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4477B1 - 양액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양액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4477B1
KR102394477B1 KR1020210123403A KR20210123403A KR102394477B1 KR 102394477 B1 KR102394477 B1 KR 102394477B1 KR 1020210123403 A KR1020210123403 A KR 1020210123403A KR 20210123403 A KR20210123403 A KR 20210123403A KR 102394477 B1 KR102394477 B1 KR 102394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ilter
tank
raw water
supply line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3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원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워터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워터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워터닉스
Priority to KR1020210123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44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4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4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145Ultra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ultrafiltration or microfil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2031/006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with means for recycling the nutritive sol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6Use of chemical agents
    • B01D2321/168Use of other chemical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8Use of gases
    • B01D2321/185A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는 양액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양액이 공급되는 재배조와 연통되어 상기 재배조에서 배출되는 양액 원수가 집수되는 원수탱크와, 길이방향으로 긴 길이를 가지되, 일단부에 유입구 및 연통구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제1 배출구 및 제2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원수가 메인필터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1 배출구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여과되도록 하는 메인필터와, 상기 메인필터와 연결되며, 상기 메인필터를 거쳐 여과 처리된 정수가 저장되는 여과탱크와, 상기 메인필터의 연통구와 연결되며, 메인필터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와, 상기 메인필터와 연결되며, 내부에 세척약품이 수용된 CIP탱크를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양액이 공급되는 재배조와 연통되어 재배조에서 배출되는 양액을 수집한뒤, 상기 양액이 필터링되어 재사용되도록 함으로써 경제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양액 재생 장치 {recycling device for nutrient}
본 발명은 양액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액이 공급되는 재배조와 연통되어 재배조에서 배출되는 양액이 재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양액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액재배란 용액재배(solution culture)라고도 하며, 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양분을 공급하는 것과 별개로 피트모스, 펄라이트, 버미큘라이트, 암면, 경석, 훈탄(燻炭), 톱밥, 자갈, 모래 등으로 만든 고형배지(固形培地)를 이용하여 작물이 생육하는 환경을 인위적으로 조성하여 작물을 생육하는 재배법을 말한다.
이러한 양액재배에서 양액을 공급하는 방법은 크게 비순환식 공급방법과, 순환식 공급방법으로 나뉜다.
비순환식 공급방법은 작물의 생장에 필요한 영양분이 포함된 양액을 양액베드로 공급한 후 양액베드에서 배출되는 잉여 양액을 폐기하는 것이고, 순환식 공급방법은 양액을 양액베드로 공급한 후 양액 베드에서 배출되는 잉여 양액을 다시 양액베드로 공급하여 재사용하는 방법이다.
상기 비순환식 공급방법은 양액이 토양이나 수자원을 오염시키므로 양액의 폐기규제가 엄격하고 관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어 최근에는 순환식 공급방법을 활용하는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23211호
이에 본 발명은 양액이 공급되는 재배조와 연통되어 재배조에서 배출되는 양액을 수집한뒤, 상기 양액이 1, 2차에 거쳐 필터링됨으로써 재활용되는 양액 재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는 양액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양액이 공급되는 재배조와 연통되어 상기 재배조에서 배출되는 양액 원수가 집수되는 원수탱크; 길이방향으로 긴 길이를 가지되, 일단부에 유입구 및 연통구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제1 배출구 및 제2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원수가 메인필터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1 배출구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여과되도록 하는 메인필터; 상기 메인필터와 연결되며, 상기 메인필터를 거쳐 여과 처리된 정수가 저장되는 여과탱크; 상기 메인필터의 연통구와 연결되며, 메인필터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 상기 메인필터와 연결되며, 내부에 세척약품이 