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9668B1 - Sprout Cultivat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Sprout Cultivation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99668B1 KR102399668B1 KR1020200154429A KR20200154429A KR102399668B1 KR 102399668 B1 KR102399668 B1 KR 102399668B1 KR 1020200154429 A KR1020200154429 A KR 1020200154429A KR 20200154429 A KR20200154429 A KR 20200154429A KR 102399668 B1 KR102399668 B1 KR 1023996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sheet
- seed support
- seed
- body frame
- wa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20—Cerea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2—Germinating apparatus; Determining germination capacity of seed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A01C1/044—Sheets, multiple sheets or ma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Botan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새싹 재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농가 또는 일반 가정에서 매일 소요되는 양만큼의 새싹을 재배하여 매일 일정하게 공급할 수 있는 새싹 재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rout cultiva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prout cultivation apparatus capable of cultivating an amount of sprouts required for each day in a farmhouse or general home and supplying them consistently every day.
새싹 채소(sprout vegetable)는 종자에서 발아하는 싹을 짧은 기간에 키워 생장 초기의 어린 배축(胚軸)과 떡잎을 식용으로 하는 채소를 말한다. 종래의 새싹 재배는 채반에 씨앗을 담고 그 위체 빛을 차단하는 커버를 덮은 후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하여 씨앗을 발아시키는 방식, 육묘 상자에 솜이나 스폰지를 일정한 두께로 깔고 물을 공급한 후 그 위에 씨앗을 뿌려 씨앗을 발아시키는 방식, 비닐하우스 내부에 상토, 모래, 흙 등을 뿌린 후 그 위에 씨앗을 조밀하게 뿌리고 물을 공급하는 방식 등을 이용하고 있다. 위와 같은 전통적인 재배 방식 이외에도 새싹 재배 과정에서 바람직한 생장 조건(빛, 온도, 습도)을 유지하고, 좁은 공간에서도 효과적으로 새싹 재배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형태의 새싹 재배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Sprout vegetable refers to vegetables that are edible with young hypocotyls and cotyledons in the early stages of growth by growing shoots that germinate from seeds in a short period of time. In the conventional sprout cultivation, seeds are placed in a tray, covered with a cover that blocks the light of the upper body, and then water is periodically supplied to germinate the seeds. There is a method of germinating seeds by sprinkling seeds, or a method of sprinkling top soil, sand, soil, etc. inside the greenhouse, then sprinkling the seeds densely and supplying water. In addition to the above traditional cultivation methods, various types of sprout cultivation devices have been proposed that maintain desirable growth conditions (light, temperature, humidity) in the sprout cultivation process and enable effective sprout cultivation in a narrow space.
근래들어, 가정 내에서 새싹을 재배하여 신선한 상태의 새싹을 소비하고자 하는 수요가 늘고 있다. 그렇지만 종래의 재배 방식 또는 새롭게 제안되고 있는 새싹 재배 장치에서는 한꺼번에 재배 및 수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매일 신선한 새싹을 소비할 수 있을 만큼만 수확하고자 하는 일반 가정의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In recent years,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consuming sprouts in a fresh state by cultivating sprouts at home. However, in the conventional cultivation method or the newly proposed sprout cultivation apparatus, cultivation and harvesting are performed at once, so it does not meet the demand of general households who want to harvest only enough fresh sprouts to consume every day.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새싹 재배에 대한 특별한 기술 내지 지식이 없는 일반인도, 쉽게 새싹을 재배하여 수확할 수 있도록 하는 새싹 재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prout cultivation apparatus that allows the general public without special skills or knowledge for sprout cultivation to easily grow and harvest sprouts.
더 나아가, 수요자의 하루 새싹 소비량에 맞추어 수확량을 조절함으로써, 매일 신선한 새싹을 공급할 수 있는 새싹 재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Furthermore, by adjusting the yield according to the consumer's daily sprout consumption, it i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sprout cultivation apparatus capable of supplying fresh sprouts every day.
