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1517B1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Google Patents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1517B1
KR102401517B1 KR1020210137343A KR20210137343A KR102401517B1 KR 102401517 B1 KR102401517 B1 KR 102401517B1 KR 1020210137343 A KR1020210137343 A KR 1020210137343A KR 20210137343 A KR20210137343 A KR 20210137343A KR 102401517 B1 KR102401517 B1 KR 102401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bridge
transverse
anchor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7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국
정재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우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우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우산업
Priority to KR1020210137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15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1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1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Abstract

교량용 신축이음장치가 개시되며, 상기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각각이 교량의 횡 방향을 따라 연장 구비되고, 상기 교량의 종 방향 일측 상판 및 상기 종 방향 타측 상판 각각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 브라켓; 각각이 상기 한 쌍의 고정 브라켓의 상측에 고정 배치되고, 상기횡 방향을 따라 연장 구비되며, 서로를 향하는 면이 맞물리게 구비되는 한 쌍의 핑거 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고정 브라켓 사이에 형성되는 내측 공간에 상기 횡 방향을 따라 연장 구비되어 상기 내측 공간을 상측으로 폐쇄하는 방수부재; 및 상기 한 쌍의 고정 브라켓 각각에 대해 상기 횡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상호 간격을 두고 구비되고, 각각의 상부가 상기 한 쌍의 고정 브라켓 각각에 고정되며 각각의 하부가 상기 일측 상판 및 상기 타측 상판 각각에 매립되는 앵커를 포함하되, 상기 앵커는 상하 방향 길이가 조절 가능하다.

Description

교량용 신축이음장치{EXPANSION JOINTING APPARATUS FOR A BRIDGE}
본원은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동, 하절기와 같은 기온변화에 의한 신축, 콘크리트 재령에 따른 건조수축과 크리프, 활하중에 따른 상부조의 이동을 원활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다수의 교량 상판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연속적으로 설치된다.
이에, 간격이 수시로 변화하는 교량의 상판과 상판 사이 이음매를 연결하여 차량을 원활하게 통과시키기 위해서 핑거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신축이음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핑거플레이트는 스터드앵커가 교량 상판에 매입됨으로써 교량 상판과 결합되는데, 종래에는 스터드앵커의 길이가 조절되지 않으므로 신축이음장치의 설치기 불편함이 있어왔다.
본원의 배경과 관련된 기술은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584086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앵커의 길이가 조절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도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1 측면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각각이 교량의 횡 방향을 따라 연장 구비되고, 상기 교량의 종 방향 일측 상판 및 상기 종 방향 타측 상판 각각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 브라켓; 각각이 상기 한 쌍의 고정 브라켓의 상측에 고정 배치되고, 상기횡 방향을 따라 연장 구비되며, 서로를 향하는 면이 맞물리게 구비되는 한 쌍의 핑거 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고정 브라켓 사이에 형성되는 내측 공간에 상기 횡 방향을 따라 연장 구비되어 상기 내측 공간을 상측으로 폐쇄하는 방수부재; 및 상기 한 쌍의 고정 브라켓 각각에 대해 상기 횡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상호 간격을 두고 구비되고, 각각의 상부가 상기 한 쌍의 고정 브라켓 각각에 고정되며 각각의 하부가 상기 일측 상판 및 상기 타측 상판 각각에 매립되는 앵커를 포함하되, 상기 앵커는 상하 방향 길이가 조절 가능하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앵커의 길이가 조절 가능하므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설치시,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앵커의 길이를 조절해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 설치가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종 방향 단면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앵커의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앵커의 개략적인 횡 방향 개념 단면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앵커의 개략적인 종 방향 개념 단면도로서, 도 3의 A-A 단면도일 수 있다.
도 6은 액체 이동 가이드 부재 및 선형 부재가 구비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종 방향 단면도이다.
도 7은 보조 앵커가 구비되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보조 앵커가 구비되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핑거 플레이트의 일부의 종 방향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상측, 상부, 상면, 하측, 횡 방향, 종 방향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3을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이 상측,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상부,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을 향하는 면이 상면, 전반적으로6시 방향이 하측 등이 될 수 있고, 도 1을 참조하면, 전반적으로 10시-4시 방향이 횡 방향, 전반적으로 2시-8시 방향이 종 방향 등이 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전반적으로 9시-3시 방향이 종 방향이 될 수 있다.
