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3347A - 드럼형 세탁장치 - Google Patents

드럼형 세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3347A
KR20210023347A KR1020190103436A KR20190103436A KR20210023347A KR 20210023347 A KR20210023347 A KR 20210023347A KR 1020190103436 A KR1020190103436 A KR 1020190103436A KR 20190103436 A KR20190103436 A KR 20190103436A KR 20210023347 A KR20210023347 A KR 20210023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area
drum
washing
washing t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3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권
김주형
서응렬
최지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3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3347A/ko
Priority to PCT/KR2020/011124 priority patent/WO2021040320A1/en
Priority to EP20857713.0A priority patent/EP3963130A4/en
Priority to CN202080059003.6A priority patent/CN114269979A/zh
Priority to US16/999,283 priority patent/US11629447B2/en
Publication of KR20210023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33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4Tubs provided with reinforcing structures, e.g. ribs, inserts, bra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2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Abstract

드럼형 세탁장치는, 전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를 가진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세탁물을 수용하도록 도어를 향해 개방된 원통의 형상을 가지며, 그 내주면에 세탁수를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탈수공이 배열된 패턴이 형성된 세탁조를 포함하며, 본 패턴은, 세탁조의 내주면을 따라 제1탈수공의 적어도 일측에 마련되는 평탄영역을 가지는 제1패턴과, 세탁조의 내주면을 따라 제1탈수공과 상이한 제2탈수공의 적어도 일측에 마련되며, 평탄영역보다 평탄도가 낮은 불평탄영역을 가지는 제2패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드럼형 세탁장치 {DRUM TYPE LAUNDRY APPARATUS}
본 발명은 설치면 상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드럼 타입의 세탁조를 가진 드럼형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드럼을 형성하는 랩퍼(wrapper)의 판면 상의 패턴 구조에 관련된 드럼형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탁장치는 천, 의류, 이불 등의 세탁물이 수용되는 세탁조를 구비하고, 세탁조를 모터에 의해 회전시킴으로써 세탁조 내에 수용된 세탁물을 세탁하는 장치이다. 세탁장치는 세탁조의 배치 형태에 따라서 수직축 타입 및 드럼 타입의 두 종류로 구분될 수 있다. 수직축 타입은 세탁조가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며 수직축에 의해 회전하는 구조이다. 수직축 세탁기에서는,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된 세탁조에 대해 수직축에 접속되며, 세탁조의 내부에 펄세이터(pulsator)가 구비된다. 수직축 세탁기의 세탁조가 수직축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펄세이터에 의해 발생하는 수류를 이용하여 세탁물이 세척된다.
이에 비해, 드럼 타입은 세탁조가 실질적으로 수평하거나 또는 수평축으로부터 소정 각도를 가지고 기울어지게 배치된다. 드럼 타입의 세탁장치의 예시로는 드럼 세탁기(drum type washing machine)와, 드럼 건조기(drum type drying machine)가 있다. 드럼 세탁기의 세탁조가 수평축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세탁물이 세탁조의 내주면을 따라서 상측으로 올려진 이후에 낙하함으로써, 낙하에 따른 충격에 의해 세탁물이 세탁된다.
드럼 타입의 세탁조는 전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을 가지며, 형태에 따라서 드럼이라고도 지칭된다. 드럼은 긴 직사각형의 얇은 두께를 가진 스테인레스 재질의 랩퍼를 둥글게 휘어서 접합시킴으로써 제조된다. 랩퍼는 세탁 공정 시에 랩퍼 내부의 물이 랩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복수의 탈수공을 가진다. 또한, 랩퍼가 단지 평탄한 면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세탁 효율이 높지 않으므로, 랩퍼에는 세탁 효율을 높이기 위한 연속적인 패턴 형상이 형성된다.
그런데, 탈수공은 랩퍼의 판면을 관통하므로 랩퍼의 강성을 낮추게 된다. 랩퍼 전체적으로 탈수공의 수를 줄이게 되면 랩퍼의 강성은 보장되겠지만, 탈수효율이 상대적으로 떨어지게 된다.
또한, 이러한 탈수공의 구조에 추가하여, 랩퍼에 형성된 연속적인 패턴 구조는 드럼 세탁기의 동작 시에 랩퍼의 강성을 더욱 낮추는 원인이 된다. 세탁 공정 또는 탈수 공정 시에는 회전하는 드럼 내의 세탁물에 의해 원심력이 발생하는데, 이 원심력이 랩퍼의 패턴 형상에 작용함으로써 랩퍼의 변형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드럼의 RPM이 높아질수록, 그리고 드럼에 투입된 세탁물의 양이 많아질수록, 랩퍼의 패턴에서 변형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진다.
따라서, 드럼 세탁장치에서, 탈수효율 및 세탁효율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도, 가능한 한 랩퍼의 강성을 보강하는 구조가 요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형 세탁장치는, 전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를 가진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세탁물을 수용하도록 상기 도어를 향해 개방된 원통의 형상을 가지며, 그 내주면에 세탁수를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탈수공이 배열된 패턴이 형성된 세탁조를 포함하며, 상기 패턴은, 상기 내주면을 따라 제1탈수공의 적어도 일측에 마련되는 평탄영역을 가지는 제1패턴과, 상기 내주면을 따라 상기 제1탈수공과 상이한 제2탈수공의 적어도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평탄영역보다 평탄도가 낮은 불평탄영역을 가지는 제2패턴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세탁조에서 상기 탈수공이 마련되는 영역은, 상기 평탄영역 또는 상기 불평탄영역보다 상기 세탁조의 외주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탈수공 또는 상기 제2탈수공은, 상기 함몰된 영역에서 상기 세탁조의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불평탄영역은, 상기 세탁조의 회전축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불평탄영역이 돌출되는 높이는 상기 평탄영역보다 높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패턴 및 상기 제2패턴은, 상기 내주면을 따라 교대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패턴 또는 상기 제2패턴은, 상기 세탁조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패턴 또는 상기 제2패턴이 상기 세탁조의 회전방향으로 소정 편향되어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탈수공은, 상기 제1탈수공 또는 상기 제2탈수공으로부터 상기 세탁조의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3탈수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탄영역 및 상기 불평탄영역은 상호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탈수공은, 상기 평탄영역 및 상기 불평탄영역 사이에 마련되는 제4탈수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탄영역 또는 상기 불평탄영역은, 상기 제1탈수공 또는 상기 제2탈수공의 양측에 마련될 수 있다.
