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9120B1 -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피부 클렌징 장치 - Google Patents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피부 클렌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9120B1
KR102649120B1 KR1020230047442A KR20230047442A KR102649120B1 KR 102649120 B1 KR102649120 B1 KR 102649120B1 KR 1020230047442 A KR1020230047442 A KR 1020230047442A KR 20230047442 A KR20230047442 A KR 20230047442A KR 102649120 B1 KR102649120 B1 KR 102649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water
skin
microbubbles
gene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7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종철
이균정
박승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피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피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피알
Priority to KR1020230047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9120B1/ko
Priority to KR1020230106545A priority patent/KR1026491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9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91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4Mechanical washing or cleaning devices, hand or mechanically, i.e. power oper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피부에 마이크로버블을 공급하여 피부 세정을 촉진할 수 있는 피부 클렌징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피부 클렌징 장치는, 하우징(10)의 일단에 결합되며, 마이크로버블이 발생 및 공급되는 매질인 물이 수용되어 있는 물 탱크(20); 상기 물 탱크(20)에 수용된 물을 인출하고, 인출된 물이 마이크로버블 발생기(40)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에 분사되도록, 인출된 물을 소정의 압력으로 이송하는 펌프(30); 및 상기 펌프(30)로부터 공급된 물에 마이크로버블을 발생시키고, 마이크로버블이 생성된 물을 사용자의 피부에 공급하는 마이크로버블 발생기(40)를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버블 발생기(40)는, 물이 통과하며 마이크로버블이 생성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버블챔버(42), 상기 버블챔버(42)의 내부에 위치하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며 위치하는 제1 전극(44) 및 제2 전극(46), 상기 제1 전극(44) 및 제2 전극(46) 사이에 위치하는 전극 분리판(48) 및 마이크로버블이 생성된 물을 사용자의 피부로 공급하는 출수구(43)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44) 및 제2 전극(46)에 전류가 공급되면, 제1 전극(44) 및 제2 전극(46)을 통과하는 물의 일부가 전기분해되어, 물 내부에 마이크로버블이 생성된다.

Description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피부 클렌징 장치 {Skin cleansing device using microbubble}
본 발명은 피부 클렌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에 마이크로버블을 공급하여 피부 세정을 촉진할 수 있는 피부 클렌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피부 관리는, 화장품 또는 세정 제품을 피부에 도포하거나, 피부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여, 피부를 청결하고 아름답게 관리하는 행위이다. 특히 얼굴은 미용을 위한 각종 제품 및 외부 오염 물질에 항상 노출되어 있고, 신체의 다른 곳에 비해 피부 두께가 얇고 예민하므로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하루에도 여러 번 수행되는 세안 과정에서, 피부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효과적인 세안이 수행될 필요가 있다. 즉, 세안 과정에서, 눈에 보이는 화장품이나 오염 물질을 단순히 닦아내는 것이 아니라, 미세 먼지를 포함한 각종 오염 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필요가 있다.
얼굴의 세정을 위해, 다양한 물리적, 전기적, 화학적 방법들이 고안되어 왔다. 세정을 위한 물리적 장치로서, 회전 또는 진동하는 브러시(brush)를 가지는 바디 클렌징(body cleansing) 장치를 이용하여, 세정 제품을 피부에 균일하게 도포하거나 피부를 세정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17-0099518호에는, 피부와 접촉되는 브러시가 장착된 접촉 유닛을 회전시켜, 피부를 세정 또는 마사지하는 피부용 클렌징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10-2324257호에는, 진동 모터를 이용하여 브러시 유닛을 진동시키거나,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하여 초음파 헤드를 진동시켜 사용자에게 초음파 진동을 공급하는 바디 클렌징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통상의 바디 클렌징 장치는, 세정 효과에만 집중한 나머지 장기적으로 피부에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경우도 있고, 잘못된 얼굴 클렌징에 의해 염증 반응을 거쳐 피부질환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존재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단순한 회전 운동이나 진동 운동과 비교하여 물리적인 자극이 크지 않으며, 화학적으로도 피부 위해 가능성이 없고, 전기적 자극으로 인한 피부 스트레스가 유발되지 않는 피부 클렌징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17-0099518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10-2324257호
