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4584A - 노브와 레버 조립체 - Google Patents

노브와 레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4584A
KR20140054584A KR1020120120251A KR20120120251A KR20140054584A KR 20140054584 A KR20140054584 A KR 20140054584A KR 1020120120251 A KR1020120120251 A KR 1020120120251A KR 20120120251 A KR20120120251 A KR 20120120251A KR 20140054584 A KR20140054584 A KR 20140054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diameter
lever
spring clip
inn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0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6573B1 (ko
Inventor
김장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0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6573B1/ko
Priority to US13/869,354 priority patent/US9169919B2/en
Priority to CN201310172365.8A priority patent/CN103794387B/zh
Publication of KR20140054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4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6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6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60Biased catch or latch
    • Y10T403/602Biased catch or latch by separate spring
    • Y10T403/604Radially sliding ca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수를 늘리지 않으면서도 조립성이 향상되고 노브와 레버간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노브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노브(1)와 레버(2)의 조립체로서, 상기 노브는, 내부에서 하방으로 연통된 중공부(10); 상기 중공부(10)의 내경(D2)보다 확장된 내경(D5)을 가지며 상기 중공부에 형성된 수용홈(12);을 구비하고, 상기 레버는, 상기 중공부(10)의 내경(D2)과 대응하는 직경(D2)을 가지는 몸체부(20); 상기 수용홈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몸체부보다 작은 직경(D4)을 가지는 안착홈(22)을 구비하며, 상기 레버의 안착홈(22)에는, 상기 안착홈의 직경(D4)보다 크고 상기 몸체부(20)의 직경(D2)보다 작은 내경(D3)을 가지고, 상기 몸체부의 직경(D2)보다 큰 외경(D1)을 가지는 스프링클립(3)이 끼워져 있어서, 상기 레버를 노브에 끼우는 과정에서, 스프링클립이 노브의 중공부의 내경과 접촉하는 위치에서는 스프링클립의 외경이 노브의 중공부 내경만큼 축소되고, 스프링클립이 노브의 수용홈(12)과 만나는 경우 다시 확장됨으로써, 스프링클립이 수용홈(12)과 안착홈(22)에 의해 생기는 공간에 배치되어 노브와 레버의 체결력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노브와 레버 조립체{Nob and Lever Assembly}
본 발명은 노브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부품수를 늘리지 않으면서도 조립성이 향상되고 노브와 레버간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노브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변속기 레버유닛은 노브 조립체를 포함하는데, 이는 손잡이부분인 노브와 그 하부의 레버를 포함한다.
노브와 레버는 이들이 나사결합하는 구조가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는 나사결합을 하면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조립생산성이 떨어지고 노브의 정면을 맞추기 위해 후속공정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해 특허출원 제2006-37798호, 특허출원 제2007-96261호, 특허출원 제2009-70128호, 특허출원 제2006-115205호와 같은 발명을 통해 노브와 레버의 조립구조를 단순화한 원터치방식의 많은 발명들이 안출되었지만, 이들 역시 부품 수가 많고 형상이 복잡하며, 큰 외력이 가해질 경우 노브와 레버간 이탈가능성이 문제되었다.