본원은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이하 '본 장치'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종 방향 단면도이다.
본 장치는 교량의 종 방향 일측 상판(9a)과 교량의 종 방향 타측 상판(9b)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장치는 교량의 종 방향 일측 상판(9a)과 교량의 종 방향 타측 상판(9b) 사이의 이음매 구간에 설치되어, 교량의 신축 변형을 수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장치는 한 쌍의 고정 브라켓(1)을 포함한다. 한 쌍의 고정 브라켓(1) 각각은 교량의 횡 방향을 따라 연장 구비된다. 또한, 한 쌍의 고정 브라켓(1) 각각은 일측 상판(9a) 및 타측 상판(9b) 각각에 고정된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한 쌍의 고정 브라켓(1) 중 일측 상판(9a)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1)은 일측 상판(9a)의 타단부 상에 구비되는 플레이트(11) 및 플레이트(11)의 타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재(12)를 포함하고, 단면이 ㄱ자 형상일 수 있다. 또란, 타측 상판(9b)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1)은 타측 상판(9b)의 일단부 상에 구비되는 플레이트(11) 및 플레이트(11)의 일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재(12)를 포함하고, 단면이 ㄱ자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장치는 앵커(2)를 포함한다. 앵커(2)는 한 쌍의 고정 브라켓(1) 각각에 대해 횡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상호 간격을 두고 구비된다. 또한, 앵커(2)는 상부가 한 쌍의 고정 브라켓(1) 각각에 고정되며 각각의 하부가 일측 상판 및 타측 상판 각각에 고정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일측 상판(9a)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고정 브라켓(1)에 대하여 구비되는 앵커(2)는 상하로 연장 배치되며 상부가 고정 브라켓(1)의 플레이트(11)에 결합되고(이를 테면, 볼트 결합), 하부가 일측 상판(9a)에 고정(이를 테면, 일측 상판(9a)의 콘크리트부(91)에 매립)될 수 있다. 또한, 타측 상판(9b)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고정 브라켓(1)에 대하여 구비되는 앵커(2)는 상하로 연장 배치되며 상부가 고정 브라켓(1)의 플레이트(11)에 결합되고(이를 테면, 볼트 결합), 하부가 타측 상판(9b)에 고정(이를 테면, 타측 상판(9b)의 콘크리트부에 매립)될 수 있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앵커의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고,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앵커의 개략적인 횡 방향 개념 단면도이며,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앵커의 개략적인 종 방향 개념 단면도로서, 도 3의 A-A 단면도일 수 있다. 참고로, 도 5는 용이한 이해를 위해, 삽입홈, 횡 방향 철근 등이 과장되어 도시되었을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앵커(2)는 상하 방향 길이가 조절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앵커(2)는 하향 개구되는 삽입부(211)가 형성되는 상부 부재(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앵커(2)는 삽입부(211)에 상향 삽입되며, 상기 상부 부재에 대해 상하 방향 이동 가능한 하부 부재(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부 부재(22)에는 하부 부재(22)를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형성되는 하부 부재용 통로(221)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부재(21)의 하부에는 상부 부재(21)를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며 형성되는 상부 부재용 통로(2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부재용 통로(212)와 하부 부재용 통로(221)는 서로 같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앵커(2)는 체결 핀(23)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 핀(23)이 복수의 하부 부재용 통로(221) 중 하나와 상부 부재용 통로(212)를 가로지르며 체결될 때 하부 부재(22)의 상부 부재(21)에 대한 높이가 고정되며 앵커(2)의 높이가 고정될 수 있다. 즉, 앵커(2)의 상하 방향 길이 조절이 필요한 경우, 이를 테면, 길이를 늘려야할 때는 체결 핀(23)을 탈거하고, 하부 부재(22)를 상부 부재(21)에 대해 삽입량을 줄이며, 체결되었던 하부 부재용 통로(221)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하부 부재용 통로(221)를 상부 부재용 통로(212)와 연통되게 한 후, 체결 핀(23)을 연통된 하부 부재용 통로(221)와 상부 부재용 통로(212)에 체결시킬 수 있고, 길이를 줄여야할 때는 체결 핀(23)을 탈거하고, 하부 부재(22)를 상부 부재(21)에 대해 삽입량을 늘리며, 체결되었던 하부 부재용 통로(221)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하부 부재용 통로(221)를 상부 부재용 통로(212)와 연통되게 한 후, 체결 핀(23)을 연통된 하부 부재용 통로(221)와 상부 부재용 통로(212)에 체결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앵커(2)는 둘레면에 교량 상판의 횡 방향 철근(91)의 적어도 일부의 삽입이 가능한 삽입홈(24)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홈(24)은 도 5를 참조하면, U자 형태일 수 있다. 또는, 삽입홈(24)은
