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7628B1 -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7628B1
KR102387628B1 KR1020180002427A KR20180002427A KR102387628B1 KR 102387628 B1 KR102387628 B1 KR 102387628B1 KR 1020180002427 A KR1020180002427 A KR 1020180002427A KR 20180002427 A KR20180002427 A KR 20180002427A KR 102387628 B1 KR102387628 B1 KR 102387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hinge
brake
rotation
suppor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4548A (ko
Inventor
최원준
이재욱
Original Assignee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2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7628B1/ko
Priority to EP19150095.8A priority patent/EP3508126B1/en
Priority to US16/242,324 priority patent/US10739827B2/en
Publication of KR20190084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7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7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61B6/462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displ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125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for tilting and ro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21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35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16M11/2078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in more than one direction with ball-joi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42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with arrangement for propelling the support stands on whe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2Locking means
    • F16M2200/021Locking means for rotational movement
    • F16M2200/022Locking means for rotational movement by fri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6Arms
    • F16M2200/061Scissors ar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enclosures rotating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or with ball-joint coupling, e.g. PDA with display enclosure orientation changeable between portrait and landscape by rotation with respect to a coplanar body encl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3Supporting arrangements, e.g. for filters or documents associated to a laptop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방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절을 포함하는 다관절암과 다관절암의 일단과 연결되고, 디스플레이장치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디스플레이장치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와 힌지가 회동될 시 힌지의 회동 시간을 단축시키도록 힌지의 회동을 일부 제한하는 댐퍼와 힌지의 회동이 종료될 시 힌지를 고정시키는 브레이크를 포함하고, 힌지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하 방향으로 디스플레이장치의 무게중심과 동일면 상에 배치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초음파 영상장치는 대상체의 체표로부터 체내의 타깃 부위를 향하여 초음파 신호를 조사하고, 반사된 초음파 신호(초음파 에코신호)의 정보를 이용하여 연부조직의 단층이나 혈류에 관한 이미지를 무침습으로 얻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초음파 영상장치에서 얻어지는 이미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사용자에게 표시되는데,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초음파 영상장치의 본체와 다관절암을 포함하는 지지장치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다관절암을 통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를 자유롭게 이동시키면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초음파 영상장치는 일 예일뿐 초음파 영상장치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른 장치에도 다관절암을 포함하는 지지장치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다관절암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다관절암에 의해 발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울어짐을 보상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방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절을 포함하는 다관절암과 상기 다관절암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와 상기 힌지가 회동될 시 상기 힌지의 회동 시간을 단축시키도록 상기 힌지의 회동을 일부 제한하는 댐퍼와 상기 힌지의 회동이 종료될 시 상기 힌지를 고정시키는 브레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하 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무게중심과 동일면 상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힌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하 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무게중심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댐퍼는 로터리 타입 댐퍼(Rotary Type Damper)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가 상기 힌지를 제동하거나, 상기 힌지에 대한 상기 브레이크의 제동이 해제되도록 상기 브레이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외력이 가해질 시 외력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서 외력이 감지될 시 상기 브레이크의 제동을 해제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센서는 터치 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서는 스위치 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댐퍼에 의해 상기 힌지의 회동이 종료될 시 상기 브레이크가 상기 힌지의 회동을 제동하도록 상기 브레이크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가 상기 힌지를 제동하거나, 상기 힌지에 대한 상기 브레이크의 제동이 해제되도록 마련되는 레버 장치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힌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결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힌지 샤프트와 상기 힌지 샤프트가 회전되도록 상기 힌지 샤프트와 결합되고 상기 다관절암의 일단과 연결되는 힌지암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댐퍼는 상기 힌지암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힌지 샤프트가 삽입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는 상기 힌지암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힌지 샤프트를 구속하여 상기 힌지를 제동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힌지에 의해 회동된 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우 방향에 대해 수평을 이룰 시 상기 힌지를 제동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우 방향에 대해 수평을 이루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서 수평 값이 감지될 시 상기 힌지를 제동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힌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자중에 의해 상기 힌지의 회동이 멈추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방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절을 포함하는 다관절암과 상기 다관절암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자중에 의해 상기 힌지의 회전이 멈추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하 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무게중심과 동일면 상에 마련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하 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심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힌지가 회동될 시 상기 힌지의 회동 시간을 단축시키도록 상기 힌지의 회동을 일부 제한하는 댐퍼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힌지의 회동이 종료될 시 상기 힌지를 고정시키는 브레이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외력이 가해질 시 상기 힌지에 대한 제동이 해제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힌지에 의해 회동된 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우 방향에 대해 수평을 이룰 시 상기 힌지를 제동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초음파 영상장치는 전방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절을 포함하는 다관절암과, 상기 다관절암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하 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무게중심과 동일면 상에 배치되는 힌지와, 상기 힌지가 회동될 시 상기 힌지의 회동 시간을 단축시키도록 상기 힌지의 회동을 일부 제한하는 댐퍼와, 상기 힌지의 회동이 종료될 시 상기 힌지를 고정시키는 브레이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무게중심 상에 배치되는 힌지를 포함하여 추가적인 구성의 보상 없이 디스플레이장치의 자중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의 기울어짐을 용이하게 보상할 수 있다.
