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9942B1 - 도로살얼음과 노면 솟음을 방지할 수 있는 염수분사장치 동·하절기 전환 시스템 및 제어 전환 방법 - Google Patents

도로살얼음과 노면 솟음을 방지할 수 있는 염수분사장치 동·하절기 전환 시스템 및 제어 전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9942B1
KR102389942B1 KR1020200103591A KR20200103591A KR102389942B1 KR 102389942 B1 KR102389942 B1 KR 102389942B1 KR 1020200103591 A KR1020200103591 A KR 1020200103591A KR 20200103591 A KR20200103591 A KR 20200103591A KR 102389942 B1 KR102389942 B1 KR 102389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alt water
summer
winter
contro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2532A (ko
Inventor
신동헌
Original Assignee
(주)에스알디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알디코리아 filed Critical (주)에스알디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103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9942B1/ko
Publication of KR20220022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2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9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9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0Improving gripping of ice-bound or other slippery traffic surfaces, e.g. us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 Roadside storage of gritting or solid thawing materials; Permanently installed devices for apply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wintry roads by applying liquid, semi-liquid or granular materials
    • E01H10/005Permanently-installed devices for apply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e.g. for spreading grit, for spraying de-ic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05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mounted on vehicles or designed to apply a liquid on a very large surface, e.g. on the road, on the surface of large contai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3/00Applying liquids to roads or like surfaces, e.g. for dust control; Stationary flushing devices
    • E01H3/04Fixed devices, e.g. permanently- installed flush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염수분사장치의 동절기 및 하절기 제어 전환 방법은 겨울에 도로결빙과 도로살얼음을 방지하고, 여름에 노면 솟음과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염수분사장치의 동절기 및 하절기 제어 전환 방법에 있어서, (a) 제어판넬이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 기기로부터 온도정보를 수신 받는 단계; (b) 상기 제어판넬이 수신한 온도정보가 설정 기준온도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수신한 온도정보가 설정 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판넬이 시스템을 하절기 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에서 수신한 온도정보가 설정 기준온도 이하인 경우 상기 제어판넬이 자동으로 시스템을 동절기 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동절기에서 하절기로 전환되는 경우 공통배관에 잔류하는 염수를 미리 제거하여 하절기에 잔류된 염수가 도로에 분사됨에 따라 발생할 있는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하절기에서 동절기로 전환되는 경우 공통배관에 잔류하는 물을 미리 제거하여 동절기에 잔류된 물이 도로에 분사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결빙으로 도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로살얼음과 노면 솟음을 방지할 수 있는 염수분사장치 동·하절기 전환 시스템 및 제어 전환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INTO WINTER AND SUMMER OR SUMMER AND WINTER OF SPRAY APPARATUS OF SALT WATER FOR PREVENTING ROAD THIN ICE AND ROAD SURFACE}
본 발명은 도로살얼음과 노면 솟음을 방지할 수 있는 염수분사장치 동·하절기 전환 시스템 및 제어 전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염수저장용 탱크와 물 저장용 탱크를 구비하여 동절기에는 염수탱크로 전환하고, 하절기에는 물탱크로 전환되는 과정을 자동제어밸브 및 프로그램을 통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도로살얼음과 노면 솟음을 방지할 수 있는 염수분사장치 동·하절기 전환 시스템 및 제어 전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염수분사장치는 동절기에 저온으로 내려가면서 노면이 얼어붙거나 도로 살얼음이 생겨 주행 중인 차량의 미끄러짐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결빙된 노면에 염수를 분사하는 장치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염수분사장치는 염수가 저장된 염수저장용 탱크에서 펌프를 가동하여 염수만을 노면에 분사하고 있다.
