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2017B1 - 서버, 그와 통신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서버, 그와 통신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2017B1
KR102392017B1 KR1020170146501A KR20170146501A KR102392017B1 KR 102392017 B1 KR102392017 B1 KR 102392017B1 KR 1020170146501 A KR1020170146501 A KR 1020170146501A KR 20170146501 A KR20170146501 A KR 20170146501A KR 102392017 B1 KR102392017 B1 KR 102392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information
vehicle
charge
reference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1160A (ko
Inventor
박종필
박윤중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6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2017B1/ko
Priority to US15/946,164 priority patent/US10504303B2/en
Priority to CN201810385534.9A priority patent/CN110015144B/zh
Publication of KR20190051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4Indicating the operating range of the engin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5Detection of state of health [SO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0Current suppl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025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7Constructional arrangements for determining the ability of a battery to perform a critical function, e.g. crank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10/4257Smart batteries, e.g. electronic circuits inside the housing of the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40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 H02J2310/46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for ICE-powered road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키는 배터리 관리부; 트리거 신호가 수신되면 통신부를 제어하여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도록 하고,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전송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재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서버는, 차량 및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차량으로부터 배터리의 방전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저장하고 배터리의 방전에 대한 알림 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며, 차량으로부터 시동 오프 신호와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수신 이력을 확인하고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수신 이력이 존재하지 않으면 배터리의 방전에 대한 알림 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서버, 그와 통신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Server, Vehicle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erver}
본 발명은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알리는 서버,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차륜을 구동시켜 도로를 위를 이동하는 기계이다.
이러한 차량은 배터리를 이용하여 시동을 제어하며, 시동이 완료되면 휘발유, 경유와 같은 석유연료를 연소시켜 기계적인 동력을 발생시키고 이 기계적인 동력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내연기관 차량(일반 엔진 차량)과, 연비 및 유해 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배터리의 전기를 동력으로 하여 주행하는 친환경 차량을 포함한다.
여기서 친환경 차량은 충전 가능한 전원부인 배터리와 모터를 포함하고 배터리에 축적된 전기로 모터를 회전시키고 모터의 회전을 이용하여 차륜을 구동시키는 전기 차량과, 엔진, 배터리 및 모터를 포함하고 엔진의 기계적인 동력과 모터의 전기적인 동력을 제어하여 주행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수소 연료 전지 차량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차량은 시동을 위한 배터리, 또는 시동과 주행 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포함하며, 이 배터리는 차량 내부에 마련된 각종 장치에도 구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한다.
이와 같은 배터리는 차량의 시동 오프 시 차량 내 각종 전자 장치에 흐르는 암전류에 의해 방전되고, 시동 오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방전량이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배터리는 기준 레벨 이하로 방전될 경우 차량을 시동할 수 없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일 측면은 차량으로부터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차량의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수신 이력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알림 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는 서버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기준 레벨을 변경하고 변경된 기준 레벨을 차량에 전송하는 서버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은 서버와 통신 불가능 시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재전송하고, 시동 오프 시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에서 전송한 배터리의 기준 레벨이 수신되면 저장된 배터리의 기준 레벨을 수신된 배터리의 기준 레벨로 변경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키는 배터리 관리부; 트리거 신호가 수신되면 통신부를 제어하여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도록 하고,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전송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재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배터리 관리부는, 배터리의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 및 검출된 전류에 대응하는 충전 레벨을 획득하고 획득된 충전 레벨이 기준 레벨이면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키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부는 서버로부터 기준 레벨의 변경 명령 및 기준 레벨이 수신되면 저장된 기준 레벨을 수신된 기준 레벨로 변경하고, 모니터링부는 변경된 기준 레벨에 기초하여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시동 온 명령을 입력받는 시동부를 더 포함하고, 모니터링부는 시동 온 명령이 수신되기 전까지 저장된 기준 레벨에 기초하여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키고, 시동 온 명령이 수신되면 변경된 기준 레벨에 기초하여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시동 온 명령 및 시동 오프 명령을 입력받는 시동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시동 온 명령이 수신된 후 시동 오프 명령이 수신되면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대응하는 충전 상태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부는 통신부와 통신 불가능 시에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전송하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부는, 트리거 신호가 수신되면 웨이크업되고,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전송하면 슬립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배터리 관리부는, 배터리의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 및 검출된 전류에 대응하는 충전 레벨을 획득하고 획득된 충전 레벨이 제1기준 레벨과 동일하면 제1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키고 획득된 충전 레벨이 제2기준레벨과 동일하면 제2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키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고, 제2기준 레벨은 제1기준 레벨보다 낮은 레벨이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부는, 제1트리거 신호가 수신되면 웨이크업되고,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배터리의 방전 주의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고, 제2트리거 신호가 수신되면 웨이크업되고,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배터리의 방전 위험 정보를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고, 배터리의 방전 주의 정보와 방전 위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전송하면 슬립 상태로 전환 제어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서버는, 차량 및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차량으로부터 배터리의 방전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저장하고 배터리의 방전에 대한 알림 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며, 차량으로부터 시동 오프 신호와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수신 이력을 확인하고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수신 이력이 존재하지 않으면 배터리의 방전에 대한 알림 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서버의 제어부는 차량으로부터 시동 온 신호와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충전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배터리의 충전량을 확인하고 확인된 배터리의 충전량을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서버의 제어부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충전 레벨을 확인하고 확인된 충전 레벨이 기준 레벨 이하이고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수신 이력이 존재하지 않으면 배터리의 방전에 대한 알림 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서버의 제어부는, 확인된 충전 레벨이 기준 레벨 이하일 때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수신 이력이 존재하면 배터리의 방전에 대한 알림 정보의 전송을 차단 제어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서버의 제어부는, 차량으로부터 시동 온 신호가 수신되기 이전에 수신 및 저장된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수신 이력이 존재하는 확인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서버의 제어부는, 차량의 환경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환경 정보에 대응하는 기준 레벨을 확인하며, 확인된 기준 레벨이 저장된 기준 레벨과 상이하면 저장된 기준 레벨을 확인된 기준 레벨로 변경하고, 확인된 기준 레벨과 기준 레벨의 변경 명령을 차량에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서버의 제어부는, 차량의 배터리의 기준 레벨이 변경되면 차량으로부터 시동 오프 신호와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가 수신되는지 판단하고, 차량으로부터 시동 오프 신호와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충전 레벨을 확인하고 확인된 충전 레벨이 변경된 기준 레벨 이하이면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수신 이력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방전에 대한 알림 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서버의 제어부는, 차량으로부터 배터리의 방전 주의 정보가 수신되면 배터리의 방전 주의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고, 차량으로부터 배터리의 방전 위험 정보가 수신되면 배터리의 방전 위험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서버의 제어부는, 배터리의 방전 주의 정보와 방전 위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전송하면 슬립 상태로 전환 제어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서버의 제어 방법은, 차량 및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차량으로부터 배터리의 방전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저장하고 배터리의 방전에 대한 알림 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며, 차량으로부터 시동 오프 신호와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충전 레벨을 확인하고, 확인된 충전 레벨이 기준 레벨 이하이면 차량으로부터 시동 온 신호가 수신되기 이전에 수신 및 저장된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수신 이력을 확인하고,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수신 이력이 존재하지 않으면 배터리의 방전에 대한 알림 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한다.
서버의 제어 방법은 확인된 충전 레벨이 기준 레벨 이하일 때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수신 이력이 존재하면 배터리의 방전에 대한 알림 정보의 전송을 차단하고, 저장된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수신 이력을 삭제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서버의 제어 방법은 차량으로부터 차량의 환경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환경 정보에 대응하는 기준 레벨을 확인하며, 확인된 기준 레벨이 저장된 기준 레벨과 상이하면 저장된 기준 레벨을 확인된 기준 레벨로 변경하고, 확인된 기준 레벨과 기준 레벨의 변경 명령을 차량에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서버의 제어 방법은 차량의 배터리의 기준 레벨이 변경되면 차량으로부터 시동 오프 신호와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가 수신되는지 판단하고, 차량으로부터 시동 오프 신호와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충전 레벨을 확인하고, 확인된 충전 레벨이 변경된 기준 레벨 이하이면 차량으로부터 시동 온 신호가 수신되기 이전에 수신 및 저장된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수신 이력을 확인하고,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수신 이력이 존재하면 배터리의 방전에 대한 알림 정보의 전송을 차단하고,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수신 이력이 존재하지 않으면 배터리의 방전에 대한 알림 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서버의 제어 방법은 배터리의 방전 정보가 수신되어 저장된 상태에서 차량으로부터 시동 온 신호와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충전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배터리의 충전량을 확인하고, 확인된 배터리의 충전량을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차량이 주차된 상태일 때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사용자용 단말기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주차된 차량의 배터리의 방전에 대한 알림 정보를 언제, 어디에서든 용이하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시동이 오프될 때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와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수신 여부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알림 정보의 전송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배터리의 알림 정보가 사용자용 단말기에 과도하게 많이 전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시동이 오프되면 사용자용 단말기를 통해 배터리의 알림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차량을 주차하기 전에 배터리를 완충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차후 차량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환경 정보인 날씨와 온도에 기초하여 배터리 방전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기준 레벨을 변경함으로써 외부 환경에 맞춰 차량의 배터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정보 제공 기능을 가진 서버와, 서버와 통신하는 차량의 품질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리성, 신뢰성 및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품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차체의 외장 예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차체의 내장 예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배터리 관리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배터리의 방전 정보와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의 전송 예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과 통신하는 서버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과 통신하는 서버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과 통신하는 서버에 수신된 배터리의 방전 정보와 충전 상태 정보의 수신 예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100), 서버(200) 및 단말기(300)와의 통신 예시도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과 서버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17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배터리의 방전 정보 및 충전 상태 정보의 전송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차체의 외장 예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차체의 내장 예시도이다.
