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9519B1 - 교량받침부 차폐장치 - Google Patents

교량받침부 차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9519B1
KR102389519B1 KR1020190076236A KR20190076236A KR102389519B1 KR 102389519 B1 KR102389519 B1 KR 102389519B1 KR 1020190076236 A KR1020190076236 A KR 1020190076236A KR 20190076236 A KR20190076236 A KR 20190076236A KR 102389519 B1 KR102389519 B1 KR 102389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plate
driving
bridge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6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2154A (ko
Inventor
강예석
조성완
노민호
오홍석
배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90076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9519B1/ko
Publication of KR20210002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154A/ko
Priority to KR1020220047799A priority patent/KR1024926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9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9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2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8Pulley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0Electronic control of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하부구조물의 상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교량받침부들로 이루어진 교량받침부열을 차폐하기 위하여, 플레이트 형상으로 교량받침부열들 각각의 전방에 세워지고, 하단이 회동 가능하여 회동에 따라 상단이 직립되어 교량받침부열의 전방을 차폐하는 복수개의 전면개폐판들과, 플레이트 형상으로 교량받침부열들 각각의 후방에 세워지고, 하단이 회동 가능하여 회동에 따라 상단이 직립되어 교량받침부열의 후방을 차폐하는 복수개의 배면개폐판들과, 플레이트 형상으로 교량받침부열들의 좌측에 세워지고, 하단이 회동 가능하여 회동에 따라 상단이 직립되어 교량받침부열들의 좌측을 차폐하는 좌측개폐판과, 플레이트 형상으로 교량받침부열들의 우측에 세워지고, 하단이 회동 가능하여 회동에 따라 상단이 직립되어 교량받침부열들의 우측을 차폐하는 우측개폐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교량받침부 차폐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교량받침부의 사방에 전면개폐판과, 배면개폐판과, 좌측개폐판과, 우측개폐판을 각각 설치하여, 외부먼지나 염화칼슘과 같은 오염물이나 비와, 눈과 같은 환경적요인으로부터 교량받침부를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외부요인들로 인한 교량받침부의 부식 및 훼손을 방지할 있어 교량받침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교량받침부 차폐장치 {Shielding device of bridge support part}
본 발명은 교량받침부 차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환경요인으로부터 교량받침부를 보호하여 교량받침부의 부식 및 훼손을 방지하고, 많은 교량받침부를 일괄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여, 점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작업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량받침부 차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이루는 거더(girder)와 하부구조물을 이루는 교대 또는 교각의 사이에는,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하부로 전달하는 부품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구조물(10)의 상부에 설치되어 교량의 상부구조물(20)을 안전하게 지지하고, 상부구조물(20)의 반력을 하부의 전체 받침면에 균등하게 분포시키는 동시에 지진이나 바람 등에 대해서도 안전하도록 하는 교량받침(30)들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한 교량받침은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교량의 설치 후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외부먼지와 같은 오염물이나, 바람, 비와 같은 환경적 요인에 의하여 내마모성 및 내구성이 저하되고 이에 따라 점검 횟수를 증가시켜야 하는 등 유지관리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종래에는 교량받침 내부로 외부먼지나 오염물이 침투하지 않도록 교량받침을 차폐하는 기술이 개발된 바 있다. 이러한 기술의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34289호는, 다수 개 설치되어 교량의 상부구조에서 하부구조로 힘을 전달하는 교량받침 중 최 외곽에 설치된 교량받침의 측면을 덮는 커버로서, 합성고무재로 되며 상,하단에 철판을 삽입하고, 중간부분을 다수 절곡하여 자바라 형태로 하되, 절곡된 각 면에 통풍구멍을 형성하며, 상단에 결합구멍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의 커버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교량받침 차폐장치는, 교량전체에 대하여 상당히 많은 교량받침이 있는 만큼, 각각의 교량받침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차폐장치를 각각 개폐하여야 하므로 교량받침의 점검과정이 복잡하고,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34289호
본 발명은, 많은 교량받침부를 일괄적으로 차폐 또는 개방할 수 있도록 하여, 점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작업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량받침부 차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면에 거치되는 교량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교량받침부들이 설치되는 교량하부구조물에 설치되어, 상기 교량받침부를 차폐하는 교량받침부 차폐장치에 있어서, 교각 및 교대로 이루어진 상기 교량하부구조물의 상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상기 교량받침부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교량받침부열을 차폐하기 위하여,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교량받 침부열들 각각의 전방에 세워지고, 하단이 회동 가능하여 회동에 따라 상단이 직립되어 상기 교량받침부열의 전방을 차폐하는 복수개의 전면개폐판들과;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교량받침부열들 각각의 후방에 세워지고, 하단이 회동 가능하여 회동에 따라 상단이 직립되어 상기 교량받침부열의 후방을 차폐하는 복수개의 배면개폐판들과;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교량받침부열들의 좌측에 세워지고, 하단이 회동 가능하여 회동에 따라 상단이 직립되어 상기 교량받침부열들의 좌측을 차폐하는 좌측개폐판과;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교량받침부열들의 우측에 세워지고, 하단이 회동 가능하여 회동에 따라 상단이 직립되어 상기 교량받침부열들의 우측을 차폐하는 우측개폐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교량받침부 차폐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전면개폐판과, 상기 배면개폐판과, 상기 좌측개폐판과, 상기 우측개폐판 각각은, 투명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교량받침부 차폐장치는, 상기 전면개폐판, 상기 배면개폐판, 상기 좌측개폐판 및 상기 우측개폐판 각각과 연결되어, 상기 전면개폐판, 상기 배면개폐판, 상기 좌측개폐판 및 상기 우측개폐판을 하단부를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는, 서로 대응되는 상기 전면개폐판과 상기 배면개폐판의 상단부를 관통하는 제1구동와이어와, 상기 제1구동와이어와 연결되며, 상기 전면개폐판과 상기 배면개폐판의 상단부를 회동시켜, 상기 교량받침부열의 정면 및 배면을 차폐 및 개방하는 제1구동유닛과, 상기 좌측개폐판과 상기 우측개폐판의 상단부의 대응되는 위치를 관통하는 제2구동와이어와, 상기 제2구동와이어와 연결되며, 상기 좌측개폐판과 상기 우측개폐판의 상단부를 회동시켜, 상기 교량받침부열의 좌측면 및 우측면을 차폐 및 개방하는 제2구동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구동와이어는, 상기 전면개폐판과 상기 배면개폐판의 상단부 일측과 타측을 각각 관통하여 연결되되, 상기 전면개폐판의 상단부 일측은 고정되고 상단부 타측은 관통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배면개폐판의 상단부 일측은 관통되고 상단부 타측은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구동와이어는, 상기 좌측개폐판과 