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6321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6321B1
KR102396321B1 KR1020170082273A KR20170082273A KR102396321B1 KR 102396321 B1 KR102396321 B1 KR 102396321B1 KR 1020170082273 A KR1020170082273 A KR 1020170082273A KR 20170082273 A KR20170082273 A KR 20170082273A KR 102396321 B1 KR102396321 B1 KR 102396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tub
washing
protrusion
protrusions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2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7308A (ko
Inventor
이중희
강정훈
홍관우
김민성
강대욱
김경한
한주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780001647.8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7849781A/zh
Priority to PCT/KR2017/007419 priority patent/WO2018012852A1/ko
Priority to EP17812296.6A priority patent/EP3305963B1/en
Priority to US15/737,742 priority patent/US11028516B2/en
Publication of KR20180007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6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6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06Ribs, lifter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6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n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2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Abstract

세탁물의 세탁 효과 및 탈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세탁조를 포함하는 세탁기를 개시한다. 개시된 세탁기는, 본체; 본체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세탁물이 수용되는 원통형의 세탁조; 세탁조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세탁조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열되어 패턴을 이루는 다수의 함몰부; 및 각 함몰부에 형성되는 제1 탈수공;을 포함하고, 각 함몰부는 세탁조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Description

세탁기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물의 세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세탁조를 포함하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 방식에 따라 펄세이터 방식과 드럼 방식으로 구분되는데, 펄세이터 방식과 드럼 방식은 모두 수조와 세탁조를 포함한다.
펄세이터 방식의 경우에는 세탁이 이루어지는 세탁조의 구동축이 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마련된다. 세탁조의 하부에는 세탁수 수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펄세이터가 설치된다. 펄세이터 방식의 세탁기는 세탁조의 내부에 세탁물 및 세탁수가 투입된 상태에서 세탁조 및 펄세이터가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펄세이터가 세탁조의 내부로 투입된 세탁물을 세탁수와 함께 교반시켜 세탁물에 묻은 때를 제거하게 된다.
드럼 방식의 경우에는 낙차에 의해 세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세탁조 내에는 세탁물을 상측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리프터가 배치된다.
펄세이터 방식과 드럼 방식의 경우 세탁조의 둘레부에는 수조의 물이 세탁조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며, 배수 및 탈수 시 세탁조의 물이 세탁조로부터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탈수공이 마련된다.
종래에는 평면적인 세탁조의 내면에 탈수공이 배열되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세탁조의 내면과 세탁물의 마찰이 크지 않기 때문에 마찰에 의한 세탁효과를 높이는 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드럼 방식의 세탁기는, 세탁 또는 탈수 과정에서 세탁물이 입구 측으로(전방으로) 몰리는 경우가 발생하였으며, 입구 측에 몰린 세탁물이 본체와 수조를 연결하는 다이아프램(diaphragm) 또는 도어와 입구 사이에 끼여 손상을 입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세탁 효과 및 탈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탈수 병목 현상을 방지하여 탈수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아울러, 패턴 영역이 세탁조의 표면에서 연속적으로 마련됨에 따라 세탁조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세탁물이 세탁조의 전방에 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기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세탁물이 수용되는 원통형의 세탁조; 상기 세탁조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세탁조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열되어 패턴을 이루는 다수의 함몰부; 및 상기 각 함몰부에 형성되는 제1 탈수공을 포함하고, 상기 각 함몰부는 상기 세탁조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함몰부는 상기 세탁조를 구동하는 구동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턴은 상기 구동축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나열되는 제1 패턴 영역(pattern section) 및 제2 패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패턴 영역과 상기 제2 패턴 영역 사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탈수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탈수공은 상기 함몰부의 양단부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는 상기 세탁조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세탁조의 외부를 향해 함몰되고, 상기 세탁조의 원주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진 제1 경사면 및 상기 제1 경사면에 연결되어 상기 세탁조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진 제2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탈수공은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의 접점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는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을 평탄하게 연결하는 연결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탈수공은 상기 연결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는 상기 연결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탈수공은 상기 가이드홈 내에 위치하며,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제1 탈수공을 향해 경사진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함몰부는 상기 세탁조를 구동하는 구동축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세탁기는, 전면에 형성된 입구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입구를 통해 투입된 세탁물을 수용하는 원통형의 세탁조; 및 상기 세탁조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세탁조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어 패턴을 이루는 다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돌출부는 상기 입구에 인접한 측으로부터 상기 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분이 나선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상기 세탁조는 탈수 시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상기 적어도 일부분은 오른나사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입구에 근접한 전단부, 상기 전단부와 연결된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와 연결된 후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부는 상기 오른나사 방향으로 휘어지고, 상기 전단부 및 상기 후단부는 상기 세탁조의 회전축과 평행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는 상기 돌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타원의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함몰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탈수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다수의 함몰부 사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탈수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돌출부는 상기 세탁조의 원주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세탁조는 상기 다수의 돌출부 사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3 탈수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세탁조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세탁조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세탁조의 후단을 향해 연장된 나선(helix)의 형상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조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탁조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B-B'"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탁조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C-C'"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탁조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D-D'"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세탁조를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세탁조의 전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돌출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세탁조의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세탁조를 "E-E" 선을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탁조를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세탁조의 전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18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하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 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 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이하에서는 드럼 세탁기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세탁조의 구성은 탑 로드(top load) 방식의 전자동 세탁기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기는 전면에 세탁물 투입을 위한 입구(11)가 형성된 본체(10)와, 본체(10) 내부에 설치되며 세탁수를 저장하는 수조(20), 수조(2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세탁물이 수용되는 세탁조(30)를 포함한다. 또한, 본체(10)의 입구(11)를 개폐하는 도어(12)를 포함한다.
수조(20)는 입구가 형성된 전면부(20a)가 후면부(20b)보다 높은 위치가 되도록 세탁기(1)의 설치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수조(20) 내부의 세탁조(30)도 수조(20)와 동일한 형태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수조와 세탁조가 기울어지지 않게 설치될 수도 있다.
