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2217B1 - 충돌사고 방지를 위한 교량용 자전거 통행시스템 - Google Patents

충돌사고 방지를 위한 교량용 자전거 통행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2217B1
KR102392217B1 KR1020210150964A KR20210150964A KR102392217B1 KR 102392217 B1 KR102392217 B1 KR 102392217B1 KR 1020210150964 A KR1020210150964 A KR 1020210150964A KR 20210150964 A KR20210150964 A KR 20210150964A KR 102392217 B1 KR102392217 B1 KR 102392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descending
ascending
bicyc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0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6241A (ko
Inventor
이윤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우컨설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우컨설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우컨설탄트
Priority to KR1020210150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2217B1/ko
Publication of KR20210156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6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05Piers, trestles, bearings, expansion joints or parapet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용 자전거 통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 상판 측부 하측에 위치되는 자전거도로부, 상기 자전거도로부를 상기 상판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자전거도로부를 따라 구비되는 난간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자전거만의 전용도로를 보도와 별개로 기존 교량에 설치할 수 있어 보행자와의 안전사고를 방지함은 물론,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충돌사고 방지를 위한 교량용 자전거 통행시스템{Bicycle passage system for bridges to prevent collision accidents}
본 발명은 자전거 통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교량의 하측에 자전거도로부를 설치하여 보행자와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여가생활을 즐길 수 있어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교량용 자전거 통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이라 함은 보행자나 차량 등의 통행을 위해 건설되는 것으로, 다수의 교각, 거더, 상판 및 난간 등으로 구성되며, 주로 차량의 통행을 위한 공간이 다수를 차지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기존의 교량은 차량의 통행만을 주목적으로 건설됨으로써, 안전한 보행을 위한 인도 또는 자전거의 통행을 위한 도로가 별도로 설치되어 있지 않아 보행자나 자전거가 기존의 교량을 이용하는데 큰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교량의 상판 일부를 난간으로 구획하여 인도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차량 도로의 폭이 좁아지고, 보행자와 차량의 거리가 너무 인접하여 주행중인 차량으로부터 보행자의 안전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등록특허 제10-1296749호에 개진된 바와 같이, 기존의 교량에 사람이나 자전거가 통행하기 위해 기존의 교량을 확장하여 보조 도로 구조물을 설치하였으나, 이러한 보조 도로 구조물은 기존의 교량 구조물에 추가 자중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안전성이 확보되지 못하여 붕괴의 위험이 있고, 시공이 복잡하여 기간과 비용이 증가되며,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다.
특히, 종래의 교량용 보조 도로 구조물은 상판 외측에 브래킷을 설치하고, 브래킷 위에 평행 플레이트로된 보도용 발판을 거치하여 이루어지는데, 장시간 사용시 휨 응력에 의한 처짐이 발생하여 구조적으로 큰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종래 교량에 자전거 전용 도로를 설치하되, 보도와 구분되며, 교량의 안전성을 확보함은 물론,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교량 상판 측부 하측에 위치되는 자전거도로부, 상기 자전거도로부를 상기 상판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자전거도로부를 따라 구비되는 난간부,를 포함하여 자전거만의 전용도로를 보도와 별개로 기존 교량에 설치할 수 있어 보행자와의 안전사고를 방지함은 물론, 안전을 확보할 수 있어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교량용 자전거 통행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교량 상판 측부 하측에 위치되는 자전거도로부, 상기 자전거도로부를 상기 상판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자전거도로부를 따라 구비되는 난간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자전거도로부는, 상기 교량 상판 측부의 하측에 위치되어 자전거가 상행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상행도로부, 및 상기 교량 상판 측부의 하측에 위치되어 자전거가 하행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하행도로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행도로부는 상기 교량 상판의 일측부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하행도로부는 상기 상행도로부의 하측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상행도로부를 상기 교량 상판에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 및 상기 하행도로부를 상기 상행도로부에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행도로부는 상기 교량 상판의 일측부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하행도로부는 상기 교량 상판의 타측부 하측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상행도로부를 상기 교량 상판에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 및 상기 하행도로부를 상기 교량 