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7136B1 - 교좌장치용 커버 - Google Patents

교좌장치용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7136B1
KR100607136B1 KR1020040007565A KR20040007565A KR100607136B1 KR 100607136 B1 KR100607136 B1 KR 100607136B1 KR 1020040007565 A KR1020040007565 A KR 1020040007565A KR 20040007565 A KR20040007565 A KR 20040007565A KR 100607136 B1 KR100607136 B1 KR 100607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bar
plate
cover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7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9645A (ko
Inventor
송영한
Original Assignee
(주) 한길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한길산업 filed Critical (주) 한길산업
Priority to KR1020040007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7136B1/ko
Publication of KR20050079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9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7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7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의 상판을 지지하는 교각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판의 하중과 변형을 받아주는 교좌장치를 둘러싸는 교좌장치용 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교각의 상단과 상판의 하단간을 연결하여 교좌장치의 둘레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측이 장홀 상의 천공으로 되는 다수의 연결판; 상기 연결판을 하나씩 때어서 배치되는 다수 열로 각 열간의 연결판은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하여 상열과 하열의 열결판의 천공에 동시에 관통하여 설치된 다수열의 바; 상기 바를 삽입하여 지지하면서 교각과 상판 측에 각각 고착되는 다수의 고착판; 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교량에서 주요기능을 하는 교좌장치가 조류나 짐승 등의 침입으로 손 망실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개발되는 것으로, 형태나 규격에 따라 얼마든지 사이즈를 손쉽게 조정하며 설치가 되는 것으로, 그 설치도 간편하고 내구성이 길면서 조류 등의 침입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구조를 제공하며, 제작에 따른 경비를 최소화하여 경제성도 함께 도모할 수 있도록 한 효과적이고 유용한 발명이다.
교좌장치용 커버, 교좌장치용 펜스, 조류 방지구

Description

교좌장치용 커버{COVER APPARATUS FOR BRIDGE BEARING}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요부의 발췌 상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구성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요부의 발췌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도 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연결판
11. 천공 12. 격벽
2. 바(Bar)
3. 고착판
31. 플레이트 32. 돌출부
삭제
4. 교각(교대)
5. 상판(Slab)
6. 교좌장치
본 발명은 교량의 상판을 지지하는 교각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판의 하중과 변형을 받아주는 교좌장치를 둘러싸는 교좌장치용 커버에 관한 것이다.
강이나 하천 뿐만 아니라 바다를 가로질러 양안을 연결하는 교량은 일반적으로 교각 위에 상판을 올려주는 구조를 가지며, 교각을 없이 설치하는 사장교(현수교)일지라도 중앙 또는 양안에 상판을 지지하는 구조물(교각 또는 기둥 모두 포함)이 설치되므로 기본적으로는 상판과 교각의 구조를 벗어나지 않는데, 교량 위에는 사람이나 차량 또는 대하중의 중기나 트레일러 등이 통행하므로 시시각각 변화되는 동 하중이 미치게 되며, 특히 교량이 크면 클수록 상판이 길어지므로 계절의 변화나 일교차에 따른 열변형으로 연신·수축량이 커지며, 이는 상판과 교각의 접촉부위가 변화될 수 있어야 교량으로서 충분한 하중 지탱능력을 갖추게 되어 충분한 소요수명을 누릴 수 있게 되므로, 일반적으로는 교각의 상부에 교좌장치를 설치하여 상판의 변위에 대응하면서 상판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교좌장치란 교각 위에 얹히는 상판(Slab)이 외력이나 온도차에 의한 수축/팽창으로 변위 되어도 이를 적절히 지지하는 베어링을 말하는 것으로, 이렇게 설치되는 교좌장치는 그 구조가 상판과 교각(또는 교대)사이에 위치되어 주변과는 그대로 노출되게 되며, 게다가 교좌장치는 정밀장치임으로 우수나 먼지에 의한 오손에 취약하여, 현재의 많은 교좌장치에는 우수에 대비하는 드레인(Drain)등이 설 치되는 추세이지만, 조류의 침입 등에는 무방비인 상태이다. 따라서, 하안이나 해안에 서식하는 조류가 교좌장치 또는 그 주변의 교각에 둥지를 틀거나 거처하면서 배설을 요산에 의하여 하는 경우에 금속(특히 철금속)을 주 기능부로 하는 교좌장치에는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이러한 대비가 전혀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자는 상술한 문제점을 예의 주시하던 바 이를 해소하고자 본 발명을 안출하기에 이른 것으로, 교좌장치의 형태나 규격에 따라 얼마든지 사이즈를 손쉽게 조정하며 설치가 되는 것으로, 그 설치도 간편하고 내구성이 길면서 조류 등의 침입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구조를 제공하며, 제작에 따른 경비를 최소화하여 경제성도 함께 도모할 수 있도록 완성된 발명이다.