세탁조(30)는 그 후면부(30a)에 결합되며, 수조(20)의 후면부(20b)를 관통하는 구동축(13)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수조(20)의 후면부(20b)의 외측에는 구동축(13)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4)가 설치된다. 구동모터(14)가 구동축(13)을 회전시킴으로써 수조(20) 내부의 세탁조(30)가 회전할 수 있다. 구동모터(14)는 세탁 시 세탁조(30)를 저속으로 회전시키고, 탈수 시 세탁조(30)를 일 방향으로 고속 회전시킨다.
수조(20) 상부에는 수조(20)의 내부로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세제공급장치(15)와, 수조(20)의 내부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장치(16)가 설치된다. 세제공급장치(15)는 본체(10)의 전면부 쪽에 설치된다. 급수장치(16)는 외부의 급수관(16a)과 세제공급장치(15) 사이를 연결하는 제1급수관(16b), 세제공급장치(15)와 수조(20) 사이를 연결하는 제2급수관(16c), 제1급수관(16b)에 설치되어 급수를 제어하는 급수제어밸브(16d)를 포함한다. 이는 수조(20)의 내부로 공급되는 물이 세제공급장치(15)를 경유함으로써 세제가 물과 함께 수조(2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수조(20) 내측 하부에는 수조(20)의 세탁수를 가열하는 히터(17)가 설치된다. 이러한 히터(17)의 설치를 위해 수조(20) 하부에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히터수용부(20c)가 마련된다. 히터수용부(20c) 내에 히터(17)가 수용되도록 함과 동시에 히터수용부(20c) 내에 세탁수가 고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수조(20) 외측 하부에는 수조(20)의 세탁수를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장치(50)와, 수조(20) 내부의 세탁수를 세탁조(30)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세탁수 순환장치(60)가 설치된다. 배수장치(50)는 수조(20) 하부의 배수구(51)에 연결된 제1 배수관(52), 제1 배수관(52)에 설치되는 배수펌프(53), 그리고 배수펌프(53) 출구 쪽에 연결된 제2 배수관(54)을 포함한다.
세탁수 순환장치(60)는 배수펌프(53) 출구 쪽 제2 배수관(54)에 설치된 유로전환밸브(61), 유로전환밸브(61)로부터 세탁조(30)의 투입구(31) 쪽으로 연장된 세탁수 순환관(62), 세탁수 순환관(62)의 출구에 설치된 분사노즐(63)을 포함한다. 유로전환밸브(61)는 배수펌프(53) 출구의 세탁수가 외부로 배수되도록 하거나 세탁수 순환관(62) 쪽으로 흐르도록 유로를 전환시킬 수 있다.
유로전환밸브(61)는 통상의 전동식 삼방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세탁수 순환관(62) 쪽으로 세탁수가 흐르도록 유로전환밸브(61)가 동작한 상태에서 배수펌프(53)가 동작하면, 수조(20) 내부의 세탁수가 제1 배수관(52)과 세탁수 순환관(62)을 통해 세탁조(30)의 내부로 분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세탁수를 외부로 안내하는 제2 배수관(54) 쪽으로 세탁수가 흐르도록 유로전환밸브(61)가 동작한 상태에서 배수펌프(53)가 동작하면, 수조(20)의 세탁수는 배수된다.
세탁조(30)는 원통형일 수 있으며, 구동축(13)과 결합되는 후면부(30a), 투입구(31)가 형성된 전면부(30b), 양단이 전면부(30b)와 후면부(30a)에 각각 결합되는 원통형의 둘레부(30c)를 포함한다. 세탁조(30)의 둘레부(30c) 내면에는 세탁조(30)가 회전할 때 내부의 세탁물을 끌어올려 낙하시키는 복수의 리프터(33)가 설치되고, 세탁조(30)의 후면부(30a) 내면에는 세탁력 향상을 위한 복수의 교반돌기(32)가 형성된다. 또한, 세탁조(30)의 내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함몰부(42)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탈수공(43)을 포함하는 패턴(40)이 배열된다.
세탁조(30)의 둘레부(30c)의 내면은 세탁조(30)의 내주면(inner circumferential surface)을 구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조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조(30)의 내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40)이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하나의 패턴(40)을 중심으로 설명하되, 복수의 패턴(40)이 마련되는 경우의 실시 예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패턴(40)은 세탁조(30)의 내주면에서 세탁조(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함몰부(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다수의 함몰부(42)는 세탁조(30)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세탁조(30)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열되어 패턴(40)을 이룰 수 있다. 아울러, 각 함몰부(42)는 세탁조(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함몰부(42)는 투입구(31)가 형성된 전면부(30b)로부터 구동축(13)과 결합되는 후면부(30a)를 향해 연장 형성되며, 아울러 세탁조(30)는 함몰부(42) 및 함몰부(42)에 형성되는 제1 탈수공(43)을 포함할 수 있다. 함몰부(42)는 세탁조(30)를 구동하는 구동축(13)과 나란한 길이 방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함몰부(42)는 세탁조(30)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나열될 수 있다.
일례로, 함몰부(42)는 세탁조(30)의 내주면으로부터 세탁조(30)의 외부를 향해 함몰된다. 아울러, 함몰부(42)는 세탁조(30)의 원주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진 제1 경사면(421)과 제1 경사면(421)에 연결되어 세탁조(30)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진 제2 경사면(42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탈수공(43)은 제1 경사면(421)과 제2 경사면(422)이 연결되는 접점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함몰부(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제3 경사면(423)은 제1 경사면(42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2 경사면(422)에 연결되고, 제4 경사면(424)은 제2 경사면(42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3 경사면(423)에 연결될 수 있다. 즉, 함몰부(42)는 세탁조(3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나열될 수 있다.