상기 우측개폐판의 상단부 일측과 타측을 각각 관통하여 연결되되, 상기 좌측개폐판의 상단부 일측은 고정되고 상단부 타측은 관통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우측개폐판의 상단부 일측은 관통되고 상단부 타측은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와이어는, 상기 전면개폐판 및 상기 배면개폐판 각각의 상단부 일측 및 타측을 관통하며, 각 단부가 서로 연결되는 하나의 링형태 와이어로 구성되고, 상기 제2구동와이어는, 상기 좌측개폐판 및 상기 우측개폐판 각각의 상단부 일측 및 타측을 관통하며, 각 단부가 서로 연결되는 하나의 링형태 와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유닛은, 외주면으로 상기 제1구동와이어가 권취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제1구동와이어를 이동시키는 제1구동롤러와, 상기 제1구동롤러에 결합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구동롤러를 축회전시키는 제1회전레버와, 상기 제1구동와이어를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구동유닛은, 외주면으로 상기 제2구동와이어가 권취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제2구동와이어를 이동시키는 제2구동롤러와, 상기 제2구동롤러에 결합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2구동롤러를 축회전시키는 제2회전레버와, 상기 제2구동와이어를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유닛은, 외주면으로 상기 제1구동와이어가 권취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제1구동와이어를 이동시키는 제1구동롤러와, 상기 제1구동롤러를 축회전 시키는 제1구동모터와, 상기 제1구동와이어를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구동유닛은, 외주면으로 상기 제2구동와이어가 권취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제2구동와이어를 이동시키는 제2구동롤러와, 상기 제2구동롤러를 축회전 시키는 제2구동모터와, 상기 제2구동와이어를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롤러는, 상기 전면개폐판과 상기 배면개폐판의 하단부를 통과하는 수평선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2가이드롤러는, 상기 좌측개폐판과 상기 우측개폐판의 하단부를 통과하는 수평선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서로 대응되는 상기 전면개폐판과 상기 배면개폐판 상단부를 관통하는 제1구동와이어와, 상기 제1구동와이어를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롤러와, 서로 대응되는 상기 좌측개폐판과 상기 우측개폐판 상단부를 관통하는 제2구동와이어와, 상기 제2구동롤러를 축회전 시키는 제2구동모터와, 상기 제2구동와이어를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롤러와, 상기 제1구동와이어와 상기 제2구동와이어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전면개폐판, 상기 배면개폐판, 상기 좌측개폐판 및 상기 우측개폐판 각각의 상단부를 회동시켜, 상기 교량받침부열의 정면, 배면, 좌측면 및 우측면을 차폐 및 개방하는 통합구동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면개폐판의 상단부 고정은, 상기 제1구동와이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1구동와이어의 이동 시 상기 전면개폐판의 상단부를 회동시키는 제1고정편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배면개폐판의 상단부 고정은, 상기 제1구동와이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제1구동와이어의 이동 시 상기 배면개폐판의 상단부를 회동시키는 제2고정편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개폐판의 상단부 고정은, 상기 제2구동와이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제2구동와이어의 이동 시 상기 좌측개폐판의 상단부를 회동시키는 제3고정편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우측개폐판의 상단부 고정은, 상기 제2구동와이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제2구동와이어의 이동 시 상기 우측개폐판의 상단부를 회동시키는 제4고정편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구동부는, 밀폐성을 위하여 상기 전면개폐판, 배면개폐판, 좌측개폐판 및 우측개폐판 각각의 상단부와 교량상부구조물이 서로 부착되도록 하는 부착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부착모듈은, 자력에 의하여 서로 부착되는 자석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구동유닛과 상기 제2구동유닛으로 인입되는 상기 제1구동와이어와 상기 제2구동와이어의 수평인입 위치가 상기 전면개폐판, 상기 배면개폐판, 상기 좌측개폐판 및 상기 우측개폐판 각각의 관통공 높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구동와이어와 상기 제2구동와이어의 상기 제1구동유닛과 상기 제2구동유닛 인입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높이조절유닛은, 상기 제1구동와이어와 상기 제2구동와이어가 관통되도록 형성된 상기 전면개폐판, 상기 배면개폐판, 상기 좌측개폐판 및 상기 우측개폐판 각각의 관통홀의 높이변화에 대하여 상기 제1구동유닛과 상기 제2구동유닛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높이조절유닛은, 상기 제1구동유닛과 상기 제2구동유닛 각각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제1구동와이어와 상기 제2구동와이어의 인장방향을 가이드하고, 상기 제1구동와이어와 상기 제2구동와이어가 관통되도록 형성된 상기 전면개폐판, 상기 배면개폐판, 상기 좌측개폐판 및 상기 우측개폐판 각각의 관통홀의 높이변화에 대하여 승하강되도록 구성되는 승강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구동부는, 상기 통합구동유닛으로 인입되는 제1구동와이어와 제2구동와이어의 수평인입 위치가 상기 전면개폐판, 상기 배면개폐판, 상기 좌측개폐판 및 상기 우측개폐판 각각의 관통공 높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구동와이어와 상기 제1구동와이어의 상기 통합구동유닛 인입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높이조절유닛은, 상기 제1구동와이어와 상기 제2구동와이어가 관통되도록 형성된 상기 전면개폐판, 상기 배면개폐판, 상기 좌측개폐판 및 상기 우측개폐판 각각의 관통홀의 높이변화에 대하여 상기 통합구동유닛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유닛은, 상기 통합구동유닛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제1구동와이어와 상기 제2구동와이어의 인장방향을 가이드하고, 상기 제1구동와이어와 상기 제2구동와이어가 관통되도록 형성된 상기 전면개폐판, 상기 배면개폐판, 상기 좌측개폐판 및 상기 우측개폐판 각각의 관통홀의 높이변화에 대하여 승하강되도록 구성되는 승강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받침부 차폐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교량받침부의 사방에 전면개폐판과, 배면개폐판과, 좌측개폐판과, 우측개폐판을 각각 설치하여, 외부먼지나 염화칼슘과 같은 오염물이나 비와, 눈과 같은 환경적 요인으로부터 교량받침부를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외부요인들로 인한 교량받침부의 부식 및 훼손을 방지할 있어 교량받침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차폐장치가 교량받침부들 각각에 설치되어 이들 교량받침부들 각각에 대하여 개폐 작업을 하던 종래와는 달리, 복수개의 교량받침부들을 동시에 일괄적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개폐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작업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보수 등이 필요한 경우, 구동부를 통하여 전면개폐판과, 배면개폐판과, 좌측개폐판과, 우측개폐판을 일괄적으로 회동시켜 교량받침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이 용이하고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넷째, 전면개폐판과, 배면개폐판과, 좌측개폐판과, 우측개폐판을 투명한 합성수지(아크릴) 재질로 형성하여 내부 확인이 용이할 수 있으며, 외부 표면에 삽화 등을 그려 넣을 수 있는 등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다섯째, 통합구동유닛을 통하여 전면개폐판과, 배면개폐판과, 좌측개폐판과, 우측개폐판 모두를 일괄적으로 직립 또는 눕혀져 수평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함으로서, 개폐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교량구조물과 교량받침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받침부 차폐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교량받침부 차폐장치에서 전면개폐판과 배면개폐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교량받침부 차폐장치에서 전면개폐판과 