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2951B1 - 위생재용 다층 스펀본드 부직포 - Google Patents

위생재용 다층 스펀본드 부직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2951B1
KR102402951B1 KR1020200110728A KR20200110728A KR102402951B1 KR 102402951 B1 KR102402951 B1 KR 102402951B1 KR 1020200110728 A KR1020200110728 A KR 1020200110728A KR 20200110728 A KR20200110728 A KR 20200110728A KR 102402951 B1 KR102402951 B1 KR 102402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resin
layer
sheath
melt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8984A (ko
Inventor
주원철
이원열
윤도경
정진일
박서진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0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2951B1/ko
Priority to CN202110973788.4A priority patent/CN114103341A/zh
Priority to JP2021139958A priority patent/JP2022041976A/ja
Publication of KR20220028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2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2951B1/ko
Priority to JP2023185066A priority patent/JP2024012414A/ja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yarns or filaments produced by welding
    • D04H3/147Composite yarns or fil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the fibres or filaments of a layer being of different substances, e.g. conjugate fibres, mixture of different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 D04H3/007Addition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 D04H3/05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in another pattern, e.g. zig-zag, sinusoid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0All layers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53Polyolefin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5/00Personal ca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5/00Personal care
    • B32B2555/02Diapers or napki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 D10B2509/0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D10B2509/026Absorbent pads; Tampons; Laundry; Tow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초형 복합섬유를 포함하는 제1 부직포층; 및 제2 부직포층;을 포함하는 다층 스펀본드 부직포에 관한 것으로, 강도가 우수하여 늘어남 없이 절단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부드러운 촉감을 가져 위생용품으로의 적용에 적합한 다층 스펀본드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위생재용 다층 스펀본드 부직포{MULTILAYER SPUN-BONDED FABRIC FOR SANITARY MATERIAL}
본 발명은 위생재용 다층 스펀본드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열풍이나 가열 롤 등의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열 융착에 의한 성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는 복합 섬유는 벌크성(bulkiness)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으므로, 기저귀, 냅킨, 생리대 등의 위생재 원료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우레탄계 등 다양한 수지가 이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 폴리에틸렌을 방사하여 제조한 부직포는 낮은 융점으로 인하여 촉감이 양호하고 유연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690837 호에는, 폴리에틸렌을 사용하여 장섬유 스펀본드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장섬유 스펀본드는 방사시 균일한 방사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낮은 강도로 인하여 절단시 늘어나 버리는 문제가 있어서 위생재 등에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한 문제가 있었다.
한편,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는 상기 폴리에틸렌을 방사하여 제조한 부직포와 비교했을 때 강도가 높은 장점이 있으나, 마찰 등으로 인하여 부직포 표면에 보풀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690837 호 (등록일: 2016.12.22.)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폴리프로필렌을 심부로 하고, 폴리에틸렌을 초부로 하는 심초형 복합섬유를 포함하는 제1 부직포층; 및 제2부직포층;을 포함하여 다층 스펀본드를 제조함으로써, 촉감이 부드러우면서도 원하는 크기로의 절단이 용이한 위생재용 다층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위생재용 다층 스펀본드 부직포는 심초형 복합섬유를 포함하는 제1 부직포층; 및 상기 제1 부직포층의 적어도 한 면에 결합된 제2 부직포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써, 상기 심초형 복합섬유는 심부용 수지 및 초부용 수지를 각각 방사한 방사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써, 상기 심부용 수지는 ASTM D1238 방법에 의거하여 측정된 용융흐름지수(MI)가 10 ~ 40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써, 상기 초부용 수지는 ASTM D1238 방법에 의거하여 측정된 용융흐름지수(MI)가 10 ~ 50인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써, 상기 심부용 수지 및 초부용 수지는 ASTM D1238 방법에 의거하여 측정된 용융흐름지수(MI)의 차가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관계식 1]
Figure 112020092097823-pat00001
상기 관계식 1에서 MI는 심부용 수지의 용융 흐름지수를 의미하고, MI'는 초부용 수지의 용융 흐름지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써, 상기 심초형 복합섬유는 심부 및 초부의 중량비가 1 : 0.25 ~ 1 : 4.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써, 상기 제2 부직포층은 폴리에틸렌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써, 상기 폴리에틸렌 섬유는 ASTM D1238 방법에 의거하여 측정된 용융흐름지수(MI)가 10 ~ 50인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써, 상기 폴리에틸렌 섬유는 평균 섬유 직경이 10 ~ 30μ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써, 상기 제1 부직포층 및 제2 부직포층의 평량비는 1 : 0.25 ~ 1 : 0.8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써, 다층 스펀본드 부직포는 평량이 10 ~ 100g/m2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써, 다층 스펀본드 부직포는 적어도 한 면의 단위면적 당 10 ~ 35 부피%의 엠보싱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원하는 크기로의 절단이 용이하고, 보풀 발생이 적으며 촉감 또한 부드러워 기저귀, 생리대 등의 위생재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층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위생재용 다층 스펀본드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는 제1 부직포층 및 제2 부직포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부직포층의 적어도 한 면에 제2 부직포층을 적층한 다층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부직포층 및 제2 부직포층은 각각 스펀본드 부직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2 부직포층은 제1 부직포층의 적어도 한 면에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한 면 또는 양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부직포층은 심초형 복합섬유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심초형 복합섬유는 심부용 수지를 심부로, 초부용 수지를 초부로 각각 방사한 방사물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심부는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초부는 폴리에틸렌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심초형 복합섬유는 심부 및 초부의 중량비가 1 : 0.25 ~ 1 : 4.