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7017B1 - 진단스틱 픽업장치 - Google Patents

진단스틱 픽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7017B1
KR102407017B1 KR1020220046461A KR20220046461A KR102407017B1 KR 102407017 B1 KR102407017 B1 KR 102407017B1 KR 1020220046461 A KR1020220046461 A KR 1020220046461A KR 20220046461 A KR20220046461 A KR 20220046461A KR 102407017 B1 KR102407017 B1 KR 102407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kup
diagnostic
diagnostic stick
stick
cut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6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디에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디에이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디에이치
Priority to KR1020220046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70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7Means for performing o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26D1/2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coacting with another disc cutt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단스틱 원지를 일정 폭으로 다중 절단하여서 된 진단스틱을 일정한 압력으로 정확한 픽업이 이루어지도록 한 진단스틱 픽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절단장치를 통해 일정 폭으로 다중 절단되어 배출되는 진단스틱을 픽업부재로 픽업하여 다음 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픽업부재는, 절단장치를 통해 배출되는 다중 진단스틱이 놓여지도록 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상측에 서로 대응되게 구비되고 승강대를 따라 승강이 이루어지는 픽업부는 균일한 가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 가압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진단스틱 픽업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단스틱 픽업장치 {Diagnostic stick pick-up device}
본 발명은 진단스틱 원지를 일정 폭으로 다중 절단하여서 된 진단스틱을 일정한 압력으로 정확한 픽업이 이루어지도록 한 진단스틱 픽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단스틱이라 함은 혈액이나 소변을 이용하여 혈당, 간염, 임신여부 등을 진단할 수 있는 것으로, 가늘고 긴 막대 형상의 기판 상면에 혈액 또는 소변이 흡수되는 재질의 진단 시약이 부착된 스트립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진단스틱은 판형의 기판 상면에 진단시약을 인쇄한 진단스틱 원지를 구성한 다음 절단장치를 통해 일정 폭으로 진단스틱 원지를 다중 절단하는 절단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배출부에 놓여지는 다중 절단된 진단스틱은 픽업장치에 의해 픽업되어 불량과 양품을 선별하는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게 된다.
이때, 종래의 픽업장치는 픽업부재의 받침부에 놓여진 진단스틱을 승강대를 따라 승강되게 한 픽업부가 하강하여 받침부에 놓여진 진단스틱을 가압하는 수단으로 픽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진단스틱을 가압하기 위한 픽업부재의 픽업부는 하강 위치는 항상 동일하기 때문에 진단스틱 제조공정시에 진단스틱의 두께 편차가 미세하게 발생할 수 있는바, 이러한 진단스틱이 두께차이에 따라 진단스틱을 가압하는 픽업부의 가압력이 변동되어 진단스틱이 정확하게 픽업되지 않고 느슨한 픽업상태로 불안정하게 픽업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진단스틱의 자동화 공정 수행시에 오류가 발생하는 등 작업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제10-1180357호 KR 제10-1178762호 KR 제10-2329257호 KR 제10-1923026호