더 나아가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기술된 특허문헌과 같이 메인탱크와 서브탱크를 구비하여 동절기에 메인탱크에 저장된 제설제를 분사노즐을 통해 살포함으로써 도로의 결빙이나 도로 살얼음으로 인한 차량의 미끄러움을 방지하고, 하절기에 고온으로 인한 노면 솟음, 도로 파손 등을 방지하기 위해 메인 탱크의 제설제를 서브탱크로 이동시킨 후 물을 저장하여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도로의 물청소를 수행한다.
하절기에 분사노즐과 배관들에 남아 있던 염수가 도로에 분사됨에 따라 해당 잔류 염수에 미끄럼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반대로 하절기에서 동절기로 전환되는 시점에 하절기에 사용하고 배관과 분사노즐에 남아있던 물이 도로에 분사됨에 따라 낮은 온도로 인해 물이 얼어 도로가 바로 결빙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94155호(2016 02 14)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탑재된 자동청소모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동절기에서 하절기로 전환되는 경우 공통배관에 잔류하는 염수를 미리 제거하고, 반대로 하절기에서 동절기로 전환되는 경우 공통배관에 잔류하는 물을 미리 제거할 수 있는 도로살얼음과 노면 솟음을 방지할 수 있는 염수분사장치 동·하절기 전환 시스템 및 제어 전환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염수분사장치의 동절기 및 하절기 제어 전환 방법은 겨울에 도로결빙과 도로살얼음을 방지하고, 여름에 노면 솟음과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염수분사장치의 동절기 및 하절기 제어 전환 방법에 있어서, (a) 제어판넬이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 기기로부터 온도정보를 수신 받는 단계; (b) 상기 제어판넬이 수신한 온도정보가 설정 기준온도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수신한 온도정보가 설정 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판넬이 자동으로 시스템을 하절기 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에서 수신한 온도정보가 설정 기준온도 이하인 경우 상기 제어판넬이 시스템을 동절기 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염수분사장치의 동절기 및 하절기 제어 전환 방법은 상기 (a)단계 이후, (b-1) 상기 제어판넬이 설정된 설정온도 도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1) 상기 (b`)단계에서 수신한 온도정보가 설정온도에 도래한 경우, 상기 제어판넬이 관리자에게 알리는 단계; (d-1) 상기 관리자는 도로살얼음과 노면 솟음을 방지할 수 있는 염수분사장치 동·하절기 전환 시스템을 하절기 모드 또는 동절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e-1) 상기 제어판넬이 동절기 또는 하절기 모드로의 전환 완료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f-1) 상기 제어판넬이 상기 (e`)단계에서 모드전환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모드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관리자에게 주기적으로 알림을 주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도로살얼음과 노면 솟음을 방지할 수 있는 염수분사장치 동·하절기 전환 시스템은 동절기에 도로에 살포되어 도로면의 결빙을 방지하는 염수가 저장된 염수탱크; 하절기에 도로에 살포되어 도로면의 물청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물이 저장된 물탱크;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이동시키고 물의 이동을 막고 개방하기 위한 수동제어밸브 또는 자동제어밸브가 형성된 물 이동배관; 상기 염수탱크에 저장된 염수를 이동시키고 염수의 이동을 막고 개방하기 위한 수동제어밸브 또는 자동제어밸브가 형성된 염수 이동배관; 상기 물 이동배관과 상기 염수 이동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물 이동배관을 통해 이동된 물을 배출시키거나 상기 염수 이동배관을 따라 이동된 염수를 배출시키는 공통배관; 복수의 펌프가 구비되고 상기 공통배관 경로상에 형성되어 상기 물 이동배관 또는 상기 염수 이동배관을 통해 이동한 물 또는 염수를 펌핑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펌프실; 