차량(100)은 외장(110)과 내장(120)을 갖는 차체(Body)와, 차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 주행에 필요한 기계 장치가 설치되는 차대(Chassis, 140)를 포함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외장(110)은 프론트 패널(111), 본네트(112), 루프 패널(113), 리어 패널(114), 전후좌우의 도어(115) 및 전후좌우의 도어(115)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 윈도우 글래스(116)를 포함한다.
그리고 차체의 외장은 전후좌우 도어의 윈도우 글래스 사이의 경계에 마련된 필러와, 운전자에게 차랑(100)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와, 전방시야를 주시하면서 주변의 정보를 쉽게 볼 수 있도록 하고 다른 차량과 보행자에 대한 신호, 커뮤니케이션의 기능을 수행하는 램프(117)를 포함한다.
차체의 외장은 다른 차량과의 통신(V2V) 및 인프라와의 통신(V2I) 등의 무선 차량 네트워크(V2X: Vehicle to everything)를 수행하기 위한 안테나(118)을 포함한다.
여기서 안테나(118)는 차량의 루프 패널(113)에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안테나(118)는 차량의 리어 윈도우 글래스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내장(120)은 탑승자가 앉는 시트(121)와, 대시 보드(122)와, 대시 보드 상에 배치되고 타코미터, 속도계, 냉각수 온도계, 연료계, 방향전환 지시등, 상향등 표시등, 경고등, 안전벨트 경고등, 주행 거리계, 주행 기록계, 변속 레버 표시등, 도어 열림 경고등, 엔진 오일 경고등, 연료부족 경고등이 배치된 계기판(즉 클러스터, 123)과, 공기조화기의 송풍구와 조절판이 배치된 센터 페시아(124)와, 센터 페시아(124)에 마련되고 오디오 기기와 공기 조화기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헤드유닛(125)과, 센터 페시아(124)에 마련되고 시동 온, 오프 명령을 입력받는 시동부(126)를 포함한다.
차량(100)은 센터페시아(124)에 마련되고 조작 위치를 입력받는 변속 레버와, 변속 레버의 주변 또는 헤드 유닛(125)에 위치하고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미도시)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주차 버튼(EPB 버튼)을 더 포함한다.
차랑(100)은 각종 기능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1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7)는 헤드 유닛(125) 및 센터페시아(124)에 마련될 수 있고, 각종 기능의 동작 온 오프 버튼, 각종 기능의 설정값을 변경하기 위한 버튼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인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7)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의 표시부에 표시된 커서의 이동 명령 및 선택 명령 등을 입력하기 위한 조그 다이얼(미도시) 또는 터치 패드(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조그 다이얼 또는 터치 패드는 센터페시아 등에 마련될 수 있다.
차랑(100)은 헤드 유닛(125)에 마련되고, 차량에서 수행 중인 기능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은 사용자의 사용 편의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를 더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는 대시 보드 상에 매립식 또는 거치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는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방송 기능(DMB 기능), 라디오 기능 중 수행하고 있는 기능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의 차대(140)는 차체(110, 120)를 지지하는 틀로, 전후좌우에 각 배치된 차륜(141)과, 차량의 주행에 필요한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구동력을 조절하며 조절된 구동력을 전후좌우의 차륜(141)에 인가하기 위한 동력 장치, 조향 장치, 전후좌우의 차륜(141)에 제동력을 인가하기 위한 제동 장치 및 현가 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차량(100)은 주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조향 장치의 스티어링 휠(142)과, 사용자의 제동 의지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브레이크 페달(143)과, 사용자의 가속 의지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엑셀러레이터 페달(144)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은 운전자 및 탑승자의 안전을 위한 여러 가지 안전장치들을 더 포함한다.
차량의 안정장치로는 차량 충돌 시 운전자 등 탑승자의 안전을 목적으로 하는 에어백 제어 장치와, 차량의 가속 또는 코너링 시 차량의 자세를 차량자세 안정 제어 장치(ESC: Electronic Stability Control) 등 여러 종류의 안전장치들이 있다.
차량(100)은 단말기, 오디오 장치, 실내 등, 시동 모터, 그 외 전자장치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150a, 도 3참조)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배터리는 주행 중 충전을 수행한다.
즉 차량은 주행이 시작되면 엔진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발전기를 구동시킴으로써 전력을 생산하고, 생산된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시킨다.
차량(100)은 내부의 각종 전자 장치들 사이의 통신, 사용자용 단말기와의 통신 및 저장 매체와의 통신을 수행하고,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타 차량, 서버 및 인프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구성도이고,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마련된 배터리 관리부(150)의 상세 구성도이다.
차량은 시동부(126), 입력부(127), 표시부(128), 배터리 관리부(150), 제어부(160), 저장부(161) 및 통신부(170)를 포함한다.
시동부(126)는 시동 온 명령 및 시동 오프 명령을 입력받는 시동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시동 버튼은 푸쉬 타입의 버튼일 수 있다.
시동부(126)는 키가 삽입되고 삽입된 키의 키 신호를 수신하는 키부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시동부(126)는 시동 모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시동 버튼이 온 되면 배터리(150a)의 전력을 시동 모터에 공급하고 시동 모터의 동작에 의해 엔진(미도시)이 시동되도록 한다.
차량이 하드 타입의 하이브리드 차량 또는 전기 차량인 경우, 시동 버튼이 온되면 배터리의 전력을 구동 모터에 공급하여 구동 모터가 시동되도록 한다.
아울러 차량이 소프트 타입의 하이브리드 차량인 경우, 시동 버튼이 온되면 배터리의 전력을 구동 모터와 엔진에 공급하여 구동 모터와 엔진이 시동되도록 한다.
입력부(127)는 복수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의 온 오프 명령을 입력받고,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대한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다.
입력부(127)는 서버(200)와의 통신 온 명령 및 통신 오프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부(127)는 차량의 각종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서버(200)를 선택받고, 차량의 배터리의 알림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단말기(300)의 식별 정보를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차량의 각종 정보는 주행 상태 정보, 배터리의 방전 정보,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는 배터리의 충전량과, 배터리의 충전량에 대응하는 충전 레벨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28)는 수행 중인 기능에 대한 동작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128)는 전화 통화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출력되는 콘텐츠의 정보를 표시하거나, 음악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고 외부의 방송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부(128)는 통신 가능한 서버(200)와 단말기(300)의 식별 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표시부(128)는 서버(200)와의 통신 가능, 통신 불가능 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배터리 관리부(150)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충전 상태에 대한 충전 상태 정보를 제어부(160)에 전송하고,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대응하는 충전 레벨을 확인하고 확인된 충전 레벨이 기준 레벨이면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킨다.
배터리 관리부(150)는 새로운 기준 레벨이 수신되면 미리 저장된 기준 레벨을 수신된 기준 레벨로 변경하고 변경된 기준 레벨에 기초하여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킨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관리부(150)는 전류 검출부(151), 전압 검출부(152), 온도 검출부(153), 모니터링부(154) 및 출력부(155)를 포함한다.
배터리(150a)는 시동 온 명령이 입력되면 시동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고, 차량에 마련된 각종 전자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며, 차량의 주행 중 충전을 수행한다.
배터리(150a)는 시동 오프 명령이 입력되면 차량에 마련된 각종 전자 장치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한다.
배터리(150a)는 차량에 마련된 각종 전자 장치의 기본적인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시동 온/오프와 관계없이 각종 전자 장치에 전류를 공급한다. 이때의 전류를 암전류(Dark Current)라 한다.
예를 들어, 각종 전자 장치들 중 블랙 박스 또는 후방 감시 카메라와 같은 장치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후 주차된 상태에서도 지속적으로 주변을 촬영하기 위해 배터리(150a)의 전력을 공급받는다.
즉 배터리(150a)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후 지속적으로 방전될 수 있다.
배터리 관리부(150)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부로, 전류 검출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전류 검출부(151)는 배터리(150a)의 전류를 검출한다.
배터리 관리부(150)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부로, 전압 검출부와 온도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압 검출부(152)는 배터리(150a)의 출력단의 전압을 검출한다.
그리고 온도 검출부(153)는 배터리(150a)의 온도를 검출한다.
모니터링부(154)는 차량의 시동 온 명령이 수신될 때 차량의 시동 실패를 방지하기 위해 차량의 시동 오프 중 배터리(150a)의 충전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차량이 하이브리드 차량, 수소 연료 전지 차량이나 전기 차량일 경우, 배터리 관리부(150)는 구동 모터의 구동 정지를 방지하기 위해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모니터링부(164)는 검출된 배터리의 전류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모니터링부(154)는 검출된 배터리의 전류와 전압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도 가능하다.
