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0573B1 -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0573B1
KR102390573B1 KR1020200178151A KR20200178151A KR102390573B1 KR 102390573 B1 KR102390573 B1 KR 102390573B1 KR 1020200178151 A KR1020200178151 A KR 1020200178151A KR 20200178151 A KR20200178151 A KR 20200178151A KR 102390573 B1 KR102390573 B1 KR 102390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device
electronic control
bracket
fixing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8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형
황수용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200178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0573B1/ko
Priority to US18/268,029 priority patent/US20240057276A1/en
Priority to CN202180083838.XA priority patent/CN116636319A/zh
Priority to PCT/KR2021/017485 priority patent/WO2022131609A1/ko
Priority to EP21906914.3A priority patent/EP4266843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0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0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22Printed circuit boards receptacles, e.g. stacked structures, electronic circuit modules or box like frames
    • H05K7/1427Housings
    • H05K7/1432Housings specially adapted for power drive units or power converters
    • H05K7/14327Housings specially adapted for power drive units or power converters having supplementary functional units, e.g. data transfer modules or displays or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03Constructional details, e.g. physical layout, assembly, wiring or busbar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22Printed circuit boards receptacles, e.g. stacked structures, electronic circuit modules or box like frames
    • H05K7/1427Housings
    • H05K7/1432Housings specially adapted for power drive units or power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는 일측에 제 1 체결부를 구비하고 타측에 전자제어장치 홈부가 형성되는 전자제어장치; 상기 전자제어장치가 고정되도록 상기 전자제어장치 홈부와 결합하는 브라켓 돌기 및 상기 제 1 체결부와 결합하는 고정부재돌기 안착홈을 구비하는 측벽을 구비하되, 일측 단부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 체결부와 타측에 형성되는 제 3 체결부를 구비하고 중앙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브라켓; 제 1 면에 상기 브라켓이 배치되도록 상기 제 2 체결부와 결합하는 한 쌍의 제 4 체결부 및 상기 제 3 체결부와 결합하는 제 5 체결부가 상기 제 1 면에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전자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전자장치가 배치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 1 면과 상기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제 1 면에 고정되어 상기 전자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전자제어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 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체결부는 상기 제 3 체결부가 상기 제 5 체결부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제 2 체결부가 상기 제 4 체결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이 상기 제 2 체결부를 축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ELECTRONIC APPARATUS EQUIPPED WITH ELECTRONIC CONTROL DEVICES}
본 발명은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를 제어하는 인버터 등과 같은 전자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전자제어장치가 설치된 브라켓을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인버터의 조작 제어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오퍼레이터 패널(Operator pannel)로 불리우는 전자제어장치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전자제어장치는 인버터의 작동을 위한 각종 스위치 및 모니터링을 위한 디스플레이 등을 구비한다.
이러한 전자제어장치에 의해 조작되는 인버터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요구되는 스펙에 따라 인버터의 부품을 교체하거나 인버터의 고장으로 인한 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전자제어장치가 설치되는 브라켓이 인버터로부터 개폐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다만, 종래에는 브라켓이 개폐 가능하도록 나사결합 방식을 이용하여 왔다. 또한, 브라켓을 개방한 상태에서 브라켓을 고정하는 별도의 방식없이 나사결합에 의한 마찰력에 의존하여 왔다.
따라서, 사용자의 사용에 의해 브라켓 개폐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나사결합이 느슨해져 브라켓이 고정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나사결합이 단단히 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브라켓을 개폐하는 것 자체가 어렵고 과도한 힘으로 브라켓을 개폐 시 브라켓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나아가 사용되는 나사가 단종되는 경우 사후관리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인버터 생산 시 나사결합을 위해 리드 타임이 증가하는 문제도 있었다.
따라서, 전자제어장치에 의해 조작되는 인버터를 쉽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우수하고, 제조 시 리드 타임 및 제조 단가를 줄일 수 있는 구조에 대한 요구가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전자제어장치를 전자기기로부터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는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제어장치가 설치되는 브라켓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전자기기를 제조하는 리드 타임 및 제조 단가를 줄일 수 있는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제어장치가 설치되는 브라켓을 용이하게 개폐하고, 브라켓이 안전하게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횟수가 많은 경우에도 내구성이 우수한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디자인 자유도가 높은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는, 일측에 제 1 체결부를 구비하고 타측에 전자제어장치 홈부가 형성되는 전자제어장치; 상기 전자제어장치가 고정되도록 상기 전자제어장치 홈부와 결합하는 브라켓 돌기 및 상기 제 1 체결부와 결합하는 고정부재돌기 안착홈을 구비하는 측벽을 구비하되, 일측 단부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 체결부와 타측에 형성되는 제 3 체결부를 구비하고 중앙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브라켓; 제 1 면에 상기 브라켓이 배치되도록 상기 제 2 체결부와 결합하는 한 쌍의 제 4 체결부 및 상기 제 3 체결부와 결합하는 제 5 체결부가 상기 제 1 면에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전자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전자장치가 배치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 1 면과 상기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제 1 면에 고정되어 상기 전자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전자제어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 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체결부는 상기 제 3 체결부가 상기 제 5 체결부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제 2 체결부가 상기 제 4 체결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이 상기 제 2 체결부를 축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 4 체결부와 인접 배치되고 상기 제 1 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의 일측 단부에는 스토퍼지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지지면은 상기 브라켓이 상기 제 2 체결부를 축으로 회전할 때 상기 브라켓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 1 면이 이루는 제 1 각이 소정의 각도로 상기 스토퍼의 일단면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의 일단면에는 회전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는 회전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고정부는 상기 제 3 체결부가 상기 제 5 체결부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제 2 체결부가 상기 제 4 체결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각이 상기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회전고정돌기와 결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회전고정부는 상기 스토퍼지지면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고정돌기가 안착되는 회전고정돌기 안착홈; 상기 회전고정돌기의 양 측면에 인접하도록 상기 회전고정돌기 안착홈의 일 내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바; 및 상기 고정바의 일단부의 상기 회전고정돌기가 인접되는 측면에 상기 회전고정돌기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돌출 