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9522A - 보냉 상자 - Google Patents

보냉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9522A
KR20190049522A KR1020180129735A KR20180129735A KR20190049522A KR 20190049522 A KR20190049522 A KR 20190049522A KR 1020180129735 A KR1020180129735 A KR 1020180129735A KR 20180129735 A KR20180129735 A KR 20180129735A KR 20190049522 A KR20190049522 A KR 20190049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ort
opening
lid body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3731B1 (ko
Inventor
아츠시 기쿠치
요이치로 히라야스
고지 다케다
다쿠마 가와사키
Original Assignee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닛센가가쿠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닛센가가쿠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49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9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1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20Keepnets or other containers for keeping captured fi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65D81/261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draining or collecting liquids without absorbing th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Package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물을 방출할 때에 덮개체가 오염되는 일 없이, 간단한 조작으로 덮개체의 개폐가 가능한 물 방출부를 구비한 보냉 상자를 제공한다.
본체(3)의 측벽(3A)에 설치되고,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방출하는 물 방출부(10)를 구비한 보냉 상자에 있어서, 물 방출부(10)는, 본체의 내부에 연통되고, 본체의 내부에 저류된 물의 방출 유로가 되는 통체(20)와, 통체와 일체화되는 지지체(30)와, 지지체(3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통체(20)의 개구(20A)를 개폐하는 덮개체(50)를 갖고 있다. 지지체(30)와 덮개체(50)는 탄성 결합 가능한 결합 수단에 의해 결합되고, 덮개체에, 결합 수단에 의한 탄성 결합을 해제하는 조작 부재(55)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냉 상자{COOLING BOX}
본 발명은, 물고기 등을 보냉한 상태로 수용 가능한 보냉 상자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물 방출부에 특징을 구비한 보냉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에는, 보냉 상자(쿨러 박스)가 휴대되고, 얼음이나 물고기 등을 수용하여, 잡은 물고기를 보냉한 상태로 반송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물고기를 보냉하고 있는 상태에서, 얼음이 녹음으로써 수분이 증가한 경우 등, 물을 방출하는 일이 행해진다. 물 방출은, 보냉 상자 본체의 측벽 하측에 배치된 물 방출부를 조작함으로써 행해진다. 이 물 방출부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측벽에 형성된 개구부를 폐색하고 있는 나사식 캡을 개방하여, 개구부를 노출시키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캡에는, 개구부를 통해 내부에 T자형의 빠짐 방지부(갈고리)가 설치되어 있어, 캡을 해제하여 내부로부터 물(해수도 포함함)이 유출되었을 때, 캡이 탈락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서는, 물이 유출될 때, 유출되는 물이 캡에 튀어 버려, 캡이 오염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2에는, 물을 방출할 때, 개구부를 개방한 상태로 하는 덮개체에 유출되는 물이 튀지 않도록, 덮개체를 본체에 대해 회동시키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10-17034호 일본 특허 제3669666호
상기한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물 방출부는, 덮개체를 개폐할 때, 덮개체에 설치된 손잡이부를 잡고 시계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조작할 필요가 있어, 조작성이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물을 방출할 때에 덮개체가 오염되는 일 없이, 간단한 조작으로 덮개체의 개폐가 가능한 물 방출부를 구비한 보냉 상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보냉 상자는, 본체의 측벽에 설치되고,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방출하는 물 방출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물 방출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연통되고, 본체의 내부에 고인 물의 방출 유로가 되는 통체와, 상기 통체와 일체화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상기 통체의 개구를 개폐하는 덮개체를 갖고, 상기 지지체와 덮개체는, 탄성 결합 가능한 결합 수단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덮개체에, 상기 결합 수단에 의한 탄성 결합을 해제하는 조작 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보냉 상자는, 물 방출부를 구성하고 있는 덮개체를 조작함으로써, 본체 내부의 물을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다. 상기 물 방출부는, 본체의 내부에 연통되는 방출 유로가 되는 통체와, 통체와 일체화되는 지지체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덮개체는, 통체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지지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지지체와 덮개체는, 탄성 결합 가능한 결합 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있고, 덮개체에, 결합 수단에 의한 탄성 결합을 해제하는 조작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조작 부재를 조작하여 탄성 결합을 해제할 뿐인 간단한 조작, 즉, 탄성에 의해 결합 상태에 있는 관계를, 탄성에 의한 가압력에 저항하여 해제할 뿐인 간단한 조작으로 통체의 개구를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덮개체는, 지지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회동에 의해 통체의 개구로부터 퇴피할 수 있으므로, 유출 시에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져, 덮개체가 오염되는 일 없이, 위생적으로 내부의 물을 방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을 방출할 때에 덮개체가 오염되는 일 없이, 간단한 조작으로 덮개체의 개폐가 가능한 보냉 상자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보냉 상자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보냉 상자의 물 방출부가 설치된 측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물 방출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보냉 상자 본체를 내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며, 물 방출부의 유출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물 방출부를 구성하는 덮개체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물 방출부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7의 (a)는 덮개체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b)는 덮개체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물 방출부의 측면 단면도.