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 : 0. 50 ~ 1 : 2.0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0.70 ~ 1 : 1.5일 수 있다. 만일 초부가 0.25 중량비 미만일 경우 초부의 폴리에틸렌이 심부의 면적을 충분하게 덮지 못하여 제2 부직포층과의 접착력이 낮아지고, 그 결과, 다층 스펀본드 부직포에서 제1 부직포층과 제2 부직포층이 큰 힘을 가하지 않아도 쉽게 박리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4.0 중량비를 초과할 경우 다층 스펀본드 부직포의 전체 강도가 폴리에틸렌 단일 부직포에 비해 낮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심부용 수지및 초부용 수지는 ASTM D1238 방법에 의거하여 측정된 용융흐름지수(MI)의 차가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융흐름지수(MI)의 차가 5 ~ 25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 ~ 20일 수 있다. 만일 상기 용융흐름지수의 차가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의 MD(Machine direction) 인장강도 및 CD(Cross direction) 인장강도가 저하되거나 인장강도 향상의 정도가 미미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관계식 1]
Figure 112020092097823-pat00002
상기 관계식 1에서 심부 MI는 심부용 수지의 용융흐름지수를 의미하고, 초부 MI는 초부용 수지의 용융흐름지수를 의미한다.
상기 심부용 수지 및 초부용 수지의 용융흐름지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상기 심부용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ASTM D1238 방법에 의거하여 측정된 용융흐름지수(MI)가 10 ~ 4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5 ~ 40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40일 수 있다. 만일 용융흐름지수가 10 미만일 경우, 과도한 압력 발생 외에도 고분자량의 특성으로 인해 섬유가 뻣뻣해져 다층 스펀본드 부직포의 부드러운 촉감을 해칠 수 있고, 40을 초과할 경우, 인장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초부용 수지는 폴리에틸렌 수지일 수 있고,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는 ASTM D1238 방법에 의거하여 측정된 용융흐름지수(MI)가 10 ~ 5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 40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30일 수 있다. 만일 상기 용융흐름지수가 10 미만일 경우 높은 점도로 인해 압출기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져 방사성이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50을 초과할 경우 저점도로 인하여 안정적인 방사가 어려우며 연신 냉각시 섬유가 쉽게 끊어져 인장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심초형 복합섬유는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심부로 포함함으로써 폴리에틸렌 섬유에 비해 강도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어 부직포의 절단 공정시 부직포가 늘어나지 않아 이형율이 우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심초형 복합섬유는 폴리에틸렌 섬유를 초부로 포함함으로써, 상기 복합섬유를 포함하여 제조된 부직포는 다른 기재와의 접합력이 향상되고, 부드러운 촉감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부직포층은 폴리에틸렌 수지를 방사하여 제조된 폴리에틸렌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 섬유의 평균 직경은 10 ~ 3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 20㎛ 일 수 있다. 만일 섬유의 직경이 10㎛ 미만일 경우, 부직포 자체의 강도가 크게 감소하며, 안정적인 방사가 힘들고, 원하는 부직포 모양을 얻기 어려운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만일 섬유의 직경이 30㎛를 초과하는 경우, 부직포의 웹 형성이 엉성하게 되어 20~30%의 강도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는 ASTM D1238 법에 의거하여 측정된 용융흐름지수(MI)가 10 ~ 5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 45일 수 있다. 만일 용융흐름지수가 10 미만일 경우, 높은 점도로 인해 압출기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50을 초과할 경우, 저점도로 인하여 안정적인 방사가 어려우며, 연신 냉각시 섬유가 쉽게 끊어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는 상기 제1 부직포층 및 제2 부직포층을 1 : 0.25 ~ 1 : 0.80의 평량비로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 : 0.30 ~ 1 : 0.50일 수 있다. 만일 제2 부직포층이 0.80 평량비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다층 스펀본드 부직포에 포함되는 연질, 저강도의 폴리에틸렌 섬유의 양이 증가하여, 보풀이 쉽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제2 부직포층이 0.25 평량비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고강도인 폴리프로필렌섬유의 양이 증가하여 부직포가 딱딱해져 위생재용 부직포에 적합하지 않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의 전체 평량은 10 ~ 100g/m2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5 ~ 95g/m2일 수 있다. 만일 전체 평량이 10g/m2 미만일 경우, 안정적인 방사가 힘들고, 목적하는 강도를 얻지 못할 수 있으며, 100g/m2을 초과할 경우, 제조 공정 중에 엠보스롤에 강한 부착이 생겨 생산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는 적어도 한 면의 단위면적 당 10 ~ 35 부피%의 엠보스 패턴을 가지고, 바람직하게는 15 ~ 30부피%의 엠보스 패턴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범위로 엠보스 패턴을 가질 경우, 위생재로의 이용이 용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는 MD(Machine direction) 인장강도가 10 ~ 100N/5cm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0 ~ 20.0N/5cm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 19.0N/5cm일 수 있다. 만일 상기 MD 인장강도가 10N/5cm 미만일 경우 낮은 강도로 인하여 부직포를 절단할 때 쉽게 늘어나 버리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100N/5cm를 초과하는 경우 부직포를 절단, 가공하는데 문제가 있어 위생재용으로 적합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는 CD(Cross direction) 인장강도가 5 ~ 80N/5cm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0 ~ 11.5N/5cm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11.5N/5cm일 수 있다. 만일 상기 CD 인장강도가 5N/5cm미만일 경우 낮은 강도로 인하여 부직포를 절단할 때 쉽게 늘어나 버려 위생재용으로의 이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80N/5cm를 초과하는 경우 부직포를 절단, 가공하는데 문제가 있어 위생재용으로 적합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MD 인장강도 및 CD 인장강도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부직포의 절단 고정에서 부직포가 늘어나 버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위생재로의 이용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는 하기 관계식 2에 의해 측정된 이형율이 1.00 ~ 1.10일 수 있다.