도 1은 제 1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영상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일부 구성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a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정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가 기울어졌을 시의 정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가 기울어졌을 시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가 기울어짐에 대한 보상이 있을 시의 정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가 기울어짐에 대한 보상이 있을 시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기울어짐에 대한 보상의 제어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제 2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영상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는 제 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기울어짐에 대한 보상의 제어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b는 제 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기울어짐에 대한 보상의 제어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제 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기울어짐에 대한 보상의 제어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상부", "하부", "좌측" 및 "우측"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는 초음파 영상장치와 결합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는 초음파 영상장치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장치와 이를 지지하는 다관절암을 포함하는 다른 장치에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제 1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영상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일부 구성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a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정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영상장치(1)는 본체(10)와, 입력장치(20)와, 디스플레이장치(30)와, 초음파 프로브(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의 일 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부(11)가 구비될 수 있다. 접속부(11)에는 케이블(41)과 연결된 커넥터(42)가 물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체(10)는 초음파 프로브(50)가 거치되는 홀더(1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초음파 영상장치(1)를 사용하지 않을 때, 초음파 프로브(100)를 홀더(12)에 거치시켜 보관할 수 있다.
본체(10)는 초음파 영상장치(1)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부에 마련되는 이동장치(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장치(13)는 본체(10)의 저면에 마련된 복수의 캐스터일 수 있다. 캐스터는 본체(10)를 특정 방향으로 주행시킬 수 있도록 정렬(align)되거나, 초음파 영상장치(1)가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동장치(13)는 특정 위치에 정지되도록 록킹 장치(미도시, locking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프로브(50)는 대상체의 표면에 접촉하여 초음파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초음파 프로브(50)는 본체(10)로부터 전달 받은 송신 신호에 따라 초음파 신호를 대상체의 내부의 특정 부위로 송신하고, 대상체의 내부의 특정 부위로부터 반사된 에코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여 본체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에코 초음파 신호는 대상체로부터 반사된 RF(Radio Frequency) 신호인 초음파 신호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대상체로 송신한 초음파 신호가 반사된 신호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대상체는 인간 또는 동물의 생체가 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초음파 신호에 의해 그 내부 구조가 영상화 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든 대상체가 될 수 있다.
초음파 프로브(50)는 연결부재(40)에 의해 본체(10)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40)는 케이블(41) 및 커넥터(42)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41)의 일 측에는 초음파 프로브(50)가 구비될 수 있고, 케이블(41)의 타 측에는 커넥터(42)가 구비될 수 있다. 커넥터(42)는 본체(10)에 구비된 접속부(11)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초음파 프로브(50)는 본체(10)에 연결될 수 있다.
초음파 프로브(50)는 연결부재(40)에 의해 본체(10)에 연결되어 유선 통신망을 통해 초음파 프로브(100)의 제어에 필요한 각종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초음파 프로브(100)가 수신한 에코 초음파 신호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 또는 디지털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선 통신망은 유선으로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10)는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PCI-express, USB(Universe Serial Bus) 등의 유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초음파 프로브(100)와 각종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초음파 프로브(50)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무선 통신망을 통해 본체(10)에 연결되어 초음파 프로브(50)의 제어에 필요한 각종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초음파 프로브(50)가 수신한 에코 초음파 신호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 또는 디지털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에는 입력장치(20)가 구비될 수 있다. 입력장치(20)는 키보드(keyboard), 풋 스위치(foot switch) 또는 풋 페달(foot pedal) 등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입력장치(20)가 키보드인 경우, 키보드는 본체(1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키보드는 스위치, 키, 조이스틱 및 트랙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장치(20)가 풋 스위치 또는 풋 페달인 경우, 풋 스위치 또는 풋 페달은 본체(1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외에도, 입력장치(20)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와 같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입력장치(20)는 디스플레이(21)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장치(20)를 통해 초음파 영상장치(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모드, B 모드, M 모드, 또는 도플러 영상 등의 모드 선택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나아가, 초음파 진단 시작 명령을 입력 받을 수도 있다. 입력장치(20)를 통해 입력된 명령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본체(10)로 전송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30)는 초음파 진단 과정에서 얻어진 초음파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30)는 초음파 영상장치(1)의 동작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30)는 음극선관(CRT, Cathode Ray Tube) 디스플레이 패널,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패널,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D, Field Emission Display) 패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한은 없다.
