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1723B1 - 편광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편광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1723B1
KR102401723B1 KR1020140174444A KR20140174444A KR102401723B1 KR 102401723 B1 KR102401723 B1 KR 102401723B1 KR 1020140174444 A KR1020140174444 A KR 1020140174444A KR 20140174444 A KR20140174444 A KR 20140174444A KR 102401723 B1 KR102401723 B1 KR 102401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ing film
polyolefin resin
substituted
unsubstituted
naphtha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4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8559A (ko
Inventor
문득규
김하나
박상호
이용주
원종훈
정명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4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1723B1/ko
Priority to US14/709,969 priority patent/US9335442B1/en
Publication of KR20160068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8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1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1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31/00Disazo and polyazo dyes of the type A->B->C, A->B->C->D, or the like,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 C09B31/16Trisazo dyes
    • C09B31/26Trisazo dyes from other coupling components "D"
    • C09B31/28Heterocyclic compoun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폴리올레핀 수지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이색성 염료의 용융 연신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 필름 및 상기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편광 필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4118850518-pat00013

상기 화학식 1에서 각 치환기의 정의는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바와 같다.

Description

편광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POLARIZING FILM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POLARIZING FILM}
편광 필름 및 상기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OLED device)와 같은 표시 장치는 표시판의 외측에 부착되어 있는 편광판(polarizing plate)를 구비한다. 편광판은 특정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만 통과시키고 그 밖의 빛은 흡수 또는 반사함으로써 표시판으로 입사되는 빛 또는 표시판으로부터 나가는 빛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편광판은 일반적으로 편광자와 이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층을 포함한다. 편광자는 예컨대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를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에 흡착 및 배향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보호층은 예컨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즈(triacetyl cellulose, TAC)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편광자 및 보호층을 포함하는 편광판은 공정이 복잡하고 생산 비용이 높을 뿐만 아니라 편광판의 두께가 두꺼워져 표시 장치의 두께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호층이 필요하지 않은 편광 필름에 대하여 연구되고 있다.
일 구현예는 편광 특성이 우수하고 장파장 영역의 흡수도가 우수한 편광 필름을 제공한다.
다른 구현예는 상기 편광 필름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또 다른 구현예는 편광 필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폴리올레핀 수지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이색성 염료의 용융 연신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 필름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4118850518-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X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20의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20의 알콕시기이고, 나프탈렌의 6번 또는 7번 위치에 연결되고,
Ra 내지 Rd는 수소, 할로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5의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5의 알콕시기이고,
p, q, r 및 s는 0 내지 3의 정수이고,
R1와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킬기 또는 서로 연결되어 고리를 형성하고,
첫번째 아조기는 나프탈렌의 1번, 2번 또는 3번 위치에 연결된다.
X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8 내지 C20의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8 내지 C20의 알콕시기일 수 있다.
첫번째 아조기가 나프탈렌의 2번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 X가 나프탈렌의 6번 위치에 존재할 수 있으며, 첫번째 아조기가 나프탈렌의 3번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 X가 나프탈렌의 7번 위치에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이색성 염료의 종횡비(aspect ratio)는 약 2.5 내지 약 5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와 이색성 염료의 용해도 파라미터 차이는 약 7.4 내지 약 10일 수 있다.
상기 이색성 염료의 분해온도는 약 245 ℃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약 300 ℃ 이하의 용융점(Tm)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약 1 g/10min 내지 15 g/10min의 용융흐름지수(MFI)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프로필렌(PP)과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공중합체(PE-PP)의 혼합물이고, 상기 폴리프로필렌(PP)은 약 0.1 g/10min 내지 약 5 g/10min의 용융흐름지수(MFI)를 가질 수 있고, 상기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PE-PP)는 약 5 g/10min 내지 약 15 g/10min의 용융흐름지수(MFI)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프로필렌(PP)과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공중합체(PE-PP)의 혼합물일 수 있고, 상기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공중합체(PE-PP)는 폴리에틸렌의 함량이 약 1 내지 5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상기 폴리프로필렌과 상기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를 1:9 내지 9: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색성 염료는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0.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이색성 염료는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0.05 내지 1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은 약 600 nm 이상의 파장 영역에서 이색비(dichroic ratio)가 약 3 내지 약 10일 수 있다.
상기 이색성 염료는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에 분산될 수 있고,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약 400 내지 약 1000%로 일축 연신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폴리올레핀 수지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이색성 염료를 포함하는 편광 필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4118850518-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X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20의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20의 알콕시기이고, 나프탈렌의 6번 또는 7번 위치에 연결되고,
Ra 내지 Rd는 수소, 할로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5의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5의 알콕시기이고,
p, q, r 및 s는 0 내지 3의 정수이고,
R1와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킬기 또는 서로 연결되어 고리를 형성하고,
첫번째 아조기는 나프탈렌의 1번, 2번 또는 3번 위치에 연결된다.
상기 편광 필름용 조성물은 고형분이 약 90 중량%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용 조성물은 용매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은 폴리올레핀 수지와 이색성 염료의 조합에 의해 상용성 및 분산성을 높임으로써 개선된 편광 특성을 가지고 장파장 영역의 흡수도가 우수하다.
도 1은 일 구현예에 따른 편광 필름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일 구현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일 구현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실시예 1 내지 3에 따른 편광 필름의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이색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5는 비교예 1에 따른 편광 필름의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이색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별도의 정의가 없는 한, "치환된"이란, 작용기 또는 화합물 중의 수소 원자가 C1 내지 C10 알킬기, C2 내지 C20 알케닐기, C2 내지 C20 알키닐기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된 치환기로 치환된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편광 필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일 구현예에 따른 편광 필름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일 구현예에 따른 편광 필름(70)은 폴리올레핀 수지(71)와 이색성 염료(72)를 포함한다.