[관계식 2]
Figure 112020092097823-pat00003
상기 관계식 2에서 이형율은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를 폭×간격 5cm×10cm로 절단하여 시편을 제조하고, 상기 시편의 길이를 '절단 전 길이'로 하고, 상기 시편을 3등분으로 절단한 후 상기 3등분된 시편의 길이의 합을 '절단 후 길이의 합'으로 한다.
상술한 다층 스펀본드 부직포는 균일성이 양호하고, 폴리에틸렌 고유의 부드러운 감촉을 보이며, 사용시 폭이 수축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가지며, 마찰 등에 의한 보풀 발생이 억제되어 다양한 분야에 이용이 가능하다. 특히, 일회용 기저귀 및 생리대의 내·외부 커버, 사이드 개더 등 인체와 접촉하는 부분에 용이하게 사용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위생재용 다층 스펀본드 부직포 제조방법은 제1 방사조액 및 제2 방사조액을 각각 준비하는 1단계; 제1 부직포층 및 제2 부직포층을 각각 형성하는 2단계; 및 상기 제1 부직포층 및 제2 부직포층을 엠보싱 캘린더(embossing calendar) 공정을 통해 합지하여 다층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하는 3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1단계의 제1 방사조액은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고온의 압출기에 투입하여 용융된 것일 수 있고, 제2 방사조액은 폴리에틸렌 수지를 고온의 압출기에 투입하여 용융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방사조액 및 제2 방사조액은 각각 독립적으로 준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방사조액에 통상적으로 알려진 열 안정제, 광 안정제, 산화방지제, 대전 방지제, 슬립제, 안티 블로킹제, 윤활제, 염료, 안료 등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목적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로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2단계의 제1 부직포층은 상기 제1 방사조액을 심부로 방사하고, 상기 제2 방사조액을 초부로 방사하여 방사물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방사물을 냉각하는 단계; 상기 단계를 수행한 방사물을 연신 및 고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단계를 수행한 방사물을 연속적으로 구동되는 다공성의 스크린 벨트를 통해 제1 부직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와는 별개로, 상기 제2 부직포층은 상기 제1 부직포층과 각각 독립적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부직포층은 상기 제2 방사조액을 방사하여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2 방사조액을 방사하여 방사물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방사물을 냉각하는 단계; 상기 단계를 수행한 방사물을 연신 및 고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단계를 수행한 방사물을 연속적으로 구동되는 다공성의 스크린 벨트를 통해 제2 부직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3단계의 엠보싱 캘린더 공정은 80 ~ 160℃에서 수행되고, 바람직하게는 85 ~ 155℃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엠보싱 캘린더 공정은 3 롤(3 roll)로 구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중간에 평평한 롤(flat roll)이 위치될 수 있고, 나머지는 두 개의 롤은 서로 상이한 엠보싱률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3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된 다층 스펀본드 부직포는 권취 공정을 통해 롤 형태로 준비될 수 있고, 목적에 따라 적합한 폭으로 슬리팅(slitting)된 형태로 준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준비예1-1: 제1 부직포층의 제조
용융흐름지수(MI)가 25인 폴리프로필렌 수지(LG화학, MH7700S)를 포함하는 제1 방사조액 및 용융흐름지수(MI')가 17인 폴리에틸렌 수지(Dow, Aspun 6850A)를 포함하는 제2 방사조액을 각각 준비했다.
이때, 하기 관계식 1-1에 의해 계산된 상기 심부용 수지 및 초부용 수지의 용융흐름지수(MI)의 차는 8이다.
[관계식 1-1]
Figure 112020092097823-pat00004
상기 관계식 1-1에서 MI는 심부용 수지의 용융 흐름지수를 의미하고, MI'는 초부용 수지의 용융 흐름지수를 의미한다.
그리고, 독일 Reifenhauser 사의 스펀본드 제조 설비를 이용해 상기 제1 방사조액을 심부로 방사하고, 이와는 별개로 상기 제2 방사조액을 초부로 방사하여 방사물을 수득하였다.
