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3382B1 - 피부용 클렌저 - Google Patents

피부용 클렌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3382B1
KR102393382B1 KR1020160021658A KR20160021658A KR102393382B1 KR 102393382 B1 KR102393382 B1 KR 102393382B1 KR 1020160021658 A KR1020160021658 A KR 1020160021658A KR 20160021658 A KR20160021658 A KR 20160021658A KR 102393382 B1 KR102393382 B1 KR 102393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ortion
contact
skin
stopper
out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1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9518A (ko
Inventor
명준오
곽택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60021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3382B1/ko
Publication of KR20170099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9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4Mechanical washing or cleaning devices, hand or mechanically, i.e. power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2Head
    • A61H2205/022Fa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피부용 클렌저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용 클렌저는 사용자가 손에 쥐고 조작 및 사용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운동 가능한 브러시가 구비되어 피부와 접촉되는 접촉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접촉유닛은 피부의 굴곡진 윤곽에 따라 접촉면적을 가변시켜 피부의 세정 또는 마사지 기능을 수행하도록 사용자의 선택적인 조작에 따라, 복수개의 접촉부가 동심 축 상에서 다단으로 돌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용 클렌저{CLEANSER FOR SKIN}
본 발명은 피부용 클렌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피부접촉 부위에 따라 접촉면적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피부용 클렌저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자신의 외모나 피부 관리에 대한 지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일반적으로 피부 관리는 미용실이나, 피부 관리실 혹은 화장품 가게 등과 같은 미용과 관련된 업소에서 피부 미용 전문가로부터 직접 메이크업이나 마사지 등을 받아서 행하고 있다.
그러나 피부나 미용에 관심이 있는 사람일지라도 계속적으로 피부 관리실 등에 직접 방문하여 피부를 관리 받는 것은 시간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여유가 없는 일반인들에게는 용이하지 않다.
또한 여성의 경우에는 화장을 자주하기 때문에 클렌징 크림 등을 이용하여 화장을 지우는 일이 매일매일 반복적으로 행해지고 있으나, 주로 얼굴에 클렌징 크림을 도포한 후에 계속해서 손으로 문지르는 단순 동작을 반복적으로 실시해야 하므로, 피부 관리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피부 세정하거나 마사지를 할 수 있는 기기나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고,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이른바 클렌저가 제안 및 개발되고 있었다.
클렌저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특허 10-1056507호(양방향 진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피부 세정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는 회전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원통캠, 진동축 및 다수개의 솔로 구성된 접촉부를 포함하여, 진동이 안정적으로 발생해서 피부 마사지 및 세정 능력이 향상되고, 적은 힘으로도 장시간 피부를 마사지하거나 세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클렌저는 피부를 마사지하거나 세정하기 위한 사용 시, 피부의 굴곡진 윤곽에 따른 접촉면적의 변화에 대응하기가 어려워 세정 혹은 마사지 기능이 보다 효과적이 못한 단점이 있다.
또한, 피부의 좁은 접촉면적은 클렌저를 이용한 마사지 및 세정이 어려워 사용자가 클렌저를 사용한 후, 손으로 직접 마사지 및 세정을 해야하는 바, 번거로움이 발생되어 상품성이 저하되는 등의 단점도 내포하고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되는 접촉부를 동심 축 상에서 다단으로 돌출되게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부접촉부위에 맞게 선택적으로 조절해 사용이 가능하여 마사지 또는 세정 기능을 향상시키고,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피부용 클렌저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용 클렌저는 사용자가 손에 쥐고 조작 및 사용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운동 가능한 브러시가 구비되어 피부와 접촉되는 접촉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접촉유닛은 피부의 굴곡진 윤곽에 따라 접촉면적을 가변시켜 피부의 세정 또는 마사지 기능을 수행하도록 사용자의 선택적인 조작에 따라, 복수개의 접촉부가 동심 축 상에서 다단으로 돌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유닛은 상기 본체부로부터 일정부분 돌출되며, 상면에는 상기 브러시가 구비되는 제1 접촉부; 상기 제1 접촉부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접촉부와 동심 축 상에서 상기 제1 접촉부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면에는 상기 브러시가 구비되는 제2 접촉부; 상기 제2 접촉부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접촉부와 동심 축 상에서 상기 제2 접촉부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면에는 상기 브러시가 구비되는 제3 접촉부; 상기 제3 접촉부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3 접촉부와 동심 축 상에서 상기 제3 접촉부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면에는 상기 브러시가 구비되는 제4 접촉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접촉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장착되며, 상기 접촉부 각각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다단으로 구비된 제1, 제2, 및 제3 작동로드가 구비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촉부에는 상기 제2 접촉부가 삽입되는 홀의 내주면에 제1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가이드 홈의 상단에는 제1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촉부에는 상기 제1 스토퍼에 대응하여 하단 외주면에 걸림돌기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촉부에는 상기 제3 접촉부가 삽입되는 홀의 내주면에 제2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가이드 홈의 상단에는 제2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 접촉부에는 상기 제2 스토퍼에 대응하여 하단 외주면에 걸림돌기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접촉부에는 상기 제4 접촉부가 삽입되는 홀의 내주면에 제3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3 가이드 홈의 상단에는 제3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4 접촉부에는 상기 제3 스토퍼에 대응하여 하단 외주면에 걸림돌기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각각의 제1, 제2, 및 제3 작동로드를 다단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고, 선택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사용자가 손에 쥐고 사용할 수 있도록 전체 형태가 핸드 피스(hand-piece) 형태로 구성되고, 사용자가 손에 쥔 상태에서, 상기 접촉유닛을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작동버튼이 구비되될 수 있다.
