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4279A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4279A
KR20230134279A KR1020220031393A KR20220031393A KR20230134279A KR 20230134279 A KR20230134279 A KR 20230134279A KR 1020220031393 A KR1020220031393 A KR 1020220031393A KR 20220031393 A KR20220031393 A KR 20220031393A KR 20230134279 A KR20230134279 A KR 20230134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paste
toothbrush
discharge
passage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1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판규
강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일제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일제이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일제이에스
Priority to KR1020220031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34279A/ko
Publication of KR20230134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42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2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 A46B11/0024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with a permanently displaceable pressurising member that remain in position unless actuated, e.g. lead-screw or ratchet mechanisms, toothpaste tube twisting or rolling devices
    • A46B11/0027Lead-screw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2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 A46B11/0041Flexible or deformable reservoirs, e.g. resilient bulbs, compressible tub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칫솔을 개시한다.
이러한 칫솔은, 손잡이부 및 솔부를 구비한 칫솔 본체와, 상기 칫솔 본체 내측에 형성되며 치약 저장공간 및 치약 배출통로를 구비한 치약 저장부, 그리고 상기 치약 저장부의 상기 치약 저장공간 측에 담겨진 치약을 상기 치약 배출통로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 유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가압구 및 조작구를 구비한 배출 유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칫솔{TOOTHBRUSH}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칫솔은 입안의 치아 및 잇몸 등을 닦아서 세척하는데 사용하는 대표적인 구강용 세척 도구이다.
이러한 칫솔들은 기능이나 형태적으로 다소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이 손잡이부의 단부 측에 칫솔모들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칫솔의 사용 시에는 기본적으로 치약의 사용이 권장되며, 치약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세척과 연계하여 치석 및 입냄새 등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그러므로, 칫솔이 주로 비치되는 장소(예: 세면 부스)에는 대부분 치약이 한 곳에 함께 비치되어 있으며, 근래에는 치약의 사용 편의성 확보를 위하여 칫솔 측에 치약이 일체로 제공되는 기능성 칫솔들도 제시되고 있다.
특히, 치약 일체형의 기능성 칫솔들은 대부분 사용자의 별도 조작에 의해 내부의 치약이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이므로, 조작 편의성의 확보는 물론이거니와, 치약의 안정적인 저장 및 배출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허문헌 000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6609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치약을 구비하여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약 배출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 칫솔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손잡이부 및 솔부를 구비한 칫솔 본체;
상기 칫솔 본체 내측에 형성되며 치약 저장공간 및 치약 배출통로를 구비한 치약 저장부; 및
상기 치약 저장부의 상기 치약 저장공간 측에 담겨진 치약을 상기 치약 배출통로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 유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가압구 및 조작구를 구비한 배출 유도부;
를 포함하는 칫솔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칫솔 본체 내측에 치약이 담겨진 상태로 제공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사용자의 선택적인 조작에 의해 칫솔 외부로 치약을 용이하게 배출 조작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칫솔의 사용 편의성 향상은 물론이거니와, 이로 인한 상품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칫솔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칫솔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 범주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칫솔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11은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일실시 예에 따른 칫솔은, 칫솔 본체(10), 치약 저장부(20) 및 배출 유도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칫솔 본체(10)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손잡이부(12) 및 솔부(14)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손잡이부(12)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은 상태로 양치질할 수 있는 그립감을 부여할 수 있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손잡이부(12)는 예를 들어, 타원 모양의 둘레부를 갖는 원통형의 손잡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출 성형 작업을 형성할 수 있다.
솔부(14)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손잡이부(12)의 길이방향 단부 측에 형성되며, 다수 개의 칫솔모(14a)들이 각각 세워진 상태로 고정된 통상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손잡이부(12)의 재질은 치약(P) 성분에 대한 내성을 가지며, 인체에 무해한 합성수지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솔부(14)의 재질은 치약(P) 성분에 대한 내성을 가지며, 인체에 무해한 합성수지 또는 고무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하되, 더욱 바람직하게는 치아 및 잇몸 세척을 위한 브러싱 기능과 부합하는 재질을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칫솔 본체(10)는 도 3에서와 같이 솔부(14) 측과 대응하는 덮개(16)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덮개(16)는 칫솔 본체(10)의 솔부(14) 측을 외부와 차단하는 상태로 분리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덮개(16)는 도 3에서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홈부(16a)를 내측에 구비하여 이 홈부(16a)의 개방부 측을 통해서 분리 가능하게 끼움 조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치약 저장부(20)는 칫솔 본체(10) 내측에 치약(P) 저장 및 배출을 위한 공간(통로)을 이루는 상태로 형성된다.
