a) 얼은 동태에서 껍질을 포로 뜨고, 아황산나트륨 용액에 담가 비린내를 제거한 후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처리 단계;
b) 전처리된 명태 껍질을 일정 크기로 세절하는 단계;
c) 명태 껍질 재료를 옥배유와 전분 분말에 묻힌 다음 튀김기를 사용하여 180~220 ℃에서 8~12초 동안 튀기는 튀김 단계;
d) 튀킨 명태의 기름기를 제거하는 탈유 단계;
e) 별도로, 시즈닝 소스를 준비하는 단계;
f) 튀김이 식기 전에 명태 껍질 튀김에 시즈닝 소스를 65~75:25~35의 중량비로 가하여 튀김에 시즈닝 소스를 입히는 단계;
g)시즈닝 소스가 입혀진 튀킴을 건조시키는 단계;
h) 건조된 튀김을 일정한 규격으로 포장하는 단계; 및
i) 포장된 튀김을 살균 처리하는 살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태 껍질을 이용한 튀각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튀각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명태 껍질을 이용한 튀각 및 그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명태 껍질을 주원료로 하여 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여 활용함으로써 명태 처리 부산물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어서 친환경적이고, 맛과 영양 성분을 극대화하고 기호성을 높여서 연령대를 불문하고 영양 간식이나 술안주로 손쉽게 섭취할 수 있어서 기호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조 생산 후에도 오랜 기간에 걸쳐 제품이 유지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품질을 높이고, 유통기한에 따른 제품의 보관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명태 껍질 튀각의 제조 공정도이다.
본 발명은, 일면에 있어서,
a) 얼은 동태에서 껍질을 포로 뜨고, 아황산나트륨 용액에 담가 비린내를 제거한 후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처리 단계;
b) 전처리된 명태 껍질을 일정 크기로 세절하는 단계;
c) 명태 껍질 재료를 옥배유와 전분 분말에 묻힌 다음 튀김기를 사용하여 180~220 ℃에서 8~12초 동안 튀기는 튀김 단계;
d) 튀킨 명태의 기름기를 제거하는 탈유 단계;
e) 별도로, 시즈닝 소스를 준비하는 단계;
f) 튀김이 식기 전에 명태 껍질 튀김에 시즈닝 소스를 65~75:25~35의 중량비로 가하여 튀김에 시즈닝 소스를 입히는 단계;
g)시즈닝 소스가 입혀진 튀킴을 건조시키는 단계;
h) 건조된 튀김을 일정한 규격으로 포장하는 단계; 및
i) 포장된 튀김을 살균 처리하는 살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태 껍질을 이용한 튀각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명태 껍질 튀각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후에 세절된 명태 껍질을 명태 부산물 염지액에 담궈서 10분 ~ 2시간 동안 침지시키는 소스액 침지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태 껍질을 이용한 튀각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추가의 다른 일면에 있어서,
상기 명태 부산물 염지액은
a1) 명태로 부터 제거된 내장을 포함하는 부산물을 염지액에 10 ~ 60 분 동안 염지시키는 단계;
a2) 염지된 부산물을 건져내어 건조시키는 단계;
a3) 건조된 부산물을 80~200 메쉬로 분말화하는 단계;
a4) 얻어진 분말 10중량부에 양파 슬라이스 10~20 중량부, 대파 슬라이스 10~20 중량부, 청양고추 분말 10~30 중량부, 홍고추 분말 5~15 중량부, 양조 간장 2~5 중량부, 허브 추출액 10~20 중량부 및 소량의 천일염을 더하여 혼합액을 얻는 단계; 및
a5) 상기 혼합액을 0~10℃에서 10 분 내지 12 시간 동안 숙성시켜 명태 부산물 염지액을 얻는 단계;에 의해 제조되고, 상기 a1) 단계에서 염지액은 소금 0.5 ~ 3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태 껍질을 이용한 튀각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추가의 다른 일면에 있어서,
상기 시즈닝 소스는 매운 고추가루 30~40 중량부, 들깨 가루 10~20 중량부, 다진 마늘 7~12 중량부, 허브 추출액 15~25 중량부, 정제수 5~15 중량부, 전분 7~10중량부, 설탕 5~10 중량부, 가공 소금 0.8~1.2중량부, 콩가루 0.3~0.7 중량부, 및 생강가루 0.3~0.7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태 껍질을 이용한 튀각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명태 껍질을 이용한 튀각 및 그의 제조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명태 껍질 튀각의 제조 공정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명태 껍질을 이용한 튀각의 제조 방법은 크게 전처리 단계, 세절 단계, 염지 단계, 튀김 단계, 탈유 단계, 시즈닝 소스 준비 단계, 소스입히기 단계, 건조 단계, 포장 단계 및 살균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각 개별 단계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a) 전처리 단계
먼저, 명태 껍질을 수집한 후 손질하여 전처리하는 단계로서, 명태는 주로 얼은 동태 상태로 유통이 되고 있으므로, 동태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곧바로 해동하지 않고 얼은 동태 상태에서 살코기를 포떠서 사용한다. 전처리 단계에서는 포를 뜨고 남은 명태 껍질을 수집한 후 이를 아황산나트륨 용액에 담가 비린내를 제거한다.