즉 원터치 구조를 적용하면 조립성은 향상되지만, 부품수가 증가하고 노브와 레버간 이탈가능성이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부품수를 늘리지 않으면서도 조립성이 향상되고 노브와 레버간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노브와 레버의 조립구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노브(1)와 레버(2)의 조립체로서, 상기 노브는, 내부에서 하방으로 연통된 중공부(10); 상기 중공부(10)의 내경(D2)보다 확장된 내경(D5)을 가지며 상기 중공부에 형성된 수용홈(12);을 구비하고, 상기 레버는, 상기 중공부(10)의 내경(D2)과 대응하는 직경(D2')을 가지는 몸체부(20); 상기 수용홈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몸체부보다 작은 직경(D4)을 가지는 안착홈(22)을 구비하며, 상기 레버의 안착홈(22)에는, 상기 안착홈의 직경(D4)보다 크고 상기 몸체부(20)의 직경(D2)보다 작은 내경(D3)을 가지고, 상기 (D2)보다 큰 외경(D1)을 가지는 스프링클립(3)이 끼워져 있어서, 상기 레버를 노브에 끼우는 과정에서, 스프링클립이 노브의 중공부의 내경과 접촉하는 위치에서는 스프링클립의 외경이 노브의 중공부 내경만큼 축소되고, 스프링클립이 노브의 수용홈(12)과 만나는 경우 다시 확장됨으로써, 스프링클립이 수용홈(12)과 안착홈(22)에 의해 생기는 공간에 배치되어 노브와 레버의 체결력을 제공하는 노브와 레버 조립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클립은 내경부에 슬릿(32)이 형성되어 있어 직경방향으로 축소가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노브의 중공부의 소정 위치에는 가이드홈(1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레버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가이드홈과 대응하는 형상의 가이드돌기(28)이 형성되어 있어서 레버에 대한 노브의 방향을 정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공부(10)의 하단에는 제1경사면(14)이 형성되어 있고, 제1경사면의 상단 직경은 중공부의 내경(D2)과 같고, 제1경사면의 하단 직경(D0)은 중공부 내경(D2)과 같거나 그보다 크도록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용홈(12)의 하단에는 제2경사면(16)이 형성되어 있고, 제2경사면의 상단 직경(D6)은 수용홈(12) 직경(D5)보다 작고 중공부의 내경(D2)보다 크며, 제2경사면의 하단 직경은 중공부의 내경(D2)과 같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노브와 레버 간 원터치 조립이 가능하면서도 종전에 비해 적은 부품수를 가질 수 있고 이탈력을 높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높은 이탈력보다 더 큰 힘을 가하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비성도 동시에 향상시켰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노브의 측면단면도와 평면단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레버의 측면단면도와 평면단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스프링클립의 사시도와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레버에 노브가 체결되는 과정을 나타낸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레버와 노브의 체결상태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로서 스프링클립의 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노브의 측면단면도와 평면단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레버의 측면단면도와 평면단면도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스프링클립의 사시도와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노브(1)와 레버(2), 그리고 스프링클립(3)의 3개의 부품만으로 노브와 레버를 원터치로 체결하면서 체결력을 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조립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노브를 살펴보면, 노브는, 내부에서 하방으로 연통된 중공부(10)와, 상기 중공부(10)의 내경(D2)보다 확장된 내경(D5)을 가지며 상기 중공부에 형성된 수용홈(12)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중공부(10)의 하단에는 제1경사면(14)을 형성하여 후술할 스프링클립의 체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데, 제1경사면의 상단 직경은 중공부의 내경(D2)과 같고, 제1경사면의 하단 직경(D0)은 후술할 스프링클립의 외경(D1)과 같거나 그보다 크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홈(12)의 하단에는 노브와 레버의 유지보수를 위해 노브를 레버로부터 분리할 때 분리를 어느 정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2경사면(16)을 형성할 수 있는데, 제2경사면의 상단 직경(D6)은 후술할 스프링클립의 외경(D1)보다 작고 중공부의 내경(D2)보다 크며, 제2경사면의 