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7756A - 전동공구용 배터리 - Google Patents

전동공구용 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7756A
KR20160117756A KR1020150044970A KR20150044970A KR20160117756A KR 20160117756 A KR20160117756 A KR 20160117756A KR 1020150044970 A KR1020150044970 A KR 1020150044970A KR 20150044970 A KR20150044970 A KR 20150044970A KR 20160117756 A KR20160117756 A KR 20160117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ttery
mating terminal
power tool
connec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4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5278B1 (ko
Inventor
유진호
Original Assignee
계양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양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계양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4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5278B1/ko
Publication of KR20160117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7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5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5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30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1M2/2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동공구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대측 단자와 결합하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는 전동공구용 배터리의 상기 단자는, 상기 상대측 단자가 결합하는 결합방향으로 상기 상대측 단자와 복수의 위치에서 접속되고, 상기 결합방향과 가로지르는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용 배터리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전동공구용 배터리{BATTERY OF ELECTRIC TOOL}
본 발명은 전동공구용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복수의 위치에서 접속되는 전동공구용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공구는 유선 또는 배터리를 통해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여 내장된 모터를 구동하여 드라이버 및 드릴 등의 작업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된 툴을 회전시켜 나사를 체결하거나 구멍을 뚫는 등 다중 작업을 할 수 있는 공구 중 하나이다.
상기 전동공구는, 모터, 기어박스 등이 설치된 전동공구의 하우징과, 상기 전동공구 하우징 내의 부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동공구용 배터리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전동공구용 배터리는 하우징에서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며, 하우징에 조립되면서 하우징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연결부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 배터리 셀 등을 포함한다.
이때, 배터리 셀을 전원연결부을 향해 형성된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고, 전원연결부는 상기 복수의 단자와 맞물리는 상대측 단자를 포함한다.
또한, 전동공구용 배터리는 충전을 통해 재 사용이 가능하거나 배터리 셀을 새로 교체 가능한 부품이다. 이로 인하여 전동공구용 배터리의 배터리 셀과 전원연결부의 탈착이 빈번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전동공구용 배터리의 전원연결부와 배터리 셀의 빈번한 탈착에 의하여 배터리 셀의 단자와 전원연결부의 상대측 단자의 형상 변화 등이 일어날 수 있고, 이로 인하 단자와 상대측 단자의 접속률이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동공구용 배터리의 전원연결부와 배터리 셀의 조립 시, 상기 상대측 단자가 단자에 끼워지며 단자의 텐션에 의해 락킹되는 구조인데, 전동공구용 배터리의 전원연결부와 배터리 셀의 탈착에 의해 단자의 텐션이 저하되며 락킹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접점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전동공구용 배터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대측 단자와 결합 시, 락킹력을 최대화하는 전동공구용 배터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전동공구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대측 단자와 결합하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는 전동공구용 배터리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상기 상대측 단자가 결합하는 결합방향으로 상기 상대측 단자와 복수의 위치에서 접속되고, 상기 결합방향과 가로지르는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접속부는, 상기 상대측 단자와의 상기 결합방향과 가로지르는 방향의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축 상에 위치하는 제1 접속부와, 상기 제1 축과 서로 다른 위치의 제2 축 상에 위치하는 제2 접속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접속부는 상기 제2 접속부보다 상기 상대측 단자를 향해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접속부는, 마주하는 한 쌍의 상기 제1 접속부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전동공구용 배터리의 전원연결부와 배터리 셀을 조립하기 위하여 배터리 셀의 단자가 복수의 접속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대측 단자와 단자가 복수의 위치에서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 결과, 배터리 셀과 전원연결부가 다중 접점으로 접속되면서 불안전 통전을 방지하게 되어 접점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자와 상대측 단자가 다중 접점이 이루어지면서 복수의 위치에서 락킹되기 때문에 단자와 상대측 단자 사이의 락킹력을 최대화하여 상대측 단자와 단자가 분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동공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동공구용 배터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전동공구용 배터리에 단자가 장착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단자의 상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는데,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동공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동공구용 배터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전동공구용 배터리에 단자가 장착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단자의 