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0111Y1 - 전동칫솔 - Google Patents

전동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0111Y1
KR200410111Y1 KR2020050035898U KR20050035898U KR200410111Y1 KR 200410111 Y1 KR200410111 Y1 KR 200410111Y1 KR 2020050035898 U KR2020050035898 U KR 2020050035898U KR 20050035898 U KR20050035898 U KR 20050035898U KR 200410111 Y1 KR200410111 Y1 KR 2004101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stle
unit
corner
toothbrush
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58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신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평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to KR20200500358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01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01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01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2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221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3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 A61C17/34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driven by electric motor
    • A61C17/3409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driven by electric motor characterized by the movement of the brush body
    • A61C17/347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driven by electric motor characterized by the movement of the brush body with combined movements of the brush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동칫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칫솔모유니트를 회전시키는 칫솔모유니트구동핀의 구조를 개선하여 제작 생산에 따른 까다로움을 해소함과 동시에 생산성 향상과 함께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는 고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모터(1)를 수용하는 손잡이부재(10)와, 상기 모터(1)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축(5)에 설치된 칫솔모유니트구동핀에 의해 회동하는 칫솔모유니트(30)가 설치되는 칫솔헤드(40)를 포함하고 있는 브러쉬부재(20)로 이루어진 전동 칫솔에 있어서, 타원형구멍(33)이 형성된 회동부(34)가 형성된 칫솔모유니트(30)와; 상기 칫솔모유니트(30) 회동부(34)의 타원형구멍(33)에 삽입되고, 제1모서리돌출부(101)와 제2모서리돌출부(102)가 형성되도록 사선으로 절단된 절단면(101a)(102a)을 가지며, 그 절단면(101a)(102a)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구동축삽입구멍(103)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5)에 대하여 상기 제1모서리돌출부(101)와 제2모서리돌출부(102)가 편심을 이루는 칫솔모유니트구동핀(100)과; 상기 칫솔모유니트(30)의 회동부(34)를 수납하여 좌우로 회동할 수 있게 하는 칫솔헤드(40)로 구성된 전동칫솔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전동칫솔, 칫솔유니트구동핀, 제1모서리돌출부, 제2모서리돌출부, 절단면,

Description

전동칫솔{ Electric mascara }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전동칫솔의 부분 절개한 측단면도
도 2은 본 고안에 의한 전동칫솔의 브러쉬부재를 발췌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칫솔모헤드를 발췌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전동칫솔의 칫솔모유니트구동핀의 제1모서리돌출부와 제2모서리돌출부가 상하로 위치하여 칫솔모유니트가 정위치에 있는 상태의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전동칫솔의 칫솔모유니트구동핀의 제1모서리돌출부와 제2모서리돌출부가 회동부의 타원형구멍의 양측면에 위치하여 칫솔모유니트가 역회전 한 상태의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전동칫솔의 칫솔모유니트구동핀의 제1모서리돌출부와 제2모서리돌출부가 회동부의 타원형구멍의 양측면에 위치하여 칫솔모유니트가 정회전 한 상태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모터 10 : 손잡이부재
20 : 브러쉬부재 30 : 칫솔모유니트
31 : 식모판 32 : 칫솔모
33 : 타원형구멍 34 : 회동부
40 : 칫솔헤드 41 : 핀구멍
42: 가이드 핀 100 : 칫솔모유니트구동핀
101 : 제1모서리돌출부 102 : 제2모서리돌출부
101a,102a : 절단면 103 : 구동축삽입구멍
본 고안은 전동칫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칫솔모유니트를 회전시키는 칫솔모유니트구동핀의 구조를 개선하여 제작 생산에 따른 까다로움을 해소함과 동시에 생산성 향상과 함께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는 고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사 후나 취침전에 잇빨을 닦아 치석 또는 플라그가 치경부등에 침착되어 치주질환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칫솔을 이용하여 잇빨을 닦아 낸다.
