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8976B1 - 흑삼제조용 증숙장치 및 흑삼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흑삼제조용 증숙장치 및 흑삼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8976B1
KR102408976B1 KR1020210098178A KR20210098178A KR102408976B1 KR 102408976 B1 KR102408976 B1 KR 102408976B1 KR 1020210098178 A KR1020210098178 A KR 1020210098178A KR 20210098178 A KR20210098178 A KR 20210098178A KR 102408976 B1 KR102408976 B1 KR 102408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steaming
steam
temperature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8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3930A (ko
Inventor
김무중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리본진생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리본진생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리본진생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013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3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8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8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2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 A47J31/467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for the infus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2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0Urns with devices for keeping beverages hot or cool
    • A47J31/505Urns with devices for keeping beverages hot or cool with heat-supply reg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흑삼제조용 증숙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증삼기 내부 다단의 채반위에 손질된 원료삼을 올려놓고, 증삼기 내 하단의 증삼 솥에 일정량의 물(인삼 200 Kg 대비 약 1 Ton)을 넣고 외부 보일러를 사용하여 물을 끓여서 증기를 공급하는 단계와, 원하는 흑삼의 진세노사이드가 충분히 생성이 되도록 증숙시간, 온도, 압력, 습도 등을 유지하는 단계(Control Box)와, 증숙된 인삼을 건조기로 옮겨서 저온건조(60℃) 및 고온건조(120℃)하는 단계와, 증삼을 완료한 후, 증삼 솥 안에 남아있는 잔류물 속에 포함된 인삼 유효성분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중탕방식으로 물을 끓인 수증기로 증삼을 하는 방식으로 인삼이 갈라지거나 타지 않고, 증삼과정에서 온도, 압력, 유기산의 작용으로 인하여 인삼에 함유된 진세노사이드 성분의 화학적 변화가 일어나 흑삼의 주요 진세노사이드 성분인 Rg3, Rk1, Rg5 등을 대량으로 생성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증삼이 완료된 후, 증삼 솥 안에 남아있는 잔류물 속에 포함된 인삼 유효성분을 회수하여 추출/농축과정에 활용함으로써 인삼의 유효성분 유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흑삼제조용 증숙장치 및 흑삼제조 방법 {Steaming device for manufacturing black ginseng and manufacturing method of black ginse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흑삼을 제조하기 위한 흑삼제조용 증숙장치 및 흑삼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삼의 진세노사이드는 성분에 따라서 흡수율과 약리작용이 차별화된다. 홍삼이 가지고 있는 진세노사이드로는 Rb1, Rg1, Rg3가 대표적인 진세노사이드이다. 흑삼의 성분을 분석해보면 Rg3, Rk1, Rg5와 같은 진세노사이드 성분이 주요성분이다.
흑삼은 홍삼을 만드는 과정을 반복하여 만드는데, 전통적으로 9증9포(아홉번 증숙, 9번 건조) 과정을 통하여 만들어진다. 최근에는 4~5회 정도 반복해서 만들기도 한다. 이와 같이, 반복적으로 증삼하는 과정에서 인삼이 가지고 있는 유효성분(사포닌, 즉 배당체)의 화학적 변화(탈당화, 가수분해 등)가 계속적으로 일어나 단계별로 새로운 진세노사이드가 생성된다(도 1 참조).
기존의 증삼기로 온도를 100℃이상 올리게 되면 열기로 인하여 인삼의 표피가 타서 벤조피렌이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존재한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홍삼을 제조할 때는 100℃이하로 증삼처리를 한다. 흑삼을 제조하려면 전통적인 9증9포를 해야 하므로 많은 시간과 비용이 발생하여 결국 제품의 가격이 고가로 형성하게 된다.
또한, 기존의 증삼기는 외부 스팀공급관으로부터 스팀을 발생시켜 증삼기 내에서 스팀으로 증삼하는 방식으로,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스팀공급관에서 녹이나 찌거기 등이 유입되어 인삼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증삼과정에서 인삼의 고유활성 성분(전분이나 사포닌 등)이 냉각과정에서 스팀 배출관으로 물과 함께 외부로 배출되어 인삼의 효능이 감소된다.