상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시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전동공구용 배터리(200)는 전동공구 본체(100)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대측 단자(230)와 결합하는 복수의 단자(250)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250)는 상대측 단자(230)가 결합하는 결합방향(도 5의 화살표 참고)으로 상대측 단자(230)와 복수의 위치에서 접속되며, 상대측 단자(230)의 결합방향과 가로지르는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접속부(255)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따른 전동공구용 배터리(200)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공구용 배터리(200)는 전동공구(10)의 본체(100)에서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며, 본체(100)에 조립되면서 본체(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연결부(220)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 배터리 셀(240) 및 상기 배터리 셀(240)이 수납되는 배터리 케이스(260) 등을 포함한다.
이때, 배터리 셀(240)을 전원연결부(220)을 향해 형성된 복수의 단자(250)를 포함하고, 전원연결부(220)는 상기 복수의 단자(250)와 맞물리는 상대측 단자(230)를 포함한다.
또한, 배터리 셀(240)은 상기 단자(250)가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 전동공구용 배터리(200) 상에 안착될 수 있도록 단자안착부(244) 등을 포함한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접속부(255)는 상대측 단자(230)가 끼움 되어 결합되는 위치이다. 상기 상대측 단자(230)가 단자(250)에 결합된 후, 결합방향의 역 방향으로 상대측 단자(23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속부(255)는 상대측 단자(230)의 측면 방향으로 V-자 형상으로 굽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속부(255)는 상대측 단자(230)의 양 측면과 맞물릴 수 있도록 한 쌍의 접속부(255)가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굽어지게 형성된 한 쌍의 접속부(255) 사이의 간격은 상대측 단자(230)의 너비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접속부(255)를 포함하는 단자(250)에 상대측 단자(230)가 결합될 때, 마주하는 한 쌍의 접속부(255)는, 접속부(255)가 굽어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텐션(Tension)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접속부(255)에 발생한 텐션으로 접속부(255) 사이에 끼워진 상대측 단자(230)가 락킹되면서 단자(250)에 결합되는 방향과 역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전동공구용 배터리(200)는 충전을 통해 재 사용이 가능하거나 배터리 셀(240)을 새로 교체하여 사용 가능하다. 이로 인하여 전동공구용 배터리(200)의 배터리 셀(240)과 전원연결부(220)의 탈착이 빈번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과정에서 배터리 셀(240)의 단자(250)와 전원연결부(220)의 상대측 단자(230)의 단자(250)의 변형이 발생하여 단자 간 접속력 및 락킹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대측 단자(230)와 접속하는 접속부(255)가 상대측 단자(230)와 복수의 위치에서 접속되도록 형성하여 단자(250)와 상대측 단자(230)가 다 접점이 이루어지게 하여 단자의 접점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접속부(255)는, 상대측 단자(230)와 결합하는 결합방향과 가로지르는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축(X1) 상에 위치하는 제1 접속부(252)와, 제1 축(X1)과 서로 다른 위치의 제2 축(X2) 상에 위치하는 제2 접속부(254)를 포함한다.
상기 상대측 단자(230)는 단자(250)의 전, 후 방향을 따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서로 다른 축 상에 형성된 제1 및 제2 접속부(252, 254)에 의해 상대측 단자(230)는 2차에 걸쳐 접속부(255)에 접속되며 단자(25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대측 단자(230)가 2차에 걸쳐 단자(250)에 결합되도록 제1 접속부(252)는 제2 접속부(254)보다 상대측 단자(230)를 향해 돌출되어 있고, 제2 접속부(254)는 마주하는 한 쌍의 제1 접속부(252)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접속부(252)가 제2 접속부(254)보다 상대측 단자(230)를 향해 돌출되어 있으므로 상대측 단자(230)가 단자(250)에 결합될 때, 상대측 단자(230)는 제1 접속부(252)에 먼저 1차로 결합하게 되고(도 5의 R1), 이후 상대측 단자(230)가 결합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2 접속부(254)에 2차로 결합하게 된다(도 5의 R2).
이와 같이 상대측 단자(230)가 단자(250)에 결합될 때, 2차에 걸쳐 결합되기 때문에 상대측 단자(230)와 단자(250)는 복수의 위치에서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단자(250)가 복수의 접속부(255)를 포함하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접속부(255)의 텐션이 저하되더라도 다른 접속부(255)로 상대측 단자(230)와의 접점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셀(240)과 전원연결부(220)가 다중 접점으로 접속되면서 불안전 통전을 방지하게 되어 접점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더불어, 단자(250)와 상대측 단자(230)가 다중 접점이 이루어지면서 복수의 위치에서 락킹되기 때문에 단자(250)와 상대측 단자(230) 사이의 락킹력을 최대화하여 상대측 단자(230)와 단자(250)가 분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제1 접속부(252)가 제2 접속부(254)보다 상대측 단자(230)가 결합되는 결합방향으로 돌출된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제2 접속부(254)가 제1 접속부(252)보다 돌출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발명의 조건에 따라 제2 접속부(254)가 제2 축(X2) 상에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배터리 셀(240)의 단자(250)가 복층으로 형성됨에 따라 단자(250)의 높이가 증가할 수 있으므로 상대측 단자(230)의 높이 또한 단자(250)에 대응하여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전동공구용 배터리(200)의 전원연결부(220)와 배터리 셀(240)을 조립하기 위하여 배터리 셀(240)의 단자(250)가 복수의 접속부(255)를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대측 단자(230)와 단자(250)가 복수의 위치에서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 결과, 배터리 셀(240)과 전원연결부(220)가 다중 접점으로 접속되면서 불안전 통전을 방지하게 되어 접점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자(250)와 상대측 단자(230)가 다중 접점이 이루어지면서 복수의 위치에서 락킹되기 때문에 단자(250)와 상대측 단자(230) 사이의 락킹력을 최대화하여 상대측 단자(230)와 단자(250)가 분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전동공구 100: 본체
200: 전동공구용 배터리 220: 전원연결부
230: 상대측 단자 240: 배터리 셀
250: 단자 252: 제1 접속부
254: 제2 접속부 225: 접속부
260: 배터리 케이스

