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9345B1 - 순환배관을 통하여 두 종류의 용액을 분사할 수 있는 용액분사시스템 - Google Patents

순환배관을 통하여 두 종류의 용액을 분사할 수 있는 용액분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9345B1
KR102209345B1 KR1020190134728A KR20190134728A KR102209345B1 KR 102209345 B1 KR102209345 B1 KR 102209345B1 KR 1020190134728 A KR1020190134728 A KR 1020190134728A KR 20190134728 A KR20190134728 A KR 20190134728A KR 102209345 B1 KR102209345 B1 KR 102209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ution
pipe
valve
mode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4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복
Original Assignee
이상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복 filed Critical 이상복
Priority to KR1020190134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93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0Improving gripping of ice-bound or other slippery traffic surfaces, e.g. us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 Roadside storage of gritting or solid thawing materials; Permanently installed devices for apply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wintry roads by applying liquid, semi-liquid or granular materials
    • E01H10/005Permanently-installed devices for apply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e.g. for spreading grit, for spraying de-ic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supplying a selected one of a plurality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r several in selected proportions to a spray apparatus, e.g. to a single spray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05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mounted on vehicles or designed to apply a liquid on a very large surface, e.g. on the road, on the surface of lar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4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with pumps fo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2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with pumps fo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everal spraying apparatu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3/00Applying liquids to roads or like surfaces, e.g. for dust control; Stationary flushing devices
    • E01H3/04Fixed devices, e.g. permanently- installed flush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순환배관을 통하여 두 종류의 용액 중에서 한 가지 용액을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용액분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로는 도로에 설치되어 있는 배관망을 통하여, 도로면 위에 제1용액과 제2용액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각각 다른 용액을 담고 있는 두 개의 저장탱크와 더불어 두 개의 파이프라인을 형성한 뒤, 두 개의 파이프라인을 서로 연결하여 순환할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서 도로면 위에 제1용액과 제2용액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분사하도록 하되, 용액을 바꾸어 분사를 할 때 먼저 분사하고 남아있던 용액이 앞서서 분사되거나, 두 용액이 서로 섞여서 분사됨으로써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장치가 각각의 밸브들을 순차적으로 자동 조정하는 용액분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로변에 있는 동절기용 제설용액 분사시스템을 이용하여 여름철 혹서기에 도로면 냉각용수나 청소용수 등으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며, 겨울철에 사용하던 염수용액이 파이프 내에 잔존해 있는 상태에서 여름철에 물을 살포하고자 하는 경우 파이프 내에 염수용액을 먼저 제거하고 난 뒤에 물을 보내어 살포할 수 있으므로, 염수로 인하여 노면이 미끄러워지는 것 등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순환배관을 통하여 두 종류의 용액을 분사할 수 있는 용액분사시스템 {Spray System Spray System for Two Type Liquid Using Circulated Pipeline}
본 발명은, 순환배관을 통하여 두 종류의 용액 중에서 한 가지 용액을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용액분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로는 도로에 설치되어 있는 배관망을 통하여, 도로면 위에 제1용액과 제2용액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각각 다른 용액을 담고 있는 두 개의 저장탱크와 더불어 두 개의 파이프라인을 형성한 뒤, 두 개의 파이프라인을 서로 연결하여 순환할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서 도로면 위에 제1용액과 제2용액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분사하도록 하되, 용액을 바꾸어 분사를 할 때 먼저 분사하고 남아있던 용액이 앞서서 분사되거나, 두 용액이 서로 섞여서 분사됨으로써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장치가 각각의 밸브들을 순차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용액분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로변에 있는 동절기용 제설용액 분사시스템을 이용하여 여름철 혹서기에 도로면 냉각용수나 청소용수 등으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며, 겨울철에 사용하던 염수용액이 파이프 내에 잔존해 있는 상태에서 여름철에 물을 살포하고자 하는 경우 파이프 내에 염수용액을 먼저 제거하고 난 뒤에 물을 보내어 살포할 수 있으므로, 염수로 인하여 노면이 미끄러워지는 것 등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겨울철에 강설, 급격한 기온강하 등에 의하여 발생되는 노면의 결빙현상은 차량의 통행을 어렵게 만들어 교통체증을 유발시키고 심지어는 특정지역을 고립시키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각종 교통사고를 유발하여 상당한 인명피해는 물론 재산피해까지도 발생시킨다. 이러한 노면결빙 현상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염화칼슘 용액 또는 염수 등 제설용액을 직접 살포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이를 위하여, 제설용액이 담긴 저장탱크를 차량에 탑재하고 이동하면서 제설용액을 살수할 수 있는 제설용액 살수차가 도로를 주행하면서 노면의 결빙구간을 향해 제설용액을 직접적으로 살수하여 왔으나, 제설용액 살수차의 진입이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지역에서는 제설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며, 제설용액 살수차가 제설용액 살수를 위해 출동하더라도 교통체증 등으로 인하여 작업이 지체됨으로써 결빙된 전체 도로에 대하여 살포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는 등의 문제점도 있어왔다. 특히 고갯길, 교량 위, 대형빌딩 옆, 터널입구, 고가도로 등은 상습적인 결빙구간이지만 결빙 시 제설장비가 현장에 신속하게 투입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를 대비하여 도로근처에 모래 등의 고체 제설제나 제설용액 등을 저장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도록 하고, 필요시 적정인력 및 장비를 투입하여 신속하게 살포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갑작스런 폭설, 기온 급강하 등과 같은 예기치 못한 기상상황으로 인하여 인력이나 장비의 신속한 투입에 한계가 있어 어려움이 있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최근의 제설방법으로서, 도로변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분사장치를 통하여 제설용액을 분사함으로써 제설작업을 하는 제설용액 분사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제설용액 분사시스템은, 제설용액을 공급하는 펌프, 동력장치 및 제설용액 저장탱크 등을 적정한 장소에 설치하고, 각각의 분사장치와 펌프 사이에는 파이프라인으로 연결하고 있으며, 제설용액 분사가 필요한 경우 동력장치에 의하여 가동되는 펌프가 저장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제설용액을 파이프라인을 통하여 각각의 분사장치에 보내주게 되며, 각각의 분사장치는 공급받은 제설용액을 도로면을 향하여 일제히 분사하게 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러한 제설용액 분사시스템 중에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장치들도 개발되어 있다.
한편 하절기 중 혹서기에는 폭염 등으로 인하여 각종 구조물 등의 시설물과 도로면의 온도가 고온으로 상승하고, 이로 인하여 도시의 열섬화가 진행되며, 야간에는 열대야 현상까지 이어지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시의 시설물 또는 도로면 등에 냉각용 물을 뿌려주기도 한다. 또한, 위생 및 도시미관 등을 위하여 시설물 또는 도로 등에 정기적 또는 부정기적으로 물을 뿌려서 청소하기도 한다. 이렇게 구조물, 도로 등의 냉각이나 청소 등을 위해서는 살수차 등을 동원하기도 하지만, 최근에는 동절기 제설목적으로 도로변에 설치된 분사장치 등 제설용 용액분사시스템을 하절기에는 청소 및 냉각목적으로 겸용하여 이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여름철 혹서기 등에 도로면 냉각이나 또는 도로면 청소 등을 위하여 제설용액 분사시스템을 이용하여 물을 분사하게 되는 경우, 제설용액을 분사했던 분사시스템의 배관 등에 남아있는 제설용액이 물을 분사하기 전에 먼저 분사되거나 물과 섞여서 분사되는데, 제설용액은 염수 또는 염화칼슘 용액이어서 겨울철에는 눈을 녹이는 이로운 작용을 하지만, 여름철에는 도로면을 상당히 미끄럽게 하는 심각한 부작용이 있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제설용액 분사시스템을 이용하여 여름철에 물을 분사하게 되는 경우, 그 분사 초기에는 도로면에 심한 미끄러움 현상이 발생하며, 이로 인하여 교통사고나 교통체증이 유발되는 등 상당한 부작용이 있어서 제설용액 분사시스템을 여름철에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많이 있어왔다. 뿐만 아니라 그 반대로, 여름철에 물을 분사하던 용액분사시스템을 동절기까지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 배관내부에 있는 물이 얼게 되어서 파이프나 시설물이 동파되는 문제점도 있어왔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에 의한, 순환배관을 통하여 두 종류의 용액을 분사할 수 있는 용액분사시스템은, 물과 염수(또는 염화칼슘 용액)로 된 2종류의 용액처럼, 각각 다른 2종류의 용액 중에서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도로면에 분사할 수 있는 용액분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용액(염수)을 분사하고 난 뒤, 제1용액(염수)이 용액분사시스템 내에 잔존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2용액(물)을 분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용액분사시스템 내에 잔존하는 제1용액(염수)을 제거하고 난 뒤 제2용액(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의도했던 제2용액(물)이 아닌, 용도가 다른 제1용액(염수)이 먼저 분사되거나, 섞여서 분사되는 것을 예방하는 용액분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2용액(물)을 분사하고 난 뒤, 제2용액(물)이 용액분사시스템 내에 잔존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1용액(염수)을 분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용액분사시스템 내에 잔존하는 제2용액(물)을 제거하고 난 뒤 제1용액(염수)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의도했던 제1용액(염수)이 아닌, 용도가 다른 제2용액(물)이 먼저 분사되거나, 섞여서 분사되는 것을 예방하는 용액분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염수 등과 같이 염기성 물질이어서 부식성이 강하거나 오래 두기에 부적정한 용액을 분사하고 난 뒤에는, 장시간 미사용 시 부식 등을 예방하기 위하여 해당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제어장치가 용액분사시스템의 배관들 내에서 해당 용액(염수)을 비워내고 다른 용액(물)을 채우도록 하거나, 해당 용액(염수)을 비워낸 뒤 다른 용액(물)으로 헹군 다음에 배관 내부를 비운 채로 두도록 함으로써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면서도, 부식 등으로 인한 부품의 고장 등을 예방할 수 있는 용액분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과 같이 어는 온도가 높아 동절기에 동파를 유발하는 용액이 용액분사시스템의 배관 내에 들어 있는 경우로서, 동절기에 대비하기 위한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제어장치가 용액분사시스템의 배관들 내에서 해당 용액을 비워내고 염수 등과 같이 어는 점이 낮은 다른 용액을 채우도록 하거나, 한파가 극심할 경우 배관을 비워놓도록 함으로써 동파 등을 예방하도록 하는 용액분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어장치가, 배관 내에 들어있는 용액의 종류를 판단하여, 들어있는 용액의 종류에 따라 용액을 그대로 분사할 것인지, 들어있는 용액을 비워내고 다른 용액으로 채운 이후에 분사할 것인지 등을 판단하고, 제어장치가 그 판단에 따라 자동으로 해당 밸브 및 펌프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용액분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관 내에 있는 용액을 비워낼 때, 정/역회전 펌핑이 가능한 펌프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저장탱크에서 공급도 할 수 있고, 저장탱크방향으로 회수도 할 수 있는 펌프배관을 갖춘 용액분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관 내에 잔존하는 용액에 대하여 다른 용액으로 채워서 비워낼 때, 잔존하던 용액이 다 배출되는 시점을 제어장치가 판단하여, 잔존하던 용액이 다 배출된 시점에 자동으로 배출작용을 멈추도록 하는 용액분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순환배관을 이용하되 하나의 펌프를 사용하는 실시예도 제공함으로써, 하나의 펌프로 2종류의 용액 중 선택적으로 도로면에 분사할 수 있는 용액분사시스템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용액 또는 제2용액이 분사시스템 내에 잔존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2용액 또는 제1용액을 분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분사시스템 내에 잔존하는 제1용액 또는 제2용액을 저장탱크로 회수하도록 한 후 제1용액 또는 제2용액을 분사함으로써, 용도가 다른 용액이 분사되는 것을 예방함은 물론 용액을 낭비하지 않도록 하는 용액분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사시스템의 배관망에 들어있는 용액에 대하여 제어장치가 그 종류를 판단하고, 판단결과를 가지고 있으며, 운용자가 수행할 작업을 선택하면(예: 제1용액 분사모드, 제2용액 분사모드, 배관비우기 모드, 배관내 물채우기 모드, 배관내 염수채우기 모드 등), 제어장치가 배관망에 들어있는 용액의 종류를 감안하여 해당 모드에 따라 각각의 밸브와 펌프들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운전하는 용액분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는, 도로에 설치되어 있는 배관망을 통하여, 도로면 위에 제1용액과 제2용액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용액분사시스템에 있어서, 제어장치; 상기 제1용액을 저장하는 제1저장탱크; 상기 제2용액을 저장하는 제2저장탱크; 상기 제1저장탱크에 연결되는 제1배관; 상기 제2저장탱크에 연결되는 제2배관; 상기 제1배관과 상기 제2배관을 연결하는 제3배관; 상기 제1저장탱크로 부터 상기 제1용액을 상기 제1배관에 공급하는 제1펌프; 상기 제2저장탱크로 부터 상기 제2용액을 상기 제2배관에 공급하는 제2펌프; 상기 제1배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도로면 위에 상기 제1용액 또는 상기 제2용액을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노즐; 상기 복수의 분사노즐 각각에 대한 분사를 제어하는 복수의 분사밸브; 상기 제1배관에서 상기 제1용액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1밸브; 상기 제2배관에서 상기 제2용액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2밸브; 상기 제1배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1배관의 용액을 배출시킬 수 있는 제4배관; 상기 제4배관에서 상기 제1배관의 용액배출을 제어하는 제3밸브; 상기 제2배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2배관의 용액을 배출시킬 수 있는 제5배관; 및 상기 제5배관에서 상기 제2배관의 용액배출을 제어하는 제4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배관을 통하여 두 종류의 용액을 분사할 수 있는 용액분사시스템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제어장치는, 운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는 복수의 자동운전모드를 제공하며, 상기 복수의 자동운전모드에는, - 상기 제1배관이 비어있거나, 상기 제1용액이 들어있는 상태에서 상기 도로면 위에 상기 제1용액을 분사해야 하는 제1a모드, - 상기 제1배관에 상기 제2용액이 들어있는 상태에서 상기 도로면 위에 상기 제1용액을 분사해야 하는 제2a모드, - 상기 제1배관에 상기 제1용액이 들어있는 상태에서 상기 도로면 위에 상기 제2용액을 분사해야 하는 제3a모드 및 - 상기 제1배관이 비어있거나, 상기 제2용액이 들어있는 상태에서 상기 도로면 위에 상기 제2용액을 분사해야 하는 제4a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복수의 자동운전모드 중 하나가 선택된 경우 중, - 상기 제1a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제1밸브 및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2밸브, 상기 제3밸브 및 상기 제4밸브를 폐쇄한 뒤 상기 제1펌프를 