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2490B1 - 정수기 온수용 안전코크 - Google Patents
정수기 온수용 안전코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02490B1 KR102402490B1 KR1020200023644A KR20200023644A KR102402490B1 KR 102402490 B1 KR102402490 B1 KR 102402490B1 KR 1020200023644 A KR1020200023644 A KR 1020200023644A KR 20200023644 A KR20200023644 A KR 20200023644A KR 102402490 B1 KR102402490 B1 KR 1024024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t water
- cock
- safety
- shaft
- rising pa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4—Reducing valves or control taps
- B67D1/1405—Control taps
- B67D1/145—Control taps comprising a valve shutter mov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alve seat
- B67D1/1455—Control taps comprising a valve shutter movab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alve seat the valve shutter being open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liquid flow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 B67D3/043—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with a closing element having a linear movem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Preventing Unauthorised Actuation Of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공급부 및 온수출수부가 형성된 코크바디, 상기 코크바디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온수출수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코크바디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안전버튼 동작을 위한 구동부품을 취수유로와 분리하여 배치하여 위생성을 향상시키고, 취수유로의 크기를 작게 형성할 수 있는 정수기 온수용 안전코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온수가 공급되는 정수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화상을 방지하거나, 어린이의 장난 등에 인한 화상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온수가 공급되는 코크에 안전버튼 및 취수레버의 이중구조를 채택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즉, 안전버튼 및 취수레버가 적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안전코크는 안전버튼 및 취수레버가 작동한 상태에서 출수가 되는 기본 조건을 만족한다는 전제하에 다양한 구조를 채택을 하고 있다.
그러나 안전버튼 및 취수레버의 동작에 따라 출수를 하기 위하여 복잡한 구조가 채택됨에 따라 취수유로가 커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온수 취수시 안전코크 내부에 머물고 있는 정수는 가열이 된 상태가 아니여서 첫 취수시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물을 공급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내부 구조가 복잡함에 따라 정수가 유동하는 취수유로에 다양한 부품이 노출이 됨에 따라 위생상의 문제에 노출되어 있었다.
특히, 온수 출수 중 안전버튼을 손으로 누른 상태에서 레버를 떼더라도 고온의 온수가 그대로 출수됨에 따라 안전버튼을 채택하는 원래의 목적인 안정상의 문제에도 노출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안전버튼 및 레버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품을 간단하게 구성하고, 각 부품이 취수유로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위생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온수용 안전코크를 제공하는데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안전버튼 및 레버의 동작을 위한 구동 매커니즘을 간단하게 하면서 안전버튼이 눌린 상태에서 레버에 외력이 제거되면 온수의 공급이 차단될 수 있는 온수용 안전코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구동부품의 간소화로 취수유로에 노출되는 부품의 수를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출수시 설정된 온도에 최대한 가까운 온도의 물을 제공할 수 있는 정수용 취수코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수기 온수용 안전코크는 온수공급부 및 온수출수부가 형성된 코크바디, 상기 코크바디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온수출수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코크바디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재는, 외력에 의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제1돌출부가 형성된 샤프트, 상기 제1돌출부가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샤프트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상승부, 상기 제1돌출부 및 상기 상승부 사이에 구비되는 제1탄성부, 탄성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구비되고, 상기 상승부에 결합되어 상기 온수출수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차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상승부의 이동경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의 상기 제1돌출부의 상부에는 제2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제2돌출부 및 상기 코크바디 사이에 구비되는 제2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 및 외력에 의하여 상기 스톱퍼를 이동시키는 안전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안전버튼에 의하여 이동한 스톱퍼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는, 외력에 의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제1돌출부가 형성된 샤프트, 상기 제1돌출부가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샤프트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상승부, 상기 제1돌출부 및 상기 상승부 사이에 구비되는 제1탄성부, 탄성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구비되고, 상기 상승부에 결합되어 상기 온수출수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차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버튼에는 상기 상승부의 폭보다 큰 