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8934B1 - 필터 장치 - Google Patents

필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8934B1
KR102388934B1 KR1020197009655A KR20197009655A KR102388934B1 KR 102388934 B1 KR102388934 B1 KR 102388934B1 KR 1020197009655 A KR1020197009655 A KR 1020197009655A KR 20197009655 A KR20197009655 A KR 20197009655A KR 102388934 B1 KR102388934 B1 KR 102388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hole
tank
opening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9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9409A (ko
Inventor
마코토 이시즈카
Original Assignee
야마신 필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신 필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신 필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69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9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27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rigidly mounted in or on tanks or reservo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6/00Filter circuits or combinations of filters with other separating devices
    • B01D36/001Filters in combination with devices for the removal of gas, air purg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0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 B01D29/05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supported
    • B01D29/07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flat filtering elements supported with corrugated, folded or wound filtering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01D29/15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 B01D29/21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with corrugated, folded or woun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27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rigidly mounted in or on tanks or reservoirs
    • B01D35/0276Filtering elements with a vertical rotation or symmetry axis mounted on tanks or reservo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2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having inlet or outlet 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46Several filtrate discharge conduits each connected to one filter element or group of filter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upply Devices, Intensifiers, Converters, And Telemotor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필터 장치의 내부에 있는 공기를 뽑을 때에, 공기와 함께 여과 후의 액체를 필터 장치의 외부로 배출할 수가 있다. 탱크의 내부에 케이스가 설치되고, 케이스의 내부에 필터 엘리먼트가 설치되고, 케이스의 상면 및 탱크의 상면을 덮도록 덮개체가 설치된다. 필터 엘리먼트의 여과 부재의 상단면을 덮고, 또한 덮개체의 하면과 맞닿는 상측 플레이트에는, 대략 중앙에 제1 관통공이 형성되고, 덮개체에는, 평면시에 있어서, 일방의 끝인 제1 개구가 제1 관통공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고, 타방의 끝인 제2 개구가 탱크의 측면과 케이스의 측면의 사이에 배치된 제2 관통공이 형성되고, 제1 관통공 및 제2 관통공은, 여과 부재의 중공부와, 탱크의 내부 또한 케이스의 외부의 공간을 연통한다.

Description

필터 장치
본 발명은 필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에는, 중심축이 수직으로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본체 용기의 원주 벽면에 대해서 접선 방향으로 설치되고, 분리 대상물이 포함되는 액체를 도입하는 유입관과, 본체 용기 내에 본체 용기와 동축에 설치되고, 액체에 포함되는 이물을 제거하는 통형상의 여과 엘리먼트(element)와, 여과 엘리먼트에 의해 여과된 액체를 유출하는 유출관과, 본체 용기의 상부측에, 본체 용기의 원주 벽면에 대해서 접선 방향으로 설치되고, 액체에 포함되는 기포를 액체와 함께 배출시키는 기포 배출관을 구비한 여과기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07-296492호 공보