디스플레이장치(30)는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부(31)와 디스플레이장치(30)의 커버(3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32)는 베젤 또는 디스플레이장치(30)의 하우징 등 표시부(31) 외의 외관을 형성하는 구성을 통칭한다.
디스플레이장치(30)는 본체(10)와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30)는 본체(10)와 결합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100)에 의해 본체(10)와 결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100)는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 또는 이동될 수 있는 다관절암(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장치(30) 또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100)를 가압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디스플레이장치(30)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영상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장치(30)를 배치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다양한 자세 및 위치에서 검사가 가능하도록 본체(10)의 상측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절을 포함하는 다관절암(110)을 가지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100)가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100)의 일단은 디스플레이장치(30)와 결합되고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100)의 타단은 본체(10)의 상측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다관절암(110)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30)가 다양한 위치와 다양한 방향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경우,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다관절암 등과 같은 구성들의 자중에 의해 각 구성이 미세하게 변형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절을 연결하는 조인트와 같은 연결부재에서 공차가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가 기울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장치의 좌우 방향으로의 기울어짐 현상은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사용성이나 안전도에 대해 문제가 발생하지 않지만 사용자로 하여금 디스플레이장치를 사용할 시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으며, 감성적인 측면에서 사용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경우,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다관절암에 대한 구조해석을 통해 자중에 의해 변형이 가장 큰 구성 또는 일 구성의 부분의 강성을 보강하여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변형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가 좌우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을 방지하였다.
다만, 이와 같은 경우 일부 구성의 재질이나 가공 방법 등을 변경하여 강성 보강하기 때문에 가공 방법 변경에 따른 제조 원가가 증가하거나 재질의 변화 또는 재질의 보강에 따른 제조 원가의 증가 및 중량화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의 경우, 디스플레이장치의 기울어짐을 예측하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관절을 연결하는 힌지 또는 조인트에 보정각을 선적용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좌우 방향으로의 기울어짐을 방지하였다. 즉, 디스플레이장치가 가장 많이 기울어지는 위치에서 기울어짐이 최소화되도록 관절부분을 보정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보정의 경우 다관절암의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른 보정각이 요구되었으며, 다관절암의 자유도 특성 상 디스플레이장치의 모든 위치에서의 보정각이 다관절암의 관절에 보정될 수 없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의 일부 위치에서는 기울어짐이 보상될 수 있으나, 어느 위치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기울어짐이 보상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다관절암의 재질 관절의 개수 등에 따라 보정각을 각각 달리 적용해야 하므로, 생산 시 제조 원가에 대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는 종래에 사용되는 다관절암을 사용하면서도 다관절암에 대한 추가적인 재질 및 제작 공법 변화에 따른 보강이나 구조 설계에 따른 보정각의 선적용 없이 디스플레이장치의 모든 위치에서도 기울어짐에 대한 보상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100)는 다관절암(110)과 디스플레이장치(30)를 결합시키는 힌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다관절암(110)의 일단은 힌지(120)와 결합될 수 있고, 다관절암(110)의 타단은 본체(110)와 결합될 수 있으며, 힌지(120)의 일단은 디스플레이장치(30)의 후면과 결합될 수 있으며, 힌지(120)의 타단은 다관절암(110)의 일단과 결합될 수 있다.
힌지(120)는 디스플레이장치(30)와 결합되는 힌지 샤프트(121)와 힌지 샤프트(121)가 삽입되고 힌지 샤프트(121)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힌지 암(122)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 샤프트(121)는 디스플레이장치(30)의 후면에 결합되는 브라켓(130)에 결합되어 디스플레이장치(3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힌지 샤프트(12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30)과 일체로 성형될 수 있으며, 힌지 샤프트(121)와 브라켓(130)이 별개의 구성으로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힌지 샤프트(121)는 디스플레이장치(30)의 후방으로 돌출되며 디스플레이장치(30)의 표시부(31)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힌지 암(122)은 힌지 바디(122a)와 힌지 샤프트(121)가 삽입되는 삽입홈(122b)과 다관절암(110)의 일단과 결합되는 결합부(122c)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22c)는 도 2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 조인트를 통해 다관절암(110)의 일단과 결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관절을 통해 결합되거나, 관절 없이 직접 다관절암(110)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100)는 힌지샤프트(121)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30)가 회동될 시 디스플레이장치(30)의 회동 시간을 단축시키도록 힌지 샤프트(121)의 회전을 일부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댐퍼(140)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140)는 힌지 바디(122a)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힌지 샤프트(121)는 댐퍼(140)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댐퍼(140)는 내측으로 삽입된 샤프트(121)의 회전을 제한하여 디스플레이장치(30)가 힌지 샤프트(121)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횟수를 줄일 수 있다.
