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4733B1 - 유산균을 이용한 유용성분 함량이 증가된 시금치 및 콩 발효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산균을 이용한 유용성분 함량이 증가된 시금치 및 콩 발효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4733B1
KR102394733B1 KR1020200014587A KR20200014587A KR102394733B1 KR 102394733 B1 KR102394733 B1 KR 102394733B1 KR 1020200014587 A KR1020200014587 A KR 1020200014587A KR 20200014587 A KR20200014587 A KR 20200014587A KR 102394733 B1 KR102394733 B1 KR 102394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nach
fermented
soybean
content
increa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4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0802A (ko
Inventor
신홍식
Original Assignee
(주)케비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비젠 filed Critical (주)케비젠
Priority to KR1020200014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4733B1/ko
Publication of KR20210100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0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50Fermented pulses or legumes; Fermentation of pulses or legumes based on the addition of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16Flavonoids, isoflavones
    • A23V2250/21172Soy Isoflavones, daidzein, geniste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8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69Plantarum
    • A23Y2220/67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산균을 이용한 유용성분 함량이 증가된 시금치 및 콩 발효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시금치 발효물은 L-아스코르브산 함량이 증가되고 콩 발효물은 다이드제인, 제니스테인 및 글리시테인 함량이 증가되어, 여성갱년기 증상 완화, 장 기능 또는 비만 개선 등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에 더욱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유산균을 이용한 유용성분 함량이 증가된 시금치 및 콩 발효물의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fermented spinach and fermented soybean with increased effective component content using lactic acid bacteria}
본 발명은 유산균을 이용한 유용성분 함량이 증가된 시금치 및 콩 발효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산균은 인간이 이용할 수 있는 가장 유익한 미생물 중의 한 종류로서, 비병원성균으로 인간의 장내에 서식하면서 정장 및 정균작용을 할 수 있고 당류를 발효해서 다량의 젖산을 생성하고 낮은 pH 및 혐기적인 조건에서도 잘 생육하며 여러 가지 영양물질을 요구하는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유산균에 의해 채소류가 발효되면 독특한 향과 맛을 내게 되어 관능적 특성이 향상되고, 유기산에 의하여 비타민 C(vitamin C)와 여러 생리활성물질이 잘 보존되며, 초기 재료에는 거의 존재하지 않았던 비타민 B12와 비타민 K가 생합성되어 부패균과 병원성균의 성장과 증식을 저해하여 위생적인 식품이 되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시금치(Spinacia oleracea)는 남해지방의 특산물로 명아주과에 속하는 1년생 작물로서, 원산지는 중앙아시아이고 재배지는 북부 온대지방으로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내한성이 강하고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는 특성이 있다. 시금치는 다른 채소에 비해 비타민 A, B1, B2와 비타민 C, 섬유질, 요오드 외에 특히 DNA 합성에 필수적인 영양성분으로 알려진 엽산이 풍부하여 암의 예방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시금치에 비타민과 섬유소뿐만 아니라 항산화, 항암, 면역증강 활성 등을 나타내는 루테인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이 보고되어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활용가치가 매우 높은 농산물로 평가되고 있다.