일반적으로, 탱크 내에는, 여과기(예를 들면, 리턴 필터(return filter))에 의해 여과된 후의 청정한 액체가 저장되고, 여과 전의 먼지를 포함하는 액체는 혼입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특허 문헌 1에 기재의 발명에서는, 기포(공기)와 함께 여과 전의 액체를 여과기의 밖으로 배출하기 때문에, 탱크 내에 여과 전에 액체가 배출되고, 여과 후의 청정한 액체에 여과 전의 먼지를 포함하는 액체가 섞일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필터 장치의 내부에 있는 공기를 뽑을 때에, 공기와 함께 여과 후의 액체를 필터 장치의 외부로 배출할 수가 있는 필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련되는 필터 장치는, 예를 들면, 탱크에 설치되는 필터 장치로서, 상기 탱크의 내부에 설치되고 바닥을 갖는 대략 통형상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액체를 유입시키는 유입부와, 상기 케이스의 상면 및 상기 탱크의 상면을 덮는 덮개체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 엘리먼트로서, 대략 중공 원통형상의 여과 부재와, 상기 여과 부재의 하단면을 덮는 하측 플레이트와, 상기 여과 부재의 상단면을 덮고, 또한 상기 덮개체의 하면과 맞닿는 상측 플레이트를 가지는 필터 엘리먼트와, 상기 하측 플레이트와,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여과 부재의 중공부와 상기 탱크의 내부를 연통하는 유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측 플레이트에는, 대략 중앙에 제1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체에는, 평면시에 있어서, 일방의 끝인 제1 개구가 상기 제1 관통공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고, 타방의 끝인 제2 개구가 상기 탱크의 측면과 상기 케이스의 측면의 사이에 배치된 제2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관통공 및 상기 제2 관통공은, 상기 여과 부재의 중공부와, 상기 탱크의 내부 또한 상기 케이스의 외부의 공간을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필터 장치에 의하면, 탱크의 내부에 케이스가 설치되고, 케이스의 내부에 필터 엘리먼트가 설치되고, 케이스의 상면 및 탱크의 상면을 덮도록 덮개체가 설치된다. 필터 엘리먼트의 여과 부재의 상단면을 덮고, 또한 덮개체의 하면과 맞닿는 상측 플레이트에는, 대략 중앙에 제1 관통공이 형성되고, 덮개체에는, 평면시에 있어서, 일방의 끝인 제1 개구가 제1 관통공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고, 타방의 끝인 제2 개구가 탱크의 측면과 케이스의 측면의 사이에 배치된 제2 관통공이 형성되고, 제1 관통공 및 제2 관통공은, 여과 부재의 중공부와, 탱크의 내부 또한 케이스의 외부의 공간을 연통한다. 이에 의해 필터 장치의 내부에 있는 공기를 뽑을 때에, 공기와 함께 여과 후의 액체를 필터 장치의 외부로 배출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관통공은, 상기 제1 개구를 포함하는 제1 부(part)와, 상기 제2 개구를 포함하는 제2 부(part)와, 상기 제1 부와 상기 제2 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는 대략 U자 형상이며,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의 근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부의 중심축과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이 이루는 각도가 예각이라도 좋다. 이에 의해 공기와 함께 유출한 작동유를 케이스의 외주면을 따라 탱크의 내부로 흘릴 수가 있다. 따라서, 탱크 내에 저장된 작동유가 거품을 일으키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제2 관통공은, 상기 제1 개구를 포함하는 제1 부와, 상기 제2 개구를 포함하는 제2 부와, 상기 제1 부와 상기 제2 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는 대략 U자 형상이며,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과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부의 중심축과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이 대략 평행이라도 좋다. 이에 의해 공기와 함께 유출한 작동유를 케이스의 외주면을 따라 탱크의 내부로 흘릴 수가 있다. 따라서, 탱크 내에 저장된 작동유가 거품을 일으키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를 뽑을 때에, 공기와 함께 여과 후의 액체를 장치의 외부로 배출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인 리턴 필터(return filter)(1)가 설치된 탱크(100)의 개략을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2는 리턴 필터(1)가 설치된 탱크(100)의 개략을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3은 제2의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리턴 필터(2)의 개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일부를 확대한 도이다.
도 4는 제3의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리턴 필터(3)의 개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일부를 확대한 도이다.
도 5는 제4의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리턴 필터(4)가 설치된 탱크(100)의 개략을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되는 필터 장치를 작동유 탱크의 내부에 설치되는 리턴 필터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리턴 필터 이외의 여러 가지 필터 장치에 적용할 수가 있다.
<제1의 실시의 형태>
도 1,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인 리턴 필터(1)가 설치된 탱크(100)의 개략을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탱크(100)는, 도시하지 않는 작업 기계(예를 들면, 유압 장치)에 설치되는 것이고, 이 유압 장치에 공급하는 작동유의 유압 회로 내에 설치되고 작동유를 저장하기 위한 탱크이다. 다만, 탱크(100)는, 유압 회로 내에 설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탱크(100)는, 작동유 이외의 액체를 저장해도 좋다.
탱크(100)는, 예를 들면 상자 형상이며, 내부가 공동이다. 탱크(100)에는, 주로 리턴 필터(1)가 설치된다.
탱크(100)의 측면에는, 작동유를 리턴 필터(1)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구(100a)가 형성된다. 유입구(100a)에는, 유입관(11a)(후에 상술)이 끼워져 삽입되어 있다. 유입관(11a)을 통해 리턴 필터(1)에 인도된 작동유는 리턴 필터(1)로 여과되고, 탱크(100) 내에 저장된다.