제2 경사면(422)과 제3 경사면(423)이 연결되는 접점부를 돌출부(41)라 정의할 수 있으며, 돌출부(41)는 삼각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돌출부(41)는 세탁조(30)의 저면(또는 외주면)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높이(h1)을 가질 수 있다. 돌출부(41)의 높이가 적어도 2mm 이상을 만족할 경우, 함수율(세탁 후 중량-세탁 전 중량/세탁 전 중량 * 100(%))의 개선에 효과적이다.
또한, 제2 경사면(422)과 제3 경사면(423)의 직선거리(d1)는 20mm 이상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직선거리(d1)가 20mm 미만일 경우에는 함수율 개선의 효과가 미비하나, 직선거리(d1)가 20mm 이상일 경우, 약 3% 이상의 함수율 개선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삼각형상의 돌출부(41) 형상의 패턴(40)을 통해 세탁물과 세탁조(30)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세탁수의 유동을 향상시킴으로써 세탁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탁조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B-B'"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조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되, 생략된 설명은 전술한 내용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탁조(30)의 내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40a)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패턴(40a)은 투입구(31)가 형성된 전면부(30b)로부터 구동축(13)과 결합되는 후면부(30a)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함몰부(42a) 및 함몰부(42a)에 형성되는 제1 탈수공(43a)을 포함할 수 있다. 함몰부(42a)는 세탁조(30)를 구동하는 구동축(13)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함몰부(42a)는 세탁조(3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탈수공(43a)은 함몰부(42a)에 위치할 수 있다. 함몰부(42a)와 함몰부(42a) 사이에는 돌출부(41)가 마련될 수 있으며, 돌출부(41)의 단면은 삼각형상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탁조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한 "C-C'"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탁조(30)의 내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40b)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패턴(40b)은 투입구(31)가 형성된 전면부(30b)로부터 구동축(13)과 결합되는 후면부(30a)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함몰부(42b) 및 함몰부(42b)에 형성되는 탈수공(43b)을 포함할 수 있다. 함몰부(42b)는 세탁조(30)를 구동하는 구동축(13)과 나란한 길이 방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함몰부(42b)는 세탁조(30)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함몰부(42b)는 세탁조(30)의 전면부와 후면부의 길이의 1/2 미만의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함몰부(42b)가 1/2 미만의 길이를 가질 경우, 구동축(13)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로 나열될 수 있다.
일례로, 도 7을 참조하면, 함몰부(42b)는 구동축(13)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네 열로 나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패턴(40b)은 다수의 패턴 영역(pattern section)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40b)은 구동축(13) 방향을 따라 제1 내지 제4 패턴 영역(40ba, 40bb, 40bc, 40bd)을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각의 함몰부들(42b)에는 제1 탈수공들(43b)이 마련된다. 또한, 제1 탈수공들(43b)은 함몰부들(42b)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양단부에 각각 위치한 제1 탈수공들(42b) 사이에는 등 간격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1 탈수공(42b)이 추가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일례로, 제1 패턴 영역(40ba)에 형성된 제1 탈수공(42b)과 가장 근접하도록 위치한 제2 패턴 영역(40bb)에 형성된 제1 탈수공(42b) 사이의 직선거리(d2)는 적어도 10mm 이상으로 이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패턴 영역(40bb)과 제3 패턴 영역(40bc)에 형성된 제1 탈수공(42b) 사이의 직선거리(d2) 및 제3 패턴 영역(40bc)과 제4 패턴 영역(40bd)에 형성된 제1 탈수공(42b) 사이의 직선거리(d2)도 적어도 10mm 이상으로 이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각각의 패턴 영역들(40ba, 40bb, 40bc, 40bd)에 마련된 제1 탈수공(42b) 사이의 각각 이격된 직선거리(d2)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는, 세탁조(30)의 가공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강도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각각의 패턴 영역들(40ba, 40bb, 40bc, 40bd) 사이에는 별도의 제2 탈수공(46b)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패턴 영역들(40ba, 40bb, 40bc, 40bd) 사이에 별도의 제2 탈수공(46b)이 형성됨으로써 기 설정된 패턴의 제1 탈수공(42b)에 대해 탈수가 집중되어 발생하는 탈수 병목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탈수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탁조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D-D'"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에 따른 세탁조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되, 생략된 설명은 전술한 내용으로 대체될 수 있다.
세탁조(30)의 내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40c)이 마련될 수 있다.
세탁조(30)의 내측에는 각종 부속품이 결합할 수 있다. 부속품의 예로는 리프터(33)와 가이드 필터를 들 수 있다. 리프터(33)의 경우 세탁물의 원활한 유동을 위하여 주로 드럼 세탁기에서 사용되며, 가이드 필터의 경우 전자동 세탁기에서 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부속품이 결합되는 세탁조(30)의 일부분을 결합부(48c)라고 정의한다.
세탁조(30)의 내측에 위치하는 각각의 패턴(40c)은 결합부(48c)를 경계로 하여 위치할 수 있다. 즉, 결합부(48c)가 하나일 경우 두 개의 패턴(40c)이 마련될 수 있으며, 결합부(48c)가 두 개일 경우에는 세 개의 패턴(40c)들이 마련될 수 있다.