그리고, 상기 방사물을 22℃ 하에서 냉각하였다.
그리고, 상기 단계를 수행한 방사물을 1:1.3의 연신비로 연신시킨 뒤, 고화시켜 심초형 복합섬유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심초형 복합섬유는 심부 및 초부를 1 : 1.00 중량비로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를 수행한 방사물을 다공성의 스크린 벨트를 통해 제1 부직포층(웹)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제1 부직포층의 평량은 15g/m2이다.
준비예 1-2 ~ 준비예 1-12: 제1 부직포층의 제조
준비예 1-1과 동일하게 제1 부직포층을 제조하되, 심부용 수지의 용융흐름지수(MI), 초부용 수지의 용융흐름지수(MI), 심부용 수지 및 초부용 수지의 용융흐름지수(MI) 차, 심부 및 초부의 중량비 또는 제1 부직포층의 평량을 하기 표 1 ~ 3과 같이 하여 준비예 1-2 ~ 준비예 1-12를 실시하였다.
준비예 2-1: 제2 부직포층의 제조
용융흐름지수가 17인 폴리에틸렌 수지(Dow, Aspun 6850A)를 포함하는 제2 방사조액을 준비했다.
그리고, 독일 Reifenhauser 사의 스펀본드 제조 설비를 통해 상기 제2 방사조액을 방사하여 방사물을 수득하였다.
그리고, 상기 방사물을 22℃ 하에서 냉각하였다.
그리고, 상기 단계를 수행한 방사물을 1:1.3의 연신비로 연신시킨 뒤, 고화시켜 폴리에틸렌 섬유를 제조했다.
이때, 상기 폴리에틸렌 섬유의 독립된 필라멘트 10가닥 직경을 측정했을 때 그 평균값이 10μm이었으며, 이는 방사속도를 통해 조절하였다.
그리고, 상기 폴리에틸렌 섬유를 다공성의 스크린 벨트를 통해 제2 부직포층(웹)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제2 부직포층의 평량은 5g/m2이다.
준비예 2-2 ~ 준비예 2-4: 제2 부직포층의 제조
준비예 2-1과 동일하게 제2 부직포층을 제조하되, 폴리에틸렌 섬유의 평균 직경 또는 제2 부직포층의 평량을 하기 표 2 ~ 3과 같이 하여 준비예 2-2 ~ 준비예 2-4를 실시하였다.
비교준비예 1-1 ~ 비교준비예 1-14: 제1 부직포층의 제조
준비예 1-1과 동일하게 제1 부직포층을 제조하되, 심부용 수지의 용융흐름지수(MI), 초부용 수지의 용융흐름지수(MI), 심부용 수지 및 초부용 수지의 용융흐름지수(MI) 차, 심부 및 초부의 중량비 또는 제1 부직포층의 평량을 하기 표 3 ~ 6과 같이 하여 비교준비예 1-1 ~ 비교준비예 1-14를 실시하였다.
비교준비예 1-15: 부직포의 제조
용융흐름지수(MI)가 25인 폴리프로필렌 수지(LG화학, MH7700S)를 포함하는 제1 방사조액을 준비했다.
그리고, 독일 Reifenhauser 사의 스펀본드 제조 설비를 통해 상기 제1 방사조액을 방사하여 방사물을 수득하였다.
그리고, 상기 방사물을 22℃ 하에서 냉각하였다.
그리고, 상기 단계를 수행한 방사물을 1:1.3의 연신비로 연신시킨 뒤, 고화시켜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제조했다.
그리고, 상기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다공성의 스크린 벨트를 통해 폴리프로필렌 단층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폴리프로필렌 단층 부직포는 평량이 20g/m2이다.
비교준비예 1-16: 부직포의 제조
용융흐름지수가 17인 폴리에틸렌 수지(Dow, Aspun 6850A)를 포함하는 제2 방사조액을 준비했다.
그리고, 독일 Reifenhauser 사의 스펀본드 제조 설비를 통해 상기 제2 방사조액을 방사하여 방사물을 수득하였다.
그리고, 상기 방사물을 22℃ 하에서 냉각하였다.
그리고, 상기 단계를 수행한 방사물을 1:1.3의 연신비로 연신시킨 뒤, 고화시켜 폴리에틸렌 섬유를 제조했다.
그리고, 상기 폴리에틸렌 섬유를 다공성의 스크린 벨트를 통해 폴리에틸렌 단층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폴리에틸렌 단층 부직포는 평량이 20g/m2이다.
비교준비예 2-1 ~ 비교준비예 2-4: 제2 부직포층의 제조
준비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2 부직포층을 제조하되, 폴리에틸렌 섬유의 평균 직경 또는 제2 부직포층의 평량을 하기 표 5 ~ 표 6과 같이 하여 비교준비예 2-1 ~ 비교준비예 2-4를 실시하였다.