Claims (4)

  1. 전동공구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대측 단자와 결합하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는 전동공구용 배터리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상기 상대측 단자가 결합하는 결합방향으로 상기 상대측 단자와 복수의 위치에서 접속되고, 상기 결합방향과 가로지르는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용 배터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상대측 단자와의 상기 결합방향과 가로지르는 방향의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축 상에 위치하는 제1 접속부와,
    상기 제1 축과 서로 다른 위치의 제2 축 상에 위치하는 제2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용 배터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는 상기 제2 접속부보다 상기 상대측 단자를 향해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용 배터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부는, 마주하는 한 쌍의 상기 제1 접속부 사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공구용 배터리.

KR1020150044970A 2015-03-31 2015-03-31 전동공구용 배터리 KR101715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970A KR101715278B1 (ko) 2015-03-31 2015-03-31 전동공구용 배터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970A KR101715278B1 (ko) 2015-03-31 2015-03-31 전동공구용 배터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7756A true KR20160117756A (ko) 2016-10-11
KR101715278B1 KR101715278B1 (ko) 2017-03-13

Family

ID=57162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4970A KR101715278B1 (ko) 2015-03-31 2015-03-31 전동공구용 배터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527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1027A (ko) * 2017-12-13 2019-06-24 계양전기 주식회사 이종재질로 형성된 단자를 구비한 전동공구 배터리
KR20220033602A (ko) * 2020-09-08 2022-03-17 계양전기 주식회사 전동공구용 배터리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7204A (ja) * 1999-08-19 2001-02-27 Makita Corp 端子構造
JP2011218514A (ja) * 2010-04-13 2011-11-04 Makita Corp 端子接続構造
KR20120004592U (ko) * 2010-12-16 2012-06-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접촉기
JP2014203704A (ja) * 2013-04-05 2014-10-27 株式会社マキタ 電動工具用電池パッ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7204A (ja) * 1999-08-19 2001-02-27 Makita Corp 端子構造
JP2011218514A (ja) * 2010-04-13 2011-11-04 Makita Corp 端子接続構造
KR20120004592U (ko) * 2010-12-16 2012-06-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접촉기
JP2014203704A (ja) * 2013-04-05 2014-10-27 株式会社マキタ 電動工具用電池パッ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1027A (ko) * 2017-12-13 2019-06-24 계양전기 주식회사 이종재질로 형성된 단자를 구비한 전동공구 배터리
KR20220033602A (ko) * 2020-09-08 2022-03-17 계양전기 주식회사 전동공구용 배터리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5278B1 (ko) 2017-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8501B2 (en) Connector to flex assembly
US20060199417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TW201301673A (zh) 連接器
JP2006286598A (ja) 電子部品内蔵コネクタ及び電子部品内蔵コネクタ付き配線体
TWI569532B (zh) 接觸件、連接器及連接裝置
JP2004192882A (ja) アースジョイントコネクタ
TWI533542B (zh) 接線裝置
JP2018081873A (ja) コネクタ及び複合コネクタ
KR101715278B1 (ko) 전동공구용 배터리
CN109637897B (zh) 一种交流接触器的卡接装置
TW201611425A (zh) 連接器
KR101479078B1 (ko) 커넥터
TW201526411A (zh) 電連接器
US10069246B1 (en) Connector assembly
CN106329174A (zh) 壁挂架组件及其夹线型连接器
CN106488682B (zh) 控制单元
KR101394178B1 (ko) 접점성이 향상된 인버터 용접기용 단자 커넥터
JP2012209165A (ja) 電気接続具
US20180166800A1 (en) Short bar, short bar unit, and motor drive device
TWI236866B (en) Wiring tools
CN111403958A (zh) 三向浮动机构及连接器
KR102439612B1 (ko) 전동공구용 배터리팩
KR20090012591A (ko) 패널 고정식 커넥터
KR101783854B1 (ko) 유동커넥터를 구비한 단자 체결부
CN217208616U (zh) 支撑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