배면개폐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전면개폐판과 배면개폐판이 구동부에 의하여 수평방향 회동되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전면개폐판과 배면개폐판이 구동부에 의하여 직립되어 차폐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교량받침부 차폐장치에서 통합구동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받침부 차폐장치는, 상면에 거치되는 교량상부구조물(20; 도 1참조)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교량받침부(30)들이 설치되는 교량하부구조물(10)에 설치되어 교량받침부(30)를 개방 또는 차폐하여, 교량받침부(30)를 외부요인들로부터 보호하고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구조물은, 상판구조물과 거더를 포함하고 있으며, 하부구조물은 교대와 교각을 포함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기한 본 발명의 교량받침부 차폐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한 교량받침부 차폐장치를 살펴봄에 앞서, 도면에서 상기 교량받침부열(30A, 도 1참조)은, 하나의 교각 또는 교대 단위로 상기한 교각 또는 교대의 상면에 복수의 행/열 등 길이방향을 따라 병렬로 설치된 복수의 교량받침부(30)들을 포함하는 교량받침부그룹을 나타내며, 도면에서 좌측을 전면(전방), 우측을 배면(후방), 상측을 좌측 및 하측을 우측으로 각각 명명하기로 한다.
상기 교량받침부 차폐장치는, 상기 교량하부구조물(10)의 상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상기 교량받침부(30)들로 이루어진 교량받침부열(30A)을 개폐하기 위하여 구성되며, 교량받침부(30) 각각이 아닌 교량받침부열(30A)을 동시에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세하게, 상기 교량받침부 차폐장치는, 전면개폐판(100)들과, 배면개폐판(200)들과, 좌측개폐판(300)들과, 우측개폐판(400)들과, 구동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면개폐판(10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교량받침부열(30A)들 각각의 전방에 세워져 교량받침부열(30A)의 전방을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전면개폐판(100)은, 하단이 교량하부구조물(10)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회동에 따라 상단이 직립되어 교량받침부열(30A)의 전방을 차폐시키거나, 눕혀지도록 수평방향으로 회동되어 교량받침부열(30A) 전방을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면개폐판(20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교량받침부열(30A)들 각각의 후방에 세워져, 교량받침부열(30A)의 후방을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배면개폐판(200)은, 전면개폐판(100)과 대응되는 크기로 구성되고, 교량받침부열(30A)을 사이에 두고 전면개폐판(100)과 대칭되게 후방에 위치한다.
상기 배면개폐판(200)은, 하단이 교량하부구조물(10)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회동에 따라 상단이 직립되거나 눕혀지도록 수평방향으로 회동되어 교량받침부열(30A)의 후방을 차폐 또는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좌측개폐판(30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교량받침부열(30A)들의 좌측에 세워지고, 회동에 따라 상기 교량받침부열(30A)들 각각의 좌측을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좌측개폐판(300)은, 하단이 교량의 하부구조물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회동에 따라 상단이 직립되거나 눕혀지도록 수평방향으로 회동되어 교량받침부열(30A)들 각각의 좌측을 개방 또는 차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우측개폐판(40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교량받침부열(30A)들의 우측에 세워지고, 회동에 따라 교량받침부열(30A)들의 우측을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우측개폐판(400)은, 하단이 교량 하부구조물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회동에 따라 상단이 직립되거나 눕혀지도록 수평방향으로 회동되어 교량받침부열(30A)들 각각의 우측을 개방 또는 차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면개폐판(100), 배면개폐판(200), 좌측개폐판(300) 및 우측개폐판(400)은, 힌지부를 통하여 하단부가 교량하부구조물(1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힌지부의 구성은 공지의 힌지 구성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에서 전면개폐판(100)과 배면개폐판(2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의 교대 또는 교각 각각의 전면 및 후면에 설치되어, 해당하는 교대 또는 교각에 설치된 교량받침부(30)들의 전방과 후방을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개폐판(300)과 우측개폐판(400)은, 복수개의 교대 또는 교각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설치되어 교대 또는 교각 각각에 설치된 교량받침부열(30A)들 모두의 좌측과 우측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면개폐판(100), 배면개폐판(200), 좌측개폐판(300) 및 우측개폐판(400) 각각은, 투명재질로 형성되어, 회동시켜 개방하지 않아도 외부에서 교량받침부(30)들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불필요한 작업을 줄일 수 있으며,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면개폐판(100), 배면개폐판(200), 좌측개폐판(300) 및 우측개폐판(400) 각각은, 투명재질로서 일정 강도를 갖고 있어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취급이 용이하고 비용이 저렴한 합성수지(아크릴) 재질을 적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전면개폐판(100), 배면개폐판(200), 좌측개폐판(300) 및 우측개폐판(400)을 회동시키는 구동부(500)의 구성 및 이에 대한 세부내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구동부(500)는, 상기 전면개폐판(100), 배면개폐판(200), 좌측개폐판(300) 및 우측개폐판(400) 각각과 연결되어, 상기 전면개폐판(100), 배면개폐판(200), 좌측개폐판(300) 및 우측개폐판(400)을 하단부를 중심으로 회동시켜, 상단부가 직립되거나 눕혀지도록 수평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구동부(500)는, 전면개폐판(100), 배면개폐판(200), 좌측개폐판(300) 및 우측개폐판(400) 각각에 연결되는 와이어와, 와이어를 왕복 이동시켜 전면개폐판(100), 배면개폐판(200), 좌측개폐판(300) 및 우측개폐판(400)을 회동시켜 직립 또는 수평 이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상기한 와이어와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구동부(500)의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부(500)는, 전면개폐판(100), 배면개폐판(200), 좌측개폐판(300) 및 우측개폐판(400)을 회동시키는 구성으로 와이어를 이용하며, 와이어의 왕복이동에 따라 전면개폐판(100), 배면개폐판(200), 좌측개폐판(300) 및 우측개폐판(400)을 견인하여 직립 및 눕혀져 수평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상세하게, 상기한 구동부(500)는, 전면개폐판(100)과 배면개폐판(200)을 구동시키는 제1구동와이어(520) 및 제1구동유닛(510)과, 상기 좌측개폐판(300) 및 우측개폐판(400)을 구동시키는 제2구동와이어(540) 및 제2구동유닛(5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전면개폐판(100)과 배면개폐판(200)을 회동시키는 제1구동와이어(520), 제1구동유닛(510) 그리고 이에 따른 전면개폐판(100)과 배면개폐판(200)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제1구동와이어(520)는, 제1구동유닛(510)과 연결되어 왕복 이동하며, 전면개폐판(100)과 배면개폐판(200)의 상단부 일측과 타측을 각각 관통하여 연결되되, 전면개폐판(100)의 상단부 일측은 고정되고 상단부 타측은 관통되도록 구성되고, 배면개폐판(200)의 상단부 일측은 관통되고 상단부 타측은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구동와이어(520)는, 2개의 와이어로 구성되거나, 하나의 와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구동와이어(520)가, 도시된 바와 같이 폐곡선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링형태 와이어로 구성되는 경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제1구동와이어(520)는, 폐곡선구조의 링형상으로 전면개폐판(100)과 배면개폐판(200) 각각의 상단부 일측을 관통하고 회귀하여, 전면개폐판(100)과 배면개폐판(200) 각각의 상단부 타측을 관통하고 각 단부가 서로 연결되는 하나의 와이어로 구성된다.
