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8339Y1 - 전동칫솔 - Google Patents

전동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8339Y1
KR200348339Y1 KR20-2003-0031933U KR20030031933U KR200348339Y1 KR 200348339 Y1 KR200348339 Y1 KR 200348339Y1 KR 20030031933 U KR20030031933 U KR 20030031933U KR 200348339 Y1 KR200348339 Y1 KR 2003483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m massage
toothbrush
gum
holder
crank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19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주
Original Assignee
박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선주 filed Critical 박선주
Priority to KR20-2003-00319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83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83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83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2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Landscapes

  • Brushe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속으로 좌우 회동하는 종래의 전동칫솔에 잇몸 마사지구를 형성하여 안전하고도 충분하게 잇몸을 마사지 할 수 있도록 한 전동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모터(51)를 수용하는 손잡이부재(50)와, 상기 모터(51)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칫솔모 피동축(61)을 중심으로 칫솔모 홀더(100)를 회동시킬 수 있는 크랭크축을 구비한 전동칫솔에 있어서: 다수의 칫솔모(100a)를 수용하고 상기 크랭크축의 축선에 대해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좌우로 고속 회동하여 이를 닦도록 한 칫솔모 홀더(100)와; 잇몸을 마사지하는 고정형의 잇몸 마사지구(111) 또는 잇몸 마사지구(111)들이 형성된 이동형 잇몸 마사지구 홀더(200)를 형성시킴으로써 이를 깨끗하게 닦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잇몸을 안전하게 마사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전동칫솔{Electric toothbrush}
본 고안은 전동 칫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속으로 좌우 회동하는 전동칫솔에 잇몸 마사지구를 형성하여 안전하고도 충분하게 잇몸을 마사지 할 수 있도록 한 전동 칫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에서 권장하는 칫솔법 중에는 효과적인 롤 테크닉(Roll Technique)으로 칫솔질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 방법은 사람의 손과 팔의 근육 구조상 이를 쉽게 행하기 힘들기 때문에 롤 테크닉 대신에 좌우로 치아를 닦는 횡마법을 많이 사용한다. 그 결과 치경부 마모가 많이 발생하였고 더군다나 모든 부위를 빠짐없이 골고루 닦는다는 것은 더욱 실천하기 힘들어 칫솔질이 잘 안 되는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치석의 침착으로 치주염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위해 최근에는 전동모터의 운동 특성을 이용하여 칫솔헤드를 좌우로 회동시켜 치아를 청결하고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한 전동칫솔이 사용되는바, 전동칫솔은 소형의 전동모터를 이용하여 칫솔모의 회전 또는 좌우회동을 유발하는 것으로서 사용 방식이 일반 칫솔보다 쉽기 때문에 어린이들에게 있어서 치아관리의 동기를 유발하는 좋은 기구로 인식되는 한편 팔의 운동이 부자연스러운 노인에게는 특별한 훈련이 없이도 치아를 닦기 편리한 장점이 부각되어 사용이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
그리고 세균막인 프라그가 치아에 지속적으로 쌓이면 충치, 치석, 잇몸 질환, 잇몸 출혈, 치은염의 원인이 되는데, 전동칫솔을 이용하면 치아를 구석 구석 닦기 용이하고, 일반 칫솔의 경우에는 구강의 가장 내측의 이빨까지 상하로 깨끗이 닦기 곤란하나 전동 칫솔은 이러한 동작도 가능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프라그 생성이 지연되고, 특히 인공치아인 임플란트 시술을 한 사람에게는 매우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전동칫솔은 그 효능이 뛰어나 그 사용이 특정인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계층의 사람이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고, 그로 인하여 전동 칫솔의 연구 개발이 지속되고 있으며, 지속된 연구개발에 따라 구조를 단순화시키면서도 작동이 우수한 전동 칫솔들이 안출되고 있다.