패턴(40c)은 투입구(31)가 형성된 전면부(30b)로부터 구동축(13)과 결합되는 후면부(30a)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함몰부(42c) 및 함몰부(42c)에 형성되는 제1 탈수공(43c)을 포함할 수 있다. 함몰부(42c)는 세탁조(30)를 구동하는 구동축(13)과 나란한 길이 방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함몰부(42c)는 세탁조(30)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42c)는 구동축(13)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로 나열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함몰부(42c)는 구동축(13)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다수 열로 나열될 수 있다. 일례로, 함몰부(42c)는 구동축(13) 방향을 따라 8 열로 나열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각의 함몰부(42c)에는 제1 탈수공(43c)이 마련된다. 또한, 제1 탈수공(43c)은 함몰부(42c)의 양단부에 각각 위치하며, 양단부에 각각 위치한 제1 탈수공들(43c) 사이에는 등 간격으로 위치한 별도의 제1 탈수공(43c)이 더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함몰부(42c) 사이에는 제2 탈수공(46c)이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42c)는 세탁조(30)의 원주 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진 제1 경사면(421c)과 제1 경사면(421c)에 연결되어 세탁조(3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진 제2 경사면(422c) 및 제1 경사면(421c)과 제2 경사면(422c)을 평탄하게 연결하는 제1 연결면(44c)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함몰부(42c)는 제1 연결면(421c)과 각각의 경사면(421c, 422c)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제2 연결면(47c)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경사면(421c)과 제2 경사면(422c)을 연결하는 돌출부(41c)는 라운드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탈수공(43c)은 제1 연결면(44c)의 양단부에 각각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1 탈수공(43c)은 양단부에 각각 위치한 제1 탈수공(43c) 사이에 추가로 마련될 수도 있다.
제1 연결면(44c)에는 가이드홈(430c)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430c)은 연결면(44c)에 형성된 제1 탈수공(43c)보다 큰 외경을 가지고 제1 탈수공(43c)과 동일 중심을 가지도록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홈(430c)은 제1 탈수공(43c)을 향해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가이드홈(430c)의 외주면과 제1 탈수공(43c) 외주면 사이의 거리는 1mm 이상일 수 있다. 가이드홈(430c)의 외주면으로부터 탈수공(43c) 사이의 거리를 1mm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세탁물의 함수율을 1% 이상 개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패턴(40, 40a, 40b, 40c)을 이용하여 세탁물의 세척력을 높임과 동시에 세탁물의 탈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세탁기(1)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개선된 구조의 패턴(40, 40a, 40b, 40c)을 제공함으로써 세탁조(30)의 강성을 극대화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세탁조(30) 및 세탁기(1)의 사용을 장기화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탁기(2)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세탁기(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1)와 대부분의 구조가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도 1의 세탁기(1)와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탁기(2)는 본체(10) 내부에 배치된 수조(20)와 세탁조(70)가 세탁기(2)의 설치면과 대략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는 점에서 도 1에 도시된 세탁기(1)와 차이가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수조(20)와 세탁조(70)의 배치구조는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수조(20)와 세탁조(70)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기(1)와 같이 세탁기의 설치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세탁기(2)는 세탁물의 투입을 위한 입구(11)가 전면에 형성된 본체(10)와, 본체(10) 내부에 설치되며 세탁수를 저장하는 수조(20)와, 수조(2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세탁조(70)를 포함한다.
세탁조(70)는 그 후면부(70a)에 결합되며, 수조(20)의 후면부(20b)를 관통하는 구동축(1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구동축(13)은 구동모터(14)에 결합된다. 이를 통해, 세탁조(70)는 구동모터(14)의 구동력을 구동축(13)으로부터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구동모터(14)는 세탁 시 세탁조(70)를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저속 회전시키고, 탈수 시 세탁조(70)를 일 방향으로 고속 회전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조(20) 및 세탁조(70)는 세탁기(2)의 설치면과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므로, 구동축(13) 역시 세탁기(2)의 설치면과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구동축(13)의 중심축선(13a)은 세탁기(2)의 설치면과 평행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세탁조(70)를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세탁조(70)의 전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탁조(70)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1에 도시된 도어(12) 측을 전방, 구동모터(14) 측을 후방으로 정의하였다. 아울러, 도 12 및 도 13에서 세탁조(70)를 도시함에 있어 다수의 돌출부(100)가 내측면에 형성된 둘레부(70c)만을 도시하였으며, 생략된 후면부(70a) 및 전면부(70b)는 도 2에 도시된 후면부(30a) 및 전면부(30b)로 대체할 수 있다.
세탁조(70)는 세탁기(1)의 전면에 형성된 입구(11)와 연결되도록 전방을 향해 개방된 원통의 형상일 수 있다. 세탁조(70)는 도 2에 도시된 세탁조(30)와 대부분의 구성이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세탁조(70)는 구동축(13)과 결합되는 후면부(70a), 세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71)가 형성된 전면부(70b) 및 후면부(70a)와 전면부(70b)를 연결하는 둘레부(70c)를 포함한다. 아울러, 둘레부(70c)의 내측면에는 세탁조(70)의 회전에 따라 세탁물을 끌어올려 낙하시키는 복수의 리프터(73)가 설치된다.
세탁조(70)의 둘레부(70c)의 내측면은 세탁조(70)의 내주면을 구성한다.
세탁조(70)의 투입구(71)는 본체(10)의 전면에 형성된 입구(11)와 연결된다. 이를 통해, 세탁조(70)는 입구(11) 및 투입구(71)를 통해 투입된 세탁물을 수용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세탁조(70)는 세탁조(70)의 내주면으로부터 세탁조(70)의 내부를 향해 돌출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1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돌출부(100)는 둘레부(70c)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패턴을 이룰 수 있다. 돌출부(100)의 구조를 설명함에 있어, 세탁조(70)의 내주면과 둘레부(70c)의 내측면은 동일한 구성을 지칭하며 혼용될 수 있다.
다수의 돌출부(100)는 세탁조(70)의 원주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됨으로써, 세탁조(70)의 내부에 투입된 세탁물과 용이하게 접촉할 수 있다.
세탁조(70)는 둘레부(70c)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다수의 리프터(73)가 결합하는 다수의 체결부(71)를 포함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란하게 배치된 다수의 돌출부(100)들 사이에는 다수의 체결부(71)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체결부(71) 사이에 나란하게 배치된 다수의 돌출부(100)들은 각각의 패턴을 구성할 수 있으며, 각 패턴 사이에 체결부(71)가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다수의 체결부(71)는 각각 다수의 체결구멍을 포함하며, 다수의 리프터(73)는 각각 대응되는 체결부(71)의 체결구멍을 통해 세탁조(70)의 내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수의 돌출부(100)의 구조에 대해 상술한다.
