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827Y1 - 전신주 고정밴드 - Google Patents

전신주 고정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827Y1
KR200452827Y1 KR2020100010237U KR20100010237U KR200452827Y1 KR 200452827 Y1 KR200452827 Y1 KR 200452827Y1 KR 2020100010237 U KR2020100010237 U KR 2020100010237U KR 20100010237 U KR20100010237 U KR 20100010237U KR 200452827 Y1 KR200452827 Y1 KR 2004528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main body
coupled
telephone pole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2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치우
Original Assignee
이치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치우 filed Critical 이치우
Priority to KR20201000102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8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8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8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체에 날개 및 텐션부재가 형성되어 전신주에 체결되었을 시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텐션부재에 의해 1차적으로 미끄럼을 방지하고, 날개에 의해 2차적으로 전신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전신주 고정밴드를 제공한다. 또한, 체결부재에 본체가 전신주에 체결시 텐션부재 및 날개가 전신주에 더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텐션부재 및 날개가 전신주에 더 견고히 고정되어 밴드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체결부재가 본체에 결합되어 있어 전신주에 체결시 별도의 공구 없이도 간단하게 체결이 가능하고, 보수시에도 체결부재를 당겨 전신주와 고정밴드의 착탈을 간단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하게 보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신주 고정밴드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전신주 고정밴드는 판 형상을 갖는 메인판(22)을 갖고, 메인판(22)이 다수개 연결되어 일정 각도를 갖도록 꺽임부(24)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띠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본체(20)와; 본체(20)의 양끝단에 결합되어 전신주(300)에 본체(20)가 체결되도록 하기 위한 체결부재(30)를 포함하되; 본체(20)의 메인판(22)은 상측과 하측에서 내측으로 형성되어 전신주(300)와 맞닿도록 형성되는 날개(222)를 갖고, 꺽임부(24)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전신주(300)에 맞닿아 본체(20)가 전신주(300)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텐션부재(24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신주 고정밴드{Telegraph pole fixation band}
본 고안은 전신주 고정밴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본체에 날개 및 텐션부재가 형성되어 전신주에 체결되었을 시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텐션부재에 의해 1차적으로 미끄럼을 방지하고, 날개에 의해 2차적으로 전신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전신주 고정밴드에 관한 것이다.
또한, 체결부재에 본체가 전신주에 체결시 텐션부재 및 날개가 전신주에 더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텐션부재 및 날개가 전신주에 더 견고히 고정되어 밴드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체결부재가 본체에 결합되어 있어 전신주에 체결시 별도의 공구 없이도 간단하게 체결이 가능하고, 보수시에도 체결부재를 당겨 전신주와 고정밴드의 착탈을 간단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하게 보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신주 고정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전력케이블 등을 지상의 전신주로 유도함에 있어서 케이블을 전주에 고정시키는데 고정밴드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고정밴드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밴드(1a)에 타공된 수개의 걸림구(2a)를 이용하여 전신주의 굵기에 맞게 길이를 조절하여 걸림나사(3a)의 걸고리를 걸림구(2a)에 걸고 남은 여유분의 밴드는 걸림나사(3a)의 반대쪽으로 접어두는 구조로 되어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 기술은 전신주에 체결시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걸림나사를 조여야 하고, 보수시 해체와 조립의 반복작업으로 인해 금속밴드에 변형이 일어나기 쉽고, 접힌 여유분의 밴드에 작업자가 손을 다칠 수 있는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한편,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체결밴드(1)를 체결부(2)에 연결하여, 볼트(5)로 조이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바, 이와 같은 기술은 금속체결밴드(1)를 걸어 연결하는 연결부(4)와 볼트공이 뚫린 조임부(6)로 형성된 체결부(2)에 있어서, 체결부(2)의 연결부(4)에 적정크기의 구멍을 뚫어 이의 전면에 걸이판이 형성되는 구조로써, 금속체결밴드(1)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금속체결밴드(1)의 여유분 밴드(3)을 전주대의 바깥쪽으로 접어둠으로써, 외부환경의 변화에 따라 케이블의 장력이 헐거워질 뿐만 아니라 또한, 케이블의 보수를 요하는 작업을 할 경우에는 해체와 조립의 반복작업으로 인해 금속밴드에 변형이 일어나기 쉽고, 작업자 임의로 접어둔 것으로 외관상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체에 날개 및 텐션부재가 형성되어 전신주에 체결되었을 시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텐션부재에 의해 1차적으로 미끄럼을 방지하고, 날개에 의해 2차적으로 전신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전신주 고정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체결부재에 본체가 전신주에 체결시 텐션부재 및 날개가 전신주에 더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텐션부재 및 날개가 전신주에 더 견고히 고정되어 밴드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체결부재가 본체에 결합되어 있어 전신주에 체결시 별도의 공구 없이도 간단하게 체결이 가능하고, 보수시에도 체결부재를 당겨 전신주와 고정밴드의 착탈을 간단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하게 보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전신주 고정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클램프(100) 및 함체(200) 등을 전신주(300)에 고정하여 미끄러지지 않게 하기 위한 전신주 고정밴드에 있어서, 판 형상을 갖는 메인판(22)을 갖고, 상기 메인판(22)이 다수개 연결되어 일정 각도를 갖도록 