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5904B1 -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과 축의 결합체 - Google Patents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과 축의 결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5904B1
KR102405904B1 KR1020177011279A KR20177011279A KR102405904B1 KR 102405904 B1 KR102405904 B1 KR 102405904B1 KR 1020177011279 A KR1020177011279 A KR 1020177011279A KR 20177011279 A KR20177011279 A KR 20177011279A KR 102405904 B1 KR102405904 B1 KR 102405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pheral surface
radial direction
inner peripheral
protrus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1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3608A (ko
Inventor
고헤이 구로세
가츠노리 사이토
Original Assignee
오일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일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일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73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3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7/0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7/02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radial load only
    • F16C17/022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radial load only with a pair of essentially semicircular bearing slee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 B60G15/06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MacPherson strut-type suspen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7/0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7/04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axial load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20Sliding surface consisting mainly of plas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 F16C33/74Sealing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5/00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 F16C35/02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in the case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 F16C2326/05Vehicle suspensions, e.g. bearings, pivots or connecting rods used there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6Optimisation of rolling resistance, e.g. weight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Sealing Of Bearings (AREA)

Abstract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1)은, 합성 수지제의 상부 케이스(2)와, 합성 수지제의 하부 케이스(3)와, 하부 케이스(3) 및 하부 케이스(3)에 씌워진 상부 케이스(2) 사이에 배치된 합성 수지제의 스러스트 미끄럼 베어링으로서의 스러스트 미끄럼 베어링편(4)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과 축의 결합체{Combination mechanism of the synthetic resin-made sliding bearing and shaft}
본 발명은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사륜 자동차에서의 스트럿형 서스펜션(맥퍼슨식)의 미끄럼 베어링으로서 조립되기에 적합한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축과 일체가 된 외통 안에 유압식 완충기(shock absorber)를 내장한 스트럿 어셈블리에 코일 스프링을 조합한 구조의 사륜 자동차의 전륜에 이용되는 스트럿형 서스펜션에는, 스티어링 조작에서 스트럿 어셈블리가 코일 스프링과 함께 돌 때에 스트럿 어셈블리의 피스톤 로드가 도는 형식과 피스톤 로드가 돌지 않는 형식이 있는데, 어떤 형식의 스트럿형 서스펜션에서도 스트럿 어셈블리의 회동을 원활하게 허용하기 위해 차체의 장착 부재와 코일 스프링의 상부 스프링 받침 시트의 사이에 베어링이 사용되고 있다.
이 베어링에는 볼 혹은 니들을 사용한 구름 베어링 또는 합성 수지제의 미끄럼 베어링이 사용되고 있는데, 구름 베어링은 미소 요동 및 진동 하중 등에 의해 볼 혹은 니들에 피로 파괴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어 원활한 스티어링 조작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는 반면, 미끄럼 베어링은 구름 베어링에 비해 마찰 토크가 높아 스티어링 조작을 무겁게 할 우려가 있고, 또한 어떤 베어링에서도 슬라이딩면에 먼지 등 이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장착된 고무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더스트 시일의 마찰력이 높은 것에 기인하는 스티어링 조작을 무겁게 한다는 문제, 특히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에서는 스티어링 조작을 한층 더 무겁게 한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공고실용신안 평4-52488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공고실용신안 평2-1532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공고실용신안 평2-6263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공고실용신안 평8-2500호 공보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합성수지제 상부 케이스와 합성수지제 하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사이에 합성수지제 베어링편을 배치함과 아울러 내주면 측 및 외주면 측에 래버린스(labyrinth) 작용에 의한 밀봉부를 형성하여 이 밀봉부에 의해 베어링 슬라이딩면에 먼지 등 이물의 침입을 방지한 합성수지제 스러스트 미끄럼 베어링을 제안하였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특허문헌 3 및 특허문헌 4 소재).
이들 합성수지제 스러스트 미끄럼 베어링에서는, 슬라이딩면 사이에 이 슬라이딩면을 둘러싸도록 장착된 고무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더스트 시일에 기인하는 스티어링 조작력의 증대라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슬라이딩면에 먼지 등 이물의 침입을 최대한 방지하여 안정적이고 원활한 스티어링 조작력을 얻을 수 있다.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와 이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스러스트 미끄럼 베어링편을 구비한 미끄럼 베어링은, 저마찰성이나 내마모성 등의 슬라이딩 특성을 향상시키지만, 이러한 미끄럼 베어링에 지름 방향으로 변동 하중이 작용하여 하부 케이스에 지름 방향으로 변위가 발생한 경우, 스러스트 미끄럼 베어링편이 배치되는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사이의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래버린스(미로)와 같은 통로를 형성하는 부분이 지름 방향으로 서로 간섭(압압 접촉)하고, 결과적으로 그 부분에 변형, 손상, 파손 등의 결함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간섭을 발생시킨 부분에 회전 방향(원주 방향)의 상대 슬라이딩을 발생시킨 경우는 마찰 저항의 상승을 야기하여 슬라이딩 특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여러 가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하부 케이스에 지름 방향으로 변동 하중이 작용하여 하부 케이스에 지름 방향의 상대 변위가 발생한 경우에도, 스러스트 베어링이 배치되는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사이의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래버린스와 같은 통로를 형성하는 간극을 규정하는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의 부분의 지름 방향의 상호간의 압압 접촉에 기인하는 간섭을 회피할 수 있어, 그 부분에 변형, 손상, 파손 등의 결함을 발생시키지 않고, 그 부분에서의 상대 슬라이딩에 기인하는 슬라이딩 특성의 저하를 발생시키지 않는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의 하나의 태양은, 합성 수지제의 상부 케이스와, 합성 수지제의 하부 케이스와, 이 하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에 씌워진 상부 케이스 사이에 배치된 합성 수지제의 스러스트 미끄럼 베어링을 구비하고 있고, 스러스트 미끄럼 베어링이 배치된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사이의 공간의 지름 방향의 외주부를 외부에 연통시킨 외주측 통로를 형성하는 간극 중에서 지름 방향에 대해 교차하여 연장되는 간극의 지름 방향의 최소폭은,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를 관통하는 축에 의해 규제되는 상부 케이스에 대한 하부 케이스의 지름 방향의 상대 변위 가능량과 동일하거나 그 상대 변위 가능량보다 크다.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의 다른 하나의 태양은, 합성 수지제의 상부 케이스와, 합성 수지제의 하부 케이스와, 이 하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에 씌워진 상부 케이스 사이에 배치된 합성 수지제의 스러스트 미끄럼 베어링을 구비하고 있고, 스러스트 미끄럼 베어링이 배치된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사이의 공간의 지름 방향의 외주부를 외부에 연통시킨 외주측 통로를 형성하는 간극 중에서 지름 방향에 대해 교차하여 연장되는 간극과 이 공간의 지름 방향의 내주부를 외부에 연통시킨 내주측 통로를 형성하는 간극 중에서 지름 방향에 대해 교차하여 연장되는 간극의 지름 방향의 최소폭은,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를 관통하는 축에 의해 규제되는 상부 케이스에 대한 하부 케이스의 지름 방향의 상대 변위 가능량과 동일하거나 그 상대 변위 가능량보다 크다.
