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2552B1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2552B1
KR102392552B1 KR1020170110789A KR20170110789A KR102392552B1 KR 102392552 B1 KR102392552 B1 KR 102392552B1 KR 1020170110789 A KR1020170110789 A KR 1020170110789A KR 20170110789 A KR20170110789 A KR 20170110789A KR 102392552 B1 KR102392552 B1 KR 102392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incident
emitting area
center line
reflective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0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4124A (ko
Inventor
정승교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0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2552B1/ko
Publication of KR20190024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4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2Optical layout thereof
    • F21S41/36Combinations of two or more separate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을 통해 광원의 개수를 줄이면서도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동시에 광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소정의 발광 영역을 통해 광이 발생되는 광원부, 및 상기 발생된 광이 입사되도록 상기 발광 영역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각각 위치하는 제1 입사부 및 제2 입사부를 포함하는 도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입사부 및 상기 제2 입사부 각각은, 상기 발광 영역에 가까운 일측으로부터 상기 발광 영역과 먼 타측으로 갈수록 상기 발광 영역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선까지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발생된 광을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반사시킨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을 통해 광원의 개수를 줄이면서도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동시에 광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램프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헤드 램프 및 포그 램프 등은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며,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및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은 주로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또한, 차량 내부에는 도어의 개방과 연동되어 점등되는 룸 램프나 및 지도나 책을 볼 때 이용할 수 있는 맵 램프 등이 추가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차량용 램프는 조명 기능 및 신호 기능 외에도 차량의 외관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특히, 헤드 램프나 테일 램프 등의 경우에는 야간 주행시 차량의 외관을 결정하는 주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이, 차량용 램프의 성능뿐만 아니라 차량용 램프의 외관 디자인이 점점 중요해짐에 따라 조명 기능 및 신호 기능의 요건을 만족시키면서 다양한 외관 디자인의 차량용 램프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고, 이를 위해 다양한 형상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라이트 가이드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02522호 (2013.01.08)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광원의 개수를 줄이면서도 서로 다른 방향으로 광이 동시에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소정의 발광 영역을 통해 광이 발생되는 광원부, 및 상기 발생된 광이 입사되도록 상기 발광 영역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각각 위치하는 제1 입사부 및 제2 입사부를 포함하는 도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입사부 및 상기 제2 입사부 각각은, 상기 발광 영역에 가까운 일측으로부터 상기 발광 영역과 먼 타측으로 갈수록 상기 발광 영역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선까지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발생된 광을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반사시킨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광원의 개수를 줄이면서도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동시에 광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여 구성이 간소화되고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광 경로가 도시된 개략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지지부가 도시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지지부가 도시된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지지부가 도시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반사부에 의해 반사되는 광의 광 경로가 도시된 개략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광원부(100) 및 도광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용 램프(1)는 테일 램프나 브레이크 램프 등과 같이 차량의 주행 상태를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 등에게 알리는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는 테일 램프나 브레이크 램프뿐만 아니라, 차량에 설치되는 각종 램프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용 램프(1)는 둘 이상의 용도로 함께 사용될 수도 있으며, 각 용도에 따라 광의 밝기나 색상 등이 달라질 수 있다.
광원부(100)는 소정의 발광 영역을 통해 광이 발생될 수 있으며, 광원부(100)는 광원(110) 및 광 전달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광원(110)은 LED 등과 같은 반도체 발광 소자가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의 용도에 적합한 광량이 만족되도록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광 전달부(120)는 광원(110)으로부터 발생된 광 중 적어도 일부의 광이 입사면(121)을 통해 입사되는 경우, 입사된 광을 내부에서 안내하여 출사면(122)을 통해 출사시킬 수 있고, 이 경우 광원부(100)의 발광 영역은 광 전달부(120)의 출사면(122)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광 전달부(120)의 입사면(121)은 광원(11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원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광원(110)으로부터 소정의 광 조사각으로 발생되는 광이 입사면(121)의 옆면에 의해 반사되어 입사되도록 함으로써 집광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광원부(100)가 광원(110) 및 광 전달부(120)로 구성되는 것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광원부(100)는 전술한 발광 영역을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광학계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부(100)는 광원(110)만 포함할 수도 있고, 광원(110)과 광원(110)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광원(110)의 광축에 평행하게 변환하는 콜리메이터 렌즈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광부(200)는 광원부(100)로부터 발생된 광이 입사되는 제1 입사부(210) 및 제2 입사부(2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입사부(210) 및 제2 입사부(220)로 입사된 광은 출사면(230)를 통해 전방으로 출사될 수 있다.
