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3010B1 - 동관 자동 확관 및 벤딩장치 - Google Patents

동관 자동 확관 및 벤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3010B1
KR102403010B1 KR1020210050046A KR20210050046A KR102403010B1 KR 102403010 B1 KR102403010 B1 KR 102403010B1 KR 1020210050046 A KR1020210050046 A KR 1020210050046A KR 20210050046 A KR20210050046 A KR 20210050046A KR 102403010 B1 KR102403010 B1 KR 102403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per tube
bending
expansion
copp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0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재휘
Original Assignee
태성전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성전기(주) filed Critical 태성전기(주)
Priority to KR1020210050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30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3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3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1/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alter the diameter of tube ends
    • B21D41/02Enlarging
    • B21D41/026Enlarging by means of mand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3Positio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02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over a stationary forming member; by use of a swinging forming member or abutment
    • B21D7/024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over a stationary forming member; by use of a swinging forming member or abutment by a swinging forming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관을 자동으로 확관과 함께 벤딩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관 자동 확관 및 벤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정 형태로 이루어져 바닥에 놓여지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동관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동관 공급부와, 상기 동관 공급부의 정면에 설치되어 동관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동관을 이동시키는 가이드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가이드부를 통해 이동되는 동관을 잡아주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지지부에서 지지된 동관을 확관 성형하는 확관성형부와, 상기 지지부와 가이드부 사이에 설치되어 동관을 벤딩하는 벤딩부와, 상기 확관 및 벤딩 성형된 동관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동관 자동 확관 및 벤딩장치{AUTOMATIC EXPANSION AND BENDING APPARATUS FOR COPPER PIPE}
본 발명은 동관 자동 확관 및 벤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관을 자동으로 확관과 함께 벤딩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관 자동 확관 및 벤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파이프는 기체 또는 액체 등과 같은 유체나 분체(粉體)의 수송에 사용되며, 생활용 시설 또는 공업용 시설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파이프는 방향을 변경하거나, 설치되는 장소의 제약 등으로 인하여 다양한 각도로 벤딩되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파이프 벤딩장치는 원하는 곡률을 가진 회전금형의 곡률의 시작점 위치에 파이프의 일단을 고정시킨 후, 롤러가 회전금형의 외면에 파이프를 밀착시키면서 회전금형의 주면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회전금형의 곡률과 같은 곡률로 파이프를 벤딩하게 된다.
이러한 벤딩장치는 회전금형의 외주면의 곡률을 따라 파이프가 소성 변형되는 과정에서 파이프의 단면이 변형(직경이 왜곡)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면의 변화는 파이프를 흐르는 유체의 저항을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83170호(이하, '특허문헌 1' 이라 함)에는 롤러 파이프 벤딩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83206호(이하, '특허문헌 2' 라 함)에는 자동 벤딩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89932호(이하, '특허문헌 3' 이라 함)의 봉강재의 벤딩장치는 설치대에 구동모터의 구동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외주연을 따라 V형, 또는 반원형의 가로홈이 형성된 회전롤러와, 상기 회전롤러에 의해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푸셔롤러를 구비한다.
