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9194B1 - 핀보드 어댑터 - Google Patents

핀보드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9194B1
KR102399194B1 KR1020220003837A KR20220003837A KR102399194B1 KR 102399194 B1 KR102399194 B1 KR 102399194B1 KR 1020220003837 A KR1020220003837 A KR 1020220003837A KR 20220003837 A KR20220003837 A KR 20220003837A KR 102399194 B1 KR102399194 B1 KR 102399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board
adapter
fixing
fixing bar
fasten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3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현
오제헌
김경욱
백건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로이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로이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로이천
Priority to KR1020220003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91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9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9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16Connectors,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73Multiple probes
    • G01R1/07307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 G01R1/07314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the body of the probe being perpendicular to test object, e.g. bed of nails or probe with bump contacts on a rigid suppor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2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25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household appliances or professional audio/video equip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32Specific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36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 G01R31/2844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using test interfaces, e.g. adapters, test boxes, switches, PIN driv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그가 결합되는 어댑터 볼트, 어댑터 볼트가 연결되는 어댑터 바디, 어댑터 바디가 연결되는 결합 부위 및 핀보드가 체결되는 제1 체결 부위를 포함하는 베이스 블록 및 제1 체결 부위에 체결된 상기 핀보드를 상기 베이스 블록에 고정시키는 고정 블록을 포함하고, 고정 블록은, 핀보드로 향하는 경사면이 형성된 고정 바 및 고정 바를 변위 및 고정하는 캠 레버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고정 바는, 경사면이 상기 핀보드의 에지에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핀보드 어댑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핀보드 어댑터가 핀보드와 원터치 방식으로 견고하게 채결 및 간편하게 해제될 수 있다.

Description

핀보드 어댑터{PIN BOARD ADAPTER}
본 발명은 핀보드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 부품의 검사에 사용되는 핀보드와 결합되는 핀보드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핀보드 조립체는 전자 부품,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이다. 핀보드 조립체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픽셀 에러 없이 정상 작동 여부를 검사한다. 핀보드 조립체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촉하는 핀보드 및 핀보드에 결합되는 핀보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핀보드는 폴리마이드 필름(polymide film)에 동판 또는 기타 도전체를 올려 에칭 가공하여 제작된 프로브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핀보드 어댑터는 지그와 결합될 수 있는데, 핀보드 어댑터는 핀보드를 지그에 연결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피검사체인 디스플레이 패널의 종류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응되는 핀보드로 교체되기 위해, 핀보드 어댑터는 핀보드로부터 해제 및 결합되어야 한다. 핀보드 어댑터의 해제/결합 과정에서 서로 반대되는 성질인 간편함 및 견고함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원터치 결합 방식의 핀보드 어댑터가 필요한 실정이다.
관련 기술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85166호(2013.07.17. 공고)에는 프로브 필름을 포함하는 핀보드를 개시하고 있다. 관련 기술의 핀보드는 보조 블록 몸체를 포함한다. 보조 블록 몸체는 체결부재를 통해 지그와 결합한다. 보조 블록 몸체가 지그와 결합하기 위해서는 위치 정렬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조립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KR 등록 특허 제10-1285166호 (2013.07.17.공고)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핀보드에 원터치로 결합 및 해제가 가능한 핀보드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원터치 방식에 의하는 경우에도 핀보드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핀보드 어댑터를 제공하는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핀보드 어댑터는, 지그가 결합되는 어댑터 볼트, 어댑터 볼트가 연결되는 어댑터 바디, 어댑터 바디가 연결되는 결합 부위 및 핀보드가 체결되는 제1 체결 부위를 포함하는 베이스 블록 및 제1 체결 부위에 체결된 상기 핀보드를 상기 베이스 블록에 고정시키는 고정 블록을 포함하고, 고정 블록은, 핀보드로 향하는 경사면이 형성된 고정 바 및 고정 바를 변위 및 고정하는 캠 레버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고정 바는, 경사면이 상기 핀보드의 에지에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체결 부위는, 핀보드에 높이(Z축) 방향으로 형성된 홀에 끼움 체결되는 돌기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바는, 핀보드의 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핀보드가 상기 제1 체결 부위로부터 이탈되는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변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캠 레버 어셈블리는, 회전을 통해 상기 고정 바를 고정시키는 캠 레버 및 회전의 축을 이루는 캠 레버 핀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바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 바의 경사면이 상기 핀보드의 에지를 가압하게 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탄성체는, 고정 바의 경사면이 상기 제1 체결 부위와 체결된 상기 핀보드의 제2 체결 부위가 서로 분리되지 않게 상기 고정 바를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탄성체는, 고정 바가, 제2 체결 부위가 상기 제1 체결 부위로부터 이탈되는 방향과 반대의 방향 및 상기 반대의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제2 체결 부위가 상기 제1 체결 부위에 밀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블록은, 제1 고정 블록 및 제2 고정 블록을 포함하고, 제1 고정 블록 및 제2 고정 블록은 핀보드의 양측을 각각 어댑터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바는 경사면을 이용한 폭(X축) 방향의 가압을 통해 상기 핀보드의 에지를 높이(Z축) 방향 및 폭(X축) 방향에서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의 구체적인 사항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첨부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각종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각 실시 예의 구성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도 있으며, 단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각각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핀보드 어댑터가 핀보드와 원터치 방식으로 채결 및 해제될 수 있다.