하단 직경은 중공부의 내경(D2)과 같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노브에는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홈(18)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레버는, 상기 중공부(10)의 내경(D2)과 대응하는 직경(D2)을 가지는 몸체부(20)와, 상기 수용홈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몸체부보다 작은 직경(D4)을 가지는 안착홈(22)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의 직경은 중공부의 내경과 완전히 일치하여도 좋지만, 체결의 용이성을 위해 그보다 아주 약간 작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레버의 몸체부 외면에는 상기 가이드홈과 대응하는 위치에 가이드돌기(28)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노브와 레버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가이드홈을 따라 가이드돌기가 끼워지며 노브가 레버에 결합하기 때문에, 레버에 대한 노브의 방향을 쉽게 정렬할 수 있다. 즉 다수의 가이드홈과 가이드돌기를 형성함에 있어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대응하는 가이드홈과 가이드돌기의 형상을 다르게 하면 레버에 대한 노브의 정렬을 별다른 어려움 없이 두 부재의 체결과정에서 함께 행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가이드홈과 가이드돌기 구성에 의한 노브 방향 정렬과 다른 방식으로서, 금속재질의 레버에는 가이드돌기를 구성하고 플라스틱 재질의 노브의 중공부에는 가이드홈을 구성하지 않은 상태에서 노브의 방향을 맞춰 레버에 억지끼움으로써 방향을 정렬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프링클립(3)은 상기 안착홈의 직경(D4)보다 크고 상기 몸체부(20)의 직경(D2)보다 작은 내경(D3)을 가지고, 상기 몸체부(20)의 직경(D2)보다 큰 외경(D1)을 가지는데, 내경 쪽에는 슬릿(32)이 등간격으로 스프링클립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되어 있어서 스프링클립의 직경이 작아지도록 수축할 수 있게 해준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이러한 슬릿은 필요에 따라 스프링클립의 외경 쪽에도 상기 내경 쪽에 형성된 슬릿과 어긋나는 위치에 등간격 형성하여 스프링클립의 직경 축소를 보다 수월하게 유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슬릿의 배치와 개수 등은 직경의 축소 용이성과 더불어 노브와 레버 사이의 이탈력 설정 조절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스프링클립(3)은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레버의 안착홈(22)에 스프링클립(3)이 끼워진 상태에서 노브와 레버의 체결에 사용된다. 상기 스프링클립(3)의 내경(D3)은, 상기 몸체부(20)의 직경(D2)보다는 작고 상기 안착홈의 직경(D4)보다는 크기 때문에 상기 안착홈(22)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스프링클립의 축소에 필요한 공간을 가지게 된다. 아울러 스프링클립(3)의 외경(D1)은 상기 몸체부(20)의 직경(D2)보다 크므로 스프링클립이 레버의 몸체부에 비해 외부로 돌출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노브를 레버에 체결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를 레버에 끼우기 시작하면, 레버의 몸체부는 노브의 중공부에 끼워지기 시작한다. 노브를 계속 하강시켜 레버에 끼우는 작업을 계속하면 스프링클립(3)의 상단이 중공부의 하단과 만나게 되고, 이때 중공부 하단에 형성된 제1경사면의 내경(D0)이 스프링클립(3)의 외경(D1)과 같거나 그보다 크기 때문에 스프링클립의 자연스러운 축소를 유도할 수 있다. 그러면 도 4의 (b)와 같이 스프링클립(3)의 상단부터 축소가 되기 시작하고, 노브를 계속 하강시키면 스프링클립(3)이 직경방향으로 축소되어 도 4의 (c)와 같이 모두 축소된 상태가 된다. 즉 스프링클립은, 도 4의 (c)와 같이 스프링클립이 노브의 중공부의 내경과 접촉하는 위치에서는 스프링클립의 외경이 노브의 중공부 내경만큼 축소되는 것이고, 이는 스프링클립에 형성된 슬릿을 통해 보다 쉽게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노브를 하강시키게 되면 도 4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클립의 상부가 노브의 수용홈부분과 만나면서 확장(원복)되기 시작한다. 이에 지속적으로 노브를 하강시키면, 스프링클립의 하단까지 모두 확장이 이루어지고, 스프링클립이 수용홈(12)과 안착홈(22)에 의해 생기는 공간에 배치되어 노브와 레버의 체결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별다른 조작 없이 스프링클립이 끼워진 레버에 노브를 하강시켜 체결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두 부재를 체결할 수 있고, 또한 노브의 방향 정렬은 앞서 설명한 가이드홈과 가이드돌기의 구성에 의해 동시에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노브를 레버에 끼운 후에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노브에 외력(F1)이 상하방향으로 모두 가해져도 스프링클립의 압축에 따른 복원력(F2)에 의해 노브가 원위치를 찾게 된다. 