각 돌출부(100)는 세탁조(70)의 내주면으로부터 세탁조(70)의 내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며, 세탁조(70) 내주면의 입구(11)에 인접한 측으로부터 입구(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각 돌출부(100)는 세탁조의(70)의 내주면으로부터 외부를 향해 오목한 함몰부로 대체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각 돌출부(100)가 세탁조의(70)의 내부를 향해 돌출 형성된 것을 일 예로서 설명한다.
세탁조(70)의 내부를 향해 돌출된 다수의 돌출부(100)는, 각 돌출부(100)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양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돌출된 형상일 수 있으며, 각 돌출부(100)의 표면은 곡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각 돌출부(100)는 세탁조(7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각 돌출부(100)는 입구(11)에 인접한 둘레부(70c)의 전단(front end)(70F)으로부터 전단(70F)과 반대되는 후단(rear end)(70R)을 향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돌출부(100)는 적어도 일부분이 나선(helix) 방향으로 휘어진다(curved). 돌출부(100)의 적어도 일부분이 나선 방향으로 휘어졌다는 의미는 돌출부(100)의 적어도 일부분이 세탁조(70)의 내주면 상에서 세탁조(70)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나선의 형상으로 연장된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다수의 돌출부(100)는 세탁조(70) 내의 세탁물과 간섭될 수 있으며, 세탁조(70)의 내주면 상에서 세탁물을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부(100)의 적어도 일부분은 나선 방향으로 휘어짐으로써, 세탁기(2)가 탈수모드로 동작하는 과정에서 세탁조(70) 내의 세탁물을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세탁조(70)는 탈수 시에 반시계 방향으로 고속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각 돌출부(100)의 적어도 일부분은 오른나사(right handed screw) 방향으로 휘어지게 구성될 수 있다.
각 돌출부(100)의 적어도 일부분이 오른나사 방향으로 휘어짐으로써, 세탁조(70)가 반시계 방향으로 고속 회전하며 세탁물의 탈수를 수행하는 동안, 세탁조(70)의 내부에 수용된 세탁물은 다수의 돌출부(100)에 간섭되고 다수의 돌출부(100)를 따라 입구(11) 측에서 입구(1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다수의 돌출부(100)는 탈수 시에, 세탁조(70)에 수용된 세탁물이 세탁조(70)의 전단(70F)으로부터 후단(70R)으로 이동하도록 세탁물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아울러, 세탁조(70)가 탈수 시에 시계방향으로 고속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각 돌출부(100)의 적어도 일부분은 왼손나사 방향으로 휘어지게 구성됨으로써, 탈수 시의 세탁조(70) 내부의 세탁물을 세탁조(70)의 후단(70R)을 향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각 돌출부(100)는 돌출부(100)의 적어도 일부분이 세탁조(70)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휘어진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수의 돌출부(100)가 휘어진다는 의미는 곡면으로 이루어진 세탁조(70)의 내주면을 따라 다수의 돌출부(100)의 일부 또는 전부가 곡선을 이루며 구부러진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세탁조(70)의 회전방향을 화살표 "R"로서 표시하였으며, 적어도 일부분이 오른나사 방향으로 방향으로 휘어진 돌출부(100)의 휘어진 방향을 화살표 "C1"로서 표시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탈수 시의 세탁조(70)의 회전방향(R)은 반시계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다. 아울러, 도 13에 도시된 세탁조(70)의 전개도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세탁조(70)의 회전방향(R)은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00)의 적어도 일부분은 오른나사 방향으로 휘어진 나선의 형상일 수 있다.
아울러, 세탁조(70)의 전방 상측에서 세탁조(70)를 바라보는 경우, 세탁조(70)의 내측 하부에 위치하는 각 돌출부(100)가 휘어진 방향(C1)은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휘어진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세탁조(70)는 회전하므로 세탁조(70)의 전방 하측에서 세탁조(70)를 바라보는 경우, 세탁조(70)의 내측 상부에 위치하는 각 돌출부(100)가 휘어진 방향(C)은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휘어진 것으로 보여진다.
도 13을 참조하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세탁조(70)에 있어 둘레부(70c)의 회전방향(R)은 세탁조(70)의 전개도를 기준으로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각 돌출부(100)의 휘어진 방향(C1)은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각 돌출부(100)의 적어도 일부분이 휘어진 방향은 세탁조(70)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인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탁조(70)를 제조함에 있어, 둘레부(70c)는 직사각형의 금속 플레이트에 우측에서 좌측 방향(C1)으로 휘어진 다수의 돌출부(100)를 형성하고, 다수의 돌출부(100)가 형성된 금속 플레이트를 원통 형상으로 구부림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원통형의 세탁조(70)의 내주면에 형성된 각 돌출부(10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세탁조(70)와 대응하여 적어도 일부분이 오른나사 방향으로 휘어지게 구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돌출부(100)는 탈수 시에 입구(11) 측으로 몰리게 되는 세탁물을 세탁조(70)의 후단(70R)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만, 각 돌출부(100)가 휘어진 정도는, 세탁조(70)의 전단(70F)으로부터 후단(70R)을 향해 세탁물을 이동시키되, 세탁물이 세탁조(70)의 후면부(70a)에 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정도로 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13을 기준으로 각 돌출부(100)의 적어도 일부분이 휘어진 방향(C1)은 세탁조(70)의 회전방향(R)과 둔각을 이룰 수 있으며, 상기 둔각은 90도 초과 135도 이하일 수 있다.
아울러, 세탁조(70)의 탈수 시의 회전방향과 돌출부(100)가 휘어진 방향의 관계를 설명함에 있어, 도 12에 도시된 중심축선(13a)을 기준으로 세탁조(70)를 상부와 하부로 구별할 수 있다.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세탁조(70) 및 세탁조(70)의 회전방향(R)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휜 다수의 돌출부(100)를 설명함에 있어, 세탁조(70)의 하부에 위치하는 각 돌출부(100)는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며 세탁조(70)의 하부에 위치한 각 돌출부(100)의 적어도 일부분은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휘어진다.