아황산나트륨은 무수아황산 또는 아황산염이라고도 불리며 효모, 곰팡이, 박테리아의 성장을 방해하는 효과를 나타내 산화방지제, 표백제, 사진현상액, 방부제, 보존제 또는 식품 첨가제로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 기준 1일 허용치는 이산화황(SO2)으로 환산하여 0.03g/kg, WTO ADI 기준 1일 허용치는 이산화황으로 환산하여 0.7mg/kg. 기준치 이상(건조 과일 20개 혹은 와인 4잔 분량) 섭취했을 때 두통, 복통을 비롯해 위 점막 자극, 기관지염 등의 문제가 일어날 수 있으며, 천식 환자와 아황산 알레르기를 갖고 있는 사람은 기준치 이하로 섭취해도 치명적이다.
아황산나트륨은 메타중아황산나트륨, 메타중아황산칼륨, 무수아황산, 산성아황산나트륨, 및 차아황산나트륨과 함께 식품첨가물 공전에 등재되어 있는 물질이다.
아황산나트륨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1.5% 수용액 상태로 명태 껍질을 10분 내지 2시간 담궈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 후 명태 껍질을 정제수 등을 이용하여 고압 분사수를 분사하거나 또는 흐르는 물을 이용하여 세척하고 이물질을 제거한다.
b) 세절 단계
그 다음, 전처리된 명태 껍질을 적당한 크기로(바람직하게는 5~10cm의 길이로) 세절한다.
b1) 염지 단계
세절된 명태 껍질을 명태 부산물 염지액에 담궈서 10분 ~ 2시간 동안 침지시키는 단계로서, 염지액이 명태 껍질내로 충분히 스며들게 한다. 이 단계는 필요에 따라서 생략할 수 있다.
상기 명태 부산물 염지액은 a1) 명태로 부터 제거된 내장을 포함하는 부산물을 염지액에 10 ~ 60 분 동안 염지시키는 단계; a2) 염지된 부산물을 건져내어 건조시키는 단계; a3) 건조된 부산물을 80~200 메쉬로 분말화하는 단계; a4) 얻어진 명태 부산물 분말 10중량부에 대하여 양파 슬라이스 10~20 중량부, 대파 슬라이스 10~20 중량부, 청양고추 분말 10~30 중량부, 홍고추 분말 5~15 중량부, 양조 간장 2~5 중량부, 및 허브추출액 10~20 중량부를 더하여 혼합액을 얻는 단계; 및 a5) 상기 혼합액을 0~10℃에서 10분 내지 12시간 동안 숙성시켜 명태 부산물 염지액을 얻는 단계;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1) 단계에서 사용되는 염지액은 소금 0.5 ~ 3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 다음, a2) 단계에서 명태 부산물을 건져내어 건조시킨다. 건조시 50 내지 65℃의 열풍을 명태 부산물에 가하여 10분 내지 60분 동안 건조시켜 수분을 제거하여 제품의 품질 특성을 높이고 이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별법으로 고온의 화염을 적용하되 껍질이 타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초 동안의 짧은 시간 동안 명태 껍질을 직화 처리하는 것도 바람직 할 수 있다.