이러한 종래의 벤딩장치는 파이프가 안착되는 회전롤러의 가로홈이 회전롤러의 회전중심에 대해 소정의 반경을 갖는 원형으로 형성되므로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다른 곡률로 파이프를 벤딩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또한, 파이프를 벤딩하고 축관하기 위해서는 벤딩장치를 통해 벤딩하고 확관장치로 파이프를 확관 성형하게 되어 벤딩장치와 확관장치를 각각 구비해야 함으로 설비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8317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8320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89932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동관을 자동으로 공급하면서 확관과 함께 벤딩 작업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 및 설비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동관 자동 확관 및 벤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관 자동 확관 및 벤딩장치는 일정 형태로 이루어져 바닥에 놓여지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동관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동관 공급부와, 상기 동관 공급부의 정면에 설치되어 동관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동관을 이동시키는 가이드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가이드부를 통해 이동되는 동관을 잡아주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지지부에서 지지된 동관을 확관 성형하는 확관성형부와, 상기 지지부와 가이드부 사이에 설치되어 동관을 벤딩하는 벤딩부와, 상기 확관 및 벤딩 성형된 동관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관 공급부는 프레임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동관을 내장시켜 공급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정면에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호퍼에서 공급되는 동관을 가이드부로 떨어트리는 연결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동관 공급부의 정면에 연결대와 연계되어 연결대로 떨어지는 동관이 놓여질 수 있도록 상부에 요홈이 형성된 안착대와, 상기 안착대의 측면에 요홈 안쪽으로 끼워져 안착대에 안착되는 동관을 지지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를 연결시켜 실린더의 작동으로 가이드바를 가이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프레임부의 상부에 공간을 두고 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측 한쪽 면에 고정되는 고정척과, 상기 몸체의 내측 다른쪽 면에 고정척과 마주보게 구비되어 실린더의 작동으로 고정척 방향으로 이동되어 이동되는 동관을 고정척과 함께 파지할 수 있는 파지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관성형부는 프레임부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연결되어 실린더의 작동으로 이동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좌우를 관통하여 연결되어 동관의 확관을 위한 확관핀이 끼워져 고정되는 스핀들과, 상기 스핀들의 후면에 구비되어 확관핀이 동관을 확관시키기 위해 스핀들을 밀어주는 작동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핀들은 동관의 확관 형태를 다변화하기 위해 다른 형태의 확관핀이 끼워지도록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벤딩부는 프레임부의 상부 바닥에 고정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상부에 구비되어 지지부에 지지되는 동관이 벤딩될 수 있도록 하는 벤딩보조부재와, 상기 벤딩보조부재의 외부에 연결되어 실린더의 작동으로 회전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끝단 상부에 연결되어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이동되면서 동관을 벤딩시키는 벤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벤딩보조부재는 원형의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벤딩부재는 원형의 판 형태로 형성되되 외측면 둘레에는 동관을 곡률되게 벤딩시킬 수 있도록 라운딩되게 벤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관 자동 확관 및 벤딩장치에 의하면, 동관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동관을 지지부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확관성형부의 확관핀에 의해 동관의 한쪽을 확관시키고 벤딩부로 굴곡지게 자동 벤딩함으로써 하나의 장치로 동관의 확관과 벤딩을 함께 수행하게 되어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작업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관 자동 확관 및 벤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관 자동 확관 및 벤딩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관 자동 확관 및 벤딩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관 자동 확관 및 벤딩장치의 지지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동관 자동 확관 및 벤딩장치의 확관성형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동관 자동 확관 및 벤딩장치의 확관성형부의 다른 형태의 확관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동관 자동 확관 및 벤딩장치의 벤딩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동관 자동 확관 및 벤딩장치의 벤딩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이란 표현은 전후에 나열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연결되는/결합되는'이란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
실시 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측(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관 자동 확관 및 벤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관 자동 확관 및 벤딩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관 자동 확관 및 벤딩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관 자동 확관 및 벤딩장치의 지지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동관 자동 확관 및 벤딩장치의 확관성형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동관 자동 확관 및 벤딩장치의 확관성형부의 다른 형태의 확관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동관 자동 확관 및 벤딩장치의 벤딩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동관 자동 확관 및 벤딩장치의 벤딩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관 자동 확관 및 벤딩장치는 프레임부(100)와, 동관 공급부(200)와, 가이드부(300)와, 지지부(400)와, 확관성형부(500)와, 벤딩부(600)와, 배출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100)는 사각의 판 형태로 이루어져 바닥에 놓여질 수 있다.