상기 작동버튼은 상기 제1, 제2, 및 제3 작동로드가 선택적으로 전진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는 전진버튼; 상기 제1, 제2, 및 제3 작동로드를 선택적으로 후진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는 후진버튼; 상기 제1, 제2, 및 제3 작동로드 중, 전진 작동된 하나의 작동로드가 선택적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는 회전버튼; 및 상기 접촉유닛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용 클렌저에 의하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되는 접촉부를 동심 축 상에서 다단으로 돌출되게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부접촉부위에 맞게 선택적으로 조절해 사용이 가능하여 마사지 또는 세정 기능을 향상시키도록 하여 클렌저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피부의 굴곡진 윤곽에 따른 접촉면적의 변화에 따른 대응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마사지 또는 세정을 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용 클렌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용 클렌저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용 클렌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용 클렌저(100)는 사용자의 피부접촉 부위에 따라 접촉면적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용 클렌저(100)는,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110)와 접촉유닛(12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본체부(110)는 사용자가 손에 쥐고 사용할 수 있도록 전체적인 형상이 핸드 피스(hand-piece)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0)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손에 쥐고 조작 및 사용하도록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0)는 예를 들면, 땅콩 껍질 형상이나 혹은 호리병 형상을 가지며, 전체적인 형태가 핸드 피스(hand-piece)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후술될 접촉유닛(120)을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에서 상기 접촉유닛(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작동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작동버튼에 대해서는 접촉유닛(120)의 설명 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접촉유닛(120)은 상기 본체부(110)의 일단부에 설치되며, 운동 가능한 브러시(B)가 구비되어 피부와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유닛(120)은 피부의 굴곡진 윤곽에 따라 접촉면적을 가변시켜 피부의 세정 또는 마사지 기능을 수행하도록 사용자의 선택적인 조작에 따라, 복수개의 접촉부가 동심 축 상에서 다단으로 돌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촉유닛(120)은 제1 접촉부(122), 제2 접촉부(124), 제3 접촉부(126), 제4 접촉부(128), 및 액추에이터(130)를 포함 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1 접촉부(122)는 상기 본체부(110)로부터 일정부분 돌출되며, 상면에는 상기 브러시(B)가 구비된다. 이러한 제1 접촉부(120)는 전체적인 형상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접촉부(124)는 상기 제1 접촉부(122)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2 접촉부(124)는 상기 제1 접촉부(122)와 동심 축 상에서 상기 제1 접촉부(122)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제2 접촉부(124)는 전체적인 형상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브러시(B)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접촉부(122)에는 상기 제2 접촉부(124)가 삽입되는 홀의 내주면에 제1 가이드 홈(G1)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가이드 홈(G1)의 상단에는 제1 스토퍼(122a)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접촉부(124)에는 상기 제1 스토퍼(122a)에 대응하여 하단 외주면에 걸림돌기(122b)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접촉부(124)는 상기 제1 접촉부(122)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었다가, 돌출될 경우에 상기 제2 접촉부(124)의 걸림돌기(124a)가 상기 제1 가이드 홈(G1)에 삽입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접촉부(124)의 걸림돌기(124a)는 상기 제1 스토퍼(122a)의 하부에 접촉됨으로써, 더 이상 전진 이동이 중단된다.
