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0169B1 - 항공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항공 정비사의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항공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항공 정비사의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0169B1
KR102520169B1 KR1020220137873A KR20220137873A KR102520169B1 KR 102520169 B1 KR102520169 B1 KR 102520169B1 KR 1020220137873 A KR1020220137873 A KR 1020220137873A KR 20220137873 A KR20220137873 A KR 20220137873A KR 102520169 B1 KR102520169 B1 KR 102520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ident
simulator
maintenance
scenario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7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준항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준항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준항공
Priority to KR1020220137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01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8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aircraft, e.g. Link trainer
    • G09B9/085Special purpose teaching, e.g. alighting on water, aerial photograph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69Engineering, e.g. mechanical, electrical desig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공기 제어 패널을 모사한 버튼, 레버, 다이얼의 조작을 입력받아 동작 제어하는 로직, 비행 제어하는 비행, 엔진 제어하는 엔진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고, 로직, 비행, 엔진 카테고리에 따라 기정의된 사고 시나리오에 따라 사고 조작을 시뮬레이터에 입력하고, 시뮬레이터에서 버튼, 레버, 다이얼의 조작으로 입력된 대응을 수신하여 사고 조작에 대응한 정비 시나리오가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저장한다.

Description

항공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항공 정비사의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TRAINING CONTENTS FOR AVIATION MECHANIC USING FLIGHT SIMULATOR}
본 발명은 항공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항공 정비사의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공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정비 교육을 제공하고, 항공 정비사 교육생은 사고 시나리오, 정비 시나리오에 따른 교육 콘텐츠를 일관성 있게 학습하는 항공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항공 정비사의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종래기술에는 모의 훈련, 항공기 정비, 증강현실, 정비 교육이 있다. 특허문헌 1 모의 훈련 장비 및 이를 이용한 항공기 정비 교육 방법은 이론적 학습 능력을 습득하고, 항공기 시스템의 이해를 통한 정비 행위 수행 여부를 정량적으로 수행한다. 또한, 특허문헌 2 증강현실 기반 정보 제공시스템은 즉각적이고 정확한 AR영상을 제공한다. 또한, 특허문헌 3 가상현실기반 항공정보 훈련용 시스템을 활용한 훈련 방법은 항공정비 관련 교육기관에서 보다 쉽게 항공기정비 자격증 획득 인력 배출 및 항공관련기관 실무자 재교육을 실시한다. 또한, 특허문헌 4 항공기 정비 교육용 교보재는 항공기 전기전자 기초 교육을 제공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항공기 제어 패널을 모사한 버튼, 레버, 다이얼의 조작을 입력받아 동작 제어하는 로직, 비행 제어하는 비행, 엔진 제어하는 엔진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418484호 모의 훈련 장비 및 이를 이용한 항공기 정비 교육 방법 등록특허공보 제10-2021331호 증강현실 기반 정보 제공시스템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53939호 가상현실기반 항공정보 훈련용 시스템을 활용한 훈련 방법 등록특허공보 제10-2405465호 항공기 정비 교육용 교보재