모니터링부(154)는 배터리의 각 셀들의 전류, 전압, 온도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 상태(SOC)를 모니터링하는 것도 가능하다.
모니터링부(154)는 모니터링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대한 충전 상태 정보를 제어부(160)에 출력하도록 한다.
여기서 배터리의 충전 상태는 배터리의 충전량을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154)는 배터리의 전류에 대응하는 충전 레벨을 저장하고 배터리의 기준 레벨을 저장한다.
즉 모니터링부(154)는 검출된 전류에 대응하는 충전 레벨을 확인하고, 확인된 충전 레벨이 기준 레벨이면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킨다.
트리거 신호는 배터리(150a)의 방전 방지를 위한 알림 정보를 전송할 때 제어부(160)를 웨이크업(Wake-up)시키는 신호일 수 있다.
모니터링부(154)는 배터리의 충전량에 대응하는 충전 레벨을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모니터링부(154)는 미리 저장된 테이블로부터 배터리의 전류, 전압 및 온도에 대응하는 배터리의 충전량을 획득할 수 있다.
미리 저장된 테이블에는 배터리의 전류, 전압 및 온도의 상관 관계에 대응하는 배터리의 충전량이 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모니터링부(154)는 제어부(160)로부터 시동 오프 명령이 수신되면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대한 충전 상태 정보를 제어부(160)에 출력하도록 한다.
모니터링부(154)는 차량의 시동이 온되고 배터리의 기준 레벨의 변경 명령이 수신되면 저장된 배터리의 기준 레벨을 수신된 배터리의 기준 레벨로 변경하고, 시동 오프 명령이 수신되면 변경된 배터리의 기준 레벨에 기초하여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킨다.
모니티링부(154)는 배터리가 최대 충전량보다 큰 충전량으로 충전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배터리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한다.
출력부(155)는 모니터링부(154)에서 발생된 트리거 신호를 제어부(160)에 전송한다.
아울러 출력부(155)는 모니터링부(154)에서 제1트리거 신호가 발생되면 발생된 제1트리거 신호를 제어부(160)에 전송하고, 모니터링부(154)에서 제2트리거 신호가 발생되면 발생된 제2트리거 신호를 제어부(160)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출력부(155)는 모니터링부(154)에서 모니터링된 충전 상태 정보를 제어부(160)에 전송한다. 여기서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는 배터리의 충전량일 수 있다. 또한 충전 상태 정보는 배터리의 충전 레벨일 수 있다.
이러한 출력부(155)는 신호를 입출력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제어부(160)는 배터리 관리부(150)와 통신을 수행한다.
제어부(160)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상태에서 트리거 신호가 수신되면 웨이크 업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60)는 배터리 관리부(150)로부터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대한 충전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배터리의 충전 상태(State Of Change, SOC) 정보는 배터리의 충전량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통신부(170)를 제어하여 서버(200)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제어부(160)는 주차된 상태, 즉 시동이 오프된 상태에서 배터리 관리부(150)로부터 트리거 신호가 수신되면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한다.
여기서 배터리의 방전 정보는, 배터리의 충전 레벨이 기준 레벨까지 방전된 상태에 대응하는 정보로, 사용자에게 배터리의 충전을 요청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160)는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전송 시, 서버(200)와 통신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서버(200)에 재 전송한다.
이러한 제어부(160)는 배터리의 방전 정보 전송 시, 서버(200)와 통신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재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트리거 신호가 수신되면 웨이크 업되고,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전송하면 슬립 상태로 전환된다.
제어부(160)는 시동 온 명령이 수신되면 배터리(150a)의 충전을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시동 온 명령이 수신되면 시동 모터를 발전기로 동작시켜 전력이 발생되도록 하고 이때 발생된 전력에 의해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160)는 시동 온 명령이 수신되면 별도의 발전기의 동작을 제어하여 전력이 발생되도록 하고 발생된 전력에 의해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주행 중 차량의 주행 상태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고, 주행 중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차량의 주행 상태 정보는, 주행 중 주행 거리, 주행 시간, 주행 속도, 정지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차량은 주행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시동 오프 명령이 수신되면 배터리 관리부(150)로부터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충전 상태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하도록 통신부(170)를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서버(200)로부터 배터리의 기준 레벨이 수신되면 저장부(161)에 저장된 배터리의 기준 레벨을 수신된 배터리의 기준 레벨로 변경하고 변경된 기준 레벨의 저장을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시동 온 명령이 수신되면 배터리의 기준 레벨이 변경되었는지 확인하고, 배터리의 기준 레벨이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면 변경된 배터리의 기준 레벨을 배터리 관리부(150)에 전송한다.
제어부(160)는 차량이 주정차된 위치의 환경 정보인 날씨와 온도를 서버(200)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차량은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부 및 비, 눈의 강수량을 검출하는 레인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차량이 주정차된 위치의 환경 정보인 날씨와 온도에 기초하여 기준 레벨을 자동으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제어부(160)는 기준 레벨의 변경 정보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차량 내 구성부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저장부(161)는 통신 가능한 서버(200)의 정보를 저장하고, 차량의 정보 출력을 위한 단말기(300)의 식별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161)는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배터리의 기준 레벨을 저장한다.
저장부(161)는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재전송 간격 시간인 일정 시간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61)는 제어부(160)와 관련하여 전술한 프로세서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된 메모리일 수 있고, 프로세서와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저장부(161)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통신부(170)는 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170)는 제어부(160)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방전 정보 및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한다.
통신부(170)는 차량의 주행 상태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통신부(160)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및SMS(Short Message Service)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 방전 정보 및 차량의 주행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HTTP는 인터넷에서 서버와 사용자의 인터넷 블라우저 사이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신 규약이다.
통신부(170)는 GPS 수신기(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차량의 위치를 서버(200)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통신부(170)는 배터리 관리부(150)와 제어부(160) 사이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통신부(170)는 제어부(160)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모듈, WLAN(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통신 모듈, NFC 통신 모듈, 직비(Zigbee) 통신 모듈 등 근거리에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양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캔(Controller Area Network; CAN) 통신 모듈, 지역 통신(Local Area Network; LAN) 모듈, 광역 통신(Wide Area Network; WAN) 모듈 또는 부가가치 통신(Value Added Network; VAN) 모듈 등 다양한 유선 통신 모듈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다양한 케이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순서도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차량은 시동이 오프된 상태에서 배터리의 전류를 검출하고 검출된 배터리의 전류에 대응하는 충전 레벨을 확인(181)한다.
차량은 배터리의 충전 상태(State Of Change, SOC)를 확인하고 확인된 충전 상태에 대응하는 배터리의 충전량을 확인하며 확인된 충전량에 대응하는 충전 레벨을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배터리의 충전 레벨을 확인하는 것은, 배터리의 방전량을 확인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배터리의 충전량을 확인하는 것은, 배터리의 전류, 전압 및 온도를 검출하고 미리 저장된 테이블로부터 검출된 배터리의 전류, 전압 및 온도의 상관 관계에 대응하는 배터리의 충전량을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은 확인된 충전 레벨이 미리 저장된 기준 레벨인지 판단(182)하고 확인된 충전 레벨이 기준 레벨이라고 판단되면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서버에 전송(183)한다.
여기서 배터리의 방전 정보는, 배터리의 충전 레벨이 기준 레벨까지 방전된 상태에 대응하는 정보로, 사용자에게 배터리의 충전을 요청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차량의 배터리 관리부는 확인된 충전 레벨이 기준 레벨이라고 판단되면 트리거 신호를 제어부(160)에 전송함으로써 제어부(160)가 웨이크 업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트리거 신호가 수신되면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서버에 전송한다.
차량은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전송 여부를 판단하고, 배터리의 방전 정보가 정상적으로 전송되었다고 판단되면 슬립 상태로 전환한다.
반면 차량은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전송이 불가하다고 판단(184)되면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서버에 재전송(185)한다.
여기서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전송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미리 설정된 타임 아웃 내에 방전 정보가 전송되는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전송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서버로부터 정보 수신의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은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재전송 여부를 판단하고,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재전송이 불가하다고 판단되면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서버에 재전송한다. 차량은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전송을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시도할 수 있다.
차량은 서버와의 통신 불가능 시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전송한 후 슬립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은 시동 오프 상태에서 충전 레벨과 기준 레벨이 동일해지는 시점(P1)에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전송하고, 서버와의 통신이 불가능하면 일정 시간(d)이 경과한 시점(P2)에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재전송하며, 서버와의 통신이 계속적으로 불가능하면 일정 시간(d)이 경과한 시점(P3)에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전송한다.
차량은 시동 온 명령이 수신(186)되면 배터리의 전력을 시동 모터에 공급하여 엔진이 시동되도록 하고, 변속레버의 조작 정보, 엑셀러레이터 페달의 가압 정보 및 브레이크 페달의 가압 정보에 기초하여 주행 및 주행 속도를 제어한다.
차량은 주행 중에 발생된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187)한다.
