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9126A - 인버터의 휴먼 인터페이스 모듈을 위한 브라켓 - Google Patents

인버터의 휴먼 인터페이스 모듈을 위한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9126A
KR20200089126A KR1020190005816A KR20190005816A KR20200089126A KR 20200089126 A KR20200089126 A KR 20200089126A KR 1020190005816 A KR1020190005816 A KR 1020190005816A KR 20190005816 A KR20190005816 A KR 20190005816A KR 20200089126 A KR20200089126 A KR 20200089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movable housing
main
main fastening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8608B1 (ko
Inventor
최원석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190005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8608B1/ko
Publication of KR20200089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9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03Constructional details, e.g. physical layout, assembly, wiring or busbar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브라켓은 베이스 및 가동하우징을 포함한다. 베이스는 제1인쇄회로기판이 안착되는 제1안착부, 주체결부 및 보조체결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가동하우징은 전방에 HMI모듈이 결합되고, HMI모듈과 연결된 제2인쇄회로기판이 안착되는 제2안착부와 베이스의 주체결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주체결핀 및 보조체결부와 결합되는 보조체결핀을 포함한다. 가동하우징은 보조체결부 및 보조체결핀이 결합된 상태에서 제1인쇄회로기판의 전방에 위치하고 보조체결부 및 보조체결핀의 분리 시 주체결부 및 주체결핀이 결합된 지점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이 전방에서 노출된다.

Description

인버터의 휴먼 인터페이스 모듈을 위한 브라켓{BRACKET FOR HUMAN MACHINE INTERFACE}
본 발명은 인터버에 결합되는 휴먼 인터페이스 모듈을 위한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역변환장치라고도 하는 인버터(inverter)는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대개 인버터의 본체에는 입, 출력을 위한 단자,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 정보 표시를 위한 표시부가 마련되고, 전원을 공급하는 파워모듈, 정전을 위한 커패시터(capacitor) 및 다양한 회로기판들이 조합되어 배치된다.
이때,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는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Human Machine Interface; HMI)로 통칭된다.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는 관리자가 인버터의 작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출력(output)기능이나 인버터가 특정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입력(input)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는 관리자가 입출력을 수행하기 용이하도록 인버터의 본체 외부에 마련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종래에는 인버터의 본체 자체에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가 결합되는 일체형 결합방식, 커버 분리형 결합방식 및 고정방식이 널리 실시되었다.
커버 분리형 결합방식은 분리 가능한 커버가 본체에 마련되고 커버에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가 결합된다. 그리고, 고정방식은 본체 내부에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가 고정된다.
하지만, 일체형 결합방식의 경우 인버터의 본체를 성형 제작하는 과정이 까다롭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커버 분리형의 경우에는 수시로 탈부착 해야 하는 휴먼 인터 페이스의 특성 상 별도의 커버와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를 인버터로부터 완전 분리하였다가 다시 결합시키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이 불편하였다.