도 1은 드럼 세탁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드럼 세탁기를 A-A'선을 따라서 자른 모습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드럼 세탁기의 세탁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랩퍼를 펼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랩퍼의 일부 영역을 확대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B-B'선을 따라서 자른 모습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랩퍼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C-C'선을 따라서 자른 모습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랩퍼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요부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D-D'선을 따라서 자른 모습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랩퍼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14은 도 13의 요부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E-E'선을 따라서 자른 모습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6은 수직축 세탁기의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상호 배타적인 구성이 아니며, 하나의 장치 내에서 복수 개의 실시예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실시예의 조합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함에 있어서 임의로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만일, 실시예에서 제1구성요소, 제2구성요소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있다면, 이러한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바, 이들 구성요소는 용어에 의해 그 의미가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해당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적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복수의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라는 표현이 나오는 경우에, 본 표현은 복수의 구성요소 전체 뿐만 아니라, 복수의 구성요소 중 나머지를 배제한 각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 모두를 지칭한다.
도 1은 드럼 세탁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형 세탁장치는 드럼 세탁기(1)로 구현된다. 그러나, 드럼형 세탁장치는 본 실시예와 같은 드럼 세탁기(1) 이외에도, 세탁조 내부의 세탁물을 건조시키도록 마련된 드럼 건조기로 구현될 수도 있다. 드럼 세탁기(1)는 설치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세탁조를 포함하는 수직축 세탁기와 달리, 설치면에 실질적으로 수평한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세탁조(200)를 포함한다. 다만, 세탁조(200)의 회전 축선이 반드시 수평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한 회전 축선은 수평 축선에 대해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지게 마련될 수도 있다. 이하 드럼 세탁기(1)의 기본 구조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도면에서 나타나는 X, Y, Z 방향은 상호 직교한다. X 방향은 드럼 세탁기(1)의 전방을 향하는 방향이며,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이 방향에 위치하여 드럼 세탁기(1)를 조작한다. Y 방향은 드럼 세탁기(1)의 가로방향이다. Z방향은 드럼 세탁기(1)의 세로방향이며,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반대이다. 이하 설명하는 실시예에서의 방향은 이러한 기준에 따른다.
드럼 세탁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0)과, 하우징(10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세탁조(200)와, 세탁조(200)의 내주면으로부터 세탁조(200)의 중심 축선을 향해 돌출된 복수의 리프터(3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개략적인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하우징(100) 전면의 전면패널(110)에는 외부로부터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11)가 마련된다. 하우징(100)은 투입구(111)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전면패널(110)에 결합된 도어(120)를 포함한다. 도어(120)는 예를 들면 일측이 전면패널(110)에 힌지 결합되며, 투입구(111)를 폐쇄하는 폐쇄위치 및 투입구(111)를 개방하는 개방위치 사이를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또한, 도어(120)는 사용자가 도어(120)를 회동시키도록 파지하게 마련된 손잡이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의 드럼 세탁기를 A-A'선을 따라서 자른 모습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세탁기(1)는 하우징(100)과, 세탁조(200)와, 리프터(3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120)를 포함한다.
드럼 세탁기(1)는 세탁수가 장입되는 수조(400)와, 상수도와 같은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세탁수를 전달하는 급수관(500)과, 급수관(500)을 통해 전달되는 세탁수에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부(600)와, 수조(400) 내부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700)와, 세탁조(20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800)를 더 포함한다.
한편, 세탁조(200)는 수조(4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면에 투입구가 형성된다. 세탁조(200)의 투입구는 하우징(100)의 투입구에 대응하게 배치됨으로써, 하우징(100)의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세탁물을 그 내부에 수용한다. 세탁조(200)는 내주면 상에 세탁수의 유입 및 유출이 가능하도록 관통 형성된 다수의 탈수공(210)을 가진다. 탈수공(210)은 세탁조(200)의 내부 공간 및 수조(400)의 내부 공간이 연통되도록 한다. 또한, 세탁조(200)는 구동부(800)의 구동력에 의해 세탁조(200)가 회전하도록 구동부(800)에 결합된 후방프레임(220)을 포함한다.
수조(400)는 그 내부에 세탁조(200)를 수용하며, 세탁공정 시 세탁수를 수용하도록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평하게 설치되거나 또는 수평선에 대해 소정의 경사를 가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수조(400)는 도어(120)를 향하는 전면에 형성된 투입구를 가진다. 수조(400)는 하우징(100)의 투입구 및 수조(400)의 투입구 사이에 개재되는 다이어프램(diaphragm)(410)을 포함한다. 다이어프램(410)은 도어(120)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에 수조(400) 내부의 세탁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조(400)의 유동 변위와 진동을 흡수한다.
급수관(500)은 수조(400)에 세탁수를 공급하는 유로를 제공하며 수조(400)의 상부에 설치된다. 급수관(500)의 일단부는 외부의 급수원과 연통되며, 급수관(500)의 타단부는 세제공급부(600)와 연통된다.