본 발명은 항공기 제어 패널을 모사한 버튼, 레버, 다이얼의 조작을 입력받아 동작 제어하는 로직, 비행 제어하는 비행, 엔진 제어하는 엔진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항공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항공 정비사의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로직, 비행, 엔진 카테고리에 따라 기정의된 사고 시나리오에 따라 사고 조작을 시뮬레이터에 입력하고, 시뮬레이터에서 버튼, 레버, 다이얼의 조작으로 입력된 대응을 수신하여 사고 조작에 대응한 정비 시나리오가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저장하는 항공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항공 정비사의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고 시나리오, 정비 시나리오를 업데이트하는 항공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항공 정비사의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항공 정비사의 교육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버튼(21), 레버(22), 다이얼(23)의 조작, 조작에 대응한 반응, 비상, 이상 알림을 수행하고, 교관 단말기(40)의 사고 시나리오에 대한 대응을 실행하는 로직(31), 버튼(21), 레버(22), 다이얼(23)의 조작에 대응한 항공기 자세 제어, 비행 제어, 기류 제어를 수행하고, GPS 위치, 고도를 이용한 비행 경로 제어를 수행하는 비행(32), 버튼(21), 레버(22), 다이얼(23)의 조작에 대응한 항공기 엔진 제어, 연료 탱크 제어, 이상 대응, 사고 알람을 수행하는 엔진(33);을 포함하는 시뮬레이터(20); 및 로직, 비행, 엔진 카테고리에 따라 기정의된 사고 시나리오(41)에 따라 사고 조작을 상기 시뮬레이터(20)에 입력하고, 상기 시뮬레이터(20)에서 버튼(21), 레버(22), 다이얼(23)의 조작으로 입력된 대응을 수신하여 사고 조작에 대응한 정비 시나리오(42)가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저장하는 교관 단말기(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고 시나리오(41)는 상기 시뮬레이터(20)에 입력하는 로직, 비행, 엔진 카테고리에 대한 사고 조작을 일련의 시계열 데이터로 저장하고, 상기 정비 시나리오(42)는 상기 사고 시나리오(41)의 사고 조작에 대응한 상기 시뮬레이터(20)에서의 버튼(21), 레버(22), 다이얼(23)의 조작에 대응한 정비 대응을 판단하는 정비 로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5)는 사고 조작(S201), 로직 대응(S202), 정비 확인(S203)을 수행하고, 상기 사고 조작(S201)에서 상기 제어부(5)는 로직, 비행, 엔진 카테고리에 따라 기정의된 상기 사고 시나리오(41)에 따라 사고 조작을 원격지의 상기 시뮬레이터(20)에 입력하고, 상기 로직 대응(S202)에서 상기 시뮬레이터(20)는 버튼(21), 레버(22), 다이얼(23)의 조작으로 사고 조작에 대응한 정비 대응을 입력하고, 상기 정비 확인(S203)에서는 상기 제어부(5)가 상기 시뮬레이터(20)에서 버튼(21), 레버(22), 다이얼(23)의 조작으로 입력된 대응을 수신하여 사고 조작에 대응한 상기 정비 시나리오(42)가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관 단말기(40)는, 사고 조작, 로직 대응, 정비 확인의 상태를 구분하고, 구분된 사고 조작에 대응한 상기 시뮬레이터(20)에 사고 조작을 입력하고, 구분된 로직 대응에 대응한 상기 시뮬레이터(20)의 로직 대응을 수신하고, 구분된 정비 확인에 대응한 사고 조작에 로직 대응이 올바른지를 판단하는 상태 머신을 포함하고, 상기 상태 머신은, 사용자 조작, 데이터 입력에 대응한 상태 전이, 상태 처리를 실행하고, 상태 처리는 연산, 표시, 진동, 알람을 수행하고, 사용자 조작, 데이터 입력, 랜덤 입력에 대한 범위, 시간, 레벨의 입력을 검증하고, 사용자 조작, 데이터 입력, 랜덤 입력에 대한 상태 머신의 상태 확률에 따른 시스템 검증을 실행하고, 상기 시스템 검증은 샘플링 데이터에 기반한 상태 머신 검증, 하드웨어 고장, 데이터 오류, 데이터 변화에 대응하고, 상기 샘플링 데이터는 버튼, 레버, 다이얼의 조작 데이터, 사고 시나리오, 정비 시나리오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태 머신은, 시나리오 업데이트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 처리는, 시나리오 업데이트에 대한 사고 시나리오(41), 정비 시나리오(42)를 업데이트하고, 크롤링 모듈(67)을 이용하여 웹 표준(65)으로 인코딩된 사고 시나리오(41), 정비 시나리오(42)를 추출하고, 추출된 사고 시나리오(41)에 기반한 사고 조작을 시뮬레이터(20)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관 단말기(40)는, 크롤링 모듈(67)을 이용하여 웹 표준(65)으로 인코딩된 사고 시나리오(41), 정비 시나리오(42)를 추출하고, 추출된 사고 시나리오(41)에 기반한 사고 조작을 시뮬레이터(20)에 제공하고, 사용자 조작, 데이터 입력에 대응한 상태 전이, 상태 처리의 상태 머신을 실행하고, 상태 처리는 연산, 표시, 진동, 알람을 수행하고, 사용자 조작, 데이터 입력, 랜덤 입력에 대한 범위, 시간, 레벨의 입력을 검증하고, 사용자 조작, 데이터 입력, 랜덤 입력에 대한 상태 머신의 상태 확률에 따른 시스템 검증을 실행하고, 상기 시스템 검증은 샘플링 데이터에 기반한 상태 머신 검증, 하드웨어 고장, 데이터 오류, 데이터 변화에 대응하고, 상기 