상기 공통배관 상에 형성되어 배출되는 염수 또는 물의 압력을 체크하여 모니터링 정보로 제공하는 압력센서; 탑재된 배관 자동청소모드 프로그램이 실행시켜 외부의 온도정보에 따라 공통배관과 노즐에 물을 사전에 제거한 후 하절기 모드에서 동절기 모드로, 또는 공통배관과 노즐에 염수를 사전에 제거한 후 동절기 모드에서 하절기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판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살얼음과 노면 솟음을 방지할 수 있는 염수분사장치 동·하절기 전환 시스템 및 제어 전환 방법은 동절기에서 하절기로 전환되는 경우 공통배관에 잔류하는 염수를 미리 제거하여 하절기에 잔류된 염수가 도로에 분사됨에 따라 발생할 있는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로살얼음과 노면 솟음을 방지할 수 있는 염수분사장치 동·하절기 전환 시스템 및 제어 전환 방법은 하절기에서 동절기로 전환되는 경우 공통배관에 잔류하는 물을 미리 제거하여 동절기에 잔류된 물이 도로에 분사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결빙으로 도로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살얼음과 노면 솟음을 방지할 수 있는 염수분사장치 동·하절기 전환 시스템 의 구조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염수분사장치의 동절기 및 하절기 제어 전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염수분사장치의 동절기 및 하절기 제어 전환 방법의 다른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염수분사장치의 동절기 및 하절기 제어 전환 방법의 동절기에서 하절기로 전환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염수분사장치의 동절기 및 하절기 제어 전환 방법의 하절기에서 동절기로 전환되는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 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로살얼음과 노면 솟음을 방지할 수 있는 염수분사장치 동·하절기 전환 시스템 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로살얼음과 노면 솟음을 방지할 수 있는 염수분사장치 동·하절기 전환 시스템은 염수탱크(100), 물탱크(200), 물 이동배관(300), 염수 이동배관(400), 펌프실(500), 및 제어판넬(600)을 포함한다.
상기 염수탱크(100)는 10톤 용량으로 동절기에 도로에 살포되어 도로면의 결빙이나 차량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염수를 저장한다.
한편, 상기 염수탱크(100)는 염수 수위센서(110)가 형성되어 상기 염수 수위센서(110)가 측정한 내부의 염수 수위를 외부에 수치로 표시하거나, 상기 제어판넬(600) 등으로 전달한다.
상기 물탱크(200)는 상기 염수탱크(100)와 동일한 용량으로 하절기에 도로에 살포되어 도로면의 물청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물을 저장한다.
한편, 상기 물탱크(200)는 물 수위센서(210)가 형성되어 상기 물 수위센서(210)가 측정한 내부의 물 수위를 외부에 수치로 표시하거나, 상기 제어판넬(600) 등으로 전달한다.
상기 물 이동배관(300)은 상기 물탱크(200)에 저장된 물을 상기 펌프실(500)까지 이동시킨다.
상기 물 이동배관(300)의 경로상에 수동제어밸브(1) 및 자동제어밸브(2)가 형성되는데, 상기 수동제어밸브(1)는 관리자에 의해 수동으로 제어되어 밸브가 열리고 닫히며, 상기 자동제어밸브(2)는 상기 제어판넬(600)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되어 밸브가 열리고 닫힌다.
상기 염수 이동배관(400)은 상기 염수탱크(100)에 저장된 염수를 상기 펌프실(500)까지 이동시킨다.
상기 염수 이동배관(400)의 경로상에도 수동제어밸브(1) 및 자동제어밸브(2)가 형성되는데, 상기 수동제어밸브(1)는 관리자에 의해 수동으로 제어되어 밸브가 열리고 닫히며, 상기 자동제어밸브(2)는 상기 제어판넬(600)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되어 밸브가 열리고 닫힌다.
상기 공통배관(700)은 상기 물 이동배관(300)과 상기 염수 이동배관(400)과 연결되어, 상기 물 이동배관(300)을 통해 이동된 물을 배출시키거나 상기 염수 이동배관(400)을 따라 이동된 염수를 배출시킨다.
상기 공통배관(700) 경로상에 형성되는 상기 펌프실(500)은 복수의 펌프가 구비되어 상기 물 이동배관(300) 또는 상기 염수 이동배관(400)을 통해 이동한 물 또는 염수를 펌핑하여 외부로 배출시킨다.