즉, 차량은 시동 모터를 발전기로 동작시켜 전력이 발생되도록 하거나, 시동 모터와 별도로 마련된 발전기를 동작시켜 전력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차량은 배터리 충전 중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충전 상태에 대응하는 충전량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을 정지시킴으로써 배터리가 최대 충전량 이상으로 충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은 시동 온 명령이 수신되면 시동이 온된 시점(S1)부터 배터리의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의 충전량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배터리의 충전량 증가에 따라 배터리의 충전 레벨 또한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차량은 주행 중 검출된 주행 속도에 기초하여 주행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주행 상태 정보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차량은 시동 오프 명령이 수신(188)되면 배터리의 충전이 종료되며, 충전이 종료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대한 충전 상태 정보를 서버에 전송(189)한다.
아울러 차량은 시동 오프 명령이 수신되면 충전 상태에 대응하는 배터리의 충전 레벨을 서버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은 시동 오프 시점이 S2이면 기준 레벨보다 낮은 값을 가지는 충전 레벨을 서버에 전송하며, 시동 오프 시점이 S3이면 기준 레벨보다 높은 값을 가지는 충전 레벨을 서버에 전송한다.
아울러 차량의 배터리 관리부는 주행 중 배터리가 충전되어 배터리의 충전 레벨이 기준 레벨과 동일해지는 시점(P4)에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차량은 배터리 충전 중에 발생된 트리거 신호에 의한 방전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지 않고,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대한 충전 상태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배터리의 충전량을 사용자가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서버는 배터리가 방전 주의 상황에 대한 해소 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배터리의 방전 상황의 해소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차량은 시동 온 명령이 수신되었을 때 서버로부터 기준 레벨의 변경 명령이 수신되었는지 확인하고, 서버로부터 기준 레벨의 변경 명령이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저장부에 저장된 기준 레벨을 수신된 기준 레벨로 변경한다.
그리고 차량은 시동 오프 명령이 수신되면 변경된 기준 레벨에 기초하여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은 시동 오프 상태에서 배터리의 충전 레벨이 기준 레벨과 동일해지는 시점(P1)에 트리거 신호가 발생되고, 발생된 트리거 신호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서버에 전송한다.
하지만, 차량은 시동이 온되고 기준 레벨이 변경되면 저장된 기준 레벨을 수신된 기준레벨로 변경하고, 주행 중 배터리를 충전시켜 배터리의 충전 레벨을 증가시킨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은 시동이 오프된 시점(S2)부터 변경된 기준 레벨에 기초하여 배터리를 모니터링한다. 즉, 차량은 배터리의 충전 레벨이 변경된 기준 레벨과 동일해지는 시점(P2)에 트리거 신호가 발생되고, 발생된 트리거 신호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한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과 통신하는 서버의 제어 구성도이다.
서버(200)는 입력부(210), 표시부(220), 제어부(230), 저장부(231) 및 통신부(240)를 포함한다.
입력부(210)는 등록을 위한 사용자의 정보, 사용자의 차량의 정보 및 단말기의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차량의 정보는 통신 시리얼, 등록 번호, 소유주 이름, 거주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의 정보는, 소유주 이름, 식별 번호, 통신 시리얼, 모델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220)는 등록된 차량의 정보와 단말기의 정보를 표시하고, 통신 중인 차량의 정보와 단말기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통신 불가의 차량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통신이 가능하고 시동이 오프된 차량으로부터 배터리의 방전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저장하고, 단말기(300)에 배터리의 방전 주의에 대한 알림 정보를 전송한다.
제어부(230)는 배터리의 방전 정보가 수신되었을 때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량을 확인하고 확인된 배터리의 충전량을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230)는 차량으로부터 배터리의 방전 정보가 수신되면 응답 신호를 차량에 전송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230)는 시동이 온된 차량으로부터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량을 확인하고 확인된 배터리의 충전량을 단말기(300)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제어부(230)는 시동이 온된 차량으로부터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를 단말기(300)에 전송함으로써 단말기(300)에서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량을 확인하고 확인된 배터리의 충전량을 표시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230)는 시동이 온되고 주행 중인 차량으로부터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 및 차량의 주행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량을 획득하고, 획득된 배터리의 충전량과 차량의 주행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완충(즉, 최대 충전량으로의 충전) 시간을 예측하고, 예측된 시간을 단말기(300)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주행 상태 정보는 시동 온 신호, 시동 오프 신호, 주행 속도, 주행 시간 및 주행 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차량으로부터 시동 오프 신호가 수신되고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 레벨을 획득하고 획득된 배터리의 충전 레벨과 기준 레벨을 비교하고 충전 레벨이 기준 레벨 이하이면 차량이 시동 온되기 전에 차량으로부터 수신되어 저장된 배터리의 방전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며, 저장된 배터리의 방전 정보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단말기에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전송을 차단하고, 저장된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삭제하며, 저장된 배터리의 방전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단말기(300)에 전송한다.
제어부(230)는 차량으로부터 배터리의 전류를 수신하고 수신된 배터리의 전류에 기초하여 충전 레벨을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고,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배터리의 전류를 확인하며 확인된 배터리의 전류에 대응하는 충전 레벨을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며,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충전량을 확인하며 확인된 충전량에 대응하는 충전 레벨을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통해 제어부(230)는 차량의 시동 오프 후 사용자가 단말기(300)를 통해 배터리의 완충을 위한 주행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배터리의 충전 레벨이 기준 레벨을 초과하면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전송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230)는 차량의 시동 오프 중 차량과의 통신 불가능으로 배터리의 방전 정보가 수신되지 않았을 때, 사용자가 배터리의 방전에 대한 정보를 인지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량의 시동 온 후 시동이 오프될 때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수신 이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단말기에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의 환경 정보를 확인하며 확인된 환경 정보에 대응하는 기준 레벨을 획득하고, 획득된 기준 레벨이 저장부(231)에 저장된 기준 레벨과 동일한지 판단하며, 획득된 기준 레벨이 저장부(231)에 저장된 기준 레벨과 상이하다고 판단되면 저장된 기준 레벨을 획득된 기준 레벨로 변경하도록 하는 기준 레벨 변경 명령과, 변경을 위한 기준 레벨을 차량(100)에 전송한다.
제어부(230)는 차량의 소유주의 주소에 기초하여 환경 정보를 획득하며 획득된 환경 정보에 대응하는 기준 레벨을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230)는 차량의 저장된 배터리의 기준 레벨을 획득된 배터리의 기준 레벨로 변경하고 변경된 기준 레벨의 저장을 제어한다.
제어부(230)는 배터리의 기준 레벨이 변경되면 차량으로부터 시동 오프 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하고, 차량으로부터 시동 오프 신호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시동 온되기 전에 차량으로부터 수신되어 저장된 배터리의 방전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며, 저장된 배터리의 방전 정보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단말기에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전송을 차단하고, 저장된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삭제하며, 저장된 배터리의 방전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단말기(300)에 전송한다.
제어부(230)는 배터리의 기준 레벨이 변경되면 변경 후 기준 레벨과 변경 전 기준 레벨의 값을 비교하고, 변경 후의 기준 레벨이 변경 전의 기준 레벨보다 크면 시동 오프된 시점의 충전 레벨과 변경된 기준 레벨을 비교하고 충전 레벨이 변경된 기준 레벨보다 낮으면 시동 온되기 전에 차량으로부터 수신되어 저장된 배터리의 방전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며, 저장된 배터리의 방전 정보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단말기에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전송을 차단하고, 저장된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삭제하며, 저장된 배터리의 방전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단말기(300)에 전송한다.
제어부(230)는 변경 후의 기준 레벨이 변경 전의 기준 레벨보다 낮으면 시동 오프된 시점의 충전 레벨과 변경된 기준 레벨을 비교하고 충전 레벨이 변경된 기준 레벨보다 낮으면 시동 온되기 전에 차량으로부터 수신되어 저장된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존재와 무관하게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단말기(300)에 전송한다.
아울러 제어부(230)는 변경 후의 기준 레벨이 변경 전의 기준 레벨보다 낮으면 시동 오프된 시점의 충전 레벨과 변경된 기준 레벨을 비교하고 충전 레벨이 변경된 기준 레벨보다 낮으면 시동 온되기 전에 차량으로부터 수신되어 저장된 배터리의 방전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저장된 배터리의 방전 정보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단말기에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전송을 차단하고, 저장된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삭제하며, 저장된 배터리의 방전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단말기(300)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230)는 배터리의 방전 정보가 수신되어 저장된 상태에서 차량으로부터 시동 온 신호와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충전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배터리의 충전량을 확인하고 확인된 배터리의 충전량을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저장부(231)는 등록된 사용자의 정보, 차량의 정보 및 단말기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31)는 등록된 차량 별 배터리의 기준 레벨을 저장한다.
저장부(231)는 수신된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저장한다. 아울러 저장부(231)에 저장된 배터리의 방전 정보는, 제어부(23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삭제될 수 있다.
저장부(231)는 등록된 차량의 위치에 따라 변경된 배터리의 기준 레벨을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저장부(231)는 날씨와 온도의 상관 관계에 대응하는 배터리의 기준 레벨이 매칭된 기준 레벨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통신부(240)는 등록된 차량(100)과 단말기(300)와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240)는 제어부(230)의 제어명령에 기초하여 차량의 배터리에 대한 알림 정보를 단말기(300)에 전송한다.
배터리에 대한 알림 정보는, 배터리의 방전 주의 정보 및 배터리의 충전량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40)는 차량으로부터 수신된 배터리의 방전 정보, 충전 상태 정보, 주행 상태 정보를 제어부(230)에 전송한다.
