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7149B1 - 통신장비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통신장비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7149B1
KR102397149B1 KR1020170148693A KR20170148693A KR102397149B1 KR 102397149 B1 KR102397149 B1 KR 102397149B1 KR 1020170148693 A KR1020170148693 A KR 1020170148693A KR 20170148693 A KR20170148693 A KR 20170148693A KR 102397149 B1 KR102397149 B1 KR 102397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groove
bracket
fastening
communication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8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2877A (ko
Inventor
정선영
남기춘
장현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8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7149B1/ko
Priority to US16/762,089 priority patent/US20220071047A1/en
Priority to PCT/KR2018/013041 priority patent/WO2019093704A1/ko
Publication of KR20190052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7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7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8Construction of rack or frame
    • H05K7/186Construction of rack or frame for supporting telecommunication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42Rigid mas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n a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07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 H01Q1/1228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on a bo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통신장비를 통신주에 결합시키는 통신장비 고정장치에 있어서, 복수개가 상기 통신주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호 결합됨으로써 통신주와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에 형성되고, 연결 브라켓과 결합되는 체결홈; 상기 체결홈과 연결되어 형성된 고정홈; 및 상기 고정홈에 배치되고, 판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판 스프링이 체결홈을 향해 돌출 되거나 상기 고정홈으로 인입되는 고정 조립체;를 포함하는 통신장비 고정장치가 소개된다. 이 밖의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통신장비 고정장치 {FASTENING APPARATUS FOR COMMUNICATION EQUIPMEN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통신장비를 통신주에 결합시키기 위한 통신장비 고정장치에 대한 것이다.
다양한 통신장비를 통신주에 장착하기 위한 다양한 형상의 고정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통신장비 고정장치의 일 예로 철판프레스 가공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비와 고정 브라켓의 결합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편의성, 설치 안전성이 향상되고, 설치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통신장비 고정장치의 부품을 통일화, 단순화하여 생산단가를 줄이고 조립공정을 쉽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비 고정장치는 복수개가 통신주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호 결합됨으로써 통신주와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에 형성되고, 연결 브라켓과 결합되는 체결홈; 상기 체결홈과 연결되어 형성된 고정홈; 및 상기 고정홈에 배치되고, 판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판 스프링이 체결홈을 향해 돌출 되거나 상기 고정홈으로 인입되는 고정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브라켓을 활용하여 통신장비를 고정 브라켓에 슬라이드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신장비 설치의 편의성, 안전성, 및 설치오류 방지를 도모할 할 수 있다.
동일한 형상의 고정 브라켓을 복수개 사용하여 체인형상 구현하고 통신주의 외주면에 결합시킴으로써, 부품이 통일되어 생산단가가 절약되며 대량생산이 용이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비 고정장치가 통신주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브라켓의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브라켓이 통신장치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비 고정장치의 연결 브라켓과 고정 브라켓의 결합방법은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브라켓 및 고정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브라켓이 고정 브라켓과 결합하는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브라켓이 고정 브라켓과 분리되는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비 고정장치의 연결 브라켓과 고정 브라켓의 결합방법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 브라켓의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브라켓 및 고정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 브라켓이 고정 브라켓과 결합하는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a 내지 도 14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 브라켓이 고정 브라켓과 분리되는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실시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또는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비 고정장치(100)가 통신주(300)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비 고정장치(100)는 복수개의 고정 브라켓(110)이 상호 결합되어 통신주(300)의 외주면을 감싸는 방식으로 통신주(300)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고정 브라켓(110)은 상호 결합되어 체인형상이 될 수 있다. 체인 형상이 된 복수개의 고정 브라켓(110)이 통신주(300)의 외주면을 감싸는 방식으로 통신주(300)와 결합될 수 있다.
통신주(300)는 통신장비(200, 도 3참조)를 설치할 때 사용되는 폴(pole)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브라켓(110) 장착될 수 있는 것이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비 고정장치(100)는 통신주(300)의 직경에 맞추어 연결하는 고정 브라켓(110)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별도의 설계변경 없이 다양한 직경의 통신주(300)에 대응하여 통신주(300)와 통신장비(200, 도 3참조)를 결합시킬 수 있다.
