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9830B1 - 편광 필름 및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편광 필름 및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9830B1
KR101999830B1 KR1020130025848A KR20130025848A KR101999830B1 KR 101999830 B1 KR101999830 B1 KR 101999830B1 KR 1020130025848 A KR1020130025848 A KR 1020130025848A KR 20130025848 A KR20130025848 A KR 20130025848A KR 101999830 B1 KR101999830 B1 KR 101999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ing film
substituted
group
unsubstituted
polymer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5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1550A (ko
Inventor
문득규
박상호
이용주
원종훈
최현호
김명만
김영환
방비비
정명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5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830B1/ko
Priority to US14/090,007 priority patent/US9791609B2/en
Publication of KR20140111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1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8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polarising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3Viewing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31Polarizer or dy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소수성 고분자 수지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이색성 염료를 포함하는 편광 필름, 상기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반사방지 필름 및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21127427-pat00023

상기 화학식 1에서,
Ar1, Ar2, Ar3, R1, R2 및 R3 및 n은 명세서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Description

편광 필름 및 표시 장치{POLARIZING FILM AND DISPLAY DEVICE}
편광 필름 및 상기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 OLED device)와 같은 표시 장치는 표시판의 외측에 부착되어 있는 편광판(polarizing plate)를 구비한다. 편광판은 특정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만 통과시키고 그 밖의 빛은 흡수 또는 반사함으로써 표시판으로 입사되는 빛 또는 표시판으로부터 나가는 빛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편광판은 일반적으로 편광자와 이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층을 포함한다. 편광자는 예컨대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를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에 흡착 및 배향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보호층은 예컨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즈(triacetyl cellulose, TAC)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편광자 및 보호층을 포함하는 편광판은 공정이 복잡하고 생산 비용이 높을 뿐만 아니라 편광판의 두께가 두꺼워져 표시 장치의 두께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호층이 필요하지 않은 편광 필름에 대하여 연구되고 있다.
일 구현예는 편광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편광 필름을 제공한다.
다른 구현예는 상기 편광 필름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 따른 편광 필름은 소수성 고분자 수지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이색성 염료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21127427-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Ar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15 아릴렌기이고,
Ar2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및 할로겐 함유기 중 적어도 하나로 치환된 C6 내지 C15 아릴렌기이고,
Ar3는 아마이드기로 치환된 C6 내지 C15 아릴렌기이고,
R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콕시기이고,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이거나 R2 및 R3가 서로 연결되어 고리를 형성하고,
n은 1 또는 2이다.
상기 C6 내지 C15 아릴렌기는 페닐렌기, 나프틸렌기 또는 바이페닐렌기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에서, Ar3는 아세트아마이드기로 치환된 C6 내지 C15 아릴렌기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에서, Ar3는 아마이드기로 치환되고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콕시기로 추가적으로 치환된 C6 내지 C15 아릴렌기일 수 있다.
상기 이색성 염료는 하기 화학식 2로 표현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3021127427-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Ar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15 아릴렌기이고,
Ra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또는 할로겐 함유기이고,
Rb는 수소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콕시기이고,
Rc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이고,
R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콕시기이고,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이거나 R2 및 R3가 서로 연결되어 고리를 형성하고,
n은 1 또는 2이다.
상기 이색성 염료는 하기 화학식 3 내지 6 중 하나로 표현될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13021127427-pat00003
[화학식 4]
Figure 112013021127427-pat00004
[화학식 5]
Figure 112013021127427-pat00005
[화학식 6]
Figure 112013021127427-pat00006
상기 소수성 고분자 수지는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수성 고분자 수지는 폴리올레핀 수지일 수 있고,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프로필렌(PP)과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의 공중합체(PE-PP)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색성 염료의 용해도 파라미터는 약 24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소수성 고분자 수지와 상기 이색성 염료의 용해도 파라미터의 차이는 약 8.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이색성 염료는 상기 소수성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0.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이색성 염료는 상기 소수성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0.05 내지 1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가시광선 영역의 최대 흡수 파장(λmax)에서 상기 편광 필름의 이색비(dichroic ratio)는 3 내지 10일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이색비는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구해질 수 있다.
[수학식 1]
DR = Log(1/T) / Log(1/T)
상기 수학식 1에서,
DR은 편광 필름의 이색비이고,
T는 편광 필름의 투과축에 평행으로 입사한 빛에 대한 편광 필름의 투과도이고,
T는 편광 필름의 투과축에 수직으로 입사한 빛에 대한 편광 필름의 투과도이다.
상기 편광 필름의 편광 효율은 90% 이상일 수 있고, 여기서 편광 효율은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구해질 수 있다.
[수학식 2]
PE (%) = [(T-T)/(T+T)]1/2 ⅹ 100
상기 수학식 2에서,
PE는 편광 효율이고,
T는 편광 필름의 투과축에 평행으로 입사한 빛에 대한 편광 필름의 투과도이고,
T는 편광 필름의 투과축에 수직으로 입사한 빛에 대한 편광 필름의 투과도이다.
상기 편광 필름은 상기 소수성 고분자 수지와 상기 이색성 염료의 용융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이색성 염료는 상기 소수성 고분자 수지에 분산될 수 있고, 상기 소수성 고분자 수지는 약 400 내지 1000%로 일축 연신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편광 필름 및 보상 필름을 포함하는 반사방지 필름을 제공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 또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편광 특성을 개선할 수 있고 박형 표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일 구현예에 따른 편광 필름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일 구현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일 구현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실시예 1 내지 4에 따른 편광 필름의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이색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별도의 정의가 없는 한, '치환된'이란, 화합물 중의 수소 원자가 할로겐 원자(F, Br, Cl 또는 I), C1 내지 C20 알콕시기, 시아노기, 아미노기, C1 내지 C20 에스테르기, C1 내지 C20 알킬기, C1 내지 C20 아릴기, C2 내지 C20 알케닐기, C2 내지 C20 알키닐기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된 치환기로 치환된 것을 의미한다.
이하 일 구현예에 따른 편광 필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일 구현예에 따른 편광 필름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일 구현예에 따른 편광 필름(70)은 고분자 수지(71)와 이색성 염료(72)를 포함한다.