탱크(100)의 하단부 근방에는, 탱크(100) 내의 작동유를 유압 펌프(도시하지 않음) 등으로 유출시키는 도시하지 않는 유출구가 형성된다.
리턴 필터(1)는, 주로 용기부(10)와 필터 엘리먼트(element)(20)를 가진다.
용기부(10)는, 내부식성이 높은 재료(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 또는 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용기부(10)는, 주로 케이스(11)와 덮개체(12)를 가진다.
케이스(11)는, 바닥을 갖는 대략 통형상이며, 탱크(100)의 내부에 설치된다. 케이스(11)는, 내부가 공동이며, 내부에는 주로 필터 엘리먼트(20)가 설치된다.
덮개체(12)는, 케이스(11)의 상면 및 탱크(100)의 상면을 덮는 대략 판형상의 부재이다. 덮개체(12)는, 탱크(100)에 나사 잠금 등에 의해 고정된다. 덮개체(12)에는, 관통공(12a)(후에 상술)이 형성된다.
케이스(11)의 측면에는, 용기부(10)의 내부에 액체(여기에서는, 작동유)를 유입시키는 유입부가 측면에 형성된다. 유입부는, 주로 유입관(11a)을 가지고, 유입관(11a)의 중공부는, 케이스(11)의 측면에 형성된 구멍(11b)과 일체이다.
케이스(11)의 바닥면(11c)에는, 여과 후의 작동유를 용기부(10)의 외부에 유출시키는 유출관(11d)이 형성된다. 유출관(11d)은, 대략 원통형상이며, 필터 엘리먼트(20)의 중공부와 연통한다. 유출관(11d)에는, 탄성 부재(31)를 보유하는 판형상부(11e)가 형성된다.
다음에, 필터 엘리먼트(20)에 대해 설명한다. 필터 엘리먼트(20)는, 대략 원통형상의 부재이며, 용기부(10)의 내부에 설치된다. 필터 엘리먼트(20)는, 주로 여과 부재(21)와, 플레이트(22, 23)와, 밸브(24)를 가진다. 또한, 밸브(24)는 필수는 아니다.
여과 부재(21)는, 양단에 개구를 가지는 대략 중공 원통형상의 부재이다. 여과 부재(21)는, 합성 수지나 종이 등을 이용한 여과지를 주름 접고, 주름 접은 여과지의 양단을 연결하여 원통형상으로 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여과 부재(21)의 내측에, 대략 전역에 작동유가 통과하는 구멍이 형성된 내통(內筒)(도시하지 않음)을 설치해도 좋다.
여과 부재(21)의 하측의 끝에는 플레이트(22)가 설치되고, 상측의 끝에는 플레이트(23)가 설치된다. 플레이트(22) 및 플레이트(23)는, 대략 원판형상 또는 바닥을 갖는 원통형상의 부재이며, 수지 또는 금속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플레이트(22)는 여과 부재(21)의 하단면을 덮고, 플레이트(23)는 여과 부재(21)의 상단면을 덮는다. 바꾸어 말하면, 플레이트(22, 23)는, 여과 부재(21)를 사이에 둔다.
플레이트(22)에는 중앙부에 개구부(22a)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22a)에는 유출관(11d)가 끼워져 삽입된다. 바꾸어 말하면, 유출관(11d)은, 플레이트(22)와 바닥면(11c)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의해 유출관(11d)은, 필터 엘리먼트(20)의 중공부(여과 부재(21)의 중공부)와 용기부(10)의 외부 공간(여기에서는, 탱크(100)의 내부의 공간)을 연통한다. 개구부(22a)와 유출관(11d)의 사이는, 개스킷(gasket) 등의 씰(seal) 부재(32)에 의해 씰(seal) 된다.
플레이트(22)와 판형상부(11e)의 사이에는, 탄성 부재(31)가 설치된다. 탄성 부재(31)는,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이며, 플레이트(22), 즉 필터 엘리먼트(20)를 상방(+z 방향)으로 압압한다. 그 결과, 필터 엘리먼트(20)는, 용기부(10)의 내부에 보유된다.
