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가 있을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1. 용어의 정의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연통"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부재가 서로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됨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연통은 관로, 파이프, 배관 등의 부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통전"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부재가 서로 전류 또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 가능하게 연결됨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통전은 도선 부재 등에 의한 유선의 형태 또는 블루투스, Wi-Fi, RFID 등의 무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상측", "하측", "좌측", "우측", "전방 측" 및 "후방 측"이라는 용어는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좌표계를 참조하여 이해될 것이다.
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부재(10)의 설명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부재(10)가 도시된다.
터미널 부재(10)는 외부의 전원 및 부하와 통신, 통전된다. 터미널 부재(10)는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전달받고, 외부의 부하에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터미널 부재(10)는 전력 전자기기(20)와 통신, 통전된다. 터미널 부재(10)는 전달받은 전력을 전력 전자기기(20)에 전달하고, 전력 전자기기(20)로부터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터미널 부재(10)는 전력 전자기기(2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터미널 부재(10)는 전력 전자기기(20)와 탈거 가능하게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터미널 부재(10)는 복수 개의 전력 전자기기(20)와 탈거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터미널 부재(10)는 외부의 전원, 부하 및 전력 전자기기(20)와 통전, 통신되고, 전력 전자기기(2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터미널 부재(10)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하 방향의 높이를 갖는 사각의 판 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실시 예에서, 전력 전자기기(20)는 후방 측으로 이동되어 터미널 부재(10)에 결합되고, 전방 측으로 이동되어 터미널 부재(10)와 분리될 수 있다. 이때, 터미널 부재(10)와 전력 전자기기(20)의 결합 및 분리는 결합 부재(400)에 의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터미널 부재(10)는 터미널 몸체(100)를 포함한다.
터미널 몸체(100)는 터미널 부재(10)의 몸체를 형성한다. 터미널 몸체(100)는 터미널 부재(10)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터미널 몸체(100)는 좌우 방향의 길이를 갖고, 상하 방향의 높이를 갖는 사각의 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실시 예에서, 터미널 몸체(100)에 전력 전자기기(20)가 결합되는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은 개방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터미널 몸체(100)는 통전 부재(110), 슬롯 부재(120), 지지 베이스(130), 지지 부재(140), 기기 수용부(150) 및 체결공(160)을 포함한다.
통전 부재(110)는 터미널 부재(10)가 외부의 전원 및 부하와 통신, 통전되는 부분이다. 통전 부재(110)는 유선 또는 무선의 방식으로 외부의 전원 및 부하와 통신, 통전된다.
통전 부재(110)는 슬롯 부재(120)와 통신, 통전된다. 후술될 바와 같이, 슬롯 부재(120)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전력 전자기기(20)와 각각 결합, 통신, 통전된다. 통전 부재(110)는 복수 개의 슬롯 부재(120)와 각각 통신, 통전된다. 따라서, 통전 부재(110)는 슬롯 부재(120)를 통해 전력 전자기기(20)와 통신, 통전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통전 부재(110)는 외부의 전원, 부하 및 슬롯 부재(120)와 통신, 통전될 수 있는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통전 부재(110)는 터미널 몸체(100)의 길이 방향의 일 단부, 즉, 좌측 단부에 위치된다.
통전 부재(110)는 외부의 전원, 부하 및 슬롯 부재(120)와 통신, 통전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통전 부재(110)는 상하 방향의 높이를 갖고 좌우 방향의 폭을 가지며, 전후 방향의 두께를 갖는 입체도형 형상이다.
도면 부호가 부여되지는 않았으나, 통전 부재(110)에는 커넥터 수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에는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신, 통전되는 커넥터가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의 전원 또는 부하와 통전 부재(110)가 통신, 통전될 수 있다.
통전 부재(110)의 면 중 전력 전자기기(20)를 향하는 일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면에는 슬롯 부재(120)가 형성된다.
슬롯 부재(120)는 터미널 몸체(100)가 전력 전자기기(20)와 통신, 통전되는 부분이다. 슬롯 부재(120)에는 전력 전자기기(20)의 단자 부재(240)가 인출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결합에 의해, 슬롯 부재(120)와 단자 부재(240)가 통신, 통전되어 터미널 부재(10)와 전력 전자기기(20)가 통신, 통전될 수 있다.
슬롯 부재(120)는 단자 부재(24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슬롯 부재(12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전방 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 사각기둥 형상이다. 슬롯 부재(120)의 전방 측 면에는 단자 부재(240)를 수용하는 개구부가 함몰 형성된다.
슬롯 부재(120)는 지지 베이스(130)의 베이스 홈(131) 및 지지 부재(140)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슬롯 부재(120)는 베이스 홈(131) 및 지지 부재(140)에 결합된 전력 전자기기(20)의 단자 부재(240)의 위치에 상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슬롯 부재(120)는 베이스 홈(131)과 그 높이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겹쳐지게 배치되되, 지지 부재(140)에 비해 우측으로 치우치게 위치된다.
슬롯 부재(12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슬롯 부재(120)는 터미널 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슬롯 부재(120)는 열 개 구비되어,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슬롯 부재(120)의 이격 거리는 전력 전자기기(20)의 하우징(200)의 폭 방향 길이,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의 길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슬롯 부재(120)의 하측에는 지지 베이스(130)가 위치된다.
지지 베이스(130)는 터미널 부재(10)에 결합된 전력 전자기기(20)를 그 높이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에서 지지한다. 지지 베이스(130)는 전력 전자기기(20)의 하우징(200)의 하부의 후방 측을 부분적으로 지지한다.
지지 베이스(130)는 터미널 몸체(100)의 높이 방향의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에 위치된다. 지지 베이스(130)는 전력 전자기기(20)가 분리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지지 베이스(130)는 터미널 몸체(100)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베이스(130)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지지 베이스(130)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단부는 통전 부재(110)까지 연장된다. 지지 베이스(130)의 연장 방향의 타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 단부는 터미널 몸체(100)의 우측 단부까지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베이스(130)는 베이스 홈(131)을 포함한다.
베이스 홈(131)은 지지 베이스(130)에 안착된 전력 전자기기(20)의 하우징(200)의 하부에 형성된 돌기(미도시)가 삽입 결합된다. 베이스 홈(131)에 의해, 전력 전자기기(20)의 하측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 홈(131)은 지지 베이스(130)의 내부에 관통 형성된다. 베이스 홈(131)은 지지 베이스(130)의 두께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베이스 홈(131)은 지지 베이스(130)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베이스 홈(131)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베이스 홈(131)은 전력 전자기기(20)의 하우징(200))에 구비되는 돌기(미도시)가 인출 가능하게 삽입 결합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베이스 홈(131)은 좌우 방향의 길이를 갖고, 전후 방향의 폭을 갖는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의 높이를 갖게 형성된다.
이때, 베이스 홈(131)의 전후 방향의 폭은 상기 돌기(미도시)의 전후 방향의 폭의 길이에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홈(131)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베이스 홈(131)은 지지 베이스(13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베이스 홈(131)은 슬롯 부재(120) 및 지지 부재(140)의 위치에 상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베이스 홈(131)은 슬롯 부재(120)의 개수에 상응하게 열 개 형성되어,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각 베이스 홈(131)은 그 높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롯 부재(120) 및 지지 부재(140)와 겹쳐지게 배치된다.
베이스 홈(131)은 복수 개의 전력 전자기기(20)의 하우징(200)에 구비되는 돌기(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홈(131)은 지지 베이스(130)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단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단수 개의 베이스 홈(131)에는 복수 개의 전력 전자기기(20)의 하우징(200)에 구비되는 돌기(미도시)가 각각 삽입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베이스 홈(131)은 복수 개 구비되되, 각 베이스 홈(131)의 연장 길이는 하우징(200)의 폭 방향의 길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복수 개의 베이스 홈(131) 각각에는 복수 개의 전력 전자기기(20)의 하우징(200)에 구비되는 돌기(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다. 즉, 베이스 홈(131)의 개수는 전력 전자기기(20)의 개수보다 적은 수만큼 구비되어, 복수 개의 베이스 홈(131)이 각각 복수 개의 전력 전자기기(2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 베이스(130)는 슬롯 부재(120)를 사이에 두고 지지 부재(140)와 마주한다.
지지 부재(140)는 터미널 부재(10)에 결합된 전력 전자기기(20)를 그 높이 방향의 타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에서 지지한다. 지지 부재(140)는 전력 전자기기(20)의 결합 부재 탈착부(300)에 결합된 결합 부재(400)와 결합되어, 전력 전자기기(20)의 상부의 후방 측을 부분적으로 지지한다.