본 발명은 매일 일정량의 새싹을 수확할 수 있는 새싹 재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발아시킬 종자(A)가 일면에 부착되는 종자 지지시트(210); 및 상기 종자 지지시트(210)에 습기를 공급하기 위한 물(W)을 저장하는 본체 프레임(100)을 포함하되, 상기 종자 지지시트(210)는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생육 시작부(150)에서 시작하여,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수확부(160) 방향으로 매일 소정 거리 이동하며, 상기 수확부(160)에 도달한 상기 종자 지지시트(210) 부분은 절취되고, 절취된 종자 지지시트(210)에서 발아한 새싹을 수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rout cultivation apparatus capable of harvesting a certain amount of sprouts every day, comprising: a
상기 종자 지지시트(210)는 롤 형태로 말린 종자 지지시트 롤(211)로 공급될 수 있는데, 상기 수확부(160)에서 상기 종자 지지시트(210)의 제일 끝 부분을 매일 소정 길이만큼 당겨서 상기 종자 지지시트 롤(211)이 풀리는 방식으로 상기 종자 지지시트(210)가 상기 생육 시작부(150)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그리고 상기 종자 지지시트(210)의 길이 방향으로는, 종자 지지시트(210)를 타고 이동하는 수분을 차단하기 위한 복수 개의 수분차단구들(240)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복수 개의 수분차단구들(240) 중 서로 인접한 수분차단구들(240) 사이의 거리는 하루에 상기 종자 지지시트(210)가 하루에 이동하는 거리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상기 종자 지지시트(210)에는 종자가 탈곡되지 아니한 상태로 부착되되, 상기 종자는 아로니아향물, 허브향물 또는 쌀뜨물에 담구었다가 꺼낸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eds are attached to the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상단에는 상기 종자 지지시트(210)를 하면에서 지지하기 위한 시트 지지 판넬(400)이 구비되되, 상기 시트 지지 판넬(400)에는 상기 본체 프레임(100)에 저장된 물(W)에서 발생한 습기가 상기 종자 지지시트(210)에 도달하도록 하기 위한 판넬 관통공(410)이 형성될 수 있다. A
상기 시트 지지 판넬(400)은 상기 본체 프레임(100)에 경사지게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생육 시작부(150)에서는 상기 종자 지지시트(210)가 상기 본체 프레임(100)에 저장된 물(W)에 잠기고, 생육 시작부(15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는 상기 종자 지지시트(210)가 상기 본체 프레임(100)에 저장된 물(W)에 잠기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더 나아가,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상기 생육 시작부(150)에는 차광부(300)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생육 시작부(150)에 위치하는 상기 종자(A)로 전달되는 빛을 차단할 수 있다. Furthermore, since a
본 발명에 따른 새싹 재배 장치에서는, 종자가 부착되어 있는 종자 지지시트가 롤 형태로 공급되고, 재배자는 종자 지지시트를 매일 일정 길이 만큼 이동시키면서 수확함으로써, 새싹 재배에 특별한 지식이 없는 일반인도 농가 또는 가정에서 쉽게 매일 신선한 새싹을 수확할 수 있게 된다. In the sprou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ed support sheet to which the seeds are attached is supplied in the form of a roll, and the grower harvests the seed support sheet by moving the seed support sheet by a certain length every day, so that the general public without special knowledge in sprout cultivation can either You can easily harvest fresh sprouts every day at hom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새싹 재배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싹 재배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종자 지지시트에 종자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차광부가 제거된 상태의 새싹 재배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본체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차광부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1 shows a sprou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show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prou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 state in which the seeds are attached to the seed support sheet.
Figure 4 shows a sprout cultivation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light-shielding portion is removed.
5 and 6 show the configuration of the body frame.