수용된 CIP탱크; 상기 원수탱크와 메인필터의 유입구 사이에 연결되는 원수공급라인; 상기 원수공급라인에 설치되어 원수탱크에 수용된 원수를 압송하는 제1 펌프; 상기 원수공급라인에 설치되어 원수공급라인을 통과하는 원수를 1차 필터링 하는 여과필터; 상기 메인필터의 제1 배출구와 여과탱크 사이에 연결되며, 메인필터를 통과하면서 필터링된 정수를 여과탱크로 이송하는 정수이송라인; 상기 메인필터의 제2 배출구에 연결되며, 메인필터를 통과하되 여과되지 않은 원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1 배수라인; 상기 메인필터의 제1 배출구와 상기 여과탱크 사이에 연결되는 정수공급라인; 상기 정수공급라인에 설치되어 여과탱크에 수용된 정수를 메인필터 내부로 압송하는 제2펌프; 상기 메인필터의 연통구와 상기 에어공급부 사이에 연결되는 에어공급라인; 상기 메인필터의 유입구에 연결되는 제2 배수라인; 일단이 상기 원수공급라인에서 분기되며 타단은 상기 CIP탱크와 연결되는 약품공급라인; 상기 메인필터의 제1, 2 배출구와 CIP탱크 사이에 연결되는 약품회수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액 재생 장치가 CIP 충전모드인 경우, 상기 제1 펌프가 작동되면, 상기 원수탱크에서 이송된 원수는 원수공급라인을 통해 메인필터로 유입되고, 상기 메인필터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정수는 상기 메인필터의 제1 배출구를 통과하게 되며, 제1 배출구와 연결된 약품회수라인을 통해 CIP탱크로 이송되어 상기 CIP탱크 내부에 정수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양액이 공급되는 재배조와 연통되어 재배조에서 배출되는 양액을 수집한뒤, 상기 양액이 필터링되어 재사용되도록 함으로써 경제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된 양액을 여과하여 재순환시켜 사용함으로써 양액이 폐수로 처리되지 않으므로 폐수 처리 비용을 절감하게 되며,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액 재생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액 재생 장치가 여과모드인 경우의 작동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액 재생 장치가 역세모드인 경우의 작동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액 재생 장치가 에어 세정모드인 경우의 작동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액 재생 장치가 약품 세정모드인 경우의 작동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액 재생 장치가 CIP 충전모드인 경우의 작동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액 재생 장치가 CIP드레인모드인 경우의 작동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액 재생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액 재생 장치(100)는, 원수탱크(T1), 여과필터(F1), 메인필터(F2), 여과탱크(T2), 에어공급부(A), CIP탱크(T3)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원수탱크(T1)는 양액이 공급되는 재배조와 연통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재배조에서 배출되는 양액이 집수되는 저장탱크이다.(이하에서는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상기 원수탱크에 집수된 양액을 '원수'라 한다.)
이어서, 상기 여과필터(F1)는 상기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1차 필터링 하는 요소이다.
상기 메인필터(F2)는 상기 여과필터에 의해 1차 필터링된 원수를 2차 필터링 하는 요소이다.(이하에서는 상기 원수탱크로부터 공급되어 여과필터, 메인필터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원수를 '정수'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메인필터는 울트라필터인 것으로, 상기 메인필터는 길이방향으로 긴 길이를 가지며, 메인필터의 일단부에 형성된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원수가 메인필터 내부를 통과하여 메인필터의 타단부에 형성된 제1 배출구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필터링되도록 마련된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메인필터는 수직방향으로 긴 길이를 가지는 하우징(부호미표시)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엘리먼트(도면미도시)를 포함하며, 엘리먼트 내부로 유입된 유체(1차 필터링된 원수)가 엘리먼트 외부를 통과하면서, 엘리먼트 외측으로 여과된 정수만 배출되는 구조로 마련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의 일단부에는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22)와, 상기 메인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정수가 머무는 공간부와 연통된 연통구(124)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타단부에는, 상기 메인필터(엘리먼트)에 의해 필터링된 정수가 배출되는 제1 배출구(126)와, 메인필터를 통과하였으나 필터링되지 못한 원수가 배출되는 제2 배출구(128)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상기 엘리먼트 내부 일방향으로만 유입되도록 하는 격벽 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정수가 엘리먼트의 내부에서 외부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엘리먼트의 역세척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이러한 메인필터의 구조는 이미 널리 알려진 관용적인 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 여과탱크(T2)는 상기 메인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정수가 저장되는 요소이다.
상기 에어공급부(A)는 상기 메인필터를 세척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에어공급부는 상기 메인필터의 연통구(124)에 연결되어, 메인필터 내부로 에어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CIP탱크(T3)는 메인필터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약품이 수용된 저장용기이다.