각각의 고정 브라켓(110)에는 후술할 연결 브라켓(150)이 결합될 수 있는 체결홈(120, 도 4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 브라켓(150)은 일면이 각종 통신장비(200, 도 3참조)와 결합될 수 있으며 타면이 고정 브라켓(110)의 체결홈(120, 도 4참조)과 결합하여 통신장비(200, 도 3참조)를 통신주(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브라켓(150)의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브라켓(150)을 설명하기 위한 용어 중에서 폭방향이란 도 2a의 도시상태를 기준으로 베이스(160)의 좌우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길이 방향이란 베이스(160)의 상하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브라켓(150)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상하, 좌우 등의 용어를 사용하였으나, 이는 상대적인 것으로 절대적인 기준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2a 참고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브라켓(150)은 베이스(160)와 체결돌기(170)로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160)는 일면이 통신장비(200, 도 3참조)와 결합될 수 있고, 타면에는 체결돌기(170)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돌기(170)는 후술할 고정 브라켓(110, 도 4 참조)의 체결홈(120, 도 4참조)에 삽입되어 연결 브라켓(150)과 고정 브라켓(110, 도 4 참조)을 결합시킬 수 있다.
체결돌기(170)는 제1체결돌기(171)와 제2체결돌기(173)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체결돌기(171)는 베이스(16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베이스(160)의 타면에 수직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체결돌기(173)는 제1체결돌기(171)의 돌출된 단부에서 베이스(160)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a를 기준으로 상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1체결돌기(171) 및 제2체결돌기(173)는 T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돌기(170)는 도 2a의 도시 상태를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하여 연결 브라켓(150)이 고정 브라켓(110, 도 4 참조)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브라켓(150)을 다른 각도에서 살펴본 도면이다.
도 2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1체결돌기(171)에는 폭방향의 표면에는 삽입홈(175)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175)은 제1체결돌기(171)의 폭방향 표면의 양면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175)은 후술할 고정 조립체(140)의 판 스프링(141)이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연결 브라켓(150)이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하여 고정 브라켓(110, 도 4 참조)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인 결합방법은 도 7a 내지 도 7d와 함께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브라켓(150)이 통신장치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비 고정장치(100, 도 1참조)의 연결 브라켓(150)과 고정 브라켓(110)의 결합방법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서는 통신장비(200)가 베이스(160, 도 2a 참조)의 일면에 볼트 결합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끼움결합, 래치 결합, 슬라이드 결합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장비(200)와 연결 브라켓(150)을 결합시킨 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브라켓(110)에 연결 브라켓(150)의 체결돌기(170)를 삽입시킴으로써 추가적인 볼트체결과 같은 작업공정이 필요없이 연결 브라켓(150)과 고정 브라켓(110)을 결합시킬 수 있다.
통신장비(200)의 경우 원활한 전파의 송수신을 위하여 지상으로부터 높은 곳에 설치될 수 있으며, 그 성능 및 역할에 따라 적게는 1kg이하 많게는 10kg 이상으로 크기 및 무게도 다양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무거운 통신장비(200)를 높은 곳으로 운반하고 추가적인 볼트 체결 등의 조립과정을 수행하여 통신장비(200)를 통신주(300, 도 1 참조)에 설치하는 것은 설치과정에서의 안정성이나 통신장비(200) 고정의 신뢰성을 확보함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비 고정장치(100, 도 1참조)는 운반이 용이한 고정 브라켓(110)을 통신주(300, 도 1 참조)에 결합시키고, 통신장비(200)에 연결 브라켓(150)을 결합시킨 뒤 지상으로부터 높은 곳으로 운반된 통신장비(200)를 고정 브라켓에 삽입하는 과정만을 추가로 수행하여 설치과정에서의 안정성 및 통신장비(200) 고정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브라켓(110) 및 고정 조립체(140)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브라켓(110)을 설명하기 위한 용어 중에서 일면은 도 5의 도시상태를 기준으로 정면을 의미할 수 있고, 타면은 후면을 의미할 수 있다. 고정 브라켓(110)의 폭방향이란 도 5의 도시상태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을 의미할 수 있으며, 길이 방향이란 상하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브라켓(110)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상하, 좌우, 정면 또는 후면 등의 용어를 사용하였으나, 이는 상대적인 것으로 절대적인 기준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브라켓(110)은 크게 체결홈(120), 고정홈(130), 고정 조립체(140)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홈(120)은 전술한 연결 브라켓(150, 도 2a 참조)의 체결돌기(170, 도 2a 참조)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연결 브라켓(150, 도 2a 참조)의 체결돌기(170, 도 2a 참조)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체결홈(121)과 제2체결홈(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체결홈(121)은 일면에서 타면방향으로 만입되어 형성될 수 있고, 연결 브라켓(150, 도 2a 참조)의 