즉, 상기 제1 스토퍼(122a)는 상기 제2 접촉부(124)가 일정높이 이상 돌출되면서, 상기 제1 접촉부(12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접촉부(126)는 상기 제2 접촉부(124)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3 접촉부(126)는 상기 제2 접촉부(124)와 동심 축 상에서 상기 제2 접촉부(124)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제3 접촉부(126)는 전체적인 형상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브러시(B)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접촉부(124)에는 상기 제3 접촉부(124)가 삽입되는 홀의 내주면에 제2 가이드 홈(G2)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가이드 홈(G2)의 상단에는 제2 스토퍼(124b)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접촉부(126)에는 상기 제2 스토퍼(124b)에 대응하여 하단 외주면에 걸림돌기(126a)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3 접촉부(126)는 상기 제2 접촉부(124)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었다가, 돌출될 경우에 상기 제3 접촉부(126)의 걸림돌기(126a)가 상기 제2 가이드 홈(G2)에 삽입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3 접촉부(126)의 걸림돌기(126a)는 상기 제2 스토퍼(124b)의 하부에 접촉됨으로써, 더 이상 전진 이동이 중단된다.
즉, 상기 제2 스토퍼(124b)는 상기 제3 접촉부(126)가 일정높이 이상 돌출되면서, 상기 제2 접촉부(124)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4 접촉부(128)는 상기 제3 접촉부(126)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4 접촉부(128)는 상기 제3 접촉부(126)와 동심 축 상에서 상기 제3 접촉부(126)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제4 접촉부(128)는 전체적인 형상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브러시(B)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3 접촉부(126)에는 상기 제4 접촉부(128)가 삽입되는 홀의 내주면에 제3 가이드 홈(G3)이 형성되며, 상기 제3 가이드 홈(G3)의 상단에는 제3 스토퍼(126b)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접촉부(128)에는 상기 제3 스토퍼(126b)에 대응하여 하단 외주면에 걸림돌기(128a)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4 접촉부(128)는 상기 제3 접촉부(126)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었다가, 돌출될 경우에 상기 제4 접촉부(128)의 걸림돌기(128a)가 상기 제3 가이드 홈(G3)에 삽입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4 접촉부(128)의 걸림돌기(128a)는 상기 제3 스토퍼(126b)의 하부에 접촉됨으로써, 더 이상 전진 이동이 중단된다.
즉, 상기 제3 스토퍼(126b)는 상기 제4 접촉부(128)가 일정높이 이상 돌출되면서, 상기 제3 접촉부(126)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액추에이터(130)는 상기 본체부(110)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접촉부(122, 124, 126, 128)에 대응하는 위치에 장착된다. 이러한 액추에이터(130)는 상기 각 접촉부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다단으로 구비된 제1, 제2, 및 제3 작동로드(R1, R2, R3)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작동로드(R1)는 그 외경이 상기 제3 접촉부(126)의 외경보다 큰 외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 작동로드(R2)는 그 외경이 상기 제1 작동로드(R1)의 외경보다는 작고, 상기 제4 접촉부(128)의 외경보다 큰 외경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3 작동로드(R3)는 그 외경이 상기 제2 작동로드(R2)의 외경보다는 작고, 상기 제4 접촉부(128)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액추에이터(130)의 작동 시, 상기 제1 작동로드(R1)는 상기 제2 접촉부(124)와 원활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 작동로드(R2)는 상기 제3 접촉부(126)와 원활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3 작동로드(R3)는 상기 제4 접촉부(128)와 원활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액추에이터(130)는 각각의 제1, 제2, 및 제3 작동로드(R1, R2, R3)를 다단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고, 선택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액추에이터(130)는 전원 공급 여부에 따라 작동하는 전동 액추에이터로서, 실린더와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각 작동로드의 전, 후진 작동 및 회전 작동은 기히 공지된 공지기술에 해당됨으로 이하 그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본체부(110)에 구비되는 상기 작동버튼은 전진버튼(112), 후진버튼(114), 회전버튼(116), 및 전원버튼(118)을 포함한다.