세제공급부(600)는 공급관(610)을 통해 수조(400)와 연통된다. 급수관(500)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제공급부(600)를 경유하면서 세제와 뒤섞이며, 세제가 뒤섞인 물은 공급관(610)을 통해 수조(400) 내부로 공급된다. 수조(400)는 급수관(500)와 연통되기 위한 홀을 가지며, 이 홀에 급수관(500)이 결합됨으로써 수조(400) 내로 세탁수가 장입된다.
배수부(700)는 수조(400)의 하측에 설치되며 수조(400) 내부의 세탁수를 하우징(100)의 외부로 배출시킨다. 배수부(700)는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압을 형성하는 배수펌프(710)와, 배수펌프(710)와 연통되며 수조(400) 내부로부터 하우징(100) 외부로의 세탁수의 유로를 제공하는 배수호스(720)를 포함한다.
구동부(800)는 세탁조(200)의 후방에 배치된다. 구동부(800)는 구동력을 생성하는 모터(810)와, 모터(810) 및 후방프레임(220)을 접속시켜 모터(810)의 구동력을 세탁조(200)에 전달하는 회전축(820)을 포함한다. 모터(810)의 정역구동에 의해 생성된 구동력은 회전축(820)을 통해 세탁조(200)에 전달되며, 세탁조(200)는 전달받은 구동력에 의해 정역회전함으로써 세탁조(200) 내의 세탁물을 세탁한다.
리프터(300)는 세탁조(200)의 내주면으로부터 세탁조(200)의 내부 중심을 향해 돌출되며, 세탁조(200)의 내주면을 따라서 복수 개의 리프터(300)가 소정 간격을 두고 상호 이격된다. 리프터(300)는 세탁조(200)가 회전할 때에 세탁물이 리프터(300)에 걸림으로써 세탁조(200) 내의 소정 높이까지 들어올려지게 하고, 세탁물을 유동시켜 세탁수가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세탁물의 세탁 효과를 향상시킨다.
리프터(300)는 세탁조(200)의 회전축선에 평행하게 소정 길이로 연장된다. 즉, 리프터(300)의 길이방향은 세탁조(200)의 회전축선과 평행하다. 리프터(300)는 길이방향에 따라서 동일한 폭을 가진 일자형 구조를 가질 수도 있고, 중앙영역의 폭이 양단부의 폭에 비해 좁은 오목형 구조를 가질 수도 있고, 중앙영역의 폭이 양단부의 폭에 비해 큰 볼록형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도 3은 드럼 세탁기의 세탁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조(200)는 원기둥의 형상을 가진다. 세탁조(200)는 개구가 형성된 링 형상의 전방프레임(230)과, 전방프레임(230)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전방프레임(230)과 유사한 직경의 원판 형상의 후방프레임(220)과, 전방프레임(230) 및 후방프레임(220) 사이에서 세탁조(200)의 벽면을 형성하는 랩퍼(wrapper)(1000)를 포함한다.
전방프레임(230)에 의해 형성된 세탁조(200) 전방의 개구는, 하우징의 개구와 마주하게 배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세탁물을 세탁조(200) 내로 넣거나 또는 꺼낼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전방프레임(230) 및 후방프레임(220)은 둥글게 말려있는 랩퍼(1000)의 전단 및 후단을 각각 지지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세탁조(200)가 원통형을 가지도록 한다.
후방프레임(220)은 후방에 구동부가 접속됨으로써,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한다. 후방프레임(220)은 전방프레임(230) 및 랩퍼(1000)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구동력에 의해 소정의 X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세탁조(200)가 정역회전한다. X 방향은 드럼 세탁기가 설치된 지면 등의 설치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 즉 수평방향이다. 다만, 세탁조(200)의 회전 축선이 반드시 X 방향 축선과 평행해야만 한 것은 아니며, 상기한 회전 축선이 X 방향 축선과 소정 각도를 이루는 경우도 가능하다.
랩퍼(1000)는 복수의 탈수공이 뚫린 직사각형의 플레이트의 양 단부가 접하도록, 세탁조(20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둥글게 말려진 형태로 제조된다. 탈수공은 수조에 장입된 세탁수가 세탁조(200) 내외를 출입하기 위해 마련된다. 랩퍼(1000)의 내주면 상에는 하나 이상의 리프터(300)가 X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리프터(300)는 랩퍼(1000)의 내주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세탁조(200)의 회전축을 향해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리프터(300)는 세탁조(200)의 회전 시 이와 같은 돌출 구조의 좌우 측면에 의해 세탁물을 위로 쳐올린다. 리프터(300)에 의해 위로 쳐올려진 세탁물은 아래로 떨어져서 랩퍼(1000)에 부딪힌다. 이와 같은 동작이 반복됨으로써 세탁물의 세탁이 수행된다.
이하, 랩퍼(1000)의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도 4는 랩퍼를 펼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랩퍼(1000)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금속 플레이트로 구현된다. 본 도면에서는 L, M, N의 3가지 방향이 나타나 있는데, L 방향은 랩퍼(1000)의 길이방향이며, M 방향은 랩퍼(1000)의 가로방향이다. N 방향은 랩퍼(1000)가 드럼을 형성할 때에 랩퍼(1000)의 판면으로부터 드럼의 회전 중심을 향하는 방향이다. 즉, 랩퍼(1000)에서 N 방향을 향하는 판면은 내주면이 되고, -N 방향을 향하는 판면은 외주면이 된다. 랩퍼(1000)는 N 방향을 향하는 판면이 내주면이 되도록 둥글게 말려지고, L 방향 및 -L 방향의 두 단부가 상호 접합되고, M 방향의 단부 및 -M 방향의 단부 각각에 후방프레임 및 전방프레임이 결합됨으로써 드럼이 형성된다.