상기 동관 공급부(200)는 프레임부(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동관(10)을 수납하고 가이드부(300)로 한 개씩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동관 공급부(200)는 프레임부(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동관(10)을 내장시켜 한 개씩 공급하는 호퍼(210)와, 상기 호퍼(210)의 정면에 구비되어 호퍼(210)에서 공급되는 동관(10)을 가이드부(300)로 떨어트리는 연결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대(220)는 호퍼(210)로부터 동관(10)이 가이드부(300)로 원활하게 떨어질 수 있도록 호퍼(210)의 정면에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300)는 동관 공급부(200)의 정면에 설치되어 동관 공급부(200)에서 공급되는 동관(10)을 밀어서 지지부(400)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300)는 안착대(310)와, 가이드바(320)와, 이동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대(310)는 동관 공급부(200)의 정면에 연결대(220)의 끝단면과 연계되어 연결대(220)를 통해 떨어지는 동관(10)이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대(310)의 상부에는 연결대(220)를 통해 떨어지는 동관(10)이 외부로 빠지지 않고 안착대(310)에 원활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요홈(3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320)는 안착대(310)의 측면에 요홈(311) 안쪽으로 끼워져 요홈(311)에 안착되는 동관(10)을 지지부(400)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대(330)는 가이드바(320)를 연결시키고 실린더(C)와 연결되어 실린더(C)의 작동으로 가이드바(320)를 좌,우로 가이드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부(400)는 프레임부(100)의 상부에 설치되고 가이드부(300)를 통해 요홈(311)에서 이동되는 동관(10)을 잡아줄 수 있다.
상기 지지부(400)는 몸체(410)와, 고정척(420)과, 파지척(4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410)는 프레임부(100)의 상부에 고정되되 양쪽에 내부로 일정 공간을 두고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척(420)은 몸체(410)의 내측 한쪽 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파지척(430)은 몸체(410)의 내측 다른쪽 면에 고정척(420)과 마주보게 구비되고 실린더(C)와 연결되어 실린더(C)의 작동으로 고정척(420) 방향으로 이동되어 가이드부(300)를 통해 이동되는 동관(10)을 고정척(420)과 함께 파지할 수 있다.
상기 확관성형부(500)는 지지부(4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지지부(400)에 의해 지지되는 동관(10)을 확관 성형할 수 있다.
상기 확관성형부(500)는 가이드레일(510)과, 하우징(520)과, 스핀들(530)과, 작동로드(5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510)은 프레임부(100)의 상부 바닥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20)은 가이드레일(510)에 연결되고 실린더(C)와 연결되어 실린더(C)의 작동으로 가이드레일(510)을 따라 앞,뒤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스핀들(530)은 하우징(520)의 좌,우를 관통하여 연결되고 동관(10)의 확관을 위한 확관핀(531)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핀들(530)은 동관(10)을 확관시키면서 확관 형태를 다양화하기 위해 다른 형태의 확관핀(531)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하우징(520)의 전,후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작동로드(540)는 스핀들(530)의 후면에 구비되고 실린더(C)와 연결되어 실린더(C)의 작동에 따라 확관핀(531)이 동관(10)을 확관시킬 수 있도록 스핀들(530)을 동관(10) 쪽으로 밀어줄 수 있다.
즉, 상기 실린더(C)의 작동으로 작동로드(540)가 작동되면서 한 쪽의 스핀들(530)을 밀어주어 확관핀(531)이 동관(10)을 확관시킨 다음 상기 하우징(520)이 실린더(C)의 작동으로 가이드레일(510)을 따라 이동되면 다른 쪽의 스핀들(531)을 작동로드(540)가 밀어주어 다른 형태의 확관핀(531)이 동관(10)의 확관 형태를 가변시킬 수 있다.
