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6966B1 - 부유식 탄화수소 저장 및/또는 가공 플랜트의 선체와 같이 이용하기 위한 선박 선체, 이러한 선박 선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이러한 선박 선체를 포함하는 선박, 또한 이러한 선박 선체를 가지는 이러한 선박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부유식 탄화수소 저장 및/또는 가공 플랜트의 선체와 같이 이용하기 위한 선박 선체, 이러한 선박 선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이러한 선박 선체를 포함하는 선박, 또한 이러한 선박 선체를 가지는 이러한 선박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6966B1
KR102396966B1 KR1020177014254A KR20177014254A KR102396966B1 KR 102396966 B1 KR102396966 B1 KR 102396966B1 KR 1020177014254 A KR1020177014254 A KR 1020177014254A KR 20177014254 A KR20177014254 A KR 20177014254A KR 102396966 B1 KR102396966 B1 KR 102396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bow
longitudinal
stiffeners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4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5206A (ko
Inventor
진-미셸 펠더호프
Original Assignee
싱글 뷰이 무어링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싱글 뷰이 무어링스 인크. filed Critical 싱글 뷰이 무어링스 인크.
Priority to KR1020197022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6714B1/ko
Publication of KR20170095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5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6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6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63B21/507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with mooring turr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70Reinforcements for carrying localised loads, e.g. propulsion plant, gu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8Floating hydrocarbon production vessels, e.g.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vessels [FPS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FOSO 또는 FSO의 선체로써의 이용을 위한 선박 선체(1)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선미부(2), 선수부(3) 및 중앙부(4)를 구비하는 선체를 제공하는 단계, 선체 내측에 탄화수호 저장 탱크들을 준비하는 단계, 앵커 연결 어레인지먼트(7)를 구비하는 선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탄화수소 가공 모듈들을 지지하기 위한 데크에 가공 모듈 보강재들(8)을 준비하는 단계, 선수부에 또는 근처에 계류 라인 연결 보강재들(9)을 구비하는 두 길이방향 선체면을 제공하는 단계, 라이저 발코니(28, 29)를 위해, 길이방향으로 계류 라인 연결 보강재들 사이의, 하나 또는 이상의 길이방향 선체면들 상에 라이저 연결 보강재들(10, 14)을 준비하는 단계, 및 탑 보강재들(11, 12)를 구비하는 선수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유식 탄화수소 저장 및/또는 가공 플랜트의 선체와 같이 이용하기 위한 선박 선체, 이러한 선박 선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이러한 선박 선체를 포함하는 선박, 또한 이러한 선박 선체를 가지는 이러한 선박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VESSEL HULL FOR USE AS A HULL OF A FLOATING HYDROCARBON STORAGE AND/OR PROCESSING PLANT, METHOD FOR PRODUCING SUCH A VESSEL HULL, VESSEL COMPRISING SUCH A VESSEL HULL, AS WELL METHOD FOR PRODUCING SUCH A VESSEL HAVING SUCH A VESSEL HULL}
본 발명은 부유식 탄화수소 가공 및 저장 플랜트(FPSO; floating hydrocarbon processing and storage plant) 또는 부유식 탄화수소 저장 플랜트(FSO; Floating hydrocarbon storage plant)의 선체와 같이 이용하기 위한 선박 선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 선미부(stern portion), 선수부(bow portion)과 중앙부(central portion)의 길이방향 선체 면을 포함하는 길이방향 선체 면들(gitudinal hull sides)을 구비하는, 선박 선체 선미부(vessel hull), 선수부와 선수 및 선미부들 사이의 중앙부를 제공하는 단계,
- 탄화수소 가공 모듈들(hydrocarbon processing modules)을 지지하기 위하여 적합한, 선체 상의 데크(deck)를 준비하는 단계,
- 해저-기반 원천(seabed-based wellhead)으로부터 얻어지는 탄화수소를 저장하기 위한, 선체 내부의 탄화수소 저장 탱크(hydrocarbon storage tanks)를 준비하는 단계, 및
해저로 FPSO 또는 FSO를 계류시키는데 적합한 앵커 라인들을 연결하기 위한 앵커 연결 어레인지먼트(anchoring connection arrangement)를 구비하는 선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은 예를 들어 공개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부터 알려졌다. 통상적으로, 현재 존재하는 FPSO 및 FSO는 단일 출원서를 위해, 즉 앵커 라인 및 라이저 어레인지먼트의 단일 타일을 가지기 위해 특별하게 건조되는 선체를 구비하는 선박을 포함한다. 이러한 선체는 특수-목적 '신-축'(purpose-built 'new-built') 또는 예를 들어 이전에 오일 탱커(oil tanker)와 함께 이용되었던 중고 선체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신-축 선체를 기본으로 하는 또는 중고 선체를 구비하는 선박을 기본으로 하는 FPSO 또는 FSO를 건조(constructing)하는 것은 수행되는 작업의 양 및 중고 선체의 상태를 기반으로, 바람직한 기능(functionality)과 특성(characteristics)을 구비하는 FPSO 또는 FSO를 얻기 위해 조선소에서 상대적으로 긴 건조 기간을 필요로 한다. FPSO 또는 FSO 내로 중고 선체를 변환하는 것(Converting)은 개조(conversion)와 정비(refurbishment)를 달성하도록 선체 내에서 크고 시간을-소비하는 구조적인 작업을 필요로 한다. FPSO 또는 FSO와 같은 선체의 20 내지 30년의 서비스 수명(service life)을 보증하려면 중고 선체의 존재하는 어레인지먼트들의 정비가 필요하다. 선체의 개조는 FPSO 또는 FSO와 같이 이용하기 위한 선체 준비를 이루도록 어레인지먼트를 추가한다. 선체의 개조 및 정비는 종종 병행(parallel)하여 발생하고 전체 작업에서는 종종 몇몇 건식-도킹 스탑들이 필요하여, 이는 수시로 분리될 수 있다.
FPSO 및 FSO를 위한 수요가 계속-증가하고 심지어 더 짧은 건조 및 운송 시간을 위한 압박이 높아지면서, 구매 주문과 운송 사이의 시간을 줄일 필요가 있다. 또한 선체가 건식-도크 내에 머무는 시간은 줄어들 것이고, 위의 건식 도크에서의 시간은 상대적으로 오래걸리며 신축 선체를 건조하기 위한 또는 개조와 정비를 수행하기 위한 슬롯(slot)은 사전에 예약 하여야 한다.
