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2909B1 - 자율 주행 휴대폰 거치 장치 - Google Patents

자율 주행 휴대폰 거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2909B1
KR102602909B1 KR1020220169124A KR20220169124A KR102602909B1 KR 102602909 B1 KR102602909 B1 KR 102602909B1 KR 1020220169124 A KR1020220169124 A KR 1020220169124A KR 20220169124 A KR20220169124 A KR 20220169124A KR 102602909 B1 KR102602909 B1 KR 102602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support member
self
unit
fixing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9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순
전아현
채준호
차순혁
엄준호
Original Assignee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169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29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2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29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주행부를 구비한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부로 소정 높이 세워져서 마련되고 동력전달 수단에 의해 회동하는 제1 지지 부재;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단부에 회전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방향을 달리하여 배치되는 제2 지지 부재;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한쪽 단부에 회전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휴대폰을 거치하기 위한 고정 클립;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하부에 상기 회전부를 구동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견인 수단; 상기 주행부 및 동력전달 수단 및 견인 수단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얼굴에 상기 고정 클립에 거치된 휴대폰을 대면되게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자율 주행 휴대폰 거치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자율 주행 휴대폰 거치 장치{Self-driving mobile phone mounting device}
본 발명은 사용자 얼굴 위치에 맞도록 자세가 자동 설정되는 자율 주행 휴대폰 거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사용자는 특히 가정에서 편안하게 침대 등에 누워서 휴대폰의 화면을 통해 동영상 등을 시청하는 경우, 편안한 시청을 위해 휴대폰 거치대가 개발되어 있다.
그런데, 통상의 휴대폰 거치대는 예를 들어 침대에 누워서 휴대폰을 보는 경우, 침대 구조물에 거치하고 사용자의 얼굴쪽으로 휴대폰 화면 각도를 맞추어서 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휴대폰 거치대는 사용자의 자세에 맞추어서 최적의 배치 상태를 유지하는데 한계가 있고, 더욱이 한번 어렵게 셋팅한 후 경우에 따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침대로부터 제거하게 되는데, 필요에 따라 재설치하는 경우에는 본인의 자세에 맞게 다시 셋팅하는 것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자세를 자동 인식하고 사용자 자세에 최적화된 배치 각도로 휴대폰을 셋팅할 수 있는 자율 주행 휴대폰 거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주행부를 구비한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부로 소정 높이 세워져서 마련되고 동력전달 수단에 의해 회동하는 제1 지지 부재;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단부에 회전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방향을 달리하여 배치되는 제2 지지 부재;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한쪽 단부에 회전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휴대폰을 거치하기 위한 고정 클립;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하부에 상기 회전부를 구동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견인 수단; 상기 주행부 및 동력전달 수단 및 견인 수단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얼굴에 상기 고정 클립에 거치된 휴대폰을 대면되게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자율 주행 휴대폰 거치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자율 주행을 통해 적절한 위치로 휴대폰을 거치한 상태에서 이동하여 대면되게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휴대폰을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부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여 