그리고, 고정방식은 인버터의 본체 내부에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가 고정되므로 분리와 재결합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인버터에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를 쉽게 탈착할 수 있고,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를 분리하지 않고도 인버터의 점검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브라켓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이한 본 발명의 브라켓은 베이스 및 가동하우징을 포함한다. 베이스는 제1인쇄회로기판이 안착되는 제1안착부, 주체결부 및 보조체결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가동하우징은 전방에 HMI모듈이 결합되고, HMI모듈과 연결된 제2인쇄회로기판이 안착되는 제2안착부와 베이스의 주체결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주체결핀 및 보조체결부와 결합되는 보조체결핀을 포함한다. 가동하우징은 보조체결부 및 보조체결핀이 결합된 상태에서 제1인쇄회로기판의 전방에 위치하고 보조체결부 및 보조체결핀의 분리 시 주체결부 및 주체결핀이 결합된 지점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이 전방에서 노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는 인버터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주체결부는 주체결핀이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회전공, 회전공의 일측으로 개방되는 진입구를 포함하고, 한 쌍의 주체결부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주체결핀은 헤드 및 힌지축을 포함한다. 헤드는 양 끝단에 각각 회전공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힌지축은 각각의 헤드와 가동하우징을 연결하며 진입구의 개방된 간격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고 진입구의 개방된 간격보다는 크고 회전공의 직경보다는 작은 길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주체결핀은 한 쌍의 주체결부 사이에서 양측의 힌지축이 각각 회전공에 수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헤드는 주체결부와 인접한 면에 돌출되는 걸림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주체결부는 헤드와 인접한 면에 걸림턱이 수용되는 걸림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주체결부는 헤드와 인접한 면에 회전공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돌출되되 걸림홈과 인접할수록 점진적으로 돌출되는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보조체결핀은 탄성편 및 거치돌기를 포함한다. 탄성편은 가동하우징에서 연장된다. 그리고 거치돌기는 탄성편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보조체결부는 거치돌기가 결합되는 거치구를 포함하며, 거치돌기 및 거치구는 외력에 의해 분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동하우징은 HMI모듈의 적어도 일측이 탄성지지되는 HMI모듈지지부 및 HMI모듈의 외측 일부를 구속하는 핀락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브라켓은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를 간단한 조작만으로 인버터와 분리하거나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를 탈거하지 않은 상태로 인버터에 거치하여 점검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베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가동하우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주체결부에 주체결핀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가동하우징이 열린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가동하우징에 HMI모듈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은 인버터의 전면에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이하에서는 HMI모듈이라 한다.)를 부착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은 베이스(100)와 가동하우징(200)을 포함한다. 베이스(100)는 제1인쇄회로기판(20)이 안착되는 제1안착부(110), 주체결부(120) 및 보조체결부(130)를 포함한다. 가동하우징(200)은 전방에 HMI모듈(10)이 결합된다. 그리고, 가동하우징(200)은 제2인쇄회로기판(30)이 안착되는 제2안착부(210)를 더 포함하고, 제2인쇄회로기판(30)은 HMI모듈(10)과 연결된다. 또한, 가동하우징(200)은 주체결핀(220) 및 보조체결핀(230)을 포함한다. 주체결핀(220)은 베이스(100)의 주체결부(12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보조체결핀(230)은 보조체결부(130)와 결합된다.
가동하우징(200)은 보조체결부(130) 및 보조체결핀(230)이 결합된 상태에서 제1인쇄회로기판(20)의 전방에 위치하고, 보조체결부(130) 및 보조체결핀(230)의 분리 시 주체결부(120) 및 주체결핀(220)이 결합된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1인쇄회로기판(20)이 전방에 노출된다.
아래에서는 상기된 각각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베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은 인버터의 외부에 결합되는 베이스(100)를 포함한다.
베이스(100)는 인버터와 결합되는 결합부(140)가 적어도 하나 형성되고, 결합은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이뤄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베이스(100)는 후방에 결합부(140)가 마련되고, 전면에 제1인쇄회로기판(20)이 안착되는 제1안착부(110)가 형성된다. 제1안착부(110)는 제1인쇄회로기판(20)이 결합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결합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베이스(100)의 상부에 전방으로 연장되는 주체결부(120)가, 중단의 양측에는 역시 전방으로 연장되는 보조체결부(130)가 형성된다.
먼저, 주체결부(120)는 한 쌍이 서로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한 쌍의 주체결부(120)는 가로방향, 지면과 수평한 선상에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구성은 후술될 가동하우징(200)을 상부로 회전시켜 개방하였다가 다시 닫는 과정에서 가동하우징(200)의 자중을 통해 보다 쉽게 가동하우징(200)을 복귀시키는 효과가 있다.
각각의 주체결부(120)는 미리 정해진 직경을 가진 회전공(122)을 포함하고, 회전공(122)의 일측으로 회전공(122)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로 개방되는 진입구(124)가 형성된다.
한 쌍의 주체결부(120)는 각각의 바깥쪽 면에 회전공(122)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돌출되는 경사돌기(126)를 포함한다. 그리고, 경사돌기(126)의 적어도 일부 구간에 단턱을 형성하는 걸림홈(128)이 마련된다. 이때, 경사돌기(126)는 걸림홈(128)과 인접한 위치에서 가장 높게 돌출되고 걸림홈(128)가 가장 먼 위치에서 가장 낮은 높이를 갖게 된다. 구체적으로, 경사돌기(126)는 회전공(122)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걸림홈(128)을 향해 갈수록 돌출되는 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진다. 따라서, 경사돌기(126)는 일방향으로 경사진 형태의 면을 갖게된다.