상기 편광 필름(70)은 폴리올레핀 수지(71)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이색성 염료(72)를 포함하는 용융 연신 필름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4118850518-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X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20의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20의 알콕시기이고, 나프탈렌의 6번 또는 7번 위치에 연결되고,
Ra 내지 Rd는 수소, 할로겐(F, Cl, Br 또는 I),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5의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5의 알콕시기이고,
p, q, r 및 s는 0 내지 3의 정수이고,
R1와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킬기 또는 서로 연결되어 고리를 형성하고,
첫번째 아조기는 나프탈렌의 1번, 2번 또는 3번 위치에 연결된다.
일 예로 X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20의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20의 알콕시기일 수 있으며, 다른 예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8 내지 C20의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8 내지 C20의 알콕시기일 수 있다. 이러한 X는 이색성 염료의 용해도 파라미터를 조절하는 것으로 폴리올레핀 수지와의 상용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첫번째 아조기가 1번, 2번 또는 3번 위치에 연결되고 X가 나프탈렌의 6번 또는 7번 위치에 연결되는 경우 이들 치환기의 선형성(linearity)이 유지되어 이색성 염료의 종횡비를 약 2.5 내지 약 5로 조절하여 이색성 염료의 600 nm 이상의 장파장 흡수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색성 염료를 포함하는 편광 필름의 이색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첫번째 아조기가 나프탈렌의 2번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 X가 나프탈렌의 6번 위치에 존재할 수 있으며, 첫번째 아조기가 나프탈렌의 3번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 하는 X가 나프탈렌의 7번 위치에 존재할 수 있다. 나프탈렌을 중심으로 첫번째 아조기와 X가 상기와 같은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색성 염료의 종횡비를 약 2.5 내지 약 5로 조절하여 상기 이색성 염료의 약 600 nm 이상의 파장 영역에서 광 흡수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약 600 nm 이상의 장파장 영역에서 편광 필름으로 사용되기에 적합한 이색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알킬기 및 알콕시기는 분지형 또는 선형일 수 있으나, 선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1에서 p, q, r 및 s가 2 또는 3의 정수인 경우 각각의 Ra 내지 Rd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상기 Ra 내지 Rd는 첫번째 아조기에 대하여 나프탈렌의 오르쏘(ortho) 위치에 치환된 할로겐(F, Cl, Br 또는 I),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5의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5의 알콕시기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에서 두번째 아조기와 세번째 아조기 사이에 존재하는 나프탈렌은 상기 이색성 염료가 약 600 nm 이상의 장파장 영역의 빛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한다. 또한 1,4-위치로 연결됨으로써 이색성 염료의 종횡비를 2.5 내지 5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즉 특정 위치로 연결되는 제1 나프탈렌기, 페닐렌기, 제2 나프탈렌기, 티오펜기, 그리고 아민기(-NR1R2)가 연속하여 존재함으로써 장파장 영역의 빛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나프탈렌기와 제 2 나프탈렌기는 일정한 방향성으로 배열하여 장파장 영역의 광 흡수에 유리한 구조로 디자인할 수 있다.
상기 이색성 염료(72)의 보다 구체적인 예로는 하기 화학식 1-1 내지 1-3을 들 수 있다.
[화학식 1-1]
Figure 112014118850518-pat00004
[화학식 1-2]
Figure 112014118850518-pat00005
[화학식 1-3]
Figure 112014118850518-pat00006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짐으로써 이색성 염료(72)의 종횡비(aspect ratio)는 약 2.5 내지 약 5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이색성 염료(72)는 폴리올레핀 수지(71)와의 용해도 파라미터(solubility parameter) 차이가 약 7.4 내지 약 10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8 내지 10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용해도 파라미터는 두 종류 이상의 화합물들의 상용성(compatibility)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로, 화합물들 사이의 용해도 파라미터 차이가 작을수록 상용성이 큰 것을 의미하고 화합물들 사이의 용해도 파라미터 차이가 클수록 상용성이 적은 것을 의미한다. 상기 이색성 염료(72)와 폴리 올레핀 수지(71)의 용해도 파라미터가 7.4 이상으로 조절되면 상용성이 다소 저하될 수 있으나 상기 이색성 염료(72)의 종횡비를 조절하여 이러한 상용성 저하를 보상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71)의 용해도 파라미터는 예컨대 약 15 내지 18 일 수 있다. 따라서 폴리올레핀 수지의 용해도 파라미터가 상기 범위일 때, 이색성 염료는 용해도 파라미터가 예컨대 23 이상인 것이 좋다.
상기 이색성 염료(72)의 분해온도는 약 245 ℃ 이상, 구체적으로는 약 245 ℃ 내지 약 400 ℃일 수 있다. 여기서 분해온도는 이색성 염료의 중량이 초기 중량 대비 5% 감소하는 지점에서의 온도를 말한다. 이와 같은 분해 온도를 가짐으로써 용융 연신 공정에 적합할 수 있다.