또한, 핀보드 어댑터가 핀보드와 원터치 방식으로 견고하면서 간편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핀보드 어댑터가 포함된 핀보드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핀보드 어댑터가 포함된 핀보드 조립체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로 분리된 핀보드 어댑터 및 핀보드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로 결합된 핀보드 어댑터 및 핀보드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핀보드 어댑터의 캠 레버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핀보드 어댑터의 캠 레버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핀보드 어댑터의 고정 블록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무조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며,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다른 의미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라고 기재한 경우에는, 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하기 위한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각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 ~ 사이에"와 "바로 ~ 사이에", 또는 " ~ 에 이웃하는"과 " ~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의 취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면", "타면", "일측", "타측",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이와 같은 용어에 의해서 해당 구성 요소의 의미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등의 위치와 관련된 용어는, 사용된다면,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해서 해당 도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이들의 위치에 대해서 절대적인 위치를 특정하지 않는 이상은, 이들 위치 관련 용어가 절대적인 위치를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각 도면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그 도면 부호를 명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이 구성 요소가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고 있도록, 즉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부 과장 또는 축소되거나 생략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비례나 축척은 엄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 기술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관련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핀보드 어댑터가 포함된 핀보드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핀보드 조립체(pin board assembly)(10)는 핀보드 어댑터(pin board adapter)(100) 및 핀보드(pin board)(2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핀보드(200)는 핀보드 어댑터(100) 에 체결될 수 있고, 핀보드 어댑터(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1은 핀보드(200)가 핀보드 어댑터(100)에 체결되어 완성된 핀보드 조립체(10)를 묘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핀보드 어댑터(100)를 구성하는 어댑터 볼트(110), 어댑터 바디(120) 및 고정 블록(130)이 도 1에 묘사되어 있다. 어댑터 볼트(110)는 어댑터 바디(120)에 결합될 수 있다. 어댑터 바디(120)는 베이스 블록에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 블록에 대해서는 도 2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결합의 수단은 두 물체 간의 끼움 결합, 솔더링 또는 예를 들어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수단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핀보드 어댑터가 포함된 핀보드 조립체의 분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핀보드 어댑터(100)는 어댑터 볼트(110), 어댑터 바디(120), 고정 블록(130) 및 베이스 블록(14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핀보드 어댑터(100)의 구성요소의 소재는 제한이 없으며, 특히 강도(strength)가 높은 재료, 예를 들어 금속이 핀보드 어댑터(100)의 구성요소의 소재가 될 수 있다.
어댑터 볼트(110)의 일측은 어댑터 바디(120)에 결합되고, 어댑터 볼트(110)의 타측은 지그에 결합될 수 있다. 어댑터 볼트(110)에 체결된 지그의 움직임이 어댑터 볼트(110), 어댑터 바디(120), 베이스 블록(140) 및 핀보드(200) 순으로 전달될 수 있다.
어댑터 바디(120)의 중앙에는 어댑터 볼트(110)가 배치될 수 있다. 어댑터 바디(120)의 모양은 레버 형태일 수 있다. 어댑터 바디(120)의 단부에 베이스 블록(140)이 결합된다.