이와 같이 전동칫솔은 칫솔모가 고속으로 좌우 회동하여 이 사이의 프라그를 쉽게 제거하거나 일반칫솔로는 닦기 어려운 어금니 같은 구석구석을 용이하게 닦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전동칫솔로 잇몸을 닦을 경우에는 잇몸을 상하게 할 염려가 있으며 이를 우려해 잇몸을 닦지 않는다면 잇몸 마사지를 적당량 해주지 못하여 잇몸을 건강하게 유지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일반 칫솔에 있어서는 잇몸 마사지를 위하여 칫솔모 옆에 잇몸 마사지구를 형성하여 이를 닦는 동시에 잇몸도 마사지 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일반칫솔의 잇몸 마사지구에 대한 종래 고안들을 살펴보면, 유럽특허출원 공개 제360,766A1호에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칫솔의 칫솔헤드(1)의 좌우측을 따라 고무와 같은 탄력적인 재질로 형성하되 끝단부가 둥그런 형상을 갖는 원기둥형태의 잇몸 마사지구(2)들을 칫솔헤드(1)와 일체로 형성시켜 칫솔모(3)에 의해 칫솔질을 할 때 잇몸 마사지구(2)들이 자연스럽게 잇몸을 마사지 하도록 하였다.
이와 유사한 고안들로서는 대한민국특허출원 제1996-0066840호,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97-0018594호 및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2-0007319호가 있는바, 이들 중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97-0018594호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잇몸 마사지구를구비하되, 마사지구는 원추형상의 고무 브러쉬로 형성한 것이고, 칫솔헤드의 선단부와 뒤쪽에 고무재질의 잇몸 마사지구를 형성한 것이다.
한편, 전동칫솔에 있어서는 이를 닦는 칫솔모만 있을 뿐 일반칫솔과 같이 잇몸을 마사지 해주는 어떠한 잇몸 마사지구도 구성되어 있지 않았다.
잇몸은 자주 마사지 해주어야 잇몸 건강을 유지할 수가 있는데 전동칫솔은 오래 사용하다 보면 이는 깨끗해지겠지만 잇몸의 건강을 잃을 수도 있는 것이다.
종래의 전동칫솔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997-708332호에는 도2에서와 같이 1개의 칫솔모 홀더(11)만이 구비되고, 이 칫솔모 홀더(11)에는 다수의 칫솔모(11a)들이 형성되어 화살표와 같이 좌우 회동하도록 한 전동칫솔(10)이 개시되어 있는바, 이는 칫솔모 홀더(11)가 좌우방향으로 회동하여 이를 닦을 수는 있으나 잇몸을 닦을 경우에는 잇몸이 다치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도3에 도시된 미국특허 제5,524,312호의 전동칫솔(20)은 제1칫솔모 홀더(21)와 제2칫솔모 홀더(22)를 구비하고, 각각의 칫솔모 홀더(21,22)에는 이를 닦기 위한 칫솔모(21a,22a)들이 형성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좌우 회동하는 제1칫솔모로는 이를 닦고, 가로 방향의 직선 왕복 운동하는 제2칫솔모는 이와 잇몸을 세차게 비비면서 쓸고 지나가므로 이와 잇몸 사이를 벌어지게 하는 문제점과 이로 인하여 이와 잇몸 사이에 염증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미국특허 제5,836,030호의 전동칫솔(30)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로 회동하는 제1칫솔모 홀더(31)와, 그 외곽을 좌우 회동하는 어금니 전용의 제2칫솔모 홀더(22)를 구비함으로써 어금니를 닦기에는 좋으나 이것도 역시 잇몸을닦을 경우 고속 회동의 칫솔모(31a,32a)들로 인하여 잇몸을 다칠 염려가 있었다.
