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9763Y1 - 전동 때밀이기 - Google Patents

전동 때밀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763Y1
KR960009763Y1 KR2019940009637U KR19940009637U KR960009763Y1 KR 960009763 Y1 KR960009763 Y1 KR 960009763Y1 KR 2019940009637 U KR2019940009637 U KR 2019940009637U KR 19940009637 U KR19940009637 U KR 19940009637U KR 960009763 Y1 KR960009763 Y1 KR 9600097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ccentric
electric motor
hole
electric
rota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96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2174U (ko
Inventor
마준
Original Assignee
마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준 filed Critical 마준
Priority to KR20199400096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9763Y1/ko
Publication of KR9500321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21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7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7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4Mechanical washing or cleaning devices, hand or mechanically, i.e. power operated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동 때밀이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종 단면도.
제2도의 (a)는 본 고안의 일부 분리사시도.
(b)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의 정면도.
제3도는 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
제4도의 (a)는 다른 실시예의 일부 분리사시도.
(b)는 다른 실시예의 작용상태의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300 : 구동장치 31,310 : 세척구 삽지구 즉, 출력측
34,340 : 편심돌기 35,350 : 편심회전구
36,360 : 피동구 37,370 : 횡축
38,380 : 슬라이드공 39,390 : 종간
본 고안은 목욕시 힘을 들이지 않고 자동 회전력을 이용하여 신체의 때를 제거하는 것은 물론, 비누칠과 피부 맛사지까지 겸할 수 있는 전동 때밀이겸 바디브러쉬(Body Brush)에 관한 것이다.
목욕시 수동으로 때를 밀면 많은 체력소모가 있어 노약자나 환자 혹은 지체부자유자들에게는 많은 무리를 야기시킬 뿐 아니라 체구가 비대한 비만인은 물론 정상인 일지라도 손이 미치지 않는 등 부위는 타인의 힘을 빌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같은 불편함을 해소함은 물론 비누 목욕시 자동회전하는 부드러운 모를 이용함으로써 수동시 보다 효과적으로 모공 깊숙히 잔존할 수 있는 불순물을 제거하고 이와 동시에 피부에 부드러운 자극을 줌으로써 피부의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피부매용 효과까지 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도 전동을 이용한 때밀이기가 있었으나 세척포가 회전체에 의해 회전되면서 신체의 피부를 세척하였으므로 세척효과가 적었으며, 심하면 피부가 일방향으로 밀려 피부의 주름이 발생하거나 어느 한 부분만 집중적으로 세척하므로 피부가 상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세척포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지 않고 왕복기능을 갖도록 하므로 피부를 상하지 않게 고루 세척할 수가 있도록 하고, 세척시 피부에 주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세척구가 전동모터에 의해 동작되는 전동 때밀이기에 있어 본 고안은 세척구(10)와 전동모터(20)사이에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구동장치(30)를 설치하여 세척구(10)를 왕복 운동하게 한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로써 세척구(10)와 전동모터(20), 구동장치(30), 동력부(40), 스위치수단(50)으로 된 때밀이기가 도시되어 있다.
세척구(10)는 포(11)나 브러쉬(12) 또는 스펀지 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구동장치(30)의 출력측(31)에 착탁되게 한다. 전동모터(20)는 건전지 또는 축전지 AC 전원에 동작되는 감속기어가 포함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며, 동력부(40)는 건전지, 축전지 AC 전원등이 가능하다. 손잡이에 설치된 스위치 수단(50)은 기기 내부에 물이 투입되지 않게 외부에 피막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도의 (a)는 구동장치를 분리한 것이다.
구동장치(30)는 전동모터(2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편심 회전구(35)와 폄심 회전구(35)의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피동구(36)로 구성되며 편심회전구(35)는 전동모터(20)의 회전축(21)에 삽지되고 전면에는 편심의 돌기(34)가 있으며, 피동구(36)는 양단이 회전축으로된 횡축(37)과 슬라이드공(38)이 있는 종간(39)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도의 (b)도는 구동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편심회전구(35)가 전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면 돌기가 슬라이드공(38)에 삽지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되므로 피동구(36)는 횡축(37)을 중심으로 회전 왕복 운동하며 따라서 세척구도 회전하지 않고 일정간격으로 원호를 이루며 좌, 우 반복동작만 하게 되는 것이다.
제3도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1도의 구동장치의 세척구(100)가 몸체 상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구동장치(360)가 횡축(370)에 축설되어 직선 왕복운동되는 구조의 단면도이다. 편심회전구(350)의 돌기(340)가 슬라이드공(380)에 삽지되어 있고, 세적구(100)는 종간(390)의 상단에 연장되어 있는 출력측(310)에 삽지되어 있다.
제4도의 (a)도는 제3도의 분리사시도로써, 피동구(360)는 횡축(370)에 삽지되어 직선운동만 할 수 있도록한 것이며, 슬라이드공(380)은 앞서와 같다. 이 경우에는 종간(390)의 상단에 세척구를 삽지하는 출력측(310)을 구성한다.
제4도의 (b)도는 이의 동작상태도로써, 편심회전구(350)가 회전하면 종간(390)이 횡축(370)의 안내를 받아 좌, 우 직선운동을 하며 따라서 출력측에 연결된 세척구도 좌, 우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전동모터(20)가 회전하고 회전축에 삽지된 편심회전구(35)가 회전을 하게 된다. 편심회전구의 돌기(34)는 피동구(39)의 슬라이드공(38)에서 상, 하 슬라이딩하고, 따라서 피동구(36)는 횡축(37)을 중심으로 호형상으로 왕복 운동을 하게 되며, 출력측에 삽지된 세척구(10)는 호형상의 왕복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만약, 직선 왕복운동의 세척구를 원한다면 제3도의 기구를 교체하면 편심회전구(350)의 회전운동은 종간(390)을 좌, 우로 움직여주고, 종간(390)은 횡축(370)에 삽통되어 있으므로 이 횡축의 안내에 의해 세척구는 횡으로 직선 왕복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세척구가 호형상의 왕복이동 또는 직선상의 왕복이동을 하게 되므로 피부 세척시 일방향으로만 밀지 않게되어 피부의 손상이나 피부의 주름이 생기지 않는다. 그리고 세척구를 부드러운 솔이나 스펀지 등으로 교체하면 모공 깊숙히 잔존하고 있는 불순물을 제거하고 피부에 부드러운 자극을 줌으로써 피부의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등 피부미용의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세척구가 전동모터에 의해 동작되는 전동 때밀이기에 있어 세척구(10)와 전동모터(20) 사이에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구동장치를 설치하여서 된 전동 때밀이기.
  2. 제1항에 있어서, 구동장치(30)는 전동모터(2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편심돌기(34)가 있는 편심회전구(35)와 편심회전구의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슬라이드공(38)이 있는 피동구(36)로 구성된 전동 때밀이기.
  3. 제1항에 있어서, 구동장치(300)는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편심돌기(340)가 있는 편심회전구(350)와 편심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슬라이드공(380)이 있는 피동구(360), 그리고 이 피동구는 횡축(370)에 축설된 것을 특징으로 한 전동 때밀이기.
KR2019940009637U 1994-05-02 1994-05-02 전동 때밀이기 KR9600097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9637U KR960009763Y1 (ko) 1994-05-02 1994-05-02 전동 때밀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9637U KR960009763Y1 (ko) 1994-05-02 1994-05-02 전동 때밀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2174U KR950032174U (ko) 1995-12-14
KR960009763Y1 true KR960009763Y1 (ko) 1996-11-11

