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7812B1 - 반도체 테스트 번인보드 소켓 기능성 탈거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테스트 번인보드 소켓 기능성 탈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7812B1
KR102407812B1 KR1020210137454A KR20210137454A KR102407812B1 KR 102407812 B1 KR102407812 B1 KR 102407812B1 KR 1020210137454 A KR1020210137454 A KR 1020210137454A KR 20210137454 A KR20210137454 A KR 20210137454A KR 102407812 B1 KR102407812 B1 KR 102407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lever
pinion gear
coupled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7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운
Original Assignee
(주)티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에스에이 filed Critical (주)티에스에이
Priority to KR1020210137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78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86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 G01R31/2887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involving moving the probe head or the IC under test;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01Testing of printed circuits, backplanes, motherboards, hybrid circuits or carriers for multichip packages [MCP]
    • G01R31/2806Apparatus therefor, e.g. test stations, drivers, analysers, conveyors
    • G01R31/2808Holding, conveying or contacting devices, e.g. test adapters, edge connectors, extender boar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3Contacting devices, e.g. sockets, burn-in boards or mounting fix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86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 G01R31/2889Interfaces, e.g. between probe and tes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칩 테스트를 위한 번인보드로부터 소켓을 탈거하기 위한 탈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판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일정 높이 승강하도록 형성된 레버; 상기 하우징의 하판에 형성된 개구로부터 하부로 출입하면서 측벽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레버의 좌우에 위치하고, 상기 상판을 관통하는 상태로 그 하단이 상기 케이스의 상단 좌우에 결합이 되며, 하단에 결합된 케이스와 함께 일정높이 승강하도록 형성된 가이드 샤프트; 상기 레버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상측 중앙에 위치하는 주동 피니언 기어; 상기 주동 피니언 기어의 전후에 맞물려 좌우 왕복하는 한 쌍의 랙 기어; 상기 케이스의 전후 단부 상에 위치되며, 상기 한 쌍의 랙 기어에 맞물려 회전하도록 형성된 종동 피니언 기어;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주동 피니언 기어, 랙 기어 및 종동 피니언 기어를 커버하도록 형성된 기어 박스; 및 상기 종동 피니언 기어와 축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의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의 하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끝단에 상기 소켓의 하단을 걸기 위한 돌기가 형성된 샤프트 훅;을 포함하여 구성된 반도체 번인보드 소켓 기능성 탈거장치를 제공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반도체 테스트 번인보드 소켓 기능성 탈거장치{Socket removing device of bun-ln board}
본 발명은 반도체 칩 검사를 위한 번인보드의 테스트 소켓을 탈거하기 위한 탈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삭제
반도체 칩을 검사하는 장비로써 테스트 번인보드에 반도체 칩을 장착하여 테스트하고 테스트가 끝나면 칩을 탈거하여 테스트 결과에 따라 칩의 합격 여부를 판단한다. 한 개의 번인보드에 많게는 사백여개의 테스트 칩을 장착하여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번인보드에는 장비와 인터페이스를 진행하는 메인보드와 테스트를 위한 반도체 칩이 장착되는 소켓이 커넥터 형태로 조립된다. 근래의 반도체 칩 테스트 공정은 소형화 및 직접화됨에 따라 동일한 규격의 번인보드 사이즈에 많은 소켓을 장작하기 위하여 소켓 간의 간격이 좁아지는 추세이다.(예를 들면 400개 소켓이 장착되어지는 번인보드에 600개 소켓을 장착) 번인보드의 제조 과정 중 소켓을 조립하고 각 소켓의 정상유무를 검사하는 과정에서 소켓불량으로 번인보드에서 탈거가 필요할 시 기존의 번인보드는 롱로우즈와 같은 간단한 툴로도 탈착이 가능하였으나 근래의 직접화 및 밀접 간격으로 제작되는 번인보드는 기존의 툴을 사용할 수 없어 전용의 툴이 필요한 상태이다.