한편 미국특허 제6,598,254호에는 도5에서와 같이, 좌우방향으로 회동되는 제1칫솔모 홀더(41)와, 세로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칫솔모 홀더(42) 및 좌우 세로 어느 방향으로도 움직이지 않는 고정형의 제3칫솔모 홀더(43)를 구비한 전동칫솔(40)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 각각의 칫솔모 홀더(41,42,43)에는 이만을 닦기 위한 칫솔모(41a,42a,43a)들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세로방향 직선 왕복운동하는 칫솔모(42a)는 이를 가로방향으로 문질러 대므로 일반칫솔로 칫솔질할 때에도 가장 좋지 못한 칫솔질 방법과 동일한 것이므로 이는 칫솔의 작동 방법이 가장 좋지 못한 것이라 하겠다. 즉, 가로방향 직선왕복 운동하는 칫솔모는 이와 이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지 못하고 이의 돌출부위만 문질러 대므로 이의 돌출부위가 쉽게 마모되며 자칫 이와 잇몸 사이를 파이게 하는 원인이 되기도 하며 이로 인해 풍치 등의 치주질환이 발생하게 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밖에 여러 가지 종류의 전동칫솔이 있으나 잇몸 마사지구를 구비한 전동칫솔은 없었다. 일반칫솔의 경우에는 마사지구가 구비되어 있지 않더라도 칫솔질을 할 때 칫솔에 가볍게 힘을 주고 위아래로 또는 둥글게 돌리면서 천천히 가볍게 손을 움직여 줌으로써 잇몸을 충분히 마사지 할 수 있으며 의도하지 않더라도 이를 닦는 동안 자연스럽게 잇몸이 마사지되어 건강한 잇몸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전동칫솔의 경우에는 고속으로 좌우 회동하는 칫솔모를 이용하여 이를 닦기 때문에 잇몸을 마사지할 수 있는 기회가 없으며 더욱이 고속으로 좌우 회동하는 칫솔모로 잇몸을 닦으려 했다가는 잇몸에 상처가 나고 이와 잇몸 사이가 심하게 파이며 심지어는 이로 인하여 치주질환을 앓게 되는 어려움에 처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고속으로 좌우 회동하는 전동칫솔에 잇몸 마사지구를 형성하여 안전하고도 충분하게 잇몸을 마사지 할 수 있도록 한 전동 칫솔을 제공함에 있다.
도1은 잇몸 마사지구를 구비한 종래의 일반적인 칫솔의 사시도;
도2 내지 도5는 이를 닦기 위한 칫솔모만을 구비한 종래의 전동칫솔의 평면도;
도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잇몸 마사지구를 구비한 전동칫솔의 부분 절개 측단면도;
도7은 도6에 도시된 전동칫솔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8은 도6에 도시된 칫솔모 및 잇몸 마사지구의 배열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9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잇몸 마사지구를 구비한 전동칫솔의 요부 측단면도;
도10은 도9에 도시된 전동칫솔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11은 도9에 도시된 칫솔모 및 잇몸 마사지구의 배열상태의 또 다른 배열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12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잇몸 마사지구를 구비한 전동칫솔의 요부 측면도;
도13은 도12에 도시된 칫솔모 및 잇몸 마사지구의 배열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14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잇몸 마사지구를 구비한 전동칫솔의 요부 측면도;
도15는 도14에 도시된 칫솔모 및 잇몸 마사지구의 배열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16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잇몸 마사지구를 구비한 전동칫솔의 요부 측단면도;
도17은 도16에 도시된 칫솔모 및 잇몸 마사지구의 배열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18은 도16에 도시된 잇몸 마사지구의 발췌사시도;
도19는 도18에서의 XIX - XIX선 단면도;
도20은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따른 잇몸 마사지구를 구비한 전동칫솔의 요부 측단면도;
도21은 도20에 도시된 칫솔모 및 잇몸 마사지구의 배열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22는 잇몸 마사지구가 도20과 같은 아래쪽 위치에서 위쪽으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전동칫솔의 요부 측단면도;
도23은 잇몸 마사지구에 대한 도20에서의 XXIII - XXIII선 단면도;
도24는 본 고안의 제7실시예에 따른 잇몸 마사지구를 구비한 전동칫솔의 요부 측단면도;
도25는 도24에 도시된 잇몸 마사지구가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전동칫솔의 요부 측단면도;
도26은 본 고안의 제8실시예에 따른 잇몸 마사지구를 구비한 전동칫솔의 요부 측단면도;
도27은 도26에 도시된 칫솔모 및 잇몸 마사지구의 배열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28a 내지 도28c는 도27에 도시된 잇몸 마사지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29는 도27 및 도28에 도시된 잇몸 마사지구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30은 도27에 도시된 잇몸 마사지구를 작동시키기 위한 크랭크축의 변형예를 도시한 전동칫솔의 요부 측단면도;