7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light blocking uni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새싹 재배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sprou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present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n addi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새싹 재배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체 프레임(100)은 종자 또는 새싹에 물(W) 또는 습기를 제공하기 위한 요소로서, 그 내부에 물(W)을 저장할 수 있도록 수밀형 상자 형태로 만들어진다. 종자 공급부(200)는 발아시킬 종자를 매일 일정량만큼 공급하기 위한 요소로서,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종자 지지시트(210)를 포함하는데, 종자 지지시트(210) 상에는 종자(A)가 실리콘 등의 접착제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다. Figure 2 show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prou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종자 지지시트(210)는 투수성을 가지는 직물 형태의 망상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는데,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 간격으로 수분차단구(240)가 형성되어 수분이 종자 지지시트(210)를 타고 다른 부분까지 전이되는 것을 막게 된다. 수분차단구(240)는 수분을 막을 수 있는 재질이면 상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서로 인접하는 수분차단구(240) 사이의 간격은 하루 새싹 수확량에 해당하는 종자(A)가 종자 지지시트(210) 상에 부착될 수 있는 정도로 결정될 수있다. The
도 3은 종자 지지시트(210) 상에 종자(A)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종자(A)는 탈곡된 씨앗일 수도 있으나, 탈곡되지 않은 상태의 수확물을 바로 종자 지지시트(210)에 부착할 수도 있다. 특히 귀리 또는 새싹 보리를 재배하는 경우에는, 꽃 봉우리가 씨앗을 지지하는 패드 역할을 하고, 씨앗에 공기 순환이 잘되게 하므로, 귀리 또는 보리 씨앗을 탈곡하지 않고 귀리대 또는 보리대를 그대로 종자 지지시트(210)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히다. 특히 귀리 또는 보리와 같은 곡물을 탈곡하는 과정에서 곡물이 탈곡기에 부딪혀 씨앗이 손상되어 발아율이 낮아질 수 있는데, 탈곡하지 않은 곡물의 대 자체를 이용함으로써, 발아율을 현저히 높일 수 있다. 특히, 보리를 포함한 맥종류는 발아하면서 당 또는 초산이 발생할 수 있는데, 위 초산에 의해서 재배기 근처로 초파리가 모여들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보리대를 1~2시간 정도 아로니아향, 허브향(바질 또는 로즈마리), 또는 쌀뜨물 포함한 초파리가 기피하는 향의 물에 담궜다가 말린 다음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하면 초파리 발생율을 현저히 낮출 수 있다. 3 shows a state in which the seed A is attached to the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종자 지지시트(210)는 종자 지지시트 롤(211) 형태로 공급되어 롤 지지대(220)에 회전가능하게 거치될 수 있다. 재배자는 종자 지지시트(210)의 끝단부를 당김으로써, 종자 지지시트 롤(211)로부터 종자 지지시트(210)가 풀려서, 종자 지지시트(210)가 본체 프레임(100) 상에 얹어지도록 할 수 있다. 종자 지지시트 롤(211)로부터 풀리는 종자 지지시트(210)의 길이는 매일 수확하고자 하는 새싹의 양에 해당하는 산출물이 나올 수 있을 정도로 결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서로 인접한 수분차단구(240)들 사이의 거리 정도만큼을 당겨서 풀어줄 수 있다. 그리고 새싹 재배 초기에는 종자(A)가 빛에 노출되는 것을 막아줄 필요가 있으므로, 종자 지지시트 롤(211)과 가까운 부분의 본체 프레임(100) 상에는 차광부(300)를 형성할 수 있다. Preferably, as shown in FIG. 2 , the
재배자는 매일 종자 지지시트(210)의 끝단을 일정 거리만큼 당겨서 종자 지지시트 롤(211)이 풀리도록 한다. 이 때 종자 지지시트(210)의 제일 끝단에는 수확이 가능한 새싹들이 붙어 있으므로, 위 부분의 종자 지지시트(210)는 나머지 부분과 분리하여 새싹들을 수거하게 된다. 종자 지지시트(210)의 분리는 커터 등의 도구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종자 지지시트(210) 자체에 미리 일정 간격으로 절취선을 형성하여 절취를 편리하게 할 수도 있다. The grower pulls the end of the
도 4는 차광부(300)를 제거한 상태의 새싹 재배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종자 지지시트(210)는 본체 프레임(100)의 생육 시작부(150)에서 시작해서, 수확부(160) 방향으로 하루 단위로 위치를 변경하게 되는데, 1일째에 a 영역에 있었으면, 2일째는 b 영역에, 3일째는 c 영역에 있는 식으로 이동하다가, 마지막 수확부(160)에 가까운 h 단계에 이르면 종자 지지시트(210)를 절단하고, 재배된 새싹을 수확하게 된다. 생육 시작부(150)에서는 종자(A)가 물(W) 속에 잠겨 있을 필요가 있으므로, a 영역, 또는 a 영역과 b 영역에서는 종자 지지시트(210)가 물(W) 속에 잠기게 된다. 그리고 차광부(300) 역시 a 영역, 또는 a 영역과 b 영역을 덮을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Figure 4 shows the sprout cultivation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도 5 및 도 6은 본체 프레임(10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체 프레임(100)은 측벽부(110)와 저면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그 내부에 물(W)을 저장할 수 있도록 수밀성 구조물로 형성된다. 그리고 측벽부(110)의 소정 높이에는 배수공(112)을 형성하여, 물(W)이 일정 높이 이상으로 올라오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and 6 show the configuration of the