이러한 태양의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에 의하면, 스러스트 미끄럼 베어링이 배치되는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사이의 공간의 외주부를 외부에 연통시킨 외주측 통로를 갖는 경우에는, 이러한 통로를 형성하는 간극 중에서 지름 방향에 대해 교차하여 연장되는 간극의 지름 방향의 최소폭은,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를 관통하는 축에 의해 규제되는 상부 케이스에 대한 하부 케이스의 축간극(축과 상기 축이 관통하는 원 구멍을 규정하는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각각의 내주면 사이의 간극)에 기인하는 지름 방향의 상대 변위 가능량과 동일하거나 그 상대 변위 가능량보다 크기 때문에, 또한 스러스트 미끄럼 베어링이 배치되는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사이의 공간의 지름 방향의 내주부를 외부에 연통시킨 내주측 통로를 갖는 경우에는, 이러한 통로를 형성하는 간극 중에서 지름 방향에 대해 교차하여 연장되는 간극의 지름 방향의 최소폭은,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가 관통되는 축에 의해 규제되는 상부 케이스에 대한 하부 케이스의 지름 방향의 축간극에 기인하는 상대 변위 가능량과 동일하거나 그 상대 변위 가능량보다 크기 때문에, 특히 하부 케이스에 지름 방향으로 변동 하중이 작용하여 하부 케이스에 지름 방향의 변위가 발생한 경우에, 통로를 형성하는 간극을 규정하는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의 부분의 지름 방향의 압압 접촉에 기인하는 간섭을 회피할 수 있어, 그 부분에 변형, 손상, 파손 등의 결함을 발생시키지 않고, 그 부분에서의 상대 슬라이딩에 기인하는 슬라이딩 특성의 저하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에 있어서, 하부 케이스 및 상부 케이스 사이에 배치된 스러스트 미끄럼 베어링은, 하부 케이스 및 상부 케이스 중 한쪽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반면, 하부 케이스 및 상부 케이스 중 다른 쪽에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접촉하고 있는 면을 가진 스러스트 미끄럼 베어링부로 이루어져 있어도 되지만, 그 대신에 하부 케이스 및 상부 케이스에 대해 별개의 몸체로서, 하부 케이스에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접촉하고 있는 상면 및 상부 케이스에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접촉하고 있는 하면을 가진 스러스트 미끄럼 베어링편으로 이루어져 있어도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에 있어서, 외주측 통로 및 내주측 통로 중 적어도 한쪽은 하나의 지름 방향의 간극을 가지고 이루어져 있어도 되고, 그 대신에 래버린스와 같은 통로를 형성하도록 복수개의 지름 방향의 간극 및 이들 복수개의 지름 방향의 간극을 연통시키는 상하 방향의 간극을 가지고 이루어져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의 또 다른 하나의 태양은, 제1 내주면을 갖는 원환상의 상판부, 이 상판부의 하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원통형의 제1 수하부(垂下部) 및 내주면에서 제1 수하부의 외주면과 협동하여 원환상의 상부 외측 홈을 형성하도록 상판부의 하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원통형의 걸어맞춤 수하부를 구비한 합성 수지제의 상부 케이스와, 제2 내주면을 갖는 원환상의 하판부, 하판부의 하면에 제3 내주면을 가지고 일체적으로 형성된 원통형부, 하판부의 상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제1 돌기부 및 내주면에서 제1 돌기부의 외주면과 협동하여 원환상의 하부 외측 홈을 형성하도록 하판부의 상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원통형의 걸어맞춤 돌출부를 구비한 합성 수지제의 하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에 씌워진 상부 케이스의 상판부의 하면에 상면에서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접촉하는 반면, 하면에서 하판부의 상면에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접촉하여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 합성 수지제의 스러스트 미끄럼 베어링편을 구비하고 있고, 제1 수하부는, 그 내주면 및 외주면과 제1 돌기부의 외주면 및 걸어맞춤 돌출부의 내주면의 사이에서 각각 지름 방향의 제1 및 제2 간극을 가지고 하부 외측 홈에 배치되어 있고, 걸어맞춤 수하부는, 그 내주면과 걸어맞춤 돌출부의 외주면의 사이에서 지름 방향의 제3 간극을 가지고 걸어맞춤 돌출부의 지름 방향 외방에 배치되어 있고, 제1 수하부, 제1 돌기부, 걸어맞춤 수하부 및 걸어맞춤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 외주측 통로는 상기 공간의 지름 방향의 외주부를 외부에 연통시키며, 제1 내지 제3 간극 각각의 지름 방향의 최소폭은, 제1 내지 제3 내주면에 의해 규정되는 원 구멍에 삽입 통과되는 축에 의해 규제되는 상부 케이스에 대한 하부 케이스의 지름 방향의 상대 변위 가능량과 동일하거나 그 상대 변위 가능량보다 크다.
본 태양의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에 의하면, 외주측 통로를 형성하는 제1 내지 제3 간극의 지름 방향의 최소폭은, 제1 내지 제3 내주면에 의해 규정되는 원 구멍에 삽입 통과되는 축에 의해 규제되는 상부 케이스에 대한 하부 케이스의 지름 방향의 상대 변위 가능량과 동일하거나 그 상대 변위 가능량보다 크기 때문에, 하부 케이스에 지름 방향으로 변동 하중이 작용하여 하부 케이스에 지름 방향의 변위가 발생한 경우에도, 외주측 통로를 형성하는 제1 수하부의 내주면 및 외주면, 제1 돌기부의 외주면, 걸어맞춤 수하부의 내주면과 걸어맞춤 돌출부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서의 지름 방향의 상호간의 압압 접촉에 기인하는 간섭을 회피할 수 있어, 상기 제1 수하부, 제1 돌기부, 걸어맞춤 수하부 및 걸어맞춤 돌출부에 변형, 손상, 파손 등의 결함을 발생시키지 않고, 상기 제1 수하부, 제1 돌기부, 걸어맞춤 수하부 및 걸어맞춤 돌출부에서의 상대 슬라이딩에 기인하는 슬라이딩 특성의 저하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의 또 다른 하나의 태양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제1 내주면은 제2 내주면의 지름과 동일한 지름을 갖고 있고, 제3 내주면은 제2 내주면의 지름과 동일한 지름을 갖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제2 내주면과 동일한 면으로 되어 있고, 제1 내지 제3 간극 각각의 지름 방향의 최소폭은 지름 방향에서의 제2 및 제3 내주면 및 축의 외주면 사이의 2개의 축간극 중에서 작은 쪽의 축간극과 동일하거나 그 작은 쪽의 축간극보다 크다.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의 또 다른 하나의 태양에서는, 하판부의 상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제2 돌기부의 내주면 및 하판부의 상면과 협동하여 원환상의 하부 오목부를 형성하는 외주면을 가진 제2 돌기부를 더 갖고 있고, 스러스트 미끄럼 베어링편은 상기 공간에서 하부 오목부에 배치되어 있고, 이 경우, 제2 돌기부는 제2 내주면의 지름과 동일하며 상기 제2 내주면과 동일한 면으로 되어 있는 내주면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태양에 의하면, 스러스트 미끄럼 베어링편을 하부 오목부에 배치하기 때문에, 하부 케이스에 지름 방향으로 변동 하중이 작용하여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사이에 지름 방향의 상대 변위가 발생한 경우에도, 스러스트 미끄럼 베어링편의 지름 방향의 원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부 케이스는 외주면에서 상판부의 하면과 제1 수하부의 내주면과 협동하여 원환상의 상부 오목부를 형성하도록 상판부의 하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원통형의 제2 수하부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이 경우, 제2 돌기부는 제2 내주면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방으로 떨어져 하판부의 상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2 수하부는 그 외주면과 제2 돌기부의 내주면의 사이에 지름 방향의 제4 간극을 형성하여 하판부의 상면으로 향하여 수하되어 있고, 제2 수하부 및 제2 돌기부에 의해 형성된 내주측 통로는 상기 공간의 지름 방향의 내주부를 외부에 연통시키며, 제4 간극의 지름 방향의 최소폭은 상기 상대 변위 가능량과 동일하거나 그 상대 변위 가능량보다 커도 되고, 또한 지름 방향에서의 제2 및 제3 내주면 및 축의 외주면 사이의 2개의 축간극 중에서 작은 쪽의 축간극과 동일하거나 그 작은 쪽의 축간극보다 커도 된다.