댐퍼(140)는 로터리 타입 댐퍼(Rotary Type Damp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댐퍼(140)는 댐퍼(140) 내측에서 회전되는 힌지 샤프트(121)의 회전을 저감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댐퍼(140)는 로터리 타입 댐퍼 외 힌지 샤프트(121)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는 다른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100)는 힌지샤프트(121)를 제동하여 힌지(120)를 고정시키는 브레이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힌지 샤프트(121)는 순차적으로 브레이크(150)와 삽입홀(122b) 및 댐퍼(140)에 삽입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힌지 샤프트(121)가 삽입되는 순서 및 위치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브레이크(150)는 브레이크(150) 내측으로 삽입되는 힌지 샤프트(121)를 기계 마찰 방식 또는 전자기 방식으로 제동할 수 있다. 브레이크(150)의 제동 방식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브레이크(150)는 힌지 바디(122a)의 타측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브레이크(150)는 힌지 바디(122a)의 일측에 결합되어 힌지 바디(122a)를 기준으로 댐퍼(140)와 동일한 방향에 배치될 수 있거나, 댐퍼(140)와 브레이크(150)의 위치가 반대로 힌지 바디(122a)와 결합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120)는 디스플레이장치(30)의 상하 방향으로 디스플레이장치(30)의 무게중심(G)과 동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힌지(120)는 디스플레이장치(30)의 상하 방향으로 디스플레이장치(30)의 중심(C)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힌지 샤프트(121)는 디스플레이장치(30)의 상하 방향으로 디스플레이장치(30)의 무게중심(G)과 동일면 상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장치(30)의 중심(C)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30)는 힌지 샤프트(121)를 회전축으로 힌지암(122)에 대해 회동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장치(30)는 다관절암(110)의 일단에 대해 회전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30)의 회전축인 힌지 샤프트(121)가 디스플레이장치(30)의 무게중심 상에 배치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장치(30)가 좌우 방향으로 일부 기울어지게 배치될 시, 디스플레이장치(30)의 자중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30)는 힌지 샤프트(121)를 중심으로 회동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30)는 디스플레이장치(30)의 자중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30)의 좌측과 우측이 평형이 될 때까지 회동된 후, 디스플레이장치(30)의 좌측과 우측이 평행이 될 시 회동이 종료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아래에서 자세하게 후술한다.
도 4a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가 기울어졌을 시의 정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가 기울어졌을 시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a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가 기울어짐에 대한 보상이 있을 시의 정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b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가 기울어짐에 대한 보상이 있을 시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제 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기울어짐에 대한 보상의 제어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디스플레이장치(30)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 또는 방향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다관절암(110)을 통해 디스플레이장치(30)는 본체(10)와 결합된 상태에서 임의의 위치와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30)를 가압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디스플레이장치(30)를 배치할 수 있는데, 다관절암(110)은 관절(111)이 회동되거나 관절(111)에 연결된 복수의 링크(112)가 이동되어 디스플레이장치(30)가 임의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다관절암(110)의 형상이 변화됨에 따라 다관절암(110)에 의해 형성되는 자중의 중력 방향이 변화될 수 있으며,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30)의 좌측 또는 우측이 기울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30)의 일측이 기울어질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30)는 힌지 샤프트(121)를 회전축으로 회동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30)는 좌측과 우측이 수평을 이룰 때까지 회동되고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과 우측이 수평이 될 시 좌측과 우측의 중력이 균형을 이루게 되어 자중에 의해 회동이 정지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임의로 디스플레이장치(30)를 이동시켜도 이에 따라 발생하는 디스플레이장치(30)의 기울어짐은 힌지(120)에 의해 발행하는 디스플레이장치(30)의 회동을 통해 기울어짐이 보상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다관절암(110)의 일부 구성의 강성을 보강하거나 다관절암(110)의 관절에 보정각을 선적용하지 않아도 힌지(120)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30) 자체가 디스플레이장치(30)의 좌측과 우측이 수평이 되도록 회동될 수 있어 디스플레이장치(30)의 기울어짐이 간단하게 보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30)가 임의의 위치에 배치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30)의 기울어짐은 힌지(120)에 의해 발생하는 디스플레이장치(30)의 회동에 의해 보정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100)는 디스플레이장치(30)의 기울어짐을 보상하는 별도의 구성을 포함하지 않아도 단순하게 디스플레이장치(30)의 자중에 의한 회동을 통해 디스플레이장치(30)의 기울어짐을 보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30)는 다관절암(110)과 힌지 결합되는 바 디스플레이장치(30)가 가압될 시 힌지(120)를 회전축으로 디스플레이장치(30)가 진자 운동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장치(30)의 진자 운동 시간이 길어질 경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30)를 주시하는데 있어서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100)는 