즉 기존의 증삼기에서는, 스팀온도를 100℃ 이상으로 올릴 경우에 인삼 표피가 갈라지거나 타서 벤조피렌 등이 생성될 수 있고, 외부 스팀 공급관을 사용하기 때문에 증삼하는 동안 갈라진 인삼에서 나온 유효성분을 회수하지 못하고 배출하여 버리게 되므로 손실이 많은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선행기술문헌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954382에는 '인삼 증삼기 및 증삼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청구항 1을 보면, 증삼기 상부에 설치된 스팀배출관(30)을 통해 스팀을 외부로 배출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이는 상기에서 서술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소지가 있다 하겠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954382 (2010.04.15 등록)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통적인 흑삼제조방법인 9증9포 방식으로 가공하여 얻을 수 있는 흑삼과 유효성분인 진세노사이드 성분을 얻기 위하여, 본 발명으로 제조한 증삼기를 사용하여 단 1회의 증삼과정으로 안정적인 흑삼과 유효성분인 진세노사이드를 생성함으로써 시간과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는 흑삼제조용 증숙장치 및 흑삼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흑삼제조용 증숙장치 및 방법은 증삼기 내부 다단의 채반위에 손질된 원료삼을 올려놓고, 증삼기 내 하단의 증삼 솥에 일정량의 물(인삼 200 Kg 대비 약 1 Ton)을 넣고 외부 보일러를 사용하여 물을 끓여서 증기를 공급하는 단계와, 원하는 흑삼의 진세노사이드가 충분히 생성이 되도록 증숙시간, 온도, 압력, 습도 등을 유지하는 단계(Control Box)와, 증숙된 인삼을 건조기로 옮겨서 저온건조(60℃) 및 고온건조(120℃)하는 단계와, 증삼을 완료한 후, 증삼 솥 안에 남아있는 잔류물 속에 포함된 인삼 유효성분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흑삼제조용 증숙장치 및 방법은 중탕방식으로 물을 끓인 수증기로 증삼을 하는 방식으로 인삼이 갈라지거나 타지 않고, 증삼과정에서 온도, 압력, 유기산의 작용으로 인하여 인삼에 함유된 진세노사이드 성분의 화학적 변화가 일어나 흑삼의 주요 진세노사이드 성분인 Rg3, Rk1, Rg5 등을 대량으로 생성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증삼이 완료된 후, 증삼 솥 안에 남아있는 잔류물 속에 포함된 인삼 유효성분을 회수하여 추출/농축과정에 활용함으로써 인삼의 유효성분 유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인삼의 가공 상태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도시한 블록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흑삼제조용 증숙장치의 사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흑삼제조용 증숙장치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흑삼의 크로마토그래피 성분분석 결과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지,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서는 안 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흑삼 제조 방법은, 증삼기 내부 다단의 채반위에 손질된 원료삼을 올려놓고, 증삼기 내 하단의 증삼 솥에 일정량의 물(인삼 200 KG 대비 약 1 Ton)을 넣고 외부 보일러를 사용하여 물을 끓여서 증기를 공급하는 단계와, 원하는 흑삼의 진세노사이드가 충분히 생성이 되도록 증숙시간, 온도, 압력, 습도 등을 유지하는 단계(Control Box)와, 증숙된 인삼을 건조기로 옮겨서 저온건조(60℃) 및 고온건조(120℃)하는 단계와, 증삼을 완료한 후, 증삼 솥 안에 남아있는 잔류물 속에 포함된 인삼 유효성분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흑삼제조용 증숙 장치를 서술한다. 증숙 장치는 바닥 열선, 증삼용 물솥, 채반 및 선반, 증기 순환 파이프, 압력 조절 장치, 센서 및 컨트롤 박스를 포함한다. 바닥 열선은 외부 보일러와 연결되어 있다. 바닥 열선 위에는 증삼용 물솥이 배치되는데, 바닥 열선의 열기로 물을 끓일 수 있도록 배치된다. 증삼용 물솥 위쪽으로는 선반이 배치되어 복수 개의 채반이 선반에 결합된다.