샘플링 데이터는 버튼, 레버, 다이얼의 조작 데이터, 사고 시나리오, 정비 시나리오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관 단말기(40)는, 일정 시간 동안 마다 각각의 확률 분포 추이를 보고, 확률 분포 중 특이 현상 이상을 예측하고, 이상 사고에 대응하고, 확률 분포에 대해 데이터 변화가 일정하면 정상 동작을 외부에 알리고, 일정 시간 간격을 조정하기 위해 데이터 변화율을 피드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항공기 제어 패널을 모사한 버튼, 레버, 다이얼의 조작을 입력받아 동작 제어하는 로직, 비행 제어하는 비행, 엔진 제어하는 엔진의 제어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항공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정비 교육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로직, 비행, 엔진 카테고리에 따라 기정의된 사고 시나리오에 따라 사고 조작을 시뮬레이터에 입력하고, 시뮬레이터에서 버튼, 레버, 다이얼의 조작으로 입력된 대응을 수신하여 사고 조작에 대응한 정비 시나리오가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저장함으로써 항공 정비사 교육생은 사고 시나리오, 정비 시나리오에 따른 교육 콘텐츠를 일관성 있게 학습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사고 시나리오, 정비 시나리오를 업데이트함으로써 사고 발생, 사고 대응, 정비 대응에 관련된 교육 콘텐츠를 다양하게 확보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항공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항공 정비사의 교육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 항공 정비사의 교육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시뮬레이터, 교관 단말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항공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항공 정비사의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의 동작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1 항공 정비사의 교육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크롤링 모듈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오류를 검증하는 구성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하드웨어 자원과 운영체제, 코어인 제어부의 동작, 제어부 동작을 실행할 권한을 부여하는 시스템 인증 구성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항공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항공 정비사의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종래 주지된 사항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해 생략하거나 간단히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포함된 구성은 개별 또는 복합 결합 구성되어 동작한다.
도 1은 본 발명 항공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항공 정비사의 교육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뮬레이터(20)는 버튼(21), 레버(22), 다이얼(23), 로직(31), 비행(32), 엔진(33)을 포함하고, 교관 단말기(40)는 사고 시나리오(41), 정비 시나리오(42)를 포함한다.
시뮬레이터(20)는 항공기 제어 패널을 모사한 버튼(21), 레버(22), 다이얼(23)의 조작을 입력받아 동작 제어하는 로직(31), 비행 제어하는 비행(32), 엔진 제어하는 엔진(33)의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로직(31)은 버튼(21), 레버(22), 다이얼(23)의 조작, 조작에 대응한 반응, 비상, 이상 알림을 수행하고, 교관 단말기(40)의 사고 시나리오에 대한 대응을 실행한다.
비행(32)은 버튼(21), 레버(22), 다이얼(23)의 조작에 대응한 항공기 자세 제어, 비행 제어, 기류 제어를 수행하고, GPS 위치, 고도를 이용한 비행 경로 제어를 수행한다.
엔진(33)은 버튼(21), 레버(22), 다이얼(23)의 조작에 대응한 항공기 엔진 제어, 연료 탱크 제어, 이상 대응, 사고 알람을 수행한다.
교관 단말기(40)는 로직, 비행, 엔진 카테고리에 따라 기정의된 사고 시나리오(41)에 따라 사고 조작을 시뮬레이터(20)에 입력하고, 시뮬레이터(20)에서 버튼(21), 레버(22), 다이얼(23)의 조작으로 입력된 대응을 수신하여 사고 조작에 대응한 정비 시나리오(42)가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저장한다.
사고 시나리오(41)는 시뮬레이터(20)에 입력하는 로직, 비행, 엔진 카테고리에 대한 사고 조작을 일련의 시계열 데이터로 저장하고, 정비 시나리오(42)는 사고 시나리오(41)의 사고 조작에 대응한 시뮬레이터(20)에서의 버튼(21), 레버(22), 다이얼(23)의 조작에 대응한 정비 대응을 판단하는 정비 로직이다.