즉, 치약 저장부(20)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치약 저장공간(22) 및 치약 배출통로(24)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치약 저장공간(22)은 칫솔 본체(10)의 손잡이부(12) 내측에 일정량의 치약(P) 저장을 위한 공간을 이루는 상태로 형성된다.
치약 저장공간(22)은 손잡이부(12) 내측에 형성되되, 도 2에서와 같이 손잡이부(12) 길이방향을 따라 일단은 개방되고, 타단은 솔부(14) 측을 향하여 연장된 공간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치약 저장공간(22)은 예를 들어, 손잡이부(12)의 타원 모양의 둘레부와 대응하는 타원 모양의 내부 둘레부를 갖는 원통 형태의 공간을 이루는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치약 배출통로(24)는 후술하는 배출 유도부(30)에 의해 치약 저장공간(22) 측의 치약(P)이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이루는 상태로 형성된다.
치약 배출통로(24)는 도 2 및 도 4에서와 같이 치약 저장공간(22)의 연장방향 일단과 서로 연통된 상태로 형성되되, 솔부(14)의 인접 지점 측을 향하여 연장된 통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치약 배출통로(24)는 치약 저장공간(22) 측과 서로 연통된 상태로 타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도 4에서와 같이 통로 둘레부 크기가 점차 작아지는 통로 형태를 이루는 상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치약 배출통로(24)는 후술하는 배출 유도부(30)에 의해 치약 저장공간(22) 측의 치약(P)이 배출될 때, 통로 둘레부 크기가 점차 좁아지게 형성된 통로 구간을 제공하여 치약(P) 배출이 더욱 원활하게 유도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치약 배출통로(24)의 연장 끝단에는 배출홀(H)이 형성되며, 이 배출홀(H)은 도 4를 기준으로 할 때, 칫솔 본체(10)의 외부면 중에서 솔부(14) 경계를 벗어난 인접 지점의 윗면에서 치약 배출통로(24) 측과 서로 연통된 홀부를 이루는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배출 유도부(30)는 치약 저장부(20) 측에 담겨진 치약(P)을 가압력으로 밀어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배출 유도부(30)는 도 2 및 도 5에서와 같이 치약 저장부(20)의 치약 저장공간(22) 측에 배치되는 가압구(32)와, 이 가압구(32)의 가압 동작을 유도하기 위한 조작구(34)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가압구(32)는 치약 저장공간(22) 내에 배치되되, 직선 이동에 의한 가압 동작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가압구(32)는 치약 저장공간(22)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이 공간의 연장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되는 상태로 치약(P) 배출을 위한 가압 동작이 가능하게 세팅될 수 있다.
가압구(32)는 예를 들어, 치약 저장공간(22)의 내측 둘레부와 대응하는 타원 모양의 둘레부를 갖는 피스톤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압부(32) 측이 치약 저장공간(22)의 타원 모양의 둘레부와 대응하는 타원 모양의 둘레부를 갖도록 형성되면, 조작구(34)의 조작에 의해 직선 이동될 때 둘레부 방향으로 회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가압구(32)는 치약 저장공간(22) 내에서 둘레부 접촉면 간의 접촉 간섭 발생을 억제하고, 틈새 시일도 유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가압구(32)는 도 5에서와 같이 일면에 가압면(A)을 구비하고, 치약 저장공간(22) 내측에서 가압면(A)으로 솔부(14) 측을 향하여 치약(P)을 밀 수 있는 상태로 배치된다.
가압면(A)은 가압구(32)의 일면에 형성되되, 도 5에서와 같이 가압구(32)의 둘레부 내에서 대략 원뿔 모양의 홈부면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압면(A)은 예를 들어, 도 6에서와 같이 가압구(32) 측이 가압 동작될 때, 치약 저장공간(22) 둘레부 측의 치약(P)이 공간 중앙부 측으로 모이는 안정적인 상태로 가압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압구(32)의 둘레부 접촉 틈새 사이로 치약(P)이 스며드는 현상도 억제되도록 할 수 있다.
