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1095B1 - 마스크 제조 설비 - Google Patents

마스크 제조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1095B1
KR102391095B1 KR1020210098223A KR20210098223A KR102391095B1 KR 102391095 B1 KR102391095 B1 KR 102391095B1 KR 1020210098223 A KR1020210098223 A KR 1020210098223A KR 20210098223 A KR20210098223 A KR 20210098223A KR 102391095 B1 KR102391095 B1 KR 102391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unit
foreign material
inspection
nos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8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상수
Original Assignee
하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상수 filed Critical 하상수
Priority to KR1020210098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10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14Packaging paper or like sheets, envelopes, or newspapers, in flat, folded, or rolled form
    • B65B25/145Packaging paper or like sheets, envelopes, or newspapers, in flat, folded, or rolled form packaging folded art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4Investigating contamination, e.g. dus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ath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 검사시 노즈 와이어의 불량을 검출하거나 이물질 존재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검사 장치를 포함한 마스크 제조 설비에 관한 것으로, 상기 마스크 제조 설비는 원단을 용착시켜 마스크 성형체(11)를 제조하기 위한 마스크 성형 장치(100); 마스크 성형체(11)에 밴드(12)를 용착시켜 마스크(10)를 제조하기 위한 밴드 용착 장치(300); 상기 마스크 성형장치(100)와 상기 밴드 용착 장치(300) 사이에 설치되는 마스크 성형체 이송장치(200); 제조가 완료된 마스크(10)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 장치(400); 및 검사가 완료된 마스크(10)를 포장하기 위한 포장 장치(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마스크 제조 설비{FABRICATING APPARATUS FOR FACE MASK}
본 발명은 마스크 제조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스크 검사시 노즈 와이어의 불량을 검출하거나 이물질 존재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검사 장치를 포함한 마스크 제조 설비에 관한 것이다.
마스크는 부직포 등의 섬유재질로 된 시트 형태의 마스크 본체를 만들고, 마스크 본체의 양측에 각각 밴드를 부착하여 코와 입과 턱 주변을 감싸는 형태로 제작된다.
마스크는 자동화된 마스크 제조설비를 통해 제조된다. 마스크의 자동화 생산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에 밴드를 부착하여 마스크를 제조한 후, 마스크를 포장하기 전에 마스크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는 검사 과정이 필요하다. 즉, 제조된 마스크는 포장 전에 위생 상태와 밴드 부착상태에 대한 검사 과정을 거치게 된다. 위생 상태 검사에서는 곰팡이나, 이물질 등이 오염물이 마스크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그리고 밴드 부착 상태 검사에서는 밴드가 마스크 본체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검사 과정에서 양품과 불량품이 선별되며, 불량품은 폐기된다.
현재, 다양한 장치를 이용하여 마스크 검사가 수행되고 있기는 하지만, 노즈 와이어의 불량을 검출하거나 이물질을 제거하지는 못하고 있다.
