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5465B1 - 항공기 정비 교육용 교보재 - Google Patents

항공기 정비 교육용 교보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5465B1
KR102405465B1 KR1020210047524A KR20210047524A KR102405465B1 KR 102405465 B1 KR102405465 B1 KR 102405465B1 KR 1020210047524 A KR1020210047524 A KR 1020210047524A KR 20210047524 A KR20210047524 A KR 20210047524A KR 102405465 B1 KR102405465 B1 KR 102405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electrical
housing
pract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7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진혁
Original Assignee
인하항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항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하항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7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54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 G09B23/1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 G09B23/183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electricity or magnetism for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00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40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00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60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or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Algebra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공기 정비 교육용 교보재에 관한 것으로서, 항공기 전기전자 기초교육 시 항공기 내 사용되는 전선 및 전기전자 구성재료 등 부품이 실장되어 실제 항공기와 유사한 환경에서 실습교육이 가능한 항공기 정비 교육용 교보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정비 교육용 교보재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상측이 오픈된 하우징(housing), 전도성(傳導性)을 가진 한 쌍의 홀을 구비한 복수개의 보드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내 실장(實裝)되는 보드(board), 상기 하우징 내 실장되며, 상기 보드커넥터의 홀과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의 서로 다른 전기전자 구성재료, 상기 하우징 내 실장되고, 상기 보드커넥터의 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를 위한 단자판(terminal block, 端子板) 및 +극과 -극의 시험막대를 구비하며, 상기 시험막대를 상기 보드커넥터의 홀에 각각 접촉시켜 상기 전기전자 구성재료를 포함하는 회로의 전류, 전압 또는 저항의 측정을 통해 상기 전기전자 구성재료를 포함하는 회로의 양부(良否)의 판단이 가능한 회로시험기(回路試驗器)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항공기 정비 교육용 교보재{BASIC TRAINING MATERIALS FOR AIRCRAFT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본 발명은 항공기 정비 교육용 교보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항공기 전기전자 기초교육 시 항공기 내 사용되는 전선 및 전기전자 구성재료 등 부품이 실장되어 실제 항공기와 유사한 환경에서 실습교육이 가능한 항공기 정비 교육용 교보재에 관한 것이다.
항공기 전기전자 기초교육은, 항공기 전선의 접속 실습, 항공기 전선 묶기 실습, 항공기 전선의 고장탐구 실습, 항공기 전기전자 구성재료에 대한 실습, 일반전기부품을 이용하여 Relay를 사용한 회로의 구성 실습을 통해 실습자들을 교육하는 것이다.
종래 항공기 전기전자 기초교육에 관한 실습을 할 때에는, 시중의 일반자재를 사용하여 실습을 하여왔다. 따라서 실제 항공기와 거리가 먼 환경에서 실습을 수행할 수밖에 없었고, 이는 실습 후 항공기에서의 업무에 직접적인 도움이 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11886호 (2012년12월13일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82627호 (2018년07월26일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8227호 (2008년02월01일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2597호 (2017년02월13일 공고)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항공기 내 사용되는 전선 및 전기전자 구성재료 등 부품이 함께 실장되어 실제 항공기와 유사한 환경에서 실습교육이 가능한 항공기 정비 교육용 교보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정비 교육용 교보재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상측이 오픈된 하우징(housing), 전도성(傳導性)을 가진 한 쌍의 홀을 구비한 복수개의 보드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내 실장(實裝)되는 보드(board), 상기 하우징 내 실장되며, 상기 보드커넥터의 홀과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의 서로 다른 전기전자 구성재료, 상기 하우징 내 실장되고, 상기 보드커넥터의 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를 위한 단자판(terminal block, 端子板) 및 +극과 -극의 시험막대를 구비하며, 상기 시험막대를 상기 보드커넥터의 홀에 각각 접촉시켜 상기 전기전자 구성재료를 포함하는 회로의 전류, 전압 또는 저항의 측정을 통해 상기 전기전자 구성재료를 포함하는 회로의 양부(良否)의 판단이 가능한 회로시험기(回路試驗器)를 포함하며, 상기 보드커넥터는, 상기 보드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복수개가 결합되고, 상기 보드의 일측에 결합된 보드커넥터의 홀은, 상기 전기전자 구성재료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보드의 타측에 결합된 보드커넥터의 홀은, 상기 단자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지되고, 상기 전기전자 구성재료는, 조작에 따라 회로를 열고 닫는 스위치(switch), 전류에 의해 코일이 자기화되어 회로를 열고 닫는 릴레이(relay), 회로에 전기가 통하고 있음을 발광을 통해 알 수 있는 파일럿 램프(pilot lamp), 전자 상호 유도 작용을 이용하여 교류 전압을 높이거나 낮추는 변압기(transformer, 變壓器), 전기에너지를 기계에너지로 바꾸는 전동기(electric motor, 電動機), 전기에너지에 의해 밸브의 개폐가 가능한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를 포함한다.
상기 교보재는, 상기 하우징 내 실장(實裝)되며, 외부로부터 DC 또는 AC 전류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전원공급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기전자 구성재료는, 상기 전원공급장치와 연결되며, 소정 이상의 전류가 전기회로에 흘렀을 때, 전류를 멈추게 하여 회로를 보호하는 회로 차단기(circuit breaker)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로 차단기는, DC 회로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회로를 열어 차단하는 DC 단상 회로 차단기, AC 회로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회로를 열어 차단하는 AC 단상 회로 차단기 및 삼상 회로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회로를 열어 차단하는 삼상 회로 차단기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레버의 조작에 의해 회로를 열거나 또는 닫은 후, 다른 조작이 없으면 회로의 열림 또는 닫힘을 유지하는 토글 스위치(toggle switch) 및 조작하는 순간에만 접점이 붙거나 또는 털어져 회로를 열거나 닫는 모멘타리 스위치(Momentary switch)를 포함한다.