본 발명의 목적은, 물리적인 자극이 크지 않으며, 화학적으로도 피부 위해 가능성이 없고, 전기적 자극으로 인한 피부 스트레스가 유발되지 않는 피부 클렌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부에 마이크로버블을 공급하여 피부를 효과적으로 세정할 수 있는 피부 클렌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우징(10)의 일단에 결합되며, 마이크로버블이 발생 및 공급되는 매질인 물이 수용되어 있는 물 탱크(20); 상기 물 탱크(20)에 수용된 물을 인출하고, 인출된 물이 마이크로버블 발생기(40)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에 분사되도록, 인출된 물을 소정의 압력으로 이송하는 펌프(30); 및 상기 펌프(30)로부터 공급된 물에 마이크로버블을 발생시키고, 마이크로버블이 생성된 물을 사용자의 피부에 공급하는 마이크로버블 발생기(40)를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버블 발생기(40)는, 물이 통과하며 마이크로버블이 생성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버블챔버(42), 상기 버블챔버(42)의 내부에 위치하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며 위치하는 제1 전극(44) 및 제2 전극(46), 상기 제1 전극(44) 및 제2 전극(46) 사이에 위치하는 전극 분리판(48) 및 마이크로버블이 생성된 물을 사용자의 피부로 공급하는 출수구(43)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44) 및 제2 전극(46)에 전류가 공급되면, 제1 전극(44) 및 제2 전극(46)을 통과하는 물의 일부가 전기분해되어, 물 내부에 마이크로버블이 생성되는 것인 피부 클렌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클렌징 장치는, 피부에 마이크로버블을 공급하여 피부를 세정하므로, 물리적인 자극이 크지 않으며, 화학적으로도 피부 위해 가능성이 없고, 전기적 자극으로 인한 피부 스트레스가 유발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2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클렌징 장치의 외형 사시도 및 길이 방향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클렌징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마이크로버블 발생기(40)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마이크로버블 발생기(40)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부 클렌징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마이크로버블 발생기(40)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일부 구성 요소는 실제보다 크거나 작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하여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및 2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클렌징 장치의 외형 사시도 및 길이 방향 단면도이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클렌징 장치는 하우징(10, housing), 물 탱크(20, tank), 펌프(30), 및 마이크로버블 발생기(40)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진동 클렌징부(50) 및 진동 구동부(60)를 더욱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사용자가 피부 클렌징 장치를 손으로 잡거나, 손잡이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대략 원통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물 탱크(20), 펌프(30), 마이크로버블 발생기(40), 진동 클렌징부(50), 진동 구동부(60) 등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수용되거나, 상기 하우징(10)의 일단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상단에 진동 클렌징부(50)가 결합되고, 하단에 물 탱크(20)가 결합되며, 내부에 펌프(30), 마이크로버블 발생기(40) 및 진동 구동부(6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플라스틱 등의 단단한 합성수지, 실리콘, 고무 등의 소정의 탄력을 가지는 합성수지, 금속 등의 통상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에서, 도면 부호 12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클렌징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버튼이다.
상기 물 탱크(20)는 마이크로버블(microbubble)이 발생 및 공급되는 매질인 물이 수용되어 있는 용기로서, 상기 하우징(10)의 일단에 결합되며, 예를 들면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펌프(30)는 물 탱크(20)에 수용된 물을 인출하고, 인출된 물이 마이크로버블 발생기(40)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에 분사되도록, 인출된 물을 소정의 압력으로 이송한다. 상기 펌프(30)는 하우징(10) 내부에 장착될 수 있도록 작은 크기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0) 내부에 장착된 배터리(38)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펌프(30), 물 탱크(20) 및 마이크로버블 발생기(40)는 물 탱크(20) 내부의 물을 마이크로버블 발생기(40)로 공급할 수 있는 통상의 방법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펌프(30)와 물 탱크(20)는 제1 유로관(32a)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물 탱크(20)와 마이크로버블 발생기(40)는 제2 유로관(32b)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펌프(30)에서 물 탱크(20)로 제1 유로관(32a)을 통해 소정의 압력으로 공기를 공급하면, 상기 물 탱크(20)에서 인출된 물이 제2 유로관(32b)을 통해 소정의 압력으로 마이크로버블 발생기(40)로 이송된다.