상기 종횡비(aspect ratio)는 약 2.5 내지 약 5의 범위에 있다. 상기와 같은 종횡비를 가지는 경우 상기 이색성 염료의 약 600 nm 이상의 장파장 영역의 흡수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이색성 염료를 포함하는 편광 필름의 이색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71)는 약 300 ℃ 이하, 구체적으로는 약 150 ℃ 내지 약 300 ℃의 용융점(Tm)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71)는 예컨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공중합체(PE-PP)에서 선택된 적어도 둘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71)는 예컨대 폴리프로필렌(PP) 및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PE-PP)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71)는 약 1g/10min 내지 약 15g/10min, 구체적으로 약 3 g/10min 내지 11 g/10min, 보다 더 구체적으로 약 5 g/10min 내지 11 g/10min의 용융흐름지수(melt flow index, MFI)를 가질 수 있다. 폴리올레핀 수지의 용융흐름지수(MFI)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수지 내에 과도한 결정이 형성되지 않아 우수한 광 투과도를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필름으로 제조하기에 적합한 점도를 가질 수 있어 가공성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PP)은 예컨대 약 0.1 g/10min 내지 약 10 g/10min, 구체적으로는 약 3 g/10min 내지 약 9 g/10min의 용융흐름지수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용융흐름지수(MFI)는 10분당 용융 상태의 고분자가 흘러내리는 양을 나타내는 것으로, 용융 상태의 고분자의 점도와 관련이 있다. 즉 용융흐름지수(MFI)가 작을수록 고분자의 점도가 크고 용융흐름지수(MFI)가 클수록 고분자의 점도가 작음을 알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의 용융흐름지수(MFI)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가공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으며, 최종 제품의 물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PE-PP)는 약 5 g/10min 내지 약 15 g/10min, 구체적으로는 약 5 g/10min 내지 약 11 g/10min의 용융흐름지수(MFI)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PE-PP)의 용융흐름지수(MFI)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가공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으며, 최종 제품의 물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PE-PP)는 상기 공중합체의 총 함량에 대하여 약 1 중량% 내지 약 50 중량%, 구체적으로 약 1 중량% 내지 약 25 중량%의 폴리에틸렌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PE-PP)에서 폴리에틸렌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상기 폴리프로필렌과 상기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PE-PP)의 상분리를 효과적으로 방지 내지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우수한 광 투과도 및 배향성을 가지면서도 연신할 때 연신율을 증가시킬 수 있어서 개선된 편광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71)는 상기 폴리프로필렌(PP)과 상기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PE-PP)를 약 1:9 내지 약 9:1의 중량비, 구체적으로 약 7:3 내지 약 3:7의 중량비, 보다 구체적으로 약 4:6 내지 약 6:4의 중량비,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약 5:5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PP)과 상기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PE-PP)가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경우,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가지면서도 폴리프로필렌의 결정화를 방지하여 헤이즈 특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71)는 약 5% 이하의 헤이즈, 구체적으로 약 2%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 약 0.5% 내지 약 2%의 헤이즈를 를 가질 수 있다. 폴리올레핀 수지가 상기 범위의 헤이즈를 가짐으로써, 투과도가 증가하여 우수한 광학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71)는 약 50% 이하의 결정화도, 구체적으로 약 30% 내지 약 50%의 결정화도를 가질 수 있다. 폴리올레핀 수지가 상기 범위의 결정화도를 가짐으로써, 헤이즈를 낮출 수 있어 우수한 광학 특성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71)는 유사한 물리적 광학적 특성을 가지는 다른 수지와로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폴리올레핀 수지는 녹는점이 약 130℃ 이상이면서 결정화도가 50% 이하인 투명 수지와 혼합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 투명 수지의 예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글리콜(PETG)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71)는 일축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 상기 일축 방향은 이색성 염료(72)의 길이 방향과 같을 수 있다.
상기 이색성 염료(72)는 폴리올레핀 수지(71)에 분산되어 있으며, 폴리올레핀 수지(71)의 연신 방향을 따라 일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색성 염료(72)는 소정 파장 영역에 대하여 두 개의 편광 직교 성분 중 하나의 편광 직교 성분만을 투과시킬 수 있다.
상기 이색성 염료(72)는 폴리올레핀 수지(71)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0.01 내지 약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폴리올레핀 수지(71)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0.05 내지 약 1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됨으로써 편광 필름의 투과도를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충분한 편광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70)은 약 600 nm 이상의 파장 영역에서 이색비(dichroic ratio)가 약 3 내지 10일 수 있다. 여기서 이색비는 고분자의 축(axis)에 수직한 방향의 평면 편광 흡수를 그의 수평한 방향으로의 편광 흡수로 나눈 값으로,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구해질 수 있다.
[수학식 1]
DR = Log(1/T) / Log(1/T)
상기 수학식 1에서,
DR은 편광 필름의 이색비이고,
T는 편광 필름의 투과축에 평행으로 입사한 빛에 대한 편광 필름의 광 투과도이고,
T는 편광 필름의 투과축에 수직으로 입사한 빛에 대한 편광 필름의 광 투과도이다.
상기 이색비는 편광 필름(70) 내에서 이색성 염료(72)가 일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정도를 나타낼 수 있으며, 약 600 nm 이상의 파장 영역에서 상기 범위의 이색 비를 가짐으로써 고분자 사슬의 배향에 따라 이색성 염료(72)의 배향을 유도할 수 있어서 편광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70)은 약 30% 이상의 광 투과도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내에서 약 30% 내지 95%의 광 투과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범위의 광 투과도를 가짐으로써 표시 장치의 일면에 적용시 표시 장치 내에서 나오는 광의 방출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70)은 폴리올레핀 수지와 이색성 염료를 포함하는 편광 필름용 조성물을 용융 혼합한 후 연신하여 제조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편광 필름(70)은 예컨대 폴리올레핀 수지와 이색성 염료를 포함하는 편광 필름용 조성물을 용융 혼합하는 단계, 상기 용융 혼합물을 몰드에 넣고 가압하여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시트를 일축 연신하는 단계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와 이색성 염료는 각각 분말(powder)과 같은 고체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용 조성물은 예컨대 고형분이 약 90중량% 이상일 수 있으며, 예컨대 용매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융 혼합하는 단계는 상기 편광 필름용 조성물을 예컨대 약 300℃ 이하, 구체적으로 약 50 내지 300℃에서 용융 혼합할 수 있다.