실험예 1: 방사성 평가
준비예 1 ~ 준비예 12 및 비교준비예 1-1 ~ 비교준비예 1-16에서 제조된 제1 부직포층과, 이와는 별도로 준비되는 준비예 2-1 ~ 준비예 2-4 및 비교준비예 2-1 ~ 비교준비예 2-4에서 제조된 제2 부직포층을 각각 제조하는 공정 중에서, 30분동안 연속적인 방사를 진행하면서 부직포를 구성하는 장섬유가 3회 이상 끊어지는 경우를 방사성 '부적합'으로 판단하였고, 3회 미만으로 끊어지는 경우 '양호'로 판단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 ~ 표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다층 스펀본드 부직포 제조
준비예 1-1에서 제조된 제1 부직포층 및 준비예 2-1에서 제조된 제2 부직포층을 엠보싱 캘린더(embossing calendar) 공정을 통해 145℃ 하에서 합지하여 다층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다층 스펀본드 부직포는 한 면에 단위면적당 18부피%의 엠보싱 패턴을 가진다.
실시예 2 ~ 실시예 13: 다층 스펀본드 부직포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다층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하되, 제1 부직포층 또는 제2 부직포층을 하기 표 1 ~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준비예 1-2 ~ 준비예 12 및 준비예 2-2 ~ 준비예 2-4에서 제조된 부직포층을 사용하여 실시예 2 ~ 실시예 13를 실시하였다.
비교예 1 ~ 비교예 15: 다층 스펀본드 부직포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다층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하되, 제1 부직포층 또는 제2 부직포층을 하기 표 3 ~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비교준비예 1-1 ~ 비교준비예 1-14 및 비교준비예 2-1 ~ 비교준비예 2-4에서 제조된 부직포층을 사용하여 비교예 1 ~ 비교예 15를 실시하였다.
비교예 16 ~ 비교예 17: 스펀본드 부직포 제조
비교준비예 1-15 ~ 비교준비예 1-16에서 제조된 부직포를 각각 엠보싱 캘린더(embossing calendar) 공정을 145℃ 하에서 수행하여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는 한 면에 단위면적당 18부피%의 엠보싱 패턴을 가진다.
실험예 2: 스펀본드 부직포 물성 평가
실시예 1 ~ 실시예 13 및 비교예 1 ~ 비교예 17에서 제조된 스펀본드 부직포를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평가한 결과값을 하기 표 1 ~ 표 6에 나타냈다.
(1)유연성 평가(마찰계수 측정)
KS M 3009 방법에 의해, 마찰계수 측정 설비를 작동시켜 측정 장치가 자동으로 기울어지면, 플레이트(plate)가 아래로 미끄러져 센서를 누르면서 정지하게 된다. 이때, 정지 상태에서의 각도 값을 변환하여 마찰계수를 구했다. 이 평가는 섬유의 부드러움과 관련된 것이다.
(2)MD(Machine direction) 및 CD(Cross direction) 인장강도 측정
인장강신도기(Instron) 측정설비를 이용하여 KSK 0520법에 의해 시험 편 폭 5cm, 간격 10cm의 시편을 인장속도 500mm/min의 조건으로 인장하여 최대 하중을 측정하였다.
(3)이형율 측정
이형율을 하기 관계식 2를 통해 측정하였다.
[관계식 2]
Figure 112020092097823-pat00005
상기 관계식 2에서 이형율은 부직포를 폭×간격 5cm×10cm로 절단한 시편을 준비하고, 상기 시편의 길이를 '절단 전 길이'로 하고, 상기'절단 후 길이의 합'는 상기 시편을 3등분으로 절단한 후 3등분된 시편의 길이의 합을 의미한다.
(4)보풀 발생 평가
부직포 표면의 보풀 발생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보풀이 발생하는 경우 '○'로 표기하였고, 보풀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로 표기하였다.
(5)층간 박리 관찰 평가
스펀본드 부직포를 24시간 동안 관찰하여 층간 박리가 일어나는 경우 '유'로 표기하였고, 층간 박리가 일어나지 않는 경우 '무'로 표기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다층스펀본드부직포
제1부직포층 구분 준비예
1-1
준비예
1-2
준비예
1-3
준비예
1-4
준비예
1-5
MI 25 37 10 25 25
MI' 17 17 17 10 50
MI 차 8 20 7 15 25
중량비(심부:초부) 1:1.00 1:1.00 1:1.00 1:1.00 1:1.00
평량(g/m2) 15 15 15 15 15
방사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제2부직포층 구분 준비예
2-1
준비예
2-1
준비예
2-1
준비예
2-1
준비예
2-1
수지 MI 17 17 17 17 17
평균직경(μm) 10 10 10 10 10
평량(g/m2) 5 5 5 5 5
방사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평량비(제1부직층:제2부직포층) 1:0.33 1:0.33 1:0.33 1:0.33 1:0.33
마찰계수 0.34 0.34 0.34 0.34 0.33
MD 인장강도(N/5cm) 15.2 10.0 16.0 14.6 12.5
CD 인장강도(N/5cm) 8.0 6.7 9.1 8.1 5.6