가동하며, - 상기 제2a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제1밸브 및 상기 제4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2밸브, 상기 제3밸브 및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를 폐쇄한 뒤 상기 제2펌프를 일정시간동안 가동하다가, 상기 제4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를 개방하면서 상기 제1펌프를 계속하여 가동하며, - 상기 제3a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제2밸브 및 상기 제3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1밸브, 제4밸브 및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를 폐쇄한 뒤 상기 제2펌프를 상기 일정시간동안 가동하다가, 상기 제3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를 개방하면서 상기 제2펌프를 계속하여 가동하며, - 상기 제4a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제2밸브 및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1밸브, 상기 제3밸브 및 상기 제4밸브를 폐쇄한 뒤 상기 제2펌프를 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배관을 통하여 두 종류의 용액을 분사할 수 있는 용액분사시스템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복수의 자동운전모드에는, - 상기 제1용액이 들어있는 상태인 상기 제1배관을, 상기 제2용액이 들어있는 상태로 만들기 위한 제5a모드 및 - 상기 제2용액이 들어있는 상태인 상기 제1배관을, 상기 제1용액이 들어있는 상태로 만들기 위한 제6a모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복수의 자동운전모드 중 하나가 선택된 경우 중, - 상기 제5a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제2밸브 및 상기 제3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1밸브, 제4밸브 및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를 폐쇄한 뒤 상기 제2펌프를 상기 일정시간동안 가동하다가 상기 제2밸브 및 상기 제3밸브도 폐쇄하면서 상기 제2펌프의 가동을 중지하며, - 상기 제6a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제1밸브 및 상기 제4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2밸브, 제3밸브 및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를 폐쇄한 뒤 상기 제1펌프를 상기 일정시간동안 가동하다가 상기 제1밸브 및 상기 제4밸브도 폐쇄하면서 상기 제1펌프의 가동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배관을 통하여 두 종류의 용액을 분사할 수 있는 용액분사시스템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상기 제2펌프는, 상기 제2배관에 대하여 용액을 공급하는 제1방향운전 및 상기 제2배관으로부터 용액을 회수하는 제2방향운전이 가능하며, 상기 복수의 자동운전모드에는, - 상기 제1용액이 들어있는 상태인 상기 제1배관을, 비어있는 상태로 만들기 위한 제7a모드 및 - 상기 제2용액이 들어있는 상태인 상기 제1배관을, 비어있는 상태로 만들기 위한 제8a모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복수의 자동운전모드 중 하나가 선택된 경우 중, - 상기 제7a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제2밸브 및 상기 제3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1밸브, 제4밸브 및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를 폐쇄한 뒤, 상기 제2펌프를 상기 일정시간동안 상기 제1방향운전으로 가동하다가, 상기 제2펌프를 상기 일정시간 동안 상기 제2방향운전으로 가동하며, - 상기 제8a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제2밸브 및 상기 제3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1밸브, 제4밸브 및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를 폐쇄한 뒤, 상기 제2펌프를 상기 일정시간 동안 상기 제2방향운전으로 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배관을 통하여 두 종류의 용액을 분사할 수 있는 용액분사시스템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제1배관 및 상기 제2배관 내부에 들어있는 용액성분을 각각 측정하여 측정결과를 상기 제어장치에 전송하는 제1센서 및 제2센서;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가 전송한 상기 측정결과에 따라 상기 제1배관 및 상기 제2배관에 대한 용액검출 여부와 용액의 종류를 판단하며, 상기 일정시간은, 상기 용액의 종류가 상기 제1용액에서 상기 제2용액으로 변화되거나, 상기 제2용액에서 상기 제1용액으로 변화되거나, 상기 용액검출이 안되기까지의 시간이며, 상기 복수의 자동운전모드에는, -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용액검출 여부와 상기 용액의 종류를 판단한 후, 상기 도로면 위에 상기 제1용액을 분사하는 제9a모드, -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용액검출 여부와 상기 용액의 종류를 판단한 후, 상기 도로면 위에 상기 제2용액을 분사하는 제10a모드 및 -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용액검출 여부와 상기 용액의 종류를 판단한 후, 상기 제1배관을 비어있는 상태로 만들기 위한 제11a모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복수의 자동운전모드 중 하나가 선택된 경우 중, - 상기 제9a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용액검출이 되지 않거나 상기 용액의 종류가 상기 제1용액이면 상기 제1a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용액의 종류가 상기 제2용액이면 상기 제2a모드를 수행하며, - 상기 제10a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용액의 종류가 상기 제1용액이면 상기 제3a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용액검출이 되지 않거나 상기 용액의 종류가 상기 제2용액이면 상기 제4a모드를 수행하며, 상기 제11a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용액의 종류가 상기 제1용액이면 상기 제7a모드를 수행하며, 상기 용액의 종류가 상기 제2용액이면 상기 제8a모드를 수행하며, 상기 용액검출이 안되면 아무 것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배관을 통하여 두 종류의 용액을 분사할 수 있는 용액분사시스템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제2펌프는, 상기 제2배관에 대하여 용액을 공급하는 제1방향운전 및 상기 제2배관으로부터 용액을 회수하는 제2방향운전이 가능하며, 상기 제2펌프에는 상기 제2펌프를 각각 바이패스 할 수 있는 제1바이패스관 및 제2바이패스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1바이패스관 및 상기 제2바이패스관에는 제1바이패스밸브 및 제2바이패스밸브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제1바이패스관이 제2배관으로부터 인출되는 부분과 상기 제2펌프 사이에는 제1차단밸브가 있으며, 상기 제2바이패스관은 상기 제1차단밸브와 상기 제2펌프 사이에서 인출되며, 상기 제2바이패스관이 상기 제2배관으로 인입되는 부분과 상기 제2펌프 사이에는 제2차단밸브가 있으며, 상기 제1바이패스관은 상기 제2차단밸브와 상기 제2펌프 사이로 인입되며, 상기 제2펌프를 상기 제1방향운전으로 가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차단밸브 및 상기 제2차단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1바이패스밸브 및 제2바이패스밸브를 폐쇄하며, 상기 제2펌프를 상기 제2방향운전으로 가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차단밸브 및 상기 제2차단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제1바이패스밸브 및 제2바이패스밸브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배관을 통하여 두 종류의 용액을 분사할 수 있는 용액분사시스템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는, 도로에 설치되어 있는 배관망을 통하여, 도로면 위에 제1용액과 제2용액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용액분사시스템에 있어서, 제어장치; 상기 제1용액을 저장하며, 공급라인과 회수라인을 가지고 있는 제1저장탱크; 상기 제2용액을 저장하며, 공급라인과 회수라인을 가지고 있는 제2저장탱크; 상기 제1저장탱크의 공급라인과 상기 제2저장탱크의 공급라인을 연결하는 제1연결관; 상기 제1저장탱크의 회수라인과 상기 제2저장탱크의 회수라인을 연결하는 제2연결관; 상기 제1연결관 중에서 분기되는 제1배관; 상기 제2연결관 중에서 분기되는 제2배관; 상기 제1배관과 상기 제2배관을 연결하는 제3배관; 상기 제1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제1용액 또는 제2용액을 상기 제1배관에 공급하는 펌프; 상기 제1배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도로면 위에 상기 제1용액 또는 상기 제2용액을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노즐; 상기 복수의 분사노즐 각각에 대한 분사를 제어하는 복수의 분사밸브; 상기 제1연결관 중 상기 제1저장탱크 쪽에서 상기 제1용액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1밸브; 상기 제1연결관 중 상기 제2저장탱크 쪽에서 상기 제2용액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2밸브; 상기 제2연결관 중 상기 제1저장탱크 쪽에서 상기 제1용액의 회수를 제어하는 제3밸브; 및 상기 제2연결관 중 상기 제2저장탱크 쪽에서 상기 제2용액의 회수를 제어하는 제4밸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배관을 통하여 두 종류의 용액을 분사할 수 있는 용액분사시스템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는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제어장치는, 운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는 복수의 자동운전모드를 제공하며, 상기 복수의 자동운전모드에는, - 상기 제1배관에 상기 제1용액이 들어있는 상태에서 상기 도로면 위에 상기 제1용액을 분사해야 하는 제1b모드, - 상기 제1배관에 상기 제2용액이 들어있는 상태에서 상기 도로면 위에 상기 제1용액을 분사해야 하는 제2b모드, - 상기 제1배관에 상기 제1용액이 들어있는 상태에서 상기 도로면 위에 상기 제2용액을 분사해야 하는 제3b모드 및 - 상기 제1배관에 상기 제2용액이 들어있는 상태에서 상기 도로면 위에 상기 제2용액을 분사해야 하는 제4b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복수의 자동운전모드 중 하나가 선택된 경우 중, - 상기 제1b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제1밸브 및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2밸브, 상기 제3밸브 및 상기 제4밸브를 폐쇄한 뒤 상기 펌프를 가동하며, - 상기 제2b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제1밸브 및 상기 제4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2밸브, 상기 제3밸브 및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를 폐쇄한 뒤 상기 펌프를 일정시간동안 가동하다가, 상기 제4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를 개방하면서 상기 펌프를 계속하여 가동하며, - 상기 제3b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제2밸브 및 상기 제3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1밸브, 제4밸브 및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를 폐쇄한 뒤 상기 펌프를 상기 일정시간동안 가동하다가, 상기 제3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를 개방하면서 상기 펌프를 계속하여 가동하며, - 상기 제4b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제2밸브 및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1밸브, 상기 제3밸브 및 상기 제4밸브를 폐쇄한 뒤 상기 펌프를 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배관을 통하여 두 종류의 용액을 분사할 수 있는 용액분사시스템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복수의 자동운전모드에는, - 상기 제1용액이 들어있는 상태인 상기 제1배관을, 상기 제2용액이 들어있는 상태로 만들기 위한 제5b모드를 더 포함하며, - 상기 제2용액이 들어있는 상태인 상기 제1배관을, 상기 제1용액이 들어있는 상태로 만들기 위한 제6b모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복수의 자동운전모드 중 하나가 선택된 경우 중, - 상기 제5b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제2밸브 및 상기 제3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1밸브, 제4밸브 및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를 폐쇄한 뒤 상기 펌프를 상기 일정시간동안 가동하다가 상기 제2밸브 및 상기 제3밸브도 폐쇄하면서 상기 펌프의 가동을 중지하며, - 상기 제6b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제1밸브 및 상기 제4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2밸브, 제3밸브 및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를 폐쇄한 뒤 상기 펌프를 상기 일정시간동안 가동하다가 상기 제1밸브 및 상기 제4밸브도 폐쇄하면서 상기 펌프의 가동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배관을 통하여 두 종류의 용액을 분사할 수 있는 용액분사시스템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상기 제2연결관에 들어있는 용액성분에 대한 측정결과를 상기 제어장치에 전송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센서는, 상기 제2배관 중 상기 제2연결관과 만나는 지점 또는 상기 제2연결관 중 상기 제2배관과 만나는 지점에 위치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센서가 전송한 상기 측정결과에 따라 상기 제2배관에 들어있는 용액의 종류를 판단하며, 상기 일정시간은, 상기 센서의 측정결과가 상기 제1용액에서 상기 제2용액으로 변화되거나, 상기 제2용액에서 상기 제1용액으로 변화되기까지의 시간이며, 상기 복수의 자동운전모드에는,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용액의 종류를 판단한 후, - 상기 도로면 위에 상기 제1용액을 분사하는 제7b모드 및 - 상기 도로면 위에 상기 제2용액을 분사하는 제8b모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복수의 자동운전모드 중 하나가 선택된 경우 중, - 상기 제7b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용액의 종류가 상기 제1용액이면 상기 제1b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용액의 종류가 상기 제2용액이면 상기 제2b모드를 수행하며, - 상기 제8b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용액의 종류가 상기 제1용액이면 상기 제3b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용액의 종류가 상기 제2용액이면 상기 제4b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배관을 통하여 두 종류의 용액을 분사할 수 있는 용액분사시스템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순환배관을 통하여 두 종류의 용액을 분사할 수 있는 용액분사시스템은 제1배관 및 제2배관으로 제1용액 및 제2용액을 각각 공급하도록 하고, 제1배관과 제2배관을 제3배관으로 연결하는 구조를 가져서 순환라인을 형성할 수 있고, 배출배관 및 배출밸브 등 본원발명 만의 특징적인 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복수의 분사모듈이 장착된 ‘하나의 분사라인’을 이용하여 각각 다른 용액을 공급할 수 있고, 제1용액과 제2용액 중에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이전에 분사하던 용액과 다른 용액으로 바꿔서 분사하고자 할 때 배관 내에 남아있는 이전의 분사용액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이전의 분사용액이 분사됨으로 인한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순환배관을 통하여 두 종류의 용액을 분사할 수 있는 용액분사시스템에 포함된 제어장치는, 운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자동운전모드를 제공하고 운용자로부터 선택을 받아 자동으로 운전하기 때문에, 제1배관에 들어있는 용액의 상태 등을 감안한 상황에 따라 운용자가 선택만 하면, 제어장치가 해당 모드에 따라 각각의 밸브와 펌프들의 작동을 자동으로 순서대로 제어하여 운전함으로써 운용자의 편리성은 물론, 운용자의 실수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제1용액(염수)를 분사하고 난 뒤 정지되어있던 상태 즉, 제1배관 내에 제1용액(염수)이 들어있는 상태에서, 도로면에 제2용액(물)을 분사할 필요가 있어 분사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되는 자동운전모드를 선택하면, 제어장치가 각 밸브와 펌프를 제어하여, 분사밸브는 막은 상태에서 제2용액을 제1배관으로 공급하여 제1배관에 있던 제1용액을 밀어내면서 제2용액을 채우는 한편, 배출용 배관(제4배관)에 포함된 배출밸브(제3밸브)를 열어서 제1배관 내에 잔존하는 제1용액이 배출배관으로 모두 빠져 나가도록 한 뒤, 배출밸브를 막고 분사밸브를 열게 되므로 제2용액이 분사되기 전에 “제1배관에 남아있던 제1용액이 분사노즐로 분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여름철에 염수 등이 유출되어 도로면이 미끄러워지는 위험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반면, 제2용액(물)를 분사하고 난 뒤 정지되어있던 상태 즉, 제1배관 내에 제2용액(물)이 들어있는 상태에서, 도로면에 제1용액(염수)을 분사할 필요가 있어 분사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되는 자동운전모드를 선택하면, 제어장치가 각 밸브와 펌프를 제어하여, 분사밸브는 막은 상태에서 제1용액을 제1배관으로 공급하여 제1배관에 있던 제2용액을 밀어내면서 제1용액을 채우는 한편, 배출배관(제5배관)에 포함된 배출밸브(제4밸브)를 열어서 제1배관 내에 잔존하는 제2용액이 배출배관으로 모두 빠져 나가도록 한 뒤, 배출밸브를 막고 분사밸브를 열게 되므로 제1용액이 분사되기 전에 “제1배관에 남아있던 제2용액이 분사노즐로 분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염수 등과 같은 염기성 물질이어서 부식성이 강하거나 배관 내에 오래 두기에 부적정한 용액을 분사하고 난 뒤에는, 장시간 미사용 시 부식 등을 예방하기 위하여 용액분사시스템 내에서 해당 용액을 비워내고 물로 채워두거나, 배관 내부를 물로 헹군 다음에 비운 채로 두는 자동운전모드를 제공함으로써, 장기간 동안 염수가 채워져서 부식 등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고 이를 통하여 용액분사시스템을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반면에, 물과 같이 어는점이 낮아 동절기에 동파를 유발하는 용액이 용액분사시스템의 배관 내에 들어 있는 경우로서, 동절기에 대비하기 위한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제어장치가 