상기 CIP탱크는 상기 메인필터의 유입구(122) 및 메인필터의 제1, 2 배출구(126,128)와 연통되어, CIP탱크에서 메인필터로 공급된 세척약품이 메인필터를 거쳐 다시 CIP탱크 내부로 회수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원수탱크, 여과탱크, CIP탱크에는 탱크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레벨센서가 장착된다.
상기 레벨센서는 원수탱크, 여과탱크, CIP탱크의 상, 하단에 각각 장착되어 탱크 내부에 수용된 유체의 수위를 감지하는 상, 하위레벨센서를 포함하며, 각각의 레벨센서가 감지됨에 따라 특정 밸브가 자동으로 동작되도록 마련된다.
한편, 이러한 원수탱크(T1), 여과필터(F1), 메인필터(F2F), 여과탱크(T2), 에어공급부(A), CIP탱크(T3)는 배관라인에 의해 상호 연결되며, 상기 배관라인에는 각각의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밸브가 장착된다.
상기 배관라인은, 원수공급라인(L1), 정수이송라인(L2), 제1 배수라인(L3), 정수공급라인(L4), 제2 배수라인(L5), 에어공급라인(L6), 약품공급라인(L7), 약품회수라인(L8), 제3 배수라인(L9)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유체가 이송되는 방향을 전방으로 하여 본 발명에 설치되는 배관라인 및 밸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원수공급라인(L1)은 상기 원수탱크와 메인필터의 유입구(122) 사이에 연결되어 원수탱크에 수용된 원수를 메인필터로 이송시키는 요소이다.
상기 원수공급라인에는 원수탱크에 수용된 원수를 메일필터 측으로 압송하는 제1 펌프(P1)가 설치된다.
상기 제1 펌프(P1)의 후단측 원수공급라인에는 제1 밸브(V1)가 장착된다.
상기 제1 밸브(V1)는 원수탱크(T1)와 제1 펌프(P1) 사이에 장착되어 원수탱크에서 제1 펌프로 압송되는 유체가 이송되거나 혹은 이송되지 않도록 유로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원수공급라인에는 상기 원수공급라인을 통과하는 원수를 1차 필터링 하는 여과필터(F1)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여과필터(F1)는 제1 펌프(P1)의 전방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여과필터의 후단측 원수공급라인에는 제2 밸브(V2)가 장착된다.
상기 제2 밸브(V2)는 여과필터(F1)와 메인필터(F2)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여과필터와 메인필터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정수이송라인(L2)은, 상기 메인필터(F2)의 제1 배출구(126)와 여과탱크(T2)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필터를 거쳐 2차 필터링된 정수를 여과탱크로 이송하기 위한 요소이다.
상기 정수이송라인에는 상기 정수이송라인을 개폐하는 제3 밸브(V3)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정수이송라인의 실시례로서, 상기 정수이송라인(L2)에는 식물의 성장에 도움을 주는 성분이 함유된 필터가 추가 장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산화아연이 내장된 필터를 정수이송라인에 장착하였다.
상기 정수가 상기 필터를 통과하면서, 상기 정수에는 적정량의 산화아연이 녹아들게 된다.
상기 산화아연은 식물체 내에서 발생하는 유해한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효소 구성 성분으로, 망가니즈나 마그네슘 등과 같이 효소를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더욱 상세히, 식물체내에서 아연 결핍시, 단백질 합성이 억제되어 엽록체에 그라나의 발육이 나빠지고 동시에 액포가 발생하며 식물의 잎에는 갈색의 작은 반점이 나타나고 잎이 작아지면서 생육이 저해된다. 또한, 잎맥과 잎맥 사이에 황백화 현상이 나타나서 담녹색이나 흰색에 가까운 황색을 띄게 되는데,
상기 산화아연이 내장된 필터는 위와같은 현상을 억제할뿐만 아니라 식물에 영양분을 공급하고, 식물 주위에 서식하는 곰팡이균 및 각종무해균을을 제거하고 식물의 성장을 촉진하여 식물의 수확량과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이어서, 상기 메인필터(F2)의 제2 배출구(128)에는 제1 배수라인(L3)이 연결된다.
상기 제1 배수라인(L3)은 메인필터를 통과하되, 상기 메인필터에서 여과되지 않은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요소이다.