본체 프레임(100)의 상부에는 시트 지지 판넬(400)이 경사지게 설치되는데 생육 시작부(150)에서의 시트 지지 판넬(400)의 높이가 수확부(160)에서의 시트 지지 판넬(40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본체 프레임(100)의 측벽부(110) 내측에 형성된 홈 형태의 판넬 지지부(111)에 시트 지지 판넬(400)의 양단이 끼워져 설치될 수 있다. 시트 지지 판넬(400)은 종자 지지시트(210)의 하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요소로서, 복수 개의 판넬 관통공(410)을 포함하고 있다. 이는 본체 프레임(100) 내에 저장된 물(W)에 의하여 공급되는 습기가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에서 본체 프레임(100)에 시트 지지 판넬(400)을 경사지게 설치하는 이유는 본체 프레임(100) 내부에 물(W)이 차 있을 때,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부는 물(W)이 시트 지지 판넬(400) 상부로 노출되고, 나머지 부분은 시트 지지 판넬(400) 아래에 존재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트레이 지지 판넬(200)의 설치 경사각, 또는 형상의 변형에 의하여 물(W)이 노출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보리 새싹의 경우에는 물(W)이 노출되는 정도가 서로 인접한 수분차단구(240) 사이의 거리 정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재배 첫날에는 종자가 물에 완전히 잠길 수 있도록 함), 물(W)이 노출되는 정도는 재배하고자 하는 새싹의 종류에 따라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2일 또는 3일 동안 물에 잠기도록 하는 것도 가능함). 즉, 도 4의 실시예에서는 보리 새싹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a 영역에서만 물에 완전히 잠기는 상태로 설명하였지만, 재배하고자 하는 새싹의 종류에 따라서 물에 잠기는 영역을 b 영역 또는 c 영역까지 이어지도록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The
그리고 도 4의 실시예에서는 a 영역에서 h 영역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였지만, 영역의 개수는 재배하고자 하는 새싹의 종류 또는 수확하고자 하는 새싹의 생육 상태에 따라서 얼마든지 조절할 수 있다. 즉, 발아 초기 단계의 새싹을 선호한다면 영역의 개수는 적어질 것이며, 새싹의 생장이 상당히 많이 이루어진 상태의 새싹을 선호한다면 재배 일수가 늘어나므로 영역의 개수를 늘릴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FIG. 4, the region a to the region h has been described, but the number of regions can be fre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type of sprout to be cultivated or the growth state of the sprout to be harvested. That is, if a sprout in the early stage of germination is preferred, the number of areas will be reduced, and if a sprout in a state in which sprout growth has bee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number of cultivation days will be increased and thus the number of areas will be increased.
도 7은 차광부(30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인데, 이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본체 프레임(100)의 상단에 설치되어, 재배 초기 단계에서 종자 지지시트(210)를 덮어서 빛을 차단하는 기능을 가진다. 보통은 새싹의 생육 초기 단계, 즉 도 4의 a 영역에서 c 영역 또는 a 영역에서 d 영역(생육 시작 후 3~4일 정도)을 덮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제조될 수 있는데, 그 크기는 재배하고자 하는 새싹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차광부(300)의 상단에는 저수부(310)가 형성되고, 그 바닥면에는 급수공(320)이 형성될 수 있는데, 저수부(310)에 물을 공급하면 급수공(320)을 통하여 물이 하부로 떨어져서 종자 트레이(400) 상으로 물이 공급된다. 바람직하게는, 저수부(310) 하단에 수분을 머금을 수 있는 차광함수부(330)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섬유, 천, 부직포, 솜 등과 같이 수분을 머금을 수 있는 요소로서, 차광부(300) 하부에 있는 종자 트레이(400)의 습도를 유지하기 위한 요소이다. 차광부(300)는 본체 프레임(10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형성하거나, 혹은 차광부(300)가 본체 프레임(100)의 측벽부(11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7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100: 본체 프레임 110: 측벽부
112: 배수공
111: 판넬 지지부 120: 저면부
150: 생육 시작부 160: 수확부
200: 종자 공급부 210: 종자 지지시트
220: 롤 지지대 211: 종자 지지시트 롤
240: 수분차단구
300: 차광부 310: 저수부
320: 급수공 330: 차광함수부
340: 차광부 지지구조물
400: 시트 지지 판넬 410: 판넬 관통공
A: 종자 W: 물100: body frame 110: side wall portion
112: drain hole
111: panel support 120: bottom portion
150: the beginning of growth 160: the harvesting part
200: seed supply unit 210: seed support sheet
220: roll support 211: seed support sheet roll
240: moisture barrier