상기 DC 단상 회로 차단기, AC 단상 회로 차단기, 토글 스위치, 모멘타리 스위치, 릴레이, 파일럿 램프 및 전동기는, 두 명의 실습자가 하나의 교보재로 교육이 가능하도록 좌우로 한 쌍이 구비된다.
상기 교보재는, 상기 하우징 내 실장되는 LRU(line-replaceable unit) 장착용 선반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내 실장되며,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개의 전선을 포함하는 전선다발(wire bundle)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전산다발을 통해 전선 접속 실습 및 전선 묶기 실습이 가능하다.
상기 전기전자 구성재료는, 카모프 항공기에서 검출된 정보를 갖고 있는 제어 전류의 유무 또는 방향에 따라 전자석을 이용하여 다른 회로를 여닫는 카모프 릴레이(Kamov relay)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인 항공기 정비 교육용 교보재에 따르면, 항공기 내 사용되는 전선 및 전기전자 구성재료 등 부품이 함께 실장되어 실제 항공기와 유사한 환경에서 실습교육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인 항공기 정비 교육용 교보재에 따르면, 항공기용 부품을 교보재에 실장한 후 바나나잭을 사용하여 실습할 경우, 재사용이 가능한 부분이 대부분이므로 실습 시 마다 자재를 준비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인 항공기 정비 교육용 교보재에 따르면, 강사자리에서 교보재 별로 DC 0~39 Volt, AC 0~100 Volt의 전원공급 및 회로차단기를 운용하여 실습자의 오작동에 의한 회로보호 및 강사의 지도 감독 하 효과적인 실습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정비 교육용 교보재를 간략히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정비 교육용 교보재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 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테스터기는, 회로의 전류, 전압 또는 저항의 측정이 가능한 공지된 테스터기를 포함한다.
항공기 전기전자 기초교육에 관한 실습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항공기 전선의 접속 실습, 항공기 전선 묶기 실습, 항공기 전선의 고장탐구 실습, 항공기 전기전자 구성재료에 대한 실습, 일반전기부품을 이용하여 Relay를 사용한 회로의 구성 실습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항공기 전선의 접속 실습에는, 항공기 전선의 피복 탈피 실습(Wire Stripping), 전선에 터미널 연결실습(Terminal), 전선에 컨텍(Contact) 연결 실습, 스플라이스(Splice)를 이용한 전선의 접속 실습이 있다. 항공기 전선 묶기 실습에는, 전선에 Lacing Tape 실습, 전선에 Cable Tie 실습이 있다. 항공기 전선의 고장탐구 실습은, 낱개의 전선 일부를 준비하고, 전선의 일부의 양 끝단에 테스터기를 연결하여 전선의 고장탐구를 실습해왔다.
또한, 예를 들어, 항공기 전기전자 구성재료에 대한 실습은, 회로차단기 작동실습, 스위치 작동실습, 램프 작동실습, 릴레이 작동실습, 솔레노이드 밸브 작동실습, 변압기 작동실습, 일반전기부품을 이용하여 Relay를 사용한 회로의 구성 실습 등이 있다.
이하에서 종래의 실습을 그림과 함께 설명한다.
종래의 항공기 전선의 피복 탈피 실습은 아래 그림1 및 그림2와 같이, 별도의 전선을 준비하고, 전선의 일단을 와이어 스트리퍼를 이용해 피복을 탈피한다.
Figure 112021042702316-pat00001
<그림 1>
Figure 112021042702316-pat00002
<그림 2>
종래의 전선에 터미널 연결실습은, 아래 그림 3 및 그림 4와 같이, 전선의 일단에 압착터미널을 압착기를 통해 결합시킨다.
Figure 112021042702316-pat00003
<그림 3>
Figure 112021042702316-pat00004
<그림 4>
종래의 전선에 컨텍(Electrical Contact) 연결 실습은, 아래 그림 5 및 그림 6과 같이, 전선의 일단을 탈피하고, 전선의 일단에 전기 접점 재료를 결합시킨다. 전기 접점 재료는 은-텅스텐합금, 은-몰리브덴합금, 은-니켈합금, 금-팔라듐합금 등이 이용된다. 또한, 금속과 비금속(산화주석, 산화카드륨 등)과의 복합재료 등이 이용될 수 있다.
Figure 112021042702316-pat00005
<그림 5>
Figure 112021042702316-pat00006
<그림 6>
종래의 스플라이스(Splice)를 이용한 전선의 접속 실습은, 아래 그림 7 및 그림 8과 같이, 전선과 전선 간의 연결방법으로 일단이 탈피된 전선 두 개를 준비하고, 스플라이스 안에 탈피된 전선의 구리선을 양쪽으로 넣은 후 스플라이스를 압착시켜 두 전선을 연결하는 실습이다.
Figure 112021042702316-pat00007
<그림 7>
Figure 112021042702316-pat00008
<그림 8>
종래의 전선에의 Lacing Tape 실습은, 아래 그림 9 및 그림 10과 같이, 끈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전선을 묶는 실습이다.
Figure 112021042702316-pat00009
<그림 9>
Figure 112021042702316-pat00010
<그림 10>
종래의 전선에의 Cable Tie 실습은, 아래 그림 11 및 그림 12와 같이, 복수개의 전선을 케이블 타이를 이용해 묶는 실습이다. 케이블 타이를 절단할 때에는 케이블 타이 컷팅 공구가 이용될 수 있다.