KR 10-2262915 B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마스크 검사시 노즈 와이어의 불량을 검출하거나 이물질 존재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검사 장치를 포함한 마스크 제조 설비를 제공함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제조 설비는, 원단을 용착시켜 마스크 성형체(11)를 제조하기 위한 마스크 성형 장치(100); 마스크 성형체(11)에 밴드(12)를 용착시켜 마스크(10)를 제조하기 위한 밴드 용착 장치(300); 상기 마스크 성형장치(100)와 상기 밴드 용착 장치(300) 사이에 설치되는 마스크 성형체 이송장치(200); 제조가 완료된 마스크(10)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 장치(400); 및 검사가 완료된 마스크(10)를 포장하기 위한 포장 장치(500)를 포함하고, 상기 검사 장치(400)는, 사각형태의 테이블(410); 상기 테이블(410) 상에 배치되고 마스크(10)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부(411); 상기 거치부(411) 내에 배치되고 상기 거치부(411)에 광을 조사하는 조명기구(412); 상기 거치부(411)의 주위에 배치되어 마스크(10)의 이동을 제한하는 다수의 고정부재(413); 상기 거치부(411) 상에 거치되는 마스크(10)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유닛(420); 및 상기 검사유닛(420)에서 획득된 정보를 분석하여 마스크 성형체(11)의 이물질 부착 또는 노즈 와이어(13)의 형상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유닛(430)을 포함하는 마스크 제조 설비에 있어서, 상기 검사유닛(420)은, 상기 마스크 성형체(11)를 촬영하는 카메라(421); 및 상기 노즈 와이어(13)의 표면 형상을 검출하는 비접촉식 센서부(422)를 포함하고, 상기 비접촉식 센서부(422)는, 와전류, 레이저, 및 초음파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 센서이고,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노즈 와이어(13)의 표면 형상 신호를 이산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판단유닛(430)에 제공하며, 상기 판단유닛(430)은 상기 카메라(421)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분석하여 명암도가 기설정된 기준보다 어두운 영역이 소정 크기 이상 존재할 경우, 마스크 성형체(11)에 이물질이 부착된 것으로 판단하여 이물질 제거부(440)에 의해 이물질을 제거하되, 상기 카메라(421)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분석하여 이물질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카메라(421) 기준의 이물질 좌표값(X, Y)을 산출하고, 상기 이물질 좌표값(X, Y)을 상기 이물질 제거부(440)가 이물질(P)을 제거를 수행하기 위한 위치정보로 이용하도록 하며, 상기 판단유닛(430)은 상기 비접촉식 센서부(422)에 의해 검출된 노즈 와이어(13)의 표면 형상 신호를 입력받아, 수신된 신호가 기준범위를 초과할 경우 노즈 와이어(13)의 형상불량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제조 설비에 의하면, 마스크 검사시 노즈 와이어의 불량을 검출하거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검사 장치를 포함함으로써 노즈 와이어의 불량을 검출하거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제품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제조 설비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검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검사 장치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매체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제조 설비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검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검사 장치의 일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제조 설비는, 원단을 용착시켜 마스크 성형체(11)를 제조하기 위한 마스크 성형 장치(100)와, 마스크 성형체(11)에 밴드(12)를 용착시켜 마스크(10)를 제조하기 위한 밴드 용착 장치(300)와, 마스크 성형장치(100)와 밴드 용착 장치(300)에 사이에 설치되는 마스크 성형체 이송장치(200)와, 제조가 완료된 마스크(10)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 장치(400)와, 검사가 완료된 마스크(10)를 포장하기 위한 포장 장치(500)와, 전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마스크 제조 설비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경로를 형성할 수 있고, 마스크 성형체(11)의 제조부터 완제품 마스크(10)의 포장까지 인라인(inline)으로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마스크 제조 설비는 마스크 성형체(11)를 마스크 성형 장치(100)에서 밴드 용착 장치(300)까지 일방향으로 연속해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경로로 마스크 성형체(11)를 이동 또는 이송시키는 종래의 마스크 제조 설비에 비해, 설비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수 있고, 경로마다 밴드 용착 장치(300)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설비를 구축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마스크(10)는 복수의 원단, 예컨대 내피, 필터 및 외피를 용착시켜 마스크 성형체(11)로 제조된 후, 마스크 성형체(11)의 양쪽에 밴드(12)를 용착시켜 완제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마스크(10)는 1회용 마스크 또는 덴탈 마스크를 의미할 수 있고, 밴드(12)를 용착시키기 전의 상태를 마스크 성형체(11)라 하고, 밴드(12)를 용착시킨 이후에는 마스크(10)라고 한다. 마스크(10)를 얼굴에 착용했을 때, 마스크(10)의 가로 방향은 마스크(10)의 폭 방향일 수 있고, 세로 방향은 높이 방향일 수 있다. 마스크(10)에서 폭방향으로 양단은 측단이라 하고, 높이 방향으로 양단은 상단 및 하단이라 한다.