상기 마이크로버블 발생기(40)는 펌프(30)로부터 공급된 물에 마이크로버블을 발생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클렌징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마이크로버블 발생기(40)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마이크로버블 발생기(40)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버블 발생기(40)는 물이 통과하며 마이크로버블이 생성되는 공간(42a, 42b)을 제공하는 버블챔버(42), 상기 버블챔버(42)의 내부에 위치하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며 위치하는 제1 전극(44) 및 제2 전극(46), 상기 제1 전극(44) 및 제2 전극(46) 사이에 위치하는 전극 분리판(48) 및 마이크로버블이 생성된 물을 사용자의 피부로 공급하는 출수구(4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전극(44)은 제1 전극 단자(44a)를 통해 외부 전원, 예를 들면, 배터리(3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전극(46)은 제2 전극 단자(46a)를 통해 외부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외부 전원으로부터 상기 제1 전극(44) 및 제2 전극(46)에 전류가 공급되면, 제1 전극(44) 및 제2 전극(46)을 통과하는 물의 일부가 전기분해되어, 물 내부에 마이크로버블이 생성된다.
전기분해(electrolysis)는 수용액 상태에서 자연적으로 음이온과 양이온으로 분리되지 않는 물질을 전기적인 힘을 이용하여 강제적으로 음이온과 양이온으로 분리시키는 과정을 의미한다. 특히, 물을 전기분해하면 산소와 수소가 1:2 비율로 혼합된 브라운 가스(Brown’s Gas)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전기분해를 이용한 마이크로 버블 생성은, 예를 들면, 대한민국 특허등록 10-1889618, 특허등록 10-1747594, 특허공개 10-2022-0107570, AIP Advances 7, 015011 (2017) “Tunable microbubble generator using electrolysis and ultrasound”, Langmuir 2021, 37, 16, 5005-5011 “Free-Radical Generation from Bulk Nanobubbles in Aqueous Electrolyte Solutions: ESR Spin-Trap Observation of Microbubble Treated Water”등에 개시되어 있다.
마이크로버블은 일반적으로 50 μm 이하의 작은 크기(직경)를 가지므로, 부력이 매우 작고, 상승 속도가 느리며, 장기간 수중에 체류한다. 따라서, 다량의 마이크로버블을 포함하는 물은 높은 용존 산소량을 가진다. 수중에서 생성된 마이크로버블의 표면에는 표면장력이 작용하고, 이로 인해 마이크로버블의 크기가 작아지고, 마이크로버블의 내압이 증가한다(자기 가압 효과). 상술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버블이 장시간 수중에 체류하므로, 마이크로버블의 내압 상승도 장시간 이루어지며, 마이크로버블에 의해 압력이 높아진 기체는 효율적으로 물속에 존재하므로, 기체 용해 효과도 증가한다. 또한 크기가 작아진 마이크로버블의 표면에는 음전하가 농축되므로, 양전하를 띈 유기물질과 접촉하면, 전기적 안정화에 의해 마이크로버블이 터지게 되고, 이 때 발생하는 프리 라디칼과 에너지는 살균 효과를 가진다. 이와 같이, 마이크로버블의 높은 내압, 정전기적 특성, 프리 라디칼에 의한 살균 세정 효과는 피부의 세정을 촉진한다.
물을 전기분해하여, 직경이 50 μm 이하인 마이크로 버블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전기분해를 수행하는 제1 전극(44) 및 제2 전극(46) 사이의 거리가 가깝고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상기 제1 전극(44) 및 제2 전극(46) 사이의 간격은, 원하는 마이크로버블의 생성량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나, 예를 들면, 0.3 mm 내지 5 mm, 바람직하게는 0.3 mm 내지 3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 mm이다. 여기서, 제1 전극(44) 및 제2 전극(46) 사이의 간격이 너무 크면, 물의 전기분해가 불충분하여 마이크로버블이 충분히 생성되지 못할 우려가 있고, 상기 간격이 너무 작으면, 제1 전극(44) 및 제2 전극(46)이 접촉하거나, 마이크로버블이 과도하게 생성되거나, 불균일하게 생성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프레임 또는 브라켓 구조의 전극 분리판(48)을 사용하여, 제1 전극(44) 및 제2 전극(46)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직경이 50 μm 이하인 마이크로버블을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극 분리판(48)은 일정한 두께(예를 들면, 상기 제1 전극(44) 및 제2 전극(46) 사이의 간격과 동일한 두께)를 가지며, 물이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구멍(48a, 도 5 참조)이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블챔버(42)는 버블챔버(42)의 가운데 위치한 전극(44, 46)을 중심으로 위아래로 나뉘어진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하부 버블챔버(42a)에는 입수구(41)를 통해 마이크로버블이 생성되지 않은 물이 공급되고, 상부 버블챔버(42b)로부터 마이크로버블이 생성된 물이 출수구(43)를 통해 배출된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수구(43)는 진동 클렌징부(50)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수구(43)의 끝단은 상기 진동 클렌징부(50)의 클렌징 패드(54)와 동일한 높이에 있다. 즉, 상기 펌프(30)에 의해 마이크로버블 발생기(40)로 물이 공급되고, 마이크로버블 발생기(40)에서 마이크로버블이 생성된 물은 진동 클렌징부(50)를 관통하여 위치한 출수구(43)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로 공급된다.