외주측 통로에 더하여 내주측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에서는, 내주측 통로를 형성하는 제4 간극의 지름 방향의 최소폭은 상기 상대 변위 가능량과 동일하거나 그 상대 변위 가능량보다 크기 때문에, 하부 케이스에 지름 방향으로 변동 하중이 작용하여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사이에 지름 방향의 상대 변위가 발생한 경우에도, 내주측 통로를 형성하는 제2 수하부의 외주면 및 제2 돌기부의 내주면에서의 지름 방향의 상호간의 압압 접촉에 기인하는 간섭을 회피할 수 있어, 상기 제2 수하부 및 제2 돌기부에 변형, 손상, 파손 등의 결함을 발생시키지 않고, 상기 제2 수하부 및 제2 돌기부에서의 상대 슬라이딩에 기인하는 슬라이딩 특성의 저하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내주측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에서는, 제2 수하부는 제1 내주면의 지름과 동일한 지름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제1 내주면과 동일한 면의 내주면을 갖고 있어도 되고, 더욱이 하부 케이스는, 외주면에서 제2 돌기부의 내주면과 협동하여 원환상의 하부 내측 홈을 형성하도록 하판부의 상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원통형의 제3 돌기부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이 경우, 제2 수하부는 그 내주면과 제3 돌기부의 외주면의 사이에 지름 방향의 제5 간극을 가지고 하부 내측 홈에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제1 내주면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방으로 떨어져 상판부의 하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주측 통로는 제3 돌기부에 의해서 더 형성되어 있고, 제5 간극의 지름 방향의 최소폭은 상기 상대 변위 가능량과 동일하거나 그 상대 변위 가능량보다 커도 되고, 또한 지름 방향에서의 제2 및 제3 내주면 및 축의 외주면 사이의 2개의 축간극 중에서 작은 쪽의 축간극과 동일하거나 그 작은 쪽의 축간극보다 커도 되며, 이러한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에서도, 하부 케이스에 지름 방향으로 변동 하중이 작용하여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사이에 지름 방향의 상대 변위가 발생한 경우에도, 내주측 통로를 형성하는 제3 돌기부의 외주면 및 제2 수하부의 내주면에서의 지름 방향의 상호간의 압압 접촉에 기인하는 간섭을 회피할 수 있어, 상기 제3 돌기부 및 제2 수하부에 변형, 손상, 파손 등의 결함을 발생시키지 않고, 상기 제3 돌기부 및 제2 수하부에서의 상대 슬라이딩에 기인하는 슬라이딩 특성의 저하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제3 돌기부의 외주면 및 제2 수하부의 내주면에 의해서도 내주측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에 있어서, 제3 돌기부는 제2 내주면의 지름과 동일한 지름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제2 내주면과 동일한 면의 내주면을 갖고 있어도 되지만, 그 대신에 상부 케이스는, 외주면에서 제2 수하부의 내주면과 협동하여 원환상의 상부 내측 홈을 형성하도록 상판부의 하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원통형의 제3 수하부를 더 구비하고 있고, 제3 돌기부는, 그 내주면과 제3 수하부의 외주면의 사이에 지름 방향의 제6 간극을 가지고 상부 내측 홈에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제2 내주면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방으로 떨어져 하판부의 상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주측 통로는 제3 수하부에 의해서 더 형성되어 있고, 제6 간극의 지름 방향의 최소폭은 상기 상대 변위 가능량과 동일하거나 그 상대 변위 가능량보다 커도 되고, 또한 지름 방향에서의 제2 및 제3 내주면 및 축의 외주면 사이의 2개의 축간극 중에서 작은 쪽의 축간극과 동일하거나 그 작은 쪽의 축간극보다 커도 되며, 이러한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에서도, 하부 케이스에 지름 방향으로 변동 하중이 작용하여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사이에 지름 방향의 상대 변위가 발생한 경우에도, 내주측 통로를 형성하는 제3 돌기부의 내주면 및 제3 수하부의 외주면에서의 지름 방향의 상호간의 압압 접촉에 기인하는 간섭을 회피할 수 있어, 상기 제3 돌기부 및 제3 수하부에 변형, 손상, 파손 등의 결함을 발생시키지 않고, 상기 제3 돌기부 및 제3 수하부에서의 상대 슬라이딩에 기인하는 슬라이딩 특성의 저하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내주측 통로가 제3 돌기부에 의해서 더 형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에서는, 제3 수하부는 제1 내주면의 지름과 동일한 지름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제1 내주면과 동일한 면의 내주면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에 있어서,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모두가, 삽입 통과되는 축에 대해 지름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대 변위 가능량은 상부 케이스의 축에 대한 축간극과 하부 케이스의 축에 대한 축간극의 합이 되지만,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중 한쪽이, 삽입 통과되는 축에 대해 지름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고,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중 다른 쪽이, 삽입 통과되는 축에 대해 지름 방향으로 변위 불가능하며 또한 삽입 통과되는 축에 대해 균등한 베어링 간극을 가지고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대 변위 가능량은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중 한쪽에 대한 축간극이 되고,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중 한쪽이, 삽입 통과되는 축에 대해 지름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고,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중 다른 쪽이, 삽입 통과되는 축에 대해 지름 방향으로 변위 불가능하며 또한 삽입 통과되는 축에 대해 상기 축의 둘레에서 불균등한 축간극을 가지고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대 변위 가능량은 이 불균등성에 의존하여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중 한쪽에 대한 축간극으로부터 상부 케이스의 축에 대한 축간극과 하부 케이스의 축에 대한 축간극의 합까지의 값이 되고, 따라서 최소폭이 상부 케이스의 축에 대한 축간극과 하부 케이스의 축에 대한 축간극의 합 이상이면,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와 축 사이의 축간극에 기인하여 상부 케이스에 대해 하부 케이스에 지름 방향의 상대 변위가 발생한 경우에도, 축에 대한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의 장착 태양에 영향을 받지 않고, 통로를 형성하는 간극을 규정하는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의 부분의 지름 방향의 압압 접촉에 기인하는 간섭을 확실히 회피할 수 있지만, 한편 상기 최소폭이 너무 크면, 스러스트 베어링, 이러한 스러스트 미끄럼 베어링이 스러스트 미끄럼 베어링편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스러스트 미끄럼 베어링편의 슬라이딩면에의 먼지 등 이물의 침입을 용이하게 하여 원활한 스티어링 조작력을 얻을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는 결과, 간섭의 회피와 이물 침입 저지의 균형을 생각해서 이러한 최소폭을 결정하면 좋다.
이상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에 있어서, 외주측에 래버린스로 이루어지는 통로가, 또한 외주측 및 내주측에 래버린스로 이루어지는 통로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러스트 미끄럼 베어링이 배치되는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사이의 공간에의 외부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의 침입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부 케이스에 지름 방향으로 변동 하중이 작용하여 하부 케이스에 지름 방향의 상대 변위가 발생한 경우에도, 스러스트 베어링이 배치되는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사이의 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래버린스와 같은 통로를 형성하는 간극을 규정하는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의 부분의 지름 방향의 상호간의 압압 접촉에 기인하는 간섭을 회피할 수 있어, 상기 부분에 변형, 손상, 파손 등의 결함을 발생시키지 않고, 상기 부분에서의 상대 슬라이딩에 기인하는 슬라이딩 특성의 저하를 발생시키지 않는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예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예에서의 스러스트 미끄럼 베어링편의 평면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의 예의 스러스트 미끄럼 베어링편의 도 2에 도시된 III-III선 단면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1의 예의 일부 확대 단면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1의 예를 스트럿형 서스펜션에 조립한 예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5의 일부 확대 단면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예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예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예의 단면 설명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예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본 발명은 이들 예에 전혀 한정되지 않는 것이다.
도 1부터 도 4에서, 본 예의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1)은, 합성 수지제의 상부 케이스(2)와, 합성 수지제의 하부 케이스(3)와, 하부 케이스(3) 및 하부 케이스(3)에 씌워진 상부 케이스(2) 사이에 배치된 합성 수지제의 스러스트 미끄럼 베어링으로서의 스러스트 미끄럼 베어링편(4)을 구비하고 있다.