용액분사시스템의 배관들 내에서 해당 용액(물)을 비워내고 다른 용액(염수 등)을 채워지게 하거나, 배관 내부를 비운 채로 두는 자동운전모드를 제공함으로써 동절기에 배관이 얼어서 동파되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장치가, 배관 내에 잔존하는 용액의 종류를 판단하여 잔존하는 용액의 종류에 따라 용액을 그대로 분사할 것인지, 잔존하는 용액을 비워내고 다른 용액으로 채운 이후에 분사할 것인지 등을 판단하고, 제어장치가 그 판단에 따라 자동으로 해당 밸브 및 펌프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운용자가 일일이 배관내부에 존재하는 용액의 종류를 파악할 필요가 없어, 운용상의 편리성은 물론 운용미숙에 따른 실수 등을 예방할 수 있어, 용액분사시스템의 운영품질을 높일 수 있고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잔존하는 용액을 비워낼 때, 정/역회전 펌핑이 가능한 펌프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탱크에서 공급도 할 수 있고, 탱크방향으로 회수도 할 수 있는 본 발명만의 독창적인 펌프배관을 포함하기 때문에 정/역회전이 가능한 고가의 펌프가 없더라도 펌핑의 진행방향을 얼마든지 바꿀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용액분사시스템 구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배관 내에 잔존하는 용액에 대하여 다른 용액으로 채워서 비워낼 때, 잔존하던 용액이 모두 배출되는 시점을 제어장치가 센서를 통하여 판단하고, 잔존하던 용액이 모두 배출된 시점에 자동으로 배출작용을 멈추도록 하기 때문에 운용자가 일일이 감시하다가 조작을 변경할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운용미숙이나 방심에 따른 조작실수 및 이에 따른 도로상의 위험초래 등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하나의 펌프를 사용하여 2종류의 용액 또는 각각 다른 2종류의 용액을 선택적으로 도로면에 분사할 수 있는 용액분사시스템도 제공하기 때문에, 2종류의 용액을 사용한다 하더라도 펌프를 하나만 설치해도 되기 때문에 용액분사시스템의 구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제1용액 또는 제2용액이 분사시스템 내에 잔존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2용액 또는 제1용액을 분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분사시스템 내에 잔존하는 제2용액 또는 제1용액을 저장탱크로 회수하도록 한 후 제1용액 또는 제2용액을 분사함으로써, 용도가 다른 용액이 분사되는 것을 예방함은 물론 용액을 낭비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순환배관을 통하여 두 종류의 용액을 분사할 수 있는 용액분사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제1센서 및 제2센서가 더 포함되는 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복수의 자동운전모드 작동과정 중 각각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중간밸브가 더 포함되는 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제2펌프에 대하여 제1방향운전 및 제2방향운전을 가능하게 하는 배관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순환배관을 통하여 두 종류의 용액을 분사할 수 있는 용액분사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용액센서가 더 포함되는 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복수의 자동운전모드 작동과정 중 각각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상술한 목적과 특징이 분명해지도록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한 공지기술 중 이미 그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그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 예들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다양한 부가적 실시 예들을 가질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특정한 실시 예들이 도면에 표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실시 예들을 특정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들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 가운데 “제1”, “제2”, “첫째” 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이 실시 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순환배관을 통하여 두 종류의 용액을 분사할 수 있는 용액분사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도로에 설치되어 있는 배관망을 통하여, 도로면 위에 제1용액과 제2용액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용액분사시스템으로서, 용액분사시스템에 설치된 각종 밸브와 펌프 등에 대한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20)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용액분사시스템에 사용되는 각종 밸브는 상기 제어장치(20)에 의하여 원격으로 작동되는 전동밸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펌프 또한 그 작동이 상기 제어장치(20)에 의하여 원격으로 제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장치(20)는 펌프실(10) 안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용액은 염수나 염화칼슘용액 등의 제설용액으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상기 제2용액은 물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그 반대로 하여 상기 제1용액을 물로, 상기 제2용액을 제설용액으로 하는 것도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용액과 상기 제2용액 각각을 제설용액과 물이 아닌 다른 종류의 용액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또한 상기 제1용액을 저장하는 제1저장탱크(100)와 상기 제2용액을 저장하는 제2저장탱크(200)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저장탱크(100) 및 상기 제2저장탱크(200)는 상기 펌프실(10) 안에 위치하도록 하거나 상기 펌프실(10)과 인접한 장소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저장탱크(100)에는 제1배관(300)이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제2저장탱크(200)에는 제2배관(400)이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배관(300)과 상기 제2배관(400)의 종단, 즉 상기 제1저장탱크(100) 및 상기 제2저장탱크(200)와 연결된 쪽의 반대쪽은 제3배관(500)을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상기 제1저장탱크(100), 상기 제1배관(300), 상기 제3배관(500), 상기 제2배관(400) 및 상기 제2저장탱크(200)로 이어지는, ‘한 쪽이 열린 순환배관’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배관(300) 상에는, 상기 제1저장탱크(100)로 부터 상기 제1용액을 상기 제1배관(300)에 공급하는 제1펌프(110)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배관(400) 상에는, 상기 제2저장탱크(200)로 부터 상기 제2용액을 상기 제2배관(400)에 공급하는 제2펌프(210)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배관(300)에는, 상기 제1배관(300)에서 분기 연결되어 상기 도로면 위에 상기 제1용액 또는 상기 제2용액을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노즐(310)을 포함하도록 하고, 상기 복수의 분사노즐(310) 각각에는 상기 복수의 분사노즐(310) 각각에 대한 분사를 제어하는 분사밸브(320)가 각각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분사노즐(310)에 포함된 각각의 분사밸브(320)들 또한 상기 제어장치(20)의 제어에 의하여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따라 상기 분사밸브(320)들 또한 상기 제어장치(20)에 의한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전동밸브 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배관(300)에는 또한 상기 제1배관(300) 상에서 상기 제1용액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1밸브(120)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밸브(120)는 상기 제1펌프(110)와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저장탱크(100)에서 상기 제1펌프(110)를 거친 다음에 상기 제1밸브(120)가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제1밸브(120)가 상기 제1저장탱크(100)와 상기 제1펌프(110) 사이에 위치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2배관(400)에는 상기 제2배관(400) 상에서 상기 제2용액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2밸브(220)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밸브(220)도 상기 제2펌프(210)와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저장탱크(200)에서 상기 제2펌프(210)를 거친 다음에 상기 제2밸브(220)가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제2밸브(220)가 상기 제2저장탱크(200)와 상기 제2펌프(210) 사이에 위치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밸브(120) 및 상기 제2밸브(220)는 상기 펌프실(10)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배관(300)에는, 상기 제1배관(300)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1배관(300)의 용액을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배관인, 제4배관(131)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배관(131)에는, 상기 제4배관(131)을 통해서 배출되는 상기 제1배관(300)의 용액배출을 제어할 수 있는 제3밸브(130)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4배관(131)은 상기 제1저장탱크(100)의 상단까지 연장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4배관(131)을 통하여 배출되는 상기 제1배관(300)의 용액이 상기 제1저장탱크(100)로 회수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배관(400) 상에는, 상기 제2배관(400)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2배관(400)의 용액을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배관인, 제5배관(231)을 포함하도록 하고, 상기 제5배관(231)에는, 상기 제5배관(231)을 통해서 배출되는 상기 제2배관(400)의 용액배출을 제어할 수 있는 제4밸브(230)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5배관(231)은 상기 제2저장탱크(200)의 상단까지 연장되도록 함으로써(미도시) 상기 제5배관(231)을 통하여 배출되는 상기 제2배관(400)의 용액이 상기 제2저장탱크(200)로 회수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제1센서(140) 및 제2센서(240)가 더 포함되는 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도인데,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배관(300) 상에 상기 제1센서(140) 및 상기 제2배관(400) 상에 상기 제2센서(2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센서(140) 및 상기 제2센서(240)는 상기 제1배관(300) 및 상기 제2배관(400)에 들어있는 용액의 성분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로서 예를 들어 들어있는 용액이 염수인지, 또는 물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센서이다. 따라서 전기전도도나 굴절률 등을 이용한 염분측정을 통하여 염수인지 물인지를 판단하도록 염도센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상기 제1용액과 상기 제2용액을 무엇으로 할지에 따라서 상기 제1센서(140) 및 상기 제2센서(240)의 종류는 달라질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20)는, 상기 제1센서(140) 및 상기 제2센서(240)가 측정한 결과에 따라 상기 제1배관(300) 또는 상기 제2배관(400)에 용액이 들어있는지 여부와, 들어있는 용액의 종류를 판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용액을 염수로 하고, 상기 제2용액을 물로 하였을 경우 상기 제1센서(140) 및 상기 제2센서(240)는 전기전도도를 이용하여 염분을 측정하는 염도센서가 바람직할 것이며, 상기 제어장치(20)는 상기 제1센서(140) 및/또는 상기 제2센서(240)가 센싱한 전기전도도 값을 수신하게 되면, 수신된 전기전도도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1배관(300)에 들어있는 용액이 염수인지, 물인지 또는 용액검출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1센서(140) 및 상기 제2센서(240)는 의 설치위치로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센서(140)는 상기 제1배관(300) 중 상기 제4배관(131) 쪽에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제2센서(240)는, 상기 제2배관(400) 중 상기 제5배관(231)에 가까운 곳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이렇게 상기 제1배관(300) 및 상기 제2배관(400)에 상기 제1센서(140) 및 상기 제2센서(240)가 위치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상기 배관에 들어있는 용액이, 상기 제1용액인지 또는 상기 제2용액인지, 아니면 한 쪽은 상기 제1용액이고, 다른 한쪽은 상기 제2용액인지 등을 판단해 낼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제1센서(140)를 상기 제1배관(300) 중에서 상기 제4배관(131)이 분기되어 나간 쪽에 위치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상기 제1배관(300)에서 용액이 배출되어 나갈 때, 용액종류가 변화되는 것을 감지되면, 그 시점에서 해당 용액이 모두 다 빠져나갔다고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제1센서(140)를 상기 제2배관(400) 중에서 상기 제5배관(231)이 분기되어 나간 쪽에 위치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상기 제2배관(400)에서 용액이 배출되어 나갈 때, 용액종류가 변화되는 것을 감지되면, 그 시점에서 해당 용액이 모두 다 빠져나갔다고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각 도면 상에서 빨간색 화살표 및 점선은 제1용액, 파란색 화살표 및 점선은 제2용액을 나타내며, 빨간색 X표는 밸브 잠김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설명에서 같다. 먼저 도 3(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제1용액이 분사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밸브(120) 및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320) 모두를 개방하고, 상기 제2밸브(220), 상기 제3밸브(130) 및 상기 제4밸브(230)을 폐쇄한 뒤에 상기 제1펌프(110)를 가동하게 되면, 상기 제1저장탱크(100)에 있는 상기 제1용액이 상기 제1배관(300)으로 공급되게 되며, 상기 제1배관(300)에 가해지는 상기 제1용액의 공급압력은 모두 상기 분사노즐(310)에 가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용액은 상기 도로면에 분사된다. 그리고 상기 제1용액을 상기 도로면에 분사하는 작업이 수행되고 난 후에는, 상기 제1배관(300)에는 상기 제1용액이 들어있게 된다.
한편 위와 같이 상기 제1용액을 분사하는 작업이 수행되고 난 뒤, 상기 제1배관(300)에는 상기 제1용액이 들어있는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제1배관(300)에 상기 제1용액이 들어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2용액을 분사하고자 하는 경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배관(300)에 들어있는 상기 제1용액을 모두 배출하거나, 상기 제1저장탱크(100)로 회수하고 난 후에 상기 제2용액을 공급하여 분사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2가지 종류의 용액을 선택적으로 분사하더라도, 이전에 남아있던 용액이 먼저 분사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3(b)는 상기 제1배관(300)으로부터 상기 제1용액을 배출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배관(300)으로부터 상기 제1용액을 배출하거나 회수하기 위해서는,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320), 상기 제1밸브(120) 및 상기 제4밸브(230)를 모두 폐쇄하고 상기 제2밸브(120)와 상기 제3밸브(130)를 개방한 후 상기 제2펌프(210)를 일정시간 동안 가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상기 제1배관(300)에 있는 상기 제1용액은 상기 제2펌프(210)에서 공급되는 상기 제2용액에 의하여 밀려나서 상기 제3밸브(130) 및 상기 제4배관(131)을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 제4배관(131)은 상기 제1저장탱크의 상단에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제4배관(131)을 통하여 배출되는 상기 제1용액은 상기 제1저장탱크(100)로 회수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일정시간은 상기 제1배관(300)에 있던 상기 제1용액이 모두 상기 제4배관(131)을 통하여 배출될 때까지의 시간인데, 펌프의 가동용량과 배관의 크기 등을 감안하여 미리 정해놓은 시간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며, 상기 제1센서(140) 및 상기 제2센서(240)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1센서(140)의 측정결과 용액의 종류가 상기 제1용액에서 상기 제2용액으로 변한 시점까지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4(a)에는, 도 3(b)에서 상기 제1배관(300)에 있던 상기 제1용액을 밀어내면서 들어온 상기 제2용액을 분사시키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도 3(b)의 상황에서, 개방되어 있던 상기 제3밸브(130)을 폐쇄하고, 폐쇄되어 있던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320)를 개방하면, 도 4(a)에서 보는 것처럼 상기 복수의 분사노즐(320)을 통하여 상기 제2용액이 상기 도로면으로 분사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용액을 상기 도로면에 분사하는 작업이 수행되고 난 후에는, 상기 제1배관(300)에는 상기 제2용액이 들어있는 상태로 있게 된다.