Figure 112021042702316-pat00011
<그림 11>
Figure 112021042702316-pat00012
<그림 12>
종래의 항공기 전선의 고장탐구 실습은, 아래 그림 13 및 그림 14와 같이, 전선의 일부를 준비하고, 전선의 양단에 테스터기의 시험막대를 각각 접촉시켜 회로를 형성한 후, 전류 등을 측정하여 실습하였다.
Figure 112021042702316-pat00013
<그림 13>
Figure 112021042702316-pat00014
<그림 14>
종래의 회로차단기 작동실습은, 아래 그림 15 및 그림 16과 같이, 회로차단기를 준비하고, 회로차단기의 양 극을 테스터기의 시험막대와 각각 연결하여 회로를 형성한 후, 테스터기의 전원을 이용하여 전류 등을 측정하여 회로차단기의 양부를 판단하는 실습이다.
Figure 112021042702316-pat00015
<그림 15>
Figure 112021042702316-pat00016
<그림 16>
종래의 스위치 작동실습은, 아래 그림 17 및 그림 18과 같이, 스위치를 준비하고, 스위치의 양 극을 테스터기의 시험막대와 각각 연결하여 회로를 형성한 후, 테스터기의 전원을 이용하여 전류 등을 측정하여 스위치의 양부를 판단하는 실습이다.
Figure 112021042702316-pat00017
<그림 17>
Figure 112021042702316-pat00018
<그림 18>
종래의 램프 작동실습은, 아래 그림 19 및 그림 20과 같이, 램프를 준비하고, 램프의 양 극을 테스터기의 시험막대와 각각 연결하여 회로를 형성한 후, 테스터기의 전원을 이용하여 전류 등을 측정하여 램프의 양부를 판단하는 실습이다.
Figure 112021042702316-pat00019
<그림 19>
Figure 112021042702316-pat00020
<그림 20>
종래의 릴레이 작동실습은, 아래 그림 21 및 그림 22과 같이, 릴레이를 준비하고, 릴레이의 양 극을 테스터기의 시험막대와 각각 연결하여 회로를 형성한 후, 테스터기의 전원을 이용하여 전류 등을 측정하여 릴레이의 양부를 판단하는 실습이다.
Figure 112021042702316-pat00021
<그림 21>
Figure 112021042702316-pat00022
<그림 22>
종래의 솔레노이드 밸브 작동실습은, 아래 그림 23 및 그림 24과 같이, 솔레노이드 밸브를 준비하고, 솔레노이드 밸브의 양 극을 테스터기의 시험막대와 각각 연결하여 회로를 형성한 후, 테스터기의 전원을 이용하여 전류 등을 측정하여 솔레노이드 밸브의 양부를 판단하는 실습이다.
Figure 112021042702316-pat00023
<그림 23>
Figure 112021042702316-pat00024
<그림 24>
종래의 변압기 작동실습은, 아래 그림 25와 같이, 변압기를 준비하고, 변압기의 양 극을 테스터기의 시험막대와 각각 연결하여 회로를 형성한 후, 테스터기의 전원을 이용하여 전류, 전압 등을 측정하여 변압기의 양부를 판단하는 실습이다.
Figure 112021042702316-pat00025
<그림 25>
종래의 일반전기부품을 이용하여 릴레이를 사용한 회로의 구성 실습은, 아래 그림 26 및 그림 27과 같이 브레드보드, 릴레이, 전원 등 구성들을 준비하고, 그 구성을 이용하여 회로를 형성하는 실습이다.
Figure 112021042702316-pat00026
<그림 26>
Figure 112021042702316-pat00027
<그림 27>
정리하면, 종래에는 항공기 전선의 접속 실습, 항공기 전선 묶기 실습, 항공기 전선의 고장탐구 실습, 항공기 전기전자 구성재료에 대한 실습을 할 때, 복수개의 전선 낱개를 준비하여 실습하거나, 회로차단기(Circuit Breaker), 스위치(Switch), 램프(Lamp), 릴레이(Relay), 솔레노이드(Solenoid), 트랜스포머(Transformer) 등 전기전자 구성재료를 각각 개별적으로 준비하고, 각 전기전자 구성재료의 +극과 -극 각각에 테스터기의 시험막대를 접촉시켜 각 전기전자 구성재료의 정상 작동여부를 실습했다. 따라서 종래의 실습은 항공기 부품을 개별적으로 준비한 뒤, 각각 따로 실습을 진행하여야 함에 따라 실습 시 마다 자재를 준비해야했고, 실제 항공기와는 다른 환경에서 실습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보드(200)의 일측이란, 보드(200)를 중심으로 전기전자 구성재료(300)를 향한 측을 의미하며, 보드(200)의 타측이란, 일측의 반대되는 측이며 전원공급장치(500)를 향한 측을 의미한다. 하우징(100)도 마찬가지로 하우징(100)의 일측면은 전기전자 구성재료(300)가 실장된 측면을 의미하며, 하우징(100)의 타측면은 전원공급장치(500)가 실장된 방향의 측면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정비 교육용 교보재를 간략히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정비 교육용 교보재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정비 교육용 교보재(100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상측이 오픈된 하우징(100, housing), 전도성(傳導性)을 가진 한 쌍의 홀(203)을 구비한 복수개의 보드커넥터(201)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100) 내 실장(實裝)되는 보드(200, board) 및 상기 하우징(100) 내 실장되며, 상기 보드커넥터(201)의 홀(203)과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의 서로 다른 전기전자 구성재료(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100)은, 본 발명에 따른 교보재(1000)의 외관을 형성한다. 하우징(100)은, 후술하게 될 본 발명이 포함하는 구성들이 실장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한다. 하우징(100)은,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이 포함하는 구성들을 둘러싸고 있는 상자 모양의 프레임일 수 있다. 하우징(100)의 상측은 실습이 용이하도록 오픈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100) 내에는 보드(200)가 실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드(200)는, 일 실시예로서, 하우징(100)의 중심 부근에 위치하며, 하우징(10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드(200)는 복수개의 보드커넥터(201)를 포함한다. 보드커넥터(201)는 플라스틱 등 절연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드커넥터(201)는 바나나잭을 포함한다. 보드커넥터(201)는 전도성을 가진 금속 등으로 이루어진 홀(203)을 구비한다. 