고분자 수지(71)는 소수성 고분자 수지일 수 있으며, 예컨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및 이들의 공중합체와 같은 폴리올레핀 수지; 나일론 및 방향족 폴리아미드와 같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글리콜(PETG)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폴리아크릴 수지; 폴리스티렌(PS) 및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와 같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설폰 수지; 폴리에테르설폰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수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수지; 비닐알코올 수지; 비닐리덴클로라이드 수지; 비닐부티랄 수지; 알릴레이트 수지; 폴리옥시메틸렌 수지; 에폭시 수지,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이 중에서, 고분자 수지(71)는 예컨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글리콜(PETG), 나일론,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고분자 수지(71)는 예컨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PE-PP)에서 선택된 적어도 둘의 혼합물일 수 있고, 예컨대 폴리프로필렌(PP) 및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PE-PP)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PP)은 예컨대 약 0.1 g/10min 내지 약 5 g/10min의 용융흐름지수(melt flow index, MFI)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용융흐름지수(MFI)는 10분당 용융 상태의 고분자가 흘러내리는 양을 나타내는 것으로, 용융 상태의 고분자의 점도와 관련이 있다. 즉 용융흐름지수(MFI)가 작을수록 고분자의 점도가 크고 용융흐름지수(MFI)가 클수록 고분자의 점도가 작음을 알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의 용융흐름지수(MFI)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가공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으며, 최종 제품의 물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약 0.5 g/10min 내지 약 5 g/10min의 용융흐름지수(MFI)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PE-PP)는 상기 공중합체의 총 함량에 대하여 약 1 중량% 내지 약 50 중량%의 에틸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PE-PP)에서 에틸렌기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상기 폴리프로필렌과 상기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PE-PP)의 상분리를 효과적으로 방지 내지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우수한 광 투과도 및 배향성을 가지면서도 연신할 때 연신율을 증가시킬 수 있어서 개선된 편광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PE-PP)는 상기 공중합체의 총 함량에 대하여 약 1 중량% 내지 약 25 중량%의 에틸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PE-PP)는 약 5g/10min 내지 약 15g/10min의 용융흐름지수(MFI)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PE-PP)의 용융흐름지수(MFI)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가공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으며, 최종 제품의 물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PE-PP)는 약 10g/10min 내지 약 15g/10min의 용융흐름지수(MFI)를 가질 수 있다.
고분자 수지(71)는 상기 폴리프로필렌(PP)과 상기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PE-PP)를 약 1:9 내지 약 9: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PP)과 상기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PE-PP)가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되는 경우,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가지면서도 폴리프로필렌의 결정화를 방지하여 헤이즈 특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고분자 수지(71)는 상기 폴리프로필렌(PP)과 상기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PE-PP)를 약 4:6 내지 약 6:4의 중량비, 더욱 구체적으로는 약 5:5로 포함할 수 있다.
고분자 수지(71)는 약 1g/10min 내지 약 15g/10min의 용융흐름지수(melt flow index, MFI)를 가질 수 있다. 고분자 수지(71)의 용융흐름지수(MFI)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수지 내에 과도한 결정이 형성되지 않아 우수한 광 투과도를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필름으로 제조하기에 적합한 점도를 가질 수 있어 가공성을 개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고분자 수지(71)는 약 5g/10min 내지 약 15g/10min의 용융흐름지수(MFI)를 가질 수 있다.
고분자 수지(71)는 약 5% 이하의 헤이즈를 가질 수 있다. 고분자 수지(71)가 상기 범위의 헤이즈를 가짐으로써, 투과도가 증가하여 우수한 광학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고분자 수지(71)는 약 2% 이하의 헤이즈를 가질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약 0.5% 내지 약 2%의 헤이즈를 가질 수 있다.
고분자 수지(71)는 약 50% 이하의 결정화도를 가질 수 있다. 고분자 수지(71)가 상기 범위의 결정화도를 가짐으로써, 헤이즈를 낮출 수 있어 우수한 광학 특성을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고분자 수지(71)는 약 30% 내지 약 50%의 결정화도를 가질 수 있다.
고분자 수지(71)는 약 380 내지 780nm의 파장 영역에서 광 투과율이 약 85% 이상일 수 있다. 고분자 수지(71)는 일축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 상기 일축 방향은 이색성 염료(72)의 길이 방향과 같을 수 있다.
이색성 염료(72)는 고분자 수지(71)에 분산되어 있으며, 고분자 수지(71)의 연신 방향을 따라 일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색성 염료(72)는 소정 파장 영역에 대하여 두 개의 편광 직교 성분 중 하나의 편광 직교 성분만을 투과시킬 수 있다.
이색성 염료(72)는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21127427-pat00007
상기 화학식 1에서,
Ar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15 아릴렌기이고,
Ar2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및 할로겐 함유기 중 적어도 하나로 치환된 C6 내지 C15 아릴렌기이고,
Ar3는 아마이드기로 치환된 C6 내지 C15 아릴렌기이고,
R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콕시기이고,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이거나 R2 및 R3가 서로 연결되어 고리를 형성하고,
n은 1 또는 2이다.
상기 C6 내지 C15 아릴렌기는 페닐렌기, 나프틸렌기 또는 바이페닐렌기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에서, Ar3는 아세트아마이드기로 치환된 C6 내지 C15 아릴렌기일 수 있다. 또한 Ar3는 이치환된 C6 내지 C15 아릴렌기일 수 있으며, 예컨대 아마이드기로 치환되고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콕시기로 추가적으로 치환된 C6 내지 C15 아릴렌기일 수 있다.
이색성 염료(72)는 예컨대 하기 화학식 2로 표현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3021127427-pat00008
상기 화학식 2에서,
Ar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15 아릴렌기이고,
Ra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또는 할로겐 함유기이고,
Rb는 수소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콕시기이고,
Rc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이고,
R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콕시기이고,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이거나 R2 및 R3가 서로 연결되어 고리를 형성하고,
n은 1 또는 2이다.