상기 제2용액을 분사하고 난 뒤, 상기 제1배관(300)에는 상기 제2용액이 들어있는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제1배관(300)에 제2용액이 들어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용액을 분사하고자 하는 경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배관(300)에 들어있는 상기 제2용액을 모두 배출하거나 상기 제2저장탱크(200)로 회수하고 난 후에 상기 제1용액을 공급하여 분사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b)는 이와 같이 상기 제2용액을 회수하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배관(300)으로부터 상기 제2용액을 회수하기 위해서는,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320), 상기 제2밸브(220) 및 상기 제3밸브(130)를 모두 폐쇄하고 상기 제1밸브(120)와 상기 제4밸브(230)를 개방한 후 상기 제1펌프(210)를 일정시간 동안 가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상기 제1배관(300)에 있는 상기 제2용액은 상기 제1펌프(110)에서 공급되는 상기 제1용액에 의하여 밀려나서 상기 제4밸브(230) 및 상기 제5배관(231)을 통하여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5배관(231)은 상기 제2저장탱크의 상단에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제5배관(231)을 통하여 배출되는 상기 제2용액은 상기 제2저장탱크(200)로 회수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일정시간은 상기 제1배관(300)에 있던 상기 제2용액이 모두 상기 제5배관(231)을 통하여 배출될 때까지의 시간인데, 펌프의 가동용량과 배관의 크기 등을 감안하여 미리 정해놓은 시간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며, 상기 제1센서(140) 및 상기 제2센서(240)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2센서(240)의 측정결과 용액의 종류가 상기 제2용액에서 상기 제1용액으로 변하는 시점까지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상기 제1배관(300)에 상기 제2용액이 들어있는 경우, 상기 제2용액을 상기 제2저장탱크(200)로 회수함으로써 상기 제1배관(300)을 비어있는 상태로 만들 수 있으며, 상기 제1배관(300)에 상기 제1용액이 들어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2용액으로 상기 제1용액을 밀어내어 배출시켜 상기 제1저장탱크(100)로 회수한 다음에, 상기 제2용액을 상기 제2저장탱크(200)로 회수함으로써 상기 제1배관(300)을 비어있는 상태로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도 5(a) 및 도 5(b)는 이와 같은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상기 제1배관(300)에 남아있는 상기 제2용액을 회수하기 위해서는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밸브(220)와 상기 제3밸브(130)을 개방한 뒤, 나머지 밸브들은 모두 폐쇄하고 상기 제2펌프를 상기 제1배관(300)으로부터 흡입하는 방향으로 일정시간동안 가동하여 상기 제1배관(300)에 남아있는 상기 제2용액을 상기 제2저장탱크(200)로 회수함으로써 상기 제1배관을 비어있는 상태로 만들고 난 후,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밸브(220)를 폐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제3밸브(130)의 경우 개방된 상태로 두어도 무방하나, 폐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여기서 일정시간은, 상기 제2용액이 상기 제5배관(231)을 통하여 모두 배출되어, 상기 제1배관(300), 상기 제3배관(500) 및 상기 제2배관(400)이 모두 비워질 때까지의 시간인데, 펌프의 가동용량과 배관의 크기 등을 감안하여 미리 정해놓은 시간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며, 상기 제1센서(140) 및 상기 제2센서(240)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2센서(240)의 측정결과 용액검출이 되지 않을 때까지의 시점까지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배관이 상기 제1용액이 들어있는 경우에는,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으로, 상기 제1용액에 대하여 상기 제2용액의 압력을 이용하여 밀어내어 배출시킨 후에, 도 5(a)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으로 상기 제2용액을 상기 제2펌프(210)로 흡입함으로써 상기 제1밸브(300)를 비어있는 상태로 만든 후, 상기 도 5(b)와 같은 상태로 두면 된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는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제1배관(300)에 대하여 용액들을 공급 또는 배출하거나 비어있는 상태로 두는 것이 가능하며, 심지어는 상기 제1배관(300)에 대하여, 상기 제1용액이 들어있는 상태에서 비어있는 상태로 만드는 경우, 상기 제2용액으로 헹군 다음에 제2용액을 배출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한 바, 이는 본원발명의 특징적인 구조들로 인하여 가능한 것이며, 본원발명은 이러한 특징적인 구조로 말미암아 후술하게 되는 다양한 자동운전모드를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용액분사시스템에 포함된 상기 제어장치(20)는 용액분사시스템의 운용자에게 다양한 종류의 자동운전모드를 제공하여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제공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자동운전모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아래 표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제공 가능한 자동운전모드를 요약해 놓은 표이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제공 가능한 복수의 자동운전모드 작동 중 각각의 상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아래 표 2와 함께 도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제공 가능한 자동운전모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모드 제1배관에
들어있는 용액
실행할 내용 제어장치의 제어순서
제1a모드 제1용액 또는
비어있음
제1용액을
도로면에 분사
제1밸브/분사밸브 개방, 제2밸브/제3밸브/제4밸브 폐쇄 → 제1펌프 가동
제2a모드 제2용액 제1용액을
도로면에 분사
제1밸브/제4밸브 개방, 제2밸브/제3밸브/분사밸브 폐쇄 → 제2펌프 일정시간 가동 → 제4밸브 폐쇄, 분사밸브 개방 → 제1펌프 계속 가동
제3a모드 제1용액 제2용액을
도로면에 분사
제2밸브/제3밸브 개방, 제1밸브/제4밸브/분사밸브폐쇄 → 제2펌프 일정시간 가동 → 제3밸브 폐쇄, 분사밸브 개방 → 제2펌프 계속가동
제4a모드 제2용액 또는
비어있음
제2용액을
도로면에 분사
제2밸브/분사밸브 개방, 제1밸브/제3밸브/제4밸브 폐쇄 → 제2펌프 가동
제5a모드 제1용액 제2용액을
제1배관에 채움
제2밸브/제3밸브 개방, 제1밸브/제4밸브/분사밸브 폐쇄 → 제2펌프 일정시간 가동 → 제2밸브/제3밸브 폐쇄 → 제2펌프 가동중지
제6a모드 제2용액 제1용액을
제1배관에 채움
제1밸브/제4밸브 개방, 제2밸브/제3밸브/분사밸브 폐쇄 → 제1펌프 일정시간 가동 → 제1밸브/제4밸브 폐쇄 → 제1펌프 가동중지
제7a모드 제1용액 제1배관을 비움 제2밸브/제3밸브 개방, 제1밸브/제4밸브/분사밸브 폐쇄 → 제2펌프를 제1방향으로 일정시간 가동 → 제2펌프를 제2방향으로 일정시간 가동
제8a모드 제2용액 제1배관을 비움 제2밸브/제3밸브 개방, 제1밸브/4밸브/분사밸브 폐쇄 → 제2펌프 제2방향으로 일정시간 가동
제9a모드 제1용액, 제2용액 또는 비어있음 제1용액을
도로면에 분사
제1배관의 용액검출여부, 용액종류 판단 →
(용액 미검출 또는 제1용액인 경우) 제1a모드 수행
(제2용액인 경우) 제2a모드 수행
제10a모드 제1용액, 제2용액 또는 비어있음 제2용액을
도로면에 분사
제1배관의 용액검출여부, 용액종류 판단 →
(제1용액인 경우) 제3a모드 수행
(용액 미검출 또는 제2용액인 경우) 제4a모드 수행
제11a모드 제1용액, 제2용액 또는 비어있음 제1배관을 비움 제1배관의 용액검출여부, 용액종류 판단 →
(제1용액인 경우) 제7a모드 수행
(제2용액인 경우) 제8a모드 수행
(용액 미검출) 아무 것도 수행 안함
본 발명의 제1실시예서, 상기 제어장치(20)는, 상기 운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는 복수의 자동운전모드를 제공하며, 상기 복수의 자동운전모드에는, ①상기 제1배관(300)이 비어있거나, 상기 제1용액이 들어있는 상태에서 상기 도로면 위에 상기 제1용액을 분사해야 하는 제1a모드, ② 상기 제1배관(300)에 상기 제2용액이 들어있는 상태에서 상기 도로면 위에 상기 제1용액을 분사해야 하는 제2a모드, ③상기 제1배관(300)에 상기 제1용액이 들어있는 상태에서 상기 도로면 위에 상기 제2용액을 분사해야 하는 제3a모드 및 ④상기 제1배관(300)이 비어있거나, 상기 제2용액이 들어있는 상태에서 상기 도로면 위에 상기 제2용액을 분사해야 하는 제4a모드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용액분사시스템의 운용자는 위와 같은 경우의 작업을 위해서 각각의 밸브개폐와 펌프가동을 일일이 제어할 필요가 없이 위 4가지 중에 하나의 자동운전모드를 선택하기만 하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상기 제어장치(20)는, 상기 운용자로부터 상기 4가지 자동운전모드 중 하나를 선택받은 경우 중, 상기 제1a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도 3(a)에서와 같이 상기 제1밸브(120) 및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320)를 모두 개방하고, 상기 제2밸브(220), 상기 제3밸브(130) 및 상기 제4밸브(230)를 폐쇄한 뒤 상기 제1펌프(110)를 가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분사노즐(310) 각각에서는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펌프(110)가 공급하는 상기 제1용액을 즉시 분사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제1배관(300) 안에는 상기 제1용액이 들어있거나 비어있는 상태이고, 상기 제2밸브(220), 상기 제3밸브(130) 및 상기 제4밸브(230)는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펌프(110)에서 상기 제1용액을 공급하면서 가해지는 압력은 모두 상기 복수의 분사노즐(310)로 즉시 가기 때문이다. 상기 제1용액이 염수 또는 염화칼슘용액 등의 제설용액이고, 상기 제2용액이 물일 경우, 이와 같은 상기 제1모드는 동절기에 작동되는 일반적인 모드가 될 것이다.
한편, 상기 운용자로부터 상기 제2a모드가 선택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상기 제2a모드는, 상기 제1배관(300) 안에 상기 제2용액이 들어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배관(300) 안에 들어있는 상기 제2용액을 배출관을 통하여 모두 사전에 배출시킴으로써, 상기 도로면에는 상기 제1용액만 분사되도록 하기 위한 모드이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밸브(120) 및 상기 제4밸브(230)를 개방하고, 상기 제2밸브(120), 제3밸브(130) 및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320)를 폐쇄한 뒤, 상기 제1펌프(110)를 일정시간동안 가동하여 상기 제1배관(300), 상기 제3배관(500) 및 상기 제2배관(400)의 순으로 상기 제1용액이 공급되도록 하면, 각각의 배관 안에 남아있던 상기 제2용액이 상기 제1용액의 공급압력에 의하여, 배출배관인 상기 제4배관(131)으로 배출되게 되는데, 이 때 배출되는 상기 제2용액은 상기 제5배관(231)을 통하여 상기 제2저장탱크(200)로 회수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일정시간은 상기 제1배관(300)에서 상기 제2용액이 모두 빠져나가는 시간으로서, 펌프의 용량과 배관의 굵기 등을 감안하여 사전에 정해진 시간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제1센서(140) 및 상기 제2센서(240)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2센서(240)의 측정결과가 상기 제2용액에서 상기 제1용액으로 변화될 때까지의 시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어장치(20)는 상기 제2센서(240)의 측정결과에 따라 용액의 종류를 판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센서(240)는 상기 제2배관(400)에 흐르는 용액을 계속하여 측정하도록 하고, 측정결과 값을 상기 제어장치(20)에 계속하여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측정결과 값을 전송받은 상기 제어장치(20)는 용액의 종류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상기 제1용액으로 변화되는 경우 상기 일정시간이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센서(240)의 측정결과를 사용하는 이유는 상기 제2센서(240)는 상기 제5배관(231) 쪽에 위치하기 때문인데, 상기 제2센서(240)의 측정결과가 상기 제1용액으로 판단되는 시기는, 모든 배관에 상기 제1용액이 가득 차 있는 상태이며, 이 상태에서는 분사노즐을 열면 상기 제1용액이 분사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20)는 상기 제1배관(300)에서 상기 제2용액이 모두 빠져 나가자마자, 즉 상기 일정시간이 도달하면,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4밸브(230)를 폐쇄하고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320)를 개방하면서 상기 제1펌프(110)를 계속하여 가동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상태에서는 상기 제1밸브(120)와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320)만 개방되어 있고, 상기 제2밸브(220), 상기 제3밸브(130) 및 상기 제4밸브(230)는 폐쇄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제1펌프(110)에서 공급되는 상기 제1용액의 압력은 모두 상기 분사노즐(310)에만 가해지게 되어 상기 분사노즐(310)을 통하여 상기 제1용액이 분사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제2a모드에서는 상기 제1배관(300) 안에 상기 제2용액이 남아있다 하더라도, 미리 상기 제5배관(231)을 통하여 모두 배출하기 때문에, 상기 제2용액이 도로면에 분사되는 상황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일련의 작업이 수행되는 것이 운용자가 일일이 조작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어장치(20)에 의하여 자동으로 수행되고, 상기 제2센서(240)에 의하여 정확한 수행타이밍을 설정하기 때문에 실수나 오동작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 제1실시예에서 상기 제3a모드가 선택된 경우를 설명한다. 상기 제3a모드는 상기 제1배관(300) 안에 상기 제1용액이 들어있는 상태에서, 먼저 상기 제1배관(300) 안에 들어있는 상기 제1용액을 배출관을 통하여 모두 배출 시킨 후 상기 도로면에는 상기 제2용액만 분사되도록 하기 위한 모드로서, 동절기에 사용하던 제설용액이 상기 제1배관(300)안에 남아있는 상태에서 하절기 등이 도달하여 처음으로 작동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밸브(220) 및 상기 제3밸브(130)를 개방하고, 상기 제1밸브(120), 상기 제4밸브(230) 및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320)를 폐쇄한 뒤, 상기 제2펌프(210)를 일정시간동안 가동하여 상기 제2배관(400), 상기 제3배관(500) 및 상기 제1배관(300)의 순으로 상기 제2용액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때 각각의 배관 안에 남아있던 상기 제1용액이 상기 제2용액의 공급압력에 의하여, 배출배관인 상기 제4배관(131)으로 배출되게 되는데, 배출되는 상기 제1용액은 상기 제4배관(131)을 통하여 배출되어, 상기 제1저장탱크(100)로 회수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일정시간은 상기 제1배관(300)에서 상기 제1용액이 모두 빠져나가는 시간으로서, 펌프의 용량과 배관의 굵기 등을 감안하여 사전에 정해진 시간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며,
상기 제1센서(140) 및 상기 제2센서(240)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1센서(140)의 측정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장치(20)가 상기 제1배관(300)에 들어있는 용액의 종류를 판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제1센서(140) 및 상기 제2센서(240)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1센서(140)의 측정결과가 상기 제1용액에서 상기 제2용액으로 변화될 때까지의 시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어장치(20)는 상기 제1센서(140)의 측정결과에 따라 용액의 종류를 판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1센서(140)는 상기 제1배관(300)에 흐르는 용액을 계속하여 측정하도록 하고, 측정결과 값을 상기 제어장치(20)에 계속하여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측정결과 값을 전송받은 상기 제어장치(20)는 상기 제1배관(300)에 흐르는 용액의 종류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상기 제1배관(300)에 흐르는 용액이 상기 제2용액으로 변화되는 경우 상기 일정시간이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20)는 상기 제1배관(300)에서 상기 제1용액이 모두 빠져 나가자마자, 즉 상기 일정시간이 도달하면,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3밸브(130)를 폐쇄하고,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320)를 개방하면서 상기 제2펌프(210)를 계속하여 가동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상태에서는 상기 제2밸브(220)와 분사밸브(320)만 개방되어 있고, 상기 제1밸브(120), 상기 제3밸브(130) 및 상기 제4밸브(230)는 모두 폐쇄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제2펌프(210)에서 공급되는 상기 제2용액의 압력은 모두 상기 분사노즐(310)에만 가해지게 되어 상기 분사노즐(310)을 통하여 상기 제2용액이 분사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제3a모드에서는 상기 제1배관(300) 안에 상기 제1용액이 남아있다 하더라도, 미리 상기 제4배관(131)을 통하여 모두 배출하기 때문에, 상기 제1용액이 도로면에 분사되어 도로면이 미끄러워지는 위험상황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일련의 작업이 수행되는 것이 운용자가 일일이 조작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어장치(20)에 의하여 자동으로 수행되고, 상기 제1센서(140) 및 상기 제2센서(240)에 의하여 정확한 수행타이밍을 설정하기 때문에 실수나 오동작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 있다.