콩(Glycine max L.)은 우리나라의 주요 식량작물로서 단백질(약 40%)과 지질(약 20%)을 다량 함유하여 영양면에서 우수한 식품이며, 중요한 식물성 기름의 원료이기도 하다. 콩은 된장, 청국장, 고추장, 간장 등의 발효제품, 콩나물 같은 발아제품과 두유, 두부, 식용유 등 기타 제품의 형태로 가공되어 식품으로서의 이용도가 높고, 또한 의약품, 화장품, 비누 등 공업용 제품의 원료로서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콩은 주요 영양적 기능 외에도 인체에 유익한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이들 영양성분과 생리활성 물질의 분석기법 확립 및 국내ㆍ외 유용자원에 대한 체계적 검토는 향후 국내 식량작물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주요 요소로 작용할 것이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820507호에는 '우엉-시금치 복합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며, 한국공개특허 제2015-0024121호에는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발아된 콩 종자의 이소플라본 함량과 항산화능이 증가된 콩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유산균을 이용한 유용성분 함량이 증가된 시금치 및 콩 발효물의 제조방법'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개시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시금치 및 콩에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CBG-C21(Lactobacillus plantarum CBG-C21) 균주를 각각 접종하여 시금치 발효물 및 콩 발효물을 제조하였을 때, 발효 전에 비해 시금치 발효물의 경우 L-아스코르브산(L-ascorbic acid) 함량이 현저하게 증가되고, 콩 발효물의 경우 아글리콘형 이소플라본인 다이드제인(daidzein), 제니스테인(genistein) 및 글리시테인(glycitein) 함량이 현저하게 증가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금치 또는 콩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용성분 함량이 증가된 시금치 발효물 또는 콩 발효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유용성분 함량이 증가된 시금치 발효물 또는 콩 발효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용성분 함량이 증가된 시금치 발효물 또는 콩 발효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산균을 이용하여 제조한 시금치 발효물은 L-아스코르브산 함량이 증가되고 콩 발효물은 다이드제인, 제니스테인 및 글리시테인 함량이 증가되어, 여성갱년기 증상 완화, 장 기능 또는 비만 개선 등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에 더욱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시금치 즙액에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CBG-C21(Lactobacillus plantarum CBG-C21) 균주를 접종하여 제조한 시금치 발효물 분말의 L-아스코르브산(L-ascorbic acid) 함량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금치 또는 콩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용성분 함량이 증가된 시금치 발효물 또는 콩 발효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용성분 함량이 증가된 시금치 발효물 또는 콩 발효물의 제조 방법에서, 상기 시금치 및 콩은 추출물, 즙 또는 분말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준비될 수 있고, 준비된 시금치 또는 콩 시료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함으로써 시금치 발효물 및 콩 발효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금치는 시금치 및 물을 혼합하고 분쇄하여 제조한 시금치 즙액에 유산균을 접종한 것일 수 있고, 상기 콩은 콩 분말 및 물을 혼합하여 콩물로 제조하고 유산균을 접종한 것일 수 있으며, 이들을 발효함으로써 시금치 발효물 및 콩 발효물을 제조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균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기탁번호가 KACC92083P인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CBG-C21(Lactobacillus plantarum CBG-C21) 균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시금치 발효물 내에 함량이 증가된 유용성분은 L-아스코르브산(L-ascorbic acid)이고, 상기 콩 발효물 내에 함량이 증가된 유용성분은 아글리콘형 이소플라본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다이드제인(daidzein), 제니스테인(genistein) 및 글리시테인(glycitein)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발효는 32~42℃에서 2~28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시금치 발효의 경우 37℃에서 23시간 동안 수행한 것일 수 있고, 콩 발효의 경우 37℃에서 4~6시간 동안 수행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1) 시금치 즙액 또는 콩물을 멸균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멸균한 시금치 즙액 또는 콩물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2)의 시금치 발효물 또는 콩 