시도(Attempts)는 건식 도크에서 건조를 위해 요구되는 시간이 줄어들 수 있는 일반 신-축 선체(generic, new-built hull)를 설계와 건조하는 것으로 본 출원인에 의해 이루어 졌다. 이러한 일반적인 선체는 텍사스(미국), 휴스톤의 2003 Offshore Technology Conference에서 공개되었으며, 특히 위의 컨퍼런스에서 발표를 위해 제안된 논문(paper)에서, 본 출원인에 의해(다른 것들 중 하나) 준비되었다. 당시, 이러한 일반 선체의 숨겨진(behind) 개념은 일반 선체가, 표준 가공 모듈(standard process modules)이 제공되고 표준 계류 시스템(standard mooring system)을 가지는, 표준 탱커개조를 기반으로 건조되는 것이다.
그러나, 약 10년이 지나고 위에서 언급된 논문에서 및 컨퍼런스 동안 공개된 일반 선체는 불행히도, 구매 주문과 운송 사이의 시간을 줄이는 것을, 매우 조금 완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구매 주문 및 운송 사이의 시간이 줄어드는, 부유식 탄화수소 저장 및/또는 가공 플랜트(FSO, FPSO)의 선체로써의 이용을 위한 선박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필요성은 여전히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유식 탄화수소 저장 및 또는 처리 플랜트(FSO, FPSO)의 선체로써 이용하기 위한 선박의 선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여기서 구매 주문 및 운송 사이의 시간은 줄어든다.
이에 관해, 본 발명에 따르면, 제공되는 부유식 탄화수소 저장 및/또는 처리 플랜트를 위한 선체로써 이용하기 위한 선박 선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은,
- 선박 선체 선미부, 선수부 및 선수 및 선미부들의 사이에 있는 중앙부를 제공하는 단계, 선박 선체에는 선미부, 선수부 및 중앙부의 길이방향 선체면들을 포함하는 길이방향 선체 면들이 제공되며,
- 탄화수소 가공 모듈을 지지하기에 적합한 선체 상의 데크를 준비하는 단계,
- 해저-기반 원천으로부터 얻어지는 탄화수소를 저장하기 위해, 선체 내측에 탄화수소 저장 탱크를 준비하는 단계,
- 탄화수소 가공 모듈들을 지지하기에 적합한, 데크에서 가공 모듈 보강제(reinforcements)를 준비하는 단계와 적어도 다음의 단계들 중 두 개를 특징으로 하는,
- 해저에 선박 선체를 계류시키기 위해 적합한 앵커 라인들과의 연결을 위한 앵커 연결 어레인지먼트를 구비하는 선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 탄화수소 가공 모듈들을 지지하기에 적합한, 데크에 가공 모듈 보강재들을 준비하는 단계와
다음의
- 펼쳐서-계류되는 앵커 라인 어레인지먼트에서 이용되도록 계류 라인들을 연결하기 위한 선수부와 선미부에서 또는 근처에 계류 라인 연결 보강재들을 구비하는 두 길이방향 선체면들을 제공하고 라이저들을 연결하기 위한 라이저 발코니를 지지하기에 적합할 수 있는 하나 또는 두 길이방향 선체면들 상에 라이저 발코니 연결 보강재들, 길이방향으로 계류 라인 연결 보강재들 사이에 배열하는 단계.
- 내부 탑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탑 보강재들을 구비하는 선수부를 제공하는 단계,
- 외부 탑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탑 보강재들을 구비하는 선수부를 제공하는 단계, 탑에는 앵커 라인 연결 지점들과 라이저 연결 지점들이 제공됨
중 적어도 두 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특히 라이저 연결 포인트들(riser connection points)과 앵커 라인 연결 포인트들(anchor line connection points; 즉 계류 시스템)에 관한, 다른 FSO 또는 FPSO 장비가 설치되어 있는 이러한 선체의 위치들에서, 미리-설치된 보강재들을 가지는,'하나의 디자인에, 하나의 건축'철학을 기반으로, '다-목적 선체'의 종류는 제공된다. 보강재들은 건식 도크에서 선체에 통합되어야 하며 그 후에 위에서 언급된 보강재들을 가지는 선체는 바람직한 계류 및 라이저 시스템 어레인지먼트를 가지는 FPSO 또는 FSO 내로 실제 개조를 위한 FPSO 또는 FSO를 수용할 수 있는 부두 측(quay side)으로 수송된다. 개조는 로컬 장비(local equipment)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특정 시나리오(scenario)에서, 건식 도크는 예를 들어, 한국에 위치할 수 있고, 이에 반하여 FPSO를 위한 상단 측 통합(top sides integration)을 위한 부두 측은 브라질에 위치된다. 만일, 예를 들어 외부 탑 시스템(external turret system)을 가지는 FPSO가 FPSO 부두 측에서 건조되어야 하면, '비-이용된' 보강재들(즉, 펼쳐서-계류되는 어레인지먼트(spread-moored arrangement) 및/또는 내부 탑 어레인지먼트와 이용하기 위해 명확하게 배열되는 것들)은 제자리에 남아 있지만, 그 후 선박 선체를 위한 일반적 구조적인 보장재들로만 제공되지만 계류 어레인지먼트를 위한 것은 아니다.
존재하는 중고 오일 탱크의 선체를 개조하고 정비하는 대표적인 방법(classic method)에 비해, FSO 또는 FPSO로 개조를 위하여 필요한 전체 시간이 대략 6-12 개월로 줄어들 수 있는 것은 발견되었다.
선체 디자인의 크기 및 유연성(flexibility)은 다양한 형상들, 즉 선체 내부에서 작업할 필요가 없이, 라이저 타입 또는 저장 요건, 어떠한 타입의 환경, 수심에서도 호환(compatible)될 수 있는 형상으로, 계류되는 FSO 또는 FPSO일 수 있다.
이러한 특허 출원서의 맥락에서, '보강재들'은 각 선체 위치에서 추가적으로 구조적인 강도/강성(strength/stiffness)을 제공하기 위한 구조적인 보강재들과 같이 이해되어야 하며, 라이저 시스템, 계류 시스템, 가공 모듈들, 크레인 지지대, 플러어 스탁(flare stack) 등 때문에 해당 선체 위치에서 발생하는 상대적으로 더 큰 힘을 다룰 수 있는 선체를 허용한다.