보조체결부(130)는 가동하우징(200)의 보조체결핀(230)과 대응되는 수로 마련되고 보조체결핀(23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구속되는 거치구(132)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가동하우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하우징(200)은 베이스(100)의 전방에 배치된다. 가동하우징(200)은 상단의 양측 끝단에 각각 마련되는 주체결핀(220)과 중단 또는 하단부의 양측에 마련되는 보조체결핀(230)을 포함한다.
주체결핀(220)은 상술한 주체결부(120)에 양 끝단이 각각 결합된다. 주체결핀(220)의 양 끝단은 각각 회전공(122)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헤드(222)를 포함한다. 헤드(222)는 힌지축(224)을 매개로 가동하우징(200)과 연결된다. 구체적으로는 헤드(222)가 회전공(122)의 크기보다 넓은 면적을 지니고, 힌지축(224)은 가동하우징(200)과 헤드(222)의 사이를 연결한다.
힌지축(224)은 미리 정해진 두께로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때 힌지축(224)의 길이는 회전공(122)의 직경보다 작게 정해진다. 그리고, 힌지축(224)의 두께는 상술한 진입구(124)의 간격보다 작게 정해진다.
또한, 헤드(222)는 힌지축(224)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턱(226)을 포함한다. 걸림턱(226)은 헤드(222)의 중심점으로부터 외곽을 향해 곧게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226)은 힌지축(224)이 회전공(122)에 수용되어 가동하우징(100)이 회전할 때 헤드(222)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걸림턱(226)은 상술하였던 걸림홈(128)와 일치 시 걸림홈(128)과 간섭되어 가동하우징(200)이 회전을 멈추고 정지하게 된다.
걸림홈(128)과 걸림턱(226)은 작업자가 외력을 가하면 쉽게 분리되나 가동하우징(200)의 자중만으로는 분리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걸림홈(128)에 걸림턱(226)이 수용된 상태에서는 가동하우징(200)이 베이스(100)와 미리 정해진 각도를 유지하며 거치된다.
그리고 걸림턱(226)은 경사돌기(126)가 형성하는 경사면과 접하며 회전한다. 따라서, 걸림홈(128)과 걸림턱(226)이 인접할수록 가동하우징(200)의 회전은 저항이 커지고 걸림홈(128)에 걸림턱(226)이 수용될 때 보다 안정적으로 가동하우징(200)을 거치하게 된다. 또한, 경사돌기(126)의 경사면과 걸림턱(226)이 접하며 회전하므로 경사돌기(126)를 거쳐 걸림턱(226)이 걸림홈(128)에 수용될 때 작업자가 이를 촉각 및 청각을 통해 인지할 수 있다.
보조체결핀(230)은 가동하우징(200)에서 연장되는 탄성편(232)과 탄성편(232)에 의해 지지되는 거치돌기(234)를 포함한다.
거치돌기(234)는 거치구(132)에 삽입되고 탄성편(232)이 지닌 탄성력으로 인해 거치구(132)와의 결합력이 유지된다. 따라서, 거치돌기(234)와 인접한 위치를 작업자가 가압하거나 거치돌기(234)와 거치구(132)에 작용하는 탄성력을 상쇄할 수 있는 외력이 가해지면 그 결합이 분리된다.
보조체결핀(230)은 가동하우징(200)이 베이스(100)의 전방에 고정되도록 작동하고, 베이스(100)의 제1안착부(110)에 안착된 제1인쇄회로기판(20)을 점검하는 등의 이유로 가동하우징(200)을 상부로 회전시킬 때에는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주체결부에 주체결핀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하우징(200)은 양측의 힌지축(224)이 진입구(124)를 통해 회전공(122)에 진입한다.