상판에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행도로부로 자전거가 들어가고, 상기 하행도로부를 따라 이동되는 자전거가 나가도록 상기 교량의 하행단부에 경사지게 구비되는 하행출입부, 및 상기 상행도로부를 따라 이동되는 자전거가 나가고, 상기 하행도로부로 자전거가 들어가도록 상기 교량의 상행단부에 경사지게 구비되는 상행출입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행도로부와 하행도로부를 상호 연결시켜 어느 한 도로부를 따라 이동 중인 자전거를 다른 도로부로 이동하기 위한 선회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선회부는, 상기 상행도로부를 따라 이동되는 자전거가 상기 하행도로부로 선회하도록 구비되는 하행선회부, 및 상기 하행도로부를 따라 이동되는 자전거가 상기 상행도로부로 선회하도록 구비되는 상행선회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행도로부는, 상기 교량 상판의 일측부 하측에 위치되는 제1상행도로부, 및 상기 교량 상판의 타측부 하측에 위치되는 제2상행도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행도로부는, 상기 제1상행도로부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1하행도로부, 및 상기 제2상행도로부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2하행도로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행도로부로 자전거가 들어가고, 상기 하행도로부를 따라 이동되는 자전거가 나가도록 상기 교량의 하행단부에 경사지게 구비되는 하행출입부, 및 상기 상행도로부를 따라 이동되는 자전거가 나가고, 상기 하행도로부로 자전거가 들어가도록 상기 교량의 상행단부에 경사지게 구비되는 상행출입부,를 포함한다.
또한, 일단부가 상기 제1상행도로부와 제2상행도로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하행도로부와 제2하행도로부에 연결되도록 분기되는 하행선회부, 및 일단부가 상기 제1하행도로부와 제2하행도로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상행도로부와 제2상행도로부에 연결되도록 분기되는 상행선회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상행도로부와 제2상행도로부를 상호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상행연결부, 및 상기 제1하행도로부와 제2하행도로부를 상호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하행연결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교량용 자전거 통행시스템에 의하면, 자전거만의 전용도로를 보도와 별개로 기존 교량에 설치할 수 있어 보행자와의 안전사고를 방지함은 물론, 안전을 확보할 수 있어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자전거 통행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도로부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출입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도로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4의 출입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의 자전거도로부의 선회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자전거도로부의 선회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자전거도로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 7의 출입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 7의 선회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도 7의 연결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자전거 통행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도로부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출입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도로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4의 출입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의 자전거도로부의 선회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자전거도로부의 선회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자전거도로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 7의 출입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 7의 선회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도 7의 연결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교량용 자전거 통행시스템은, 자전거도로부(100)와 고정부(200) 및 난간부(300)를 포함한다.
자전거도로부(100)는 교량 상판(1) 측부 하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고정부(200)는 자전거도로부(100)를 상판(1)에 고정시킨다.
난간부(300)는 자전거도로부(100)를 따라 구비된다.
이러한 교량용 자전거 통행시스템에 의하면, 교량을 도보로 지나는 보도와 별도로 구성됨에 따라, 자전거와 도행자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행선과 하행선을 별도로 설치함에 따라, 상호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자전거도로부(100)는 상행도로부(110)와 하행도로부(120)를 포함한다.
상행도로부(110)는 교량 상판(1) 측부의 하측에 위치되어 자전거가 상행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하행도로부(120)는 교량 상판(1) 측부의 하측에 위치되어 자전거가 하행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구비된다.
일 실시 예로,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행도로부(110)는 교량 상판(1)의 일측부 하측에 위치되고, 하행도로부(120)는 상행도로부(110)의 하측에 위치된다.
또한 고정부(200)는 제1고정부(210)와 제2고정부(220)를 포함한다.
제1고정부(210)는 상행도로부(110)를 교량 상판(1)에 고정시키고, 제2고정부(220)는 하행도로부(120)를 상행도로부(110)에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행도로부(110)와 하행도로부(120)로 자전거가 출입되기 위한 출입부가 구비된다.
이 출입부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행출입부(130)와 상행출입부(140)를 포함한다.
하행출입부(130)는 상행도로부(110)로 자전거가 들어가고, 하행도로부(120)를 따라 이동되는 자전거가 나가도록 교량의 하행단부에 경사지게 구비된다.