제1체결돌기(171, 도 2a 참조)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체결홈(121)은 일면에서 타면방향으로 만입되어 형성되되 고정 브라켓(110)을 관통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체결홈(121)의 타면측 단부에는 제2체결홈(123)이 고정 브라켓(11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연결 브라켓(150, 도 2a 참조)의 제2체결돌기(173, 도 2a 참조)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체결홈(123) 또한 고정 브라켓(11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고정 브라켓(110)을 폭방향으로 관통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의 도시 상태를 기준으로 상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체결홈의 형상은 T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홈은 상하방향에 대하여 고정 브라켓(110)을 관통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결 브라켓(150, 도 2a 참조)이 고정 브라켓(110)의 체결홈(120)에 삽입되었을 때 중력에 의하여 고정 브라켓(110)을 통과하여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홈(130)은 제1체결홈(121)과 연결되어 형성되고, 고정 브라켓(110)의 폭방향으로 만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상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고정 브라켓(110)의 일면과 제2체결홈(123)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130)은 제1고정홈(131)과 제2고정홈(1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고정홈(131)은 고정 브라켓(1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상방에 편중되어 배치되고, 고정 브라켓(110)의 상면에 대하여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고정홈(133)은 제1고정홈(131)과 연결되어 형성되되, 제1고정홈(131) 보다 하방에 배치되고, 고정 브라켓(110)의 폭방향으로 만입된 정도가 제1고정홈(131)에 비하여 얕을 수 있으며, 고정 브라켓(110)의 하면을 관통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고정홈(131)과 제2고정홈(133)의 만입된 정도에 차이가 있어 제1고정홈(131) 측에는 걸림턱(135)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135)에는 후술할 고정 조립체(140)의 볼트(143)가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브라켓(110)의 폭방향에 대하여 일측에는 체인돌기(1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체인홈(113)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고정 브라켓(110) 중 어느 하나의 고정 브라켓(110)에 형성된 체인돌기(111)는 다른 고정 브라켓(110)의 체인홈(113)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고정 브라켓(110)의 체인돌기(111)와 체인홈(113)에는 돌기와 홈을 관통하여 체인홀(115)이 형성될 수 있다. 체인돌기(111)가 체인홈(113)에 삽입되어 복수개의 고정 브라켓(110)이 상호 결합되었을 때, 체인홈(113)과 체인돌기(111)에 형성된 체인홀(115)은 상호 정렬될 수 있다. 정렬된 체인홀(115)에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이 삽입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고정 브라켓(110)이 체인형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조립체(140)의 분해 사시도이다.
고정 조립체(140)는 크게 볼트(143), 스프링 와셔(145) 및 판 스프링(141)을 포함할 수 있다.
볼트(143)는 볼트머리에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볼트(143)에 삽입될 스프링 와셔(145) 및 판 스프링(141)이 일정범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일 수 있다. 도면에는 육각렌치를 통해 조여지는 볼트(143)가 도시되어 있으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십자 또는 일자 드라이버를 이용하는 볼트(143)가 사용될 수도 있다.
스프링 와셔(145)는 볼트(143)에 삽입되어 볼트 머리와 볼트(143)에 삽입될 다음 부품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볼트(143)가 조여지면 판 스프링(141) 등의 부품이 걸림턱(135)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판 스프링(141)은 고정 브라켓(110)의 제1체결홀을 향하여 돌출되고 연결 브라켓(150, 도 2a 참조)의 삽입홈(175)에 삽입되어 연결 브라켓(150, 도 2a 참조)이 고정 브라켓(1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판 스프링(141)의 구체적인 형상을 살펴보면, 볼트(143)에 삽입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된 삽입부(141a), 삽입부(141a)에서 연장되고 소정의 반경으로 돌출부가 형성된 절곡부(141b) 및 절곡부(141b)에서 연장되어 제1체결홈(121)을 향해 돌출되거나 제2고정홈(133)으로 인입되는 고정부(141c)를 포함할 수 있다.
판 스프링(141)의 삽입부(141a)는 제1고정홈(131)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제1고정홈(131)과 제2고정홈(133)의 연결부위에 형성되는 걸림턱(135)에 안착될 수 있다. 판 스프링(141)은 절곡되어 고정부(141c)가 제2고정홈(133)에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전체적인 형상은 L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141a)와 고정부(141c) 사이에는 소정의 반경으로 돌출되는 절곡부(141b)가 형성될 수 있다. 절곡부(141b)의 반경은 판 스프링(141)의 재질에 따라 형성될 수 있는 최소 반경이 결정될 수 있다. 절곡부(141b)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판 스프링(141)을 다시 펼쳐지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졌을 때, 절곡부(141b)에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소정의 반경이 형성되지 않고 단순하게 절곡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큰 힘을 버틸 수 있게 된다.
고정부(141c)의 단부는 삽입부(141a)가 걸림턱(135)에 밀착되어 있는 경우를 기준으로 제1체결홀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돌출된 정도는 연결 브라켓(150, 도 2a 참조)의 삽입홈(175)의 깊이에 대응되어 결정될 수 있다.