랩퍼(1000)는 리프터가 장착되는 리프터지지영역(1100)과, 탈수공 및 패턴이 함께 형성된 패턴영역(1200)을 포함한다.
리프터지지영역(1100)은 스크루에 의해 리프터 및 랩퍼(1000)를 함께 체결하기 위한 체결홀과, 리프터에 마련된 걸림단을 지지하기 위한 걸림홀을 포함한다. 리프터지지영역(1100)은 상호 인접한 두 패턴영역(1200) 사이에 마련된다. 리프터지지영역(1100)은 랩퍼(1000)에 장착되는 리프터의 개수에 대응하게 마련되는데, 설계 방식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다양한 개수의 리프터에 대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패턴영역(1200)은 상이한 형상을 가진 제1패턴(1210) 및 제2패턴(122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L 방향을 따라서 제1패턴(1210) 및 제2패턴(1220)이 하나씩 교대로 배치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패턴영역(1200) 내에서 제1패턴(1210) 및 제2패턴(1220) 각각의 개수와, 제1패턴(1210) 및 제2패턴(1220)이 배치되는 형태는 본 실시예의 경우로 한정되지 않는다. 패턴영역(1200) 내에서 제1패턴(1210) 및 제2패턴(1220) 각각의 개수는 반드시 1대 1로 대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또한 제1패턴(1210) 및 제2패턴(1220)이 반드시 교대로 배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제1패턴(1210) 및 제2패턴(1220)의 각각의 개수의 비는 랩퍼(1000), 또는 랩퍼(1000)에 의해 형성되는 드럼에 요구되는 속성에 관련된다. 이에 관한 설명은 후술한다.
본 실시예에서 패턴영역(1200)은 L 방향을 따라서 제1패턴(1210) 및 제2패턴(1220)이 교대로 배치된 형태를 가진다. 한편, M 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제1패턴(1210)에 의한 칼럼과 복수의 제2패턴(1220)에 의한 칼럼이 연장된다. 각 칼럼은 M 방향을 향한 직선으로 연장되지 않고, 드럼의 회전방향으로 편향되어 연장된다.
이하, 제1패턴(1210) 및 제2패턴(1220)의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도 5는 도 4의 랩퍼의 일부 영역을 확대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B-B'선을 따라서 자른 모습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랩퍼(1000)는 L 방향을 따라서 배열된 제1패턴(1210) 및 제2패턴(1220)을 포함한다. 랩퍼(1000)를 L 방향을 따라서 평탄하게 폈을 때의 기준이 되는 높이를 기준높이라고 지칭한다. 본 기준높이는 랩퍼(1000)의 각 영역 별 높이의 비교를 위해 편의상 비교 대상으로 도입된 것일 뿐임을 밝힌다.
제1패턴(1210)은 탈수를 위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탈수공(1211)과, 제1탈수공(1211)의 좌우 양측에 각기 배치된 평탄한 평탄영역(1212)과, 두 평탄영역(1212) 사이에 함몰 형성되며 제1탈수공(1211)이 배치된 제1함몰영역(1213)을 포함한다.
제1탈수공(1211)은 드럼 세탁기의 세탁 공정 또는 탈수 공정 시에 드럼 내부의 물을 드럼 외부로 배출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탈수공(1211)이 제1함몰영역(1213) 내에서 두 개가 마련된 것으로 나타내고 있는데, 제1함몰영역(1213) 내에 마련된 제1탈수공(1211)의 개수 및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제1탈수공(1211)의 위치는 제1함몰영역(1213)에 의한 탈수 효과를 고려하여 마련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차후 제1함몰영역(1213)과 관련하여 설명한다.
평탄영역(1212)은 L 방향 축선을 따라서 평행하게 연장된다. 기준높이는 평탄영역(1212)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평탄영역(1212)은 랩퍼(1000)에서 굴곡이 없이 평탄한 영역으로서, 랩퍼(1000)의 강성을 보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랩퍼(1000)의 두께가 일정하다면, 평탄영역(1212)이 상대적으로 길수록 랩퍼(1000)의 강성은 높아진다. 다만, 평탄영역(1212)은 형태의 구조 상 세탁효율이 떨어지므로, 세탁효율을 높이기 위한 별도의 구조가 랩퍼(1000)에 적용된다. 이에 관한 설명은 후술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평탄영역(1212)이 제1패턴(1210) 내에서 제1탈수공(1211)의 좌우 양측에 각기 배치된 것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반드시 이러한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평탄영역(1212)은 제1패턴(1210) 내에서 제1탈수공(1211)의 좌우 양측 중 어느 한쪽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제1함몰영역(1213)은 평탄영역(1212)과 달리, 제1패턴(1210) 내에서 기준높이보다 함몰된 영역이다. 제1탈수공(1211)은 제1함몰영역(1213)에서 기준높이 대비 가장 깊이 함몰된 위치인 제1함몰영역(1213)의 중앙영역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1함몰영역(1213)은 -N 방향을 향해 높이 h1만큼 함몰되어 있다. N 방향은 드럼의 회전 중심을 향하는 방향이므로, 제1함몰영역(1213)은 드럼의 외주측으로 함몰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제1탈수공(1211)이 제1함몰영역(1213)에 배치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드럼 세탁기의 탈수 공정에서 드럼이 회전할 때에, 드럼 내의 물은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드럼의 내주면에 붙게 된다. 이 때, 제1함몰영역(1213)은 함몰된 깊이에 대응하는 양의 물을 수용한다. 제1함몰영역(1213)의 함몰된 깊이가 깊을수록 수용할 수 있는 물의 양은 많아지게 된다. 제1탈수공(1211)은 제1함몰영역(1213), 그 중에서도 가장 깊은 위치(즉, 기준높이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제1함몰영역(1213)에 수용된 물이 용이하게 드럼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높이 h1의 수치가 많을수록, 탈수 공정 시에 제1탈수공(1211)을 통해 배출되는 물의 양은 많아진다.