부유식 탄화수소 저장 및/또는 가공 플랜트의 선체로써 이용하기 위한 선박 선체에 관련된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
- 선미부, 선수부 및 선수 및 선미부들 사이의 중앙부, 선박 선체에는 선미부, 선수부 및 중앙부의 길이방향 선체면을 포함하는 길이방향 선체면이 제공됨,
- 탄화수소 가공 모듈들을 지지하기에 적합한, 선체 상에 배열되는, 데크,
해저-기반 원천으로부터 얻어지는 탄화수소들을 저장시키기 위해 선체 내측에 배열되는, 탄화수소 저장 탱크,
- 해저에 선박 선체를 계류시키기에 적합한 앵커 라인들과 연결을 위한 앵커 연결 어레인지먼트,
를 포함하고,
- 데크는 탄화수소 가공 모듈들을 지지하기에 적합한 가공 모듈 보강재들을 포함하고
다음의 :
- 두 길이방향 선체면들은 펼쳐서-계류되는 앵커 라인 어레인지먼트와 이용되도록 계류 라인들을 연결하기 위해 선수부와 선미부에 또는 근처에 계류 라인 연결 보강재들을 포함하고 하나 또는 두 길이방향 선체면들은 라이저들을 연결하기 위한 라이저 발코니를 지지하기에 적합한, 길이방향으로 계류 라인 연결 보강재들 사이에 준비되는 라이저 발코니 연결 보강재들을 포함하며,
- 선수부는 내부 탑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탑 보강재를 포함하고,
- 선수부는 외부 탑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탑 보강재를 포함하며, 탑에는 앵커 라인 연결 지점들 및 라이저 연결 지점들이 제공됨
중 적어도 둘 이상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는 앞에서 언급된 선박 선체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선박 선체는 앞에서 언급된 방법으로 제작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에서, 선체에는, 선체에 외부 어레인지먼트를 위한 보강재들을, 내부 탑 어레인지먼트를 위한 보강재들, 펼침 계류 어레인지먼트를 위한 보강재들이 제공되는 것을 의미하는 모든 3 요소들(all 3 elements)이 제공된다.
그러나, 선체의 다음 실시예들은 청구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으며; 선체에는 펼쳐서-계류하는 어레인지먼트와 외부 탑 어레인지먼트를 위한 보강재들만이 제공되고, 선체에는 펼침 계류 어레인지먼트와 내부 탑 어레인지먼트를 위한 보강재들만이 제공되며 또는 선체에는 내부 및 외부 탑 어레인지먼트 둘 모두를 위한 보강재들만이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는 위에서 언급된 선박 선체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가로 격벽(transverse bulkhead)은 선수부와 중앙부 사이에 배열되고, 중앙부는 선미부로부터 가로 간격(D1)만큼 이격되는, 가로 격벽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두 길이방향 중앙부 격벽을 포함하며, 선수부는 가로 격벽으로부터 가로 간격(D2)에서 내부 탑 위치만큼 이격되는, 선수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두 길이방향 선수부 격벽들을 포함하고, 여기서, 평면 시점에서 보았을 때, D2는 두 길이방향 선수부 격벽들 사이의 내부 탑 위치에 배열되는 내부 탑의 최대 외경(outer diameter)보다 크다. 따라서, 위의 길이방향 격벽들을 건조할 시, 선수부 내의 길이방향 격벽들 사이에 있는 내부 탑의 가능한 어레인지먼트는 신축 선체의 건조 동안 미리 고려된다. 동시에, 일반적인 길이방향 격벽 생산 가공으로부터 오직 최소의 편차(minimal deviation)만이 필요하다.
바람직하게, D2는, 평면 시점에서 볼 때(즉, 위로부터 그것의 일반적인 방향으로 선체를 볼 때), 기본적으로 길이방향 격벽들에 음차의 외관을 주게, D1보다 크다.
더욱 바람직하게, 두 길이방향 중앙부 격벽들과 두 길이방향 선수부는 격벽들은 선미부로부터 선수로 연장하는 두 개의 연속적인 길이방향 격벽에 의해 포함되고, 즉 길이방향 격벽들은 가로 격벽에 의해 실제로 가로막히거나 가로질러지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는 위에서 언급된 선박선체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선수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수직 대칭면(vertical plane of symmetry)을 포함하고, 여기서, 평면 시점에서 볼 때, 길이방향 선수부 격벽들은 수직 대칭면의 일 측면 상에 각각 배열되며, 여기서 길이방향 선수부 격벽들은, 각 길이방향 선수부 격벽의 제1 구역이 수직 대칭면으로부터 멀어지게 분리하고 제2 연속 구역이 내부 탑 위체어서 내부탑 위치를 위한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수직 대칭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이러한 방법으로 가로 격벽으로부터 선수로 연장한다. (직선형) 분리 구역들(diverging sections)은 내부 탑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을 생성하기 위해 미리 언급된 음차형(tuning fork shape)을 쉽게 얻는다. 실제로, 선박의 길이를 따라서 선미에서 선수로 연속하는 단지 두 개의 길이방향 격벽들을 가지는 것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최소한의 시간의 양은 선수부에서 이러한 길이방향 격벽 구성을 얻는데 보낸다.
일 실시예는 앞에서 언급된 선박 선체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제 3 연속 구역(third consecutive section)은 수직 대칭면을 향해서 집중된(converges)다. 그 안에서, 길이방향 선수부 격벽들의 제1, 제2 및 제3 구역은, 평면 시점에서 볼 때, 길이방향 선수부 격벽들이 수용 공간(reception space)으로 수용할 수 있는 내부 탑의 중심지점(centre point)과 일치하는 곡률 중심(centre of curvature)을 가지는 원호와 유사하게, 바람직하게 수직 대칭면에 대하여 이러한 각도들(such angles)로 연장하고, 이러한 치수(such dimensions)를 가진다.