댐퍼(140)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1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로터리 댐퍼를 포함할 수 있는데 댐퍼(140) 내부에 삽입된 힌지 샤프트(121)가 시계 방향과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저하 시켜 힌지 샤프트(121)의 회전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힌지 샤프트(121)를 회전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30)의 진자 운동 시간이 저감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장치(30)가 빠르게 좌우 방향으로 수평이 되어 디스플레이장치(30)의 사용감이 향상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30)의 자중 및 힌지 샤프트(121)의 배치에 따라 진자 운동 시간 및 진자 운동의 진폭이 결정될 수 있는데 댐퍼(140)는 디스플레이장치(30)의 자중 및 힌지 샤프트(121)의 위치를 고려하여 디스플레이장치(30)의 진자 운동 시간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30)는 다관절암(110)과 힌지 결합되는 바 디스플레이장치(30)에 매우 약한 가압이 있어도 힌지(120)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30)가 회동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100)는 브레이크(150)를 포함한다.
브레이크(150)는 힌지 샤프트(121)를 제동하여 힌지(12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30)가 회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브레이크(15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30)를 이동시킬 시 힌지 샤프트(121)에 대한 제동을 해제하여 디스플레이장치(30)가 이동 후 회동에 의해 기울어짐이 보정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30)의 기울어짐에 대한 보정이 완료될 시 다시 브레이크(150)는 힌지 샤프트(121)를 제동하여 디스플레이장치(30)가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100)는 브레이크(150)를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100)는 디스플레이장치(30)에 전해지는 외력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17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 센서(170)는 외력을 감지할 시 제어부(160)에 전기적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감지 센서(170)는 사용자에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장치(30)의 커버(32)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30)를 이동시키기 위해 커버(32)를 가압할 시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160)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커버(32)뿐만 아니라 표시부(31) 상에도 배치될 수 있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30)의 어느 곳을 터치하여도 이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60)에 수신할 수 있다.
감지 센서(170)에서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160)는 브레이크(150)의 제동을 해제하도록 브레이크(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커버(32)를 가압할 시 제어부(160)에 의해 브레이크(150)의 제동이 해제되고 사용자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30)의 위치가 변동될 수 있으며, 이에 연동되어 다관절암(110)의 형상이 변동될 수 있다.
다관절암(110)의 형상이 변동된 뒤 디스플레이장치(30)에 기울어짐이 발생할 수 있는데 힌지 샤프트(121)를 중심으로 한 디스플레이장치(30)의 회동에 의해 기울어짐이 보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장치(30)를 원하는 위치에 배치시키고 난 후, 디스플레이장치(30)의 가압을 종료하게 되는데, 이 때 감지 센서(170)의 터치 센서는 사용자의 터치가 중단되는 것을 감지하고 다시 제어부(160)에 이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정보를 수신한 후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 브레이크(150)가 힌지를 제동하도록 브레이크(15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30)에 대한 가압을 종료한 후에 디스플레이장치(30)에 기울어짐이 발생하여 디스플레이장치(30)가 힌지 샤프트(121)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는 바, 제어부는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 브레이크(150)가 힌지 샤프트(121)를 제동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소정의 시간은 댐퍼(140)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30)의 회동이 종료되는 시간을 기준으로 제어부(160)에서 세팅될 수 있다.
제어부(160)에 의해 다시 브레이크(150)가 힌지(120)를 제동하면 디스플레이장치(30)의 회동이 제한되는 바 디스플레이장치(30)는 디스플레이장치(30)의 좌우 방향이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 다관절암(110)의 일단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 후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30)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해 커버(32)를 터치하기 전까지 힌지 샤프트(121)는 브레이크(150)에 의해 제동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예와 제 3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센서와 제어부 및 브레이크 구성 이 외의 구성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와 동일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제 2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영상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a는 제 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기울어짐에 대한 보상의 제어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b는 제 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기울어짐에 대한 보상의 제어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10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30)를 이동시키기 위해 다관절암(110)에 대한 디스플레이장치(30)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스위치 센서(171)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센서(171)는 디스플레이장치(30)의 커버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스위치 센서(171)를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스위치 센서(171)는 본체(10) 등과 같은 다른 구성에 배치될 수 있다.