형성되는 이탈방지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회전고정돌기의 일면에는 상기 회전고정돌기가 상기 회전고정부에 체결 시 상기 회전고정돌기를 상기 한 쌍의 고정바 사이로 유도하도록 경사를 갖는 제 1 가이드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회전고정돌기가 상기 한 쌍의 고정바 사이로 유입 시 상기 고정바가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고정바와 상기 홈의 내측면이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이탈방지부재의 상기 회전고정돌기가 유입되는 방향 측 일면에는 상기 회전고정돌기가 상기 회전고정부에 체결 시 상기 회전고정돌기를 상기 한 쌍의 고정바 사이로 유도하도록 경사를 갖는 제 2 가이드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이탈방지부재의 상기 회전고정돌기가 유입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 측 타면에는 상기 회전고정돌기가 상기 한 쌍의 고정바 사이로부터 이탈을 유도하도록 경사를 갖는 제 3 가이드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 3 가이드면은 상기 제 3 가이드면의 경사각이 상기 제 2 가이드면의 경사각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는, 상기 한 쌍의 제 2 체결부는 상기 브라켓의 일측 단부의 양측면으로부터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 4 체결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 1 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에 상기 회전부재가 유입되어 안착되는 지지부재 안착홈; 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 안착홈은 상기 회전부재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회전부재가 유입되는 측 내측면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2 체결부가 상기 제 4 체결부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의 회전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회전부재의 외부 측 일단에 형성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지지부재 안착홈에는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지지부재 안착홈으로 유입 시 상기 지지부재 안착홈이 탄성적으로 벌어지도록 상기 지지부재 안착홈으로부터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방향으로 탄성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지지부재 안착홈의 상기 회전부재가 유입되는 측 내측면에는 상기 회전부재가 유입되는 것을 유도하도록 경사를 갖는 회전부재 가이드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3 체결부는 상기 브라켓의 양 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커버지지부재; 상기 커버지지부재의 일단에 상기 제 1 면 측으로 굽힘 형성되는 한 쌍의 탄성제공부재; 상기 탄성제공부재의 일단부에는 돌출 형성되는 탄성제공부재돌기; 및 상기 탄성제공부재의 일단에 형성되는 탄성제공부재 손잡이; 를 포함하고, 상기 제 5 체결부는 상기 한 쌍의 탄성제공부재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 1 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탄성제공부재 지지부재; 및 상기 탄성제공부재돌기가 안착되도록 상기 탄성제공부재 지지부재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탄성제공부재돌기 안착홈; 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제공부재 손잡이를 상기 브라켓 측으로 가압함에 따라 상기 탄성제공부재가 탄성 변형되어 상기 탄성제공부재돌기가 상기 탄성제공부재돌기 안착홈에 안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자제어장치의 일면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면을 커버하는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상기 제 1 면과 대향되는 측 일면에는 상기 커버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지지부재와 맞닿아 상기 커버를 지지하도록 돌출 형성된 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브라켓은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 내측에 상기 브라켓의 측벽이 인접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측벽 단부의 상기 제 1 면으로부터의 높이와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부의 상기 제 1 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일치하도록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부로부터 상기 커버의 테두리부로 갈수록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는, 상기 전자제어장치 및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전선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선은 상기 회전고정부에 상기 회전고정돌기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상기 전자제어장치와 상기 회로기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는, 상기 브라켓의 상기 측벽에는 대향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전자제어장치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자제어장치 고정부는 디귿자 형태로 형성되는 탄성제공홀; 상기 탄성제공홀에 의하여 상기 측벽에 형성되는 탄성제공바; 및 상기 탄성제공바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전제제어장치 고정돌기; 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는, 상기 제 1 체결부는 상기 전자제어장치의 일단에 상기 제 1 면 측으로 굽힘 형성되는 전자제어장치 고정부재; 상기 전자제어장치 고정부재의 일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부재돌기; 및 상기 전자제어장치 고정부재의 일단에 형성되는 고정부재 손잡이;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 손잡이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전자제어장치 고정부재가 탄성 변형되어 상기 고정부재돌기가 상기 고정부재돌기 안착홈에 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는 전자제어장치를 전자기기로부터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는 전자제어장치가 설치되는 브라켓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전자기기를 제조하는 리드 타임 및 제조 단가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는 전자제어장치가 설치되는 브라켓을 용이하게 개폐하고, 브라켓이 안전하게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는 전자기기의 디자인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는 사용횟수가 많은 환경에서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의 전자제어장치의 전면사시도이고, 도 3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의 전자제어장치의 후면사시도이다.
도 4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의 브라켓의 전면사시도이고, 도 4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의 브라켓의 후면사시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의 브라켓의 단면도이다.
도 6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의 브라켓의 상면도이고, 도 6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의 전자제어장치 고정부의 상면도이며, 도 6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의 전자제어장치 고정부의 측면도이고, 도 6 (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의 전자제어장치 고정부의 사시도이다.
도 7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의 브라켓의 측면도이고, 도 7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의 제 3 체결부의 측면도이며, 도 7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의 제 2 체결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의 브라켓이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의 브라켓이 개방된 상태에서 스토퍼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의 스토퍼를 확대한 상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의 브라켓이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의 브라켓이 개방된 상태의 회전고정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는 위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위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자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전자제어장치가 설치된 브라켓을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는 모터를 제어하는 인버터일 수 있다. 다만, 전자기기는 모터 제어를 위한 인버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의 전자제어장치의 전면사시도이고, 도 3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의 전자제어장치의 후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1)는 브라켓(100), 전자제어장치(200) 및 하우징(400)을 구비한다.
사용자는 전자제어장치(200)를 조작하여 전자기기(1)를 제어한다. 이때 사용자가 전자기기(1)를 제어하기 위하여 전자제어장치(200)는 전자기기(1)에 대한 정보, 예를 들면 전자기기(1)의 상태와 작동을 위한 메뉴 등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202) 및 디스플레이부(202)를 통하여 표시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전자기기(1)에 명령을 전달하기위한 버튼부(204)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자제어장치(200)가 전자기기(1)에 설치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므로, 본 명세서에는 전자제어장치(200)가 전자기기(1)를 제어하는 원리 또는 사용자가 전자제어장치(200)를 이용하여 전자기기(1)에 명령을 전달하는 방법 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도면에서 디스플레이부(202)가 향하는 방향을 전면 측으로 규정하고, 그 반대 측을 후면 측으로 규정하여 설명한다.