상기 제3 배수라인(L3)에는 상기 제3 배수라인을 개폐하는 제1 드레인밸브(D1)가 장착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3 배수라인은, 제2 드레인밸브(D2)가 장착된 자동라인(부호미표시)과, 제3 드레인밸브(D3)가 장착된 수동라인(부호미표시)으로 분기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제2 드레인밸브(D2)는 전자제어로 동작하는 밸브이고, 제3 드레인밸브(D3)는 작업자에 의해 수동 제어되는 밸브이며, 작업자는 필요에 따라 제2, 3 드레인밸브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마련된다.
다음으로, 정수공급라인(L4)은 상기 메인필터의 제1 배출구(126)와 상기 여과탱크(T2) 사이에 연결되는 요소이다.
상기 정수공급라인(L4)에는 여과탱크에 수용된 정수를 메인필터의 제1 배출구로 압송하는 제2 펌프(P2)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의 정수공급라인은, 정수이송라인(L2)에서 일단이 분기되어 메인필터의 제1 배출구(126)와 연통되도록 마련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어서, 제2 배수라인(L5)은 상기 메인필터의 유입구(122)에 연결되어, 메인필터 역세척시, 메인필터 내부의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요소이다.
상기 제2 배수라인(L5)에는 제2 배수라인을 개폐하는 제4 밸브(V4)가 장착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2 배수라인의 일단부가 원수공급라인에서 분기되도록 하고, 분기지점의 양단에 제2 밸브와 제4 밸브를 각각 장착함으로써, 상기 제4 밸브가 개폐됨에 따라 원수공급라인의 일부구간이 제2 배수라인으로 활용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일단부가 상기 유입구(122)와 연결된 제2 배수라인의 타단부가 제3 배수라인과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제2 배수라인을 통해 배출되는 이물질이 제3 배수라인에 형성된 자동라인 및 수동라인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에어공급라인(L6)은 에어공급부(A)와 상기 메인필터 사이에 연결되는 요소이다.
상기 에어공급라인은 상기 메인필터의 연통구(124)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필터 내부로 에어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에어공급라인에는 에어공급라인을 개폐하는 제5 밸브(V5)가 장착된다.
다음으로, 상기 약품공급라인(L7)은 상기 CIP탱크(T3)와 원수공급라인(L1)를 서로 연결하는 요소이며, 상기 약품공급라인에는 약품공급라인을 개폐하는 제6 밸브(V6)가 장착된다.
상기 약품공급라인(L7)은, CIP탱크(T3)에 수용된 세척약품을 상기 메인필터의 유입구(122)를 통해 메인필터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요소인 것으로, 상기 약품공급라인은 제1 펌프의 후단측 원수공급라인에 연결되어 CIP탱크(T3)에 수용된 세척약품이 제1펌프의 구동력에 의해 메인필터로 압송되도록 한다.
상기 약품공급라인(L7)에는 약품공급라인을 개폐하는 제6 밸브(V6)가 장착된다.
이어서, 상기 약품회수라인(L8)은 상기 메인필터의 제1, 2 배출구(126, 128)와 CIP탱크(T3)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약품공급라인(L7)을 통해 메인필터(F2) 내부로 유입된 세척약품이 다시 CIP탱크로 회수되도록 하는 요소이다.
상기 약품회수라인(L8)은, 상기 메인필터의 제2 배출구(128)와 CIP탱크(T3)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약품회수라인(부호미표시)과, 상기 메인필터의 제1 배출구(126)와 CIP탱크(T3)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약품회수라인(부호미표시)를 포함하며, 각각의 약품회수라인에는 약품회수라인을 개폐하는 제7, 8 밸브(V7, V8)가 장착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CIP탱크에는, CIP탱크 내부에 수용된 세척용액을 배출하는 제3 배수라인(L9)이 연결되며, 상기 제3 배수라인에는 제3 배수라인을 개폐하기 위한 제4 드레인밸브(D4)가 장착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양액 재생 장치(100)는 여과모드, 역세모드, 에어 세정모드, 약품 세정모드, CIP 충전모드, CIP드레인모드를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각 모드에 따른 작동방법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여과모드인 경우의 작동도이다.