홀(203)은 보드커넥터(201)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홀(203)의 하단부는 보드(200)와 닿을 수 있고, 홀(203)의 하단부는 전선 또는 후술하게 될 전기전자 구성재료(300)의 +극 또는 -극과 연결된 전선 등으로 전기적으로 접한 후, 보드커넥터(201)가 보드(200) 상단에 결합되어, 전선 또는 전기전자 구성재료(300)의 +극 또는 -극과 연결된 전선이 보드커넥터(201)와 보드(200)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홀(203)의 상단부는 보드커넥터(201)의 상단에서 외부로 노출된다. 홀(203)의 상단부는 후술하게 될 회로시험기(600)의 시험막대가 접촉된다. 보드커넥터(201)는 좌우방향으로 한 쌍의 홀(203)을 구비할 수 있다. 한 쌍의 홀(203)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보드커넥터(201)는 보드(200)의 일측 및 타측에 복수개가 구비된다. 보드커넥터(201)는 보드(200)의 일측 및 타측에 보드(200)의 길이방향으로 열을 맞춰 구비될 수 있다. 보드(200)의 일측에 구비된 보드커넥터(201)의 홀(203)에는 전기전자 구성재료(300)의 +극 또는 -극과 연결된 전선과 연결된다. 보드(200)의 타측에 구비된 보드커넥터(201)의 홀(203)에는 전선의 일단이 결합되고, 보드(200)의 타측에 구비된 보드커넥터(201)의 홀(203)과 연결된 전선의 타단은 후술하게 될, 접지를 위한 단자판(205)과 연결되거나 보드(200)의 타측에 구비된 다른 보드커넥터(201)의 홀(203) 또는 동일한 보드커넥터(201)의 다른 홀(203)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100) 내에는 항공기 내 사용되는 부품인 전기전자 구성재료(300)가 실장된다. 전기전자 구성재료(300)는 실습이 용이하기 위해 하우징(100)의 일측면에 조작 레버 등이 노출되도록 하우징(100)에 실장된다. 전기전자 구성재료(300)는 보드(200)의 일측에 구비된 보드커넥터(201)의 홀(20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기전자 구성재료(300)는 각각 +극과 -극의 단자를 구비하며, 각 단자는 전선과 결합되고, 각 전선은 보드(200)의 일측에 구비된 보드커넥터(201)의 홀(20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보드커넥터(201)의 홀(203)은 서로 연결되지 않으며, 회로시험기(600)의 시험막대가 각각 전기전자 구성재료(300)가 연결된 홀(203)에 접촉됨에 따라 회로가 형성되어 회로시험기(600)의 전원에 의해 전기전자 구성재료(300)가 동작하거나, 전기전자 구성재료(300) 각각이 연결된 홀(203)에 접촉됨에 따라 회로가 형성되고, 외부의 전원(메인전원공급장치)에 연결된 전원공급장치의 전원을 통해 전기전자 구성재료(300)가 동작한다. 회로시험기(600)의 전원에 의해 전기전자 구성재료(300)를 포함한 회로에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이에 따라 전기전자 구성재료(300)를 포함한 회로의 양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전기전자 구성재료(300)는 서로 다른 복수개의 항공기 부품(301 내지 311)을 포함하며, 이는 후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100) 내에는 접지를 위한 단자판(205)이 실장된다. 보드(200)의 타측에 구비된 보드커넥터(201)의 홀(203)은 단자판(205)과 전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지된다. 이때 보드(200)의 타측에 구비된 보드커넥터(201)의 모든 홀(203)이 단자판(205)과 연결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보드(200)의 타측에 구비된 보드커넥터(201)의 홀(203) 중 어느 하나의 홀(203)은 다른 하나의 홀(203)과 전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보재(1000)는 회로의 전류, 전압 또는 저항(이하, ‘전류 등’)의 측정이 가능한 공지의 회로시험기(600)를 더 포함한다. 회로시험기(600)는, 전류의 측정이 가능한 전류계, 전압의 측정이 가능한 전압계를 포함하며, 전류, 전압 및 저항이 모두 측정 가능한 멀티 테스터기를 포함한다. 회로시험기(600)는 +극과 -극의 리드선 및 그 리드선의 일단에 결합된 시험막대를 구비한다. 시험막대는 실습자에 의해 전기전자 구성재료(300)와 연결된 보드(200)의 일측 보드커넥터(201)의 홀(203)에 각각 접촉되어 전기전자 구성재료(300)를 포함한 회로를 형성한다. 회로시험기(600)는 내부에 전원을 포함하며, 회로시험기(600)의 전원을 통해 또는 전원공급장치(500)의 전원을 통해 전기전자 구성재료(300)에 전류가 흐르게 되고 실습자는 회로시험기(600)의 측정값을 통해 전기전자 구성재료(300)를 포함하는 회로의 양부 판단이 가능하다. 또한 회로시험기(600)는 보드(200)의 타측에 구비된 보드커넥터(201)의 홀(203)에 연결된 전선의 양부 판단 시에도 보드커넥터(201)의 홀(203)에 시험막대를 접촉시킬 때에도 사용되고, 또는 보드(200)의 타측에 구비된 보드커넥터(201)의 홀(203)과 단자판(205)에 연결된 접지의 상태를 판단할 때에도 사용된다. 회로시험기(600)를 이용하여 회로의 양부 등을 판단하는 실습은 아래에서 그림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전자 구성재료(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복수개의 항공기 내 부품을 포함한다. 전기전자 구성재료(300)는, 상세하게는, 실습자의 조작에 따라 회로를 열고 닫는 스위치(303, 304, switch), 전류에 의해 코일이 자기화되어 회로를 열고 닫는 릴레이(306, relay), 회로에 전기가 통하고 있음을 발광을 통해 알 수 있는 파일럿 램프(307, pilot lamp), 전자 상호 유도 작용을 이용하여 교류 전압을 높이거나 낮추는 변압기(308, transformer, 變壓器), 전기에너지를 기계에너지로 바꾸는 전동기(309, electric motor, 電動機), 전기에너지에 의해 밸브의 개폐가 가능한 솔레노이드 밸브(310, solenoid valve)를 포함한다. 이때, 스위치는 레버의 조작에 의해 회로를 열거나 또는 닫은 후, 다른 조작이 없으면 회로의 열림 또는 닫힘을 유지하는 토글 스위치(303, toggle switch) 및 조작하는 순간에만 접점이 붙거나 또는 털어져 회로를 열거나 닫는 모멘타리 스위치(304, Momentary switch)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전자 구성재료(300)는 카모프 항공기에서 검출된 정보를 갖고 있는 제어 전류의 유무 또는 방향에 따라 전자석을 이용하여 다른 회로를 여닫는 카모프 릴레이(311, Kamov relay)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교보재(1000)는, 하우징(100) 내 실장(實裝)되며, 외부로부터 DC 또는 AC 전류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전원공급장치(500)를 더 포함한다. 