도 9는 물 방출부의 저면 단면도.
도 10은 물 방출부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며, 결합 수단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물 방출부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며, 조작 부재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덮개체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조작 부재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덮개체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덮개체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한 보냉 상자의 실시 형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보냉 상자의 일 실시 형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은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보냉 상자의 물 방출부가 설치된 측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보냉 상자(1)는, 단열 구조를 갖는 단면 직사각 형상의 본체(3)와, 본체(3)의 에지부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본체(3)의 개구를 폐색하는 단열 구조를 갖는 덮개체(5)를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덮개체(5)는, 본체(3)에 대해 하나의 에지부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조여도 되고, 하나의 에지부 및 이 에지부에 대향하는 에지부의 양쪽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조(양측 개방형 구조)여도 된다. 또한, 본체(3)에는, 보냉 상자를 반송하기 위한 손잡이(7)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체(3)의 저부 부분에 롤러(6)가 설치되어 굴려 반송할 수 있는 캐리 반송 구조로 되어 있다는 점에서, 손잡이(7)는 본체(3)의 짧은 변의 에지 부분에 설치되어 있지만, 덮개체에 설치되는 구조여도 된다.
상기 본체(3)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한 쌍의 짧은 측벽(3A)과 한 쌍의 긴 측벽(3B)과 저벽(3C)(도 4 참조)을 구비하고 있고, 짧은 변측의 한쪽 측벽(3A)의 중앙부의 하방에는, 본체(3)의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방출하는 기능을 구비한 물 방출부(10)가 배치되어 있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물 방출부(10)의 구성에 대해,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들 도면에 있어서, 도 3은 물 방출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보냉 상자 본체를 내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며, 물 방출부의 유출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물 방출부를 구성하는 덮개체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물 방출부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7의 (a)는 덮개체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의 (b)는 덮개체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물 방출부의 측면 단면도, 그리고 도 9는 물 방출부의 저면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 방출부(10)는, 측벽(3A)의 하측에 형성된 원형 개구(3a)의 부분에 배치된다. 저벽(3C)에는, 원형 개구(3a)가 형성되는 부분에, 하방으로 오목한 오목부(3c)가 형성되어 있어, 원형 개구(3a)를 향해 물을 안내하기 쉽도록 되어 있다. 원형 개구(3a)에 배치되는 물 방출부(10)는, 원형 개구(3a)에 끼움 삽입되어, 본체의 내부에 고인 물의 방출 유로가 되는 원통 형상의 통체(20)와, 통체(20)를 지지하는 지지체(30)와, 지지체(3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덮개체(5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지지체(30)는, 예를 들어 수지제의 재료이며, 중앙에 원형 개구(31)가 형성된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본체(3)의 측벽(3A)의 외면에 밀착되어 배치된다. 상기 통체(20)는, 지지체(30)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수지제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지지체(30)의 원형 개구(31)에 끼움 삽입된다. 