또한 상행출입부(140)는 상행도로부(110)를 따라 이동되는 자전거가 나가고, 하행도로부(120)로 자전거가 들어가도록 교량의 상행단부에 경사지게 구비된다.
이러한 하행출입부(130)와 상행출입부(140)는 상행로와 하행로가 하나의 도로형태로 구성되거나 개별 구성된다.
그리고 하행출입부(130)와 상행출입부(140)는 교랑 상판(1) 높이에 따라, 복수의 경사부가 상하방향으로 지그재그 배열되고, 인접한 단부가 상호 연결되어 설치공간을 최소화시킴이 바람직하다.
한편, 다른 실시 예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행도로부(110')는 교량 상판(1)의 일측부 하측에 위치되고, 하행도로부(120')는 교량 상판(1)의 타측부 하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고정부(200')는 제1고정부(210')와 제2고정부(220')를 포함한다.
제1고정부(210')는 상행도로부(110')를 교량 상판(1)에 고정시키고, 제2고정부(220')는 하행도로부(120')를 교량 상판(1)에 고정시킨다.
이 출입부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행출입부(130')와 상행출입부(140')를 포함한다.
하행출입부(130')는 상행도로부(110')로 자전거가 들어가고, 하행도로부(120')를 따라 이동되는 자전거가 나가도록 교량의 하행단부에 경사지게 구비된다.
또한 상행출입부(140')는 상행도로부(110')를 따라 이동되는 자전거가 나가고, 하행도로부(120')로 자전거가 들어가도록 교량의 상행단부에 경사지게 구비된다.
여기서, 하행출입부(130')는 제1하행출입부(132')와 제2하행출입부(134')를 포함하고, 상행출입부(140')는 제1상행출입부(142')와 제2상행출입부(144')를 포함한다.
제1하행출입부(132')는 상행도로부(110')로 자전거가 들어갈 수 있도록 구비되고, 제2하행출입부(134')는 하행도로부(120')를 따라 이동되는 자전거가 나갈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제1상행출입부(142')는 상행도로부(110')를 따라 이동되는 자전거가 나갈 수 있도록 구비되며, 제2상행출입부(144')는 하행도로부(120')로 자전거가 들어갈 수 있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제1하행출입부(132')와 제2하행출입부(134')를 상호 연결하여 이동 가능하게 하는 하행출입연결부(136') 및 제1상행출입부(142')와 제2상행출입부(144')를 상호 연결하여 이동 가능하게 하는 상행출입연결부(146')가 더 구비된다.
이 하행출입연결부(136')와 상행출입연결부(146')가 구성될 경우, 제1하행출입부(132')와 제2하행출입부(134'), 제1상행출입부(142')와 제2상행출입부(144')는 양방향통행이 가능하도록 왕복로로 형성됨이 당연하다.
그리고 제1하행출입부(132')와 제2하행출입부(134'), 제1상행출입부(142')와 제2상행출입부(144')는 교랑 상판(1) 높이에 따라, 복수의 경사부가 상하방향으로 지그재그 배열되고, 인접한 단부가 상호 연결되어 설치공간을 최소화시킴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교량용 자전거 통행시스템은 선회부(400)를 더 포함한다.
이 선회부(400)는 각 실시 예의 상행도로부(110, 110')와 하행도로부(120, 120')를 상호 연결시켜 어느 한 도로부를 따라 이동 중인 자전거를 다른 도로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선회부(400)는 하행선회부(410)와 상행선회부(420)를 포함한다.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행선회부(410)는 상행도로부(110)를 따라 이동되는 자전거가 하행도로부(120)로 선회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행선회부(420)는 하행도로부(120)를 따라 이동되는 자전거가 상행도로부(110)로 선회하도록 구비된다.
이 하행선회부(410)는 원형형태로 형성되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행선회부(420)는 원형형태로 형성되되,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물론, 하행선회부(410)와 상행선회부(420)는 직선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하행선회부(410)와 상행선회부(420)는 상호 겹치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선회이동 중 충돌사고를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하행선회부(410)와 상행선회부(420)는 상호 교차되어 연결될 수 있는 것으로, 필요한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가능하다.
그리고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행선회부(410)는 상행도로부(110')를 따라 이동되는 자전거가 하행도로부(120')로 선회하도록 구비된다.