300: light blocking unit 310: water storage unit
320: water supply hole 330: light blocking function part
340: light blocking part support structure
400: sheet support panel 410: panel through hole
A: Seed W: Water
Claims (7)
발아시킬 종자(A)가 일면에 부착되는 종자 지지시트(210); 및
상기 종자 지지시트(210)에 습기를 공급하기 위한 물(W)을 저장하는 본체 프레임(100)을 포함하되,
상기 종자 지지시트(210)는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생육 시작부(150)에서 시작하여,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수확부(160) 방향으로 매일 소정 거리 이동하며,
상기 수확부(160)에 도달한 상기 종자 지지시트(210) 부분은 절취되고, 절취된 종자 지지시트(210)에서 발아한 새싹을 수확하며,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상단에는 상기 종자 지지시트(210)를 하면에서 지지하기 위한 시트 지지 판넬(400)이 구비되되,
상기 시트 지지 판넬(400)에는 상기 본체 프레임(100)에 저장된 물(W)에서 발생한 습기가 상기 종자 지지시트(210)에 도달하도록 하기 위한 판넬 관통공(410)이 형성되며,
상기 시트 지지 판넬(400)은 상기 본체 프레임(100)에 경사지게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생육 시작부(150)에서는 상기 종자 지지시트(210)가 상기 본체 프레임(100)에 저장된 물(W)에 잠기고, 생육 시작부(15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는 상기 종자 지지시트(210)가 상기 본체 프레임(100)에 저장된 물(W)에 잠기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 재배 장치.
It relates to a sprout cultivation device capable of harvesting a certain amount of sprouts every day,
Seed support sheet 210 to which seeds to germinate (A) are attached to one surface; and
It includes a body frame 100 for storing water (W) for supplying moisture to the seed support sheet 210,
The seed support sheet 210 starts from the growth start part 150 of the body frame 100 and moves a predetermined distance every day in the direction of the harvest part 160 of the body frame 100,
The part of the seed support sheet 210 that has reached the harvesting unit 160 is cut off, and the sprouts germinated from the cut seed support sheet 210 are harvested,
The upper end of the body frame 100 is provided with a sheet support panel 400 for supporting the seed support sheet 210 from the lower surface,
A panel through hole 410 is formed in the sheet support panel 400 to allow moisture generated in the water W stored in the body frame 100 to reach the seed support sheet 210,
The sheet support panel 400 is obliquely coupled to the body frame 100, so that in the growth start part 150, the seed support sheet 210 is immersed in the water W stored in the body frame 100, , sprout cultiv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ed support sheet 210 is not submerged in the water (W) stored in the body frame 100 in the remaining part except for the growth start part 150 .
상기 수확부(160)에서 상기 종자 지지시트(210)의 제일 끝 부분을 매일 소정 길이만큼 당겨서 상기 종자 지지시트 롤(211)이 풀리는 방식으로 상기 종자 지지 시트(210)가 상기 생육 시작부(150)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 재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ed support sheet 210 is supplied as a rolled seed support sheet roll 211 in the form of a roll,
The seed support sheet 210 is moved to the growth start part 150 in such a way that the harvester 160 pulls the first end of the seed support sheet 210 by a predetermined length every day to release the seed support sheet roll 211 . ), characterized in that supplied as, sprout cultivation device.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ed support sheet (210), it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moisture blocking holes (240)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block the moisture moving on the seed support sheet (210). which is a sprout cultivation device.
The sprout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distance between the adjacent moisture barriers among the plurality of moisture barriers 240 corresponds to the distance the seed support sheet 210 moves per day per day. cultivation device.