전원공급장치(500)는, 강사가 제어하는 메인전원공급장치로부터 DC 또는 AC 전류를 입력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보재(1000)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동시에 실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메인전원공급장치는 복수개의 교보재(10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메인전원공급장치는 교보재(1000) 별로 DC 0~39 Volt, AC 0~100 Volt의 전원공급이 가능하다. 메인전원공급장치는 별도의 회로차단수단을 구비하여 실습자의 오작동에 의한 회로보호 및 강사의 지도 감독 하에 효과적인 실습을 진행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전자 구성재료(300)는 전원공급장치(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DC 또는 AC 전류를 입력받으며, 소정 이상의 전류가 전기회로에 흘렀을 때, 전류를 멈추게 하여 회로를 보호하는 회로 차단기(301, 302, 3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차단기는, DC 회로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회로를 열어 차단하는 DC 단상 회로 차단기(301), AC 회로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회로를 열어 차단하는 AC 단상 회로 차단기(302) 및 삼상 회로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회로를 열어 차단하는 삼상 회로 차단기(305)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보재(1000)는 두 명의 실습자가 동시에 실습할 수 있도록, DC 단상 회로 차단기(301), AC 단상 회로 차단기(302), 토글 스위치(303), 모멘타리 스위치(304), 릴레이(306), 파일럿 램프(307) 및 전동기(309)는, 하우징(100)의 일측면에 좌우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보재(1000)는, 하우징(100) 내 실장되며 굵기 등 서로 다른 종류의 전선이 포함되는 전선다발(400)을 더 포함한다. 실습자는 전선다발(400)을 이용하여 전선 접속 실습 및 전선 묶기 실습이 가능하다. 전선다발(400)을 이용한 실습은 아래에서 그림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보재(1000)는, 하우징(100) 내 실장되는 LRU(line-replaceable unit) 장착용 선반을 더 포함한다. LRU란 현장라인 교환가능부품을 의미하며, 실습자는 하우징(100) 내 실장되는 LRU 장착용 선반(207)을 통해 선반의 결합 및 분리를 실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용한 실습 모습을 그림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교보재(1000)를 이용한 회로차단기의 양부 판단 실습은, 아래 그림 101 및 그림 102를 참조하면, 실습자는 회로차단기와 전기적으로 결합된 보드커넥터(201)의 홀(203)과 전원공급장치(500)에 회로시험기(600)의 시험막대를 접촉한 후, 회로시험기(600)에 측정된 전류 등을 확인하여 회로차단기의 양부를 판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원공급장치(500)는 회로차단기와 연결되어 회로차단기로 전원을 공급한다. 그림 101은 회로차단기가 작동한 모습을 보여주는 그림이고, 그림 102는 회로차단기가 작동하기 전 모습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Figure 112021042702316-pat00028
<그림 101>
Figure 112021042702316-pat00029
<그림 102>
본 발명에 따른 교보재(1000)를 이용한 스위치의 양부 판단 실습은, 아래 그림 103 및 그림 104를 참조하면, 실습자는 스위치의 양 극과 각각 전기적으로 결합된 보드커넥터(201)의 홀(203)에 시험막대를 접촉한 후, 회로시험기(600)에 측정된 전류 등을 확인하여 스위치의 양부를 판단한다. 그림 103은 스위치가 off 된 상태이고, 그림 104는 스위치가 on 된 상태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Figure 112021042702316-pat00030
<그림 103>
Figure 112021042702316-pat00031
<그림 104>
본 발명에 따른 교보재(1000)를 이용한 파일럿 램프(307)의 양부 판단 실습은, 아래 그림 105 및 그림 106을 참조하면, 실습자는 파일럿 램프(307)의 양 극과 각각 전기적으로 결합된 보드커넥터(201)의 홀(203)에 시험막대를 접촉한 후, 회로시험기(600)에 측정된 전류 등을 확인하여 파일럿 램프(307)의 양부를 판단한다. 그림 105와 같이 파일럿 램프(307)의 양 극과 각각 전기적으로 결합된 보드커넥터(201)의 홀(203)에 시험막대를 접촉시키면 비로소 닫힌 회로가 완성된다. 그림 106은 파일럿 램프(307)와 연결되지 않은 다른 홀(203)에 시험막대가 접촉된 모습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Figure 112021042702316-pat00032
<그림 105>
Figure 112021042702316-pat00033
<그림 106>
본 발명에 따른 교보재(1000)를 이용한 릴레이(306)의 양부 판단 실습은, 아래 그림 107 및 그림 108을 참조하면, 실습자는 릴레이(306)의 양 극과 각각 전기적으로 결합된 보드커넥터(201)의 홀(203)에 시험막대를 접촉한 후, 회로시험기(600)에 측정된 전류 등을 확인하여 릴레이(306)의 양부를 판단한다. 그림 107은 릴레이(306)와 연결되지 않은 어느 보드커넥터(201)의 홀(203)에 시험막대가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는 그림이고, 그림 108은 릴레이(306)의 양 극에 연결된 보드커넥터(201)의 홀(203)에 시험막대가 접촉 및 릴레이(306)가 동작하여 회로에 전류가 흐르는 모습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Figure 112021042702316-pat00034
<그림 107>
Figure 112021042702316-pat00035