또한, 도광부(200)는 도광부(200) 내부로 입사된 광이 출사면(230)으로 반사될 수 있도록 도광부(200)의 후방에 반사 패턴(24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광부(200)로부터 전방으로 광이 출사된다는 것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로부터 광이 조사되는 방향으로 광이 출사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의 설치 위치나 설치 방향에 따라 전방이 의미하는 방향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광부(200)가 단일로 구성되며, 그 양단에 제1 입사부(210) 및 제2 입사부(220)가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광부(200)는 복수의 도광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복수의 도광부 중 어느 하나에 제1 입사부(210)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제2 입사부(22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도 1 내지 도 4는 도광부(400)의 양단 사이의 연결 부분 중 일부가 생략된 경우의 일 예이다.
제1 입사부(210)는 광원부(100)의 발광 영역, 즉 광 전달부(120)의 출사면(122)에 가까운 일측으로부터 출사면(122)에 먼 타측으로 갈수록 출사면(122)의 중심을 수직하게 지나는 중심선(C)과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2 입사부(220)도 제1 입사부(220)와 유사하게 광 전달부(120)의 출사면(122)에 가까운 일측으로부터 출사면(122)에 먼 타측으로 갈수록 출사면(122)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선(C)과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입사부(210)는 출사면(122)의 중심선(C)을 기준으로 제1 방향에 위치하고, 제2 입사부(220)는 출사면(122)의 중심선(C)을 기준으로 제1 방향과 서로 다른 제2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방향은 출사면(122)의 중심선(C)을 기준으로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이로 인해 제1 입사부(210) 및 제2 입사부(220)는 서로 대향되도록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출사면(122), 제1 입사부(210) 및 제2 입사부(220)는 대략 삼각형 형상을 가지는 빈 공간(E)을 형성할 수 있으며, 출사면(122)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빈 공간(E)을 거쳐 제1 입사부(210) 및 제2 입사부(220)에 도달될 수 있다.
제1 입사부(210)는 출사면(122)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복수의 제1 반사부(21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반사부(211)은 출사면(122)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각각 도달할 수 있도록 제1 입사부(210)의 양측 사이에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복수의 제1 반사부(211)는 제1 입사부(21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출사면(122)으로부터 멀어지는 동시에 중심선(C)과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위치하게 된다.
복수의 제1 반사부(211) 각각은 출사면(122)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제1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1 반사면(211a) 및 제2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2 반사면(21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사면(211a) 및 제2 반사면(211b)은 출사면(122)에 가까운 일측이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제1 반사면(211a)의 타측은 출사면(122)의 중심선(C)과 멀어지도록 형성되며, 제2 반사면(211b)의 타측은 출사면(122)의 중심선(C)과 가까워지도록 형성되어 출사면(122)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동시에 반사될 수 있게 된다.
복수의 제1 반사부(211) 사이에는 제1 방향으로 반사된 광이 입사되는 복수의 제1 입사면(212)이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제1 입사면(212)은 제1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평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제1 방향으로 반사된 광이 도광부(200) 내부로 입사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제1 입사면(212) 각각은 복수의 제1 반사부(211) 중 어느 하나의 제1 반사면(211a)의 타측과 출사면(122)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인접한 다른 하나의 제2 반사면(211b)의 타측 사이에 형성되어 제1 방향으로 반사된 광이 도광부(200) 내부로 입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복수의 제1 반사부(211) 중 어느 하나의 제1 반사면(211a) 및 제2 반사면(211b)의 일측과 출사면(122)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인접한 다른 하나의 제2 반사면(211b)의 타측이 출사면(122)을 통해 광이 출사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게 되며, 이는 복수의 제1 반사부(211) 중 어느 하나의 제1 반사부에 의해 제1 방향으로 반사된 광이 출사면(122)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인접한 다른 하나의 제1 반사부에 도달하여 도광부(200)가 아닌 출사면(122)로 다시 반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동시에 후술할 제2 입사부(220)에 의해 제1 방향으로 반사된 광이 도광부(200) 내부로 입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2 입사부(220)는 출사면(122)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복수의 제2 반사부(221)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제2 반사부(221)은 출사면(122)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각각 도달할 수 있도록 제2 입사부(220)의 양측 사이에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복수의 제2 반사부(221)은 제2 입사부(22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출사면(122)으로부터 멀어지는 동시에 중심선(C)과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위치하게 된다.