본 발명은 교각의 상단과 상판의 하단간을 연결하여 교좌장치의 둘레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측이 장홀상의 천공으로 되는 다수의 연결판; 상기 연결판을 하나씩 때어서 배치되는 다수 열로 각 열간의 연결판은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하여 상열과 하열의 열결판의 천공에 동시에 관통하여 설치된 다수열의 바; 상기 바를 삽입하여 지지하면서 교각과 상판 측에 각각 고착되는 다수의 고착판; 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과 더불어, 상기 연결판의 장홀상의 내측이 2개로 구분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과 더불어, 상기 바가 폐곡 또는 개곡된 곡선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과 더불어, 상기 다수열의 연결판 중 상기 교각과 상판 측에 근접되어 설치된 바의 윗열 또는 아랫열에 삽입된 연결판이 간격 없이 연이어져 설치되고, 상기 돌출부가 윗열 또는 아랫열의 바에 근접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인 바(2)와 연결판(3)간의 관계를 알 수 있도록 이들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상태도 이고, 도 3a는 도 2의 A-A선 단면확대도 중 일 태양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각(4)의 상단과 상판(5)의 하단간을 연결하여 교좌장치(6)의 둘레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측이 장홀상의 천공(11)으로 되는 다수의 연결판(1); 상기 연결판(1)을 다수 열로 모자이크 상으로 배치하여 상열과 하열의 열결판(1, 1)의 천공(11, 11)에 동시에 관통하며 교좌장치(6)의 외곽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수열의 바(2); 상기 바(2)가 삽입된 홀을 중앙에 가지는 돌출부(32)와, 상기 돌출부(32)가 부착되는 플레이트(31)와로 되어 교각(4)과 상판(5)측에 각각 고착되는 다수의 고착판(3); 으로 구성된다.
도 3b는 도 2의 A-A선 단면확대도 중 다른 태양이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1)의 장홀상의 내측 중 상측 또는 하측에 상기 바(2)가 삽입될 수 있는 격벽(12)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구성 상태도 이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바(2)가 폐곡 또는 개곡된 곡선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요부의 발췌상태도 이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다수열의 연결판(1)중 상기 교각(4)과 상판(5)측에 근접되어 설치된 바(2)의 윗열 또는 아랫열에 삽입된 연결판(1)이 간격 없이 연이어져 설치되고, 상기 고착판에 윗열 또는 아랫열의 바에 근접되는 위치까지 연장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도로서 이를 참고로 사용상태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교좌장치(6)용 커버는 교각(4)과 상판(5)의 사이에 설치되는 교좌장치(6)를 둘러싸는 것임으로, 교각(4)의 상단과 상판(5)의 하단간을 연결하여 교좌장치(6)의 둘레에 설치되는 것이며, 이는 대별하면 연결판(1)과 바(2) 및 고착판(3)으로 구성되며, 이들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결판(1)은 내측이 장홀상의 천공(11)으로 되는 것으로, 교좌장치(6)의 규격에 따라 수지 또는 경금속 합금 등의 재질로 제작되는데, 내측에 장홀상의 천공(11)을 형성시켜서 후술하는 바(2)가 천공(11)의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며, 이때 연결판(1)의 상하부에 위치되는 바(2, 2)들의 간격은 연결판(1)의 천공(11)의 장직경 또는 최대 길이보다도 작게 설치되는데, 이는 교각(4)과 상판(5)간의 위치변위(계절별 온도차, 일교차 및 상판의 이동 등에 의함)가 있어서 전체 길이가 변하여도 이를 