<그림 108>
본 발명에 따른 교보재(1000)를 이용한 솔레노이드 밸브(310)의 양부 판단 실습은, 아래 그림 109 및 그림 110을 참조하면, 실습자는 솔레노이드 밸브(310)의 양 극과 각각 전기적으로 결합된 보드커넥터(201)의 홀(203)에 시험막대를 접촉한 후, 회로시험기(600)에 측정된 전류 등을 확인하여 솔레노이드 밸브(310)의 양부를 판단한다. 그림 109는 솔레노이드 밸브(310)의 양 극과 각각 전기적으로 결합된 보드커넥터(201)의 홀(203)에 시험막대를 접촉시켜 솔레노이드 밸브(310)를 포함한 회로에 전류가 흐르는 것을 확인하는 그림이고, 그림 110은 솔레노이드 밸브(310)의 양 극과 전기적으로 결합되지 않은 보드커넥터(201)의 홀(203)에 시험막대를 접촉시킨 그림이다.
Figure 112021042702316-pat00036
<그림 109>
Figure 112021042702316-pat00037
<그림 110>
본 발명에 따른 교보재(1000)를 이용한 변압기(308)의 양부 판단 실습은, 아래 그림 111 및 그림 112를 참조하면, 실습자는 변압기(308)의 양 극과 각각 전기적으로 결합된 보드커넥터(201)의 홀(203)에 시험막대를 접촉한 후, 회로시험기(600)에 측정된 전류 등을 확인하여 변압기(308)의 양부를 판단한다. 그림 111은 변압기(308)의 양 극과 각각 전기적으로 결합된 보드커넥터(201)의 홀(203)에 회로시험기(600)의 시험막대를 각각 접촉시켜 변압기(308)를 포함한 회로의 전류 등을 파악하여 변압기(308)의 양부를 판단하는 그림이고, 그림 112는 어느 시험막대 하나를 변압기(308)의 극과 연결되지 않은 보드커넥터(201)의 홀(203)에 접촉시킨 모습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Figure 112021042702316-pat00038
<그림 111>
Figure 112021042702316-pat00039
<그림 112>
본 발명에 따른 교보재(1000)를 이용한 전선의 고장탐구 실습은, 아래 그림 113 및 그림 114를 참조하면, 실습자는 보드(200)의 타측에 구비된 보드커넥터(201)의 홀(203)에 서로 전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나 불량인 전선으로 연결된 홀(203) 간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것을 판단하여 전선의 고장 탐구를 실습한다. 그림 113은 서로 전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나 불량인 전선으로 연결된 보드커넥터(201)의 홀(203)에 시험막대를 접촉시킨 모습을 보여주는 그림이고, 그림 114는 양품의 전선으로 서로 연결된 보드커넥터(201)의 홀(203)에 각각 시험막대를 접촉시킨 모습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Figure 112021042702316-pat00040
<그림 113>
Figure 112021042702316-pat00041
<그림 114>
본 발명에 따른 교보재(1000)를 이용한 릴레이(306)를 사용한 회로의 구성 실습은, 아래 그림 115 및 그림 116을 참조하면, 실습자는 회로차단기, 스위치, 파일럿 램프(307), 솔레노이드 밸브(310), 전동기(309), 변압기(308), 커넥터 플러그(410), 리셉터클(410), 단자판(205, 터미널 블록, 그라운드 블록) 등 항공기 부품인 전기전자 구성재료(300)를 구비한 교보재(1000)에서 회로를 구성하여 실습한다. 그림 115 및 그림 116은 교보재(1000)를 통해 회로를 구성한 후 파일럿 램프(307)가 발광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Figure 112021042702316-pat00042
<그림 115>
Figure 112021042702316-pat00043
<그림 116>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보재(1000)가 구비한 전원공급장치(500)는, 강사가 직접 운용하는 메인전원공급장치에 의해 AC 및 DC 전원이 공급된다. 그림 117은 메인전원공급장치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Figure 112021042702316-pat00044
<그림 117>
본 발명에 따른 교보재(1000)는, 하우징(100) 내 전선다발(400)이 실장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다발(400)을 이용한 전선의 접속 실습, 전선 묶기 실습을 아래 그림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선의 접속 실습은, 먼저 전선의 피복 탈피 실습(Wire Stripping)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보재(1000)를 이용한 전선의 피복 탈피 실습은, 그림 118 및 그림 119를 참조하면, 실습자는 전선다발(400) 중 어느 하나의 전선을 선택하고, 그 전선의 일단을 와이어 스트리퍼를 이용해 피복을 탈피한다. 그림 118은 전선다발(400) 중 어느 하나의 전선을 선택한 모습을 보여주는 그림이고, 그림 119는 그 전선의 일단의 피복을 탈피한 모습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Figure 112021042702316-pat00045
<그림 118>
Figure 112021042702316-pat00046
<그림 119>
본 발명에 따른 교보재(1000)를 이용한 전선의 터미널 연결 실습은, 아래 그림 120 및 그림 121를 참조하면, 실습자는 교보재(1000) 내 어느 전선의 일단에 압착터미널을 압착기를 통해 결합시킨다. 그림 120은 전선의 일단에 터미널을 결합시킨 그림이고, 그림 121은 터미널이 결합된 전선을 회로차단기의 양 극에 연결시킨 모습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Figure 112021042702316-pat00047
<그림 120>
Figure 112021042702316-pat00048
<그림 121>
본 발명에 따른 교보재(1000)를 이용한 전선의 컨텍(Electrical Contact) 연결 실습은, 아래 그림 122 및 그림 123를 참조하면, 실습자는 교보재(1000) 내 어느 전선의 일단을 탈피하고, 전선의 일단에 전기 접점 재료를 결합시킨다. 실습자는, 컨텍된 전선을 핀 과 소켓으로 이루어지며 항공기에서 전기적인 연결 장치인 커넥터 플러그와 리셉터클에 연결한다. 그림 122는 전선의 일단을 탈피한 후 전기 접점 재료를 결합한 그림이고, 그림 123은 컨텍 완료 된 전선을 리셉터클에 연결한 모습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Figure 112021042702316-pat00049
<그림 122>
Figure 112021042702316-pat00050
<그림 123>