지지 부재(140)는 터미널 몸체(100)의 높이 방향의 타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에 위치된다. 지지 부재(140)는 전력 전자기기(20)가 분리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지지 부재(140)는 전력 전자기기(20)에 구비되는 결합 부재(400)와 탈거 가능하게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 부재(140)는 결합 부재(400)와 후크 결합(hook fit)될 수 있다. 따라서, 기 설정된 방향으로 소정의 힘이 인가되지 않는 한 지지 부재(140)와 결합 부재(400)의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지지 부재(140)는 전력 전자기기(20)의 결합 부재(400)와 결합될 수 있는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부재(140)는 터미널 몸체(100)의 높이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슬롯 부재(120) 및 베이스 홈(131)과 겹쳐지게 배치된다.
지지 부재(14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지지 부재(140)는 터미널 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부재(140)는 열 개 구비되어,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부재(140)는 제1 연장 암(141), 제2 연장 암(142), 제3 연장 암(143) 및 부재 수용부(144)를 포함한다.
제1 연장 암(141)은 지지 부재(140)의 일 부분을 형성한다. 제1 연장 암(141)은 터미널 몸체(100)의 상측 단부에서 외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제1 연장 암(141)은 지지 부재(140)의 상측 부분을 형성한다.
제1 연장 암(141)은 결합 부재(400) 및 결합 부재(400)가 결합된 결합 부재 탈착부(300)를 상측에서 부분적으로 덮는다. 후술될 바와 같이, 제1 연장 암(141)은 결합 부재(400)의 제2 결합 몸체(412)의 일 부분을 상측에서 덮는다.
제1 연장 암(141)의 연장 방향의 단부 중 터미널 몸체(100)에 결합되는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단부는 터미널 몸체(100)의 상측 단부와 연속된다. 제1 연장 암(141)의 연장 방향의 단부 중 전력 전자기기(20)를 향하는 타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단부는 제2 연장 암(142)과 연속된다.
제2 연장 암(142)은 제2 결합 몸체(412)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 돌출부(416)와 탈거 가능하게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연장 암(142)은 결합 돌출부(416)와 후크 결합될 수 있다.
동시에, 제2 연장 암(142)은 제2 결합 몸체(412)의 상측 면을 가압한다. 이에 따라, 결합 부재(400)와 지지 부재(140)가 탈거 가능하게 결합되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제2 연장 암(142)은 제1 연장 암(141)과 연속된다. 제2 연장 암(142)은 제1 연장 암(141)의 상기 타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단부와 연속된다.
제2 연장 암(142)은 복수 개의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연장 암(142)은 제1 연장 면(142a), 제2 연장 면(142b), 제3 연장 면(142c), 제4 연장 면(142d) 및 제5 연장 면(142e)을 포함한다.
제1 연장 면(142a)은 제2 연장 암(142)의 부분 중 제1 연장 암(141)과 연속되는 부분이다. 제1 연장 면(142a)은 제1 연장 암(141)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연장 면(142a)은 전방의 하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1 연장 암(141)과 둔각을 이루며 연장된다. 달리 표현하면, 제1 연장 면(142a)은 전방의 하측 및 후방의 상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제2 연장 면(142b)은 제1 연장 면(142a)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속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연장 면(142b)은 결합 부재(400)를 향하는 방향, 즉 하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1 연장 면(142a)과 둔각을 이루며 연장된다. 달리 표현하면, 제2 연장 면(142b)은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제3 연장 면(142c)은 제2 연장 면(142b)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속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3 연장 면(142c)은 결합 부재(400)를 향하는 방향, 즉 후방의 하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2 연장 면(142b)과 둔각을 이루며 연장된다. 달리 표현하면, 제3 연장 면(142c)은 전방의 상측 및 후방의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전력 전자기기(20)가 터미널 부재(10)를 향해 이동되면, 제3 연장 면(142c)은 결합 부재(400)의 결합 돌출부(416)와 접촉된다. 이때, 결합 돌출부(416)의 제2 지지 면(416b)은 제3 연장 면(142c)에 상응하게 경사지게 연장된다. 따라서, 결합 부재(400)는 지지 부재(140)에 용이하게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제4 연장 면(142d)은 제3 연장 면(142c)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속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4 연장 면(142d)은 터미널 몸체(100)를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3 연장 면(142c)과 둔각을 이루며 연장된다. 달리 표현하면, 제4 연장 면(142d)은 전후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결합 부재(400)가 지지 부재(140)와 결합되면, 결합 몸체(410)의 제2 결합 몸체(412)의 상측 면은 제4 연장 면(142d)과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미널 부재(10)에 결합된 결합 부재(40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제5 연장 면(142e)은 제4 연장 면(142d)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속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5 연장 면(142e)은 제1 연장 암(141)을 향하는 방향, 즉 후방의 상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4 연장 면(142d)과 둔각을 이루며 연장된다. 달리 표현하면, 제5 연장 면(142e)은 전방의 하측 및 후방의 상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결합 부재(400)가 지지 부재(140)와 결합되면, 제5 연장 면(142e)은 결합 몸체(410)의 결합 돌출부(416)와 접촉된다. 이때, 결합 돌출부(416)의 제1 지지 면(416a)은 제5 연장 면(142e)에 상응하게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 돌출부(416)는 제5 연장 면(142e)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터미널 부재(10)에 결합된 결합 부재(40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제3 연장 암(143)은 제1 연장 암(141)의 강성을 보강한다. 또한, 제3 연장 암(143)은 결합 부재(400)가 지지 부재(140)에 삽입되는 길이를 제한한다.
제3 연장 암(143)은 제1 연장 암(141)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속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3 연장 암(143)은 제1 연장 암(141)에 대해 수직하게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3 연장 암(143)은 제2 연장 암(142)과 이격되어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3 연장 암(143)은 제1 연장 암(141)의 후방 측에, 터미널 몸체(10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제1 연장 암(141), 제2 연장 암(142) 및 제3 연장 암(143)에 둘러싸여 형성되는 공간은 부재 수용부(144)로 정의된다.
부재 수용부(144)는 결합 부재(400)를 수용하는 공간이다. 부재 수용부(144)는 제1 연장 암(141), 제2 연장 암(142) 및 제3 연장 암(143)에 부분적으로 둘러싸여 정의된다. 부재 수용부(144)는 전력 전자기기(20)를 향하는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이 개방 형성된다. 결합 부재(400)는 상기 일 측을 통해 부재 수용부(144)에 삽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부재 수용부(144)는 결합 부재(400)의 높이, 즉 상하 방향의 길이보다 긴 높이를 갖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부재 수용부(144)는 결합 부재(400)의 길이, 즉 전후 방향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미널 부재(10)에 결합된 전력 전자기기(20)가 진동될 경우, 결합 부재(400)에 의해 진동에 따른 충격이 완충될 수 있다.
기기 수용부(150)는 전력 전자기기(20)의 하우징(200)의 일부를 수용하는 공간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기기 수용부(150)는 제2 하우징(220)의 후방의 상측에 형성되는 결합 부재 탈착부(300)의 좌측 및 우측 부분을 수용한다.
기기 수용부(150)는 제2 하우징(220)의 후방의 상측 부분 중 결합 부재 탈착부(30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기기 수용부(150)는 터미널 몸체(100)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기기 수용부(150)는 전력 전자기기(20)를 향하는 일 측,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이 개방 형성된다. 제2 하우징(220)은 상기 일 측을 통해 기기 수용부(150)에 삽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기기 수용부(150)의 타 측 중 높이 방향의 각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및 하측은 개방 형성된다. 터미널 부재(10) 또는 이에 결합된 전력 전자기기(20)가 상하 방향으로 진동될 경우, 기기 수용부(150)의 상기 각 측을 통해 전력 전자기기(20)가 진동되며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
기기 수용부(150)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기기 수용부(15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기기 수용부(150)는 열 개 구비되어, 터미널 몸체(100)의 연장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복수 개의 기기 수용부(150) 사이에는 복수 개의 지지 부재(140)가 각각 위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터미널 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지지 부재(140) 및 복수 개의 기기 수용부(150)가 서로 교번적으로 배치된다.
기기 수용부(150)의 내부에는 체결공(160)이 형성된다.
체결공(160)은 하우징(200)의 체결 부재(260)가 삽입되는 공간이다. 체결공(160)은 기기 수용부(150)를 둘러싸는 터미널 몸체(100)의 일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면에 함몰 형성된다.