고정 조립체(140)는 평와셔(147) 및 스냅링(14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평와셔(147)는 스프링 와셔(145)와 판 스프링(141)의 삽입부(141a)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스프링 와셔(145)가 제공하는 탄성력을 삽입부(141a)에 고르게 전달할 수 있다.
스냅링(149)은 볼트(143)에 가장 마지막에 삽입되는 부품으로서, 고정 조립체(140)가 분해되지 않고 하나의 모듈 형태로 조립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고정홈(130)에 고정 조립체(140)가 삽입되어 결합된 후에는 제1고정홈(131)의 형상에 대응하여 성형된 커버블럭(148)이 제1고정홈(131)에 삽입되어 고정 브라켓(110)과 결합될 수 있다. 커버블럭(148)은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통하여 고정 브라켓(11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브라켓(150)이 고정 브라켓(110)과 결합하는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와 같이 고정 브라켓(110)의 제1체결홈(121)에 연결 브라켓(150)의 제1체결돌기(171)가 삽입되기 시작하면 도 7b와 같이 판 스프링(141)의 고정부(141c)와 접촉할 수 있다. 판 스프링(141)은 탄성을 갖고 변형되므로 제1체결돌기(171)가 계속적으로 삽입되면 판 스프링(141)의 고정부(141c)는 제2고정홈(133) 측으로 일시적으로 밀려 들어갈 수 있다. 이후 제1체결돌기(171)가 제1체결홈(121)에 모두 삽입되면 삽입홈(175)의 위치에 고정부(141c)의 단부가 삽입되어 연결 브라켓(150)과 고정 브라켓(110)의 결합이 완료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연결 브라켓(150)을 다시 상방으로 이동시키고자 하여도 고정부(141c)가 삽입홈(175)에 삽입되어 걸려있는바 임의로 연결 브라켓(150)이 분리하기 어렵게 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연결 브라켓(150)을 분리하기 위해 큰 힘을 가하더라도,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반경으로 형성된 판 스프링(141)의 절곡부(141b)가 그 응력을 분산시켜 변형이 방지됨으로써 연결 브라켓(150)의 이탈을 막을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브라켓(150)이 고정 브라켓(110)과 분리되는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경우에 따라서 통신장비(200, 도 3참조)는 고정 브라켓(1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통신장비(200, 도 3참조)의 교체 또는 정비를 위해 분리가 필요할 수 있으며, 높은 곳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인 만큼 큰 힘이나, 복잡한 분해과정을 거치지 않고 분리가 가능할 수록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조립체(140)는 볼트(143)를 풀러줌으로써 판 스프링(141)의 고정부(141c)가 연결 브라켓(150)의 삽입홈(175)에서 이탈되기 쉽도록 하여 연결 브라켓(150)을 고정 브라켓(110)으로부터 분리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143)를 풀어주면 판 스프링(141)의 삽입부(141a)는 걸림턱(135)과 밀착되던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이때 판 스프링(141)의 고정부(141c)에 의해 무게중심이 치우쳐 기울어지게 되며, 자연스럽게 고정부(141c)가 제2고정홈(133)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볼트(143)를 지속적으로 풀러주면 스냅링(149)이 판 스프링(141), 평와셔(147), 스프링 와셔(145)를 함께 커버블럭(148) 측으로 끌어올리게 되고, 커버 블럭의 하면에 판 스프링(141) 삽입부(141a, 도 6 참조)의 일부와 절곡부(141b, 도 6 참조)가 접촉하며 고정부(141c)가 제2고정홈(133) 내부로 들어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통신장비(200, 도 3 참조)와 함께 연결 브라켓(150)을 고정 브라켓(11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비 고정장치의 연결 브라켓(950)과 고정 브라켓(910)의 결합방법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마찬가지로 통신장비(200)와 연결 브라켓(950)을 결합시킨 뒤, 고정 브라켓(910)에 연결 브라켓(950)의 체결돌기(170)를 삽입시킴으로써 추가적인 볼트체결과 같은 작업공정 없이 연결 브라켓(950)과 고정 브라켓(910)을 결합시킬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도 9의 실시예는 고정홈(930)의 위치가 변경되고, 고정 조립체(940)의 개수가 감소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 브라켓(950)의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 브라켓(950)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2a 내지 도 2b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2체결돌기(171)의 표면에는 삽입홈(175)이 형성되되, 상기 제1체결돌기와 연결된 면의 반대측 표면에서 만입하여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175)은 후술할 고정 조립체(940)의 판 스프링(941)이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연결 브라켓(950)이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하여 고정 브라켓(910, 도 9 참조)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인 결합방법은 도 13a 내지 도 13d와 함께 후술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브라켓(910) 및 고정 조립체(940)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브라켓(910) 및 고정 조립체(940)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5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고정홈(930)은 제2체결홈(123)과 연결되어 형성되고, 고정 브라켓(910)의 타면을 향해 만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1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상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고정 브라켓(910)의 제1체결홈(123)이 연장되어 고정 브라켓(910)의 타면 방향으로 만입된 형상일 수 있다.