도31a와 도31b는 도30에 도시된 잇몸 마사지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32는 본 고안의 제9실시예에 따른 잇몸 마사지구를 구비한 전동칫솔의 칫솔모 및 잇몸 마사지구의 배열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33a와 도33b는 도33에 도시된 잇몸 마사지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34는 도33에 도시된 베벨기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 설명 *
60: 브러쉬부재
70: 칫솔헤드
80,180,280,380,480: 크랭크축
100: 칫솔모 홀더
100a: 칫솔모
111: 잇몸 마사지구
200,300,400,500,510,600: 잇몸 마사지구 홀더
520: 탄력부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은, 칫솔모를 수용하고 상기 크랭크축의 축선에 대해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좌우로 고속 회동하여 이를 닦도록 한 칫솔모 홀더와; 잇몸을 마사지하기 위한 잇몸 마사지구를 포함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이용되는 잇몸 마사지구는 유연하면서 탄력적인 재질의 실리콘 고무 또는 일반고무, 조밀한 스폰지, 형상기억 스폰지, 연질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좌우 회동하는 칫솔모 홀더와는 별도로 칫솔헤드 상에서 칫솔모홀더의 외주연에 고정형의 잇몸 마사지구를 형성하였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잇몸 마사지구는 좌우 회동하는 칫솔모 홀더의 외주연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한 칫솔모 홀더의 칫솔모 사이 사이에 다수의 잇몸 마사지구들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잇몸 마사지구는 좌우 회동하는 칫솔모 홀더와는 별도로 칫솔 헤드상에서 칫솔모 홀더의 일측에 형성될 수도 있는데, 본 고안에 따른 잇몸 마사지구들은 끝단부가 라운드진 원통형 또는 원뿔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밖의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잇몸마시지구의 굵기는 실시예에 칫솔모 뭉치와 동일한 굵기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더 굵거나 더 가늘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에 의하면, 모터를 수용하는 손잡이부재와, 모터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칫솔모 피동축을 중심으로 칫솔모 홀더를 회동시킬 수 있는 크랭크축을 구비한 전동칫솔이 제공되는바, 이는 칫솔모를 수용하고 크랭크축의 축선에 대해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좌우로 고속 회동하여 이를 닦도록 한 칫솔모 홀더와; 크랭크축의 회전시 크랭크축의 축선에 대해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잇몸을 마사지하기 위한 잇몸 마사지구가 형성된 이동형 잇몸 마사지구 홀더를 포함한 전동칫솔이 개시된다.
이 실시예에 이용되는 잇몸 마사지구 홀더는 크랭크축의 축선과 직교하는 제1축선방향(좌우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잇몸 마사지구 홀더 또는 크랭크축의 축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잇몸 마사지구 홀더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잇몸 마사지구 홀더는 크랭크축의 축선과 직교하는 제2축선방향에서 크랭크축의 축선에 대해 이격 및 접근 운동(즉, 상하 왕복운동)을 반복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잇몸 마사지구 홀더는 크랭크축의 축선과 직교하는 제1축선방향으로 벌어졌다 닫혀지는 분할형 잇몸 마사지구 홀더들을 포함하는바, 이 분할형 잇몸 마사지구들은 크랭크축으로부터 좌우측 마사지구가 각각 교번적으로 벌어졌다 닫혀지는 운동을 반복할 수도 있고, 또한 크랭크축으로부터 동시에 벌어졌다 닫혀지는 운동을 반복할 수 있는바, 이를 위해서 분할형 잇몸 마사지구들은 탄성부재들에 의해 바이어스력을 각각 제공받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분할형 잇몸 마사지구들에는 연결편이 연결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끝으로 잇몸 마사지구 홀더는 크랭크축의 회전 시 잇몸 마사지구가 표면으로부터 파도형상으로 순차적으로 돌출을 반복하는 잇몸 마사지구 홀더일 수도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6에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동 칫솔의 부분절개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손잡이 부재(50)내에는 회전축에 주동축(52)이 연결되어 있는 구동모터(51)가 설치되어 있고, 구동모터(51)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축전지(53)가 장착되는 장착부(54)를 가지고 있으며, 축전지(53)의 전극에 접지되어 전기가 통전될 수 있게 하는 캡(55)이 후단으로 조립되어 있다.
그리고 손잡이부재(50)의 구동축(52)에 키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칫솔모를 가지는 칫솔모 홀더(100)를 좌우 회동시키는 피동축(61)을 포함하는 브러쉬부재(60)가 손잡이부재(5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여기에서 브러쉬부재(60)의 끝부분에는 칫솔헤드(70)가 형성되고, 이 칫솔헤드(70)의 내부에는 크랭크축(80)이 내장되어 있는바, 이 브러쉬부재(60)는 별도로 판매 및 구입이 가능한 것이다.