상부 케이스(2)는, 원환상의 상면(10) 및 중앙부의 원 구멍(11)을 규정하는 내주면(12)을 갖는 원환상의 상판부(13)와, 내주면(12)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방(A)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판부(13)의 원환상의 하면(14)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원통형의 수하부(15)와, 내주면(16)에서 수하부(15)의 외주면(17)과 협동하여 원환상의 상부 외측 홈(18)을 형성하도록 외주면(17)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방(A)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판부(13)의 외주측 하면(14)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걸어맞춤 수하부(19)를 구비하고 있다.
걸어맞춤 수하부(19)는, 하면(14)으로부터 수하되어 하면(14)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부(20)와, 원통형부(20)의 내주면으로부터 지름 방향 내방(B)으로 팽출하여 원통형부(20)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걸어맞춤부(21)를 구비하고 있고, 내주면(16)은, 하면(14)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방(A)으로 경사진 원통형부(20)의 원환상의 경사면(22)과, 경사면(22)에 연접되어 있음과 아울러 지름 방향 내방(B)으로 만곡형상으로 팽출한 걸어맞춤부(21)의 원환상의 팽출면(23)을 구비하고 있고, 걸어맞춤부(21)는 수하부(15)의 원환상의 하단면(24)보다 하방에 위치한 원환상의 하단면(25)을 갖고 있다.
하부 케이스(3)는, 원통형의 외주면(30) 및 원 구멍(11)과 동일 지름의 중앙부의 원 구멍(31)을 규정함과 아울러 내주면(12)과 동일 지름의 내주면(32)을 각각 갖는 원환상의 하판부(33)와, 하판부(33)의 원환상의 상면(34)의 내주측에 원 구멍(31)과 동일 지름의 원 구멍(35)을 규정함과 아울러 내주면(32)과 동일 지름으로 내주면(32)과 동일한 면으로 되어 있는 내주면(36)을 가지고 일체적으로 형성된 원통형의 돌기부(37)와, 하판부(33)의 원환상의 하면(38)의 내주측에 원 구멍(31) 및 원 구멍(35)과 동일 지름의 원 구멍(39)을 규정하는 내주면(40)을 가지고 일체적으로 형성된 원통형부(41)와, 돌기부(37)로부터 지름 방향 외방(A)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면(34)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내주면(45)에서 돌기부(37)의 외주면(46)과 상면(34)과 협동하여 원환상의 하부 오목부(47)를 형성하는 원통형의 돌기부(48)와, 내주면(49)에서 돌기부(48)의 외주면(50)과 협동하여 원환상의 하부 외측 홈(51)을 형성하도록 돌기부(48)로부터 지름 방향 외방(A)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면(34)의 외주측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원통형의 걸어맞춤 돌출부(52)를 구비하고 있다.
걸어맞춤 돌출부(52)는, 상면(34)으로부터 돌출되어 상면(34)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내주면(49)을 가진 원통형부(53)와, 원통형부(53)의 외주면에 지름 방향 외방(A)으로 팽출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외주면(54)을 가진 원통형의 피걸어맞춤부(55)를 구비하고 있고, 외주면(54)은, 원통형부(53)의 원환상의 상단면(56)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방(A)으로 경사져 있음과 아울러 경사면(22)에 대면한 원환상의 경사면(57)과, 한쪽에서는 경사면(57)에, 다른 쪽에서는 외주면(30)에 각각 연접되어 있음과 아울러 경사면(57)으로부터 지름 방향 내방(B)으로 경사진 원환상의 경사면(58)을 구비하고 있고, 상단면(56)은, 상하 방향(C)에 관해 돌기부(48)의 원환상의 상단면(59)과 함께 돌기부(37)의 원환상의 상단면(60)과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피걸어맞춤부(55)는, 그 외주면(54)의 지름 방향 외방(A)의 최대 장출 위치에서의 지름이 걸어맞춤부(21)에서의 팽출면(23)의 지름 방향 내방(B)의 최대 팽출 위치에서의 지름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3) 및 하부 케이스(3)에 대해 별개의 몸체인 원환상의 스러스트 미끄럼 베어링편(4)은, 중앙의 원 구멍(61)을 규정함과 아울러 외주면(46)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가진 내주면(62)과, 내주면(45)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가진 외주면(63)과, 상측의 원환상의 스러스트 미끄럼 베어링면으로서의 원환상의 상면(64)과, 하측의 원환상의 스러스트 미끄럼 베어링면으로서의 원환상의 하면(65)을 구비하고 있고, 원환상의 상면(64)을 하부 오목부(47)의 개구면(66)보다 상방에 위치시켜 내주면(62)과 외주면(46)의 사이 및 외주면(63)과 내주면(45)의 사이에 각각 환상의 간극을 가지고 하부 오목부(47)에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하부 케이스(3)에 씌워진 상부 케이스(2)의 상판부(13)의 하면(14)에 상면(64)에서 원주 방향(R)으로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접촉하는 반면, 하부 오목부(47)의 바닥면을 규정하는 하판부(33)의 상면(34)에 하면(65)에서 원주 방향(R)으로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접촉하여, 상부 케이스(2) 및 하부 케이스(3) 사이의 공간(67)에서 하부 오목부(47)에 배치되어 있다.
스러스트 미끄럼 베어링편(4)은, 상면(64) 및 하면(65)에 원 구멍(61)을 둘러싸는 원환상 홈(68)과, 한쪽 단부가 원환상 홈(68)으로 개구되고 다른 쪽 단부가 외주면(63)에서 개구되어 원주 방향(R)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방사상 홈(69)를 더 구비하고 있고, 이들 원환상 홈(68) 및 방사상 홈(69)에는 그리스 등의 윤활유제가 충전된다.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1)은, 수하부(15)가 그 내주면(71) 및 외주면(17)과 이들에 지름 방향 내방(B) 및 지름 방향 외방(A)에서 각각 대면하는 외주면(50) 및 내주면(49)의 사이에서 각각 지름 방향 내방(B) 및 지름 방향 외방(A)으로 이루어지는 지름 방향의 간극(72, 72')을 가지고 외주면(50) 및 내주면(49)에 더하여 하판부(33)의 원환상 면(73)에 의해 규정된 하부 외측 홈(51)에 배치되고, 걸어맞춤 수하부(19)가 그 내주면(16)과 내주면(16)에 지름 방향 내방(B)에서 대면하는 외주면(30) 및 외주면(54)의 사이에서 지름 방향의 간극(75)을 가지고 걸어맞춤 돌출부(52)의 지름 방향 외방(A)에 배치되며, 이에 의해 상판부(13), 수하부(15), 돌기부(48), 걸어맞춤 수하부(19), 걸어맞춤 돌출부(52) 및 하판부(33)에 의해, 즉 보다 구체적으로 하면(14) 및 상단면(59) 사이의 간극, 내주면(71) 및 외주면(50) 사이의 간극(72), 하단면(24) 및 원환상 면(73) 사이의 간극, 외주면(17) 및 내주면(49) 사이의 간극(72'), 하면(14) 및 상단면(56) 사이의 간극, 내주면(16) 및 외주면(54) 및 외주면(30) 사이의 간극(75)에 의해, 일단에서는 공간(67)의 지름 방향의 외주부로 개구되는 반면, 타단에서는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1) 밖으로 개구되어 상기 공간(67)의 지름 방향의 외주부를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1)의 외부에 연통시킨 래버린스로 이루어지는 외주측 통로(76)가 형성되도록 하여, 지름 차이를 해소하는 휨 변형에 의한 걸어맞춤부(21)의 피걸어맞춤부(55)에의 끼워맞춤을 통해 상부 케이스(2)가 하부 케이스(3)에 씌워져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1)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32), 내주면(36) 및 내주면(40)으로 형성되는 지름(D)을 갖는 내주면(81)과 축으로서의 외경(d)을 갖는 스트럿 어셈블리의 피스톤 로드(82)의 외주면(83)의 사이에 지름 방향의 축간극 Δ1(Δ1=(D-d)·1/2)을, 그리고 내주면(12)과 피스톤 로드(82)의 외주면(83)의 사이에 지름 방향의 축간극 Δ2(본 예에서는 Δ1=Δ2)를 각각 원주 방향(R)에 관해 균등하게 보유하여 피스톤 로드(82)를 원 구멍(11), 원 구멍(31), 원 구멍(35) 및 원 구멍(39)에 삽입 통과시키고, 하면(38)에 연접한 원통형의 외주면(83)을 가진 원통형부(41)를 코일 스프링(84)의 상부 스프링 받침 시트(85)의 평판부(86)에 형성된 원 구멍(87)에 끼워 하면(38)을 평판부(86)에 접촉시키고, 피스톤 로드(82)의 상단이 너트(88)에 의해 고착된 차체측 장착 부재(89)의 하면(90)에 상면(10)을 접촉시킴과 아울러 상부 케이스(2)를 피스톤 로드(82)에 대해 지름 방향으로 이동시키지 않도록 하여 상부 스프링 받침 시트(85)와 차체측 장착 부재(89)의 사이에 배치된다.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1)은, 2개의 간극(72, 72') 및 간극(75)에서의 지름 방향의 최소폭이 지름 방향에서의 내주면(32, 36 및 40) 및 피스톤 로드(82)의 외주면(83) 사이의 2개의 축간극(Δ1) 중에서 작은 쪽의 축간극(Δ1), 본 예에서는 각각의 축간극(Δ1)이 동일하기 때문에, 축간극(Δ1)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1)에서는, 통로(76)에서의 지름 방향에 대해 교차하여 연장되는 2개의 간극(72, 72') 및 간극(75)에서의 지름 방향의 최소폭은, 내주면(12, 32, 36 및 40)에 의해 규정되는 원 구멍(11, 31, 35 및 39)에 삽입 통과되어 상부 케이스(2), 하부 케이스(3) 및 스러스트 미끄럼 베어링편(4)을 관통하는 피스톤 로드(82)에 의해 규제되는 상부 케이스(2)에 대한 하부 케이스(3)의 지름 방향의 상대 변위 가능량보다 크게 되어 있다.