Figure 112021118204317-pat00001
모양의 홈일 수 있다. 또한, 삽입홈(24)은 앵커(2)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횡 방향으로 이웃하는 앵커(2)들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홈(24)이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앵커(2)에 앵커(2)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삽입홈(24) 각각이 앵커(2)와 횡 방향으로 이웃하는 이웃 앵커(2)의 복수의 삽입홈(24) 각각과 횡 방향으로 이웃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앵커(2)의 복수의 삽입홈(24) 중 하나에 삽입되는 횡 방향 철근(91)은 횡 방향(길이 방향)으로 다른 부분들이 앵커(2)와 횡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른 앵커(2) 들의 삽입홈(24) 중 상기 하나의 삽입홈(24)과 대응되는 위치의 삽입홈(24) 들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횡 방향 철근(91)은 횡 방향으로 복수의 지점(부분) 각각의 적어도 일부가 횡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앵커(2) 각각의 복수의 삽입홈(24) 중 하나의 삽입홈(24) 각각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횡 방향 철근(91)의 복수의 지점 각각이 삽입되는 삽입홈(24) 들이 횡 방향으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므로 횡 방향 철근(91)은 구부러지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횡 방향으로 이웃하는 복수의 앵커(2)를 가로지르는 하나 이상의 횡 방향 철근(91)이 복수의 앵커(2) 각각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삽입홈(24)에 삽입될 수 있으므로, 횡 방향 철근(91)의 위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고, 복수의 횡 방향 철근(91)이 복수의 앵커(2) 각각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삽입홈(24)에 삽입되는 경우, 복수의 횡 방향 철근(91) 각각의 위치 고정이 이루어져 횡 방향 철근(91)간의 일정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횡 방향 철근(91)과 앵커(2)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앵커(2)의 몸체(41)의 단면은 사각형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앵커(2)에 대한 삽입홈(24) 형성이 용이할 수 있고, 몸체(41)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 대비 삽입홈(24)의 내면과 횡 방향 철근(91)의 접촉 면적이 늘어나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참고로, 삽입홈(24)에 횡 방향 철근(91)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기 위해서는, 횡 방향 철근(91)이 앵커(2)의 종 방향 일측 또는 종방향 타측에서 횡 방향으로 연장 배치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앵커(2)의 종 방향 일측 또는 종 방향 타측에 종 방향 삽입홈(24)(종 방향 일측에 형성되는 삽입홈(24)은 종 방향 타측을 향해 함몰되는 형태, 종 방향 타측에 형성되는 삽입홈(24)은 종 방향 일측을 향해 함몰되는 형태)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전술한 상부 부재용 통로(212) 및 하부 부재용 통로(221)는 횡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앵커(2)의 상부 부재(21) 또는 하부 부재(22)에 삽입홈(24)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장치는 한 쌍의 핑거 플레이트(4)를 포함한다. 한 쌍의 핑거 플레이트(4)는 교량의 횡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서로를 향하는 면이 맞물리게 구비된다. 또한, 한 쌍의 핑거 플레이트(4) 각각은 한 쌍의 고정 브라켓(2)의 상측에 고정 배치된다. 이를 테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한 쌍의 핑거 플레이트(4) 각각은 앵커(2)에 볼트 결합될 수 있고, 앵커(2)가 상판(91)(일측 상판(91) 또는 타측 상판(9b))에 매립됨으로써, 핑거 플레이트(4), 앵커(2) 고정 브라켓(2) 등의 상판(91a, 91b)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방수부재(3)를 포함한다. 방수부재(3)는 한 쌍의 고정 브라켓(2) 사이에 형성되는 내측 공간에 횡 방향으로 연장 구비되며, 내측 공간을 상측으로 폐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재(3)는 종 방향 일단 및 타단 각각이 일측 상판(91a)에 구비되는 고정 브라켓(2)에 고정되고(이를 테면 볼트 결합), 타측 상판(91b)에 구비되는 고정 브라켓(2)에 고정될 수 있따. 이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방수부재(3)는 고무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수부재(3)는 신축 가능한 유연한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방수부재(3)는 방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고정 브라켓(2) 사이로 빗물 등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교량 상판의 이동에 따라, 한 쌍의 고정 브라켓(2)이 종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데, 방수부재(3)는 한 쌍의 고정 브라켓(2)의 종 방향으로의 이동(한 쌍의 고정 브라켓(2)간의 간격 변화)을 수용하면서 펼쳐지고 오므려질 수 있다. 