도7를 참조하면, 칫솔모 홀더(100)에는 중공의 회동부(103)가 구비되어 있는바, 이는 그의 축방향으로 소정 폭의 절개홈(103a)(103b)이 형성되고, 외주연에는칫솔헤드(70)와의 계합 시 회동을 자유롭게 하며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계합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칫솔모 홀더(100)의 계합구조는 요홈(104)으로서, 이 요홈(104)은 칫솔헤드(70)의 내주연에 형성한 계합구조인 돌륜(71)과 계합되어 일단 결합하면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였으며, 칫솔헤드(70)의 내주연에는 요홈(104)과 계합되는 돌륜(71)과 크랭크축(80)의 일부분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체(72)가 형성되어 있는바, 이상과 같은 사항은 전동칫솔에 있어서 공통적으로 구비된 것들인바, 아래에서는 본 고안에 있어서 필수적인 사항을 설명한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잇몸을 마사지하기 위한 다수의 잇몸 마사지구(111)들은 칫솔헤드(70)에 적당한 방법으로 몰딩되어 있는바, 잇몸 마사지구(111)들은 유연하면서 탄력적인 재질, 예컨대 실리콘 고무 또는 일반고무, 조밀한 스폰지, 형상기억 스폰지, 연질 합성수지 중 한가지로 제작하여 잇몸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아 잇몸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잇몸 마사지구(111)들은 좌우 회동하는 칫솔모 홀더(100)와는 별도로 도7 및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칫솔헤드(70)상에서 칫솔모홀더(100)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우선 사용자가 도6에 도시된 전원스위치(56)를 작동시키면, 모터(51)가 회전되고 그에 따라 구동축(52)이 회전되며, 이에 연결된 피동축(61) 역시 회전되는바, 베어링(62)과 지지체(72)에 지지되어 크랭크축(80)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크랭크축(80)이 회전하게 됨으로써 제1편심부(81)에 의해 칫솔모 홀더(100)가 좌우 회동하여 이를 닦아주게 되고, 또한 사용자는 칫솔헤드(70)에 일체로 성형된 잇몸 마사지구(111)들로 잇몸을 가볍게 눌러주고 비비면서 잇몸을 마사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은 좌우 회동하는 칫솔모 홀더(100)와는 별도로 잇몸 마사지구(111)들을 칫솔헤드(70)상에 칫솔모 홀더(100)의 외측에 형성시켜 양치 시에 잇몸을 가볍게 마사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9내지 도11에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이 도시되어 있는바, 이들 도면에서 도6내지 도8과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부품을 나타내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1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잇몸 마사지구(111)들은 좌우 회동하는 칫솔모 홀더(100)의 외주연에 형성시켜서 된 것이며, 도10에 도시된 칫솔모 홀더(100)에는 칫솔모(100a)만이 형성되지만 도11에 도시된 칫솔모 홀더(100)에는 다수의 잇몸 마사지구(111)들을 더 형성할 수 있다.
도12와 도13에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의 측면도 및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 제3실시예에서 잇몸 마사지구(111)들은 좌우 회동하는 칫솔모 홀더(100)와는 별도로 칫솔헤드(70)상에서 칫솔모 홀더(100)의 아랫쪽에 고정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14와 도15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서는 고정형의 잇몸 마사지구(111)들은 제3실시예와 동일하지만 칫솔모 홀더(100)에도 잇몸 마사지구(111)들을 더 형성하여 이를 닦음과 동시에 더 많이 잇몸을 마사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16내지 도19에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이 도시되어 있는바, 칫솔모 홀더(100)는 제1 내지 제4실시예의 것과 동일하지만 잇몸 마사지구(111)는 칫솔헤드(70)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크랭크축(180)의 회전 시 크랭크축(180)의 축선과 직교하는 제1축선방향 즉,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좌우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면서 잇몸을 마사지하도록 별도의 잇몸 마사지구 홀더(200)에 형성되는바, 이 잇몸 마사지구 홀더(200)는 소위 이동형의 잇몸 마사지구 홀더(200)이다.
도1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칫솔헤드(70)내에는 크랭크축(180)이 위치되는데, 제1편심부(181)는 칫솔모 홀더(100)를 좌우 회동시키는 역할을 하고, 제2편심부(182)는 잇몸 마사지구 홀더(200)를 도17에서 직선으로 표시한 화살표방향으로 좌우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잇몸 마사지구 홀더(200)에는 가이드홈(201)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홈(201)에는 칫솔헤드(70)의 가이드 돌기(171)가 각각 계합된다.