발효물을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시금치 즙액 또는 콩물을 100~120℃에서 10~20분 동안 멸균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멸균한 시금치 즙액에 2.2×107~2.2×109 CFU/㎖의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CBG-C21 균주를 접종하거나 콩물에 5.9×1010~5.9×1012 CFU/g의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CBG-C21 균주를 접종하여 32~42℃에서 2~28시간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2)의 시금치 발효물 또는 콩 발효물을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 시금치 즙액 또는 콩물을 121℃에서 15분 동안 멸균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멸균한 시금치 즙액에 2.2×108 CFU/㎖의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CBG-C21 균주를 접종하여 37℃에서 23시간 동안 발효하거나 콩물에 5.9×1011 CFU/g의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CBG-C21 균주 농축액을 콩물 중량 대비 10%를 접종하여 37℃에서 4~6시간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2)의 시금치 발효물 또는 콩 발효물을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유용성분 함량이 증가된 시금치 발효물 또는 콩 발효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유용성분 함량이 증가된 시금치 발효물 또는 콩 발효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시금치 발효물 또는 콩 발효물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떡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금치 발효물은 발효 전 시금치 즙액에 비해 L-아스코르브산의 함량이 증가되고, 콩 발효물은 발효 전 콩물에 비해 다이드제인, 제니스테인 및 글리시테인의 함량이 증가된 것으로, 상기 유용성분들의 여성갱년기 증상 완화, 장 기능 또는 비만 개선 및 항산화 기능을 이용한 다양한 건강기능식품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발포정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시금치 발효물 또는 콩 발효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시금치 발효물 또는 콩 발효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은 그의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발명의 시금치 발효물 또는 콩 발효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의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는 범위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를 포함한다. 예컨대,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 이외에 천연 탄수화물 또는 향미제를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예컨대,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등), 디사카라이드(예컨대, 말토스, 수크로오스 등), 올리고당, 폴리사카라이드(예컨대,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 또는 당알코올(예컨대,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쓰리톨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예컨대,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와 합성 향미제(예컨대,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첨가되는 성분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시금치 발효물 제조
90.97g의 시금치를 칭량하여 210㎖의 정제수와 혼합하여 시금치의 함량이 30%(w/v)가 되도록 한 후 믹서기로 10분간 분쇄하여 획득한 시금치 즙액을 pH 7.0으로 보정하였다. 보정한 시금치 즙액에 2%(w/v) 포도당 및 1%(w/v) 카제인 펩톤을 첨가한 후 121℃에서 15분간 가압멸균하였다. 발효 균주인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CBG-C21 균주를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획득한 배양액(1.1×1010 CFU/㎖)을 이용하였다. 상기 멸균한 시금치 즙액에 CBG-C21 균주 배양액 2%(2.2×108 CFU/㎖)를 접종하여 37℃에서 23시간 동안 정치배양하여 발효를 수행하였다. 배양이 완료된 시금치 발효물에서 CBG-C21 균주의 생균수(3.9×109 CFU/㎖)를 확인하고 시금치 발효물에 덱스트린을 첨가한 후, 동결건조하여 분말화 하였다.
제조예 2. 콩 발효물 제조
백태 분말을 칭량하여 정제수를 이용하여 10%(w/v) 콩물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10%(w/v) 콩물을 121℃에서 15분간 가압멸균하였다. 발효 균주인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CBG-C21 균주를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원심분리하여 생균수 5.9×1011 CFU/g 농축액을 이용하였다. 콩 발효를 위해 고형분 함량 기준으로 균체 및 콩을 1:9의 혼합비율로 적용하여 실시하였으며 이를 위해 균주 농축액 657g과 10% 콩물 13,920g을 혼합하여 37℃에서 4~6시간동안 정치배양하여 발효를 수행했다. 배양이 완료된 배양액을 동결건조하여 분말화 하였다.