한편, 본 발명 제1실시예에서 상기 제4a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밸브(220) 및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320)를 개방하고, 상기 제1밸브(120), 상기 제3밸브(130) 및 상기 제4밸브(230)를 폐쇄한 뒤 상기 제2펌프(210)를 가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a모드는 상기 제1배관(300)이 비어있거나, 상기 제2용액이 들어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2용액을 분사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와 같이 각 밸브 및 펌프를 조작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상기 제4a모드에서는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밸브(220)와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320)만 개방되고, 상기 제1밸브(120), 상기 제3밸브(130) 및 상기 제4밸브(230)는 폐쇄되는 상태가 되므로 상기 제2펌프(210)에서 공급되는 상기 제2용액의 압력은 모두 상기 분사노즐(310)에만 가해지게 되어 상기 분사노즐(310)을 통하여 상기 제2용액이 분사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하여 제공되는 자동운전모드에는, 제5a모드 및 제6a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5a모드는, 상기 제1a모드 또는 상기 제2a모드로 작동하고 난 후 이거나 기타의 사유에 의하여, 상기 제1배관(300)에 상기 제1용액이 들어있는 상태인 경우, 상기 제1배관(300), 상기 제2배관(400) 및 상기 제3배관(500) 안에 들어있는 상기 제1용액을 모두 비운 후, 상기 제2용액이 들어있는(채워진) 상태로 만들기 위한 모드이며, 상기 제6a모드는, 상기 제3a모드 또는 상기 제4a모드로 작동하고 난 후 이거나 기타의 사유에 의하여, 상기 제1배관(300)에 상기 제2용액이 들어있는 상태인 경우, 상기 제1배관(300), 상기 제2배관(400) 및 상기 제3배관(500) 안에 들어있는 상기 제2용액을 비운 후, 상기 제1용액으로 채워진 상태로 만들기 위한 모드이다.
따라서 상기 제5a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장치(20)는,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밸브(220) 및 상기 제3밸브(130)를 개방하고, 상기 제1밸브(120), 제4밸브(30) 및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320)를 폐쇄한 뒤 상기 제2펌프(210)를 상기 일정시간동안 가동하다가, 도 5(b)에서 보듯이, 상기 제2밸브(220) 및 상기 제3밸브(130)도 폐쇄하면서 상기 제2펌프(210)의 가동을 중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배출되는 상기 제1용액은 상기 제4배관(131)을 통하여 상기 제1저장탱크(100)로 회수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여기서 상기 일정시간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전에 정해진 시간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고, 상기 제1센서(140) 및 상기 제2센서(240)가 포함된 경우에는 상기 제1센서(140)의 측정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제1용액이 상기 제2용액으로 변화되기까지의 시간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6a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장치(20)는, 도 4(b)에서 보듯이 상기 제1밸브(120) 및 상기 제4밸브(230)를 개방하고, 상기 제2밸브(220), 제3밸브(130) 및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320)를 폐쇄한 뒤 상기 제1펌프(110)를 상기 일정시간동안 가동하다가,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밸브(120) 및 상기 제4밸브(230)도 폐쇄하면서 상기 제1펌프(110)의 가동을 중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배출되는 상기 제2용액은 상기 제5배관(231)을 통하여 상기 제2저장탱크(200)로 회수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여기서 상기 일정시간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전에 정해진 시간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고, 상기 제2센서(240)가 포함된 경우에는 상기 제2센서(240)의 측정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제2용액이 상기 제1용액으로 변화되기까지의 시간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하여 제공되는 자동운전모드에는, 상술한 모드들 외에 제7a모드, 및 제8a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한데, 상기 제7a모드는, 상기 제1a모드 또는 상기 제2a모드로 작동한 이후 이거나, 기타 사유에 의하여, 상기 제1배관(300) 안에 상기 제1용액이 채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1배관(300), 상기 제2배관(400) 및 상기 제3배관(500)을 비어있는 상태로 만들기 위한 모드이며, 상기 제8a모드는, 상기 제3a모드 또는 상기 제4a모드로 작동한 이후 이거나, 기타 사유에 의하여, 상기 제1배관(300) 안에 상기 제2용액이 채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1배관(300), 상기 제2배관(400) 및 상기 제3배관(500)을 비어있는 상태로 만들기 위한 모드이다. 상기 제7a모드 또는 상기 제8a모드로 운전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2펌프(210)가 양방향으로 용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2펌프(210)는, 상기 제2배관(400)에 대하여 용액을 공급하는 제1방향운전과 상기 제2배관(400)으로부터 용액을 회수하는 제2방향운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방향운전과 상기 제2방향운전을 구현하는 방법으로는, 상기 제2펌프(210) 자체를 정회전 및 역회전을 통하여 양방향 펌핑이 가능한 펌프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며, 상기 제2펌프(210)에 대하여 바이패스배관과 밸브를 이용하여 양방향으로 용액을 공급하는 방법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바이패스배관과 밸브를 이용하여 양방향으로 용액을 공급하는 상세한 방법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7a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장치(20)는,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밸브(220) 및 상기 제3밸브(130)를 개방하고, 상기 제1밸브(120), 제4밸브(230) 및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320)를 모두 폐쇄한 뒤, 상기 제2펌프(210)를 상기 일정시간동안 상기 제1방향운전으로 가동하여 상기 제1용액을 상기 제4배관(131)을 통하여 상기 제1저장탱크(100)로 회수하다가, 상기 일정시간이 되면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펌프(210)를 상기 제2방향운전으로 전환한 뒤 상기 일정시간 동안 가동하여 상기 제1배관(300), 상기 제2배관(400) 및 상기 제3배관(500)에 공급된 상기 제2용액을 회수하여 상기 제2탱크(200)로 보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일정시간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전에 정해진 시간, 즉 상기 제1용액 또는 상기 제2용액이 다 빠져나갈 것으로 예상되는 시간으로 정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제1센서(140) 및 상기 제2센서(240)가 포함된 경우에는, 상기 제1방향운전에서는 상기 제1센서(140)의 측정결과 상기 제1용액이 상기 제2용액으로 변화되기까지의 시간으로 하고, 상기 제2방향운전에서는 상기 제2센서(240)의 측정결과가 상기 용액검출이 안될 때까지의 시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제7a모드에서 배관을 비워있는 상태로 만들 때는 상기 제2용액으로 헹구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배관 및 설비에서 염분을 제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설비의 수명을 오래가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8a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배관 안에 상기 제2용액이 채워져 있는 상태이므로, 도 10(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밸브(220) 및 상기 제3밸브(130)를 개방하고, 상기 제1밸브(120), 제4밸브(230) 및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320)를 폐쇄한 뒤, 상기 제2펌프(210)를 상기 제2방향운전으로 상기 일정시간동안 가동하여 상기 제1배관(300), 상기 제2배관(400) 및 상기 제3배관(500)에 공급된 상기 제2용액을 상기 제2탱크(200)로 보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일정시간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전에 정해진 시간, 즉 상기 제2용액이 다 빠져나갈 것으로 예상되는 시간으로 정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제1센서(140) 및 상기 제2센서(240)가 포함된 경우에는, 상기 제2센서(240)의 측정결과, 상기 용액검출이 안될 때까지의 시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7a모드와 상기 제8a모드는, 하나의 모드로 통합한 상기 제11a모드로 하는 것도 가능한데, 상기 제11a모드는, 상기 제어장치(20)가 상기 제1센서(140) 및/또는 상기 제2센서(240)를 이용하여 상기 제1배관(300)에 들어있는 용액에 대한 상기 용액검출 결과와 상기 용액의 종류를 판단하도록 하고, 상기 제1용액이 들어있는 경우에는 모든 배관들을 헹구고 비우는, 상기 제7a모드와 같은 절차를 수행하고, 제2용액이 들어있는 경우에는 그냥 비우는, 상기 제8a모드와 같은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용액검출이 안될 때는 아무 것도 수행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배관에 들어있는 용액에 대하여 상기 용액검출 여부 및 상기 용액의 종류를 상기 제어장치가 판단하여, 상기 제1a모드 또는 상기 제2a모드 중 하나를 자동으로 선택하여 수행하는 제9a모드와, 배관에 들어있는 용액에 대하여 상기 용액검출 여부 및 상기 용액의 종류를 상기 제어장치가 판단하여, 상기 제3a모드 또는 상기 제4a모드 중 하나를 자동으로 선택하여 수행하는 제10a모드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9a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장치(20)는, 상기 제1배관(300)에서 상기 용액검출 여부와 상기 용액의 종류를 판단하여, 상기 제1a모드 또는 상기 제2a모드 중 하나를 자동으로 선택하여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장치(20)는 상기 제1센서(140) 및/또는 제2센서(240)에서 보내주는 측정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1배관(300)에 대한 상기 용액검출 여부와 상기 용액의 종류를 판단하게 되며, 상기 제어장치(20)의 판단결과 상기 제1배관(300)이 비어있거나, 들어있는 용액이 상기 제1용액인 경우 상기 제1a모드를 수행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제어장치(20)는 상기 제1밸브(120),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320) 모두를 개방하고, 상기 제2밸브(220), 상기 제3밸브(130) 및 상기 제4밸브(230)를 폐쇄한 후 상기 제1펌프(110)를 가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20)의 판단결과 상기 제1배관(300)에 상기 제2용액이 들어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2a모드를 수행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제어장치(20)는 상기 제1밸브(120) 및 상기 제4밸브(230)를 개방하고, 상기 제2밸브(220), 상기 제3밸브(130) 및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320)를 모두 폐쇄한 후에 상기 제2펌프(210)를 상기 일정시간동안 가동하도록 한 후, 상기 일정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제4밸브(240)를 폐쇄한 후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320)를 개방한 후에 상기 제1펌프(110)를 계속하여 가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0a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장치(20)는, 상기 제1배관(300)에 대하여 용액검출 여부와 상기 용액의 종류를 판단하여, 상기 제3a모드 또는 상기 제4a모드 중 하나를 자동으로 선택하여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장치(20)는 상기 제1센서(140) 및/또는 제2센서(240)에서 보내주는 측정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1배관(300)에 대하여 용액검출 여부와 상기 용액의 종류를 판단하게 되며, 상기 제어장치(20)의 판단결과 상기 제1배관(300) 상기 제1용액이 들어있는 경우, 상기 제3a모드를 수행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제어장치(20)는, 상기 제2밸브(220), 상기 제3밸브(130)를 개방하고, 상기 제1밸브(120), 상기 제4밸브(230) 및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320) 모두를 폐쇄한 후, 상기 제2펌프를 일정시간동안 가동한 후, 상기 일정시간이 도달하면 상기 제3밸브(130)를 폐쇄한 후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320) 모두를 개방하고 상기 제2펌프(210)를 계속하여 가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20)의 판단결과 제1배관(300)이 비어있거나, 상기 제2용액이 들어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4a모드를 수행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제2밸브(220),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320)를 개방하고, 상기 제1밸브(120), 상기 제3밸브(130) 및 상기 제4밸브(230)를 폐쇄한 후 상기 제2펌프(210)를 가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중간밸브(510)가 더 포함되는 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이와 같이 중간밸브(510)를 더 포함하게 되면, 상기 제1용액을 분사하기 위한 상기 제1a모드 및 상기 제2a모드에서, 상기 제1용액의 분사를 위해 상기 제1펌프(110)를 가동할 때 상기 중간밸브(510)를 폐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1용액의 공급을 상기 제1배관(300)에 한하여 제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1용액의 절약과 함께 상기 제1용액과 상기 제2용액이 섞이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2센서(240)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3배관(500) 또는 상기 제1배관(300) 중 상기 제3배관(500) 쪽에 위치하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제2펌프에 대하여 상기 제1방향운전 및 상기 제2방향운전을 가능하게 하는 배관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제7a모드 및 제8a모드에서는 상기 제2펌프(210)가 양방향으로 용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2펌프(210)는, 상기 제2배관(400)에 대하여 용액을 공급하는 상기 제1방향운전과 상기 제2배관(400)으로부터 용액을 회수하는 상기 제2방향운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방향운전과 상기 제2방향운전을 구현하는 방법은, 상기 제2펌프(210) 자체를 정회전 및 역회전을 통하여 양방향 펌핑을 할 수 있는 펌프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며, 상기 제2펌프(210)에 대하여 바이패스배관과 밸브를 이용하여 양방향으로 용액을 공급하는 방법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바이패스배관과 밸브를 이용하여 양방향으로 용액을 공급하는 방법에 대하여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에서 보듯이 상기 제2펌프(210)를 양방향으로 용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2펌프(210)에 상기 제2펌프(210)를 각각 바이패스 할 수 있는 제1바이패스관(930) 및 제2바이패스관(940)을 포함하도록 하고, 상기 제1바이패스관(930) 및 상기 제2바이패스관(940)에는 제1바이패스밸브(931) 및 제2바이패스밸브(941)를 각각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바이패스관(930)이 제2배관(400)으로부터 인출되는 부분과 상기 제2펌프(210) 사이에는 제1차단밸브(910)가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제2바이패스관(940)은 상기 제1차단밸브(910)와 상기 제2펌프(210) 사이에서 인출되며, 상기 제2바이패스관(940)이 상기 제2배관(400)으로 인입되는 부분과 상기 제2펌프(210) 사이에는 제2차단밸브(920)가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제1바이패스(930)관은 상기 제2차단밸브(920)와 상기 제2펌프(210) 사이로 인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 하에 상기 제2펌프(210)를 상기 제1방향운전으로 가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차단밸브(910) 및 상기 제2차단밸브(920)를 개방하고, 상기 제1바이패스밸브(931) 및 제2바이패스밸브(941)를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렇게 하면 상기 제2펌프(210)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제2저장탱크(200) - 상기 제2차단밸브(920) - 상기 제2펌프(210) - 상기 제1차단밸브(910) 및 상기 제2밸브(220)의 순서로 용액의 흐름이 진행되는 방향인 상기 제1방향운전으로 작동되어 상기 제2배관(400)에 대한 제2용액의 공급이 가능해 진다. 