제1 위치를 설정하고, 제1 위치를 토대로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셋팅 위치를 제2 위치로 하여 제어부에서 사용자 얼굴에 대면되게 근접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주행 휴대폰 거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주행 휴대폰 거치 장치의 구조를 측면에서 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고정 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고정 클립과 회전부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고정 클립의 배면에 와이어 배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주행 휴대폰 거치 장치의 제어 동작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주행 휴대폰 거치 장치의 제어부의 구성 및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구성과의 관계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주행 휴대폰 거치 장치에서 제1 지지 부재의 하단부를 통과하는 와이어, 견인 모터 및 풀리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a)는 정면도, (b)는 견인 모터 및 풀리의 평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주행 휴대폰 거치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주행 휴대폰 거치 장치의 구동 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율 주행 휴대폰 거치 장치(1)는 베이스 부재(10), 베이스 부재(10)의 상부로 소정 높이 세워져서 마련되는 제1 지지 부재(20), 제1 지지 부재(20)의 단부에 회전되게 결합되고 제1 지지 부재(20)와 방향을 달리하여 배치되는 제2 지지 부재(30), 제2 지지 부재(30)의 단부에 마련되고 휴대폰을 거치하기 위한 고정 클립(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20)와 제2 지지 부재(30)는 중공형의 파이프 형태일 수 있고, 베이스 부재(10)에는 회전판(11)이 마련되고, 회전판(11)에는 제1 지지 부재(20)가 관통되게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회전판(11)과 제1 지지 부재(20)는 서로 함께 회전되도록 결합될 수 있고, 회전판(11)은 베이스 부재(10)의 상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20)는 회전판(11) 및 베이스 부재(10)를 관통하고, 베이스 부재(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지지 부재(20)의 단부측에는 동력전달 수단으로서, 제1 기어(13), 제1 기어(13)와 맞물리는 제2 기어(14), 제2 기어(14)와 결합되고 제2 기어(14)를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 부재(30)는 제1 지지 부재(20)의 상단부로부터 직교 방향으로 연결되고, 단부측에는 고정 클립(40)과 연결되는 회전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회전부(70)는 제2 지지 부재(30)의 단부측에 연결되는 연결편(71), 연결편(71)의 단부에 형성되는 곡면 부재(72), 곡면 부재(72)의 안쪽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볼(73), 볼(73)과 고정 클립(40)의 클립 부재(41)를 연결해주기 위해 결합되는 결합편(74)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편(71)은 제2 지지 부재(30)의 단부에 고정되고, 곡면 부재(72)는 연결편(71)에 고정되어 함께 연동되며, 볼(73)은 결합편(74)과 결합되어 고정되고, 결합편(74)은 고정 클립(40)의 제1 지지면(41a)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클립(40)이 상하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면, 볼(73)과 결합편(74)은 고정된 상태의 곡면 부재(72)에 형성된 홈(72a)의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 부재(20)와 제2 지지 부재(30)의 내부에는 회전부(70)를 회동시키기 위한 견인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견인 수단은 복수, 즉 제1 지지 부재(20)와 제2 지지 부재(30)의 내부를 관통하는 3개의 와이어(w)가 구비될 수 있고, 복수의 와이어(w)의 한쪽 단부는 제2 지지 부재(30)의 내부에서 외부로 노출되어서 고정 클립(40)의 제1 지지면(41a)의 상부 및 하부에 연결되고, 복수의 와이어(w)의 다른쪽 단부는 베이스 부재(10)의 하부에 배치된 풀리(22)에 권취될 수 있다. 풀리(22)에는 풀리(22)를 정역 구동시킬 수 있는 견인 모터(24)가 마련될 수 있다.
와이어(w)는 제1 와이어(w1), 제2 와이어(w2), 제3 와이어(w3)로 이루어질 수 있고, 고정 클립(40)의 제1 지지면(41a)의 배면 상부에 제1 와이어(w1)를 구비하고, 그 아래의 양측으로 제2 와이어(w2) 및 제3 와이어(w3)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풀리(22)는 제1 풀리(22a), 제2 풀리(22b) 및 제3 풀리(22c)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풀리(22a)에는 제1 와이어(w1), 제2 풀리(22b)에는 제2 와이어(w2), 제3 풀리(22c)에는 제3 와이어(w3)가 권취될 수 있다.