제1함몰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톱퍼에는 상기 상승부의 폭보다 큰 제2함몰홈 및 상기 제2함몰홈의 내측에 상기 상승부의 폭보다 작고 상기 샤프트의 직경보다 큰 제3함몰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는, 외력에 의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제1돌출부가 형성된 샤프트, 상기 제1돌출부가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샤프트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상승부, 상기 제1돌출부 및 상기 상승부 사이에 구비되는 제1탄성부, 탄성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구비되고, 상기 상승부에 결합되어 상기 온수출수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차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크바디에는 상부에 샤프트가 관통하는 제3개구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승부가 통과할 수 있는 제4개구홀이 형성된 보조하우징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온수용 안전코크는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안전버튼 및 취수레버의 구동부품이 취수유로에 노출되지 않아 위생성이 좋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안전버튼 및 취수레버가 작동되어 취수 중 취수버튼에 외력이 제거된 경우 취수가 중단되어 화상의 위험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안전버튼 및 취수레버 구동을 위한 부품의 효과적인 구성 및 배치를 통하여 취수유로 내부에 머무는 물을 최소화하고, 초기 취수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온수용 안전코크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온수용 안전코크의 분해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온수용 안전코크의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정수기 온수용 안전코크에서 안전버튼에 외력이 인가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정수기 온수용 안전코크에서 레버가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정수기 온수용 안전코크에서 안전버튼에 외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레버가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온수용 안전코크의 분해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온수용 안전코크의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정수기 온수용 안전코크에서 안전버튼에 외력이 인가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정수기 온수용 안전코크에서 레버가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정수기 온수용 안전코크에서 안전버튼에 외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레버가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온수용 안전코크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온수용 안전코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수기 온수용 안전코크의 단면도이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정수기 온수용 안전코크는 코크바디(10), 이동부재(20), 고정부재(30), 레버(40)를 포함한다.
코크바디(10)는 본 발명의 정수기 온수용 안전코크의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후술하는 이동부재(20) 및 고정부재(30)가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코크바디(10)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온수가 유입되는 온수공급부(11) 및 온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온수출수부(11)가 형성된다.
코크바디(10)에는 후술하는 안전버튼(32)이 외부로 노출되는 개구홀(13)이 형성되고, 안전버튼(32)는 제1개구홀(13)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코크바디(10)의 상면은 개구 형성되고,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덮개(15)가 구비될 수 있다. 덮개(15)에는 제2개구홀(15a)이 형성된다. 제2개구홀(15a)을 통하여 후술하는 샤프트(21)의 상부가 노출되어 레버(40)와 결합된다. 즉, 레버(40)에 인가되는 외력에 의하여 샤프트(21)가 제2개구홀(15a)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 하 이동을 한다.
코크바디(10)의 내부에는 보조하우징(14)이 구비된다. 보조하우징(14)은 후술하는 스톱퍼(31)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보조하우징(14)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스톱퍼(31)는 내부공간의 상면에 안착되고, 안전버튼(32)의 이동에 따라 이동을 하게 된다.
보조하우징(14)의 상부에는 샤프트(21)가 관통하는 제3개구홀(14a)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승부(22)가 통과할 수 있는 제4개구홀(14b)가 형성된다.
보조하우징(14)의 하부 저면에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구비되는 차폐부(23)의 상부가 결합된다. 따라서 상승부(22)가 제4개구홀(14b)를 관통하여 상승하는 경우 차폐부(23)는 수축을 하면서 온수출수부(12)를 개방하게 된다.
이동부재(20)는 레버(40)의 동작에 따라서 이동을 하면서 온수공급부(12)를 선택적으로 차폐를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레버(40)에 외력이 인가되면 이동부재(20)가 이동하여 온수공급부(12)를 개방하고, 레버(40)에 인가되는 외력이 제거되면 이동부재(20)는 온수공급부(12)를 차폐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이동부재(20)는 샤프트(21), 상승부(22), 차폐부(23)을 포함한다.
샤프트(21)는 코크바디(10)의 내부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보조하우징(14)의상, 하부의 개구홀(14a, 14b)을 관통하여 상, 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샤프트(21)의 상부는 덮개(15)의 제2개구홀(15a) 외부로 노출되고, 레버(40)와 결합된다.
샤프트(21)에는 제1돌출부(21a) 및 제2돌출부(21b)가 샤프트(21)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제1돌출부(21a) 및 제2돌출부(21b)의 상부에는 각각 제1탄성부(21c) 및 제2탄성부(21d)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탄성부(21c) 및 제2탄성부(21d)는 코일스프링이 적용되고, 샤프트(21)에 끼워져 배치된다. 그리고 제1탄성부(21c)는 제1돌출부(21a)와 상승부(22)의 덮개(22b)의 저면 사이에서 탄성 변형하고, 제2탄성부(21d)는 제2돌출부(21b)와 코크바디(10)의 덮개(15)의 저면 사이에서 탄성 변형한다. 제1탄성부(21c) 및 제2탄성부(21d)의 탄성변형에 따른 샤프트(21)의 구체적인 동작은 후술한다.