고정홈(930)은 제1고정홈(931)과 제2고정홈(9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고정홈(931)은 고정 브라켓(9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상방에 편중되어 배치되고, 고정 브라켓(910)의 상면에 대하여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고정홈(933)은 제1고정홈(931)과 연결되어 형성되되, 제1고정홈(931) 보다 하방에 배치되고, 고정 브라켓(910)의 타면방향으로 만입된 정도가 제1고정홈(931)에 비하여 얕을 수 있으며, 고정 브라켓(910)의 하면을 관통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고정홈(931)과 제2고정홈(933)의 만입된 정도에 차이가 있어 제1고정홈(931) 측에는 걸림턱(935)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935)에는 후술할 고정 조립체(940)의 볼트(943)가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조립체(940)의 분해 사이도이다.
고정 조립체(940)는 크게 볼트(943), 스프링 와셔(945) 및 판 스프링(941)을 포함할 수 있다.
볼트(943)는 볼트머리에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볼트(943)에 삽입될 스프링 와셔(945) 및 판 스프링(941)이 일정범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일 수 있다. 도면에는 십자드라이버를 통해 조여지는 볼트(943)가 도시되어 있으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일자 드라이버 또는 육각 렌치를 이용하는 볼트(943)가 사용될 수도 있다.
스프링 와셔(945)는 볼트(943)에 삽입되어 볼트 머리와 볼트(943)에 삽입될 다음 부품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볼트(943)가 조여지면 판 스프링(941) 등의 부품이 걸림턱(935, 도 11 참조)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판 스프링(941)은 고정 브라켓(910, 도 9 참조)의 제2체결홀(123, 도 9 참조)을 향하여 돌출되고 연결 브라켓(950, 도 10 참조)의 삽입홈(975, 도 10 참조)에 삽입되어 연결 브라켓(950, 도 10 참조)이 고정 브라켓(910, 도 9 참조)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판 스프링(941)의 구체적인 형상을 살펴보면, 볼트(943)에 삽입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된 삽입부(941a), 삽입부(941a)에서 연장되고 소정의 반경으로 돌출부가 형성된 절곡부(941b) 및 절곡부(941b)에서 연장되어 제2체결홈(123, 도 9 참조)을 향해 돌출되거나 제2고정홈(933, 도 11 참조)으로 인입되는 고정부(941c)를 포함할 수 있다.
판 스프링(941)의 삽입부(941a)는 제1고정홈(931)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제1고정홈(931)과 제2고정홈(933)의 연결부위에 형성되는 걸림턱(935)에 안착될 수 있다. 판 스프링(941)은 절곡되어 고정부(941c)가 제2고정홈(933)에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전체적인 형상은 L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941a)와 고정부(941c) 사이에는 소정의 반경으로 돌출되는 절곡부(941b)가 형성될 수 있다. 절곡부(941b)의 반경은 판 스프링(941)의 재질에 따라 형성될 수 있는 최소 반경이 결정될 수 있다. 절곡부(941b)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판 스프링(941)을 다시 펼쳐지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졌을 때, 절곡부(941b)에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소정의 반경이 형성되지 않고 단순하게 절곡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큰 힘을 버틸 수 있게 된다.
고정부(941c)의 단부는 삽입부(941a)가 걸림턱(935)에 밀착되어 있는 경우를 기준으로 제2체결홀(123, 도 9 참조)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돌출된 정도는 연결 브라켓(950, 도 10 참조)의 삽입홈(975)의 깊이에 대응되어 결정될 수 있다.
고정 조립체(940)는 평와셔(947) 및 스냅링(94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평와셔(947)는 스프링 와셔(945)와 판 스프링(941)의 삽입부(941a)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스프링 와셔(945)가 제공하는 탄성력을 삽입부(941a)에 고르게 전달할 수 있다.