이러한 통신부(240)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과 통신하는 서버의 제어 순서도로, 도 10 내지 도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서버는 시동이 오프된 차량으로부터 배터리의 방전 정보가 수신(251)되면 수신된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저장(252)하고, 단말기(300)에 배터리의 방전 주의에 대한 알림 정보를 전송(253)한다.
아울러 서버는 배터리의 방전 정보가 수신되면 응답 신호를 차량에 전송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는 차량이 시동 오프 상태일 때 발생된 트리거 신호에 의한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서버는 배터리의 충전 레벨과 기준 레벨이 동일해지는 시점(P1)에 발생된 트리거 신호에 의한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하지만 서버는 차량과 통신이 불가능할 때 배터리의 충전 레벨과 기준 레벨이 동일해지는 시점(P1)으로부터 일정 시간 경과한 시점(P2)에 전송한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아울러 서버는 차량과의 통신이 계속적으로 불가능할 때 시점(P2)으로부터 일정 시간 경과한 시점(P3)에 전송한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차량과의 통신이 계속적으로 불가능하게 되면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다.
서버는 시동이 온되고 주행 중인 차량으로부터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 및 차량의 주행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량을 획득하고, 획득된 배터리의 충전량과 차량의 주행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완충(즉, 최대 충전량으로의 충전) 시간을 예측하고, 예측된 시간을 단말기(300)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주행 상태 정보는 시동 온 신호, 시동 오프 신호, 주행 속도, 주행 시간 및 주행 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는 주행 중인 차량으로부터 시동 오프 신호가 수신되고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가 수신(254)되면 수신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량을 확인하고 확인된 배터리의 충전량에 대응하는 충전 레벨을 확인(255)한다.
서버는 배터리의 충전 레벨이 기준 레벨을 초과하면 배터리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량을 단말기(300)에 전송한다.
서버는 확인된 배터리의 충전 레벨과 기준 레벨을 비교하고 충전 레벨이 기준 레벨 이하(256)이면 차량이 시동 온되기 전에 저장된 배터리의 방전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257)하며, 저장된 배터리의 방전 정보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단말기에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전송을 차단하고, 저장된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삭제(258)한다.
반면 서버는 저장된 배터리의 방전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배터리의 방전에 대한 알림 정보를 단말기(300)에 전송(259)한다.
이를 통해 서버는 차량의 시동 오프 후 사용자가 단말기(300)를 통해 배터리의 완충을 위한 주행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는 시동이 온되는 시점(S1)부터 배터리의 충전을 수행한다. 이로 인해 차량의 배터리의 충전량은 증가하고, 충전량 증가에 따라 충전 레벨도 증가하게 된다.
서버는 차량이 시점(S2)에 시동 오프되면 시동 오프 시의 방전 레벨과 저장된 방전 정보의 존재 여부에 기초하여 단말기로의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전송을 제어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S2 시점에 시동이 오프되었다고 가정하면 서버는 차량에서 전송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충전 레벨을 확인하고 확인된 충전 레벨이 기준 레벨 이하라고 판단되면 시동 온 시점(S1) 이전에 저장된 배터리의 방전 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시동 온 시점(S1) 이전에 저장된 배터리의 방전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고 시동 온 시점(S1) 이전에 저장된 배터리의 방전 정보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지 않는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S3 시점에 시동이 오프되었다고 가정하면 서버는 차량에서 전송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충전 레벨을 확인하고 확인된 충전 레벨이 기준 레벨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지 않는다.
서버는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기준 레벨을 변경하고 변경된 기준 레벨을 차량에 전송하며, 차량은 시동이 온된 시점부터 변경된 기준 레벨에 기초하여 배터리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를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변경된 기준 레벨이 저장된 기준 레벨보다 높을 때의 서버의 알림 정보의 전송 예시도로, 차량의 배터리의 충전 레벨이 저장된 기준 레벨보다 낮아진 상태에서 시동이 온되었을 때 예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은 저장부(161)에 저장된 기준 레벨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전송을 제어한다.
차량은 배터리의 충전 레벨이 저장된 기준레벨과 동일해지는 시점(P1)에 발생된 트리거 신호에 의해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서버에 전송한다. 이때 서버는 차량으로부터 배터리의 방전 정보가 수신되면 단말기에 배터리의 방전에 대한 알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차량은 시동이 온된 시점(S1)에 저장부(161)에 저장된 기준 레벨을 수신된 기준 레벨로 변경하고 시동이 오프되면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를 서버에 전송한다.
서버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시점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 레벨을 획득하고 획득된 충전 레벨과 변경된 기준 레벨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방전에 대한 알림 정보의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시동 오프 시점이 S2이면, 차량은 S2 시점에서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를 서버에 전송한다.
서버는 S2시점에서의 배터리의 충전 레벨을 획득하고 획득된 충전 레벨과 변경된 기준레벨을 비교하여 획득된 충전 레벨이 변경된 기준 레벨보다 낮다고 판단되면 시동 온 시점(S1)의 이전에 저장된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존재를 확인하고 저장된 배터리의 방전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배터리의 방전에 대한 알림 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고, 저장된 배터리의 방전 정보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배터리의 방전에 대한 알림 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지 않는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시동 오프 시점이 S3이면, 차량은 S3 시점에서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를 서버에 전송한다. 이때 서버는 S3 시점에서의 배터리의 충전 레벨을 획득하고 획득된 충전 레벨과 변경된 기준레벨을 비교하여 획득된 충전 레벨이 변경된 기준 레벨보다 높다고 판단되면 배터리의 방전에 대한 알림 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지 않는다.
도 12는 변경된 기준 레벨이 저장된 기준 레벨보다 낮을 때의 서버의 알림 정보의 전송 예시도로, 차량의 배터리의 충전 레벨이 저장된 기준 레벨과 변경된 기준 레벨보다 낮아진 후 시동이 온되었을 때의 예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은 저장부(161)에 저장된 기준 레벨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전송을 제어한다.
차량은 배터리의 충전 레벨이 저장된 기준레벨과 동일해지는 시점(P1)에 발생된 트리거 신호에 의해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서버에 전송한다. 이때 서버는 차량으로부터 배터리의 방전 정보가 수신되면 단말기에 배터리의 방전에 대한 알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차량은 시동이 온되기 전에 저장된 기준 레벨을 변경하지 않기 때문에, 시동이 온되기 전에 배터리의 충전 레벨이 변경된 기준 레벨과 동일해지는 시점(P2)이 발생하여도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고, 또한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지 않는다.
차량은 시동이 온된 시점(S1)에 저장부(161)에 저장된 기준 레벨을 수신된 기준 레벨로 변경하고 시동이 오프되면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를 서버에 전송한다.
서버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시점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 레벨을 획득하고 획득된 충전 레벨과 변경된 기준 레벨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방전에 대한 알림 정보의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시동 오프 시점이 S2이면, 차량은 S2 시점에서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를 서버에 전송한다.
서버는 S2시점에서의 배터리의 충전 레벨을 획득하고 획득된 충전 레벨과 변경된 기준레벨을 비교하여 획득된 충전 레벨이 변경된 기준 레벨보다 낮다고 판단되면 시동 온 시점(S1)의 이전에 저장된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존재를 확인하고 저장된 배터리의 방전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배터리의 방전에 대한 알림 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고, 저장된 배터리의 방전 정보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배터리의 방전에 대한 알림 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지 않는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시동 오프 시점이 S3이면, 차량은 S3 시점에서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를 서버에 전송한다.이때 서버는 S3 시점에서의 배터리의 충전 레벨을 획득하고 획득된 충전 레벨과 변경된 기준레벨을 비교하여 획득된 충전 레벨이 변경된 기준 레벨보다 높다고 판단되면 배터리의 방전에 대한 알림 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지 않는다.
도 13은 변경된 기준 레벨이 저장된 기준 레벨보다 높을 때의 서버의 알림 정보의 전송 예시도로, 차량의 배터리의 충전 레벨이 저장된 기준 레벨보다 높은 상태에서 시동이 온되었을 때의 예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은 저장부(161)에 저장된 기준 레벨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전송을 제어한다. 아울러 차량은 배터리의 충전 레벨이 저장된 기준레벨보다 높으면 트리거 신호가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배터리의 방전 정보 또한 서버에 전송하지 않는다.
차량은 배터리의 충전 레벨이 저장된 기준 레벨보다 높은 상태에서 시동이 온되면 시동이 온된 시점(S1)에 저장부(161)에 저장된 기준 레벨을 수신된 기준 레벨로 변경한다.
차량은 주행 중 배터리를 충전하고, 배터리의 충전에 따라 배터리의 충전 레벨도 증가하게 된다.
차량은 시동이 오프되면 시동이 오프된 시점에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를 서버에 전송한다. 이때 서버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시점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 레벨을 획득하고 획득된 충전 레벨과 변경된 기준 레벨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방전에 대한 알림 정보의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시동 오프 시점이 S2이면, 차량은 S2 시점에서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를 서버에 전송한다.