체결공(160)은 체결 부재(260)의 위치에 상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체결공(160)은 기기 수용부(150)의 내부에, 우측에 치우치게 배치된다.
체결공(160)은 체결 부재(260)가 삽입 결합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 부재(260)가 나사 부재로 구비되는 실시 예에서, 체결공(160)은 그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공(160)과 체결 부재(260)의 결합에 의해, 전력 전자기기(20)의 상측 부분은 복수 개의 부재, 즉 결합 부재(400) 및 체결 부재(260)에 의해 터미널 부재(10)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미널 부재(10)와 전력 전자기기(2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체결공(160)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체결공(160)은 복수 개의 기기 수용부(150)마다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체결공(160)은 열 개 형성되어, 열 개의 기기 수용부(150)마다 배치될 수 있다.
3.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전자기기(20)의 설명
다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전자기기(20)가 도시된다.
전력 전자기기(20)는 내부에 다양한 전기, 전자 장치를 수용하여 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력 전자기기(20)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로 구비되어, 통전되는 다른 전기적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감시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전력 전자기기(20)는 외부의 다른 장치와 통전될 수 있다.
전력 전자기기(20)는 터미널 부재(10)와 탈거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결합의 일부는 결합 부재(400)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터미널 부재(10)와 결합된 전력 전자기기(20)는 터미널 부재(10)와 통신, 통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력 전자기기(20)는 외부의 전원 및 부하와 각각 통신, 통전될 수 있다.
전력 전자기기(2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전력 전자기기(20)는 서로 통신, 통전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서로 통신, 통전되는 전력 전자기기(20)의 개수가 조정되어 전력 전자기기(20)에 의해 구성되는 전기적 장치 전체의 용량이 조정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전자기기(20)는 하우징(200) 및 결합 부재 탈착부(300)를 포함한다. 또한, 전력 전자기기(20)는 도 9 내지 도 15에 도시된 결합 부재(400)를 더 포함하는데, 결합 부재(400)는 별항으로 설명한다.
하우징(200)은 전력 전자기기(20)의 외형을 형성한다. 하우징(200)은 전력 전자기기(20)가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다. 또한, 하우징(200)은 전력 전자기기(20)가 터미널 부재(1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하우징(20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에는 PCB(Printed Circuit Board), 커패시터 등 전력 전자기기(20)가 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임의의 구성들이 수용될 수 있다. 하우징(200)의 상기 공간은 터미널 부재(10)와 통신, 통전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우징(200)은 제1 하우징(210), 제2 하우징(220), 조작부(230), 단자 부재(240), 체결 지지부(250) 및 체결 부재(260)를 포함한다.
제1 하우징(210)은 하우징(200)의 일 부분을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하우징(210)은 하우징(200)의 전방 측을 형성한다.
제1 하우징(210)은 제2 하우징(220)과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하우징(210)은 제2 하우징(220)과 탈거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제1 하우징(210)과 제2 하우징(220)의 분리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어, 전력 전자기기(20)의 유지 보수가 용이해질 수 있다.
제1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상기 임의의 구성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다. 제1 하우징(210)은 전력 전자기기(20)의 각 구성을 수용하고, 제2 하우징(220)과 결합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하우징(210)은 전후 방향의 연장 길이가 좌우 방향의 연장 길이보다 길고, 상하 방향의 높이를 갖는 사각기둥 형상이다.
이때, 제1 하우징(210)의 각 측 중 제2 하우징(220)을 향하는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은 개방되어, 제1 하우징(210)의 내부 공간과 제2 하우징(220)의 내부 공간이 연통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하우징(210)은 제1 프레임(211)을 포함한다.
제1 프레임(211)은 제1 하우징(210)의 외면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제1 프레임(211)은 제1 하우징(210)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 리브(rib)로 기능될 수 있다. 또한, 제1 프레임(211)은 제1 하우징(210)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임의의 구성에서 발생된 열을 배출하는 핀(fin)으로 기능될 수 있다.
제1 프레임(211)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프레임(211)은 제1 하우징(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복수 개의 제1 프레임(211)은 제1 하우징(210)의 상측 면에,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2 하우징(220)은 하우징(200)의 다른 부분을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하우징(220)은 하우징(200)의 후방 측을 형성한다.
제2 하우징(220)은 전력 전자기기(20)가 터미널 부재(1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하우징(220)의 후방의 상측 및 하측이 터미널 부재(10)와 결합된다. 또한, 제2 하우징(220)의 면 중 터미널 부재(10)를 향하는 일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면에 배치되는 단자 부재(240)는 슬롯 부재(120)와 결합되어 통신, 통전된다.
제2 하우징(220)의 부분 중 터미널 부재(10)를 향하는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의 상측에는 결합 부재 탈착부(300)가 형성되어, 결합 부재(400)가 탈거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하우징(220)은 제1 하우징(210)과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하우징(220)은 제1 하우징(210)과 탈거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하우징(220)의 내부에는 상기 임의의 구성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다. 제2 하우징(220)은 전력 전자기기(20)의 각 구성을 수용하고, 제1 하우징(210)과 결합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하우징(220)은 전후 방향의 연장 길이가 좌우 방향의 연장 길이보다 길고, 상하 방향의 높이를 갖는 사각기둥 형상이다.
이때, 제2 하우징(220)의 각 측 중 제1 하우징(210)을 향하는 타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은 개방되어, 제2 하우징(220)의 내부 공간과 제1 하우징(210)의 내부 공간이 연통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하우징(220)은 제2 프레임(221) 및 상면(222)을 포함한다.
제2 프레임(221)은 제2 하우징(220)의 외면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제2 프레임(221)은 제2 하우징(220)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 리브(rib)로 기능될 수 있다. 또한, 제2 프레임(221)은 제2 하우징(220)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임의의 구성에서 발생된 열을 배출하는 핀(fin)으로 기능될 수 있다.
제2 프레임(221)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프레임(221)은 제2 하우징(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복수 개의 제2 프레임(221)은 제2 하우징(220)의 상측 면에,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면(222)은 제2 하우징(220)의 면 중 결합 부재(400)를 향하는 일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면의 일부를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면(222)은 제2 하우징(220)의 상측 면 중 후방 측이 치우치게 위치된다. 상면(222)은 제2 프레임(221)에 부분적으로 둘러싸인다.
상면(222)에는 결합 부재 탈착부(300)가 형성된다. 또한, 상면(222)은 결합 부재 탈착부(300)에 결합된 결합 부재(400)를 지지한다.
조작부(230)는 전력 전자기기(2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다. 조작부(230)는 제1 하우징(210)의 각 측 중 제2 하우징(220)에 반대되는 타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용이하게 조작부(230)에 접근하여, 제어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조작부(230)는 제1 하우징(210) 또는 제2 하우징(22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상기 임의의 구성 및 단자 부재(240)와 통신, 통전된다.
조작부(230)는 제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조작부(230)는 복수 개의 버튼 및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자 부재(240)는 전력 전자기기(20)가 터미널 부재(10)와 통신, 통전되는 부분이다. 단자 부재(240)는 슬롯 부재(120)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 결합된다. 상기 결합에 의해, 단자 부재(240)와 슬롯 부재(120)가 통신, 통전될 수 있다.
단자 부재(240)는 제2 하우징(220)의 각 측 중 터미널 부재(10)를 향하는 상기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 배치된다. 단자 부재(240)는 제2 하우징(220)의 외측에 노출된다.
단자 부재(240)는 슬롯 부재(120)의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단자 부재(240)는 제2 하우징(220)의 높이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체결 지지부(250)는 체결 부재(260)가 제2 하우징(220)과 결합되는 부분이다. 체결 지지부(250)는 제2 프레임(221)과 연속되어, 상면(222)을 부분적으로 둘러싸게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체결 지지부(250)는 상면(222)의 좌측에 위치된다. 체결 지지부(250)의 위치는 체결공(160)의 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체결 지지부(250)는 체결 부재(260)와 결합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체결 지지부(250)는 좌우 방향의 폭을 갖고, 전후 방향의 두께를 갖게 형성된다.