상기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몰드에 용융 혼합물을 넣고 고압 프레스기로 가압하거나, 또는 티다이(T-die)를 통해 칠롤(chill roll)에 토출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일축 연신하는 단계는 약 30 내지 약 200℃의 온도에서 약 400% 내지 약 1000%의 연신율로 연신할 수 있다. 여기서 연신율은 상기 시트의 연신 전 길이와 연신 후 길이의 비율을 말하는 것으로, 일축 연신 후 시트가 늘어난 정도를 의미한다.
편광 필름(70)은 약 100㎛ 이하의 비교적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예컨대 약 30㎛ 내지 약 95㎛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범위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트리아세틸셀룰로오즈(TAC)과 같은 보호층이 요구되는 편광판과 비교하여 두께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박형 표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70)은 다양한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도 2는 일 구현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패널(10) 및 상기 액정 표시 패널(10)의 하부 및 상부에 위치하는 편광 필름(20)을 포함한다.
액정 표시 패널(10)은 트위스트 네마틱(twist nematic, TN) 모드, 수직 배향(patterned vertical alignment, PVA) 모드, 평면 정렬 스위칭(in plane switching, IPS) 모드, OCB(optically compensated bend) 모드 등일 수 있다.
액정 표시 패널(10)은 제1 표시판(100), 제2 표시판(200) 및 제1 표시판(100)과 제2 표시판(200)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액정층(300)을 포함한다.
제1 표시판(100)은 예컨대 기판(도시하지 않음) 위에 형성되어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도시하지 않음) 및 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전기장 생성 전극(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표시판(200)은 예컨대 기판(도시하지 않음) 위에 형성되어 있는 색 필터(도시하지 않음) 및 제2 전기장 생성 전극(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색 필터가 제1 표시판(100)에 포함될 수도 있고, 제1 전기장 생성 전극과 제2 전기장 생성 전극이 제1 표시판(100)에 함께 위치할 수도 있다.
액정층(300)은 복수의 액정 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액정 분자는 양 또는 음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질 수 있다. 액정 분자가 양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지는 경우 전기장이 없는 상태에서 그 장축이 제1 표시판(100)과 제2 표시판(200)의 표면에 대하여 거의 평행을 이루도록 배향되고 전기장이 인가된 상태에서 그 장축이 제1 표시판(100)과 제2 표시판(200)의 표면에 대하여 거의 수직을 이루도록 배향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액정 분자가 음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지는 경우 전기장이 없는 상태에서 그 장축이 제1 표시판(100)과 제2 표시판(200)의 표면에 대하여 거의 수직하게 배향되고 전기장이 인가된 상태에서 그 장축이 제1 표시판(100)과 제2 표시판(200)의 표면에 대하여 거의 평행하게 배향될 수 있다.
편광 필름(20)은 액정 표시 패널(10)의 외측에 위치하며, 도면에는 액정 표시 패널(10)의 하부 및 상부에 각각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액정 표시 패널(10)의 하부 및 상부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편광 필름(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폴리올레핀 수지 및 상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이색성 염료를 포함하며, 자세한 내용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도 3은 일 구현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일 구현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베이스 기판(410), 하부 전극(420), 유기 발광층(430), 상부 전극(440), 봉지 기판(450), 위상차 필름(460) 및 편광 필름(470)을 포함한다.
베이스 기판(410)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하부 전극(420) 및 상부 전극(440) 중 하나는 애노드(anode)이고 다른 하나는 캐소드(cathode)일 수 있다. 애노드는 정공(hole)이 주입되는 전극으로, 일 함수(work function)가 높고 발광된 빛이 외부로 나올 수 있는 투명 도전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ITO 또는 IZO 일 수 있다. 캐소드는 전자(electrode)가 주입되는 전극으로, 일 함수가 낮고 유기 물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도전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알루미늄(Al), 칼슘(Ca) 및 바륨(Ba)에서 선택될 수 있다.
유기 발광층(430)은 하부 전극(420)과 상부 전극(440)에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빛을 낼 수 있는 유기 물질을 포함한다.
하부 전극(420)과 유기 발광층(430) 사이 및 상부 전극(440)과 유기 발광층(430) 사이에는 부대층(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부대층은 전자와 정공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정공 전달층(hole transporting layer), 정공 주입층(hole injecting layer),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ng layer) 또는 전자 전달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봉지 기판(450)은 유리, 금속 또는 고분자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하부 전극(420), 유기 발광층(430) 및 상부 전극(440)을 봉지하여 외부로부터 수분 및/또는 산소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위상차 필름(460)은 편광 필름(470)을 통과한 빛을 원편광시켜 위상차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빛의 반사, 흡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위상차 필름(460)은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편광 필름(470)은 빛이 나오는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 기판(410) 측으로 빛이 나오는 배면 발광(bottom emission) 구조인 경우 베이스 기판(4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고, 봉지 기판(450) 측으로 빛이 나오는 전면 발광(top emission) 구조인 경우 봉지 기판(45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편광 필름(470)은 외광을 흡수하는 광 흡수층으로 작용하여 외광 반사에 의해 표시 특성이 불량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구현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색성 염료의 합성
합성예 1: 화학식 1-1의 화합물의 합성
1-1. 모노아조 화합물의 합성
6-아미노나프탈렌-2-올(6-aminonaphthalen-2-ol) 3 g(18.85 mmol)을 아세톤 100 mL에 녹인 후, 여기에 1-브로모옥탄(1-bromooctane) 4 g (20.7 mmol)과 탄산칼륨(K2CO3) 13.0 g(94.2 mmol)을 넣는다. 이어서 상기 반응혼합물을 60 ℃에서 24시간 동안 환류 교반한 후, 실온(25 ℃)으로 온도를 낮춘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킨 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n-hexane:EtOAc = 3:1)로 정제하여 6-옥틸옥시나프탈렌-2-아민(6-(octyloxy) naphthalen-2-amine) 4.5 g (16.6 mmol)을 얻는다. 수율은 88 %이다.