서버는 S2시점에서의 배터리의 충전 레벨을 획득하고 획득된 충전 레벨과 변경된 기준레벨을 비교하여 획득된 충전 레벨이 변경된 기준 레벨보다 낮다고 판단되면 시동 온 시점(S1)의 이전에 저장된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존재를 확인하고 저장된 배터리의 방전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배터리의 방전에 대한 알림 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한다.
즉, 서버에는 차량으로부터 방전 정보가 수신된 이력이 없기 때문에 저장된 배터리의 방전 정보 또한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시동 오프 시점이 S3이면, 차량은 S3 시점에서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를 서버에 전송한다.이때 서버는 S3 시점에서의 배터리의 충전 레벨을 획득하고 획득된 충전 레벨과 변경된 기준레벨을 비교하여 획득된 충전 레벨이 변경된 기준 레벨보다 높다고 판단되면 배터리의 방전에 대한 알림 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지 않는다. 이때 서버는 단말기에 차량의 배터리의 충전량을 전송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100), 서버(200) 및 단말기(300)와의 정보 송신의 예시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0)은 시동 오프 중 배터리의 충전 레벨이 기준 레벨이면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서버(200)에 1차로 전송한다.
차량(100)은 방전 정보가 전송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서버(200)에 2차로 전송한다.
차량(100)은 방전 정보가 전송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서버(200)에 3차로 전송하고 슬립 상태로 전환한다.
차량(100)은 시동 온 명령이 수신되고 주행이 수행되면 배터리의 충전을 수행하고 시동 오프 명령이 수신되면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충전 상태에 대한 충전 상태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한다.
서버(200)는 차량(100)과의 통신이 불가능하면 차량에서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수신할 수 없다.
서버(200)는 차량(100)과의 통신이 가능한 상태에서 차량의 시동 오프 신호와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배터리의 충전 레벨을 확인한다.
서버(200)는 확인된 배터리의 충전 레벨이 기준 레벨을 초과하면 단말기에 배터리의 충전량을 전송할 수 있다.
반면 서버(200)는 확인된 배터리의 충전 레벨이 기준 레벨 이하이면 차량의 시동 온 신호가 수신되기 전에 배터리의 방전 정보가 수신되었는지 확인하고 차량의 시동 온 신호가 수신되기 전에 배터리의 방전 정보가 수신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단말기(300)에 배터리의 방전에 대한 알림 정보를 전송한다.
단말기(300)는 알림 정보가 수신되면 차량의 배터리의 방전 주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의 주행을 요청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0)은 시동 오프 중 배터리의 충전 레벨이 기준 레벨이면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서버(200)에 1차로 전송한다.
차량(100)은 방전 정보가 전송되었다고 판단되면 더 이상의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하지 않는다.
서버(200)는 배터리의 방전 정보가 수신되면 단말기(300)에 배터리의 방전에 대한 알림 정보를 전송한다.
단말기(300)는 알림 정보가 수신되면 차량의 배터리의 방전 주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미리 설정된 주행 시간 이상의 주행을 요청할 수 있다.
차량(100)은 시동 온 명령이 수신되고 주행이 수행되면 배터리의 충전을 수행하고 시동 오프 명령이 수신되면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충전 상태에 대한 충전 상태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한다.
서버(200)는 차량(100)과의 통신이 가능한 상태에서 차량의 시동 오프 신호와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배터리의 충전 레벨을 확인하고, 확인된 배터리의 충전 레벨이 기준 레벨 이하이면 차량의 시동 온 신호가 수신되기 전에 배터리의 방전 정보가 수신되었는지 확인한다.
서버(200)는 차량의 시동 온 신호가 수신되기 전에 배터리의 방전 정보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차량의 시동 온 신호가 수신되기 전에 단말기(300)에 배터리의 방전에 대한 알림 정보를 전송하였다고 판단하여 단말기에 배터리의 방전에 대한 알림 정보를 다시 전송하지 않는다.
즉 서버(200)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배터리의 방전 주의에 대한 알림 정보를 인식한 후 알림 정보에 따라 차량을 미리 설정된 주행 시간 이상으로 주행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서버(200)는 차량의 주행 중 차량의 주행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량을 예측하고 예측된 배터리의 충전량을 단말기(30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는 차량의 시동 오프 시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량을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말기(300)는 차량의 주행 중과 차량의 시동 오프 시에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차량의 주행에 의한 배터리의 충전량을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서버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대응하는 배터리의 충전 레벨이 기준 레벨 미만일 때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수신 및 저장의 이력 여부를 확인하고, 배터리의 방전 정보가 수신 및 저장 이력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배터리의 알림 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고,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수신 및 저장 이력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배터리의 알림 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과 서버의 제어 구성도로,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17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배터리의 방전 정보 및 충전 상태 정보의 전송 예시도이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은 시동부(126), 입력부(127), 표시부(128), 배터리 관리부(156), 제어부(162), 저장부(163) 및 통신부(170)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시동부(126), 입력부(127), 표시부(128), 및 통신부(170)는, 일 실시 예의 차량의 시동부(126), 입력부(127), 표시부(128), 및 통신부(170)와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배터리 관리부(156)는 배터리의 전류에 대응하는 충전 레벨을 저장하고 제1기준 레벨과 제2기준레벨을 저장한다.
제1기준 레벨은 배터리의 방전 주의를 알리기 위한 레벨이다. 그리고, 제2기준 레벨은 제1기준 레벨보다 낮은 값을 갖는 레벨로, 배터리의 방전 위험을 알리기 위한 레벨이다.
배터리 관리부(156)는 배터리의 충전 레벨이 제1기준 레벨이면 제1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키고, 배터리의 충전 레벨이 제2기준 레벨이면 제2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아울러 배터리의 충전 레벨이 제1기준 레벨일 때 트리거 신호와 배터리의 충전 레벨이 제2기준 레벨일 때 트리거 신호는 동일한 신호일 수 있다.
배터리의 충전 레벨이 제1기준 레벨일 때 트리거 신호와 배터리의 충전 레벨이 제2기준 레벨일 때 트리거 신호는 상이한 신호일 수 있다.
배터리 관리부(156)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충전 상태에 대한 충전 상태 정보를 제어부(160)에 전송하고,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대응하는 충전 레벨을 확인하고 확인된 충전 레벨이 제1기준 레벨이거나 제2기준 레벨이면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트리거 신호는 배터리(150a)의 방전 방지를 위한 알림 정보를 전송할 때 제어부(162)를 웨이크업(Wake-up)시키는 신호일 수 있다.
배터리 관리부(156)는 새로운 제1기준 레벨이 수신되면 미리 저장된 제1기준 레벨을 수신된 제1기준 레벨로 변경하고 변경된 제1기준 레벨에 기초하여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킨다.
배터리 관리부(156)는 새로운 제1기준 레벨이 수신되면 미리 저장된 제1기준 레벨을 수신된 제1기준 레벨로 변경하고 변경된 제1기준 레벨에 기초하여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킨다.
배터리 관리부(156)는 전류 검출부(151), 전압 검출부(152), 온도 검출부(153), 모니터링부(154) 및 출력부(155)를 포함한다. 이는 일 실시 예의 배터리 관리부와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배터리 관리부(156)는 제어부(160)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대한 충전 상태 정보를 제어부(162)에 출력하도록 한다.
배터리 관리부(156)는 배터리가 최대 충전량보다 큰 충전량으로 충전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배터리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배터리 관리부는 전류 검출부, 전압 검출부, 온도 검출부, 모니터링부 및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모니터링부는 배터리의 충전 레벨이 제1기준 레벨이면 제1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키고, 배터리의 충전 레벨이 제2기준 레벨이면 제2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출력부는 모니터링부에서 제1트리거 신호가 발생되면 발생된 제1트리거 신호를 제어부(162)에 전송하고, 모니터링부에서 제2트리거 신호가 발생되면 발생된 제2트리거 신호를 제어부(162)에 전송한다.
출력부는 모니터링부에서 모니터링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를 제어부(162)에 전송한다.
여기서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는 배터리의 충전량일 수 있다. 또한 충전 상태 정보는 배터리의 충전 레벨일 수 있다.
그 외 배터리 관리부의 전류 검출부, 전압 검출부, 온도 검출부, 모니터링부 및 출력부의 구성은, 일 실시 예의 전류 검출부, 전압 검출부, 온도 검출부, 모니터링부 및 출력부와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부(162)는 배터리 관리부(156)와 통신을 수행한다.
제어부(162)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상태에서 트리거 신호가 수신되면 웨이크 업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62)는 배터리 관리부(156)로부터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대한 충전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배터리의 충전 상태(State Of Change, SOC) 정보는 배터리의 충전량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2)는 통신부(170)를 제어하여 서버(200)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제어부(162)는 주차된 상태, 즉 시동이 오프된 상태에서 배터리 관리부(156)로부터 트리거 신호가 수신되면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한다.
여기서 배터리의 방전 정보는, 배터리의 충전 레벨이 기준 레벨까지 방전된 상태에 대응하는 정보로, 사용자에게 배터리의 충전을 요청하기 위한 정보일 수 있다.
배터리의 방전 정보는, 제1기준 레벨에 대응하는 방전 주의 정보, 제2기준 레벨에 대응하는 방전 위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2)는 제1트리거 신호가 수신되면 웨이크 업을 수행하고, 방전 주의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하도록 하며, 방전 주의 정보의 전송이 완료되면 슬립 상태로 전환하고, 제2트리거 신호가 수신되면 웨이크 업을 수행하고 방전 위험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하도록 하며, 방전 위험 정보의 전송이 완료되면 슬립 상태로 전환한다.