통체(20)에는, 일단부측에 수나사부(21)가, 타단부측에 플랜지(22)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그것들 사이에는, 주위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두고 회전 방지용 돌기(23)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회전 방지용 돌기는, 대략 90° 간격으로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9시, 12시, 3시 방향으로 하나, 6시 방향으로는 2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체(30)에는, 원형 개구(31)의 원형 에지부에, 상기 돌기(23)가 끼워 넣어지는 절결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돌기(23)와 절결부(32)를 위치 정렬하여, 통체(20)를 지지체(30)의 원형 개구(31)에 끼움 삽입함으로써 통체(20)와 지지체(30)는 회전 방지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양자가 일체화된 통체(20)와 지지체(30)는, 지지체(30)를 측벽(3A)의 외면에 밀착하여 배치하고, 이 상태에서, 본체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통체(20)의 수나사부(21)에, 암나사부(25a)가 형성된 링 부재(25)를 나사 삽입함으로써, 지지체(30)는 본체(3)의 측벽(3A)에 대해 고정된다. 이 경우, 링 부재(25)와 측벽(3A)의 내면 사이에는, O링(26)이 개재되어 있어, 누수를 방지하고 있다. 또한, 본체(3)의 개구(3a)의 주연부에는, 통체(20)에 형성된 돌기(23)가 끼워질 수 있도록, 대응하는 위치에 절결부(3e)가 형성되어 있고, 링 부재(25)를 용이하고 또한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통체(20)와 지지체(30)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각각 별체로 형성해 두고, 기계적인 결합 혹은 접착 등에 의해 일체화해도 되고, 수지 성형에 의해 일체 형성(일체화)해도 된다.
상기 지지체(30)의 상단의 양측에는, 한 쌍의 지지부(34)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각 지지부(34)에는, 지지 구멍(34a)이 형성되어 있고, 이 부분에 후술하는 지지축(53)이 장착된다. 또한, 지지체(34)의 양측에는, 한 쌍의 사이드 벽(35)이 형성되어 있고, 각 사이드 벽(35)의 하방측에는, 각각 결합부(35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35a)는, 오목부(개구 구멍을 포함함)로 할 수 있고, 상기 덮개체(50)와의 사이에서 탄성 결합 가능한 결합 수단을 구성하고, 덮개체(50)를 탄성적으로 결합한 상태(덮개체(50)가 지지체(30)에 대해 고정된 상태)에서 보유 지지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각 사이드 벽(35)에는, 결합부(35a)에, 후술하는 걸림 갈고리가 안내되도록 경사진 안내면(35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체(30)에 대해서는, 상기 통체(20)의 외측의 개구(20A)를 개폐하는 덮개체(50)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덮개체(50)의 본체(50A)는, 예를 들어 수지제의 재료로 일체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대략 직사각형의 프레임부(51)와, 돔 형상으로 팽출되는 팽출부(5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프레임부(51)의 상편의 양측에는, 상기 지지체(30)의 한 쌍의 지지부(34)가 들어갈 수 있도록 절결부(51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부(51)의 양측 상단에는, 상기 지지체(30)에 돌출 형성된 지지부(34)의 지지 구멍(34a)에 대응하도록 지지 구멍(51a)이 형성되어 있고, 이 부분에 지지축(53)이 배치됨으로써, 덮개체(50)는, 지지체(3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 지지축(53)은, 회동 스프링(54)을 삽입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회동 스프링(54)의 가압력에 의해, 덮개체(50)는, 상시 지지축(53)을 중심으로 하여 상방으로 개방되는 방향(도 8의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즉, 회동 스프링(54)은, 스프링부의 양단에 형성된 접촉부(54a)와, 스프링부의 중앙에 형성된 접촉부(54b)를 구비하고 있고, 양단의 접촉부(54a)가 지지체(30)에 접촉되어, 중앙의 접촉부(54b)가 후술하는 플레이트에 접촉됨으로써, 덮개체(50)를 상시, 지지축(53)을 중심으로 하여 상방으로 개방되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상기 팽출부(52)에는, 좌우에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한 쌍의 개구(5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52a)에는, 각각 예를 들어 수지 성형에 의해 형성된 조작 부재(조작 레버)(55)가 배치된다. 각 조작 부재(55)는,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도록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양쪽의 조작 부재를 손가락으로 집을(검지과 엄지 사이에 끼울) 수 있도록 수직 벽(55a)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조작 부재(55)의 서로 대향하는 측부에는, 각각 원형 개구(55b)가 형성되어 있고, 이 부분에 압박 스프링(57)을 배치하여, 서로의 조작 부재(55)를 이반되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다. 그리고 팽출부(52)의 이면의 상하에는, 각 한 쌍의 가이드부(52b)가 일체 형성되어 있고, 이 부분에 조작 부재(55)의 판상부(55d)가 위치되어, 조작 부재(55)를 좌우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보유 지지하고 있다.