본 발명은 절단장치를 통해 일정 폭으로 다중 절단되어 배출되는 진단스틱이 픽업부재의 받침부에 놓여지면 받침부 상부에 서로 대응된 픽업부가 하강하여 픽업부에 의해 받침부에 놓여진 진단스틱을 가압하는 수단으로 픽업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픽업부재의 픽업부는 균일한 가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 가압수단이 구비되어 정확한 픽업이 이루어지도록 한 진단스틱 픽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절단장치를 통해 일정 폭으로 다중 절단되어 배출되는 진단스틱을 픽업부재로 픽업하여 다음 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픽업부재는, 절단장치를 통해 배출되는 다중 진단스틱이 놓여지도록 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상측에 서로 대응되게 구비되고 승강대를 따라 승강이 이루어지는 픽업부는 균일한 가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 가압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진단스틱 픽업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단장치는 상,하부에 롤러커터가 상호 대향되게 구비되어 상,하부 롤러커터 사이를 통과하는 진단스틱 원단을 낱개의 개별 진단스틱으로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픽업부재는 2개가 1조로 전후방향으로 병렬 배치되어 2개의 픽업부에 의해 진단스틱을 2점 픽업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 가압수단은, 승강대의 일측 장착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부는 폐쇄된 작동안내관과, 상기 작동안내관의 하부 개구부를 통해 스프링 및 작동로드가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슬라이딩 탄성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한 작동로드와, 상기 작동로드의 하단에 연결되어 진단스틱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 픽업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진단스틱 픽업장치는 절단장치를 통해 일정 폭으로 다중 절단하여 배출되는 진단스틱이 픽업부재의 받침부에 놓여지게 되면 탄성 가압수단이 구비되어 균일한 가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픽업부에 의해 받침부에 놓여진 진단스틱을 정확하고 안정되게 픽업할 수 있게 되어 진단스틱의 자동화 공정에 따른 작업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진단스틱 픽업장치가 설치되어 절단장치에서 배출되는 진단스틱을 픽업하기 위한 구성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진단스틱 픽업장치의 전체적인 구성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진단스틱 픽업장치의 전체적인 구성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진단스틱 픽업장치의 전체적인 구성 실시예를 나타낸 전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진단스틱 픽업장치에서 픽업부재의 받침부 및 픽업부를 포함하는 일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진단스틱 픽업장치에서 픽업부재의 받침부 및 픽업부를 이용하여 진단스틱을 픽업할 때의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진단스틱 픽업장치는 판형의 기판 상면에 진단시약을 인쇄한 진단스틱 원단이 절단장치(10)를 통해 일정 폭으로 다중 절단한 진단스틱을 픽업장치 본체(20)에 구비된 픽업부재(24)로 정확하게 픽업한 다음 이를 제품 불량검사부(미도시)로 이송하여 불량과 양품으로 선별하는 다음 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즉, 원단공급부(미도시)를 통해 판형의 기판 상면에 진단시약을 인쇄한 1개의 진단스틱 원단이 절단장치(10)를 통과하는 절단과정에서 낱개의 개별 진단스틱으로 절단되어 배출되는 각각의 진단스틱 전체를 기울어진 각도로 절단하는 절단장치(10)의 절단특성에 맞게 기울어진 각도로 배출되는 진단스틱(A)을 픽업장치 본체(20)에 구비된 픽업부재(24)로 픽업한 다음 픽업장치 본체(20)의 각도변환수단에 의해 진단스틱을 수평상태로 각도 변경을 하고, 이어서 제품 불량검사부(미도시)로 이송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픽업부재(24)는, 픽업장치 본체(20)에 설치되되 절단장치(10)를 통해 배출되는 다중 진단스틱이 놓여지도록 한 받침부(25)와, 상기 받침부(25)의 상측에 서로 대응되게 구비되고 승강대(22)를 따라 승강이 이루어지는 픽업부(26)로 이루어지되 상기 픽업부(26)는 균일한 가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 가압수단(26A)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픽업장치 본체(20)에 설치되는 받침부(25)와 픽업부(26)는 통상의 구성과 같이 별도의 링크 작동수단이 구비된 작동부재(미도시)에 의해 수직 또는 기울어진 각도로 작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픽업장치 본체(20)의 이동수단(미도시)을 통해 절단장치(10)의 배출부와 제품 불량검사부로 이송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절단장치(10)는 진단스틱 원단이 플레이트(12)를 따라 이송되는 지점의 상,하부에 롤러커터(14)가 상호 대향되게 구비되어 상,하부 롤러커터(14) 사이를 통과하는 진단스틱 원단을 낱개의 개별 진단스틱으로 절단하는 절단작업을 수행한 다음 이를 배출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때 절단장치(10)를 통과한 각각의 진단스틱은 기울어진 각도로 절단하여 배출이 된다.