도 2는 도 1 항공 정비사의 교육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시뮬레이터, 교관 단말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시뮬레이터(20)는 항공기 제어 패널을 모사한 버튼(21), 레버(22), 다이얼(23)의 조작을 입력받아 동작 제어하는 로직(31), 비행 제어하는 비행(32), 엔진 제어하는 엔진(33)의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교관 단말기(40)는 로직, 비행, 엔진 카테고리에 따라 기정의된 사고 시나리오(41)에 따라 사고 조작을 시뮬레이터(20)에 입력하고, 시뮬레이터(20)에서 버튼(21), 레버(22), 다이얼(23)의 조작으로 입력된 대응을 수신하여 사고 조작에 대응한 정비 시나리오(42)가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저장한다.
교관 단말기(40)는 사고 조작, 로직 대응, 정비 확인의 상태를 구분하고, 구분된 사고 조작에 대응한 상기 시뮬레이터(20)에 사고 조작을 입력하고, 구분된 로직 대응에 대응한 상기 시뮬레이터(20)의 로직 대응을 수신하고, 구분된 정비 확인에 대응한 사고 조작에 로직 대응이 올바른지를 판단하는 상태 머신을 포함한다. 상태 머신은 시나리오 업데이트 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 처리는, 시나리오 업데이트에 대한 사고 시나리오(41), 정비 시나리오(42)를 업데이트한다.
판단 결과는 DB(9)에 저장되고, 클라우드(12)는 DB(9)의 데이터에 기반하여 사고 시나리오(41)에 대한 정비 시나리오(42)가 올바로 이루어졌는지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교관 단말기(4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 항공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항공 정비사의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의 동작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5)는 사고 조작(S201), 로직 대응(S202), 정비 확인(S203)을 수행한다.
사고 조작(S201)에서 교관 단말기(40)의 제어부(5)는 로직, 비행, 엔진 카테고리에 따라 기정의된 사고 시나리오(41)에 따라 사고 조작을 원격지의 시뮬레이터(20)에 입력한다.
로직 대응(S202)에서 시뮬레이터(20)는 버튼(21), 레버(22), 다이얼(23)의 조작으로 사고 조작에 대응한 정비 대응을 입력한다. 정비사는 시뮬레이터(20)에서 표시, 알람되는 사고 알람을 인지하고, 제어 패널인 버튼(21), 레버(22), 다이얼(23)을 조작해서 교관 단말기(40)의 사고 조작에 대응한 정비 대응을 입력한다.
정비 확인(S203)에서는 교관 단말기(40)의 제어부(5)가 시뮬레이터(20)에서 버튼(21), 레버(22), 다이얼(23)의 조작으로 입력된 대응을 수신하여 사고 조작에 대응한 정비 시나리오(42)가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저장한다. 판단 결과는 DB(9)에 저장되고, 클라우드(12)에 전달되어 통계, 분석에 사용된다.
도 4는 도 1 항공 정비사의 교육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크롤링 모듈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기(6)는 크롤링 모듈(67)을 이용하여 웹 표준(65)으로 인코딩된 사고 시나리오(41), 정비 시나리오(42)를 추출한다.
크롤링 모듈(67)은 단말기(6)의 제어부(5)에서 크롤링 모듈(67)을 이용하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61); API의 요청을 브라우저 드라이버(64)에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Wire Protocol 기반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로 전달하는 JSON 프로토콜(62); JSON 프로토콜(62)의 URL 명령을 수신하고 스크립트를 사용하여 실제 브라우저를 동작시키는 브라우저 드라이버(63);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크롤링 모듈(67)은 기능적 자동화 테스트 도구인 셀레니움, 사이프레스일 수 있고, 브라우저 드라이버(63)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행동을 모방하는 테스트를 작성하는데 사용된다.
브라우저(64)는 크롤링 모듈(67)의 명령에 따라 웹 서버에 로그인하고, 로그인 인증 후 웹 페이지에 포함된 메뉴로 이동하고, 메뉴에 링크된 사고 시나리오(41), 정비 시나리오(42)를 제어부(5)에 전달한다. 사고 시나리오(41), 정비 시나리오(42)는 항공기 모델, 시뮬레이터, 사고 유형, 정비 대응에 맞게 업데이트되고, 교관 단말기(40)에 업데이트된 사고 시나리오(41), 정비 시나리오(42)가 전달된다.