또한, 제1 풀리(22a), 제2 풀리(22b) 및 제3 풀리(22c)에는 각각 제1 견인 모터(24a), 제2 견인 모터(24b), 제3 견인 모터(24c)가 결합되어서 각각 제1 풀리(22a), 제2 풀리(22b) 및 제3 풀리(22c)를 정역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풀리(22a), 제2 풀리(22b) 및 제3 풀리(22c)는 제어부(6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20)의 상단부 내부에는 도르래(26)가 구비되어서 복수의 와이어(w)가 지지되면서 방향 전환을 하여 제2 지지 부재(30)의 단부를 통과하여 고정 클립(4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지지 부재(30)의 단부에는 제1 와이어(w1)와 제2 와이어(w2)가 외부로 나올 수 있는 통과공(3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10)의 하부에는 간격을 두고 지지판(12)이 마련되고, 베이스 부재(10)와 지지판(12) 사이에에는 주행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폰 고정 클립(40)은, 상하부에 마련되고, 휴대폰(H)을 끼워서 일시 고정시키는 클립 부재(41), 클립 부재(41)의 안쪽면에 구비되는 무선 충전용 패드(42)를 포함할 수 있다. 클립 부재(41)는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지지면(41a), 제1 지지면(41a)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직교 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는 제2 지지면(41b)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무선 충전용 패드(42)는 제1 지지면(41a)에 대면되게 구비될 수 있다.
무선 충전용 패드(42)에는 휴대폰(100)의 배터리에 무선 충전을 위한 전원 공급을 해주는 충전 케이블(43)이 접속될 수 있다.
주행부(50)는 복수의 휠(51), 휠(51)을 회전시키는 휠 모터(52)를 포함할 수 있다. 휠(51)은 전(全)방위 이동이 가능한 메카넘 휠(mecanum wheel)일 수 있다.
또한, 주행부(5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6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율 주행을 위한 수단으로서, 카메라부(110)와 센서부(80)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부(110)는 고정 클립(40)에 거치되는 휴대폰(100)에 마련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10)는 주변 환경을 촬영하고, 촬영한 환경 데이터를 제어부(60)에 전송할 수 있고, 따라서, 카메라부(110)와 제어부(60)는 서로 통신 가능한 통신부가 마련될 수 있다.
환경 데이터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자율 주행 휴대폰 거치 장치(1)가 일반 가정집에서 사용되는 경우, 가정집 내부의 각종 시설물이 될 수 있다.
센서부(80)는 자율 주행 휴대폰 거치 장치(1)의 이동 거리와 주행 상태 및 주변 상황을 감지하기 위한 초음파 센서 및/또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자율 주행 휴대폰 거치 장치(1)에는 제어부(60)와 각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로서 배터리가 탑재될 수 있다. 배터리는 충전식의 2차 전지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자율 주행 휴대폰 거치 장치(1)의 정면 및 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초음파 센서를 포함하여, 자율 주행 휴대폰 거치 장치(1)의 이동 거리와 목표지점에 도달했을 때 자율 주행 휴대폰 거치 장치(1)의 기울기 등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센서부(80)는, 자율 주행 휴대폰 거치 장치(1)가 장애물 등과 같은 주변 환경을 감지하고 상황을 판단하여 자율적인 주행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한 초음파 센서나 적외선 센서와 같은 거리계 감지센서 이외에 필요에 따라 적절한 용도 및 개수의 센서를 사용하여, 다양한 센서를 통해 주변 환경에 대한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된 센서 데이터들을 통합하여 주변상황을 인지하고 자율적인 주행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자율 주행 휴대폰 거치 장치(1)에는 동작을 제어를 위한 기능이 설정된 복수의 버튼(전원 버튼, 제어부 동작 버튼 등)이 마련된 조작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율 주행 휴대폰 거치 장치(1)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침대에 누워있는 경우에, 동작을 개시하면 자율 주행을 할 때, 제1 연결 부재(20)를 좌우로 회동시키면서 고정 클립(40)에 거치된 휴대폰(100)의 카메라부(110)를 통해 주변 환경을 촬영한다. 이때 촬영된 주변 환경 데이터중 사용자의 얼굴이 인식되면, 해당 얼굴이 인식된 위치를 제1 위치로 하고, 제 1위치로부터 사용자의 얼굴 근처까지 정밀 주행을 수행한다.
이때, 제어부(60)에서는 제1 위치로서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한 상태에서, 보다 정밀한 접근을 위해 제어부(60)를 통해 자율 주행 및 고정 클립(40)의 각도 조절을 할 수 있다.