아울러, 세탁조(70)의 상부에 위치하는 돌출부(100)는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며 세탁조(70)의 상부에 배치된 각 돌출부(100)의 적어도 일부분은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휘어진다. 다만, 세탁조(70)는 중심축선(13a)을 기준으로 회전하므로 전술한 세탁조(70)의 상부와 하부는 회전하는 세탁조(70)의 상대적인 부분이다.
따라서, 각 돌출부(100)의 적어도 일부분이 세탁조(70)의 회전방향(R)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휘어진다는 의미는, 각 돌출부(100)의 적어도 일부분이 세탁조(70)의 회전에 따른 각 돌출부(100)의 순간적인 이동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휘어진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아울러, 둘레부(70c)의 전개도를 기준으로, 세탁조(70)의 회전방향(R)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각 돌출부(100)의 적어도 일부분이 휘어진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처럼, 세탁조(70)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100)는 각각 세탁조(70)의 회전방향(R)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휘어짐으로써, 회전하는 세탁조(70) 내부의 세탁물을 입구(1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아울러, 다수의 돌출부(100)는 세탁조(70)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됨으로써 둘레부(70c)의 내측면에 접하여 회전하는 세탁물을 전방에서 후방으로 효과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다수의 돌출부(100)를 구비한 세탁조(70)는 세탁 및 탈수 과정에서 세탁물이 입구(11) 측으로 이동하여 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세탁물이 입구(11)와 도어(12) 사이의 틈 또는 다이어프램(미도시)에 끼어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탈수 시에 세탁물이 입구(11) 측으로 몰려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고자, 다수의 돌출부(100)를 통해 세탁물을 세탁조(70)의 전단(70F)으로부터 후단(70R)을 향해 이동시키는 구조를 일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됨이 없이 각 돌출부(100)의 적어도 일부분이 휘어진 방향과 휘어진 정도를 변경함으로써 탈수 과정에서 세탁조(70) 내부의 세탁물을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돌출부(100)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각 돌출부(100)는 입구(11)에 근접한 전단부(100a), 전단부(100a)와 연결된 중앙부(100b) 및 중앙부(100b)와 연결된 후단부(100c)를 포함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11)에 근접한 돌출부(100)의 전단부(100a)는 세탁조(70)의 전단(70F)에 인접한 돌출부(100)의 일부분이고, 후단부(100c)는 세탁조(70)의 후단(70R)에 인접한 돌출부(100)의 일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중앙부(100b)는 나선 방향으로 휘어진다. 일 예로서, 세탁조(70)가 탈수 시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중앙부(100b)는 오른나사 방향으로 휘어지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중앙부(100b)는 세탁조(70)의 회전방향(R)과 반대되는 방향(C1)으로 휘어지고, 전단부(100a) 및 후단부(100c)는 세탁조(70)의 회전축(구동축(13))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세탁조(70)가 탈수 시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돌출부(100)의 중앙부(100b)는 오른나사 방향으로 휘어짐으로써, 탈수 시에 중앙부(100b)에 간섭되는 세탁물을 후단부(100c)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각 돌출부(100)는 중앙부(100b)가 세탁조(70)의 회전방향(R)과 반대되는 방향(C1)으로 휘어짐으로써, 중앙부(100b)에 접하는 세탁물을 후단부(100c)를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아울러, 후단부(100c)는 구동축(13)과 평행하게 형성됨으로써, 후단부(100c)로 이동된 세탁물을 후단부(100c) 상에서 앞뒤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후단부(100c)는 후단부(100c)상의 세탁물을 분산시킬 수 있으며, 세탁물이 세탁조(70)의 후면부(70a) 상에서 뭉치거나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단부(100a)도 구동축(13)과 평행하게 형성됨으로써, 전단부(100a) 상의 세탁물을 분산시켜줄 수 있다. 이를 통해, 전단부(100a)상의 세탁물을 더욱 효과적으로 중앙부(100b)로 진입시킬 수 있다.
세탁물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가이드 하기 위하여, 각 돌출부(100)의 중앙부(100b)는 전단부(100a) 및 후단부(100c)보다 길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각 돌출부(100)는 전단부(100a), 중앙부(100b) 및 후단부(100c)의 구분 없이 전체가 오른나사 방향으로 휘어지게 구성될 수 있으며, 돌출부(100) 전체가 세탁조(70)의 회전방향(R)과 반대되는 방향(C1)으로 휘어지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00)는 전단부(100a)와 중앙부(100b) 또는 중앙부(100b)와 후단부(100c)만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다만, 각 돌출부(100)의 세부 구조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돌출부(100)를 따라 세탁물이 입구(11) 측에서 입구(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휘어진 다양한 구조로 대체될 수 있다.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세탁조(70)의 일부를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세탁조(70)를 "E-E" 선을 따라 자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각 돌출부(100)는 돌출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함몰부(110)를 포함한다.
각 돌출부(100)는 세탁조(70)의 내주면으로부터 세탁조(70)의 내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고, 돌출부(100)의 내측에 형성된 다수의 함몰부(110)는 세탁조(70)의 내주면으로부터 세탁조(70)의 외부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각 돌출부(100)는 입구(11) 측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세탁조(70)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와 세탁조(70)의 내주면으로부터 오목한 함몰부(110)가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이를 통해, 세탁물은 더욱 효과적으로 입구(11) 측으로부터 입구(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각 함몰부(110)는 돌출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타원의 형상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세탁물은 더욱 효과적으로 다수의 돌출부(100)를 따라 세탁조(70)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아울러, 세탁조(70)는 다수의 돌출부(100)에 형성된 다수의 탈수공(121, 122, 123)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각 돌출부(100)는 함몰부(11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탈수공(121)을 포함한다.