도 5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오류를 검증하는 구성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5)는 샘플링 데이터를 저장하고, 일정 시간 동안 샘플링 데이터의 크기 별로 발생 회수를 누적하여 확률 분포를 계산하고, 또 다른 일정 시간 동안의 확률 분포를 계산하고, 두 확률 분포의 차, 면적 차, 차 거리 누적을 계산해서(S101) 샘플링 회로 이상, 데이터 오류, 데이터 변화를 예측하고, 이에 대응할 수 있다(S102). 제어부(5)는 예측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대응하거나 제어부(5)가 하드웨어 고장, 데이터 오류, 데이터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샘플링 데이터는 버튼, 레버, 다이얼의 조작 데이터, 사고 시나리오, 정비 시나리오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제어부(5)는 샘플링 데이터에 기반하여 하드웨어 고장, 데이터 오류, 데이터 변화에 대응한다.
제어부(5)는 일정 시간 동안 마다 각각의 확률 분포 추이를 보고, 확률 분포 중 특이 현상 이상을 예측하고, 이상 사고에 대응하고, 확률 분포에 대해 데이터 변화가 일정하면 정상 동작을 외부에 알린다. 또한, 제어부(5)는 일정 시간 간격을 조정하기 위해 데이터 변화율을 피드백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변화율이 크면 일정 시간 간격을 늘리고, 데이터 변화율이 작으면 일정 시간 간격을 줄인다.
제어부(5)는 사용자 조작, 데이터 입력에 대응한 상태 전이, 상태 처리의 상태 머신을 실행하고, 상태 처리는 연산, 표시, 진동, 알람을 수행하고, 사용자 조작, 데이터 입력, 랜덤 입력에 대한 범위, 시간, 레벨의 입력을 검증하고, 사용자 조작, 데이터 입력, 랜덤 입력에 대한 상태 확률에 따른 시스템 검증을 실행한다. 시스템 검증은 샘플링 데이터에 기반한 상태 머신 검증을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하드웨어 자원과 운영체제, 코어인 제어부의 동작, 제어부 동작을 실행할 권한을 부여하는 시스템 인증 구성을 설명하는 예시도로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프로세서(1), 메모리(2), 입출력장치(3), 운영체제(4), 제어부(5)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s), GPU(Graphic Processing Un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NPU(Neural Processing Unit)로서, 메모리(2)에 탑재된 운영체제(4), 제어부(5)의 실행 코드를 수행한다.
메모리(2)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디스크 드라이브,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장치(3)는 입력 장치로, 오디오 센서 및/또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 카메라, 키보드, 마이크로폰,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로, 디스플레이, 스피커,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haptic feedback device) 등과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운영체제(4)는 윈도우, 리눅스, IOS, 가상 머신, 웹브라우저, 인터프리터를 포함할 수 있고, 태스크, 쓰레드, 타이머 실행, 스케줄링, 자원 관리, 그래픽, 폰트 처리, 통신 등을 지원한다.
제어부(5)는 운영체제(4)의 지원하에 입출력장치(3)의 센서, 키, 터치, 마우스 입력에 의한 상태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부(5)는 병렬 수행 루틴으로 타이머, 쓰레드에 의한 작업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제어부(5)는 입출력장치(3)의 센서값을 이용하여 상태를 결정하고, 결정된 상태에 따른 알고리즘을 수행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시스템 인증 구성은 제어부(5)를 포함하는 단말기(6), 인증 서버(7)를 포함한다.
단말기(6)는 데이터 채널을 이중화하고, 단말기(6)의 키값, 생체 정보를 입력받아 인증 서버(7)에 제1데이터 채널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고, 단말기(6)는 생성된 킷값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인증 서버(7)로 전송한다.
단말기(6)는 단말기(6)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킷값을 입력하고, 사용자 정보와 함께 제2데이터 채널을 통해 인증 서버(7)로 전송한다. 단말기(6)는 킷값과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6)에 탑재된 시스템의 인증을 인증 서버(7)에 요청한다. 단말기(6)의 킷값은 컴퓨터 고유의 정보인 CPU 제조번호, 이더넷 칩의 맥주소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단말기(6)는 카메라를 이용한 얼굴 인식, 마이크를 이용한 음성 인식,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필기 인식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고, 인증에 활용할 수 있다.