제어부(60)에서는 자율 주행을 위해 카메라부(110) 및 센서부(80)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 근처에 이동한 다음, 보다 세밀한 동작을 통해 사용자가 취한 자세에 적절한 위치로 휴대폰을 볼 수 있도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율 주행 휴대폰 거치 장치(1)는 카메라부(110)에 의한 사용자 의 얼굴에 대한 데이터를 제어부(60)에 제공하고, 제어부(60)에서는 제공받은 사용자의 얼굴에 대한 데이터를 토대로 해당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즉, 카메라부(110)에 의해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면, 인식한 위치를 센서부(80)에 의한 센싱 정보에 의해 제어부(60)에서 파악하고, 이 상태에서 제어부(60)는 복수의 휠 모터(52)를 제어하여 사용자 얼굴 근처에 접근하며, 이런 다음에 고정 클립(40)이 사용자가 휴대폰(100)을 편안하게 볼 수 있는 각도로 조정할 수 있다.
카메라부(110)에 의해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면, 제어부(60)에는 미리 사용자의 얼굴에 대한 얼굴 정보인 영상 이미지 정보가 등록된 상태일 수 있다.
즉, 제어부(60)에는 얼굴 저장부(61), 얼굴 저장부(61)에 저장된 정보와 카메라부(110)에 의해 획득된 영상 정보를 비교하여 매칭 여부를 파악하는 얼굴 판단부(62)를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사람의 얼굴을 등록하여 사용할 때에는 휴대폰(100)의 카메라부(110)를 통해 해당자의 얼굴을 촬영하고, 촬영한 얼굴 정보를 제어부(60)의 얼굴 저장부(61)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60)에는 얼굴 판단부(62)에 의해 매칭이 이루어지면, 해당 얼굴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파악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파악부(63)는 카메라부(110)에 의해 해당 얼굴을 촬영하여 인식하면, 해당 얼굴을 촬영했을때의 카메라부(11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즉, 센서부(80)에서는 카메라부(110)에 의한 영상 획득시의 거리 및 각도를 산출하고, 제어부(60)에 산출된 위치 데이터를 전송하고. 제어부(60)의 위치 파악부(63)에서는 이러한 위치 데이터를 토대로 고정 클립(40)의 셋팅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정 클립(40)에 의해 설정된 셋팅 위치를 제1 위치라고 할 때, 제1 위치로부터 사용자의 얼굴 근처에 근접되게 접근하는 제2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60)에서는 제2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얼굴에 접근하도록 주행부(50)를 동작시켜서 휠(51)의 회전으로 자율 주행 휴대폰 거치 장치(1)를 이동시키고, 회전 모터(15)를 제어하여 제1 지지 부재(20)를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켜서 고정 클립(40)의 위치를 조정하며, 이어서 견인 모터(24)를 제어하여 제2 지지 부재(20)의 단부에 마련된 회전부(70)를 회전시켜서 고정 클립(40)의 배치 각도를 조절한다.