상기 받침부(25)는 다수 분할된 구성으로 절단장치(10)를 통해 절단 배출되는 각각의 진단스틱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픽업부재(24)의 픽업부(26)는 받침부(25)의 상측에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어 실린더(21)로 승강되는 승강대(22)를 따라 승강작용이 이루어지면서 픽업부(26)가 받침부(25)에 놓여진 진단스틱에 근접되는 과정으로 진단스틱 픽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픽업부재(24)는 2개가 1조로 전후방향으로 병렬 배치되어 2개의 픽업부(26)에 의해 진단스틱(A)을 2점 픽업하도록 하는 수단으로 픽업된 진단스틱(A)이 측방향으로 요동되지 않고 픽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탄성 가압수단(26A)은 승강대(22)의 일측 장착부(23)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부는 폐쇄된 작동안내관(27)과, 상기 작동안내관(27)의 하부 개구부를 통해 스프링(29) 및 작동로드(28)가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슬라이딩 탄성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한 작동로드(28)와, 상기 작동로드(28)의 하단에 연결되어 진단스틱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 픽업부(26)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작동안내관(27)에 삽입된 작동로드(28)는 스프링(29)으로 탄성 지지되고 스토퍼(미도시)에 의해 작동로드(28)가 일정길이만큼 하향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작동로드(28)의 하단에 연결된 픽업부(26)는 진단스틱(A)과 맞닿게 되는 밀착력이 전달되면 스프링(29)에 의해 탄성 가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판형의 기판 상면에 진단시약을 인쇄한 진단스틱 원단이 절단장치(10)로 진입하게 되면 절단장치(10)의 상,하부 롤러커터(14)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낱개의 개별 진단스틱으로 절단된 상태로 배출이 된다.
상기와 같이 절단장치(10)를 통해 일정 폭으로 다중 절단한 진단스틱이 배출되어 픽업부재(24)에 구비된 받침부(25)에 안착이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받침부(25)에 대응하는 픽업부(26)는 승강대(22)를 따라 하강하여 받침부(25)에 안착된 진단스틱(A)의 상부에 픽업부(26)가 맞닿게 된다.
이때, 픽업부재(24)에 구비된 픽업부(26)가 진단스틱(A)에 맞닿은 상태에서 승강대(22)가 더 하강하게 되면, 작동로드(28)의 하단에 연결된 픽업부(26)는 더 이상 전진상태가 중단됨과 아울러 스프링(29)의 탄성 가압작용으로 작동로드(28)는 하향 이동되면서 픽업부(26)는 강한 밀착력으로 진단스틱(A)을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픽업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픽업부재(24)에 의해 정확하게 픽업된 진단스틱(A)은 픽업장치 본체(20)에 의해 제품 불량검사부로 이송하여 불량과 양품으로 선별작업을 하는 다음 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픽업부재(24)는 받침부(25)에 놓여진 진단스틱(A)을 픽업부(26)에 의해 압지하여 픽업이 이루어지게 될 때 탄성 가압수단(26A)이 구비되어 균일한 가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픽업부(26)에 의해 받침부(25)에 놓여진 진단스틱(A)을 정확하고 안정되게 픽업할 수 있게 되어 진단스틱의 자동화 공정에 따른 작업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절단장치 12 : 플레이트
14 : 롤러커터 20 : 픽업장치 본체
21 : 실린더 22 : 승강대
23 : 장착부 24 : 픽업부재
25 : 받침부 26 : 픽업부
26A : 탄성 가압수단 27 : 작동안내관
28 : 작동로드 29 : 스프링

Claims (2)

  1. 절단장치(10)를 통해 일정 폭으로 다중 절단되어 배출되는 진단스틱(A)을 픽업부재(24)로 픽업하여 다음 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진단스틱 픽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픽업부재(24)는, 절단장치(10)를 통해 배출되는 다중 진단스틱이 놓여지도록 한 받침부(25)와,
    상기 받침부(25)의 상측에 서로 대응되게 구비되고 승강대(22)를 따라 승강이 이루어지는 픽업부(26)는 가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 가압수단(26A)이 구비되고,
    상기 탄성 가압수단(26A)은 승강대(22)의 일측 장착부(23)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부는 폐쇄된 작동안내관(27)과, 상기 작동안내관(27)의 하부 개구부를 통해 스프링(29) 및 작동로드(28)가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슬라이딩 탄성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한 작동로드(28)와, 상기 작동로드(28)의 하단에 연결되어 진단스틱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 픽업부(2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스틱 픽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장치(10)는 상,하부에 롤러커터(14)가 상호 대향되게 구비되어 상,하부 롤러커터(14) 사이를 통과하는 진단스틱 원단을 낱개의 개별 진단스틱으로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스틱 픽업장치.