6-옥틸옥시나프탈렌-2-아민(6-(octyloxy)naphthalen-2-amine) 2.71 g (10 mmol)을 아세토나이트릴 100 mL과 12N HCl 2.5 mL에 녹인 후, 여기에 아질산나트륨(NaNO2) 0.7 g (10 mmol)을 물 10 mL에 녹인 후, 상기 반응 혼합물에 천천히 적가한다. 적가가 완결되면 반응물을 0 ℃로 유지시키면서 30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아세토나이트릴 10 mL에 3-메톡시아닐린(3-methoxyaniline) 12 mmol를 녹인 후, 반응 혼합물에 천천히 적가시키고 0 ℃에서 한 시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석출된 고체를 여과한 뒤 탄산칼륨(K2CO3)으로 염기화시킨 뒤 다시 여과하여 모노아조(monoazo) 화합물, 3-메톡시-4-(6-옥틸옥시나프탈렌-2-일)다이아제닐 아닐린(3-methoxy-4-((6-(octyloxy)naphthalen-2-yl)diazenyl)aniline)을 얻는다. 수율은 62%이다.
1-2. 비스아조 화합물의 합성
상기에서 얻은 3-메톡시-4-(6-옥틸옥시나프탈렌-2-일)다이아제닐 아닐린 2.03 g (5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DMF) 100 mL와 아세트산(AcOH) 25 mL에 녹인 후, 여기에 12N HCl 1.25 mL를 첨가하고 0 ℃ 로 유지한다. 이어서 아질산나트륨(NaNO2) 350 mg (5 mmol)을 물 10 mL에 녹인 후, 상기 반응 혼합물에 천천히 적가한다. 적가가 완결되면 반응물을 0 ℃로 유지시키면서 한 시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메탄올 50 mL와 디메틸포름아미드(DMF) 25 mL 에 1-아미노나프탈렌(1-aminonaphthalene) 345 mg (5 mmol)을 녹인 후, 상기 반응 혼합물에 천천히 적가하고 0 ℃ 에서 한 시간 정도 교반한다. 이어서 수산화나트륨(NaOH) 수용액으로 중화하여 반응을 종결시킨 후, 석출된 고체를 여과한다. 상기 혼합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n-hexane:EtOAc = 3:1)로 정제하여 비스아조 화합물을 얻는다. 수율은 68 %이다.
1-3. 트리아조 화합물의 합성
상기에서 얻은 비스아조 화합물 3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DMF) 100 mL와 아세트산(AcOH) 25 mL에 녹인 후, 여기에 12N HCl 0.75 mL를 첨가하고 0 ℃ 로 유지한다. 이어서 아질산나트륨(NaNO2) 206 mg (3 mmol)을 물 2mL에 녹인 후, 상기 반응 혼합물에 천천히 적가한다. 적가가 완결되면 반응물을 0 ℃ 로 유지시키면서 한 시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메탄올 100 mL에 1-(티에-2-닐)-피페리딘(1-(thien-2-yl)-piperidine) 500 mg (3 mmol)과 수산화나트륨(NaOH) 6.5 g을 녹인 후, 상기 반응 혼합물에 천천히 적가하고 0 ℃ 에서 한 시간 정도 교반한다. 상온에서 1시간 더 교반 후 여과한 뒤 고체를 MeOH로 씻어주고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n-hexane:EtOAc = 3:1)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1로 표현되는 이색성 염료 1 g (1.36 mmol)를 얻는다. 수율은 45 %이다.
[화학식 1-1]
Figure 112014118850518-pat00007
상기 화학식 1-1로 표현되는 이색성 염료의 구조를 1H NMR 측정을 통해 분석한다.
1H NMR (500 MHz. CDCl3) δ (ppm): 0.89 (t, J=7.0 Hz, 3H, CH3), 1.29-1.38 (m, 8H, CH2 x 4), 1.46-1.52 (m, 2H, CH2), 1.67-1.71 (m, 2H, CH2), 1.73-1.78 (m, 4H, CH2 x 2), 1.82-1.86 (m, 2H, CH2), 3.50 (t, J=6.0 Hz, 4H, NCH2), 4.10 (t, J=6.5 Hz, 2H, OCH2), 4.16 (s, 3H, CH3), 6.23 (d, J=5.0 Hz, 1H, ArH), 7.16 (s, 1H, ArH), 7.2 (dd, J 1 =8.5 Hz, J 2 =2.0 Hz, 1H, ArH), 7.63 (d, J=4.5 Hz, 1H, ArH), 7.65 (d, J=8.0 Hz, 1H, ArH), 7.68-7.71 (m, 1H, ArH), 7.74-7.78 (m, 3H, ArH), 7.88 (d, J=8.5 Hz, 1H, ArH), 7.89-7.92 (m, 1H, ArH), 8.01 (d, J=8.5 Hz, 1H, ArH), 8.09 (dd, J 1 =8.5 Hz, J 2 =1.5 Hz, 1H, ArH), 8.41 (s, 1H, ArH), 8.93 (d, J=8.0 Hz, 1H, ArH), 9.02 (d, J=8.0 Hz, 1H, ArH).
합성예 2: 화학식 1-2의 화합물의 합성
3-메톡시아닐린(3-methoxyaniline) 대신 메타톨루이딘(m-toluidine)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합성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화학식 1-2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얻는다. 수율은 60 %이다.
[화학식 1-2]
Figure 112014118850518-pat00008
상기 화학식 1-2로 표현되는 이색성 염료의 구조를 1H NMR 측정을 통해 분석한다.