상기 펌프실(500)의 출력단에는 자동제어밸브(2)가 형성되어 상기 펌프실에서 펌핑되는 물 또는 염수가 감지된 경우 열림으로 동절기 또는 하절기에 따라 염수 또는 물을 도로에 분사시킨다.
한편, 상기 자동제어밸브(2)의 출력단에 압력센서(3)가 더 구비되는데, 해당 압력센서(3)는 상기 자동제어밸브(2)를 통해 배출되는 염수 또는 물의 압력을 체크하여 관리자가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판넬(600)에 제공한다.
특히, 상기 공통배관(700) 말단에는 자동제어밸브(2)가 형성되는데, 해당 자동제어밸브(2)는 상기 제어판넬(600)의 제어를 받아 물 또는 염수를 분사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살얼음과 노면 솟음을 방지할 수 있는 염수분사장치 동·하절기 전환 시스템은 물주입 배출배관(10), 및 염수주입배관(20)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물주입 배출배관(10)은 수동제어밸브(1)가 형성되어 해당 수동제어밸브(1)의 제어에 따라 상기 물탱크(200)에 물을 채우거나 비우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염수주입배관(20)도 수동제어밸브(1)가 형성되어 해당 수동제어밸브(1)의 제어에 따라 상기 염수탱크(100)에 염수를 채우거나 비우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에서 상기 물주입 배출배관(10)과 염수 주입배관(20)에 수동제어밸브(1)가 형성되는 것으로 기술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자동제어밸브(2)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살얼음과 노면 솟음을 방지할 수 있는 염수분사장치 동·하절기 전환 시스템은 상기 제어판넬(600)의 상기 자동제어밸브(2)제어와 프로그램 실행을 통해 동절기에 염수탱크(100)로 전환되고 하절기에는 물탱크(200)로 전환하여 동절기에 염수를 도로에 살포하여 도로면의 결빙이나 차량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거나, 하절기에 물을 도로에 살포하여 도로면의 물청소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통배관(700)을 사용하므로 계절이 동절기에서 하절기로 접어드는 경우, 상기 물탱크(200)에 수용된 물을 사용해야 하기 전, 해당 공통배관(700)에 남아있는 염수를 제거하여 주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도로살얼음과 노면 솟음을 방지할 수 있는 염수분사장치 동·하절기 전환 시스템은 배관 자동청소모드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해당 배관 자동청소모드 프로그램이 실행됨에 따라 물탱크(200) 토출부와 상기 펌프실(500)의 펌프 후단에 설치된 자동제어밸브가 열리며 해당 펌프가 가동되어 강한 압력으로 공통배관(700)내 잔여 염수를 밀어낸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도로살얼음과 노면 솟음을 방지할 수 있는 염수분사장치 동·하절기 전환 시스템은 상기 공통배관(700)과 노즐을 물로 씻어내어 여름모드로 진입한다.
이때, 상기 공통배관(700)에 남아있는 염수배출로 인한 사고를 막기 위하여 상기 제어판넬(600)은 비가 오늘 날을 감지하여 모드변경 및 자동청소모드를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동청소모드는 정해진 프로그래밍 시간만큼 배관내 염수 및 잔여 염분을 물로 밀어낸 후 자동으로 상기 자동제어밸브 잠근다.
반대로 본 발명에 따른 염수분사장치의 동절기 하절기 자동 전환 시스템은 배관 자동청소모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하절기에 사용하고 상기 공통배관(700)에 남아있는 물이 동절기로 접어들어 얼면서 발생할 수 있는 동파를 방지하기 위해 물을 염수로 밀어낸다.