제어부(162)는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전송 시, 서버(200)와 통신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서버(200)에 재 전송한다.
이러한 제어부(162)는 배터리의 방전 정보 전송 시, 서버(200)와 통신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재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62)는 제1, 2트리거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가 수신되면 웨이크 업되고,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전송하면 슬립 상태로 전환된다.
제어부(162)는 시동 오프 명령이 수신되면 배터리 관리부(156)로부터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충전 상태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하도록 통신부(170)를 제어한다.
제어부(162)는 서버(200)로부터 배터리의 제1, 2기준 레벨이 수신되면 저장부(163)에 저장된 배터리의 제1, 2기준 레벨을 수신된 배터리의 제 1, 2 기준 레벨로 변경하고 변경된 기준 레벨의 저장을 제어한다.
제어부(162)는 시동 온 명령이 수신되면 배터리의 제1, 2기준 레벨이 변경되었는지 확인하고, 배터리의 제1, 2기준 레벨이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면 변경된 배터리의 제 1, 2기준 레벨을 배터리 관리부(156)에 전송한다.
제어부(162)는 서버(200)로부터 배터리의 제1, 2기준 레벨이 수신되면 저장부(161)에 저장된 배터리의 제1, 2기준 레벨을 수신된 배터리의 제1, 2기준 레벨로 각각 변경하고 변경된 제1, 2기준 레벨의 저장을 제어한다.
제어부(162)는 시동 온 명령이 수신되면 배터리의 제1, 2기준 레벨이 변경되었는지 확인하고, 배터리의 제1, 2기준 레벨이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면 변경된 배터리의 제1, 2 기준 레벨을 배터리 관리부(156)에 전송한다.
제어부(162)는 차량 내 구성부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저장부(163)는 배터리의 제 1, 2 기준 레벨을 저장한다.
저장부(163)는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재전송 간격 시간인 일정 시간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63)는 제어부(162)와 관련하여 전술한 프로세서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된 메모리일 수 있고, 프로세서와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서버는 차량으로부터 방전 주의 정보 및 방전 위험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수신되면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저장하고 단말기에 수신된 적어도 정보에 대한 알림 정보를 전송한다.
서버(200)는 차량(100)과의 통신이 가능한 상태에서 차량의 시동 오프 신호와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배터리의 충전 레벨을 확인하고, 확인된 배터리의 충전 레벨이 제1 기준 레벨 이하이거나, 제2기준 레벨 이하이면 차량의 시동 온 신호가 수신되기 전에 배터리의 방전 주의 정보 및 방전 위험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수신된 이력이 있는지 확인한다.
서버(200)는 차량의 시동 온 신호가 수신되기 전에 배터리의 배터리의 방전 주의 정보 및 방전 위험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수신된 이력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단말기에 배터리의 방전에 대한 알림 정보를 다시 전송하지 않고, 배터리의 방전 주의 정보 및 방전 위험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수신된 이력이 존재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단말기에 배터리의 방전에 대한 알림 정보를 전송한다.
즉 서버(200)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배터리의 방전 주의나 방전 위험에 대한 알림 정보를 인식한 후 알림 정보에 따라 차량을 미리 설정된 주행 시간 이상으로 주행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서버(200)는 차량의 주행 중 차량의 주행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량을 예측하고 예측된 배터리의 충전량을 단말기(3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차량은 시동 오프 상태에서 배터리의 충전 레벨과 제1기준 레벨이 동일해지는 시점(P1)에 배터리의 방전 주의 정보를 전송하고, 서버와의 통신이 불가능하면 일정 시간(d)이 경과한 시점(P2)에 배터리의 방전 주의 정보를 재전송하며, 서버와의 통신이 계속적으로 불가능하면 일정 시간(d)이 경과한 시점(P3)에 배터리의 방전 주의 정보를 재전송한다.
차량은 시동 오프 상태에서 배터리의 충전 레벨과 제2기준 레벨이 동일해지는 시점(P4)에 배터리의 방전 위험 정보를 전송하고, 서버와의 통신이 불가능하면 일정 시간(d)이 경과한 시점(P5)에 배터리의 방전 위험 정보를 재전송하며, 서버와의 통신이 계속적으로 불가능하면 일정 시간(d)이 경과한 시점(P6)에 배터리의 방전 위험 정보를 재전송한다.
차량은 시동이 온되고 주행을 수행하면 주행 중에 발생된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한다. 이때 배터리의 충전량은 증가하고, 충전량 증가에 따라 충전 레벨도 증가하게 된다.
차량은 시동 오프 명령이 수신되면 배터리의 충전이 종료되며, 충전이 종료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고, 확인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대한 충전 상태 정보를 서버에 전송한다.
아울러 차량은 시동 오프 명령이 수신되면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대응하는 배터리의 충전 레벨을 서버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서버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시점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 레벨을 획득하고 획득된 충전 레벨과 변경된 제1, 2기준 레벨과 각각 비교하여 배터리의 방전에 대한 알림 정보의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시동 오프 시점이 S2이면, 차량은 S2 시점에서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를 서버에 전송한다.
서버는 S2시점에서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 레벨을 획득하고 획득된 충전 레벨을 제1, 2 기준레벨과 각각 비교한다.
서버는 획득된 충전 레벨이 제1, 2 기준 레벨보다 낮다고 판단되면 시동 온 시점(S1)의 이전에 저장된 배터리의 방전 주의 정보 및 방전 위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수신 이력을 확인하고 저장된 수신 이력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배터리의 방전에 대한 알림 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고, 저장된 수신 이력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배터리의 방전에 대한 알림 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지 않는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시동 오프 시점이 S3이면, 차량은 S3 시점에서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를 서버에 전송한다.
서버는 S3시점에서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 레벨을 획득하고 획득된 충전 레벨을 제1, 2 기준레벨과 각각 비교한다.
서버는 획득된 충전 레벨이 제1기준 레벨보다 낮고, 제2 기준 레벨보다 높다고 판단되면 시동 온 시점(S1)의 이전에 저장된 배터리의 방전 주의 정보 및 방전 위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수신 이력을 확인하고 저장된 수신 이력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배터리의 방전에 대한 알림 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고, 저장된 수신 이력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배터리의 방전에 대한 알림 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지 않는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시동 오프 시점이 S4이면, 차량은 S4 시점에서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를 서버에 전송한다.
서버는 S4시점에서의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 레벨을 획득하고 획득된 충전 레벨을 제1, 2 기준레벨과 각각 비교한다.
서버는 획득된 충전 레벨이 제1기준 레벨과 제2 기준 레벨보다 높다고 판단되면 배터리의 방전에 대한 알림 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지 않는다
아울러 S3 시점에 차량의 시동이 오프될 경우, 차량의 배터리 모니터링 및 서버의 알림 정보의 전송 구성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차량은 시동이 온되고 배터리 충전 중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 레벨을 획득하고 획득된 충전 레벨과 제2기준레벨이 동일해지는 시점(P7)에 발생된 트리거 신호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방전 위험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고, 시동이 오프되면 시동이 오프된 시점(S3)에 시동 오프 신호 및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는 차량의 시동 온 및 주행 중에 배터리의 방전 위험 정보가 수신되면 배터리의 방전 위험 상황에서 해소되었다는 알림 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S4 시점에 차량의 시동이 오프될 경우, 차량의 배터리 모니터링 및 서버의 알림 정보의 전송 구성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차량은 시동이 온되고 배터리 충전 중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 레벨을 획득하고 획득된 충전 레벨과 제2기준레벨이 동일해지는 시점(P7)에 발생된 트리거 신호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방전 위험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고, 획득된 충전 레벨과 제1기준레벨이 동일해지는 시점(P8)에 발생된 트리거 신호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방전 주의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며, 시동이 오프되면 시동이 오프된 시점(S4)에 시동 오프 신호 및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는 차량의 시동 온 및 주행 중에 배터리의 방전 위험 정보가 수신되면 배터리의 방전 위험 상황에서 해소되었다는 알림 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고 배터리의 방전 주의 정보가 수신되면 배터리의 방전 주의 상황에서 해소되었다는 알림 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100: 차량 126: 시동부
150: 배터리 관리부 160: 제어부
161: 저장부 170: 통신부
200: 서버 300: 단말기

Claims (23)

  1. 시동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대응하는 충전 레벨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충전 레벨이 미리 저장된 기준 레벨이면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키는 배터리 관리부;
    상기 트리거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도록 하고, 상기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전송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재전송을 제어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기준 레벨의 변경 명령 및 기준 레벨이 수신되면 상기 미리 저장된 기준 레벨을 상기 수신된 기준 레벨로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관리부는, 상기 시동부를 통해 시동 온 명령이 수신되기 전까지 상기 미리 저장된 기준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시동부를 통해 시동 온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변경된 기준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키는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관리부는,
    배터리의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 및
    상기 검출된 전류에 대응하는 충전 레벨을 획득하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는 차량.