마스크 성형 장치(100)에서는 복수의 원단을 합지하여 합지 원단을 준비하고, 합지 원단에 주름을 형성하고 노즈 와이어를 삽입한 후 일정한 형태를 갖도록 용착시키고, 용착된 합지 원단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마스크 성형체를 제조할 수 있다.
마스크 성형체 이송 장치(200)는 마스크 성형 장치(100)에서 제조된 마스크 성형체를 밴드 용착 장치(300)로 이송할 수 있다.
밴드 용착 장치(300)에서 마스크 성형체에 밴드가 용착되면, 밴드가 용착된 마스크 성형체, 즉 마스크는 이송부(3100)를 통해 후속 검사 장치(400)로 이송될 수 있다.
이후, 검사 장치(400)에서는 마스크의 불량 여부를 검사한 후, 검사 결과에 따라 마스크에 불량이 발생한 불량 마스크는 폐기 처분하고, 정상 마스크는 포장 장치(500)로 이송하여, 미리 정해진 개수로 포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제조 설비 중에서 검사 장치(40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제조 설비의 검사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검사 장치(400)는 테이블(410)과, 거치부(411)와, 조명기구(412)와, 다수의 고정부재(413)와, 검사유닛(420)과, 판단유닛(430)과, 이물질 제거부(440)와, 공급부(450)와, 배출부(455)와, 수거부(460)와, 마스크 이송기구(46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테이블(410)은 사각형태로 형성되고, 그 위에는 거치부(411) 및 조명기구(412)가 배치된다.
거치부(411) 상에는 마스크(10)가 거치될 수 있으며, 내측에 설치된 조명기구(412)로부터 방출하는 광을 투과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조명기구(412)는 상기 거치부(411) 내에 배치되고 상기 거치부(411)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거치부(411)의 주위에는 마스크(10)의 이동을 제한하는 다수의 고정부재(413)가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413)는 거치부(411)로부터 돌출되도록 테이블(410) 상에 설치된다.
고정부재(413)는 거치부(411)에 거치되는 마스크 본체(11)의 가장자리에 접함으로써 거치부(411) 상에서 마스크 본체(11)의 이동을 제한하고, 마스크 본체(11)를 거치부(411)에 안정적으로 위치시킨다.
고정부재(413)의 구체적인 형상이나, 개수, 배치 구조 등은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검사유닛(420)은 상기 거치부(411) 상에 거치되는 마스크(10)를 검사할 수 있다.
판단유닛(430)은 상기 검사유닛(420)에서 획득된 정보를 분석하여 마스크 성형체(11)의 이물질 부착 또는 노즈 와이어(13)의 형상 불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검사유닛(420)은 카메라(421)와, 비접촉식 센서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421)는 상기 마스크 성형체(11)를 촬영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421)는 조명기구(412)에 의해 조명되고 있는 마스크 본체(11)를 촬영함으로써 마스크 본체(11)에 대한 촬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421)에 의해 획득되는 촬영 이미지는 판단유닛(430)에 제공될 수 있다.
판단유닛(430)은 상기 카메라(421)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분석하여 명암도가 기설정된 기준보다 어두운 영역이 소정 크기 이상 존재할 경우, 마스크 성형체(11)에 이물질이 부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마스크 성형체(11)에 이물질이 부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이후에 설명될 이물질 제거부(440)에 의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판단유닛(430)은 상기 카메라(421)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분석하여 이물질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카메라(421) 기준의 이물질 좌표값(X, Y)을 산출할 수 있다. 이후에, 이러한 이물질 좌표값(X, Y)은 이물질 제거부(440)가 이물질(P)을 제거를 수행하기 위한 위치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비접촉식 센서부(422)는 마스크(10)에 구비된 노즈 와이어(13)의 표면 형상을 검출할 수 있다.