일반 거품과 비교하여, 마이크로버블이 물속에서 존재하는 시간이 길지만, 마이크로버블의 효과가 피부에 온전하게 적용되어 피부 세정이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마이크로버블이 생성된 물이 가급적 빨리 피부에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마이크로버블이 생성된 물이 가급적 짧은 경로 및 짧은 시간 내로 사용자의 피부로 공급되도록 상기 마이크로버블 발생기(40)는 클렌징 패드(54)의 바로 밑단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부 클렌징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마이크로버블 발생기(40)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마이크로버블 발생기(40)는 버블챔버가 상하로 분리되며, 전극 단자가 하부 챔버로 인출되는 점에서, 도 3 및 4에 도시된 실시예와 상이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버블 발생기(40)는 물 탱크(20)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입수구(71)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 챔버(72) 및 상기 하부 챔버(72)에 결합되어 마이크로버블이 생성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마이크로버블이 생성된 물이 배출되는 출수구(73)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 챔버(74)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챔버(72)와 상부 챔버(74)는 끼워 맞춤 등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챔버(72)와 상부 챔버(74)가 끼워지는 부분에 O-링(76, ring)이 장착되어, 상기 하부 챔버(72)와 상부 챔버(74) 사이의 틈새로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챔버(72)에는 한 쌍의 전극홀(78)이 형성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전극홀(78)이 서로 마주보고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 챔버(72)와 상부 챔버(74)의 내부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제1 전극(44) 및 제2 전극(46)이 서로 마주보며 위치하며, 상기 제1 전극(44) 및 제2 전극(46) 사이에는 전극 분리판(48)이 위치한다. 상기 제1 전극(44)은 제1 전극 단자(44b)를 통해 외부 전원, 예를 들면, 배터리(3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전극(46)은 제2 전극 단자(46b)를 통해 외부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 전극 단자(44b)는 제1 전극(44)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 챔버(72)에 형성된 전극홀(78)을 통해 하부 챔버(72)의 외부로 인출된다. 상기 제2 전극 단자(46b)는 제2 전극(46)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 챔버(72)에 형성된 전극홀(78)을 통해 하부 챔버(72)의 외부로 인출된다. 상기 하부 챔버(72)의 외부로 인출된 제1 전극 단자(44b) 및 제2 전극 단자(46b)는 필요에 따라 하부 챔버(72)의 하부에 결합된 인쇄회로기판(80, PC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80)을 통해 외부 전원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 단자(44b) 및 제2 전극 단자(46b)를 통해, 외부 전원으로부터 상기 제1 전극(44) 및 제2 전극(46)에 전류가 공급되면, 제1 전극(44) 및 제2 전극(46)을 통과하는 물의 일부가 전기분해되어, 물 내부에 마이크로버블이 생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버블 발생기(40)는 유동하는 물과 함께 제1 전극(44), 제2 전극(46) 및 전극 분리판(48)이 함께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전극(44) 및/또는 상기 제2 전극(46)을 고정하기 위한 전극 고정링(79a, 79b)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 고정링(79a)은 제1 전극(44)의 상단부와 상부 챔버(74)의 사이에 끼워져 제1 전극(44)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제2 전극(46)의 하단부와 하부 챔버(72)의 사이에 끼워져 제2 전극(46)을 고정하는 전극 고정링(79b)이 더욱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극 고정링(79a, 79b)은 전극 분리판(48)에 상응하는 외형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극 고정링(79a)과 전극 분리판(48)의 사이에 제1 전극(44)이 고정되고, 상기 전극 고정링(79b)과 전극 분리판(48)의 사이에 제2 전극(46)이 고정되어, 제1 전극(44) 및 제2 전극(46)의 유동을 더욱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상기 진동 클렌징부(50)는 하우징(10)의 일단에 위치하며, 예를 들면, 하우징(10)의 개방된 일면을 덮도록, 하우징(10)과 대략 유사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진동 클렌징부(50)는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마찰에 의해 피부를 세정하는 부분으로서, 넓은 면적에서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되도록, 실질적으로 평평한 표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 클렌징부(50)는 상하 방향, 즉, 진동 클렌징부(50)의 표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는 진동 플레이트(52) 및 상기 진동 플레이트(52)의 상부에 형성된 클렌징 패드(54)를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플렉시블 