인증 서버(7)는 단말기(6)로부터 킷값을 수신하고, 단말기(6)로부터 이중화된 데이터 채널을 통해 킷값과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단말기(6)의 킷값과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고, 사용자 정보를 대응시켜 단말기(6)의 시스템 이용에 대한 인증을 처리한다. 인증 서버(7)는 인증 결과를 단말기(6)로 전송하여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을 허가한다. 단말기(6)의 이중화된 데이터 채널로 인해 킷값 손실이 최소화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인증 서버(7)는 사용자 정보의 히스토리 분석을 수행하고, 시간 흐름에 따라 사용자 정보의 일관성, 변화를 비교 판단한다. 히스토리 분석에서 사용자 정보가 일관성을 나타내면 사용자의 사용을 허가하고, 변화를 나타내면 사용자의 사용을 허가하지 않는다. 사용자 정보가 일관성을 나타낼 때 사용자의 시스템 사용을 허가함으로써 사용자 정보가 변조된 사용자가 시스템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보안을 강화한다.
인증 서버(7)는 일관성, 변화, 빈도, 빈도 추이, 빈도가 높음에 가중치를 부여해서 가중치 조합으로 신뢰되지 않은 사용자의 접근을 차단한다. 예를 들어, 빈도의 임계치가 초과하면 초과 누적수에 비례하여 신뢰되지 않은 사용자의 접근을 차단하고, 장시간에 걸쳐 접근 시도하는 사용자를 인증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신뢰되지 않은 사용자에 대해 추가 인증을 요청한다.
시스템의 사용을 인증하는 수단인 단말기(6)는 시스템과 직접 연결하지 않고, 인증 서버(7)를 통한 우회 경로를 형성함으로써 인터넷망을 이루는 네트워크가 내부망과 외부망으로 구성되어 아이피 주소 설정 과정이 번거로울 때 단말기(6)를 이용한 인증 과정이 원활히 수행되는 장점이 있다. 이때, 단말기(6)에는 시스템이 탑재되고, 단말기(6)는 인증 단말 수단이 되고, 인증 서버(7)는 인증 서버 수단이 된다.
클라우드(12)는 프로세서(1), 메모리(2), 입출력장치(3), 통신부(6)를 관리하는 운영체제(4)의 지원 하에 컨테이너(7)의 모듈화로, 웹(8), DB(9), 프로토콜(10), 라이브러리(11)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제어부(5)는 컨테이너(7)의 서비스를 이용한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컨테이너(7)라고 하는 표준 소프트웨어 패키지는 애플리케이션의 코드를 관련 구성 파일, 라이브러리(11) 및 앱 실행에 필요한 종속성과 함께 번들로 제공한다.
클라우드(12)는 다수의 단말기(6)를 통합 제어하고, 단말기(6)로부터 수신된 센서값을 저장하여 시간 흐름에 따라 모니터링하고, 단말기(6)의 동작 에러를 처리하고, 에러 메시지를 다른 단말기(6)로 알리고, 제어 대상인 단말기(6)를 스위칭 제어한다.
신경망 학습은 온도, 고도, 지문 등 각종 센서, 이미지, 적외선 등 카메라, 라이더와 같은 입력 장치로부터 수집된 시계열 데이터로부터 특징량 선택, 알고리즘 선택을 통해 모델을 선택하고, 학습, 성능 검증 과정에 의한 반복 시행 착오를 거쳐 모델 선택을 반복한다. 성능 검증이 마치면 인공지능 모델이 선택된다.