장치 측면 및/또는 상면에는 증기 순환 파이프가 배치된다. 또한, 파이프 중간에는 압력 조절 장치가 형성된다. 증기로 증삼을 할 때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충분한 압력을 유지하도록 순환 파이프가 배치된다. 단, 원하는 압력 및 습도 이상이 될 때에는 압력 조절 장치를 이용하여 증기를 순간 배출하여 압력을 조절한다.
센서는 증삼기 내부의 온도, 압력 및 습도를 검출하여 컨트롤 박스로 신호를 보낸다.
컨트롤 박스는 센서의 신호에 따라 압력 조절 장치를 구동하여 증삼기 내부의 압력 및 습도를 조절한다.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컨트롤 박스가 보일러에도 연결되어 증삼기 내부의 증기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보일러를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1) 제1 단계는 증삼기 내부 다단의 채반위에 손질된 원료삼을 올려놓고, 증삼기 내 하단의 증삼 솥에 일정량의 물(인삼 200 KG 대비 약 1 Ton)을 넣고 외부 보일러를 사용하여 물을 끓여서 증기를 공급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은 증삼기 안에 채반을 올려놓고 가마솥에서 중탕하는 효과를 내는 것처럼 증삼기 하단부의 증삼용 솥에 열을 공급해서 물을 고온으로 끓여서 수증기를 발생시켜 증삼한다.
2) 제2 단계는 원하는 흑삼의 진세노사이드가 충분히 생성이 되도록 증숙시간, 증기온도, 증기압력, 증기습도 등을 유지하는 단계(Control Box)이다.
물의 온도를 120℃ 로 끓이면서 발생한 수증기와 증삼기 내에 형성된 압력이 인삼에 가해지면서 유기산의 작용으로 인삼이 내부적으로 화학적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일정한 압력과 습도가 차면 증기를 자동으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압력 및 습도를 조절한다.
바람직하게, 증숙시간은 3~4시간, 증기 온도는 70~80℃, 압력은 0.8~1.0 kgf/cm2, 습도 70~80% 를 유지하도록 한다.
3) 제3 단계는 증숙된 인삼을 건조기로 옮겨서 저온건조(60℃) 및 고온건조(120℃)하는 단계이다.
증숙된 인삼을 건조기로 옮겨서 저온건조(60℃) 단계와 고온건조(120℃) 단계를 거쳐서 흑삼을 완성한다. 저온건조 단계에서 수분을 70% 정도 함유하도록 건조한 후에 고온건조를 통하여 장기보관이 가능한 흑삼을 완성한다.
4) 제4 단계는 증삼을 완료한 후, 증삼 솥 안에 남아있는 잔류물 속에 포함된 인삼 유효성분을 회수하는 단계이다.
도 6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중탕방식으로 물을 끓인 수증기로 증삼을 하는 방식으로 인삼이 갈라지거나 타지 않고, 증삼과정에서 온도, 압력, 유기산의 작용으로 인하여 인삼에 함유된 진세노사이드 성분의 화학적 변화가 일어나 흑삼의 주요 진세노사이드 성분인 Rg3, Rk1, Rg5 등을 대량으로 생성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증삼이 완료된 후, 증삼 솥 안에 남아있는 잔류물 속에 포함된 인삼 유효성분을 회수하여 추출/농축과정에 활용함으로써 인삼의 유효성분 유실을 최소화하는 증삼방법이다.