상기 벤딩부(600)는 지지부(400)와 가이드부(300) 사이에 구비되어 동관(10)을 곡률 형태로 벤딩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벤딩부(600)는 바닥판(610)과, 벤딩보조부재(620)와, 회전부재(630)와, 벤딩부재(6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판(610)은 프레임부(100)의 바닥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벤딩보조부재(620)는 바닥판(6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지지부(400)에 지지되는 동관(10)의 일부가 곡률되게 벤딩될 수 있도록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벤딩보조부재(620)는 원형의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630)는 벤딩보조부재(640)의 외부에 구비되어 실린더(도시하지 않음)의 작동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벤딩부재(640)는 회전부재(630)의 끝단 상부에 연결되어 회전부재(630)의 회전에 따라 이동되면서 동관(10)을 곡률 형태로 벤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벤딩부재(640)는 원형의 판 형태로 형성되며, 외측면 둘레에 동관(10)을 곡률 형태로 벤딩시킬 수 있도록 라운딩되게 벤딩홈(64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안착대(310)의 요홈(311)에 안착되는 동관(10)을 가이드바(320)가 밀어줄 때 벤딩보조부재(620)와 벤딩부재(640) 사이로 동관(10)이 지나가면서 상기 고정척(420)과 파지척(430) 사이에 동관(10)이 고정되어 확관성형부(500)를 통해 동관(10)을 확관 성형함과 함께 벤딩보조부재(620)와 벤딩부재(640) 사이에 동관(10)이 위치됨으로써 상기 회전부재(630)의 회전에 따라 벤딩부재(640)가 벤딩보조부재(620)의 외곽 방향으로 회전되어 동관(10)을 곡률되게 벤딩할 수 있다.
상기 배출부(700)는 지지부(400)와 벤딩부(600) 사이의 프레임부(100) 상부에 구비되어 확관 및 벤딩 성형된 동관(10)을 잡아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부(700)는 프레임부(100)의 상부에 레일 형태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확관 및 벤딩 성형된 동관(10)을 집게 방식으로 잡아서 전방으로 이동되어 배출통(도시하지 않음)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장치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동관 자동 확관 및 벤딩장치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상기 호퍼(210)에 내장되는 동관(10)이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연결대(220)로 한 개씩 떨어져 안착대(310)의 요홈(311)에 안착되면 상기 실린더(C)의 작동으로 이동대(330)가 이동되어 상기 이동대(330)에 연결되는 가이드바(320)가 동관(10)을 벤딩보조부재(620)와 벤딩부재(640) 사이를 통과하여 지지부(400) 방향으로 밀어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척(420)과 파지척(430) 사이로 동관(10)이 진입하면 상기 실린더(C)의 작동으로 파지척(430)이 고정척(420)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동관(10)이 고정척(420)과 파지척(430) 사이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400)에 동관(10)이 고정될 때 상기 동관(10)의 일부분은 벤딩보조부재(620)와 벤딩부재(64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지지부(400)를 통해 동관(10)이 고정되면 상기 스핀들(530)의 후면에 위치되어 있는 작동로드(540)가 전진하면서 상기 스핀들(530)을 밀어주어 상기 확관핀(531)에 의해 동관(10)이 확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로드(540)의 전진으로 한 쪽의 스핀들(530)에 의해 동관(10)이 확관되면 상기 실린더(C)의 작동으로 하우징(520)이 이동되고 상기 작동로드(540)의 전면에 다른 스핀들(530)이 위치됨과 함께 상기 작동로드(540)의 작동으로 스핀들(531)이 전진하여 확관핀(531)에 의해 동관(10)이 확관 형태를 변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하우징(520)에 스핀들(530)을 다른 형태의 확관핀(531)이 끼워지도록 복수개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하우징(520)의 이동으로 작동로드(540)가 복수개의 스핀들(530)을 번갈아가면서 전진시켜 동관(10)이 확관됨과 함께 모양을 변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확관성형부(500)에 의해 동관(10)이 확관될 때 상기 실린더의 작동으로 회전부재(630)가 벤딩보조부재(620)의 외부로 회전되며, 상기 회전부재(630)의 회전에 따라 벤딩부재(640)가 벤딩보조부재(620)의 외곽 둘레를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벤딩보조부재(620)와 벤딩부재(640) 사이에 위치되는 동관(10)을 굴곡되게 벤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관(10)을 벤딩시킨 벤딩부재(640)는 회전부재(630)의 회전으로 원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벤딩보조부재(620)와 