제2패턴(1220)은 탈수를 위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2탈수공(1221)과, 제2탈수공(1221)의 좌우 양측에 각기 배치된 평탄하지 않은 불평탄영역(1222)과, 두 불평탄영역(1222) 사이에 함몰 형성되며 제2탈수공(1221)이 배치된 제2함몰영역(1223)을 포함한다.
제2탈수공(1221)은 제1탈수공(1211)과 동일하게 드럼 내부의 물을 드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2함몰영역(1223) 내에 마련된 제2탈수공(1221)의 개수 및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불평탄영역(1222)은 평탄영역(1212)보다 평탄도가 낮은 영역으로서, 굴곡이 있는 영역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 불평탄영역(1222)은 N 방향을 향해 돌출된 영역, 즉 드럼의 내주면을 향해 돌출된 영역이다. 이와 같은 형태의 특성 상, 불평탄영역(1222)은 세탁 공정 시 세탁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불평탄영역(1222)이 제2함몰영역(1223)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위치로 인해 탈수 효율이 향상되는데, 이에 관한 설명은 후술한다.
제2함몰영역(1223)은 제2패턴(1220) 내에서 기준높이보다 함몰된 영역이다. 제2탈수공(1221)은 제2함몰영역(1223)에서 기준높이 대비 가장 깊이 함몰된 위치인 제2함몰영역(1223)의 중앙영역에 형성된다. 제2함몰영역(1223)의 함몰 깊이는 제1함몰영역(1213)의 함몰 깊이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즉, 제2함몰영역(1223)은 -N 방향을 향해 높이 h1만큼 함몰되어 있다. 제2함몰영역(1223) 단독으로만 보면, 앞서 설명한 제1함몰영역(1213)에 의한 탈수 효과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제2함몰영역(1223)에 의한 탈수 효과는, 제2함몰영역(1223)에 인접하게 배치된 불평탄영역(1222)에 의해 제1탈수공(1211)에 의한 탈수 효과보다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탈수공(1211)의 직경이 제2탈수공(1221)의 직경과 동일하고, 기준높이로부터 제1함몰영역(1213)의 함몰 깊이 및 기준높이로부터 제2함몰영역(1223)의 함몰 깊이가 h1으로 동일하고, 기준높이로부터 불평탄영역(1222)의 높이가 h2라고 가정한다.
제1패턴(1210)의 경우, 평탄영역(1212)은 드럼의 회전 시에 실질적으로 물을 수용하는 역할을 수행하지 못한다. 따라서, 제1패턴(1210) 전체적으로 보면, 제1패턴(1210)이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의 높이는 h1이 된다. 이에 비해, 제2패턴(1220)의 경우에는 불평탄영역(1222)이 제2함몰영역(1223)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으므로,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은 불평탄영역(1222)의 돌출된 부분부터 시작한다. 따라서, 제2패턴(1220) 전체적으로 볼 때,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의 높이는 h1+h2=h3이 된다. 이와 같이, 제2패턴(1220)은 제1패턴(1210)보다 탈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평탄영역(1212)을 포함하는 제1패턴(1210)은 랩퍼(1000)의 강성을 향상시키며, 불평탄영역(1222)을 포함하는 제2패턴(1220)은 드럼의 세탁효율 및 탈수효율을 향상시킨다. 랩퍼(1000)는 제1패턴(1210) 및 제2패턴(1220)을 포함함으로써, 세탁효율 및 탈수효율을 보장하면서도 랩퍼(1000)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랩퍼(1000)의 강성이 향상되면, 드럼의 회전 시 물 또는 세탁물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에 대한 랩퍼(1000)의 내성이 향상되며, 랩퍼(100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랩퍼(1000)에서 제1패턴(1210) 및 제2패턴(1220)이 대략 1대 1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비율은 설계 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랩퍼(1000)의 재질이 강성을 보장할 수 있다면, 랩퍼(1000)에서 제1패턴(1210)의 비율을 줄이고 제2패턴(1220)의 비율을 늘릴 수 있다. 또는, 랩퍼(1000)에 보다 높은 강성이 요구되는 상황이라면, 랩퍼(1000)에서 제1패턴(1210)의 비율을 상대적으로 늘릴 수도 있다.
또는, 드럼의 회전 시 랩퍼(1000)의 전체 영역 중에서 특정 영역에 대한 강성이 상대적으로 크게 요구되는 상황이라면, 해당 영역에서 제1패턴(1210)의 비율을 상대적으로 늘리고 제2패턴(1220)의 비율을 상대적으로 줄이는 대신, 나머지 영역에서 제2패턴(1220)의 비율을 상대적으로 늘릴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드럼에 요구되는 속성에 따라서, 랩퍼(1000)에 대한 제1패턴(1210) 및 제2패턴(1220)의 설계 변경은 다양하게 반영될 수 있다.