전자제어장치(200)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나, 제조가 용이하고 사용자가 사용하기 용이하도록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전자제어장치(200)가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규정하여 설명한다.
전자제어장치(200)는 도 3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제어장치 제 1 커버(240)와 전자제어장치 제 2 커버(250)에 의하여 내부가 보호될 수 있다. 이때 전자제어장치 제 1 커버(240)와 전자제어장치 제 2 커버(250)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또한, 전자제어장치 제 1 커버(240)와 전자제어장치 제 2 커버(250)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1)의 전자제어장치(200)는 제 1 체결부(210), 전자제어장치 홈부(220) 및 연결부(230)를 구비한다.
제 1 체결부(210)는 전자제어장치(200)의 일측에 구비된다. 이 때, 직육면체의 형성으로 형성된 전자제어장치(200)의 모서리 중 짧은 모서리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체결부(210)는 전자제어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02)가 설치되는 반대 방향으로 굽힘 형성되는 전자제어장치 고정부재(212)를 구비한다.
전자제어장치 고정부재(212)의 전자제어장치(200)가 배치된 측의 반대측 일단에는 고정부재 손잡이(214)가 형성된다. 사용자는 고정부재 손잡이(214)를 가압하여 전자제어장치 고정부재(212)가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고정부재 손잡이(214)에 가압하는 상태에서는 전자제어장치 고정부재(212)가 본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가 고정부재 손잡이(214)에 가압하는 행위를 멈추는 경우 전자제어장치 고정부재(212)는 본래의 형상으로 복원된다.
전자제어장치 고정부재(212)의 일단부에는 고정부재돌기(216)가 돌출 형성된다. 고정부재돌기(216)의 크기나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며 도 3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제어장치(200)의 제 1 체결부(210)가 구비된 일측의 반대측에는 전자제어장치 홈부(220)가 형성된다. 왜냐하면 전자제어장치 홈부(220)에 후술하는 브라켓 돌기(112)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 1 체결부(210)가 브라켓(100)에 고정되기 때문이다. 다만, 제 1 체결부(210)가 브라켓(100)에 고정되는 구조는 후술한다.
전자제어장치 홈부(220)의 개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브라켓(100)에 형성된 브라켓 돌기(112)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면 실시예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전자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부(202)가 구비된 면의 반대측 면에 연결부(230)가 형성된다. 연결부(230)에는 전선(미도시)이 연결되며 전선(미도시)을 통하여 전자기기(1)와 통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연결부(230)에 전선(미도시)이 연결되는 방식은 공지된 다양한 방식에 따라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230)는 도 3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제어장치(20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 (a) 및 (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의 브라켓의 전면사시도 및 후면사시도이고,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의 브라켓의 단면도이며, 도 6 (a) 내지 (d)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의 브라켓의 상면도, 전자제어장치 고정부의 상면도, 전자제어장치 고정부의 측면도 및 전자제어장치 고정부의 사시도이다.
도 4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1)의 브라켓(100)은 측벽(110), 관통홀(120), 전자제어장치 고정부(130), 한 쌍의 제 2 체결부(140) 및 제 3 체결부(150)를 구비한다.
도 4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00)에는 전자제어장치(200)가 내부에 안착되도록 측벽(110)이 구비된다. 즉, 측벽(110)은 전자제어장치(200)가 브라켓(100)과 나란히 배치된 상태에서 전자제어장치(200)의 측면 둘레를 둘러 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전자제어장치(200)가 브라켓(100)에 안착된 상태에서 전자제어장치(200)의 일면,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부(202)가 구비된 면이 외부도 드러난다.
이 때 전자제어장치(200)가 안착된 상태에서 전자제어장치 홈부(220)가 위치한 측의 측벽(110)의 내측에는 브라켓 돌기(112)가 형성된다. 브라켓 돌기(112)는 측벽(110)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 때, 브라켓 돌기(112)는 전자제어장치가 브라켓(1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전자제어장치 홈부(220)에 결합된다. 따라서, 전자제어장치 홈부(220)와 브라켓 돌기(112)는 형합할 수 있도록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브라켓 돌기(112)의 전면측에 형성된 면과 전자제어장치 홈부(220) 내측면이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 돌기(112)가 형성된 측벽(110)에 대향되는 측벽(110)의 내측에는 고정부재돌기 안착홈(122)이 형성된다.
고정부재돌기 안착홈(122)은 전자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제 1 체결부(210)와 결합하여 브라켓(100)에 전자제어장치(200)를 고정시킨다. 즉, 전자제어장치(200)는 전자제어장치 홈부(220)에 브라켓 돌기(112)가 형합된 상태에서 제 1 체결부(210)와 고정부재돌기 안착홈(122)이 결합함으로써 브라켓(100)에 고정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고정부재 손잡이(214)를 가압하여 전자제어장치 고정부재(212)가 탄성 변형되면 전자제어장치(200)가 전자제어장치 홈부(220)에 브라켓 돌기(112)가 형합된 상태에서 측벽(110)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 때, 전자제어장치 고정부재(212)는 본래의 형태로 돌아가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므로, 고정부재돌기(216)가 고정부재돌기 안착홈(122)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고정부재돌기(216)는 고정부재돌기 안착홈(122)의 상단측에 형성된 걸림턱(124)에 의하여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 때, 사용자가 제 1 체결부(210)를 용이하게 고정부재돌기 안착홈(122)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돌기(216)의 브라켓(100) 측 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돌기(216)가 접촉하면 안착되는 과정을 유도하기 위하여 걸림턱(124)의 전면부 측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00)의 중앙부에는 관통홀(120)이 형성된다. 관통홀(120)의 형상에 제한은 없으나, 설명의 편의상 이하에서는 사격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규정하여 설명한다.
도 3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230)가 전자제어장치(200)로부터 돌출 형성된 경우에는 관통홀(120)의 크기가 연결부(230)의 단면적과 같거나 적어도 연결부(230)의 단면적보다 크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이 때, 관통홀(120)의 형상과 돌출 형성된 연결부(230)의 단면적의 형상일 일치하는 경우에는 전자제어장치(200)가 브라켓(100)에 고정되는데 효과적이라는 이점이 있다.