The sprout cultiva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seeds are attached to the seed support sheet 210 without being threshed, and the seeds are immersed in aronia flavored water, herb flavored water or rice water and then taken ou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4429A KR102399668B1 (en) | 2020-11-18 | 2020-11-18 | Sprout Cultivation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4429A KR102399668B1 (en) | 2020-11-18 | 2020-11-18 | Sprout Cultivation Apparatu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99668B1 true KR102399668B1 (en) | 2022-05-19 |
Family
ID=81801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54429A KR102399668B1 (en) | 2020-11-18 | 2020-11-18 | Sprout Cultivation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99668B1 (e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87352B1 (en) * | 1998-06-01 | 2003-06-18 |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Seedling-growing tap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planting device for planting a seedling-growing tape in the field |
KR20120000132A (en) * | 2010-06-25 | 2012-01-02 | 김영민 | Slopes of composition and the construction method green materials |
KR101321441B1 (en) | 2013-05-31 | 2013-10-23 | 오기봉 | Method and device for hydroponically cultivating forage barley |
KR102121034B1 (en) | 2020-01-15 | 2020-06-09 | 이상철 | The growing method of sprout barley and it's sprout barley |
KR102129058B1 (en) | 2018-08-31 | 2020-07-01 | 김동우 | Sprout cultivation equipment |
JP6761515B2 (en) * | 2019-06-21 | 2020-09-23 | 西松建設株式会社 | Hydroponics equipment |
-
2020
- 2020-11-18 KR KR1020200154429A patent/KR10239966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87352B1 (en) * | 1998-06-01 | 2003-06-18 |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Seedling-growing tap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planting device for planting a seedling-growing tape in the field |
KR20120000132A (en) * | 2010-06-25 | 2012-01-02 | 김영민 | Slopes of composition and the construction method green materials |
KR101321441B1 (en) | 2013-05-31 | 2013-10-23 | 오기봉 | Method and device for hydroponically cultivating forage barley |
KR102129058B1 (en) | 2018-08-31 | 2020-07-01 | 김동우 | Sprout cultivation equipment |
JP6761515B2 (en) * | 2019-06-21 | 2020-09-23 | 西松建設株式会社 | Hydroponics equipment |
KR102121034B1 (en) | 2020-01-15 | 2020-06-09 | 이상철 | The growing method of sprout barley and it's sprout barle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45458B1 (en) | A method for cultivating strawberry seedlings using strawberry seedlings and cultivation | |
KR101866682B1 (en) | Early flower initiation induction of strawberry transplants by using functional tray inserted with paper pot | |
KR101749871B1 (en) | Strawberry double layered cultivation equipment that combines strawberry nursery and cultivation | |
CN110506620A (en) | A kind of greenhouse vegetable rock wool recycling method based on crop rotation | |
CN106305632B (en) | Small brown rice planthopper large-scale breeding method | |
CN114303918A (en) | Spring-stubble multi-span greenhouse netted melon cultivation method | |
JP2017169493A (en) | Plant cultivation method and plant cultivation apparatus | |
KR20190010779A (en) | Apparatus for planting watermelon | |
KR102399668B1 (en) | Sprout Cultivation Apparatus | |
JP5102914B2 (en) | Onion cultivation method and onion | |
JP2008131873A (en) | Method of cultivating baby leaf vegetables, and cultivation tray therefor | |
KR101469564B1 (en) | Method growing green onion | |
JP3060208B2 (en) | Sharizu type hydroponics method and cultivation device | |
KR101766591B1 (en) | An individual seedling pot used for strawberry seedling and cultivation strawberry high cultivation equipment | |
JPH0937646A (en) | Culture of tomato | |
JP2012161311A (en) | Method for raising propagule | |
Jett | High tunnel melon and watermelon production | |
KR200488032Y1 (en) | Bowl for growing plants | |
JP4789729B2 (en) | Leaf vegetable seeding machine | |
JPH09191761A (en) | Cultivation of eustoma russellianum g. don and apparatus therefor | |
JPH10304764A (en) | Growing method of liane crop such as strawberry and growing equipment | |
KR102359307B1 (en) | multistage type vertical hydroponic cultivation device | |
CN110447483B (en) | High-yield and high-efficiency cultivation method for interplanting small fruit type watermelons and bitter gourds in early spring | |
CN110754318B (en) | Three-dimensional ecological planting method for grain, vegetable and mushroom | |
JP2000023558A (en) | Blanched welsh onion culture device in hydroponics, and method of culture u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