한편, 랩퍼(1000)는 제1패턴(1210)에 마련된 제1탈수공(1211), 제2패턴(1220)에 마련된 제2탈수공(1221) 이외에도 다양한 탈수공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랩퍼(1000)는 제1탈수공(1211) 또는 제2탈수공(1221)으로부터 M 방향, 즉 드럼의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된 하나 이상의 제3탈수공(1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탈수공(1230)은 M 방향을 따라서, 상호 인접하는 두 제1패턴(1210) 사이 또는 상호 인접하는 두 제2패턴(1220) 사이에 마련된다. 랩퍼(1000)에서 제3탈수공(1230)이 배치되는 영역은 기준높이의 영역이다. 제1패턴(1210)에 의해 랩퍼(1000)의 강성이 보장되는 범위 내에서, 랩퍼(1000)는 제3탈수공(1230)을 추가적으로 포함함으로써 탈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패턴(1210) 및 제2패턴(1220) 사이에 추가적인 탈수공이 마련되는 구성도 가능한 바,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7은 랩퍼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C-C'선을 따라서 자른 모습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7,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랩퍼(1000)는 제1패턴(1210) 및 제2패턴(1220)을 포함한다. 제1패턴(1210)은 제1탈수공(1211)과, 평탄영역(1212)과, 제1함몰영역(1213)을 포함한다. 제2패턴(1220)은 제2탈수공(1221)과, 불평탄영역(1222)과, 제2함몰영역(1223)을 포함한다. 또한, 랩퍼(1000)는 제3탈수공(1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요소들에 관해서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추가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랩퍼(1000)는 상호 인접한 제1패턴(1210) 및 제2패턴(1220) 사이에 마련된 제4탈수공(1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패턴(1210)에서 제1탈수공(1211)이 위치한 제1함몰영역(1213)을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평탄영역(1212)이 배치되며, 제2패턴(1220)에서 제2탈수공(1221)이 위치한 제2함몰영역(1223)을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불평탄영역(1222)이 배치된다. 따라서, 평탄영역(1212) 및 불평탄영역(1222)이 상호 인접하는 바, 제4탈수공(1240)은 상호 인접하는 평탄영역(1212) 및 불평탄영역(1222) 사이에 마련된다.
평탄영역(1212) 및 불평탄영역(1222) 사이는, 제1함몰영역(1213) 또는 제2함몰영역(1223)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기는 하지만 드럼의 회전 시 물이 수용될 수 있는 영역을 형성한다. 제4탈수공(1240)은 이러한 영역에 마련됨으로써 탈수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한편, 앞선 실시예들에서는 각 패턴의 함몰영역 내에 탈수공이 마련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이와 상이한 구성도 가능한 바,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0은 랩퍼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요부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D-D'선을 따라서 자른 모습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0,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랩퍼(2000)는 제1패턴(2100) 및 제2패턴(2200)을 포함한다. 랩퍼(2000)를 L 방향을 따라서 평탄하게 폈을 때의 기준이 되는 높이를 기준높이라고 지칭한다. 앞선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본 기준높이는 랩퍼(2000)의 각 영역 별 높이의 비교를 위해 편의상 비교 대상으로 도입된 것일 뿐임을 밝힌다.
제1패턴(2100)은 평탄한 평탄영역(2110)과, 평탄영역(2110) 상에 형성된 복수의 제1탈수공(2120)과, 평탄영역(2110)으로부터 드럼의 회전 중심을 향해 돌출된 복수의 제1돌출부(2130)를 포함한다. 한편, 제2패턴(2200)은 평탄하지 않은 불평탄영역(2210)과, 불평탄영역(2210) 상에 형성된 복수의 제2탈수공(2220)과, 불평탄영역(2210)으로부터 드럼의 회전 중심을 향해 돌출된 복수의 제2돌출부(22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패턴(2100) 및 제2패턴(2200)이 하나씩 교대로 배치된 것이 아닌, 복수의 제1패턴(2100)이 모인 영역 및 복수의 제2패턴(2200)이 모인 영역으로 랩퍼(2000)가 구분된다. 다만, 이는 설계 방식의 한 가지 예시일 뿐이며, 앞선 실시예와 같이 제1패턴(2100) 및 제2패턴(2200)이 하나 또는 복수 개씩 교대로 배치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평탄영역(2110)은 L 방향 축선을 따라서 평행하게 연장된다. 평탄영역(2110)의 높이는 실질적으로 기준높이와 동일하다. 평탄영역(2110)은 랩퍼(2000)에서 굴곡이 없이 평탄한 영역으로서, 랩퍼(2000)의 강성을 보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탈수공(2120)은 평탄영역(2110)에 형성되며 드럼 내부의 물을 드럼 외부로 배출시킨다. 평탄영역(2110)은 제1돌출부(2130) 주위에 형성되므로, 상호 인접한 복수의 제1돌출부(2130) 사이에는 드럼의 회전 시 물이 수용될 수 있는 영역이 형성된다. 제1탈수공(2120)은 이러한 영역에 마련됨으로써 물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제1돌출부(2130)는 드럼의 내주면으로부터 드럼의 회전 중심을 향해 돌출됨으로써, 세탁물의 세탁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복수의 제1돌출부(2130)는 주위의 평탄영역(2110)에 물이 수용될 수 있는 영역을 형성하도록 평탄영역(2110)보다 높은 높이를 가짐으로써, 탈수효율을 높일 수 있다.
불평탄영역(2210)은 제2패턴(2200) 내에서 제2돌출부(2230)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다(도 12). 불평탄영역(2210)은 기준높이로부터 제2돌출부(2230)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마련된다. 예를 들어 제2돌출부(2230)의 좌측에 있는 불평탄영역(2210)은 기준높이로부터 제2돌출부(2230)의 좌측 가장자리를 향해 하향 연장되며, 제2돌출부(2230)의 우측에 있는 불평탄영역(2210)은 기준높이로부터 제2돌출부(2230)의 우측 가장자리를 향해 하향 연장된다.
이와 같은 불평탄영역(2210)의 구조 상, 드럼의 회전 시에 불평탄영역(2210)에 의해 물이 수용될 수 있는 영역이 형성된다. 본 영역은 제1패턴(2100)에서 제1돌출부(2130) 및 평탄영역(2110)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에 비해,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양이 상대적으로 많아진다.
제2탈수공(2220)은 불평탄영역(2210)에 마련됨으로써, 드럼의 회전 시 불평탄영역(2210)에 의해 형성된 영역에 의해 수용되는 물을 드럼 외부로 배출시킨다.