또 다른 실시예는, 하나 또는 이상의 제거 가능한 추진 유닛들(propulsion units)을 포함하는, 앞서 언급된 선박 선체에 관한 것이다. 각각의 추진 유닛은 제거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전력) 생성 유닛과 연결되고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선박 선체는 제거 가능한 추진 유닛들에 의해 제공되는 추진부를 이용함으로써, 제1 위치(특히, 건식 도크)에서부터 제2 위치(가장 주목할만한 것은 FPSO 또는 FSO의 부두 측)로 운반될 수 있다. 선택적인 작업이 부두측에서 수행된 후에(선택된 계류 시스템과 라이저 연결 지점들의 통합, 즉 (상부 및 하부) 라이저 발코니의 쿠가, 내부 또는 외부 탑의 통합, 가공 모듈들의 추가, 플레어 스택, 크레인 추가 등) 완성된 FSO 또는 FPSO는 라이저들과 계류 라인들이 각각의 라이저 및 계류 라인들 연결 지점들로 연결되는 연안 생산 위치에 그것의 추진 시스템으로 운반될 수 있다. 라이저와 계류 라인의 연결(hook-up) 및 수송(transportation) 후에, 임시적이고 제거 가능한 추진 유닛들 및 결합된 생성기들은 선체로부터 연결해제 되고 제거되어서 그것들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FPSO 또는 FSO 선체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선박 선체 내에 설치하는 영구 추진부는 더 이상 필요치 않고, 이는 FPSO 또는 FSO의 초기 CAPEX(설비 투자, 시설 투자 등) 비용을 줄일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데크는 하나 이상의 페데스트리얼 크레인들(pedestrial cranes)을 지지하기 위한 보강재들 및 플레어 스택을 지지하기에 적합한 보강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아래의 단계를 포함하는 위에서 언급된 선박의 선체를 이용하는 부유식 탄화수소 저장 및/또는 가공 플랜트와 같이 이용하기 위한 선박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
방법은,
- 가공 모듈 보강재들의 위치에서, 데크 상에 탄화수소 가공 모듈을 준비하는 단계,
- 펼쳐서 계류되는 어레인지먼트, 내부 탑 어레인지먼트 또는 외부 탑 어레인지먼트와 같은, 바람직한 라이저 및 앵커 라인 어레인지먼트를 선택하는 단계, 및
- 특히 앵커 라인 연결 지점들 및 라이저 연결 지점들을 구성함으로써, 바람직한 앵커 라인 및 라이저 어레인지먼트와 이용하기 위한 선박의 선체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최종 또는 최종에 가까운 FPSO 또는 FSO를 얻기 위한, 건식 도크에서 떨어진, 제2 위치에서 쉽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 해저-기반 원천 근처의 위치로 부유식 저장 및 가공 플랜트로써 이용하기 위한 선박을 이동시키는 단계,
앵커 라인 연결 지점들로 앵커 라인들을 및 라이저 연결 지점들로 라이저들을 연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위에서 언급된 선박 선체는 제 1위치 에서 생산될 수 있고, 선박 선체를 이용하는 부유식 탄화수소 저장 및/또는 가공 플랜트(FPSO, FSO)와 같이 이용하기 위한 선박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은, 제1 위치와는 다른, 제2 위치에서 수행되며,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선체를 수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선체를 이송하기 전에, 제거 가능한 추진 유닛들은 선박 선체에 연결되고 일체가 되며, 여기서 선박 선체는 제거 가능한 추진 유닛들에 의해 제공되는 추진부를 이용함으로써 제1로부터 제2 위치로 이송되고, 여기서, 이송 후에 제거 가능한 추진 유닛들은 선체로부터 연결 해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위치는 건식 도크를 포함하고 제2 위치는 선박 선체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부두 측, 특히 FSO 또는 FPSO 부두 측이어서, 전체 FSO 또는 FPSO 건조 및 가공 통합 시간 중 상대적으로 적은 부분은 오직 건식 도크에서 보내야 한다.
특허 공개번호 US 2011/263169 A1, US 2003/205188 A1, US 6 126 501 A, US 2009/126617 A1, US 6 453 838 A1 및 US 2009/078185 A1은 추가적인 기술적 배경기술을 개시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음.
비-한정된 예시의 방법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선체의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다.
도 1은 미리-설치된 보강제들을 가지는 선박 선체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선박 선체의 선수부의 확대도이다.
도 3은, 펼쳐서-계류되는 어레인지먼트와 이용되는 앵커 라인 어레인지 먼크가 발견되는 곳인 전형적인 길이방향 선박 선체 위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선체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라이저 발코니들이 발견되는 곳인 종래의 길이방향 선박 선체 위치에서, 도 3에 따른 실시예의 부분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따른 선박 선체의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1-도 5는 함께 논의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미리-설치된 보강재들을 가지는 부유식 탄화수소 처리 및 저장 플랜트(FPSO)의 선체(1)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선체(1)는 선미부(2; 도 1의 하부 오른쪽 부분에서 도시되는), 선수부(3; 도 1의 상부 왼쪽부분에서 도시되는), 및 선수(2) 및 선미부(2)들 사이에 있는 중앙부(4)와 선미부(2), 선수부(3) 및 중앙부(4)의 길이방향 선체면을 포함하는 길이방향 선체면(5)을 가진다. 데크(6)는 FSO를 위한 활주로(skids)를 계측하거나 FPSO를 위해 이용되는 n 가공 모듈들(미도시된) 같은 탄화수소 가공 모듈들을 지지하기 위한 선체(1)상에 준비된다. 또한, 탄화수소 저장 탱크들(미 도시된)은 FSO의 경우에 다른 탄화수소 생산 선박을 통해 간접적으로 또는 해저-기반 원천(FPSO)로부터 직접적으로 얻어지는 탄화수소를 저장하기 위해, 선체(1) 내측에 준비된다. 앵커 연결 어레인지먼트(7; 도 3 및 도 5에서 도시된)는 해저에 FPSO 또는 FSO를 계류시키기에 적합한 앵커 라인들과 연결을 위한 이용 동안 제공될 것이다. 도 1내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 선체(1)의 방침(orientation)는 이용 시 이러한 선박 선체(1)의 통상적인 방침에 상응한다. 선박 선체(1)의 폭(Y-방향에서)은 예를 들어 60m 일수 있다. X 방향 길이방향으로 선박 길이는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350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데크(6)는 이용 시 탄화수소 가공 및 다른 모듈들을 지지하기 위한 가공 모듈 보강재(8)를 포함한다. 이러한 가공 모듈 보강재(8)의 예시는 선체(1)의 선수부(3) 가까이에서 보여진다. 지지 가공 모듈들과는 별도로, 유사한 보강재들은 데크(6)에 제공되고, 특히 플레어(flare), 크레인(도 2 및 도 5에서 도시된 크레인 받침대(25)) 또는 벤트 마스트(vent masts)를 위한 보강재이다. 지지 가공 모듈들과 별도로, 유사한 보강재들은, 특히 플레어, 크레인들(도 2 및 도 5에서 도시되는 크레인 받침대와 같은) 또는 벤트 마스트를 위한 보강재들은 데크(6)에 제공될 수 있다.
두 길이방향 선체면들(5)은 퍼져서-계류되는 앵커 라인 어레인지먼트(13)로 이용되도록 계류 라인들을 연결하기 위한 선수부(3) 내 또는 근처에 계류 라인 연결 보강재들(mooring line connection reinforcements; 9)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계류 하인 연결 보강재들(9) 중 둘은 선수부(3) 내 또는 근처에서 선박 선체(1)의 양 측면들에 준비된다. 유사하게, 이러한 계류 라인 연결 보강재들(9) 중 둘은 선박 선체(1)의 선미부(2)에서 유사한 방식으로 준비된다. 데크(6)의 레벨(level)에서, 계류 라인 보강재(9) 위에, 체인 인장 시스템 보강재들(chain tensioning system reinforcements; 26; 도 2에서 도시된)가 퍼져서-계류되는 앵커 라인 어레인지먼트(13)의 경우에 체인들을 인장시키기 위해 이용되도록 체인 인장 시스템들(27)을 위해 지지를 제공하도록 바람직하게 제공된다.