플레이트(23)는, 주로 제1 플레이트(23a)와, 제2 플레이트(23b)와, 통형상부(23c)를 가진다.
제1 플레이트(23a)는, 대략 중공 원판형상이며, 중공부에는 제2 플레이트(23b)가 끼워져 삽입된다. 제1 플레이트(23a)와 제2 플레이트(23b)의 사이는, 개스킷 등의 씰 부재(33)에 의해 씰 된다.
제2 플레이트(23b)는, 대략 중공 원판형상이며, 중공부에는 통형상부(23c)가 끼워져 삽입된다. 제2 플레이트(23b)에는, 개구부(23d)가 형성된다.
통형상부(23c)는, 직경이 굵은 플랜지부(23e)와 직경이 가는 파이프부(23f)를 가지고, 파이프부(23f)가 제2 플레이트(23b)의 중공부에 끼워져 삽입된다. 플랜지부(23e)의 상면(+z측의 면)은, 덮개체(12)의 하면(-z측의 면)과 맞닿는다. 탄성 부재(31)의 부세력(付勢力)에 의해, 제2 플레이트(23b)의 상면이 플랜지부(23e)의 하면에 압압되고, 플랜지부(23e)의 상면이 덮개체(12)의 하면에 압압된다.
통형상부(23c)에는, 대략 중앙에 관통공(23i)이 형성된다. 관통공(23i)은, 통형상부(23c)의 중심축을 따라, 통형상부(23c)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또, 통형상부(23c)에는, 직경 방향을 따라 관통공(23j)이 형성된다. 관통공(23j)은, 일단이 통형상부(23c)의 외주면에 노출하고, 타단이 관통공(23i)에 노출하도록 통형상부(23c)를 관통한다. 관통공(23i) 및 관통공(23j)과 관통공(12a)은, 공기나 여과 후의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배출부(후에 상술)를 형성하는 것이다. 다만, 관통공(23j)은 필수는 아니다.
밸브(24)는 파이프부(23f)에 형성된 판형상부(23g)에 설치된다. 밸브(24)는, 주로 탄성 부재(24a)와 플레이트(24b)를 가진다. 플레이트(24b)는, 개구부(23d)를 덮도록 제2 플레이트(23b)의 하측에 설치된다.
통상은, 도 1에 나타내듯이, 밸브(24)가 닫혀 있기 때문에, 플레이트(24b)의 상면이 제2 플레이트(23b)의 하면에 맞닿아 있다. 여과 부재(21)가 막혀지게 되어 케이스(11) 내의 압력이 높아지면, 유면 S1이 상승하여 케이스(11)의 내부가 작동유로 채워진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내듯이, 제2 플레이트(23b)와 플레이트(24b)가 떨어지고 밸브(24)가 열린다. 그 결과, 개구부(23d)로부터 작동유가 여과 부재(21)의 내부로 유입하여, 리턴 필터(1)의 파손이 방지된다(도 2의 장파선(長破線) 화살표 참조).
다음에, 공기 배출부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덮개체(12)에 형성된 관통공(12a)은, 대략 U자 형상(대략 コ자 형상)이며, 양단은 개구(12b, 12c)이다. 관통공(12a)은, 개구(12b)를 포함하는 제1 부(12d)와, 개구(12c)를 포함하는 제2 부(12e)와, 제1 부(12d)와 제2 부(12e)를 연결하는 연결부(12f)를 가진다.
관통공(12a)의 일방의 개구(12b)는, 평면시(+z방향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있어서, 관통공(23i)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 부(12d)와 관통공(23i)이 연통한다.
관통공(12a)의 일방의 개구(12c)는, 평면시(平面視)에 있어서, 탱크(100)의 측면과 케이스(11)의 측면의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관통공(23i), 관통공(23j) 및 관통공(12a)은, 여과 부재(21)의 중공부와, 탱크(100)의 내부 또한 케이스(11)의 외부의 공간을 연통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개구(12c)는, 케이스(11)의 외주면 근방에 배치된다. 또, 제2 부(12e)의 중심축과 케이스(11)의 외주면이 이루는 각도는 예각이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리턴 필터(1)의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2의 2점 쇄선 화살표는, 리턴 필터(1) 내부의 작동유의 흐름을 나타낸다.