상기 C6 내지 C15 아릴렌기는 페닐렌기, 나프틸렌기 또는 바이페닐렌기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에서, Rc는 메틸기일 수 있다.
이색성 염료(72)는 예컨대 하기 화학식 3 내지 6 중 어느 하나로 표현될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13021127427-pat00009
[화학식 4]
Figure 112013021127427-pat00010
[화학식 5]
Figure 112013021127427-pat00011
[화학식 6]
Figure 112013021127427-pat00012
이색성 염료(72)는 1종 또는 2종 이상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색성 염료(72)는 고분자 수지(71)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0.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됨으로써 편광 필름의 투과도를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충분한 편광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약 0.05 내지 1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편광 필름(70)은 고분자 수지(71)와 이색성 염료(72)의 용융 혼합물(melt blend)일 수 있다. 상기 용융 혼합물은 고분자 수지(71)와 이색성 염료(72)를 포함하는 편광필름용 조성물을 고분자 수지(71)의 녹는점(melting point, Tm) 이상의 온도에서 용융 혼합하여 얻을 수 있다. 이때 편광필름용 조성물은 전술한 고분자 수지(71)와 이색성 염료(72)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고분자 수지(71)와 이색성 염료(72)는 각각 분말(powder)과 같은 고체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편광필름용 조성물은 예컨대 고형분이 약 90중량% 이상일 수 있으며, 예컨대 용매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고분자 수지(71)와 이색성 염료(72)의 용해도 파라미터(solubility parameter) 차이는 약 8.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용해도 파라미터는 두 종류 이상의 화합물들의 상호작용(interaction)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로, 화합물들 사이의 용해도 파라미터 차이가 적을수록 상호작용이 큰 것을 의미하고 화합물들 사이의 용해도 파라미터 차이가 클수록 상호작용이 적은 것을 의미한다. 상기 범위 내에서 고분자 수지(71)와 이색성 염료(72)의 용해도 파라미터 차이는 약 7.4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용해도 파라미터는 화합물의 구조와 관련되어 있으며, 상기 범위의 용해도 파라미터 차이를 가짐으로써 편광 필름 가공시 고분자 수지(71)와 이색성 염료(72)의 상호작용을 높여 용융 혼합성이 높일 수 있고, 이에 따라 고분자 수지(71) 내에서 이색성 염료끼리 뭉치는 것을 방지하고 이색성 염료(72)가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고분자 수지(71)가 폴리올레핀 수지인 경우, 폴리올레핀 수지의 용해도 파라미터는 약 15 내지 18일 수 있으며, 이색성 염료(72)가 폴리올레핀 수지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 이색성 염료(72)의 용해도 파라미터는 약 24 이하, 예컨대 약 15 내지 24 일 수 있다.
편광 필름(70)은 상기 편광필름용 조성물을 용융 혼합하고 연신하여 제조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편광 필름(70)은 예컨대 고분자 수지와 이색성 염료를 포함하는 편광 필름용 조성물을 용융 혼합하는 단계, 상기 용융 혼합물을 몰드에 넣고 가압하여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시트를 일축 연신하는 단계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용융 혼합하는 단계는 상기 편광 필름용 조성물을 예컨대 약 300℃ 이하, 구체적으로 약 50 내지 300℃에서 용융 혼합할 수 있다.
상기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몰드에 용융 혼합물을 넣고 고압 프레스기로 가압하거나, 또는 티다이(T-die)를 통해 칠롤(chill roll)에 토출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일축 연신하는 단계는 약 30 내지 200℃의 온도에서 약 400% 내지 약 1000%의 연신율로 연신할 수 있다. 여기서 연신율은 상기 시트의 연신 전 길이와 연신 후 길이의 비율을 말하는 것으로, 일축 연신 후 시트가 늘어난 정도를 의미한다.
편광 필름(70)은 가시광선 영역의 최대 흡수 파장(λmax)에서 이색비(dichroic ratio)가 약 3 내지 10일 수 있다. 여기서 이색비는 고분자의 축(axis)에 수직한 방향의 평면 편광 흡수를 그의 수평한 방향으로의 편광 흡수로 나눈 값으로,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구해질 수 있다.
[수학식 1]
DR = Log(1/T) / Log(1/T)
상기 수학식 1에서,
DR은 편광 필름의 이색비이고,
T는 편광 필름의 투과축에 평행으로 입사한 빛에 대한 편광 필름의 광 투과도이고,
T는 편광 필름의 투과축에 수직으로 입사한 빛에 대한 편광 필름의 광 투과도이다.
상기 이색비는 편광 필름(70) 내에서 이색성 염료(72)가 일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는 정도를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파장 영역에서 상기 범위의 이색 비를 가짐으로써 고분자 사슬의 배향에 따라 이색성 염료(72)의 배향을 유도할 수 있어서 편광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편광 필름(70)은 약 90% 이상의 편광 효율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내에서 약 95 내지 100%의 편광 효율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편광 효율은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구해질 수 있다.
[수학식 2]
PE (%) = [(T-T)/(T+T)]1/2 ⅹ 100
상기 수학식 2에서,
PE는 편광 효율이고,
T는 편광 필름의 투과축에 평행으로 입사한 빛에 대한 편광 필름의 투과도이고,
T는 편광 필름의 투과축에 수직으로 입사한 빛에 대한 편광 필름의 투과도이다.
편광 필름(70)은 약 30% 이상의 광 투과도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범위 내에서 약 30% 내지 95%의 광 투과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범위의 광 투과도를 가짐으로써 표시 장치의 일면에 적용시 표시 장치 내에서 나오는 광의 방출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편광 필름(70)은 약 100㎛ 이하의 비교적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예컨대 약 30㎛ 내지 약 95㎛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범위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트리아세틸셀룰로오즈(TAC)과 같은 보호층이 요구되는 편광판과 비교하여 두께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박형 표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은 다양한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도 2는 일 구현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패널(10) 및 상기 액정 표시 패널(10)의 하부 및 상부에 위치하는 편광 필름(20)을 포함한다.
액정 표시 패널(10)은 트위스트 네마틱(twist nematic, TN) 모드, 수직 배향(patterned vertical alignment, PVA) 모드, 평면 정렬 스위칭(in plane switching, IPS) 모드, OCB(optically compensated bend) 모드 등일 수 있다.