상세하게, 상기 제1구동와이어(520)는, 제1구동유닛(510)과 연결되어 왕복 이동하고, 전면개폐판(100)과 배면개폐판(200)의 상단부 일측과, 전면개폐판(100)과 배면개폐판(200)의 상단부 타측을 각각 관통 또는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구동와이어(52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면개폐판(100)과 배면개폐판(200)의 상단부 일측과 연결되는 제1-1와이어 영역과, 전면개폐판(100)과 배면개폐판(200)의 상단부 타측과 연결되는 제1-2와이어 영역으로 각각 나누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제1구동와이어(520)는, 제1-1와이어영역에 대하여 전면개폐판(100)의 상단부 일측에 고정되고, 배면개폐판(200)의 상단부 일측에 관통되도록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전면개폐판(100)은, 상단부 일측에 형성되어 제1구동와이어(520)가 관통하는 제1전면관통홀(110)과, 상단부 타측에 형성되어 제1구동와이어(520)가 관통하는 제2전면관통홀(120)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면개폐판(200)은, 상단부 일측에 형성되어 제1구동와이어(520)가 관통하는 제1배면관통홀(210)과, 상단부 타측에 형성되어 제1구동와이어(520)가 관통하는 제2배면관통홀(220)이 각각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전면개폐판(100)의 상단부 고정은, 제1고정편(550)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고정편(550)은, 제1전면관통홀(110)의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하고, 제1구동와이어(520)에 고정 설치되어, 제1구동와이어(520)의 이동 시 전면개폐판(100)의 상단부를 회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구동와이어(520)는, 제1-2와이어영역에 대하여 전면개폐판(100)의 상단부 타측에 관통되고, 배면개폐판(200)의 상단부 타측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배면개폐판(200)의 상단부 고정은, 제2고정편(560)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고정편(560)은, 제2배면관통홀(220)의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하고, 제1구동와이어(520)에 고정설치되어, 제1구동와이어(520)의 이동 시 배면개폐판(200)의 상단부를 회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전면개폐판(100)과 배면개폐판(200)은, 제1고정편(550)과 제2고정편(560)의 위치(높이)를 달리하여 회동각이 조절될 수 있으며, 교량의 구조와 설치공간 등을 고려하여 그 회동각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유닛(510)은, 제1구동와이어(520)와 연결되어 제1구동와이어(520)를 왕복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전면개폐판(100)과 배면개폐판(200)의 상단부를 회동시키고, 교량받침부열(30A)의 전면과 배면을 차폐 또는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구동유닛(510)은, 구동모터 등을 이용하여 제1구동와이어(520)를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자동방식과,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작하여 제1구동와이어(520)를 이동시키는 수동방식을 각각 적용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1구동유닛이 자동방식인 경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구동유닛(510)은, 제1구동롤러(511)와, 제1구동모터(미도시)와, 제1가이드롤러(5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롤러(511)는, 외주면으로 제1구동와이어(520)가 권취되어 회전에 따라 제1구동와이어(520)를 왕복 이동시키고, 제1구동모터의 회전을 구동원으로 한다.
상기 제1구동모터는, 제1구동롤러(511)와 결합하고, 구동신호에 의하여 제1구동롤러(511)를 축회전 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제1구동모터는, 공지의 구동모터를 적용할 수 있으며, 구동모터의 회전방향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구동와이어(520)를 왕복 이동시키고, 회전속도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제1구동롤러(511), 제1회전레버 및 제1구동모터의 구성은, 공지의 권취롤러와 이러한 권취롤러를 회전시키는 수동레버 및 모터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가이드롤러(512)는, 제1구동와이어(520)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가이드롤러(512)는, 외주면으로 제1구동와이어(520)가 권취되고 제1구동와이어(520)의 왕복 이동에 따라 자유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가이드롤러(512)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제1구동롤러(511)와 제1구동모터의 위치에 따라 그 위치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구동유닛이 수동방식인 경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수동방식인 경우 상기 제1구동유닛(510)은, 제1구동롤러(511)와, 제1회전레버(미도시)와, 제1가이드롤러(5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구동롤러(511)와 제1가이드롤러(512)는 전술한 자동방식인 경우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와 대별되는 구성요소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제1구동롤러(511)는, 외주면으로 제1구동와이어(520)가 권취되어, 회전에 따라 제1구동와이어(520)를 왕복 이동시키고, 제1회전레버의 회전을 구동원으로 한다.