Family

ID=19382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9637U KR960009763Y1 (ko) 1994-05-02 1994-05-02 전동 때밀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976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0287A (ko) * 2001-01-10 2002-07-18 박종대 휴대용 때밀이 용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2174U (ko) 1995-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09115B1 (en) Apparatus for treating a person's skin
US20130023901A1 (en) Skin treatment device
JP5335256B2 (ja) 美容ブラシ器具
EP0744139A1 (en) Household appliance
KR102393382B1 (ko) 피부용 클렌저
KR20030043557A (ko) 개인 휴대용 자동 때밀이 장치
JPH01500490A (ja) 口腔手入れ用電気器具
CN108471870B (zh) 使用海绵或泡沫元件的刷
KR20050108409A (ko) 칫솔 부착물 및 그 제조 방법
KR960009763Y1 (ko) 전동 때밀이기
KR100413209B1 (ko)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한 전동칫솔
KR20120029587A (ko) 자석을 이용한 전동 때밀이 및 마사지 장치
US8763188B2 (en) Powered scrubbing device
KR100387132B1 (ko) 원적외선 피부 미용 시스템
GB2080099A (en) Tooth brushing device
CN215127870U (zh) 一种自动升降式搓澡、按摩洗浴装置
KR200418093Y1 (ko) 휴대용 자동 때밀이장치
CN210114373U (zh) 一种多功能洁面洗脸刷
CN212730045U (zh) 电动牙刷
KR200322642Y1 (ko) 자동 때밀이기
KR200494094Y1 (ko) 자동 발세척기
CN210643037U (zh) 一种洗面奶用的分体式刷头
CN217744173U (zh) 一种可更换按摩头的电动按摩搓澡仪
KR200348339Y1 (ko) 전동칫솔
KR200420257Y1 (ko) 전동수세미겸용때밀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