스위치 센서(171)는 사용자가 스위치 센서(171)를 가압할 시 이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60)에 송신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스위치 센서(171)를 가압하여 스위치 센서(171)가 'on'이 될 수 있으며 이 값을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스위치 센서(171)로부터 'on' 정보를 입력받은 제어부(160)는 브레이크(150)의 제동을 해제하도록 브레이크(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스위치 센서(171)를 가압할 시 제어부(160)에 의해 브레이크(150)의 제동이 해제되고 사용자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30)의 위치가 변동될 수 있으며, 이에 연동되어 다관절암(110)의 형상이 변동될 수 있다.
다관절암(110)의 형상이 변동된 뒤 디스플레이장치(30)에 기울어짐이 발생할 수 있는데 힌지 샤프트(121)를 중심으로 한 디스플레이장치(30)의 회동에 의해 기울어짐이 보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장치(30)를 원하는 위치에 배치시키고 난 후, 디스플레이장치(30)의 기울어짐이 최종 보정될 시 다시 스위치 센서(171)를 가압하여 디스플레이장치(30)의 이동을 종료할 수 있다.
이 때 스위치 센서(171)는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off'정보를 다시 제어부(160)에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off' 정보를 수신한 후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 브레이크(150)가 힌지를 제동하도록 브레이크(15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30)에 대한 가압을 종료한 후에 디스플레이장치(30)에 기울어짐이 발생하여 디스플레이장치(30)가 힌지 샤프트(121)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는 바, 제어부는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 브레이크(150)가 힌지 샤프트(121)를 제동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60)는 'off' 정보를 수신한 후 바로 브레이크(150)가 힌지를 제동하도록 브레이크(15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30)의 기울어짐에 대한 보정이 종료된 후 스위치 센서(171)를 가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어부(160)가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 브레이크(150)를 제어하거나 또는 바로 브레이크(150)를 제어하는 것은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임의적으로 세팅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100)는 스위치 센서(171) 대신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는 커버(32) 또는 다른 구성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레버를 가압할 시 제어부(160)에 이에 따른 정보가 수신되어 브레이크(15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 1실시예의 터치 센서나 제 2실시예의 스위치 센서(171)와 같이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160)에 전달하는 것뿐만 아니라 레버를 통해 물리적인 신호를 전달하여 제어부(160)가 브레이크(150)를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레버가 직접 브레이크(150)와 연동되어 제어부(160) 구성 없이 직접 레버의 가압으로 브레이크(150)의 제동 및 제동의 해제를 구현할 수 있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10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30)를 이동시키기 위해 다관절암(110)에 대한 디스플레이장치(30)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스위치 센서(172)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센서(172)는 디스플레이장치(30)의 커버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스위치 센서(172)를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스위치 센서(172)는 본체(10) 등과 같은 다른 구성에 배치될 수 있다.
스위치 센서(172)는 사용자가 스위치 센서(172)를 가압할 시 이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60)에 송신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스위치 센서(172)를 가압하여 스위치 센서(172)가 'on'이 될 수 있으며 이 값을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스위치 센서(172)로부터 'on' 정보를 입력받은 제어부(160)는 브레이크(150)의 제동을 해제하도록 브레이크(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스위치 센서(172)를 가압할 시 제어부(160)에 의해 브레이크(150)의 제동이 해제되고 사용자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30)의 위치가 변동될 수 있으며, 이에 연동되어 다관절암(110)의 형상이 변동될 수 있다.