이상의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1)에서는, 하부 케이스(3) 및 하부 케이스(3)에 씌워진 상부 케이스(2) 사이에 스러스트 미끄럼 베어링편(4)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티어링 조작에서의 차체측 장착 부재(89)에 대한 상부 스프링 받침 시트(85)의 축심(O)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방향인 원주 방향(R)의 회전이 하면(14)에 대한 상면(64)에서의 스러스트 미끄럼 베어링편(4)의 원주 방향(R)의 회전 슬라이딩 및 상면(34)에 대한 하면(65)에서의 스러스트 미끄럼 베어링편(4)의 원주 방향(R)의 회전 슬라이딩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이루어지는 결과, 원활한 스티어링 조작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극(72, 72') 및 간극(75)에서의 지름 방향의 최소폭이 피스톤 로드(82)의 외주면(83)에 대한 내주면(32, 36 및 40)에서의 지름 방향의 각각의 축간극(Δ1)보다 크기 때문에, 상부 케이스(2)에 대해 하부 케이스(3)에 최대로 축간극(Δ1)의 지름 방향의 상대 변위가 발생해도, 걸어맞춤 수하부(19)와 걸어맞춤 돌출부(52)의 지름 방향에서의 상호간의 압압 접촉에 기인하는 간섭 및 수하부(15)와 돌기부(48) 및 걸어맞춤 돌출부(52)의 지름 방향에서의 상호간의 압압 접촉에 기인하는 간섭 각각이 회피되는 결과, 이러한 상부 케이스(2)에 대한 하부 케이스(3)에 최대로 축간극(Δ1)의 지름 방향의 상대 변위에서도 수하부(15), 걸어맞춤 수하부(19), 돌기부(48) 및 걸어맞춤 돌출부(52)의 변형, 손상, 파손 등의 결함을 발생시키지 않는 데다가, 상부 케이스(2)에 대한 하부 케이스(3)의 원주 방향(R)의 상대적인 회전에, 이러한 간섭에 기인하는 마찰 저항의 상승을 발생시키는 일은 없어 원활한 스티어링 조작을 유지할 수 있다.
즉,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1)에서는, 피스톤 로드(82)의 삽입 통과를 위해 요구되는 축간극(Δ1)에 기인하는 걸어맞춤 수하부(19)와 걸어맞춤 돌출부(52)의 지름 방향에서의 압압 접촉 및 수하부(15)와 돌기부(48) 및 걸어맞춤 돌출부(52)의 지름 방향에서의 압압 접촉 각각을 회피할 수 있어 원활한 스티어링 조작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부터 도 4에 도시된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1)에서는, 외주측에만 통로(76)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러한 외주측 통로(76)에 더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1)은 내주측 통로(100)를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도 7에 도시된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1)에 있어서, 상부 케이스(2)는, 내주면(36)보다 소경인 원통형의 외주면(101)에서 상판부(13)의 하면(14)과 수하부(15)의 내주면(71)과 협동하여 원환상의 상부 오목부(102)를 형성하도록 상판부(13)의 하면(14)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내주면(12)과 동일 지름이고 또한 동일한 면이며 외주면(101)보다 소경인 원통형의 내주면(103)을 가진 원통형의 수하부(104)를 더 구비하고 있고, 이 경우, 돌기부(37)는 내주면(32)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방(A)으로 떨어져 하판부(33)의 상면(34)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원 구멍(11)에 연통하는 원 구멍(105)을 규정하는 내주면(103)을 가진 수하부(104)는, 그 외주면(101)과 돌기부(37)의 내주면(36)의 사이에 지름 방향의 간극(106)을 형성하여 하판부(33)의 상면(34)으로 향하여 수하되어 있고, 상단면(60) 및 하면(14) 사이의 간극과 외주면(101) 및 내주면(36) 사이의 간극(106)의 간극에 의해, 일단에서는 공간(67)의 지름 방향의 내주부로 개구되는 반면, 타단에서는 상면(34) 및 수하부(104)의 원환상의 하단면(107) 사이에서의 원 구멍(35)으로 개구되어, 상기 공간(67)의 지름 방향의 내주부를 축간극(Δ1 및 Δ2)의 부위를 개재하여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1)의 외부에 연통시킨 래버린스로 이루어지는 내주측 통로(100)가 형성되어 있고, 통로(100)에서의 지름 방향에 대해 교차하여 연장되는 간극(106)의 지름 방향의 최소폭은 축간극(Δ1)보다 크고, 따라서 내주면(12, 32, 40 및 103)에 의해 규정되는 원 구멍(11, 31, 39 및 105)에 삽입 통과되어 상부 케이스(2), 하부 케이스(3) 및 스러스트 미끄럼 베어링편(4)을 관통하는 피스톤 로드(82)에 의해 규제되는 상부 케이스(2)에 대한 하부 케이스(3)의 지름 방향의 상대 변위 가능량보다 크게 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1)에서도, 간극(106)에서의 지름 방향의 최소폭이 피스톤 로드(82)의 외주면(83)에 대한 내주면(32 및 40)에서의 지름 방향의 각각의 축간극(Δ1)보다 크기 때문에, 상부 케이스(2)에 대해 하부 케이스(3)에 최대로 축간극(Δ1)의 지름 방향의 상대 변위가 발생해도, 걸어맞춤 수하부(19)와 걸어맞춤 돌출부(52)의 지름 방향에서의 간섭 및 수하부(15)와 돌기부(48) 및 걸어맞춤 돌출부(52)의 지름 방향에서의 상호간의 압압 접촉에 기인하는 간섭에 더하여, 수하부(104)와 돌기부(37)의 지름 방향에서의 상호간의 압압 접촉에 기인하는 간섭이 회피되는 결과, 이러한 상부 케이스(2)에 대한 하부 케이스(3)에 최대로 축간극(Δ1)의 지름 방향의 상대 변위에서도 수하부(15), 걸어맞춤 수하부(19), 돌기부(48) 및 걸어맞춤 돌출부(52)에 더하여 수하부(104) 및 돌기부(37)의 변형, 손상, 파손 등의 결함을 발생시키지 않는 데다가, 상부 케이스(2)에 대한 하부 케이스(3)의 원주 방향(R)의 상대적인 회전에, 이러한 간섭에 기인하는 마찰 저항의 상승을 발생시키는 일은 없어 원활한 스티어링 조작을 유지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1)에서는, 내주측 통로(100)를 돌기부(37) 및 수하부(104)에 의해 형성하였지만, 이에 더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1)은 돌기부(121)의 원통형의 외주면(122) 및 수하부(104)의 내주면(103)으로 형성된 내주측 통로(100)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즉 도 8에 도시된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1)에서는, 하부 케이스(3)는, 내주면(36 및 103)의 지름보다 소경인 원통형의 외주면(122)에서 돌기부(37)의 내주면(36)과 협동하여 하부 오목부(47)보다 깊은 원환상의 하부 내측 홈(123)을 형성하도록, 하판부(33)의 상면(34)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외주면(122)에 더하여 내주면(32)과 동일 지름이고 또한 동일한 면이며 외주면(122)보다 소경인 원통형의 내주면(124)을 가진 원통형의 돌기부(121)를 더 구비하고 있고, 수하부(104)는, 그 내주면(103)과 돌기부(121)의 외주면(122)의 사이에 지름 방향의 간극(125)을 가지고 내주면(36), 외주면(122) 및 하판부(33)의 원환상 면(126)에 의해 규정된 하부 내측 홈(123)에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내주면(12)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방(A)으로 