제어부(5)는 센서값 판단에 신경망을 이용한 딥러닝 알고리즘을 수행하고, 신경망 학습에 훈련 데이터를 이용하고, 시험 데이터로 신경망 성능을 검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해당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프로세서
2: 메모리
3: 입출력장치
4: 운영체제
5: 제어부
6: 단말기
7: 인증 서버
8: 웹
9: DB
11: 라이브러리
12: 클라우드
14: 컨테이너
16: 통신부
20: 시뮬레이터
21: 버튼
22: 레버
23: 다이얼
31: 로직
32: 비행
33: 엔진
40: 교관 단말기
41: 사고 시나리오
42: 정보 시나리오
61: API
62: JSON 프로토콜
63: 브라우저 드라이버
64: 브라우저
67: 크롤링 모듈

Claims (3)

  1. 버튼(21), 레버(22), 다이얼(23)의 조작, 조작에 대응한 반응, 비상, 이상 알림을 수행하고, 교관 단말기(40)의 사고 시나리오에 대한 대응을 실행하는 로직(31),
    버튼(21), 레버(22), 다이얼(23)의 조작에 대응한 항공기 자세 제어, 비행 제어, 기류 제어를 수행하고, GPS 위치, 고도를 이용한 비행 경로 제어를 수행하는 비행(32),
    버튼(21), 레버(22), 다이얼(23)의 조작에 대응한 항공기 엔진 제어, 연료 탱크 제어, 이상 대응, 사고 알람을 수행하는 엔진(33);을 포함하는 시뮬레이터(20); 및
    로직, 비행, 엔진 카테고리에 따라 기정의된 사고 시나리오(41)에 따라 사고 조작을 상기 시뮬레이터(20)에 입력하고, 상기 시뮬레이터(20)에서 버튼(21), 레버(22), 다이얼(23)의 조작으로 입력된 대응을 수신하여 사고 조작에 대응한 정비 시나리오(42)가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저장하는 교관 단말기(40);를 포함하고,
    상기 사고 시나리오(41)는 상기 시뮬레이터(20)에 입력하는 로직, 비행, 엔진 카테고리에 대한 사고 조작을 일련의 시계열 데이터로 저장하고, 상기 정비 시나리오(42)는 상기 사고 시나리오(41)의 사고 조작에 대응한 상기 시뮬레이터(20)에서의 버튼(21), 레버(22), 다이얼(23)의 조작에 대응한 정비 대응을 판단하는 정비 로직이고,
    제어부(5)는 사고 조작(S201), 로직 대응(S202), 정비 확인(S203)을 수행하고,
    상기 사고 조작(S201)에서 상기 제어부(5)는 로직, 비행, 엔진 카테고리에 따라 기정의된 상기 사고 시나리오(41)에 따라 사고 조작을 원격지의 시뮬레이터(20)에 입력하고,
    상기 로직 대응(S202)에서 상기 시뮬레이터(20)는 버튼(21), 레버(22), 다이얼(23)의 조작으로 사고 조작에 대응한 정비 대응을 입력하고,
    상기 정비 확인(S203)에서는 상기 제어부(5)가 상기 시뮬레이터(20)에서 버튼(21), 레버(22), 다이얼(23)의 조작으로 입력된 대응을 수신하여 사고 조작에 대응한 상기 정비 시나리오(42)가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저장하고,
    샘플링 데이터는 버튼, 레버, 다이얼의 조작 데이터, 사고 시나리오, 정비 시나리오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단말기(6)는, 샘플링 데이터를 저장하고, 일정 시간 동안 샘플링 데이터의 크기 별로 발생 회수를 누적하여 제1확률 분포를 계산하고, 또 다른 일정 시간 동안의 제2확률 분포를 계산하고, 두 제1,제2확률 분포의 면적 차를 계산해서(S101) 샘플링 회로 이상, 데이터 오류, 데이터 변화를 예측하고, 샘플링 데이터에 기반하여 하드웨어 고장, 데이터 오류, 데이터 변화에 대응하고,
    단말기(6)는, 데이터 채널을 이중화하고, 상기 단말기(6)의 키값, 생체 정보를 입력받아 인증 서버(7)에 제1데이터 채널을 통해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고, 생성된 킷값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인증 서버(7)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6)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킷값을 입력하고, 사용자 정보와 함께 제2데이터 채널을 통해 상기 인증 서버(7)로 전송하고, 킷값과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6)에 탑재된 시스템의 인증을 상기 인증 서버(7)에 요청하고,
    상기 인증 서버(7)는 상기 단말기(6)로부터 킷값을 수신하고, 상기 단말기(6)로부터 이중화된 데이터 채널을 통해 킷값과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기(6)의 킷값과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고, 사용자 정보를 대응시켜 상기 단말기(6)의 시스템 이용에 대한 인증을 처리하고,
    일관성, 변화, 빈도, 빈도 추이, 빈도가 높음에 가중치를 부여해서 가중치 조합으로 신뢰되지 않은 사용자의 접근을 차단하고, 빈도의 임계치가 초과하면 초과 누적수에 비례하여 신뢰되지 않은 사용자의 접근을 차단하고, 장시간에 걸쳐 접근 시도하는 사용자를 인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항공 정비사의 교육 콘텐츠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20137873A 2022-10-25 2022-10-25 항공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항공 정비사의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20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7873A KR102520169B1 (ko) 2022-10-25 2022-10-25 항공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항공 정비사의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7873A KR102520169B1 (ko) 2022-10-25 2022-10-25 항공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항공 정비사의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0169B1 true KR102520169B1 (ko) 2023-04-10

Family