따라서 크랭크축(180)이 회전하게 되면 제1편심부(181)에 의해 칫솔모 홀더(100)가 좌우 회동하여 이를 닦아주게 되고, 제2편심부(182)는 잇몸 마사지구 홀더(200) 하부에 형성한 좌우밀대(202)사이에 위치해 회전하면서 잇몸 마사지구 홀더(200)를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로 직선왕복 운동케 하여 잇몸을 마사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도20 내지 도23에는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이 도시되어 있는바, 이 실시예에서 잇몸 마사지구 홀더(300)는 크랭크축(280)의 축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바, 이를 위해 크랭크축(280)에는 경사판(282)이 형성되어 있고, 이 경사판(282)은 잇몸 마사지구 홀더(300)의 하부에 형성시킨 요홈(301)내에 장착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크랭크축(280)이 회전할 경우 편심부(281)에 의해 칫솔모 홀더(100)가 좌우 회동하여 이를 닦게 되고, 경사판(282)이 도20에서와 같은 상태를 유지할 경우에는 잇몸 마사지구 홀더(300)가 최하측으로 위치되며, 크랭크축(280)이 계속 회전할 경우에는 잇몸 마사지구 홀더(300)의 요홈(301)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경사판(282)에 의해 잇몸 마사지구 홀더(300)는 상승하게 되어 도22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결국 크랭크축(282)이 회전됨에 따라 경사판(282)이 요홈(301)내에서 회전하게 되므로 잇몸 마사지구 홀더(300)는 도23과 같이 가이드홈(302)과 가이드돌기(171)의 안내에 따라 도21에서의 직선 화살표방향으로 반복하여 왕복하면서 잇몸을 마사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24와 도25에는 본 고안의 제7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의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 실시예에서 잇몸 마사지구 홀더(400)는 크랭크축(180)의 축선과 직교하는 제2축선방향에서 크랭크축(180)의 축선에 대해 이격 및 접근 운동을 반복, 하게 된다. 즉 크랭크축(180)이 회전하게 되면 제1편심부(181)에 의해 칫솔모 홀더(100)가 좌우 회동하여 이를 닦아주게 되고, 제2편심부(182)에 의해 잇몸 마사지구 홀더(400)가 화살표방향으로 반복적으로 왕복 운동하여 잇몸을 마치 지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26과 도27에는 본 고안의 제8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이 도시되어 있는바,이 실시예에 이용되는 잇몸 마사지구 홀더는 크랭크축(180)의 축선과 직교하는 제1축선방향으로 각각 벌어졌다 닫혀지도록 한 소위 분할형 잇몸 마사지구홀더(500)(510)들로 구성된다.
크랭크축(180)이 도26과 같은 상태를 유지할 경우에는 크랭크축(180)의 제2편심부(182)는 도28a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바, 이때 잇몸 마사지구(500)(510)들은 스프링(520)에 의해 탄력을 받게 되어 가운데로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크랭크축(180)이 회전하게 되면 도28b와 도28c와 같이 크랭크축(180)의 제2편심부(282)가 잇몸 마사지구(500)(510)들을 크랭크축(180)으로부터 교번적으로 각각 벌어졌다 닫혀지도록 하는 것이다.