떨어져 상판부(13)의 하면(14)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주면(124)은 원 구멍(31)에 연통하는 원 구멍(127)을 규정하며, 따라서 내주측 통로(100)는, 상단면(60) 및 하면(14) 사이의 간극과 외주면(101) 및 내주면(36) 사이의 간극(106)에 더하여, 간극(125), 원환상 면(126) 및 수하부(104)의 하단면(107) 사이의 간극과 하면(14) 및 돌기부(121)의 원환상의 상단면(128) 사이의 간극에 의해, 일단에서는 공간(67)의 지름 방향의 내주부로 개구되는 반면, 타단에서는 원 구멍(11) 및 원 구멍(31) 사이의 원환상 공간(129)으로 개구되어, 상기 공간(67)의 지름 방향의 내주부를 축간극(Δ1 및 Δ2)의 부위를 개재하여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1)의 외부에 연통시킨 내주측 통로(100)가 형성되어 있고, 래버린스로 이루어지는 통로(100)에서의 지름 방향에 대해 교차하여 연장되는 간극(125)의 지름 방향의 최소폭은 축간극(Δ1)보다 크고, 따라서 내주면(12, 32, 40 및 124)에 의해 규정되는 원 구멍(11, 31, 39 및 127)에 삽입 통과되어 상부 케이스(2), 하부 케이스(3) 및 스러스트 미끄럼 베어링편(4)을 관통하는 피스톤 로드(82)에 의해 규제되는 상부 케이스(2)에 대한 하부 케이스(3)의 지름 방향의 상대 변위 가능량보다 크게 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1)에서도, 간극(125)에서의 지름 방향의 최소폭이 피스톤 로드(82)의 외주면(83)에 대한 내주면(32, 40 및 124)에서의 지름 방향의 각각의 축간극(Δ1)보다 크기 때문에, 상부 케이스(2)에 대해 하부 케이스(3)에 최대로 축간극(Δ1)의 지름 방향의 상대 변위가 발생해도, 걸어맞춤 수하부(19)와 걸어맞춤 돌출부(52)의 지름 방향에서의 상호간의 압압 접촉에 기인하는 간섭, 수하부(15)와 돌기부(48) 및 걸어맞춤 돌출부(52)의 지름 방향에서의 상호간의 압압 접촉에 기인하는 간섭 및 수하부(104)와 돌기부(37)의 지름 방향에서의 상호간의 압압 접촉에 기인하는 간섭에 더하여, 수하부(104)와 돌기부(121)의 지름 방향에서의 상호간의 압압 접촉에 기인하는 간섭이 회피되는 결과, 이러한 상부 케이스(2)에 대한 하부 케이스(3)에 최대로 축간극(Δ1)의 지름 방향의 상대 변위에서도 수하부(15), 걸어맞춤 수하부(19), 돌기부(48) 및 걸어맞춤 돌출부(52)에 더하여 수하부(104), 돌기부(37) 및 돌기부(121)의 변형, 손상, 파손 등의 결함을 발생시키지 않는 데다가, 상부 케이스(2)에 대한 하부 케이스(3)의 원주 방향(R)의 상대적인 회전에, 이러한 간섭에 기인하는 마찰 저항의 상승을 발생시키는 일은 없어 원활한 스티어링 조작을 유지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1)에서는, 내주측 통로(100)를 돌기부(37), 수하부(104) 및 돌기부(121)에 의해 형성하였지만, 이에 더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1)은 돌기부(121)의 원통형의 내주면(124) 및 수하부(141)의 외주면(142)으로 형성된 내주측 통로(100)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즉 도 9에 도시된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1)에서는, 상부 케이스(2)는, 내주면(103 및 124)의 지름보다 소경인 원통형의 외주면(142)에서 수하부(104)의 내주면(103)과 협동하여 상부 오목부(102)보다 얕은 원환상의 상부 내측 홈(143)을 형성하도록, 상판부(13)의 하면(14)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외주면(142)에 더하여 내주면(12)과 동일 지름이고 또한 동일한 면이며 외주면(142)보다 소경인 원통형의 내주면(144)을 가진 원통형의 수하부(141)를 더 구비하고 있고, 돌기부(121)는, 그 내주면(124)과 수하부(141)의 외주면(142)의 사이에 지름 방향의 간극(145)을 가지고 내주면(103), 외주면(142) 및 상판부(13)의 원환상 면(146)에 의해 규정된 상부 내측 홈(143)에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내주면(32)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방으로 떨어져 하판부(33)의 상면(34)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주면(144)은 원 구멍(11)에 연통하는 원 구멍(147)을 규정하며, 따라서 내주측 통로(100)는, 상단면(60) 및 하면(14) 사이의 간극, 간극(106), 원환상 면(126) 및 수하부(104)의 하단면(107) 사이의 간극, 내주면(103) 및 돌기부(121)의 외주면(122) 사이의 간극(125)에 더하여, 간극(145), 돌기부(121)의 상단면(128) 및 원환상 면(146) 사이의 간극과 수하부(141)의 원환상의 하단면(148) 및 사이의 간극에 의해, 일단에서는 공간(67)의 지름 방향의 내주부로 개구되는 반면, 타단에서는 원 구멍(147) 및 원 구멍(31) 사이의 원환상 공간(149)으로 개구되어, 상기 공간(67)의 지름 방향의 내주부를 축간극(Δ1 및 Δ2)의 부위를 개재하여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1)의 외부에 연통시킨 내주측 통로(100)가 형성되어 있고, 래버린스로 이루어지는 통로(100)에서의 지름 방향에 대해 교차하여 연장되는 간극(145)의 지름 방향의 최소폭은 축간극(Δ1)보다 크고, 따라서 내주면(12, 32, 40 및 144)에 의해 규정되는 원 구멍(11, 31, 39 및 147)에 삽입 통과되어 상부 케이스(2), 하부 케이스(3) 및 스러스트 미끄럼 베어링편(4)을 관통하는 피스톤 로드(82)에 의해 규제되는 상부 케이스(2)에 대한 하부 케이스(3)의 지름 방향의 상기 상대 변위 가능량보다 크게 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1)에서도, 간극(145)에서의 지름 방향의 최소폭이 피스톤 로드(82)의 외주면(83)에 대한 내주면(32 및 40)에서의 지름 방향의 각각의 축간극(Δ1)보다 크기 때문에, 상부 케이스(2)에 대해 하부 케이스(3)에 최대로 축간극(Δ1)의 지름 방향의 상대 변위가 발생해도, 걸어맞춤 수하부(19)와 걸어맞춤 돌출부(52)의 지름 방향에서의 상호간의 압압 접촉에 기인하는 간섭, 수하부(15)와 돌기부(48) 및 걸어맞춤 돌출부(52)의 지름 방향에서의 상호간의 압압 접촉에 기인하는 간섭, 수하부(104)와 돌기부(37)의 지름 방향에서의 상호간의 압압 접촉에 기인하는 간섭 및 수하부(104)와 돌기부(121)의 지름 방향에서의 상호간의 압압 접촉에 기인하는 간섭에 더하여, 돌기부(121)와 수하부(141)의 지름 방향에서의 상호간의 압압 접촉에 기인하는 간섭이 회피되는 결과, 이러한 상부 케이스(2)에 대한 하부 케이스(3)에 최대로 축간극(Δ1)의 지름 방향의 상대 변위에서도, 수하부(15), 걸어맞춤 수하부(19), 돌기부(48) 및 걸어맞춤 돌출부(52)에 더하여 수하부(104), 돌기부(37), 돌기부(121) 및 수하부(141)의 변형, 손상, 파손 등의 결함을 발생시키지 않는 데다가, 상부 케이스(2)에 대한 하부 케이스(3)의 원주 방향(R)의 상대적인 회전에, 이러한 간섭에 기인하는 마찰 저항의 상승을 발생시키는 일은 없어 원활한 스티어링 조작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의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1)에 있어서, 외주측의 간섭(압압 접촉)을 특히 회피함으로써, 상부 케이스(2)에 대한 하부 케이스(3)의 상대적인 원주 방향(R)의 상대적인 회전에서의 회전 모멘트에 영향을 주지 않고 저저항력으로 원활한 스티어링 조작을 유지할 수 있다.