꺽임부(24)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띠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양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전신주(300)에 상기 본체(20)가 체결되도록 하기 위한 체결부재(30)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20)의 메인판(22)은 상측과 하측에서 내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신주(300)와 맞닿도록 형성되는 날개(222)를 갖고, 상기 꺽임부(24)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전신주(300)에 맞닿아 상기 본체(20)가 상기 전신주(300)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텐션부재(24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전신주 고정밴드에서 상기 본체(20)의 메인판(22)은 통신케이블을 팽팽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프(100)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후크(226)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전신주 고정밴드에서 상기 본체(20)의 메인판(22)은 상기 함체(200)가 볼트 결합되도록 볼트홀(22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전신주 고정밴드에서 상기 체결부재(30)는 상기 본체(20)의 양끝단에 결합되는 고정구(32)와; 상기 본체(20)의 메인판(22)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외측으로 날개(44, 48)를 가지며, 핀(34)에 의해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제 1 프레임(42) 및 제 2 프레임(46)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구(32)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20)를 상기 전신주(300)에 고정시키기 위한 프레임(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전신주 고정밴드에서 상기 제 1 프레임(42)의 날개(44)는 일측에 상기 핀(34)이 결합되도록 핀홀(442)이 형성되고, 상기 핀홀(442)과 이격되어 상기 본체(20)의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구(322)가 결합되도록 홀(444)이 형성되며, 타측에 상기 본체(20)의 타측에 결합되는 고정구(324)가 결합되도록 홈(446)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프레임(46)의 날개(48)는 일측에 상기 핀(34)이 결합되도록 핀홀(482)이 형성되고, 상기 핀홀(482)과 이격되어 상기 제1 프레임(42)의 홀(444)에 결합되는 고정구(322)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홈(484)이 형성되며, 타측에 상기 본체(20)의 타측에 결합되는 고정구(324)가 결합되도록 홈(48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신주 고정밴드에 의하면, 본체에 날개 및 텐션부재가 형성되어 전신주에 체결되었을 시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텐션부재에 의해 1차적으로 미끄럼을 방지하고, 날개에 의해 2차적으로 전신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체결부재에 본체가 전신주에 체결시 텐션부재 및 날개가 전신주에 더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텐션부재 및 날개가 전신주에 더 견고히 고정되어 밴드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체결부재가 본체에 결합되어 있어 전신주에 체결시 별도의 공구 없이도 간단하게 체결이 가능하고, 보수시에도 체결부재를 당겨 전신주와 고정밴드의 착탈을 간단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하게 보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전신주 고정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신주 고정밴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신주 고정밴드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신주 고정밴드에서 체결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신주 고정밴드에서 체결부재의 체결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신주 고정밴드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8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3 내지 도 8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고안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3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신주 고정밴드(10)는 금속재질의 판 형상을 갖는 메인판(22)을 갖고, 메인판(22)이 다수개 연결되어 일정 각도를 갖도록 꺽임부(24)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띠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본체(20)와, 본체(20)의 양끝단에 결합되어 전신주에 본체(20)가 체결되도록 하기 위한 체결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본체(20)의 메인판(22)은 상측과 하측에서 내측으로 형성되어 전신주와 맞닿도록 형성되는 날개(222)를 갖고, 꺽임부(24)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전신주에 맞닿아 본체(20)가 전신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텐션부재(242)를 갖는다.

한편, 메인판(22)과 연결되는 메인판(22)은 꺽임부(24)에서 일정 각도를 가지고 구브러져 접힌구조를 가지고, 텐션부재(242)는 일측이 메인판(22)에 접속되고, 타측이 메인판(22)과 연결되는 메인판(22)에서 절곡되어 내측으로 형성되어 진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신주 고정밴드(10)에서 날개가 본체(20)의 메인판(22) 상·하측에서 내측으로 접히도록 형성되고, 텐션부재(242)가 본체(20)의 메인판(22)과 메인판(22) 사이의 꺽임부(24)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전신주에 맞닿도록 형성되어 체결부재(30)에 의해 전신주에 체결되기 때문에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고, 별도의 공구가 필요없이 전신주에 체결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체(20)의 메인판(22)은 통신케이블을 팽팽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프가 결합되도록 후크(226)와 통신 설비를 비롯한 함체가 볼트 결합 될 수 있도록 볼트홀(224)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후크(226)는 4방향에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후크(226)의 개수는 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볼트홀(224)은 후크(226)와 후크(226) 사이에 본체(20)의 메인판(22)에 형성되는데 이 역시 개수는 필요에 따라 정할 수 있고, 내측에서 외측으로 볼트가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너트 결합되어 함체를 고정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함체를 결합하기 위한 볼트가 내측에서 삽입될 시 텐션부재(242)는 볼트 머리의 두께보다 더 내측으로 절곡되어 전신주에 맞닿도록 형성된다.