베이스 블록(140)이 어댑터 바디(120)와 핀보드(200)를 서로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즉 어댑터 바디(120)가 베이스 블록(140)의 일측에 결합되고, 핀보드(200)는 베이스 블록(140)의 타측에 체결될 수 있다.
고정 블록(130)은 베이스 블록(140)에 체결된 핀보드(200)가 움직이지 못하게 핀보드(200)를 베이스 블록(140)에 고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궁극적으로 핀보드(200)는 베이스 블록(140)에 체결되고, 베이스 블록(140)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블록은 고정 바(131) 및 캠 레버 어셈블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 블록(130)은 어댑터 바디(12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고정 바(131)는 캠 레버 어셈블리의 작용에 따라 변위를 통해 핀보드(200)에 접촉하는 기능을 갖는다.
캠 레버 어셈블리는 캠 레버(132) 및 캠 레버 핀(133)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캠 레버 어셈블리는 고정 바(131)와 핀보드(200)가 접촉된 위치에서 고정 바(131)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고정 바(131)가 베이스 블록(140)에 대해 고정됨으로써 고정 바(131)와 접촉된 핀보드(200)도 베이스 블록(140)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캠 레버(132)는 고정 바(131)를 움직이게 하는 손잡이에 해당한다.
캠 레버 핀(133)은 캠 레버(132)와 고정 바(131)를 연결시키는 회전축에 해당한다. 캠 레버 핀(133)을 중심으로 캠 레버(132)가 회동을 하고, 회동에 의해 고정 바(131)가 핀보드(200)에 접촉하고, 반대 회동에 의해 핀보드(200)와 고정 바(131)의 접촉이 떨어진다.
베이스 블록(140)의 일측은 어댑터 바디(120)와 결합하고, 베이스 블록(140)의 타측에 핀보드(200)가 체결된다. 도 2와 같이 핀보드(200)는 상하(높이) 방향으로 베이스 블록(140)에 체결될 수 있다.
고정 블록(130) 또는 고정 바(131)는 탄성체(134)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탄성체(134)는 고정 바(131)를 일 방향, 즉 핀보드(200)가 있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기능을 갖는다. 탄성체(134)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 바(131)는 핀보드(200) 쪽으로 힘을 받아 핀보(200)의 구성요소인 베이스 플레이트(220)에 항상 접촉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로 분리된 핀보드 어댑터 및 핀보드의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로 분리된 핀보드 어댑터(100) 및 핀보드(200)가 묘사되어 있다. 핀보드(200)는 피검사체의 종류에 따라 교체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검사가 끝난 후 핀보드(200)는 핀보드 어댑터(100)로부터 분리, 또는 체결 해제되어야 한다. 핀보드 조립체(10)가 핀보드(200)와 핀보드 어댑터(100)로 분리되는 지점은, 체결 부위인, 핀보드 어댑터(100)의 베이스 플레이트(220)의 일측과 핀보드(200)의 베이스 플레이트(220)의 단부이다. 이 양 지점을 제1 체결 부위(141) 및 제2 체결 부위(221)라 칭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로 결합된 핀보드 어댑터 및 핀보드의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핀보드 어댑터(100)와 핀보드(200)가 체결된 상태의 핀보드 조립체(10)가 묘사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핀보드(200)의 일부 영역과 핀보드 어댑터(100)의 일부 영역이 서로 포개진 상태, 즉 핀보드(200)가 핀보드 어댑터(100)에 체결된 상태가 묘사되어 있다. 핀보드(200) 및 핀보드 어댑터(100), 이 2 요소의 체결 상태는 고정 블록(130)에 의해 체결 및 고정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체결 상태는 캠 레버(132)는 전방을 향해 회동한 상태이다. 그리고 체결 상태는 고정 바(131)와 베이스 플레이트(220)가 서로 중첩되지 않은 상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핀보드 어댑터의 캠 레버의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핀보드 어댑터(100)가 핀보드(200)에 체결된 상태에서 해제 상태의 캠 레버가 묘사되어 있다.