이형율 1.01 1.03 1.00 1.00 1.08
보풀 발생 × × × × ×
층간 박리 관찰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실시예10



다층스펀본드부직포
제1
부직
포층
구분 준비예
1-6
준비예
1-7
준비예
1-8
준비예
1-9
준비예
1-10
MI 20 40 25 25 25
MI' 50 10 17 17 17
MI 차 30 30 8 8 8
중량비(심부:초부) 1:1.00 1:1.00 1:0.25 1:0.43 1:4.0
평량(g/m2) 15 15 15 15 15
방사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제2
부직
포층
구분 준비예
2-1
준비예
2-1
준비예
2-1
준비예
2-1
준비예
2-1
수지 MI 17 17 17 17 17
평균직경(μm) 10 10 10 10 10
평량(g/m2) 5 5 5 5 5
방사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평량비(제1부직포층:제2부직포층) 1:0.33 1:0.33 1:0.33 1:0.33 1:0.33
마찰계수 0.33 0.34 0.33 0.33 0.45
MD 인장강도(N/5cm) 12.5 10.0 16.5 16.0 8
CD 인장강도(N/5cm) 5.6 6.1 8.6 8.4 4.2
이형율 1.08 1.10 1.00 1.00 1.13
보풀 발생 × × × × ×
층간 박리 관찰
실시예11 실시예12 실시예13 비교예1 비교예2



다층스펀본드부직포
제1부직포층 구분 준비예
1-1
준비예
1-11
준비예
1-12
비교준비예1-1 비교준비예1-2
MI 25 25 25 7 42
MI' 17 17 17 17 17
MI 차 8 8 8 10 25
중량비(심부:초부) 1:1.00 1:1.00 1:1.00 1:1.00 1:1.00
평량(g/m2) 15 16 11.5 15 15
방사성 양호 양호 양호 부적합 양호
제2부직포층 구분 준비예
2-2
준비예2-3 준비예2-4 준비예
2-1
준비예
2-1
수지 MI 17 17 17 17 17
평균직경(μm) 12 10 10 10 10
평량(g/m2) 5 4 8.5 5 5
방사성 양호 양호 양호 적합 적합
평량비(제1부직층:제2부직포층) 1:0.33 1:0.25 1:0.75 1:0.33 1:0.33
마찰계수 0.31 0.38 0.33 0.41 0.33
MD 인장강도(N/5cm) 17.8 18.5 14.5 16.1 8.6
CD 인장강도(N/5cm) 9.2 10.5 6.9 9.3 4.8
이형율 1.01 1.00 1.02 1.00 1.05
보풀 발생 × × × × ×
층간 박리 관찰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다층스펀본드부직포
제1부직포층 구분 비교준비예1-3 비교준비예1-4 비교준비예1-5 비교준비예1-6 비교준비예1-7
MI 50 25 25 25 25
MI' 17 8 55 60 22
MI 차 33 17 30 35 3
중량비(심부:초부) 1:1.00 1:1.00 1:1.00 1:1.00 1:1.00
평량(g/m2) 15 15 15 15 15
방사성 양호 부적합 부적합 부적합 양호
제2부직포층 구분 준비예
2-1
준비예
2-1
준비예
2-1
준비예
2-1
준비예
2-1
수지 MI 17 17 17 17 17
평균직경(μm) 10 10 10 10 10
평량(g/m2) 5 5 5 5 5
방사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평량비(제1부직층:제2부직포층) 1:0.33 1:0.33 1:0.33 1:0.33 1:0.33
마찰계수 0.32 0.34 0.31 0.31 0.34
MD 인장강도(N/5cm) 7.3 13.9 8.4 6.0 13.2
CD 인장강도(N/5cm) 4.3 8.1 4.3 2.8 7.9
이형율 1.10 1.00 1.13 1.18 1.04
보풀 발생 × × × × ×
층간 박리 관찰
비교예8 비교예9 비교예10 비교예11 비교예12



다층스펀본드부직포
제1부직포층 구분 비교준비예1-8 비교준비예1-9 비교준비예1-10 비교준비예1-11 준비예
1-1
MI 18 25 25 25 25
MI' 50 17 17 17 17
MI 차 32 8 8 8 8
중량비(심부:초부) 1:1.00 1:0.11 1:4.5 1:9.0 1:1.00
평량(g/m2) 15 15 15 15 15
방사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제2부직포층 구분 준비예
2-1
준비예
2-1
준비예
2-1
준비예
2-1
비교준비예2-1
수지 MI 17 17 17 17 17
평균직경(μm) 10 10 10 10 8
평량(g/m2) 5 5 5 5 5
방사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부적합
평량비(제1부직층:제2부직포층) 1:0.33 1:0.33 1:0.33 1:0.33 1:0.33
마찰계수 0.34 0.32 0.45 0.51 0.32
MD 인장강도(N/5cm) 11.6 16.8 8.6 6.3 6.3
CD 인장강도(N/5cm) 5.1 8.8 4.2 3.9 3.3
이형율 1.09 1.00 1.11 1.19 1.00
보풀 발생 × × ×
층간 박리 관찰
비교예13 비교예14 비교예15 비교예16 비교예17



다층스펀본드부직포
제1부직포층 구분 비교준비예1-12 비교준비예1-13 비교준비예1-14 비교준비예1-15 비교준비예1-16
MI 25 25 25 25 -
MI' 17 17 17 - 17
MI 차 8 8 8 - -
중량비(심부:초부) 1:1.00 1:1.00 1:1.00 - -
평량(g/m2) 16.5 11 6 20 20
방사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제2부직포층 구분 비교준비예2-2 비교준비예2-3 비교준비예2-4 - -