방수부재(3)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액체 이동 가이드 부재 및 선형 부재가 구비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종 방향 단면도이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본 장치는 방수 부재(3) 상에 배치되는 액체 이동 가이드 부재(6)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이동 가이드 부재(6)는 방수부재(3)의 최하측에 위치하는 부분 상(또는 종 방향 중간 부분 상)에 위치할 수 있고, 횡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액체 이동 가이드 부재(6)는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부(61)가 형성되는 관일 수 있다. 또한, 액체 이동 가이드 부재(6)는 폴리에스터 직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액체 이동 가이드 부재(6)는 폴리에스터로 이루어진 직물(액체 이동 가이드 부재(6)의 외면부를 이룰 수 있음)이 중공부(61)를 갖는 관 형태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폴리에스터가 액체를 흡수하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하면, 액체 이동 가이드 부재(6)로 낙하하는 액체는 액체 이동 가이드 부재(6)의 외면부를 통과하여 액체 이동 가이드 부재(6)의 중공부(61) 내에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중공부(61)는 중공부(61) 내의 액체에 대하여 횡 방향 일측 및 횡 방향 타측 각각으로의 모세관력이 작용하도록, 횡 방향 일측부 및 횡 방향 타측부 각각의 단면적이 횡 방향 중간부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액체 이동 가이드 부재(6)에서 횡 방향 중간부는 횡 방향 일측부 및 횡 방향 타측부 사이에 형성되는 일부 구간일 수 있고, 중공부의 횡 방향 중간부의 단면적은 횡 방향 일측부 및 횡 방향 타측부 각각의 단면적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공부(61) 내에 위치하는 액체에는 횡 방향 일측 및 횡 방향 타측 각각으로의 모세관력이 작용할 수 있고, 따라서, 중공부(61) 내에 위치하는 액체의 적어도 일부는 횡 방향 일측 또는 횡 방향 타측으로 이동되어 횡 방향 양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터는 액체 흡수율이 낮으므로, 중공부 내의 액체의 적어도 일부는 기화되어 제거될 수 있다.
또는, 중공부(61)는 횡 방향 중간 지점으로부터 횡 방향 일측 및 횡 방향 타측 각각을 향할수록 단면적이 작아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중공부(61) 내에 위치하는 액체에는 횡 방향 일측 및 횡 방향 타측 각각으로의 모세관력이 작용할 수 있고, 따라서, 중공부(61) 내에 위치하는 액체의 적어도 일부는 횡 방향 일측 또는 횡 방향 타측으로 이동되어 횡 방향 양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액체 이동 가이드 부재(6)는 폴리에스터 직물로 이루어지므로 무게가 크지 않아 상면부에 작용하는 하중 부담이 플라스틱 관 등에 대비하여 작을 수 있다. 또한, 액체 이동 가이드 부재(6)는 적어도 일부가 방수부재(3)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테면, 액체의 영향을 적게 받는 접착제(방수용 접착제 등), 재봉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액체 이동 가이드 부재(6)는 폴리에스터 직물로 이루어지므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액체 이동 가이드 부재(6)는 적어도 일부가 방수부재(3)에 고정된 상태에서 방수부재(3)가 오므라지거나 펼쳐지는 것 등과 같은 변형에 대응하여 변형될 수 있고, 변형시 중공부의 단면의 형상 또한 대응하여 변형되겠지만, 중공부의 단면적은 유지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액체 이동 가이드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본 장치는 복수의 선형 부재(7)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선형 부재(7) 각각은 각각의 일단이 한 쌍의 고정 브라켓(2) 중 하나(일측에 위치하는 고정 브라켓(2))에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이 한 쌍의 고정 브라켓(2) 중 다른 하나(타측에 위치하는 고정 브라켓(2))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선형 부재(7) 중 적어도 일부는 횡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이웃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선형 부재(7) 중 적어도 일부는 상하로 간격을 두고 이웃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선형 부재(7)의 일단 및 타단 각각은 고정 브라켓(2)에 나사 결합, 용접 결합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참고로, 나사 결합시, 필요하면 볼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선형 부재(7)는 미리 설정된 온도를 기준으로 저온인 제1 상태에서는 변형 가능하고, 미리 설정된 온도를 기준으로 고온인 제2 상태에서는 초기 형상으로 복원되도록 설정되는 SMA(Shape Memory Alloy) 선형 부재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선형 부재(7)는 미리 설정된 온도보다 저온인 제1 상태에서는 외력이 가해지면 초기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가해진 외력에 따라 변형 가능하고, 미리 설정된 온도보다 고온인 제2 상태에서는 다시 초기 형태로 복원되려는 형상 기억 효과(shape memory effect)를 가질 수 있다.