체결 지지부(250)의 내부에는 그 두께 방향, 즉 전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체결 부재(260)가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체결 부재(260)가 나사 부재로 구비되는 실시 예에서, 상기 공간을 둘러싸는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 부재(260)는 제2 하우징(220)과 터미널 부재(10)를 결합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220) 및 터미널 부재(10)는 결합 부재(400)에 의해 결합되는 바, 체결 부재(260)는 제2 하우징(220)과 터미널 부재(10)를 추가적으로 결합시킨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체결 부재(260)에 의해, 제2 하우징(220)과 터미널 부재(10)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체결 부재(260)는 체결 지지부(250) 및 체결공(160)과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체결 부재(260)는 체결 지지부(250)에 형성된 상기 공간에 관통되고, 체결공(160)에 삽입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 부재(260)는 체결 지지부(250) 및 체결공(160)과 각각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결합 부재 탈착부(300)는 결합 부재(400)가 하우징(200), 구체적으로 제2 하우징(220)과 결합되는 부분이다. 결합 부재 탈착부(300)는 제2 하우징(220)의 상기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의 상측에 형성된다.
결합 부재 탈착부(300)는 제2 프레임(221) 및 상면(222)에 부분적으로 둘러싸인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부재 탈착부(300)의 각 측 중 전방 측, 좌측 및 우측은 제2 프레임(221)에, 하측은 상면(222)에 둘러싸인다. 결합 부재 탈착부(300)의 각 측 중 나머지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및 후방 측은 개방 형성된다.
결합 부재(400)는 상측을 통해 결합 부재 탈착부(300)와 결합,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전력 전자기기(20)는 후방 측을 통해 터미널 부재(10)와 결합,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결합 부재 탈착부(300)는 제2 하우징(22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부재 탈착부(300)는 결합 부재 수용부(310), 결합 개구부(320) 및 부재 가이드부(330)를 포함한다.
결합 부재 수용부(310)는 결합 부재(400)를 수용하는 공간이다. 또한, 결합 부재 수용부(310)는 결합 부재 탈착부(300)의 다른 구성을 수용한다. 결합 부재 수용부(310)는 제2 프레임(221) 및 상면(222)에 부분적으로 둘러싸여 정의된다.
결합 부재 수용부(310)는 부재 가이드부(330)에 의해 복수 개로 구획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부재 수용부(310)는 전방 측에 형성되는 제1 결합 부재 수용부(311) 및 후방 측에 형성되는 제2 결합 부재 수용부(312)를 포함한다.
제1 결합 부재 수용부(311)는 결합 부재(400)의 제1 결합 몸체(411)의 일 부분을 수용한다. 제1 결합 부재 수용부(311)는 제2 프레임(221), 상면(222) 및 가이드 플레이트(331, 332)에 둘러싸여 정의된다. 제1 결합 부재 수용부(311)의 상측은 개방 형성된다.
제1 결합 부재 수용부(311)는 제2 하우징(22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과 연통된다. 구체적으로, 제1 결합 부재 수용부(311)를 둘러싸는 상면(222)의 일 부분에 관통 형성되는 제1 결합 개구부(321)에 의해 제1 결합 부재 수용부(311) 및 상기 공간이 연통된다.
제2 결합 부재 수용부(312)는 결합 부재(400)의 제1 결합 몸체(411)의 다른 일부, 제2 결합 몸체(412) 및 지지 암(440)을 수용한다. 제2 결합 부재 수용부(312)는 제2 프레임(221), 상면(222) 및 가이드 플레이트(331, 332)에 둘러싸여 정의된다. 제2 결합 부재 수용부(312)의 상측 및 후방 측은 개방 형성된다.
제2 결합 부재 수용부(312)는 제2 하우징(22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과 연통된다. 구체적으로, 제2 결합 부재 수용부(312)를 둘러싸는 상면(222)의 타 부분에 관통 형성되는 제2 결합 개구부(322)에 의해 제2 결합 부재 수용부(312) 및 상기 공간이 연통된다.
제2 결합 부재 수용부(312)는 제1 결합 부재 수용부(311)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부피를 갖게 형성될 수 있다. 후술될 바와 같이, 제1 결합 부재 수용부(311)에 수용되는 제1 결합 몸체(411)의 상기 일부의 부피에 비해, 제2 결합 부재 수용부(312)에 수용되는 제1 결합 몸체(411)의 상기 다른 일부, 제2 결합 몸체(412) 및 지지 암(440)의 부피가 더 큼에 기인한다.
결합 개구부(320)는 상면(222)에 관통 형성되어, 결합 부재 수용부(310)와 제2 하우징(220)의 내부 공간을 연통한다. 결합 부재(400)의 결합 암(420)은 결합 개구부(320)를 관통하여 제2 하우징(220)의 내부 공간에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결합 개구부(320)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결합 개구부(320)는 복수 개의 결합 부재 수용부(310)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개구부(320)는 제1 결합 부재 수용부(311)에 형성되는 제1 결합 개구부(321) 및 제2 결합 부재 수용부(312)에 형성되는 제2 결합 개구부(322)를 포함한다.
제1 결합 개구부(321)에는 제1 결합 암(421)이 인출 가능하게 관통 결합된다. 제2 결합 개구부(322)에는 제2 결합 암(422)이 인출 가능하게 관통 결합된다. 상기 결합에 의해, 결합 암(420)과 제2 하우징(220)이 후크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결합 개구부(321) 및 제2 결합 개구부(322)는 사각형의 단면을 갖게 형성된다. 제1 결합 개구부(321) 및 제2 결합 개구부(322)의 형상은 제1 결합 암(421) 및 제2 결합 암(422)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부재 가이드부(330)는 결합 부재(400)가 기 설정된 방향 및 위치로 결합 부재 탈착부(300)와 결합되도록 결합 부재(400)를 가이드한다.
부재 가이드부(330)는 결합 부재 수용부(310)에 위치된다. 부재 가이드부(330)는 결합 부재 수용부(310)를 복수 개로 구획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부재 가이드부(330)는 결합 부재 수용부(310)의 전방 측에 치우치게 위치되어, 결합 부재 수용부(310)를 제1 결합 부재 수용부(311) 및 제2 결합 부재 수용부(312)로 구획한다.
부재 가이드부(330) 및 결합 부재(400)는 이들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부재 가이드부(330) 및 결합 부재(400)는 복수 개의 위치에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부재 가이드부(330)는 제1 가이드 플레이트(331), 제2 가이드 플레이트(332) 및 리브 수용부(333)를 포함한다.
제1 가이드 플레이트(331) 및 제2 가이드 플레이트(332)는 상면(222)에서 돌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가이드 플레이트(331) 및 제2 가이드 플레이트(332)는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1 가이드 플레이트(331)는 결합 부재(400)의 제1 가이드 홈(431a)에 삽입 결합된다. 제1 가이드 플레이트(331)는 제1 가이드 홈(431a)의 연장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가이드 플레이트(331)는 제1 가이드 홈(431a)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결합 부재(400)의 승강이 가이드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플레이트(332)는 결합 부재(400)의 제2 가이드 홈(431b)에 삽입 결합된다. 제2 가이드 플레이트(332)는 제2 가이드 홈(431b)의 연장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가이드 플레이트(332)는 제2 가이드 홈(431b)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결합 부재(400)의 승강이 가이드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플레이트(331) 및 제2 가이드 플레이트(332)는 제2 하우징(220)의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제1 가이드 플레이트(331) 및 제2 가이드 플레이트(332)의 각 연장 길이는 결합 부재 수용부(310)의 폭 방향의 길이의 절반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가이드 플레이트(331) 및 제2 가이드 플레이트(332)는 그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나란하게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가이드 플레이트(331)는 좌측에, 제2 가이드 플레이트(332)는 우측에 치우치게 위치된다. 따라서, 결합 부재(400)는 그 좌측 및 우측이 모두 가이드되며 승강되어 결합 부재 탈착부(300)와 결합되거나, 결합 부재 탈착부(300)와 분리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플레이트(331)와 제2 가이드 플레이트(332)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소정의 공간은 리브 수용부(333)로 정의된다.
리브 수용부(333)는 결합 부재(400)의 가이드 리브(432)를 수용하는 공간이다. 가이드 리브(432)는 리브 수용부(333)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리브 수용부(333)는 제1 가이드 플레이트(331)와 제2 가이드 플레이트(332) 사이에 위치된다. 리브 수용부(333)에 수용된 가이드 리브(432)는 그 좌측 및 우측이 제1 가이드 플레이트(331) 및 제2 가이드 플레이트(332)에 의해 구속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 부재 탈착부(300)와 결합된 결합 부재(400)는 상하 방향의 이동은 허용되되,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의 이동이 제한된다. 이에 따라, 결합 부재(400)와 결합 부재 탈착부(30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가이드 플레이트(331), 제2 가이드 플레이트(332) 및 리브 수용부(333)의 위치 및 형상은 결합 부재(400)의 가이드부(430)의 위치 및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4.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합 부재(400)의 설명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전자기기(20)는 결합 부재(400)를 포함한다.