유입관(11a)으로부터 유입한 작동유는, 케이스(11)의 내부로 유입한다. 유입한 작동유는, 케이스(11) 내부에 저장된다. 저장된 작동유의 양에 따라 유면 S1이 상승하고, 유면 S1이 플레이트(22)보다 높아지면, 작동유는 여과 부재(21)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흐르고, 여과 후의 작동유는 여과 부재(21)의 내측으로 유출한다. 여과 후의 작동유는, 유출관(11d)으로부터 탱크(100) 내로 유출한다.
케이스(11) 및 여과 부재(21)의 내측의 유면 S1보다 위의 부분은 공기로 채워져 있다. 유면 S1의 상승과 아울러, 관통공(23i), 관통공(23j) 및 관통공(12a)을 통과하여 공기가 리턴 필터(1)의 내부로부터 탱크(100) 내로 배출된다.
또한, 유면 S1이 상승하여 케이스(11)의 내부가 작동유로 채워지면, 공기와 함께 여과 후의 액체가, 관통공(23i), 관통공(23j) 및 관통공(12a)을 통과하여 리턴 필터(1)의 내부로부터 탱크(100) 내로 배출된다. 개구(12c)가 케이스(11)의 외주면의 근방에 배치되고, 제2 부(12e)의 중심축과 케이스(11)의 외주면이 이루는 각도가 예각이기 때문에, 개구(12c)로부터 유출한 여과 후의 액체는, 케이스의 외주면에 맞닿고, 외주면을 따라 하방으로 흐른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공기와 함께 여과 후의 액체를 리턴 필터(1)의 외부(즉, 탱크(100)의 내부)로 배출할 수가 있다. 따라서, 공기를 뽑을 때에 작동유가 리턴 필터(1)로부터 탱크(100)로 유출했다고 해도, 탱크(100) 내에 여과되지 않은 작동유가 혼입하는 일은 없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공기와 함께 유출한 작동유는, 케이스(11)의 외주면을 따라 탱크(100)의 내부로 흐르기 때문에, 탱크(100) 내에 저장된 작동유가 거품을 일으키지 않게 할 수가 있다.
<제2의 실시의 형태>
제1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관통공(12a)의 제2 부(12e)의 중심축과 케이스(11)의 외주면이 이루는 각도가 예각이지만, 여과 부재(21)의 중공부와, 탱크(100)의 내부 또한 케이스(11)의 외부의 공간을 연통하는 관통공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의 실시의 형태는, 제2 부의 중심축과 케이스(11)의 외주면이 대략 평행인 형태이다. 도 3은 제2의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리턴 필터(2)의 개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일부를 확대한 도이다. 또한, 리턴 필터(1)와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덮개체(12-1)는, 케이스(11)의 상면 및 탱크(100)의 상면을 덮는 대략 판형상의 부재이다. 덮개체(12-1)에는, 관통공(12a-1)이 형성된다. 관통공(23i) 및 관통공(23j)(도 3에서는 도시 생략)과, 관통공(12a-1)(도 3에서는 일부 도시 생략)은, 공기나 여과 후의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배출부를 형성하고, 여과 부재(21)의 중공부와, 탱크(100)의 내부 또한 케이스(11)의 외부의 공간을 연통한다.
관통공(12a-1)은, 대략 U자 형상(대략 コ자 형상)이며, 양단은 개구(12b)(도 3에서는 도시 생략), 개구(12c-1)이다. 개구(12c-1)은, 평면시에 있어서, 케이스(11)의 외주면과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개구(12c-1)를 포함하는 제2 부(12e-1)는, 중심축이 케이스(11)의 외주면과 대략 평행이다.
개구(12c-1)는, 리턴 필터(1)의 개구(12c)보다 케이스(11)의 외주면에 가까운 위치, 즉 케이스(11)의 외주면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공기나 여과 후의 액체를 외부로 배출할 경우에, 개구(12c-1)로부터 유출한 여과 후의 액체를 케이스의 외주면을 따라 하방으로 흘릴 수가 있다.