본 발명에 따른 교보재(1000)의, 스플라이스(Splice)를 이용한 전선의 접속 실습은, 아래 그림 124 및 그림 125를 참조하면, 실습자는 전선다발(400)에서 전선 두 개의 일단을 탈피하고, 스플라이스 안에 탈피된 전선의 구리선을 양쪽으로 넣은 후 스플라이스를 압착시켜 두 전선을 연결한다. 그림 124는 전선다발(400)을 준비한 모습을 보여주는 그림이고, 그림 125는 압착된 스플라이스에 의해 연결된 전선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Figure 112021042702316-pat00051
<그림 124>
Figure 112021042702316-pat00052
<그림 125>
본 발명에 따른 교보재(1000)를 이용한 전선의 Lacing Tape 실습은, 아래 그림 126 및 그림 127을 참조하면, 실습자가 교보재(1000) 내 전선다발(400)을 끈을 이용하여 묶는 실습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림 126은 전선다발(400)을 묶을 끈을 준비한 그림이고, 그림 127은 전선다발(400)을 끈으로 묶은 모습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Figure 112021042702316-pat00053
<그림 126>
Figure 112021042702316-pat00054
<그림 127>
본 발명에 따른 교보재(1000)를 이용한 전선의 Cable Tie 실습은, 아래 그림 128 및 그림 129를 참조하면, 실습자가 전선다발(400)을 케이블 타이를 이용해 묶는 실습이다. 케이블 타이를 절단할 때에는 케이블 타이 컷팅 공구가 이용될 수 있다. 그림 128은 전선다발(400)을 묶을 케이블 타이를 준비한 그림이고, 그림 129는 전선다발(400)을 케이블 타이로 묶은 모습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Figure 112021042702316-pat00055
<그림 128>
Figure 112021042702316-pat00056
<그림 129>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00 : 하우징 200 : 보드
201 : 보드커넥터 203 : 홀
205 : 단자판 207 : LRU 장착용 선반
300 : 전기전자 구성재료 301 : DC 단상 회로 차단기
302 : AC 단상 회로 차단기 303 : 토글 스위치
304 : 모멘타리 스위치 305 : 삼상 회로 차단기
306 : 릴레이 307 : 파일럿 램프
308 : 변압기 309 : 전동기
310 : 솔레노이드 밸브 311 : 카모프 릴레이
400 : 전선다발 410 : 결합된 커넥터 플러그 및 리셉터클
500 : 전원공급장치 600 : 회로시험기
1000 : 항공기 정비 교육용 교보재

Claims (5)

  1.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상측이 오픈된 하우징(housing);
    전도성(傳導性)을 가진 한 쌍의 홀을 구비한 복수개의 보드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내 실장(實裝)되는 보드(board);
    상기 하우징 내 실장되며, 상기 보드커넥터의 홀과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의 서로 다른 전기전자 구성재료;
    상기 하우징 내 실장되고, 상기 보드커넥터의 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를 위한 단자판(terminal block, 端子板); 및
    +극과 -극의 시험막대를 구비하며, 상기 시험막대를 상기 보드커넥터의 홀에 각각 접촉시켜 상기 전기전자 구성재료를 포함하는 회로의 전류, 전압 또는 저항의 측정을 통해 상기 전기전자 구성재료를 포함하는 회로의 양부(良否)의 판단이 가능한 회로시험기(回路試驗器);
    를 포함하며,
    상기 보드커넥터는, 상기 보드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복수개가 결합되고,
    상기 보드의 일측에 결합된 보드커넥터의 홀은, 상기 전기전자 구성재료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보드의 타측에 결합된 보드커넥터의 홀은, 상기 단자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지되고,
    상기 전기전자 구성재료는,
    조작에 따라 회로를 열고 닫는 스위치(switch);
    전류에 의해 코일이 자기화되어 회로를 열고 닫는 릴레이(relay);
    회로에 전기가 통하고 있음을 발광을 통해 알 수 있는 파일럿 램프(pilot lamp);
    전자 상호 유도 작용을 이용하여 교류 전압을 높이거나 낮추는 변압기(transformer, 變壓器);
    전기에너지를 기계에너지로 바꾸는 전동기(electric motor, 電動機); 및
    전기에너지에 의해 밸브의 개폐가 가능한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
    를 포함하는, 항공기 정비 교육용 교보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보재는,
    상기 하우징 내 실장(實裝)되며, 외부로부터 DC 또는 AC 전류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전원공급장치;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기전자 구성재료는,
    상기 전원공급장치와 연결되며, 소정 이상의 전류가 전기회로에 흘렀을 때, 전류를 멈추게 하여 회로를 보호하는 회로 차단기(circuit breaker);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로 차단기는,
    DC 회로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회로를 열어 차단하는 DC 단상 회로 차단기;
    AC 회로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회로를 열어 차단하는 AC 단상 회로 차단기; 및
    삼상 회로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회로를 열어 차단하는 삼상 회로 차단기;
    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레버의 조작에 의해 회로를 열거나 또는 닫은 후, 다른 조작이 없으면 회로의 열림 또는 닫힘을 유지하는 토글 스위치(toggle switch); 및 조작하는 순간에만 접점이 붙거나 또는 털어져 회로를 열거나 닫는 모멘타리 스위치(Momentary switch)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정비 교육용 교보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DC 단상 회로 차단기, 상기 AC 단상 회로 차단기, 상기 토글 스위치, 상기 모멘타리 스위치, 상기 릴레이, 상기 파일럿 램프 및 상기 전동기는,