상기 제1회전레버는, 제1구동롤러(511)와 결합하고,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제1구동롤러(511)를 축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회전레버는,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제1구동롤러(511)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되게 하고, 이에 따라 제1구동와이어(520)의 왕복 이동을 유도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제1가이드롤러(512)는, 상기 전면개폐판(100)과 배면개폐판(200)의 하단부를 통과하는 수평선상이나 이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가이드롤러(512)가 전면개폐판(100)과 배면개폐판(200)의 하단부보다 높게 위치하는 경우 전면개폐판(100)과 배면개폐판(200)이 수평방향으로 회동될 때 제1구동와이어(520)의 인장방향(높이)이 전면개폐판(100)과 배면개폐판(200)의 회동면에 대하여 높기 때문에 전면개폐판(100)과 배면개폐판(200)의 회동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상기 제1가이드롤러(512)의 높이가 전면개폐판(100) 및 배면개폐판(200) 하단부의 높이보다 높게 위치하면, 제1가이드롤러(512)와 전면개폐판(100) 및 배면개폐판(200)의 하단부 높이가 같아지는 부분에 제1구동와이어(520)의 인장방향에 대하여 수직분력이 소멸되면서 전면개폐판(100)과 배면개폐판(200)이 더 이상 하강할 수 없게 되어, 전면개폐판(100)과 배면개폐판(200)이 완전히 개방되지 않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제1가이드롤러(512)는, 전면개폐판(100)과 배면개폐판(200)의 하단부보다 낮은 위치 또는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하여 전면개폐판(100)과 배면개폐판(200)의 수평방향 회동 시 수평방향으로 완전히 회동되도록 하여 완전 개방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에서 전면개폐판(100)과 상기 배면개폐판(200)의 하단부는, 실질적으로 전면개폐판(100)과 배면개폐판(200)의 하단부의 회동점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개폐판(100)과 상기 배면개폐판(200)의 상단부는, 제1구동와이어(520)가 통과하는 제1 및 제2전면관통홀(110,120)과 제1 및 제2배면관통홀(210,220)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상기한 제1구동유닛(510)의 작동에 따른 전면개폐판(100)과 배면개폐판(200)의 작동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전면개폐판(100)과 배면개폐판(200)은, 직립되어 교량받침부열(30A)을 차폐하도록 구성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1구동와이어(520)를 일 방향 이동시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개폐판(100)과 배면개폐판(200)은, 제1고정편(550)과 제2고정편(560)에 의하여 제1구동와이어(520)의 이동에 대응하여 수평방향으로 회동되어 눕혀지게 되고, 교량받침부열(30A)을 개방하게 된다.
이 후 유지보수 등이 완료된 후 상기 전면개폐판(100)과 배면개폐판(200)을 직립시켜 교량받침부열(30A)을 차폐하기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구동유닛(510)은, 제1구동와이어(520)를 타방향으로 이동시켜, 전면개폐판(100)과 배면개폐판(200)을 다시 직립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좌측개폐판(300)과 우측개폐판(400)을 회동시키는 제2구동와이어(540) 및 제2구동유닛(530) 및 이에 따른 좌측개폐판(300)과 우측개폐판(400)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제2구동와이어(540)는, 제1구동유닛(510)과 연결되어 왕복 이동하며, 좌측개폐판(300)과 우측개폐판(400)의 상단부 일측과 타측을 각각 관통하여 연결되되, 좌측개폐판(300)의 상단부 일측은 고정되고 상단부 타측은 관통되도록 구성되며, 우측개폐판(400)의 상단부 일측은 관통되고 상단부 타측은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구동와이어(540)는, 2개의 와이어로 구성되거나, 하나의 와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2구동와이어(540)가, 도시된 바와 같이 폐곡선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링형태 와이어로 구성되는 경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제2구동와이어(540)는, 폐곡선구조의 링형상으로 좌측폐판과 우측개폐판(400)의 상단부 일측과, 좌측개폐판(300)과 우측개폐판(400)의 상단부 타측을 각각 관통 또는 고정되고, 각 단부가 서로 연결되는 하나의 와이어로 구성된다.
상세하게, 상기 제2구동와이어(540)는, 제2구동유닛(530)과 연결되어 왕복 이동하고, 좌측개폐판(300) 상단부 일측에 고정되고, 회귀하여 좌측개폐판(300) 상단부 타측에 관통되어 우측개폐판(400) 상단부 타측에 고정되며, 또 다시 회귀하여 좌측개폐판(300) 상단부 타측을 관통하여 단부가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구동와이어(54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좌측개폐판(300)과 우측개폐판(400)의 상단부 일측과 연결되는 제2-1와이어 영역과, 좌측면개폐판(300)과 우측개폐판(400)의 상단부 타측과 연결되는 제2-2와이어 영역으로 각각 나누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제2구동와이어(540)는, 제2-1와이어영역에 대하여 좌측개폐판(300)의 상단부 일측에 고정되고, 우측개폐판(400)의 상단부 일측에 관통되도록 연결된다.
이때, 상기 좌측개폐판(300)은, 상단부 일측에 형성되어 제2구동와이어(540)가 관통하는 제1좌측관통홀(310)과, 상단부 타측에 형성되어 제2구동와이어(540)가 관통하는 제2좌측관통홀(320)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우측개폐판(400)은, 상단부 일측에 형성되어 제2구동와이어(540)가 관통하는 제1우측관통홀(410)과, 상단부 타측에 형성되어 제2구동와이어(540)가 관통하는 제2우측관통홀(420)이 각각 형성된다.