상기 여과모드는 원수탱크에 수용된 원수가 여과필터(F1), 메인필터(F2)를 순차적으로 거쳐 여과된 후, 정수상태로 여과탱크(T2)에 저장되도록 하는 모드이다.
이때, 제1 밸브(V1), 제2 밸브(V2), 제3 밸브(V3), 제1 드레인밸브(D1), 제3 드레인밸브(D3)가 개방되며, 5초 후에 제1 펌프(P1)가 자동으로 구동되도록 마련된다.
이에 따라 원수탱크에 수용된 원수는 원수공급라인(L1)을 통해 여과필터를 거친후 메인필터의 유입구(122)로 유입된다.
이후 메인필터에서 필터링된 정수는 정수이송라인(L2)을 통해 여과탱크(T2)로 이송되며, 메인필터를 통과한 원수는 제1 배수라인(L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제3 드레인밸브(D3)는 5% 정도 개방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여과모드는 원수탱크의 상위레벨이 감지되고, 여과탱크의 하위레벨이 동시에 감지되면 가동되도록 설정되며,
상기 여과탱크의 상위레벨이 감지되거나 원수탱크의 하위레벨이 감지되면 작동을 멈추도록 설정된다.
도 3은 본 발명이 역세모드인 경우의 작동도이다.
상기 역세모드는 메인필터 내부를 세정하기 위한 모드인 것으로, 여과탱크에 수용된 정수가 메인필터를 통과하면서 메인필터 내부에 잔류하는 이물질과 함께 제2 배수라인을 통해 배출되도록 마련된다.
이때, 상기 제4 밸브(V4), 제2 드레인밸브(D2)가 개방되고, 5초 후 제2 펌프가 1분 동안 작동되도록 마련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여과탱크에 수용된 정수는 정수공급라인(L4)를 통해 메인필터로 이송되며, 메인필터를 통과하여 이물질과 함께 제2 배수라인(L5)을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도 4는 본 발명이 에어 세정모드인 경우의 작동도이다.
상기 에어 세정모드는 에어를 활용하여 메인필터 내부를 세정하기 위한 모드이다.
이때, 상기 제1 밸브, 제2 밸브, 제5 밸브, 제1 드레인밸브, 제2 드레인밸브가 개방되고, 5초 후 1분 동안 제1 펌프가 작동되도록 마련된다.
이에 따라 에어공급부에서 공급된 에어는 에어공급라인(L6)을 통해 메인필터 내부로 공급되고, 이후 원수탱크에 수용된 원수는 제1 펌프의 구동력에 의해 메인필터측으로 압송된다.
상기 에어는 연통구(124)를 통해 유입되고, 원수는 유입구(122)를 통해 메인필터 내부로 유입되므로, 메인필터를 통과한 원수는 메인필터의 엘리먼트에 잔류하는 이물질과 함께 제2 배출구(128) 및 제1 배수라인(L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5는 본 발명이 약품 세정모드인 경우의 작동도이다.
상기 약품 세정모드는, 세척약품을 활용하여 메인필터 내부를 세정하기 위한 모드이다.
이때, 상기 제2 밸브, 제6 밸브, 제7 밸브, 제8 밸브가 개방되고, 5초 후 제1 펌프가 작동되는 것으로, 상기 약품 세정모드의 제1 펌프는 10분 가동 후 5분 정지하며, 상기의 과정을 4회 반복 실시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제1 펌프가 작동됨에 따라 상기 CIP탱크(T3)에 수용된 세척약품은 약품공급라인(L7) 및 원수공급라인(L1)을 거쳐 유입구(122)를 통해 메인필터 내부로 유입된다.
이후 상기 메인필터를 통과한 세척약품은 제1, 2 배출구(126, 128)을 통과하여 약품회수라인(L8)을 통해 CIP탱크로 회수된다.
즉, 세척약품이 CIP탱크와 메인필터를 순환하는 과정을 통해 메인필터 내부가 세정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이 CIP 충전모드인 경우의 작동도이다.
상기 CIP 충전모드는, CIP탱크 내부에 세척약품을 충전하는 모드이다.
상기 CIP 충전모드에서, 세척약품은 별도의 과정을 통해 CIP탱크 내부에 주입되고, 세척약품을 희석시키기 위한 정수는 상기 원수탱크에서 메인필터를 거쳐 필터링 된 이후, CIP탱크 내부로 공급되도록 마련된다.