예로부터 잇빨을 닦기 위한 기구로는 손잡이의 단부(헤드부)에 칫솔모를 식모한 칫솔이 사용되어졌을 뿐만 아니라, 현재에도 상기의 칫솔이 널리 사용되어 있고, 잇빨을 좀더 편하게 닦을 수 있는 전동칫솔이 개발되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잇빨을 보다 편안하게 닦을 수 있도록 개발된 전동칫솔은 칫솔모가 회전축과 나란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잇빨을 닦도록 된 전동칫솔이 있는가 하면, 회전축에 대하여 직각되는 방향에서 칫솔모가 좌우회동하면서 잇빨을 닦도록 된 두가지 타입의 전동칫솔이 있다.
상기의 전동칫솔 중 칫솔모가 회전축에 대하여 직각되는 방향에서 좌우로 움직이면서 잇빨 표면을 닦을 수 있게 형성된 전동칫솔의 일 실시예로는 본원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실용신안등록 받은 실용신안등록 제378050호를 예로 들을 수 있다.
상기의 선등록 전동칫솔은 칫솔모유니트를 회동시키는 구동핀의 구조가 기본적으로 원통형을 이루되, 칫솔모유니트의 정,역 회동이 가능하도록 상단에 제1편심부와 하단에 제2편심부를 가지는 S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구동핀은 칫솔모유니트를 구성하는 회동부에 상,하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가지는 타원형구멍에 끼워져 제1편심부와 제2편심부가 타원형구멍의 양측면에 위치하여질 때 상기의 칫솔모유니트가 정,역 회동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제1편심부와 제2편심부가 상,하 방향으로 위치할 때에는 상기 회동부의 타원형구멍이 제1편심부와 제2편심부를 포함하는 길이를 가지고 있어 구동핀이 상기 칫솔모유니트에 영향(정,역회전하기 이전의 초기상태)을 주지 않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칫솔모유니트를 정,역 회전시키는 종래의 구동핀은 칫솔모유니트를 원할하게 정,역 회전시키는 반면, S자 형태를 이루고 있어 가공이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가공에 따른 설비 투자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구동핀의 생산원가가 상승될 수 밖에 없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선등록 고안의 전동칫솔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상,하단을 사선으로 절단하여 상단에 제1모서리돌출부와 하단에 제2모서리돌출부가 형성되어질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절단면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구동축삽입구멍을 형성하여 제1모서리돌출부와 제2모서리돌출부가 구동축삽입구멍에 대하여 좌우로 편심을 이루도록 하여 칫솔모유니트의 회동부에 형성된 타원형구멍에 끼워졌을 때 제1모서리돌출부와 제2모서리돌출부가 타원형구멍의 상단과 하단의 좌우측면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위치하도록 하여 칫솔모유니트가 정,역 회동하도록 한 것으로써, 칫솔모유니트구동핀의 구조가 단순화되어 쉽게 가공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공에 필요한 설비 투자비가 많이 소용되지 않아 생산원가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으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동칫솔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모터(1)를 수용하는 손잡이부재(10)와, 상기 모터(1)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축(5)에 설치된 칫솔모유니트구동핀에 의해 회동하는 칫솔모유니트(30)가 설치되는 칫솔헤드(40)를 포함하고 있는 브러쉬부재(20)로 이루어진 전동 칫솔에 있어서,
타원형구멍(33)이 형성된 회동부(34)가 형성된 칫솔모유니트(30)와;
상기 칫솔모유니트(30) 회동부(34)의 타원형구멍(33)에 삽입되고, 제1모서리돌출부(101)와 제2모서리돌출부(102)가 형성되도록 사선으로 절단된 절단면(101a)(102a)을 가지며, 그 절단면(101a)(102a)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구동축삽입구멍(103)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5)에 대하여 상기 제1모서리돌출부(101)와 제2모서리돌출부(102)가 편심을 이루는 칫솔모유니트구동핀(100)과;