한편, 상기 좌측개폐판(300)의 상단부 고정은, 제3고정편(570)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3고정편(570)은, 제1좌측관통홀(310)의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하고, 제2구동와이어(540)에 고정 설치되어, 제2구동와이어(540)의 이동 시 좌측개폐판(300)의 상단부를 회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구동와이어(540)는, 제2-2와이어 영역에 대하여 좌측개폐판(300)의 상단부 타측에 관통되고, 우측개폐판(400)의 상단부 타측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우측개폐판(400)의 상단부 고정은, 제4고정편(580)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4고정편(580)은, 제2우측관통홀(420)의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하고, 제2구동와이어(540)에 고정 설치되어, 제2구동와이어(540)의 이동 시 우측개폐판(400)의 상단부를 회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에, 상기 제2구동유닛(530)은, 상기 제2구동와이어(540)와 연결되어 제2구동와이어(540)를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좌측개폐판(300)과 우측개폐판(400)의 상단부를 회동시켜, 교량받침부열(30A)의 좌측면 및 우측면을 차폐 또는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1고정편(550), 제2고정편(560), 제3고정편(570) 및 제4고정편(580)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1구동와이어(510)와 제2구동와이어(540)가 볼트 등에 의하여 압입되어 고정되는 구성 등 별도의 고정수단을 적용하여 고정될 수 있으며, 이 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2구동유닛(530)은, 전술한 제1구동유닛(510)과 마찬가지로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작하여 제2구동와이어(540)를 이동시키는 수동방식과, 구동모터 등을 이용하여 제2구동와이어(540)를 이동시키는 자동방식을 각각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먼저 자동방식인 경우 상기 제2구동유닛(530)은, 외주면으로 제2구동와이어(540)가 권취되어, 회전에 따라 제2구동와이어(540)를 이동시키는 제2구동롤러(531)와, 제2구동롤러(531)를 축회전 시키는 제2구동모터(미도시)와, 제2구동와이어(540)를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롤러(5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반면, 수동방식을 적용할 경우, 상기 제2구동유닛(530)은, 외주면으로 제2구동와이어(540)가 권취되어, 회전에 따라 제2구동와이어(540)를 이동시키는 제2구동롤러(531)와, 제2구동롤러(531)에 결합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2구동롤러(531)를 축회전시키는 제2회전레버(미도시)와, 제2구동와이어(540)를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롤러(5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수동방식 및 자동방식인 경우 제2구동유닛(530)의 구성은, 전술한 제1구동유닛(510)의 구성과 대응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2가이드롤러(532)는, 상기 좌측개폐판(300)과 상기 우측개폐판(400)의 하단부를 통과하는 수평선상이나 이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좌측개폐판(300)과 상기 우측개폐판(400)이 수직한 직립 및 수평한 회동을 하기 위함이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구동유닛(530)의 구동에 따른 좌측개폐판(300) 및 우측개폐판(400)의 작동은 전술한 제1구동유닛(510)의 작동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구동유닛(510)과 제2구동유닛(530)의 구동방식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제1구동유닛(510)과 제2구동유닛(530)은, 전면개폐판(100)과 배면개폐판(200) 완전개폐를 위하여 전술한 설정값에 따라 구동될 수 있으며, 그 구성의 예로 설정값에 따라 구동 제어되는 스테핑모터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설정값은 제1구동와이어(520)와 제2구동와이어(540)의 권취 길이를 계산하고 이를 통해 회전수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1구동유닛(510)과 제2구동유닛(530)은, 와이어부하를 감지하여, 이를 토대로 전면개폐판(100)과 배면개폐판(200)의 상태를 파악하여 구동제어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1구동유닛(510)과 제2구동유닛(530)은, 제1구동와이어(520)와 제2구동와이어(540)에 각각 연결되는 폐회로 모터 2개를 사용하여, 제1구동와이어(520)와 제2구동와이어(540)의 텐션이 있을 때 까지 구동 제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구동부(500)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부(500)는, 제1구동와이어(520)와, 제1가이드롤러(592)와, 제2구동와이어(540)와, 제2가이드롤러(533)와, 통합구동유닛(59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구동와이어(520)와, 제2구동와이어(540)는, 전술한 도 2의 제1구동와이어(520)와, 제2구동와이어(540)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가이드롤러(592)와 제2가이드롤러(533)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제1구동와이어(520)와 제2구동와이어(540) 모두가 통합구동유닛(590)에 연결되도록 가이드 하고, 전면개폐판(100), 배면개폐판(200), 좌측개폐판(300) 및 우측개폐판(400)이 일괄적으로 직립 또는 수평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 통합구동유닛(590)은, 제1구동모터와 제2구동모터가 각각 별개로 구성되지 않고 하나의 통합모터로 구성되어, 전면개폐판(100), 배면개폐판(200), 좌측개폐판(300) 및 우측개폐판(400)을 일괄적으로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통합구동유닛(590)은, 제1구동와이어(520)와 제2구동와이어(540) 와 연결되며, 통합모터의 왕복회전에 따라 제1구동와이어(520)와 제2구동와이어(540)를 이동시켜, 전면개폐판(100), 배면개폐판(200), 좌측개폐판(300) 및 우측개폐판(400) 각각의 상단부를 동시에 회동시키고, 교량받침부열(30A)의 정면, 배면, 좌측면 및 우측면을 차폐 및 개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면에서 상기 통합구동유닛(590)은, 좌측에 배치되고, 가이드롤러(512,532,533)들은 전면개폐판(100), 배면개폐판(200), 좌측개폐판(300) 및 우측개폐판(400)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통합구동유닛(590)과 가이드롤러(512,532,533)들의 위치를 다양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에서 전면개폐판(100), 배면개폐판(200), 좌측개폐판(300) 및 우측개폐판(400)은, 제1구동와이어(520)와 제2구동와이어(540)가 이동함에 따라 제1전면관통홀(110), 제2전면관통홀(120), 제1배면관통홀(210), 제2배면관통홀(220), 제1좌측관통홀(310), 제2좌측관통홀(320) 및 제1우측관통홀(310), 제2우측관통홀(320)의 수평높이가 변화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전면관통홀(110), 제2전면관통홀(120), 제1배면관통홀(210), 제2배면관통홀(220), 제1좌측관통홀(310), 제2좌측관통홀(320) 및 제1우측관통홀(310), 제2우측관통홀(320)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관통홀'이라고 한다.)
그런데, 이렇게 관통홀의 수평높이가 변화하게 되면, 제1구동와이어(520)와 제2구동와이어(540)와 연결된 제1구동유닛(510), 제2구동유닛(530) 및 통합구동유닛(590)은, 제1구동와이어(520)와 제2구동와이어(540)의 이동이 원활하게 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관통홀의 높이와 제1구동와이어(520)와 제2구동와이어(540)의 인장방향(높이)의 차이에 따라 관통홀과 제1구동와이어(520)와 제2구동와이어(540)의 마찰력이 변화되는데, 그 차이값이 클수록 큰 마찰이 발생되며, 이와 같은 마찰력은 제1구동유닛(510), 제2구동유닛(530) 및 통합구동유닛(590)의 부하를 증가시킨다.
이에, 본 발명은, 전면개폐판(100), 배면개폐판(200), 좌측개폐판(300) 및 우측개폐판(400)이 회동됨에 따라 관통홀의 높이와 제1 및 제2구동와이어(520,540)의 인장방향(수평높이)이 일치되도록 하여, 제1구동유닛(510), 제2구동유닛(530) 및 통합구동유닛(590)의 구동이 원활하도록 구동부(500)를 구성할 수 있다.