이는 레버 조립 후 유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하며, 더불어 외부 가진에 의한 진동 저감을 위한 다이나믹 댐퍼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용홈의 하단부에는 제2경사면(16)이 형성될 수 있는데, 제2경사면의 상단 직경(D6)은 후술할 스프링클립의 외경(D1)보다 작고 중공부의 내경(D2)보다 크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노브에 작용하는 작은 이탈력으로는 스프링클립의 외경(D1)이 제2경사면의 상단 직경에 걸려 이탈이 되지 않게 하며, 노브에 큰 이탈력을 작용시켜야 스프링클립이 변형되면서 스프링클립의 외경이 제2경사면을 타고 내려와 이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6과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인데, 먼저 도 6을 살펴보면, 도 6은 스프링클립의 외경(D1)이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하여 노브와 레버의 체결력은 적게 들면서도 노브와 레버의 이탈력은 크도록 설정한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에서도 스프링클립의 외경(D1) 범위는 중공부(10)의 내경(D2)보다 크고, 스프링클립의 내경(D3)의 범위는 몸체부(10)의 직경(D2)보다 작으면서 안착홈(22)의 직경(D4)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 스프링클립의 단면이,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같이 수평(a 참조)으로 구성된 것이 아니라, 외부로 경사(b 참조)지도록 구성함으로써 마찬가지로 노브와 레버의 체결력은 적게 들면서도 노브와 레버의 이탈력은 크도록 설정한 것이다. 이러한 이탈력이나 체결력은 위와 같이 스프링클립의 단면 방향뿐만 아니라, 단면의 형상을 변경시킴으로써 조절 가능하다.
본 발명의 각 구성은 그 기능이 훼손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며,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1: 노브
10: 중공부
12: 수용홈
14: 제1경사면
16: 제2경사면
18: 가이드홈
2: 레버
20: 몸체부
22: 안착홈
28: 가이드돌기
3: 스프링클립
32: 슬릿
D0: 제1경사면의 하단 직경
D1: 스프링클립 외경
D2: 노브의 중공부 내경 및 레버의 외경
D3: 스프링클립 내경
D4: 안착홈 외경
D5: 수용홈 내경
D0≥D1>D2>D3>D4
D5>D2
D1>D6>D2

Claims (5)

  1. 노브와 레버의 조립체로서,
    상기 노브는, 내부에서 하방으로 연통된 중공부; 상기 중공부의 내경(D2)보다 확장된 내경(D5)을 가지며 상기 중공부에 형성된 수용홈;을 구비하고,
    상기 레버는, 상기 중공부의 내경과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는 몸체부; 상기 수용홈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몸체부보다 작은 직경(D4)을 가지는 안착홈을 구비하며,
    상기 레버의 안착홈에는, 상기 안착홈의 직경(D4)보다 크고 상기 몸체부의 직경(D2)보다 작은 내경(D3)을 가지고, 상기 몸체부의 직경(D2)보다 큰 외경(D1)을 가지는 스프링클립이 끼워져 있어서,
    상기 레버를 노브에 끼우는 과정에서, 스프링클립이 노브의 중공부의 내경과 접촉하는 위치에서는 스프링클립의 외경이 노브의 중공부 내경만큼 축소되고, 스프링클립이 노브의 수용홈과 만나는 경우 다시 확장됨으로써, 스프링클립이 수용홈과 안착홈에 의해 생기는 공간에 배치되어 노브와 레버의 체결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브와 레버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클립에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어 직경방향으로 축소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브와 레버 조립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브의 중공부의 소정 위치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레버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가이드홈과 대응하는 형상의 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 있어서 레버에 대한 노브의 방향을 정렬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브와 레버 조립체.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의 하단에는 제1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제1경사면의 상단 직경은 중공부의 내경(D2)과 같고, 제1경사면의 하단 직경(D0)은 중공부의 내경(D2)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브와 레버 조립체.
  5.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의 하단에는 제2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제2경사면의 상단 직경(D6)은 수용홈 직경(D5)보다 작고 중공부의 내경(D2)보다 크며, 제2경사면의 하단 직경은 중공부의 내경(D2)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브와 레버 조립체.