체결부재(30)는 재질이 심재로 형성되어 본체(20)의 양끝단에 결합되는 고정구(32)와, 본체(20)의 메인판(22)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외측으로 날개(44, 48)를 가지며, 핀(34)에 의해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제 1 프레임(42) 및 제 2 프레임(46)으로 형성되어 고정구(32)에 결합되어 본체(20)를 전신주(300)에 고정시키기 위한 프레임(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제 1 프레임(42)의 날개(44)는 일측에 핀(34)이 결합되도록 핀홀(442)이 형성되고, 핀홀(442)과 이격되어 본체(20)의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구(322)가 결합되도록 홀(444)이 형성되며, 타측에 본체(20)의 타측에 결합되는 고정구(324)가 결합되도록 홈(446)이 형성되고, 제 2 프레임(46)의 날개(48)는 일측에 핀(34)이 결합되도록 핀홀(482)이 형성되고, 핀홀(482)과 이격되어 제1 프레임(42)의 홀(444)에 결합되는 고정구(322)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홈(484)이 형성되며, 타측에 본체(20)의 타측에 결합되는 고정구(324)가 결합되도록 홈(486)이 형성되어 진다.
한편, 제 1 프레임(42)에 형성되는 홈(446)은 고정구(324)가 위치되어 체결 후 고정구(324)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핀홀(442)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홈(446a)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신주 고정밴드(10)에서 체결부재(30)에 의해 체결되는 순서를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먼저, 제 2 프레임(44)의 홈(482)에 본체(20)의 타측에 결합되는 고정구(324)를 위치시키고, 제 1 프레임(42)을 핀(34)을 중심으로 제 2 프레임(44)의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본체(20)의 텐션부재(242) 및 날개(222)는 전신주와 맞닿게 된다. 이후, 제 1 프레임(42)에 결합되는 고정구(322)를 제 2 프레임의 홈(484)에 위치시키면 제 1 프레임(42)의 홈(446)은 본체(20)의 타측에 결합되는 고정구(324)에 걸리게 되어 본체(20)는 전신주에 견고히 고정되어 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신주 고정밴드(10)에서 체결부재(30)에 본체(20)가 전신주에 체결시 텐션부재(242) 및 날개(222)가 전신주에 더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텐션부재(242) 및 날개(222)가 전신주에 더 견고히 고정되어 고정밴드(1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체결부재(30)가 본체(20)에 결합되어 있어 전신주에 체결시 별도의 공구 없이도 간단하게 체결이 가능하고, 보수시에도 체결부재(30)를 당겨 전신주와 고정밴드의 착탈을 간단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하게 보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신주 고정밴드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전신주 고정밴드
20 : 본체 22 : 메인판
222 : 날개 224 : 볼트홀
226 : 후크 24 : 꺽임부
242 : 텐션부재 30 : 체결부재
32 : 고정구 34 : 핀
40 : 프레임 42 : 제 1 프레임
44, 48 : 날개 46 : 제 2 프레임

Claims (5)

  1. 클램프(100) 및 함체(200) 등을 전신주(300)에 고정하여 미끄러지지 않게 하기 위한 전신주 고정밴드에 있어서,
    판 형상을 갖는 메인판(22)을 갖고, 상기 메인판(22)이 다수개 연결되어 일정 각도를 갖도록 꺽임부(24)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띠형상을 가지되, 상기 꺽임부(24)는 상기 메인판(22)과 메인판(22)이 구브러져 접힌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양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전신주(300)에 상기 본체(20)가 체결되도록 하기 위한 체결부재(30)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20)의 메인판(22)은 상측과 하측에서 내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신주(300)와 맞닿도록 형성되는 날개(222)를 갖고,
    상기 꺽임부(24)는 일측이 상기 메인판(22)에 접속되고, 타측이 상기 메인판(22)과 연결되는 메인판(22)에서 절곡되어 내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신주(300)에 맞닿아 상기 본체(20)가 상기 전신주(300)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텐션부재(24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주 고정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의 메인판(22)은 통신케이블을 팽팽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프(100)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후크(226)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주 고정밴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의 메인판(22)은 상기 함체(200)가 볼트 결합되도록 볼트홀(22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주 고정밴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30)는 상기 본체(20)의 양끝단에 결합되는 고정구(32)와;
    상기 본체(20)의 메인판(22)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외측으로 날개(44, 48)를 가지며, 핀(34)에 의해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제 1 프레임(42) 및 제 2 프레임(46)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구(32)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20)를 상기 전신주(300)에 고정시키기 위한 프레임(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주 고정밴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42)의 날개(44)는 일측에 상기 핀(34)이 결합되도록 핀홀(442)이 형성되고, 상기 핀홀(442)과 이격되어 상기 본체(20)의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구(322)가 결합되도록 홀(444)이 형성되며, 타측에 상기 본체(20)의 타측에 결합되는 고정구(324)가 결합되도록 홈(446)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프레임(46)의 날개(48)는 일측에 상기 핀(34)이 결합되도록 핀홀(482)이 형성되고, 상기 핀홀(482)과 이격되어 상기 제1 프레임(42)의 홀(444)에 결합되는 고정구(322)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홈(484)이 형성되며, 타측에 상기 본체(20)의 타측에 결합되는 고정구(324)가 결합되도록 홈(48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주 고정밴드.
