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3939A - 가상현실기반 항공정비 훈련용 시스템을 활용한 훈련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현실기반 항공정비 훈련용 시스템을 활용한 훈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3939A
KR20220053939A KR1020200138307A KR20200138307A KR20220053939A KR 20220053939 A KR20220053939 A KR 20220053939A KR 1020200138307 A KR1020200138307 A KR 1020200138307A KR 20200138307 A KR20200138307 A KR 20200138307A KR 20220053939 A KR20220053939 A KR 20220053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ing
maintenance
equipment
virtual reality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8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태범
이종원
Original Assignee
(주)바렌크리에이티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렌크리에이티브 filed Critical (주)바렌크리에이티브
Priority to KR1020200138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3939A/ko
Publication of KR20220053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9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69Engineering, e.g. mechanical, electrical desig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가상현실기반 항공정비 훈련용 시스템을 활용한 훈련 방법이 개시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항공기 정비 교육 프로그램을 구동시킨 후 VR화면(200)에서 훈련 모드를 선택하는 1단계; 상기 항공기 정비 교육의 훈련 항목을 선정하는 2단계; 모의 훈련용 정비에 사용될 수 있는 다수개의 장비를 제시해주고, 해당 훈련 항목에 사용될 수 있는 장비를 선택하는 3단계; 상기 3단계에서 선택한 장비가 모의 훈련 항목에 적합한지를 판단하여 채점하는 4단계; 준비된 모의 훈련 장비를 사용하여 정비 과정을 실시하는 5단계; 상기 5단계에서 각 정비 과정 마다 필수적인 점검 사항을 선택하고, 각 점검 사항에 필요한 훈련 절차를 수행하며, 이러한 실행 과정에 대한 점수를 산정하는 6단계; 모의 정비 과정을 종료함과 아울러 상기 모의 훈련 결과를 자동 평가하는 7단계; 자동 평가된 평가 결과를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평가 결과를 출력하는 8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학생의 실전 개발 업무 경험 습득할 수 있고, 가상현실기반으로 실제 현장에서 실습하는 형태의 교육이 이루어짐으로써 교육효과 및 안전한 교육환경 제공할 수 있으며, 항공정비 관련 교육기관에서 보다 쉽게 항공기정비 자격증 획득 인력배출 및 항공관련기관 실무자 재교육 실시로 해외 외주 용역비 절감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상현실기반 항공정비 훈련용 시스템을 활용한 훈련 방법{Training Method Using Virtual Reality-Based Aviation Maintenance Training System}
개시되는 내용은 가상현실기반 항공정비 훈련용 시스템을 활용한 훈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항공기나 선박의 정비사 교육은 하드웨어 중심의 실습 교육이 대부분이다. 즉, 항공기나 선박의 구성품을 교관의 설명에 의한 교육이 이루어지거나, 항공기나 선박의 기술 교범을 정비사가 자가 학습 후 정비사들끼리의 토론 형식 위주의 교육이 이루어지거나, 항공기나 선박의 구성품을 부분적으로 장탈착하는 교육을 수행하는 정비 교육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하드웨어 중심의 실습 교육의 한계점인 이론적 학습 능력의 습득 및 시스템의 이해를 통한 정비 행위 수행 여부를 정량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이 필요로 하고 있다.
게다가, 모든 기술의 집약 및 전자 장비의 의존도가 높은 현대 항공기의 정비사 교육도 하드웨어 중심이 아닌 소프트웨어적(시뮬레이션) 실습 장비를 통한 교육 및 장비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8-0086310호에는 '가상현실 기반 승강기 유지 보수 훈련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승강기 유지 보수 훈련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항공기 정비 부품중 실물을 접하기 어렵고, 직접 정비하면서 교육하기 어려운 부품의 경우 이론으로만 대체할 수 밖에 없어 실습이 필요한 경우를 충족하지 못하게 된다.