복수의 제2 반사부(221) 각각은 출사면(122)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제1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1 반사면(221a) 및 제2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2 반사면(22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사면(221a) 및 제2 반사면(221b)은 출사면(122)에 가까운 일측이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제1 반사면(221a)의 타측은 출사면(122)의 중심선(C)과 가까워지도록 형성되며, 제2 반사면(221b)의 타측은 출사면(122)의 중심선(C)과 멀어지도록 형성되어 출사면(122)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동시에 반사될 수 있게 된다.
복수의 제2 반사부(221) 사이에는 제2 방향으로 반사된 광이 입사되는 복수의 제2 입사면(222)이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제2 입사면(222)은 제2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평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제2 방향으로 반사된 광이 도광부(200) 내부로 입사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제2 입사면(222) 각각은 복수의 제2 반사부(221) 중 어느 하나의 제2 반사면(221b)의 타측과 출사면(122)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인접한 다른 하나의 제1 반사면(211a)의 타측 사이에 형성되어 제2 방향으로 반사된 광이 도광부(200) 내부로 입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복수의 제2 반사부(211) 중 어느 하나의 제1 반사면(221a) 및 제2 반사면(221b)의 일측과 출사면(122)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인접한 다른 하나의 제1 반사면(221a)의 타측이 출사면(122)을 통해 광이 출사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게 되며, 이는 복수의 제2 반사부(221) 중 어느 하나의 제1 반사부에 의해 제2 방향으로 반사된 광이 출사면(122)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인접한 다른 하나의 제2 반사부에 도달하여 도광부(200)가 아닌 출사면(122)로 다시 반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동시에 전술한 제1 입사부(210)에 의해 제2 방향으로 반사된 광이 도광부(200) 내부로 입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복수의 제1 반사부(211) 및 복수의 제2 반사부(221)는 출사면(122)으로부터 광이 출사되는 방향으로 서로 교대로 배치되어 출사면(122)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반사시키고,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반사된 광이 각각 복수의 제1 입사면(212) 및 복수의 제2 입사면(222)으로 입사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광부(200)는 도 5와 같이 복수의 제1 반사부(211)의 제1 반사면(211a)에 의해 제1 방향으로 반사된 광(L11)과 더불어 복수의 제2 반사부(221)의 제1 반사면(221a)에 의해 제1 방향으로 반사된 광(L12)이 복수의 제1 입사면(212)으로 입사되고, 이와 유사하게 복수의 제2 반사부(221)의 제2 반사면(221b)에 의해 제2 방향으로 반사된 광(L21)과 더불어 복수의 제1 반사부(211)의 제2 반사면(211b)에 의해 제2 방향으로 반사된 광(L22)이 복수의 제2 입사면(222)으로 입사되기 때문에 각각의 입사부로 광이 입사되도록 하기 위하여 별도의 광원을 구비하지 않고도 복수의 입사부로 광이 입사될 수 있기 때문에 구성이나 비용이 감소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출사면(122), 제1 입사부(210) 및 제2 입사부(220) 사이에 빈 공간(E)에 형성되며, 빈 공간(E)에 대응되는 영역으로부터 광이 출사되지 않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빈 공간(E)에 대응되는 영역으로부터 광이 출사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정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광원부(100), 도광부(200) 및 지지부(3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기로 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지지부(300)는 광원부(100) 및 도광부(2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출사면(122), 제1 입사부(210) 및 제2 입사부(220)에 의해 형성되는 빈 공간(E)에 대응되는 영역으로부터 광이 출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가 도시된 정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지지부(300)는 광원부(100) 및 도광부(200)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 홈(3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안착 홈(310)의 형상은 광원부(100) 및 도광부(200)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안착 홈(310)은 대략 "T"자 형상을 가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안착 홈(310)의 형상은 광원부(100) 및 도광부(20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300)는 출사면(122), 제1 입사부(210) 및 제2 입사부(220)에 의해 형성되는 빈 공간(E)에 대응되는 위치에 반사부(3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반사부(320)는 빈 공간(E)을 통해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반사부(320)는 지지부(300)의 사출 성형시 지지부(300)와 함께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사부(320)는 지지부(300)와 별도로 형성되어 지지부(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반사부(320)는 광원(110)으로부터 발생된 광 중 광 전달부(120)와 안착 홈(310) 사이로 진행하는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도 13과 같이 광원(110)으로부터 발생된 광 중 일부의 광(L31)은 광 전달부(120)의 입사면(121)으로 입사되어 출사면(122)을 통해 출사될 수 있고, 다른 일부의 광(L32)은 광 전달부(120)와 안착 홈(310) 사이로 진행되며, 이 경우 광 전달부(120)와 안착 홈(310)의 내측면에 의해 광이 반사되어 반사부(320)로 안내될 수 있고, 반사부(320)는 광 전달부(120)와 안착 홈(310)에 의해 안내된 광을 반사시켜 빈 공간(E)을 통해 전방으로 반사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지지부(300)에는 광원(110)으로부터 발생된 광 중 광 전달부(120)의 입사면(121)을 벗어나 진행하는 광이 반사부(320)로 진행할 수 있도록 반사면(33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광원부 110: 광원