또한, 하나 이상의 길이방향 선체면들(5)은 길이 방향(X)에서 계류 라인 연결 보강제들(9) 사이에 준비되는 상부 라이저 연결 보강재들(14) 및 하부 라이저 연결 보강재들(10)을 포함할 수 있다. 라이저 연결 보강재들(10, 14)은 라이저들(31; 도 4에 도시된)을 연결하기 위한 하부 및 상부 발코니들(balconies; 28, 29; 도 4 및 도 5에서 도시된)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라이저 연결 보강재들(10, 14)는 바람직하게 각각의 라이저 발코니들(28, 29)의 길이에 개략적으로 상응하는 길이방향(X)에서의 길이를 가진다.
바람직하게, 선박 선체(1)는 선박의 두 길이방향면들(5)에 밸러스트 탱크들(ballast tanks; 32)을 포함한다(도 3, 4 및 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더 바람직하게, 밸러스트 탱크들(32)은 계류 라인 연결 보강재들(9), 하부 라이저 연결 보강재들(10), 상부 라이저 연결 보강재들(14) 및/또는 체인 인장 시스템 보강재들(26)을 포함하고, 즉 이러한 보강재들(9, 10, 14, 16)은 그 후 밸러스트 탱크들(32)의 속이 빈 공간에 준비된다. 보강재들(9, 10, 14, 26)은 예를 들어, 밸러스트 탱크(32)의 속이 빈 공간의 단면의 전체에 걸쳐, 길이방향(X)에 수직하는 평면에서 연장하는 보강 판들(reinforcement plates)을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는 앵커 연결 어레인지먼트들(7), 체인 인장 시스템들(27) 및 하부 상부 라이저 발코니들(28, 29)가 또한 각각의 밸러스트 탱크들(32) 상에 배열 또는 연결되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수부(3)는 내부 또는 외부 탑(미 도시된) 둘 모두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탑 보강재들(11) 및 외부 탑 보강재들(12) 둘 모두를 포함한다. 그 후 탑들에는 앵커 라인 연결 지점들 및 라이저 연결 지점들이 제공된다.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체는, 내부 탑 계류 어레인지먼트를 위한 보강재들과 결합되는 펼침 계류 어레인지먼트를 위한 보강재들, 또는 외부 탑 계류 어레인지먼트를 위해 보강재들과 결합되는 내부 탑 계류 어레인지먼트를 위한 보강재 또는 외부 탑 계류 어레인지먼트를 위한 보강재와 결합되는 펼텨서 계류하는 어레인지먼트와 같은, 3가지 타입의 계류 어레인지먼트(펼침 계류, 내부 탑 및 외부 탑 계류 어레인지먼트를 위한 보강재들) 모두를 위한 또는 단지 3가지 계류 어레인지먼트들 중 2개를 위한 보강재들을 가질 수 있다.
도 5의 오른쪽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즉, Y 방향으로 연장하는) 격벽(15)은 선수부(3)와 중앙부(4) 사이에 배열된다. 중앙부(4)는 가로 간격 D1으로 이격되는, 가로 격벽(15)에 선미부(2)로부터 길이방향(X)으로 연장하는 두 개의 길이방향 중앙부 격벽들(16)을 포함한다. 선수부(3)는 가로 간격 D2로 내부 탑 위치(ITP)에서 이격된, 선수(19)에 가로 격벽(15)으로부터 길이방향(X)으로 연장하는 두 개의 길이방향 선수부 격벽들(17)을 포함하고, 여기서, 평면 시점에서 볼 때, D2는 두 길이방향 선수부 격벽들(17) 사이에 있는 내부 탑 위치(ITP)에 배열되도록 내부 탑의 최대 외경(outer diameter)보다 크다.
두 길이방향 중앙부 격벽들(16)과 두 길이방향 선수부 격벽들은 선수(19)에 선미부로부터 연장하는 두 연속 길이방향 격벽들(18)에 의해 구성되고, 즉, 이러한 길이방향 격벽들(18)은 각각 단일, 일체형 요소들로써 형성된다.
선박 선체(1) 및 특히 선수부(3)는 길이방(X)로 연장하는 수직 대칭면(P)을 포함한다. 평면 시점에서 볼 때, 길이방향 선수부 격벽들(17)은 수직 대칭면(P)의 일 측 상에 각각 배열된다. 길이방향 선수부 격벽들(17)은, 각 길이방향 선수부 격벽의 제1 구역(20)이 수직 대칭면(P)으로부터 멀어지게 분리하는(diverges away from), 이러한 방법으로 가로 격벽(15)으로부터 선수(19)로 연장한다. 제2 연속 구역(21)은 수직 대칭면(P)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한다. 따라서, 내부 탑을 위한 수용 공간(reception space; 23)은 내부 탑 위치(ITP)에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제3 연속 구역(22)은 수직 대칭면(P) 방향으로 집중된다. 길이방향 선수부 격벽들(17)의 제1(20), 제2(21), 제3(22) 구역들은, 평면에서 볼 때, 길이방향 선수부 격벽들(17)이 수용 공간(23)에 수용 가능한 내부 탑의 중심 지점(30)과 일치하는 곡률 중심을 가지는 원호와 각각 거의 유사한, 이러한 치수들을 가지고, 수직 대칭면(P)에 대해 이러한 각도로 연장한다. 평면에서 볼 때,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각도들은 예를 들어 30-60°, 바람직하게 약 45°의 수직 대칭면(P)에 대한 둘러싸인 각도(enclosed angles)에 관한 것일 수 있다.