KR1020120120251A 2012-10-29 2012-10-29 노브와 레버의 조립체 KR101806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251A KR101806573B1 (ko) 2012-10-29 2012-10-29 노브와 레버의 조립체
US13/869,354 US9169919B2 (en) 2012-10-29 2013-04-24 Assembly of knob and lever
CN201310172365.8A CN103794387B (zh) 2012-10-29 2013-05-10 按钮和杆的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251A KR101806573B1 (ko) 2012-10-29 2012-10-29 노브와 레버의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4584A true KR20140054584A (ko) 2014-05-09
KR101806573B1 KR101806573B1 (ko) 2017-12-07

Family

ID=50547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0251A KR101806573B1 (ko) 2012-10-29 2012-10-29 노브와 레버의 조립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169919B2 (ko)
KR (1) KR101806573B1 (ko)
CN (1) CN10379438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31151A (zh) * 2015-12-30 2017-07-07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换档手柄组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37469B (zh) 2016-05-27 2020-04-14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按压组件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1584B (de) * 1952-02-20 1958-06-04 Ringspann Maurer Kg A Radialspannelement
US3690728A (en) * 1970-09-08 1972-09-12 Cincinnati Mine Machinery Co Resilient retaining means for joining work tools and work tool holders
US3750489A (en) * 1972-06-07 1973-08-07 Caterpillar Tractor Co Composite drive assembly
US4006659A (en) * 1973-05-31 1977-02-08 Waldes Kohinoor, Inc. Spring-metal retaining rings
JPS5477849A (en) * 1977-12-01 1979-06-21 Taiyou Hatsujiyou Seisakushiyo C type retaining ring
US5588329A (en) * 1995-02-09 1996-12-31 Nedachi; Mitsuyuki Snap together shift knob construction
KR19980052180A (ko) 1996-12-24 1998-09-25 김영귀 변속기 레버
KR200238055Y1 (ko) 1998-12-31 2001-11-22 이계안 차량의변속레버와노브의결합구조
KR100457126B1 (ko) 2002-05-13 2004-11-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변속레버 부츠 고정 장치
KR100461820B1 (ko) 2002-09-27 2004-12-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의 변속조작기구
KR100521532B1 (ko) * 2004-04-16 2005-10-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체결 및 탈거가 용이한 손잡이 노브와 변속 레버의 체결구조
CN201317273Y (zh) * 2008-12-26 2009-09-30 张光裕 轿车变速器可调操纵杆
KR101081052B1 (ko) * 2009-12-01 2011-11-07 에스엘 주식회사 버튼식 변속노브를 구비한 변속레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31151A (zh) * 2015-12-30 2017-07-07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换档手柄组件
CN106931151B (zh) * 2015-12-30 2019-12-03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换档手柄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69919B2 (en) 2015-10-27
KR101806573B1 (ko) 2017-12-07
CN103794387A (zh) 2014-05-14
US20140119820A1 (en) 2014-05-01
CN103794387B (zh) 2018-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8946B2 (en) Tilting-pad bearing
KR101912025B1 (ko) 하단 부재의 고정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유체 제어 장치
JP6466310B2 (ja) クリップ
US7832805B1 (en) Adjusting structure for an armrest of a chair
US10279467B2 (en) Tool suspension device
KR101806573B1 (ko) 노브와 레버의 조립체
US20140082901A1 (en) Safety Hook
KR101295009B1 (ko) 차량의 제어 케이블 고정 장치
WO2014088043A1 (ja) ホールプラグ
US20150251310A1 (en) Tool suspension device
JP5781360B2 (ja)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の端末固定装置
US7614835B2 (en) Simple fastening device
JP3205717U (ja) テーブル等の継ぎ脚構造
JP2018132140A (ja) シート状部材の取付具
CN104122954A (zh) 硬盘固定装置
JP2017524107A (ja) アセンブリホルダおよびアセンブリ
KR101787534B1 (ko) 스트로크 확대형 볼 플런저
JP6899286B2 (ja) 取付け治具
JPWO2020054664A1 (ja) 電磁弁ユニット
SE538258C2 (sv) Mounting assembly for mounting devices on a surface
KR101565880B1 (ko) 하부배관용 실외기 다이
KR20150004191A (ko) 도어용 피봇
JP2015124809A (ja) 下段部材の固定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流体制御装置
KR20130001784A (ko) 변속기어 시프트 레버 케이블 고정장치
KR102397149B1 (ko) 통신장비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