스냅링(949)은 볼트(943)에 가장 마지막에 삽입되는 부품으로서, 고정 조립체(940)가 분해되지 않고 하나의 모듈 형태로 조립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고정홈(930)에 고정 조립체(940)가 삽입되어 결합된 후에는 제1고정홈(931)의 형상에 대응하여 성형된 커버블럭(948)이 제1고정홈(931)에 삽입되어 고정 브라켓(910, 도 9 참조)과 결합될 수 있다. 커버블럭(948)은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통하여 고정 브라켓(910, 도 9 참조)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 브라켓(950)이 고정 브라켓(910)과 결합하는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a와 같이 고정 브라켓(910)의 제2체결홈(123)에 연결 브라켓(950)의 제2체결돌기(173)가 삽입되기 시작하면 도 13b와 같이 판 스프링(941)의 고정부(941c)와 접촉할 수 있다. 판 스프링(941)은 탄성을 갖고 변형되므로 제1체결돌기(173)가 계속적으로 삽입되면 판 스프링(941)의 고정부(941c)는 제2고정홈(933) 측으로 일시적으로 밀려 들어갈 수 있다. 이후 제2체결돌기(173)가 제2체결홈(123)에 모두 삽입되면 삽입홈(975)의 위치에 고정부(941c)의 단부가 삽입되어 연결 브라켓(950)과 고정 브라켓(910)의 결합이 완료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연결 브라켓(950)을 다시 상방으로 이동시키고자 하여도 고정부(941c)가 삽입홈(975)에 삽입되어 걸려있는바 임의로 연결 브라켓(950)이 분리하기 어렵게 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연결 브라켓(950)을 분리하기 위해 큰 힘을 가하더라도,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반경으로 형성된 판 스프링(941)의 절곡부(941b)가 그 응력을 분산시켜 변형이 방지됨으로써 연결 브라켓(950)의 이탈을 막을 수 있다.
도 14a 내지 도 14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 브라켓(950)이 고정 브라켓(910)과 분리되는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조립체(940)는 볼트(943)를 풀러줌으로써 판 스프링(941)의 고정부(941c)가 연결 브라켓(950)의 삽입홈(975)에서 이탈되기 쉽도록 하여 연결 브라켓(950)을 고정 브라켓(910)으로부터 분리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943)를 풀어주면 판 스프링(941)의 삽입부(941a)는 걸림턱(935)과 밀착되던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이때 판 스프링(941)의 고정부(941c)에 의해 무게중심이 치우쳐 기울어지게 되며, 자연스럽게 고정부(941c)가 제2고정홈(933)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볼트(943)를 지속적으로 풀러주면 스냅링(949)이 판 스프링(941), 평와셔(947), 스프링 와셔(945)를 함께 커버블럭(948) 측으로 끌어올리게 되고, 커버 블럭의 하면에 판 스프링(941) 삽입부(941a, 도 12 참조)의 일부와 절곡부(941b, 도 12 참조)가 접촉하며 고정부(941c)가 제2고정홈(933) 내부로 들어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비 고정장치는 복수개가 통신주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호 결합됨으로써 통신주와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에 형성되고, 연결 브라켓과 결합되는 체결홈; 상기 체결홈과 연결되어 형성된 고정홈; 및 상기 고정홈에 배치되고, 판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판 스프링이 체결홈을 향해 돌출 되거나 상기 고정홈으로 인입되는 고정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홈은 상기 고정 브라켓의 일면에서 타면을 향해 만입되어 형성된 제1체결홈; 및 상기 제1체결홈의 상기 타면 측 단부에서 상기 고정 브라켓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체결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고정홈은 상기 고정 브라켓의 일면과 상기 제2체결홈 사이에서 상기 고정 브라켓의 폭방향으로 만입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고정홈은 상기 고정 브라켓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상방에 편중되어 배치된 제1고정홈; 및 상기 고정 브라켓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하방에 편중되어 배치된 제2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홈은 상기 고정 브라켓의 상면에 대하여 개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홈은 상기 제2고정홈 보다 더 깊게 만입되어 단차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고정홈과 상기 제2고정홈의 연결부위에 형성된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고정 조립체는 머리에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및 상기 볼트에 삽입된 스프링 와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볼트에 삽입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된 삽입부; 상기 삽입부에서 연장되고, 소정의 반경으로 돌출부가 형성된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체결홈을 향해 돌출되거나 상기 고정홈으로 인입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고정 조립체는 상기 스프링 와셔에 이어 상기 볼트에 삽입되는 평와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고정 조립체는 상기 볼트에 삽입된 상기 스프링 와셔, 상기 판 스프링이 상기 볼트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냅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고정 브라켓의 폭방향에 대하여 일측에 형성된 돌기; 및 상기 고정 브라켓의 폭방향에 대하여 타측에 형성된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복수개의 고정 브라켓은 상호간은 어느 하나의 고정 브라켓에 형성된 돌기가 다른 고정 브라켓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돌기 및 상기 홈에는 상기 돌기 및 상기 홈을 관통하는 체인홀이 형성되고, 어느 하나의 고정 브라켓에 형성된 돌기가 다른 고정 브라켓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체인홀의 위치가 서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의 원주방향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고, 통신장비와 결합되는 연결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브라켓은 일면이 통신장비와 결합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타면에 형성되고 고정 브라켓의 체결홈에 삽입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하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타면에 대해 수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1체결돌기; 및 상기 제1체결돌기의 단부에서 상기 베이스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2체결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제1체결돌기의 돌출된 부분의 표면에서 만입되어 형성된 삽입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고정홈은 상기 제2체결홈에서 상기 고정 브라켓의 타면을 향해 만입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제2체결돌기의 표면에서 만입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체결돌기와 연결된 표면의 반대면에 형성된 삽입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100 : 통신장비 고정장치 110 : 고정 브라켓