특히 구성에서 선박 선체(1)는, FPSO 또는 FSO가 계류 라인들에 연결되고 설치될 곳인 해양 생산면(offshore production side)으로 FPSO/FSO 부두면으로부터 및 또는 FPSO/FSO 부두면으로 건식 도크로부터 수송이 용이한, 하나 이상의 제거 가능한 추진 유닛들(24), 예를 들어 방위각 쓰러스터(azimuth thrusters or the lik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제거 가능한 디젤-전기 또는 가스-동력식 추진 유닛들은 제거 가능한 추딘 유닛들과 결합되는 전력 생성기들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된 실시예들을 참조로 하여 기술되었다.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암 없이 당업자들에서 잘 알려진 다양한 변경이나 대안을 허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비록 특정 실시예들이 개시되엇지만, 이는 단지 예시들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1 : 선박 선체
2 : 선박 선체 선미부
3 : 선박 선체 선수부
4 : 선박 선체 중앙부
5 : 길이방향 선체면
6 : 데크
7 : 앵커 연결 어레인지먼트
8 : 가공 모듈 보강재
9 : 계류 라인 연결 보강재
10 : 하부 라이저 연결 보강재
11 : 내부 탑 보강재
12 : 외부 탑 보강재
13 : 펼쳐서-계류되는 앵커 라인 어레인지먼트
14 : 상부 라이저 연결 보강재
15 : 가로 격벽
16 : 길이방향 중앙부 격벽
17 : 길이방향 선수부 격벽
18 : 연속 길이방향 격벽
19 : 선수
20 : 제1 구역
21 : 제2 구역
22 : 제3 구역
23 : 수용 공간
24 : 제거 가능한 추진 유닛
25 : 크레인 받침대
26 : 체인 인장 시스템 보강재
27 : 체인 인장 시스템
28 : 하부 라이저 발코니
29 : 상부 라이저 발코니
30 : 내부 탑 중심 지점
31 : 라이저
32 : 밸러스트 탱크
X : 길이방향
Y : 가로 방향
ITP : 내부 탑 위치
P : 수직 대칭면

Claims (18)

  1. - 선박선체 선미부(2), 선수부(3) 및 상기 선수와 선미부들 사이에 있는 중앙부(4)를 제작하는 단계, 선박 선체(1)에는 상기 선미부, 상기 선수부 및 상기 중앙부의 길이방향 선체면들을 포함하는 상기 길이방향 선체면들(5)이 제공됨,
    - 탄화수소 가공 모듈들을 지지하기에 적합한 상기 선체 상에 데크(6)를 준비하는 단계,
    - 해저-기반 원천으로부터 얻어지는 탄화수소들을 저장하기 위해, 상기 선체 내측에 탄화수소 저장 탱크들을 준비하는 단계,
    - 해저로 상기 선박 선체를 계류시키기에 적합한 앵커 라인들과의 연결을 위한 앵커링 연결 어레인지먼트(7)를 구비하는 상기 선체를 제공하는 단계,
    - 탄화수소 가공 모듈들을 지지하기 적합한, 데크에 가공 모듈 보강재들(8)을 준비하는 단계 및
    다음의 :
    - 펼쳐서-계류되는 앵커 라인 어레인지먼트(13)에서 이용되도록 계류 라인들을 연결하기 위한 선수부와 선미부에서 또는 근처에 계류 라인 연결 보강재들(9)을 구비하는 두 길이방향 선체면들(5)을 제공하고, 라이저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라이저 발코니(28, 29)를 지지하기에 적합한 하나 또는 두 길이방향 선체면들(5)에 라이저 발코니 연결 보강재들(10, 14), 길이방향으로 상기 계류 라인 연결 보강재들 사이에 준비하는 단계,
    - 내부 탑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탑 보강재들(11)을 구비하는 상기 선수부를 제공하는 단계,
    - 외부 탑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탑 보강재들(12)을 구비하는 상기 선수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외부 탑에는 앵커 라인 연결 지점들과 라이저 연결 지점들이 제공됨,
    중 적어도 두 개의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탄화수소 저장 및/또는 가공 플랜트를 위한 선체로써 이용하기 위한 선박 선체(1)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2. - 선미부(2), 선수부(3) 및 상기 선수 및 선미부들 사이에 있는 중앙부(4),
    - 탄화수소 가공 모듈들을 지지하기에 적합한, 선체 상에 준비되는, 데크(6),
    - 해저-기반 원천들로부터 얻어지는 탄화수소를 저장하기 위한, 상기 선체 내측에 준비되는, 탄화수소 저장 탱크들,
    - 해저에 선박 선체를 계류시키기에 적합한 앵커 라인들과 연결을 위한 앵커 연결 어레인지먼트(7)
    를 포함하고,
    - 상기 데크는 탄화 수소 가공 모듈들을 지지하기에 적합한 가공 모듈 보강재들(8)을 포함하고,
    다음의 :
    - 두 길이방향 선체면들(5)은 펼쳐서-계류되는 앵커라인 어레인지먼트(13)와 이용되는 계류 라인을 연결하기 위해 상기 선수부 및 상기 선미부에 또는 근처에 계류 라인 연결 보강재들(9)을 포함하고 하나 또는 두 길이방향 선체면들(5)은 라이저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라이저 발코니를 지지하기에 적합한, 길이방향으로 상기 계류 라인 연결 보강재들 사이에 준비되는 라이저 발코니 연결 보강재들(10, 14)를 포함하거나,
    - 상기 선수부는 내부 탑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탑 보강재(11)를 포함하거나,
    - 상기 선수부는 외부 탑을 수용하기에 접합한 탑 보강재(12)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탑에는 앵커 라인 연결 지점들과 라이저 연결 지점들이 제공되는 것,
    중 적어도 두 가지를 특징으로 하는,
    선박 선체(1)에는 상기 선미부, 상기 선수부 및 상기 중앙부의 길이방향 선체면들을 포함하는 길이방향 선체면들(5)이 제공되는, 부유식 탄화수소 저장 및/또는 가공 플랜트를 위한 선체로써 이용을 위한 선박 선체(1).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 선체는 제 1항에 따른 방법으로 제작되는, 선박 선체(1).
  4. 제 2항에 있어서,
    가로 격벽(15)은 상기 선수부 및 상기 중앙부 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중앙부는 가로 간격 D1으로 이격되는, 상기 가로 격벽으로 상기 선수부로부터 길이방향(X)으로 연장하는 두 개의 길이 방향 중앙부 격벽들(16)를 포함하며, 상기 선수부는 상기 가로 격벽(15)으로부터 상기 선박 선체(1)의 선수(19)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두 개의 길이방향 선수부 격벽들(17)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길이방향 선수부 격벽들은 가로 간격 D2로 내부 탑 위치에서 이격되고, 평면 시점에서 볼 때, D2는 D1보다 큰, 선박 선체(1).
  5. 제 4항에 있어서,
    D2는 상기 탑 보강재들(11,12)의 가로 직경보다 크거나 같은, 선박 선체(1).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두 길이방향 중앙부 격벽들 및 두 길이방향 선수부 격벽들은 상기 선수(19)로 상기 선미부로부터 연장하는 두 연속 길이방향 격벽들(18)로 구성되는 선박 선체(1).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선수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수직 대칭면(P)을 포함하고, 평면 시점에서 볼 때, 상기 길이방향 선수부 격벽들은 수직 대칭면의 일 측 상에 각각 배열되며, 상기 길이방향 선수부 격벽들은 각각의 길이방향 선수부 격벽의 제1 구역(20)이 상기 수직 대칭면에서 분리하고 제2 연속 구역(21)이 상기 내부 탑 위치에서 상기 내부 탑을 위한 수용 공간(23)을 형성하는 상기 수직 대칭면에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하는,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가로 격벽으로부터 상기 선박의 상기 선수(19)로 연장하는, 선박 선체(1).
  8. 제 7항에 있어서,
    제3 연속 구역(22)은 상기 수직 대칭면 방향으로 집중되는, 선박 선체(1).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선수부 격벽들의 상기 제1, 제2 및 제3 구역들은, 평면 시점에서 볼 때, 상기 길이방향 선수부 격벽들이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할 수 있는 상기 내부 탑의 중심 지점과 일치하는 곡률 중심을 가지는 원호와 각각 유사한 이러한 치수들을 가지고, 상기 수직 대칭면에 대하여 이러한 각도들로 연장하는, 선박 선체(1).