또한, 평면시에 있어서, 개구(12c-1)와 케이스(11)의 외주면의 위치가 대략 일치하도록 개구(12c-1)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개구(12c-1)로부터 유출한 여과 후의 액체를 케이스의 외주면을 따라 확실하게 흘릴 수가 있다.
<제3의 실시의 형태>
제1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관통공(12a)의 개구(12c)로부터 공기 및 여과 후의 작동유가 배출되었지만, 관통공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3의 실시의 형태는, 관통공의 선단에 파이프를 설치하는 형태이다. 도 4는 제3의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리턴 필터(3)의 개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일부를 확대한 도이다. 또한, 리턴 필터(1)와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덮개체(12-2)는, 케이스(11)의 상면 및 탱크(100)의 상면을 덮는 대략 판형상의 부재이다. 덮개체(12-2)에는, 관통공(12a-2)이 형성된다. 관통공(12a-2)은, 대략 U자 형상(대략 コ자 형상)이며, 양단은 개구(12b)(도 4에서는 도시 생략), 개구(12c-2)이다. 개구(12c-2)를 포함하는 제2 부(12e-2)는, 중심축이 케이스(11)의 외주면과 대략 평행이다. 또한, 제2 부(12e-2)의 중심축과 케이스(11)의 외주면이 이루는 각도는 예각이라도 좋다.
덮개체(12-2)의 하면에는, 관통공(12a-2)과 연결된 파이프(13a)가 설치된다. 파이프(13a)의 중공부는 개구(12c-2)와 일치한다. 따라서, 관통공(23i) 및 관통공(23j)(도 4에서는 도시 생략)과, 관통공(12a-2)(도 4에서는 일부 도시 생략)과, 파이프(13a)는, 공기나 여과 후의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배출부를 형성하고, 여과 부재(21)의 중공부와, 탱크(100)의 내부 또한 케이스(11)의 외부의 공간을 연통한다.
파이프(13a)의 중심축과 케이스(11)의 외주면이 이루는 각도는 예각이다. 파이프(13a)의 선단(13b)의 위치는, 케이스(11)의 외주면에 인접하고 있다.
따라서, 선단(13b)으로부터 유출한 여과 후의 액체는, 케이스(11)의 외주면에 맞닿고, 그 후에 외주면을 따라 하방으로 흐른다. 이에 의해 탱크(100) 내의 작동유가 거품을 일으키지 않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선단(13b)으로부터 유출한 여과 후의 액체를 케이스(11)의 외주면에 확실하게 맞닿게 하기 위해서, 선단(13b)과 케이스(11)의 외주면을 맞닿게 해도 좋다.
<제4의 실시의 형태>
제1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덮개체(12)가 케이스(11) 및 탱크(100)를 덮고, 덮개체(12)에 관통공(12a)이 형성되었지만, 덮개체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4의 실시의 형태는, 덮개체가 2개 부품으로 구성되는 형태이다. 도 5는 제4의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리턴 필터(4)가 설치된 탱크(100)의 개략을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또한, 리턴 필터(4)는, 덮개체 이외는 제1의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리턴 필터(1)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리턴 필터(1)와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리턴 필터(4)는, 주로 용기부(10-1)와 필터 엘리먼트(20)를 가진다.
용기부(10-1)는, 내부식성이 높은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주로 케이스(11)와 덮개체(12-1)를 가진다.
덮개체(12-1)는, 케이스(11)의 상면 및 탱크(100)의 상면을 덮는 대략 판형상의 제1 덮개(12u)와, 제1 덮개(12u) 위에 설치되는 제2 덮개(12v)를 가진다. 제1 덮개(12u)는, 탱크(100)에 나사 잠금 등에 의해 고정되고, 제2 덮개(12v)는, 제1 덮개(12u)에 나사 잠금 등에 의해 고정된다.
제2 덮개(12v)에는, 관통공(12a)이 형성된다. 제1 덮개(12u)에는, 평면시에 있어서, 개구(12b) 및 관통공(23i)과 겹치는 위치에 구멍(12i)이 형성된다. 또, 제1 덮개(12u)에는, 평면시에 있어서, 개구(12c)와 겹치는 위치에 구멍(12j)이 형성된다. 따라서, 관통공(23i), 관통공(23j), 관통공(12a), 구멍(12i) 및 구멍(12j)은, 공기나 여과 후의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배출부를 형성하고, 여과 부재(21)의 중공부와, 탱크(100)의 내부 또한 케이스(11)의 외부의 공간을 연통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공기를 뽑을 때에, 공기와 함께 여과 후의 액체를 장치의 외부로 배출할 수가 있다. 또, 관통공(12a)이 형성된 제2 덮개(12v)를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리턴 필터(4)를 소형화 및 경량화 할 수가 있다.