그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염수분사장치의 동절기 하절기 자동 전환 시스템은 동절기 상기 물탱크(200) 및 연결배관의 동파를 막기 위해 기온이 일정 온도 이하로 내려갈 경우 관리자에게 상기 물탱크(200)의 물을 배출할 것을 안내하는 SMS를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SMS를 수신한 관리자는 수종제어밸브(1)를 조작하여 상기 물주입 배출배관(10)을 통해 상기 물탱크(200)에 수용된 물을 배출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살얼음과 노면 솟음을 방지할 수 있는 염수분사장치 동·하절기 전환 시스템 에 의한 염수분사장치의 동절기 및 하절기 제어 전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판넬(600)은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 기기가 감지한 온도정보를 수신 받는 단계를 수행한다(S100).
상기 제어판넬(600)은 수신한 온도정보가 설정 기준온도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200).
상기 S200단계에서 수신한 온도정보가 설정 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판넬(600)은 자동으로 시스템을 하절기 모드로 진입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S300).
한편, 상기 S200 단계의 다른 실시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판넬(600)은 설정된 설정온도 도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도 있다(S200`).
이후, 상기 S200`단계에서 수신한 온도정보가 설정온도에 도래한 경우, 상기 제어판넬(600)은 관리자에게 알리는 단계를 수행한다(S300`).
하지만, 상기 S200`단계에서 수신한 온도정보가 설정온도에 도래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판넬(600)은 계속해서 온도정보를 수신한다.
이후, 관리자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살얼음과 노면 솟음을 방지할 수 있는 염수분사장치 동·하절기 전환 시스템을 하절기 또는 동절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400`).
즉, 상기 관리자는 상기 설정온도가 하절기 전환 온도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도로살얼음과 노면 솟음을 방지할 수 있는 염수분사장치 동·하절기 전환 시스템을 하절기 모드로 전환하고, 반대로 상기 설정온도가 동절기 전환 온도인 경우 동절기 모드로 전환한다.
한편, 상기 제어판넬(600)은 동절기 또는 하절기 모드로의 전환 완료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00`).
상기 제어판넬(600)은 상기 S500`단계에서 모드전환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모드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관리자에게 알림을 주는 상기 S300`단계를 주기적으로 반복 수행한다.
다시 상기 S300 단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판넬(600)이 상기 염수탱크(100)와 연결되는 염수 이동배관(400) 상에 형성된 자동제어밸브를 닫고 상기 물탱크(200)와 연결되어 물 이동배관(300)상에 형성된 자동제어밸브를 여는 단계를 수행한다(S310).
상기 제어판넬(600)은 상기 공통배관(700)의 말단부에 형성된 자동제어밸브를 오픈 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S320).
상기 S320단계에서 노즐 개별 제어시 노즐용 밸브가 잠긴 상태인 경우 자동제어밸브를 열림으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S320단계에서 자동제어밸브가 오픈 되면 상기 제어판넬(600)은 펌프실(500)의 펌프를 가동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330).
상기 S330 단계를 통해 상기 제어판넬(600)은 공통배관(700)이 물을 분사하여 배관 및 밸브의 노즐 내에 염수를 밀어내고 물로 채워 하절기 분사를 대기하는 상태에 놓이게 한다.
이후, 상기 제어판넬(600)은 상기 공통배관(700)의 말단에 형성된 자동제어밸브를 제어하여 닫히고, 상기 물탱크(200)에서 물 이동배관(300)으로 물을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용 자동제어 밸브를 닫히는 단계를 수행한다(S340)
마지막으로, 상기 제어판넬(600)은 S330단계에서 가동한 펌프를 정지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S350).
한편, 상기 S200단계에서 기준온도 이하인 경우 우 상기 제어판넬(600)은 시스템을 동절기 모드로 진입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S400).
상기 S400 단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판넬(600)이 상기 물탱크(200)와 연결되어 물 이동배관(300)상에 형성된 자동제어밸브를 닫고, 상기 염수탱크(100)와 연결되는 염수 이동배관(400) 상에 형성된 자동제어밸브를 여는 단계를 수행한다(S410).