상승부(22)는 제1돌출부(21a) 및 제1탄성부(21c)가 내부에 수용되고,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샤프트(2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후술하는 고정부재(30)가 상승부(22)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샤프트(21)와 함께 상승한다. 그러나 고정부재(30)가 상승부(22)의 이동경로 상에 배치되는 경우 샤프트(21)가 상승을 하더라도 상승부(22)는 상승을 하지 않고, 이 때 제1탄성부(21c)는 수축을 하게 된다(도6 참조).
본 실시예에서의 상승부(22)는 바디(22a) 및 덮개(22b)를 포함한다. 바디(22a)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면은 개구 형성된다. 그리고 개구된 상면을 덮개(22b)가 차폐한다. 덮개(22b)에는 샤프트(21)가 관통하는 제5개구홀(22c)이 형성된다.
한편, 샤프트(21)의 제1돌출부(21a)는 바디(22a) 내부의 공간에 위치하고, 덮개(22b)의 저면과 제1돌출부(21a)의 상면 사이에 제1탄성부(21)가 배치된다.
상승부(22)의 하부면에는 후술하는 차폐부(23)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돌출돌기(22d)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차폐부(23)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승부(22)에 결합되어 상승부(22)의 이동에 따라 변형을 하여 온수출수부(11)를 선택적으로 차폐한다.
차폐부(23)와 상승부(22)는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차폐부(23)의 상부면에 상승부(22)의 돌출돌기(22d)가 끼워지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30)는 코크바디(10)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이동에 따라 이동부재(20)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고정부재(30)는 스톱퍼(31), 안전버튼(32), 제3탄성부(33)을 포함한다.
안전버튼(32)는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이 코크바디의 제1개구홀(13)에 끼워져 외력에 의하여 이동을 하게 된다. 안전버튼(32)에는 제1함몰홈(32a)이 형성된다. 제1함몰홈(32a)은 상승부(22)의 폭보다 큰 크기로 형성된다. 따라서 안전버튼(32)이 스톱퍼(31)를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승부(22)는 안전버튼(32)의 간섭없이 상부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도5 참조).
스톱퍼(31)는 안전버튼(32)과 접촉을 하도록 형성되고, 안전버튼(32)의 이동에 따라 이동을 한다. 그리고 이동을 함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승부(22)의 이동경로상에 위치를 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승부(22)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스톱퍼(31)에는 안전버튼(32) 방향으로 제2함몰홈(31a)이 형성되고, 제2함몰홈(31a)의 내측에는 제2함몰홈(31b)이 형성된다. 제2함몰홈(31a)는 상기 제1함몰홈(32a)와 같이 상승부(22)의 폭보다 큰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3함몰함(32b)는 상승부(22)보다 작고, 샤프트(21)의 직경보다 큰 폭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안전버튼(32)에 의하여 이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승부(22)의 상부에 제3함몰홈(31b)이 위치함에 따라서 상승부( 22)의 상부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그리고 안전버튼(32)이 스톱퍼(31)를 이동시키는 경우 상승부(22)의 상부에 제2함몰홈(31a)이 위치하게 되고, 상승부(22)의 상부로의 이송에 간섭이 되지 않게 된다.
제3탄성부(33)는 스톱퍼(31)에 복원력을 제공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스톱퍼(31)의 후면에 배치되어 안전버튼(32)이 스톱퍼(31)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수축을 한다. 그리고 안전버튼(32)에 인가되는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복원력에 의하여 스톱퍼(31)를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게 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정수기 온수용 안전코크에서 안전버튼에 외력이 인가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정수기 온수용 안전코크에서 레버가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정수기 온수용 안전코크에서 안전버튼에 외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레버가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이다.
도3 내지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정수기 온수용 안전코크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3을 참조하면, 안전버튼(32)에 외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샤프트(21)는 스톱퍼(31)의 제3함몰홈(31b)에 위치하는 상태이다. 따라서 상승부(21)의 상부로의 이동을 스톱퍼(31)에 의하여 제한이 된 상태이다.
그러나 샤프트(21)의 이동은 제한이 되지 않는 상태여서, 레버(40)에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샤프트(21)는 상부로 이동이 가능한 상태이다. 이 경우에 대한 설명은 도6에 대한 설명과정에서 다시 설명한다.