이에 상기 구동부(500)는, 제1구동유닛(510)과 제2구동유닛(530)으로 인입되는 제1구동와이어(520)와 제2구동와이어(540)의 수평인입 위치가 전면개폐판(100), 배면개폐판(200), 좌측개폐판(300) 및 우측개폐판(400) 각각의 관통홀 높이에 대응되도록, 제1구동와이어(520)와 제2구동와이어(540)의 제1구동유닛(510)과 제2구동유닛(530) 인입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높이조절유닛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일 실시예로 상기 높이조절유닛은, 관통홀의 높이변화에 대하여 제1구동유닛(510), 제2구동유닛(530) 및 통합구동유닛(590)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를 포함하여, 제1구동유닛(510), 제2구동유닛(530) 및 통합구동유닛(590)의 부하를 줄여주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승하강부는, 관통홀의 수평높이 변화 시 이에 대응하여 제1구동유닛(510), 제2구동유닛(530) 및 통합구동유닛(590)의 높이를 승하강시키도록 구성되어, 각 수평높이가 동일 또는 대응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승하강부는, 제1구동유닛(510), 제2구동유닛(530) 및 통합구동유닛(590)이 안착 또는 결합되어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을 수직한 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구동유닛(510), 제2구동유닛(530) 및 통합구동유닛(590)은, 관통홀의 수평높이에 대응하여 승강높이를 설정하고, 이러한 설정값에 따라 구동된다. 이때, 제1구동유닛(510), 제2구동유닛(530) 및 통합구동유닛(590)은, 승하강을 위한 유압방식 또는 기어방식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높이조절유닛은, 제1구동유닛(510), 제2구동유닛(530) 및 통합구동유닛(590) 각각의 전방에 설치되어 제1구동와이어(520)와 제2구동와이어(540)를 가이드하고, 관통홀의 높이변화에 대하여 승하강되도록 구성되는 승강가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구동부(500)는, 전술한 승하강부와는 달리 제1구동유닛(510), 제2구동유닛(530) 및 통합구동유닛(590)의 위치는 고정되며, 승하강가이드부가 승하강 되면서 각 수평높이가 동일 또는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관통홀의 높이와 제1 및 제2구동와이어(520,540)의 인장방향(수평높이)이 일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승하강가이드부는, 제1구동와이어(520)와 제2구동와이어(540)가 관통하여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몸체와, 가이드몸체를 수직한 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부(500)는, 전면개폐판(100), 배면개폐판(200), 좌측개폐판(300) 및 우측개폐판(400)의 상단과 교량상부구조물(거더)이 밀착되게 하여 차폐성을 높일 수 있는 부착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착모듈은, 전면개폐판(100), 배면개폐판(200), 좌측개폐판(300) 및 우측개폐판(400)이 직립될 시 상단이 교량상부구조물의 외측면에 부착되게 하는 자석부재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자석부재는, 자력에 의하여 전면개폐판(100), 배면개폐판(200), 좌측개폐판(300) 및 우측개폐판(400)과 교량상부구조물이 서로 부착될 수 있도록 하며, 서로 대면하는 각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자석부재는, 공지의 영구자석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영구자석을 적용하는 경우 영구자석의 자력은, 와이어 이동에 대하여 전면개폐판(100), 배면개폐판(200), 좌측개폐판(300) 및 우측개폐판(400)이 교량상부구조물로부터 분리될 수 있을 정도의 자력을 갖도록 구성되어 와이어 이동에 불편함이 없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부착모듈은, 교량상부구조물이 강재 거더인 경우에는 강재 거더에 부착이 용이할 수 있으나, 교량상부구조물이 콘크리트 거더인 경우에는 부착이 어려울 수 있다. 때문에 상기 부착모듈은, 상기와 같이 부착되는 교량상부구조물의 구성에 따라 설치를 선택할 수 있으며, 또는 교량상부구조물에 자성을 갖는 금속 또는 자석을 별도로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에서 제1구동와이어는, 전면개폐판의 상단부 일측에 고정되고, 배면개폐판의 상단부 일측을 관통하는 제1-1와이어와, 전면개폐판의 상단부 타측에 관통되고, 배면개폐판의 상단부 타측에 고정되는 제1-2와이어를 각각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면개폐판의 상단부 고정은, 전술한 제1고정편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배면개폐판의 상단부 고정은, 제2고정편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고정편과 제2고정편의 작동 및 세부구성은 전술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제1구동와이어가 제1-1와이어와, 제1-2와이어로 각각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제1구동모터는, 제1-1와이어와, 제1-2와이어에 연결되는 구동모터를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2구동와이어는, 좌측개폐판의 상단부 일측에 고정되고, 우측개폐판의 상단부 일측에 관통되는 제2-1와이어와, 좌측개폐판의 상단부 타측에 관통되고, 우측개폐판의 상단부 타측에 고정되는 제2-2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좌측개폐판과 우측개폐판의 상단부 고정은, 제3고정편과 제4고정편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구동모터는, 제2구동와이어가 제2-1와이어와, 제2-2와이어로 각각 구성되는 경우, 제1-1와이어와, 제1-2와이어에 각각 연결되는 2개의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세부내용은 전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30 : 교량받침부 30A : 교량받침부열
100 : 전면개폐판 110 : 제1전면관통홀
120 : 제2전면관통홀 200 : 배면개폐판
210 : 제1배면관통홀 220 : 제2배면관통홀
300 : 좌측개폐판 310 : 제1좌측관통홀
320 : 제2좌측관통홀 400 : 우측개폐판
410 : 제1우측관통홀 420 : 제2우측관통홀
500 : 구동부 510 : 제1구동유닛
511 : 제1구동롤러 512,592 : 제1가이드롤러
532,533 : 제2가이드롤러 520 : 제1구동와이어
530 : 제2구동유닛 531 : 제2구동롤러
540 : 제2구동와이어 550 : 제1고정편
560 : 제2고정편 570 : 제3고정편
580 : 제4고정편 590 : 통합구동유닛

Claims (13)

  1. 상면에 거치되는 교량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교량받침부들이 설치되는 교량하부구조물에 설치되어, 상기 교량받침부를 차폐하는 교량받침부 차폐장치에 있어서,
    교각 및 교대로 이루어진 상기 교량하부구조물의 상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상기 교량받침부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교량받침부열을 차폐하기 위하여,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교량받 침부열들 각각의 전방에 세워지고, 하단이 회동 가능하여 회동에 따라 상단이 직립되어 상기 교량받침부열의 전방을 차폐하는 복수개의 전면개폐판들과;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교량받침부열들 각각의 후방에 세워지고, 하단이 회동 가능하여 회동에 따라 상단이 직립되어 상기 교량받침부열의 후방을 차폐하는 복수개의 배면개폐판들과;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교량받침부열들의 좌측에 세워지고, 하단이 회동 가능하여 회동에 따라 상단이 직립되어 상기 교량받침부열들의 좌측을 차폐하는 좌측개폐판과;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교량받침부열들의 우측에 세워지고, 하단이 회동 가능하여 회동에 따라 상단이 직립되어 상기 교량받침부열들의 우측을 차폐하는 우측개폐판; 그리고