종래 검사장치로부터 반도체 칩을 제거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39769호(2013.12.23. 공개)가 있다. 상기 발명은 상기 클램핑 캐리어에 배열되어, 상기 클램프 요소를 상기 클램핑 캐리어를 비우도록 하는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클램핑 캐리어가 비워진 후 중립 위치로 이동시키는 작동 장치, 상기 클램핑 캐리어가 비워질 때 상기 클램핑 캐리어 밑에 위치하여 상기 클램핑 캐리어로부터 분리되는 반도체 소자를 수용하는 중간 캐리어, 각각의 반도체 소자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저장소 및 상기 반도체 소자를 상기 중간 캐리어로부터 제거하고 상기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데이터에 따라 적어도 두개의 서로 다른 카테고리로 분류하는 제거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삭제
본 발명은 번인보드에 꽂힌 소켓 사이로 간편하게 밀어 끼운 후 간편한 조작에 의해 소켓의 하단을 걸은 상태로 빼낼 수 있도록 한 반도체 번인보드 소켓 기능성 탈거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소켓이 결합된 이중소켓의 하단을 동시에 여러 지점에서 걸은 상태로 빼낼 수 있도록 한 반도체 칩 기능성 탈거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삭제
본 발명은 번인보드로부터 소켓을 탈거하기 위한 탈거장치에 있어서, 상하판이 일정간격 이격되고, 하판에는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판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일정 높이 승강하도록 형성된 레버; 상기 하우징의 하판에 형성된 개구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개구로부터 하부로 출입하면서 상기 소켓의 좌우 또는 전후 단부를 감싸도록 측벽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레버의 좌우에 위치하고, 상기 상판을 관통하는 상태로 그 하단이 상기 케이스의 상단 좌우에 결합되며, 하단에 결합된 케이스와 함께 일정높이 승강하도록 형성된 가이드 샤프트; 상기 레버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상측 중앙에 위치하는 주동 피니언 기어; 상기 주동 피니언 기어의 전후에 맞물려 좌우 왕복하는 한 쌍의 랙 기어; 상기 케이스의 전후 단부 상에 위치되며, 상기 한 쌍의 랙 기어에 맞물려 회전하도록 형성된 종동 피니언 기어;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주동 피니언 기어, 랙 기어 및 종동 피니언 기어를 커버하는 한편, 상기 레버가 관통하여 축 결합됨으로써 상기 레버가 승강시 상기 레버와 함께 승강하면서 상기 케이스를 승강시키도록 형성되는 기어 박스; 및 상기 종동 피니언 기어와 축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의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의 하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끝단에 상기 소켓의 하단을 걸기 위한 돌기가 형성된 샤프트 훅;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종동 피니언 기어 및 샤프트 훅은 상기 케이스의 전후 단부 상에 다수개 설치된다.
상기 레버 또는 가이드 샤프트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판과 하판 사이에 위치하여 승강하는 높이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레버에 결합되고, 상기 레버와 함께 회전할 때 상기 레버의 좌우에 위치하는 가이드 샤프트에 닿음으로써 상기 레버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형성된 리미트 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삭제
본 발명의 반도체 번인보드 소켓 기능성 탈거장치에 의하면 검사장치에 꽂힌 소켓 사이로 간편하게 밀어 끼운 후 간편한 조작에 의해 소켓의 하단을 걸은 상태로 빼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이 쉽고 소켓 및 소켓 하단의 PCB의 손상 없이 안전하게 탈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반도체 번인보드 소켓 기능성 탈거장치에 의하면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소켓이 결합된 이중소켓의 하단을 동시에 여러 지점에서 걸은 상태로 빼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켓의 손상없이 안전하게 탈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삭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반도체 번인보드 소켓 기능성 탈거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반도체 번인보드 소켓 기능성 탈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반도체 번인보드 소켓 기능성 탈거장치를 도시한 요부 분해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된 반도체 번인보드 소켓 기능성 탈거장치를 도시한 작동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탄성스프링이 결합된 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반도체 번인보드 소켓 기능성 탈거장치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판이 일정간격 이격되고, 하판에는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의 상판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일정 높이 승강하도록 형성된 레버(200); 상기 하우징의 하판에 형성된 개구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개구로부터 하부로 출입하면서 상기 소켓의 좌우 또는 전후 단부를 감싸도록 측벽이 형성된 케이스(300); 상기 레버의 좌우에 위치하고, 상기 상판을 관통하는 상태로 그 하단이 상기 케이스의 상단 좌우에 결합되며, 하단에 결합된 케이스와 함께 일정높이 승강하도록 형성된 가이드 샤프트(400); 상기 레버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상측 중앙에 위치하는 주동 피니언 기어(500); 상기 주동 피니언 기어의 전후에 맞물려 좌우 왕복하는 한 쌍의 랙 기어(600); 상기 케이스의 전후 단부 상에 위치되며, 상기 한 쌍의 랙 기어에 맞물려 회전하도록 형성된 종동 피니언 기어(700);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주동 피니언 기어, 랙 기어 및 종동 피니언 기어를 커버하는 한편, 상기 레버가 축 결합됨으로써 상기 레버가 승강시 상기 케이스를 함께 승강시키도록 형성되는 기어 박스(800); 및 상기 종동 피니언 기어와 축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의 측벽을 통하여 상기 케이스의 하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끝단에 상기 소켓의 하단을 걸기 위한 돌기가 형성된 샤프트 훅(10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삭제
상기 하우징(100)은 상하판이 일정간격 이격되고, 하판에는 개구가 형성된다. 상기 상하판은 도면과 같이 네 귀퉁이의 지지대에 의해 일정간격이 유지되도록 하거나 별도의 측벽을 형성하여 내부가 밀폐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하판의 개구를 통해서는 케이스가 승강하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판은 상기 레버(200) 및 가이드 샤프트가 관통하여 축 결합되면서 승강할 수 있도록 한다.