즉, 양 조작 부재(55)의 원형 개구(55b)에, 하나의 압박 스프링(57)이 개재됨으로써, 양 조작 부재(55)는 손가락으로 집어, 가압력에 저항하여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음과 함께, 손가락으로 집지 않을 때는, 압박 스프링(57)의 가압력에 의해 서로 이반되는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조작 부재(55)를 하나의 압박 스프링에 의해 서로 이반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결합 상태로 함으로써, 가령 한쪽 조작 부재가 오조작으로 해제 방향으로 압입되었다고 해도, 다른 쪽 조작 부재는 압박 스프링의 가압력 방향으로 압입되는 상태로 되어 결합 상태가 해제되는 일은 없기 때문에, 확실하게, 오조작에 의한 덮개체의 개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양 부재 사이에 하나의 압박 스프링을 개재시킴으로써 구조가 간략화되어 조립 작업이 용이해진다.
물론, 각 조작 부재에 압박 스프링을 배치하여, 서로 이반되는 방향으로 가압해도 된다.
상기 각 조작 부재(55)에는, 상기 지지체(30)의 사이드 벽(35)에 형성된 결합부(35a)에 결합 가능한 돌기를 갖는 갈고리(55e)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를 갖는 갈고리(55e)는, 각 조작 부재(55)가 압박 스프링(57)의 가압력으로 서로 이반되는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에서, 경사진 안내면(35b)에 가압력에 저항하여 안내되어 결합부(35a)에 결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조작 부재(55)의 돌기를 갖는 갈고리(55e)와, 이것을 수용하는 지지체(30)의 결합부(오목부)(35a)는 결합 수단을 구성하고 있고, 양 돌기를 갖는 갈고리(55e)는, 압박 스프링(57)에 의해 결합부(35a)와 결합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덮개체(50)를 회동 스프링(54)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지지체(30)에 대해 폐쇄하면, 돌기를 갖는 갈고리(55e)가 압박 스프링(57)에 의한 가압력(탄성력)에 의해 결합부(35a)에 결합된다. 또한, 양 조작 부재(55)를 압박 스프링(57)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조작(집는 조작)함으로써, 양자의 탄성 결합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고, 덮개체(50)는, 그대로 회동 스프링(54)의 가압력에 의해 지지체(30)에 대해 회동 구동된다.
또한, 상기한 지지체(30)와 조작 부재(55)에 설치되는 결합 수단에 대해서는, 어느 것이 갈고리(돌기)여도 되고, 결합 관계에 대해서는, 갈고리와 오목부의 결합 관계여도 되고, 볼록부끼리 서로 걸림 가능한 관계여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체(30)의 사이드 벽(35)에 볼록부(35f)를 형성해 두고, 이 부분에, 상기한 돌기를 갖는 갈고리(55e)를 결합시키는 구성이어도 된다.
상기 조작 부재(55)가 조립되는 덮개체(50)에는, 복수의 비스 구멍(60)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비스 구멍(60)은, 팽출부(52)의 이면측으로부터, 측벽(3A)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덮개체(50)의 네 코너에 4개소 형성되어 있다. 이 덮개체(50)에는, 상기 비스 구멍(60)에 비스(도시하지 않음)를 나사 삽입함으로써 판상의 플레이트(65)가 설치되도록 되어 있고, 플레이트(65)를 설치함으로써 프레임부(51)의 내측이 폐색되고, 상기 한 쌍의 조작 부재(55)가 빠짐 방지 보유 지지된다.