가압구(32)의 재질은 치약 성분에 대한 내성을 가지며, 인체에 무해한 합성수지 또는 금속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조작구(34)는 회전 조작 방식으로 가압구(32)의 직선 가압 동작을 유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조작구(34)는 도 2 및 도 5에서와 같이 가압구(32)의 가압 동작을 유도하기 위한 레버부(36) 및 동력 전달부(38)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레버부(36)는 칫솔 본체(10)의 단부 측에서 치약 저장공간(22)의 개방부 측을 차단하는 상태로 회전 조작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레버부(36)는 도 5에서와 같이 원통 모양의 캡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치약 저장공간(22)의 개방부 측을 차단하는 상태로 칫솔 본체(10)의 단부 측에 배치되되, 캡 둘레부를 따라 정,역 방향으로 회전 조작이 가능한 끼움 결합 상태로 세팅될 수 있다.
이때, 치약 저장공간(22)의 개방부 측은 레버부(36)의 회전 조작과 부합하도록 원형 모양의 둘레부를 갖도록 형성된다.
레버부(36)는 치약 저장공간(22)의 개방부 측에 캡 형태로 회전 조작이 가능하게 세팅되되, 둘레부 끼움 접촉 틈새 측이 별도의 부재(예: 고무링)에 의해 시일 유지가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레버부(36)는 손잡이부(12)의 단부 측에서 둘레부 방향으로 정,역 회전이 가능하게 끼워진 상태로 배치되되, 회전 조작 중에 걸림돌기(E1) 및 걸림홈(E2)들 간에 서로 걸림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걸림돌기(E1)는 레버부(36)의 끼움 둘레부 측에 형성되고, 걸림홈(E2)은 손잡이부(12)의 내주면 측에서 걸림돌기(E1) 측과 대응하는 상태로 복수 개가 간격을 띄우고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돌기(E1) 및 걸림홈(E2)은 레버부(36)의 회전 조작시 돌기부와 홈부 측이 서로 타고 넘는 상태로 걸림 충격을 발생할 수 있는 크기 및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레버부(36)의 회전 조작과 연계하여 걸림돌기(E1)와 걸림홈(E2) 간의 걸림 접촉에 의한 촉감(예: 걸림 횟수)을 통해서 사용자가 레버부(36)의 회전 조작 상태(예: 회전 각도 또는 회전수)를 인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치약(P)의 배출량 조절(조작)을 더욱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동력 전달부(38)는 레버부(36) 측의 회전 조작과 연계하여 회전되되, 가압구(32)의 직선 가압 동작의 유도가 가능하게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동력 전달부(38)는 도 2 및 도 5에서와 같이 축 형태를 가지며 치약 저장공간(22) 내에 배치되되, 축의 일단은 레버부(36)의 둘레부 중앙 지점에 연결 고정되고, 축의 타단은 가압구(32)의 둘레부 중앙 지점을 나사부(S) 결합으로 관통하는 상태로 세팅될 수 있다.
나사부(S)는 동력 전달부(38) 측이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될 때, 이와 연계하여 축선 방향으로 가압구(32)의 직선 가압 동작이 유도될 수 있는 암,수 나사 결합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서와 같이 치약 저장공간(22) 내측에는 지지구(B)를 형성하여, 이 지지구(B)의 홀부(B1) 측에 동력 전달부(38)의 축 자유단 측이 자유 회전이 가능하게 끼워진 상태로 지지되도록 세팅될 수 있다.