상기 칫솔모유니트(30)의 회동부(34)를 수납하여 좌우로 회동할 수 있게 하는 칫솔헤드(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전동칫솔은 모터(1)를 수용하는 손잡이부재(10)와, 상기 모터(1)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구동축(5)의 회전으로 칫솔모유니트(30)가 회동되게 형성된 브러쉬부재(20)를 구비한 전동 칫솔에 있어서:
식모판(31)의 상부에는 칫솔모(32)가 식모되고 타원형구멍(33)이 형성된 회동부(34)를 형성하며 회동부(34) 외주연의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요홈(35)이 형성된 칫솔모유니트(30)와,
상기 칫솔모 유니트(30)를 구성하는 회동부(34)의 타원형구멍(33)에 삽입되어 제1모서리돌출부(101)와 제2모서리돌출부(101)가 형성된 칫솔모유니트구동핀(100)과,
상기 칫솔모 유니트(30)의 회동부(34)를 수납하여 수평선상에서 좌우로 회동되게 하면서 이탈되지 않도록 양측에서 가이드 핀(42)이 끼움 설치되어 안내되게 해주는 핀구멍(41)이 형성된 칫솔헤드(4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칫솔모유니트구동핀(100)은, 제1모서리돌출부(101)와 제2모서리돌출부(102)가 형성되도록 사선으로 절단된 절단면(101a)(102a)을 가지며, 그 절단면(101a)(102a)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구동축삽입구멍(103)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5)에 대하여 상기 제1모서리돌출부(101)와 제2모서리돌출부(102)가 편 심을 이룬 것이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전동칫솔은 도 1에 도시된 전원스위치(6)를 작동시키면, 모터(1)가 회전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구동축(5)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구동축(5)에 설치된 칫솔모유니트구동핀(100)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칫솔모유니트구동핀(100)이 제1모서리돌출부(101)와 제2모서리돌출부(102)가 회동부(34)의 타원형구멍(33)내에서 회전하면서 칫솔모유니트(30)를 정,역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칫솔모유니트구동핀(100)에 의해 정,역 회전하는 과정을 도4 내지 도6을 참고로 단계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칫솔모유니트(30)는 칫솔모유니트구동핀(100)이 360ㅀ 회전함에 따라 정,역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도4는 칫솔모유니트구동핀(100)이 회전하기 전의 상태로서, 칫솔모유니트구동핀(100)의 제1모서리돌출부(101)와 제2모서리돌출부(102)가 칫솔모유니트(30)의 회동부(34)에 형성된 장공(33)에 상,하로 위치한 상태이다.
이 후 모터(1)의 회전에 따라 칫솔모유니트구동핀(100)이 회전하게 되는데, 도 5은 칫솔모유니트구동핀(100)의 제1모서리돌출부(101)가 칫솔모유니트(30)의 타원형구멍(33) 상단 좌측면을 밀고 제2모서리돌출부(102)는 칫솔모유니트(30)의 타원형(33) 하단 우측면을 밀어 칫솔모유니트(30)가 시계반대방향 즉,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도 6은 칫솔모유니트구동핀(100)의 제1모서리돌출부(101)가 칫솔모유니트(30)의 타원형구멍(33) 상단 우측면을 밀고 제2모서리돌출부(102)는 칫솔모유니트(30)의 타원형구멍(33) 하단 좌측면을 밀어 칫솔모유니트(30)가 시계 방향 즉,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작동하는 칫솔모유니트구동핀(1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칫솔모유니트(30)가 연속적으로 정,역 회전하게 되고, 상기 식모판(31)에 식모된 칫솔모(32)를 이용하여 치아를 닦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동칫솔은 상,하단에 제1모서리돌출부(101)와 제2모서리돌출부(102)가 형성되어질 수 있도록 사선으로 절단 한 절단면(101a)(102a)을 형성하고, 상기 절단면(101a)(102a)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구동축삽입구멍(103)을 형성하여 제1모서돌출부(101)와 제2모서리돌출부(102)가 구동축삽입구멍(103)에 대하여 편심을 이루도록 하여 칫솔모유니트(30)의 회동부(34)에 형성된 타원형구멍(33)에 끼워져 제1모서리돌출부(101)와 제2모서리돌출부(102)가 타원형구멍(33)의 양측면에 위치하여질 때 칫솔모유니트(30)가 정,역 회동되도록 한 것으로써, 칫솔모유니트구동핀(100)의 구조가 단순화되어 쉽게 가공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공에 필요한 설비 투자비가 적게 들어 생산원가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으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2)