  10. 제 2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이상의 제거 가능한 추진 유닛들(24)을 포함하는, 선박 선체(1).
  11. 제 10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이상의 제거 가능한 추진 유닛들(24)과 결합되는 하나 또는 이상의 제거 가능한 생성 유닛들을 포함하는, 선박 선체(1).
  1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는 하나 또는 이상의 크레인 받침대를 지지하기 위한 보강재들 및 플레어 스탁을 지지하기에 적합한 보강재를 포함하는, 선박 선체.
  13. - 가공 모듈 보강재들(8)의 위치에, 데크(6) 상에 탄화수소 가공 모듈들을 준비하는 단계,
    - 펼쳐서 계류되는 어레인지먼트, 내부 탑 어레인지먼트 또는 외부 탑 어레인지먼트로부터 바람직한 라이저 및 앵커 라인 어레인지먼트를 선택하는 단계,
    - 앵커 라인 연결 지점들 및 라이너 연결 지점들을 구성함으로써, 바람직한 앵커 라인 및 라이저 어레인지먼트와 이용을 위해 상기 선박 선체를 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 2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선박 선체(1)를 이용하는 부유식 탄화수소 저장 및/또는 가공 플랜트로써 이용하기 위한 선박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 해저-기반 원천 주위 위치에 부유식 탄화수소 저장 및/또는 가공 플랜트로써 이용을 위한 선박을 이동시키는 단계,
    - 상기 라이저 연결 지점들로 상기 라이저들을 및 상기 앵커 라인 연결 지점들로 상기 앵커 라인들을 연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제 2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선박 선체(1)는 제1 위치에서 제작되고, 상기 선박 선체를 이용하는 부유식 탄화수소 저장 및/또는 가공 플랜트로써의 이용을 위한 상기 선체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상기 선체(1)를 운반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제1 위치와는 다른, 제2 위치에서 수행되는,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 선체(1)는 하나 또는 이상의 제거 가능한 추진 유닛들(24)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상기 선체를 운반하기 이전에, 상기 제거 가능한 추진 유닛(24)은 상기 선박 선체(1)에 연결되고, 상기 선박 선체는 상기 제거 가능한 추진 유닛들에 의해 제공되는 추진력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제1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운반되며, 운반 후에 상기 제거 가능한 추진 유닛들은 상기 선체(1)로부터 연결 해제되고 제거되는,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 선체(1)는 하나 또는 이상의 제거 가능한 추진 유닛들(24) 및 하나 또는 이상의 제거 가능한 추진 유닛들(24)과 결합되는 하나 또는 이상의 제거 가능한 생성 유닛들을 포함하고, 수송 후 상기 제거 가능한 생성 유닛들은 상기 선체(1)로부터 연결 해제되고 제거되는, 방법.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는 건식 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선박 선체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부두 측인, 방법.


KR1020177014254A 2014-10-28 2015-08-11 부유식 탄화수소 저장 및/또는 가공 플랜트의 선체와 같이 이용하기 위한 선박 선체, 이러한 선박 선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이러한 선박 선체를 포함하는 선박, 또한 이러한 선박 선체를 가지는 이러한 선박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102396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7022920A KR102436714B1 (ko) 2014-10-28 2015-08-11 부유식 탄화수소 저장 및/또는 가공 플랜트의 선체와 같이 이용하기 위한 선박 선체, 이러한 선박 선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이러한 선박 선체를 포함하는 선박, 또한 이러한 선박 선체를 가지는 이러한 선박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190676.8 2014-10-28
EP14190676 2014-10-28
PCT/EP2015/068429 WO2016066295A1 (en) 2014-10-28 2015-08-11 Vessel hull for use as a hull of a floating hydrocarbon storage and/or processing plant, method for producing such a vessel hull, vessel comprising such a vessel hull, as well method for producing such a vessel having such a vessel hull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2920A Division KR102436714B1 (ko) 2014-10-28 2015-08-11 부유식 탄화수소 저장 및/또는 가공 플랜트의 선체와 같이 이용하기 위한 선박 선체, 이러한 선박 선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이러한 선박 선체를 포함하는 선박, 또한 이러한 선박 선체를 가지는 이러한 선박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5206A KR20170095206A (ko) 2017-08-22
KR102396966B1 true KR102396966B1 (ko) 2022-05-13

Family

ID=5179901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4254A KR102396966B1 (ko) 2014-10-28 2015-08-11 부유식 탄화수소 저장 및/또는 가공 플랜트의 선체와 같이 이용하기 위한 선박 선체, 이러한 선박 선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이러한 선박 선체를 포함하는 선박, 또한 이러한 선박 선체를 가지는 이러한 선박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1020197022920A KR102436714B1 (ko) 2014-10-28 2015-08-11 부유식 탄화수소 저장 및/또는 가공 플랜트의 선체와 같이 이용하기 위한 선박 선체, 이러한 선박 선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이러한 선박 선체를 포함하는 선박, 또한 이러한 선박 선체를 가지는 이러한 선박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2920A KR102436714B1 (ko) 2014-10-28 2015-08-11 부유식 탄화수소 저장 및/또는 가공 플랜트의 선체와 같이 이용하기 위한 선박 선체, 이러한 선박 선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이러한 선박 선체를 포함하는 선박, 또한 이러한 선박 선체를 가지는 이러한 선박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093395B2 (ko)
EP (1) EP3212494B1 (ko)
JP (2) JP6696700B2 (ko)
KR (2) KR102396966B1 (ko)
CN (2) CN110182298B (ko)
AU (1) AU2015341033B2 (ko)
CA (2) CA3058041C (ko)
MX (2) MX2017005482A (ko)
MY (2) MY201195A (ko)
SG (2) SG10201907829QA (ko)
WO (1) WO20160662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82298B (zh) * 2014-10-28 2021-08-27 瑞士单浮筒系泊公司 用作浮式烃储存和/或处理设备的壳体的船壳
JP2019025966A (ja) * 2017-07-26 2019-02-21 三井E&S造船株式会社 洋上浮体構造物の船首構造
KR20220137987A (ko) 2020-02-10 2022-10-12 싱글 뷰이 무어링스 인크. 라이저 문풀을 포함하는 스프레드 계류 선박
CN111605678B (zh) * 2020-05-28 2022-01-28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fpso船海水提升管组立阶段的安装方法
WO2024037964A1 (en) * 2022-08-17 2024-02-22 Single Buoy Moorings Inc. Floating structure
WO2024091110A1 (en) * 2022-10-27 2024-05-02 Misc Berhad An asymmetric monohull vessel for floating produc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5690A (ja) * 1998-07-14 2000-01-25 Mitsubishi Heavy Ind Ltd 浮体式生産・貯蔵・積み出し設備