그리고 상기 제2펌프(210)를 상기 제2방향운전으로 가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차단밸브(910) 및 상기 제2차단밸브(920)를 폐쇄하고, 상기 제1바이패스밸브(931) 및 제2바이패스밸브(941)를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렇게 하면 상기 제2펌프(210)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제2밸브(220) - 상기 제1바이패스배관(930) / 상기 제1바이패스밸브(931) - 상기 제2펌프(210) - 상기 제2바이패스배관(940) / 상기 제2바이패스밸브(941) 및 상기 제2저장탱크(200)의 순서로 용액의 흐름이 진행되는 방향인, 상기 제2방향운전으로 작동되어 상기 제2배관(400)으로부터 제2용액을 회수하여 상기 제2저장탱크(200)로 돌려보내는 것이 가능해 진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순환배관을 통하여 두 종류의 용액을 분사할 수 있는 용액분사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또한, 도로에 설치되어 있는 배관망을 통하여, 도로면 위에 제1용액과 제2용액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용액분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용액분사시스템 내에서 각종 밸브와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고, 센서로부터 오는 신호를 해석할 수 있는 상기 제어장치(20)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제1용액을 저장하는 제1저장탱크(100)는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상기 제1용액에 대한 공급라인(101)과 회수라인(102)을 가지고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용액을 저장하는 제2저장탱크(200) 또한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상기 제2용액에 대한 공급라인(201) 및 회수라인(202)을 가지고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저장탱크(100)의 공급라인(101)과 상기 제2저장탱크(200)의 공급라인(201)을 연결하는 제1연결관(700)을 가지도록 하고, 상기 제1저장탱크(100)의 회수라인(102)과 상기 제2저장탱크(200)의 회수라인(202)을 연결하는 제2연결관(600)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복수의 분사노즐(310)이 연결되는 제2배관(300)은 상기 제1연결관(700) 중에서 분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배관(400)은 상기 제2연결관(600) 중에서 분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배관(300)과 상기 제2배관(400)은 제3배관(500)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순환라인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배관(300)에는 상기 제1용액 또는 제2용액을 상기 제1배관(300)에 공급하는 펌프(150)가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달리 하나의 펌프만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제1배관(300)에는 상기 제1배관(300)에서 분기 연결되어 상기 도로면 위에 상기 제1용액 또는 상기 제2용액을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노즐(310)과 상기 복수의 분사노즐(310) 각각에 대한 분사를 제어하는 복수의 분사밸브(320)이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관(700) 중 상기 제1저장탱크(100) 쪽에서 상기 제1용액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1밸브(160), 상기 제1연결관(700) 중 상기 제2저장탱크(200) 쪽에서 상기 제2용액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2밸브(260), 상기 제2연결관(600) 중 상기 제1저장탱크(100) 쪽에서 상기 제1용액의 회수를 제어하는 제3밸브(170) 및 상기 제2연결관(600) 중 상기 제2저장탱크(200) 쪽에서 상기 제2용액의 회수를 제어하는 제4밸브(270)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센서가 더 포함되는 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도인데,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연결관(600)에 흐르는 용액의 성분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18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센서(180)는, 상기 제2배관(400) 중 상기 제2연결관(600)과 만나는 지점(미도시) 또는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2연결관(600) 중 상기 제2배관과 만나는 지점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20)는 상기 센서(180)의 측정결과에 따라 상기 제2연결관(600)에 흐르는 용액의 종류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센서(180) 또한 제1실시예의 상기 제1센서(140) 및 상기 제2센서(240)와 마찬가지로, 염도센서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이에 관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으로 대체하고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각 도면 상에서 빨간색 화살표 및 점선은 제1용액, 파란색 화살표 및 점선은 제2용액을 나타내며, 빨간색 X표는 밸브 잠김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설명에서 같다. 먼저 도 10(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제1용액이 분사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밸브(160) 및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320) 모두를 개방하고, 상기 제2밸브(260), 상기 제3밸브(170) 및 상기 제4밸브(270)을 폐쇄한 뒤에 상기 펌프(150)를 가동하게 되면, 상기 제1저장탱크(100)에 있는 상기 제1용액이 상기 제1배관(300)으로 공급되게 되며, 상기 제1배관(300)에 가해지는 상기 제1용액의 공급압력은 모두 상기 분사노즐(310)에 가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용액은 상기 도로면에 분사된다. 그리고 상기 제1용액을 상기 도로면에 분사하는 작업이 수행되고 난 후에는, 상기 제1배관(300)에는 상기 제1용액이 들어있게 된다.
한편 위와 같이 상기 제1용액을 분사하는 작업이 수행되고 난 뒤, 상기 제1배관(300)에는 상기 제1용액이 들어있는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제1배관(300)에 상기 제1용액이 들어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2용액을 분사하고자 하는 경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배관(300)에 들어있는 상기 제1용액을 모두 배출하거나, 상기 제1저장탱크(100)로 회수하고 난 후에 상기 제2용액을 공급하여 분사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2가지 종류의 용액을 선택적으로 분사하더라도, 이전에 남아있던 용액이 먼저 분사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10(b)는 상기 제1배관(300)으로부터 상기 제1용액을 배출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배관(300)으로부터 상기 제1용액을 배출하거나 회수하기 위해서는,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320), 상기 제1밸브(160) 및 상기 제4밸브(270)를 모두 폐쇄하고 상기 제2밸브(260)와 상기 제3밸브(170)를 개방한 후 상기 펌프(150)를 일정시간 동안 가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상기 제1배관(300)에 있는 상기 제1용액은 상기 펌프(150)에서 공급되는 상기 제2용액에 의하여 밀려나서 상기 제3밸브(170) 및 상기 제1저장탱크(100)의 회수라인(102)를 통하여 상기 제1저장탱크(100)로 회수된다. 여기서 일정시간은 상기 제1배관(300)에 있던 상기 제1용액이 모두 상기 제2배관(400)을 빠져나갈 때까지의 시간인데, 펌프의 가동용량과 배관의 크기 등을 감안하여 미리 정해놓은 시간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센서(180)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센서(180)의 측정결과 용액의 종류가 상기 제1용액에서 상기 제2용액으로 변한 시점까지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11(a)에는, 도 10(b)에서 상기 제1용액을 밀어내면서 들어온 상기 제2용액을 분사시키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도 10(b)의 상황에서, 개방되어 있던 상기 제3밸브(170)을 폐쇄하고, 폐쇄되어 있던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320)를 개방하면, 도 11(a)에서 보는 것처럼 상기 복수의 분사노즐(320)을 통하여 상기 제2용액이 상기 도로면으로 분사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용액을 상기 도로면에 분사하는 작업이 수행되고 난 후에는, 상기 제1배관(300)에는 상기 제2용액이 들어있는 상태로 있게 된다.
상기 제2용액을 분사하고 난 뒤, 상기 제1배관(300)에는 상기 제2용액이 들어있는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제1배관(300)에 제2용액이 들어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용액을 분사하고자 하는 경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배관(300)에 들어있는 상기 제2용액을 모두 배출하거나 상기 제2저장탱크(200)로 회수하고 난 후에 상기 제1용액을 공급하여 분사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1(b)는 이와 같이 상기 제2용액을 회수하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배관(300)으로부터 상기 제2용액을 회수하기 위해서는,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320), 상기 제2밸브(260) 및 상기 제3밸브(170)를 모두 폐쇄하고 상기 제1밸브(160)와 상기 제4밸브(270)를 개방한 후 상기 펌프(150)를 일정시간 동안 가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상기 제1배관(300)에 있는 상기 제2용액은 상기 펌프(150)에서 공급되는 상기 제1용액에 의하여 밀려나서 상기 제4밸브(270) 및 상기 제2저장탱크(200)의 회수라인(202)를 통하여 상기 제2저장탱크(200)로 회수된다. 여기서 일정시간은 상기 상기 제2용액이 모두 배출될 때까지의 시간인데, 펌프의 가동용량과 배관의 크기 등을 감안하여 미리 정해놓은 시간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며, 상기 센서(180)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센서(180)의 측정결과 용액의 종류가 상기 제2용액에서 상기 제1용액으로 변하는 시점까지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의 제2실시예는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제1배관(300)에 대하여 용액들을 공급하거나 배출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는 본원발명의 특징적인 구조들로 인하여 가능한 것이며, 본원발명은 이러한 특징적인 구조로 말미암아 후술하게 되는 다양한 자동운전모드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도, 용액분사시스템에 포함된 상기 제어장치(20)는 용액분사시스템의 운용자에게 다양한 종류의 자동운전모드를 제공하여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제공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자동운전모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아래 표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제공 가능한 자동운전모드를 요약해 놓은 표이다. 이하에서는 아래 표 2와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제공 가능한 자동운전모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모드 제1배관에
들어있는 용액
실행할 내용 제어장치의 제어순서
제1b모드 제1용액
제1용액을
도로면에 분사
제1밸브/분사밸브 개방, 제2밸브/제3밸브/제4밸브 폐쇄 → 펌프가동
제2b모드 제2용액 제1용액을
도로면에 분사
제1밸브/제4밸브 개방, 제2밸브/제3밸브/분사밸브 폐쇄 → 일정시간 펌프가동 → 제4밸브 폐쇄, 분사밸브 개방 → 펌프 계속가동
제3b모드 제1용액 제2용액을
도로면에 분사
제2밸브/제3밸브 개방, 제1밸브/제4밸브/분사밸브폐쇄 → 일정시간 펌프가동 → 제3밸브 폐쇄, 분사밸브 개방 → 펌프 계속가동
제4b모드 제2용액 제2용액을
도로면에 분사
제2밸브/분사밸브 개방, 제1밸브/제3밸브/제4밸브 폐쇄 → 펌프 가동
제5b모드 제1용액 제2용액을
제1배관에 채움
제2밸브/제3밸브 개방, 제1밸브/제4밸브/분사밸브 폐쇄 → 일정시간 펌프가동 → 제2밸브/제3밸브 폐쇄 → 펌프 가동중지
제6b모드 제2용액 제1용액을
제1배관에 채움
제1밸브/제4밸브 개방, 제2밸브/제3밸브/분사밸브 폐쇄 → 제1펌프 일정시간 가동 → 제1밸브/제4밸브 폐쇄 → 펌프 가동중지
제7b모드 제1용액 또는
제2용액
제1용액을
도로면에 분사
제1배관의 용액종류 판단 →
(제1용액인 경우) 제1b모드 수행
(제2용액인 경우) 제2b모드 수행
제8b모드 제1용액 또는
제2용액
제2용액을
도로면에 분사
제1배관의 용액종류 판단 →
(제1용액인 경우) 제3b모드 수행
(제2용액인 경우) 제4b모드 수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서, 상기 제어장치(20)는, 상기 운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는 복수의 자동운전모드를 제공하며, 상기 복수의 자동운전모드에는, ①상기 제1배관(300) 안에 상기 제1용액이 들어있는 상태에서 상기 도로면 위에 상기 제1용액을 분사해야 하는 제1b모드, ② 상기 제1배관(300) 안에 상기 제2용액이 들어있는 상태에서 상기 도로면 위에 상기 제1용액을 분사해야 하는 제2b모드, ③상기 제1배관(300) 안에 상기 제1용액이 들어있는 상태에서 상기 도로면 위에 상기 제2용액을 분사해야 하는 제3b모드 및 ④상기 제1배관(300) 안에 상기 제2용액이 들어있는 상태에서 상기 도로면 위에 상기 제2용액을 분사해야 하는 제4b모드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용액분사시스템의 운용자는 위와 같은 경우의 작업을 하기 위해서 각각의 밸브개폐와 펌프가동을 일일이 제어할 필요가 없이 위 4가지 중에 하나의 자동운전모드를 선택하기만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상기 제1b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상기 제어장치(20)는, 도 10(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밸브(160) 및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320)를 개방하고, 상기 제2밸브(260), 상기 제3밸브(170) 및 상기 제4밸브(270)를 폐쇄한 뒤 상기 펌프(150)를 가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1저장탱크(100) 안에 있는 상기 제1용액은 상기 제1밸브(160) 및 상기 펌프(150)를 통하여 상기 분사노즐(310)로 분사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제1배관(300) 안에 이전부터 남아있던, 상기 제1용액은 상기 분사노즐(310)을 통하여 먼저 분사된다.