ID=85984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7873A KR102520169B1 (ko) 2022-10-25 2022-10-25 항공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항공 정비사의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016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484B1 (ko) 2012-12-26 2014-07-14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모의 훈련 장비 및 이를 이용한 항공기 정비 교육 방법
KR20150015193A (ko) * 2013-07-31 2015-02-10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고장상황실현기능이 구비된 헬리콥터 시뮬레이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11512A (ko) * 2016-07-25 2018-02-02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시리얼 인터페이스 기반 항공기 시뮬레이터
KR102021331B1 (ko) 2018-06-01 2019-09-16 주식회사 한솔리드텍 증강현실 기반 정보 제공시스템
KR20220053939A (ko) 2020-10-23 2022-05-02 (주)바렌크리에이티브 가상현실기반 항공정비 훈련용 시스템을 활용한 훈련 방법
KR102405465B1 (ko) 2021-04-13 2022-06-07 인하항공 주식회사 항공기 정비 교육용 교보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484B1 (ko) 2012-12-26 2014-07-14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모의 훈련 장비 및 이를 이용한 항공기 정비 교육 방법
KR20150015193A (ko) * 2013-07-31 2015-02-10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고장상황실현기능이 구비된 헬리콥터 시뮬레이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11512A (ko) * 2016-07-25 2018-02-02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시리얼 인터페이스 기반 항공기 시뮬레이터
KR102021331B1 (ko) 2018-06-01 2019-09-16 주식회사 한솔리드텍 증강현실 기반 정보 제공시스템
KR20220053939A (ko) 2020-10-23 2022-05-02 (주)바렌크리에이티브 가상현실기반 항공정비 훈련용 시스템을 활용한 훈련 방법
KR102405465B1 (ko) 2021-04-13 2022-06-07 인하항공 주식회사 항공기 정비 교육용 교보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87493B2 (en) Automatic display unit backup during failures of one more display units through the utilization of graphic user interface objects defined for control transfer and reversion after resolution of the failures
US10957216B2 (en) Assessing a training activity performed by a user in an interactive computer simulation
US20140272911A1 (en) Educational network based intervention
US20170278421A1 (en) Automated assessment and grading of computerized algorithms
US11797890B2 (en) Performance manager to autonomously evaluate replacement algorithms
KR102029941B1 (ko) 어뷰저 탐지
US10866956B2 (en) Optimizing user time and resources
KR102051543B1 (ko) Vr 훈련 시스템 및 방법
EP4075410A1 (en) Automatic inferential pilot competency analysis based on detecting performance norms in flight simulation data
KR102520169B1 (ko) 항공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항공 정비사의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JP2021018751A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7252332B2 (ja) ロボティクスアプリケーション開発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11983609B2 (en) Dual machine learning pipelines for transforming data and optimizing data transformation
KR102507442B1 (ko) 환경 안전 보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13886140A (zh) 基于可信性验证的人工智能模型输出数据判断系统
KR102613712B1 (ko) 원전 제어 계통의 가상 모사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102482423B1 (ko) 인터넷 텔레비전을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마켓형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텔레비전
CN108257058B (zh) 适用于教育系统学生移动终端的分级管控平台
KR20240057140A (ko) 요리 레시피 공유 장치
KR20240057139A (ko) 공유 배달 서비스 장치
KR102504102B1 (ko) 인터넷 텔레비전을 이용한 라이브 방송 송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텔레비전
KR102488000B1 (ko) 수요 예측 기반 알루미늄 재료 공급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593715B1 (ko) 증강 현실 사진 출력 키오스크 앱 뷰어 시스템
KR20240055501A (ko) 여행 카풀 인센티브 시스템
KR102486210B1 (ko) 손떨림 완화를 위한 치료 게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