이상, 이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해 왔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설계 변경 등도 포함된다. 예를 들면,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알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서 상세하게 설명한 것으로, 반드시 설명한 모든 구성을 구비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실시 형태의 구성의 일부를 다른 실시 형태의 구성으로 치환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실시 형태의 구성에 다른 구성의 추가, 삭제, 치환 등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대략」이란, 엄밀하게 동일한 경우뿐만 아니라, 동일성을 잃지 않는 정도의 오차나 변형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면, 「대략 직교」란, 엄밀하게 직교인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몇도 정도의 오차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 예를 들면, 단지 직교, 평행, 일치 등으로 표현하는 경우에 있어서, 엄밀하게 직교, 평행, 일치 등의 경우뿐만 아니라, 대략 평행, 대략 직교, 대략 일치 등의 경우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 「근방」이란, 기준으로 되는 위치의 가까이의 어느 범위(임의로 정할 수가 있음)의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끝 근방이라고 하는 경우에, 끝의 가까이의 어느 범위의 영역으로서 끝을 포함하고 있어도 포함하지 않아도 좋은 것을 나타내는 개념이다.
1, 2, 3, 4 : 리턴 필터(return filter)
10, 10-1 : 용기부
11 : 케이스(case)
11a : 유입관 11b : 구멍
11c : 바닥면 11d : 유출관
11e : 판형상부
12, 12-1, 12-2 : 덮개체
12a, 12a-1, 12a-2 : 관통공
12b, 12c, 12c-1, 12c-2 : 개구
12d : 제1 부(part)
12e, 12e-1, 12e-2 : 제2 부(part)
12f : 연결부 12i, 12j : 구멍
12u : 제1 덮개 12v : 제2 덮개
13a : 파이프 13b : 선단
20 : 필터 엘리먼트(element)
21 : 여과 부재
22, 23 : 플레이트(plate)
22a : 개구부
23a : 제1 플레이트 23b : 제2 플레이트
23c : 통형상부 23d : 개구부
23e : 플랜지부 23f : 파이프부
23g : 판형상부 23h : 개구부
23i : 관통공 23j : 관통공
24 : 밸브
24a : 탄성 부재 24b : 플레이트
31 : 탄성 부재
32, 33 : 씰(seal) 부재
100 : 작동유 탱크
100a : 유입구 100b : 유입관

Claims (3)

  1. 탱크에 설치되는 필터 장치로서,
    상기 탱크의 내부에 설치되고 바닥을 갖는 대략 통형상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액체를 유입시키는 유입부와,
    상기 케이스의 상면 및 상기 탱크의 상면을 덮는 덮개체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 엘리먼트로서, 대략 중공 원통형상의 여과 부재와, 상기 여과 부재의 하단면을 덮는 하측 플레이트와, 상기 여과 부재의 상단면을 덮고, 또한 상기 덮개체의 하면과 맞닿는 상측 플레이트를 가지는 필터 엘리먼트와,
    상기 하측 플레이트와,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여과 부재의 중공부와 상기 탱크의 내부를 연통하는 유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측 플레이트에는, 대략 중앙에 제1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체에는, 평면시에 있어서, 일방의 끝인 제1 개구가 상기 제1 관통공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고, 타방의 끝인 제2 개구가 상기 탱크의 측면과 상기 케이스의 측면의 사이에 배치된 제2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관통공 및 상기 제2 관통공은, 상기 여과 부재의 중공부와, 상기 탱크의 내부 또한 상기 케이스의 외부의 공간을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통공은, 상기 제1 개구를 포함하는 제1 부와, 상기 제2 개구를 포함하는 제2 부와, 상기 제1 부와 상기 제2 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는 대략 U자 형상이며,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의 근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부의 중심축과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이 이루는 각도가 예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통공은, 상기 제1 개구를 포함하는 제1 부와, 상기 제2 개구를 포함하는 제2 부와, 상기 제1 부와 상기 제2 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는 대략 U자 형상이며,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과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부의 중심축과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이 대략 평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장치.