교량 상판은 온도에 따라 신축하므로, 교량 상판간의 간격, 다시 말해, 한 쌍의 고정 브라켓(2) 사이의 간격이 고온일때는 줄어들고, 저온일때는 늘어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장치에 의하면, 선형 부재(7)가 구비되므로, 고온일 때는 선형부재(7)가 초기 형상(초기 길이)로 돌아가서 교량 상판간의 간격(한 쌍의 고정 브라켓(2) 사이의 간격)이 과도하게 좁혀지지 않게 억제해 줄 수 있고, 저온일 때는 선형 부재(7)는 외력에 따라 변형되므로 교량 상판간의 간격(한 쌍의 고정 브라켓(2) 사이의 간격)에 따라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다. 즉, 선형 부재(7)는 고온에서의 교량 상판간의 간격(한 쌍의 고정 브라켓(2) 사이의 간격)이 과도하게 좁혀지는 것을 억제해줄 수 있다.
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온도라 함은, 교량 상판의 신장이 이루어지는 온도 범위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교량 상판의 신장이 이루어지는 온도 범위 내에서의 최저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한 쌍의 핑거 플레이트(4) 각각으로부터 한 쌍의 핑거 플레이트(4)의 서로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조 앵커(8)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종 방향 일측 상판(9a)에 구비되는 핑거 플레이트(4)에는 종 방향 일측으로 연장되는 보조 앵커(8)가 구비될 수 있고, 종 방향 타측 상판(9b)에 구비되는 핑거 플레이트(4)에는 종 방향 타측으로 연장되는 보조 앵커(8)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보조 앵커(8)는 핑거 플레이트(4)의 횡 방향 일단부 구간(a) 및 횡 방향 타단부 구간(b)에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테면, 도 7을 참조하면, 핑거 플레이트(4)의 횡 방향 전체 구간(c)은 횡 방향 일단부 구간(a), 횡 방향 타단부 구간(b) 및 횡 방향 일단부 구간(a)과 횡 방향 타단부 구간(b) 사이의 횡 방향 중간 구간을 포함할 수 있고, 보조 앵커(8)는 횡 방향 일단부 구간(a) 및 횡 방향 타단부 구간(b)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횡 방향 일단부 구간(a) 및 횡 방향 타단부 구간(b) 각각은 핑거 플레이트(4)의 횡 방향 길이의 1/4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앵커(8)에 의하면, 시공이 편의하고, 핑거 플레이트(4)의 상판(9a, 9b)에 대한 결합력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는 도시가 생략되었지만, 도 8을 참조하면, 보조 앵커(8)는 교량 상판의 횡 방향 철근(91)의 적어도 일부의 삽입이 가능한 삽입홈(81)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홈(81)은 U자 형태일 수 있다. 또는, 삽입홈(81)은
Figure 112021118204317-pat00002
모양의 홈일 수 있다. 또한, 삽입홈(81)은 보조 앵커(8)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횡 방향으로 이웃하는 보조 앵커(8)들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홈(81)이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보조 앵커(8)에 보조 앵커(8)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삽입홈(81) 각각이 보조 앵커(8)와 횡 방향으로 이웃하는 이웃 보조 앵커(8)의 복수의 삽입홈(81) 각각과 횡 방향으로 이웃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조 앵커(8)의 복수의 삽입홈(81) 중 하나에 삽입되는 횡 방향 철근(91)은 횡 방향(길이 방향)으로 다른 부분들이 보조 앵커(8)와 횡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른 보조 앵커(8) 들의 삽입홈(81) 중 상기 하나의 삽입홈(81)과 대응되는 위치의 삽입홈(81) 들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횡 방향 철근(91)은 횡 방향으로 복수의 지점(부분) 각각의 적어도 일부가 횡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보조 앵커(8) 각각의 복수의 삽입홈(81) 중 하나의 삽입홈(81) 각각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횡 방향 철근(91)의 복수의 지점 각각이 삽입되는 삽입홈(81) 들이 횡 방향으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므로 횡 방향 철근(91)은 구부러지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횡 방향으로 이웃하는 복수의 보조 앵커(8)를 가로지르는 하나 이상의 횡 방향 철근(91)이 복수의 보조 앵커(8) 각각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삽입홈(81)에 삽입될 수 있으므로, 횡 방향 철근(91)의 위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고, 복수의 횡 방향 철근(91)이 복수의 보조 앵커(8) 각각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삽입홈(81)에 삽입되는 경우, 복수의 횡 방향 철근(91) 각각의 위치 고정이 이루어져 횡 방향 철근(91)간의 일정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횡 방향 철근(91)과 보조 앵커(8)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보조 앵커(8)의 몸체(의 단면은 사각형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조 앵커(8)에 대한 삽입홈(81) 형성이 용이할 수 있고, 몸체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 대비 삽입홈(81)의 내면과 횡 방향 철근(91)의 접촉 면적이 늘어나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앵커(8)는 전술한 앵커(2)와 대응 내지 유사한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고정 브라켓