도4를 참조하면, 안전버튼(32)에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안전버튼(32)는 제1개구홀(13) 내부로 이동을 하게 된다. 안전버튼(32)의 이동에 따라 스톱퍼(31)로 후방으로 이동을 하고, 제3탄성부(33)는 수축을 하게 된다.
이 때 안전버튼(32)의 제1함몰홈(32a) 및 스톱퍼(31)의 제2함몰홈(31a)이 상승부(22)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고, 상승부(22)는 안전버튼(32) 및 스톱퍼(31)의 간섭없이 상부로 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도5를 참조하면, 안전버튼(32) 및 스톱퍼(31)가 이동한 상태에서 레버(40)에 외력이 인가되면, 샤프트(21)가 상부로 이동을 하게 된다. 이 때 제2탄성부(21d)는 수축을 하게 된다. 그리고 제1탄성부(21c)는 수축을 하지 않고, 상승부(22)는 샤프트의 이동에 따라 상부로 이동을 하게 된다. 즉 제1탄성부(21c)는 상승부(22)의 간섭이 없는 경우 샤프트(21)의 이동에 따라 상승부(22)도 이동을 할 수 있는 크기의 탄성계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승부(22)의 상부로의 이동에 따라 차폐부(23)도 수축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온수출수부(11)가 개방이 되어 온수가 공급이 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안전버튼(32)에 인가되는 외력이 제거가 되더라도 스톱퍼(31)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로는 상승부(22)에 의하여 막혀 있기 때문에 스톱퍼(31)는 전방으로 이동을 하지 못한다.
그리고 레버(40)에 인가되는 외력이 제거가 되는 경우 수축된 제2탄성부(21d)의 복원력에 의하여 샤프트(21)는 하부로 이동을 하고, 이에 따라 상승부(22)도 하부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수축되었던 차폐부(23)도 복원을 하여 온수출수부(11)를 다시 차폐하게 된다.
이때 상승부(22)의 하강에 따라 상승부(22)는 스톱퍼(31)의 이동경로에서 벗어나게 되고, 스톱퍼(31)는 제3탄성부(33)의 복원력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를 하며, 이에 따라 안전버튼(32)도 밀려나게 된다.
도6을 참조하면, 안전버튼(32)에 외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레버(40)에 외력을 인가하는 경우, 샤프트(21)는 상승을 하지만, 상승부(22)는 스톱퍼(31)에 의하여 이동경로가 막힌 상태여서 이동을 하지 못한다.
따라서 레버(40)가 동작을 하더라도 상승부(31)가 이동을 하지 못함에 따라 차폐부(23)는 온수출수부(11)를 개방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제1탄성부(21b)는 수축을 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안전버튼(32)에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스톱퍼(31)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1탄성부(21b)의 복원력에 따라 상승부(31)는 상부로 이동을 하면서 온수출수부(11)가 개방이 된다.
그리고 레버(40)에만 외력이 인가된 상태에서 레버(40)에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수축하였던 제1탄성부(21b) 및 제2탄성부(21d)의 복원력에 의하여 샤프트(21)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를 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 코크바디 20: 이동부재
21: 샤프트 22: 상승부
23: 차폐부 30: 고정부재
31: 스톱퍼 32: 안전버튼
33: 제3탄성부 40: 레버
21: 샤프트 22: 상승부
23: 차폐부 30: 고정부재
31: 스톱퍼 32: 안전버튼
33: 제3탄성부 40: 레버
Claims (7)
- 온수공급부 및 온수출수부가 형성된 코크바디;
상기 코크바디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온수출수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코크바디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는,
외력에 의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제1돌출부가 형성된 샤프트;
상기 제1돌출부가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샤프트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상승부;
상기 제1돌출부 및 상기 상승부 사이에 구비되는 제1탄성부;
탄성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구비되고, 상기 상승부에 결합되어 상기 온수출수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차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상승부의 이동경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정수기 온수용 안전코크.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상기 제1돌출부의 상부에는 제2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제2돌출부 및 상기 코크바디 사이에 구비되는 제2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온수용 안전코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 및 외력에 의하여 상기 스톱퍼를 이동시키는 안전버튼을 포함하는 정수기 온수용 안전코크.