1H NMR (500 MHz. CDCl3) δ (ppm): 0.89 (t, J=7.0 Hz, 3H, CH3), 1.29-1.39 (m, 8H, CH2 x 4), 1.47-1.50 (m, 2H, CH2), 1.67-1.71 (m, 2H, CH2), 1.73-1.78 (m, 4H, CH2 x 2), 1.84-1.87 (m, 2H, CH2), 2.87 (s, 3H, CH3), 3.50 (t, J=6.0 Hz, 4H, NCH2), 4.10 (t, J=6.5 Hz, 2H, OCH2), 6.23 (d, J=5.0 Hz, 1H, ArH), 7.18 (s, 1H, ArH), 7.21 (dd, J 1 =9.0 Hz, J 2 =2.5 Hz, 1H, ArH), 7.63-7.65 (m, 1H, ArH), 7.67-7.71 (m, 1H, ArH), 7.77 (d, J=9.0 Hz, 1H, ArH), 7.88 (dd, J 1 =8.5 Hz, J 2 =2.0 Hz, 1H, ArH), 7.92 (d, J=8.5 Hz, 1H, ArH), 7.97 (dd, J 1 =8.5 Hz, J 2 =2.0 Hz, 1H, ArH), 7.99 (d, J=8.5 Hz, 1H, ArH), 8.02 (d, J=1.0 Hz, 1H, ArH), 8.06 (dd, J 1 =8.5 Hz, J 2 =1.5 Hz, 1H, ArH), 8.43 (s, 1H, ArH), 8.92 (d, J=8.0 Hz, 1H, ArH), 9.04 (d, J=8.0 Hz, 1H, ArH).
합성예 3: 화학식 1-3의 화합물의 합성
3-메톡시아닐린(3-methoxyaniline) 대신 3-플루오로아닐린(3-fluoroaniline)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합성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화학식 1-3으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얻는다. 수율은 54 %이다.
[화학식 1-3]
Figure 112014118850518-pat00009
상기 화학식 1-3으로 표현되는 이색성 염료의 구조를 1H NMR 측정을 통해 분석한다.
1H NMR (500 MHz. CDCl3) δ (ppm): 0.89 (t, J=7.0 Hz, 3H, CH3), 1.29-1.38 (m, 8H, CH2 x 4), 1.46-1.51 (m, 2H, CH2), 1.67-1.71 (m, 2H, CH2), 1.73-1.78 (m, 4H, CH2 x 2), 1.83-1.86 (m, 2H, CH2), 3.50 (t, J=6.0 Hz, 4 H, NCH2), 4.10 (t, J=6.5 Hz, 2 H, OCH2), 6.23 (d, J=5.0 Hz, 1 H, ArH), 7.17 (s, 1H, ArH), 7.22 (dd, J 1 =8.5 Hz, J 2 =2.0 Hz, 1 H, ArH), 7.67 (d, J=4.5 Hz, 1 H, ArH), 7.69 (d, J=8.0 Hz, 1 H, ArH), 7.70-7.73 (m, 1 H, ArH), 7.76-7.81 (m, 3 H, ArH), 7.90 (d, J=8.5 Hz, 1 H, ArH), 7.91-7.94 (m, 1 H, ArH), 8.04 (d, J=8.5 Hz, 1 H, ArH), 8.07 (dd, J 1 =8.5 Hz, J 2 =1.5 Hz, 1 H, ArH), 8.42 (s, 1H, ArH), 8.92 (d, J=8.0 Hz, 1 H, ArH), 9.03 (d, J=8.0 Hz, 1 H, ArH).
비교합성예 3: 화학식 1-4의 화합물의 합성
6-옥틸옥시나프탈렌-2-아민(6-(octyloxy)naphthalen-2-amine) 대신 4-옥틸옥시아닐린(4-octyloxyaniline)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합성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화학식 1-4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얻는다. 수율은 70 %이다.
[화학식 1-4]
Figure 112014118850518-pat00010
상기 화학식 1-4로 표현되는 이색성 염료의 구조를 1H NMR 측정을 통해 분석한다.
1H NMR (500 MHz. CDCl3) δ (ppm): 0.89 (t, J=7.0 Hz, 3H, CH3), 1.29-1.36 (m, 8H, CH2 x 4), 1.45-1.48 (m, 2H, CH2), 1.69-1.72 (m, 2H, CH2), 1.73-1.78 (m, 4H, CH2 x 2), 1.79-1.82 (m, 2H, CH2), 3.50 (t, J=5.0 Hz, 4H, NCH2), 4.03 (t, J=6.5 Hz, 2H, OCH2), 4.15 (s, 3H, CH3), 6.24 (d, J=4.5 Hz, 1H, ArH), 7.0 (dd, J 1 =7.0 Hz, J 2 =2.0 Hz, 2H, ArH), 7.63 (d, J=6.0 Hz, 1H, ArH), 7.65-7.73 (m, 2H, ArH), 7.76 (d, J=2.0 Hz, 1H, ArH), 7.83 (d, J=8.5 Hz, 1H, ArH), 7.87 (d, J=8.5 Hz, 1H, ArH), 7.95 (dd, J 1 =7.0 Hz, J 2 =2.0 Hz, 1H, ArH), 7.99 (d, J=8.5 Hz, 1H, ArH), 8.93 (d, J=8.0 Hz, 1H, ArH), 9.01 (d, J=8.0 Hz, 1H, ArH).
편광 필름의 제조
실시예 1
폴리프로필렌(PP)과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공중합체(PP-PE)를 5:5(w/w)으로 포함한 폴리올레핀 수지와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합성예 1에서 얻은 이색성 염료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편광 필름용 조성물을 준비한다.