연결부(56)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 플레이트(52)는 상하 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으면, 그 형태나 재질에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고무, 실리콘 등의 플렉시블(flexible)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동 클렌징부(50), 구체적으로 상기 진동 플레이트(52) 및 클렌징 패드(54)에는 상기 마이크로버블 발생기(40)의 출수구(43, 73)가 외부로 노출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클렌징 패드(54)는 진동 플레이트(52)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면서 피부와 접촉하고, 피부를 마찰시켜, 피부의 클렌징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클렌징 패드(54)는 피부와 접촉 및 마찰하여 피부를 세정하기 위한 브러쉬(brush), 돌기부, 스펀지, 세정 타월(towel), 세정 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 플레이트(52)와 클렌징 패드(54)는 일체 형성되거나,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거나, 물리적인 끼워 맞춤 등 통상의 결합 방법으로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진동 플레이트(52)는 플렉시블 연결부(56)를 통해 하우징(10)의 개방 측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플렉시블 연결부(56)는 하우징(10)과 진동 플레이트(52)의 결합 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될 수 있도록, 실리콘, 고무 등의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 구조, 접혀진 구조 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플렉시블 연결부(56)의 신장 및 수축에 의해, 상기 진동 플레이트(52)의 상하 방향 진동 운동이 보다 자연스럽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 진동 플레이트(52) 및 플렉시블 연결부(56)는 일체로 결합되어 방수 기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동 클렌징부(50)의 진동 구동은 진동 구동부(6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진동 구동부(60)는 모터 구동, 초음파 구동 등의 통상의 방법으로 진동 클렌징부(50)를 진동 구동시킬 수 있다(예를 들면,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17-0099518호, 특허등록 10-2324257호 참조). 상기 펌프(30), 마이크로버블 발생기(40) 및 진동 구동부(60)의 구동은 통상의 제어부(도시되지 않음), 구동 버튼(12)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클렌징 장치는, 물 탱크(20)와 마이크로버블 발생기(40)가 분리되어 있으므로, 마이크로버블의 생성을 용이하게 제어 및 조절할 수 있고, 마이크로버블 발생기(40)와 진동 클렌징부(50)가 인접하여 있으므로 마이크로버블이 생성된 물을 사용자의 피부에 바로 공급하여, 피부를 세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상 첨부된 도면과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내용 및 상술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하기 청구항에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 부호를 표기하였으나, 하기 청구항의 권리 범위는 도면 부호 및 도면에 도시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고, 예시적인 실시예의 변형들, 등가의 구성들 및 기능들을 모두 포함하도록 포괄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하우징(10)의 일단에 결합되며, 마이크로버블이 발생 및 공급되는 매질인 물이 수용되어 있는 물 탱크(20);
    상기 물 탱크(20)에 수용된 물을 인출하고, 인출된 물이 마이크로버블 발생기(40)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에 분사되도록, 인출된 물을 소정의 압력으로 이송하는 펌프(30); 및
    상기 펌프(30)로부터 공급된 물에 마이크로버블을 발생시키고, 마이크로버블이 생성된 물을 사용자의 피부에 공급하는 마이크로버블 발생기(40)를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버블 발생기(40)는, 물이 통과하며 마이크로버블이 생성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버블챔버(42), 상기 버블챔버(42)의 내부에 위치하며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며 위치하는 제1 전극(44) 및 제2 전극(46), 상기 제1 전극(44) 및 제2 전극(46) 사이에 위치하는 전극 분리판(48) 및 마이크로버블이 생성된 물을 사용자의 피부로 공급하는 출수구(43)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극(44) 및 제2 전극(46)에 전류가 공급되면, 제1 전극(44) 및 제2 전극(46)을 통과하는 물의 일부가 전기분해되어, 물 내부에 마이크로버블이 생성되며,
    상기 전극 분리판(48)은 상기 제1 전극(44) 및 제2 전극(46) 사이의 간격과 동일한 두께를 가지며, 물이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구멍(48a)이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마찰에 의해 피부를 세정하는 진동 클렌징부(50) 및 상기 진동 클렌징부(50)를 진동 구동시키는 진동 구동부(60)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출수구(43)는 상기 진동 클렌징부(50)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것인, 피부 클렌징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44) 및 제2 전극(46) 사이의 간격은 0.3 mm 내지 5 mm인 것인, 피부 클렌징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30047442A 2023-04-11 2023-04-11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피부 클렌징 장치 KR102649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7442A KR102649120B1 (ko) 2023-04-11 2023-04-11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피부 클렌징 장치