1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
2 상부 케이스
3 하부 케이스
4 스러스트 미끄럼 베어링편
10 상면
11, 31, 35, 39, 61 원 구멍
12, 16, 32, 36, 40, 45, 49, 62 내주면
13 상판부
14, 38 하면
15 수하부
17, 46, 50, 63 외주면
18 상부 외측 홈
19 걸어맞춤 수하부
30 외주면
33 하판부
34, 64 상면
37, 48 돌기부
38, 65 하면
41 원통형부
47 하부 오목부
51 하부 외측 홈
52 걸어맞춤 돌출부
66 개구면
67 공간

Claims (18)

  1. 합성 수지제 미끄럼 베어링(1)과 축의 결합체로서,
    상기 합성 수지제 미끄럼 베어링(1)은:
    합성 수지제의 상부 케이스(2); 합성 수지제의 하부 케이스(3); 및 상기 하부 케이스(3) 및 상기 하부 케이스(3)에 씌워진 상부 케이스(2) 사이에 배치된 합성 수지제의 스러스트 미끄럼 베어링편(4)을 포함하며,
    상기 축은 상기 상부 케이스(2)와 상기 하부 케이스(3)를 삽입 통과하며,
    상기 상부 케이스(2)는:
    제1 내주면(12)을 갖는 원환상의 상판부(13); 상기 상판부(13)의 하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원통형의 제1 수하부(垂下部; 15); 외주면(101)에서 상기 상판부(13)의 하면과 상기 제1 수하부(15)의 내주면(71)과 협동하여 원환상의 상부 오목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상판부(13)의 하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원통형의 제2 수하부(104); 및 내주면(16)에서 상기 제1 수하부(15)의 외주면(17)과 협동하여 원환상의 상부 외측 홈(18)을 형성하도록 상판부(13)의 하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원통형의 걸어맞춤 수하부(19)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 케이스(3)는:
    제2 내주면(32)을 갖는 원환상의 하판부(33); 상기 하판부(33)의 하면에 제3 내주면(40)을 가지고 일체적으로 형성된 원통형부(41); 상기 하판부(33)의 상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의 제1 돌기부(48); 상기 하판부(33)의 상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제1 돌기부(48)의 내주면(45) 및 상기 하판부(33)의 상면과 협동하여 원환상의 하부 오목부를 형성하는 외주면(50)을 가진 제2 돌기부(37); 및 내주면(49)에서 상기 제1 돌기부(48)의 외주면(50)과 협동하여 원환상의 하부 외측 홈(51)을 형성하도록 상기 하판부(33)의 상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원통형의 걸어맞춤 돌출부(52)를 구비하며,
    상기 스러스트 미끄럼 베어링편(4)은, 상면(64)이 상기 하부 케이스(3)에 씌워진 상기 상부 케이스(2)의 상판부(13)의 하면에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접촉하고, 하면(65)이 상기 상부 케이스(2)의 하판부(33)의 상면에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접촉하도록, 상기 상부 케이스(2) 및 상기 하부 케이스(3) 사이의 공간(67)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수하부(15)는, 그 제1 수하부(15)의 내주면(71)과 상기 제1 돌기부(48)의 외주면(50) 사이에 지름 방향의 제1 간극(72)을 가지며 그 제1 수하부(15)의 외주면(17)과 상기 걸어맞춤 돌출부(52)의 내주면(49)의 사이에 지름 방향의 제2 간극(72')을 가지도록, 상기 하부 외측 홈(51)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걸어맞춤 수하부(19)는, 그 내주면(16)과 걸어맞춤 돌출부(52)의 외주면(54)의 사이에서 지름 방향의 제3 간극(75)을 가지고 걸어맞춤 돌출부(52)의 지름 방향 외방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수하부(15), 제1 돌기부(48), 걸어맞춤 수하부(19) 및 걸어맞춤 돌출부(52)에 의해 형성된 외주측 통로(76)는 상기 공간(67)의 지름 방향의 외주부를 외부에 연통시키며,
    상기 상부 케이스(2)와 하부 케이스(3)를 삽입 통과하는 축은, 상기 제1 내지 제3 내주면(12, 32, 40)에 의해 규정된 원 구멍들에 삽입 통과되며,
    상기 제1 내지 제3 간극(72, 72', 75)은 지름 방향에 대해 교차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스러스트 미끄럼 베어링편(4)은 상기 공간(67)에서 하부 오목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돌기부(37)는 상기 제2 내주면(32)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방으로 떨어져 상기 하판부(33)의 상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수하부(104)는 그 외주면(101)과 상기 제2 돌기부(37)의 내주면(36)의 사이에서 지름 방향의 제4 간극(106)을 형성하여 상기 하판부(33)의 상면으로 향하여 수하되어 있고,
    상기 제2 수하부(104) 및 제2 돌기부(37)에 의해, 상기 공간(67)의 지름 방향의 내주부를 외부에 연통시키는 내주측 통로(100)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 간극(72, 72', 75) 각각의 지름 방향의 최소폭은, 상기 제1 내지 제3 내주면(12, 32, 40)에 의해 규정되는 원 구멍들에 삽입 통과되는 축에 의해 규제되는 상기 상부 케이스(2)에 대한 상기 하부 케이스(3)의 지름 방향의 상대 변위 가능량과 동일하거나 그 상대 변위 가능량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과 축의 결합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주면(12)은, 상기 제2 내주면(32)의 지름과 동일한 지름을 갖고 있는,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1)과 축의 결합체.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3 내주면(40)은, 상기 제2 내주면(32)의 지름과 동일한 지름을 갖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제2 내주면(32)과 동일한 면으로 되어 있는,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1)과 축의 결합체.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간극(72, 72', 75) 각각의 지름 방향의 최소폭은, 지름 방향에서의 상기 제2 내주면(32)과 상기 축의 외주면 사이의 축간극 및 상기 제3 내주면(40)과 상기 축의 외주면 사이의 축간극 중에서 작은 쪽의 축간극과 동일하거나 그 작은 쪽의 축간극보다 큰,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1)과 축의 결합체.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돌기부(37)는, 상기 제2 내주면(32)의 지름과 동일하며 상기 제2 내주면(32)과 동일한 면으로 되어 있는 내주면을 갖고 있는,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1)과 축의 결합체.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4 간극(106)의 지름 방향의 최소폭은, 지름 방향에서의 상기 제2 내주면(32)과 상기 축의 외주면 사이의 축간극 및 상기 제3 내주면(40)과 상기 축의 외주면 사이의 축간극 중에서 작은 쪽의 축간극과 동일하거나 그 작은 쪽의 축간극보다 큰,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1)과 축의 결합체.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수하부(104)는, 상기 제1 내주면(12)의 지름과 동일한 지름을 가짐과 아울러 상기 제1 내주면(12)과 동일한 면의 내주면을 갖고 있는,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1)과 축의 결합체.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3)는, 외주면에서 상기 제2 돌기부(37)의 내주면(36)과 협동하여 원환상의 하부 내측 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하판부(33)의 상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원통형의 제3 돌기부(121)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2 수하부(104)는, 그 내주면(103)과 상기 제3 돌기부의 외주면의 사이에 지름 방향의 제5 간극을 가지고 상기 하부 내측 홈에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제1 내주면(12)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방으로 떨어져 상기 상판부(13)의 하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주측 통로(100)는 상기 제3 돌기부에 의해서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5 간극의 지름 방향의 최소폭은 상기 상대 변위 가능량과 동일하거나 그 상대 변위 가능량보다 큰,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1)과 축의 결합체.