  3. 삭제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동부를 통해 시동 온 명령이 수신된 후 시동 오프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대응하는 충전 상태 정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와 통신 불가능 시에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상기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트리거 신호가 수신되면 웨이크업되고, 상기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상기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전송하면 슬립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관리부는,
    배터리의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 및
    상기 검출된 전류에 대응하는 충전 레벨을 획득하고 획득된 충전 레벨이 제1기준 레벨과 동일하면 제1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획득된 충전 레벨이 제2기준레벨과 동일하면 제2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키는 모니터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기준 레벨은 상기 제1기준 레벨보다 낮은 레벨인 차량.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트리거 신호가 수신되면 웨이크업되고,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배터리의 방전 주의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트리거 신호가 수신되면 웨이크업되고,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배터리의 방전 위험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배터리의 방전 주의 정보와 방전 위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전송하면 슬립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10. 차량 및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차량으로부터 배터리의 방전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저장하고 배터리의 방전에 대한 알림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차량으로부터 시동 오프 신호와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수신 이력을 확인하고 상기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수신 이력이 존재하지 않으면 배터리의 방전에 대한 알림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환경 정보 및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환경 정보에 대응하는 기준 레벨을 확인하고,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충전 레벨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기준 레벨이 미리 저장된 기준 레벨보다 크고, 상기 충전 레벨이 상기 확인된 기준 레벨 이하이면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수신 이력을 확인하고 상기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수신 이력이 존재하지 않으면 배터리의 방전에 대한 알림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수신 이력이 존재하면 배터리의 방전에 대한 알림 정보의 전송을 차단하고,
    상기 확인된 기준 레벨이 상기 미리 저장된 기준 레벨보다 낮고, 상기 충전레벨이 상기 확인된 기준 레벨보다 낮으면 상기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수신 이력이 존재 및 비존재 모두 상기 배터리의 방전에 대한 알림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서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시동 온 신호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충전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배터리의 충전량을 확인하고 확인된 배터리의 충전량을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서버.
  12. 삭제
  13. 삭제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시동 온 신호가 수신되기 이전에 수신 및 저장된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수신 이력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하는 서버.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인된 기준 레벨과 기준 레벨의 변경 명령을 상기 차량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서버.
  16. 삭제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배터리의 방전 주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배터리의 방전 주의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차량으로부터 배터리의 방전 위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배터리의 방전 위험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서버.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방전 주의 정보와 방전 위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전송하면 슬립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포함하는 서버.
  19. 차량 및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으로부터 배터리의 방전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배터리의 방전 정보를 저장하고 배터리의 방전에 대한 알림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차량으로부터 시동 오프 신호와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충전 레벨을 확인하고,
    상기 차량으로부터 환경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환경 정보에 대응하는 기준 레벨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기준 레벨이 미리 저장된 기준 레벨보다 크고, 상기 충전 레벨이 상기 확인된 기준 레벨 이하이면 상기 차량으로부터 시동 온 신호가 수신되기 이전에 수신 및 저장된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수신 이력을 확인하고,
    상기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수신 이력이 존재하지 않으면 배터리의 방전에 대한 알림 정보를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수신 이력이 존재하면 배터리의 방전에 대한 알림 정보의 전송을 차단하고,
    상기 확인된 기준 레벨이 상기 미리 저장된 기준 레벨보다 낮고, 상기 충전레벨이 상기 확인된 기준 레벨보다 낮으면 상기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수신 이력이 존재 및 비존재 모두 상기 배터리의 방전에 대한 알림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수신 이력이 존재하면 배터리의 방전에 대한 알림 정보의 전송을 차단한 후에, 상기 저장된 배터리의 방전 정보의 수신 이력을 삭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기준 레벨이 상기 미리 저장된 기준 레벨과 상이하면 상기 저장된 기준 레벨을 상기 확인된 기준 레벨로 변경하고,
    상기 확인된 기준 레벨과 기준 레벨의 변경 명령을 상기 차량에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22. 삭제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방전 정보가 수신되어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차량으로부터 시동 온 신호와 배터리의 충전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충전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배터리의 충전량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배터리의 충전량을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서버의 제어 방법.
KR1020170146501A 2017-11-06 2017-11-06 서버, 그와 통신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2392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501A KR102392017B1 (ko) 2017-11-06 2017-11-06 서버, 그와 통신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15/946,164 US10504303B2 (en) 2017-11-06 2018-04-05 Server, vehicle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erver
CN201810385534.9A CN110015144B (zh) 2017-11-06 2018-04-26 服务器、与该服务器通信的车辆以及该服务器的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501A KR102392017B1 (ko) 2017-11-06 2017-11-06 서버, 그와 통신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160A KR20190051160A (ko) 2019-05-15
KR102392017B1 true KR102392017B1 (ko) 2022-05-02

Family

ID=66327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501A KR102392017B1 (ko) 2017-11-06 2017-11-06 서버, 그와 통신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504303B2 (ko)
KR (1) KR102392017B1 (ko)
CN (1) CN11001514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92466B2 (en) * 2018-10-01 2021-12-07 Honda Motor Co., Ltd. Electric charg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a vehicle
JP7127494B2 (ja) * 2018-11-05 2022-08-30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池監視装置
JP7022256B2 (ja) * 2019-03-14 2022-02-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診断方法、車両診断システム及び外部診断装置
CN110143155B (zh) * 2019-06-03 2022-04-05 田歌 一种新能源汽车的电池管控系统
JP7414637B2 (ja) * 2020-05-19 2024-01-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1688541B (zh) * 2020-06-29 2021-07-06 安徽锂创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云平台的锂电池用电安全监管系统
CN112114258B (zh) * 2020-09-03 2023-11-03 北京现代汽车有限公司 动力电池的可用容量估算方法和装置、介质、设备
KR102532752B1 (ko) * 2021-03-19 2023-05-16 김인옥 전기 자동차의 슬립 모드에서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방법
FR3133037A1 (fr) * 2022-02-28 2023-09-01 Psa Automobiles Sa Gestion de l’état de charge d’une batterie de servitude d’un véhicule endormi
JP2024041503A (ja) * 2022-09-14 2024-03-27 カワサキモータース株式会社 バッテリ管理方法、記憶制御装置、移動体、およびサー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89295A1 (en) * 2004-07-15 2007-08-16 Moe Hamamoto Relay information setting method and relay information setting device
US20130257344A1 (en) * 2010-12-21 2013-10-03 Renault Trucks Method for controlling a power supply system of an automotive vehicle and power supply system adapted to such a method
KR101502989B1 (ko) * 2014-07-22 2015-03-16 (주)디지파츠 차량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
JP2015162967A (ja) * 2014-02-27 2015-09-07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7322A2 (en) * 2009-09-25 2011-03-31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battery
JP2012147580A (ja) 2011-01-12 2012-08-02 Toyota Motor Corp 車両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車載情報端末及び車両情報提供装置
US8863256B1 (en) * 2011-01-14 2014-10-14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secure transactions using flexible identity management in a vehicular environment
JP5409717B2 (ja) * 2011-07-12 2014-02-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データ収集方法およびデータ収集システム
US9229704B2 (en) * 2014-04-01 2016-01-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mart vehicle reflash with battery state of charge (SOC) estima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89295A1 (en) * 2004-07-15 2007-08-16 Moe Hamamoto Relay information setting method and relay information setting device
US20130257344A1 (en) * 2010-12-21 2013-10-03 Renault Trucks Method for controlling a power supply system of an automotive vehicle and power supply system adapted to such a method
JP2015162967A (ja) * 2014-02-27 2015-09-07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1502989B1 (ko) * 2014-07-22 2015-03-16 (주)디지파츠 차량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39326A1 (en) 2019-05-09
US10504303B2 (en) 2019-12-10
KR20190051160A (ko) 2019-05-15
CN110015144B (zh) 2023-04-25
CN110015144A (zh) 2019-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2017B1 (ko) 서버, 그와 통신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10324703B2 (en) Terminal,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217297B2 (en) Control module activation to monitor vehicles in a key-off state
JP6056424B2 (ja) 車載プログラム更新装置
CN108733025B (zh) 处于点火开关关断状态的车辆的控制模块激活
CN106685453B (zh) 通信模块、包括该通信模块的车辆和用于控制车辆的方法
US10300886B2 (en) Keyless control system
KR20190051143A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10378919B2 (en) Control module activation of vehicles in a key-off state to determine driving routes
KR20190047779A (ko) 클라우드 서버,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20190027590A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20180027364A1 (en) Electric vehicle, server apparatus, and communication information terminal
CN111845625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系统和信息处理方法
CN108462739B (zh) 车辆电池的报告和自动充电
US10358115B2 (en) Vehicle, vehicle security system and vehicle security method
JP2010208353A (ja) 車両用制御システム
KR102500393B1 (ko) 서버,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1656809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425886B1 (ko) 차량의 배터리 충전 상태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5887948B2 (ja) 車両用認証システム
CN112455385A (zh) 车辆的电力控制器、包括车辆的电力控制器的系统以及车辆的电力控制方法
US20230406152A1 (en) Battery management device, vehicle having the same, and server communicating with vehicle
KR20230162244A (ko) 전력 제어 장치 및 그를 가지는 차량
CN114537305A (zh) 电力控制装置和具有该电力控制装置的车辆
KR20230100771A (ko) 배터리 관리 장치 및 그를 가지는 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