연결부(230)에 연결된 전선(미도시)이 관통홀(120)을 통해 전자기기(1)에 연결되므로 관통홀(120)의 크기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두 개 정도 용이하게 들어갈 수 있도록 적어도 가로 및 세로의 길이(d2)가 24mm에서 36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전선(미도시)을 용이하게 설치 또는 제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6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120)은 일측으로 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브라켓(100)이 개방된 상태에서 연결부(230)에 연결된 전선(미도시)이 상대적으로 짧아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 때 관통홀(120)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전선(미도시)은 브라켓(100)이 개방된 상태에서도 전자제어장치(200)와 전자기기(1) 또는 후술하는 회로기판(410)과 연결되도록 넉넉한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 (a) 내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1)의 측벽(110)에는 전자제어장치 고정부(130)가 형성된다.
전자제어장치 고정부(130)는 브라켓(100)에 전자제어장치(200)가 안착된 상태에서 전자제어장치(200)가 브라켓(100)의 가운데 배치될 수 있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전자제어장치(200)의 크기가 브라켓(100)보다 다소 작더라도 전자제어장치(200)가 브라켓(100)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특히 제조 과정 상 전자제어장치(200)의 크기에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브라켓(100)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전자제어장치 고정부(130)는 쌍으로 형성되며 브라켓(100)의 측벽(110)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이 때 전자제어장치 고정부(130)가 설치되는 개수에 제한은 없다. 다만 전자제어장치(200)를 보다 단단히 고정하기 위하여, 도 6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두 쌍 이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의 전자제어장치 고정부(130)는 측벽(110)에 ㄷ자 형태로 형성되는 탄성제공홀(134), 탄성제공홀(134)에 의하여 측벽(110)에 형성되는 탄성제공바(132) 및 탄성제공바(132)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전자제어장치 고정돌기(138)를 구비한다.
이때 탄성제공홀(134)은 탄성제공바(132)가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으면 ㄷ자 뿐만 아니라 U자로도 형성될 수 있고, 도 6 (c)에 형성된 바와 반대 방향의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탄성제공바(132)의 내구성을 측면에서 도 6 (c)와 같이 전면 측이 꺾인 디귿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제공바(132)에는 전자제어장치 고정돌기(138)가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데, 대향하여 배치된 전자제어장치 고정돌기(138)의 사이의 거리(d1)는 전자제어장치(200)의 가로 길이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전자제어장치(200)가 브라켓(100)에 안착된 상태에서 탄성제공바(132)가 브라켓(100)의 외부 측으로 탄성 변형되며, 전자제어장치 고정돌기(138)가 전자제어장치(200)의 측면을 가압하게 되면서 전자제어장치(200)가 브라켓(100)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전자제어장치 고정돌기(138)는 도 6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용이하게 브라켓(100)에 전자제어장치(200)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전자제어장치(200)가 브라켓(100)으로 안착되는 방향으로 전자제어장치(200)를 유도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의 브라켓의 측면도이고, 도 7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의 제 3 체결부의 측면도이며, 도 7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의 제 2 체결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의 브라켓이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1)의 브라켓(100)의 일측 단부의 양측면에는 한 쌍의 제 2 체결부(140)가 형성되며, 하우징(400)에 형성된 제 4 체결부(420)에 결합한다.
제 2 체결부(140)는 제 4 체결부(420)에 결합된 상태에서 브라켓(100)이 제 2 체결부(140)를 축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브라켓(100)의 일측 단부의 양측면으로부터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회전부재(142)를 포함한다.
또한, 제 2 체결부(140)가 제 4 체결부(420)에 결합한 상태에서 브라켓(100)의 회전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회전부재(142)의 외부 측 일단에 고정부재(144)가 구비된다. 즉, 한 쌍의 고정부재(144) 사이의 거리가 후술하는 한 쌍의 제 4 체결부(420)의 외측면 사이의 거리가 일치하여 브라켓(100)의 회전축 방향 움직임이 제한된다.
고정부재(144)는 회전부재(142)의 단면보다 넓은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면 실시예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도 4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둥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144)의 외측면에는 회전부재(142)의 원주보다 직경이 큰 원주를 갖는 홈(146)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출로 고정부재(144)를 제조하는 경우 수축되는 것을 방지하여 불량품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체결부(140)는 브라켓(100)이 제 2 체결부(140)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궤적에 비추어 필요에 따라 전자제어장치(200)보다 하우징(400)의 전면측 일면인 제 1 면(402)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하우징의 전면측 일면을 제 1 면(402)으로 규정하여 설명한다.
한편, 제 4 체결부(420)는 제 2 체결부(140)에 대응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며, 지지부재(422) 및 지지부재 안착홈(421)을 포함한다.
지지부재(422)는 하우징(400)의 제 1 면(402)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지지부재(422)의 높이에 따라 전자제어장치(200)가 하우징(400)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가 정해질 수 있다.
지지부재 안착홈(421)은 회전부재(142)가 유입되어 안착되도록 지지부재(422)의 일단에 형성된다.
지지부재 안착홈(42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142)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때, 지지부재 안착홈(421)의 회전부재(142)가 유입되는 측 내측면은 회전부재(142)가 유입된 이후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돌출 형성된다.
이 때, 회전부재(142)가 지지부재 안착홈(421)으로 탈착이 가능하도록 지지부재 안착홈(421)의 일측으로부터 하우징 방향으로 탄성홈(424)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탄성홈(424)에 의하여 회전부재(142)가 지지부재 안착홈(421)으로 유입 시 지지부재 안착홈(421)의 돌출된 부분과 맞닿아 지지부재(422)가 탄성석으로 벌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회전부재(142)가 지지부재 안착홈(421)으로 유입된 이후에는 다시 복원되어 회전부재(142)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재 안착홈(421)의 일측에는 회전부재(142)가 지지부재 안착홈(421)으로 유입되는 것을 유도하기 위하여 도 7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 가이드면(428)이 구비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지지부재 안착홈(421)의 회전부재(142)가 유입되는 측 내측면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회전부재(142)를 지지부재 안착홈(421)으로 유입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1)의 브라켓(100)의 한 쌍의 제 2 체결부(140)가 형성된 반대측에는 제 3 체결부(150)가 형성되며, 제 3 체결부(150)는 하우징(400)에 형성된 제 5 체결부(430)에 결합한다.