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5 간극의 지름 방향의 최소폭은, 지름 방향에서의 상기 제2 내주면과 상기 축의 외주면 사이의 축간극 및 상기 제3 내주면과 상기 축의 외주면 사이의 축간극 중에서 작은 쪽의 축간극과 동일하거나 그 작은 쪽의 축간극보다 큰,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1)과 축의 결합체.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2)는, 외주면에서 상기 제2 수하부(104)의 내주면(103)과 협동하여 원환상의 상부 내측 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상판부(13)의 하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원통형의 제3 수하부(141)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3 돌기부는 그 내주면과 상기 제3 수하부의 외주면의 사이에 지름 방향의 제6 간극을 가지고 상기 상부 내측 홈에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제2 내주면(32)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방으로 떨어져 상기 하판부(33)의 상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주측 통로(100)는 상기 제3 수하부에 의해서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6 간극의 지름 방향의 최소폭은 상기 상대 변위 가능량과 동일하거나 그 상대 변위 가능량보다 큰,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1)과 축의 결합체.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77011279A 2014-10-27 2015-10-22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과 축의 결합체 KR1024059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18388A JP6609905B2 (ja) 2014-10-27 2014-10-27 合成樹脂製滑り軸受
JPJP-P-2014-218388 2014-10-27
PCT/JP2015/005317 WO2016067569A1 (ja) 2014-10-27 2015-10-22 合成樹脂製滑り軸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3608A KR20170073608A (ko) 2017-06-28
KR102405904B1 true KR102405904B1 (ko) 2022-06-07

Family

ID=55856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1279A KR102405904B1 (ko) 2014-10-27 2015-10-22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과 축의 결합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138931B2 (ko)
EP (1) EP3214324B1 (ko)
JP (1) JP6609905B2 (ko)
KR (1) KR102405904B1 (ko)
CN (1) CN107148520B (ko)
BR (1) BR112017007780B1 (ko)
WO (1) WO20160675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737842B2 (es) * 2017-05-26 2022-04-13 Tim Ebeling Sistema de ecualización de miembros de suspensión para elevadores
JP6917290B2 (ja) * 2017-12-12 2021-08-11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滑り軸受
CN108775332B (zh) * 2018-06-12 2020-06-23 上海君驰实业发展有限公司 一种单向电机防尘轴承组件的组装方法
CN108775331B (zh) * 2018-06-12 2020-07-24 台州福派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防尘污单向轴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814B1 (ko) * 2008-07-28 2013-03-26 오일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합성 수지제 스러스트 슬라이딩 베어링
JP2014101920A (ja) * 2012-11-19 2014-06-05 Jtekt Corp 車輪用転がり軸受装置
JP2014129888A (ja) * 2014-03-25 2014-07-10 Oiles Ind Co Ltd 合成樹脂製スラスト滑り軸受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14352A (ja) 1983-05-19 1984-12-04 Fuji Electric Co Ltd デ−タ伝送方式
US4854745A (en) * 1986-09-01 1989-08-08 Oiles Industry Co., Ltd. Thrust bearing made of synthetic resin
DE3807907A1 (de) 1987-03-13 1988-10-13 Mitsubishi Motors Corp Sauerstoffuehler, und lambdaregelung fuer eine brennkraftmaschine mit einem solchen fuehler
JPH0452488A (ja) 1990-06-21 1992-02-20 Shiro Nakajima 透視可能なドア部材
JP2600937Y2 (ja) * 1993-11-30 1999-11-02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合成樹脂軸受
JP3013702B2 (ja) 1994-06-20 2000-02-28 株式会社大林組 太陽電池用パネル
US5531524A (en) * 1994-09-02 1996-07-02 Kohler Co. Self-adjusting bearing
JP2963385B2 (ja) * 1996-01-08 1999-10-18 川崎重工業株式会社 2軸型ガスタービン
JP4288930B2 (ja) 2002-10-03 2009-07-01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滑り軸受
JP4366946B2 (ja) 2003-02-07 2009-11-18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スラスト滑り軸受
JP2013148132A (ja) * 2012-01-17 2013-08-01 Oiles Corp スラスト滑り軸受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814B1 (ko) * 2008-07-28 2013-03-26 오일레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합성 수지제 스러스트 슬라이딩 베어링
JP2014101920A (ja) * 2012-11-19 2014-06-05 Jtekt Corp 車輪用転がり軸受装置
JP2014129888A (ja) * 2014-03-25 2014-07-10 Oiles Ind Co Ltd 合成樹脂製スラスト滑り軸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67569A1 (ja) 2016-05-06
JP2016084880A (ja) 2016-05-19
EP3214324B1 (en) 2020-01-15
EP3214324A4 (en) 2018-05-23
US10138931B2 (en) 2018-11-27
KR20170073608A (ko) 2017-06-28
CN107148520A (zh) 2017-09-08
EP3214324A1 (en) 2017-09-06
JP6609905B2 (ja) 2019-11-27
BR112017007780B1 (pt) 2022-05-24
BR112017007780A2 (pt) 2018-01-16
US20170314615A1 (en) 2017-11-02
CN107148520B (zh) 2019-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5904B1 (ko)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과 축의 결합체
JP5332379B2 (ja) 合成樹脂製スラスト滑り軸受
KR101572146B1 (ko) 스러스트 슬라이딩 베어링
US20130064489A1 (en) Axial thrust bearing device with a sealing ring
WO2016024472A1 (ja) スラスト滑り軸受
KR20140010990A (ko) 스러스트 슬라이딩 베어링
KR101148487B1 (ko) 스러스트 슬라이딩 베어링
JP6064438B2 (ja) 合成樹脂製のスラスト滑り軸受
KR102036845B1 (ko)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
KR102045410B1 (ko) 합성수지제 미끄럼 베어링
US10260564B2 (en) Rolling-element bearing unit
JP2003269458A (ja) 合成樹脂製スラスト滑り軸受
EP2975278B1 (en) Rolling bear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rolling bearing
WO2017094686A1 (ja) 合成樹脂製滑り軸受
CN107110368A (zh) 密封装置
CN109458393B (zh) 悬架轴承
JP2016200223A (ja) 車両用スラスト軸受
JP2018115702A (ja) シール付転がり軸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