커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데, 즉, 천 공(11)내에서 바(2, 2)들 간의 간격이 줄어들고 넓어지고 할 수 있도록 하여 다수 열로 설치되는 전체 커버의 길이(높이)가 연신/수축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바(2)는 각 열중 상열의 연결판(1, 1, …)의 하부와 하열의 연결판(1, 1, …)의 상부를 동시에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관통되는 연결판(1, 1, …)들이 좌우로는 밀착되어 있지만 상하로는 연결판(1, 1, …)들이 움직일 수 있어야 함으로, 연결판(1)의 천공(11)보다는 얇은{원형일 경우에는 직경이 천공(11)의 간격보다 약간 작고, 각형일 경우에는 두께가 천공(11)의 간격보다 약간 작음} 막대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후술하는 장방형 또는 개곡된 곡선형으로 되는 경우에는 끝단에 캡과 같은 마감부(도시 생략)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고착판(3)은 교각(4)과 상판(5)측에 각각 고착되는 플레이트(31)와 이 플레이트(31)로부터 돌출 되어 상기 바(2)가 삽입된 홀을 중앙에 가지는 돌출부(32)로 되는 것인데, 교각(4)과 상판(5)측에는 플레이트(31)를 관통하는 고착볼트(도시 생략)들이 삽입되어 견고히 지지되게 되며, 돌출부(32)에 형성되는 홀에 바(2)가 삽입되어 슬라이드가 가능하여야 위치변위에 적응이 될 수 있으며, 돌출부(32)의 돌출길이는 삽입되는 바(2)의 윗열 또는 아랫열에 위치되는 바(2)에 근접되는 길이어야 틈이 적어져 작은 새 등의 침입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착판(3)의 플레이트(31)는 교각(4) 및 상판(5)에 각각 고착되는 것임으로, 그들의 형상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며, 간편하고 경제적으로 제작/설치하기 위해서는 평판 또는 앵글 상으로 하여 볼트로 고정하는 형태가 바람직하나, 교각(4) 및 상판(5)에 고착되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3b를 참고로,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의하면, 상기한 구성과 더불어, 상기 연결판(1)의 장홀상의 내측 중 상측 또는 하측에 상기 바(2)가 삽입될 수 있는 격벽(12)이 형성된 것인데, 격벽(12)으로 칸막이되는 천공(11)의 작은 부분에는 바(2)가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하지만, 천공(11)의 큰 부분에는 바(2)가 삽입되어도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여 여전히 원래의 기능을 훼손하지 않으며, 예컨대, 상측에 격벽(12)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천공(11)의 상부에 끼워지는 바(2)가 상하로는 고정되고 하부에 끼워지는 바(2)만이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게 되며, 따라서 이 경우에는 연결판(1, 1, …)들 및 바(2, 2, …)들이 상판(5)에 고착되는 고착판(3)에 의해서 현수(懸垂)되는 형상을 이루게 되며, 따라서 고착판(3)을 지지하는 고착볼트(도시 생략)도 수량이나 지지하중에서 고려가 되어야 하며, 바람직하기는 하측에 격벽(12)이 형성되는 경우로서, 이 경우에는 일부는 현수 되지만 일부는 교각(4)측에 고착되는 고착판(3)에 의하여 지지됨으로 하중의 분산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4를 참고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의하면, 상기한 구성과 더불어, 상기 바(2)가 폐곡 또는 개곡된 곡선으로 된 것인데, 이는 교좌장치(6)의 외곽이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되는 경우에 적용되도록 하는 것으로, 바(2)는 교좌장치(6)의 외곽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것임으로 교좌장치(6)의 외형이 원형이면 바(2)도 원형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연결판(1)과 고착판(3)은 모두 동일하게 기능하게 된다.