111 : 체인돌기 113 : 체인홈
115 : 체인홀 120 : 체결홈
121 : 제1체결홈 123 : 제2체결홈
130 : 고정홈 131 : 제1고정홈
133 : 제2고정홈 135 : 걸림턱
140 : 고정 조립체 141 : 판 스프링
143 : 볼트 145 : 스프링 와셔
147 : 평와셔 148 : 커버블럭
149 : 스냅링 150 : 연결 브라켓
160 : 베이스 170 : 체결돌기
171 : 제1체결돌기 173 : 제2체결돌기
175 : 삽입홈 200 : 통신장비
300 : 통신주

Claims (19)

  1. 통신장비를 통신주에 결합시키는 통신장비 고정장치에 있어서,
    복수개가 상기 통신주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호 결합됨으로써 통신주와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에 형성되고, 연결 브라켓과 결합되는 체결홈;
    상기 체결홈과 연결되어 형성된 고정홈; 및
    상기 고정홈에 배치되고, 판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판 스프링이 체결홈을 향해 돌출 되거나 상기 고정홈으로 인입되는 고정 조립체;를 포함하는 통신장비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은
    상기 고정 브라켓의 일면에서 타면을 향해 만입되어 형성된 제1체결홈; 및
    상기 제1체결홈의 상기 타면 측 단부에서 상기 고정 브라켓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체결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비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상기 고정 브라켓의 일면과 상기 제2체결홈 사이에서 상기 고정 브라켓의 폭방향으로 만입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비 고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상기 고정 브라켓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상방에 편중되어 배치된 제1고정홈; 및
    상기 고정 브라켓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하방에 편중되어 배치된 제2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비 고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홈은 상기 고정 브라켓의 상면에 대하여 개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비 고정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홈은 상기 제2고정홈 보다 더 깊게 만입되어 단차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고정홈과 상기 제2고정홈의 연결부위에 걸림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비 고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조립체는
    머리에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및
    상기 볼트에 삽입된 스프링 와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비 고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은
    상기 볼트에 삽입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된 삽입부;
    상기 삽입부에서 연장되고, 소정의 반경으로 돌출부가 형성된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체결홈을 향해 돌출되거나 상기 고정홈으로 인입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비 고정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조립체는
    상기 스프링 와셔에 이어 상기 볼트에 삽입되는 평와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비 고정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조립체는
    상기 볼트에 삽입된 상기 스프링 와셔, 상기 판 스프링이 상기 볼트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냅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비 고정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고정 브라켓의 폭방향에 대하여 일측에 형성된 체인돌기; 및
    상기 고정 브라켓의 폭방향에 대하여 타측에 형성된 체인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비 고정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고정 브라켓은 상호간은 어느 하나의 고정 브라켓에 형성된 체인돌기가 다른 고정 브라켓에 형성된 체인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비 고정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돌기 및 상기 체인홈에는 상기 체인돌기 및 상기 체인홈을 관통하는 체인홀이 형성되고, 어느 하나의 고정 브라켓에 형성된 체인돌기가 다른 고정 브라켓에 형성된 체인홈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체인홀의 위치가 서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비 고정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의 원주방향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고, 통신장비와 결합되는 연결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비 고정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브라켓은
    일면이 통신장비와 결합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타면에 형성되고 고정 브라켓의 체결홈에 삽입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하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비 고정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베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타면에 대해 수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1체결돌기; 및
    상기 제1체결돌기의 단부에서 상기 베이스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2체결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비 고정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제1체결돌기의 돌출된 부분의 표면에서 만입되어 형성된 삽입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비 고정장치.
  1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상기 제2체결홈에서 상기 고정 브라켓의 타면을 향해 만입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비 고정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제2체결돌기의 표면에서 만입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체결돌기와 연결된 표면의 반대면에 형성된 삽입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비 고정장치.