JP2000505020A (ja) * 1996-08-16 2000-04-25 ジェイ.レイ マクダーモット ソシエテ アノニム 船のタレット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4518A (en) * 1994-01-14 1997-09-09 Compsys, Inc. Composite structures and method of making composite structures
US6126501A (en) * 1999-09-15 2000-10-03 Nortrans Offshore(S) Pte Ltd Mooring system for tanker vessels
US6453838B1 (en) * 2000-10-20 2002-09-24 Ocean Production Technology, Llc Turret-less floating production ship
WO2003064244A1 (en) * 2002-01-25 2003-08-07 Fmc Technologies, Inc. Method for constructing a very large turret mooring arrangement
US6854407B2 (en) * 2002-01-25 2005-02-15 Fmc Technologies, Inc. Method for constructing a very large turret mooring arrangement
AU2003216953A1 (en) * 2002-03-28 2003-10-13 Kvaerner Masa-Yards Oy A method and an arrangement for reducing the weight and optimizing the longitudinal strength of a water-craft
US6907836B2 (en) * 2002-07-09 2005-06-21 Maritrans, Inc. Rebuilt double hull tanker and method of rebuilding an existing single hull tanker into a rebuilt double hull tanker
EP1705112A1 (en) * 2005-03-22 2006-09-27 Single Buoy Moorings Inc. Enhanced side-by-side mooring construction
CN2839109Y (zh) * 2005-07-15 2006-11-22 中国海洋石油总公司 一种海上浮式油气生产与储运装置
AU2008326415B2 (en) * 2007-11-19 2012-08-30 Keith K. Millheim Docking and drilling stations for running self-standing risers
GB2470887B (en) * 2008-03-26 2012-09-05 Zhirong Wu A liquid storage, loading and offloading system and its applications for offshore drilling and production facilities
CN101665143A (zh) * 2008-09-05 2010-03-10 吴植融 多功能海上基地和压载海水与lng或lpg等质量置换方法
MY155048A (en) * 2008-10-09 2015-08-28 Keppel Offshore & Marine Technology Ct Pte Ltd Hull conversion of existing vessels for tank integration
NO336533B1 (no) * 2008-11-03 2015-09-21 Statoil Asa System for fortøyning av et stort fartøy
WO2010106136A2 (en) * 2009-03-18 2010-09-23 Single Buoy Moorings Inc. Buoyant turret mooring buoy with a movable riser-supporting frame
KR20120090323A (ko) * 2011-02-07 2012-08-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코퍼댐 구조
JP5711108B2 (ja) * 2011-12-26 2015-04-30 新潟原動機株式会社 舶用推進装置
CN202624591U (zh) * 2011-12-31 2012-12-26 江苏道达海洋装备技术有限公司 风电安装船结构
CN202743445U (zh) * 2012-06-07 2013-02-20 中国海洋石油总公司 一种钻井与储油兼顾的浮式生产平台
CN202686682U (zh) * 2012-06-21 2013-01-23 中国海洋石油总公司 液化天然气船的横舱壁结构
KR101260994B1 (ko) * 2012-10-29 2013-05-06 주식회사 디섹 발전플랜트가 탑재된 부유식 구조물
KR20140140762A (ko) * 2013-05-30 2014-12-10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선수부 썬큰 데크를 적용한 엘엔지 선박
CN103707998B (zh) * 2014-01-06 2016-01-13 大连理工大学 用于lng加注船独立c型货舱的阻尼式阻荡舱壁
CN110182298B (zh) * 2014-10-28 2021-08-27 瑞士单浮筒系泊公司 用作浮式烃储存和/或处理设备的壳体的船壳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5020A (ja) * 1996-08-16 2000-04-25 ジェイ.レイ マクダーモット ソシエテ アノニム 船のタレットシステム
JP2000025690A (ja) * 1998-07-14 2000-01-25 Mitsubishi Heavy Ind Ltd 浮体式生産・貯蔵・積み出し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6714B1 (ko) 2022-08-26
AU2015341033B2 (en) 2019-01-17
SG11201703456QA (en) 2017-05-30
JP6696700B2 (ja) 2020-05-20
WO2016066295A1 (en) 2016-05-06
JP6838795B2 (ja) 2021-03-03
EP3212494A1 (en) 2017-09-06
CA2965551A1 (en) 2016-05-06
CN107000812A (zh) 2017-08-01
SG10201907829QA (en) 2019-09-27
CA3058041A1 (en) 2016-05-06
EP3212494B1 (en) 2019-07-17
JP2020033009A (ja) 2020-03-05
US10093395B2 (en) 2018-10-09
MY201195A (en) 2024-02-09
BR112017008780A2 (pt) 2018-02-27
MX2017005482A (es) 2017-10-11
CN110182298B (zh) 2021-08-27
US20170327190A1 (en) 2017-11-16
MY191122A (en) 2022-05-30
KR20170095206A (ko) 2017-08-22
KR20190095526A (ko) 2019-08-14
CN107000812B (zh) 2019-06-28
AU2015341033A1 (en) 2017-05-18
CA3058041C (en) 2022-02-22
MX2019014158A (es) 2020-02-07
JP2017532250A (ja) 2017-11-02
CN110182298A (zh) 2019-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6966B1 (ko) 부유식 탄화수소 저장 및/또는 가공 플랜트의 선체와 같이 이용하기 위한 선박 선체, 이러한 선박 선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이러한 선박 선체를 포함하는 선박, 또한 이러한 선박 선체를 가지는 이러한 선박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AU2018217288B2 (en) Twin-hull offshore structure comprising an interconnecting central deck
EP4143079A1 (en) Floating wind semi-submersible with t-shaped pontoon
US7823524B2 (en) Construction of FPDSO vessel
KR20160096103A (ko) 선박형 구조물
US20080196655A1 (en) Vessels
AU2015210487A1 (en) Method of integrating new built structural block and sponson with existing LNG carrier
KR102424475B1 (ko) Lng 운반 선박 및 lng 운반 선박의 제작 방법
US20180134346A1 (en) Box shaped bilge keel
KR101778809B1 (ko) 부유식 가스 처리 설비
OA18205A (en) Vessel hull for use as a hull of a floating hydrocarbon storage and/or processing plant, method for producing such a vessel hull, vessel comprising such a vessel hull, as well method for producing such a vessel having such a vessel hull
Witthohn Offshore work
KR20140006635A (ko) 복합식 해상구조물 및 그의 운용방법
BR112017008780B1 (pt) Casco de embarcação para uso como um casco para uma instalação de processamento e/ou armazenamento de hidrocarboneto flutuante e método para produzir uma embarcação para uso como uma instalação de processamento e/ou armazenamento de hidrocarboneto flutuante usando o casco de embarcaçã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