120: 광 전달부 200: 도광부
210: 제1 입사부 211: 제1 반사부
211a: 제1 반사면 211b: 제2 반사면
212: 제1 입사면 220: 제2 입사부
221: 제2 반사부 221a: 제1 반사면
221b: 제2 반사면 222: 제2 입사면
300: 지지부 310: 안착 홈
320: 반사부 330: 반사면

Claims (16)

  1. 소정의 발광 영역을 통해 광이 발생되는 광원부; 및
    상기 발생된 광이 입사되도록 상기 발광 영역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각각 위치하는 제1 입사부 및 제2 입사부를 포함하는 도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입사부 및 상기 제2 입사부 각각은,
    상기 발광 영역에 가까운 일측으로부터 상기 발광 영역과 먼 타측으로 갈수록 상기 발광 영역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선까지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발생된 광을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반사시키고,
    상기 제1 입사부는,
    상기 발생된 광을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복수의 제1 반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입사부는,
    상기 발생된 광을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복수의 제2 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반사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반사부는,
    상기 발생된 광의 진행 방향을 따라 서로 교대로 위치하는 차량용 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사부 및 상기 제2 입사부는,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위치하는 차량용 램프.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반사부는,
    상기 제1 입사부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상기 중심선에 가까워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2 반사부는,
    상기 제2 입사부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상기 중심선에 가까워지도록 배치되는 차량용 램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반사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반사부 각각은,
    상기 발생된 광을 상기 제1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1 반사면; 및
    상기 발생된 광을 상기 제2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제2 반사면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반사부 각각은,
    상기 제1 반사면이 상기 발광 영역에 가까운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상기 중심선과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반사면이 상기 발광 영역에 가까운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상기 중심선과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반사부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제1 반사면 및 상기 제2 반사면의 일측과 상기 발광 영역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인접한 다른 하나의 상기 제2 반사면의 타측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차량용 램프.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반사부 각각은,
    상기 제1 반사면이 상기 발광 영역에 가까운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상기 중심선과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반사면이 상기 발광 영역에 가까운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상기 중심선과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반사부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제1 반사면 및 상기 제2 반사면의 일측과 상기 발광 영역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인접한 다른 하나의 상기 제1 반사면의 타측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차량용 램프.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면 및 상기 제2 반사면은,
    상기 발광 영역에 가까운 일측이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반사부 중 서로 인접한 제1 반사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입사면; 및
    상기 복수의 제2 반사부 중 서로 인접한 제2 반사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입사면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사면은,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평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입사면은,
    상기 제2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평면 형상을 가지는 차량용 램프.