벤딩부재(640) 사이로 성형하고자 하는 동관(10)이 다시 지나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동관 공급부(200)를 통해 공급되는 동관(10)이 가이드바(320)에 의해 벤딩부(600)와 지지부(400)로 이동되어 고정척(420)과 파지척(430)으로 고정되면 상기 확관성형부(500)의 작동에 따라 동관(10)의 끝단이 확관 성형됨과 함께 상기 벤딩부(600)의 작동에 따라 굴곡 형태로 벤딩하여 배출시키는 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동관 확관기와 벤딩기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없어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하나의 장치로 동관의 확관과 벤딩을 함께 수행하여 작업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동관 100 : 프레임부
200 : 동관 공급부 210 : 호퍼
220 : 연결대 300 : 가이드부
310 : 안착대 311 : 요홈
320 : 가이드바 330 : 이동대
400 : 지지부 410 : 몸체
420 : 고정척 430 : 파지척
500 : 확관성형부 510 : 가이드레일
520 : 하우징 530 : 스핀들
531 : 확관핀 540 : 작동로드
600 : 벤딩부 610 : 바닥판
620 : 벤딩보조부재 630 : 회전부재
640 : 벤딩부재 641 : 벤딩홈
700 : 배출부 C : 실린더

Claims (9)

  1. 일정 형태로 이루어져 바닥에 놓여지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동관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동관 공급부;
    상기 동관 공급부의 정면에 설치되어 동관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동관을 이동시키는 가이드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가이드부를 통해 이동되는 동관을 잡아주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지지부에서 지지된 동관을 확관 성형하는 확관성형부;
    상기 지지부와 가이드부 사이에 설치되어 동관을 벤딩하는 벤딩부; 및
    상기 확관 및 벤딩 성형된 동관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공간을 두고 고정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측 한쪽 면에 고정되는 고정척; 및
    상기 몸체의 내측 다른쪽 면에 고정척과 마주보게 구비되어 실린더의 작동으로 고정척 방향으로 이동되어 이동되는 동관을 고정척과 함께 파지할 수 있는 파지척;을 포함하는 동관 자동 확관 및 벤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관 공급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동관을 내장시켜 공급하는 호퍼; 및
    상기 호퍼의 정면에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호퍼에서 공급되는 동관을 가이드부로 떨어트리는 연결대;를 포함하는 동관 자동 확관 및 벤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동관 공급부의 정면에 연결대와 연계되어 연결대로 떨어지는 동관이 놓여질 수 있도록 상부에 요홈이 형성된 안착대;
    상기 안착대의 측면에 요홈 안쪽으로 끼워져 안착대에 안착되는 동관을 지지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바; 및
    상기 가이드바를 연결시켜 실린더의 작동으로 가이드바를 가이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대;를 포함하는 동관 자동 확관 및 벤딩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관성형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에 연결되어 실린더의 작동으로 이동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좌우를 관통하여 연결되어 동관의 확관을 위한 확관핀이 끼워져 고정되는 스핀들; 및
    상기 스핀들의 후면에 구비되어 확관핀이 동관을 확관시키기 위해 스핀들을 밀어주는 작동로드;를 포함하는 동관 자동 확관 및 벤딩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은, 동관의 확관 형태를 다변화하기 위해 다른 형태의 확관핀이 끼워지도록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관 자동 확관 및 벤딩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 바닥에 고정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상부에 구비되어 지지부에 지지되는 동관이 벤딩될 수 있도록 하는 벤딩보조부재;
    상기 벤딩보조부재의 외부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의 끝단 상부에 연결되어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이동되면서 동관을 벤딩시키는 벤딩부재;를 포함하는 동관 자동 확관 및 벤딩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보조부재는, 원형의 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관 자동 확관 및 벤딩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부재는, 원형의 판 형태로 형성되되 외측면 둘레에는 동관을 곡률되게 벤딩시킬 수 있도록 라운딩되게 벤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관 자동 확관 및 벤딩장치.