지지구(B)는 예를 들어 치약 저장공간(22) 내측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되, 둘레부 틈새를 통해서 치약(P) 배출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핀(B2) 결합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동력 전달부(38)는 치약 저장공간(22) 내측에서 축의 양단이 레버부(36) 및 지지구(B) 측에 고정 지지된 상태에서 도 8에서와 같이 레버부(36)의 회전 조작시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나사부(S)에 의해 가압구(32)의 직선 가압 동작을 유도할 수 있는 동력 전달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동력 전달부(38)는 예를 들어, 도 5에서와 같이 축의 자유단 측에 걸림돌기(C)가 형성되고, 이 걸림돌기(C)는 슬릿 타입의 홈부(C1)를 사이에 두고 두 개로 분할된 돌기 형태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러면, 동력 전달부(38)의 축 자유단 측이 지지구(B)의 홀부(B1) 측에 끼워질 때 걸림돌기(C) 측이 탄력적으로 오므라지는 상태로 끼움 결합될 수 있으므로, 치약 저장공간(22) 내에서 이루어지는 동력 전달부(38) 및 지지구(B) 간의 조립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배출 유도부(30)는 도 8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조작구(34) 즉, 레버부(36)의 회전 조작과 연계하여 동력 전달부(38) 측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가압구(32) 측에 동력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직선 가압 동작을 유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압구(32)의 직선 가압 동작을 유도함으로써, 치약 저장공간(22) 내의 치약(P)을 밀어서 치약 배출통로(24) 및 배출홀(H)을 통해서 도 9에서와 같이 칫솔 본체(10)의 외부면 중에서 솔부(14) 측과 인접한 지점에 치약(P)이 외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치약 저장공간(22) 측에서 치약 배출통로(24) 측으로 배출되는 치약(P)은 지지구(B) 측의 둘레부 접촉 틈새 및 홀부(B1) 접촉 틈새를 통해 배출될 수 있으며, 특히 동력 전달부(38)의 자유단 측에 형성된 슬릿 타입의 홈부(C1)를 통해서 지지구(B)의 홀부(B1) 측으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특히 사용자가 상기와 같이 레버부(36) 측을 일정 각도 또는 1회 이상 선택적으로 회전 조작하는 방식으로 치약(P)의 배출 및 배출량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칫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칫솔은, 배출 가이드부(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배출 가이드부(40)는 치약 저장부(20) 측과 연계하여 치약(P)의 저장 및 배출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배출 가이드부(40)는 도 10에서와 같이 치약 저장부(20)의 치약 배출통로(24) 구간 내에 배치되는 가이드구(42)를 구비하고, 이 가이드구(42)는 치약 배출통로(24) 내측에 작용하는 치약(P) 배출 압력과 연계하여 통로 측을 탄력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 및 세팅된다.
즉, 가이드구(42)는 도 10에서와 같이 경사진 형태의 가이드면(G)을 가지며, 이 가이드면(G)으로 치약 배출통로(24) 측을 차단하는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구(42)는 치약 배출통로(24) 일측과 연통된 상태로 형성된 가이드홈(44) 측에 끼워져서 이 홈부에 의해 개폐 방향이 가이드되도록 세팅된다.
그리고, 가이드홈(44) 측에는 가이드구(42)의 차단 동작을 탄력적으로 유도하기 위한 탄성부재(46)가 설치된다.
탄성부재(46)는 스프링류(예: 압축 코일 스프링)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가이드홈(44) 측에서 가이드구(42) 측을 통로 차단방향을 향하여 탄력적으로 밀 수 있는 상태로 세팅될 수 있다.
그러므로, 가이드구(42)는 치약 배출통로(24) 구간 내에 설치되되, 통로 구간 일측을 탄력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상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배출 가이드부(40)는 배출 유도부(30)의 조작에 의한 치약 저장부(20) 측의 치약(P) 배출 여부에 따라 이와 연계하여 가이드구(42) 측이 탄력적으로 개폐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치약 저장부(20)의 치약 저장공간(22) 측에 담겨진 치약(P)이 가압력에 의해 치약 배출통로(24) 측으로 밀려나는 상태로 배출될 때에는 도 11에서와 같이 가이드구(42) 측이 경사진 가이드면(G) 측에 작용하는 일방향 배출 압력에 의해 후진 이동되면서 치약(P)의 외부 배출이 가능하게 치약 배출통로(24) 측을 개방하는 상태로 동작될 수 있다.
그리고, 개방 동작된 가이드구(42)는 치약 배출통로(24) 측에 배출 압력이 해제되면, 탄성부재(46)의 탄성력에 의해 전진 이동되면서 치약 배출통로(24) 측을 다시 탄력적으로 차단하는 상태로 동작될 수 있다.