    상기 전면개폐판, 상기 배면개폐판, 상기 좌측개폐판 및 상기 우측개폐판 각각과 연결되어, 상기 전면개폐판, 상기 배면개폐판, 상기 좌측개폐판 및 상기 우측개폐판을 하단부를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부 차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개폐판과, 상기 배면개폐판과, 상기 좌측개폐판과, 상기 우측개폐판 각각은, 투명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부 차폐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서로 대응되는 상기 전면개폐판과 상기 배면개폐판의 상단부를 관통하는 제1구동와이어와,
    상기 제1구동와이어와 연결되며, 상기 전면개폐판과 상기 배면개폐판의 상단부를 회동시켜, 상기 교량받침부열의 정면 및 배면을 차폐 및 개방하는 제1구동유닛과,
    상기 좌측개폐판과 상기 우측개폐판의 상단부의 대응되는 위치를 관통하는 제2구동와이어와,
    상기 제2구동와이어와 연결되며, 상기 좌측개폐판과 상기 우측개폐판의 상단부를 회동시켜, 상기 교량받침부열의 좌측면 및 우측면을 차폐 및 개방하는 제2구동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부 차폐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유닛은,
    외주면으로 상기 제1구동와이어가 권취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제1구동와이어를 이동시키는 제1구동롤러와, 상기 제1구동롤러에 결합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구동롤러를 축회전시키는 제1회전레버와, 상기 제1구동와이어를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구동유닛은,
    외주면으로 상기 제2구동와이어가 권취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제2구동와이어를 이동시키는 제2구동롤러와, 상기 제2구동롤러에 결합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2구동롤러를 축회전시키는 제2회전레버와, 상기 제2구동와이어를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부 차폐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유닛은,
    외주면으로 상기 제1구동와이어가 권취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제1구동와이어를 이동시키는 제1구동롤러와, 상기 제1구동롤러를 축회전 시키는 제1구동모터와, 상기 제1구동와이어를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구동유닛은,
    외주면으로 상기 제2구동와이어가 권취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제2구동와이어를 이동시키는 제2구동롤러와, 상기 제2구동롤러를 축회전 시키는 제2구동모터와, 상기 제2구동와이어를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부 차폐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롤러는,
    상기 전면개폐판과 상기 배면개폐판의 하단부를 통과하는 수평선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2가이드롤러는,
    상기 좌측개폐판과 상기 우측개폐판의 하단부를 통과하는 수평선상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부 차폐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서로 대응되는 상기 전면개폐판과 상기 배면개폐판 상단부를 관통하는 제1구동와이어와,
    상기 제1구동와이어를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롤러와,
    서로 대응되는 상기 좌측개폐판과 상기 우측개폐판 상단부를 관통하는 제2구동와이어와,
    상기 제2구동롤러를 축회전 시키는 제2구동모터와, 상기 제2구동와이어를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롤러와,
    상기 제1구동와이어와 상기 제2구동와이어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전면개폐판, 상기 배면개폐판, 상기 좌측개폐판 및 상기 우측개폐판 각각의 상단부를 회동시켜, 상기 교량받침부열의 정면, 배면, 좌측면 및 우측면을 차폐 및 개방하는 통합구동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부 차폐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90076236A 2019-06-26 2019-06-26 교량받침부 차폐장치 KR102389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236A KR102389519B1 (ko) 2019-06-26 2019-06-26 교량받침부 차폐장치
KR1020220047799A KR102492613B1 (ko) 2019-06-26 2022-04-18 교량받침 보호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236A KR102389519B1 (ko) 2019-06-26 2019-06-26 교량받침부 차폐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7799A Division KR102492613B1 (ko) 2019-06-26 2022-04-18 교량받침 보호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154A KR20210002154A (ko) 2021-01-07
KR102389519B1 true KR102389519B1 (ko) 2022-04-22

Family

ID=7412671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236A KR102389519B1 (ko) 2019-06-26 2019-06-26 교량받침부 차폐장치
KR1020220047799A KR102492613B1 (ko) 2019-06-26 2022-04-18 교량받침 보호유닛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7799A KR102492613B1 (ko) 2019-06-26 2022-04-18 교량받침 보호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89519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9549B1 (ko) * 1998-11-16 2001-02-01 권재원 교량받침 보호장치_
KR100334289B1 (ko) 1999-10-13 2002-05-03 이해경 교량받침의 커버
KR100607136B1 (ko) * 2004-02-05 2006-08-01 (주) 한길산업 교좌장치용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2613B1 (ko) 2023-01-31
KR20210002154A (ko) 2021-01-07
KR20220051157A (ko) 202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20015061U1 (de) Fahrzeug-Hebebühne
JP2001518434A (ja) ケーブル/ロープエレベータ
SE506390C2 (sv) Anordning och förfarande vid manövrering av ett objekt t ex port
KR102389519B1 (ko) 교량받침부 차폐장치
KR20140046271A (ko) 방화 리프트
CN204753443U (zh) 电动翻板式道闸
KR20090084190A (ko) 이동식 작업장
US20110303627A1 (en) Precast coping lifting system
CN107916805A (zh) 快速升降结构的防尘作业棚
JP3135435U (ja) 回転式柵
KR100727841B1 (ko) 지레 원리를 이용한 차량 이동식 회전형 교량 점검장치
KR100595470B1 (ko) 방사선 차폐도어 개폐장치
JP2017025560A (ja) ネットの昇降装置
CN212582683U (zh) 桩基孔口施工设备
CN211056438U (zh) 用于电梯系统的可移动止停装置
KR200407488Y1 (ko) 타워 크레인 작업용 감시 카메라 설치구조
KR20120097849A (ko) 높낮이 조절되는 방음 막재를 이용한 방음벽
JP4310583B2 (ja) 鉄塔迫上げ装置
RU2456415C1 (ru) Матерчатая подъемная штора
JP2019194048A (ja) ホームドア
JP4512866B2 (ja) 水門用開閉装置
KR200420396Y1 (ko) 지레 원리를 이용한 차량 이동식 회전형 교량 점검장치
CN209857893U (zh) 全站仪安装架
JP4512865B2 (ja) 水門用開閉装置
KR102434439B1 (ko) 홍수 진입 차단 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