결합 부재(400)는 결합 부재 탈착부(300) 및 터미널 부재(10)와 각각 탈거 가능하게 결합된다. 달리 표현하면, 결합 부재(400)는 전력 전자기기(20)와 터미널 부재(10)를 탈거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본 명세서에서는 결합 부재(400)가 전력 전자기기(20)의 구성임을 전제하여 설명하였다. 대안적으로, 결합 부재(400)는 전력 전자기기(20)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부재(400)는 단수 개 구비된다. 대안적으로 결합 부재(400)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위치에서 결합 부재 탈착부(300) 및 터미널 부재(10)와 각각 탈거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결합 부재 탈착부(300) 또한 복수 개 구비됨이 이해될 것이다.
일 실시 예에서, 결합 부재(400)는 결합 부재 탈착부(300) 및 지지 부재(140)와 각각 후크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 부재(400)는 결합 부재 탈착부(300) 및 지지 부재(140)와 용이하게 결합되되, 그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합 부재(400)는 별도의 탄성 부재를 구비하지 않고도, 그 자체 구조에 의해 전력 전자기기(20)의 상하 방향의 진동을 완충할 수 있다. 따라서, 제작 단가가 절감되고, 제조 효율성이 향상되며, 유지 보수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될 결합 부재(400)의 각 구성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각 구성을 별도로 제작하여 이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공정이 감소되고, 각 구성 간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후술될 결합 부재(400)의 각 구성 중, 결합 암(420)은 PC GF 10%(Polycarbonate Glass Fiber 10%)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 부재(400)의 다른 구성은 PC-ABS(Polycarbonate/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결합 암(420)은 결합 부재(400)의 다른 구성에 비해 강도 및 장력이 더 증가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5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부재(400)는 결합 몸체(410), 결합 암(420), 가이드부(430) 및 지지 암(440)을 포함한다.
결합 몸체(410)는 결합 부재(400)의 몸체를 형성한다. 결합 몸체(410)는 결합 부재(400)가 결합 부재 탈착부(300)에 수용되는 부분이다. 결합 몸체(410)는 결합 부재(400)의 일부 구성과 연속된다. 또한, 결합 몸체(410)에는 결합 부재(400)의 다른 구성이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몸체(410)는 제1 결합 몸체(411), 제2 결합 몸체(412), 가압 돌출부(413), 가압 홈(414), 플레이트 수용 홈(415) 및 결합 돌출부(416)를 포함한다.
제1 결합 몸체(411)는 결합 몸체(410)의 일 부분,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을 형성한다. 제1 결합 몸체(411)는 제1 결합 부재 수용부(311) 및 제2 결합 부재 수용부(312)에 각각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제1 결합 몸체(411)는 결합 부재(400)가 결합 부재 탈착부(300)와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1 결합 몸체(411)는 결합 부재 수용부(310)에 수용되어 부재 가이드부(330)와 결합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결합 몸체(411)는 상하 방향의 높이를 갖고, 좌우 방향의 폭을 갖는 다각기둥 형상이다.
제1 결합 몸체(411)는 복수 개의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결합 몸체(411)는 전방 측 일부를 형성하며 제1 결합 부재 수용부(311)에 수용되는 제1 부분 및 후방 측 일부를 형성하며 제2 결합 부재 수용부(312)에 수용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 사이에는 가이드부(430)의 가이드 홈(431)이 위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제1 결합 몸체(411)는 그 내부에 위치되는 가이드 홈(431)에 의해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으로 구획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은 가이드 홈(431)에 삽입된 가이드 플레이트(331, 332)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1 결합 몸체(411)의 상기 제1 부분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은 결합 암(420)의 제1 결합 암(421)과 연속된다. 제1 결합 몸체(411)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은 가압 돌출부(413)와 연속된다. 제1 결합 몸체(411)의 상기 제2 부분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은 제2 결합 몸체(412)와 연속된다.
더 나아가, 제1 결합 몸체(411)의 상기 제2 부분의 상기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은 지지 암(440)과 연속된다.
제2 결합 몸체(412)는 결합 몸체(410)의 다른 부분,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을 형성한다. 제2 결합 몸체(412)는 제2 결합 부재 수용부(312)에 수용된다.
제2 결합 몸체(412)는 결합 부재(400)가 지지 부재(140)와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2 결합 몸체(412)의 연장 방향의 단부 중 제1 결합 몸체(411)를 향하는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단부는 제1 결합 몸체(411)와 연속된다. 제2 결합 몸체(412)의 연장 방향의 단부 중 제1 결합 몸체(411)에 반대되는 타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단부는 결합 돌출부(416)와 연속된다.
제2 결합 몸체(412)는 제2 결합 암(422)과 연속된다. 제2 결합 몸체(412)는 제2 결합 암(422)을 상측에서 지지한다.
제2 결합 몸체(412)는 제2 결합 부재 수용부(312)에 수용되고, 제2 결합 암(422)을 지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결합 몸체(412)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좌우 방향의 폭을 가지며 상하 방향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구비된다.
이때, 제2 결합 몸체(412)의 폭 방향의 길이, 즉 좌우 방향의 길이는 제1 결합 몸체(411)의 폭 방향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 몸체(412)는 지지 암(440)에 둘러싸인다. 즉, 후술될 바와 같이, 제2 결합 몸체(412)는 한 쌍의 지지 암(440) 사이에, 각 지지 암(441, 442)과 이격되게 배치된다.
가압 돌출부(413)는 제1 결합 몸체(411)의 상측에 돌출 형성된다. 작업자는 가압 돌출부(413)를 가압하여 결합 부재(400)를 결합 부재 탈착부(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 부재(400)와 결합 부재 탈착부(300)가 후크 결합되는 실시 예에서, 가압 돌출부(413)에는 후크 결합을 위한 외력이 인가될 수 있다.
또한, 전력 전자기기(20)가 터미널 부재(10)와 결합되면, 가압 돌출부(413)는 외측으로 돌출된다. 작업자는 가압 돌출부(413)를 가압하여 지지 부재(140)와 결합 암(420)의 결합 상태를 해제한 후, 전력 전자기기(20)를 터미널 부재(10)와 분리할 수 있다.
가압 돌출부(413)는 제1 결합 몸체(411)와 연속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압 돌출부(413)의 전방의 하측은 제1 결합 몸체(411)의 상기 제1 부분과, 가압 돌출부(413)의 후방의 하측은 제1 결합 몸체(411)의 상기 제2 부분과 각각 연속된다. 가압 돌출부(413)는 제1 결합 몸체(411)의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 사이에 위치되는 가이드부(430)를 상측에서 덮게 배치된다.
가압 돌출부(413)는 제1 결합 몸체(411)와 같은 길이의 폭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가압 돌출부(413)의 상측에는 살빼기 홈(413a)이 함몰 형성되어, 가압 돌출부(413)의 가공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살빼기 홈(413a)에 의해, 가압 돌출부(413)의 상측의 마찰력이 증가되어 결합 부재(400)와 결합 부재 탈착부(300)의 결합 과정 및 전력 전자기기(20)와 터미널 부재(10)의 분리 과정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가압 홈(414)은 결합 돌출부(416)의 내부에 함몰 형성된다. 결합 부재(400)를 결합 부재 탈착부(300)와 분리하고자 할 경우, 결합 돌출부(416)는 제1 결합 몸체(411)를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으로 가압된다. 이때, 가압 홈(414)이 형성됨에 따라, 결합 돌출부(416)의 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이 증가되어, 작업자가 인가해야 하는 외력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즉, 가압 홈(414)은 결합 돌출부(416)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작업자가 결합 돌출부(416)를 용이하게 파지, 가압할 수 있게 한다.
가압 홈(414)은 결합 돌출부(416)의 면 중 제1 결합 몸체(411)에 반대되는 일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면에 함몰 형성된다. 후술될 바와 같이, 상기 일 면은 제2 지지 면(416b)으로 정의된다.
플레이트 수용 홈(415)은 제1 결합 몸체(411)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이다. 플레이트 수용 홈(415)에는 부재 가이드부(330)의 제1 가이드 플레이트(331) 및 제2 가이드 플레이트(332)가 인출 가능하게 수용된다.