그리고 상기 제2b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먼저 도 1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밸브(160) 및 상기 제4밸브(270)를 개방하고, 상기 제2밸브(260), 상기 제3밸브(170) 및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320)를 폐쇄한 뒤 상기 펌프(150)를 일정시간동안 가동함으로써 상기 제1배관(300)으로 상기 제1용액을 공급하고, 상기 제1용액의 공급압력에 의하여 상기 제1배관(300) 안에 이전부터 남아있던, 제2용액을 상기 제4밸브(270)를 통하여 밀어내어 상기 제2저장탱크로 회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일정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제1배관(300) 안에 상기 제1용액으로 채워지게 되며, 이 때 도 10(a)에서 처럼 상기 제4밸브(270)를 폐쇄하고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320)를 개방하면서 상기 펌프(150)를 계속하여 가동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저장탱크(100) 안에 있는 상기 제1용액이 상기 제1밸브(160) 및 상기 펌프(150)를 통하여 상기 분사노즐(310)로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일정시간은 상기 펌프(150)의 용량과 배관의 굵기 등을 감안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상기 제2용액에서 상기 제1용액으로 변하는 시간)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센서(180)가 측정한 결과 값에 따라 상기 제2연결관(600)에 흐르는 용액이 상기 제2용액에서 상기 제1용액으로 변화되기까지의 시간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일정시간을 기점으로 상기 제4밸브(270)는 폐쇄되고,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320)가 개방되므로 상기 펌프(150)를 통해서 공급되는 제1용액은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320)로만 분출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b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1배관(300) 안에 있던 상기 제2용액은 모두 회수된 다음에 상기 제1용액이 분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3b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도 10(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밸브(260) 및 상기 제3밸브(170)를 개방하고, 상기 제1밸브(160), 제4밸브(270) 및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320)를 폐쇄한 뒤 상기 펌프를 일정시간동안 가동함으로써 상기 제1배관(300)으로 상기 제2용액을 공급하고, 상기 제2용액의 공급압력에 의하여 상기 제1배관(300) 안에 이전부터 남아있던, 상기 제1용액을 상기 제3밸브(170)를 통하여 밀어내어 상기 제1저장탱크로 회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일정시간이 도달하면, 도 11(a)에서 처럼 상기 제3밸브(170)를 폐쇄하고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320)를 개방하면서 상기 펌프(150)를 계속하여 가동함으로써 상기 제2저장탱크(200) 안에 있는 상기 제2용액이 상기 제2밸브(260) 및 상기 펌프(150)를 통하여 상기 분사노즐(310)로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일정시간은 상기 펌프(150)의 용량과 배관의 굵기 등을 감안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상기 제1용액에서 상기 제2용액으로 변하는 시간)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센서(180)가 측정한 결과 값에 따라 상기 제2연결관(600)에 흐르는 용액이 상기 제1용액에서 상기 제2용액으로 변화되기까지의 시간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일정시간을 기점으로 상기 제3밸브(170)는 폐쇄되고,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320)가 개방되므로 상기 펌프(150)를 통해서 공급되는 제2용액은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320)로만 분출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3b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1배관(300) 안에 있던 상기 제1용액은 모두 회수된 다음에 상기 제2용액이 분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4b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도 1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밸브(260) 및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320)를 개방하고, 상기 제1밸브(160), 상기 제3밸브(170) 및 상기 제4밸브(270)를 폐쇄한 뒤 상기 펌프(150)를 가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2저장탱크(200) 안에 있는 상기 제2용액은 상기 제2밸브(260) 및 상기 펌프(150)를 통하여 상기 분사노즐(310)로 분사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제1배관(300) 안에 이전부터 남아있던, 제2용액 또한 상기 분사노즐(310)을 통하여 먼저 분사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자동운전모드에는, 상기 제1b모드 또는 상기 제2b모드로 작동한 이후에 상기 제1배관(300)에 상기 제1용액이 들어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배관(300), 상기 제2배관(400) 및 상기 제3배관(500)에 들어있는 용액을 상기 제2용액으로 교체하여 채우는 제5b모드와, 상기 제3b모드 또는 상기 제4b모드로 작동한 이후 상기 제1배관(300)에 상기 제1용액이 들어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배관(300), 상기 제2배관(400) 및 상기 제3배관(500)에 들어있는 용액을 상기 제1용액으로 교체하여 채우는 제6b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5b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어장치(20)는, 도 10(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밸브(260) 및 상기 제3밸브(170)를 개방하고, 상기 제1밸브(160), 제4밸브(270) 및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320)를 폐쇄한 뒤 상기 펌프(150)를 상기 일정시간동안 가동하여 상기 제1배관(300)에 상기 제2용액을 공급하고, 상기 제2용액의 공급압력에 의하여 상기 제1배관(300), 상기 제2배관(400) 및 상기 제3배관(500)에 들어있는 상기 제1용액은, 상기 제3밸브(170)를 거쳐서 상기 제1저장탱크(100)로 회수된다. 따라서 상기 제1용액이 들어있던 배관들을 상기 제2용액으로 교체하여 채워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일정시간이 도달하는 시점, 즉 상기 센서(180)가 위치한 곳의 용액이 상기 제2용액으로 변화된 시점에 상기 제2밸브(260) 및 상기 제3밸브(170)도 폐쇄하면서 상기 펌프(150)의 가동을 중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20)는 상기 제6b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도 1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밸브(160) 및 상기 제4밸브(270)를 개방하고, 상기 제2밸브(260), 제3밸브(170) 및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320)를 폐쇄한 뒤 상기 펌프를 상기 일정시간동안 가동함으로써 상기 제1배관(300), 상기 제2배관(400) 및 상기 제3배관(500)에 들어있는 상기 제2용액에 대하여, 상기 제4밸브(270)를 거쳐서 상기 제2저장탱크(200)로 회수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제2용액이 들어있던 배관들을 상기 제1용액으로 교체하여 채우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일정시간이 도달하는 시점, 즉 상기 센서(180)가 위치한 곳의 용액이 상기 제1용액으로 변화된 시점에 상기 제1밸브(160) 및 상기 제4밸브(270)도 폐쇄하면서 상기 펌프(150)의 가동을 중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배관(300)에 들어있는 용액의 종류를 상기 제어장치가 판단하여, 상기 제1b모드 또는 상기 제2b모드 중 하나를 자동으로 선택하여 수행하는 제7b모드와 상기 제1배관(300)에 들어있는 용액의 종류를 상기 제어장치가 판단하여, 상기 제3b모드 또는 상기 제4b모드 중 하나를 자동으로 선택하여 수행하는 제8b모드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운용자에 의하여 상기 제7b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장치(20)는, 상기 제1배관(300)에 들어있는 용액의 종류를 상기 제어장치(20)가 판단하여, 상기 제1b모드 또는 상기 제2b모드 중 하나를 자동으로 선택하여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9a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장치(20)는 상기 센서(180)에서 보내주는 측정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1배관(300)에 들어있는 용액종류를 판단하게 되며, 상기 제어장치(20)의 판단결과 상기 제1배관(300)에 들어있는 용액이 상기 제1용액인 경우, 상기 제1b모드를 수행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제어장치(20)는 상기 제1밸브(160),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320) 모두를 개방하고, 상기 제2밸브(260), 상기 제3밸브(170) 및 상기 제4밸브(270)를 폐쇄한 후 상기 펌프(150)를 가동하도록 하고, 상기 제어장치(20)의 판단결과 상기 제1배관(300)에 들어있는 용액이 상기 제2용액인 경우, 상기 제2b모드를 수행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제어장치(20)는 상기 제1밸브(160) 및 상기 제4밸브(270)를 개방하고, 상기 제2밸브(260), 상기 제3밸브(170) 및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320)를 모두 폐쇄한 후에 상기 펌프(150)를 상기 일정시간동안 가동하도록 한 후, 상기 일정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제4밸브(270)를 폐쇄한 후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320)를 개방한 후에 상기 펌프(150)를 계속하여 가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8b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장치(20)는, 상기 제1배관(300)에 들어있는 용액의 종류를 상기 제어장치(20)가 판단하여, 상기 제3b모드 또는 상기 제4b모드 중 하나를 자동으로 선택하여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8b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장치(20)는 상기 센서(180)에서 보내주는 측정결과를 토대로 상기 제1배관(300)에 들어있는 용액종류를 판단하게 되며, 상기 제어장치(20)의 판단결과 상기 제1배관(300)에 들어있는 용액이 상기 제1용액인 경우, 상기 제3b모드를 수행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제어장치(20)는, 상기 제2밸브(260), 상기 제3밸브(170)를 개방하고, 상기 제1밸브(160), 상기 제4밸브(270) 및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320) 모두를 폐쇄한 후, 상기 펌프(150)를 일정시간동안 가동한 후, 상기 일정시간이 도달하면 상기 제3밸브(170)를 폐쇄한 후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320) 모두를 개방하고 상기 펌프(150)를 계속하여 가동하도록 하며, 상기 제어장치(20)의 판단결과 제2용액인 경우에는 상기 제4b모드를 수행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제2밸브(260),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320)를 개방하고, 상기 제1밸브(160), 상기 제3밸브(170) 및 상기 제4밸브(270)를 폐쇄한 후 상기 펌프(150)를 가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여러 가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펌프실 20 제어장치
100 제1저장탱크
110 제1펌프 120,160 제1밸브
131 제4배관 130,170 제3밸브
140,240,180 센서 150 펌프
200 제2저장탱크
210 제2펌프 220,260 제2밸브
230,270 제4밸브 231 제5배관
300 제1배관
310 분사노즐 320 분사밸브
400 제2배관
500 제3배관
510 중간밸브
600 제2연결관
700 제1연결관
910 제1차단밸브 920 제2차단밸브
930 제1바이패스관 940 제2바이패스관
931 제1바이패스밸브 941 제2바이패스밸브

Claims (11)

  1. 삭제
  2. 도로에 설치되어 있는 배관망을 통하여, 도로면 위에 제1용액과 제2용액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용액분사시스템에 있어서,
    제어장치;
    상기 제1용액을 저장하는 제1저장탱크;
    상기 제2용액을 저장하는 제2저장탱크;
    상기 제1저장탱크에 연결되는 제1배관;
    상기 제2저장탱크에 연결되는 제2배관;
    상기 제1배관과 상기 제2배관을 연결하는 제3배관;
    상기 제1저장탱크로 부터 상기 제1용액을 상기 제1배관에 공급하는 제1펌프;
    상기 제2저장탱크로 부터 상기 제2용액을 상기 제2배관에 공급하는 제2펌프;
    상기 제1배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도로면 위에 상기 제1용액 또는 상기 제2용액을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노즐;
    상기 복수의 분사노즐 각각에 대한 분사를 제어하는 복수의 분사밸브;
    상기 제1배관에서 상기 제1용액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1밸브;
    상기 제2배관에서 상기 제2용액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2밸브;
    상기 제1배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1배관의 용액을 배출시킬 수 있는 제4배관;
    상기 제4배관에서 상기 제1배관의 용액배출을 제어하는 제3밸브;
    상기 제2배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2배관의 용액을 배출시킬 수 있는 제5배관; 및
    상기 제5배관에서 상기 제2배관의 용액배출을 제어하는 제4밸브;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장치는, 운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는 복수의 자동운전모드를 제공하며, 상기 복수의 자동운전모드에는,
    - 상기 제1배관이 비어있거나, 상기 제1용액이 들어있는 상태에서 상기 도로면 위에 상기 제1용액을 분사해야 하는 제1a모드,
    - 상기 제1배관에 상기 제2용액이 들어있는 상태에서 상기 도로면 위에 상기 제1용액을 분사해야 하는 제2a모드,
    - 상기 제1배관에 상기 제1용액이 들어있는 상태에서 상기 도로면 위에 상기 제2용액을 분사해야 하는 제3a모드 및
    - 상기 제1배관이 비어있거나, 상기 제2용액이 들어있는 상태에서 상기 도로면 위에 상기 제2용액을 분사해야 하는 제4a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복수의 자동운전모드 중 하나가 선택된 경우 중,
    - 상기 제1a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제1밸브 및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2밸브, 상기 제3밸브 및 상기 제4밸브를 폐쇄한 뒤 상기 제1펌프를 가동하며,
    - 상기 제2a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제1밸브 및 상기 제4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2밸브, 상기 제3밸브 및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를 폐쇄한 뒤 상기 제2펌프를 일정시간동안 가동하다가, 상기 제4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를 개방하면서 상기 제1펌프를 계속하여 가동하며,
    - 상기 제3a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제2밸브 및 상기 제3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1밸브, 제4밸브 및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를 폐쇄한 뒤 상기 제2펌프를 상기 일정시간동안 가동하다가, 상기 제3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를 개방하면서 상기 제2펌프를 계속하여 가동하며,
    - 상기 제4a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제2밸브 및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1밸브, 상기 제3밸브 및 상기 제4밸브를 폐쇄한 뒤 상기 제2펌프를 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배관을 통하여 두 종류의 용액을 분사할 수 있는 용액분사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동운전모드에는,
    - 상기 제1용액이 들어있는 상태인 상기 제1배관을, 상기 제2용액이 들어있는 상태로 만들기 위한 제5a모드 및
    - 상기 제2용액이 들어있는 상태인 상기 제1배관을, 상기 제1용액이 들어있는 상태로 만들기 위한 제6a모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복수의 자동운전모드 중 하나가 선택된 경우 중,
    - 상기 제5a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제2밸브 및 상기 제3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1밸브, 제4밸브 및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를 폐쇄한 뒤 상기 제2펌프를 상기 일정시간동안 가동하다가 상기 제2밸브 및 상기 제3밸브도 폐쇄하면서 상기 제2펌프의 가동을 중지하며,
    - 상기 제6a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제1밸브 및 상기 제4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2밸브, 제3밸브 및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를 폐쇄한 뒤 상기 제1펌프를 상기 일정시간동안 가동하다가 상기 제1밸브 및 상기 제4밸브도 폐쇄하면서 상기 제1펌프의 가동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배관을 통하여 두 종류의 용액을 분사할 수 있는 용액분사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펌프는, 상기 제2배관에 대하여 용액을 공급하는 제1방향운전 및 상기 제2배관으로부터 용액을 회수하는 제2방향운전이 가능하며,
    상기 복수의 자동운전모드에는,
    - 상기 제1용액이 들어있는 상태인 상기 제1배관을, 비어있는 상태로 만들기 위한 제7a모드 및
    - 상기 제2용액이 들어있는 상태인 상기 제1배관을, 비어있는 상태로 만들기 위한 제8a모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복수의 자동운전모드 중 하나가 선택된 경우 중,
    - 상기 제7a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제2밸브 및 상기 제3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1밸브, 제4밸브 및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를 폐쇄한 뒤, 상기 제2펌프를 상기 일정시간동안 상기 제1방향운전으로 가동하다가, 상기 제2펌프를 상기 일정시간 동안 상기 제2방향운전으로 가동하며,