이 경우, 플레이트(65)에는, 좌우에 각각 コ 형상의 절결부(65a)가 형성되어 있고, 플레이트(65)에 의해 폐색되는 상기 양 조작 부재(55)의 돌기를 갖는 갈고리(55e)가 노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플레이트(65)를 덮개체(50)에 부착하면, 상기 회동 스프링(54)은 노출된 상태로 되어, 중앙의 접촉부(54b)가 플레이트(65) 상단 에지(65b)에 접촉한다.
상기 플레이트(65)를 부착하였을 때의 노출면에는, 통체(20)의 개구(20A)에 끼워지도록 원형 돌기부(65c)가 일체 형성되어 있는, 이 원형 돌기부(65c)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제의 커버체(66)를 설치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의해, 덮개체(20)를 폐쇄하였을 때, 통체(20)의 개구(20A)와의 사이에서 시일성이 확보되고, 커버체(66)가 개구(20A)와 밀착되어 누수를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본체(3)의 측벽(3A)에 장착된 물 방출부(1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보냉 상자의 통상의 상태에서는, 덮개체(50)는, 회동 스프링(54)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지지체(30)에 대해 결합되어 있다(도 7의 (a) 및 도 8, 도 9 참조). 이때, 덮개체(50)의 본체(50A)에 부착된 플레이트(65)의 커버체(66)가, 통체(20)의 개구(20A)에 밀착 끼워 맞춤되어 있어, 내부의 물이 외부로 누설되는 일은 없다(덮개체의 폐색 상태). 또한, 이 상태에서는, 덮개체(50)의 조작 부재(55)에 형성된 한 쌍의 돌기를 갖는 갈고리(55e)가, 지지체(30)의 결합부(오목부)(35a)와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덮개체(50)의 회동이 저지되어, 물 방출부가 개방되는 일은 없다.
물을 방출하는 경우는, 한 쌍의 조작 부재(55)의 수직 벽(55a)을 손가락으로 집는다(검지와 엄지 사이에 끼운다). 이때, 각 조작 부재(55)는, 압박 스프링(57)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각 조작 부재(55)의 돌기를 갖는 갈고리(55e)는 지지체(30)의 결합부(오목부)(35a)로부터 빠진다. 이에 의해, 덮개체(50)와 지지체(30)의 결합 관계가 해제되고, 덮개체(50)는, 회동 스프링(54)의 가압력에 의해, 도 8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되어,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체(50)는 개방된다(통체(20)의 개구(20A)가 해방된다). 이 상태에서, 본체(3) 내의 물을, 통체(20)를 통해 외부로 유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덮개체(50)의 프레임부(51)의 양 에지(51c)가, 지지체(30)에 형성된 사이드 벽(35)의 상단 단차부(35d)에 접촉함으로써 덮개체(50)의 회동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고, 덮개체(50)는 지지체(30)(측벽(3A))에 대해 대략 90°의 위치에서 회동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물 방출 시에서는, 덮개체(50)는, 손가락으로 들어올림 조작하는 일 없이 회동 스프링(54)의 가압력만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여 대략 수평 위치에서 고정되기 때문에, 본체(3)를 기울여 물을 방출하는 경우, 자동적으로 덮개체(50)가 유출 경로로부터 퇴피되게 되어, 유출되는 물이 덮개체(50)에 닿는 것이 방지되어, 위생적으로 내부의 물을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지지체(30)와 덮개체(50)는, 탄성 결합 가능한 결합 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있고, 덮개체(50)에, 결합 수단에 의한 탄성 결합을 해제하는 조작 부재(55)를 설치함으로써, 조작 부재(55)를 조작(본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조작 부재(55)를 집을 뿐인 간단한 조작)하여 탄성 결합을 해제하는 것만으로 통체(20)의 개구(20A)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구성에서는, 지지체(30)와 덮개체(50)가, 지지체에 형성된 지지부(34)에 지지되는 지지축(53)을 기준으로 위치 결정할 수 있으므로, 결합 수단인 돌기를 갖는 갈고리(55e)와 결합부(오목부)(35a)를 고정밀도로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결합 수단의 한쪽을, 물 방출부를 설치하는 본체(3)측에 설치한 구성과 비교하면, 설치 정밀도가 좋아지기 때문에, 양자의 결합 정밀도가 좋아져, 덮개체(50)의 안정된 개폐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덮개체(50)를 폐색할 때에는, 회동 스프링(54)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덮개체(50)를 지지체(30)를 향해 회동하고, 지지체(30)에 대해 압입할 뿐인 간단한 조작으로 결합 수단을 결합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폐색 조작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부재(55)는, 한 쌍의 레버 형태로 서로 집도록 구성하고 있었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결합 