플레이트 수용 홈(415)은 제1 결합 몸체(411) 및 가압 돌출부(413)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인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레이트 수용 홈(415)의 전방 측은 제1 결합 몸체(411)의 상기 제1 부분에, 플레이트 수용 홈(415)의 후방 측은 제1 결합 몸체(411)의 상기 제2 부분에 둘러싸인다. 플레이트 수용 홈(415)의 상측은 가압 돌출부(413)에 덮인다.
플레이트 수용 홈(415)의 하측은 개방 형성되어 제1 가이드 플레이트(331) 및 제2 가이드 플레이트(332)가 인출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플레이트 수용 홈(415)의 폭 방향의 외측,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및 우측은 제1 가이드 홈(431a) 및 제2 가이드 홈(431b)에 의해 외부와 연통된다.
따라서, 플레이트 수용 홈(415)에 수용된 가이드 플레이트(331, 332)는 각각 가이드 홈(431a, 431b)에도 이동 가능하게 삽입됨이 이해될 것이다.
플레이트 수용 홈(415)의 내부에는 가이드 리브(432)가 위치된다. 가이드 리브(432)는 복수 개의 가이드 플레이트(331, 332) 사이에 형성되는 리브 수용부(333)에 삽입된다.
결합 돌출부(416)는 결합 부재(400)가 터미널 부재(10)의 지지 부재(14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결합 돌출부(416)는 지지 부재(140)의 제2 연장 암(142)과 후크 결합될 수 있다.
결합 돌출부(416)는 제2 결합 몸체(412)와 연속된다. 구체적으로, 결합 돌출부(416)는 제2 결합 몸체(412)의 연장 방향의 단부 중 제1 결합 몸체(411)에 반대되는 상기 타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단부와 연속된다.
결합 돌출부(416)는 제2 결합 몸체(412)에 비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에 의해, 결합 돌출부(416)는 제2 연장 암(142)과 후크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돌출부(416)는 제2 결합 몸체(412)에 비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결합 돌출부(416)는 제2 결합 몸체(412)와 같은 길이의 폭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결합 돌출부(416)는 제1 결합 몸체(411)의 폭보다 짧은 폭을 갖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결합 돌출부(416)는 복수 개의 지지 암(440) 사이에, 지지 암(440)과 이격되게 배치된다.
결합 돌출부(416)는 복수 개의 면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면은 서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속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돌출부(416)는 제1 지지 면(416a) 및 제2 지지 면(416b)을 포함한다.
제1 지지 면(416a)은 결합 돌출부(416)의 면 중 제1 결합 몸체(411)를 향하는 일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면을 형성한다. 제1 지지 면(416a)은 제2 결합 몸체(412)와 연속된다.
제1 지지 면(416a)은 제2 결합 몸체(412)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지지 면(416a)은 제2 결합 몸체(412)의 상측 면과 둔각을 이루며 제1 결합 몸체(411)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달리 표현하면, 제1 지지 면(416a)은 전방의 하측 및 후방의 상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결합 부재(400)가 지지 부재(140)와 결합되면, 제1 지지 면(416a)은 제2 연장 암(142)의 제5 연장 면(142e)과 접촉된다. 즉, 제1 지지 면(416a)은 제5 연장 면(142e)에 의해 접촉, 지지된다. 이를 위해, 제1 지지 면(416a)과 제5 연장 면(142e)은 같은 경사를 갖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지지 면(416a)은 결합 돌출부(416)의 상측 면을 매개로 제2 지지 면(416b)과 연속된다.
제2 지지 면(416b)은 결합 돌출부(416)의 면 중 제1 결합 몸체(411)에 반대되는 타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면을 형성한다. 제2 지지 면(416b)은 제1 지지 면(416b)과 연속된다.
제2 지지 면(416b)은 결합 돌출부(416)의 상측 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지지 면(416b)은 결합 돌출부(416)의 상측 면과 둔각을 이루며 제1 결합 몸체(411)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달리 표현하면, 제2 지지 면(416b)은 전방의 상측 및 후방의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결합 부재(400)가 지지 부재(140)를 향해 이동될 때, 제2 지지 면(416b)은 제2 연장 암(142)의 제3 연장 면(142c)과 접촉된다. 결합 부재(400)의 이동이 진행됨에 따라, 제2 연장 암(142)은 제2 지지 면(416b)을 타고 결합 돌출부(416)의 상측을 향해 이동되어, 제1 지지 면(416a)과 제1 결합 몸체(411) 사이의 공간에 진입된다. 이에 따라, 결합 부재(400)와 지지 부재(140)가 후크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지지 면(416b)과 제3 연장 면(142c)은 같은 경사를 갖게 형성될 수 있다.
결합 암(420)은 결합 부재(400)가 결합 부재 탈착부(30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결합 암(420)은 결합 부재 탈착부(300)에 탈거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 부재(400)와 하우징(200)이 후크 결합될 수 있다.
결합 암(420)은 결합 몸체(410)와 연속된다. 결합 암(420)은 결합 몸체(410)의 각 측 중 결합 부재 탈착부(300)를 향하는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와 연속된다.
결합 암(42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결합 암(420)은 제1 결합 몸체(411) 및 제2 결합 몸체(412)와 각각 연속되어, 복수 개의 결합 개구부(320)에 각각 관통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암(420)은 제1 결합 암(421) 및 제2 결합 암(422)을 포함한다.
제1 결합 암(421)은 제1 결합 몸체(411)와 연속되어, 제1 결합 개구부(321)에 관통 결합된다. 제1 결합 암(421)은 제1 결합 개구부(321)의 외주 중 제2 하우징(220)의 내측 상면과 탈거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결합 암(421)은 제1 결합 몸체(411)의 상기 제1 부분, 즉 전방 측 부분의 하측 단부와 연속된다. 제1 결합 암(421)은 제1 결합 몸체(411)의 높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1 결합 암(421)은 제1 결합 몸체(411)의 폭보다 짧은 폭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 암(421)은 제1 결합 개구부(321)의 폭 방향, 즉 좌우 방향의 길이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결합 암(421)은 제1 결합 연장부(421a) 및 제1 결합 돌기(421b)를 포함한다.
제1 결합 연장부(421a)는 제1 결합 암(421)이 제1 결합 몸체(411)와 연속되는 부분이다. 제1 결합 연장부(421a)는 제1 결합 개구부(321)에 관통된다.
제1 결합 연장부(421a)는 제1 결합 몸체(411)의 하측 단부에서 하측을 향해 연장된다. 제1 결합 연장부(421a)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는 제1 결합 몸체(411)의 상기 제1 부분과 연속된다. 제1 결합 연장부(421a)의 연장 방향의 타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에는 제1 결합 돌기(421b)가 위치된다.
제1 결합 돌기(421b)는 제1 결합 암(421)이 결합 부재 탈착부(300)와 후크 결합되는 부분이다. 제1 결합 돌기(421b)는 제1 결합 연장부(421a)의 상기 타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에 형성된다.
제1 결합 돌기(421b)는 제1 결합 연장부(421a)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결합 돌기(421b)는 전방 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이때, 제1 결합 돌기(421b)는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연속되며, 제1 결합 연장부(421b)를 향해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한다.
제1 결합 암(421)은 내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으로 가압되며 제1 결합 암(421)이 제1 결합 개구부(321)에 관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부분은 제1 결합 개구부(321)의 외주와 접촉되며 후방 측으로 가압될 수 있다.
제1 결합 돌기(421b)가 제1 결합 개구부(321)에 완전히 관통되면, 상기 가압 상태가 해제되며 제1 결합 암(421)은 전방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부분은 제1 결합 개구부(321)의 외주 중 제2 하우징(220)의 내부에 위치되는 면과 접촉된다. 이에 따라, 제1 결합 암(421)과 결합 부재 탈착부(300)의 후크 결합이 완료된다.
제2 결합 암(422)은 제2 결합 몸체(412)와 연속되어, 제2 결합 개구부(322)에 관통 결합된다. 제2 결합 암(422)은 제2 결합 개구부(322)의 외주 중 제2 하우징(220)의 내측 상면과 탈거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결합 암(422)은 제2 결합 몸체(412)의 하측 단부와 연속된다. 제2 결합 암(422)은 제2 결합 몸체(412)의 높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2 결합 암(422)은 제2 결합 몸체(412)의 폭보다 짧은 폭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결합 암(422)은 제2 결합 개구부(322)의 폭 방향, 즉 좌우 방향의 길이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결합 암(422)은 제2 결합 연장부(422a) 및 제2 결합 돌기(422b)를 포함한다.