KR2020100010237U 2010-10-05 2010-10-05 전신주 고정밴드 KR2004528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237U KR200452827Y1 (ko) 2010-10-05 2010-10-05 전신주 고정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237U KR200452827Y1 (ko) 2010-10-05 2010-10-05 전신주 고정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2827Y1 true KR200452827Y1 (ko) 2011-03-25

Family

ID=44244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237U KR200452827Y1 (ko) 2010-10-05 2010-10-05 전신주 고정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82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544B1 (ko) 2011-10-18 2013-10-15 주식회사 동희산업 가변형 부시 유닛
WO2019093704A1 (ko) * 2017-11-09 2019-05-16 삼성전자 주식회사 통신장비 고정장치
KR102315516B1 (ko) 2020-11-16 2021-10-21 김광수 지주용 고정밴드 체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4998U (ja) * 1992-11-18 1994-06-14 内田鍛工株式会社 電柱用バンド
KR100376116B1 (ko) 2000-04-18 2003-03-15 강성용 전신주용 케이블 고정밴드
KR200413018Y1 (ko) 2006-01-09 2006-04-05 창 억 손 손목 시계용 밴드
JP2010019055A (ja) 2008-07-14 2010-01-28 Almax:Kk クランプ機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4998U (ja) * 1992-11-18 1994-06-14 内田鍛工株式会社 電柱用バンド
KR100376116B1 (ko) 2000-04-18 2003-03-15 강성용 전신주용 케이블 고정밴드
KR200413018Y1 (ko) 2006-01-09 2006-04-05 창 억 손 손목 시계용 밴드
JP2010019055A (ja) 2008-07-14 2010-01-28 Almax:Kk クランプ機構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544B1 (ko) 2011-10-18 2013-10-15 주식회사 동희산업 가변형 부시 유닛
WO2019093704A1 (ko) * 2017-11-09 2019-05-16 삼성전자 주식회사 통신장비 고정장치
KR102315516B1 (ko) 2020-11-16 2021-10-21 김광수 지주용 고정밴드 체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2099B1 (ko) 배전선로 분기용 랙크 및 이를 이용한 분기선 시공방법
KR200452827Y1 (ko) 전신주 고정밴드
KR101087740B1 (ko) 원터치형 접지금구용 클램프
KR101721540B1 (ko) 전선 인장 및 고정용 클램프
KR100966041B1 (ko) 배전용 케이블 전주 고정밴드
KR20120007694A (ko) 파이프의 티자형 교차부위 고정장치
KR100655134B1 (ko) 겹장주용 전력선 이선기구
KR20170025729A (ko) 케이블 트레이
TWM577632U (zh) 把手以及具有該把手的把手裝置及電源供應器
KR20090005938U (ko) 밴드 케이블
KR102088057B1 (ko) 전신주 고정밴드
CN101868592A (zh) 作为遮蔽配置的附加设备的遮蔽设备
AU2016363997A1 (en) An apparatus for mounting a banner to a scaffolding frame
JP2012120333A (ja) 引込み用ケーブルの支持具
KR200427193Y1 (ko) 고정 클립
KR200388600Y1 (ko) 와이어링 하네스의 분기고정용 밴드케이블
KR200297039Y1 (ko) 전신주 케이블 고정용 필름밴드
KR102540644B1 (ko) 등기구 체결 구조
US20200149681A1 (en) Ceiling Box with Mounting Bracket
CN217481681U (zh) 钢线卡子
CN211233286U (zh) 一种扎带结构及空调器
KR101883794B1 (ko) 정션박스와 메인 케이블의 연결이 용이한 브라켓장치
CN210838521U (zh) 一种装配式配电柜
KR200269701Y1 (ko) 케이블 고정구
KR20130002278U (ko) 전신주 체결밴드에 사용되는 착탈식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