삭제
상기 레버(200)는 상기 하우징의 상판에 축 결합되고, 일정 높이 승강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레버(200)는 상기 주동 피니언 기어(500)를 회전시킴으로써 최종적으로 상기 샤프트 훅(1000)이 소켓(1)의 하단을 걸게 하거나 걸리지 않도록 하고, 일정 높이 잡아당기거나 밀어 넣음으로써 축 결합된 기어 박스(900)를 통해 최종적으로 상기 샤프트 훅(1000)을 승강시킨다.
삭제
상기 케이스(300)는 상기 하우징(100)의 하판에 형성된 개구에 위치하고, 상기 개구로부터 하부로 출입하면서 상기 소켓의 좌우 또는 전후 단부를 감싸도록 측벽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300)는 검사장치의 여러 소켓 사이로 끼워지면서 어느 특정 소켓의 좌우 또는 전후 단부를 감싸도록 한다. 상기 케이스(300)는 상기 가이드 샤프트(400)의 하단에 결합되는 상태로 상기 하판의 개구를 통해 승강하고, 상기 케이스의 전후 단부에 형성된 측벽을 통해서는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 훅이 축 설치된다. 도면에는 상기 샤프트 훅(1000)이 케이스(300)의 측벽보다 두꺼운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 경우에도 상기 샤프트 훅(1000)이 관통하는 케이스(300)의 측벽에 의해 감싸지는 상태로 지지된다. 만일 검사장치에 설치된 각 소켓(1) 사이의 간격이 넓은 경우 상기 케이스(300)의 측벽을 좀더 두껍게 형성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상기 샤프트 훅(1000)이 측벽으로부터 노출되지 않게 된다.
삭제
상기 가이드 샤프트(400)는 상기 레버(200)의 좌우에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100)의 상판을 관통하는 상태로 그 하단이 상기 케이스(300)의 상단 좌우에 결합되며, 상기 결합된 케이스와 함께 일정높이 승강한다. 가이드 샤프트(400)는 케이스가 헛돌지 않도록 잡아주면서 안정적으로 승강하도록 한다.
삭제
상기 주동 피니언 기어(500)는 상기 레버(200)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300)의 상측 중앙에 위치한다. 상기 주동 피니언 기어(500)는 레버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레버에 의한 회전력을 랙 기어로 전달하여 좌우 왕복운동으로 전환한다.
삭제
상기 랙 기어(600)는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주동 피니언 기어(500)의 전후에 맞물려 좌우 왕복하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각 랙 기어(6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날에 기어가 형성됨으로써 주동 피니언 기어(500)와 맞물림을 물론, 상기 종동 피니언 기어(700)와 맞물리도록 한다. 상기 랙 기어(600)는 주동 피니언 기어(500)의 회전에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좌우 왕복운동하고, 이런 왕복운동을 통해 상기 종동 피니언 기어(700)를 정역 회전시킨다.
삭제
상기 종동 피니언 기어(700)는 상기 케이스(300)의 전후 단부 상에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랙 기어(500)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종동 피니언 기어(700)는 상기 기어 박스(800)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리미트 훅(900)이 축 결합된다. 상기 종동 피니언 기어(700)는 랙 기어(600)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최종적으로 상기 리미트 훅(900)을 회전시킨다. 상기 종동 피니언 기어(7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다수 설치할 수 있다.
삭제
상기 기어 박스(800)는 케이스(300)의 상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주동 피니언 기어(500), 랙 기어(600) 및 종동 피니언 기어(700)를 커버하는 한편, 상기 레버가 관통하여 축 결합됨으로써 상기 레버가 승강시 상기 레버와 함께 승강하는 것이고, 그로 인해 기어 박스(800)의 하부에 결합된 케이스를 함께 승강시킨다. 이때, 상기 가이드 샤프트(4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어 박스를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 결합된다.