제2 결합 연장부(422a)는 제2 결합 암(422)이 제2 결합 몸체(412)와 연속되는 부분이다. 제2 결합 연장부(422a)는 제2 결합 개구부(322)에 관통된다.
제2 결합 연장부(422a)는 제2 결합 몸체(412)의 하측 단부에서 하측을 향해 연장된다. 제2 결합 연장부(422a)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는 제2 결합 몸체(412)와 연속된다. 제2 결합 연장부(422a)의 연장 방향의 타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에는 제2 결합 돌기(422b)가 위치된다.
제2 결합 돌기(422b)는 제2 결합 암(422)이 결합 부재 탈착부(300)와 후크 결합되는 부분이다. 제2 결합 돌기(422b)는 제2 결합 연장부(422a)의 상기 타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에 형성된다.
제2 결합 돌기(422b)는 제2 결합 연장부(422a)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결합 돌기(422b)는 후방 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이때, 제2 결합 돌기(422b)는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연속되며, 제2 결합 연장부(422a)를 향해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한다.
제2 결합 암(422)은 내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으로 가압되며 제2 결합 암(422)이 제2 결합 개구부(322)에 관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부분은 제2 결합 개구부(322)의 외주와 접촉되며 전방 측으로 가압될 수 있다.
제2 결합 돌기(422b)가 제2 결합 개구부(322)에 완전히 관통되면, 상기 가압 상태가 해제되며 제2 결합 암(422)은 전방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부분은 제2 결합 개구부(322)의 외주 중 제2 하우징(220)의 내부에 위치되는 면과 접촉된다. 이에 따라, 제2 결합 암(422)과 결합 부재 탈착부(300)의 후크 결합이 완료된다.
따라서, 결합 부재(400)는 복수 개의 결합 암(420)에 의해 결합 부재 탈착부(300)와 후크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결합 돌기(421b, 422b)의 형상에 의해, 작업자는 결합 부재(400)를 결합 부재 탈착부(300)로 가압하는 것만으로도 결합 부재(400)와 결합 부재 탈착부(3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결합 돌기(421b, 422b)의 형상에 의해, 결합 부재(400)와 결합 부재 탈착부(300)는 후크 결합된다. 따라서, 기 설정된 방향의 외력이 인가되지 않는 한, 결합 부재(400)와 결합 부재 탈착부(30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 암(421) 및 제2 결합 암(422)은 전후 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 부재(400)의 가공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결합 부재(400)와 하우징(200)의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하우징(200)에 결합된 결합 부재(400)가 임의의 방향, 특히 제1 결합 암(421) 및 제2 결합 암(422)이 이격되는 전후 방향을 따라 요동되지 않게 된다.
가이드부(430)는 결합 부재(400)가 기 설정된 방향으로 결합 부재 탈착부(300)와 결합되도록 결합 부재(400)를 안내한다. 가이드부(430)는 결합 부재 탈착부(300)의 부재 가이드부(330)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결합 부재(400)와 결합 부재 탈착부(300)는 가이드부(430)와 부재 가이드부(330)가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가이드부(430)는 결합 몸체(410)와 연속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430)는 결합 몸체(410)의 각 측 중 결합 부재 탈착부(300)를 향하는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에 위치된다. 가이드부(430)는 제1 결합 몸체(411)의 상기 제1 부분(즉, 전방 측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즉, 후방 측 부분) 사이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부(430)는 가이드 홈(431) 및 가이드 리브(432)를 포함한다.
가이드 홈(431)은 부재 가이드부(330)의 가이드 플레이트(331, 332)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공간이다. 가이드 홈(431)은 가이드 플레이트(331, 332)의 연장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가이드 홈(431)은 제1 결합 몸체(411)에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 홈(431)은 제1 결합 몸체(411)의 폭 방향, 즉 좌측 및 우측에 형성된다. 가이드 홈(431)은 제1 결합 몸체(411)의 좌측 면 및 우측 면에 관통 형성된다.
가이드 홈(431)은 플레이트 수용 홈(415)과 연통된다. 가이드 플레이트(331, 332)의 일 부분은 플레이트 수용 홈(415)에 수용되고, 가이드 플레이트(331, 332)의 다른 부분은 가이드 홈(431)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 홈(431)은 가이드 플레이트(331, 332)의 두께,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의 길이 이상의 길이를 갖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431)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가이드 홈(431)은 제1 결합 몸체(411)의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서로 다른 가이드 플레이트(331, 332)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 홈(431)은 제1 가이드 홈(431a) 및 제2 가이드 홈(431b)을 포함한다.
제1 가이드 홈(431a)은 제1 결합 몸체(411)의 좌측 면에 관통 형성된다. 제1 가이드 홈(431a)에는 제1 가이드 플레이트(331)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 결합된다.
제2 가이드 홈(431b)은 제1 결합 몸체(411)의 우측 면에 관통 형성된다. 제2 가이드 홈(431b)에는 제2 가이드 플레이트(332)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 결합된다.
제1 가이드 홈(431a) 및 제2 가이드 홈(431b)을 사이에 두고 가이드 리브(432)가 형성된다.
가이드 리브(432)는 부재 가이드부(330)의 리브 수용부(333)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가이드 리브(432)는 가이드 플레이트(331, 332)의 연장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가이드 리브(432)는 제1 결합 몸체(411)와 연속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 리브(432)는 제1 결합 몸체(411)의 상기 제2 부분의 전방 측 면에서 전방 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가이드 리브(432)는 제1 결합 몸체(411)의 높이보다 짧은 높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리브(432)는 그 연장 방향의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가 제1 결합 몸체(411)의 상기 제2 부분의 하측 단부와 같은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결합 몸체(411)의 상기 제2 부분 및 가이드 리브(432)는 상면(222) 중 제2 결합 개구부(322)를 둘러싸는 부분에 함께 안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력 전자기기(20)가 상하 방향으로 진동되는 경우에도, 결합 부재(400)와 결합 부재 탈착부(30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가이드 리브(432)는 리브 수용부(333)의 폭 이하의 두께를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리브(432)는 리브 수용부(333)에 용이하게 삽입, 인출될 수 있다.
지지 암(440)은 결합 부재(400)에 복원력을 제공한다. 결합 부재(400) 및 결합 부재(400)와 결합된 전력 전자기기(20)에 상하 방향의 진동이 발생될 경우, 지지 암(440)은 형상 변형되며 복원력을 저장함으로써 발생된 진동에 의한 충격을 완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 부재(400)에 스프링 등 별도의 탄성 부재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전력 전자기기(20)와 터미널 부재(1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결합 부재(400)가 결합 부재 탈착부(300)와 결합되면, 지지 암(440)은 결합 몸체(410)의 하측 단부보다 하측으로 연장된다. 달리 표현하면, 외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결합 부재(400)는 상면(222)과 접촉된 지지 암(440)에 의해 지지되고, 결합 몸체(410)는 상면(222)과 이격된다.
상기 상태에서 상하 방향의 진동이 발생될 경우, 지지 암(440)이 형상 변형되며 결합 부재(400)가 하강되어, 결합 몸체(410)가 상면(222)과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진동의 발생이 해제되면, 지지 암(440)은 형상 변형되며 저장한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며, 결합 몸체(410)는 다시 상면(222)과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 부재(10) 및 이와 결합된 전력 전자기기(20)에서 상하 방향의 진동이 발생되더라도, 지지 암(440)에 의해 상기 진동이 완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미널 부재(10) 및 전력 전자기기(20)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터미널 부재(10) 및 전력 전자기기(20)와 각각 결합되는 결합 부재(400)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지지 암(440)은 결합 몸체(410)와 연속된다. 구체적으로, 지지 암(440)은 제1 결합 몸체(411)의 상기 제2 부분(즉, 후방 측 부분)과 연속된다. 지지 암(440)은 제1 결합 몸체(411)의 상기 제2 부분의 후방 측 면에서 후방의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지지 암(440)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의 상측 단부는 제1 결합 몸체(411)의 상기 제2 부분과 연속된다. 지지 암(440)의 연장 방향의 타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의 하측 단부는 제1 결합 몸체(411)의 하측 단부 및 제2 결합 몸체(412)의 하측 단부보다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구조에 의해, 지지 암(440)은 결합 부재(400)를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지지 암(440)은 제2 결합 몸체(412) 및 결합 돌출부(416)와 이격되게 배치된다. 지지 암(440)은 그 폭 방향의 외측에서 제2 결합 몸체(412) 및 결합 돌출부(416)를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지지 암(44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지지 암(440)은 서로 다른 위치에서 결합 몸체(410)와 결합되고,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면(222)과 접촉되어 결합 부재(40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암(440)은 제1 지지 암(441) 및 제2 지지 암(442)을 포함하여 두 개 구비된다.