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안전버튼에 의하여 이동한 스톱퍼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온수용 안전코크.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버튼에는 상기 상승부의 폭보다 큰 제1함몰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톱퍼에는 상기 상승부의 폭보다 큰 제2함몰홈 및 상기 제2함몰홈의 내측에 상기 상승부의 폭보다 작고 상기 샤프트의 직경보다 큰 제3함몰홈이 형성되는 정수기 온수용 안전코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크바디에는 상부에 샤프트가 관통하는 제3개구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승부가 통과할 수 있는 제4개구홀이 형성된 보조하우징이 구비되는 정수기 온수용 안전코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3644A KR102402490B1 (ko) | 2020-02-26 | 2020-02-26 | 정수기 온수용 안전코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3644A KR102402490B1 (ko) | 2020-02-26 | 2020-02-26 | 정수기 온수용 안전코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08708A KR20210108708A (ko) | 2021-09-03 |
KR102402490B1 true KR102402490B1 (ko) | 2022-05-27 |
Family
ID=77785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23644A KR102402490B1 (ko) | 2020-02-26 | 2020-02-26 | 정수기 온수용 안전코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02490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04344B1 (ko) * | 2011-03-25 | 2012-01-16 | (주)좋은물 만들기 | 음용수 공급장치용 안전취수 밸브 |
KR200459856Y1 (ko) | 2011-07-04 | 2012-04-19 | 강남진 | 정수기 및 냉온수기용 콕 |
KR101303923B1 (ko) | 2012-06-04 | 2013-09-05 | 주식회사 영원코퍼레이션 | 냉온수기 및 정수기용 터치 세이프티 코크 밸브 |
KR101828430B1 (ko) | 2017-06-26 | 2018-02-14 | 주식회사 세진하이텍 | 냉온수기용 온수안전 코크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76679B1 (ko) | 2002-09-09 | 2005-03-17 | (주)스톰테크 | 냉온정수기용 안전콕밸브 |
-
2020
- 2020-02-26 KR KR1020200023644A patent/KR10240249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04344B1 (ko) * | 2011-03-25 | 2012-01-16 | (주)좋은물 만들기 | 음용수 공급장치용 안전취수 밸브 |
KR200459856Y1 (ko) | 2011-07-04 | 2012-04-19 | 강남진 | 정수기 및 냉온수기용 콕 |
KR101303923B1 (ko) | 2012-06-04 | 2013-09-05 | 주식회사 영원코퍼레이션 | 냉온수기 및 정수기용 터치 세이프티 코크 밸브 |
KR101828430B1 (ko) | 2017-06-26 | 2018-02-14 | 주식회사 세진하이텍 | 냉온수기용 온수안전 코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08708A (ko) | 2021-09-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78578B1 (ko) | 사이드버튼이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 용기 | |
JP2005349132A (ja) | スチーム式美容器 | |
ES2325065T3 (es) | Dispositivo de distribucion, en particular para maquinas lavavajillas. | |
KR102402490B1 (ko) | 정수기 온수용 안전코크 | |
KR20190049522A (ko) | 보냉 상자 | |
JP3205356U (ja) | 圧力鍋の蓋開閉装置 | |
KR101828430B1 (ko) | 냉온수기용 온수안전 코크 | |
KR101303923B1 (ko) | 냉온수기 및 정수기용 터치 세이프티 코크 밸브 | |
KR200465948Y1 (ko) | 좌우 클릭형 단 조작수단을 갖는 수도밸브 카트리지 | |
US5493087A (en) | Operating unit for a key switch | |
JP7017244B2 (ja) | 日付印 | |
JP6485631B2 (ja) | 水栓装置 | |
EP3382246A1 (en) | Water-saving valve | |
KR101812944B1 (ko) | 펌핑식 화장품 용기 | |
JP2011251706A (ja) | 飲料容器の蓋構造 | |
KR100476679B1 (ko) | 냉온정수기용 안전콕밸브 | |
KR100624758B1 (ko) | 온수개폐밸브용 카트리지 | |
JP6583607B2 (ja) | 水栓装置 | |
CN109381040B (zh) | 包括触觉反馈装置的气阀及包括所述气阀的烹饪器具 | |
US20070287113A1 (en) | Safety device for electronic ignition of lighter | |
JP6800292B2 (ja) | ダブルロック構造の安全レバー装置 | |
IT201900020084A1 (it) | Piletta di scarico | |
JPH08280528A (ja) | 調理器の蒸気抜き装置 | |
JP7149135B2 (ja) | 水路形成機構、水路形成機構の組立方法 | |
KR100864374B1 (ko) | 냉온수기용 안전밸브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