캠 레버(132)가 전방을 향하여 회동하는 경우 고정 바(131)는 베이스 플레이트(2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핀보드 어댑터의 캠 레버의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핀보드 어댑터(100)가 핀보드(200)에 체결된 상태에서 잠금 상태의 캠 레버가 묘사되어 있다.
캠 레버(132)가 후방을 향하여 회동하는 경우 고정 바(131)는 베이스 플레이트(220)로부터 접촉할 수 있다. 즉 캠 레버(132)의 형상, 즉 레버 핀(133)과 캠 레버(132)에 윤곽(contour) 사이의 거리 차로 인해 고정 바(131)는 도 5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220)에서 분리되거나, 도 6과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220)에 접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핀보 어댑터의 고정 블록의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핀보드 어댑터(100)가 핀보드(200)에 체결된 상태에서 잠금 상태의 캠 레버의 정면이 묘사되어 있다.
베이스 블록(140)은 핀보드(200)가 체결되는 제1 체결 부위(141) 및 어댑터 바디(120)가 연결되는 결합 부위(142)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핀보드(200)는 핀보드 바디(pin board body)(210) 및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2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핀보드 바디(210)는 검침(probe pin)을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220)는 핀보드 바디(210)를 핀보드 어댑터(100)에 연결하는 기능을 갖는다.
베이스 플레이트(220)의 단부에는 제2 체결 부위(22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 부위(141)와 제2 체결 부위(221)의 결합에 의해 핀보드(200)가 베이스 블록(140)에 체결될 수 있다.
제1 체결 부위(141) 및 제2 체결 부위(221)의 결합은 양각 형상과 음각 형상의 결합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체결 부위(141)가 양각 형상이고, 제2 체결 부위(221)가 음상이거나, 또는 그 반대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체결 부위(141)는 돌기 모양의 양각 형태이고, 제2 체결 부위(221)는 홀 모양의 음각 형태이다. 홀에 돌기가 끼워지면서 핀보드(200)가 베이스 블록(140)에 체결된다. 홀의 직경이 돌기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홀이 돌기에 무리없이 끼워질 수 있다. 두 직경의 차이로 인한 움직임은 고정 바(131)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제2 체결 부위(221)가 상부에 배치되고, 제1 체결 부위(221)가 하부에 배치되도록 서로는 Z축 방향, 즉 높이 방향에서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체결 부위(221)의 무게가 중력 방향으로 작용하여 체결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그런데 제2 체결 부위(221)가 제1 체결 부위(141)에 체결된 상태에서 지그 동작에 의해 핀보드 어댑터(100)가 상승, 하강 및 2차원 좌표 이동을 하는 경우 핀보드(200)가 핀보드 어댑터(10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핀보드(2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핀보(200)를 핀보드 어댑터(100)에 고정시킬 필요가 있다.
고정 블록(130)은 핀보드(200)를 베이스 블록(140)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제2 체결 부위(221)와 제1 체결 부위(141)가 상하(Z축) 방향의 결합을 하므로, 제2 체결 부위(221)는 상하 방향으로 이탈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제2 체결 부위(22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제2 체결 부위(221)가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220)가 중력 방향으로 가압될 필요가 있다. 그런데 도 7을 참조하면, 베이스 플레이트(220)가 중력 방향으로 가압되기 위해서는 협소한 베이스 플레이트(220) 상부에 부가적인 결합 장치가 구비되어야 한다.