상기 전진버튼(112)은 상기 제1, 제2, 및 제3 작동로드(R1, R2, R3)가 선택적으로 전진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13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전진버튼(112)을 한번 누르면, 상기 제1 작동로드(R1)가 전진되고, 다시 한번 누르면, 상기 제1 작동로드(R1)가 상승된 상태에서, 제2 작동로드(R2)가 전진되며, 또 다시 누르면, 상기 제1, 제2 작동로드(R1, R2)가 상승된 상태에서, 제3 작동로드(R3)가 전진된다.
상기 후진버튼(114)은 상기 제1, 제2, 및 제3 작동로드(R1, R2, R3)를 선택적으로 후진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13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1, 제2, 및 제3 작동로드(R1, R2, R3)가 전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후진버튼(114)을 한번 누르면, 상승된 상태의 상기 제3 작동로드(R3)가 후진되고, 다시 한번 누르면, 상기 제2 작동로드(R2)가 후진되며, 또 다시 누르면, 상기 제3 작동로드(R3)가 후진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작동로드(R1)만 상승된 상태, 또는 상기 제1, 제2 작동로드(R1, R2)만 상승되었을 경우, 사용자가 상기 후진버튼(114)을 조작하면, 상승된 상태의 작동로드만 후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버튼(116)은 상기 제1, 제2, 및 제3 작동로드(R1, R2, R3) 중, 전진 작동된 하나의 작동로드가 선택적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130)를 작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버튼(118)은 상기 접촉유닛(120)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즉, 사용자는 피부용 클렌저(100)를 사용 시, 상기 전원버튼(118)을 조작하여 클렌저(100)를 작동 ON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용 클렌저(100)의 작동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용 클렌저의 사용 상태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피부 접촉면적이 가장 넓은 부분을 세정 또는 마사지할 경우에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전원버튼(118)을 조작하여 클렌저(100)를 작동ON 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접촉부(122, 124, 126, 128)는 동일한 높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버튼(116)의 조작여부에 따라 회전되면서 접촉되는 피부를 세정 또는 마사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피부의 굴곡진 윤곽에 따라 피부 접촉면적이 일정량만큼 좁아지면 사용자가 상기 전진버튼(112)을 한번 누르게 된다.
그러면,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접촉부(124)는 전진 작동하는 제1 작동로드(R1)에 의해 상기 제1 접촉부(122)로부터 돌출된다. 이 때, 상기 제3, 및 제4 돌출부(126, 128)는 제2 접촉부(124)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접촉부(124)는 상기 제1 접촉부(122)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었다가, 돌출될 경우에 상기 제2 접촉부(124)의 걸림돌기(124a)가 상기 제1 가이드 홈(G1)에 삽입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접촉부(124)의 걸림돌기(124a)는 상기 제1 스토퍼(122a)의 하부에 접촉됨으로써, 더 이상 전진 이동이 중단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촉부(122)로부터 제2 접촉부(124)의 상승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상기 회전버튼(116)을 조작하여 상기 제2, 제3, 및 제4 접촉부(124, 126, 128)를 회전시킴으로써, 피부를 세정 또는 마사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피부의 굴곡진 윤곽에 따라 피부 접촉면적이 일정량만큼 더 좁아지면 사용자가 상기 전진버튼(112)을 한번 더 누르게 된다.
그러면,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3 접촉부(126)는 전진 작동하는 제2 작동로드(R2)에 의해 상기 제2 접촉부(124)로부터 돌출된다. 이 때, 상기 제4 돌출부(128)는 제3 접촉부(126)와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3 접촉부(126)는 상기 제2 접촉부(124)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었다가, 돌출될 경우에 상기 제3 접촉부(126)의 걸림돌기(126a)가 상기 제2 가이드 홈(G2)에 삽입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3 접촉부(126)의 걸림돌기(126a)는 상기 제2 스토퍼(124a)의 하부에 접촉됨으로써, 더 이상 전진 이동이 중단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촉부(124)로부터 제3 접촉부(126)의 상승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상기 회전버튼(116)을 조작하여 상기 제3, 및 제4 접촉부(126, 128)를 회전시킴으로써, 피부를 세정 또는 마사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피부의 굴곡진 윤곽에 따라 피부 접촉면적이 일정량만큼 더 좁아지면서, 작은 피부 접촉면적을 세정 또는 마사지 할 경우, 사용자는 상기 전진버튼(112)을 한번 더 누르게 된다.