상행선회부(420)는 하행도로부(410)를 따라 이동되는 자전거가 상행도로부(110')로 선회하도록 구비된다.
이 하행선회부(410)는 원형형태로 형성되고, 상행선회부(420)는 원형형태로 형성된다.
물론, 하행선회부(410)와 상행선회부(420)는 직선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하행선회부(410)와 상행선회부(420)는 상호 겹치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선회이동 중 충돌사고를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하행선회부(410)와 상행선회부(420)는 상호 교차되어 연결될 수 있는 것으로, 필요한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가능하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행도로부(110")는 제1상행도로부(112")와 제2상행도로부(114")를 포함한다.
그리고 하행도로부(120")는 제1하행도로부(122")와 제2하행도로부(124")를 포함한다.
제1상행도로부(112")는 교량 상판(1)의 일측부 하측에 위치되고, 제2상행도로부(114")는 교량 상판(1)의 타측부 하측에 위치된다.
또한 제1하행도로부(122")는 제1상행도로부(112")의 하측에 위치되고, 제2하행도로부(124")는 제2상행도로부(114")의 하측에 위치된다.
이러한 제1상행도로부(112")와 제2상행도로부(114"), 제1하행도로부(122")와 제2하행도로부(124")에 의해 통행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특히, 제1상행도로부(112")와 제2상행도로부(114"), 제1하행도로부(122")와 제2하행도로부(124")의 통해 속도를 제한하여 운행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로, 제1상행도로부(112")와 제1하행도로부(122")는 가속상태를 증기는 숙련자들이 이용하고, 제2상행도로부(114")와 제2하행도로부(124")는 속도를 잘 못내는 초보자와 경치를 즐기고 싶은 서행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안전사고를 방지함은 물론, 레이싱을 즐기는 사용자와 여유를 즐기는 사용자 상호간의 불편함을 방지 및 최소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행출입부(130")와 상행출입부(140")가 구비된다.
이 하행출입부(130")는 상행도로부(110")로 자전거가 들어가고, 하행도로부(120")를 따라 이동되는 자전거가 나가도록 교량의 하행단부에 경사지게 구비된다.
또한 상행출입부(140")는 상행도로부(110")를 따라 이동되는 자전거가 나가고, 하행도로부(120")로 자전거가 들어가도록 교량의 상행단부에 경사지게 구비된다.
여기서, 하행출입부(130")는 제1하행출입부(132")와 제2하행출입부(134")를 포함하고, 상행출입부(140")는 제1상행출입부(142")와 제2상행출입부(144")를 포함한다.
제1하행출입부(132")는 상행도로부(110")로 자전거가 들어갈 수 있도록 구비되고, 제2하행출입부(134")는 하행도로부(120")를 따라 이동되는 자전거가 나갈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제1상행출입부(142")는 상행도로부(110")를 따라 이동되는 자전거가 나갈 수 있도록 구비되며, 제2상행출입부(144")는 하행도로부(120")로 자전거가 들어갈 수 있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제1하행출입부(132")와 제2하행출입부(134")를 상호 연결하여 이동 가능하게 하는 하행출입연결부(136") 및 제1상행출입부(142")와 제2상행출입부(144")를 상호 연결하여 이동 가능하게 하는 상행출입연결부(146")가 더 구비된다.
이 하행출입연결부(136")와 상행출입연결부(146")가 구성될 경우, 제1하행출입부(132")와 제2하행출입부(134"), 제1상행출입부(142")와 제2상행출입부(144")는 양방향통행이 가능하도록 왕복로로 형성됨이 당연하다.
그리고 제1하행출입부(132")와 제2하행출입부(134"), 제1상행출입부(142")와 제2상행출입부(144")는 교랑 상판(1) 높이에 따라, 복수의 경사부가 상하방향으로 지그재그 배열되고, 인접한 단부가 상호 연결되어 설치공간을 최소화시킴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행도로부(110")와 하행도로부(120")는 하행선회부(410")와 상행선회부(420")를 더 포함한다.
이 하행선회부(410")는 일단부가 제1상행도로부(112")와 제2상행도로부(114")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1하행도로부(122")와 제2하행도로부(124")에 연결되도록 분기된다.
그리고 상행선회부(420")는 일단부가 제1하행도로부(122")와 제2하행도로부(124")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1상행도로부(112")와 제2상행도로부(114")에 연결되도록 분기된다.