이러한 공간적인 제약을 해결하기 위해 고정 블록(130)은 제1 체결 부위(141)와 제2 체결 부위(221)의 측면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블록(130)을 구성하는 고정 바(131)는 X축 방향의 변위를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220)를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 바(131)가 체결 부위의 측부에서 체결 부위를 가압할 경우, 이 때의 가압 방향은 이탈 방지 방향과 수직을 이루게 되어 방향이 서로 맞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정 바(131)의 단부가 경사지도록 경사면(131b)을 만들어서, 이 경사면(131b)이 베이스 플레이트(220)의 에지를 가압하게 구성할 수 있다. 경사면(131b)과 베이스 플레이트(220)는 선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고정 바(131)는 경사면(131b)을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220)의 에지를 가압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220)는 Z축 방향 및 X축 방향의 힘을 모두 받게 된다. Z축 방향의 힘은 제1 체결 부위(141)에 대한 제2 체결 부위(221)의 Z축 방향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X축 방향의 힘은 제1 체결 부위(141)와 제2 체결 부위(221)의 직경 차에 의한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 바(131)와 베이스 플레이트(220)의 에지 간의 접촉 상태는 캠 레버(132)의 작용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7을 다시 참조하면, 고정 바(131)에는 핀보드(200) 쪽을 향하는 경사면(131b)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131b)은 수직면(131a)에 대해서 경사를 이룬다. 수직면(131a)과 경사면(131b)이 이루는 사이각은 90도 초과 135도 이내일 수 있다. 사이각이 90도일 경우 고정 바(131)와 베이스 플레이트(220) 사이에 간극이 발생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220)의 에지와의 접촉을 위해 경사면(131b)은 지면과 45도 이내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이각은 90도+45도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핀보드 어댑터가 핀보드와 원터치 방식으로 채결 및 해제될 수 있다.
또한, 핀보드 어댑터가 핀보드와 원터치 방식으로 견고하면서 간편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상, 일부 예를 들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가지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항목에 기재된 여러 가지 다양한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실시를 행할 수 있다는 점을 잘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이 완전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에 의해서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100: 핀보드 어댑터
110: 어댑터 볼트
120: 어댑터 바디
130: 고정 블록
140: 베이스 블록
200: 핀보드
210: 핀보드 바디
220: 베이스 플레이트

Claims (9)

  1. 지그가 결합되는 어댑터 볼트;
    상기 어댑터 볼트가 연결되는 어댑터 바디;
    상기 어댑터 바디가 연결되는 결합 부위 및 핀보드가 체결되는 제1 체결 부위를 포함하는 베이스 블록; 및
    상기 제1 체결 부위에 체결된 상기 핀보드를 상기 베이스 블록에 고정시키는 고정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블록은,
    일측에 상기 핀보드로 향하는 경사면이 형성된 고정 바; 및
    상기 고정 바를 변위 및 고정하는 캠 레버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바는,
    상기 경사면이 상기 핀보드의 에지에 접촉하고,
    상기 캠 레버 어셈블리는,
    일측에 손잡이가 구비되고, 타측에 상기 고정 바와 회전 결합하는 회전축이 형성된 캠 레버; 및
    상기 회전축을 이루는 캠 레버 핀을 포함하고,
    상기 캠 레버는, 회전 반지름의 차이를 통해 지렛대의 작용점에 해당하는 상기 회전축을 이동시켜 상기 고정 바가 전지/후진하도록 구성되는,
    핀보드 어댑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 부위는,
    상기 핀보드에 높이(Z축) 방향으로 형성된 홀에 끼움 체결되는 돌기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핀보드 어댑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바는,
    상기 핀보드의 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핀보드가 상기 제1 체결 부위로부터 이탈되는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변위하도록 구성되는,
    핀보드 어댑터.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바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 바의 경사면이 상기 핀보드의 에지를 가압하게 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핀보드 어댑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고정 바의 경사면이 상기 제1 체결 부위와 체결된 상기 핀보드의 제2 체결 부위가 서로 분리되지 않게 상기 고정 바를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핀보드 어댑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고정 바가, 상기 제2 체결 부위가 상기 제1 체결 부위로부터 이탈되는 방향과 반대의 방향 및 상기 반대의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제2 체결 부위가 상기 제1 체결 부위에 밀착하도록 구성되는,
    핀보드 어댑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블록은,
    제1 고정 블록 및 제2 고정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 블록 및 제2 고정 블록은 핀보드의 양측을 각각 상기 어댑터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핀보드 어댑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바는 상기 경사면을 이용한 폭(X축) 방향의 가압을 통해 상기 핀보드의 에지를 높이(Z축) 방향 및 폭(X축) 방향에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핀보드 어댑터.