상기 편광필름용 조성물을 약 230℃에서 DSM사 Micro-compounder를 사용하여 용융 혼련한다. 이어서 상기 용융된 혼합물을 시트 모양의 몰드에 넣은 후 고온 고압 프레스로 가압하여 필름을 제조한다. 이어서 125 ℃에서 상기 필름을 1000% 배율로 일축 연신(Instron사 인장시험기 사용)하여 편광 필름을 제조한다.
실시예 2
합성예 1에서 얻은 이색성 염료 대신 합성예 2에서 얻은 이색성 염료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 필름을 제조한다.
실시예 3
합성예 1에서 얻은 이색성 염료 대신 합성예 3에서 얻은 이색성 염료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 필름을 제조한다.
비교예 1
합성예 1에서 얻은 이색성 염료 대신 비교합성예 1에서 얻은 이색성 염료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 필름을 제조한다.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1에 따른 편광 필름의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최대 흡수 파장(λmax) 및 이색비를 평가한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에 사용된 이색성 염료의 종횡비와 폴리올레핀 수지와의 용해도 파라미터 차이를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함께 기재한다. 상기 종횡비는 Material studio program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상기 용해도 파라미터는 Hildebrand 용해도 파라미터이며,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수학식 2]
δ=(CED)0.5= (∑Ecohi /∑Vmi)0.5
상기 수학식 2에서,
δ는 용해도 파라미터이고 CED는 응집에너지 밀도이고 Ecohi 는 분자내 작용기 i에 대한 응집 에너지이고 Vmi는 몰부피이다.
Hildebrand 용해도 파라미터 값은 분자의 group contribution을 통해 계산 가능하다. 이색성 염료의 용해도 파라미터를 계산하는데 사용되는 응집에너지 (Ecoh)와 몰부피 (Vm)의 group contribution은 공지된 값을 이용할 수 있다(참고문헌: Polym . Eng . Sci. 1974, 14, 147.; J. Appl . Polym . Sci. 2005, 96, 416.).
λmax (nm) 이색비(DR) 종횡비 폴리올레핀 수지와의 용해도 파라미터 차이
실시예 1 605 4.0 2.75 7.5
실시예 2 606 4.2 2.77 7.5
실시예 3 615 4.0 2.78 7.9
비교예 1 595 2.8 2.20 5.9
상기 이색비(dichroic ratio, DR)는 하기 수학식 1에 의하여 구한다.
[수학식 1]
DR = Log (1/T) / Log (1/ T)
상기 수학식 1에서,
DR은 이색비이고,
T는 편광 필름의 투과축에 평행으로 입사한 빛에 대한 편광 필름의 광 투과도이고,
T는 편광 필름의 투과축에 수직으로 입사한 빛에 대한 편광 필름의 광 투과도이다.
상기 수학식 1에서 광 투과도는 JASCO사 V-7100 UV/Vis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광 투과도는 편광 필름의 투과축에 평행하게 입사한 빛에 대한 편광 필름의 광 투과도와 편광 필름의 투과축에 수직으로 입사한 빛에 대한 편광 필름의 광 투과도를 각각 측정하며, UV-VIS spectrophotometer(JASCO, V-7100)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도 4는 실시예 1 내지 3에 따른 편광 필름의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이색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5는 비교예 1에 따른 편광 필름의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이색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표 1에서, 실시예 1 내지 3와 비교예 1에 따른 편광 필름의 이색비는 최대흡수 파장(λmax)에서의 값을 나타낸다.
도 4, 도 5 및 표 1을 참고하면, 실시예 1 내지 3에 따른 편광 필름은 비교예 1에 따른 편광 필름과 비교하여 600 nm 이상의 파장 영역에서 4.0 이상의 높은 이색비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액정 표시 패널 20, 70, 470: 편광 필름
71: 폴리올레핀 수지 72: 이색성 염료
100: 제1 표시판 200: 액정층
300: 제2 표시판 410: 베이스 기판
420: 하부 전극 430: 유기 발광층
440: 상부 전극 450: 봉지 기판
460: 위상차 필름

Claims (25)

  1. 폴리올레핀 수지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이색성 염료
    의 용융 연신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필름:
    [화학식 1]
    Figure 112014118850518-pat00011

    상기 화학식 1에서,
    X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20의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20의 알콕시기이고, 나프탈렌의 6번 또는 7번 위치에 연결되고,
    Ra 내지 Rd는 수소, 할로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5의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5의 알콕시기이고,
    p, q, r 및 s는 0 내지 3의 정수이고,
    R1와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킬기 또는 서로 연결되어 고리를 형성하고,
    첫번째 아조기는 나프탈렌의 1번, 2번 또는 3번 위치에 연결된다.
  2. 제1항에서,
    X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8 내지 C20의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8 내지 C20의 알콕시기인
    편광 필름.
  3. 제1항에서,
    첫번째 아조기가 나프탈렌의 2번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 X가 나프탈렌의 6번 위치에 존재하는
    편광 필름.
  4. 제1항에서,
    첫번째 아조기가 나프탈렌의 3번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 X가 나프탈렌의 7번 위치에 존재하는
    편광 필름.
  5. 제1항에서,
    상기 이색성 염료의 종횡비(aspect ratio)는 2.5 내지 5인
    편광 필름.
  6. 제1항에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와 이색성 염료의 용해도 파라미터 차이는 7.4 내지 10인
    편광 필름.
  7. 제1항에서,
    상기 이색성 염료의 분해온도는 245 ℃ 이상인
    편광 필름.
  8. 제1항에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300 ℃ 이하의 용융점(Tm)을 가지는
    편광 필름.
  9. 제1항에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프로필렌(PP)과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공중합체(PE-PP)의 혼합물인
    편광 필름.
  10. 제1항에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1 g/10min 내지 15 g/10min의 용융흐름지수(MFI)를 가지는
    편광 필름.