다시 말해서, 견인 모터(24)는 3개의 견인 모터인 제1 견인 모터(24a), 제2 견인 모터(24b) 및 제3 견인 모터(24c)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각각 3개의 풀리(22)를 통해 와이어(w)가 연결되어서 고정 클립(40)의 클립 부재(41)를 이루는 제1 지지면(41a)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1 견인 모터(24a), 제2 견인 모터(24b) 및 제3 견인 모터(24c)를 적절히 동작시켜서 제1 와이어(w1) 내지 제3 와이어(w3)를 잡아 당겨 회전부(70)의 볼(73)이 곡면 부재(72)의 홈(72a) 내에서 움직여 고정 클립(40)의 제2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견인 모터(24a)의 작동으로 제1 와이어(w1)를 제2 지지 부재(30) 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고정 클립(40)은 제2 지지 부재(30) 쪽으로 기울어지며, 이때 제2 와이어(w2) 및 제3 와이어(w3)는 반대 방향으로 풀어지도록 제2 견인 모터(24b) 및 제3 견인 모터(24c)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는 제2 와이어(w2) 및 제3 와이어(w3) 중 어느 하나의 와이어를 잡아당기도록 제2 견인 모터(24b) 및 제3 견인 모터(24c)를 작동시켜 고정 클립(40)을 도면상 좌우로 움직여서 제2 위치에 해당하는 셋팅 위치를 최종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만일, 자율 주행 휴대폰 거치 장치(1)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조작부에 마련된 정지 버튼을 눌러서 모든 동작을 정지시키고, 휴대폰(100)을 고정 클립(4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1... 자율 주행 휴대폰 거치 장치
10... 베이스 부재 11... 회전판
12... 지지판 13... 제1 기어
14... 제2 기어 15... 회전 모터
20... 제1 지지 부재 22... 풀리
22a... 제1 풀리 22b... 제2 풀리
22c... 제3 풀리 24... 견인 모터
24a... 제1 견인 모터 24b... 제2 견인 모터
24c... 제3 견인 모터 26... 도르래
30... 제2 지지 부재 31... 통과공
40... 고정 클립 41... 클립 부재
41a... 제1 지지면 41b... 제2 지지면
42... 무선 충전용 패드 43... 충전 케이블
50... 주행부
51... 휠 52... 휠 모터
60... 제어부 61... 얼굴 저장부
62... 얼굴 판단부 63... 위치 파악부
70... 회전부 71... 연결편
72... 곡면 부재 72a... 홈
73... 볼 74... 결합편
80... 센서부 100... 휴대폰
110... 카메라부
w... 와이어 w1... 제1 와이어
w2... 제2 와이어 w3... 제3 와이어

Claims (5)

  1.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주행부를 구비한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부로 소정 높이 세워져서 마련되고 동력전달 수단에 의해 회동하는 제1 지지 부재;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단부에 회전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방향을 달리하여 배치되는 제2 지지 부재;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한쪽 단부에 회전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휴대폰을 거치하기 위한 고정 클립;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하부에 상기 회전부를 구동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견인 수단;
    상기 주행부 및 동력전달 수단 및 견인 수단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얼굴에 상기 고정 클립에 거치된 휴대폰을 대면되게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자율 주행 휴대폰 거치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 수단은,
    상기 제1 지지 부재의 하단부측에 결합되는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는 제2 기어,
    상기 제2 기어와 결합되고 상기 제2 기어를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로 이루어지는 자율 주행 휴대폰 거치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제2 지지 부재의 내부는 관통된 중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견인 수단은,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제2 지지 부재의 내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와이어,
    상기 베이스 부재의 하부에 배치된 복수의 풀리,
    상기 복수의 풀리를 각각 회전시키는 견인 모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와이어의 한쪽 단부는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내부에서 외부로 노출되어서 상기 고정 클립의 제1 지지면의 상부 및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의 다른쪽 단부는 상기 복수의 풀리에 각각 권취되어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내부를 통해 외부로 인출 및 인입되며, 상기 견인 모터에 의해 상기 풀리를 정역 회전시키면서 상기 와이어를 잡아 당기거나 인출시키면서 상기 고정 클립의 배치 각도를 조절하는 자율 주행 휴대폰 거치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에는 카메라부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측에는 주변 환경에 대한 거리와 각도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획득된 사용자의 얼굴 정보를 저장하는 얼굴 저장부,
    상기 얼굴 저장부에 저장된 얼굴 정보와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획득된 영상 정보를 비교하여 매칭 여부를 파악하는 얼굴 판단부로 이루어지는 자율 주행 휴대폰 거치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단부측에 연결되는 연결편,
    상기 연결편의 단부에 형성되는 곡면 부재,
    상기 곡면 부재)의 안쪽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볼,
    상기 볼과 상기 고정 클립의 클립 부재를 연결해주기 위해 결합되는 결합편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편은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곡면 부재는 상기 연결편에 고정되어 함께 연동되며,
    상기 볼은 상기 결합편과 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결합편은 상기 고정 클립에 고정되는 자율 주행 휴대폰 거치 장치.