KR1020230106545A KR102649122B1 (ko) 2023-04-11 2023-08-14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피부 클렌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7442A KR102649120B1 (ko) 2023-04-11 2023-04-11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피부 클렌징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6545A Division KR102649122B1 (ko) 2023-04-11 2023-08-14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피부 클렌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9120B1 true KR102649120B1 (ko) 2024-03-19

Family

ID=9048309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7442A KR102649120B1 (ko) 2023-04-11 2023-04-11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피부 클렌징 장치
KR1020230106545A KR102649122B1 (ko) 2023-04-11 2023-08-14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피부 클렌징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6545A KR102649122B1 (ko) 2023-04-11 2023-08-14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피부 클렌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4912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945B1 (ko) * 2013-09-03 2015-03-13 (주) 텔트론 피부 관리 장치
KR20170099518A (ko) 2016-02-24 2017-09-0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용 클렌저
KR101994135B1 (ko) * 2018-04-11 2019-06-28 (주)대명 버블세안기
KR102009671B1 (ko) * 2018-12-24 2019-08-12 주식회사 디엘테크 세안기능 및 led 마사지기능을 구비한 진동세안기
KR102324257B1 (ko) 2021-06-15 2021-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디 클렌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714B1 (ko) * 2007-04-23 2008-04-24 노복섭 마이크로버블 발생장치
KR101978380B1 (ko) * 2016-09-21 2019-05-14 주식회사 파이노 전기분해용 전극셀 및 기능수 생성모듈
KR20230041425A (ko) * 2021-09-17 2023-03-24 주식회사 다옴이앤티 살균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945B1 (ko) * 2013-09-03 2015-03-13 (주) 텔트론 피부 관리 장치
KR20170099518A (ko) 2016-02-24 2017-09-0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용 클렌저
KR101994135B1 (ko) * 2018-04-11 2019-06-28 (주)대명 버블세안기
KR102009671B1 (ko) * 2018-12-24 2019-08-12 주식회사 디엘테크 세안기능 및 led 마사지기능을 구비한 진동세안기
KR102324257B1 (ko) 2021-06-15 2021-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디 클렌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9122B1 (ko) 2024-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32935B2 (ja) マイクロストリーミングによってバイオフィルムを除去する方法及び装置
US9462873B2 (en) Cosmetic formulation dispensing head for a personal care appliance
KR101501945B1 (ko) 피부 관리 장치
KR20080085671A (ko) 맛사지 장치
US8171575B2 (en) Bidet having vibrator
CN113710315B (zh) 皮肤护理装置
JPWO2005097350A1 (ja) 噴霧装置及び噴霧方法
JP2015188857A (ja) ナノバブル水素水・水素フォーム生成システム
JP5669173B2 (ja) マイクロバブル発生装置
KR20140020744A (ko) 피부관리장치
KR20180043015A (ko) 갈바닉 마사지기
KR102649120B1 (ko)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피부 클렌징 장치
WO2014192307A1 (ja) 超音波振動美容器
KR102009671B1 (ko) 세안기능 및 led 마사지기능을 구비한 진동세안기
KR102259865B1 (ko) 피부 클렌징 장치
JP6524746B2 (ja) 超音波式ネブライザ
KR102649121B1 (ko) 전기분해관을 포함하는 마이크로버블 클렌저
KR20160096278A (ko) 수소수 무화장치
JP2000262327A (ja) 超音波美肌装置
KR200300897Y1 (ko) 초음파를 이용한 얼굴세척기
JP2019025196A (ja) 噴霧式美容器
KR102545269B1 (ko) 전기 세정 기능을 가지는 가정용 피부 클렌저
CN213962231U (zh) 一种稳定的洁面仪
JP2007029772A (ja) 噴霧装置
JP2008018130A (ja) 浴槽サウ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