실시예 1. 시금치 발효물 내의 L-아스코르브산 함량 분석
시금치 즙액 분말과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시금치 발효물 분말을 대상으로 L-아스코르브산(L-ascorbic acid) 함량을 측정하였다. L-아스코르브산 함량은 Megazyme assay kit(Megazyme Lt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100mg의 시료에 3%(w/v) 메타인산(metaphosphoric acid) 및 10mM EDTA(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60분간 균질화하여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여과한 상등액을 사용하였다. 10㎕의 여과한 상등액에 152㎕의 3차 증류수 및 버퍼 1을 혼합하고 3분 후 MTT[3-(4,5-dimethylthiazolyl-2) -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버퍼 2를 넣고 3분간 반응시켰으며,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578nm에서 1차 흡광도(A1)를 측정하고, PMS(5-methylphenazinium methyl sulfate) 버퍼를 넣고 8분 동안 반응시킨 후 578nm에서 2차 흡광도(A2)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개시한 바와 같이 시금치 즙액 분말(0.16 g/100g)에 비해 시금치 발효물 분말(0.22 g/100g)에서 L-아스코르브산 함량이 37.5%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콩 발효물 내의 이소플라본 함량 분석
백태 콩 분말과 제조예 2에서 제조한 콩 발효물 분말을 대상으로 이소플라본 함량을 측정하였다. 이소플라본 함량은 HPLC 분석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시료를 0.1g씩 개별 칭량한 후 50%(v/v) 에탄올 1ml을 첨가하고 1시간 동안 초음파 추출을 진행하였다. 획득한 추출액을 원심분리를 실시하여 상층액만을 취하였으며, Agilent 1200 HPLC 장비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은 Multi-wavelength detector를 사용하고 분석 컬럼으로는 Shiseidotkdml CapcellPAK MGII C18(4.6X200mm ID, 3um)를 사용하였으며 이때 컬럼 온도는 35℃를 유지하였다. 15㎕의 추출액을 기기에 주입하고 용매로는 0.5% 포름산 수용액 및 아세토니트릴을 시간에 따라 농도 구배를 실시했으며 이때 용매의 흐름 속도는 0.5ml/min였다. 그 결과, 하기 표 1에 개시한 바와 같이 백태콩 분말에 비해 콩 발효물 분말에서 이소플라본 아글리콘(비배당체) 형태인 다이드제인(daidzein), 제니스테인(genistein) 및 글리시테인(glycitein)의 함량이 각각 약 16배, 10배 및 5배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콩 발효물 내의 이소플라본 함량
시료 이소플라본(㎍/g)
다이드진 제니스틴 다이드제인 제니스테인 글리시테인
백태콩 분말 499.59±4.75 1,009.43±6.42 61.14±0.44 60.80±0.50 34.79±0.25
백태콩
발효 분말
142.60±3.33 24.23±4.37 973.53±13.21 605.54±2.72 172.47±2.50
농업생명공학연구원 KACC92083P 20150710

Claims (6)

  1. 시금치에 기탁번호가 KACC92083P인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CBG-C21(Lactobacillus plantarum CBG-C21) 균주를 접종하여 32~42℃에서 2~28시간 동안 발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L-아스코르브산(L-ascorbic acid) 함량이 증가된 시금치 발효물의 제조 방법.
  2. 콩에 기탁번호가 KACC92083P인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CBG-C21(Lactobacillus plantarum CBG-C21) 균주를 접종하여 32~42℃에서 2~28시간 동안 발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이드제인(daidzein), 제니스테인(genistein) 및 글리시테인(glycitein) 함량이 증가된 콩 발효물의 제조 방법.
  3. 삭제
  4. 제1항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L-아스코르브산(L-ascorbic acid) 함량이 증가된 시금치 발효물.
  5. 제2항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다이드제인(daidzein), 제니스테인(genistein) 및 글리시테인(glycitein) 함량이 증가된 콩 발효물.