제 3 체결부(150)는 한 쌍의 커버지지부재(152), 한 쌍의 탄성제공부재(154), 탄성제공부재 돌기(158), 탄성제공부재 손잡이(156)를 구비한다.
한 쌍의 커버지지부재(152)는 브라켓(100)의 양 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다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00)의 양 측면 하부로부터 외부 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도 있다.
커버지지부재(152)의 전면 측 면은 평평하게 형성된다. 커버지지부재(152)는 후술하는 커버(3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커버지지부재(152)는 브라켓(100)과 하우징(400) 사이에 회로기판(410)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때 회로기판(410)은 브라켓(100)의 관통홀(120)을 통하여 전자제어장치(200)에 연결된다.
한 쌍의 탄성제공부재(154)는 커버지지부재(152)의 일단에 하우징(400)의 제 1 면(402) 측으로 굽힘 형성된다. 이에 따라서 한 쌍의 탄성제공부재(154)는 굽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굽힐 수 있고 다시 복원될 수 있다.
도 7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제공부재의 일단부의 외측면에는 돌출 형성되는 탄성제공부재 돌기(158)가 형성된다. 또한, 탄성제공부재(154)의 일단에는 탄성제공부재 손잡이(156)가 형성된다. 사용자는 탄성제공부재 손잡이(156)를 가압하여 탄성제공부재(154)의 탄성 변형을 유도할 수 있다.
한 쌍의 탄성제공부재 손잡이(156)는 커버지지부재(152)가 길이 연장됨으로써 사용자의 엄지와 검지 또는 엄지와 중지 간격만큼 벌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용이하게 탄성제공부재(154)를 가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5 체결부(430)는 한 쌍의 탄성제공부재(154)에 대응되도록 하우징(400)의 제 1 면(402)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탄성제공부재 지지부재(432)를 포함한다.
탄성제공부재 지지부재(432)의 일단부에는 탄성제공부재 돌기(158)가 안착되도록 탄성제공부재돌기 안착홈(434)이 형성된다. 따라서, 탄성제공부재돌기 안착홈(434)의 형상과 탄성제공부재 돌기(158)의 형상은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탄성제공부재 손잡이(156)를 브라켓(100) 측으로 가압함에 따라 탄성제공부재(154)가 탄성 변형되어 탄성제공부재 돌기(158)를 탄성제공부재돌기 안착홈(434)에 안착시킬 수 있다.
탄성제공부재 돌기(158)가 탄성제공부재돌기 안착홈(434)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탄성제공부재(154)가 탄성 변형 전으로 복원되며, 한 쌍의 탄성제공부재(154)가 제공하는 복원력인 탄성력에 의해 탄성제공부재 돌기(158)가 탄성제공부재돌기 안착홈(434)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를 통하여 브라켓은 제 3 체결부(150)와 제 5 체결부(430)가 결합하게 되고 하우징(40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제 5 체결부(430) 사이 탄성제공부재(154)는 탄성변형이 가능하므로, 브라켓(100)의 제 2 체결부(140)가 제 4 체결부(420)에 고정된 상태에 회전하여 하우징(400)에 충돌하더라도 충격을 줄여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1)의 브라켓(100)의 제 2 체결부(140) 측 단부에는 스토퍼지지면(160)이 형성된다.
이 때, 스토퍼지지면(160)은 브라켓(100)의 제 2 체결부(140) 측 단부에서 제 1 면(402) 측으로 경사가 지도록 형성된다. 스토퍼지지면(160)은 후술하는 스토퍼(440)에 의하여 지지된다. 다만, 스토퍼(440)에 의하여 지지되는 방식은 후술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의 브라켓이 개방된 상태에서 스토퍼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의 스토퍼를 확대한 상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의 브켓이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의 브라켓이 개방된 상태의 회전고정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1)는 회전고정부(170) 및 스토퍼(440)를 구비한다.
스토퍼(440)는 하우징(400)의 제 1 면(402)에 형성된 제 4 체결부(420)와 인접 배치되고 제 1 면(402)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스토퍼(440)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으며,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 4 체결부(420)에 나란히 2개가 배치될 수 있다.
스토퍼(440)의 전면 측 일단면은 브라켓(100)의 스토퍼지지면(160)이 접촉되어 스토퍼지지면(160)을 지지한다. 이에 따라, 스토퍼(440)는 브라켓(100)이 회전할 수 있는 경로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00)이 제 2 체결부(140)를 축으로 회전할 때 브라켓(100)과 하우징(400)의 제 1 면(402)이 이루는 제 1 각(θ)은 도 9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각도가 된다. 이 때, 제 1 각(θ)의 크기는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브라켓(100)이 도 9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상태에서 전자기기(1)에 대한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기판(410)을 교체할 수 있다.
한편, 도 9 내지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440)의 단면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00)을 용이하게 지지하기 위하 H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동일한 지지력을 가지면서도 스토퍼(440)를 제조하는 재료를 적게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440)의 일단면에는 회전고정돌기(450)가 전면 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 때, 스토퍼(440)의 일단면에 회전고정돌기(450)가 돌출되는 위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회전고정돌기(450)는 브라켓(100)의 스토퍼지지면(160)에 형성된 회전고정부(17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브라켓(100)의 제 2 체결부(140)가 제 4 체결부(420)에 결합된 상태에서 브라켓(100)이 제 2 체결부(140)를 회전축으로 회전함으로써 스토퍼(440)에 스토퍼지지면(160)이 맞닿게 되면 회전고정돌기(450)가 회전고정부(170)에 결합한다. 따라서, 회전고정부(170)에 회전고정돌기(450)가 결합되는 경우, 제 1 각(θ)의 크기가 유지된다.