제1 지지 암(441) 및 제2 지지 암(442)은 서로 이격되어, 제2 결합 몸체(412) 및 결합 돌출부(416)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지지 암(441) 및 제2 지지 암(442)은 서로 같은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제1 지지 암(441)은 제1 결합 몸체(411)의 상기 제2 부분의 후방의 좌측 부분과 연속된다. 제1 지지 암(441)은 제2 결합 몸체(412) 및 결합 돌출부(416)를 좌측에서 둘러싸며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제1 지지 암(441)의 하측 단부는 결합 몸체(410)의 하측 단부보다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지지 암(442)은 제1 결합 몸체(411)의 상기 제2 부분의 후방의 우측 부분과 연속된다. 제2 지지 암(442)은 제2 결합 몸체(412) 및 결합 돌출부(416)를 우측에서 둘러싸며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제2 지지 암(442)의 하측 단부는 결합 몸체(410)의 하측 단부보다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5.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부재(10) 및 전력 전자기기(20)의 결합 과정의 설명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전자기기(20)는 결합 부재(400)를 포함한다. 결합 부재(400)는 전력 전자기기(20)의 결합 부재 탈착부(300)와 탈거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또한, 결합 부재(400)는 터미널 부재(10)의 지지 부재(140)와 탈거 가능하게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결합 부재(400)는 결합 부재 탈착부(300) 및 지지 부재(140)와 각각 후크 결합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전력 전자기기의 경우, 전력 전자기기 자체에 일체로 구비되는 구성에 의해 터미널 부재와 직접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구성이 파손될 경우, 전력 전자기기의 커버 전체를 교환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전력 전자기기는 내부에 수용되는 다양한 장치 역시 커버와 일체로 구비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따라서, 커버 교환시 내부에 있는 장치 또한 분해되어야만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전력 전자기기와 터미널 부재를 결합하는 상기 구성을 유지 보수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간 및 비용이 과다하게 요구되었다. 또한, 유지 보수가 요구되지 않는 전기적 구성들에 대한 분해까지 수행되는 과정에서, 상기 전기적 구성들의 의도치 않은 손상이 발생될 염려도 있었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결합 부재(400)는 파손시 결합 부재(400)만을 교체하여 유지 보수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따라서, 유지 보수에 요구되는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민감한 전기적 구성들의 결합 상태가 파괴되지 않으므로, 전력 전자기기(20)의 내구연한 및 작동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 나아가, 결합 부재(400)는 지지 암(440)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따라서, 전력 전자기기(20) 및 터미널 부재(10)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은, 결합 부재(400)에 의해 완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진동에 의해 전력 전자기기(20)의 구성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진동의 완충을 위해 별도의 탄성 부재가 구비될 필요가 없어 조립성이 향상되고, 제작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이하, 도 16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전자기기(20)와 터미널 부재(10)가 결합되는 과정 및 결합된 상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1)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전자기기(20)와 결합 부재(400)의 결합 과정의 설명
도 16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전자기기(20)의 결합 부재 탈착부(300)에 결합 부재(400)가 결합되는 과정 및 결합된 상태가 도시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결합 부재(400)는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 이동되어 결합 부재 탈착부(300)에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 부재 탈착부(300)는 전방 측, 좌측 및 우측은 제2 프레임(221)에, 그 하측은 상면(222)에 둘러싸이되 상측 및 후방 측은 개방된다. 결합 부재(400)는 상기 상측을 통해 결합 부재 탈착부(300)에 결합된다.
도 17을 참조하면, 결합 부재(400)가 결합 부재 탈착부(300)에 결합되는 과정이 도시된다.
도 17의 (a)를 참조하면, 결합 부재(400)는 결합 부재 탈착부(300)의 상측에 위치된다. 이때, 제1 결합 암(421)은 제1 결합 개구부(321)의 상측에, 제2 결합 암(422)은 제2 결합 개구부(322)의 상측에 배치된다.
도 17의 (b)를 참조하면, 제2 결합 암(422)이 제2 결합 개구부(322)에 먼저 삽입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부재(40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후방 측의 제2 결합 암(422)이 후방 측의 제2 결합 개구부(322)에 먼저 삽입된다.
도 17의 (c)를 참조하면, 제1 결합 암(421)이 제1 결합 개구부(321)에 삽입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부재(400)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전방 측의 제1 결합 암(421)이 전방 측의 제1 결합 개구부(321)에 삽입된다.
이때, 부재 가이드부(330) 및 가이드부(430) 또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결합 부재(400)와 결합 부재 탈착부(300)의 정확한 결합이 가이드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결합 부재(400)가 결합 부재 탈착부(300)와 결합된 상태가 도시된다.
먼저, 제1 결합 암(421)은 제1 결합 개구부(321)에 관통되어, 제1 결합 돌기(421b)가 제2 하우징(220)의 상측 내면의 전방 측과 후크 결합된다. 마찬가지로, 제2 결합 암(422)은 제2 결합 개구부(322)에 관통되어, 제2 결합 돌기(422b)가 제2 하우징(220)의 상측 내면의 후방 측과 후크 결합된다.
따라서, 결합 부재(400)와 결합 부재 탈착부(300)의 임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홈(431a) 및 제2 가이드 홈(431b)에는 제1 가이드 플레이트(331) 및 제2 가이드 플레이트(332)가 각각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또한, 리브 수용부(333)에는 가이드 리브(432)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따라서, 결합 부재(400)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이동은 부재 가이드부(330)와 가이드부(430)의 결합에 의해 제한된다.
이때, 결합 부재(400)는 상면(222)과 접촉되는 지지 암(440)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즉, 결합 부재(400)의 구성 중 지지 암(440)의 하측 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상면(222)과 이격된다.
따라서, 전력 전자기기(20)에 진동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지지 암(440)이 인가하는 탄성력에 의해 발생된 진동에 의한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
(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부재(10)와 전력 전자기기(20)의 결합 과정의 설명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전자기기(20)와 터미널 부재(10)가 결합되는 과정 및 결합된 상태가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력 전자기기(20)에는 결합 부재(400)가 탈거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임이 이해될 것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전력 전자기기(20)가 전방 측에서 후방 측으로 이동되어 터미널 부재(10)와 결합된다. 이때, 제2 하우징(220)의 하측에 형성된 돌기(미도시)는 베이스 홈(131)과, 단자 부재(240)는 슬롯 부재(120)와, 체결 지지부(250)는 체결공(160)과, 결합 부재(400)는 지지 부재(140)와 각각 전후 방향으로 겹쳐지게 배치된다.
도 22를 참조하면, 전력 전자기기(20)가 터미널 부재(10)에 결합되는 순서가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력 전자기기(20)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제2 하우징(220)의 하측에 형성된 돌기(미도시)가 먼저 베이스 홈(131)에 삽입된다(도 22의 ①).
다음, 전력 전자기기(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단자 부재(240)가 슬롯 부재(120)와 결합되고, 결합 부재(400)가 지지 부재(140)와 결합된다(도 22의 ②).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체결 부재(260)가 체결 지지부(250) 및 체결공(160)과 각각 결합되는 과정이 더 수행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전력 전자기기(20)가 터미널 부재(10)와 결합된 상태가 도시된다.
결합 돌출부(416)는 제2 연장 암(142)을 상측으로 가압하며 후방 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3 연장 면(142c)은 제2 지지 면(416b)과 접촉되며 제2 지지 면(416b)을 타고 상측으로 이동된다.
전력 전자기기(20)의 이동이 완료되면, 제2 연장 암(142)은 결합 돌출부(416)와 제1 결합 몸체(411)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수용된다. 이때, 제5 연장 면(142e)은 제1 지지 면(416a)과 접촉된다.
상기 상태에서, 지지 부재(140)는 그 형상에 의해 결합 부재(400)를 하측으로 가압한다. 또한, 결합 부재(400)는 지지 암(440)이 인가하는 탄성력에 의해 상측으로 가압된다. 이에 따라, 전력 전자기기(20)와 터미널 부재(10)가 안정적으로 후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태에서, 전력 전자기기(20)와 터미널 부재(10)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 가압 돌출부(413)를 가압하면 지지 암(440)이 압축되며 결합 부재(400)가 하측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지지 부재(140)와 결합 부재(400)가 분리되면, 전력 전자기기(20)가 전방 측으로 이동되어 터미널 부재(10)와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