개시되는 내용은 항공정비 부품중 조종케이블 로드 실 부품 정비시 텐션,꺽임,결속,연결등 생성되는 데이터 값을 추출하여 가상현실내에서도 실제 장비처럼 실감처리 되도록 적용하는 가상현실기반 항공정비 훈련용 시스템을 활용한 훈련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시예의 목적은, 항공기 정비 교육 프로그램을 구동시킨 후 VR화면(200)에서 훈련 모드를 선택하는 1단계; 상기 항공기 정비 교육의 훈련 항목을 선정하는 2단계; 모의 훈련용 정비에 사용될 수 있는 다수개의 장비를 제시해주고, 해당 훈련 항목에 사용될 수 있는 장비를 선택하는 3단계; 상기 3단계에서 선택한 장비가 모의 훈련 항목에 적합한지를 판단하여 채점하는 4단계; 준비된 모의 훈련 장비를 사용하여 정비 과정을 실시하는 5단계; 상기 5단계에서 각 정비 과정 마다 필수적인 점검 사항을 선택하고, 각 점검 사항에 필요한 훈련 절차를 수행하며, 이러한 실행 과정에 대한 점수를 산정하는 6단계; 모의 정비 과정을 종료함과 아울러 상기 모의 훈련 결과를 자동 평가하는 7단계; 자동 평가된 평가 결과를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평가 결과를 출력하는 8단계;를 포함하는 가상현실기반 항공정비 훈련용 시스템을 활용한 훈련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2단계의 훈련 항목은, 조종 케이블, 풀리, 푸시풀 로드, 크랭크, 조종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4단계는 수행된 상기 각 서브 시스템에 대한 자체 고장 진단의 결과는 교관측 제어부로 전송되며, 상기 교관측 제어부에서는 해당 시스템의 전원 상태 및 통신 상태를 확인 가능하며, 선택된 장비의 적합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단 결과는 교관측 제어부의 화면 하단의 에러 수, 내용 및 팝업 창으로 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단계에서 훈련 모드는 연습 모드 및 평가 모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단계는 VR 장비를 안면에 장착하고, VR화면 상에 표출된 가상 화면을 손으로 터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5단계는 VR화면(200)에 표출된 선택된 준비된 모의 훈련 장비를 지정하는 5-1과정; 지정된 장비를 사용될 부품 위치에 드래그 하는 5-2과정; 장비의 사용방식을 지정하는 5-3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5-3과정에 제시된 사용방식은 나사 조임, 나사 풀림, 압입, 타격 중 택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6단계의 점검 사항은 텐션, 꺽임, 결속, 연결 군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6단계에서 각 점검 사항에 의해 데이터 값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데이터값을 기반으로 가상현실 내에서 장비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동작이 시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학생의 실전 개발 업무 경험 습득할 수 있고, 가상현실기반으로 실제 현장에서 실습하는 형태의 교육이 이루어짐으로써 교육효과 및 안전한 교육환경 제공할 수 있으며, 항공정비 관련 교육기관에서 보다 쉽게 항공기정비 자격증 획득 인력배출 및 항공관련기관 실무자 재교육 실시로 해외 외주 용역비 절감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기반 항공정비 훈련용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기반 항공정비 훈련용 시스템을 활용한 훈련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기반 항공정비 훈련용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기반 항공정비 훈련용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기반 항공정비 훈련용 시스템을 활용한 훈련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기반 항공정비 훈련용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기반 항공정비 훈련용 시스템을 활용한 훈련 방법은,
조종케이블 로드 실 부품 정비에 적용되는 것으로
항공기 정비 교육 프로그램을 구동시킨 후 VR화면(200)에서 훈련 모드를 선택하는 1단계(S1);
항공기 정비 교육의 훈련 항목을 선정하는 2단계(S2);
모의 훈련용 정비에 사용될 수 있는 다수개의 장비를 제시해주고, 해당 훈련 항목에 사용될 수 있는 장비를 선택하는 3단계(S3);
3단계(S3)에서 선택한 장비가 모의 훈련 항목에 적합한지를 판단하여 채점하는 4단계(S4);
준비된 모의 훈련 장비를 사용하여 정비 과정을 실시하는 5단계(S5);
5단계(S5)에서 각 정비 과정 마다 필수적인 점검 사항을 선택하고, 각 점검 사항에 필요한 훈련 절차를 수행하며, 이러한 실행 과정에 대한 점수를 산정하는 6단계(S6);
모의 정비 과정을 종료함과 아울러 상기 모의 훈련 결과를 자동 평가하는 7단계(S7);
자동 평가된 평가 결과를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평가 결과를 출력하는 8단계(S8);를 포함한다.