이 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고정돌기(450)는 회전고정부(170)로 유입되기 용이하도록 회전고정돌기(450)의 유입 방향으로 길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고정돌기(450)의 회전고정부(170)로 유입되는 방향 측 단부에는 회전고정돌기(450)가 회전고정부(170)로 유입되는 것을 유도하도록 제 1 가이드면(452)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가이드면(452)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가이드면(452)은 회전고정돌기(450)의 회전고정부(170)로 유입되는 방향 측 단부가 뾰족하도록 회전고정돌기(450)의 측면에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 때, 제 1 가이드면(452)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고정돌기(450)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고정돌기(450)가 결합되는 회전고정부(170)는 회전고정돌기 안착홈(171), 한 쌍의 고정바(172) 및 이탈방지부재(174)를 포함한다.
회전고정부(170)의 개수는 회전고정돌기(450)의 개수와 대응되어 형성되면 회전 실시예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회전고정돌기 안착홈(171)은 스토퍼지지면(160)의 외부측 일단에서 회전고정돌기(450)가 유입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브라켓(100)이 제 2 체결부(140)와 제 4 체결부(4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 2 체결부(140)를 회전축으로 회전할 때, 회전고정돌기(450)가 회전고정돌기 안착홈(171)으로 유입된다.
이 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고정돌기 안착홈(171)으로 유입된 회전고정돌기(450)를 고정하기 위하여, 회전고정돌기(450)의 양 측면에 인접하도록 한 쌍의 고정바(172)가 회전고정돌기 안착홈의 일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고정돌기(450)는 한 쌍의 고정바(172)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된다.
이 때 한 쌍의 고정바(172)의 일단부에는 이탈방지부재(174)가 구비된다. 이탈방지부재(174)는 한 쌍의 고정바(172)의 일단부에서 한 쌍의 고정바(172) 사이 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고정바(172) 사이에 회전고정돌기(450)가 유입되더라도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이탈방지부재(174)가 형성된 한 쌍의 고정바(172) 사이로 회전고정돌기(450)가 유입되면 회전고정돌기(450)에 형성된 제 1 가이드면(452)에 유도되어 회전고정돌기(450)가 한 쌍의 이탈방지부재(174) 사이로 유입되며, 이탈방지부재(174)를 가압하게 된다.
이 때, 회전고정돌기(450)가 한 쌍의 고정바(172) 사이로 원활하게 유입되기 위해 한 쌍의 고정바(172)는 각각 회전고정돌기 안착홈(171)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에 따라, 회전고정돌기(450)가 한 쌍의 고정바(172) 사이로 유입 시 회전고정돌기(450)에 의해 이탈방지부재(174)를 가압하게 되고 한 쌍의 고정바(172)가 회전고정돌기 안착홈(171)의 내측면 측으로 탄성 변형되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고정돌기(450) 회전고정돌기 안착홈(171)에 형성된 한 쌍의 고정바(172)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회전고정돌기(450)가 회전고정돌기 안착홈(171)에 안착된 이후에는 탄성 변형된 한 쌍의 고정바(172)가 본래의 형태로 복원되며 회전고정돌기(450)는 이탈방지부재(174)에 의하여 쉽게 회전고정돌기 안착홈(17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한 쌍의 이탈방지부재(174) 사이의 거리가 회전고정돌기(450)의 너비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이탈방지부재(174)의 사이로 회전고정돌기(450)가 유입되는 측 일내측면에는 경사를 갖는 제 2 가이드면(176)이 형성된다. 제 2 가이드면(176)은 회전고정돌기(450)가 유입 시 회전고정돌기(450)의 제 1 가이드면(452)과 접촉함으로써 회전고정돌기(450)가 한 쌍의 고정바(172)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유도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쉽게 브라켓(100)을 회전시켜 브라켓(100)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이탈방지부재(174)의 사이로 회전고정돌기(450)가 이탈되는 측 타내측면에는 경사를 갖는 제 3 가이드면(178)이 형성된다. 제 3 가이드면(178)은 회전고정돌기(450)가 유입된 상태에서 한 쌍의 고정바(172) 사이로부터 이탈 시 회전고정돌기(450)가 제 3 가이드면(178)을 따라 이탈되는 것을 유도한다.
이 때, 이탈방지부재(174)의 제 3 가이드면(178)의 경사각이 제 2 가이드면(176)의 경사각보다 크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브라켓(100)을 들어올려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면서도 브라켓(100)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회전고정돌기(450)를 회전고정돌기 안착홈(171)에 고정시킬 수 있다.
특히 전자제어장치(200)의 자체 무게 때문에 회전고정돌기(450)가 회전고정돌기 안착홈(17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3 가이드면(178)의 경사각이 제 2 가이드면(176)의 경사각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전자제어장치(200)의 자체 무게에 의해서 회전고정돌기(450)가 회전고정돌기 안착홈(171)으로부터 이탈되지는 않더라도 제 3 가이드면(178)이 구비됨으로써 사용자는 작업을 모두 수행한 이후 브라켓(100)을 다시 원래 위치로 옮기기 위해 회전고정돌기(450)를 한 쌍의 고정바(172) 사이에서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1)는 커버(300)를 구비한다.
커버(300)는 브라켓(100)이 배치되는 하우징(400)의 전장 측 일면을 커버함으로써 브라켓(100) 및 회로기판(410)이 외부로 드러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통해 외부의 오염물질에 의하여 회로기판(410)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3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커버결합부(330)에 의하여 하우징(400)에 결합된다. 커버결합부(330)를 통해 하우징(400)에 결합되는 방식에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된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나사결합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00)에는 전자제어장치(200)의 전면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개구부(320)가 형성된다.
이 때, 브라켓(100)의 측벽(110)의 테두리가 개구부(320)의 내측면에 맞닿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외부의 오염물질이 커버(300)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커버(300)가 브라켓(100)에 의하여 고정되는 효과도 있다.
이 때, 브라켓(100)의 측벽(110)의 전면 측 단부가 커버(300)보다 전면 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개구부(320)의 테두리부에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경사면(3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브라켓(100)의 측벽(110)의 전면 측 단부가 전면 측으로 돌출된 높이와 개구부(320)의 테두리부의 전면 측으로 돌출된 높이가 일치하도록 개구부(320)의 테두리의 전면 측 단부로부터 브라켓(100)의 테두리부로 갈수록 테두리경사면(310)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00)의 후면에는 커버지지부재(152)와 맞닿아 커버(300)를 지지하도록 지지부(340)가 후면 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커버(300)는 지지부(340)에 의하여 지지되어 사용자가 전자기기(1)의 사용방법과 무관하게 커버(300)의 중앙부를 가압하더라도 커버(300)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지지부(340)의 양 측면에는 지지부(340)보다 후면 측으로 길이 연장된 한 쌍의 커버지지부재 고정부재(342)가 구비될 수 있다.