비접촉식 센서부(422)는, 와전류, 레이저, 초음파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 센서로서, 노즈 와이어(13)의 표면 결함을 감지하여 이를 판단유닛(430)에 제공될 수 있다.
판단유닛(430)은 상기 비접촉식 센서부(422)에 의해 검출된 노즈 와이어(13)의 표면 형상 신호를 입력받아, 수신된 신호가 기준범위를 초과할 경우 노즈 와이어(13)의 형상불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비접촉식 센서부(422)는 노즈 와이어(13)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만약 비접촉식 센서부(422)가 노즈 와이어(13)의 횡방향으로 설치되면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가능하다.
특히, 비접촉식 센서부(422)는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노즈 와이어(13)의 표면 형상 신호를 이산신호로 변환하여 판단유닛(430)에 제공한다.
여기서, 이산 신호는 연속신호를 샘플링한 신호로서, 수열의 형태를 가지며 양자화된 디지털 신호에 비해 정밀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
판단유닛(430)에서는 비접촉식 센서부(422)로부터 입력된 노즈 와이어 형상 데이터의 실효값을 바탕으로, 현재 수신된 신호가 기준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노즈 와이어(13)의 형상이 불량한 것으로 판단하여 불량품으로 판별된 마스크(10)를 수거부(460)로 수거할 수 있도록 마스크 이송기구(465)를 구동시킨다.
여기서, 노즈 와이어(13)의 형상 불량과 관련하여, 노즈 와이어(13)는 중앙부분의 두께와 에지 부분의 두께 간에 편차가 발생할 수도 있고, 물결형상 결함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노즈 와이어(13)의 형상 불량을 검사하여 불량품으로 판별된 마스크(10)를 수거할 수 있게 되므로 제품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공급부(450)는 검사할 마스크(10)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고, 배출부(455)는 양품 마스크를 배출하기 위한 것이고, 수거부(460)는 불량 마스크를 수거하기 위한 것이고, 마스크 이송기구(465)는 마스크(10)를 운반하기 위한 것이다.
마스크 이송기구(465)는 마스크(10)를 픽업하는 흡착부(466)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부(450)는 검사 대상 마스크(10)를 마스크 이송기구(465)가 픽업할 수 있는 위치로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마스크 공급부(450)는 다수의 마스크(10)을 일정한 간격으로 피치 이송할 수 있는 컨베이어 구조 등 마스크(10)를 이송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출부(455)는 양품으로 판별된 마스크(10)를 정해진 위치로 이송한다. 이물질 검사 및 노즈 와이어 검사 후 양품으로 판별된 마스크(10)가 마스크 이송기구(465)에 의해 배출부(455)로 운반된다. 배출부(455)는 마스크 이송기구(465)에 의해 운반되는 마스크(10)를 연속적으로 이송할 수 있는 컨베이어 구조 등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거부(460)는 불량품으로 판별된 마스크(10)를 수거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물질 검사 및 노즈 와이어 검사 후 불량품으로 판별된 마스크(10)가 마스크 이송기구(465)에 의해 수거부(460)로 운반된다.
마스크 이송기구(465)는 공급부(450)에 의해 공급되는 마스크(10)를 픽업하여 거치부(411) 상에 운반하고, 거치부(411) 상에서 검사를 마친 마스크(10)를 배출부(455) 또는 수거부(460)로 운반할 수 있다.
도 7에는 마스크 성형체(11)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이물질 제거부(440)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물질 제거부(440)는, 압축공기를 저장하는 에어탱크(441a)로부터 고압의 압축공기를 분사시켜 이물질을 제거하는 분사노즐(441)과, 상기 분사노즐(441)에 의해 제거되는 이물질을 회수하는 회수부(442)를 포함한다.