상기 제어판넬(600)은 상기 공통배관(700)의 말단부에 형성된 자동제어밸브를 오픈 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S420).
이때 상기 S420단계에서 노즐 개별 제어시 노즐용 밸브가 잠긴 상태인 경우 토출용 자동제어밸브를 열림으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S420단계에서 자동제어밸브가 오픈 되면 상기 제어판넬(600)은 펌프실(500)의 펌프를 가동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430).
상기 S430 단계를 통해 상기 제어판넬(600)은 공통배관(700)이 염수를 분사하여 배관 및 밸브의 노즐 내에 물을 밀어내고 염수로 채워 동절기 분사를 대기하는 상태에 놓이게 한다.
이후, 상기 제어판넬(600)은 상기 공통배관(700)의 말단에 형성된 자동제어밸브를 제어하여 닫히고, 상기 염수탱크(200)에서 염수 이동배관(400)으로 염수를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용 자동제어 밸브를 닫히는 단계를 수행한다(S440)
마지막으로, 상기 제어판넬(600)은 S430단계에서 가동한 펌프를 정지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S450).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수동제어밸브
2 : 자동제어밸브
3 : 압력센서
10 : 물주입 배출배관
20 : 염수주입배관
100 : 염수탱크
200 : 물탱크
300 : 물 이동배관
400 : 염수 이동배관
500 : 펌프실
600 : 제어판넬
700 : 공통배관

Claims (8)

  1. 겨울에 도로결빙과 도로살얼음을 방지하고, 여름에 노면 솟음과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염수분사장치의 동절기 및 하절기 제어 전환 방법에 있어서,
    (a) 제어판넬이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 기기로부터 온도정보를 수신 받는 단계;
    (b) 상기 제어판넬이 수신한 온도정보가 설정 기준온도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에서 수신한 온도정보가 설정 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판넬이 자동으로 시스템을 하절기 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c-1) 상기 제어판넬이 염수 이동배관 상에 형성된 자동제어밸브를 닫고 물 이동배관상에 형성된 자동제어밸브를 여는 단계;
    (c-2) 상기 제어판넬이 공통배관의 말단부에 형성된 자동제어밸브를 오픈 시키는 단계;
    (c-3) 상기 (c-2)단계에서 자동제어밸브가 오픈 되면 상기 제어판넬이 펌프실의 펌프를 가동하는 단계;
    (c-4) 상기 제어판넬이 상기 공통배관의 말단에 형성된 자동제어밸브를 제어하여 닫고, 물탱크에서 물 이동배관으로 물을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용 자동제어 밸브를 닫히는 단계; 및
    (c-5) 상기 제어판넬은 (c-3)단계에서 가동한 펌프를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판넬은
    상기 (c-3) 단계에서 공통배관이 물을 분사하여 배관 및 밸브의 노즐 내에 염수를 밀어내고 물로 채워 하절기 분사를 대기하는 상태에 놓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수분사장치의 동절기 및 하절기 제어 전환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 이후,
    (b``) 상기 제어판넬이 설정된 설정온도 도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수신한 온도정보가 설정온도에 도래한 경우, 상기 제어판넬이 관리자에게 알리는 단계;
    (d``) 상기 관리자는 도로살얼음과 노면 솟음을 방지할 수 있는 염수분사장치 동·하절기 전환 시스템을 하절기 모드 또는 동절기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e``) 상기 제어판넬이 동절기 또는 하절기 모드로의 전환 완료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어판넬이 상기 (e``)단계에서 모드전환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모드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관리자에게 주기적으로 알림을 주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수분사장치의 동절기 및 하절기 제어 전환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c`) 상기 (b)단계에서 수신한 온도정보가 설정 기준온도 이하인 경우 상기 제어판넬이 시스템을 자동으로 동절기 모드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수분사장치의 동절기 및 하절기 제어 전환 방법.