다관절암(110)의 형상이 변동된 뒤 디스플레이장치(30)에 기울어짐이 발생할 수 있는데 힌지 샤프트(121)를 중심으로 한 디스플레이장치(30)의 회동에 의해 기울어짐이 보정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스위치 센서(172)에서 정보를 입력 받은 후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 다시 브레이크(150)가 힌지(120)를 제동하도록 브레이크(15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스위치 센서(172)를 가압하면서 디스플레이장치(30)의 이동을 시작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30)의 이동이 종료된 후 다시 스위치 센서(172)를 가압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제어부(160)는 사용자가 스위치 센서(172)를 가압할 시 브레이크(150)의 제동을 해제하고 스위치 센서(172)에서의 정보가 수신되지 않아도 소정의 시간이 지난 뒤 브레이크(150)가 다시 힌지(120)를 제동하도록 브레이크(15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브레이크(150)가 제동되도록 브레이크(150)를 제어한 뒤, 스위치 센서(172)가 'on' 값에서 다시 'off'값을 가지도록 스위치 센서(172)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스위치 센서(172)를 한번만 가압하여도 디스플레이장치(30)를 용이하게 이동시킨 후 디스플레이장치(3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술한 제어부(160)가 다시 브레이크(150)를 제어하기 시작하는 소정의 시간 값은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세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 4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센서와 제어부 및 브레이크 구성 이 외의 구성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예와 동일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제 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의 기울어짐에 대한 보상의 제어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형성되는 외력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170)와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30)의 수평을 감지하는 수평센서(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평센서(180)는 디스플레이장치(30)가 회동 후 좌우 방향으로 수평이 될 시 이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감지 센서(170)에서 전달 받은 정보를 통해 브레이크(150)의 제동을 해제할 수 있으며, 수평 센서(180)에서 전달 받은 정보를 통해 브레이크(150)를 다시 제동하도록 브레이크(15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60)는 감지 센서(170)와 수평 센서(180) 각각으로부터 받은 정보를 통해 브레이크(15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1: 초음파 영상장치 10: 본체
30: 디스플레이장치 50: 초음파 프로브
100: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110: 다관절암
120: 힌지 130: 브라켓
140: 댐퍼 150: 브레이크
160: 제어부 170: 감지센서

Claims (20)

  1. 전방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지지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절을 포함하는 다관절암;
    상기 다관절암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
    상기 힌지가 회동될 시 상기 힌지의 회동 시간을 단축시키도록 상기 힌지의 회동을 일부 제한하는 댐퍼;
    상기 힌지의 회동이 종료될 시 상기 힌지를 고정시키는 브레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하 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무게중심과 동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힌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하 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무게중심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로터리 타입 댐퍼(Rotary Type Damper)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가 상기 힌지를 제동하거나, 상기 힌지에 대한 상기 브레이크의 제동이 해제되도록 상기 브레이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외력이 가해질 시 외력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서 외력이 감지될 시 상기 브레이크의 제동을 해제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스위치 센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댐퍼에 의해 상기 힌지의 회동이 종료될 시 상기 브레이크가 상기 힌지의 회동을 제동하도록 상기 브레이크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가 상기 힌지를 제동하거나, 상기 힌지에 대한 상기 브레이크의 제동이 해제되도록 마련되는 레버 장치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후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결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힌지 샤프트와 상기 힌지 샤프트가 회전되도록 상기 힌지 샤프트와 결합되고 상기 다관절암의 일단과 연결되는 힌지암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힌지암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힌지 샤프트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는 상기 힌지암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힌지 샤프트를 구속하여 상기 힌지를 제동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힌지에 의해 회동된 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좌우 방향에 대해 수평을 이룰 시 상기 힌지를 제동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좌우 방향에 대해 수평을 이루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서 수평 값이 감지될 시 상기 힌지를 제동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자중에 의해 상기 힌지의 회동이 멈추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16. 전방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지지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절을 포함하는 다관절암;
    상기 다관절암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자중에 의해 상기 힌지의 회전이 멈추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하 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무게중심과 동일면 상에 마련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하 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중심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가 회동될 시 상기 힌지의 회동 시간을 단축시키도록 상기 힌지의 회동을 일부 제한하는 댐퍼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의 회동이 종료될 시 상기 힌지를 고정시키는 브레이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외력이 가해질 시 상기 힌지에 대한 제동이 해제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힌지에 의해 회동된 후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좌우 방향에 대해 수평을 이룰 시 상기 힌지를 제동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20. 전방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절을 포함하는 다관절암과,
    상기 다관절암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하 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무게중심과 동일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하 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중심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힌지와,
    상기 힌지가 회동될 시 상기 힌지의 회동 시간을 단축시키도록 상기 힌지의 회동을 일부 제한하는 댐퍼와,
    상기 힌지의 회동이 종료될 시 상기 힌지를 고정시키는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초음파 영상장치.