삭제
상기 샤프트 훅(900)은 상기 종동 피니언 기어(700)와 축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300)의 측벽을 관통하여 하부로 돌출되며, 돌출된 끝단에 상기 소켓(1)의 하단을 걸기 위한 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돌기는 도 1과 같이 소켓 사이로 끼워질 때에는 간섭되지 않도록 일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 훅(90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다수의 종동 피니언 기어(700)에 대응하여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소켓(1)의 하단을 다수 지점에서 걸어주기 때문에 소켓의 크기(2개 이상의 반도체가 결합된 칩)와 상관없이 안전하게 탈거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200) 또는 가이드 샤프트(400)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상판과 하판 사이에서 승강하는 높이를 제한하는 스토퍼(10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토퍼(1000)는 하우징(100)의 상판과 하판 사이에 하나 또는 상하 두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200)에 결합되고, 상기 레버와 함께 회전할 때 상기 레버의 좌우에 위치하는 가이드 샤프트(400)에 닿음으로써 상기 레버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형성된 리미트 바(1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리미트 바(1100)는 레버(200)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동시에 좌우의 가이드 샤프트(400)에 닿아 회전이 제한됨으로써 결국 레버(200)의 회전을 제한하게 된다. 따라서 레버를 제한된 범위에서 회전시킴으로서 샤프트 훅(700)의 돌기 방향을 보지 않고도 정확한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레버 또는 가이드 샤프트에 탄성 스프링(210)이 설치된다. 상기 탄성 스프링(21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상측의 레버 또는 가이드 샤프트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레버 또는 가이드 샤프트가 상승하도록 탄성을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 훅의 돌기가 소켓의 하단에 걸린상태를 유지하면서 케이스를 상승시키기 때문에 소켓을 편리하게 탈거할 수 있는 것이다.
삭제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번인보드에 꽂힌 소켓 사이로 간편하게 밀어 끼운 후 간편한 조작에 의해 소켓의 하단을 걸은 상태로 빼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이 쉽고 소켓 및 하단의 PCB의 손상 없이 안전하게 탈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소켓이 결합된 이중소켓의 하단을 동시에 여러 지점에서 걸은 상태로 빼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켓의 손상없이 안전하게 탈거할 수 있게 된다.
삭제
100: 하우징
200: 레버
300: 케이스
400: 가이드 샤프트
500: 주동 피니언 기어
600: 랙 기어
700: 종동 피니언 기어
800: 기어 박스
900: 샤프트 훅
1000: 스토퍼

Claims (5)

  1. 번인보드로부터 소켓을 탈거하기 위한 탈거장치에 있어서,
    상하판이 일정간격 이격되고, 하판에는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판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일정 높이 승강하도록 형성된 레버;
    상기 하우징의 하판에 형성된 개구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개구로부터 하부로 출입하면서 상기 소켓의 좌우 또는 전후 단부를 감싸도록 측벽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레버의 좌우에 위치하고, 상기 상판을 관통하는 상태로 그 하단이 상기 케이스의 상단 좌우에 결합되며, 하단에 결합된 케이스와 함께 일정높이 승강하도록 형성된 가이드 샤프트;
    상기 레버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상측 중앙에 위치하는 주동 피니언 기어;
    상기 주동 피니언 기어의 전후에 맞물려 좌우 왕복하는 한 쌍의 랙 기어;
    상기 케이스의 전후 단부 상에 위치되며, 상기 한 쌍의 랙 기어에 맞물려 회전하도록 형성된 종동 피니언 기어;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주동 피니언 기어, 랙 기어 및 종동 피니언 기어를 커버하는 한편, 상기 레버가 관통하여 축 결합됨으로써 상기 레버가 승강시 상기 레버와 함께 승강하면서 상기 케이스를 승강시키도록 형성되는 기어 박스; 및
    상기 종동 피니언 기어와 축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의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의 하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끝단에 상기 소켓의 하단을 걸기 위한 돌기가 형성된 샤프트 훅;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번인보드 소켓 기능성 탈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종동 피니언 기어 및 샤프트 훅은 상기 케이스의 전후 단부 상에 다수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번인보드 소켓 기능성 탈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 또는 가이드 샤프트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판과 하판 사이에 위치하여 승강하는 높이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번인보드 소켓 기능성 탈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에 결합되고, 상기 레버와 함께 회전할 때 상기 레버의 좌우에 위치하는 가이드 샤프트에 닿음으로써 상기 레버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형성된 리미트 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번인보드 소켓 기능성 탈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또는 가이드 샤프트에 설치되는 탄성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번인보드 소켓 기능성 탈거장치.