Claims (2)

  1. 삭제
  2. 증삼용 물솥, 증기 순환 파이프, 압력 조절 장치, 센서 및 컨트롤 박스를 포함하는 흑삼제조용 증숙장치와, 건조기로 흑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증숙장치 내부 다단의 채반위에 손질된 원료삼을 올려놓고, 증숙장치 내 하단의 증삼용 물솥에 원료삼 중량 대비 5~6배 중량의 물을 넣고 외부 보일러를 사용하여 물을 120℃로 끓여서 증숙장치 내에 수증기를 공급하는 1 단계;
    수증기로 원료삼을 증숙하되, 증숙장치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배치된 증기 순환 파이프를 통해 내부 수증기가 순환되면서 원료삼을 증숙하는 2 단계;
    센서, 컨트롤 박스 및 압력 조절 장치를 이용하여, 증숙시간 3~4시간, 수증기 온도 70~80℃, 내부 압력 0.8~1.0 kgf/cm2 및 내부 습도 70~80%를 유지하여 증숙 원료삼을 제조하는 3 단계;
    3 단계에서, 내부 압력 및 내부 습도를 유지하기 위해, 증기 순환 파이프 중간에 있는 압력 조절 장치를 통해 수증기가 자동으로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4 단계;
    증숙 원료삼을 건조기로 옮겨서 1차 60℃로 저온건조하여 증숙 원료삼이 수분을 70% 정도 함유하도록 하는 5 단계; 및
    저온건조된 증숙 원료삼을 2차 120℃로 고온건조하여 장기 보관이 가능한 흑삼을 완성하는 6 단계;를 포함하는 흑삼 제조 방법.
KR1020210098178A 2020-07-27 2021-07-26 흑삼제조용 증숙장치 및 흑삼제조 방법 KR1024089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404 2020-07-27
KR20200093404 2020-07-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3930A KR20220013930A (ko) 2022-02-04
KR102408976B1 true KR102408976B1 (ko) 2022-07-05

Family

ID=80268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8178A KR102408976B1 (ko) 2020-07-27 2021-07-26 흑삼제조용 증숙장치 및 흑삼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897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8338B1 (ko) * 2018-05-11 2018-10-17 대동고려삼 주식회사 유효성분 손실 저감화 홍삼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382B1 (ko) 2008-03-19 2010-04-26 송화수 인삼 증삼기 및 증삼방법
KR101321318B1 (ko) * 2012-03-27 2013-10-23 정원장 홍삼 제조기
KR102085333B1 (ko) * 2018-07-12 2020-04-23 농업회사법인 유한회사 백제삼마을 원적외선 조사를 이용한 인삼의 가공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8338B1 (ko) * 2018-05-11 2018-10-17 대동고려삼 주식회사 유효성분 손실 저감화 홍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3930A (ko) 2022-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05725B (zh) 一种面食蒸烤装置
KR100954382B1 (ko) 인삼 증삼기 및 증삼방법
IE32833L (en) Vacuum drying plants of wood
CN105394517A (zh) 一种连续式蒸谷米加工方法
CN107723156A (zh) 粮食连续蒸煮设备及工艺
CN103494509B (zh) 一种蒸汽烹饪装置及蒸汽食物加工方法
KR102408976B1 (ko) 흑삼제조용 증숙장치 및 흑삼제조 방법
SE8000220L (sv) Forfarande och anordning for framstellning av varmslipmassa
CN107410446A (zh) 一种黄花菜的加工方法
CN106598119A (zh) 智能可控蒸汽发生装置和蒸汽加热机及其控制方法
CN202095478U (zh) 连续式蒸谷米生产设备
CN105685919A (zh) 一种蒸制焦糖瓜子的生产方法
CN105962192B (zh) 一种生烤笋干及其制作工艺
CN205512128U (zh) 一种笋干蒸煮装置
CN206733225U (zh) 一种家具加工用木材蒸煮装置
JP7350137B2 (ja) 連続式蒸曝及び複合濃縮技術を用いたプロサポゲニンジンセノサイド含量が増加した黒参濃縮液の製造方法
US1158175A (en) Solar cooker.
KR100944509B1 (ko) 단시간 조리 쌀의 제조 방법 및 장치
KR101336007B1 (ko) 오븐을 이용하여 만든 홍삼 및 그 제조방법
CN101717688B (zh) 一种米糠制油预处理方法
KR101413111B1 (ko) 홍삼순액의 제조방법
CN206799575U (zh) 一种智能旋转蒸饭釜
JP2006262835A (ja) コーヒー焙煎豆の水蒸気処理方法
KR102554735B1 (ko) 홍삼 제조용 진공건조 및 증삼 장치
KR101704000B1 (ko) 스팀을 활용한 곤드레 나물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