여기서, 분사노즐(441)은 압축공기가 분사되는 과정에서 마스크 성형체(11)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미량 및 감소된 분사 세기로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일례로, 회수부(442)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관(4421)과, 상기 흡입관(4421)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드는 진공펌프(4422)와, 상기 흡입관(4421)에 연결되어 흡입한 이물질(P)을 수용하는 회수탱크(44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흡입관(4421)은 상기 분사노즐(441)이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분사노즐(441)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흡입관(410의 일단에 연결되어 이물질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비산 방지부(4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산 방지부(443)는, 분사노즐(441)이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분사노즐(441)의 주위를 둘러싸는 흡입관(4421)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비산 방지부(443)는, 흡입관(4421)의 바깥쪽 둘레를 따라 마련되어 이물질의 제거과정에서 이물질이 비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비산 방지부(443)는 마스크 성형체(11)의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브러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마스크 11 : 마스크 성형체
13 : 노즈 와이어 100 : 마스크 성형 장치
200 : 마스크 성형체 이송장치 300 : 밴드 용착 장치
400 : 검사 장치 500 : 포장 장치
410 : 테이블 411 : 거치부
412 : 조명기구 413 : 고정부재
420 : 검사유닛 421 : 카메라
422 : 비접촉식 센서부 430 : 판단유닛
440 : 이물질 제거부 450 : 공급부
455 : 배출부 460 : 수거부
465 : 마스크 이송기구

Claims (6)

  1. 원단을 용착시켜 마스크 성형체(11)를 제조하기 위한 마스크 성형 장치(100); 마스크 성형체(11)에 밴드(12)를 용착시켜 마스크(10)를 제조하기 위한 밴드 용착 장치(300); 상기 마스크 성형장치(100)와 상기 밴드 용착 장치(300) 사이에 설치되는 마스크 성형체 이송장치(200); 제조가 완료된 마스크(10)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 장치(400); 및 검사가 완료된 마스크(10)를 포장하기 위한 포장 장치(500)를 포함하고, 상기 검사 장치(400)는, 사각형태의 테이블(410); 상기 테이블(410) 상에 배치되고 마스크(10)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부(411); 상기 거치부(411) 내에 배치되고 상기 거치부(411)에 광을 조사하는 조명기구(412); 상기 거치부(411)의 주위에 배치되어 마스크(10)의 이동을 제한하는 다수의 고정부재(413); 상기 거치부(411) 상에 거치되는 마스크(10)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유닛(420); 및 상기 검사유닛(420)에서 획득된 정보를 분석하여 마스크 성형체(11)의 이물질 부착 또는 노즈 와이어(13)의 형상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유닛(430)을 포함하는 마스크 제조 설비에 있어서,
    상기 검사유닛(420)은, 상기 마스크 성형체(11)를 촬영하는 카메라(421); 및 상기 노즈 와이어(13)의 표면 형상을 검출하는 비접촉식 센서부(422)를 포함하고,
    상기 비접촉식 센서부(422)는, 와전류, 레이저, 및 초음파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 센서이고,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노즈 와이어(13)의 표면 형상 신호를 이산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판단유닛(430)에 제공하며,
    상기 판단유닛(430)은 상기 카메라(421)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분석하여 명암도가 기설정된 기준보다 어두운 영역이 소정 크기 이상 존재할 경우, 마스크 성형체(11)에 이물질이 부착된 것으로 판단하여 이물질 제거부(440)에 의해 이물질을 제거하되, 상기 카메라(421)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분석하여 이물질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카메라(421) 기준의 이물질 좌표값(X, Y)을 산출하고, 상기 이물질 좌표값(X, Y)을 상기 이물질 제거부(440)가 이물질(P)을 제거를 수행하기 위한 위치정보로 이용하도록 하며,