수단으로 지지체(30)에 대해 결합되는 단일의 레버로 구성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부재(55)를 덮개체(50)의 팽출부(52)의 일방측만에 배치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덮개체의 본체(50A)의 이면에, 압박 스프링(57)의 기단측을 수용함과 함께 기단부를 접촉하여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90)를 구비한 보유 지지 벽(91)이 설치되어 있고, 단일의 조작 부재(55)를 도 12의 화살표 D 방향으로 가압하여, 결합 수단(돌기를 갖는 갈고리(55e)와 오목부(35a))을 그 가압력에 의해 결합시키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덮개체를 개방하는 조작 및 구조도 간략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덮개체(50)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보유 지지 벽을 설치하는 일 없이, 압박 스프링(57)을 그대로 프레임부(51)에 접촉하거나, 부분적으로 접촉부를 형성해 두고, 여기에 맞닿게 해도 된다.
또한,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부재(55A)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고, 하방을 향해 결합 수단(도시하지 않음)이 결합 상태로 되도록 압박 가압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조작 부재(55A)의 조작 벽(55b)에 손가락을 대고, 가압력에 저항하여 화살표 D1 방향으로 조작 부재(55A)를 들어올림 조작(인상 조작)함으로써 결합 수단의 결합을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조작 부재의 조작 방향에 대해서도 적절하게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것 이외에도, 버튼식 조작 부재를 압입 조작하거나, 볼록 부재를 슬라이드 조작함으로써, 결합 수단의 결합 상태를 해제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덮개체의 형상에 대해서는, 원 형상으로 하는 등, 특별히 한정되는 일은 없다.
1 : 보냉 상자
3 : 본체
3A, 3B : 측벽
10 : 물 방출부
20 : 통체
30 : 지지체
50 : 덮개체
55 : 조작 부재

Claims (9)

  1. 본체의 측벽에 설치되고,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방출하는 물 방출부를 구비한 보냉 상자에 있어서,
    상기 물 방출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연통되고, 본체의 내부에 고인 물의 방출 유로가 되는 통체와,
    상기 통체와 일체화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상기 통체의 개구를 개폐하는 덮개체를 갖고,
    상기 지지체와 덮개체는, 탄성 결합 가능한 결합 수단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덮개체에, 상기 결합 수단에 의한 탄성 결합을 해제하는 조작 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 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은, 돌기를 갖는 갈고리와, 당해 갈고리를 수용하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 상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를 갖는 갈고리는, 상기 오목부 또는 볼록부와 결합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 상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결합 수단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조작되는 적어도 하나의 레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 상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스프링 부재에 의해 서로 이반되는 방향으로 가압되는 한 쌍의 레버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가압력에 저항하여 한 쌍의 레버를 집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상기 탄성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 상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는, 상기 한 쌍의 레버 사이에 배치되고, 양 레버를 서로 이반되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 상자.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는, 상기 지지체에 대해, 스프링에 의해 개방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 상자.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체의 내측면에는, 상기 통체의 개구에 끼워 맞추어지는 고무 또는 실리콘제의 커버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 상자.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체와 지지체는, 수지제로 일체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 상자.