액정 표시 패널(10)은 제1 표시판(100), 제2 표시판(200) 및 제1 표시판(100)과 제2 표시판(200)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액정층(300)을 포함한다.
제1 표시판(100)은 예컨대 기판(도시하지 않음) 위에 형성되어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도시하지 않음) 및 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전기장 생성 전극(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표시판(200)은 예컨대 기판(도시하지 않음) 위에 형성되어 있는 색 필터(도시하지 않음) 및 제2 전기장 생성 전극(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색 필터가 제1 표시판(100)에 포함될 수도 있고, 제1 전기장 생성 전극과 제2 전기장 생성 전극이 제1 표시판(100)에 함께 위치할 수도 있다.
액정층(300)은 복수의 액정 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액정 분자는 양 또는 음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질 수 있다. 액정 분자가 양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지는 경우 전기장이 없는 상태에서 그 장축이 제1 표시판(100)과 제2 표시판(200)의 표면에 대하여 거의 평행을 이루도록 배향되고 전기장이 인가된 상태에서 그 장축이 제1 표시판(100)과 제2 표시판(200)의 표면에 대하여 거의 수직을 이루도록 배향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액정 분자가 음의 유전율 이방성을 가지는 경우 전기장이 없는 상태에서 그 장축이 제1 표시판(100)과 제2 표시판(200)의 표면에 대하여 거의 수직하게 배향되고 전기장이 인가된 상태에서 그 장축이 제1 표시판(100)과 제2 표시판(200)의 표면에 대하여 거의 평행하게 배향될 수 있다.
편광 필름(20)은 액정 표시 패널(10)의 외측에 위치하며, 도면에는 액정 표시 패널(10)의 하부 및 상부에 각각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액정 표시 패널(10)의 하부 및 상부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편광 필름(20)은 전술한 고분자 수지 및 이색성 염료를 포함하며, 자세한 내용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도 3은 일 구현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일 구현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베이스 기판(410), 하부 전극(420), 유기 발광층(430), 상부 전극(440), 봉지 기판(450), 보상 필름(460) 및 편광 필름(470)을 포함한다.
베이스 기판(410)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하부 전극(420) 및 상부 전극(440) 중 하나는 애노드(anode)이고 다른 하나는 캐소드(cathode)일 수 있다. 애노드는 정공(hole)이 주입되는 전극으로, 일 함수(work function)가 높고 발광된 빛이 외부로 나올 수 있는 투명 도전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ITO 또는 IZO 일 수 있다. 캐소드는 전자(electrode)가 주입되는 전극으로, 일 함수가 낮고 유기 물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도전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알루미늄(Al), 칼슘(Ca) 및 바륨(Ba)에서 선택될 수 있다.
유기 발광층(430)은 하부 전극(420)과 상부 전극(440)에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빛을 낼 수 있는 유기 물질을 포함한다.
하부 전극(420)과 유기 발광층(430) 사이 및 상부 전극(440)과 유기 발광층(430) 사이에는 부대층(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부대층은 전자와 정공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정공 전달층(hole transporting layer), 정공 주입층(hole injecting layer),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ng layer) 및 전자 전달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봉지 기판(450)은 유리, 금속 또는 고분자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하부 전극(420), 유기 발광층(430) 및 상부 전극(440)을 봉지하여 외부로부터 수분 및/또는 산소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상 필름(460)은 편광 필름(470)을 통과한 빛을 원편광시켜 위상차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빛의 반사, 흡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보상 필름(460)은 예컨대 λ/4 플레이트와 같은 위상차 필름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편광 필름(470)은 화면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 기판(410) 측으로 빛이 나오는 배면 발광(bottom emission) 구조인 경우 베이스 기판(4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고, 봉지 기판(450) 측으로 빛이 나오는 전면 발광(top emission) 구조인 경우 봉지 기판(45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편광 필름(470)은 전술한 고분자 수지 및 이색성 염료를 포함하며, 외광을 흡수하는 광 흡수층으로 작용하여 외광 반사에 의해 표시 특성이 불량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상 필름(460)과 편광 필름(470)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화면부 측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광의 반사를 방지하는 반사방지 필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반사방지 필름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광에 의한 시인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구현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색성 염료의 합성
합성예 1
1-1. 모노아조 화합물의 합성
4-(4-니트로페닐아조)페놀(4-(4-nitrophenylazo)phenol)(TCI, Japan) 10g (41.1 mmol)을 아세톤 200 mL에 녹인 후, 여기에 1-브로모옥탄(1-bromooctane) 8.5 mL (48.9 mmol)과 탄산칼륨(K2CO3) 11.4 g (82.5 mmol)을 넣는다. 이어서 상기 반응혼합물을 60℃에서 24시간 동안 환류 교반한 후, 실온으로 온도를 낮춘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킨 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CH2Cl2:n-hexane = 2:1)로 정제하여 4-니트로화합물(4-nitro) 12.3 g (34.6 mmol)을 얻는다. 수율은 84 %이다.
정제된 4-니트로화합물 5.7 g (16.0 mmol)을 뜨거운 에탄올 150 mL에 녹인 후, 여기에 뜨거운 에탄올과 물에 녹인 Na2Sㆍ9H2O 11.5 g (47.9 mmol)를 넣었다. 이어서 상기 반응혼합물을 8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 후, 실온으로 온도를 낮춘다. 이어서 석출된 결정을 여과하고 물로 여러 번 씻어 준 후 건조하여 4-아미노-4'-옥틸옥시아조벤젠(4-amino-4'-octyloxyazobenzene) 4.3 g (13.2 mmol)을 얻는다. 수율은 82%이다.
4-아미노-4'-옥틸옥시아조벤젠의 구조를 1H NMR 측정을 통해 분석한다.