2: 앵커
21: 상부 부재
211: 삽입부
212: 상부 부재용 통로
22: 하부 부재
221: 하부 부재용 통로
23: 체결 핀
24: 삽입 홈
3: 방수부재
4: 핑거 플레이트
6: 액체 이동 가이드부재
7: 선형 부재
8: 보조 앵커
81: 삽입 홈
9a: 일측 상판
9b: 타측 상판
91: 콘크리트부

Claims (7)

  1.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각각이 교량의 횡 방향을 따라 연장 구비되고, 상기 교량의 종 방향 일측 상판 및 상기 종 방향 타측 상판 각각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 브라켓;
    각각이 상기 한 쌍의 고정 브라켓의 상측에 고정 배치되고, 상기 횡 방향을 따라 연장 구비되며, 서로를 향하는 면이 맞물리게 구비되는 한 쌍의 핑거 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고정 브라켓 사이에 형성되는 내측 공간에 상기 횡 방향을 따라 연장 구비되어 상기 내측 공간을 상측으로 폐쇄하는 방수부재;
    상기 한 쌍의 고정 브라켓 각각에 대해 상기 횡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상호 간격을 두고 구비되고, 각각의 상부가 상기 한 쌍의 고정 브라켓 각각에 고정되며 각각의 하부가 상기 일측 상판 및 상기 타측 상판 각각에 매립되는 앵커; 및
    각각의 일단이 상기 한 쌍의 고정 브라켓 중 하나에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이 상기 한 쌍의 고정 브라켓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며, 상기 횡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복수의 선형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앵커는 상하 방향 길이가 조절 가능하고,
    상기 앵커의 몸체의 둘레면에는, 상기 일측 상판의 횡 방향 철근 또는 상기 타측 상판의 횡 방향 철근의 적어도 일부의 삽입이 가능한 삽입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단면은 사각형이고,
    상기 방수부재 상에서 상기 횡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액체 이동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액체 이동 가이드 부재는 폴리에스터 직물로 이루어지고,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부가 형성되는 관이며,
    상기 중공부는, 상기 중공부 내의 액체에 대하여 상기 횡 방향 일측 및 상기 횡 방향 타측 각각으로의 모세관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횡 방향 일측부 및 상기 횡 방향 타측부 각각의 단면적이 상기 횡 방향 중간부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선형 부재는, 미리 설정된 온도를 기준으로 저온인 제1 상태에서는 변형 가능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온도를 기준으로 고온인 제2 상태에서는 초기 형상으로 복원되도록 설정되는 SMA(Shape Memory Alloy) 선형 부재이고,
    상기 앵커는,
    하향 개구되는 삽입부 및 수평 방향으로 상부 부재용 통로가 형성되는 상부 부재;
    상기 삽입부에 상향 삽입되며 상기 상부 부재에 대해 상하 방향 이동 가능하고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하부 부재용 통로가 상하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는 하부 부재; 및
    상기 상부 부재용 통로와 상기 복수개의 하부 부재용 통로 중 하나를 가로지르며 체결되는 체결 핀을 포함하는 것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핑거 플레이트 각각으로부터 상기 한 쌍의 핑거 플레이트의 서로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조 앵커를 더 포함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앵커의 몸체의 둘레면에는, 상기 일측 상판의 횡 방향 철근 또는 상기 타측 상판의 횡 방향 철근의 적어도 일부의 삽입이 가능한 삽입홈이 함몰 형성되는 것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20210137343A 2021-10-15 2021-10-15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2401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343A KR102401517B1 (ko) 2021-10-15 2021-10-15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343A KR102401517B1 (ko) 2021-10-15 2021-10-15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1517B1 true KR102401517B1 (ko) 2022-05-24