KR1020220046461A 2022-04-14 2022-04-14 진단스틱 픽업장치 KR102407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6461A KR102407017B1 (ko) 2022-04-14 2022-04-14 진단스틱 픽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6461A KR102407017B1 (ko) 2022-04-14 2022-04-14 진단스틱 픽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7017B1 true KR102407017B1 (ko) 2022-06-10

Family

ID=81986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6461A KR102407017B1 (ko) 2022-04-14 2022-04-14 진단스틱 픽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701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0357B1 (ko) 2012-02-08 2012-09-24 주식회사 바이맥 진단스틱 정렬 이송장치
KR101178762B1 (ko) 2012-02-08 2012-09-24 주식회사 바이맥 진단스틱 절단장치
KR101923026B1 (ko) 2018-07-24 2018-11-28 주식회사 피디에이치 진단 키트용 스트립 연속절단장치
KR20190053409A (ko) * 2017-11-10 2019-05-20 한국전기연구원 픽업장치
KR102329257B1 (ko) 2020-03-11 2021-11-22 주식회사 피디에이치 의료용 진단키트 자동화 조립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0357B1 (ko) 2012-02-08 2012-09-24 주식회사 바이맥 진단스틱 정렬 이송장치
KR101178762B1 (ko) 2012-02-08 2012-09-24 주식회사 바이맥 진단스틱 절단장치
KR20190053409A (ko) * 2017-11-10 2019-05-20 한국전기연구원 픽업장치
KR101923026B1 (ko) 2018-07-24 2018-11-28 주식회사 피디에이치 진단 키트용 스트립 연속절단장치
KR102329257B1 (ko) 2020-03-11 2021-11-22 주식회사 피디에이치 의료용 진단키트 자동화 조립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716361U (zh) 一种双工位微波炉铰链座自动铆接机
CA2707416C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duction of stampings
JPS6331412B2 (ko)
KR102407017B1 (ko) 진단스틱 픽업장치
CN107812841B (zh) 一种全自动银点铆合机
CN109066266B (zh) 一种全自动组装插头设备
CN218858920U (zh) 一种板材全自动贴标机及贴标打孔开料板材生产线设备
CN212807583U (zh) 一种具有保压检测功能的自动压铆检测装置
CN213675063U (zh) 一种自动进料、落料的冲压修边装置
CN114985581B (zh) 一种门扇包边冲裁模具、冲孔模具及生产加工工艺
CN110802694A (zh) 全自动竹子等分切条机
CN211564159U (zh) 一种螺母夹自动加工设备
KR100656016B1 (ko) 차체의 도료밀착성 및 부식시험용 시편의 제작 방법
CN112729987A (zh) 一种全自动制样检测机构及方法
US6557446B2 (en) Apparatus for cutting and sorting diagnostic strips
CN112209043A (zh) 一种双工位刻印与检查装置
CN111673297A (zh) 一种激光切割排废装置
CN212765241U (zh) 丝网印刷平台及丝网印刷机
CN110681735A (zh) 一种用于焊接框架校型的检测装置
CN112223423A (zh) 一种通过接刀口来判断胶带模切直线度的方法
CN214978615U (zh) 一种铭牌卸料装置
JPH06263225A (ja) 間歇送り装置
CN216681089U (zh) 铰链三维偏心底座自动安装机
CN214668021U (zh) 一种全自动制样检测机构
US4987762A (en) Individually variable multi-station draw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