상기 1단계(S1)에서 훈련 모드는 연습 모드 및 평가 모드로 이루어진다.
상기 1단계(S1)는 VR 장비(230)를 안면에 장착하고, VR화면(200)를 손으로 터치하도록 한다. 학생은 감지센서가 부착된 감지용 장갑(250)을 착용하거나 또는 손가락 끝에만 부착되는 감지센서를 착용한다.
2단계(S2)의 훈련 항목은, 조종 케이블, 풀리, 푸시풀 로드, 크랭크, 조종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VR화면(200)에 부품 정비 계통도(300)가 표출되고, 여기에 조종 케이블(110), 풀리(120), 푸시풀 로드(130), 크랭크(140), 조종 로드(150)의 구조가 도시되도록 함으로써 훈련 효과를 높일 수 있고, 교육 목적에 유익해질 수 있다.
물론 이중에서 일부 항목은 삭제되거나 다른 항목으로 대체될 수 있을 것이다.
3단계(S3)에서는, VR화면(200)에 모의 훈련용 정비에 사용될 수 있는 다수개의 장비가 이미지로 아이템 형태로 표시되고, 각 장비 아이템을 클릭 또는 드래그 방식으로 선택할 수 있다.
4단계(S4)는 상기 3단계(S3)에서 선택한 장비가 모의 훈련 항목에 적합한지를 판단하여 채점하게 된다.
이는 1차적인 점수 산정 단계이고 장비를 정확하게 선택하는 것도 중요한 포인트로 봐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4단계(S4)는, 수행된 상기 각 서브 시스템에 대한 자체 고장 진단의 결과는 교관측 제어부(400)로 전송되며, 교관측 제어부(400)에서는 해당 시스템의 전원 상태 및 통신 상태를 확인 가능하며, 선택된 장비의 적합 여부를 판단한다.
교관측 제어부(400)는 컴퓨터가 사용되고, 학생과 동시에 화면을 볼 수 있고, 학생의 조작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연동되어 진다.
상기 판단 결과는 교관측 제어부(400)의 화면 하단의 에러 수, 내용 및 팝업 창으로 시현될 수 있다.
5단계(S5)는 준비된 모의 훈련 장비를 사용하여 정비 과정을 실시하게 된다.
5단계(S5)는 VR화면(200)에 표출된 선택된 준비된 모의 훈련 장비를 지정하는 5-1과정(S5-1); 지정된 장비를 사용될 부품 위치에 드래그 하는 5-2과정(S5-2); 장비의 사용방식을 지정하는 5-3과정(S5-3);을 포함한다. ;
상기 5-3과정(S5-3)에 제시된 사용방식은 나사 조임, 나사 풀림, 압입, 타격 중 택일되는 것
6단계(S6)는, 상기 5단계(S5)에서 각 정비 과정 마다 필수적인 점검 사항을 선택하고, 각 점검 사항에 필요한 훈련 절차를 수행하며, 이러한 실행 과정에 대한 점수를 산정한다.
6단계(S6)의 점검 사항은 텐션, 꺽임, 결속, 연결 군으로 이루어진다.
6단계(S6)에서 각 점검 사항에 의해 데이터 값을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터값을 기반으로 가상현실 내에서 장비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동작이 시현되도록 한다.
이러한 장비 사용 동작의 시현은 조작 인식부(500)에서 인식하고, 알고리즘 연산부(600)에서 연산하게 된다.