    상기 판단유닛(430)은 상기 비접촉식 센서부(422)에 의해 검출된 노즈 와이어(13)의 표면 형상 신호를 입력받아, 수신된 신호가 기준범위를 초과할 경우 노즈 와이어(13)의 형상불량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제조 설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10098223A 2021-07-27 2021-07-27 마스크 제조 설비 KR102391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223A KR102391095B1 (ko) 2021-07-27 2021-07-27 마스크 제조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223A KR102391095B1 (ko) 2021-07-27 2021-07-27 마스크 제조 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1095B1 true KR102391095B1 (ko) 2022-04-27

Family

ID=81390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8223A KR102391095B1 (ko) 2021-07-27 2021-07-27 마스크 제조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109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7394A (ko) * 2018-11-16 2020-05-26 주식회사 포스코 스킨패스 밀의 워크롤 세척장치
KR102232196B1 (ko) * 2020-10-22 2021-03-26 주식회사 아이파미코리아 마스크 필터의 이물질 검사장치
KR102246256B1 (ko) * 2020-07-10 2021-04-29 황상연 노우즈 와이어 불량 검출부를 구비한 마스크 제조 장치
KR102262915B1 (ko) 2020-08-20 2021-06-10 남원식 마스크 제조 설비 및 방법
KR102276238B1 (ko) * 2020-11-04 2021-07-13 (주)앤피에스 용착 장치
KR102277737B1 (ko) * 2020-08-21 2021-07-14 한동희 마스크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7394A (ko) * 2018-11-16 2020-05-26 주식회사 포스코 스킨패스 밀의 워크롤 세척장치
KR102246256B1 (ko) * 2020-07-10 2021-04-29 황상연 노우즈 와이어 불량 검출부를 구비한 마스크 제조 장치
KR102262915B1 (ko) 2020-08-20 2021-06-10 남원식 마스크 제조 설비 및 방법
KR102277737B1 (ko) * 2020-08-21 2021-07-14 한동희 마스크 검사장치
KR102232196B1 (ko) * 2020-10-22 2021-03-26 주식회사 아이파미코리아 마스크 필터의 이물질 검사장치
KR102276238B1 (ko) * 2020-11-04 2021-07-13 (주)앤피에스 용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70127B (zh) 一种屏幕缺陷全自动视觉检测系统
EP0604180B1 (en) Ophthalmic lens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CN109870462A (zh) 一种电池在线检测装置
CN108555735B (zh) 一种用于石墨烯芯片加工的高效瑕疵处理系统
JP3640247B2 (ja) 錠剤の外観検査装置及びptp包装機
KR101865188B1 (ko) 평탄도 측정장치와 이를 이용한 쉴드캔 평탄도 검사장치 및 쉴드캔 평탄도 검사방법
US8256375B2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and control of plates for electronics and related apparatus
KR102277737B1 (ko) 마스크 검사장치
KR102391095B1 (ko) 마스크 제조 설비
CN206305057U (zh) 一种轴套类工件外观缺陷及外径自动检测装置
JP2017083381A (ja) 円筒体の外観検査装置および外観検査方法
JP4424537B2 (ja) 異物検査装置
CN116008294B (zh) 一种基于机器视觉的键帽表面颗粒缺陷检测方法
JP2010169669A (ja) 筒状物の検査方法及び検査装置
CN111604280A (zh) 一种口罩坏件剔除方法、设备及存储介质
CN102914551B (zh) 玻璃基板检查系统以及玻璃基板的制造方法
CN113490844A (zh) 异物检查装置及异物检查方法
JPH08114432A (ja) 含網状体透明シート材の検査装置
JP2019070545A (ja) 表面検査装置および表面検査方法
US20080129958A1 (en) Method for Handling Contact Lens
KR102283530B1 (ko) 콘텍트 렌즈 자동 포장 시스템
KR100561954B1 (ko) 반도체 패키지의 검사장치
CN112747788A (zh) 木板检测设备及木板生产线
CN111842212A (zh) 自动上料结构、外观检测装置、口罩外观检测装置及方法
CN220795003U (zh) 用光学检测植物纤维器物的检测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