  6. 제4항의 L-아스코르브산(L-ascorbic acid) 함량이 증가된 시금치 발효물 또는 제5항의 다이드제인(daidzein), 제니스테인(genistein) 및 글리시테인(glycitein) 함량이 증가된 콩 발효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KR1020200014587A 2020-02-07 2020-02-07 유산균을 이용한 유용성분 함량이 증가된 시금치 및 콩 발효물의 제조방법 KR102394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587A KR102394733B1 (ko) 2020-02-07 2020-02-07 유산균을 이용한 유용성분 함량이 증가된 시금치 및 콩 발효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587A KR102394733B1 (ko) 2020-02-07 2020-02-07 유산균을 이용한 유용성분 함량이 증가된 시금치 및 콩 발효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802A KR20210100802A (ko) 2021-08-18
KR102394733B1 true KR102394733B1 (ko) 2022-05-06

Family

ID=77464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587A KR102394733B1 (ko) 2020-02-07 2020-02-07 유산균을 이용한 유용성분 함량이 증가된 시금치 및 콩 발효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47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8230B1 (ko) 2022-08-19 2022-11-18 주식회사 레이어스코스메틱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를 이용한 원료의 발효 방법
KR102555674B1 (ko) 2022-11-04 2023-07-18 주식회사 한미양행 갈색거저리 유충 및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4723B1 (ko) * 2017-06-02 2019-05-02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균주와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균주로 혼합발효되고 우수한 기호성과 증진된 가바 함량 및 증진된 기능성을 갖는 여주-과채 발효음료
KR101983041B1 (ko) * 2017-08-08 2019-05-29 신홍식 베리를 이용한 유산균 발효 방법 및 이의 용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8230B1 (ko) 2022-08-19 2022-11-18 주식회사 레이어스코스메틱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를 이용한 원료의 발효 방법
KR20220158657A (ko) 2022-08-19 2022-12-01 주식회사 레이어스코스메틱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를 이용한 원료의 발효 방법
KR20220158656A (ko) 2022-08-19 2022-12-01 주식회사 레이어스코스메틱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를 이용한 원료의 발효 방법
KR102555674B1 (ko) 2022-11-04 2023-07-18 주식회사 한미양행 갈색거저리 유충 및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효소처리물을 함유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802A (ko) 202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25679A (ko) 유산균을 이용한 유용성분 함량이 증가된 사과 발효 포스트바이오틱스의 제조방법
KR102214532B1 (ko) 석류 유산균 발효물을 이용한 건강식품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KR102394733B1 (ko) 유산균을 이용한 유용성분 함량이 증가된 시금치 및 콩 발효물의 제조방법
KR20150132616A (ko)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Chen et al. Traditional food, modern food and nutritional value of Sea 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 L.): A review
KR100998575B1 (ko)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콩요구르트(쏘이프로)와 식물추출발효액(면역유산효소)을 함유하는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KR20220025680A (ko) 유산균을 이용한 유용성분 함량이 증가된 도라지 발효 포스트바이오틱스의 제조방법
KR20190024420A (ko) 기호성과 유산균의 생균수를 향상시킨 콩요구르트의 제조방법
KR20220136107A (ko) 유용성분 함량이 증가된 알로에 유산균 발효물 및 상기 발효물을 이용한 알로에 발효 포스트바이오틱스 유산균의 제조방법
KR20200099743A (ko) Gaba생성 유산균과 단기임산물을 이용한 음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71169B1 (ko) 신규 김치유산균 Weissella cibaria MFST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대추씨 조성물
KR20180057754A (ko) 항아토피 활성을 가진 발효대사체 조성물
KR20220025678A (ko) 유산균을 이용한 유용성분 함량이 증가된 새싹보리 발효 포스트바이오틱스의 제조방법
KR101498226B1 (ko) 유청과 표고버섯 자실체 추출물의 혼합 발효를 통한 기능성 음료의 제조방법
KR20220025681A (ko) 유산균을 이용한 유용성분 함량이 증가된 크랜베리 발효 포스트바이오틱스의 제조방법
KR20050053351A (ko) 배당체 가수분해능을 가진 신규한 미생물, 이를 함유한프로바이오틱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45127A (ko) 보리를 포함하는 gaba 함유량이 높은 요구르트 제조용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요구르트
KR101494664B1 (ko) 항산화 기능을 갖는 산수유 발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451631B1 (ko) 한국형 유산균인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브 케이-110을이용하여 감마-아미노부 틸산과 식물성에스트로젠을강화한 대두 발효물의 제조방법
KR101014872B1 (ko) 복합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중독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30080923A (ko) 병풀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병풀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식품 조성물
KR102342814B1 (ko) 굼벵이 엑기스 발효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84091B1 (ko) 베리류를 함유하는 발효유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발효유
KR20200013327A (ko) 콩 발효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70923B1 (ko) 블루베리 및 흑미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