KR1020170148693A 2017-11-09 2017-11-09 통신장비 고정장치 KR102397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693A KR102397149B1 (ko) 2017-11-09 2017-11-09 통신장비 고정장치
US16/762,089 US20220071047A1 (en) 2017-11-09 2018-10-30 Device for fixing communication equipment
PCT/KR2018/013041 WO2019093704A1 (ko) 2017-11-09 2018-10-30 통신장비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693A KR102397149B1 (ko) 2017-11-09 2017-11-09 통신장비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877A KR20190052877A (ko) 2019-05-17
KR102397149B1 true KR102397149B1 (ko) 2022-05-12

Family

ID=66438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693A KR102397149B1 (ko) 2017-11-09 2017-11-09 통신장비 고정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071047A1 (ko)
KR (1) KR102397149B1 (ko)
WO (1) WO2019093704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473B1 (ko) 2015-04-14 2015-12-04 김규현 송배전 케이블을 고정하는 전신주용 결합장치
KR101635175B1 (ko) 2016-05-20 2016-07-01 정칠교 배전용 전신주의 전선 지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4438A (en) * 1971-09-24 1973-05-22 Kaiser Aluminium Chem Corp Apparatus for mounting a transformer
US4117629A (en) * 1977-08-09 1978-10-03 Paul Ekdahl Pot holding arm support
US4781348A (en) * 1987-07-31 1988-11-01 A. B. Chance Company Adjustable banded aluminum transformer mount
US5320312A (en) * 1993-05-05 1994-06-14 Stainless, Inc. Cable cluster mount
JP2514058Y2 (ja) * 1993-05-19 1996-10-16 正和 寺前 電信柱用足場ボルト
US6755312B2 (en) * 2000-12-13 2004-06-29 Alum-Form, Inc. Band type cluster mount
KR200262261Y1 (ko) * 2001-10-16 2002-03-18 한양프레임주식회사 안내판 지지구조
GB0512243D0 (en) * 2005-06-16 2005-07-27 Aube Francois Medical bag support
NZ550360A (en) * 2005-10-27 2008-05-30 Design Pty Ltd 4 Pole mounting system and method
KR200443014Y1 (ko) * 2008-07-21 2009-01-07 건원이앤씨 주식회사 특고압 수직 장주용 완금장치
US8191840B2 (en) * 2008-10-24 2012-06-05 Francis Clifton Jenestreet T-channel fixture-mounting pole clamp
CN101753180A (zh) * 2008-12-19 2010-06-23 华为技术有限公司 抱杆安装件
KR200452827Y1 (ko) * 2010-10-05 2011-03-25 이치우 전신주 고정밴드
KR200472139Y1 (ko) * 2011-10-05 2014-04-17 백승윤 전신주 체결밴드에 사용되는 착탈식 브라켓
KR101320457B1 (ko) * 2013-07-09 2013-10-23 (주)성문기술단 배전용 전주의 배전선 지지완철
CN107816613B (zh) * 2016-09-12 2019-12-06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安装通讯设备的拼装支架及其与通讯设备的组合结构
SE540650C2 (en) * 2016-09-22 2018-10-09 Cue Dee Ab Chain clamp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473B1 (ko) 2015-04-14 2015-12-04 김규현 송배전 케이블을 고정하는 전신주용 결합장치
KR101635175B1 (ko) 2016-05-20 2016-07-01 정칠교 배전용 전신주의 전선 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877A (ko) 2019-05-17
US20220071047A1 (en) 2022-03-03
WO2019093704A1 (ko) 2019-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2756B1 (ko) 차량 루프 안테나 장착용 조립체
US8181419B1 (en) Connector for connecting building members
US20090104000A1 (en) Waterproof structure for portion where members are tightened with screw
KR101615170B1 (ko) 활선 클램프
US10907675B2 (en) Fastener for plate-like elements and related plate-like element arrangements
KR20160125774A (ko) 호스를 이용한 케이블 지지 보호유닛
US9557507B2 (en) Device for fixing wires
KR101172868B1 (ko) 록크 너트 및 이를 구비하는 체결 유닛
KR101008020B1 (ko) 천장용 판넬 조립구조
KR102397149B1 (ko) 통신장비 고정장치
KR100710022B1 (ko)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US10711813B2 (en) Attachment device providing double engagement for high retention
JP5086892B2 (ja) クロスクリップ
KR101928994B1 (ko) 전선볼트용 안전로프 고정장치
KR101268194B1 (ko) 벽체 부착물 고정장치
KR101445307B1 (ko) 전기접속용 단자대
CN109505842B (zh) 一种连接装置、桌子、凳子
KR101127466B1 (ko) 피뢰침이 구비된 피뢰도선 지지구
JP6573422B2 (ja) 配線機器類の取着装置及び機器支持具
KR101641734B1 (ko) 차량용 멀티박스
CN109616813B (zh) 一种侧装结构及其安装方法及接地环侧装的刻蚀装置
KR20140054584A (ko) 노브와 레버 조립체
CN107524876B (zh) 逆止阀安装座的固定构造
KR20190081444A (ko) 커넥터 클립 고정구조
KR100723063B1 (ko) 램프홀더와 리어홀더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