1H NMR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H NMR (300 MHz, CDCl3)δ(ppm): 0.89 (t, J = 6.9 Hz, 3 H, CH3), 1.26 - 1.34 (m, 8 H, CH2 X 4), 1.45 - 1.49 (m, 2 H, CH2), 1.57 - 1.83 (m, 2 H, CH2), 3.98 (br s, 2 H, NH2), 4.02 (t, J = 6.6 Hz, 2 H, OCH2), 6.74 (d, J = 8.9 Hz, 2 H, ArH), 6.97 (d, J = 8.9 Hz, 2 H, ArH), 7.76 (d, J = 8.9 Hz, 2 H, ArH), 7.82 (d, J = 8.9 Hz, 2 H, ArH).
1-2. 비스아조 화합물의 합성
상기에서 얻은 4-아미노-4'-옥틸옥시아조벤젠 2 g (6.15 mmol)을 디메틸아세트아미드(dimethylacetamide, DMAc) 120 mL과 아세트산(acetic acid, AcOH) 30 mL에 녹인 후, 여기에 12N HCl 3 mL를 첨가하고 0℃로 유지시킨다. 이어서 질산나트륨(NaNO2) 446 mg (6.46 mmol)을 물 2 mL에 녹인 후, 상기 반응 혼합물에 천천히 적가한다. 적가가 완결되면 반응물을 0℃로 유지시키면서 한 시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메탄올 150 mL에 3-메틸아닐린(3-methylaniline)(m-톨루이딘) 6.15 mmol를 녹인 후, 반응 혼합물에 천천히 적가시키고 0℃에서 한 시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수산화나트륨(NaOH) 수용액으로 중화를 하여 반응을 종결시킨 후, 석출된 고체를 여과한다. 혼합물은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비스아조(bisazo) 화합물을 얻는다. 수율은 60 내지 80%이다.
1-3. 트리아조 화합물의 합성
상기에서 얻은 비스아조 화합물 1 mmol을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dimethyl acetamide, DMAc) 20 mL와 아세트산 (AcOH) 5 mL에 녹인 후, 여기에 12N HCl 0.5mL를 첨가하고 0 ℃ 로 유지한다. 이어서 질산나트륨(NaNO2) 72 mg (1.04 mmol)을 물 1mL에 녹인 후, 상기 반응 혼합물에 천천히 적가한다. 적가가 완결되면 반응물을 0 ℃로 유지시키면서 한 시간 동안 교반한다. 이어서 메탄올 25 mL와 디메틸아세트아미드 (DMAc) 2mL 에 3-디에틸아미노페닐아세트아마이드(N-(3-(diethylamino)phenyl)acetamide) 206 mg (1 mmol)을 녹인 후, 상기 반응 혼합물에 천천히 적가하고 0℃ 에서 한 시간 정도 교반한다. 이어서 수산화나트륨(NaOH) 수용액으로 중화하여 반응을 종결시킨 후, 석출된 고체를 여과한다. 상기 혼합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n-hexane:EtOAc = 3:1)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3a로 표현되는 트리아조 이색성 염료 449 mg (0.68 mmol)를 얻는다. 수율은 68 %이다.
[화학식 3a]
Figure 112013021127427-pat00013
상기 화학식 3a로 표현되는 이색성 염료의 구조를 1H NMR 측정을 통해 분석한다.
1H NMR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H NMR (300 MHz, CDCl3)δ(ppm): 0.90 (t, J = 6.8 Hz, 3H, CH3), 1.22 - 1.36 (m, 14 H, CH2 X 4, CH3 X 2), 1.45 - 1.49 (m, 2H, CH2), 1.81 - 1.86 (m, 2H, CH2), 2.29 (s, 3H, Ac), 2.85 (s, 3H, CH3), 3.49 (q, J = 14.0, 6.9, 4H, CH2 X 2), 4.06 (t, J = 6.6 Hz, 2 H, OCH2), 6.50 (dd, J = 9.3, 2.7 Hz, 1 H, ArH), 7.02 (d, J = 9.0 Hz, 2H, ArH), 7.66 - 8.14 (m, 11 H, ArH).
합성예 2
비스아조 화합물의 합성 단계에서 3-메틸아닐린 대신 3-메톡시아닐린(3-methoxy aniline)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합성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하기 화학식 4a로 표현되는 이색성 염료 419mg (0.62 mmol)을 얻는다. 수율은 62%이다.
[화학식 4a]
Figure 112013021127427-pat00014
상기 화학식 4a로 표현되는 이색성 염료의 구조를 1H NMR 측정을 통해 분석한다.
1H NMR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H NMR (300 MHz, CDCl3)δ(ppm): 0.90 (t, J = 6.7 Hz, 3 H, CH3), 1.22 - 1.36 (m, 14 H, CH2 X 4, CH3 X 2), 1.45 - 1.51 (m, 2 H, CH2), 1.80 - 1.86 (m, 2 H, CH2), 2.29 (s, 3 H, Ac), 3.50 (q, J = 14.1, 7.0, 4 H, CH2 X 2), 4.06 (t, J = 6.6 Hz, 2 H, OCH2), 4.15 (s, 3 H, OCH3), 6.50 (dd, J = 9.2, 2.7 Hz, 1 H, ArH), 7.02 (d, J = 9.0 Hz, 2 H, ArH), 7.51 - 8.14 (m, 11 H, ArH).
합성예 3
비스아조 화합물의 합성 단계에서 3-메틸아닐린 대신 3-플루오로아닐린(3-fluoroaniline)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합성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하기 화학식 5a로 표현되는 이색성 염료 425mg (0.64 mmol)을 얻는다. 수율은 64%이다.
[화학식 5a]
Figure 112013021127427-pat00015
상기 화학식 5a로 표현되는 이색성 염료의 구조를 1H NMR 측정을 통해 분석한다.
1H NMR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H NMR (300 MHz, CDCl3)δ(ppm): 0.90 (t, J = 6.7 Hz, 3 H, CH3), 1.22 - 1.36 (m, 14 H, CH2 X 4, CH3 X 2), 1.45 - 1.51 (m, 2 H, CH2), 1.80 - 1.86 (m, 2 H, CH2), 2.30 (s, 3 H, Ac), 3.51 (q, J = 14.2, 7.1, 4 H, CH2 X 2), 4.06 (t, J = 6.6 Hz, 2 H, OCH2), 6.50 (dd, J = 9.1, 2.7 Hz, 1 H, ArH), 7.02 (d, J = 9.0 Hz, 2 H, ArH), 7.78 - 8.19 (m, 11 H, ArH).