수지 MI 17 17 17 - -
평균직경(μm) 10 10 10 - -
평량(g/m2) 3.5 9 14 - -
방사성 양호 양호 양호 - -
평량비(제1부직층:제2부직포층) 1:0.20 1:0.82 1:2.33 - -
마찰계수 0.41 0.32 0.32 0.57 0.32
MD 인장강도(N/5cm) 19.5 13.2 6.9 20.5 9.1
CD 인장강도(N/5cm) 12.0 5.8 4.3 6.2 4.0
이형율 1.00 1.06 1.17 1.01 1.12
보풀 발생 × ×
층간 박리 관찰 - -
상기 표 1 ~ 표 6을 살펴보면, 실시예 1 ~ 실시예 13은 모두 우수한 방사성, 마찰계수, 인장강도, 이형율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풀 및 층간 박리가 발생하지 않아 위생재용으로 적합한 다층 스펀본드 부직포가 제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심부 형성용 수지의 용융흐름지수(MI)가 10 미만인 비교예 1은 용융흐름지수가 10인 경우(실시예 3)와 비교했을 때 과도하게 낮은 용융흐름지수로 인해 방사성이 불량하였을 뿐만 아니라, 다층 스펀본드 부직포 표면의 표면이 부드럽지 못하고 뻣뻣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심부 형성용 수지의 용융흐름지수(MI)가 40을 초과하는 비교예 2 및 비교예 3은 용융흐름지수가 40인 경우(실시예 7)과 비교했을 때, 다층 스펀본드 부직포의 인장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초부 형성용 수지의 용융흐름지수(MI')가 10 미만인 비교예 4는 용융흐름지수가 10인 경우(실시예 4)와 비교했을 때, 고점도로 인해 방사성이 불량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초부 형성용 수지의 용융흐름지수(MI')가 50을 초과하는 비교예 5 및 비교예 6은 용융흐름지수가 50인 경우(실시예 5 및 실시예 6)와 비교했을 때, 저점도로 인해 다층 스펀본드 부직포의 인장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때, 상기 비교예 6 및 비교예 8은 심부 형성용 수지 및 초부 형성용 수지의 용융흐름지수 차가 30을 초과함에 따라 인장강도가 더욱 현격히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심부 형성용 수지 및 초부 형성용 수지의 용융흐름지수 차가 5 미만인 비교예 7은 다층 스펀본드 부직포의 인장강도의 향상 정도가 미미하였으며 오히려 인장강도가 다소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초부가 0.25 중량비 미만으로 포함된 비교예 9는 초부가 0.25 중량비로 포함된 경우(실시예 8)과 비교했을 때, 제1 부직포층 및 제2 부직포층의 접착강도가 감소함에 따라 층간 박리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초부가 4.0 중량비를 초과하여 포함된 비교예 10은 초부가 4.0 중량비로 포함된 경우(실시예 10)와 비교했을 때, 다층 스펀본드 부직포의 인장강도가 현격히 감소하였으며, 부직포 표면에 보풀이 관찰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제2 부직포층을 형성하는 폴리에틸렌 섬유의 평균 직경이 10 μm 미만인 비교예 12는 평균 직경이 10 μm인 경우(실시예 1)와 비교했을 때, 방사 안정성(방사성)이 매우 불량한 문제가 있었으며, 불균일한 토출로 인해 원하는 형상의 부직포가 제조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제2 부직포층이 0.25 평량비 미만인 비교예 13의 경우, 제2 부직포층이 0.25 평량비인 경우(실시예 12)와 비교했을 때, 높은 강도를 가짐에 따라 딱딱한 질감을 가지기 때문에 위생재로의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제2 부직포층이 0.80 평량비를 초과한 비교예 14 및 비교예 15는 제2 부직포층이 0.80 평량비에 근접한 실시예 13과 비교했을 때, 부직포 표면에 보풀이 발생하였으며 부직포의 강도가 과도하게 낮아졌고, 이형율이 높아져 원하는 크기로의 절단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비교예 16의 경우 표면의 마찰이 과도한 문제가 있었으며, 비교예 17의 경우 부직포의 인장강도가 현격히 낮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이나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8)

  1. 심초형 복합섬유를 포함하는 제1 부직포층; 및
    상기 제1 부직포층의 적어도 한 면에 적층된 제2 부직포층;을 포함하고,
    상기 심초형 복합섬유는 심부용 수지 및 초부용 수지를 각각 방사하여 수득된 방사물을 포함하고,
    상기 심부용 수지는 ASTM D1238 방법에 의거하여 측정된 용융흐름지수(MI)가 10 ~ 40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심부용 수지 및 초부용 수지는 ASTM D1238 방법에 의거하여 측정된 용융흐름지수(MI)의 차가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고,
    상기 제1 부직포층 및 제2 부직포층의 평량비는 1 : 0.25 ~ 1 : 0.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재용 다층 스펀본드 부직포.