  4. 삭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동절기 모드로의 전환 단계는
    (c`-1) 상기 제어판넬이 물 이동배관상에 형성된 자동제어밸브를 닫고 염수 이동배관 상에 형성된 자동제어밸브를 여는 단계;
    (c`-2) 상기 제어판넬이 공통배관의 말단부에 형성된 자동제어밸브를 오픈 시키는 단계;
    (c`-3) 상기 (c`-2)단계에서 자동제어밸브가 오픈 되면 상기 제어판넬이 펌프실의 펌프를 가동하는 단계;
    (c`-4) 상기 제어판넬이 상기 공통배관의 말단에 형성된 자동제어밸브를 제어하여 닫고, 염수탱크에서 염수 이동배관으로 염수를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용 자동제어 밸브를 닫히는 단계; 및
    (c`-5) 상기 제어판넬은 (c`-3)단계에서 가동한 펌프를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수분사장치의 동절기 및 하절기 제어 전환 방법.
  6. 삭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판넬은
    상기 (c`-3) 단계에서 공통배관이 염수를 분사하여 배관 및 밸브의 노즐 내에 물을 밀어내고 염수로 채워 동절기 분사를 대기하는 상태에 놓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수분사장치의 동절기 및 하절기 제어 전환 방법.
  8. 동절기에 도로에 살포되어 도로면의 결빙을 방지하는 염수가 저장된 염수탱크;
    하절기에 도로에 살포되어 도로면의 물청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물이 저장된 물탱크;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이동시키고 물의 이동을 막고 개방하기 위한 수동제어밸브 또는 자동제어밸브가 형성된 물 이동배관;
    상기 염수탱크에 저장된 염수를 이동시키고 염수의 이동을 막고 개방하기 위한 수동제어밸브 또는 자동제어밸브가 형성된 염수 이동배관;
    상기 물 이동배관과 상기 염수 이동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물 이동배관을 통해 이동된 물을 배출시키거나 상기 염수 이동배관을 따라 이동된 염수를 배출시키는 공통배관;
    복수의 펌프가 구비되고 상기 공통배관 경로상에 형성되어 상기 물 이동배관 또는 상기 염수 이동배관을 통해 이동한 물 또는 염수를 펌핑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펌프실;
    상기 공통배관 상에 형성되어 배출되는 염수 또는 물의 압력을 체크하여 모니터링 정보로 제공하는 압력센서;
    탑재된 배관 자동청소모드 프로그램이 실행시켜 외부의 온도정보에 따라 공통배관과 노즐에 물을 사전에 제거한 후 하절기 모드에서 동절기 모드로, 또는 공통배관과 노즐에 염수를 사전에 제거한 후 동절기 모드에서 하절기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판넬;을 포함하되,
    상기 공통배관이
    물을 분사하여 배관 및 밸브의 노즐 내에 염수를 밀어내고 물로 채워 하절기 분사를 대기하는 상태에 놓이게 하고,
    염수를 분사하여 배관 및 밸브의 노즐 내에 물을 밀어내고 염수로 채워 동절기 분사를 대기하는 상태에 놓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살얼음과 노면 솟음을 방지할 수 있는 염수분사장치 동·하절기 전환 시스템 .