그러면,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4 접촉부(128)는 전진 작동하는 제3 작동로드(R3)에 의해 상기 제3 접촉부(126)로부터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제4 접촉부(128)는 상기 제3 접촉부(126)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었다가, 돌출될 경우에 상기 제4 접촉부(128)의 걸림돌기(128a)가 상기 제3 가이드 홈(G3)에 삽입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4 접촉부(128)의 걸림돌기(128a)는 상기 제3 스토퍼(126a)의 하부에 접촉됨으로써, 더 이상 전진 이동이 중단될 수 있다.
상기 제3 접촉부(126)로부터 제4 접촉부(128)의 상승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상기 회전버튼(116)을 조작하여 상기 제4 접촉부(128)를 회전시킴으로써, 아주 좁은 피부 접촉면적을 갖는 피부를 세정 또는 마사지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는 반대로, 피부 접촉면적이 좁은 부분에서 넓은 부분으로 변경될 경우, 사용자는 상기 후진버튼(114)을 조작함으로써, 상기 제4 접촉부(128), 또는 제3, 제4 접촉부(126, 128), 또는 제2, 제3, 및 제4 접촉부(124, 126, 128)를 전술한 바와 반대로 후진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의 피부 접촉면적의 크기에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상기 제2, 제3, 및 제4 접촉부(124, 126, 128)를 이용해 보다 효율적으로 피부의 세정 또는 마사지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용 클렌저(100)를 적용하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되는 접촉부를 동심 축 상에서 다단으로 돌출되게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부접촉부위에 맞게 선택적으로 조절해 사용이 가능하여 마사지 또는 세정 기능을 향상시키도록 하여 클렌저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피부의 굴곡진 윤곽에 따른 접촉면적의 변화에 따른 대응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마사지 또는 세정을 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클렌저
110 : 본체부
112 : 전진버튼
114 : 후진버튼
116 : 회전버튼
118 : 전원버튼
120 : 접촉유닛
122 : 제1 접촉부
122a : 제1 스토퍼
124 : 제2 접촉부
124a : 제2 접촉부의 걸림돌기
124b : 제2 스토퍼
126 : 제3 접촉부
126a : 제3 접촉부의 걸림돌기
126b : 제3 스토퍼
128 : 제4 접촉부
128a : 제4 접촉부의 걸림돌기
130 : 액추에이터
R1,R3, R3 : 제1, 제2, 및 제3 작동로드
G1, G2, G3 : 제1, 제2, 및 제3 가이드 홈

Claims (11)

  1. 사용자가 손에 쥐고 조작 및 사용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운동 가능한 브러시가 구비되어 피부와 접촉되는 접촉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접촉유닛은 피부의 굴곡진 윤곽에 따라 접촉면적을 가변시켜 피부의 세정 또는 마사지 기능을 수행하도록 사용자의 선택적인 조작에 따라, 복수개의 접촉부가 다단으로 돌출되도록 개별 이동 가능하며, 이동 이후에 스토퍼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클렌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유닛은
    상기 본체부로부터 일정부분 돌출되며, 상면에는 상기 브러시가 구비되는 제1 접촉부;
    상기 제1 접촉부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접촉부와 동심 축 상에서 상기 제1 접촉부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면에는 상기 브러시가 구비되는 제2 접촉부;
    상기 제2 접촉부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접촉부와 동심 축 상에서 상기 제2 접촉부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면에는 상기 브러시가 구비되는 제3 접촉부;
    상기 제3 접촉부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3 접촉부와 동심 축 상에서 상기 제3 접촉부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면에는 상기 브러시가 구비되는 제4 접촉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접촉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장착되며, 상기 접촉부 각각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다단으로 구비된 제1, 제2, 및 제3 작동로드가 구비되는 액추에이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클렌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부에는 상기 제2 접촉부가 삽입되는 홀의 내주면에 제1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가이드 홈의 상단에는 제1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클렌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촉부에는 상기 제1 스토퍼에 대응하여 하단 외주면에 걸림돌기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클렌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촉부에는 상기 제3 접촉부가 삽입되는 홀의 내주면에 제2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가이드 홈의 상단에는 제2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클렌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접촉부에는 상기 제2 스토퍼에 대응하여 하단 외주면에 걸림돌기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클렌저.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접촉부에는 상기 제4 접촉부가 삽입되는 홀의 내주면에 제3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3 가이드 홈의 상단에는 제3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클렌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접촉부에는 상기 제3 스토퍼에 대응하여 하단 외주면에 걸림돌기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클렌저.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각각의 제1, 제2, 및 제3 작동로드를 다단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고,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클렌저.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사용자가 손에 쥐고 사용할 수 있도록 전체 형태가 핸드 피스(hand-piece) 형태로 구성되고, 사용자가 손에 쥔 상태에서, 상기 접촉유닛을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작동버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클렌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버튼은
    상기 제1, 제2, 및 제3 작동로드가 선택적으로 전진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는 전진버튼;
    상기 제1, 제2, 및 제3 작동로드를 선택적으로 후진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는 후진버튼;
    상기 제1, 제2, 및 제3 작동로드 중, 전진 작동된 하나의 작동로드가 선택적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는 회전버튼; 및
    상기 접촉유닛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버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클렌저.