합성예 4
3-디에틸아미노페닐아세트아미드 대신 3-디에틸아미노-4-메톡시페닐아세트아미드(N-(3-(diethylamino)-4-methoxyphenyl)acetamide)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합성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하여 하기 화학식 6a로 표현되는 이색성 염료 449 mg (0.65 mmol)을 얻는다. 수율은 65 %이다.
[화학식 6a]
Figure 112013021127427-pat00016
상기 화학식 6a로 표현되는 이색성 염료의 구조를 1H NMR 측정을 통해 분석한다.
1H NMR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H NMR (300 MHz, CDCl3)δ(ppm): 0.90 (t, J = 6.7 Hz, 3 H, CH3), 1.19 - 1.36 (m, 14 H, CH2 X 4, CH3 X 2), 1.45 - 1.51 (m, 2 H, CH2), 1.80 - 1.86 (m, 2 H, CH2), 2.29 (s, 3 H, Ac), 2.86 (s, 3 H, CH3), 3.44 (q, J = 14.1, 7.1, 4 H, CH2 X 2), 3.91 (s, 3 H, OCH3), 4.06 (t, J = 6.5 Hz, 2 H, OCH2), 7.02 (d, J = 9.0 Hz, 2 H, ArH), 7.37 (s, 1 H, ArH), 7.77 - 8.25 (m, 10 H, ArH).
평가 1: 용해도 파라미터
합성예 1 내지 4와 비교합성예 1에 따른 이색성 염료의 용해도 파라미터를 계산한다.
용해도 파라미터는 Hildebrand 용해도 파라미터를 사용한다.
분자간 응집은 분자 사이에 반데르발스(van der Waals) 및 쌍극자 모멘트(dipole moments) 등의 결합력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일어나는데 이러한 응집의 원인이 되는 에너지를 응집에너지 (cohesive energy, Ecoh)로 정의한다. 이러한 응집에너지는 1몰당 내부에너지의 변화로써 하기 관계식 1로 표현될 수 있다.
[관계식 1]
Ecoh =ΔU =ΔH -ΔT
상기 관계식 1에서, Ecoh는 응집에너지이고, ΔU는 1몰당 내부에너지 변화량이고, ΔH는 엔탈피 변화량이고, ΔT는 온도 변화량이다.
또한 단위 부피당 응집에너지는 응집에너지 밀도 (CED)로 정의될 수 있고, 응집에너지 밀도(CED)는 하기 관계식 2로 표현될 수 있다.
[관계식 2]
CED = (ΔH - RT) / Vm
상기 관계식 2에서, CED는 응집에너지 밀도이고, ΔH는 엔탈피 변화량이고, R은 상수이고, T는 온도이고, Vm 은 몰부피이다.
상기 응집에너지 밀도는 Hildebrand에 의해 용해능력을 수치적으로 표현 가능한 용해도 파라미터를 정의하는데 사용되며, 용해도 파라미터는 특정온도에서 밀도나 몰 부피를 이용하면 하기 관계식 3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관계식 3]
δ = (CED)0.5= (Σ Ecohi /Σ Vmi)0.5
상기 관계식 3에서, δ 는 용해도파라미터이고 CED는 응집에너지 밀도이고 Ecohi 는 분자내 작용기 i에 대한 응집에너지이고 Vmi는 몰부피이다.
이색성 염료의 구조 설계시 사용된 Hildebrand 용해도 파라미터 값은 분자의 group contribution을 통해 계산 가능하다.
이색성 염료의 용해도 파라미터를 계산하는데 사용되는 응집에너지 (Ecoh)와 몰부피 (Vm)의 group contribution은 표 1과 같다. (참고문헌: Polym . Eng . Sci. 1974, 14, 147.; J. Appl . Polym . Sci. 2005, 96, 416.)
Group Ecoh (J/mol) Vm (cm3/mol)
-CH3 4707 33.5
-CH2- 4937 16.1
-CH- 3431 -1.0
C 1464 -19.2
H2C= 4310 28.5
-CH= 4310 13.5
C= 4310 -5.5
Phenyl 31924 71.4
Phenylene
(o, m, p)
31924 52.4
Phenyl (trisubstituted) 31924 33.4
Phenyl (tetrasubstituted) 31924 14.4
Phenyl (pentasubstituted) 31924 -4.6
Phenyl (hexasubstituted) 31924 -23.6
Ring closure 5 or more atoms 1046 16.0
Ring closure 3 or 4 atoms 3138 18.0
-COOH 27614 28.5
-CO2- 17991 18.0
-CO- 17364 10.8
-CONH- 33472 9.5
-NH2 12552 19.2
-NH- 8368 4.5
N 4184 -9.0
-N= 11715 5.0
-N=N- 4188 0.0
-CN 25522 24.0
NO2 15355 32.0
-O- 3347 3.8
-OH 29790 10.0
S 14142 12.0
-F 4184 18.0
-Cl 11548 24.0
-Br 15481 30.0
-I 19037 31.5
Hildebrand 용해도 파라미터에 의해 계산된 합성예 1 내지 4에서 얻은 이색성 염료의 용해도 파라미터는 표 2와 같다.
용해도 파라미터
합성예 1 22.6
합성예 2 22.7
합성예 3 22.9
합성예 4 22.1
편광 필름의 제조
실시예 1
폴리프로필렌(PP)과 폴리프로필렌-폴레에틸렌 공중합체(PP-PE)를 5:5(w/w)으로 포함한 폴리올레핀 수지(용해도 파라미터: 16.6)와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합성예 1에서 얻은 이색성 염료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편광 필름용 조성물을 준비한다.
상기 편광필름용 조성물을 약 250℃에서 DSM사 Micro-compounder를 사용하여 용융 혼합한다. 이어서 상기 용융 혼합된 혼합물을 시트 모양의 몰드에 넣은 후 고온 고압 프레스로 가압하여 필름을 제조한다. 이어서 125℃에서 상기 필름을 1000% 배율로 일축 연신(Instron사 인장시험기 사용)하여 편광 필름을 제조한다.