알고리즘 연산부(600)는 공정모듈 연산부(620)와 제어모듈 연산부(640)를 포함한다.
7단계(S7)는 모의 정비 과정을 종료함과 아울러 상기 모의 훈련 결과를 점수 계산부(660)에서 계산하여 자동 평가한다.
교관 평가 및 훈련 결과 저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교관 평가 항목 입력 및 평가 등급 선택 영역과, 교관 의견 입력란 항목과, 수행한 훈련 항목 평가 저장 버튼이 필요하다.
완료한 훈련의 기본 정보 및 수행 결과가 출력되며, 교관은 교관측 제어부를 통해 교관 평가 항목 및 등급 입력, 교관 의견을 입력한다.
평가 완료 버튼을 누르면 교관측 제어부에 해당 결과가 저장된다.
8단계(S8)는 자동 평가된 평가 결과를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평가 결과를 출력부(700)를 통해 출력한다.
훈련 결과의 출력을 수행하기 위해, 훈련 결과 리뷰 화면 항목과, 훈련 결과 파일 열기 버튼과,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 리뷰 결과 출력 여부 선정 버튼과, 교육생의 훈련 결과 확인용버튼과, 저장된 훈련 결과 백업 버튼과, 훈련 결과를 오프라인 출력하는 버튼이 포함된다.
훈련 결과 리뷰 화면 항목을 통해 교육 수행 정보를 시현할 수 있으며, 교육생의 훈련 결과 확인용버튼을 통해 훈련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저장된 훈련 결과 파일을 열어 훈련 결과의 리뷰 및 출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저장된 훈련의 기본 정보 및 수행 결과를 확인하게 되고, 디스플레이 시스템과 연동하여 상기 저장된 훈련의 기본 정보 및 수행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훈련 수행 여부 확인 아이콘을 선택하면 교육생의 오조작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S1 : 1단계, S2 : 2단계
S3 : 3단계, S4 : 4단계
S5 : 5단계, S6 : 6단계
S7 : 7단계, S8 : 8단계
200 : VR화면 230 ; VR 장비
250 : 장갑, 400 : 교관측 제어부
500 : 조작 인식부, 60 : 알고리즘 연산부
620 : 공정모듈 연산부, 640 : 제어모듈 연산부

Claims (7)

  1. 항공기 정비 교육 프로그램을 구동시킨 후 VR화면(200)에서 훈련 모드를 선택하는 1단계;
    상기 항공기 정비 교육의 훈련 항목을 선정하는 2단계;
    모의 훈련용 정비에 사용될 수 있는 다수개의 장비를 제시해주고, 해당 훈련 항목에 사용될 수 있는 장비를 선택하는 3단계;
    상기 3단계에서 선택한 장비가 모의 훈련 항목에 적합한지를 판단하여 채점하는 4단계;
    준비된 모의 훈련 장비를 사용하여 정비 과정을 실시하는 5단계;
    상기 5단계에서 각 정비 과정 마다 필수적인 점검 사항을 선택하고, 각 점검 사항에 필요한 훈련 절차를 수행하며, 이러한 실행 과정에 대한 점수를 산정하는 6단계;
    모의 정비 과정을 종료 후 모의 훈련 결과를 자동 평가하는 7단계;
    자동 평가된 평가 결과를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평가 결과를 출력하는 8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기반 항공정비 훈련용 시스템을 활용한 훈련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4단계는
    수행된 상기 각 서브 시스템에 대한 자체 고장 진단의 결과는 교관측 제어부로 전송되며,
    상기 교관측 제어부에서는 해당 시스템의 전원 상태 및 통신 상태를 확인 가능하며,
    선택된 장비의 적합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기반 항공정비 훈련용 시스템을 활용한 훈련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에서 훈련 모드는 연습 모드 및 평가 모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1단계는 VR 장비를 안면에 장착하고, VR화면 상에 표출된 가상 화면을 손으로 터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기반 항공정비 훈련용 시스템을 활용한 훈련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5단계는
    VR화면(200)에 표출된 선택된 준비된 모의 훈련 장비를 지정하는 5-1과정;
    지정된 장비를 사용될 부품 위치에 드래그 하는 5-2과정;
    장비의 사용방식을 지정하는 5-3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기반 항공정비 훈련용 시스템을 활용한 훈련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5-3과정에 제시된 사용방식은 나사 조임, 나사 풀림, 압입, 타격 중 택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기반 항공정비 훈련용 시스템을 활용한 훈련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6단계의 점검 사항은 텐션, 꺽임, 결속, 연결 군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기반 항공정비 훈련용 시스템을 활용한 훈련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6단계에서 각 점검 사항에 의해 데이터 값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데이터값을 기반으로 가상현실 내에서 장비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동작이 시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기반 항공정비 훈련용 시스템을 활용한 훈련 방법.