  11. 제9항에서,
    상기 폴리프로필렌(PP)은 0.1g/10min 내지 5g/10min의 용융흐름지수(MFI)를 가지고,
    상기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PE-PP)는 5g/10min 내지 15g/10min의 용융흐름지수(MFI)를 가지는
    편광 필름.
  12. 제1항에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프로필렌(PP)과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공중합체(PE-PP)의 혼합물일 수 있고,
    상기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공중합체(PE-PP)는 폴리에틸렌의 함량이 1 내지 50 중량%인
    편광 필름.
  13. 제1항에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프로필렌(PP)과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공중합체(PE-PP)의 혼합물일 수 있고,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를 1:9 내지 9: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편광 필름.
  14. 제1항에서,
    상기 이색성 염료는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되어 있는
    편광 필름.
  15. 제1항에서,
    상기 편광 필름은 600nm 이상 615nm 이하의 파장 영역에서 이색비(dichroic ratio)가 3 내지 10인
    편광 필름.
  16. 제1항에서,
    상기 이색성 염료는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에 분산되어 있고,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400 내지 1000%로 일축 연신되어 있는
    편광 필름.
  17. 제1항 내지 제16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8. 폴리올레핀 수지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이색성 염료
    를 포함하는 편광 필름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4118850518-pat00012

    상기 화학식 1에서,
    X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20의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20의 알콕시기이고, 나프탈렌의 6번 또는 7번 위치에 연결되고,
    Ra 내지 Rd는 수소, 할로겐,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5의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5의 알콕시기이고,
    p, q, r 및 s는 0 내지 3의 정수이고,
    R1와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킬기 또는 서로 연결되어 고리를 형성하고,
    첫번째 아조기는 나프탈렌의 1번, 2번 또는 3번 위치에 연결된다.
  19. 제18항에서,
    X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8 내지 C20의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8 내지 C20의 알콕시기인
    편광 필름용 조성물.
  20. 제18항에서,
    첫번째 아조기가 나프탈렌의 2번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 X가 나프탈렌의 6번 위치에 존재하는
    편광 필름용 조성물.
  21. 제18항에서,
    첫번째 아조기가 나프탈렌의 3번 위치에 존재하는 경우 X가 나프탈렌의 7번 위치에 존재하는
    편광 필름용 조성물.
  22. 제18항에서,
    상기 이색성 염료의 종횡비(aspect ratio)는 2.5 내지 5인
    편광 필름용 조성물.
  23. 제18항에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와 이색성 염료의 용해도 파라미터 차이는 7.4 내지 10 인
    편광 필름용 조성물.
  24. 제18항에서,
    고형분이 90중량% 이상인 편광 필름용 조성물.
  25. 제18항에서,
    용매를 포함하지 않는 편광 필름용 조성물.
KR1020140174444A 2014-12-05 2014-12-05 편광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401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444A KR102401723B1 (ko) 2014-12-05 2014-12-05 편광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4/709,969 US9335442B1 (en) 2014-12-05 2015-05-12 Polarizing film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polarizing fil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444A KR102401723B1 (ko) 2014-12-05 2014-12-05 편광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559A KR20160068559A (ko) 2016-06-15
KR102401723B1 true KR102401723B1 (ko) 2022-05-25

Family

ID=55859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4444A KR102401723B1 (ko) 2014-12-05 2014-12-05 편광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335442B1 (ko)
KR (1) KR1024017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17131A1 (ja) * 2017-12-11 2019-06-20 日本化薬株式会社 無彩色な偏光素子、並びにこれを用いた無彩色偏光板および表示装置
KR102542188B1 (ko) * 2018-01-16 2023-06-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CN113388261B (zh) * 2021-07-15 2022-09-20 宁夏保隆科技有限公司 一种偏光片用染料的合成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03677A1 (en) 2012-05-08 2013-1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polarizing film,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polarizing fil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1389A (en) 1994-09-08 1998-05-12 Sumitomo Chemical Company Film containing oriented dy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polariz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unit utilizing the same
US6133973A (en) 1995-09-08 2000-10-17 Andreatta; Alejandro Film containing oriented dy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polariz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unit utilizing the same
CN104725894B (zh) 2010-06-14 2017-06-06 巴斯夫欧洲公司 黑色二色性染料
US9250371B2 (en) * 2012-11-06 2016-0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larizing film, anti-reflective film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207359B2 (en) 2012-11-07 2015-1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larizing film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polarizing film
US9194980B2 (en) * 2012-11-07 2015-1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larizing film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polarizing fil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03677A1 (en) 2012-05-08 2013-1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polarizing film,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polarizing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559A (ko) 2016-06-15
US9335442B1 (en) 201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36077B2 (ja) 偏光フィルムおよび表示装置
KR102113322B1 (ko) 편광 필름, 반사방지 필름 및 표시 장치
US9207359B2 (en) Polarizing film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polarizing film
KR101999830B1 (ko) 편광 필름 및 표시 장치
KR102401723B1 (ko) 편광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118036B1 (ko) 편광 필름용 조성물, 편광 필름 및 표시 장치
KR101960467B1 (ko) 편광 필름용 이색성 염료, 편광 필름 및 상기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421012B1 (ko) 모노머, 중합체, 보상 필름, 광학 필름 및 표시 장치
KR102057722B1 (ko) 편광 필름용 조성물, 편광 필름 및 표시 장치
US20160187548A1 (en) Polarizing film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polarizing film
KR102392188B1 (ko) 편광 필름용 조성물, 편광 필름 및 표시 장치
KR102392187B1 (ko) 편광 필름용 조성물, 편광 필름 및 표시 장치
JP6846892B2 (ja) 重合体、補償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及び表示装置
US20170115516A1 (en) Optical film and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