제2돌출부(2230)는 드럼의 내주면으로부터 드럼의 회전 중심을 향해 돌출됨으로써, 세탁물의 세탁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제2돌출부(2230)는 주위의 불평탄영역(2210)에 물이 수용될 수 있는 영역을 형성하도록 불평탄영역(2210)보다 높은 높이를 가짐으로써, 탈수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앞선 실시예들에서는, 랩퍼가 랩퍼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평탄영역을 포함하는 제1패턴과, 드럼의 탈수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불평탄영역을 포함하는 제2패턴을 포함하는 구성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만일 랩퍼의 강성이 충분히 보장될 수 있다면 랩퍼가 제2패턴만을 포함하는 구조도 가능한 바,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3은 랩퍼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14은 도 13의 요부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E-E'선을 따라서 자른 모습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13,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랩퍼(3000)는 복수의 단위 패턴(3100)을 포함한다. 랩퍼(3000)를 L 방향을 따라서 평탄하게 폈을 때의 기준이 되는 높이를 기준높이라고 지칭한다. 앞선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본 기준높이는 랩퍼(3000)의 각 영역 별 높이의 비교를 위해 편의상 비교 대상으로 도입된 것일 뿐임을 밝힌다.
패턴(3100)은 탈수를 위해 형성된 복수의 탈수공(3110)과, 탈수공(3110)의 좌우 양측에 각기 배치된 평탄하지 않은 불평탄영역(3120)과, 두 불평탄영역(3120) 사이에 함몰 형성되며 제2탈수공(3110)이 배치된 함몰영역(3130)을 포함한다.
탈수공(3110)은 드럼 내부의 물을 드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함몰영역(3130) 내에 마련된 탈수공(3110)의 개수 및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불평탄영역(3120)은 굴곡이 있는 영역으로서, 예를 들면 N 방향을 향해 돌출된 영역, 즉 드럼의 내주면을 향해 돌출된 영역이다. 이와 같은 형태의 특성 상, 불평탄영역(3120)은 세탁 공정 시 세탁 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불평탄영역(3120)이 제2함몰영역(313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위치로 인해 탈수 효율이 향상된다.
함몰영역(3130)은 패턴(3100) 내에서 기준높이보다 함몰된 영역이다. 탈수공(3110)은 함몰영역(3130)에서 기준높이 대비 가장 깊이 함몰된 위치인 함몰영역(3130)의 중앙영역에 형성된다. 함몰영역(3130)에 의한 탈수 효과는, 함몰영역(3130)에 인접하게 배치된 불평탄영역(3120)에 의해 상대적으로 향상될 수 있는데, 이에 관해서는 앞선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앞선 실시예들에서는 드럼 세탁기 또는 드럼 건조기 등으로 구현되는 드럼 세탁장치의 드럼에 랩퍼가 적용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구조의 랩퍼는 수직축 방식의 세탁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는 바,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6은 수직축 세탁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나오는 세탁장치(4000)는 수직축 세탁기를 포함한다. 세탁장치(4000)는 하우징(4100)과, 세탁물은 투입구(4120)를 통해 하우징(4100)에 투입되도록 하우징(4100) 상부에 형성되며 커버(4110)에 의해 개폐되는 투입구(4120)를 포함한다. 또한, 세탁장치(4000)는 하우징(4100) 내부에 수조(4200), 세탁조(4300), 모터(4400), 펄세이터(4500), 밸런서(4600)를 포함한다.
수조(4200)는 바닥이 있는 저수 가능한 원통 형상의 용기이며, 상측의 개구부가 투입구(4120)를 향한 상태로 복수의 서스펜션(4210)에 의해 하우징(4100)의 내부에 지지되어 있다. 수조(4200)의 내부에는 급수기구를 통해 급수 가능하게 마련된다. 수조(4200)의 하부에는 밸브에 의해 개폐 제어되는 배수관(4220)이 연결되며, 배수관(4220)을 통해 수조(4200) 내의 물이 하우징(4100) 외부로 배수된다.
세탁조(4300)는 수조(4200) 내에 수용되며, 세탁물을 수용하는 원통 형상의 용기이다. 세탁조(4300)는 투입구(4120)를 향해 수직하게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모터(440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모터(4400)는 세탁조(4300) 및 펄세이터(4500)를 구동시키는 구동력을 생성한다. 모터(4400)는 세탁 공정에서 세탁조(4300) 및 펄세이터(4500)를 일정 주기로 반전시키면서 회전 구동시키며, 물이나 세제와 함께 세탁물을 교반시킨다. 모터(4400)는 탈수 공정에서 펄세이터(4500) 및 세탁조(4300)를 동기시켜 일정 방향으로 고속 회전시키고, 원심력의 작용으로 세탁물을 세탁조(4300)의 내주면에 가압시키면서 탈수되도록 한다.
펄세이터(4500)는 세탁조(4300)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면에 교반 블레이드를 가지는 원판 형상의 부재이다. 펄세이터(4500)는 모터(440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게 마련된다.