    - 상기 제8a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제2밸브 및 상기 제3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1밸브, 제4밸브 및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를 폐쇄한 뒤, 상기 제2펌프를 상기 일정시간 동안 상기 제2방향운전으로 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배관을 통하여 두 종류의 용액을 분사할 수 있는 용액분사시스템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관 및 상기 제2배관 내부에 들어있는 용액성분을 각각 측정하여 측정결과를 상기 제어장치에 전송하는 제1센서 및 제2센서;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가 전송한 상기 측정결과에 따라 상기 제1배관 및 상기 제2배관에 대한 용액검출 여부와 용액의 종류를 판단하며,
    상기 일정시간은, 상기 용액의 종류가 상기 제1용액에서 상기 제2용액으로 변화되거나, 상기 제2용액에서 상기 제1용액으로 변화되거나, 상기 용액검출이 안되기까지의 시간이며,
    상기 복수의 자동운전모드에는,
    -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용액검출 여부와 상기 용액의 종류를 판단한 후, 상기 도로면 위에 상기 제1용액을 분사하는 제9a모드 및
    -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용액검출 여부와 상기 용액의 종류를 판단한 후, 상기 도로면 위에 상기 제2용액을 분사하는 제10a모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복수의 자동운전모드 중 하나가 선택된 경우 중,
    - 상기 제9a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용액검출이 되지 않거나 상기 용액의 종류가 상기 제1용액이면 상기 제1a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용액의 종류가 상기 제2용액이면 상기 제2a모드를 수행하며,
    - 상기 제10a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용액의 종류가 상기 제1용액이면 상기 제3a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용액검출이 되지 않거나 상기 용액의 종류가 상기 제2용액이면 상기 제4a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배관을 통하여 두 종류의 용액을 분사할 수 있는 용액분사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관 및 상기 제2배관 내부에 들어있는 용액성분을 각각 측정하여 측정결과를 상기 제어장치에 전송하는 제1센서 및 제2센서;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가 전송한 상기 측정결과에 따라 상기 제1배관 및 상기 제2배관에 대한 용액검출 여부와 용액의 종류를 판단하며,
    상기 일정시간은, 상기 용액의 종류가 상기 제1용액에서 상기 제2용액으로 변화되거나, 상기 제2용액에서 상기 제1용액으로 변화되거나, 상기 용액검출이 안되기까지의 시간이며,
    상기 복수의 자동운전모드에는,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용액검출 여부와 상기 용액의 종류를 판단한 후, 상기 제1배관을 비어있는 상태로 만들기 위한 제11a모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복수의 자동운전모드 중 하나가 선택된 경우 중, 상기 제11a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용액의 종류가 상기 제1용액이면 상기 제7a모드를 수행하며, 상기 용액의 종류가 상기 제2용액이면 상기 제8a모드를 수행하며, 상기 용액검출이 안되면 아무 것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배관을 통하여 두 종류의 용액을 분사할 수 있는 용액분사시스템
  7. 도로에 설치되어 있는 배관망을 통하여, 도로면 위에 제1용액과 제2용액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용액분사시스템에 있어서,
    제어장치;
    상기 제1용액을 저장하는 제1저장탱크;
    상기 제2용액을 저장하는 제2저장탱크;
    상기 제1저장탱크에 연결되는 제1배관;
    상기 제2저장탱크에 연결되는 제2배관;
    상기 제1배관과 상기 제2배관을 연결하는 제3배관;
    상기 제1저장탱크로 부터 상기 제1용액을 상기 제1배관에 공급하는 제1펌프;
    상기 제2저장탱크로 부터 상기 제2용액을 상기 제2배관에 공급하는 제2펌프;
    상기 제1배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도로면 위에 상기 제1용액 또는 상기 제2용액을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노즐;
    상기 복수의 분사노즐 각각에 대한 분사를 제어하는 복수의 분사밸브;
    상기 제1배관에서 상기 제1용액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1밸브;
    상기 제2배관에서 상기 제2용액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2밸브;
    상기 제1배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1배관의 용액을 배출시킬 수 있는 제4배관;
    상기 제4배관에서 상기 제1배관의 용액배출을 제어하는 제3밸브;
    상기 제2배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2배관의 용액을 배출시킬 수 있는 제5배관; 및
    상기 제5배관에서 상기 제2배관의 용액배출을 제어하는 제4밸브;를 포함하되,
    상기 제2펌프는, 상기 제2배관에 대하여 용액을 공급하는 제1방향운전 및 상기 제2배관으로부터 용액을 회수하는 제2방향운전이 가능하며,
    상기 제2펌프에는 상기 제2펌프를 각각 바이패스 할 수 있는 제1바이패스관 및 제2바이패스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1바이패스관 및 상기 제2바이패스관에는 제1바이패스밸브 및 제2바이패스밸브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제1바이패스관이 제2배관으로부터 인출되는 부분과 상기 제2펌프 사이에는 제1차단밸브가 있으며,
    상기 제2바이패스관은 상기 제1차단밸브와 상기 제2펌프 사이에서 인출되며,
    상기 제2바이패스관이 상기 제2배관으로 인입되는 부분과 상기 제2펌프 사이에는 제2차단밸브가 있으며,
    상기 제1바이패스관은 상기 제2차단밸브와 상기 제2펌프 사이로 인입되며,
    상기 제2펌프를 상기 제1방향운전으로 가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차단밸브 및 상기 제2차단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1바이패스밸브 및 제2바이패스밸브를 폐쇄하며,
    상기 제2펌프를 상기 제2방향운전으로 가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차단밸브 및 상기 제2차단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제1바이패스밸브 및 제2바이패스밸브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배관을 통하여 두 종류의 용액을 분사할 수 있는 용액분사시스템
  8. 도로에 설치되어 있는 배관망을 통하여, 도로면 위에 제1용액과 제2용액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용액분사시스템에 있어서,
    제어장치;
    상기 제1용액을 저장하며, 공급라인과 회수라인을 가지고 있는 제1저장탱크;
    상기 제2용액을 저장하며, 공급라인과 회수라인을 가지고 있는 제2저장탱크;
    상기 제1저장탱크의 공급라인과 상기 제2저장탱크의 공급라인을 연결하는 제1연결관;
    상기 제1저장탱크의 회수라인과 상기 제2저장탱크의 회수라인을 연결하는 제2연결관;
    상기 제1연결관 중에서 분기되는 제1배관;
    상기 제2연결관 중에서 분기되는 제2배관;
    상기 제1배관과 상기 제2배관을 연결하는 제3배관;
    상기 제1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제1용액 또는 제2용액을 상기 제1배관에 공급하는 펌프;
    상기 제1배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도로면 위에 상기 제1용액 또는 상기 제2용액을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노즐;
    상기 복수의 분사노즐 각각에 대한 분사를 제어하는 복수의 분사밸브;
    상기 제1연결관 중 상기 제1저장탱크 쪽에서 상기 제1용액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1밸브;
    상기 제1연결관 중 상기 제2저장탱크 쪽에서 상기 제2용액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2밸브;
    상기 제2연결관 중 상기 제1저장탱크 쪽에서 상기 제1용액의 회수를 제어하는 제3밸브; 및
    상기 제2연결관 중 상기 제2저장탱크 쪽에서 상기 제2용액의 회수를 제어하는 제4밸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배관을 통하여 두 종류의 용액을 분사할 수 있는 용액분사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운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는 복수의 자동운전모드를 제공하며, 상기 복수의 자동운전모드에는,
    - 상기 제1배관에 상기 제1용액이 들어있는 상태에서 상기 도로면 위에 상기 제1용액을 분사해야 하는 제1b모드,
    - 상기 제1배관에 상기 제2용액이 들어있는 상태에서 상기 도로면 위에 상기 제1용액을 분사해야 하는 제2b모드,
    - 상기 제1배관에 상기 제1용액이 들어있는 상태에서 상기 도로면 위에 상기 제2용액을 분사해야 하는 제3b모드 및
    - 상기 제1배관에 상기 제2용액이 들어있는 상태에서 상기 도로면 위에 상기 제2용액을 분사해야 하는 제4b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복수의 자동운전모드 중 하나가 선택된 경우 중,
    - 상기 제1b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제1밸브 및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2밸브, 상기 제3밸브 및 상기 제4밸브를 폐쇄한 뒤 상기 펌프를 가동하며,
    - 상기 제2b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제1밸브 및 상기 제4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2밸브, 상기 제3밸브 및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를 폐쇄한 뒤 상기 펌프를 일정시간동안 가동하다가, 상기 제4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를 개방하면서 상기 펌프를 계속하여 가동하며,
    - 상기 제3b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제2밸브 및 상기 제3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1밸브, 제4밸브 및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를 폐쇄한 뒤 상기 펌프를 상기 일정시간동안 가동하다가, 상기 제3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를 개방하면서 상기 펌프를 계속하여 가동하며,
    - 상기 제4b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제2밸브 및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1밸브, 상기 제3밸브 및 상기 제4밸브를 폐쇄한 뒤 상기 펌프를 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배관을 통하여 두 종류의 용액을 분사할 수 있는 용액분사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동운전모드에는,
    - 상기 제1용액이 들어있는 상태인 상기 제1배관을, 상기 제2용액이 들어있는 상태로 만들기 위한 제5b모드를 더 포함하며,
    - 상기 제2용액이 들어있는 상태인 상기 제1배관을, 상기 제1용액이 들어있는 상태로 만들기 위한 제6b모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복수의 자동운전모드 중 하나가 선택된 경우 중,
    - 상기 제5b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제2밸브 및 상기 제3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1밸브, 제4밸브 및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를 폐쇄한 뒤 상기 펌프를 상기 일정시간동안 가동하다가 상기 제2밸브 및 상기 제3밸브도 폐쇄하면서 상기 펌프의 가동을 중지하며,
    - 상기 제6b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제1밸브 및 상기 제4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제2밸브, 제3밸브 및 상기 복수의 분사밸브를 폐쇄한 뒤 상기 펌프를 상기 일정시간동안 가동하다가 상기 제1밸브 및 상기 제4밸브도 폐쇄하면서 상기 펌프의 가동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배관을 통하여 두 종류의 용액을 분사할 수 있는 용액분사시스템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관에 들어있는 용액성분에 대한 측정결과를 상기 제어장치에 전송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센서는, 상기 제2배관 중 상기 제2연결관과 만나는 지점 또는 상기 제2연결관 중 상기 제2배관과 만나는 지점에 위치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센서가 전송한 상기 측정결과에 따라 상기 제2배관에 들어있는 용액의 종류를 판단하며,
    상기 일정시간은, 상기 센서의 측정결과가 상기 제1용액에서 상기 제2용액으로 변화되거나, 상기 제2용액에서 상기 제1용액으로 변화되기까지의 시간이며,
    상기 복수의 자동운전모드에는,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용액의 종류를 판단한 후,
    - 상기 도로면 위에 상기 제1용액을 분사하는 제7b모드 및
    - 상기 도로면 위에 상기 제2용액을 분사하는 제8b모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복수의 자동운전모드 중 하나가 선택된 경우 중,
    - 상기 제7b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용액의 종류가 상기 제1용액이면 상기 제1b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용액의 종류가 상기 제2용액이면 상기 제2b모드를 수행하며,
    - 상기 제8b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용액의 종류가 상기 제1용액이면 상기 제3b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용액의 종류가 상기 제2용액이면 상기 제4b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배관을 통하여 두 종류의 용액을 분사할 수 있는 용액분사시스템
KR1020190134728A 2019-10-28 2019-10-28 순환배관을 통하여 두 종류의 용액을 분사할 수 있는 용액분사시스템 KR102209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728A KR102209345B1 (ko) 2019-10-28 2019-10-28 순환배관을 통하여 두 종류의 용액을 분사할 수 있는 용액분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4728A KR102209345B1 (ko) 2019-10-28 2019-10-28 순환배관을 통하여 두 종류의 용액을 분사할 수 있는 용액분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9345B1 true KR102209345B1 (ko) 2021-01-28

Family

ID=74239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4728A KR102209345B1 (ko) 2019-10-28 2019-10-28 순환배관을 통하여 두 종류의 용액을 분사할 수 있는 용액분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93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86451A (zh) * 2021-12-01 2022-02-25 董慧玲 一种城市道路面养护装置
KR20220022532A (ko) * 2020-08-19 2022-02-28 (주)에스알디코리아 도로살얼음과 노면 솟음을 방지할 수 있는 염수분사장치 동·하절기 전환 시스템 및 제어 전환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257B1 (ko) * 2006-09-19 2007-04-25 주식회사 태경이엔지 흡입 및 배출이 가능한 살수펌프가 구비된 살수차
KR101011998B1 (ko) * 2010-06-04 2011-01-31 신공항하이웨이 주식회사 액상 제설재 살포장치
KR101599732B1 (ko) * 2015-10-22 2016-03-04 (주)즐거운미래 펌프 구동형 살포 시스템
KR102000156B1 (ko) * 2018-12-14 2019-10-01 주식회사 자동기 제설제 살포장치 내부의 이물질 제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92082B1 (ko) * 2019-02-19 2019-10-01 장현실 도로결빙방지 및 노면물세척용 스마트 클린로드시스템 및 그 설치공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257B1 (ko) * 2006-09-19 2007-04-25 주식회사 태경이엔지 흡입 및 배출이 가능한 살수펌프가 구비된 살수차
KR101011998B1 (ko) * 2010-06-04 2011-01-31 신공항하이웨이 주식회사 액상 제설재 살포장치
KR101599732B1 (ko) * 2015-10-22 2016-03-04 (주)즐거운미래 펌프 구동형 살포 시스템
KR102000156B1 (ko) * 2018-12-14 2019-10-01 주식회사 자동기 제설제 살포장치 내부의 이물질 제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92082B1 (ko) * 2019-02-19 2019-10-01 장현실 도로결빙방지 및 노면물세척용 스마트 클린로드시스템 및 그 설치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2532A (ko) * 2020-08-19 2022-02-28 (주)에스알디코리아 도로살얼음과 노면 솟음을 방지할 수 있는 염수분사장치 동·하절기 전환 시스템 및 제어 전환 방법
KR102389942B1 (ko) 2020-08-19 2022-04-25 (주)에스알디코리아 도로살얼음과 노면 솟음을 방지할 수 있는 염수분사장치 동·하절기 전환 시스템 및 제어 전환 방법
CN114086451A (zh) * 2021-12-01 2022-02-25 董慧玲 一种城市道路面养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8578B2 (en) Automated system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water transfer during hydraulic fracturing
KR102209345B1 (ko) 순환배관을 통하여 두 종류의 용액을 분사할 수 있는 용액분사시스템
KR100939807B1 (ko) 제설시스템
KR100597701B1 (ko) 순환 공급수단을 갖는 염화물 제조 및 살포 시스템
CN104675374A (zh) 非常规co2压裂的现场施工工艺
CN104675408A (zh) 高水压超长距离大断面隧道液氮冻结系统及盾构盾尾刷快速更换方法
KR101594155B1 (ko) 도로 물청소 기능을 구비한 제설제 살포장치
CN107587558A (zh) 一种寒区公路隧道消防防冻供水智能控制系统及方法
KR102209343B1 (ko) 단일배관으로 두 종류의 용액을 분사할 수 있는 용액분사시스템
US6325297B1 (en) Atmospheric liquid heater
WO2006057817A2 (en) Anti-icing spray system
CN110485967B (zh) 一种双药剂油井井口加药管线的防冻装置和防冻方法
KR20040024698A (ko) 도로의 결빙방지용 융빙액 분사장치
CN207194072U (zh) 一种寒区公路隧道消防防冻供水智能控制系统
KR101599732B1 (ko) 펌프 구동형 살포 시스템
KR101963377B1 (ko) 고온수를 이용한 제설 방법 및 장치
KR102388217B1 (ko) 부식방지 및 동파방지기능을 갖는 지붕 융설장치
KR101666410B1 (ko) 교량 결빙 방지장치 및 결빙 방지장치 제어방법
CN214972681U (zh) 一种防冻型喷雾降尘装置
CN216108769U (zh) 消防管路系统
KR20090129630A (ko) 열풍을 이용한 도로의 결빙 장지 장치
KR102119273B1 (ko) 소화용수 순환식 옥내 소화전 시스템
CN219208792U (zh) 基于微压自循环和定点供热的隧道水消防智能防冻系统
KR101406707B1 (ko) 가온장치를 갖는 제설제 자동살수 및 살포장치
CN214363239U (zh) 一种隧道内的防冰除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