이에, 해당 도로부에서 다른 도로부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 일정 호를 갖되, 하향 또는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행도로부(110")와 하행도로부(120")는 상행연결부(150")와 하행연결부(160")를 포함한다.
이 상행연결부(150")는 제1상행도로부(112")와 제2상행도로부(114")를 상호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하행연결부(160")는 제1하행도로부(122")와 제2하행도로부(124")를 상호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 상행연결부(150")와 하행연결부(160")는 하행선회부(410"), 상행선회부(420")와 별도로 구비되거나 상호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이동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100 : 자전거도로부 110, 110', 110" : 상행도로부
120, 120', 120" : 하행도로부 130, 130', 130" : 하행출입부
140, 140', 140" : 상행출입부 150 " : 상행연결부
160" : 하행연결부 200 : 고정부
300 : 난간부 400 : 선회부

Claims (1)

  1. 교량 상판 측부 하측에 위치되는 자전거도로부;
    상기 자전거도로부를 상기 상판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자전거도로부를 따라 구비되는 난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전거도로부는,
    상기 교량 상판 측부의 하측에 위치되어 자전거가 상행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상행도로부; 및
    상기 교량 상판 측부의 하측에 위치되어 자전거가 하행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하행도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교량 상판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지면과 일정 높이로 이격되고,
    상기 상행도로부는 상기 교량 상판의 일측부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하행도로부는 상기 교량 상판의 타측부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상행도로부로 자전거가 들어가고, 상기 하행도로부를 따라 이동되는 자전거가 나가도록 상기 교량의 하행단부에 경사지게 구비되는 하행출입부; 및
    상기 상행도로부를 따라 이동되는 자전거가 나가고, 상기 하행도로부로 자전거가 들어가도록 상기 교량의 상행단부에 경사지게 구비되는 상행출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상행도로부를 상기 교량 상판에 고정시키는 제1고정부; 및
    상기 하행도로부를 상기 교량 상판에 고정시키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행도로부와 하행도로부를 상호 연결시켜 어느 한 도로부를 따라 이동 중인 자전거를 다른 도로부로 이동하기 위한 선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회부는,
    상기 상행도로부를 따라 이동되는 자전거가 상기 하행도로부로 선회하도록 구비되는 하행선회부; 및
    상기 하행도로부를 따라 이동되는 자전거가 상기 상행도로부로 선회하도록 구비되는 상행선회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행선회부와 상행선회부는 상호 겹치지 않도록 구비되고,
    상기 하행출입부(130')는 제1하행출입부(132')와 제2하행출입부(134')를 포함하고, 상행출입부(140')는 제1상행출입부(142')와 제2상행출입부(144')를 포함하며,
    상기 제1하행출입부(132')는 상행도로부(110')로 자전거가 들어갈 수 있도록 구비되고, 제2하행출입부(134')는 하행도로부(120')를 따라 이동되는 자전거가 나갈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상행출입부(142')는 상행도로부(110')를 따라 이동되는 자전거가 나갈 수 있도록 구비되며, 제2상행출입부(144')는 하행도로부(120')로 자전거가 들어갈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하행출입부(132')와 제2하행출입부(134')를 상호 연결하여 이동 가능하게 하는 하행출입연결부(136') 및 제1상행출입부(142')와 제2상행출입부(144')를 상호 연결하여 이동 가능하게 하는 상행출입연결부(146')가 더 구비되며,
    상기 하행출입연결부(136')와 상행출입연결부(146')에 의해, 제1하행출입부(132')와 제2하행출입부(134'), 제1상행출입부(142')와 제2상행출입부(144')는 양방향통행이 가능하도록 왕복로로 형성되고,
    상기 제1하행출입부(132')와 제2하행출입부(134'), 제1상행출입부(142')와 제2상행출입부(144')는 교랑 상판(1) 높이에 따라, 복수의 경사부가 상하방향으로 지그재그 배열되고, 인접한 단부가 상호 연결되어 설치공간을 최소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사고 방지를 위한 교량용 자전거 통행시스템.