탈수 과정에서 세탁물로부터 분리된 물은 함몰부(110)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함몰부(110)로 이동한 물은 제1 탈수공(121)을 통해 세탁조(70)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에서는 각 함몰부(110)에 2개의 제1 탈수공(121)이 형성된 것을 일 예로서 도시하였으나, 함몰부(110)에 형성된 제1 탈수공(121)의 크기 및 수량은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돌출부(100)의 대체로서 세탁조의 패턴이 세탁조의 내주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된 다수의 함몰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세탁조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각 함몰부의 내측에는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탈수공은 함몰부의 내측과 돌출부의 외측 사이에 형성됨으로써, 오목한 함몰부의 내측으로 이동한 물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아울러, 각 돌출부(100)는 다수의 함몰부(110) 사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탈수공(122)을 포함한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함몰부(110) 사이에는 각각 3개의 제2 탈수공(122)이 돌출부(100)의 폭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100)에 형성된 각 함몰부(110)와 인접한 함몰부(110) 사이에는 제2 탈수공(1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세탁조(70) 내부의 물을 더욱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세탁조(70)는 다수의 돌출부(100) 사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3 탈수공(123)을 포함한다.
세탁조(70)의 내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100)는 세탁조(70)의 내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므로, 다수의 돌출부(100) 사이는 돌출된 돌출부(100)보다 높이가 낮게 구성된다. 따라서, 탈수 과정에서 세탁물로부터 분리된 물은 다수의 돌출부(100) 사이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돌출부(100) 사이에 형성된 제3 탈수공(123)은 다수의 돌출부(100) 사이로 이동한 물을 세탁조(70)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아울러, 다수의 돌출부(100)는 세탁조(70)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므로, 제3 탈수공(123)은 각 돌출부(100)와 인접한 돌출부(100) 사이의 경계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제3 탈수공(123)은 다수의 돌출부(100) 사이의 경계상에서 돌출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탁조(80)를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세탁조(80)의 전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탁조(8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세탁조(80)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세탁조(70)와 대부분의 구조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세탁조(80)는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200)를 포함한다. 다수의 돌출부(200)는 둘레부(80c)의 내측면(세탁조(80)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각 돌출부(200)는 입구(11)에 인접한 측으로부터 입구(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아울러, 각 돌출부(200)는 적어도 일부분이 나선 방향으로 휘어지며, 세탁조(80)의 회전방향(R) 반대되는 방향(C2)으로 휘어진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수 시의 세탁조(80)의 회전방향(R)은 반시계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돌출부(200)는 적어도 일부분이 오른나사 방향으로 휘어지게 구성된다.
아울러, 도 18에 도시된 세탁조(80)의 전개도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세탁조(80)의 회전방향(R)은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둘레부(80c)의 전개도 상에서 각 돌출부(200)는 세탁조(80)의 회전방향(R)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직선의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탁조(80)를 제조함에 있어, 둘레부(80c)는, 직사각형의 금속 플레이트에 우측에서 좌측 방향(C2)으로 경사진 직선 형상의 다수의 돌출부(200)를 형성하고, 다수의 돌출부(200)가 형성된 금속 플레이트를 원통 형상으로 구부림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세탁조(80)의 내측면에 형성된 각 돌출부(20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세탁조(80)와 대응하여 적어도 일부분이 오른나사 방향으로 휘어지게 구성될 수 있으며, 각 돌출부(20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세탁조(70)의 회전방향(R)과 반대되는 방향(C2)으로 휘어질 수 있다.
아울러, 세탁조(80)의 내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200)는 각각 세탁조(80)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세탁조(80)의 전단(80F)으로부터 세탁조(80)의 후단(80R)을 향해 연장된 나선(helix)의 형상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세탁조(80)의 내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200)는 세탁조(80) 내부의 세탁물을 입구(11) 측으로부터 입구(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세탁물이 입구(11)와 도어(12) 사이에 끼여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각 돌출부(200)는 돌출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함몰부를 포함하고, 수조(80)는 내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탈수공을 포함한다.
각 돌출부(200)에 형성된 다수의 함볼부와 다수의 탈수공은 도 15에 도시된 함볼부(110)와 제1 내지 제3 탈수공(121, 122, 123)과 그 구조와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세탁기(2)는 탈수 시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세탁조(70, 80)에 대응하여, 세탁조(70, 80)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100, 200)의 적어도 일부분이 오른나사 방향으로 휘어짐으로써(돌출부(100, 200)의 적어도 일부분이 세탁조(70, 80)의 회전방향(R)과 반대되는 방향(C2)으로 휘어짐으로써), 입구(11) 측의 세탁물을 입구(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전하는 세탁조(70, 80) 내부의 세탁물이 입구(11) 측에 몰림으로써 입구(11)와 도어(12) 사이에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세탁조(70, 80)는 다수의 돌출부(100, 200) 상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탈수공(121, 122)과 다수의 돌출부(100) 사이에 형성된 제3 탈수공(123)을 포함함으로써, 함수율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각각 개별적으로 설명하였으나, 각 실시 예들은 반드시 단독으로 구현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각 실시 예들의 구성 및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시 예들과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 예들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2: 세탁기
10: 본체
20: 수조
30, 70, 80: 세탁조
40: 패턴
41: 돌출부
42: 함몰부
43: 제1 탈수공
100, 200: 돌출부

Claims (2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전면에 형성된 입구를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입구를 통해 투입된 세탁물을 수용하는 원통형의 세탁조; 및
    상기 세탁조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세탁조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어 패턴을 이루는 다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돌출부는 상기 입구에 인접한 측으로부터 상기 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분이 나선 방향으로 휘어지고, 상기 돌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함몰부는 상기 세탁조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세탁조의 외부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탈수공이 형성된 세탁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조는 탈수 시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상기 적어도 일부분은 오른나사 방향으로 휘어진 세탁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입구에 근접한 전단부, 상기 전단부와 연결된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와 연결된 후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부는 상기 오른나사 방향으로 휘어지고,
    상기 전단부 및 상기 후단부는 상기 세탁조의 회전축과 평행한 세탁기.