커버지지부재 고정부재(342)는 지지부(340)가 커버지지부재(152)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태라도 커버(300)가 제 1 면(402)에 평행한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커버(300)를 고정한다. 따라서, 한 쌍의 커버지지부재 고정부재(342) 사이의 거리는 커버지지부재(152)의 폭과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 발명의 통하여 사용자는 별도의 결합장비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전자제어장치를 브라켓으로부터 탈착이 가능하고, 전자제어장치가 브라켓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로기판을 교체할 수 있으며, 브라켓을 하우징으로부터 탈착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을 통해 하나의 전자제어장치만 탈착함으로써 다수의 전자기기를 조작하거나, 하나의 전자제어장치가 안착된 브라켓을 다양한 종류의 전자기기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징이 전자기기에 별도로 연결되는 다양한 구성에 적용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 장치 240 전자 제어 장치 제 1 커버
100 브라켓 250 전자 제어 장치 제 2 커버
110 측벽 300 커버
120 관통홀 310 테두리경사면
130 전자제어장치 고정부 320 개구부
140 제 2 체결부 330 커버결합부
150 제 3 체결부 340 지지부
160 스토퍼지지면 400 하우징
170 회전고정부 410 회로기판
200 전자제어장치 420 제 4 체결부
210 제 1 체결부 430 제 5 체결부
220 전자제어장치 홈부 440 스토퍼
230 연결부 450 회전고정돌기

Claims (17)

  1. 일측에 제 1 체결부를 구비하고 타측에 전자제어장치 홈부가 형성되는 전자제어장치;
    상기 전자제어장치가 고정되도록 상기 전자제어장치 홈부와 결합하는 브라켓 돌기 및 상기 제 1 체결부와 결합하는 고정부재돌기 안착홈을 구비하는 측벽을 구비하되, 일측 단부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 체결부와 타측에 형성되는 제 3 체결부를 구비하고 중앙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브라켓;
    제 1 면에 상기 브라켓이 배치되도록 상기 제 2 체결부와 결합하는 한 쌍의 제 4 체결부 및 상기 제 3 체결부와 결합하는 제 5 체결부가 상기 제 1 면에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전자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전자장치가 배치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 1 면과 상기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제 1 면에 고정되어 상기 전자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전자제어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기판; 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체결부는 상기 제 3 체결부가 상기 제 5 체결부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제 2 체결부가 상기 제 4 체결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이 상기 제 2 체결부를 축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은 한 쌍의 상기 제 4 체결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의 일측 단부에는 스토퍼지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지지면은 상기 브라켓이 상기 제 2 체결부를 축으로 회전할 때 상기 브라켓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 1 면이 이루는 제 1 각이 소정의 각도로 상기 스토퍼의 일단면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의 일단면에는 회전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는 회전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고정부는 상기 제 3 체결부가 상기 제 5 체결부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제 2 체결부가 상기 제 4 체결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각이 상기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회전고정돌기와 결합하는,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고정부는
    상기 스토퍼지지면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고정돌기가 안착되는 회전고정돌기 안착홈;
    상기 회전고정돌기를 사이에 두고 상기 회전고정돌기 안착홈의 일 내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바; 및
    상기 고정바의 일단부의 상기 회전고정돌기 측 측면에 상기 회전고정돌기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돌출 형성되는 이탈방지부재; 를 포함하는,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고정돌기의 일면에는 상기 회전고정돌기가 상기 회전고정부에 체결 시 상기 회전고정돌기를 상기 한 쌍의 고정바 사이로 유도하도록 경사를 갖는 제 1 가이드면이 형성되는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고정돌기가 상기 한 쌍의 고정바 사이로 유입 시 상기 고정바가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고정바와 상기 회전고정돌기 안착홈의 내측면이 이격 배치는,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재의 상기 회전고정돌기가 유입되는 방향 측 일면에는 상기 회전고정돌기가 상기 회전고정부에 체결 시 상기 회전고정돌기를 상기 한 쌍의 고정바 사이로 유도하도록 경사를 갖는 제 2 가이드면이 형성되는,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재의 상기 회전고정돌기가 유입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 측 타면에는 상기 회전고정돌기가 상기 한 쌍의 고정바 사이로부터 이탈을 유도하도록 경사를 갖는 제 3 가이드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 3 가이드면은 상기 제 3 가이드면의 경사각이 상기 제 2 가이드면의 경사각보다 크도록 형성되는,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 2 체결부는 상기 브라켓의 일측 단부의 양측면으로부터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 4 체결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 1 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에 상기 회전부재가 유입되어 안착되는 지지부재 안착홈; 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 안착홈은 상기 회전부재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회전부재가 유입되는 측 내측면이 돌출 형성되는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체결부가 상기 제 4 체결부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의 회전축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회전부재의 외부 측 일단에 형성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안착홈에는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지지부재 안착홈으로 유입 시 상기 지지부재 안착홈이 탄성적으로 벌어지도록 상기 지지부재 안착홈으로부터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방향으로 탄성홈이 형성되는,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안착홈의 상기 회전부재가 유입되는 측 내측면에는 상기 회전부재가 유입되는 것을 유도하도록 경사를 갖는 회전부재 가이드면이 형성되는,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체결부는 상기 브라켓의 양 측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커버지지부재; 상기 커버지지부재의 일단에 상기 제 1 면 측으로 굽힘 형성되는 한 쌍의 탄성제공부재; 상기 탄성제공부재의 일단부에는 돌출 형성되는 탄성제공부재돌기; 및 상기 탄성제공부재의 일단에 형성되는 탄성제공부재 손잡이; 를 포함하고,