상기 a3) 단계에서는 건조된 명태 부산물을 분쇄기나 커터기 등을 이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50~ 200 메쉬의 입도로 분말화 한 후, a4) 단계에서는 소스 혼합액을 가하여 균질하게 혼합한다.
소스 혼합액은 명태 부산물 분말 10중량부에 대하여 양파 슬라이스 10~20 중량부, 대파 슬라이스 10~20 중량부, 청양고추 분말 10~30 중량부, 홍고추 분말 5~15 중량부, 양조 간장 2~5 중량부, 및 허브추출액 10~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허브 추출액은 식용으로 사용되는 허브 추출액을 제한없이 기호에 따라서 이용할 수 있고, 식용 식물 추출액 또는 식물성 오일이나 식물 종자유 등을 사용해도 좋다.
특히 바람직한 허브 추출액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매실, 더덕, 도라지, 달래, 냉이, 칡, 솔잎, 민들레, 쑥, 뽕잎, 다래나무, 곰취, 엉겅퀴, 참느릅나무, 미나리, 돌나물, 고들빼기, 엄나무, 씀바귀, 참취, 머위, 익모초, 두릅, 박하, 구절초, 둥굴레, 서양산사자, 오미자, 다래, 오디, 머루, 우산나물, 수리취, 헛개나무, 칡꽃, 진달래꽃, 원추리, 돼지감자, 케일, 편백, 쑥갓, 쇠무릎, 찔레꽃, 블루베리, 산딸기, 산수유, 로즈마리, 라벤더, 세이지, 타임, 페퍼민트, 오레가노, 레몬밤, 레몬버베나, 안젤리카, 바질, 보리지, 코리안더, 데이지, 아이리스, 아이비, 쟈스민, 마조람, 매도우스위트, 민트, 머그워트(Mugwort), 머스타드시드, 로즈, 아보카도, 벤조인, 캠퍼(Camphor), 캐러웨이, 셀러리, 시나몬, 씨트로넬라, 쿠민, 유칼립투스, 포도씨, 아이리스, 호호바, 쥬니퍼, 라임, 오렌지, 스피아민트(Spearmint) 및 티트리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허브 식물을 적절히 처리하여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스액은 추가로 기호에 따라 액상 과당, 물엿 또는 후추 등을 적당량으로 포함해도 좋다.
별법으로, 상기 명태 부산물 염지액은 명태 내장 등의 성분을 발효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항아리 등의 용기에 적당량의 소금에 재어 3 개월 내지 3년 동안 장기 발효시킨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명태 부산물 염지액은 최종 튀각 제품에 대하여 깊은 감칠 맛을 제공할 수 있다.
그 다음, a5) 숙성 단계에서는 상기 혼합액을 0~10℃에서 10 분 내지 12 시간 동안 숙성시켜 명태 부산물 염지액을 얻는다.
c) 튀김 단계
명태 껍질 재료를 염지액으로 부터 건져낸 후 건조시키고, 옥배유와 전분 분말에 묻힌 다음 수유식 튀김기를 사용하여 180~220℃에서 8~12초 동안 튀긴다.
명태 껍질, 옥배유, 전분 분말의 혼합비는 중량을 기준으로 65~75: 15~25:5~15의 비율이 적당하다.
상기 전분 분말은 녹말, 전분, 밀가루, 멥쌀가루, 찹쌀가루, 대두분, 들깨가루, 땅콩 가루, 치즈, 분말 콜라겐, 한천, 모밀 및 옥수수 가루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분 분말은 초산 전분, 변성 전분 또는 젤라틴화된 전분 등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분 분말은 찹살가루와 녹말 가루를 3:1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더욱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d) 탈유 단계
이어서, 튀킨 명태 껍질을 채반위에 위치시켜 30분 내지 3시간 동안 정치하여 기름기를 제거한다.