KR1020180129735A 2017-10-30 2018-10-29 보냉 상자 KR1026237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09611 2017-10-30
JP2017209611A JP6853765B2 (ja) 2017-10-30 2017-10-30 保冷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522A true KR20190049522A (ko) 2019-05-09
KR102623731B1 KR102623731B1 (ko) 2024-01-12

Family

ID=66295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735A KR102623731B1 (ko) 2017-10-30 2018-10-29 보냉 상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853765B2 (ko)
KR (1) KR102623731B1 (ko)
CN (1) CN109717162B (ko)
TW (1) TWI66514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70313B2 (en) 2018-12-12 2024-04-30 Yeti Coolers, Llc Insulating container
US10766672B2 (en) 2018-12-12 2020-09-08 Yeti Coolers, Llc Insulating container
JP7311391B2 (ja) * 2019-10-25 2023-07-19 株式会社シマノ クーラーボックス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034A (ja) 1996-07-05 1998-01-20 Mamiya Op Co Ltd 保冷箱
JPH11208741A (ja) * 1998-01-27 1999-08-03 Shimano Inc クーラーボックス
JP2000194035A (ja) * 1998-12-28 2000-07-14 Sony Corp レンズキャップホルダ―
JP2017047918A (ja) * 2015-08-31 2017-03-09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開閉蓋を備える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31310A (en) * 1973-03-08 1974-08-27 G Frangullie Live bait bucket
JPS62181161U (ko) * 1986-05-08 1987-11-17
US4815411A (en) * 1987-10-23 1989-03-28 Burgess Dennis F Container for carrying live fish
JPH01262534A (ja) * 1988-04-13 1989-10-19 Konica Corp ハロゲン化銀写真感光材料
JP3993701B2 (ja) * 1998-06-19 2007-10-17 株式会社シマノ クーラーボックス
JP4305624B2 (ja) * 2003-02-06 2009-07-29 株式会社ニフコ 保冷箱のラッチ装置
JP2010168100A (ja) * 2009-01-26 2010-08-05 Globeride Inc 保冷箱
US20140252010A1 (en) * 2013-03-11 2014-09-11 Garrett Miller Insulated Container and Drain Plug with Valve Aspect
JP5646009B1 (ja) * 2013-07-05 2014-12-24 サーモス株式会社 飲料容器の栓体
CN206101379U (zh) * 2016-09-30 2017-04-19 池建勇 钓鱼箱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034A (ja) 1996-07-05 1998-01-20 Mamiya Op Co Ltd 保冷箱
JPH11208741A (ja) * 1998-01-27 1999-08-03 Shimano Inc クーラーボックス
JP3669666B2 (ja) 1998-01-27 2005-07-13 株式会社シマノ クーラーボックス
JP2000194035A (ja) * 1998-12-28 2000-07-14 Sony Corp レンズキャップホルダ―
JP2017047918A (ja) * 2015-08-31 2017-03-09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開閉蓋を備える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917074A (zh) 2019-05-01
KR102623731B1 (ko) 2024-01-12
CN109717162A (zh) 2019-05-07
TWI665140B (zh) 2019-07-11
JP6853765B2 (ja) 2021-03-31
JP2019080521A (ja) 2019-05-30
CN109717162B (zh) 202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9522A (ko) 보냉 상자
CA2948174A1 (en) Mechanically sealed container cap
KR101568633B1 (ko) 음료용 용기의 덮개체 구조
US8336724B2 (en) Beverage container
KR102191472B1 (ko)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US10472140B2 (en) Water bottle with self-closing valve
US9346592B2 (en) Modular equipment case
US10518944B2 (en) Drinking vessel lid assembly
KR102341050B1 (ko)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US20180118417A1 (en) Leak-Proof Push Button Lid
JP6343704B2 (ja) 飲料容器
JP6133381B2 (ja) 飲料容器
US9775453B2 (en) Travel mug lid
JP2019118308A (ja) 保冷箱
JP6133196B2 (ja) 飲料容器
JP2007135892A (ja) 液体容器の中栓構造
JP6453936B2 (ja) 飲料容器
JP7400352B2 (ja) 収納容器
US8306463B2 (en) Toner cartridge with rotator and sliding cover for toner leakage reduction
ITMI20030253U1 (it) Contenitore di toner per l'impiego con un dispositivo sviluppatore in una apparecchiatura di formazione di immagini
JP2002300971A (ja) エアーポット
JPH0688048U (ja) 電池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