즉, 배출 가이드부(40)는 별도의 구동원(예: 모터, 실린더)을 일체 사용하지 않고, 치약 배출통로(24) 측을 간편하게 개방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출 가이드부(40)의 개폐 구조 및 작용에 의하면, 특히 칫솔 본체(10)의 외부면 측에 노출된 상태로 형성된 배출홀(H)을 통해서 외부 이물질이나 타액이 치약 배출통로(24) 측으로 유입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위생 상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칫솔 본체(10) 내측에 치약(P)이 담겨진 칫솔 구조를 제공하되, 특히 사용자의 선택적인 조작에 의해 치약(P)의 외부 배출량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한층 더 향상된 사용 편의성 및 상품성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10: 칫솔 본체 20: 치약 저장부
30: 배출 유도부 40: 배출 가이드부
P: 치약

Claims (6)

  1. 손잡이부 및 솔부를 구비한 칫솔 본체;
    상기 칫솔 본체 내측에 형성되며 치약 저장공간 및 치약 배출통로를 구비한 치약 저장부; 및
    상기 치약 저장부의 상기 치약 저장공간 측에 담겨진 치약을 상기 치약 배출통로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 유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가압구 및 조작구를 구비한 배출 유도부;
    를 포함하는 칫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치약 저장부의 치약 저장공간은,
    상기 칫솔 본체의 내측에서 상기 손잡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공간 둘레부 측이 타원 모양을 이루는 상태로 연장 형성되는 칫솔.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치약 저장부의 치약 배출통로는,
    상기 칫솔 본체 내측에서 상기 치약 저장공간 측과 통로 일단이 서로 연통된 상태로 상기 솔부 측을 향하여 연장되되, 통로 둘레부 크기가 점차 작아지는 통로 형태를 갖도록 연장 형성되는 칫솔.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치약 배출통로는,
    상기 칫솔 본체 내측에서 상기 솔부 측을 향하여 연장되되, 이 솔부의 인접 지점 외부면 측에 배출홀을 갖는 통로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칫솔.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 유도부는,
    상기 가압구 측이 상기 치약 저장공간 내측에서 이 공간의 연장방향을 따라 가압 동작이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조작구의 회전 조작 및 나사부 결합에 의한 동력전달 방식으로 상기 가압구의 가압 동작을 유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칫솔은, 배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출 가이드부는,
    가이드구를 구비하고, 이 가이드구는 상기 배출 유도부의 조작과 연계하여 상기 치약 저장공간 내에 발생하는 치약 배출 압력에 의해 상기 치약 배출통로 측을 탄력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칫솔.
KR1020220031393A 2022-03-14 2022-03-14 칫솔 KR202301342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393A KR20230134279A (ko) 2022-03-14 2022-03-14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1393A KR20230134279A (ko) 2022-03-14 2022-03-14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4279A true KR20230134279A (ko) 2023-09-21

Family

ID=88189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1393A KR20230134279A (ko) 2022-03-14 2022-03-14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3427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609Y1 (ko) 2017-03-23 2018-06-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치약 내장형 칫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609Y1 (ko) 2017-03-23 2018-06-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치약 내장형 칫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1328B1 (ko) 칫솔
US4783869A (en) Rotative toothbrush
US20010054211A1 (en) Triple clean toothbrush
WO2007077512A2 (en) Electric toothbrush
JP5946154B2 (ja) ブラシ及びブラシ体
JP3139321U (ja) 運動方向変換ブラシ
KR20230134279A (ko) 칫솔
KR101057113B1 (ko) 회전형 브러쉬 전동칫솔
RU259936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KR101887762B1 (ko) 칫솔머리부가 회전 가능한 기능성 칫솔
EP3787548B1 (en) Electric toothbrush
US20160074143A1 (en) Electric toothbrush for proper periodontium prophylaxis
KR19980014477U (ko) 전동치솔
KR200417701Y1 (ko) 치간칫솔
KR100860090B1 (ko) 칫솔
CN108464616A (zh) 通过弹力复位的牙刷套
CN214103617U (zh) 一种双头化妆刷
CN107836815A (zh) 一种口腔护理用具
WO2014178304A1 (ja) ブラシ及びブラシ体
KR200477193Y1 (ko) 상하로 회전되는 칫솔헤드가 구비된 듀얼칫솔
KR200246953Y1 (ko) 치약 압출식 치솔
KR102032614B1 (ko) 칫솔머리부가 회전 가능한 기능성 칫솔
KR20100055717A (ko) 구강마사지가 가능한 칫솔
KR200240069Y1 (ko) 전동치솔
CN105768530A (zh) 一种自带牙膏的一体式牙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