    [관계식 1]
    7 ≤ |MI- MI'| ≤ 30
    상기 관계식 1에서 MI는 심부용 수지의 용융 흐름지수를 의미하고, MI'는 초부용 수지의 용융 흐름지수를 의미한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초형 복합섬유는 심부 및 초부의 중량비가 1 : 0.25 ~ 1 : 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재용 다층 스펀본드 부직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직포층은 폴리에틸렌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에틸렌 섬유는 ASTM D1238 방법에 의거하여 측정된 용융흐름지수(MI)가 10 ~ 50인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재용 다층 스펀본드 부직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섬유는 평균 섬유 직경이 10 ~ 30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재용 다층 스펀본드 부직포.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다층 스펀본드 부직포는 10 ~ 100g/m2의 평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재용 다층 스펀본드 부직포.
  8. 제1항에 있어서,
    다층 스펀본드 부직포는 적어도 한 면의 단위면적 당 10 ~ 35 부피%의 엠보싱 패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재용 다층 스펀본드 부직포.
KR1020200110728A 2020-09-01 2020-09-01 위생재용 다층 스펀본드 부직포 KR102402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728A KR102402951B1 (ko) 2020-09-01 2020-09-01 위생재용 다층 스펀본드 부직포
CN202110973788.4A CN114103341A (zh) 2020-09-01 2021-08-24 用于卫生材料的多层纺粘无纺布
JP2021139958A JP2022041976A (ja) 2020-09-01 2021-08-30 衛生材用多層スパンボンド不織布
JP2023185066A JP2024012414A (ja) 2020-09-01 2023-10-27 衛生材用多層スパンボンド不織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728A KR102402951B1 (ko) 2020-09-01 2020-09-01 위생재용 다층 스펀본드 부직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984A KR20220028984A (ko) 2022-03-08
KR102402951B1 true KR102402951B1 (ko) 2022-05-26

Family

ID=80440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728A KR102402951B1 (ko) 2020-09-01 2020-09-01 위생재용 다층 스펀본드 부직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2) JP2022041976A (ko)
KR (1) KR102402951B1 (ko)
CN (1) CN114103341A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5343B2 (ja) * 1991-09-05 2000-05-29 ユニチカ株式会社 積層長繊維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323715A (ja) * 1998-05-14 1999-11-26 Mitsui Chem Inc 吸収性物品用トップシート材
JP2002275750A (ja) * 2001-03-22 2002-09-25 Unitika Ltd 積層長繊維不織布
JP6007139B2 (ja) * 2013-03-15 2016-10-12 出光興産株式会社 不織布及び繊維製品
KR101902522B1 (ko) * 2013-05-23 2018-11-22 주식회사 휴비스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 층과 폴리에틸렌 장섬유 부직포 층으로 구성된 하이브리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1690837B1 (ko) 2014-12-09 2016-12-28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소프트성이 우수하고 보풀 발생이 적은 부직 웹 및 그 제조방법
WO2019146726A1 (ja) * 2018-01-24 2019-08-01 旭化成株式会社 偏心鞘芯型複合繊維を少なくとも片方の面に用いた複合長繊維不織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012414A (ja) 2024-01-30
KR20220028984A (ko) 2022-03-08
JP2022041976A (ja) 2022-03-11
CN114103341A (zh) 2022-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33783B2 (ja) 伸張性不織布
JP4599366B2 (ja) メルトフローレートの高い繊維を含有する柔軟で伸張性のある不織布ウェブ
JP2018145544A (ja) バリア性に優れた嵩高性複合長繊維不織布
KR101219249B1 (ko) 피트성과 소프트한 촉감을 가지는 장섬유 탄성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JP2013032607A (ja) 改善された特性を有する複合紡糸長繊維スパンボンド多層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30129909A1 (en) Nonwoven barrier fabrics with enhanced barrier to weight performance
JP6715056B2 (ja) スパンボンド不織布および衛生材料
KR101302804B1 (ko) 기계적 특성이 향상된 우수한 드레이프성의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CN111630221B (zh) 至少单面使用了偏心鞘芯型复合纤维的复合长纤维无纺布
KR101261690B1 (ko) 우수한 탄성 복원력을 가진 스펀본드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JPH1136168A (ja) 衛生材料およびメディカル用不織布
JP7108044B2 (ja) 不織布積層体、伸縮性不織布積層体、繊維製品、吸収性物品及び衛生マスク
WO2020158875A1 (ja) スパンボンド不織布、衛生材料、及びスパンボンド不織布の製造方法
KR102402951B1 (ko) 위생재용 다층 스펀본드 부직포
JP6533025B1 (ja) スパンボンド不織布の製造方法及びスパンボンド不織布
JP2018178307A (ja) 不織布積層体
KR101240750B1 (ko) 우수한 신축 회복성과 소프트한 촉감을 동시에 가지는 탄성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74733B1 (ko) 신축 회복율과 생산성이 개선된 부직포의 제조방법
KR20160143387A (ko) 바이오매스-유래 폴리에틸렌으로 된 장섬유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20028551A (ko) 드레이프 특성이 향상된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JP2018168509A (ja) スパンボンド不織布および衛生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