결국 크랭크축(180)이 계속적으로 회전하여 제1편심부(181)가 칫솔모 홀더(100)를 좌우 회동시켜줌과 동시에 제2편심부(182)가 잇몸 마사지구(500)(510)들을 교번적으로 밀어줌으로써 잇몸이 마사지될 수 있는 것이며, 잇몸 마사지구(500)(510)들은 가이드홈(501)과 가이드돌기(171)의 안내에 따라 각각 벌어졌다 닫혀지는 반복 직선운동을 하면서 잇몸을 마사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29에는 도28a내지 도28c에 도시된 잇몸 마사지구(500)(510)들의 다른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는바, 분할형 잇몸 마사지구(500)(510)들에는 칫솔모(100a)가 각각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분할형 잇몸 마사지구(500)(510)들에는 연결편(530)이 형성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30에는 본 고안의 제8실시예에 이용된 크랭크축(180)의 다른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는바,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랭크축(380)의 제1편심부(381)는 칫솔모 홀더(100)를 좌우 회동시키도록 하고, 크랭크축(380)의 제2편심부(382)는 분할형 잇몸 마사지구(500)(510)들을 크랭크축(180)으로부터 동시에 각각 벌어졌다 닫혀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크랭크축(380)의 넙적한 제2편심부(382)에 의해 도31a와 도3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잇몸 마사지구(500)(510)들이 동시에 벌어졌다 닫치게 되는 동안 잇몸을 마사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에도 도29와 같이 분할형 잇몸 마사지구(500)(510)들에 칫솔모(100a)를 각각 더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32에는 본 고안의 제9실시예에 따른 전동칫솔이 도시되어 있는바, 이는 크랭크축의 회전 시 잇몸 마사지구(111)들이 표면으로부터 파도형상으로 순차적으로 돌출을 반복하도록 하였다. 즉, 칫솔헤드(70)의 내부에서 크랭크축(480)에는 제1편심부(도6과 동일하므로 도시하지 않았음)가 칫솔모 홀더(100)를 좌우 회동시키도록 하고, 크랭크축(480)의 한부분에는 베벨기어(490)를 장착시켜 도34와 같이 이 베벨기어(490)가 원판(495)의 내측 하부에 형성된 베벨기어(496)와 치합되어 이 원판(495)을 회전시키도록 하고, 원판(495)의 상부 일측에는 원추형 롤러(497)를 장착시킨 뒤 잇몸 마사지구 홀더(600)를 덧씌웠다.
따라서 크랭크축(480)이 회전될 경우 베벨기어(490)가 회전되고 이에 따라 베벨기어(496)에 회전력이 전달되어 원반(495)이 회전하게 되며 그에 따라 롤러(497)가 도32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잇몸 마사지구 홀더(600) 밑에서 회전하게 되므로 잇몸 마사지구(111)들이 도33a와 도3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도형상으로 순차적으로 돌출을 반복하는 효과를 갖게 되어 이를 닦을 경우 잇몸을 지압방식으로 마사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좌우로 회동하는 종래의 전동칫솔에 잇몸을 마사지하는 고정형 잇몸 마사지구 또는 이동형 잇몸 마사지구를 형성시킴으로써 이를 깨끗하게 닦을 수 있을뿐 만 아니라 잇몸을 안전하게 마사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비록 본 고안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을지라도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많은 변경이 있을 수도 있다.
예컨대, 잇몸 마사지구의 형상 및 배열은 다양한 모양 및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20)

  1. 모터(51)를 수용하는 손잡이부재(50)와, 상기 모터(51)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칫솔모 피동축(61)을 중심으로 칫솔모 홀더(100)를 회동시킬 수 있는 크랭크축(80)을 구비한 전동칫솔에 있어서:
    다수의 칫솔모(100a)들이 형성되며 상기 크랭크축(80)의 축선에 대해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좌우로 고속 회동하여 이를 닦도록 한 칫솔모홀더(100)와;
    잇몸을 마사지하기 위한 다수의 잇몸 마사지구(111)들을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잇몸 마사지구(111)들은 유연하면서 탄력적인 재질의 실리콘 고무 또는 일반고무, 조밀한 스폰지, 형상기억 스폰지, 연질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잇몸 마사지구(111)들은 좌우 회동하는 칫솔모홀더(100)와는 별도로 칫솔헤드(70)상에서 상기 칫솔모홀더(100)의 외주연에서 형성된 고정형 잇몸 마사지구(111)들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잇몸 마사지구(111)들은 좌우 회동하는 칫솔모홀더(100)의 외주연에 일체로 형성된 잇몸 마사지구들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모홀더(100)에는 다수의 잇몸 마사지구(111)들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잇몸 마사지구(111)들은 좌우 회동하는 칫솔모홀더(100)와는 별도로 칫솔헤드(70)상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형 잇몸 마사지구들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칫솔모홀더(100)에는 잇몸 마사지구(111)들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잇몸 마사지구(111)들은 끝단부가 라운드진 원통형 또는 원뿔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9. 모터(51)를 수용하는 손잡이부재(50)와, 상기 모터(51)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칫솔모 피동축(61)을 중심으로 칫솔모 홀더(100)를 회동시킬 수 있는 크랭크축을 구비한 전동칫솔에 있어서:
    다수의 칫솔모(100a)를 수용하고 상기 크랭크축의 축선에 대해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좌우로 고속 회동하여 이를 닦도록 한 칫솔모홀더(100)와;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 시 상기 크랭크축의 축선에 대해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잇몸을 마사지하기 위한 잇몸 마사지구(111)들이 형성된 이동형 잇몸 마사지구 홀더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잇몸 마사지구 홀더는 크랭크축(180)의 축선과 직교하는 제1축선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잇몸 마사지구 홀더(200)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잇몸 마사지구 홀더는 크랭크축(280)의 축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잇몸 마사지구 홀더(300)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잇몸 마사지구 홀더는 크랭크축(180)의 축선과 직교하는 제2축선방향에서 상기 크랭크축(180)의 축선에 대해 이격 및 접근 운동을 반복하는 잇몸 마사지구 홀더(400)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잇몸 마사지구 홀더는 크랭크축(180)의 축선과 직교하는 제1축선방향으로 각각 벌어졌다 닫혀지는 분할형 잇몸 마사지구홀더(500)(510)들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형 잇몸 마사지구(500)(510)들은 상기크랭크축(180)으로부터 교번적으로 각각 벌어졌다 닫혀지는 운동을 반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형 잇몸 마사지구들(500)(510)은 상기 크랭크축(180)으로부터 동시에 각각 벌어졌다 닫혀지는 운동을 반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형 잇몸 마사지구(500)(510)들은 탄성부재(520)에 의한 바이어스력을 제공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17.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형 잇몸 마사지구(500)(510)들에는 연결편(530)이 형성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18.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형 잇몸 마사지구(500)(510)들에는 칫솔모(111)가 각각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1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잇몸 마사지구 홀더는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 시 잇몸 마사지구(111)들이 표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돌출을 반복하는 잇몸 마사지구 홀더(600)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2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잇몸 마사지구(111)들은 끝단부가 라운드진 원통형 또는 원뿔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KR20-2003-0031933U 2003-10-10 2003-10-10 전동칫솔 KR2003483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1933U KR200348339Y1 (ko) 2003-10-10 2003-10-10 전동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1933U KR200348339Y1 (ko) 2003-10-10 2003-10-10 전동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8339Y1 true KR200348339Y1 (ko) 2004-04-28

Family

ID=49428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1933U KR200348339Y1 (ko) 2003-10-10 2003-10-10 전동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833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092B1 (ko) 2003-10-21 2011-09-0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전동칫솔
KR20180097186A (ko) 2017-02-22 2018-08-31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동회전칫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3092B1 (ko) 2003-10-21 2011-09-0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전동칫솔
KR20180097186A (ko) 2017-02-22 2018-08-31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동회전칫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7981B1 (ko) 칫솔
RU2350299C2 (ru) Электрическая зубная щетка
ZA200406202B (en) Powered toothbrush.
RU2328195C2 (ru) Гибкая зубная щетка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1412007B1 (ko) 회전형 전동 칫솔
US20050102776A1 (en) Head for a toothbrush
US8992690B1 (en) Flat belt treadmill-like rotation toothbrush
US7065821B2 (en) Powered toothbrush
AU2004216121A1 (en) Powered toothbrush with improved ergonomics
KR200467548Y1 (ko) 전동 칫솔
JPH05146314A (ja) 電動歯ブラシ
KR200348339Y1 (ko) 전동칫솔
KR20030033661A (ko)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한 전동칫솔
KR200348340Y1 (ko) 전동칫솔
CN115517799A (zh) 全齿面电动牙刷
CA2474394A1 (en) Powered toothbrush
CN100473305C (zh) 一种牙刷
KR200394926Y1 (ko) 전동칫솔
KR101323700B1 (ko) 전동 칫솔
KR200175931Y1 (ko) 손잡이 수평 왕복운동에 따라 헤드부의 상하 회전이가능토록 된 칫솔대
KR101060846B1 (ko) 저소음 구동방식 전동칫솔
KR100491546B1 (ko) 각도 조절이 용이한 칫솔
US20040226119A1 (en) Powered toothbrush with curved neck and flexible shaft
KR102032614B1 (ko) 칫솔머리부가 회전 가능한 기능성 칫솔
CN2829458Y (zh) 嚼转式牙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