이때, 상기 제1 밸브, 제2 밸브, 제8 밸브, 제1 드레인밸브, 제3 드레인밸브가 개방되고, 5초 후 1분 동안 제1 펌프가 작동된다.
상기 제1 펌프가 작동되면, 상기 원수탱크에서 이송된 원수는 원수공급라인(L1)을 통해 메인필터로 유입되고, 상기 메인필터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정수는 상기 메인필터의 제1 배출구(126)를 통과하며, 제1 배출구와 연결된 약품회수라인(제2 약품회수라인)을 통해 CIP탱크로 이송된다.
또한, 상기 메인필터를 통과한 원수는 제2 배출구(128) 및 제1 배수라인(L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7은 본 발명이 CIP드레인모드인 경우의 작동도이다.
상기 CIP드레인모드는 CIP탱크(T3) 내부에 수용된 세척약품을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이다.
상기 CIP드레인모드에서 제4 드레인밸브(D4)가 개방되며, 이에 따라 CIP탱크 내부에 수용된 세척약품은 제3 배수라인(L9)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례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례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양액재생장치
T1: 원수탱크
T2: 여과탱크
T3: CIP탱크
F1: 여과필터
F2: 메인필터
122: 유입구
124: 연통구
126: 제1 배출구
128: 제2 배출구
A: 에어공급부
L1: 원수공급라인
L2: 정수이송라인
L3: 제1 배수라인
L4: 정수공급라인
L5: 제2 배수라인
L6: 에어공급라인
L7: 약품공급라인
L8: 약품회수라인
L9: 제3 배수라인
D1: 제1 드레인밸브
D2: 제2 드레인밸브
D3: 제3 드레인밸브
D4: 제4 드레인밸브
V1: 제1 밸브
V2: 제2 밸브
V3: 제3 밸브
V4: 제4 밸브
V5: 제5 밸브
V6: 제6 밸브
V7: 제7 밸브
V8: 제8 밸브

Claims (2)

  1. 양액이 공급되는 재배조와 연통되어 상기 재배조에서 배출되는 양액 원수가 집수되는 원수탱크;
    길이방향으로 긴 길이를 가지되, 일단부에 유입구 및 연통구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제1 배출구 및 제2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원수가 메인필터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제1 배출구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여과되도록 하는 메인필터;
    상기 메인필터와 연결되며, 상기 메인필터를 거쳐 여과 처리된 정수가 저장되는 여과탱크;
    상기 메인필터의 연통구와 연결되며, 메인필터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
    상기 메인필터와 연결되며, 내부에 세척약품이 수용된 CIP탱크;
    상기 원수탱크와 메인필터의 유입구 사이에 연결되는 원수공급라인;
    상기 원수공급라인에 설치되어 원수탱크에 수용된 원수를 압송하는 제1 펌프;
    상기 원수공급라인에 설치되어 원수공급라인을 통과하는 원수를 1차 필터링 하는 여과필터;
    상기 메인필터의 제1 배출구와 여과탱크 사이에 연결되며, 메인필터를 통과하면서 필터링된 정수를 여과탱크로 이송하는 정수이송라인;
    상기 정수이송라인에 장착되는 것으로, 내부에 산화아연이 내장된 필터;
    상기 메인필터의 제2 배출구에 연결되며, 메인필터를 통과하되 여과되지 않은 원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1 배수라인;
    상기 메인필터의 제1 배출구와 상기 여과탱크 사이에 연결되는 정수공급라인;
    상기 정수공급라인에 설치되어 여과탱크에 수용된 정수를 메인필터 내부로 압송하는 제2펌프;
    상기 메인필터의 연통구와 상기 에어공급부 사이에 연결되는 에어공급라인;
    상기 메인필터의 유입구에 연결되는 제2 배수라인;
    일단이 상기 원수공급라인에서 분기되며 타단은 상기 CIP탱크와 연결되는 약품공급라인;
    상기 메인필터의 제1, 2 배출구와 CIP탱크 사이에 연결되는 약품회수라인; 을 포함하되,
    약품 세정모드인 경우,
    상기 제1 펌프가 작동됨에 따라 상기 CIP탱크에 수용된 세척약품은 약품공급라인 및 원수공급라인을 거쳐 유입구를 통해 메인필터 내부로 유입되고, 이후 상기 메인필터를 통과한 세척약품은 제1, 2 배출구를 통과하여 약품회수라인을 통해 CIP탱크로 회수되며,
    CIP 충전모드인 경우,
    상기 제1 펌프가 작동되면, 상기 원수탱크에서 이송된 원수는 원수공급라인을 통해 메인필터로 유입되고, 상기 메인필터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정수는 상기 메인필터의 제1 배출구를 통과하게 되며, 제1 배출구와 연결된 약품회수라인을 통해 CIP탱크로 이송되어 상기 CIP탱크 내부에 정수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액 재생 장치.