KR1020197009655A 2016-10-31 2017-10-24 필터 장치 KR1023889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13704 2016-10-31
JP2016213704A JP6839520B2 (ja) 2016-10-31 2016-10-31 フィルタ装置
PCT/JP2017/038283 WO2018079523A1 (ja) 2016-10-31 2017-10-24 フィル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409A KR20190069409A (ko) 2019-06-19
KR102388934B1 true KR102388934B1 (ko) 2022-04-20

Family

ID=62024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9655A KR102388934B1 (ko) 2016-10-31 2017-10-24 필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02810B2 (ko)
EP (1) EP3533508B1 (ko)
JP (1) JP6839520B2 (ko)
KR (1) KR102388934B1 (ko)
CN (1) CN109890477B (ko)
WO (1) WO20180795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41644B2 (en) * 2020-04-13 2022-02-08 Pall Corporation Adapter for filter device and method of us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3029B1 (ko) 2003-05-16 2005-07-20 이희성 액체 여과장치
KR100586781B1 (ko) 1998-06-11 2006-06-08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유체 필터
KR101342896B1 (ko) 2011-12-09 2013-12-17 한국에어로(주) 수윤활식 공기압축기용 워터 필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62564A (en) * 1963-05-24 1966-07-26 Pall Corp Dual valve, dual filter element, constant flow filter assembly
JP2006007140A (ja) * 2004-06-28 2006-01-12 Yamashin-Filter Corp 濾過装置
JP4903486B2 (ja) 2006-05-02 2012-03-28 武郎 吉田 濾過器
JP5368079B2 (ja) * 2008-12-24 2013-12-18 和興フィルタ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オイルフィルタ
JP2013000608A (ja) * 2011-06-10 2013-01-07 Komatsu Ltd オイルフィルタ装置
JP5855526B2 (ja) 2012-05-07 2016-02-09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オイル劣化抑制装置
CN103463849A (zh) * 2012-06-07 2013-12-25 雅玛信过滤器株式会社 滤芯
US10578136B2 (en) 2014-10-01 2020-03-03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Hydraulic fluid tank arrangement
PT3247482T (pt) * 2015-01-19 2020-05-21 Interpump Hydraulics Spa Filtro de ar e de óleo na entrada de óleo de um reservatório de óleo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6781B1 (ko) 1998-06-11 2006-06-08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유체 필터
KR100503029B1 (ko) 2003-05-16 2005-07-20 이희성 액체 여과장치
KR101342896B1 (ko) 2011-12-09 2013-12-17 한국에어로(주) 수윤활식 공기압축기용 워터 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409A (ko) 2019-06-19
JP6839520B2 (ja) 2021-03-10
US10702810B2 (en) 2020-07-07
CN109890477B (zh) 2021-12-14
EP3533508A1 (en) 2019-09-04
US20190240599A1 (en) 2019-08-08
WO2018079523A1 (ja) 2018-05-03
EP3533508B1 (en) 2021-01-06
CN109890477A (zh) 2019-06-14
JP2018069182A (ja) 2018-05-10
EP3533508A4 (en) 2019-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6207B2 (en) Filter device
US10350527B2 (en) Filter device and filtration device
JP6613101B2 (ja) リターンフィルタ
WO2017073261A1 (ja) フィルタ装置
WO2018168847A1 (ja) フィルタ装置及び濾過装置
US10821377B2 (en) Filter device
JP2018202365A (ja) タンク装置及びフィルタ装置
KR102388934B1 (ko) 필터 장치
US11305215B2 (en) Filter device
CN111828413A (zh) 过滤器装置
JP2012125708A (ja) 油水分離器
WO2018147212A1 (ja) フィルタ装置
JP2017213555A (ja) フィルタ装置
JPWO2016171095A1 (ja) 油水分離装置
WO2018194060A1 (ja) フィルタ装置
WO2018139273A1 (ja) フィルタ装置
JP2018065113A (ja) フィルタ装置又はフィルタエレメ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