KR1020220003837A 2022-01-11 2022-01-11 핀보드 어댑터 KR102399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837A KR102399194B1 (ko) 2022-01-11 2022-01-11 핀보드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837A KR102399194B1 (ko) 2022-01-11 2022-01-11 핀보드 어댑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9194B1 true KR102399194B1 (ko) 2022-05-18

Family

ID=81800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3837A KR102399194B1 (ko) 2022-01-11 2022-01-11 핀보드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91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2839B1 (ko) * 2022-11-08 2023-04-18 주식회사 프로이천 소켓블록
KR102599359B1 (ko) * 2023-05-31 2023-11-07 주식회사 프로이천 프로브 교체형 핀보드 및 핀보드의 프로브교체방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166B1 (ko) 2013-01-30 2013-07-17 주식회사 프로이천 필름 타입 핀 보드
KR20160063351A (ko) * 2013-09-30 2016-06-03 인테스트 코포레이션 테스트 헤드를 주변부에 도킹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923587B1 (ko) * 2018-06-19 2018-11-29 주식회사 프로이천 핀 보드 조립체
KR101961691B1 (ko) * 2018-07-30 2019-03-26 주식회사 프로이천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장치
KR102004441B1 (ko) * 2019-03-25 2019-07-29 주식회사 프로이천 핀 보드 조립체
KR102032290B1 (ko) * 2019-03-29 2019-10-15 주식회사 프로이천 핀 보드 조립체
KR102088204B1 (ko) * 2019-08-22 2020-03-16 주식회사 프로이천 핀 보드
KR102171682B1 (ko) * 2019-08-07 2020-10-30 주식회사 디엠엔티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용 프로브 블록의 탈착장치
KR102189260B1 (ko) * 2019-09-09 2020-12-18 주식회사 디앤에스시스템 패널 테스트용 프로브 블록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166B1 (ko) 2013-01-30 2013-07-17 주식회사 프로이천 필름 타입 핀 보드
KR20160063351A (ko) * 2013-09-30 2016-06-03 인테스트 코포레이션 테스트 헤드를 주변부에 도킹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923587B1 (ko) * 2018-06-19 2018-11-29 주식회사 프로이천 핀 보드 조립체
KR101961691B1 (ko) * 2018-07-30 2019-03-26 주식회사 프로이천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장치
KR102004441B1 (ko) * 2019-03-25 2019-07-29 주식회사 프로이천 핀 보드 조립체
KR102032290B1 (ko) * 2019-03-29 2019-10-15 주식회사 프로이천 핀 보드 조립체
KR102171682B1 (ko) * 2019-08-07 2020-10-30 주식회사 디엠엔티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용 프로브 블록의 탈착장치
KR102088204B1 (ko) * 2019-08-22 2020-03-16 주식회사 프로이천 핀 보드
KR102189260B1 (ko) * 2019-09-09 2020-12-18 주식회사 디앤에스시스템 패널 테스트용 프로브 블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2839B1 (ko) * 2022-11-08 2023-04-18 주식회사 프로이천 소켓블록
KR102599359B1 (ko) * 2023-05-31 2023-11-07 주식회사 프로이천 프로브 교체형 핀보드 및 핀보드의 프로브교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9194B1 (ko) 핀보드 어댑터
KR102371861B1 (ko) 후크 고정 방식의 핀보드 어댑터
KR102004441B1 (ko) 핀 보드 조립체
US1021613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insertion portion and receiving portion to connect frames, and sheet transfer apparatus thereof
EP1753281A2 (en) Double ended guide pin assembly
US9240653B2 (en) Wire-to-board connector
US20140198509A1 (en) Semiconductor laser positioning member and optical unit
CA2535682A1 (en) Alignment mechanism for a welding torch
KR102652602B1 (ko) Led 디스플레이 장치
US9118157B2 (en) Electrical connector
US20190221979A1 (en) Rotary connector and fixing structure of rotary connector
JP7002432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CA2979808C (en) Structural body
FR2799428B1 (fr) Moyen de maintien en position de deux pieces l'une par rapport a l'autre
US9360639B2 (en) Electronic device and optical connector
JP5366925B2 (ja) 導波管接続用治具
US10946816B2 (en) Elastic averaging shut-off slot
US10859110B2 (en) Holder of a fastener
KR102654553B1 (ko) 네스트플레이트
JP5655675B2 (ja) 電子機器
US8668508B2 (en) Connector
JP2015199099A (ja) 溶接板材位置決め固定治具
US20090325395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back plate arrangement thereof
KR200469373Y1 (ko) 전기 커넥터
CN213981501U (zh) 底架连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