힌지축(224)은 진입구(124)의 간격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므로 힌지축(224)은 진입구(124)를 통과할 수 있다. 하지만, 힌지축(224)이 특정한 각도로 정확하게 진입구(124)로 진입하여야만 회전공(122)에 진입할 수 있다. 반대로, 회전공(122)에 힌지축(224)이 결합된 상태에서 힌지축(224)을 회전공(122)으로부터 분리 시 미리 정해진 각도로 힌지축(224)을 회전시킨 후 분리하지 않으면 분리가 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진입구(124)로 힌지축(224)이 통과하기 위해서는 힌지축(224)의 길이방향이 아닌 두께 방향과 진입구(124)가 일치하여야 한다. 따라서, 힌지축(224)을 진입구(124)로 진입 시키는 작업은 작업자가 쉽게 방향을 맞춰 수행할 수 있고, 반대로 진입구(124)로 진입한 힌지축(224)은 작업자이 개입없이는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도5에 도시된 예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 중 하나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걸림홈(128)이 형성되는 위치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적절히 정해지면 될 것이고, 걸림홈(128)이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 가동하우징(200)이 상방으로 열린 상태에서 거치되는 각도가 결정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가동하우징이 열린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하였던 구성들을 통해 가동하우징(200)은 베이스(100)에 결합된 채로 상방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걸림홈(128) 및 걸림턱(226)이 결합되는 위치에서 가동하우징(200)은 베이스(100)와 일정한 각도를 이루며 거치될 수 있다.
이는 베이스(100)의 제1안착부(110)에 안착되는 제1인쇄회로기판(20)을 유지 또는 보수 하는 것을 수월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가동하우징에 HMI모듈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은 HMI모듈(10)을 인버터의 외부에 장착하기 위한 목적을 지니다.
HMI모듈(10)은 측방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지지부(12)를 포함한다. 탄성지지부(12)는 가동하우징(200)의 제2안착부(210)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는 HMI모듈지지부(240)와 접한다. 그리고, HMI모듈지지부(240)에 탄성지지되며 제2안착부(210)에 결합된다. 이때, HMI모듈(10)은 제2안착부(210)에 마련된 핀락(212)을 통해 외측의 일부가 구속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HMI모듈 12: 탄성지지부
20: 제1인쇄회로기판 30: 제2인쇄회로기판
100: 베이스 110: 제1안착부
120: 주체결부 122: 회전공
124: 진입구 126: 경사돌기
128: 걸림홈 130: 보조체결부
132: 거치구 140: 결합부
200: 가변하우징 210: 제2안착부
212: 핀락 220: 주체결핀
222: 헤드 224: 힌지축
226: 걸림턱 230: 보조체결핀
232: 탄성편 234: 거치돌기
240: HMI모듈지지부

Claims (9)

  1. 제1인쇄회로기판이 안착되는 제1안착부, 주체결부 및 보조체결부를 포함하는 베이스; 및
    전방에 HMI모듈이 결합되고, 상기 HMI모듈과 연결된 제2인쇄회로기판이 안착되는 제2안착부와 상기 베이스의 상기 주체결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주체결핀 및 상기 보조체결부와 결합되는 보조체결핀을 포함하는 가동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하우징은 상기 보조체결부 및 상기 보조체결핀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의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보조체결부 및 상기 보조체결핀의 분리 시 상기 주체결부 및 상기 주체결핀이 결합된 지점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이 전방에 노출되는 브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인버터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브라켓.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체결부는,
    상기 주체결핀이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회전공;
    상기 회전공의 일측으로 개방되는 진입구를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주체결부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브라켓.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체결핀은,
    양 끝단에 각각 상기 회전공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헤드;
    각각의 상기 헤드와 상기 가동하우징을 연결하며 상기 진입구의 개방된 간격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고 상기 진입구의 개방된 간격보다는 크고 상기 회전공의 직경보다는 작은 길이로 형성되는 힌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주체결핀은 한 쌍의 상기 주체결부 사이에서 양측의 상기 힌지축이 각각 상기 회전공에 수용되는 브라켓.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상기 주체결부와 인접한 면에 돌출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브라켓.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주체결부는,
    상기 헤드와 인접한 면에 상기 걸림턱이 수용되는 걸림홈을 포함하는 브라켓.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체결부는,
    상기 헤드와 인접한 면에 상기 회전공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돌출되되 상기 걸림홈과 인접할수록 점진적으로 돌출되는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돌기를 포함하는 브라켓.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체결핀은,
    상기 가동하우징에서 연장되는 탄성편; 및
    상기 탄성편에 의해 지지되는 거치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체결부는,
    상기 거치돌기가 결합되는 거치구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돌기 및 상기 거치구는 외력에 의해 분리되는 브라켓.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하우징은,
    상기 HMI모듈의 적어도 일측이 탄성지지되는 HMI모듈지지부; 및
    상기 HMI모듈의 외측 일부를 구속하는 핀락을 포함하는 브라켓.