e) 시즈닝 소스 준비 단계
본 발명의 명태 껍질 튀각을 제조함에 있어서 시즈닝 소스는 기호에 따라서 다양한 성분을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시즈닝 소스는, 예를 들면, 매운 고추가루 30~40 중량부, 들깨 가루 10~20 중량부, 다진 마늘 7~12 중량부, 허브 추출액 15~25 중량부, 정제수 5~15 중량부, 전분 7~10중량부, 설탕 5~10 중량부, 가공 소금 0.8~1.2중량부, 콩가루 0.3~0.7 중량부, 및 생강가루 0.3~0.7 중량부를 혼합하여 소스를 만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즈닝 소스는 추가로 기호에 따라 매운 맛, 순한 맛 등을 부여할 수 있고, 액상 과당, 물엿 또는 후추 등을 적당량으로 포함해도 좋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시즈닝 혼합액은 0 ~ 10℃에서 10분 내지 12시간 동안 숙성시켜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허브 추출액은 식용유, 식용 식물 추출액 또는 식물 종자유 등을 사용해도 좋다.
상기 양념 소스는 추가로 조미료를 미량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조미료의 예로는 설탕, 과일쥬스, 레몬그래스, 칠리, 펙틴, 인산, 솔빈산 칼륨, 자일로오스, L-소디움글루타메이트, 들기름, 콩기름, 김가루, 다시다, 마요네즈, 케첩, 데리야끼소스, 핫소스, 치즈, 천연치자액, 식초, 생강즙, 소금, 꿀, 과당, 올리고당, 후추가루, 솔빈산 칼륨, D-키실로오스, 풋고추, 펙티나아제, 셀룰라아제, 포도당, 치커리화이바, 구연산, 비타민 C, 유당, 천연 또는 합성 감미료를 주된 재료로 이용할 수 있다.
f) 소스 입히기 단계
탈유처리된 명태 껍질 튀김이 식기 전에 시즈닝 소스를 골고루 입혀서 소스가 제품의 내부로 스며들게 하여 튀각의 맛을 배가시킨다.
명태 껍질 튀김이 식기 전에 명태 껍질 튀김에 시즈닝 소스를 7:3의 중량비로 가하여 회전식 혼합기를 사용하여 튀김에 시즈닝 소스를 입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g) 건조 단계
그 다음, 소스가 입혀진 명태 겁질 튀김을 50 내지 65℃의 열풍을 명태 껍질튀각에 가하여 10분 내지 60 분 동안 건조시켜 수분을 제거하여 제품의 품질 특성을 높이고 이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별법으로, 텀블러에 넣고 1~2분 정도 구동하거나 건조기를 사용하여 100 ~ 200℃에서 10분 전후로 건조시킬수 도 있다.
h) 포장 단계
이와 같이 제조된 튀각은 일정 단위로 포장하여 보관하는데, 포장팩 등의 형태로 포장하여 유통 기한을 고려하여 냉동 또는 냉장 보관하는 것이 좋다.
i) 살균 단계
또한, 필요에 따라서 장기간의 유통 기간이 필요한 경우에 제조된 튀각은 살균 단계를 거쳐도 좋다.
포장된 식품 제형을 살균시키는 단계로서는 제형 및 포장 형태에 따라서 다양한 살균 방식을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으나, 통상적인 자외선 살균, 레토르트 멸균 또는 증기 멸균 방식을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서 이러한 조건을 미세하게 변형하여 수행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명태 껍질을 이용한 튀각 및 그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주원료인 명태 껍질을 적절히 처리하고 적절한 소스로 활용함으로써 영양 성분을 극대화하고 기호성을 높여서 연령대를 불문하고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어서 기호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조 생산 후에도 오랜 기간에 걸쳐 제품이 유지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품질을 높이고, 유통기한에 따른 제품의 보관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실시예 1 ~ 4: 명태 껍질 튀각의 제조
얼은 동태를 처리한 후 얻은 명태 껍질 30 Kg을 구입하여 1.5% 아황산나트륨 용액에 30분 동안 담가 비린내를 제거한 후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5~10 cm의 크기로 세절한 다음, 다음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명태 부산물 염지액에 담궈서 1 시간 동안 침지시켰다. 이어서, 명태 껍질을 건져내어 60℃에서 30분 동안 건조시키고, 명태 껍질을 옥배유와 전분 분말에 70:20: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명태 껍질을 묻힌 다음 튀김기를 사용하여 200℃에서 10초 동안 튀겼다. 이어서, 튀킨 명태 껍질의 기름기를 제거하고, 명태 껍질 튀김에 대하여 다음의 표 2에 나타낸 바의 시즈닝 소스를 첨가하여 옷을 입히고, 건조시키셔 명태 튀각을 제조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명태껍질 분말 100g 100g 100g 100g