  1. 모터(1)를 수용하는 손잡이부재(10)와, 상기 모터(1)에 연결되는 구동축(5)에 설치된 구동핀에 의해 회동하는 칫솔유니트(30)가 설치되는 칫솔헤드(40)를 포함하고 있는 브러쉬부재(20)로 이루어진 전동칫솔에 있어서,
    타원형구멍(33)이 형성된 회동부(34)가 형성된 칫솔모유니트(30)와;
    상기 칫솔모유니트(30) 회동부(34)의 타원형구멍(33)에 삽입되고, 제1모서리돌출부(101)와 제2모서리돌출부(102)가 형성되도록 사선으로 절단된 절단면(101a)(102a)을 가지며, 그 절단면(101a)(102a)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구동축삽입구멍(103)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5)에 대하여 상기 제1모서리돌출부(101)와 제2모서리돌출부(102)가 편심을 이루는 칫솔모유니트구동핀(100)과;
    상기 칫솔모유니트(30)의 회동부(34)를 수납하여 좌우로 회동할 수 있게 하는 칫솔헤드(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모 유니트(30) 회동부(34) 외주연의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요홈(35)을 형성하고, 상기 칫솔헤드(40)에 핀구멍(41)을 형성하여 상기 칫솔모 유니트(30)의 회동부(34)를 상기 칫솔헤드(40)에 수납한 후 가이드 핀(42)으로 끼움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KR2020050035898U 2005-12-21 2005-12-21 전동칫솔 KR2004101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898U KR200410111Y1 (ko) 2005-12-21 2005-12-21 전동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898U KR200410111Y1 (ko) 2005-12-21 2005-12-21 전동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0111Y1 true KR200410111Y1 (ko) 2006-03-06

Family

ID=41760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5898U KR200410111Y1 (ko) 2005-12-21 2005-12-21 전동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011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9831A (ko) * 2019-11-15 2021-05-26 주식회사 럭키산업 전동칫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9831A (ko) * 2019-11-15 2021-05-26 주식회사 럭키산업 전동칫솔
KR102345580B1 (ko) 2019-11-15 2021-12-31 주식회사 럭키산업 전동칫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5894B1 (ko) 내부 잇몸 홈 스크레이핑 털들을 구비한 칫솔
AU2009236022B2 (en) Powered toothbrush
US7849549B2 (en) Oral brushing devices
US20050102776A1 (en) Head for a toothbrush
KR200416243Y1 (ko) 꺾임 각도 가변형 전동식 치간 칫솔
JPH08322641A (ja) 電動歯ブラシ
CN205626163U (zh) 电动牙刷的刷头
AU2012203910B2 (en) Powered toothbrush
KR200410111Y1 (ko) 전동칫솔
US8813300B2 (en) Rotary toothbrush
KR100683814B1 (ko) 전동칫솔
KR101124526B1 (ko) 전동칫솔
KR200401783Y1 (ko) 전동 칫솔
KR101351695B1 (ko) 전동칫솔
KR200403315Y1 (ko) 전동칫솔의 헤드부 구조
AU2005282251B2 (en) Oral brushing devices and/or methods
KR101071913B1 (ko) 구강마사지가 가능한 칫솔
JP2004154269A (ja) 歯ブラシ
CN213047420U (zh) 电动牙刷
KR200331111Y1 (ko) 전동칫솔
KR200365338Y1 (ko) 전동 칫솔
KR200374645Y1 (ko) 칫솔
KR100896126B1 (ko) 틸팅 가능한 전동칫솔
KR200348339Y1 (ko) 전동칫솔
KR200282476Y1 (ko)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