도 5를 참고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의하면, 상기한 구성과 더불어, 상기 다수열의 연결판(1)중 상기 교각(4)과 상판(5)측에 근접되어 설치된 바(2)의 윗열 또는 아랫열에 삽입된 연결판(1)이 간격 없이 연이어져 설치되고, 상기 고착판(3)의 돌출부(32)가 윗열 또는 아랫열의 바(2)에 근접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것인데, 이는 고착판(3)의 돌출부(32)에 삽입되는 바(2)가 슬라이드 되는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여 상판(5)과 교각(4)간의 상대적 변위량이 크더라도 이에 적절히 적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특히 연결판(1)이 같은 열에서 반복되면 다른 열에는 비워지게 되며, 이는 틈이 커지게 되어 작은 새 등이 침입할 여지가 있지만, 고착판(3)의 돌출부(32)가 그 틈을 줄일 수 있으며, 게다가 연결판(1)의 규격이 작다면 돌출부(32)가 바(2)에 근접되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형성되지 않더라도 문제가 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교량에서 주요기능을 하는 교좌장치가 조류나 짐승 등의 침입으로 손 망실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개발되는 것으로, 형태나 규격에 따라 얼마든지 사이즈를 손쉽게 조정하며 설치가 되는 것으로, 그 설치도 간편하고 내구성이 길면서 조류 등의 침입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구조를 제공하며, 제작에 따른 경비를 최소화하여 경제성도 함께 도모할 수 있도록 한 효과적이고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4)

  1. 교각의 상단과 상판의 하단간을 연결하여 교좌장치의 둘레에 설치되는 것으로,
    내측이 장홀상의 천공으로 되는 다수의 연결판;
    상기 연결판을 하나씩 때어서 배치되는 다수 열로 각 열간의 연결판은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하여 상열과 하열의 열결판의 천공에 동시에 관통하여 설치된 다수열의 바;
    상기 바를 삽입하여 지지하면서 교각과 상판 측에 각각 고착되는 다수의 고착판; 으로 구성되는 교좌장치용 커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의 장홀상의 내측이 2개로 구분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교좌장치용 커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가 폐곡 또는 개곡된 곡선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좌장치용 커버.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열의 연결판 중 상기 교각과 상판 측에 근접되어 설치된 바의 윗열 또는 아랫열에 삽입된 연결판이 간격 없이 연이어져 설치되고, 상기 고착판에 윗열 또는 아랫열의 바에 근접되는 위치까지 연장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교좌장치용 커버.
KR1020040007565A 2004-02-05 2004-02-05 교좌장치용 커버 KR100607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7565A KR100607136B1 (ko) 2004-02-05 2004-02-05 교좌장치용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7565A KR100607136B1 (ko) 2004-02-05 2004-02-05 교좌장치용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9645A KR20050079645A (ko) 2005-08-11
KR100607136B1 true KR100607136B1 (ko) 2006-08-01

Family

ID=37266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7565A KR100607136B1 (ko) 2004-02-05 2004-02-05 교좌장치용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71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281B1 (ko) 2009-11-17 2011-05-16 대룡중공업(주) 교좌장치의 성능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보호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21544B2 (ja) * 2018-05-29 2022-08-18 首都高速道路株式会社 橋梁支承部における支承部材の落下防止装置及び落下防止構造
KR102389519B1 (ko) * 2019-06-26 2022-04-22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교량받침부 차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281B1 (ko) 2009-11-17 2011-05-16 대룡중공업(주) 교좌장치의 성능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보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9645A (ko) 2005-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4005B1 (en) Sectionalized flood control barrier
KR101843354B1 (ko) 수상 설치용 부유식 지지체
KR100607136B1 (ko) 교좌장치용 커버
KR101050746B1 (ko) Pc 보 연결 부재, 상기 pc 보 연결 부재를 구비한 콘크리트 구조, 상기 콘크리트 구조 형성에 사용되는 고정 부재, 및 상기 콘크리트 구조의 형성 방법
GB2291659A (en) Drain water-intake cover
KR200449706Y1 (ko) 배수용 그레이팅
KR20200000197U (ko) 경사지 지주 설치용 체결밴드
KR200395310Y1 (ko) 세굴 방지용 어소블록
KR200422383Y1 (ko) 가설교량의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플레이트
KR100898749B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인공어초
KR102552591B1 (ko) 도로 포장용 조립식 모듈러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도로 포장용 구조체
KR200398813Y1 (ko) 보강 그레이팅 구조
KR200334262Y1 (ko) 이물질 유입 차단용 교량 신축이음장치
KR200233598Y1 (ko) 교량상판의 신축 이음 구조
KR20100090895A (ko) 미끄럼 방지 겸용 중하중 그레이팅
KR102299315B1 (ko) 그레이팅용 미끄럼 방지 바
KR200207807Y1 (ko) 통발형 인공어초
KR102088795B1 (ko) 투수기능을 갖는 교량의 신축이음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JP4175643B2 (ja) カーポート
JP6852912B2 (ja) 木柱の設置構造
KR20120002416U (ko) 조립형 배수 박스 그레이팅
KR100729206B1 (ko) 개선된 해안 사장의 침식제어 및 퇴적용 그물 방파제
KR200361725Y1 (ko) 수질오염 방지 차수매트용 특수 부력봉의 설치구조
JP2017179770A (ja) 定尺屋根材の接続構造
JP2006028761A (ja) 木製フェンスおよびこれに使用する横ビ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