양파 슬라이스 100g 150g 200g 200g
대파 슬라이스 200g 150g 200g 100g
청양고추 분말 300g 300g 100g 300g
홍고추 분말 50g 150g 140g 150g
양조 간장 40g 30g 50g 20g
매실 추출액 200g 100g 200g 110g
천일염 10g 20g 10g 20g
실시예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매운 고춧가루 300g 350g 400g 370g
들깨가루 200g 200g 100g 100g
다진 마늘 120g 70g 100g 70g
매실 추출액 190g 150g 150g 120g
정제수 50g 60g 80g 150g
전분 70g 70g 100g 70g
설탕 52g 100g 50g 100g
소금 8g 10g 12g 12g
콩가루 3g 7g 4g 4g
생강가루 7g 3g 4g 4g
시험예 1: 관능 평가
본 발명의 실시예 1~4에 따른 스낵 제품과 비교 제품(N사 제품)을 조리한 후 경험이 풍부한 다양한 연령대의 평가단 50인을 대상으로 시식하게 한 다음 설문 조사를 하고 응답자가 느끼는 식감, 풍미, 감칠맛 및 전체적인 기호도를 5점 비교법으로 채점한 후, 이를 평균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식감 4.47±0.32 4.45±0.46 4.49±0.63 4.21±0.31 3.15±1.15
풍미 4.46±0.64 4.44±0.33 4.55±0.31 4.12±0.14 3.21±1.25
감칠맛 4.42±0.36 4.43±0.76 4.52±0.15 4.34±0.43 3.18±0.36
전체적 기호도 4.43±0.53 4.43±0.34 4.51±0.28 4.26±0.52 3.14±0.63
그 결과 실시예 3의 제품이 식감과 감칠맛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매우 우수하였고, 실시예의 제품은 전반적으로 비교예의 것에 비하여 현저히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상기 표 3의 결과로 볼 때,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품들은 연령대에 상관 없이 종래의 일반 식품에 비하여 종합적으로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명태 껍질을 이용한 튀각에 대한 다양한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고, 이에 제조 산업 관계자들의 관심과 역할 등이 추가로 발생하는 계기를 제공하여, 일자리 창출과 웰빙 식문화에 앞장서 갈 수 있는 연구 사업으로 판단된다. 사회적, 문화적으로 건강과 관련된 이슈가 대중매체 등에서 현재와 미래에 계속 대두되고 있으므로, 본 발명과 같은 기능성 식품들이 많이 개발되어 사회적인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기술자는 아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a) 얼은 동태에서 껍질을 포로 뜨고, 아황산나트륨 용액에 담가 비린내를 제거한 후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처리 단계;
    b) 전처리된 명태 껍질을 일정 크기로 세절하는 단계;
    c) 명태 껍질 재료를 옥배유와 전분 분말에 묻힌 다음 튀김기를 사용하여 180~220 ℃에서 8~12초 동안 튀기는 튀김 단계;
    d) 튀킨 명태의 기름기를 제거하는 탈유 단계;
    e) 별도로, 시즈닝 소스를 준비하는 단계;
    f) 튀김이 식기 전에 명태 껍질 튀김에 시즈닝 소스를 65~75:25~35의 중량비로 가하여 튀김에 시즈닝 소스를 입히는 단계;
    g)시즈닝 소스가 입혀진 튀킴을 건조시키는 단계;
    h) 건조된 튀김을 일정한 규격으로 포장하는 단계; 및
    i) 포장된 튀김을 살균 처리하는 살균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 후에 세절된 명태 껍질을 명태 부산물 염지액에 담궈서 10분 ~ 2시간 동안 침지시키는 소스액 침지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명태 부산물 염지액은
    a1) 명태로 부터 제거된 내장을 포함하는 부산물을 염지액에 10 ~ 60 분 동안 염지시키는 단계;
    a2) 염지된 부산물을 건져내어 건조시키는 단계;
    a3) 건조된 부산물을 80~200 메쉬로 분말화하는 단계;
    a4) 얻어진 분말 10중량부에 양파 슬라이스 10~20 중량부, 대파 슬라이스 10~20 중량부, 청양고추 분말 10~30 중량부, 홍고추 분말 5~15 중량부, 양조 간장 2~5 중량부, 허브 추출액 10~20 중량부 및 소량의 천일염을 더하여 혼합액을 얻는 단계; 및
    a5) 상기 혼합액을 0~10℃에서 10 분 내지 12 시간 동안 숙성시켜 명태 부산물 염지액을 얻는 단계;에 의해 제조되고, 상기 a1) 단계에서 염지액은 소금 0.5 ~ 3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며,