  14. 삭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돌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타원의 형상인 세탁기.
  16. 삭제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다수의 함몰부 사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탈수공을 포함하는 세탁기.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돌출부는 상기 세탁조의 원주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된 세탁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조는 상기 다수의 돌출부 사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3 탈수공을 포함하는 세탁기.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세탁조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세탁조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세탁조의 후단을 향해 연장된 나선(helix)의 형상인 세탁기.
KR1020170082273A 2016-07-12 2017-06-29 세탁기 KR102396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80001647.8A CN107849781A (zh) 2016-07-12 2017-07-11 洗衣机
PCT/KR2017/007419 WO2018012852A1 (ko) 2016-07-12 2017-07-11 세탁기
EP17812296.6A EP3305963B1 (en) 2016-07-12 2017-07-11 Washing machine
US15/737,742 US11028516B2 (en) 2016-07-12 2017-07-11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041 2016-07-12
KR20160088041 2016-07-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308A KR20180007308A (ko) 2018-01-22
KR102396321B1 true KR102396321B1 (ko) 2022-05-10

Family

ID=61094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2273A KR102396321B1 (ko) 2016-07-12 2017-06-29 세탁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028516B2 (ko)
EP (1) EP3305963B1 (ko)
KR (1) KR102396321B1 (ko)
CN (1) CN10784978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3347A (ko) * 2019-08-23 2021-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형 세탁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88276A1 (en) * 2005-12-28 2011-04-2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ate Gmbh Laundry Drum
CN204849374U (zh) * 2015-07-20 2015-12-09 苏州三星电子有限公司 洗衣机内筒结构
CN105544148A (zh) * 2016-01-22 2016-05-0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洗衣机内筒及洗衣机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5863B2 (ja) 1994-10-28 2002-03-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洗濯機
JPH09266998A (ja) 1996-04-02 1997-10-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脱水兼用洗濯機
KR20000024965A (ko) * 1998-10-07 2000-05-06 전주범 세탁기의 세탁조
KR100457583B1 (ko) 2002-11-28 2004-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세탁조 엠보싱
KR100644823B1 (ko) 2002-11-28 2006-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세탁조
JP4652306B2 (ja) 2006-09-27 2011-03-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洗濯機
KR101136863B1 (ko) 2007-02-28 2012-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MX353091B (es) * 2007-11-12 2017-12-19 Simsek Tulga Lavadora/exprimidora.
DE102008009141A1 (de) * 2008-02-14 2009-08-2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Wäschetrommel für eine Wäschebehandlungsmaschine
JP5044498B2 (ja) 2008-07-24 2012-10-10 株式会社東芝 洗濯機
JP5295671B2 (ja) 2008-07-22 2013-09-18 株式会社ハッピー 洗濯装置
EP2177657B1 (de) 2008-10-16 2013-01-09 Miele & Cie. KG Trommel für eine Waschmaschine
ES2395983T3 (es) * 2008-10-16 2013-02-18 Miele & Cie. Kg Tambor para una secadora de ropa
KR20130095604A (ko) * 2012-02-18 2013-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EP2628839A1 (en) 2012-02-18 2013-08-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KR102148193B1 (ko) 2012-10-10 2020-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101944366B1 (ko) 2012-10-10 2019-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JP5690878B2 (ja) 2013-06-21 2015-03-25 株式会社東芝 洗濯機
CN203420126U (zh) 2013-08-13 2014-02-05 惠而浦(中国)投资有限公司 洗衣机的内凹形状脱水孔内筒
KR102295607B1 (ko) * 2014-03-07 2021-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이에 구비되는 세탁조의 제조방법
WO2015178657A1 (en) * 2014-05-22 2015-1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KR102590137B1 (ko) * 2016-07-18 2023-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102599882B1 (ko) * 2016-08-18 2023-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88276A1 (en) * 2005-12-28 2011-04-2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ate Gmbh Laundry Drum
CN204849374U (zh) * 2015-07-20 2015-12-09 苏州三星电子有限公司 洗衣机内筒结构
CN105544148A (zh) * 2016-01-22 2016-05-0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洗衣机内筒及洗衣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05963A1 (en) 2018-04-11
KR20180007308A (ko) 2018-01-22
EP3305963B1 (en) 2022-01-05
US20190071811A1 (en) 2019-03-07
US11028516B2 (en) 2021-06-08
EP3305963A4 (en) 2018-08-01
CN107849781A (zh) 2018-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19808B1 (en) Washing machine
KR101455984B1 (ko) 세탁물 처리장치
KR101835334B1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EP1964960B1 (en) Washing machine improving washing efficiency
CA2698953C (en) Washing machine with improved wetting and rinsing feature
US20130213097A1 (en) Washing machine
KR102396321B1 (ko) 세탁기
KR20050045256A (ko) 드럼세탁기
KR20130095604A (ko) 세탁기
KR102148193B1 (ko) 세탁기
KR101305977B1 (ko) 드럼세탁기
KR100637666B1 (ko) 드럼세탁기
KR100441095B1 (ko) 드럼세탁기
CN113330153B (zh) 洗衣机
CN217052763U (zh) 衣物处理装置的内筒及衣物处理装置
US11905639B2 (en) Washing machine
JP2014042740A (ja) 洗濯機
CN217052764U (zh) 衣物处理装置的内筒及衣物处理装置
KR20100095936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000013798U (ko) 드럼세탁기의 드럼
KR20050045257A (ko) 드럼세탁기
KR20050045259A (ko) 드럼세탁기
KR20100020621A (ko) 세탁기
CN113584806A (zh) 洗衣机提升筋、滚筒洗衣机及洗衣机提升筋的控制方法
KR20070025486A (ko)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