KR1020190005816A 2019-01-16 2019-01-16 인버터의 휴먼 인터페이스 모듈을 위한 브라켓 KR102208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816A KR102208608B1 (ko) 2019-01-16 2019-01-16 인버터의 휴먼 인터페이스 모듈을 위한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816A KR102208608B1 (ko) 2019-01-16 2019-01-16 인버터의 휴먼 인터페이스 모듈을 위한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126A true KR20200089126A (ko) 2020-07-24
KR102208608B1 KR102208608B1 (ko) 2021-01-27

Family

ID=71892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816A KR102208608B1 (ko) 2019-01-16 2019-01-16 인버터의 휴먼 인터페이스 모듈을 위한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860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4890A1 (ko) 2020-07-17 2022-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390573B1 (ko) * 2020-12-18 2022-04-25 엘에스일렉트릭(주)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
KR102436486B1 (ko) 2021-03-19 2022-08-26 (주)유노아이티 이상전원을 감지하여 복구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31104A (ko) 2021-03-19 2022-09-27 (주)유노아이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4476A (ja) * 2004-06-25 2006-01-12 Fuji Electric Fa Components & Systems Co Ltd インバータ装置
KR20060010685A (ko) * 2004-07-27 2006-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윙 힌지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4476A (ja) * 2004-06-25 2006-01-12 Fuji Electric Fa Components & Systems Co Ltd インバータ装置
KR20060010685A (ko) * 2004-07-27 2006-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윙 힌지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4890A1 (ko) 2020-07-17 2022-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390573B1 (ko) * 2020-12-18 2022-04-25 엘에스일렉트릭(주)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
WO2022131609A1 (ko) * 2020-12-18 2022-06-23 엘에스일렉트릭 주식회사 전자제어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
KR102436486B1 (ko) 2021-03-19 2022-08-26 (주)유노아이티 이상전원을 감지하여 복구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31104A (ko) 2021-03-19 2022-09-27 (주)유노아이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8608B1 (ko) 202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89126A (ko) 인버터의 휴먼 인터페이스 모듈을 위한 브라켓
CN103503241B (zh) 具有锁闭装置的电插接装置
JP2005237196A (ja) 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及びその組立方法
JPS587689A (ja) 着脱自在の電源装置
US20080061813A1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tester with interchangeable tester module
JP2008098176A (ja) 電気機器または電子機器および電子装置ケーシング
JP4250597B2 (ja) 制御盤
CN212341933U (zh) 一种闸机头及闸机
JP6641786B2 (ja) コントローラユニット
CN114937409A (zh) 一种拼接片、拼接组件及拼接显示屏
KR101508358B1 (ko) 정션박스
JP2006032931A (ja) 電気モジュール
KR20080005408U (ko) 메모리 모듈의 장착용 지그
CN104701663B (zh) 排插组件
JP2000074032A (ja) ネジの保持構造
KR20160117756A (ko) 전동공구용 배터리
US20230178942A1 (en) Fan module, electrical device having connector restricting configuration, and a restricting frame
JP3117782U (ja) 電子機器およびプラグ付き電子機器
JPH04116666A (ja) 画像形成装置
US10802553B1 (en) Electronic device
CN210611862U (zh) 一种带有磁吸门的饮水设备
KR100267236B1 (ko) 컨넥터
CN218548833U (zh) 卡托卡座组件、卡针和电子设备
US20220070319A1 (en) Flip cover device and hinge thereof
CN215185014U (zh) 全组装框架电器柜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