KR1020200103591A 2020-08-19 2020-08-19 도로살얼음과 노면 솟음을 방지할 수 있는 염수분사장치 동·하절기 전환 시스템 및 제어 전환 방법 KR102389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591A KR102389942B1 (ko) 2020-08-19 2020-08-19 도로살얼음과 노면 솟음을 방지할 수 있는 염수분사장치 동·하절기 전환 시스템 및 제어 전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591A KR102389942B1 (ko) 2020-08-19 2020-08-19 도로살얼음과 노면 솟음을 방지할 수 있는 염수분사장치 동·하절기 전환 시스템 및 제어 전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532A KR20220022532A (ko) 2022-02-28
KR102389942B1 true KR102389942B1 (ko) 2022-04-25

Family

ID=80497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591A KR102389942B1 (ko) 2020-08-19 2020-08-19 도로살얼음과 노면 솟음을 방지할 수 있는 염수분사장치 동·하절기 전환 시스템 및 제어 전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99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7869B1 (ko) * 2023-03-06 2023-10-11 블락스톤(주) 가로등을 포함하는 염수분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156B1 (ko) * 2018-12-14 2019-10-01 주식회사 자동기 제설제 살포장치 내부의 이물질 제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69229B1 (ko) * 2019-10-18 2020-01-22 이텍산업 주식회사 사계절 사용이 가능한 스마트형 자동살포시스템
KR102144505B1 (ko) 2020-05-27 2020-08-14 이텍산업 주식회사 동절기 안전 신호시스템이 적용된 사계절 사용이 가능한 스마트형 자동살포시스템
KR102209345B1 (ko) 2019-10-28 2021-01-28 이상복 순환배관을 통하여 두 종류의 용액을 분사할 수 있는 용액분사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155B1 (ko) 2015-08-20 2016-02-15 주식회사 자동기 도로 물청소 기능을 구비한 제설제 살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0156B1 (ko) * 2018-12-14 2019-10-01 주식회사 자동기 제설제 살포장치 내부의 이물질 제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69229B1 (ko) * 2019-10-18 2020-01-22 이텍산업 주식회사 사계절 사용이 가능한 스마트형 자동살포시스템
KR102209345B1 (ko) 2019-10-28 2021-01-28 이상복 순환배관을 통하여 두 종류의 용액을 분사할 수 있는 용액분사시스템
KR102144505B1 (ko) 2020-05-27 2020-08-14 이텍산업 주식회사 동절기 안전 신호시스템이 적용된 사계절 사용이 가능한 스마트형 자동살포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7869B1 (ko) * 2023-03-06 2023-10-11 블락스톤(주) 가로등을 포함하는 염수분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532A (ko) 202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9942B1 (ko) 도로살얼음과 노면 솟음을 방지할 수 있는 염수분사장치 동·하절기 전환 시스템 및 제어 전환 방법
CN109291864A (zh) 用于交通工具的灰水污物收集系统、控制方法及交通工具
CA2539401C (en) Milk pump system
KR102260100B1 (ko) Scr 촉매 컨버터의 환원제 이송 시스템의 완전 배출 방법
CN209336644U (zh) 用于交通工具的灰水污物收集系统及交通工具
JP7096527B2 (ja) 燃料電池車両
CN110274415B (zh) 制冰机控制方法、制冰机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209345B1 (ko) 순환배관을 통하여 두 종류의 용액을 분사할 수 있는 용액분사시스템
CN204388368U (zh) 液体加热装置及其自动排液装置
JP7110848B2 (ja) 燃料電池車両
CN201296676Y (zh) 化学品装卸装置
JP2006057434A (ja) 冷却水及び雨水利用システム
KR100552502B1 (ko) 드럼 세탁기용 배수 호스 내의 잔수 해빙 방법
CN212362157U (zh) 一种便于排湿的地暖结构
CN208472640U (zh) 一种清洗车的水路系统以及清洗车
KR101946284B1 (ko) 물저장 특장차에 구비된 잔수배출방지 및 잔수동결방지장치
CN208431153U (zh) 一种柱塞泵防冻装置
CN213223524U (zh) 一种发电机定子线棒全自动气水两相吹扫装置
CN113932508A (zh) 自动制冰机的控制方法、自动制冰机及冰箱
JP2008095997A (ja) 製氷機
JP3740277B2 (ja) 液体散布車におけるポンプの安全装置
CN210687781U (zh) 压缩气体冷凝液无损防堵排水器
JP4095703B2 (ja) 製氷装置
CN110700499B (zh) 一种海绵城市屋顶花园用排水系统
JP7190611B2 (ja) 排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