KR1020210050046A 2021-04-16 2021-04-16 동관 자동 확관 및 벤딩장치 KR102403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046A KR102403010B1 (ko) 2021-04-16 2021-04-16 동관 자동 확관 및 벤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046A KR102403010B1 (ko) 2021-04-16 2021-04-16 동관 자동 확관 및 벤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3010B1 true KR102403010B1 (ko) 2022-05-30

Family

ID=81800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0046A KR102403010B1 (ko) 2021-04-16 2021-04-16 동관 자동 확관 및 벤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301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2971B1 (ko) * 1992-09-15 2001-06-15 개리에이.웨브 관형 프레임 부재를 성형 및 유압 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489932B1 (ko) 2003-01-22 2005-05-17 로크산업 주식회사 봉강재의 벤딩장치
KR100583206B1 (ko) 2004-08-23 2006-05-25 (주)파비스 자동 벤딩장치
KR100683170B1 (ko) 2005-06-10 2007-02-15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롤러 파이프 벤딩장치
KR20090038046A (ko) * 2007-10-15 2009-04-20 황용태 밴딩 기능이 부착된 파이프 성형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2971B1 (ko) * 1992-09-15 2001-06-15 개리에이.웨브 관형 프레임 부재를 성형 및 유압 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489932B1 (ko) 2003-01-22 2005-05-17 로크산업 주식회사 봉강재의 벤딩장치
KR100583206B1 (ko) 2004-08-23 2006-05-25 (주)파비스 자동 벤딩장치
KR100683170B1 (ko) 2005-06-10 2007-02-15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롤러 파이프 벤딩장치
KR20090038046A (ko) * 2007-10-15 2009-04-20 황용태 밴딩 기능이 부착된 파이프 성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2807B1 (ko) 회전식 기판처리 장치의 처리액 공급장치
US6920678B2 (en) Machining cell in automatic machining system and automatic honing system
EP3061542A2 (en) Forging machine with robotic handler
KR101124443B1 (ko) Cnc선반용 소재 자동공급 및 배출장치
CN106077338A (zh) 一种全自动双辊折弯系统
KR102403010B1 (ko) 동관 자동 확관 및 벤딩장치
KR101069763B1 (ko) 자동차용 파이프의 벤딩 장치
WO2015083310A1 (ja) 加工ユニットおよび加工装置
CN108637055B (zh) 一种汽车弯管成型机构、弯折方法
KR101471371B1 (ko) 플레이트 벤딩 장치
JP2005342764A (ja) バーリング加工装置
KR102338090B1 (ko) 동파이프 연결관 자동 벤딩장치
JPH08294832A (ja) カムシャフト組立機
JP6215884B2 (ja) 加工ユニットおよび加工装置
JP5894137B2 (ja) 加工装置
JPH1058049A (ja) フィン付き蛇行チューブの多段重ね曲げ加工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1640538B1 (ko) 엘보의 제조 장치
KR101324753B1 (ko) 파이프의 확관 및 진원진직 방법
KR20060071589A (ko) 알루미늄 튜브 자동 인발의 이송트레이장치
JP6492530B2 (ja) 搬送装置
KR20220039453A (ko) 동파이프 축관 자동 스웨징 장치
KR200168855Y1 (ko) 코일 끝단의 위치조정장치
KR101648174B1 (ko) 헬릭스 파이프 벤딩장치
JP3665019B2 (ja) ギヤ噛み合い検査装置
JP5511054B2 (ja) スパイラル造管時の連続走行切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