  2. 삭제
KR1020210123403A 2021-09-15 2021-09-15 양액 재생 장치 KR102394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403A KR102394477B1 (ko) 2021-09-15 2021-09-15 양액 재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403A KR102394477B1 (ko) 2021-09-15 2021-09-15 양액 재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4477B1 true KR102394477B1 (ko) 2022-05-04

Family

ID=81584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3403A KR102394477B1 (ko) 2021-09-15 2021-09-15 양액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447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586A (ko) * 1999-07-27 1999-10-05 김명호 수경재배용수 재활용방법
JP2012200456A (ja) * 2011-03-25 2012-10-22 Mitsubishi Heavy Industries Food & Packaging Machinery Co Ltd 殺菌剤溶液の処理方法および殺菌剤溶液の処理装置
KR101609587B1 (ko) * 2015-12-11 2016-04-06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굿모닝푸드 콩나물 재배장치
KR102223211B1 (ko) 2020-10-06 2021-03-0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넥스트온 양액 재활용 여과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586A (ko) * 1999-07-27 1999-10-05 김명호 수경재배용수 재활용방법
JP2012200456A (ja) * 2011-03-25 2012-10-22 Mitsubishi Heavy Industries Food & Packaging Machinery Co Ltd 殺菌剤溶液の処理方法および殺菌剤溶液の処理装置
KR101609587B1 (ko) * 2015-12-11 2016-04-06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굿모닝푸드 콩나물 재배장치
KR102223211B1 (ko) 2020-10-06 2021-03-0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넥스트온 양액 재활용 여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3845B1 (ko) 침적막형 여과설비의 청정방법
KR101317699B1 (ko) 폐양액 재처리장치
CN102598948B (zh) 沼液灌溉防堵系统及方法
KR102202862B1 (ko) 빗물을 중수도 수준으로 정화하여 저장하는 빗물순환 시스템
CN213950682U (zh) 一种无加药、无动力反洗的饮用水超滤系统
KR101300796B1 (ko) 강우유출수의 선택적 처리 및 재활용을 위한 레인가든 시스템
KR102394477B1 (ko) 양액 재생 장치
EP0669159A1 (en) Back wash method for filtration modules using internally pressurized hollow fibers
KR102223211B1 (ko) 양액 재활용 여과장치
KR102264042B1 (ko) 순환식 양액 재이용 시스템
KR101228564B1 (ko) 지하수 및 계곡물의 정수시스템 및 정수방법
KR20190141944A (ko) 필터 세정구조를 갖는 정수시스템
CN209193653U (zh) 水体处理系统
JP3027575B1 (ja) 水耕栽培装置
CN102470325B (zh) 过滤膜模块清洁方法和清洁设备
JP4974003B2 (ja) 潅水施肥装置の濾過装置洗浄方法
KR100697649B1 (ko) 여과기가 내장된 간이 상수도용 물탱크
JPH08229362A (ja) 浸漬型膜濾過装置における膜の薬液洗浄方法及び薬液洗浄装置
RU45591U1 (ru) Тепличный комплекс
CN208857125U (zh) 一种高效灭菌的三格式化粪池
KR200383104Y1 (ko) 양식장용 여과 시스템
CN114573076A (zh) 一种无加药、无动力反洗的饮用水超滤系统及运行方法
CN206345723U (zh) 一种人工湿地填料再生净化系统
KR100993164B1 (ko) 수중지하 정수처리장치
KR101517724B1 (ko) 폐액 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