실시예 2
합성예 1에서 얻은 이색성 염료 대신 합성예 2에서 얻은 이색성 염료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 필름을 제조한다.
실시예 3
합성예 1에서 얻은 이색성 염료 대신 합성예 3에서 얻은 이색성 염료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 필름을 제조한다.
실시예 4
합성예 1에서 얻은 이색성 염료 대신 합성예 4에서 얻은 이색성 염료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 필름을 제조한다.
평가 2: 편광 특성
실시예 1 내지 4에 따른 편광 필름의 투과도, 편광효율 및 이색비를 평가한다.
투과도는 JASCO사 V-7100 UV/Vis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평가한다.
투과도는 편광 필름의 투과축에 평행하게 입사한 빛에 대한 편광 필름의 광투과도와 편광 필름의 투과축에 수직으로 입사한 빛에 대한 편광 필름의 광 투과도를 각각 측정하며, UV-VIS spectrophotometer(JASCO, V-7100)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상기 측정한 투과도를 사용하여 이색비(dichroic ratio, DR) 및 편광 효율(polarizing efficiency, PE)을 구한다.
이색비(DR)는 하기 수학식 1에 의하여 구한다.
[수학식 1]
DR = Log (1/T) / Log (1/ T)
상기 수학식 1에서,
DR은 이색비이고,
T는 편광 필름의 투과축에 평행으로 입사한 빛에 대한 편광 필름의 투과도이고,
T는 편광 필름의 투과축에 수직으로 입사한 빛에 대한 편광 필름의 투과도이다.
편광 효율은 하기 수학식 2에 의하여 구한다.
[수학식 2]
PE (%) = [(T-T)/(T+T)]1/2 ⅹ 100
상기 수학식 2에서,
PE는 편광 효율이고,
T는 편광 필름의 투과축에 평행으로 입사한 빛에 대한 편광 필름의 투과도이고,
T는 편광 필름의 투과축에 수직으로 입사한 빛에 대한 편광 필름의 투과도이다.
그 결과에 대하여 표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실시예 1 내지 4에 따른 편광 필름의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이색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표 3에서, 실시예 1 내지 4에 따른 편광 필름의 광 투과도, 편광 효율 및 이색비는 편광필름 최대흡수파장 (λmax)에서의 값을 나타낸다.
λmax
(nm)
투과도
(Ts, %)
편광효율
(PE, %)
이색비
(DR)
용해도 파라미터 차이
(염료 - 폴리올레핀)
실시예 1 525 34.74 99.60 4.6 6.0
실시예 2 525 35.56 99.32 4.6 6.1
실시예 3 530 37.10 98.88 4.5 6.3
실시예 4 550 33.53 98.45 3.8 5.5
표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실시예 1 내지 4에 따른 편광 필름은 30% 이상의 광 투과도를 만족하면서도 90% 이상의 편광 효율 및 3.0 이상의 이색비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액정 표시 패널 20, 70, 470: 편광 필름
71: 폴리올레핀 수지 72: 이색성 염료
100: 제1 표시판 200: 액정층
300: 제2 표시판 410: 베이스 기판
420: 하부 전극 430: 유기 발광층
440: 상부 전극 450: 봉지 기판
460: 위상차 필름

Claims (19)

  1. 소수성 고분자 수지, 그리고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이색성 염료
    를 포함하는 편광 필름:
    [화학식 1]
    Figure 112013021127427-pat00017

    상기 화학식 1에서,
    Ar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15 아릴렌기이고,
    Ar2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및 할로겐 함유기 중 적어도 하나로 치환된 C6 내지 C15 아릴렌기이고,
    Ar3는 아마이드기로 치환된 C6 내지 C15 아릴렌기이고,
    R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콕시기이고,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이거나 R2 및 R3가 서로 연결되어 고리를 형성하고,
    n은 1 또는 2이다.
  2. 제1항에서,
    상기 C6 내지 C15 아릴렌기는 페닐렌기, 나프틸렌기 또는 바이페닐렌기인 편광 필름.
  3. 제1항에서,
    Ar3는 아세트아마이드기로 치환된 C6 내지 C15 아릴렌기인 편광 필름.
  4. 제1항에서,
    Ar3는 아마이드기로 치환되고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콕시기로 추가적으로 치환된 C6 내지 C15 아릴렌기인 편광 필름.
  5. 제1항에서,
    상기 이색성 염료는 하기 화학식 2로 표현되는 편광 필름:
    [화학식 2]
    Figure 112013021127427-pat00018

    상기 화학식 2에서,
    Ar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15 아릴렌기이고,
    Ra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또는 할로겐 함유기이고,
    Rb는 수소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콕시기이고,
    Rc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이고,
    R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콕시기이고,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킬기이거나 R2 및 R3가 서로 연결되어 고리를 형성하고,
    n은 1 또는 2이다.
  6. 제1항에서,
    상기 이색성 염료는 하기 화학식 3 내지 6 중 하나로 표현되는 편광 필름:
    [화학식 3]
    Figure 112013021127427-pat00019

    [화학식 4]
    Figure 112013021127427-pat00020

    [화학식 5]
    Figure 112013021127427-pat00021

    [화학식 6]
    Figure 112013021127427-pat00022

  7. 제1항에서,
    상기 소수성 고분자 수지는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편광 필름.
  8. 제7항에서,
    상기 소수성 고분자 수지는 폴리올레핀 수지이고,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프로필렌(PP)과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의 공중합체(PE-PP)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편광 필름.
  9. 제1항에서,
    상기 이색성 염료의 용해도 파라미터는 24 이하인 편광 필름.
  10. 제1항에서,
    상기 소수성 고분자 수지와 상기 이색성 염료의 용해도 파라미터의 차이는 8.0 이하인 편광 필름.
  11. 제1항에서,
    상기 이색성 염료는 상기 소수성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되어 있는 편광 필름.
  12. 제11항에서,
    상기 이색성 염료는 상기 소수성 고분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1 중량부로 포함되어 있는 편광 필름.