  14. 소정의 발광 영역을 통해 광이 발생되는 광원부; 및
    상기 발생된 광이 입사되도록 상기 발광 영역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각각 위치하는 제1 입사부 및 제2 입사부를 포함하는 도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입사부 및 상기 제2 입사부 각각은,
    상기 발광 영역에 가까운 일측으로부터 상기 발광 영역과 먼 타측으로 갈수록 상기 발광 영역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선까지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발생된 광을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반사시키고,
    상기 광원부 및 상기 도광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발광 영역, 상기 제1 입사부 및 상기 제2 입사부에 의해 형성되는 빈 공간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반사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광원;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안내하여 상기 발광 영역을 형성하는 출사면으로 출사시키는 광 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부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 중 상기 지지부와 상기 광 전달부 사이로 진행되는 광이 상기 빈 공간을 통해 진행되도록 반사시키는 차량용 램프.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의 일부를 상기 지지부와 상기 광 전달부 사이로 반사시키는 반사면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KR1020170110789A 2017-08-31 2017-08-31 차량용 램프 KR102392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789A KR102392552B1 (ko) 2017-08-31 2017-08-31 차량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789A KR102392552B1 (ko) 2017-08-31 2017-08-31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124A KR20190024124A (ko) 2019-03-08
KR102392552B1 true KR102392552B1 (ko) 2022-04-29

Family

ID=65800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0789A KR102392552B1 (ko) 2017-08-31 2017-08-31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25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4119A (ja) 2006-01-20 2007-08-02 Skg:Kk 面発光装置
JP2012004095A (ja) 2010-05-18 2012-01-05 Enplas Corp 光束制御部材、発光装置、及び照明装置
JP2014022313A (ja) * 2012-07-23 2014-02-03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前照灯
KR101490347B1 (ko) 2013-04-16 2015-02-11 한국광기술원 조명 렌즈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6821B1 (ko) * 2003-06-11 2005-09-27 에스엘 주식회사 이중 전반사 렌즈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
KR101271886B1 (ko) 2011-06-29 2013-06-05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헤드램프 제어방법
AT515790B1 (de) * 2014-06-11 2015-12-15 Zizala Lichtsysteme Gmbh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Fahrzeugscheinwerfer mit Beleuchtungsvorrichtung
FR3051539A1 (fr) * 2016-05-19 2017-11-24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Systemes d’eclairage d’ambiance pour vehicul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4119A (ja) 2006-01-20 2007-08-02 Skg:Kk 面発光装置
JP2012004095A (ja) 2010-05-18 2012-01-05 Enplas Corp 光束制御部材、発光装置、及び照明装置
JP2014022313A (ja) * 2012-07-23 2014-02-03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前照灯
KR101490347B1 (ko) 2013-04-16 2015-02-11 한국광기술원 조명 렌즈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124A (ko)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3134B2 (en) Motor vehicle headlight module for emitting a light beam
JP4930787B2 (ja) 車両用灯具、及び、車両用灯具に用いられる導光レンズ
US8480266B2 (en) Vehicle light unit and vehicle light
JP6264789B2 (ja) 車両用灯具
JP2004235153A (ja) 反射板を備える光ガイド
KR102470446B1 (ko) 차량용 램프
JP2007180027A (ja) 自動車用光ガイド搭載照明または信号装置
KR20220026310A (ko) 차량용 램프
KR102145189B1 (ko) 차량용 램프
KR20210107344A (ko) 차량용 램프
KR20150131787A (ko) 차량용 램프
JP2018045907A (ja) 車両用前照灯
KR102384541B1 (ko) 차량용 램프
JP6737644B2 (ja) 車両用灯具
JP6221438B2 (ja) 車両用灯具
KR20110040070A (ko) 차량용 램프
KR102617540B1 (ko) 조명 장치
JP2017183143A (ja) 車両用灯具
JP2020004483A (ja) 車両用灯具
KR102327022B1 (ko) 차량용 램프
KR102392552B1 (ko) 차량용 램프
KR102688710B1 (ko) 차량용 램프
JP2016122520A (ja) 車両用ランプ
KR102441920B1 (ko) 차량용 램프
JP5457780B2 (ja) 車輌用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