KR1020200138307A 2020-10-23 2020-10-23 가상현실기반 항공정비 훈련용 시스템을 활용한 훈련 방법 KR202200539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307A KR20220053939A (ko) 2020-10-23 2020-10-23 가상현실기반 항공정비 훈련용 시스템을 활용한 훈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307A KR20220053939A (ko) 2020-10-23 2020-10-23 가상현실기반 항공정비 훈련용 시스템을 활용한 훈련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939A true KR20220053939A (ko) 2022-05-02

Family

ID=81593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8307A KR20220053939A (ko) 2020-10-23 2020-10-23 가상현실기반 항공정비 훈련용 시스템을 활용한 훈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393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0169B1 (ko) 2022-10-25 2023-04-10 주식회사 성준항공 항공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항공 정비사의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0169B1 (ko) 2022-10-25 2023-04-10 주식회사 성준항공 항공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항공 정비사의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rruth Virtual reality for education and workforce training
Gao et al. The effectiveness of traditional tools and computer-aided technologies for health and safety training in the construction sector: A systematic review
Stegemann et al. Fundamental skills of robotic surgery: a multi-institution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for validation of a simulation-based curriculum
Borsci et al. Effectiveness of a multidevice 3D virtual environment application to train car service maintenance procedures
Barot et al. V3S: A virtual environment for risk-management training based on human-activity models
US7927105B2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nd delivering prescriptive learning
Rey-Becerra et al. The effectiveness of virtual safety training in work at heights: A literature review
CN106297504A (zh) 工程装备电控仿真教学考核训练系统
CN110827605A (zh) 一种基于虚拟现实的培训方法和装置
Gürer et al. MINING-VIRTUAL: A comprehensive virtual reality-based serious game for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training in underground mines
KR20220053939A (ko) 가상현실기반 항공정비 훈련용 시스템을 활용한 훈련 방법
Balog et al. Developing a measurement scale for the evaluation of AR-based educational systems
Prokhorov et al. SCADA Systems and Augmented Reality as Technologies for Interactive and Distance Learning.
Grandi et al. A training methodology based on virtual reality to promote the learning-by-doing approach
Juhana et al. Basic electrical installation trainer boards: Virtual reality based laboratory for electrical basic education
Hoang et al. An evaluation of virtual reality maintenance training for industrial hydraulic machines
Chou et al. An educational tool for visualizing students' program tracing processes
Heibel et al. Virtual reality in welding training and education: A literature review
Washburn et al. Using multimodal technologies to enhance aviation maintenance inspection training
CHAKRABORTY et al. A virtual-reality-based model for task-training of equipment operators in the mining industry
Daghestani et al. The design,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virtual reality learning environment for numeracy concepts using 3D virtual manipulatives
Zougari et al. Validity of a graph-based automatic assessment system for programming assignments: human versus automatic grading
Lozada-Yánez et al. Azure-Kinect and Augmented Reality for learning Basic Mathematics-A Case Study
Muradilloyevich Use of computer modeling in the process of teaching the general professional and special disciplines in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Weaver et al. Learning about control systems by model building-A biological case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