  13. 제1항에서,
    가시광선 영역의 최대 흡수 파장(λmax)에서 상기 편광 필름의 이색비(dichroic ratio)는 3 내지 10이고,
    여기서 상기 이색비는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구해지는 편광 필름:
    [수학식 1]
    DR = Log(1/T) / Log(1/T)
    상기 수학식 1에서,
    DR은 편광 필름의 이색비이고,
    T는 편광 필름의 투과축에 평행으로 입사한 빛에 대한 편광 필름의 투과도이고,
    T는 편광 필름의 투과축에 수직으로 입사한 빛에 대한 편광 필름의 투과도이다.
  14. 제1항에서,
    상기 편광 필름의 편광 효율은 90% 이상이고,
    여기서 편광 효율은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구해지는 편광 필름:
    [수학식 2]
    PE (%) = [(T-T)/(T+T)]1/2 ⅹ 100
    상기 수학식 2에서,
    PE는 편광 효율이고,
    T는 편광 필름의 투과축에 평행으로 입사한 빛에 대한 편광 필름의 투과도이고,
    T는 편광 필름의 투과축에 수직으로 입사한 빛에 대한 편광 필름의 투과도이다.
  15. 제1항에서,
    상기 편광 필름은 상기 소수성 고분자 수지와 상기 이색성 염료의 용융 혼합물인 편광 필름.
  16. 제15항에서,
    상기 이색성 염료는 상기 소수성 고분자 수지에 분산되어 있고,
    상기 소수성 고분자 수지는 400 내지 1000%로 일축 연신되어 있는 편광 필름.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편광 필름, 그리고
    보상 필름
    을 포함하는 반사방지 필름.
  18.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9. 제18항에서,
    상기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 또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130025848A 2013-03-11 2013-03-11 편광 필름 및 표시 장치 KR101999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5848A KR101999830B1 (ko) 2013-03-11 2013-03-11 편광 필름 및 표시 장치
US14/090,007 US9791609B2 (en) 2013-03-11 2013-11-26 Polarization film and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5848A KR101999830B1 (ko) 2013-03-11 2013-03-11 편광 필름 및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1550A KR20140111550A (ko) 2014-09-19
KR101999830B1 true KR101999830B1 (ko) 2019-07-12

Family

ID=51487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5848A KR101999830B1 (ko) 2013-03-11 2013-03-11 편광 필름 및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791609B2 (ko)
KR (1) KR1019998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2188B1 (ko) * 2014-10-27 2022-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편광 필름용 조성물, 편광 필름 및 표시 장치
JP2016118782A (ja) * 2014-12-17 2016-06-30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 Ltd. 偏光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含む表示装置
US10216041B2 (en) * 2015-09-16 2019-0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tical film,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KR102417139B1 (ko) * 2016-01-07 2022-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상 필름, 광학 필름 및 표시 장치
KR102643464B1 (ko) * 2016-02-22 2024-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컬러 편광 필름, 반사방지 필름 및 표시 장치
CN117492126A (zh) * 2021-12-10 2024-02-0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偏光片及显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13075A (en) 1966-02-08 1968-11-26 American Aniline Prod Azo dyestuff mixtures and aromatic polyester fibers colored therewith
JP2011048310A (ja) * 2009-08-28 2011-03-10 Fujifilm Corp 偏光膜、積層体、及び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12857B2 (ja) 1992-05-13 2003-06-03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画像形成方法、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インクジェット記録ユニット、インクカートリッジ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547946B2 (ja) 2004-03-11 2010-09-22 三菱化学株式会社 アゾ色素、異方性色素膜用二色性アゾ色素並びにこれを用いた異方性色素膜形成用組成物、異方性色素膜および偏光素子
JP2011048311A (ja) 2009-08-28 2011-03-10 Fujifilm Corp 二色性色素、光吸収異方性膜、偏光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表示装置
ES2661223T3 (es) 2010-06-14 2018-03-28 Basf Se Colorante dicroico negro
US9442220B2 (en) * 2010-08-30 2016-09-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polarizing film,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provided with the polarizing film
KR101814015B1 (ko) * 2010-08-30 2018-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편광 필름용 조성물, 편광 필름, 그 제조 방법 및 상기 편광 필름을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20120061556A (ko) * 2010-12-03 2012-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패널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패널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13075A (en) 1966-02-08 1968-11-26 American Aniline Prod Azo dyestuff mixtures and aromatic polyester fibers colored therewith
JP2011048310A (ja) * 2009-08-28 2011-03-10 Fujifilm Corp 偏光膜、積層体、及び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91609B2 (en) 2017-10-17
KR20140111550A (ko) 2014-09-19
US20140254012A1 (en) 2014-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36077B2 (ja) 偏光フィルムおよび表示装置
JP6549348B2 (ja) 偏光フィルム、反射防止フィルムおよび表示装置
KR101999830B1 (ko) 편광 필름 및 표시 장치
US9207359B2 (en) Polarizing film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polarizing film
TW201734074A (zh) 偏光板保護薄膜、其製造方法及偏光板
KR102118036B1 (ko) 편광 필름용 조성물, 편광 필름 및 표시 장치
KR101960467B1 (ko) 편광 필름용 이색성 염료, 편광 필름 및 상기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401723B1 (ko) 편광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TW201329147A (zh) 樹脂組成物及使用其形成之光學膜
KR102057722B1 (ko) 편광 필름용 조성물, 편광 필름 및 표시 장치
KR20150082942A (ko) 편광 필름용 조성물, 편광 필름 및 표시 장치
US9599760B2 (en) Composition for optical film, and films and display device
US20160187548A1 (en) Polarizing film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polarizing film
KR102392187B1 (ko) 편광 필름용 조성물, 편광 필름 및 표시 장치
KR102392188B1 (ko) 편광 필름용 조성물, 편광 필름 및 표시 장치
JP6846892B2 (ja) 重合体、補償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及び表示装置
KR101629076B1 (ko) 노르보넨계 광학 보상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표시장치
JP6948771B2 (ja) モノマー、重合体、補償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及び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