Family

ID=81807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7343A KR102401517B1 (ko) 2021-10-15 2021-10-15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1517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0891A (ja) * 1997-11-05 1999-05-25 Kenzo Murakami 地中埋設用の導水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充填材
JP2004270375A (ja) * 2003-03-11 2004-09-30 Hitachi Zosen Tekko Engineering Kk 伸縮継手用止水材
KR20090127692A (ko) * 2008-06-09 2009-12-14 (주)엠피기술산업 교량용 면진 신축이음장치
KR20100128549A (ko) * 2009-05-28 2010-12-08 주식회사 삼일엑슨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411895B1 (ko) * 2012-06-13 2014-06-26 김남훈 교량 신축이음장치와 그 시공방법
KR101456895B1 (ko) * 2014-05-08 2014-10-31 주식회사 브리텍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교량 신축이음장치
KR102051614B1 (ko) * 2019-06-05 2019-12-04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교량용 핑거조인트 장치
KR20210019264A (ko) * 2019-08-12 2021-02-22 포엠 주식회사 교량용 풀림 방지 신축이음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0891A (ja) * 1997-11-05 1999-05-25 Kenzo Murakami 地中埋設用の導水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充填材
JP2004270375A (ja) * 2003-03-11 2004-09-30 Hitachi Zosen Tekko Engineering Kk 伸縮継手用止水材
KR20090127692A (ko) * 2008-06-09 2009-12-14 (주)엠피기술산업 교량용 면진 신축이음장치
KR20100128549A (ko) * 2009-05-28 2010-12-08 주식회사 삼일엑슨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411895B1 (ko) * 2012-06-13 2014-06-26 김남훈 교량 신축이음장치와 그 시공방법
KR101456895B1 (ko) * 2014-05-08 2014-10-31 주식회사 브리텍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교량 신축이음장치
KR102051614B1 (ko) * 2019-06-05 2019-12-04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교량용 핑거조인트 장치
KR20210019264A (ko) * 2019-08-12 2021-02-22 포엠 주식회사 교량용 풀림 방지 신축이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5959B1 (ko) 교량용 면진 신축이음장치
US3410037A (en) Structural expansion joint
KR100921415B1 (ko) 교량용 저소음 내진 신축이음장치
KR100388323B1 (ko) 에너지 안내 체인
KR100743044B1 (ko) 내진용 신축이음장치
US3559541A (en) Concrete joint load transfer device
CZ20013718A3 (cs) Deformovatelná stavební plochá liąta
US20160222608A1 (en) Bridge pier structure
JP4970133B2 (ja) 可撓止水構造
KR102401517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JP2011106095A (ja) 既設水門柱の耐震性向上構造、及び連成耐震構造物
KR102210751B1 (ko) 방음벽 교량용 부반력제어 및 신축흡수 장치, 방음벽 교량용 부반력제어 및 신축흡수 장치가 장착되는 방음벽 교량용 거더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75259B1 (ko) 교량의 비지지점 신축이음장치
KR102401516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060027605A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986949B1 (ko) 신축이음장치
CN209760012U (zh) 单元装配式大位移抗挠度多向变位梳形板桥梁伸缩装置
KR102356049B1 (ko) 교량용 풀림 방지 신축이음장치
KR101634580B1 (ko) 비배수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PT2672007E (pt) Placa de guia para a fixação de carris para veículos ferroviários
KR200407130Y1 (ko) 진동저감형 교량신축이음장치
KR200275867Y1 (ko) 방호벽용 신축이음장치
KR100962703B1 (ko) 구조물의 이음매
KR200369565Y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2651760B1 (ko) 양방향 격리 핑거 조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