KR1020210137454A 2021-10-15 2021-10-15 반도체 테스트 번인보드 소켓 기능성 탈거장치 KR102407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454A KR102407812B1 (ko) 2021-10-15 2021-10-15 반도체 테스트 번인보드 소켓 기능성 탈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454A KR102407812B1 (ko) 2021-10-15 2021-10-15 반도체 테스트 번인보드 소켓 기능성 탈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7812B1 true KR102407812B1 (ko) 2022-06-13

Family

ID=81984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7454A KR102407812B1 (ko) 2021-10-15 2021-10-15 반도체 테스트 번인보드 소켓 기능성 탈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781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2231A (ja) * 1995-04-24 1996-11-05 Ando Electric Co Ltd Icテストボード装置
JP2003130915A (ja) * 2001-10-22 2003-05-08 Ando Electric Co Ltd テストボード
KR20050005866A (ko) * 2003-07-07 2005-01-15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테핑 모터를 사용한 반도체 패키지 테스트 장치
KR101316888B1 (ko) * 2012-04-26 2013-10-11 테스토피아 주식회사 소켓보드 교체장치
KR101373744B1 (ko) * 2013-01-09 2014-03-26 (주)솔리드메카 메모리 패키지 테스트용 소켓보드 고정지그
KR101507542B1 (ko) * 2014-10-21 2015-03-31 주식회사 아이티엔티 자동 테스트 장치용 디에스에이 보드 컨버젼을 위한 장치
KR102192764B1 (ko) * 2019-11-19 2020-12-18 (주)티에스이 테스트 소켓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2231A (ja) * 1995-04-24 1996-11-05 Ando Electric Co Ltd Icテストボード装置
JP2003130915A (ja) * 2001-10-22 2003-05-08 Ando Electric Co Ltd テストボード
KR20050005866A (ko) * 2003-07-07 2005-01-15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테핑 모터를 사용한 반도체 패키지 테스트 장치
KR101316888B1 (ko) * 2012-04-26 2013-10-11 테스토피아 주식회사 소켓보드 교체장치
KR101373744B1 (ko) * 2013-01-09 2014-03-26 (주)솔리드메카 메모리 패키지 테스트용 소켓보드 고정지그
KR101507542B1 (ko) * 2014-10-21 2015-03-31 주식회사 아이티엔티 자동 테스트 장치용 디에스에이 보드 컨버젼을 위한 장치
KR102192764B1 (ko) * 2019-11-19 2020-12-18 (주)티에스이 테스트 소켓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5658B1 (ko) 핸들러의멀티스택커
KR102407812B1 (ko) 반도체 테스트 번인보드 소켓 기능성 탈거장치
JP5368580B2 (ja) 基板装着装置、テストヘッド、及び電子部品試験装置
WO2023116187A1 (zh) 一种晶圆倒片装置
CN211293148U (zh) 一种pcb板顶升装置及测试夹具
CN105428268A (zh) 晶圆传送盒的底座检查装置及方法
KR100524085B1 (ko) 인쇄회로기판 검사용 픽스쳐
KR101320646B1 (ko)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검사장치
US20150118894A1 (en) Lga socket terminal damage prevention
CN210207729U (zh) 卡和读卡器测试机
JP4352193B2 (ja) 検体吸引装置
CN216955668U (zh) 一种lcd与背光剥离力的检测治具
KR102096905B1 (ko) 번인보드 자동 검사장치
KR102369323B1 (ko) 반도체 소자들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헤드
KR102305873B1 (ko) 삽발 기구 및 블록 부재의 교환 방법
KR101652986B1 (ko) 모듈 테스트 소켓
WO199900083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pection of pin grid array packages for bent leads
KR100793269B1 (ko) 테스트 핸들러의 승강구조
JP3339608B2 (ja) Ic試験装置
JP5861613B2 (ja) 試料ボートピックアップアームおよびオートサンプラ
JPH0736285Y2 (ja) プローブに対するピペットチップの脱着機構
KR20020031463A (ko) 반도체 소자 실장 테스트 핸들러
CN114791758B (zh) 一种新型计算机设备
CN220215855U (zh) 一种分类放置装置
KR100607546B1 (ko) 컴퓨터용 메모리 자동 실장테스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