KR1020160021658A 2016-02-24 2016-02-24 피부용 클렌저 KR102393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658A KR102393382B1 (ko) 2016-02-24 2016-02-24 피부용 클렌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658A KR102393382B1 (ko) 2016-02-24 2016-02-24 피부용 클렌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518A KR20170099518A (ko) 2017-09-01
KR102393382B1 true KR102393382B1 (ko) 2022-04-29

Family

ID=59923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1658A KR102393382B1 (ko) 2016-02-24 2016-02-24 피부용 클렌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33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257B1 (ko) 2021-06-15 2021-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디 클렌저
KR102545268B1 (ko) 2022-11-16 2023-06-16 주식회사 에이디씨 진동 패턴을 조절할 수 있는 미용 기기
KR102545267B1 (ko) 2022-11-16 2023-06-16 주식회사 에이디씨 진동 바디 클렌징 장치
KR102557417B1 (ko) 2022-12-12 2023-07-20 주식회사 에이피알 양면이 다른 운동을 하는 진동 클렌저
KR102562259B1 (ko) 2022-12-28 2023-08-01 주식회사 에이피알 편심 회전 이동에 적합한 구조를 가지는 피부 클렌징 장치
KR102557418B1 (ko) 2022-12-28 2023-07-20 주식회사 에이피알 편심 회전 이동을 이용하는 피부 클렌징 장치
KR102547765B1 (ko) 2023-02-14 2023-07-03 주식회사 에이피알 피부 클렌징 장치
KR102649120B1 (ko) 2023-04-11 2024-03-19 주식회사 에이피알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피부 클렌징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988B1 (ko) * 2013-09-06 2014-08-05 아이큐어 주식회사 클렌징기구
US20150359324A1 (en) * 2014-06-13 2015-12-17 L'oreal Wear indicating brush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988B1 (ko) * 2013-09-06 2014-08-05 아이큐어 주식회사 클렌징기구
US20150359324A1 (en) * 2014-06-13 2015-12-17 L'oreal Wear indicating brus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518A (ko) 2017-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3382B1 (ko) 피부용 클렌저
KR101056507B1 (ko) 양방향 진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피부 세정기
CN107019454B (zh) 美容装置
JP5946154B2 (ja) ブラシ及びブラシ体
CN112075748A (zh) 一种自动洗头机
KR20130139571A (ko) 세안용 브러쉬
WO2001056529A2 (en) Facial treatment appliance having a treatment brush which is drivalbe with respect to an axis
JP3069418B2 (ja) 電動歯ブラシ
CN110477790A (zh) 一种背部专用搓背装置及其使用方法
CN110037594A (zh) 智能语音控制洁面仪
CN209153371U (zh) 一种花式搓背机
WO2012147321A1 (ja) 自動ヘッドケア装置及び自動ヘッドケア方法
JPH04341266A (ja) 頭皮マッサージ用ヘアーブラシ
KR960009763Y1 (ko) 전동 때밀이기
KR200394926Y1 (ko) 전동칫솔
US2188449A (en) Cleaning and massaging device
JP3102133U (ja) 電動ボディブラシ
JPH1118819A (ja) 自動洗髪機および洗髪用具
KR20140134054A (ko) 핸디형 피부 마사지기
KR100359982B1 (ko) 두발 세척기
KR20230134279A (ko) 칫솔
JP3422085B2 (ja) 脱毛装置
JP3261149B2 (ja) 脱毛装置
KR200410111Y1 (ko) 전동칫솔
KR200345981Y1 (ko) 전동모발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