KR1020220169124A 2022-12-06 2022-12-06 자율 주행 휴대폰 거치 장치 KR102602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9124A KR102602909B1 (ko) 2022-12-06 2022-12-06 자율 주행 휴대폰 거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9124A KR102602909B1 (ko) 2022-12-06 2022-12-06 자율 주행 휴대폰 거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2909B1 true KR102602909B1 (ko) 2023-11-16

Family

ID=88964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9124A KR102602909B1 (ko) 2022-12-06 2022-12-06 자율 주행 휴대폰 거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2909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8352A (ko) * 2007-09-14 2009-03-18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단말기 거치대에서 자동으로 분리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KR20110096244A (ko) * 2010-02-22 2011-08-30 홍창표 정보출력장치
US20140185222A1 (en) * 2012-12-28 2014-07-03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display screen
US20140226281A1 (en) * 2011-07-09 2014-08-14 Arman Emami Mount for a tablet pc
US20150336276A1 (en) * 2012-12-28 2015-11-26 Future Robot Co., Ltd. Personal robot
KR20170080842A (ko) * 2015-12-30 2017-07-11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셀프 촬영 장치
US20190212785A1 (en) * 2018-01-08 2019-07-11 Samsung Medison Co., Ltd.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device
KR20200028656A (ko) * 2018-09-07 2020-03-17 용석현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KR20230000905U (ko) * 2021-10-28 2023-05-08 주식회사 쓰리아이 단말기 거치대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8352A (ko) * 2007-09-14 2009-03-18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단말기 거치대에서 자동으로 분리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KR20110096244A (ko) * 2010-02-22 2011-08-30 홍창표 정보출력장치
US20140226281A1 (en) * 2011-07-09 2014-08-14 Arman Emami Mount for a tablet pc
US20140185222A1 (en) * 2012-12-28 2014-07-03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display screen
US20150336276A1 (en) * 2012-12-28 2015-11-26 Future Robot Co., Ltd. Personal robot
KR20170080842A (ko) * 2015-12-30 2017-07-11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셀프 촬영 장치
US20190212785A1 (en) * 2018-01-08 2019-07-11 Samsung Medison Co., Ltd.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device
KR20200028656A (ko) * 2018-09-07 2020-03-17 용석현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KR20230000905U (ko) * 2021-10-28 2023-05-08 주식회사 쓰리아이 단말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46995B2 (ja) ロボット掃除機とそのシステム及び外部充電装置復帰方法
KR102021827B1 (ko) 청소기
US9539723B2 (en) Accessory robot for mobile device
US10175696B2 (en) Apparatus for guiding an autonomous vehicle towards a docking station
EP4005747A1 (en) Mobile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962896B2 (en) Positioning apparatus for photographic and video imaging and recording and system utilizing the same
US10865581B2 (en) Autonomous cleaning systems principally for swimming pools
KR102224157B1 (ko) 이동 로봇 및 충전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이동 로봇 시스템
US9973736B2 (en) Mobile workstation having navigation camera
JP6796458B2 (ja) 電気掃除機
US11625039B2 (en) Moving robot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602909B1 (ko) 자율 주행 휴대폰 거치 장치
CN108167602B (zh) 支架
KR100437159B1 (ko) 로봇 청소기의 외부 충전장치와 그 시스템 및 외부충전장치 추적방법
JP2017041731A (ja) 自走式機器用無線通信設定システムおよび設定方法
JP2008117185A (ja) 自走式移動体のシステム
KR102082754B1 (ko) 청소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KR102081358B1 (ko) 로봇 청소기,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891312B1 (ko) 원격 구동 로봇,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상기 원격 구동 로봇의 제어 방법
KR100437362B1 (ko) 로봇 청소기의 외부 충전장치와 그 시스템
US11901797B2 (en) Cleaner with clutch for motor engagement
JP2019106009A (ja) 自律走行体および自律走行体システム
KR102093709B1 (ko) 로봇 청소기,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364623B1 (ko) 이동 로봇 및 그 제어방법
JP2021043607A (ja) ロボット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