    상기 제 5 체결부는 상기 한 쌍의 탄성제공부재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 1 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탄성제공부재 지지부재; 및 상기 탄성제공부재돌기가 안착되도록 상기 탄성제공부재 지지부재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탄성제공부재돌기 안착홈; 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제공부재 손잡이를 상기 브라켓 측으로 가압함에 따라 상기 탄성제공부재가 탄성 변형되어 상기 탄성제공부재돌기가 상기 탄성제공부재돌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장치의 일면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면을 커버하는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상기 제 1 면과 대향되는 측 일면에는 상기 커버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지지부재와 맞닿아 상기 커버를 지지하도록 돌출 형성된 지지부가 구비되는,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 내측에 상기 브라켓의 측벽이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측벽 단부의 상기 제 1 면으로부터의 높이와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부의 상기 제 1 면으로부터의 높이가 일치하도록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부로부터 상기 커버의 테두리부로 갈수록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장치 및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전선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선은 상기 회전고정부에 상기 회전고정돌기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상기 전자제어장치와 상기 회로기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상기 측벽에는 대향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전자제어장치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자제어장치 고정부는 ㄷ자 형태로 형성되는 탄성제공홀; 상기 탄성제공홀에 의하여 상기 측벽에 형성되는 탄성제공바; 및 상기 탄성제공바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전제제어장치 고정돌기; 를 포함하는,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부는 상기 전자제어장치의 일단에 상기 제 1 면 측으로 굽힘 형성되는 전자제어장치 고정부재;
    상기 전자제어장치 고정부재의 일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부재돌기; 및 상기 전자제어장치 고정부재의 일단에 형성되는 고정부재 손잡이;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 손잡이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전자제어장치 고정부재가 탄성 변형되어 상기 고정부재돌기가 상기 고정부재돌기 안착홈에 안착되는,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
KR1020200178151A 2020-12-18 2020-12-18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 KR102390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151A KR102390573B1 (ko) 2020-12-18 2020-12-18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
US18/268,029 US20240057276A1 (en) 2020-12-18 2021-11-25 Electronic apparatus having electronic control device
CN202180083838.XA CN116636319A (zh) 2020-12-18 2021-11-25 具有电子控制装置的电子设备
PCT/KR2021/017485 WO2022131609A1 (ko) 2020-12-18 2021-11-25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
EP21906914.3A EP4266843A1 (en) 2020-12-18 2021-11-25 Electronic apparatus having electronic contro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151A KR102390573B1 (ko) 2020-12-18 2020-12-18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0573B1 true KR102390573B1 (ko) 2022-04-25

Family

ID=81452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8151A KR102390573B1 (ko) 2020-12-18 2020-12-18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057276A1 (ko)
EP (1) EP4266843A1 (ko)
KR (1) KR102390573B1 (ko)
CN (1) CN116636319A (ko)
WO (1) WO202213160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5742A (ko) * 2022-08-19 2024-02-27 엘에스일렉트릭(주) 결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전자기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750U (ja) * 1993-09-08 1995-04-11 村田機械株式会社 ヒンジ構造
KR20010097971A (ko) * 2000-04-27 2001-11-08 구자홍 인버터 고정장치
JP2006014476A (ja) * 2004-06-25 2006-01-12 Fuji Electric Fa Components & Systems Co Ltd インバータ装置
JP2007321983A (ja) * 2006-06-02 2007-12-13 Kofukin Seimitsu Kogyo (Shenzhen) Yugenkoshi 係合装置
KR20190095734A (ko) * 2018-02-07 2019-08-16 주식회사 에이디티 단자대 전용 커버체를 갖는 인버터 장치
KR20200089126A (ko) * 2019-01-16 2020-07-24 엘에스일렉트릭(주) 인버터의 휴먼 인터페이스 모듈을 위한 브라켓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3831B2 (ja) * 1995-09-18 2001-12-04 株式会社ピーエフユー 着脱可能カバーの装着構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750U (ja) * 1993-09-08 1995-04-11 村田機械株式会社 ヒンジ構造
KR20010097971A (ko) * 2000-04-27 2001-11-08 구자홍 인버터 고정장치
JP2006014476A (ja) * 2004-06-25 2006-01-12 Fuji Electric Fa Components & Systems Co Ltd インバータ装置
JP2007321983A (ja) * 2006-06-02 2007-12-13 Kofukin Seimitsu Kogyo (Shenzhen) Yugenkoshi 係合装置
KR20190095734A (ko) * 2018-02-07 2019-08-16 주식회사 에이디티 단자대 전용 커버체를 갖는 인버터 장치
KR20200089126A (ko) * 2019-01-16 2020-07-24 엘에스일렉트릭(주) 인버터의 휴먼 인터페이스 모듈을 위한 브라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5742A (ko) * 2022-08-19 2024-02-27 엘에스일렉트릭(주) 결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전자기기
KR102661736B1 (ko) * 2022-08-19 2024-04-26 엘에스일렉트릭(주) 결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전자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31609A1 (ko) 2022-06-23
US20240057276A1 (en) 2024-02-15
CN116636319A (zh) 2023-08-22
EP4266843A1 (en) 2023-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66094B1 (en) Printed circuit board mounting structur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390573B1 (ko)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
JP5181844B2 (ja) キーボード、電子機器、キーボードの製造方法、電子機器の製造方法及びキーボード部品
US6730869B2 (en) Switch
JP2018181509A (ja) 操作ボタンユニット、昇降機用操作盤および保守方法
US9242483B2 (en) Handheld printer
TWI520674B (zh) 承載裝置與其自鎖結構
WO2016185639A1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497827B1 (ko) 파지형조작기
KR101839820B1 (ko) 푸시버튼 스위치
US20210407747A1 (en) Hinge structure of button and electronic device
US11612074B2 (en) Waterproofing structure and related electronic device
KR100799563B1 (ko)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US20120211340A1 (en) Key structure with scissors-type connecting member
CN105280412B (zh) 开关装置改良结构
CN218679110U (zh) 一种带有lcd触摸屏的网关装置
JP2009224088A (ja) 電子機器装置
JPH06111707A (ja) 回路遮断器
CN218649086U (zh) 电子设备的基板安装构造
CN107756131A (zh) 机床操作台
KR20120081143A (ko) 액츄에이터
JPH1084191A (ja) レール取付け型機器
WO2015111624A1 (ja) 入力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KR200265780Y1 (ko) 분리가능한 컨트롤 판넬을 구비한 적외선센서형 터치스크린
US20070089976A1 (en) Push butt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