밸런서(4600)는 세탁조(4300)의 개구부에 설치된다. 밸런서(4600)는 내부에 복수의 베어링 또는 점성 유체를 수용한 링 형상의 부재이며, 세탁조(4300)의 회전 시에 세탁물의 치우침에 의해 발생하는 중량 밸런스의 불균형을 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조(4300)는 앞선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랩퍼가 적용되는데, 이러한 랩퍼에 관해서는 앞선 실시예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1000 : 랩퍼
1100 : 리프터지지영역
1200 : 패턴영역
1210 : 제1패턴
1211 : 제1탈수공
1212 : 평탄영역
1213 : 제1함몰영역
1220 : 제2패턴
1221 : 제2탈수공
1222 : 불평탄영역
1223 : 제2함몰영역

Claims (12)

  1. 드럼형 세탁장치에 있어서,
    전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를 가진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세탁물을 수용하도록 상기 도어를 향해 개방된 원통의 형상을 가지며, 그 내주면에 세탁수를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탈수공이 배열된 패턴이 형성된 세탁조를 포함하며,
    상기 패턴은,
    상기 내주면을 따라 제1탈수공의 적어도 일측에 마련되는 평탄영역을 가지는 제1패턴과,
    상기 내주면을 따라 상기 제1탈수공과 상이한 제2탈수공의 적어도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평탄영역보다 평탄도가 낮은 불평탄영역을 가지는 제2패턴을 포함하는 드럼형 세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조에서 상기 탈수공이 마련되는 영역은, 상기 평탄영역 또는 상기 불평탄영역보다 상기 세탁조의 외주측으로 함몰되는 드럼형 세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탈수공 또는 상기 제2탈수공은, 상기 함몰된 영역에서 상기 세탁조의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복수 개 마련되는 드럼형 세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평탄영역은, 상기 세탁조의 회전축을 향하여 돌출되는 드럼형 세탁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불평탄영역이 돌출되는 높이는 상기 평탄영역보다 높은 드럼형 세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턴 및 상기 제2패턴은, 상기 내주면을 따라 교대로 마련되는 드럼형 세탁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턴 또는 상기 제2패턴은, 상기 세탁조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드럼형 세탁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턴 또는 상기 제2패턴이 상기 세탁조의 회전방향으로 소정 편향되어 배열되는 드럼형 세탁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탈수공은, 상기 제1탈수공 또는 상기 제2탈수공으로부터 상기 세탁조의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제3탈수공을 더 포함하는 드럼형 세탁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영역 및 상기 불평탄영역은 상호 인접하게 마련되는 드럼형 세탁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탈수공은, 상기 평탄영역 및 상기 불평탄영역 사이에 마련되는 제4탈수공을 더 포함하는 드럼형 세탁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영역 또는 상기 불평탄영역은, 상기 제1탈수공 또는 상기 제2탈수공의 양측에 마련되는 드럼형 세탁장치.
KR1020190103436A 2019-08-23 2019-08-23 드럼형 세탁장치 KR20210023347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436A KR20210023347A (ko) 2019-08-23 2019-08-23 드럼형 세탁장치
PCT/KR2020/011124 WO2021040320A1 (en) 2019-08-23 2020-08-20 Drum-type washing apparatus
EP20857713.0A EP3963130A4 (en) 2019-08-23 2020-08-20 DRUM WASHING MACHINE
CN202080059003.6A CN114269979A (zh) 2019-08-23 2020-08-20 滚筒式洗涤装置
US16/999,283 US11629447B2 (en) 2019-08-23 2020-08-21 Drum-type wash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3436A KR20210023347A (ko) 2019-08-23 2019-08-23 드럼형 세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3347A true KR20210023347A (ko) 2021-03-04

Family

ID=74646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436A KR20210023347A (ko) 2019-08-23 2019-08-23 드럼형 세탁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629447B2 (ko)
EP (1) EP3963130A4 (ko)
KR (1) KR20210023347A (ko)
CN (1) CN114269979A (ko)
WO (1) WO2021040320A1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4554A (ko) * 2001-07-05 2003-01-15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세탁기의 내조 구조
DE102006010179A1 (de) * 2005-12-28 2007-07-05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Wäschetrommel
CN101845739B (zh) * 2009-03-23 2013-08-07 海尔集团公司 具有高效率洗涤和脱水结构的洗衣机内桶
EP2372010B1 (en) * 2010-04-01 2016-09-21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Rotatable drum for laundry washing machines and assembly method of the rotatable drum
WO2014058202A1 (en) * 2012-10-10 2014-04-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CN104420124B (zh) 2013-08-29 2018-05-22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内桶及洗衣机
KR102295607B1 (ko) * 2014-03-07 2021-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이에 구비되는 세탁조의 제조방법
KR102396321B1 (ko) * 2016-07-12 2022-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WO2018012852A1 (ko) 2016-07-12 2018-01-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EP3412823B1 (en) * 2017-06-08 2022-03-30 LG Electronics Inc. Drum of laundry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63130A1 (en) 2022-03-09
EP3963130A4 (en) 2022-06-22
WO2021040320A1 (en) 2021-03-04
US20210054555A1 (en) 2021-02-25
CN114269979A (zh) 2022-04-01
US11629447B2 (en) 202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99611B1 (en) Washing machine
US8991219B2 (en) Washing machine with reservoirs in the ribs for balancing and wash sprays
US20070028654A1 (en) Drum washing machine
EP1143059B1 (en) Washing machine with balancer
US20040103693A1 (en) Gasket and washing machine using the same
US20040123634A1 (en) Drum-type washing machine
KR20100018239A (ko) 볼밸런서 및 이를 구비한 세탁장치
KR20080040944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US20030061843A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KR20150072169A (ko) 세탁기
JP2011104211A (ja) 洗濯機
KR101003352B1 (ko) 밸런서를 구비한 세탁기
KR20210023347A (ko) 드럼형 세탁장치
KR20140120549A (ko) 세탁기
US11299840B2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362369B1 (ko) 밸런서를 구비한 세탁기
US11162208B2 (en)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23179189A1 (zh) 滚筒洗衣机
WO2022116543A1 (zh) 洗衣机
US11505888B2 (en) Clothing treatmen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JP2023035692A (ja) 洗濯機
KR20000007694U (ko) 드럼세탁기의 드럼
KR101586309B1 (ko) 드럼세탁기
KR20140065896A (ko) 세탁기
KR20110009533A (ko) 세탁물 처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