    상기 시즈닝 소스는 매운 고추가루 30~40 중량부, 들깨 가루 10~20 중량부, 다진 마늘 7~12 중량부, 허브 추출액 15~25 중량부, 정제수 5~15 중량부, 전분 7~10중량부, 설탕 5~10 중량부, 가공 소금 0.8~1.2중량부, 콩가루 0.3~0.7 중량부, 및 생강가루 0.3~0.7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태 껍질을 이용한 튀각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064540A 2020-05-28 2020-05-28 명태 껍질 튀각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409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540A KR102409695B1 (ko) 2020-05-28 2020-05-28 명태 껍질 튀각 및 그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540A KR102409695B1 (ko) 2020-05-28 2020-05-28 명태 껍질 튀각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7388A KR20210147388A (ko) 2021-12-07
KR102409695B1 true KR102409695B1 (ko) 2022-06-15

Family

ID=78868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4540A KR102409695B1 (ko) 2020-05-28 2020-05-28 명태 껍질 튀각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9695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4079B1 (ko) * 2012-04-20 2013-12-23 주식회사 대양식품 황태 부각을 제조하는 방법
KR101853535B1 (ko) * 2016-01-29 2018-04-30 강정길 명태튀김 제조방법
KR102046387B1 (ko) 2019-04-29 2019-11-19 박상임 황태튀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황태튀김
KR102041089B1 (ko) 2019-04-30 2019-11-06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명태 쿠키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04073A (ko) * 2019-07-03 2021-01-13 조재율 생선 껍질을 이용한 스낵 및 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7388A (ko) 202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87068A (zh) 一种速食五香手撕牛肉食品
CN104621476A (zh) 一种方便薯类面皮及其加工方法
KR101826344B1 (ko) 장어추출물이 함유된 소스 및 그 소스를 이용한 양념장어의 제조방법
CN101152012A (zh) 一种复合营养鱼制品
KR102297656B1 (ko) 감칠맛이 뛰어난 건어물용 매운맛 마요네즈 및 이를 포함하는 건어물용 매운맛 소스
KR102409695B1 (ko) 명태 껍질 튀각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10004073A (ko) 생선 껍질을 이용한 스낵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9297009A (ja) ミンチ及びそれを用いた食品
KR102360060B1 (ko) 황태 껍질 튀각 및 그의 제조 방법
KR0155427B1 (ko) 샌드위치샐러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82559B1 (ko) 배즙 숙성 훈제 오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01824B1 (ko) 단호박과 꽃게를 이용한 키토산 김치의 제조방법
KR20210004069A (ko) 갑각류를 이용한 스낵 및 그의 제조 방법
Amani et al. Processed meat products: health issues and attempts toward healthier food
RU2095999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соуса из сладкого перца
RU2144776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лбасных изделий
Kupriy et al. Scientific rationale of ingredients choice for functional fish pastes
Skachkov et al. Using lingonberries in the production of meat products
CN104872710B (zh) 一种肉包翅食品的制作方法
KR102067897B1 (ko) 떡볶이 순대 제조방법
CN104544324A (zh) 一种鱿鱼丝调味食品的制备方法
KR101633686B1 (ko) 해조류를 이용한 샐러드의 제조방법
KR100961243B1 (ko) 심황과 갈치를 첨가한 김치 및 그의 제조방법
Askarov et al. CHEMICAL COMPOSITION OF FISH PRODUCTS
JP2008054655A (ja) ス−プ状コンブ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