KR1020180002427A 2018-01-08 2018-01-08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KR102387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427A KR102387628B1 (ko) 2018-01-08 2018-01-08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EP19150095.8A EP3508126B1 (en) 2018-01-08 2019-01-02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device
US16/242,324 US10739827B2 (en) 2018-01-08 2019-01-08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427A KR102387628B1 (ko) 2018-01-08 2018-01-08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548A KR20190084548A (ko) 2019-07-17
KR102387628B1 true KR102387628B1 (ko) 2022-04-18

Family

ID=64901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427A KR102387628B1 (ko) 2018-01-08 2018-01-08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739827B2 (ko)
EP (1) EP3508126B1 (ko)
KR (1) KR1023876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37795B2 (en) * 2019-01-10 2021-10-05 Myerchin Enterprises, Inc. Electromagnetic locking system for display support arms
US11243578B2 (en) 2019-08-02 2022-02-08 Dell Products L.P. Gear synchronized dual axis pivot hinge
US11586243B2 (en) * 2019-08-02 2023-02-21 Dell Products L.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flexible display rotational orientation monitoring and management
US20220287681A1 (en) * 2019-08-15 2022-09-15 Koninklijke Philips N.V. Ultrasound imaging system with a tilt-adjustable secondary display
KR20220006263A (ko) * 2020-07-08 2022-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CN113967032A (zh) * 2020-07-24 2022-01-25 深圳迈瑞生物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超声设备的浮动装置及超声设备
US11500426B2 (en) * 2021-03-23 2022-11-15 Lenovo (Singapore) Pte. Ltd. Display system
CN113266742B (zh) * 2021-05-17 2023-06-16 刘春英 一种计算机显示装置组件控制装置
JP2024518511A (ja) * 2021-07-21 2024-05-01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
KR102602909B1 (ko) * 2022-12-06 2023-11-16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율 주행 휴대폰 거치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2275A (ja) 2007-09-28 2009-04-23 Fujifilm Corp 放射線画像記録読取装置
JP2016501097A (ja) 2012-12-19 2016-01-18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超音波システムコントロールパネル及びディスプレイリフト
US20160319986A1 (en) 2015-04-30 2016-11-03 Ziehm Imaging Gmbh Manually adjustable monitor bracket for a flat panel display of a mobile diagnost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1886A (en) * 1985-04-18 1987-09-0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djustable display stand
US4953822A (en) * 1987-05-26 1990-09-04 Eldon Industries, Inc. Adjustable arm structures
US5037053A (en) * 1990-08-23 1991-08-06 Midmark Corporation Support arm for optical accessories
US5566048A (en) * 1994-06-02 1996-10-15 Hewlett-Packard Company Hinge assembly for a device having a display
US5842672A (en) * 1996-06-07 1998-12-01 Ergotron, Inc. Mounting system for flat panel display, keyboard and stand
TW487277U (en) * 2000-12-01 2002-05-11 Acer Inc Flat-panel display device and mounting device thereof
US7028961B1 (en) * 2003-05-30 2006-04-18 Csav, Inc. Self-balancing adjustable flat panel mounting system
KR101253569B1 (ko) * 2006-05-09 2013-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TWM365047U (en) * 2009-02-04 2009-09-11 Syncmold Entpr Corp Supporting frame
KR20160013434A (ko) * 2014-07-25 2016-02-0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착 가능한 기울기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동식 의료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2275A (ja) 2007-09-28 2009-04-23 Fujifilm Corp 放射線画像記録読取装置
JP2016501097A (ja) 2012-12-19 2016-01-18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超音波システムコントロールパネル及びディスプレイリフト
US20160319986A1 (en) 2015-04-30 2016-11-03 Ziehm Imaging Gmbh Manually adjustable monitor bracket for a flat panel display of a mobile diagnost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548A (ko) 2019-07-17
US20190212785A1 (en) 2019-07-11
EP3508126A1 (en) 2019-07-10
US10739827B2 (en) 2020-08-11
EP3508126B1 (en) 202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7628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JP5599197B2 (ja) 超音波スキャンのための支持アーム
US9295438B2 (en) Movable X-ray generation apparatus
US7391177B2 (en) Master-slave manipulator system and this operation input devices
US5883615A (en) Foot-operated control system for a multi-function
US20150359515A1 (en) Ultrasound diagnosis apparatus having plurality of display units
US10456100B2 (en) X-ray imaging device
CN108472010B (zh) 具有多模式触摸屏接口的超声成像系统
JP5074227B2 (ja) マッサージ機
US6512373B1 (en) Magnetic resonance tomography device having an operator control and monitoring device with a spatially modifiable apparatus for defining an orientation of a tomographic image
US20190307423A1 (en) Probe rack and ultrasound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EP3685754B1 (en)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US20220151577A1 (en) Mobility of an x-ray imaging system
US20220304657A1 (en) Ultrasound diagnost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220287681A1 (en) Ultrasound imaging system with a tilt-adjustable secondary display
JP7401155B2 (ja) 手術支援装置
JP7343249B1 (ja) 手術支援装置
KR102410141B1 (ko) 초음파 영상장치
JP4963900B2 (ja) X線撮影装置
CN107550511A (zh) 用于基于造影剂的医学成像的系统
JP2024053998A (ja) 超音波診断装置
CN118102996A (zh) 手术辅助装置
AU2017324111A1 (en) Surgical light having an operating device
JPH06233777A (ja) 衝撃波治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