KR1020210150964A 2020-02-07 2021-11-04 충돌사고 방지를 위한 교량용 자전거 통행시스템 KR102392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0964A KR102392217B1 (ko) 2020-02-07 2021-11-04 충돌사고 방지를 위한 교량용 자전거 통행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122A KR102346590B1 (ko) 2020-02-07 2020-02-07 교량용 자전거 통행시스템
KR1020210150964A KR102392217B1 (ko) 2020-02-07 2021-11-04 충돌사고 방지를 위한 교량용 자전거 통행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5122A Division KR102346590B1 (ko) 2020-02-07 2020-02-07 교량용 자전거 통행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6241A KR20210156241A (ko) 2021-12-24
KR102392217B1 true KR102392217B1 (ko) 2022-04-28

Family

ID=77464501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5122A KR102346590B1 (ko) 2020-02-07 2020-02-07 교량용 자전거 통행시스템
KR1020210150965A KR102392218B1 (ko) 2020-02-07 2021-11-04 선회 및 연결부를 갖는 교량용 자전거 통행시스템
KR1020210150963A KR102426982B1 (ko) 2020-02-07 2021-11-04 상행도로부와 하행도로부가 상하 위치되는 교량용 자전거 통행시스템
KR1020210150964A KR102392217B1 (ko) 2020-02-07 2021-11-04 충돌사고 방지를 위한 교량용 자전거 통행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5122A KR102346590B1 (ko) 2020-02-07 2020-02-07 교량용 자전거 통행시스템
KR1020210150965A KR102392218B1 (ko) 2020-02-07 2021-11-04 선회 및 연결부를 갖는 교량용 자전거 통행시스템
KR1020210150963A KR102426982B1 (ko) 2020-02-07 2021-11-04 상행도로부와 하행도로부가 상하 위치되는 교량용 자전거 통행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346590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8971A (ko) * 2007-11-12 2009-05-15 (주)지앤지컨설턴트에프디아이 가변차로 시스템
KR101054018B1 (ko) * 2008-08-18 2011-08-03 황기연 자전거 고속도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788A (ko) 2021-12-23
KR20210156241A (ko) 2021-12-24
KR102426982B1 (ko) 2022-07-29
KR102346590B1 (ko) 2022-01-03
KR20210155789A (ko) 2021-12-23
KR102392218B1 (ko) 2022-04-28
KR20210101021A (ko) 202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3729Y1 (ko) 데크로드시스템의 난간기둥 고정장치
RU2060757C1 (ru) Горка для катания
JP2009517564A (ja) トラフィック制御用交差点
US4649588A (en) Elevated bikeway
KR20120066903A (ko) 교량용 방호울타리
KR102392217B1 (ko) 충돌사고 방지를 위한 교량용 자전거 통행시스템
ITVI20130199A1 (it) Sistema di attraversamento stradale perfezionato per pedoni e persone dotate di velocipedi
KR102191731B1 (ko) 와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페달형 공중 놀이기구
KR101946958B1 (ko) 교량용 난간
KR101563933B1 (ko) 도로 또는 교량 가장자리용 보도 확장장치와 그 시공방법
HRP980256A2 (en) Intersection providing unhindered traffic flow and equal priority to all the traffic participants
CN210288203U (zh) 一种用于平面交叉路口非机动车道的管控系统
CN107119518B (zh) 一种十字路口单层无障碍全互通立交系统
KR200202334Y1 (ko) 고규격 교량난간 겸용 가드레일
KR102020275B1 (ko) 자전거 전용 고가도로
KR101813701B1 (ko) 조립식 교량
RU2327003C1 (ru) Комплекс разделителей пересекающихся на дорогах транспортных и пешеходных потоков
WO2005010278A1 (fr) Separateur de flux de trafic et de flux pietonniers dans des carrefours
CN203866661U (zh) 一种立交桥
CN206664582U (zh) 悬挂式轨道立体交通系统
RU2492289C1 (ru) Универсальный разделитель транспортных и пешеходных потоков, устанавливаемый на крестообразном перекрестке главной и второстепенной дорог
RU2559270C2 (ru) Дорожно-транспортное сооружение "велополитен мади"
CN217517335U (zh) 一种连接两岸碧道的休闲观景桥梁
KR200486239Y1 (ko) 항타형 확장 인도교
CN207974058U (zh) 一种自行车高速路防护栏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