    두 명의 실습자가 하나의 교보재로 교육이 가능하도록 좌우로 한 쌍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정비 교육용 교보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보재는,
    상기 하우징 내 실장되는 LRU(line-replaceable unit) 장착용 선반;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내 실장되며,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개의 전선을 포함하는 전선다발(wire bundle);
    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전산다발을 통해 전선 접속 실습 및 전선 묶기 실습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정비 교육용 교보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전자 구성재료는,
    카모프 항공기에서 검출된 정보를 갖고 있는 제어 전류의 유무 또는 방향에 따라 전자석을 이용하여 다른 회로를 여닫는 카모프 릴레이(Kamov relay)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정비 교육용 교보재.
KR1020210047524A 2021-04-13 2021-04-13 항공기 정비 교육용 교보재 KR102405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524A KR102405465B1 (ko) 2021-04-13 2021-04-13 항공기 정비 교육용 교보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524A KR102405465B1 (ko) 2021-04-13 2021-04-13 항공기 정비 교육용 교보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5465B1 true KR102405465B1 (ko) 2022-06-07

Family

ID=81987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7524A KR102405465B1 (ko) 2021-04-13 2021-04-13 항공기 정비 교육용 교보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54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0169B1 (ko) 2022-10-25 2023-04-10 주식회사 성준항공 항공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항공 정비사의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227Y1 (ko) 2007-08-21 2008-02-01 (주)에이치아이 시스템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이용한 지능형 자율이동로봇 교육용키트
KR101211886B1 (ko) 2010-11-29 2012-12-13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멀티 브레이크 아웃 박스
KR200482597Y1 (ko) 2015-01-29 2017-02-1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오픈 하드웨어 교육용 키트
KR101882627B1 (ko) 2017-11-29 2018-07-26 이성신 교육용 키트
CN212647727U (zh) * 2020-05-26 2021-03-02 中国南方航空股份有限公司 一种关于飞机标准线路施工的练习及教学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227Y1 (ko) 2007-08-21 2008-02-01 (주)에이치아이 시스템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이용한 지능형 자율이동로봇 교육용키트
KR101211886B1 (ko) 2010-11-29 2012-12-13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멀티 브레이크 아웃 박스
KR200482597Y1 (ko) 2015-01-29 2017-02-1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오픈 하드웨어 교육용 키트
KR101882627B1 (ko) 2017-11-29 2018-07-26 이성신 교육용 키트
CN212647727U (zh) * 2020-05-26 2021-03-02 中国南方航空股份有限公司 一种关于飞机标准线路施工的练习及教学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0169B1 (ko) 2022-10-25 2023-04-10 주식회사 성준항공 항공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항공 정비사의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0161B2 (en) Short-defeating insert in an FT-switch
KR102405465B1 (ko) 항공기 정비 교육용 교보재
KR102018903B1 (ko) 과전압 방지장치가 구비된 테스트 플러그
CN102024364B (zh) 仿真实训系统
KR102621358B1 (ko) 변류기의 시험용 단자 분리대
AU2003200300B2 (en) Diagnostic wiring verification tester
KR102070650B1 (ko) 테스트 플러그용 단락점검장치
EP2778693A1 (en) Apparatus to verify an electrically safe work condition
JP5545738B2 (ja) 変流器二次側開放保護回路、電気盤及びテストプラグ
JP5159201B2 (ja) テストプラグの試験装置
JP4882698B2 (ja) テストプラグ
JP2007212308A (ja) テストプラグの性能判定器
CN106099871B (zh) 用于电网的保护装置
JP4679218B2 (ja) 機器測定試験リード線および機器測定試験方法
JP6522459B2 (ja) 電圧計測用治具
CN211403825U (zh) 一种电缆故障仿真培训设备
KR20170069724A (ko) 진공 인터럽터의 진공도 측정장치
JP2011258385A (ja) リード用導体接続装置
JP2021021689A (ja) テストターミナル
CN111276030A (zh) 一种电缆故障仿真培训设备
CN109613387B (zh) 一种绕组股间短路模拟装置
CN216209706U (zh) 一种用于转子一点接地保护试验的辅助装置
CN220568895U (zh) 一种断路器电气试验装置
JP2002199520A (ja) 電気的接続状態表示装置並びに電気的接続状態表示方法
JP4540588B2 (ja) 電工ドラムに内蔵された漏電遮断器の試験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